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5 iBrothers, pray for us.
26 jGreet all the brothers with a holy kiss.
27 I put you under oath before the Lord to have kthis letter read to all the brothers.
28 lThe grace of our Lord Jesus Christ be with you.
i 2 Thess. 3:1; Heb. 13:18
j See Rom. 16:16
k Col. 4:16
l See Rom. 16:20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5:25–28.
 
25 형제들아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라
26 거룩하게 입맞춤으로 모든 형제에게 문안하라
27 내가 주를 힘입어 너희를 명하노니 모든 형제에게 이 편지를 읽어 주라
28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5:25–28.
 
25절) 자신의 선교팀을 위해 중보기도를 부탁하는 바울
형제들아, ‘아델포이’, 주안에서 형제들이기에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서로를 위해서 기도하는 관계임을 강조한다.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라, ‘프로슈케스테 페리 헤몬’, 본문의 기도하라는 표현은 ‘프로슈코마이’이다. 이는 신에게 말하거나 기도를 이야기하다라는 의미이다. 
 
신약에서 기도하다는 동사 ‘유코마이’라는 표현은 7번, 명사인 ‘유케’는 3번 사용되었다. 반면 ‘프로슈코마이’는 85번 사용되었는데 주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서 35번, 마태복음에서 15번, 마가복음에서 10번, 고린도 전서에서 8번 사용되었다. 기도에 해당하는 ‘프로슈케’ 명사는 35번 사용되었다. 반면 요한은 ‘유코마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예수님의 기도를 일상적인 말을 하는 것으로 표현했다.(요 11:14; 17:1) 요한은 기도라는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하지않지만 예수님의 일상이 항상 하늘에 계신 하나님과의 교제의 관계에서의 대화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는 기도가 특별한 행위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삶 전체가 기도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NT 1 The vb. εὔχομαι occurs only 7× in the NT, usually meaning “to pray” (Acts 26:29; 2 Cor 13:7, 9; Jas 5:16), but on at least one occasion “to wish” (Rom 9:3; poss. also Acts 27:29 and 3 John 2 [cf. BDAG s.v., meaning 2]). The noun εὐχή is used only 3×, meaning both “prayer” (Jas 5:15) and “vow” (Acts 18:18; 21:23).
In contrast, προσεύχομαι occurs c. 85×, esp. in Luke-Acts (35×); it is freq. also in Matthew (15×), Mark (10×), and 1 Corinthians (8×), but is entirely absent from the Johannine writings. It always means “to pray.” The noun προσευχή, “prayer,” is found c. 35×, esp. in Acts (9×; it is lacking in the John’s gospel and letters, as well as in Hebrews, 2 Corinthians, and several other Pauline letters). In one passage this noun is used by metonymy of the place where prayer is made (Acts 16:13, 16). No other compounds are used in the NT
2 The NT teaching on prayer reflects the prior development of the OT. It is modeled, however, upon the praying of Jesus, to which there are repeated references.
(a) As in the OT, prayer is something very personal and specific, a genuine conversation with God. Moreover, since NT believers know God as their Father—with much greater clarity than anything their OT counterparts could have enjoyed—their praying proceeds from a childlike trust, as expressed in the   V 2, p 340  typical NT form of address, “Father,” which Jesus taught his disciples to use (Matt 6:6–9; Luke 11:2; cf. Rom 8:15; Gal 4:6; Eph 3:14–15; see ἀββά G5).
(b) The suppliant’s assurance that prayers are heard by God is even stronger in the NT than in the OT, being grounded in an experience of God’s fatherly love in Jesus Christ. Jesus explicitly strengthens this assurance, which comes from faith, by promising that the prayer will be heard (e.g., Mark 11:24). Experiences that appear to be contrary must not tempt us to doubt his fatherly love or the power of prayer (cf. Jesus in Gethsemane, Matt 26:36–46 par., where Jesus’ passion is the Father’s will).
(c) True prayer has great power. It expresses that faith whereby the sinner is justified (Luke 18:10, 14). It is answered with the gift of the Holy Spirit (11:13). It clarifies the way ahead (Mark 1:35–39). It enables the suppliant to receive and put on the whole armor of God (cf. Eph 6:18). Paul encouraged the believer to desire spiritual gifts (1 Cor 14:1). It is necessary to surround all activities with prayer, esp. for the perseverance of the saints and for bold and faithful witness (Eph 6:17–20). True prayer overcomes anxieties (Phil 4:6); but at the same time it is a fight with the powers of evil and of darkness (Rom 15:30; Col 4:12; cf. Matt 6:13). Like the OT, the NT also warns of hindrances that can make prayer ineffectual: licentiousness and lovelessness (Jas 4:3; 1 Pet 3:7); unbelief and doubt (Jas 1:5–7); and an unforgiving spirit (Matt 5:23–24; Mark 11:25).
(d) NT prayer can be about anything, from the smallest matter to the greatest, from the affairs of today to those of eternity. The best example of this is the Lord’s Prayer (Matt 6:9–13 and Luke 11:2–4). Here the prayer for daily bread, which incl. all our other daily needs, is flanked on the one side by prayer for the coming of God’s kingdom and for his will to be done on earth, and on the other by prayer for the forgiveness of sin, for preservation in temptation, and for deliverance from evil. It is, however, not without significance that the prayers that refer to God, his will, his kingdom, and his name stand first. The Lord’s Prayer is embedded in longer discourses concerning true prayer (Matt 6:5–15; Luke 11:1–13); it must be marked by simplicity, concentration, discipline, patient confidence, and obedience. (See E. Lohmeyer, The Lord’s Prayer [1965]; J. Jeremias, The Prayers of Jesus [1967]; B. Young, The Jewish Background to the Lord’s Prayer [1984]; N. Ayo, The Lord’s Prayer: A Survey Theological and Literary [1992]; F. Neugebauer, Das Vaterunser: Eine theologische Deutung, 2nd ed. [2008].)
(e) In addition to supplication, there are, as in the OT, two other main types of prayer: intercession, the efficacy of which is emphasized esp. by Paul and James (Rom 15:30; 1 Thess 5:25; 2 Thess 3:1; Jas 5:14–18; even our enemies should be included, Matt 5:44); and the prayer of praise and thanksgiving and adoration, which is addressed exclusively to God himself, quite apart from his gifts whether earthly or spiritual (cf. esp. Rev 4:8–11; 5:8–14; 7:9–17; et al.). The NT insists that prayer should be constant (e.g., Acts 12:5; 1 Pet 1:22). This amounts to saying that the Christian ought always to live in the presence of the Lord and in converse with him, and constantly to be looking to him (Col 4:2 et al.).
  V 2, p 341  (f) Communal prayer seems to have been customary in the early church, both in public worship (1 Cor 11:4–5; 14:13–16:24) and in smaller gatherings (Matt 18:19; Acts 2:46–47; 12:12), though private communing with God is the fountain head of prayer in general (Matt 6:6; 14:23; Mark 1:35; Luke 5:16; 6:12; 9:18). The posture in prayer was either kneeling (Acts 21:5; Eph 3:14), in which case the forehead might touch the ground (Matt 26:39), or standing (Mark 11:15; Luke 18:11, 13), sometimes with uplifted hands (1 Tim 2:8).
3 Individual NT writers show distinctive concerns regarding prayer.
(a) The freq. use of προσεύχομαι in the Lukan writings is striking. For Luke prayer is a basic expression of Christian faith and life, and Jesus shows us how to pray aright (Luke 11:1). Important events in the life of Jesus are marked by prayer to God, and the vital decisions of his apostles and the church are made with prayer (3:21–22; 6:12–13; 9:18, 28–29; 22:44; 23:34; Acts 1:14, 24–25; 6:6; 9:11; 10:9; 13:3). Prayer was experienced as genuine conversation with God, as is esp. clear from those instances when believers are said to receive definite divine instructions (e.g., Acts 10:9–16, 30–32; 13:2).
(b) Although John does not use the εὔχομαι word group, he does refer to Christ’s prayers with the ordinary words for speaking, qualifying them only by saying that Jesus lifted up his eyes to heaven (John 11:14; 17:1). Moreover, it is noticeable that Jesus almost always speaks to his heavenly Father in the immediate situation, i.e., in full view of others and without retiring expressly for prayer (cf. esp. 12:27–28). In this way John indicates Jesus’ continual fellowship with God; in his case praying did not require a special act, since his whole life was one of prayer. His unique relationship to God is emphasized by the fact that he is not described as praying in company with his disciples.
(c) Paul attaches special importance to the fact that true prayer is wrought by the Spirit: “In the same way,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We do not know what we ought to pray for [τί προσευξόμεθα],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through wordless groans” (Rom 8:26; see πνεῦμα G4460). In two other relevant passages, Rom 8:15 and Gal 4:6, the apostle uses a different vb., κράζω G3189, “to cry aloud,” in order to express the freedom, joy, and confidence in prayer that spring from our awareness of being God’s children. In other words, such prayer does not originate in any power possessed by us and thus can never be considered as a meritorious work.
Elsewhere Paul urges his readers to “pray [προσευχόμενοι] in the Spirit on all occasions with all kinds of prayers and requests [διὰ πάσης προσευχῆς καὶ δεήσεως]” (Eph 6:18). Prayer is ultimately the indwelling, energizing Spirit speaking with God himself, for “the Lord is the Spirit” (2 Cor 3:17; cf. John 4:23–24; Rom 8:14). Thus prayer is not dependent for its efficacy on human eloquence or on any partic. frame of mind. The apostle emphasizes rather that assurance of salvation is both evidenced and increased by Spirit-wrought prayer (Rom 8:15–16). A sim. idea is expressed when he speaks of his thanksgiving being offered   V 2, p 342  “through Christ” (1:8; 7:25). Paul also refers to a kind of Spirit-filled prayer that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 human speech and understanding: the so-called speaking in tongues or praying in the Spirit (1 Cor 14:14–16), though he places greater value on prayer that is intelligible to the hearers (14:19).
(d) According to Jas 5:13, a Christian’s whole life, the good times as well as the bad, should be lived in an atmosphere of prayer; as we bring before God everything that happens to us, each new experience becomes suffused with prayer. Then in the verses that follow (5:14–16) we read that in cases of sickness prayer is to be accompanied by the laying on of hands (implied in the phrase “pray over him”), anointing with oil, and confession of sins. Here the outward actions are considered to be tangible, readily intelligible expressions of prayer for the benefit of the sick individual, while confession of sins is made in order to remove any hindrances to prayer. Finally, we are assured that God answers prayer through the illustration of Elijah’s life (5:17–18).
4 We may conclude this art. with a brief discussion of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he εὔχομαι word group and other terms associated with prayer. Trench, in a generally helpful treatment of seven relevant nouns (Synonyms, 188–92), suggests that προσευχή, being always used with ref. to God, is “res sacra,” whereas “δέησις has no such restriction”; thus the former term corresponds to Eng. “prayer” and the latter to “petition” (p. 189). The point is well taken insofar as δέησις is used widely by secular authors in a general sense; we should keep in mind, however, that this term is found exclusively in the NT (and almost exclusively in the LXX) in connection with prayer (see δέομαι G1289). The broad meaning “petition, request” is even clearer in the case of αἴτημα G161 (see αἰτέω G160; cf. also ἐρωτάω G2263). Another noun, ἔντευξις G1950, has a general background too, though both of its ocurrences in the NT, as well as most NT uses of its cognate ἐντυγχάνω G1961, suggest that in Christian circles this word group may have taken on a religious sense (Trench’s view [p. 190] that ἔτευξις indicates “free familiar prayer” depends on etym. considerations and is prob. misleading). Finally, ἱκετηρία G2656, which has a picturesque history (referring orig. to an olive branch used as a symbol of humility by suppliants), appears to have the strong sense “earnest entreaty” in its only NT occurrence (Heb 5:7).
Several additional vbs. enter this semantic field as well (see concepts Cry; Prayer). Moreover, various other term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prayer, such as αἰνέω G140, “to praise,” and εὐχαριστέω G2373, “to thank” (see concept Bless).
NT New Testament
vb. verb
NT New Testament
poss. possible, possibly
cf. confer (compare)
BDAG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3rd ed., rev. F. W. Danker (2000)
s.v. sub verbo (under the word)
c. circa (about, around)
esp. especially
freq. frequent(ly)
c. circa (about, around)
esp. especially
NT New Testament
NT New Testament
OT Old Testament
OT Old Testament
NT New Testament
OT Old Testament
NT New Testament
cf. confer (compare)
NT New Testament
OT Old Testament
e.g. exempli gratia (for example)
cf. confer (compare)
par. (and) parallel(s)
cf. confer (compare)
esp. especially
cf. confer (compare)
OT Old Testament
NT New Testament
NT New Testament
incl. include(d)/including
ed. edition(s)
OT Old Testament
esp. especially
cf. confer (compare)
esp. especially
et al. et alii (and others)
NT New Testament
e.g. exempli gratia (for example)
et al. et alii (and others)
NT New Testament
freq. frequent(ly)
esp. especially
e.g. exempli gratia (for example)
i.e. id est (that is)
cf. confer (compare)
esp. especially
vb. verb
cf. confer (compare)
partic. particular(ly)
sim. similar(ly)
art. article
ref. reference
Eng. English
p. page
NT New Testament
LXX Septuagint
cf. confer (compare)
NT New Testament
NT New Testament
Trench R. C. Trench, Synonyms of the New Testament, 9th ed. (1880)
p. page
etym. etymology, etymological(ly)
prob. probable, probably
orig. origin, original(ly)
NT New Testament
vbs. verb(s)
 Moisés Silva,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4), 339–342.
 
바울은 데살로니가 형제들에게 자신들을 위하여 기도해줄 것을 요청한다. 이는 자신들이 다른 성도들의 기도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특별한 존재가 아님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역을 하면서 자신들을 특별하다라고 생각하는 독불장군식의 자세는 온전한 태도라고 볼 수 없다. 이처럼 바울은 자신이 사도로 기도하지만 동시에 자신을 위해서 기도해줄 것을 자주 요청했다.(롬 15:30; 고후 1:11; 엡 6:18-19; 빌 1:19; 골 4:3) 
 
이처럼 성도는 목회자의 사역에 기도로 동참할 수 있다.(롬 15:30) 
 
Paul requests his readers, ἀδελφοί, προσεύχεσθε [καὶ] περὶ ἡμῶν (“brothers [and sisters], pray for us also”). This was a common request by Paul in his letters (cf. 2 Thes. 3:1–2; Rom. 15:30–32; 2 Cor. 1:11; Col. 4:3–4). Just as Paul and his fellow missionaries interceded on behalf of their converts, they asked to be remembered in prayer by them. This formed a bond of mutual intercession. If καί is accepted as part of the original reading, and the textual evidence is fairly evenly balanced on this, the point becomes all the stronger. Since v. 23 was a wish-prayer on behalf of the Thessalonians, Paul may well be alluding directly to it as an example of his prayer for the community that he would like the Thessalonians to reciprocate.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207.
 
26절) 거룩하게 입맞춤으로(엔 필레마티 하기오) 문안하라(아스파사스데), 본문에 문안하라로 번역된 ‘아스파사스데’ 는 특별히 어떤 사람의 집을 찾아가 문안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만날 때 일상적으로 인사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오’는 ‘거룩한’의 의미이고 ‘필레마티’는 입맞춤을 의미한다. 이것의 원형은 ‘필레마’이다. 이러한 입맞춤은 본래 페르시아인의 인사관습이었는데 이것이 유대로 전해져서 일반적인 인사가 되었다. 이러한 입맞춤은 사랑과 곤경, 화해와 서약을 의미했다. 초대교회는 이를 인사법으로 채용했고(롬 16:16; 고전 16:20; 고후 13:12; 벧전 5:14) 성찬식에서는 예배 의식중 한가지 순서로 시행되었다. 그리스도인들은 예배가 끝난 직후 서로 입을 맞추고 성찬식을 거행했다. 성찬식이 그리스도와 한 몸임을 확인하는 의식이라면 그에 앞서 행해지는 성도간의 입맞춤은 그리스도안에 있는 성도들간의 일치를 의미하는 의식이었다. 따라서 교회 안에서의 입맞춤은 세속 사회의 입맞춤과는 다른 깊은 의미가 담겨 있었다. 그래서 본문에서 바울은 ‘거룩한 입맞춤’이라고 말한 것이다. 그런데 이는 동성만이 아니라 이성간에도 이루어졌는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속 이방인들의 비판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해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는 교회안에서 입맞춤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금지하였다. 3세기 터툴리안은 ‘아니 도대체 누가 자기의 아내가 형제들 중 아무라도 만나서 서로 밉맞추는 것을 허용하겠는가?’라고 말하며 이를 적극 반대했다. 오늘날 이 명령은 서로 악수를 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holy kiss. The greeting kiss in the ancient world expressed not merely friendship but also reconciliation and unity (Gen 33:4; 45:15; 2 Sam 14:33; Luke 15:20). Paul’s command, therefore, may have in view internal tension in the church (see note on v. 13) and challenges the Thessalonians to remove any hostility.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7.
 
The kiss in the ancient world had a variety of functions both within the family and outside it. Kisses were used to indicate love, respect, reconciliation, even the striking of a contract. They also played various roles in pagan cults (see G. Stählin, TDNT IX, 119–127). That Paul speaks of kissing all the brothers (probably kissing of the opposite sex was not encouraged—see Apostolic Constitutions 2.57.17 for evidence from the fourth century that probably reflects the practice from a much earlier time) suggests that the act had a family connotation for him. The community was part of the one family of God.
That the kiss was to be ἁγίος (“holy”) indicates that it was of religious significance and may point to a setting in the liturgical life of the community (Stählin, op. cit., 139f.), possibly the Eucharist, as Bruce (133f.) suggests. Bruce points out that Justin Martyr (ca. AD 150) speaks of the exchange of a kiss during the eucharistic part of the service. He also borrows from Marshall (145) to show that 1 Cor. 16:20–22 seems to presuppose that a kiss was given as a holy greeting at the time of the Eucharist in the Pauline churches. On the strength of this he suggests that Paul may have intended the letter to be read at the eucharistic meal of the community. Although our knowledge concerning the liturgical practices of the Pauline communities is not extensive, Bruce’s suggestion is plausible, especially because Paul insisted that the letter be read to all the members of the church (v. 27), and the eucharistic service was probably one of the best opportunities for this to happen. Whatever may be the case with this suggestion, the holy kiss served to symbolize the unity of the community as the family of God.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208.
 
27절) 원문에서는 명하다라는 표현인 ‘에노르키조’가 맨 처음 사용된다. 이는 이는 1인칭 단수 동사로 본 서신의 저자가 바울 자신임을 보여준다. ‘에노르키조’라는 표현은 여기 단 한번 사용된 동사로 하나님을 증인으로 하여 누군가에게 엄숙한 의무나 권위적으로 약속, 책임을 지우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에 대한 불이행은 처벌로 이루어질 것을 암시한다. 바울은 이를 명하면서 ‘주를 힘입어’(톤 퀴리온’ 하고 있다. 이는 이 맹세를 명하는 자나 듣는 자에 대해서 주님이 증인이 되신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를 다시 번역하면 ‘내가 주님으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엄명하노니’이다. 그래서 ESV나 NIV는 이를 ‘주님앞에서, before the Lord’로 번역하였다. 
 
바울이 엄히 명하고 있는 내용은 바로 이 편지를 모든 형제에게 읽어 주라는 것이다. ‘읽어 주라’는 ‘아나그노스데나이’로 원형은 ‘아나기노스코’인데 이는 공적으로 크게 읽는 것을 의미한다.(행 13:27; 15:31) 그렇다면 왜 공개적으로 읽으라고 명한 것일까? 이것은 첫번째로 당시 모든 성도들이 성경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두번째로 모든 성도들이 다 글을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기에 문맹인 이들도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알게 할 필요가 있었다. 세번째로 하나님의 말씀이 말씀을 전하는 몇몇 이들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며 네번째로 당시의 예배에서는 성경이 공개적으로 읽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공개적으로 낭독된 말씀을 통해서 예배에 참석한 모든이들에게 하나님의 권세있는 말씀이 들려졌고 영향력을 끼쳤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문의 편지는 ‘에피스톨레’로 공문, 편지, 서신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28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이는 본 서신 전체를 마무리하는 축도의 표현이다. 본 서신의 처음 인사말에 바울은 ‘은혜와 평강’을 구한다. 이제 마지막 인사를 통해서 ‘은혜’를 구하고 있다. 바울의 축도는 삼위 일체의 이름으로 행해지기도 했고(고후 13:13), 본문처럼 주 예수 그리스도, 성자의 이름으로 행해지기도 했으며, 단순히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지어다’(골 4:18; 딤전 6:21; 딤후 4:22)라는 간략한 형태로 행해지기도 했다. 어떤 형태이건 성도들의 영적인 안녕을 기원하는 바울의 마음이 담겨져 있다. 
 
In characteristic fashion Paul concludes this letter with a benediction. With the exception of 2 Corinthians, which has a more elaborate threefold benediction (cf. 2 Cor. 13:13), and Colossians, which has an attenuated one (Col. 4:18), the benedictions of Pauline letters show only slight variations. Variations occur in how Paul refers to Jesus (“our Lord Jesus” occurs in Rom. 16:20; 1 Cor. 16:23; and “our Lord Jesus Christ” in Gal. 6:18; Phil. 4:23; 2 Thes. 3:18; Phm. 25) and to the recipients of the benediction (the simple form “with you” occurs in Rom. 16:20; 1 Cor. 16:23; “with your spirit” in Phil. 4:23; Phm. 25; the more liturgical expression “with your spirit, brothers [and sisters]; amen” in Gal. 6:18; and “with all of you” in 2 Thes. 3:18).
The benediction here, ἡ χάρις τοῦ κύριου ἡμῶν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μεθʼ ὑμῶν (“the grace of our Lord Jesus Christ be with you”), is identical to that of Rom. 16:20 and 1 Cor. 16:23. The relatively fixed form probably derives from the liturgical language used by Paul and in the Pauline churches, but it reflects the profound theological conception of the early Church that Jesus Christ was the source of divine grace, that is, “the totality of salvation” (H. Conzelmann, TDNT IX, 394), for those who confessed him as Lord.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209.
 
 
728x90
23 Now may bthe God of peace himself csanctify you completely, and may your dwhole espirit and soul and body be kept blameless at fthe coming of our Lord Jesus Christ. 24 gHe who calls you is faithful; hhe will surely do it.
b See Rom. 15:33
c Ex. 31:13; John 17:17
d 2 Pet. 3:14; Jude 1
e Luke 1:46, 47; Heb. 4:12; [1 Cor. 14:14]
f See ch. 2:19
g See 1 Cor. 1:9
h [Phil. 1:6]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5:23–24.
 
23 ◎평강의 하나님이 친히 너희를 온전히 거룩하게 하시고 또 너희의 온 영과 1)혼과 몸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강림하실 때에 흠 없게 보전되기를 원하노라
24 너희를 부르시는 이는 미쁘시니 그가 또한 이루시리라
1) 또는 목숨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5:23–24.
 
23-24절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향한 계속되는 바울의 중보기도이다. 
앞서 바울은 데살로니가전서의 전반부를 마치면서 첫번째 중보기도(3:9-13)을 드렸다. 이제 본 서신의 후반부(4:1-5:24)을 마치면서 다시금 중보기도를 드리고 있다. 
 
23절) 이 기도를 받으시는 대상은 ‘평강의 하나님’이며 바울은 두가지를 간구하고 있다. 첫번째는 ‘거룩하게 하시고’, 두번째는 ‘보전되기를 원하노라’이다. 
‘평강’이라는 의미인 ‘에이레네’는 혼돈, 염려, 두려움, 무질서, 싸움이 없는 완전한 평정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하나님의 여러 성품중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평강의 상태의 원형은 에덴에서 하나님과 아담이 완전한 교제를 나누었을 때 가능했지만 인간의 타락이후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발견할 수없는 것이 되고 말았다. 인간은 겉으로는 별문제가 없이 평강한 상태처럼 보여도 하나님이 없이는 영혼 깊은 곳에 두려움과 불안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오직 하나님으로만이 채워질 수 있는, 채워져야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을 받은 존재이기에 하나님과의 관계의 단절은 필연적으로 평강의 부재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위에서 막힌 담을 허심으로 평화, 평강을 다시금 이루셨다. 
 
‘너희를 온전히 거룩하게 하시고’, 본문에 거룩하게 하시고는 ‘하기아사이’라는 표현이다. 이것의 원형은 ‘하기아조’로 ‘거룩하게 하다, 성별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구별’과 ‘성별’의 개념을 강조하는 동사로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죄악으로부터 구별하여 성화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성화는 성도들을 향한 하나님의 뜻(살전 4:3)으로 완전한 성화는 구원의 궁극적 지향점이다.(갈 1:4; 엡 1:4-5; 벧전 2:24) 
본문에 온전히로 번역된 ‘홀로텔레이스’는 이곳에 단 한번 등장하는 표현으로 전체성과 완전성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즉 거룩하게 하시된 모든 방면에서 완전히, 완벽하게 거룩하게 하시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ἁγιάζω (hagiazō), 동사. 거룩하게 하다, 성별하다.. 미래 능동태. ἁγιάσω; 부정과거 능동태. ἡγίασα; 완료 능동태. ἡγίακα; 부정과거 능동태. ἡγιάσθη; 완료 중간태. ἡγίασται. 히브리어 등가: קדשׁ (81).
동사 용법
1. 거룩하게 되다 — 하나님께 봉헌하는 것으로 구별, 헌신되거나 도덕적 순결함을 가지다. 관련 주제: 개혁하다; 경외; 거룩함; 정결; 성화하다; 청결한; 바치다; 성화되다; 제의적 거룩함; 정결한 것과 부정한 것에 대한 규칙; 성화.
요 17:19 ἵνα ὦσιν καὶ αὐτοὶ ἡγιασμένοι ἐν ἀληθείᾳ.
고전 7:14 ἡγίασται γὰρ ὁ ἀνὴρ ὁ ἄπιστος ἐν
딤전 4:5 ἁγιάζεται γὰρ διὰ λόγου θεοῦ καὶ ἐντεύξεως.
히 2:11 ἁγιάζων καὶ οἱ ἁγιαζόμενοι
히 10:10 ἐν ᾧ θελήματι ἡγιασμένοι ἐσμὲν διὰ τῆς
2. 거룩하다 — 하나님께 봉헌되게 하다, 더 구별, 헌신하거나 도덕적으로 순수하게 되어. 관련 주제: 개혁하다; 경외; 거룩함; 정결; 성화하다; 청결한; 바치다; 성화되다; 제의적 거룩함; 정결한 것과 부정한 것에 대한 규칙; 성화.
요 17:17 ἁγίασον αὐτοὺς ἐν τῇ ἀληθείᾳ·
엡 5:26 ἵνα αὐτὴν ἁγιάσῃ καθαρίσας τῷ λουτρῷ τοῦ
살전 5:23 Αὐτὸς δὲ ὁ θεὸς τῆς εἰρήνης ἁγιάσαι
히 2:11 ἁγιάζων καὶ οἱ ἁγιαζόμενοι
벧전 3:15 κύριον δὲ τὸν Χριστὸν ἁγιάσατε ἐν ταῖς
동사. 동사
미래 능동태. 미래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완료 능동태. 완료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수동태
완료 중간태. 완료 중간태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너희 온 영과 혼과 몸이’, 신학에서 인간을 구분하는데 삼분설과 이분설의 주장이 극렬하게 대치된다. 본문은 인간의 삼분설을 지지하는 중요 구절로 이용되어왔다. 하지만 본절은 인간이 어떻게 구성되었느냐를 설명하기 위한 내용이 아니라 거듭난 성도의 전인이 흠없이 보전되기를 간구하는 표현이다. 
‘영’에 해당하는 ‘프뉴마’는 ‘성령, 영, 영혼, 심령, 생기, 바람, 마음, 귀신’등으로 다양하게 378번이나 사용된다. 하나님과 교제하는 실체로 영이란 표현이 주로 사용된다.(롬 8:16) 본문에서 ‘프뉴마’는 구원받은 인간의 심령에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흠없이 보전되어야 하는 것이다. 
 
‘혼’은 ‘프쉬케’로 신약에서 102번 이는 ‘목숨, 영혼, 생명, 사람’으로 사용되었다. ‘프뉴마’가 사람 외부의 영적 존재를 나타낼 때 쓰인것과 달리 ‘프쉬케’는 항상 사람안에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표현된다. 영이 하나님과 교제하는 기능이 강조되었다면 혼은 인간의 정신적 기능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렘 31:25; 벧전 2:11) 즉 ‘프쉬케’는 생각하고 감정을 느끼는 정신적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몸’은 ‘소마’로 142번 ‘인간의 몸, 육체, 시체’를 의미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소마’는 사람이 살아있는 동안 영혼과 결코 분리될 수 없으며 영혼이 떠난 ‘소마’는 단지 ‘시체’에 불과하다.(유 1:9) 영혼이 떠난 육체가 시체에 불과한 것처럼, 육체를 떠난 영혼 또한 온전한 인간이라고 할 수 없다. 
 
‘흠 없게 보전되기를 원하노라’, 여기서 수동태는 신적 수동태로 성도로 하여금 흠없게 보전되도록 하시는 주체는 바로 하나님이시다. 
‘흠없게’로 번역된 ‘아멤프토스’는 물질의 표면에 흠집이 없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사람에게서 책망할 요소를 찾아볼 수 없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이다.(2:10) 혹자들은 이 표현을 문자적으로 받아들여서 사람의 신체가 흠있는 상태로 죽으면 안된다고 여겼다. 하지만 이는 부활의 본질을 알지 못하는 잘못된 주장이다. 하나님은 성도의 몸이 불에 탔든, 야수에게 찢겼든, 완전히 썩었든 상관없이 그리스도의 재림때에 다시는 썩지 않을 신령한 몸으로 부활시키신다.(고전 15:42-44, 52-54) 여기서 바울은 성도가 자신의 삶에 있어서 영과 혼과 몸이 모두 책망받을 것이 없이 하나님께 받아들여지기를 간구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이 두가지 간구는 한가지로 성도의 삶이 하나님앞에서 거룩함을 통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것을 다시금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보전되기를 원한다’는 ‘테레데이에’러 원형은 ‘테레오’로 ‘지키다, 보전하다, 간직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어떤 특정한 상태, 위치, 행위를 유지한다라는 의미이다. 여기에서는 흠이 없는 상태로 유지할 것을 간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억할 것은 이것이 인간의 힘과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기에 바울은 평강의 하나님께서 친히 이를 이루실 것을 간구하고 있다. 
 
 
 
Paul’s first wish for his readers is for God to ἁγιάσαι ὑμᾶς ὁλοτελεῖς (“sanctify you completely”). The sanctification of the Thessalonians was already the last main theme in the earlier wish-prayer of 3:11–13, which, when taken with the present wish-prayer, thus forms a bracket around the parenetic material in 4:1–5:22, which has as one of its principal goals that of aiding the Thessalonians in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In fact the thought of v. 23 is clearly modeled on 3:13. 5:23 recognizes that only God can bring about complete sanctification (with Frame, 210 I understand the predicate adjective ὁλοτελεῖς, which I have translated as though it were an adverb, quantitatively not qualitatively). This is God’s will for the Thessalonians according to 4:3, but as this text suggests they a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by virtue of what they do or do not do. For this reason we must interpret the aorist optative ἁγιάσαι as embracing the whole process. Aorists used this way are common in prayers (see BDF §337.4). The living of sanctified or holy lives is directed toward the coming of Christ and the day of God’s judgment when believers will stand before God (3:13).
The second wish of the prayer repeats and expands on the first: καὶ ὁλόκληρον ὑμῶν τὸ πνεῦμα καὶ ἡ ψυχὴ καὶ τὸ σῶμα ἀμέμπτως ἐν τῇ παρουσίᾳ τοῦ κυρίου ἡμῶν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τηρηθείη (“and may your spirit and soul and body be kept complete, without blame, at the parousia of our Lord Jesus Christ”). The wording of this clause is problematic. The aorist passive optative verb τηρηθείη (“may it be kept”) has both a predicate adjective, ὁλόκληρον (“complete”), virtually identical in meaning with ὁλοτελής of the previous clause, and a predicate adverb, ἀμέμπτως (“without blame”), which has to be translated as though it were a predicate adjective. The meaning of the verb and the predicate words is not in doubt. Paul clearly wants his converts to be found complete and without fault in every aspect of their existence at the time of the public manifestation of their Lord.
The most debated problem of the verse involves the juxtaposition of “spirit and soul and body,” which appears to presuppose a tripartite view of human nature not found elsewhere in Paul, or for that matter in the rest of the NT. Jewett (Paul’s Anthropological Terms, 175–183; see also Thessalonian Correspondence, 107f.) argues that this trichotomy derived from Gnostic or Gnostic-like anthropology, taken up by enthusiasts who sought to distinguish between the divinely given spirit and the corrupt human body and soul. He further claims that Paul sought to correct this understanding by his emphasis on wholeness or unity in the human being. Several objections may be made to this view. To begin with we have no evidence for a developed Gnostic anthropology this early. More significantly, if Paul had faced the difficulty envisioned by Jewett, it seems doubtful that a wish-prayer was either an appropriate or an adequate place to attempt to correct such a problem.
BDF F. Blass and A. Debrunner,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obert W. Funk.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1961.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205–206.
 
24절) 너희를 부르시는 이는 미쁘시니 그가 또한 이루시리라
거룩함을 이루고 흠없이 보전되는 것은 바로 성도의 삶에서 지속적인 성화의 과정을 말한다. 그런데 이 성화가 가능한 이유는 바로 우리를 부르신 하나님께서 미쁘시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신실하시기에 자신이 약속하신 것을 반드시 이루실 것이다. 
바울은 여기서 하나님을 ‘너희를 부르시는 이’로 표현한다. ‘부르시는’에 해당하는 ‘칼론’은 ‘칼레오’의 현재능동태분사로 계속적 의미를 가진다. 즉 하나님께서 신앙에로 부르셨을 뿐만 아니라 성화의 여정을 완주하도록 계속해서 부르고 계시는 분이심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를 한번 부르고 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부르시는 분이시다. 
‘미쁘시니’에 해당하는 ‘피스토스’는 ‘믿음직한, 신실한’의 의미이다. 인간은 조변석개한다. 하지만 하나님은 신실하시다.(딤후 2:!3; 민 23:19) 
또한 ‘이루시리라’로 번역된 ‘포이에세이’는 행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포이에오’의 미래능동태로 능력의 하나님께서 직접 자신의 팔을 걷어붙이고 직접 앞장서셔서 일하시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는 ‘무엇을’ 이루시는가? 본문은 직접적으로 그 내용을 언급하고 있지는 않는다. 모리스는 하나님이 성도를 부르실 때 ‘합의된 모든 것’이라고 말한다. 브루스는 좀더 구체적으로 그의 백성의 영적 삶에서 시작하신 ‘성화의 일’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성도의 성화의 주체는 전적으로 하나님이시다. 그러나 이를 성도의 의지와 노력과 전혀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행하시지는 않는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그러한 기쁘신 뜻을 위하여 성도로 하여금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는 분이시다. 말하자면 성화를 이루고자 하는 뜻을 성도들에게 불어넣으시고 이로하여금 성도가 하나님의 뜻을 따라 거룩함에 이루고자 분투하게 하시는 과정에서 그 성화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도우시는 것이다. 
728x90
19 yDo not quench the Spirit. 20 Do not despise zprophecies, 21 but atest everything; hold fast what is good. 22 Abstain from every form of evil.
y [1 Cor. 14:30; Eph. 4:30; 1 Tim. 4:14; 2 Tim. 1:6]
z See 1 Cor. 11:4
a 1 John 4:1; [Job 34:4]; See Eph. 5:10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5:19–22.
 
19 성령을 소멸하지 말며
20 예언을 멸시하지 말고
21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고
22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5:19–22.
 
 
19-22절을 통해서 바울은 5가지의 명령을 하고 있다. 이중 두가지는 금지 명령이고 세가지는 정언명령이다. 
5:19–22 Paul structures the five commands into two parts: two negative commands warn against cynically rejecting Spirit-inspired prophecy (vv. 19–20), and three positive commands warn against gullibly accepting prophecy (vv. 21–22). Paul may be anticipating the problem that he later must address: an untested prophecy claiming that “the day of the Lord has come” (2 Thess 2:2). test. Paul does not here give criteria for testing prophecy, but elsewhere he provides the general standard that it should be for “the common good” (1 Cor 12:7) and should build up the church (1 Cor 14:3–5). Prophecy must also agree with apostolic teaching (2 Thess 2:2; 1 John 4:1–6) as it has been recorded in the Bible.
vv. verses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vv. verses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7.
 
19절) 성령을 소멸하지 말며
성령은 예수를 주로 고백한 그리스도인들과 함께 하신다.(고전 12:3) 이 성령은 어떤 능력, 에너지가 아니라 사람을 통해 역사하시고 탄식하시고 위로하시는 인격적인 영이시다. 본문에서 ‘소멸하다’라는 단어는 ‘스벤뉘테’로 원형은 ‘스벤튀미’이다. 이 단어의 의미는 ‘불을 끄다’라는 뜻이다. 이를 통해서 성령은 불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성령은 불과 같은 속성을 통해서 인간 내면의 죄악을 불태우고 하나님의 역사를 드러내도록 뜨거운 마음을 주신다. 그런데 성령을 꺼버린다는 것은 이런 성령의 활동을 억제한다라는 의미로 성령의 이끄심과 인도하심대로 살아가지 않고 인간의 본성을 따라 살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σβέννυμι (sbennymi), 동사. (불을) 끄다, 소멸시키다. 미래 능동태. σβέσσω; 부정과거 능동태. ἔσβεσα; 부정과거 능동태. ἐσβέσθην; 완료 중간태. ἔσβεσμαι. 히브리어 등가: כבה (10).
동사 용법
1. 끝내다 — 꺼지거나 소멸되다.
마 25:8 ὅτι αἱ λαμπάδες ἡμῶν σβέννυνται.
막 9:48 οὐ σβέννυται.
2. 불을 끄다 — 불이나 화염을 끄다. 의미상 반의어: 켜다 (불). 관련 주제: 끄다.
마 12:20 τυφόμενον οὐ σβέσει, ἕως
막 9:44 πῦρ οὐ σβέννυται
막 9:46 πῦρ οὐ σβέννυται
엡 6:16 πονηροῦ πεπυρωμένα σβέσαι·
히 11:34 ἔσβεσαν δύναμιν πυρός,
3. 끄다 ⇔ 냉각하다 — 억누르다, 불이나 불꽃을 꺼버린다는 의미로. 관련 주제: 끄다.
살전 5:19 τὸ πνεῦμα μὴ σβέννυτε,
칠십인역 참조 구절
레 6:12; 삼하 14:7; 삼하 21:17; 잠 10:7; 잠 13:9; 아 8:7; 욥 4:10; 욥 21:17; 사 42:3; 사 66:24; 3마카 6:34
동사. 동사
미래 능동태. 미래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수동태
완료 중간태. 완료 중간태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성령의 불을 꺼뜨리는 삶은 성령의 역사와 지배를 거부하는 삶을 의미한다. 이 성령을 소멸하는 방식은 20절절에서 구체화된다. 
 
20절) 예언을 멸시하지 말고
예언으로 번역된 ‘프로페테이아스’의 원형 ‘프로페테이아’는 히브리어 ‘네부아’와 같은 단어이다. 히브리어 ‘네부아’는 ‘나바’에서 유래했는데 ‘나바’는 ‘거룸이 부글부글 끓어오르다, 대신해서 말하다’라는 의미이다. 이에 ‘예언자’를 지칭하는 히브리어 ‘나비’는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말씀을 대신해서 말하는 자, 그 마음속에서부터 하나님의 말씀을 전해야만 한다는 부담감이 부글부글 끓어 올라 전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사람을 의미한다.(렘 20:9) 여기에서 말하는 예언은 미래에 발생할 일을 앞서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말씀을 전하는 행위를 말한다. 
본문에 ‘멸시하다’라는 의미로 번역된 ‘엑수데네이테’의 원형 ‘엑수데네오’는 ‘~로부터’의 의미인 ‘에크’와 ‘아무것도 아닌’ 이란 뜻의 형용사 ‘우데이스’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여기다’라는 의미로 ‘업신여기다, 몹시 얕보다, 무시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한마디로 본문은 예언을 아무것도 아닌 것을 여겨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 말라라는 의미아다. 고린도 교회에서는 예언을 너무 중시 여겼다면 데살로니가 교회에서는 예언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것으로 보인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말씀을 통해서 교회를 세우신다. 그런데 이를 멸시하는 행위는 성령의 활동을 멸시하는 죄를 짓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예언을 멸시한다는 것은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을 거부하는 행위일 것이다. 
 
21절)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라. 
범사에 헤아려(판타 데 도키마제테) 직역하면 ‘모든 것을 시험하여 입증하라’라는 의미이다. 21절은 두개의 명령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앞서 20절과 연결시킨다면 예언을 받아들일 때에도 반드시 헤아려 보고 좋은 것을 취하라는 의미이다. 
‘판타’는 모든 것을 의미하는데 특히 문맥속에서 성령의 은사, 특히 예언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헤아리다’라는 의미로 쓰인 ‘도키마제테’의 원형 ‘도키마조’는 원래 금이나 은을 용광로에 넣어 그 진위를 확인해 보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로 ‘시험하다. 검증하다. 입증하다’라는 의미이다.(롬 14:22; 고전 3:13; 고후 8:8; 벧전 1:7) 본문에서는 현제 명령형으로 사용되었는데, 예언의 은사를 받아 말하는 자들의 내용이 정말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인지, 악한 영에게서 온것인지(요일 4:1) 아니면 자신의 욕망을 좇아서 온 것인지 분별하라는 명령이다. 영적 은사나, 예언을 판단함에 있어서 ‘도키마조’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기준, 시금석이 필요한데 이는 첫째 예수를 주로 시인하느냐(고전 12:3), 둘째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시인하느냐하는 것이다. 당시 가현설(예수 그리스도가 육체가 아닌 영으로만 임했다는 주장)을 주장하는 이들이 많았다. 
구약에서도 모세는 거짓 선지자의 예언과 참 선지자의 예언을 판별하는 기준을 제시했다. 첫째 여호와의 이름을 빙자하여 예언했다 할지라도 그 예언이 실현되지 않으면 이는 거짓 선지자가 방자히 말한 것이다.(신 18:22) 둘째 예언이나 이적이 말 그대로 성취된다 할지라도 그 예언한 자가 성도들을 하나님에 대한 신앙에서 떠나게 하는 자라면 그는 거짓 선지자이다.(신 13:1-5) 
 
좋은 것을 취하고, 이를 직역하면 ‘좋은 것을 굳게 붙잡아라’라는 의미이다. 취하다라는 표현은 ‘카테케테’로 이것의 원형 ‘카테코’는 강조의 의미의 접두어인 ‘카타’와 ‘가지다, 차지하다’라는 의미의 ‘에코’의 합성어로 확고하게 붙들고 견고히 지킨다라는 의미이다.)고전 15:2; 히 10:23) 여기에서 좋은 것은 ‘칼로스’로 이는 ‘좋은, 아름다운,  착한, 더 나은, 어울리는’의 의미이다. 문맥속에서 본다면 하나님께로부터 왔다고 확인된 영적 은사나 말씀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하나님께로부터 온 좋은 것으로 판별되었다면 이를 확실하게 붙잡아야 하는 것이다. 
 
22절)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
앞서 헤라려서 좋은 것은 취하여야하지만 반대로 헤아려서 악한 것은 어떤 모양이라도 취해서는 안되고 버려야만 한다. ‘아포’는 ‘~로부터’를 의미하는 분리와 구별의 전치사이다. ‘버리라’로 번역된 ‘아페케스테’의 원형 ‘아페코’는 ‘멀다, 삼가다, 끊다’의 의미로 본문을 직역하자면 ‘모든 형태의 악으로부터 스스로를 삼가라’이다. 
‘악’에 해당하는 ‘포네루’의 원형은 ‘포네로스’로 파괴적이고 사악하고 나쁜 것을 의미한다. 본문의 문맥속에서 악은 하나님의 진리를 왜곡하는 것, 즉 거짓 예언으로 사람들을 미혹하는 것이다. 악한 죄는 전파력이 강하다. 따라서 악의  작은 부분을 허용하게 되면 그것이 우리의 삶, 공동체안에 들어와 영향력을 끼치기 시작하게 되고 심각해지면 그것에서 자유롭게 되기 어렵게 만든다. 적은 누룩이 온 덩이에 퍼지는 것처럼 잘못 받아들인 거짓 예언은 빠른 속도로 퍼져나가 우리의 삶을 오염시킨다. 
 
 
 
 
 
 
 
 
 
 
 
 
728x90
16 vRejoice always, 17 wpray without ceasing, 18 xgive thanks in all circumstances; for this is the will of God in Christ Jesus for you. 19 yDo not quench the Spirit. 20 Do not despise zprophecies, 21 but atest everything; hold fast what is good. 22 Abstain from every form of evil.
v Phil. 4:4
w See Luke 18:1
x See Eph. 5:20
y [1 Cor. 14:30; Eph. 4:30; 1 Tim. 4:14; 2 Tim. 1:6]
z See 1 Cor. 11:4
a 1 John 4:1; [Job 34:4]; See Eph. 5:10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5:16–22.
 
16 항상 기뻐하라
17 쉬지 말고 기도하라
18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19 성령을 소멸하지 말며
20 예언을 멸시하지 말고
21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고
22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5:16–22.
 
 
16절) 항살 기뻐하라. ‘판토테 카이레테’ 
기쁨은 구원받은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 본질적인 표식이다. 본문의 ‘카이레테’는 ‘카이로’의 현재 능동태 명령법에 해당하는 표현이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 기뻐하라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에 해당하는 명령이다. 
Rejoice always. Joy in Paul’s letters is a basic mark of the Christian (Rom. 14:17) and a fruit of the Spirit (Gal. 5:22). It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firm hope of the Christian (e.g., Rom. 5:2–5; 12:12).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11.
 
 
χαίρω (chairō), 동사. 기뻐하다, 즐거워 하다. 미래 능동태. χαϛρῶ; 완료 능동태. κεχάρηκα; 부정과거 능동태. Ἐχάρην; 완료 중간태. κεχάρημαι. 히브리어 등가: גיל (5), שׂמח (5), שָׁלוֹם (2).
동사 용법
1. 기뻐하다 (느낌) — 행복이나 기쁨을 느끼다. 관련 주제: 갈망; 열정; 운동 경기; 기쁨이 있다; 연약함; 기쁨; 기쁨; 행복.
빌 1:18 ἐν τούτῳ χαίρω·
빌 2:17 πίστεως ὑμῶν, χαίρω καὶ
살전 3:9 χαρᾷ ᾗ χαίρομεν διʼ
벧전 4:13 καθὸ κοινωνεῖτε τοῖς τοῦ Χριστοῦ παθήμασιν χαίρετε,
요이 4 Ἐχάρην λίαν ὅτι εὕρηκα ἐκ τῶν τέκνων
2. 만세하다 (인사) — 건강과 행복의 소망을 담아 인사하다 (진심이거나 형식이거나 간에).
마 28:9 καὶ ἰδοὺ Ἰησοῦς ὑπήντησεν αὐταῖς λέγων· Χαίρετε·
눅 1:28 Χαῖρε, κεχαριτωμένη, ὁ κύριος μετὰ σοῦ.
행 15:23 ἐξ ἐθνῶν χαίρειν.
약 1:1 τῇ διασπορᾷ χαίρειν.
요이 10 καὶ χαίρειν αὐτῷ μὴ λέγετε·
동사. 동사
미래 능동태. 미래 능동태
완료 능동태. 완료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수동태
완료 중간태. 완료 중간태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So far in this section Paul’s exhortation has been directed to matters of responsible behavior in interpersonal relations inside and even outside the community. In vv. 16–22 he turns to the readers’ religious duties. Each of the three actions that he commands in vv. 16–18 either has its source in God, as in the case of the first one, or is directed toward God, as in the case of the last two.
He first instructs his readers, πάντοτε χαίρετε (“rejoice always”). This is an integral part of Christian living, as other Pauline texts such as Gal. 5:22 and Phil. 4:4 reveal. The subject of joy or rejoicing has come up in 1 Thessalonians several times already. In 1:6 we read how the Thessalonians “received the word in much tribulation with the joy of the Holy Spirit.” There the Spirit is portrayed as the source of their joy, and as I suggested in my discussion of that verse, their joy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ir confidence in future salvation and vindication as part of the community of God’s people. In 3:9 Paul asks the rhetorical question, “What thanks are we able to give to God concerning you for all the joy with which we rejoice on account of you before our God” (cf. 2:20). Paul’s rejoicing is grounded in his knowledge of God’s working among the Thessalonians and is directed toward God. Although Paul does not spell out the source or basis of Christian joy in 5:16, the instruction to “rejoice always” derives its meaning from the earlier passages in the letter. To rejoice always is to see the hand of God in whatever is happening and to remain certain of God’s future salvation. Without such conviction joy would not be possible in the face of affliction, suffering, and death.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99–200.
 
17절) 쉬지말고 기도하라. ‘아디알레입토스 프로세우케스테
기도는 하나님과의 대화이며 성도들에게 있어서 영적 호흡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하나님과의 관계, 교제에 대한 성도들의 자세에 해당하는 말씀이다. 
‘프로세우코마이’는 기도하다, 간구하다라는 의미이다. 
‘아디알레입토스’는 '쉬지 않고, 끊임 없이, 멈추지 않고'의 의미이다. 
 
Not surprisingly Paul wished his converts to be people of prayer. He himself was devoted to prayer as a fundamental activity in his life (cf. 1:2f.; 2 Thes. 1:11; Rom. 1:10; Col. 1:3, 9). In several of his letters he instructs his readers to devote themselves to prayer (cf. 5:25; 2 Thes. 3:1; Rom. 12:12; Phil. 4:6; Col. 4:2, 3). Undoubtedly he believed it was the Christian’s duty to engage in prayer regularly. Since the next injunction concerns giving thanks, which is an integral part of Christian prayer (cf. 1:2f.), when Paul writes ἀδιαλείπτως προσεύχεσθε (“pray without ceasing”), he may well have in mind intercessory prayer (cf. 5:25), though the term is actually a general one for prayer. Obviously he does not mean this to be taken literally, but he does expect his converts to remember continually to pray for their own needs and the needs of others. This was presumably to be done both privately and in the corporate prayers of the church.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200.
 
18절) 범사에 감사하라. ‘엔 판티 유카리스테이테
‘엔 판티’는 항상(at all times) 이라는 의미와 범사에, 모든 상황에서(in every situation)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본문의 감사하다라는 표현인 ‘유카리스테오’는 누군가에게 감사를 표현하거나 감사를 보여주는 것이 주된 의미(37/39)이고 부차적인 의미로 받은 친절 때문에 감사의 느낌으로 감동을 받고 그것을 인정할 준비가 되어있다라는 의미를 가진다(2/39)
 
이어서 18절 하반절은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라고 말한다. 앞서 4:3에서 하나님의 뜻은 ‘거룩함’이라고 했는데 본문에서는 16-18절을 통해서 기뻐하고 기도하고 감사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앞서 바울은 이미 1:2과 2:13을 통해서 감사에 대한 교훈을 했다. 
 
Paul’s third injunction, ἐν παντὶ εὐχαριστεῖτε (“give thanks …”), requires the interpreter to decide whether ἐν παντί is temporal (“at all times”) or expresses the circumstance (“in every situation”) in which thanksgiving should be made to God. In favor of the former is that temporal adverbs qualify the previous two instructions and that in 1:2 and 2:13 Paul employs temporal adverbs with εὐχαριστοῦμεν (“we give thanks”). Against it is that temporal use of ἐν παντί does not seem to occur elsewhere in Paul (Best, 236). While the temporal understanding is to be favored slightly, the sense of what Paul is saying is not appreciably affected. To thank God at all times is to see God working in every situation to bring about the divine saving will. This is not to say that God causes suffering and affliction, but to acknowledge, as Paul does in Rom. 8:28, that God works for the good of the elect through every situation. For this reason the Christian is obliged to give thanks to God at all times.
Paul concludes the three commands of vv. 16–18 with the motivational observation, τοῦτο γὰρ θέλημα θεοῦ ἐν Χριστῷ Ἰησοῦ εἰς ὑμᾶς (“for this is the will of God in Christ Jesus for you”). There is no good reason for limiting this statement to only the last of the three injunctions. The parallel imperatival form of all three indicates an equal stress on each one. It would be indeed peculiar if Paul thought only giving thanks was the will of God, but not rejoicing and especially praying. Somewhat surprisingly Paul almost never grounds either ethical or what we might call spiritual behavior in the will of God (cf. 4:3, the only other instance). That he does so here places a very strong warrant on the behavior commanded by him. This in turn indicates how much importance he places on it for his converts. For Paul praise, intercession, and thanksgiving were not optional for the Christian, but were required just as much as proper ethical conduct.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200–201.
728x90
14 And we urge you, brothers, admonish pthe idle,3 qencourage the fainthearted, rhelp the weak, sbe patient with them all. 15 See that tno one repays anyone evil for evil, but always useek to do good to one another and to everyone.
p 2 Thess. 3:6, 7, 11
3 Or disorderly, or undisciplined
q Isa. 35:4; [Heb. 12:12]
r Acts 20:35; See Rom. 15:1
s See 1 Cor. 13:4
t 1 Pet. 3:9; See Rom. 12:17
u [Rom. 12:9]; See Gal. 6:10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5:14–15.
 
데살로니가전서 5:14–15
14또 형제들아 너희를 권면하노니 게으른 자들을 권계하며 마음이 약한 자들을 격려하고 힘이 없는 자들을 붙들어 주며 모든 사람에게 오래 참으라
15삼가 누가 누구에게든지 악으로 악을 갚지 말게 하고 서로 대하든지 모든 사람을 대하든지 항상 선을 따르라
 
14절) '게으른 자들을 권계하며’, 본문의 게으른으로 번역된 헬라어는 ‘아탁투스’로 이 원형인 ‘아탁토스’는 부정접두사 ‘아’와 ‘배열하다, 배치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탓소’의 합성어이다. 그래서 원어의 의미는 '대열을 벗어난, 이탈한’이라는 의미로 행군중 대열에서 이탈하여 낙오한 병사를 가리키는 단어인데 이들이 대열에서 벗어난 것은 체력의 문제가 아니라 규율에 대한 반항과 게으름 때문이다. 본문에서는 ‘무질서한, 규율이 없는’의 의미의 형용사형으로 신약성경에서 해당 본문에서만 한번 이 단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 표현이 부사로 사용된 곳은 2곳(살후 3:6. 11)이다. 
 
교회의 질서를 무시하고 규율에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사람들, 전통을 따르지 않고 게을러 일하기를 싫어하고 문제를 만들기만 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이런 이들을 권계하라고 권면하고 있다. 
‘권계하며’라고 번역된 ‘누데테이테’는 ‘누테테오’의 현재 명령형이다. 앞서 12절에서 리더의 중요한 역할 중에 하나가 ‘권하는’일이었는데 이와 같은 표현이다. 
 
‘마음이 약한 자들을 격려하고’, ‘마음이 약한’으로 번역된 ‘올리곱쉬코스’는 ‘규모가 작은’을 의미하는 ‘올리고스’와 ‘영혼, 마음’을 뜻하는 ‘프쉬케’의 합성어로 ‘마음이 작은, 용기없는 심약한’이라는 의미이다. 이것의 반대말은 ‘메갈롭쉬코스’로 ‘기가 센, 자기 충족적인, 확신이 넘치는’의 의미를 가진다. 이들이 마음이 약한 이유는 박해(살전 3:3-4)나 주의 재림때에 죽은 자들에 대한 생각때문(4:13~5:11)이었다. 결국 이러한 박해나 재림에 대한 온전한 소망없음으로 인해서 마음이 약해진 이들을 격려할 것을 권면하고 있는 것이다. 박해나 재림에 대한 두려움을 이길 수 있는 것은 부활에 대한 소망과 확신이다. 주님의 부활을 목도하기전 제자들은 두려움에 떨었지만 부활하신 주님을 만나고 나서 제자들은 담대하게 복음을 전하며 모두가 순교의 길을 갔다. 바울도 주님을 따르는 이들을 박해하다가 부활하신 주님을 만나자 이전에 추구하던 모든 것을 배설물로 여기고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온전히 헌신했다. 마음이 약한 자들을 격려하기 위해서는 이를 온전히 알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의 격려하다라는 표현은 ‘파라뮈데오마이’로 위로하고 확신의 말로 용기를 북돋워주는 것을 의미한다. 
 
‘힘이 없는 자들을 붙들어 주며’, ‘힘이 없는’으로 번역된 ‘아스데논’의 원형은 ‘아스데네스’로 부정어 ‘아’와 ‘힘셈’아리는 의미를 지닌 ‘스데노스’의 합성어로 육체와 정신과 영혼이 연약한 모든 것을 일컫는 말이다. 본문에서는 단지 육체적으로 힘이 없는 상태라기 보다는 영적으로 연약한 자들로 여러가지 어려움과 유혹에 넘어지기 쉬운 이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힘 없는 자들은 외부의 충격에 쉽게 넘어지게 된다.(노약자) 이런 이들을 붙들어주라는 것이다. 
‘붙들어 주며’에 해당하는 ‘안테케스데’의 원형’안테코’는 ‘헌신하다, 참석하다, 지키다, 붙들다’라는 의미를 지닌다.(마 6:24; 눅 16:13; 딛 1:9) 이 세상은 약육강식의 원리가 작동한다. 힘 있는 자가 힘 없는 자를 압제하고 빼앗는 것이 당연한 세상가운데서 교회는 이에 대한 대안 문화로서 연약한 자들을 붙들어 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바로 주님께서 그렇게 우리가 연약할 때에 우리를 대신하여 죽으셨기 때문이다.(롬 5:6) 그렇게 주님께서는 본을 보이셨고 이 본을 따르며 실천하며 사는 공동체로 당신의 교회를 세우셨다. 
 
‘모든 사람에게 오래 참으라’, ‘오래 참으라’로 번역된 ‘마크로뒤메이테’의 원형 ‘마크로뒤메오’는 불행과 고생과 같은 어려운 상황중에도 끈기 있고 용기 있게 참는 것, 복수할 일에 대해서도 온화하게 참아주는 것(마 18:28, 벧후 3:9)을 의미한다. 특히 멸망받을 죄인에 대해서 속히 진노하여 징계하지 않으시고 오래 참으시는 하나님의 속성을 나타낼때 자주 사용되는 단어이다.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해서 ‘오래 참으심’은 힘이 없어서나 죄를 미워하지 않으시거나 징계하실줄 몰라서가 아니다. 비록 죄인이지만 그들로 하여금 멸망의 길에서 돌이켜 회개하고 구원받기를 원하시는 그분의 사랑에 기인한 것이다. 
 
 
또한 고전 13:4에서 말하는대로 사랑의 속성은 바로 ‘오래 참음’이다. 이처럼 하나님의 오래 참으심을 본받아 우리들을 향해서도 모든 사람에게 대하여 오래 참으라고 말한다. 여기에서 모든 사람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 공동체 안에 있는 그리스도인들뿐만 아니라 내가 불편해 하는 더욱 나아가 나에게 해를 끼치는 이들에 대해서도 사랑으로써 참아주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서 그 영혼을 얻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택하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오래참음으로 옷을 입는 것은 필수적이다.(골 3:12) 
 
5:14 The introductory formula “we exhort you, brothers [and sisters]” marks v. 14 as introducing a new topic. The formula is reproduced from v. 12 except that the synonymous term παρακαλοῦμεν is substituted for ἐρωτῶμεν. With Findlay (124) and others, it is tempting to see v. 14 as addressed to the leaders of the community because νουθετεῖν (“to admonish”) was used in v. 12 of the leadership function and in this verse Paul instructs those who are addressed to “admonish.” Against this is the fact that nothing in the text itself hints that any particular group is being spoken to (cf. Best, 229). As Holmberg (Paul and Power, 117f.) recognizes, although the whole church is addressed in v. 14 (cf. 4:18; 5:11), Paul does differentiate functions within the community, as 5:12f. and 1 Cor. 16:15f. show, and therefore some were more responsible than others for the sorts of actions Paul calls for in v. 14.
First Paul urges his readers: νουθετεῖτε τοὺς ἀτάκτους (“admonish the idle”). ἀτάκτους has two possible meanings, either of which is appropriate to the context. The original denotation of the word concerned undisciplined or disorderly actions or persons, but in papyri from the Hellenistic period it is used of idle or lazy individuals as well. If we accept the Pauline authorship of 2 Thessalonians, then the latter meaning is the more likely here. The verb ἠτακτήσαμεν (“we were not idle”) occurs in 2 Thes. 3:7 and the adverb ἀτάκτως appears in 3:6 and 11. While both meanings might fit for 2 Thes. 3:6, in 3:7 and 11 the concern is clearly idle behavior,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same is true of 3:6 as well. When this is coupled with the reminder in 1 Thes. 4:11 that the Thessalonians should work with their own hands, a strong case appears for understanding ἀτάκτους in 1 Thes. 5:14 as those who were idle or lazy. Nevertheless,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laziness and disorderly behavior should not be ignored. In 4:11 not only does Paul call for people to work with their hands, but he also exhorts them to aspire to live quietly and mind their own business. The same point applies in 2 Thes. 3:11, where Paul says, “For we hear some among you are living idly, not working, but being busybodies.” He goes on to order such people to work quietly (μετὰ ἡσυχίας), an obvious verbal link with the exhortation in 1 Thes. 4:11 “to aspire to live quietly” (φιλοτιμεῖσθαι ἡσυχάζειν).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hortation to admonish the idle in v. 14 and 2 Thes. 3:6–15 has significance in another important way. The instruction to admonish the idle in 1 Thes. 5:14 reads like a reminder to do something the community has previously been instructed to do (see 4:11). In 2 Thes. 3:10f., on the other hand, it looks as though Paul has only just heard of the problem of the idle, and in fact it would appear that the emerging problem of indolence wa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2 Thessalonians was written in the first place. The apparent relation between 2 Thes. 3:6–15, which treats the problem of the idle as a new one, and 1 Thes. 5:14, which treats it as an existing problem, favors my view that 2 Thessalonians was written before 1 Thessalonians.
Paul also urges his readers in v. 14: παραμυθεῖσθε τοὺς ὀλιγοψύχους (“encourage the faint-hearted”). The verb παραμυθεῖσθε can be used in the general sense of “to encourage” (cf. 2:12) or in the more specific sense of “to console” or “to comfort” in the face of death or a tragic event. The adjective ὀλιγοψύχους is rather indefinite in meaning and could apply to worry, fear, or discouragement, according to Best (230). Paul could have in mind those who were shaken by the persecutions experienced by the community (cf. 2:14) or those who had doubts and anxiety regarding various aspects of the parousia (cf. 4:13–5:10). Obviously, Paul was concerned for any who struggled with worry or doubt regarding their new faith, or feared rejection or persecution because of it. Such people, Paul recognized, needed encouragement from the stronger and more confident members of the community to enable them to persevere.
The same sort of imprecision also characterizes the next exhortation. Paul summons his readers to a third task: ἀντέχεσθε τῶν ἀσθενῶν (“help the weak”). Best (230f.) suggests that “the weak” are to be understood as Christians who sought guidelines on how to indicate their rejection of paganism. He bases his view on such texts as 1 Corinthians 8 and 10 and Rom. 14:1–15:6. Marshall (151) argues that Paul has in mind those who are susceptible to temptation and sin, on the strength of passages like Rom. 4:19; 5:6; 8:3, 26; 1 Cor. 2:3; and 2 Cor. 12:5, 9f. Linguistically it could also refer to the physically weak or to the economically needy. This latter deserves some consideration since προϊσταμένους (“those who care for”) from v. 12 might allude to caring for the needy. Perhaps Paul left these exhortations intentionally vague knowing that his readers would recognize whom he was speaking about and then try to meet whatever their particular needs were, a view Best (231f.) appears to have some sympathy for. If this is what Paul was attempting to do, he sought to give the whole community a sense of pastoral responsibility.
The final charge, μακροθυμεῖτε πρὸς πάντας (“be patient toward everyone”), is probably intended to enjoin patience on those who admonish, encourage, and help fellow Christians. Patience is an important virtue for the Christian according to Paul (Gal. 5:22) and is in fact a manifestation of love (1 Cor. 13:4). The need for patience in dealing with the sorts of people Paul has in mind in v. 14 is obvious since such people often become irritating and burdensome to those who seek to care for them.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96–198.
 
15절) ‘삼가 누가 누구에게든지 악으로 악을 갚지 말게 하고’, ‘갚다’라는 의미로 번역된 ‘아포도’의 원형 ‘아포디도미’는 ‘~로부터, ~때문에’라는 의미의 전치사 ‘아포’와 ‘주다’라는 뜻의 동사 ‘디도미’의 합성어로 받은 만큼 충분하게 되돌려 주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이는 어떤 받을 자격이 있는 바에 따라 보상하거나 처벌하는 것을 의미한다. 
누군가 나에게 해를 끼치고 악을 행했을때 그것에 보응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동일 보복의 원리에 해당된다. 하지만 주님께서는 이를 승화시키셔서 원수까지도 사랑하고, 왼쪽 뺨을 때리면 오른쪽 뺨을 내주라고 말씀하셨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십자가 위해서 자신을 죽이는 이들을 용서하셨다. 이러한 주님의 사랑의 원리를 따라 살아가는 이들이 바로 그리스도인들이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동족들로부터 극심한 핍박을 받았다.(2:14) 그래서 인간적인 복수를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바울은 그러한 복수에 대한 금지를 명하고 있는 것이다. 
본문에서 악은 ‘카코스’로 도덕적으로 부당한 행동을 의미하며, 선은 ‘아가토스’로 도덕적 탁월함이나 우수성을 의미한다. 
 
‘서로 대하든지 모든 사람을 대하든지 항상 선을 따르라’, 이제 마지막 여섯번째 권면은 악으로 악을 갚지 말라는 소극적인 명령이 아니라 더욱 나아가 적극적으로 선을 행할 것을 명령하고 있다. 
‘따르라’로 번역된 ‘디오케테’는 사냥개가 사냥감을 추적하는 것과 같이 필사적으로 추구하라는 의미이다. 그냥 '착하게 살라’ 정도가 아니라 악으로 우리를 위협하고 대적하는 이들을 향해서 선한 것으로 갚으라는 의미인 것이다. 
 
유대교 전통은 선민 사상에 입각해서 유대인과 이방인을 나누고 구분하는 입장에 서있다. 그런 면에서 모든 사람에 대해서 선을 행하라는 명령이 그들에게는 불편해 보인다. 하지만 기독교는 끊임없이 이 부분을 강조한다. 
 
5:15 A tendency exists among commentators to link the negative and positive statements of this verse with the general injunction at the end of v. 14 calling for patience toward everyone (cf. Frame, 198f.; Best, 233; Marshall, 152). This is unnecessary. Paul is merely presenting a series of exhortations loosely connected by the fact that they prescribe (or in v. 15a, proscribe) certain types of conduct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These exhortations are intended to encourage the cohesion of the community. Only within a stable community could the plausibility of people’s faith and commitment be maintained. As Berger (Social Reality, 55) has pointed out, “The reality of the Christian world depends upon the presence of social structures within which this reality is taken for granted.…” By his exhortations in 1 Thessalonians Paul sought to shape the Christian community into a stable environment in order to ensure that Christianity would remain real to his converts.
In v. 15 the exhortation takes the form of an aphorism with general applicability for regulating relation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ommunity, as εἰς ἀλλήλους καὶ εἰς πάντας (“toward one another and toward everyone”) at the end of the verse demonstrates. The whole sentence, ὁρᾶτε μή τις κακὸν ἀντὶ κακοῦ τινι ἀποδῷ, ἀλλὰ πάντοτε τὸ ἀγαθὸν διώκετε [καὶ] εἰς ἀλλήλους καὶ εἰς πάντας (“See that no one returns evil for evil, but always pursue what is good toward one another and toward everyone”), contains several unusual features. First, it is the only instance of Paul using ὁρᾶτε (“see”) as a parenetic verb. Second, a shift occurs from second person ὁρᾶτε to the indefinite pronoun τις, the subject of the negated aorist subjunctive verb ἀποδῷ (“returns”), which itself has the force of an imperative. The indefiniteness of the subject in the negative statement after the definiteness of the second person plural ὁρᾶτε and the shift back to the second person plural in the second half of the verse suggest that Paul is quoting an aphorism.
The proscription of retaliation has its roots in the sapiential tradition of Judaism that rejected the lex talionis of Israelite religion (cf. Pr. 20:22; Sir. 28:1–7). But Paul does not merely forbid any form of retaliation, he goes on by way of contrast to say, “but pursue what is good toward one another and everyone.” This further imperative gives the impression that Paul believed in and inculcated an unqualified selflessness on the part of Christians. Such an impression stands in tension with other statements in Paul where an underlying motive is mentioned that undermines the high moral tone of v. 15b. In Rom. 12:17–21 Paul expresses the same thought as in 1 Thes. 5:15 when he urges: “Repay no one evil for evil, but have regard for what is noble in the eyes of everyone.” He then motivates this on the grounds that God’s wrath will exact retribution in the judgment so that it is unnecessary for Christians to avenge themselves in the here and now. The same idea of God’s judgment as revenge is to be found in 2 Thes. 1:6, where Paul declares that God will afflict in turn those who afflict the Thessalonians at the time of the judgment.
While Christianity was a tremendous force for what we today would call the humanizing of its world and the humanizing of relations between people, its roots in the apocalyptic tradition of Judaism also carried with it the seeds of a “loveless Christianity” toward those who were outsiders. Paul himself, whe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reflects that tension, and when 1 Thes. 5:15 is read alongside 2:14–16 and 2 Thessalonians 1 it is clear that the tension existed in his teaching to the Thessalonians. Nevertheless, in 1 Thes. 5:15 the apostle demands an unqualified concern on the part of all his readers for the well-being of both those within and outside the community without offering either negative or positive motivation. For this reason it seems likely that Paul is reiterating here what he had previously taught the Thessalonians. Whatever may have been his explicit motivation, the underlying motives probably reflect his desire to foster solidarity in the community and to encourage the sort of behavior toward those outside that might lead to their conversion and inclusion in it, even among those who had been responsible for afflicting the community at an earlier stage.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98–199.
 
형제들을 위한 권면
1) 게으른 자들을 권계하라
2) 마음이 약한 자들을 격려하라.
3) 힘이 없는 자들을 붙들어주라. 
4) 모든 사람에게 오래 참으라.
5) 누구에게든지 악으로 악을 갚지 말라. 
6) 항상 선을 따르라. 
 
 
728x90
12 We ask you, brothers, mto respect those who labor among you and nare over you in the Lord and admonish you, 13 and to esteem them very highly in love because of their work. oBe at peace among yourselves.
m 1 Cor. 16:18; Phil. 2:29
n 1 Cor. 16:16; Heb. 13:17
o See Mark 9:50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5:12–13.
 
12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에게 구하노니 너희 가운데서 수고하고 주 안에서 너희를 다스리며 권하는 자들을 너희가 알고
13 그들의 역사로 말미암아 사랑 안에서 가장 귀히 여기며 너희끼리 화목하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5:12–13.
 
12-22절까지 바울은 종말의식을 가진 성도들로 어떤 자세로 살아가야할지를 권면하고 있다. 먼저 12-13절에서는 교회 지도자들에 대한 성도들의 존경과 사랑을 요청한다. 
 
12절) 다시금 바울은 ‘아델포이’,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향해서 형제들이라고 부르면서 구하고 있다. ‘우리가 구한다’라는 표현은 ‘에로토멘’으로 원형 ‘에로타오’는 ‘묻다, 요청하다, 요구하다’라는 의미이다. 이는 현재 직설법 1인칭 복수로 사용되었는데 위압적이거나 강제적인 명령이 아니라 부드러운 요청조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이 요청하는 두가지 내용은 ‘너희가 알고’, ‘귀히 여기라’는 것이다. 
 
‘너희 가운데 수고하고 주안에서 너희를 다스리며 권하는 자들을 알라’, 본문은 세 개의 현재분사가 등위 접속사로 연결되어 있다. 이 수고하고 다스리며 권하는 이들이 바로 교회의 지도자들, 리더들인데 이들은 서로 다른 부류의 사람이 아니라 동일한 부류의 사람인 것이다. 수고하는 사람, 다스리는 사람, 권하는 사람이 각각의 사람이 아니라 교회의 리더, 지도자들로 이들이 마땅히 감당해야하는 역할들이었다. 
Rather, as in v. 12, Paul calls on the community to recognize as their leaders precisely those people who functioned in such a way as to toil for them, to protect and care for them physically and materially, and to direct them ethically.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93.
 
아마도 이 리더들은 바울이 직접 교회의 지도자로 세운 이들은 아니었을 것이다. 바울은 불과 3주에서 2-3달 정도 데살로니가에 머물며 그들과 함께 했기에 이후 바울이 핍박을 피해 떠난 이후에 교회안에서 성도들 사이에서 세워진 리더들이었을 것이다. 신생 교회였는데 당시 시한부 종말론으로 인한 문제가 교회안에 있었기에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더들이 역할을 했지만, 이 리더십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에 바울이 지금 성도들을 향해서 이런 요청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바울이 12-13절을 통해서 말하는 리더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는 수고하는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코피온타스’의 원형 ‘코피아오’는 원래 ‘피곤한 노동을 하거나 극도로 지치게 노동하다’라는 의미의 동사이다. 실제로 리더들은 지시하고 뒷짐을 지고 있지 않았고 지치도록 헌신적으로 노력했음을 보여준다. 
두번째는 다스리는 것이다. ‘프로이스타메누스’의 원형 ‘프로이스테미’는 ‘앞에’라는 뜻의 전치사 ‘프로’와 ‘서다, 세우다’라는 뜻의 동사 ‘히스테미’의 합성어로 ‘앞장서다, 진두에 서다’라는 뜻을 가진다. 
세번째는 권하는 것이다. ‘누쎄툰타스’의 원형 ‘누쎄테오’는 ‘마음, 정신’을 의미하는 ‘누스’와 ‘놓다, 두다’를 의미하는 ‘티테미’의 합성어로 ‘마음속에 놓다’라는 의미인데 여기에서 훈계하다(행 20:31)라는 의미로 발전하였다. 
이처럼 지도자, 리더는 수고하고 다스리며(솔선수범하고) 권하는 자들이다. 
 
‘너희가 알고’, 알다라는 표현은 ‘오이다’인데 이는 ‘알다, 깨닫다’라는 의미로 어떤 사실이나 지식을 가지는 것,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ESV는 이를 acknowledge로, NIV는 respect로 번역했다. 단순히 리더들이 얼마나 수고하며 섬기는 지를 지적으로 알라는 의미라기보다는 실제로 그들의 수고를 눈으로 보고 그 가치를 인정해주고 이를 알기에 그들을 존경하라는 의미이다. 실제로 '부모의 수고를 알아주라’라고 말할 때 부모가 자녀들을 위해서 어떤 일을 하는 지를 지식적으로 아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인정하고 존경하라는 의미이다. 
 
οἶδα (oida), 동사. 알다, 깨닫다. 미래 능동태. εἰδήσει; 부정과거 능동태. εἴδον; 완료 능동태. οἶδα. 히브리어 등가: ידע (107). 아람어 등가: אֲנָה (1).
동사 용법
1. 알다 (인지) — 어떤 사실이나 특별한 정보의 조각에 대해 인식하거나 깨닫다; 무엇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를 가지다. 의미상 반의어: 알지 않다. 관련 주제: 경험; 지식의 나무; 지식; 영지주의.
살전 1:4 εἰδότες, ἀδελφοὶ ἠγαπημένοι ὑπὸ θεοῦ, τὴν ἐκλογὴν
살전 2:1 Αὐτοὶ γὰρ οἴδατε,
살전 4:2 οἴδατε γὰρ
약 1:19 Ἴστε, ἀδελφοί μου ἀγαπητοί. ἔστω δὲ πᾶς
유 5 εἰδότας ὑμᾶς ἅπαξ πάντα,
2. 알다 (경험적으로) — 알다 또는 무엇에 대해 지식을 가지다; 보통 관찰이나 감각을 통해 획득한 것으로서. 관련 주제: 경험; 지식의 나무; 지식; 영지주의.
막 14:71|| Οὐκ οἶδα τὸν ἄνθρωπον τοῦτον ὃν λέγετε.
요 8:19 Οὔτε ἐμὲ οἴδατε οὔτε τὸν πατέρα μου·
요 8:55 ἐγὼ δὲ οἶδα αὐτόν·
고후 12:2 οἶδα ἄνθρωπον ἐν Χριστῷ πρὸ ἐτῶν δεκατεσσάρων—
살전 4:5 τὰ μὴ εἰδότα τὸν θεόν,
3. 기억하다 — 주의 깊게 생각하거나 고려하다. 의미상 반의어: 잊다 (억제). 관련 주제: 마음; 기억하다.
고전 1:16 λοιπὸν οὐκ οἶδα εἴ τινα ἄλλον ἐβάπτισα.
4. 알다 (알아 차림) — ~에 대한 성격이나 특징을 알다. 관련 주제: 경험; 지식의 나무; 지식; 영지주의.
막 10:38|| Οὐκ οἴδατε τί αἰτεῖσθε·
요 4:10 Εἰ ᾔδεις τὴν δωρεὰν τοῦ θεοῦ καὶ
요 13:7 Ὃ ἐγὼ ποιῶ σὺ οὐκ οἶδας ἄρτι,
요 16:18 οὐκ οἴδαμεν τί λαλεῖ.
요 20:9 οὐδέπω γὰρ ᾔδεισαν τὴν γραφὴν ὅτι δεῖ
5. 어떻게 할지 알다 — 어떤 일을 하거나 수행할 방법을 알다.
마 27:65 ὑπάγετε ἀσφαλίσασθε ὡς οἴδατε.
살전 4:4 εἰδέναι ἕκαστον ὑμῶν τὸ ἑαυτοῦ σκεῦος κτᾶσθαι
딤전 3:5 προστῆναι οὐκ οἶδεν, πῶς
6. 인정하다 — 권리대로 (어떤 사람)을 받아들임.
막 2:10|| ἵνα δὲ εἰδῆτε ὅτι ἐξουσίαν ἔχει ὁ
살전 5:12 Ἐρωτῶμεν δὲ ὑμᾶς, ἀδελφοί, εἰδέναι τοὺς κοπιῶντας
7. (언어)를 이해하다 — 언어의 의미가 통하다.
고전 14:16 οὐκ οἶδεν·
유 10 ὅσα μὲν οὐκ οἴδασιν
동사. 동사
미래 능동태. 미래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완료 능동태. 완료 능동태
||  || 눅 22:60 || 마 26:74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  || 마 20:22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  || 눅 5:24 || 마 9:6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we ask. See note on 4:1. acknowledge. Not merely recognize them as leaders but honor and respect them (v. 13). those who work hard … who care for … who admonish. Describes not three groups but one—congregational leaders, likely elders (Acts 14:23), who have at least three distinct functions. The verb used to describe the second function (Greek proistēmi) conveys both the notion of authority (“to rule”) and concern (“to care for”). This linking of exercising authority and providing care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leadership in the NT: the one who leads is to be like the one who serves (Luke 22:26).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NT New Testament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7.
 
Though Paul does not explicitly call for obedience to those who toil at Thessalonica, the request that certain people be recognized in the community probably implies such obedience. Paul seems to have in mind the need for the community to acknowledge as leaders certain of its members because they carry out important functions in its life. On the basis of our knowledge of Stephanas and his role as patron of the church at Corinth, it may be assumed that the leaders at Thessalonica were those who had sufficient status and wealth to act as patrons to the community. Such a non-egalitarian form of leadership should not surprise us as this is precisely the way leadership in the Diaspora synagogues emerged and it reflects the hierarchical character of Greco-Roman society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94.
 
13절) ‘그들의 역사로 말미암아’, 이는 실제로 교회안의 리더들이 성도들 가운데서 수고하는 것 때문에, 그것으로 인해서 리더들을 귀히 여기라는 것이다. 러더들이 교회안에서 하는 일은 하나님나라의 확장을 위한 수고이기 때문이다. 
‘사랑안에서 가장 귀히 여기며’, 본문은 ‘카이’라는 등위 접속사로 연결되는데 이는 12절의 ‘구하노니’에 연결되는 표현이다. 바울은 형제들이 ‘알고’, ‘귀히 여기’기를 원했다.  ‘여기며’라고 번역된 ‘헤게이스다이’의 원형 ‘헤게오마이
는 ‘지도하다, 다스리다, ~라고 생각하다’라는 의미로 ‘상상을 초월할 만큼 엄청나고 대단하게’라는 의미를 지닌 ‘휘페렉페릿수’라는 부사와 더불어 사용되어서 ‘할 수 있는 만큼 최고의 대우로 존중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최고의 존중을 보이라는 권면이다. 이렇게 존중하는데 이를 ‘사랑안에서, 엔 아가페’ 하라고 말한다. 
 
이어서 ‘너희끼리 화목하라’라고 말한다. ‘너희끼리’로 번역된 ‘엔 헤아우토이스’는 ‘너희 자신들 안에서, 너희들 가운데서’라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본문에서 말하는 ‘너희’는 누구인가? 앞선 권면의 내용과 연장선 상에서 본다면 성도들과 리더들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리더들의 지도력을 인정하고 존중하지 않는 어린 성도들을 향해서 그들의 수고를 알고 귀히 여길 것을 충고하면서 서로 화목할 것을 명령하고 있는 것이다. 
‘화목하라’는 표현은 ‘에이레뉴에테’로 ‘에이레뉴오’의 현재 능동태 명령법 표현이다. 교회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되어야하고 힘써 화평을 이루어야 한다. 교회가 화목하지 못하고 나뉘고 분쟁한다면 세상에 하나님나라를 전할 수 없을 것이다. 교회는 한 성령안에서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주권을 인정하며 화목을 위하여, 화평케 하는 자로 부르심을 받은 이들의 모임이다. 
 
The verb ἡγεῖσθαι creates problems for the interpreter. The context seems to require the sense “to esteem,” but this meaning is nowhere else attested for the word (see Rigaux, 579f.). Another possibility is to take it with ἐν ἀγάπῃ, resulting in the sense “to consider in love” or simply “to love” (see Findlay, 122f.). The usual arguments offered against this possibility are that “in love” is too distant in the grammatical structure from the infinitive to be taken with it and that the infinitive does not require a qualifying prepositional phrase. A third view is that the adverb ὑπερεκπερισσοῦ gives the infinitive the meaning “esteem” because “to consider exceedingly highly” is paraphrastic for this sense. Although there are no other known instances of ὑπερεκπερισσοῦ being used with ἡγεῖσθαι in this way, other adverbial modifiers are used in a similar way (see Hdt. 2.115 and Thucydides, Hist. 2.89). For this reason I prefer this third explanation, but whichever is chosen the meaning remains more or less the same.
In the phrase διὰ τὸ ἔργον αὐτῶν (“on account of their work”) Paul explains why the Thessalonians should respect those described in the three participles of v. 12: their work is done for the sake of the community and its members. Therefore Paul urges that they be treated with the deference due to them.
Hdt. Herodotus
Hist.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Thucydide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94.
 
 
 
 
 
728x90
But you bare not in darkness, brothers, for that day to surprise you like a thief. For you are all cchildren2 of light, children of the day. We are not of the night or of the darkness. So then dlet us not sleep, as others do, but let us ekeep awake and fbe sober. For those who sleep, sleep at night, and those who get drunk, gare drunk at night. But since we belong to the day, let us be sober, hhaving put on the breastplate of ifaith and love, and for a helmet the hope of salvation. For God has not destined us for jwrath, but kto obtain salvation through our Lord Jesus Christ, 10 lwho died for us so that whether we are awake or asleep we might live with him. 11 Therefore encourage one another and build one another up, just as you are doing.
b 1 John 2:8
c See Luke 16:8
2 Or sons; twice in this verse
d [Mark 13:36]; See Rom. 13:11–13
e See Matt. 24:42
f See 1 Pet. 1:13
g [Acts 2:15; 2 Pet. 2:13]
h Isa. 59:17; Eph. 6:14, 17
i [Eph. 6:23]
j See ch. 1:10
k 2 Thess. 2:13, 14; [Heb. 10:39]
l Rom. 14:9; [2 Tim. 2:11]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5:4–11.
 
4 형제들아 너희는 어둠에 있지 아니하매 그 날이 도둑 같이 너희에게 임하지 못하리니
5 너희는 다 빛의 아들이요 낮의 아들이라 우리가 밤이나 어둠에 속하지 아니하나니
6 그러므로 우리는 다른 이들과 같이 자지 말고 오직 깨어 정신을 차릴지라
7 자는 자들은 밤에 자고 취하는 자들은 밤에 취하되
8 우리는 낮에 속하였으니 정신을 차리고 믿음과 사랑의 호심경을 붙이고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자
9 하나님이 우리를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니요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 하심이라
10 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사 우리로 하여금 깨어 있든지 자든지 자기와 함께 살게 하려 하셨느니라
11 그러므로 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우기를 너희가 하는 것 같이 하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5:4–11.
 
앞서 1-3절에서 주의 날이 밤에 도둑같이 이를 것이다. 그들,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이들은 평안과 안전을 외치지만 결코 그 심판을 피할 수 없다. 하지만 4-5절에서 형제들, 주님을 따르는 이들은 다르다. 
 
4절) 본문의 ‘형제들아’는 ‘아델포스’로 실제로 남성형 복수 명사의 형대로 사용되지만 여러 번역본에서 ‘brothers and sisters’로 번역하고 있다. 실제로 남성 성도들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데살로니가 교회의 모든 성도들을 의미한다.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앞선 1-3절에 등장하는 그들, 평안과 안전을 외치는 어둠에 속한 자들이 아니다 그들에게는 갑작스런 심판이 도둑같이 임하겠지만 하나님의 백성은 어둠에 속하지 않았기에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어둠과 빛, 밤과 낮을 대비시키는 것은 묵시문학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이다. 이렇게 이원론적으로 여러 특성을 대비시키는 것은 일반적이었다. 
 
‘어둠’은 ‘스코토스’로 ‘어둠(빛의 부재), 죄악’을 의미한다. 이처럼 어둠에 속했다라는 것은 죄가운데 거한다는 것으로 불순종과 자기중심성을 충만한 상태를 의미한다. 반대로 어둠에 있지 않음의 상태는 이후 5절이 말하는 빛의 아들, 낮의 아들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앞서 주의 날(2절)이 도둑같이 임하겠지만 어둠에 있지 않은 자들에게는 그 날이 도둑같이 임하지 못한다. 
 
σκότος -ους, ὁ; (skotos), 명사. 흑암, 어둠. 히브리어 등가: חֹ֫שֶׁךְ (61). 아람어 등가: חֲשׁוֹךְ (1).
명사 용법
1. 어둠 — 빛 또는 조명의 부재. 관련 주제: 어둠; 어둠; 어둠; 무두질.
마 6:23 τὸ σκότος
막 15:33|| Καὶ γενομένης ὥρας ἕκτης σκότος ἐγένετο ἐφʼ
고후 4:6 Ἐκ σκότους
엡 5:8 ἦτε γάρ ποτε σκότος,
유 13 ὁ ζόφος τοῦ σκότους
2. 악의 영역 ⇔ 어둠 — 악, 죄악됨, 하나님과 그의 뜻에 대한 무지가 지배하는 영역. 빛이 없는 곳으로 이해된다.
엡 5:11 ἀκάρποις τοῦ σκότους, μᾶλλον
엡 6:12 τοῦ σκότους τούτου,
살전 5:4 ὑμεῖς δέ, ἀδελφοί, οὐκ ἐστὲ ἐν σκότει,
벧전 2:9 ὅπως τὰς ἀρετὰς ἐξαγγείλητε τοῦ ἐκ σκότους
요일 1:6 ἐν τῷ σκότει
3. 어둠 (근원) — 어둠의(혹은 어둠을 초래하는) 원천으로 사용되는 모든 개체. 관련 주제: 어둠.
마 6:23 ἐν σοὶ σκότος ἐστίν,
눅 11:35 ἐν σοὶ σκότος ἐστίν.
요 3:19 μᾶλλον τὸ σκότος
여러 용어 명사 용법
1. 음침한 어둠. — 빛이 없는 것으로 특징되는 영원한 형벌의 장소. 관련 주제: 어둠.
벧후 2:17 ὁ ζόφος τοῦ σκότους
유 13 ὁ ζόφος τοῦ σκότους
명사. 명사
||  || 눅 23:44 || 마 27:45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The words οὐκ ἐστὲ ἐν σκότει (“you are not in darkness”) also take up the thought of the previous verse and imply a contrast between Paul’s readers and those who live ἐν σκότει (“in darkness”) outside their group. The phrase “in darkness” can have two possible senses here. (1) It may mean that those spoken of in the previous verse are distant from and even opposed to God. The use of language regarding light to symbolize God and darkness to symbolize alienation from and opposition to God goes back to the OT (cf. Job 22:9–11; Pss. 27:1; 74:20; 82:5; 112:4; Is. 2:5; 9:2; 60:19f.; Pr. 4:18f.). It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at Qumran (cf. 1QS 3:13–4:26; 1QM). Paul himself uses the imagery of light and darkness in a similar fashion on several occasions (cf. Rom. 13:12; 2 Cor. 4:6; 6:14; 11:14; Col. 1:12f.). (2) Paul may be using the phrase “in darkness” figuratively of ignorance (cf. Rom. 1:21; 2:19; 1 Cor. 4:5). This understanding would go well with the following result clause ἵνα ἡ ἡμέρα ὑμᾶς ὡς κλέπτης καταλάβῃ (“so that the day [of the Lord] does not overtake you as a thief”). Understood in this way v. 4 emphasizes that Christians differ from outsiders in that they are aware of the imminence of the day of the Lord, while the day will overtake those who are ignorant about its coming like a thief. On the other hand, the light and darkness antithesis of v. 5 suggests that Paul has in mind darkness as that which is alien and opposed to God. If we accept this interpretation the second possibility mentioned above is implicit in any case since those who live in the darkness of their pagan ways also live in ignorance of the coming day of judgment.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81.
 
5절) ‘너희는 빛의 아들이요 낮의 아들이라’, 5절 본문은 4절의 근거를 이야기한다. 형제들에게 심판이 도적같이 임하지 않는 이유는 그들이 빛의 아들이요 낮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빛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유대 문헌과 신약에서 하나님과 하나님의 구원의 역역에 속한 이들에 대해서 사용되는 표현이다.(눅 16:8; 요 12:36; 골 1:13) 
‘낮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바울이 사용한 독특한 표현으로 빛과 낮의 개념을 연결시키고 있다. 히브리인들은 ‘~의 아들’이라는 특정한 표현을 통해서 어떤 특별한 특성을 가진 이들이라는 의미를 표현했다. 말하자면 그리스도인들은 낮, 빛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라는 의미이다. 바울이 형제들을 빛, 낮의 아들-자녀들이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바로 주님께서 자신을 ‘세상의 빛’(요 8:12, 9:5)이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우리는 빛의 아들들로 낮체 속한 이들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세상의 빛이신 주님의 거룩하심을 따라 살아가야 하는 자들이다. 
The combination of “son of” used in a figurative sense with a descriptive or possessive genitive is a Hebraism (see BDF §162.6; Turner, Syntax, 207f.) reflective of a patriarchal society. It occurs regularly in the OT (e.g., 1 Sa. 2:12; Ps. 89:22; Is. 14:12; 19:11; 49:15; 61:5; 62:8—note that some of these are rendered very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Hebrew in modern English translations), and is also found in the NT (cf. Mk. 3:17; Mt. 9:15 [Greek]; Lk. 10:6; 16:8; Jn. 17:12; Eph. 2:2). The precise formulation “sons of light” (τοὺς υἱοὺς τοῦ φωτός) appears in Lk. 16:8 (cf. Jn. 12:36). But it is best known for its frequent usage in the Qumran documents, where the sons of light, that is,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who share in eschatological salvation available only in the community, are opposed by the sons of darkness, that is, anyone outside the community (cf. 1QS 1:9–10; 3:13, 24–25; 1QM 1:1, 3).
BDF F. Blass and A. Debrunner,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obert W. Funk.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1961.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82.
 
일반적으로 ‘낮’이라는 표현은 ‘헤메라’인데 이는 '날, 기간, 낮’의 의미를 지니는데 본문에서는 의와 선이 지배하는 영역, 특별히 하나님의 편에 있는 자들의 영역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마찬가지로 ‘빛’ 해당하는 ‘포스’도 하나님의 의로우심, 선하심, 지식에 의해서 다스려지는 영역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빛과 낮의 아들들의 중요한 특성은 바로 밤이나 어둠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둠은 빛의 부재의 상태이다. 따라서 빛이 존재하면 어둠은 사라질 수 밖에 없다. 
 
6-7절) 바울은 빛의 아들들에게 어둠의 아들들과 같이 자지 말고 깨어 정신을 차리라고 권면한다. 이는 잔다는 것은 도덕적, 영적으로 깨어 있지 못하여 방심하여 다가올 그날을 의식하고 준비하지 못하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신랑을 맞이하는 처녀들처럼 깨어서 맞이하라고 말씀하시고 있다. 
본문에서 ‘자다’라고 표현된 ‘카테우도’는 ‘잠들다, 죽다, 깨있지 않다, 경고를 받아들이지 않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어 7절은 자는 자들은 밤에 자고 취하는 자들을 밤에 취하라고 말한다. 
앞서 6절에서 깨어서 정신을 차리는 상태와 자고 취하는 상태가 대조되는 것이다. 이것이 빛의 자녀들과 어둠의 자녀들의 차이이다. 
 
8절) 다시금 바울은 낮에 속한 이들에게 갑옷을 취할 것을 명한다. 성도들은 낮에 속하여 어둠과 싸우는 전사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바울은 사 59:17절의 비유를 사용하여 성도들로 하여금 갑옷을 취하라고 말한다. 
이사야 59:17
17공의를 갑옷으로 삼으시며 구원을 자기의 머리에 써서 투구로 삼으시며 보복을 속옷으로 삼으시며 열심을 입어 겉옷으로 삼으시고
우리 그리스도인, 성도들은 주의 날에 영의 갑옷을 입고 영적 전투에 참여하고 주님과 함께 설 것을 요구받는다.(롬 13:12; 고후 6:7; 엡 6:10-17)
바울은 믿음과 사랑의 호심경을 붙이고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라고 명한다. 앞서 바울은 이미 1:3에서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와 소망의 인내’를 이야기한바있다.(고전 13:13) 
데살로니가전서 1:3
3너희의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소망의 인내를 우리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끊임없이 기억함이니
 
The imagery originates from Isa 59:17, which portrays God as a warrior wearing armor. Paul uses this military image to describe a variety of virtues with which Christians should arm themselves in their spiritual battle (cf. Rom 13:12; 2 Cor 6:7; Eph 6:10–17). The three virtues that he exhorts the Thessalonians to put on consist of the familiar triad of faith, love, and hope (see note on 1:3).
cf. compare, confer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6.
 
θώραξ (“breastplate”) and περικεφαλαία (“helmet”) as a combination almost certainly go back to Is. 59:17, where God is said to “put on righteousness as a breastplate and a helmet of salvation.” This is probably why Paul does not add a third item of armor to his formulation even though he uses the triad of faith, love, and hope, which would have fit more neatly with three items of armor (cf. Eph. 6:14–17, which develops the theme of Is. 59:17 more explicitly as other items of equipment are added to the original two; each item is then correlated with a particular Christian virtue or concept). Paul has only used Is. 59:17 as a point of departure, applying an image used exclusively of God in that text to himself and his readers. He does so by modifying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two pieces of armor to conform to the Christian triad of faith, love, and hope. The original connection of salvation with the helmet of God in Is. 59:17 may have suggested to Paul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imagery of armor in this context in the first place.
The expression “hope of salvation” is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understanding Paul’s views regarding salvation at the time that he wrote the letter. He believed that salvation for the Christian still lay in the future when Christ would come from heaven for his people (cf. 1:3; 4:16f.; 5:9f.), and therefore it was the object of Christian hope in the present. This sense of expectancy is considerably diminished in some of the later letters of the Pauline corpus, for example in Ephesians, where salvation has already been achieved, and thus a strongly realized eschatology is present (see Eph. 2:1–10). The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hope of salvation” in 1 Thes. 5:8 (cf. Rom. 13:11) and the “realized” salvation of Ephesians 2 is one of the principal reasons why many scholars find the Pauline authorship of Ephesians a major difficulty.
Paul has introduced the triad of faith, love, and hope into the parenetic section of 1 Thessalonians to remind his readers of the need to maintain these Christian virtues. Maximum preparedness is required of the readers because the time of their salvation is potentially close at hand.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86.
 
9절) 원어는 ‘호티’라는 원인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시작된다. 이것의 의미는 ‘왜냐하면’으로 이는 앞선 6-8절의 내용을 받고 있다. 특히 8절 하반절의 ‘구원의 소망의 투구’와 연결시키면 그 의미는 더욱 정확하다. 
바울은 9절의 본문을 통해서 주의 날에 대한 두려움에 있는 이들을 향해서 다시금 분명하게 하나님께서 우리를 부르신 목적이 우리에게 심판, 진노를 주시기 위해서가 아니라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우리들이 구원을 받게 하시기 위함임을 말씀하신다. 
주의 날은 어둠의 자녀들에게는 심판, 진노로 임하지만 빛의 자녀들에게는 영생, 구원, 기쁨의 날이 될 것이다. 
한글 번역에서는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니요’라고 표현하는데 여기서 세우심과 이르게하심이라는 표현은 헬라어 ‘티테미’로 영어로는 ‘destine, appoint’로 번역한 것으로 ‘권위를 가지고 설정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The contrast in v. 9 between wrath and salvation is significant. The wrath of Go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hought of Paul and the Thessalonians, as 2:16 and especially 1:10 show (cf. Rom. 1:18; 2:5; 5:9). The idea derives from the OT, where the day of the Lord is presented as a time when the wrath of God will be manifested against all disobedience (Zp. 1:15; 2:2; Joel 1:15; Ob. 15). The reference to the wrath of God in v. 9 had a double function for the original readers. On the one hand it defined Christian identity negatively in terms of those not destined to wrath. On the other hand it served to comfort and reassure the readers of the letter that their efforts at vigilance and ethical propriety would not go unrewarded. God had appointed them “for obtaining salvation.” This phrase picks up σωτηρία (“salvation”) from the previous verse, where it specifies the content of Christian hope. Here it indicates that their hope will be realized because this is their divinely appointed destiny. Paul does not specify the content of salvation in v. 9 except negatively as the avoidance of divine wrath and later in v. 10 as continued existence with Christ beyond the day of judgment.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87.
 
10절) 9절에서 예수께서 우리를 구원으로 이끄셨는데 그 방법이 바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신 것이다. 그분의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믿는 빛의 자녀들은 깨어 있든지 자든지, 다른 말로 하면 살던지 죽던지 모두 주님과 함께 살게 된 것이다. 이는 주님의 재림때에 살아 있는 자들이나 죽었던 자들이 모두 주님의 구원에 동참하게 될 것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The terms employed by Paul to make this point, γρηγορῶμεν (“we are awake”) and καθεύδωμεν (“we sleep”), are drawn from the more immediate context of 5:6f., but there they have a very different meaning than they do here. In vv. 6f. they are used antithetically to differentiate those who are Christians and therefore keep alert for the coming of their Lord from those who are outside the community and are therefore oblivious to the approach of God’s judgment. In v. 10 the distinction between those who are asleep and those who are awake does not pertain to preparedness for salvation. That Paul has reapplied the terminology of vv. 6f. to the problem discussed in 4:13–17 concerning “those who sleep” (κοιμᾶν in 4:13–17 is a synonym of καθεύδειν here) and “those who remain” (γρηγορῶμεν here corresponds to οἱ περιλειπόμενοι in 4:15–17) is confirmed by ἅμα σὺν αὐτῷ ζήσωμεν (“we shall live together with him”), which repeats the idea contained in the words σὺν κυρίῳ ἐσόμεθα (“we will be with the Lord”) in 4:17. By thus referring back to 4:13–17 Paul pulls the eschatological parenesis of the letter together and ends it on a powerful note of hope for future salvation for both the living and the dead in Christ based on his redemptive death (cf. Holtz, 182f.).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88–189.
 
11절) ‘그러므로’, ‘디오’, 빛의 자녀들은 깨어 있든지 자든지 주님과 함께 살게 될 것이기에 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우기를 너희가 가는 것 같이 하라고 권면한다.
지금 재림에 대한 두려움으로 자신의 삶의 일상이 깨어진 이들, 그런 불안함 가운데 있는 자들을 향해서 걱정하지 말고 지금 자신의 살던 일상을 그대로 살아갈 것을 명한다. 그 삶을 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우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앞서 이야기한 ‘데살로니가 현상’이다. 데살로니가 성도, 데살로니가 교회가 세상속에 도시속의 교회로 살아내야할 삶의 모습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일상성을 유지하면서 세상과 구별되는 삶을 살아내는 것이다. 
데살로니가전서 1:6–8
6또 너희는 많은 환난 가운데서 성령의 기쁨으로 말씀을 받아 우리와 주를 본받은 자가 되었으니
7그러므로 너희가 마게도냐와 아가야에 있는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었느니라
8주의 말씀이 너희에게로부터 마게도냐와 아가야에만 들릴 뿐 아니라 하나님을 향하는 너희 믿음의 소문이 각처에 퍼졌으므로 우리는 아무 말도 할 것이 없노라
 
환난 가운데 말씀을 기쁨으로 받아서 주를 볻받는 자가 되고 또한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는 삶을 살아내는 것이야말로 ‘권면하고 덕을 세우는’ 삶인 것이다. 
 
Paul concludes his parenesis regarding the parousia of Christ and the need for readiness by urging his readers to exhort and build up one another in faith. The conjunction διό is inferential, but v. 11 is certainly not a necessary or even obviously logical inference from what immediately precedes it. Paul’s thought appears to return to his earlier assertion that the day of the Lord will come as a thief in the night, and therefore Christians must be constantly vigilant and behave as people belonging to God. It is from this that Paul’s inference springs.
παρακαλεῖτε ἀλλήλους (“exhort one another”) repeats the wording of the summary in 4:18, though here the emphasis of the verb is more on mutual exhortation or encouragement than on comfort as in 4:18. This interpretation is evinced by the words καὶ οἰκοδομεῖτε εἷς τὸν ἕνα (“and strengthen one another”), which clarifies and amplifies the exhortative connotation given to παρακαλεῖτε. Metaphorical use of οἰκοδομεῖν (“strengthen” or “build up”) can be traced back to the LXX, especially to Jeremiah, where the prophet promises that God will “build up” Israel (Je. 24:6; 31[38]:4; 33[40]:7; 42[49]:10) and even Israel’s neighbors if they call upon God (Je. 12:16). But Jeremiah also views his own role as one of rebuilding the community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evil nation (Je. 1:10). The idea of building up either the community or the individuals who form it is found frequently in 1 and 2 Corinthians, where both the verb and its cognate noun οἰκοδομή (“edification” or “instruction”) function to express this idea. In 2 Cor. 10:8; 12:19; and 13:10 Paul describes his own apostolic role as one of building up the Corinthians rather than tearing them down. The connection with the call of Jeremiah seems unmistakable (cf. Je. 1:10). But the apostle also speaks of the need for members of the community to build one another up (1 Cor. 8:1; 14:4, 17). Paul reveals the close relationship exhortation and building up or edification have in his mind in 1 Cor. 14:3, where he uses οἰκοδομή with παράκλησις (“exhortation” or “encouragement”), the cognate noun of παρακαλεῖν, to describe the function of prophecy within the life of the community (see O. Michel, TDNT V, 136–147 for a helpful treatment).
Paul’s particular concern in 1 Thes. 5:11 lies with the mutual responsibility of members of the community to aid one another in inculcating and carrying out the ethical demands of the faith and in communicating the theological concepts supporting those demands. In the context of this verse the most obvious theological structure undergirding the ethical requirements of the faith is the promise/threat of the parousia of Christ. Christ’s coming will be a glorious public manifestation of the Lord for his obedient followers, but the day of judgment for unbelievers and the disobedient. Thus the eschatological instruction of Paul served to encourage acceptable behavior among his converts with its promise/threat.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89–190.
728x90
Now concerning wthe times and the seasons, brothers,1 xyou have no need to have anything written to you. For you yourselves are fully aware that ythe day of the Lord will come like a thief in the night. While people are saying, “There is peace and security,” then zsudden destruction will come upon them aas labor pains come upon a pregnant woman, and they will not escape
w Dan. 2:21; Acts 1:7
1 Or brothers and sisters; also verses 4, 12, 14, 25, 26, 27

 

x ch. 4:9
y [2 Thess. 2:2]; See Matt. 24:43; Luke 17:24
z Luke 21:34; [Ps. 35:8; Luke 17:26–30; 2 Thess. 1:9]
a See Isa. 13: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5:1–3.
 
형제들아 때와 시기에 관하여는 너희에게 쓸 것이 없음은
2 주의 날이 밤에 도둑 같이 이를 줄을 너희 자신이 자세히 알기 때문이라
3 그들이 평안하다, 안전하다 할 그 때에 임신한 여자에게 해산의 고통이 이름과 같이 멸망이 갑자기 그들에게 이르리니 결코 피하지 못하리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5:1–3.
 
5장 1-11절은 주의 재림과 성도의 부활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특히 1-3절은 돌연히 임하는 주의 재림으로 인해 어둠에 속한 자들에게 갑자기 심판이 임할 것을 다루고 4-5절에서는 성도들에게 주님의 재림은 도둑같이 임하지 않을 것을 말한다. 이어 6-11절에서는 이러한 주의 날이 임함으로 인해 성도들은 더욱 각성하여 깨어 근신하며 살아갈 것을 촉구한다.
 
1절) '때와 시기’, 이 종말론적 사건이 언제 발생할 것인지에 대해서 사람들은 관심이 많았지만 주님께서는 분명히 이것은 사람으로서는 알 수 없다고 선언하셨다.(행 1:7)
사도행전 1:7
7이르시되 때와 시기는 아버지께서 자기의 권한에 두셨으니 너희가 알 바 아니요
 
‘때와 시기’를 표현하는 헬라어는 ‘톤 크로논 카이 톤 카이론’이다. 이는 시간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두가지 표현이다. ‘크로논’의 원형 ‘크로노스’는 연대기적 시간을 나타내고, ‘카이론’의 원형 ‘카이로스’는 결정적으로 적합한 때를 의미한다. 본 절에서는 이 단어들이 모두 복수형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종말의 날이 어느 한 사건을 통해 도래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건들이 방생하면서 임할 것이라는 사실을 암시한다. 즉 아무런 징조나 암시 없이 갑작스럽게 재림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마 24장과 같이 여러가지 징조와 사건들이 벌어질 것이다. 그런 징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둠에 속한 자들은 깨닫지 못하고 주의 재림을 도둑같이 맞게 될 것이고 빛에 속한 자들은 재림을 준비하며 맞게 될 것이다.
 
 
‘쓸 것이 없음은’, 이 표현은 앞서 4:9에도 나왔던 것으로 직역하면 ‘우리가 너희에게 쓸 필요가 없다’라는 의미이다. 쓸 필요가 없는 이유는 이미 바울이 데살로니가에서 사역할 때에 주의 재림 시기와 관련하여 여러가지로 가르쳤음을 의미한다. 이들에게 있어서 문제는 재림에 대한 지식, 정보가 없어서가 아니라 과도한 두려움으로 인한 것이었다. 
 
2절)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다시 말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이미 주의 날을 상세히 알고 있었기에 그 부분에 대해서 세세히 기록할 필요가 없었다고 말하는 것이다. 
 
'주의 날’은 ‘헤메라 퀴리우’로 바울 서신에서 ‘그리스도의 날’이라는 다른 표현으로도 사용되는 말이다.(빌 1:10; 2:16) 구약에서는 ‘여호와의 날’로 표현된다. 이 날은 악인 이에게는 심판의 날이요 주를 사랑하는 의인에게는 구원의 날이 될 것이다. 이 심판과 구원의 사건이 주님의 재림의 날에 동시에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밤에 도둑같이 임한다는 것은 이것이 시간적으로 어두운 밤에 임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예측하지 못하는 시기에 올 것이며 이것이 환영받지 못하는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다.(마 24:44; 계 16:15) 유대인들은 출애굽 당시 죽음의 사자가 한밤중에 찾아온 것을 알고 있었고 메시아도 이렇게 밤에 올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The phrase day of the Lord is common in the OT Prophets (see note on Amos 5:18–20). It refers to the great and terrible day when Yahweh will intervene to punish the disobedient (e.g., Isa. 13:6–16; Joel 1:13–15; 2:1–11; Obad. 15–20; Mal. 4:5) and to save the faithful (e.g., Isa. 27:2–13; Jer. 30:8–9; Joel 2:31–32; Obad. 21). In Paul’s letters it is equated with the second coming. like a thief in the night. Throughout the NT, the thief simile suggests unexpectedness and unwelcomeness (Matt. 24:43–44; Luke 12:39–40; 2 Pet. 3:10; Rev. 3:3; 16:15). The negative aspect is clearly present in 1 Thess. 5:4, and there is no reason to think that it is absent here. However, although some have wondered whether Paul is threatening the Thessalonians with the prospect of final judgment, it seems more likely, in view of vv. 4 and 9, that he is actually reassuring believers who are insecure, perhaps as a result of the recent deaths in their midst. people. That is, unbelievers. peace and security. Possibly an allusion to imperial Roman propaganda or (perhaps more likely) to Jer. 6:14 (or Jer. 8:11), where similar language is used of a delusional sense of immunity from divine wrath. labor pains. An analogy referring to the judgment and destruction on the day of the Lord. Cf. Isa. 13:8; Jer. 6:24.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10.
 
3절) ‘평안하다, 안전하다’라고 말하는 주체인 ‘그들’은 예수를 믿지 않고 어둠가운데 살아가는 이들을 의미한다. 그들이 멸망할 땅에 살면서 평안과 안전을 외치는 이유는 자신들의 추구가 영원할 것이라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과학의 발전으로 사람들은 근대에 이르러 유토피아를 이룰 것을 확신했다. 하지만 그들이 느끼는 평안과 안전은 거짓이다.(렘 6:14; 8:11) 이는 신기루에 불과한 것으로 잠시의 편안함을 가져다 줄 수는 있지만 영원한 평안을 가져다 줄 수는 없다. 어거스틴은 ‘하나님이여, 우리는 하나님을 위해 창조된 존재이므로 하나님 안에서 안식을 얻을 때까지는 결코 평안할 수 없습니다’라고 했다. 
 
‘평안’을 의미하는 ‘에이레네’는 인간이 내적으로 느끼는 안정감이요, ‘안전’을 의미하는 ‘아스팔레이아’는 외적인 모든 일이 잘 되는 것을 통해서 느끼는 확고한 안정감을 말한다. 사람들은 주의 재림의 징조들, 처처의 기근과 지진, 전쟁과 울부짖음을 들으면서도 거짓 평안과 안전을 믿음으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다. 
 
‘갑자기’로 번역된 ‘아이프니디오스’는 ‘예기치 못한, 갑작스런’의 의미이다. 이글에게 갑자기 임하는 것은 멸망이다. 이런 멸망의 순간이 불신자들에게 예기치 못한 순간에 매우 고통스럽게 그리고 피할 수 없게 임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예증하기 위해서 여자의 해산 고통의 비유를 들고 있다. 
‘해산의 고통’으로 번역된 ‘오딘’은 ‘참을 수 없는 고통’을 의미한다. 
이는 위 표에서 보는 것처럼 신약에서 4번 등장하여 재난과 고통으로 번역되었다. 임신한 여자에게 해산의 고통이 이름과 같이 멸망이 임한다는 것은 주의 재립이 갑작스럽게, 예기치 못한 순간에 고통스럽게 임할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처럼 여인의 해산은 고통스러운 동시에 피할 수 없는 것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들에게 이르리니’는 ‘아우토이스 에피스타타이’인데 여기에서 이르리니로 번역된 ‘에피스타타이’의 원형 ‘에피스테미’는 ‘~위에’를 의미하는 전치사 ‘에피’와 ‘두다, 놓다’를 의미하는 동사 ‘히스테미’의 합성어로 문자적인 의미는 ‘위에 놓다’라는 의미이다. 위에서 바윗덩어리가 떨어지는 것처럼 멸망이 어둠에 속한 자들 머리 위로 떨어지며 잉태한 여자에게 해산 고통이 갑자기 임하는 것처럼 멸망의 심판은 어둠에 속한 자들 위에 갑자기 임하게 될 것이다. 
 
‘곂코 피하지 못하리라’ 임신한 여자가 해산의 고통을 피할 수 없는 것처럼, 어둠에 속한 자들은 종말의 날 주의 심판을 결코 피할 수 없다. 본문의 피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 ‘엑퓌고신’의 원형 ‘엑퓨고’는 ‘밖으로’를 의미하는 전치사 ‘에크’와 ‘도망치다’를 의미하는 동사 ‘퓨고’의 합성오로 ‘~에서 밖으로 달아나다’(행 19:16), 달아남으로써 어려움을 모면하다(롬 2:3)의 의미이다. 이 표현은 미래적 의미를 가짐에도 너무나 확실하여 기정 사실과 다름이 없을 때 사용하는 격언적 부정 과거 형태이다. 
 
 
728x90
13 But we do not want you to be uninformed, brothers, about those who are asleep, gthat you may not grieve as others do hwho have no hope. 14 For isince we believe that Jesus died and rose again, even so, through Jesus, God will bring with him jthose who have fallen asleep. 15 For this we declare to you kby a word from the Lord,4 that lwe who are alive, who are left until mthe coming of the Lord, will not precede those who have fallen asleep. 16 For nthe Lord himself will descend ofrom heaven pwith a cry of command, with the voice of qan archangel, and rwith the sound of the trumpet of God. And sthe dead in Christ will rise first. 17 Then we who are alive, who are left, will be tcaught up together with them uin the clouds to meet the Lord in the air, and so vwe will always be with the Lord. 18 Therefore encourage one another with these words.
g [Lev. 19:28; Deut. 14:1; 2 Sam. 12:20–23; Mark 5:39]
h Eph. 2:12
i 1 Cor. 15:13; [2 Cor. 4:14; Rev. 1:18]
j 1 Cor. 15:18
k See 1 Kgs. 13:17
4 Or by the word of the Lord
l 1 Cor. 15:51
m See ch. 2:19
n See Matt. 16:27
o 2 Thess. 1:7
p [Joel 2:11]
q Jude 9
r Matt. 24:31; 1 Cor. 15:52
s 1 Cor. 15:23; [2 Thess. 2:1; Rev. 14:13]
t See 2 Cor. 12:2
u [Dan. 7:13; Acts 1:9; Rev. 11:12]
v See John 12:26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4:13–18.
 
13 ◎형제들아 자는 자들에 관하여는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하지 아니하노니 이는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14 우리가 예수께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심을 믿을진대 이와 같이 1)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그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
15 우리가 주의 말씀으로 너희에게 이것을 말하노니 주께서 강림하실 때까지 우리 살아 남아 있는 자도 자는 자보다 결코 앞서지 못하리라
16 주께서 호령과 천사장의 소리와 하나님의 나팔 소리로 친히 하늘로부터 강림하시리니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자들이 먼저 일어나고
17 그 후에 우리 살아 남은 자들도 그들과 함께 구름 속으로 끌어 올려 공중에서 주를 영접하게 하시리니 그리하여 우리가 항상 주와 함께 있으리라
18 그러므로 이러한 말로 서로 위로하라
1) 또는 자는 자들을 예수로 말미암아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4:13–18.
 
바울은 앞서 1-12절에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기 위한 성도의 삶의 태도를 말했다. 이제 13-18절은 주의 강림과 죽은자의 부활에 대한 성도의 자세에 대해서 다룬다. 본서에서 이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해서 자세히 언급하고 있는 이유는 그리스도의 재림시 이미 죽은 성도가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한 논란과 임박한 재림에 대한 두려움으로 일상생활을 소홀히 하는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앞서 짧게 이러한 주제를 언급했었다.(1:3, 10; 2:12, 19; 3:13)
 
13절) 데살로니가 교회의 성도들은 죽음의 문제, 죽은 자의 부활에 대해서 알지 못했다. 바울이 이런 가르침을 전할 새가 없이 급하게 떠나야 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죽은 자들에 대해서 소망없는 이들과 같이 슬퍼했다. 죽음에 대해서 슬퍼하는 것 자체는 잘못된 일이 아니다. 하지만 소망없이 슬퍼하는 일은 잘못된 일이다. 당시 고대 그리스의 시인 데오크리투스는 당시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해서 그리스-로마 세계에 널리 퍼져 있는 절망감을 ‘희망은 산자를 위한 것이다. 죽은 자는 희망이 없다’라고 묘사했다. 
no hope. The ancient Greek poet Theocritus concisely captures the widespread sense of hopelessness in the Greco-Roman world concerning life after death: “Hopes are for the living; the dead have no hope” (Idyll 4.42).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5.
 
‘자는 자들’에 해당하는 표현은 ‘톤 코이모메논’인데 이는 ‘잠을 자다’라는 의미의 ‘코이마오’의 현재 분사형이다. 이 표현은 신약에 19번 등장하는데 원래 의미인 '잠을 자다'라는 의미로는 5번, ‘죽다'라는 비유적 의미로는 14번이나 사용되었다. 실제 히브리 사회에서는 사람이 죽은 것을 흔히 잠자는 것으로 묘사했다.(창 47:30; 신 31:16; 왕상 2:10)
 
본문에서 죽은 자들은 예수님의 재림 이전에 죽은 자들로서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이들이 그리스도의 재림에 참여하지 못할 것으로 여겼다. 하지만 바울은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하지 않는다’라고 그들이 잘못 이해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이는 ‘너희가 알기를 우리가 원한다’라는 표현을 강조하기 위한 이중 부정의 표현이다. 
 
‘소망 없는 다른 이’는 바로 하나님의 자녀로 택함을 받지 않은 비 그리스도인들을 의미한다. 이들은 ‘엘피스’ 즉 ‘내세에 대한 소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자들이다. 죽음 이후의 영원한 생명을 통해 하나님과 동행한다는 천국의 소망을 가지고 있는 신자들과 그런 소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이들의 삶은 차이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그런 소망이 없는 이들에게 가까운 이들의 죽음은 슬픔이 될 수 밖에 없다. 
 
14절) ‘우리가 믿을진대’라는 표현은 ‘에이 가르 피스튜오멘’이다. 이는 조건 접속사 ‘에이(if)’와 ‘피스튜오’의 직설법 동사’피스튜오멘’으로 ‘만약에 믿는다면’이란 의미가 아니라 ‘실제 사실을 있는 그대로 믿는다, 그렇다면’이라는 의미이다. 예수의 부활, 그분이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심을 믿는다는 것은 그분과 연합한 성도들역시 장차 부활할 것을 믿는다는 것이다.(고전 15:22) 주님의 부활로 말미암아 더이상 죽음은 주안에서 믿는 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없게 된 것이다. 이처럼 예수의 죽음과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코어, 핵심이다. 주님이 죽지 않으셨다면 우리의 죄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그분이 죽음을 이기시고 부활하지 않으셨다면 주님은 여타 다른 죄있는 인간과 다를바가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우리 죄를 위하여 죽으시고 부활하심으로 자신이 메시야, 구속주임을 나타내셨고 이로 인해 모든 믿는 자들에게 부활의 소망이 되셨다.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이라는 한글 표현은 오역에 가깝다. ‘안에서’라고 번역된 ‘디아’라는 전치사는 ‘~통하여, ~때문에, ~로 말미암아’의 의미를 지닌다. 한글 성경은 이를 ‘안에서’로 번역하였다. 따라서 본문은 ‘예수를 통하여 자는 자들을’ 혹은 ‘자는 자들을 예수를 통하여'로 번역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 전자의 의미로 번역한다면 ‘예수를 통하여, 예수를 말미암아 죽은 자들’은 순교자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후자 ‘죽은 자들을 예수를 통하여’ 하나님께서 그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로 번역하는 것이 더욱 타당해 보인다. 
 
‘데리고 오시리라’오 번역된 ‘악세이’는 원형인 ‘아고’의 미래 능동태 직설법으로 ‘인도하다, 붙잡아 함께 인도하다’라는 의미로 하나님이 하늘에서부터 성도들을 데리고 땅으로 오신다는 의미를 전달한다. 이 ‘악세이’가 가정법으로 쓰인 것이 아니라 직설법 미래형으로 쓰인 것은 장차 이 일이 틀림없이 이루어질 것을 보여주는 표현이다. 그분의 오심, ‘파루시아’의 때에 주님과 함께 죽은 자들이 함께 온다라는 의미인 것이다. 
 
15절) 바울은 이 부활과 재림에 대한 교훈이 자신의 사색이나 유추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주의 말씀으로 이를 전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이 ‘주의 말씀’은 구체적으로 무엇일까? 구체적으로 기록된 복음서의 말씀중에 본절과 같은 내용이 있지 않다. 그렇다면 예수님의 공생이 기간중 사도들에게 말씀하신 것을 전해들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바울이 주님으로부터 직접 계시로 받은 말씀을 근거로 이 본절을 이야기할 수도 있다.(행 16:6; 18:9; 22:18; 고전 7:10, 40) 
 
‘강림’은 ‘파루시안’으로 이 원형 ‘파루시아’는 왕이나 황제가 지방의 도시를 방문하는 것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이를 위해서 환영행사가 있었고 황제가 내리는 상에 대한 시상식이 수반되었다. 이러한 파루시아는 그 도시에 큰 영광이요 기쁨이 되었다.(2:19; 3:13)
‘우리 살아 남아있는 자’는 바울과 그의 일행과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비롯한 당시 살고 있던 이들을 지칭하는 표현이다. 
 
‘앞서다’의 의미로 번역된 ‘프다소멘’은 원형인 ‘프다노’인데 앞서 2:16에서 ‘임하다, 도착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었는데 본절에서는 ‘앞서다, 앞지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15절에서 바울은 ‘우리 살아 남아 있는 자도 자는 자보다 결코 앞서지 못한다’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사람들이 주의 재림시에 죽은 자들은 보지 못하고 산자들만 재림을 맞이 할 것이라고 혹은 재림시의 순서를 강조하는 잘못된 가르침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바울의 관심사는 부활 순서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지금 산자나 죽은 자나 예수의 재림시에 재림하신 주님을 만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재림에 대한 잘못된 신앙, 소망없는 자들을 향해서 슬퍼할 이유가 없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Lord’s word. The second reason for hope is grounded in Jesus’ words, which may refer to a saying of Jesus not recorded in the Gospels (John 21:25), a paraphrase of Jesus’ end-time teaching (Matt 24; Mark 13), a general summary of Jesus’ teaching, or a teaching revealed to Paul on the Damascus road or elsewhere. Paul is giving not merely his opinion but an authoritative teaching of the Lord Jesus himself. Jesus’ words emphasize that living believers “will certainly not precede those who have fallen asleep.” All believers—the deceased-but-now-resurrected ones (1 Thess 4:14, 16) and the living-but-now-transformed ones (1 Cor 15:51–52)—will share equally in the glorious “coming of the Lord.” Paul employs yet again (1 Thess 2:19; 3:13) a term (Greek parousia) commonly used to describe the coming of an emperor, general or other dignitary into a city with great pomp and celebration (see v. 17 and note).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5–2156.
 
16절) 본절은 ‘호티’(for)라는 접속사로 시작되는데 이는 15절의 ‘주의 말씀으로 너희에게 이것을 말하노니’와 연결되는 단락으로 첫번째가 15절 하반절이고 이것이 두번째 단락이다. 
원문은 ‘호티 아우토스 호 퀴리오스’로 친히라는 ‘아우토스’는 ‘큐리오스’를 수식하는 것으로 ‘주께서 친히’이다. 한글 번역은 이를 분리시켜 번역했다. 즉 재림의 날에 이 땅에 오시는 분은 천사나 다른 어떤 피조물이 아니라 바로 주님 자신이신 것이다. 
‘호령과 천사장의 소리와 하나님의 나팔로’, ‘호령’으로 번역된 ‘켈류스마티’의 원형 ‘켈류스마’는 ‘외침, 명령, 호령’의 의미로 권위있는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 큰 소리로 말하는 것으로 사냥꾼이 사냥개에게 내리는 명령, 선장이 노잡이에게 내리는 명령, 지휘관이 군인들에게 내리는 명령을 의미한다. 이는 거부할 수 없는 권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천사장의 소리’에 해당하는 ‘포네 아르캉겔루’는 ‘천사장의 음성’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아르캉겔루의 원형 ‘아르캉겔로스’는 ‘우두머리이다’라는 의미를 지닌 ‘아르코’와 ‘천사’를 의미하는 ‘앙겔로스’의 합성어로 ‘우두머리 천사’를 뜻한다. 그런데 이 표현에만 관사가 없다. 유대 전통에는 원래 천사장이 일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가엘, 우리엘, 라파엘, 라구엘, 사리엘, 가브리엘, 레미엘 등이다. 이중에 신약에 언급된 천사는 가브리엘과 미가엘뿐이다. 
‘하나님의 나팔’에 해당하는 ‘살핑기 데우’는 하나님께서 직접 나팔을 부신다는 의미가 아니라 ‘하나님께 속한 나팔’이라는 뉘앙스를 지닌다.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백성을 모으고 하나님의 임재를 알릴 때(출 19:13, 16, 19), 새로운 해가 시작됨을 알릴 때(레 23:24), 앗수르와 애굽에 흩어져 있던 백성들이 성산에 돌아옴을 알릴 때)사 27:13), 심판의 날이 임박했음을 알릴 때(욜 2:1) 나팔을 불었다. 여기에서는 주님의 재림으로 주께서 세상을 심판하시고 새 시대가 도래했음을 알리기 위해서 백성을 모으시기 위해서 나팔을 사용하고 있다.
 
‘하늘로부터 강림하시리니’는 ‘카타베세타이 아프 우라누’이다. ‘우라누’는 물리적 공간으로서의 하늘이라기보다 하나님과 함께 있는 처소를 나타내는 은유적 표현이다. 주님께서는 부활 승천하신 이후에 하나님의 보좌 우편에 앉아 계시다가 거기로부터, 하늘로부터, 그 자리로부터 산자와 죽은자를 심판하러 오실 것이다. 강림하다로 번역된 ‘카나베세타이’는 앞서 등장하느 ‘파루시아’와는 의미가 조금 다르다. 이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오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주님께서 재림하실 때 눈에 보이는 형체를 가지시고 하늘로부터 땅으로 내려오시는 모습을 강조하는 것이다.(행 1:11)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자들이 먼저 일어나고’,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자들이 먼저 그리스도의 재림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는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이미 죽은 성도들은 그리스도의 재림에 참여하지 못할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을 교정해주기 위한 것이다. 
‘일어나고’로 번역된 ‘아나스테손타이’의 원형 ‘아니스테미’는 흔히 죽은 자가 다시 살아나는 것을 가리킬 때 사용되는 단어이다.(막 9:31; 눅 18:33; 요 11:23; 행 13:34) 이때 죽은 자는 죽은, 부패한 몸으로 부활하는 것이 아니라 썩지 아니할 신령한 몸으로 부활하게 된다.(고전 15:42-44, 52-54) 이는 인간의 생각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주님의 능력이다.
 
17절) 죽은 자의 부활이후에 산자의 부활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휴거의 모습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끌어올려’로 번역된 ‘하르파게소메다’는 ‘하르파조’의 직설법 미래 수동태형이다. ‘하르파조’는 어떤 것을 갑자기 잡아 채는 것, 강탈해 가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이다.(마 11:12; 요 6:15; 10:12; 행 8:39; 고후 12:2) 여기에는 돌연성과 강제성이 강조되는 것이다. 즉 당하는 입장에서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인지하지 못하는 순간에 일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 표현은 사도바울 자신이 셋째 하늘에 이끌려 간 것을 묘사할 때도 사용되었다.(고후 12:2, 4) 
 
ἁρπάζω (harpazō), 동사. 끌고가다, 빼앗다. 미래 능동태. ἅρπα; 부정과거 능동태. ἥρπασα; 완료 능동태. ἥρπακα; 부정과거 능동태. ἡρπάγην; 완료 중간태. ἥρπαγμαι. 히브리어 등가: גזל (13), טרף (3).
동사 용법
1. 약탈하다 — 물건을 훔치거나 전리품으로 취하다, 자주 전쟁의 일환으로. 관련 주제: 도둑질; 부정한 이득; 약탈; 약탈자; 약탈자 무리; 망쳐놓다; 침입자.
마 12:29|| καὶ τὰ σκεύη αὐτοῦ ἁρπάσαι,
2. 뺏으려하다 — 재빠르고 강하게 움켜쥐다; 종종 빼앗기 위해. 관련 주제: 파악하다.
요 6:15 ὅτι μέλλουσιν ἔρχεσθαι καὶ ἁρπάζειν αὐτὸν ἵνα
요 10:28 καὶ οὐχ ἁρπάσει τις αὐτὰ ἐκ τῆς
행 8:39 πνεῦμα κυρίου ἥρπασεν τὸν
고후 12:2 ἁρπαγέντα τὸν τοιοῦτον ἕως τρίτου οὐρανοῦ.
유 23 ἐκ πυρὸς ἁρπάζοντες,
3. 강도 짓을 하다 — 어떤 것을 강제로 또는 주인의 합의 없이 빼앗다; 물리적이거나 추상적인 것에 대하여. 관련 주제: 도둑; 강도질.
마 13:19|| καὶ ἁρπάζει τὸ ἐσπαρμένον ἐν τῇ καρδίᾳ
4. 좋지 않은 상황에서 빼낸 (상태) — 급하거나 간절하게 잡아 채다; 자주 건져 내기 위해. 관련 주제: 파악하다.
고후 12:4 ὅτι ἡρπάγη εἰς τὸν παράδεισον
살전 4:17 σὺν αὐτοῖς ἁρπαγησόμεθα ἐν
계 12:5 καὶ ἡρπάσθη τὸ τέκνον αὐτῆς πρὸς τὸν
5. 주장하다 ⇔ 빼앗다 — 주장하다, 어떤 것을 거칠고 강하게 움켜 쥐는 것으로 이해하여.
마 11:12|| καὶ βιασταὶ ἁρπάζουσιν αὐτήν.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17절) ‘끌어 올려’에 해당하는 헬라어 ‘하파르조’는 ‘갑자기 귀거나 잡다, 낚아채다, 데려가다’의 의미로 강제로 갑자가 위로 들어 올린다는 의미이다.(요 6:15, 행 8:39)
 
 
 caught up. The only explicit reference in the Bible to the “rapture” (from the Latin translation of the Greek verb used here). Paul envisions the church being “raptured,” joined to Christ at his return. together with them. Paul’s concern is not to predict but to pastor, as he stresses (the word order in Greek is emphatic) yet again that both living and deceased believers in Thessalonica will participate equally in Christ’s glorious return. meet. Greek apantēsis; refers to a delegation party meeting an arriving dignitary outside of town to bestow honor on that visitor by escorting him back to their city. This practice of sending a delegation party to meet and escort an important visitor on the final leg of their journey is found in the only two other NT occurrences of this Greek term (Matt 25:6; Acts 28:15). Paul’s word choice, therefore, implies that the church, once it has been “raptured” to Christ in the air, escorts him to earth.
NT New Testament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6.
 
성도들이 휴거되어 끌어 올려질 곳은 ‘구름 속’이다. 이는 성도들이 물방울이 응결된 구름 속으로 들어간다는 의미가 아니라 초월적 실재에 대한 비유로서 하나님의 영광에 둘러싸인 모습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성도들은 휴거되어 하나님의 임재로 인한 영광의 충만함 속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그곳이 영광으로 충만한 이유는 바로 주님이 계시기 때문이다. 
 
휴거된 성도들이 주를 영접하게 되는 장소는 ‘공중’이다. 이는 ‘아에르’로 지구상의 대기권을 지칭하는 단어인데 이 표현은 불순종의 아들들 가운데 역사하는 악한 영이 권세를 잡고 있는 곳이다.(엡 2:2) 그렇다면 재림의 날에는 사단은 완전히 패배하여 그 힘을 잃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말하자면 주께서 휴거된 성도들은 마귀의 본거지에서 만나기로 하셨다는 의미로 악한 세력을 향한 그리스도의 완전한 승리를 의미한다. ‘영접하다’라는 표현은 ‘아판테시스’인데 이는  한 도시의 주민들이 귀빈을 대대적으로 축하하며 인사하고 영접하러 나온 뒤 그 도시까지 동행하는, 에스코트하는 의미로 대단히 중요한 고위 관리에 대한 주민들의 환영 연회에 대해서 사용된 단어이다.(마 25:6, 행 18:15) 이 말은 성도들이 공중에서 그리스도를 영접한 후에 이동하는 방향은 그리스도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그들은 아래 방향으로 땅을 향해 움직인다는 점을 암시하는 것이다. 마 25장에서는 신랑을 맞으러 나가는 열처녀의 모습을 묘사하는데도 사용되었다.(마 25:6) 이는 휴거된 성도들이 주님과의 혼인 잔치를 위해 신랑으로 오시는 예수를 맞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휴거되어 주를 영접한 성도들이 누리게될 축복은 바로 주와 함께 함이다. 마 28:20의 약속의 말씀은 주님의 재림으로 성취된다.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맞대고 보는 것처럼 분명하게 주를 보게 될 것이다(고전 13:12) 성도에게 죽음은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다. 재림까지의 시간이 우리가 보기에는 너무 멀게 느껴진다고 할지라도 영원과 비교하여 본다면 이는 경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4:16–17 cry of command … voice of an archangel … trumpet of God. The three noises summon the dead to wake from their slumber. The only “archangel” identified in the Bible is Michael (Jude 9). Trumpets in the OT proclaimed the Lord’s presence (Ex. 19:16; 1 Chron. 16:6; Ps. 47:5; Joel 2:1; Zech. 9:14); in Jewish tradition, the “trumpet” was associated with battle, the day of the Lord, and the resurrection (cf. 1 Cor. 15:52). first … Then. Dead Christians rise from their graves to the realm of the living, and then the living and the dead together are caught up from the earth into the air to   p 2310  meet Christ. The Greek for “caught up” (harpazō, “to grab or seize suddenly, to snatch, take away”) gives a sense of being forcibly and suddenly lifted upward (see John 6:15; Acts 8:39). together with. The dead Christians would suffer no disadvantage (cf. “we who are alive … will not precede,” 1 Thess. 4:15). clouds. Probably not earthly rain clouds but the clouds of glory that surround the presence of God (cf. Ex. 13:21; 33:9–10; 40:38; Num. 12:5; 1 Kings 8:10–11; Ps. 97:2; Dan. 7:13; Matt. 17:5; Mark 13:26; Acts 1:9; Rev. 14:14). to meet. The Greek term apantēsis is often used of an important dignitary’s reception by the inhabitants of a city, who come out to greet and welcome their honored guest with fanfare and celebration, then accompany him into the city (cf. Matt. 25:6; Acts 28:15; a related term hypantēsis is used in Matt. 25:1; John 12:13). It may indicate that the subsequent movement of the saints after meeting Christ “in the air” conforms to Christ’s direction, thus in a downward motion toward the earth. However, some interpreters caution that the vivid symbolism of apocalyptic language must be kept in mind to avoid over-interpretation of the apocalyptic details. in the air. The sky.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9–2310.
 
18절) 바울이 주의 강림과 죽은 자의 부활에 대해서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이야기한 이유는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들을 위로하기 위해서였다. 본문의 ‘이러한 말’은 앞선 13-17절을 말한다. 
본문의 위로하다라는 단어는 ‘파라칼레오’로 1절에서 ‘권면하다’와 동일하다. 바울이 이렇게 이야기한 이유는 이들에게 위로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죽은 성도들에 대한 재림에 대한 믿음, 확신이 없음으로 죽은 자들로 인해 슬퍼하는 이들을 향해서 예수의 재림시에 죽은 자들이 썩지 않을 새로운 몸으로 부활에 함께 참여하게 된다는 이 사실을 서로 말하여 권면하라는 것이다. 
거짓과 속임수로 가득한 세상에서 성도들이 이 믿음의 여정을 끝까지 싸워 이길 수 있기 위해서는 이렇게 서로 격려하며 위로하는 믿음의 동지들이 필요하다. 이 여정을 위해서는 지도와 안내자와 이에 대한 확신과 동행하는 동지들이 필요하다. 
 
 
728x90
Now concerning vbrotherly love wyou have no need for anyone to write to you, for you yourselves have been xtaught by God yto love one another, 10 for that indeed is what zyou are doing to all the brothers throughout Macedonia. But we urge you, brothers, to ado this more and more, 11 and to aspire bto live quietly, and cto mind your own affairs, and dto work with your hands, as we instructed you, 12 so that you may ewalk properly before foutsiders and be dependent on no one.
v See Heb. 13:1
w ch. 5:1
x John 6:45; [1 John 2:27]
y See John 13:34
z ch. 1:7
a See ch. 3:12
b Prov. 17:14; 20:3; 25:8; 2 Thess. 3:12
c 2 Thess. 3:11; 1 Pet. 4:15
d [Acts 18:3]; See Eph. 4:28
e Rom. 13:13; [Col. 4:5]
f See Mark 4:11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4:9–12.
 
9 ◎형제 사랑에 관하여는 너희에게 쓸 것이 없음은 너희들 자신이 하나님의 가르치심을 받아 서로 사랑함이라
10 너희가 온 마게도냐 모든 형제에 대하여 과연 이것을 행하도다 형제들아 권하노니 더욱 그렇게 행하고
11 또 너희에게 명한 것 같이 조용히 자기 일을 하고 너희 손으로 일하기를 힘쓰라
12 이는 외인에 대하여 단정히 행하고 또한 아무 궁핍함이 없게 하려 함이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4:9–12.
 
데살로니가전서 4:9–12
9교우들에 대한 사랑을 두고서는, 여러분에게 더 쓸 필요가 없겠습니다. 여러분이 직접 하나님께로부터 서로 사랑하라고 하시는 가르침을 받아서,
10온 마케도니아에 있는 모든 형제자매에게 그것을 실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는 여러분이 더욱더 그렇게 하기를 권면합니다.
11그리고 우리가 여러분에게 명령한 대로, 조용하게 살기를 힘쓰고, 자기 일에 전념하고, 자기 손으로 일을 하십시오.
12그리하여 여러분은 바깥 사람을 대하여 품위 있게 살아가야 하고, 또 아무에게도 신세를 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9절) 9절 본문은 ‘페리’라는 전치사로 시작된다. 이는 ‘~에 관하여는’이라는 의미로 이제 새로운 내용이 시작될 것임을 보여준다. 
‘형제 사랑’이라고 번역된 헬라어는 ‘필라델피아스’로 이것의 원형은 ‘필라델피아’로 친구간의 사랑을 뜻하는 ‘필로스’와 형제를 뜻하는 ‘아델포스’의 합성어로 ‘형제애’를 의미한다. ‘아델포스’는 ‘자궁’을 뜻하는 ‘델푸스’와 연합을 이루는 의미의 ‘A, alpha’의 합성어로 ‘같은 자궁에서 나온’이라는 의미로 형제를 의미한다. 
The term ἀδελφός was orig. an adj. meaning “from the same womb” (δελφύς, “womb,” with the prefixed alpha as a marker of unity or connection), and it can be applied to things that are sim. in character (e.g., ἀδελφοῖς νόμοις, “kindred laws,” Plato Laws 683a).
orig. origin, original(ly)
adj. adjectival
sim. similar(ly)
e.g. exempli gratia (for example)
 Moisés Silva,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4), 149.
이 형제애는 이타적이고 희생적인 사랑을 나타내는 ‘아가페’보다는 제한적이지만 그리스도안에서 성도간에 사랑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런 형제간의 사랑의 모습을 통해 세상은 성도들을 그리스도의 제자로 인정하게 된다.(요 13:34-35) 
 
‘너희에게 쓸 것이 없음은’이라는 표현은 이미 그런 주제에 대해서 잘 알고 있고 실천하고 있다는 최고의 칭찬이다.(5:1, 고후 9:1)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하나님의 가르치심을 받아 서로 사랑하고 있었다. 본문의 하나님의 가르치심이라는 표현은 ‘데오디닥토이’이다. 이는 하나님을 뜻하는 ‘데오스’와 가르치다를 뜻하는 ‘디다스코’의 합성어이다.(요 6:45) 이 하나님의 가르침은 사도를 통해서, 성령을 통해서 주어진 것이다. 인간의 사랑으로는 불완전하다. 하나님께서 가르쳐주신 사랑은 아가페의 사랑이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하나님의 아가페적 사랑을 배워서 이를 형제 사랑에 실천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아가페적 사랑이 무엇인지 또한 그렇게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성도들에게 가르쳐주신 것이다. 세상은 각자 자신의 유익을 추구하지만 성도들은 함게 모여 형제의 필요를 살피고 이를 채우는 삶을 살았다. 이에 대해 칼빈은 ‘사랑이 그들의 마음에 아로새겨져 있었기 때문에 그것에 관해 바울은 종이에쓸 필요가 없었다’라고 말했다. 
 
love for one another. Paul shifts the topic to brotherly and sisterly love (vv. 9–12). taught by God. Paul alludes to how Isaiah describes the Messianic age as a time when God will live so intimately among his people through his Spirit that they will no longer need human teachers but will be “taught by the Lord” (Isa 54:13; cf. Isa 2:3; Jer 31:33–34; Mic 4:1–3; John 6:45; 1 John 2:27). Paul once again (see notes on 1:1, 4) takes “new covenant” language originally describing Israel and applies it to the predominantly Gentile church of Thessalonica.
vv. verses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cf. compare, confer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5.
 
The reason that Paul had no need to write instructions about brotherly and sisterly love to his readers was that God was teaching them to love one another: αὐτοὶ γὰρ ὑμεῖς θεοδίδακτοί ἐστε εἰς τὸ ἀγαπᾶν ἀλλήλους (“you yourselves are taught by God to love one another”). γάρ indicates that v. 9b gives the reason for or basis of the statement in v. 9a. The subject of the subordinate clause, αὐτοὶ ὑμεῖς (“you yourselves”), in v. 9b is emphatic.
θεοδίδακτος (“taught by God”) appears to be a Pauline coinage since there are no known instances of the term prior to Paul, and outside Christian circles there are virtually none after him (Koester, “I Thessalonians,” 40.n.14). The LXX text of Is. 54:13 juxtaposes the words διδακτοὺς θεοῦ (“taught of God”) and is quoted in Jn. 6:45. Although it would be impossible to demonstrate that Paul thought of Is. 54:13 as he coined the word, the theme of the passage is not without interest. Isaiah 54 is an OT eschatological text that looks forward to an age of salvation when the children of Zion will be taught by the Lord God, who will reign over them (cf. Pss. Sol. 17:32 LXX). For Paul the age of salvation had begun with Christ’s resurrection from the dead, and therefore he may have equated this with the age of salvation described in Isaiah 54. For Christians to be taught by God was then a sign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age of salvation. Whether Paul had a specific experience in mind or simply referred to his converts’ general Christian experience is at first glance not altogether clear.
The purpose of God’s teaching the Thessalonians is expressed in the infinitive phrase εἰς τὸ ἀγαπᾶν ἀλλήλους (“to love one another”). This well known biblical theme can be traced back to the command in Lv. 19:18, “You shall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and was an important theme in Jesus’ teaching (Mk. 12:29–32). As was suggested above (see the discussion of 3:12), Paul’s emphasis on mutual love for fellow Christians was intended to create a new sense of identity and commitment among people who had no basis for a mutual relation prior to their conversion to Christ. Perhaps, then, in this verse the apostle has in mind the fact that, because his readers do indeed love as their brothers and sisters those who formerly were not even acquaintances, this can only mean that God has led them or taught them to do so. In other words, Paul begins with the fact of his converts’ love for one another and concludes that its existence can only be explained by virtue of their having “learned” to do so from God. By putting the matter in this way Paul actually introduced the highest possible warrant for mutual love among the Thessalonians, namely, that it was God-ordained. Thus the expression “you yourselves are taught by God”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words “this is the will of God” in 4:3.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60–161.
 
10절) 본문의 ‘행하도다’라는 표현은 ‘포이에이테’로 직설법 현재 시제이다. 계속과 반복 및 습관적 행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들이 사랑함에 있어서 늘 한결같은 태도를 유지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들이 행한 이것은 앞서 ‘형제 사랑, 필라델피아’일 수도 있고 ‘사랑, 아가페’일 수도 있다. 
 
데살로니가 성도들의 형제 사랑의 대상은 데살로니가 교회안의 성도들을 넘어서서 ‘온 마게도냐 모든 형제들’이었다. 이는 ‘엔 홀레 데 마케도니아’로 전치사 ‘엔’은 영역의 내부를 나타내고, ‘홀레’는 한 부분도 빠짐없이 모든 부분에 사랑이 미친 것을 나타낸다. 당시 데살로니가는 마게도냐 지역의 수도로 그 지역의 주위에는 빌립보, 베뢰아 교회가 있었다. 이들의 사랑은 공동체 내부를 넘어서 외부를 향해 흘러넘치고 있었다. 이 진술은 앞서 1:7을 통해 언급한 바 ‘데살로니가 현상’의 키 포인트이다. 그들은 마게도냐와 아가야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었다. 더 나아가 그 소문이 각처에 퍼졌다. 
데살로니가는 육로나 해로에 있어서 매우 접근이 용이한 교통의 요지로서 다양한 사람들이 이곳을 거쳐갔다. 그 과정에서 데살로니가를 방문하여 지나는 이들을 하나님의 사랑으로 섬길 것을 명하고 있고 실제로 그들은 그렇게 행하고 있었다. 
 
한글 성경에서는 ‘형제들아 권하노니’앞에 접속사 ‘데, 그러나’가 생략되어 있다. ‘너희들이 계속적으로 사랑을 행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너희들에게 권면한다’라는 뉘앙스이다. 
‘많이 하고’로 번역된 ‘피릿슈에인’의 원형’패릿슈오’는 앞서 3:12, 4:1에서도 사용된 동사로 차고 넘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바울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잘 하고 있고 하지만 그 자리에 멈추지 말고 더욱 잘 할 것을 격려하고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주마가편’, 달리는 말에 채찍질을 더하고 있는 것이다. 
 
At a more practical level it meant that Christians traveling between cities could obtain hospitality from their brothers and sisters in places where they knew no one. This is exactly what Paul asks of the Roman Christians for Phoebe, a sister and servant of the church at Cenchreae in Achaia (Rom. 16:1f.). In all probability then the Thessalonians had demonstrated their love for their Christian brothers and sisters in Macedonia by providing hospitality for them when they visited Thessalonica, a major port and commercial center as well as the seat of Roman administration for the province.
The second part of v. 10 could be taken with what follows, suggesting that a new theme is being introduced. On the whole, however, it seems more likely that when Paul says παρακαλοῦμεν δὲ ὑμᾶς, ἀδελφοί, περισσεύειν μᾶλλον (“and we exhort you to abound [in love] more and more”), he is referring back to their love for the family of God. Nevertheless, the infinitive περισσεύειν (“to abound”) is the first in a series of four infinitive constructions dependent upon the main verb παρακαλοῦμεν (“we exhort”). This clearly indicates that what follows in vv. 10b–11 continues the theme of familial love begun in vv. 9–10a.
According to v. 10b, the recipients of the letter already demonstrate their love by the way in which they act toward one another as genuine brothers and sisters. Paul urges them to increase their feelings and expressions of love for their brothers and sisters, since Christian love should never become complacent, as though a certain level of love were sufficient to please God.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61–162.
 
11절) 바울은 자기의 일에 충실하며 성실하게 일할 것을 권면한다. 이는 당시 데살로니가 교회안에 재림과 관련된 잘못된 가르침으로 인해서 생업을 포기하고 성실하게 자신의 삶을 살아내지 못하는 이들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처럼 잘못된 시한부 종말론은 일상의 삶을 파괴한다. 
본문은 ‘카이’라는 등위 접속사로 시작되는데 10절의 더 많이 하고라는 부정사와 더불어 ‘권하노니’라는 동사에 걸리는 문장이다. 바울이 10절을 통해서 권하는 내용은 
첫번째, ‘조용히’에 해당되는 ‘헤쉬카제인’으로 이는 ‘헤쉬카조’의 현재 능동태 부정사형이다. 이는 ‘고요하다, 잠잠하다’의 의미로 조용한 생활을 하는 것, 이리 저리 동요되지 않고 차분하게 자신을 지키며 평온함을 유지하는 삶을 살라는 것이다. 
두번째, ‘자기 일을 하라’는 표현은 ‘프랏세인 타 이디아’이다. 여기서 ‘이디아’는 ‘자기에게 속한, 자신만의’라는 의미이고 ‘프랏세인’의 원형은 ‘프랏소’인데 이는 ‘행하다, 실천하다’라는 의미이다. 이 표현에서 ‘프락시스, 행위, 기능’이 또한 ‘프라그마, 일 사건 행위’라는 표현이 유래되었다. 이는 당시 세상 종말이 임박했다는 생각으로 가득차 일상을 무시한 이들이 있었던 사실과 더불어서 당시 교회의 구성원이 아닌 몇몇 형제들이 교회 운영권에 간섭하려 했다는 사실까지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잘못된 종말 신앙으로 인해 일상이 파괴된 이들이나 자신의 권한 밖의 일을 간섭하여 교회 헌금을 유용하려는 이들에 대해서 ‘자기 일에만 전념하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세번째, ‘너희 손으로 일하라’에서 일하다라는 표현은 ‘에르가제스타이’로 원형은 ‘에르가조마이’인데 이는 ‘일하다, 활동하다, 성취하다, 행하다’의 의미를 지닌다. 특히 이는 ‘필요에 따라 정신적, 육체적 일을 함으로써 자신을 발휘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원문에는 ‘이디아이스’, ‘자신의’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는 ‘너희 자신의 손으로 일하라’라는 의미이다. 이는 당시 헬라의 노동관점에서 보면 손으로 일하는 것은 노예들이나 하는 것으로 자유민들은 이를 천박한 것으로 여겼다. 바울은 그런 세계관을 깨뜨리고 자기 스스로의 손으로 직접 일할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바울은 이 세가지의 내용을 힘쓰라고 권면한다. ‘필로티메오마이’는 ‘좋아하다, 사랑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필로스’와 ‘명예’를 의미하는 ‘티메’의 합성어로 ‘명예를 좋아하다’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이 단어는 명예심의 동기로부터 어떤 일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하다, 열망하다라는 의미로 발전하였다. 
 
Most recent commentators favor a different view. 2 Thes. 3:6–13 reveals that some of Paul’s converts were refusing to work to earn their own keep. This is then connected with the eschatological expectation of the community, to suggest that some had stopped working because they believed that the coming of Jesus was so near at hand that there was no reason to work (cf. Frame, 159f.; Rigaux, 519–521; Best, 175f.; Bruce, 90f.). Against this view, however, is the fact that Paul does not himself make this connection in any explicit way. It also leaves unanswered the relation between the exhortations to familial love and to the quiet, self-sufficient life. A clearer picture of the situation at Thessalonica will emerge if we pay attention to the insights of Hock and Malherbe.
The first exhortation in v. 11 (the second in the series begun in v. 10) consists of two infinitival phrases. Paul exhorts the Thessalonians φιλοτιμεῖ σθαι ἡσυχάζειν καὶ πράσσειν τὰ ἴδια (“to aspire to live quietly and to tend to your own affairs”). The expressions “to live quietly” and “to tend to one’s own affairs” go together and have unmistakable political connotations (Hock, Social Context, 46f.). To say, as Frame (161) does, that they could not have this public sense in our text because the Christians were not philosophers but workers ignores one of the vital pieces of data in the letter. When Paul’s readers had converted to Christianity, as has previously been observed, a public outcry arose and resulted in oppressive measures against them (cf. 1:6; 2:14; 3:3f.). Whether willingly or unwillingly, they had come into public view and had suffered for their faith. Thus Paul’s exhortation to them “to aspire to live quietly and to mind your own affairs” was an eminently practical piece of advice. He hoped that by maintaining a low profile they would avoid further trouble for themselves. The likelihood of this suggestion receives support from v. 12, as we shall see.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62–163.
 
12절) 본절은 앞선 11절 권면의 목적에 해당된다. 
그 첫째 목적은 외인에 대하여 단정히 행하기 위해서이다. 외인으로 번역된 ‘투스 엑소’는 ‘밖에 있는 사람들’이란 의미이다. 유대인들에게는 이방인이요, 그리스도인들에게는 비그리스도인을 지칭한다. 
‘단정히’로 번역된 ‘유스크모노스’는 ‘좋은’을 의미하는 ‘유’와 ‘모양’을 의미하는 ‘스케마’의 합성어로 ‘적절하게, 품위있게, 모양새 있게’라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단정하다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이는 외모, 옷 매무새를 의미한다기 보다는 그리스도인들의 삶을 주시하면서 비난거리를 찾는 이들에게 빌미를 주지 않도록 하나님의 이름에 합당하게 살아갈 것을 권고하는 것이다. 
‘행하다’라는 표현은 ‘페리파테터’로 원형은 ‘페리파테오’이다. 이는 ‘주위’라는 의미의 ‘페리’와 ‘걷다’라는 의미의 ‘파테오’의 합성어이다. 주위를 걷는 것이라는 의미로 특정한 방식으로 살거나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두번째 목적은 아무 궁핍함이 없게 하기 위해서이다. 물질적으로 아무도 궁핍하지 않도록 살기 위해서 힘써서 자기의 일을 하라는 것이다. 11절의 삶을 제대로 살아내지 않으면 궁핍함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다른 형제에게 의존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e ethical exhortation of the previous two verses is twofold according to v. 12. The second purpose, ἵνα … μηδενὸς χρείαν ἔχητε (“that you have need of nothing”—or “no one” if μηδενός is taken as masculine rather than neuter) is linked most closely with the requirement that the readers “work with their own hands.” By doing this they would provide for themselves sufficiently well to avoid needing material assistance from their fellow Christians. It is improbable that idle Christians would find any support outside the church. Therefore it seems reasonable to see ἵνα περιπατῆτε εὐσχημόνως πρὸς τοὺς ἔξω (“that you live becomingly toward outsiders”) as providing the purpose of “aspiring to a quiet life” and “minding their own affairs.” Paul’s hope was that no new wave of oppression would break out in Thessalonica if his converts acted with circumspection toward their non-Christian neighbors (τοὺς ἔξω), thereby giving them no reason to react against the Christians. The phrase “those outside” derives from the fact that Paul had erected a group boundary for his converts and wished to preserve it in order to maintain their sense of identity and separation from the pagan society of which they had formerly been a part (cf. 1 Cor. 5:12f. and Col. 4:5; see Meeks, First Urban Christians, 84–107 on group boundaries in Pauline Christianity).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6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