'View(학교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절과 올바른 인용 (0) | 2013.03.24 |
---|---|
로잔언약(1974) 영문과 한글판, 케이프타운 서약 (0) | 2013.03.19 |
SCS502 강의안 (0) | 2013.03.18 |
SCS502 과학사&과학철학 문제출제 모음 (0) | 2013.03.16 |
Refwork에 사용하는 WriteNCite 프로그램 & 한글에서 field code 제거 방법 (1) | 2013.03.06 |
표절과 올바른 인용 (0) | 2013.03.24 |
---|---|
로잔언약(1974) 영문과 한글판, 케이프타운 서약 (0) | 2013.03.19 |
SCS502 강의안 (0) | 2013.03.18 |
SCS502 과학사&과학철학 문제출제 모음 (0) | 2013.03.16 |
Refwork에 사용하는 WriteNCite 프로그램 & 한글에서 field code 제거 방법 (1) | 2013.03.06 |
기모간사소식 92(2013-3-18)
"비과학적이라는 말을 오류라는 말과 동일시 하거나 과학적이라는 말을 진리라는 말과 동일시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진화의 과정은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진리가 아니며, 창조의 과정은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될 수 없지만 진리이기 때문이다. 과학적 방법은 과학적 진리를 찾는 데는 유용하지만 다른 분야의 진리를 찾는 데는 제한된 유용함만 있기에 오늘날 모든 지식을 과학적 지식으로 환원시키려는 과학 만능의 풍조를 경계해야 한다. 많은 창조과학자들이 간격의 하나님(God-of-the-Gaps)을 주장한다. 이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생명체의 존재를 설명하다가 설명할 수 없게 되면 그 논리적 간격을 메우시는 분이 바로 하나님이라는 주장이다. 이 주장은 언뜻 하나님을 굉장히 높이는 듯 보이지만 하나님을 기적의 세계, 인간의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영역에나 계시는 분으로 격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하나님께서는 이 온 세상을 창조하시고 창조질서를 통해서 지금도 만물을 붙드시고 운행하고 계신다. 하나님은 인과율을 만드신 분이기 때문에 그것에 매여계시지 않고 개방체계 내에서 역사하시는 분이다. 성경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하나님은 전지전능하시며, 주권적이시면서 또한 인격적이시며, 우리 마음속에 계시면서 또한 이 우주를 초월해 계시며, 논리를 무시하지 않으시면서 또한 인간의 논리 속에 갇혀계시지 않는 분이시다. 하나님은 과학 안이나 바깥이 아닌, 과학을 만드시고 과학 위에 계시는 분이다"(양승훈, 프라이드를 탄 돈키호테중에서).
지난 주로 이번 학기 수업을 마쳤습니다. 수업이 마쳤다고 학기 일정이 모두 마쳐진 것은 아니고요, 각 수업마다 Paper가 남아 있습니다. 원래 이번학기 신청한 수업은 11학점으로 5과목입니다. 그런데 욕심을 부려서 몇 과목을 청강하고, 학점에는 포함되지 않는 Pronunciation 과목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수업마치고 계산해보니 18학점의 수업을 들었더군요. 첫 학기라 좀 무리해봤습니다.
제가 수강한 내용은 Research Strategies, Worldview and Education(세계관과 교육),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과학의 역사와 철학), Philosophical Foundation of Worldview(세계관의 철학적 기초)라는 과목입니다. 그리고 청강한 내용이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결혼과 가족 상담), Theology of the Believer’s Church Tradition(신자교회 전통의 신학)입니다. 각각의 수업들에서 상당한 양의 Reading과 paper들이 있어서 공부하기가 만만하지는 않지만, 어려운 만큼 많은 부분에서 새로운 지적인 도전들이 있어서 여러 가지로 매우 흥미롭습니다.
최근에 들은 철학과 과학사 수업은 저의 지적인 한계를 돌아보게 만들었습니다. 공학도 출신으로 인문학적인 배경이 너무 적어서 세계관의 철학적 기초라는 수업은 좀 부담스러웠습니다. 생전 들어보지도 못한 철학자들의 사상적 배경을 읽어내기도 힘들더라구요. 이 과목은 현재 한동대에서 가르치시는 최용준 교수님께서 오셔서 해주셨는데 아브라함 카이퍼와 도여베르트에 대해서 많이 강조하시고, 유럽 교회의 전통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셔서 많은 깨달음이 있었습니다.
지난주로 마친 과학사는 이곳을 책임지시는 양승훈 교수님이 진행해 주셨습니다. 물리학을 전공하시고 한국 창조과학회 창립때부터 함께하시다가, 젊은 지구론의 내용이 현대 과학의 이론과 전혀 맞지 않아서 창조교학회를 나오셔서 현재 이곳 캐나다 VIEW에서 세계관 운동을 하시면서 다중격변창조론을 연구하고 계십니다. 이 과학사 과목은 초대교회로부터 지금에 이르는 많은 철학자, 과학자들의 과학에 대한 견해와 현대의 과학의 흐름속에서 어떻게 학문의 제사장으로 살아낼 수 있는지, 하나님이 이 땅의 창조주이심을 온전히 어떻게 고백할 수 있는지를 가르쳐 주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케플러, 갈릴레오, 뉴턴, 다윈의 놀라운 과학적 발견과 그들의 이론의 배경에 어떤 사상적인, 신앙적인, 사회적인 배경들을 아는 것의 중요성을 배웠습니다. 성경을 해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학적 법칙만을 보면 매우 딱딱하고 메말라 보이지만 그 사람을 이해하게 되면 다른 의미로 다가오는 것은 느끼게 됩니다.
같이 수업을 들으시는 분들중에는 사역을 오래해오던 목회자들도 있고 일반 평신도분들도 있어서 배우는 분들의 스펙트럼이 굉장히 다양합니다. 각자의 전문분야도 다르고요, 그래서 여러 가지로 다양한 인사이트를 받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기존에 제가 가지고 있는 생각을 내려놓고 새로운 부분들을 많이 들으려고 합니다. 어떤 부분들은 많이 불편하기도 하고 새로운 도전들도 있는데, 일단은 많이 듣고 이후에 이 내용들을 제 안에서 정리하면서 소화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제 나이가 들어서 공부하는게 쉽지는 않지만 그래서 머리로가 아니라 엉덩이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공부하면서 JOY Spirit을 실천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보다 남을 더 낫게 여기는 삶, 함께 공부하는 학우들이 함께 행복하게 공부할 수 있는 분위기를 어떻게 만들까 고민하면서 노력중입니다. 노력의 일환으로 신입생들이 힘들어하는 Research 수업을 도와주고 수업중에 노트필기를 제 블로그에 올려서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학기 수업하면서 노트필기를 아주 열심히 한 몇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 번째는 제가 수업에 집중하기 위해서입니다. 안 그러면 피곤해서 졸 것 같아서요.(제가 얼마나 잘 조는지 아시는 분들은 아시지요???) 두 번째는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서입니다. 아내는 그러면 남 좋은 일만 시키는 것 아니냐고 핀잔을 주기도 하는데 함께 기쁘게 공부하고 생활하는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습니다.
아내의 변화(?)
제가 열심히 공부하는데 가장 큰 도움을 주는 사람은 역시 제 아내입니다. 수업도 없는 날, 도시락 싸들고 가깝지도 않은 학교를 오가는 저를 묵묵히(?) 도와주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집안일 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서 많이 힘들어 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외식을 하기는 너무 부담스러워서 매끼 집에서 식사를 만들어야 합니다. 해보지 않은 새로운 반찬을 만들고 음식을 하는 것이 어색하고 힘들어 하기도 했지만 이제는 아주 훌륭하게 잘 한답니다. 이런 놀라운 재능을 그동안 숨겨두고 있었는데 이제 그 재능이 놀랍게 발휘되고 있습니다.
아이들도 계속 수업 때문에 학교에 가느라고 많이 놀아주지 못하는데 이제 좀 만회하려고 합니다.
지난 번에 말씀드렸지만 학교까지의 거리가 왕복 130km나 됩니다. 그래서 계속 칠리왁에 살아야할지, 학교 근처로 이사를 해야할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한학기 지내보니 오가는 시간도 시간이고(왕복 2시간), 기름값도 꽤 많이 들어서요. 잘 알아보고 결정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직 학교에서 아르바이트는 구하지 못했습니다. 그간 수업도 많고 제가 할 수 있는 마땅한 일이 없어서요, 그래서 일단 여름방학기간동안 학교 아르바이트를 신청해 놓았습니다. 적절하게 잘 구해지기를 바랍니다.
기도제목
1. 남은 논문(4과목)을 잘 마무리하도록
2. 학교 오가는 중에 피곤하지 않도록
3. 학교와 교회에서 잘 섬길 수 있도록
4. 내일부터 진행되는 Youth Kosta(3/19-21, 교회 청소년들 6명 참석)
5. 기도와 재정의 동역자들이 더 많이 세워지도록
2013년 3월 18일 캐나다 TWU에서
박기모 간사 드림
기모간사소식 94번째 (0) | 2013.06.22 |
---|---|
기모간사소식 93(2013년 3번째) (0) | 2013.04.24 |
기모간사소식 91(2013년도 1번째) (0) | 2013.01.30 |
기모간사 소식 90(2012년 마지막) (0) | 2013.01.01 |
기모간사소식 89 (0) | 2012.12.05 |
로잔언약(1974) 영문과 한글판, 케이프타운 서약 (0) | 2013.03.19 |
---|---|
Believer's Church Tradition 강의노트(Archie J. Spencer) (0) | 2013.03.19 |
SCS502 과학사&과학철학 문제출제 모음 (0) | 2013.03.16 |
Refwork에 사용하는 WriteNCite 프로그램 & 한글에서 field code 제거 방법 (1) | 2013.03.06 |
WVS600 강의 노트-세계관의 철학적 기초 (0) | 2013.02.24 |
Believer's Church Tradition 강의노트(Archie J. Spencer) (0) | 2013.03.19 |
---|---|
SCS502 강의안 (0) | 2013.03.18 |
Refwork에 사용하는 WriteNCite 프로그램 & 한글에서 field code 제거 방법 (1) | 2013.03.06 |
WVS600 강의 노트-세계관의 철학적 기초 (0) | 2013.02.24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571 여섯번째 시간과 종합 (0) | 2013.02.23 |
성경의 영웅족보와 창조론 연구를 보면서
이 주제는 창세기를 공부하면서 가끔 진지하게 고민해보던 주제이다. 에덴에서 쫓겨난 아담과 하와,아벨의 죽음 이후 쫓겨난 가인이 아내를 맞이하는 부분, 노아의 홍수와 족보의 나이에 대한 계산 등 진지하게 성경을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 정도 고민해본 주제라고 생각한다. 영국의 어셔 주교는 구약의 맛소라 사본의 족보를 근거로 천지창조는 주전 4004년, 노아의 홍수는 주전 2348년에 일어났다고 보고 있다. 이에 반해 사마리아 오경은 주전 2998년, 요세푸스는 주전 3146년, 70인역(Septuagint)에서는 주전 3246년을 각각 노아 홍수의 연대로 잡고 있다. 그런데 미국창조과학연구소(ICR)에서 알스마 박사가 탄소연대측정실험을 통해 나무의 나이테분석을 한 결과를 보면 주전 12000년으로 노아의 홍수를 추정한다. 이 결과는 노아의 홍수가 제4기 홍적세 최후의 빙하 홍수시기와 일치한다. 이런 차이와 간격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이것은 먼저 성경의 족보기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눅 3장, 마 1장, 창 5, 10-12장, 대상 1-10장 등에 기록된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를 보면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히브리인들이 자신들이 아주 중요시 여기는 족보를 기록하면서 이를 기계적으로 기록하기 보다는 필요와 목적에 따라 의도적으로 한 세대 혹은 여러 세대들을 생략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태복음은 아브라함부터 예수님까지의 족보를 42대로 잡고 있지만 누가는 아담으로부터 예수님에 이르는 총 75대를 기록하며서 아브라함부터 예수님까지도 55대로 기록하고 있다. 왕으로서의 예수님을 소개하고자 했던 마태는 예수님의 왕통을 강조하기 위해서 누가가 기록하지 않은 다윗으로부터 솔로몬, 르호보암을 거쳐 남쪽 유대의 여러 왕들의 이름을 열거하고 있는 반면에 예수님의 인성을 강조하고자 했던 누가는 다윗까지는 동일하지만 다윗 이후는 구약에서 듣도 보도 못한 인물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를 영웅족보의 관점에서 보면 족보 기록이 매우 선택적이며, 이 결과로 성경 기자에 따라 족보의 대수가 달라지게 되고, 성경 기자들뿐 아니라 성경의 사본들마다 족보도 제각각 다르며, 족보에서 동일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발음을 조금씩 다르게 표기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성경의 족보는 필요한 사람들, 특히 기록자가 생각할 때 의미 있는 인물이라고 생각되는 사람들만을 선별해서 기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질학적 연구와 비교해 볼 때 신생대 제3기에는 중생대의 온난한 기후가 지속되다가 제3기 후반부터 추워지기 시작하여 제4기에는 4번의 빙하기와 3번의 간빙기가 있었다고 본다. 빙하기와 간빙기의 해수면은 약 100-130m 정도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홍적세 후기에 대규모의 전 지구적 홍수가 있었다는 증거들이 있다. 이 홍적세 말기가 12000년임으로 노아의 홍수의 연대(4400년)과의 불일치가 있는데 이것을 영웅족보로 해석하면 큰 무리가 없다.
뿐만 아니라 선아담인류론(Pre-Adamites Hypothesis)도 해결된다. 아담 이전에도 사람이 있었다는 이 이론은 최근 영국의 복음주의자 죤 스토트가 주장하여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크로마뇽인이나 네안데르탈인 등의 현생 인류가 3-10만년 전에 살았다고 추정되기에 이 객관적인 과학적인 사실을 부인하던지 아니면 노아의 홍수를 부정해야 하는 난처한 지점에 위치하기에 이런 주장을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생인류들의 유골에 대한 연대측정을 인정하면서 선아담인류론을 받아들이지 않기 위해서는 성경의 족보가 영웅족보로 이루어져 있음을 받아들이면 된다. 또한 영웅족보설은 성경의 몇몇 난제들을 해석하는데 도움을 준다. 많은 성경의 족보가 성경기자의 목적에 따라 선택적이라는 사실은 대수 기록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같은 대에 속한 사람들이라도 구속사적 측면에서 중요하지 않은 사람들을 생략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아담과 하와가 가인과 아벨과 셋만을 낳은 것이 아니다. 비록 성경은 이 세 사람만을 언급하지만 창 5:4을 보면 “아담은 셋을 낳은 후 팔백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이외에 많은 아들과 딸들을 낳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창 4:1을 보면 가인과 아벨이 아담의 장남과 차남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 성경에서 아담이 자녀를 생산한 나이를 기록한 것은 셋을 낳았을 때 130세뿐이다.(창 5:3) 예를 들어 하나님께서 아담을 창조하셨을 때 그를 몇 살의 성인으로 만들었을까? 만약 70세의 어른으로 만들었다고 한다면 그 이후 60년이 지난 것이고, 70세에 태어나서 130년이 지난 시점으로 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맞다면 셋을 낳기까지 130년 동안 아담과 하와는 60명 이상의 자녀들을 생산했을 것이 분명하다. 그래서 셋을 낳을 때 이미 손자나 증손자를 둔 적어도 500명 이상의 대가족을 이루었을 것이다. 이렇게 아담에게 가인 이전에 이미 다른 자녀들이 많았다고 보면 가인이 아벨을 죽이고 하나님 앞에서 쫓겨날 때 두려워했던(창 4:14) 이유나 가인이 아내를 어디서 구했을까(창 4:17) 등 성경의 난제들을 설명할 수 있다.
- 프라이드를 탄 돈키호테 중에서(양승훈, SFC)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4-5장) (0) | 2013.03.31 |
---|---|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레슬리 뉴비긴) (0) | 2013.03.29 |
지성에서 영성으로 (0) | 2013.01.03 |
과학적 사실과 성경적 진리와의 관계(프라이드를 탄 돈키호테 중에서) (2) | 2012.12.07 |
"다중격변창조론"을 읽고 (0) | 2012.09.28 |
Refwork를 이용해서 논문작성할때 Refwork에 있는 자신의 자료를 MS워드나 아래한글에서 직접 인용할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첨부된 파일을 설치하시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자료는 Refwork 홈페이지에 들어가서도 찾을수 있습니다.
위의 wnc3 가 워드 프로그램이고
wnch3 가 아래한글 프로그램입니다.
Write&Cite Hangul사용과 관련해서 한가지 알립니다.
한글의 경우에 논문을 다 작성하고 나서 Field code제거가 Write&cite 프로그램에서 직접 되지 않습니다. 아마도 MS워드와 각주 넣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한글에서 필드코드제거는 한글 자체에서 조판부호중에 누름틀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 하시길
#1. Go to 편집(Edit) then click 조판부호 지우기
#2. A Windows of 조판 부호 지우기 will be appeared
#3. Scrolling down to select 누름틀, then press 지우기 button.
#4. Finally you can have plain text without 누름틈 on you Haangul document.
Before removing누름틀 | After removing 누름틈 |
누름틀 was set on each citations and references. | 누름틀 was removed on each citations and references. |
SCS502 강의안 (0) | 2013.03.18 |
---|---|
SCS502 과학사&과학철학 문제출제 모음 (0) | 2013.03.16 |
WVS600 강의 노트-세계관의 철학적 기초 (0) | 2013.02.24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571 여섯번째 시간과 종합 (0) | 2013.02.23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571 다섯번째 노트 (0) | 2013.02.22 |
최용준 교수님의 "세계관의 철학적 기초"입니다.
강의 노트를 올립니다. 매일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2월 25일 업데이트 입니다.
강의 노트 먼저 올립니다. 교수님이 강조하신 부분은 일단 제가 먼저 정리해보고 올리겠습니다. 아래 수정된것 다시 올립니다.
WVS600 시험 대비
교수님께서 각 영역에서 2문제 정도 나오면 택일 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창조-타락-구속-완성-학문과신앙(도여베르트) 이렇게 하면 각각 2문제씩 총 10문제 정도 나올 것 같은데 아래 각 영역에서 강조하신 것들로 추려 봤습니다.
각자 보시면서 자신의 언어로 정리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교수님 강의 받아적은 것이라 빼야할부분도 있고 개인의 생각을 가지고 좀더 보완해야 할 부분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교수님이 나눠주신 PDF파일을 꼭 참조하시기를 바랍니다.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며
박기모
마지막 수업 마치고
SCS502 과학사&과학철학 문제출제 모음 (0) | 2013.03.16 |
---|---|
Refwork에 사용하는 WriteNCite 프로그램 & 한글에서 field code 제거 방법 (1) | 2013.03.06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571 여섯번째 시간과 종합 (0) | 2013.02.23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571 다섯번째 노트 (0) | 2013.02.22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 571네번째 노트 (0) | 2013.02.21 |
오늘 마지막 시간 노트를 올립니다.
6번에 걸친 내용을 아래 한개의 파일로 종합해서 같이 올렸습니다.
수업 내용을 받아적은 내용이기에 읽으실때 가끔 오타도 있고, 의미의 전달도 조금 문제가 있는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혹시 심각한 오류가 있으면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교수님이 나눠주신 강의노트와 함께 참고해 보시면 크게 지장이 없을듯 합니다.
Refwork에 사용하는 WriteNCite 프로그램 & 한글에서 field code 제거 방법 (1) | 2013.03.06 |
---|---|
WVS600 강의 노트-세계관의 철학적 기초 (0) | 2013.02.24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571 다섯번째 노트 (0) | 2013.02.22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 571네번째 노트 (0) | 2013.02.21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 571 세번째 노트 (0) | 2013.02.20 |
WVS600 강의 노트-세계관의 철학적 기초 (0) | 2013.02.24 |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571 여섯번째 시간과 종합 (0) | 2013.02.23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 571네번째 노트 (0) | 2013.02.21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 571 세번째 노트 (0) | 2013.02.20 |
FSC615 MARRIAGE AND FAMILY COUNSELLING (0) | 2013.01.26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571 여섯번째 시간과 종합 (0) | 2013.02.23 |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571 다섯번째 노트 (0) | 2013.02.22 |
Believer's Church Tradition THS 571 세번째 노트 (0) | 2013.02.20 |
FSC615 MARRIAGE AND FAMILY COUNSELLING (0) | 2013.01.26 |
Believer’s church tradition-THS571 (0) | 2013.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