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교회 트렌드 2025(규장)

 

1. 유반젤리즘(You-vangelism)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면서 유튜브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그 이전에도 유튜브는 많은 사람 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많은 사람에게 익숙해진 콘텐츠 가 있다면 단연 유튜브이다. 유튜브는 기독교인들의 일상에서도 익숙한 콘텐츠가 되었다. 기독교인들은 유튜브로 CCM을 듣고 설교를 듣는다. 이른바 유튜브 에반젤리즘(Youtube Evangetsm), 유빈 젤리즘(Your vangelsm)의 시대가 되었다. 기독교인들은 이제 홀로 부흥회를 할 수 있다. 혼자 유튜브로 성경말씀 낭독을 듣고 목회자들의 설교를 들으며 은혜를 받는다. 다양한 단체와 개인이 부르는 찬양을 들으며 눈물을 흘린다. 궁금한 것이 생기면 유튜브로 바로 검색하고 성경공부도 한다. 유명한 성지순례 장소도 단번에 갈 수 있다. 과거에는 특정 장소를 직접 가야만 가능했던 일들이 이제는 핸드폰 하나면 언제든 방문이 가능하다. 검색 한 번으로 성경의 배경이 되는 땅과 당시 문화를 생생히 알 수 있다. 예배는 이제 유튜브 하나로 대체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그렇다면 유반젤리즘 시대에 교회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유반젤리즘 시대에도 효과적인 목회가 가능할까? 유튜브로 대체할 수 없는 교회의 기능과 사역은 무엇인가? 사람들이 왜 교회에 나오지 않으면 안 되는가? 유반젤리즘 시대에 우리가 물어야 하는 질문들이다. 이제 유반젤리즘 시대에 나타나고 있는 익숙한 현상들과 그것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살펴본다. 더불어 이런 변화가 목회 현장에 어떤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는지 모색해본다.

 

 

2. 멘탈 케어 커뮤니티(Mental Care Community)

급격한 기술발전과 글로벌화, AI의 발달, 고도화된 경제시스템 등은 현대 사회의 특징을 이루며 유토피아를 꿈꾸게 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치열한 경쟁과 사회적 불평등, 노동시장의 급변으로 인한 일자리의 불안정, 불공정한 사회 시스템과 부조리는 현대인들로 하여금 수많은 역기능적 결과를 초래한다. 정신건강의 문제는 그 대표적 증상이다. 특히 한국 사회 속에서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같은 정신적 문제는 이제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급속한 경제 성장 속에서 무한 경쟁하며 살아가는 삶은 상상을 초월하는 부담을 만든다. 일과 학업, 가족과 사회적 관계에서의 성공과 성취, 자아실현 등을 향한 추구는 사람들의 정신건강을 해치고 있으며 심지어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으로까지 몰고 가고 있다. 정신건강에 있어서 한국 교회도 예외는 아니다. 신자들에게는 정신건강이라는 중요한 과제가 놓여 있다. 건강한 정신심리적 상태를 가지지 못한 상황에서 건강한 신앙생활은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이 장에서는 개신교인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교회의 사역을 일곱 가지로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교회는 교인들이 삶의 스트레스에 압도되지 않도록 성숙한 신앙적인 삶의 원칙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교회는 교인들이 정신건강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셋째, 교회는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교회는 특정 세대와 특정 사안별로 정신 건강 지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교회는 정신건강에 관련된 편견, 낙인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여섯째, 교회는 교 회 내에 정신건강 관련 특정 이슈의 어려움을 가진 사람들과 그 가족들을 위한 작은 공동체를 구성 할 수 있어야 한다. 만일 여건이 된다면 사회를 향한 활동에까지 확대할 수 있어야 한다.

일곱째, 교회는 자살 이슈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3. 포텐셜 레이어티(Potential Laity)

지역 교회 부교역자를 구할 수 없어 평신도를 활용한 사역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교회학교 부교역자나 교육전도사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는 말이 나오면서 그 빈 자리를 평신도로 채우는 것이 최근 중소형 교회를 대상으로 활발하다. 경험과 은사를 가진 성도를 선발해 일정 수준의 훈련과 교육을 거쳐 그 역할을 감당케 하는 것이다. 평신도들이 교역자를 대체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한국 교회 부교역자 사역 기피 현상과 신학교 지원자 감소라는 피할 수 없는 현실 때문이다. 신학교 지원자가 감소하는 데다가 지원자들도 시니어 세대 졸업생이어서 일선 교회 교육전도사로 청빙을 받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렇게 부교역자 구인난이 심각해지자 일선 교회들은 영성과 전문성을 가진 평신도를 교역자화해 사역에 투입하고 있다. 평신도 사역자화는 부교역자를 구할 수 없는 현실에서 비롯됐지만 평신도는 본질적으로 교회와 사회에 파송된 사역자요 선교사라는 목회자들의 인식 변화도 그 이유로 꼽힌다. 평신도 사역은 이미 고 옥한흠 목사의 (평신도를 깨운다, 국제제자훈련원)를 비롯해 폴 스티븐스의 (참으로 해방된 평신도),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IVP) 등의 저서가 소개되면서 교회 안의 평신도 사역을 비롯해 세상 속 그리스도인의 사명과 소명이 강조된 바 있다. 하지만 일부 교회를 제외 하고 평신도 사역은 요원했다. 여전히 평신도는 목회적 돌봄을 받는 수동적 위치에 머문 채 교회와 세상이라는 이분법적 구분 속에 살았다. 평신도는 주체적으로 교회 사역에 참여하지 못하고 목회자 위주의 교회 사역이 주를 이뤘던 것이다.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한국 교회의 지속적인 침체와 위기는 평신도를 교회 사역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 코로나19는 그 전환점이었다. 평신도를 중심으로 한 가정예배와 온라인 예배, 소그룹 활동이 빛을 발하면서다. 이를 통해 목회자들이 평신도에 대한 중요성을 절실하게 인식하기 시작했고 지금은 교회 사역 전반에서 평신도들을 활용하고 있다. 교육전도사 역할을 비롯해 심방, 새신자 양육, 성경공부, 기도회 등 그 영역은 다양하다. 봇물 터진 평신도 사역의 큰 흐름은 어디로 흘러갈 것 인가, '한국 교회 트렌드 2025 조사’에서는 그 양상을 목회자와 평신도를 통해 직접 확인했다. 그 결과 이제 포텐셜 레이어티(Potenital Laity)의 흐름은 거부할 수 없게 됐다.

 

 

4. 오소프락시(Orthopraxy)

오늘날 양극화는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부의 양극화, 이념의 양극화, 심지어 대형 교회와 소형 교회의 양극화까지. 여기에 기독교인의 신앙 양극화라는 새로운 과제가 떠오르고 있다. 신앙의 양극화는 다른 양극화와는 결이 약간 다르다. 대부분 양극화는 골치 아픈 부정적, 극단적 현상인데 반해 신앙 양극화는 부정적 차원을 내포하는 동시에, 기회와 방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탈교회화와 가나안 성도 현상은 수년 전부터 한국 교회가 마주한 과제였다. 이는 점점 더 많은 이들이 기독교 신앙으로부터 이탈하기 때문에 양극화의 부정적 축이 분명하다. 그런데 신앙의 양극화는 하향평준화가 아니다. 다른 반대 축에서는 신앙의 깊이와 진정성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있기 때문이 다. 따라서 신앙 양극화가 부정적이지만은 않다. 마치 먹구름 속의 한 줄기 빛과 같다. 기독교 교세의 약화에도 불구하고 영적 필요에 대한 갈망은 항상 존재하기 마련이다. 한국 교회 트렌드 2025 조사에서는 신앙 양극화의 긍정 축인 신양의 깊이를 추구하는 흐름을 포착했다. 전체적인 신앙생활이나 교회 활동에서 신앙의 깊이와 수준에서 의미있는 움직임이 있다. 조사에서는 신앙이 깊어진 이들의 가장 두드러진 참여 활동이 소그룹과 지역 사회 봉사로 나타났다. 이런 점들을 고려할 때 신앙 양극화의 초점은 '오소프락시’라는 신앙의 정통 실천으로 향하고 있다.

 

 

5. 패밀리 크리스천(Family Christian)

한국 교회의 가족 종교화 현상이 뚜렷하다. 다른 종교에 비해 개신교는 배우자 및 자녀와의 종교 일치율이 더 높다. 개신교인이 배우자와 종교가 일치하는 비율은 71.6%로 가톨릭(59.3%), 불교(58.3%)보다 높고 자녀와의 일치도 67.2%에 달한다. 이는 가톨릭(57.6%), 불교(35.1%)보다 높은 수치다. 20년 전 일치율이 90% 안팎이었던 것에 비하면 많이 감소했지만 여전히 다른 종교에 비하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가구주 배우자를 기준으로 보면 가족 간 종교 일치율은 더 높다. 대다수 가정의 가구주가 남성이라고 볼 때 어머니가 개신교일 경우 가족 전체가 개신교일 확률이 더 높은 것이다. 자녀 기준으로 보면 현재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청소년이나 청년 상당수는 개신교인 가정에 속해 있다는 것이 더 뚜렷해진다. 기독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를 보면 모태신앙이 52.9%였고, 초등학교 입학 전 교회에 나온 비율은 64.6%로 3분의 2에 가까웠다. 기독 청소년들의 경우 가족 종교화 현상은 더욱 심하다. 모태신앙이 60.4%로 나타났고, 초등학교 입학 전 교회를 나온 비율은 79.9%로 다수를 차지했다. 이것은 개신교 역사가 길어지면서 개신 교인 가족 안에서 신앙 계승이 이루어지고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신앙이 일치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태어나면서부터, 또는 어려서부터 부모의 영향으로 교회에 나가게 된 사람들, 가족과 함께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이다. 개신교의 가족 종교화는 자녀 세대에게 신앙을 전수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장점도 있으나, 어려서부터 본인의 의지보다는 부모의 의지로 갖게 된 신앙이 성인이 되어서는 오히려 약화될 수도 있다는 단점도 있다. 이와 함께 교회에서는 가족과 함께 교회에 다니지 않는 교인들을 더 배려하고 살펴야 하는 과제가 주어지기도 한다. 가족 중교회는 개신교의 확장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가족들끼리 교회에 나오는 사람들이 교인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은 전도를 통해 새로 유입되는 전입 신자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곧 비개신교인 가족 중에 교회에 나오는 사람들의 비율은 점점 줄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이 심화되면 한국 개신교는 그들만의 종교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

 

 

6. 스피리추얼 Z세대(Spiritual Gen Z)

Z세대는 1995년 이후 출생한 소위 20대 청년들을 지칭한다. 이들은 디지털 네이티브로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술에 익숙한 세대이다. 디지털 환경에서 자라나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접하며 성장했다. Z세대는 대한민국 인구 전체의 13.8%를 차지하며 전 세계 소비자의 40%를 구성한다. 이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경제, 사회, 종교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하다. Z세대는 공정하지 않은 사회와 미래의 경제적 풍요에 대해 비관적이며 ‘나' 중심의 행복을 추구한다. 이들은 디지털을 통해 사회문제와 이슈를 접하고 착한 소비와 독특한 경험에 관심이 많다. 취미 활동, 일, 진로 고민, 자아성찰 등에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한편 크리스천 Z세대는 신앙생활을 중시하며 디지털 매체를 통해 신앙적인 자료에 접근하고 교회와 사회적 가치관을 조화시키려 한다. 스피리추얼 Z세대인 것이다. 그들은 인생에서 행복한 가정, 건강, 신앙생활, 경제적 부를 중요하게 여긴다. 주요 고민으로 진로와 연애, 결혼이 있으며, 고민 해결 방법으로는 혼자 해결, 기도, 친구와 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신앙적 방법보다 개인적 방법으로 고민을 해결하려 한다. 교회 내 이성 교제는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고 결혼에 긍정적이며 자녀 계획도 적극적이 다. 처음 교회에 나온 시기는 대부분 초등학교 이전이며 신앙생활에 가장 영향을 준 사람은 어머니였다. 교회 활동에서 교제와 소그룹 활동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한다. 목회자 및 어른에게 실망한 경험이 많고 위선적인 모습에 가장 실망한다. Z세대는 오프라인 예배를 선호하며 교회는 이에 따라 Z세대 의견 수용, 수평적 의사소통, 전통적 예배 형식의 변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Z세대와의 소통을 위해서는 이들의 특성과 관심사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첫째, 경청과 공감이 중요하다. 둘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소통해야 한다. 셋째, 멘토링과 관계 구축을 통해 개인적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넷째, 투명성과 진정성을 유지해야 한다. 다섯째, 다양성과 포용성을 강조해야 한다.

 

 

7. 싱글 프렌들리 처치(Single Friendly Church)

싱글들을 만나 이야기해보면 공부하고 일하고 교회활동 열심히 하다보니 어느새 30대 중반, 40대이 들어서게 됐다 말한다. 그런데 이들은 교회에서 자신의 삶의 고민이나 어려움에 대해 터놓고 대화할 사람을 만나기 어렵다고 호소한다. 목회자들도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몰라 어려움을 느낀다. 싱글들이 목회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 것이다. 아직까지 교회에는 싱글들을 결혼 대기자로 보는 시각이 존재하고 싱글에 대한 편견도 강한 편이다. 이 상황에서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싱글로 있는 사람들은 현재 삶에 어떻게 대처할지 당황스러울 때가 많다. 하지만 교회는 이들의 어려움을 깊이 인지하지 못하거나 관심 밖인 것 같다. 그런데 우리 모두가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 있다. 싱글라이프는 현재 결혼 상태에 있지 않은 싱글에만 해당하는 삶이 아니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결혼하기 전, 그리고 결혼을 했더라도 이혼하거나 사별하게 되면 다시 싱글 상태로 돌아간다. 모든 사람에게 싱글라이프는 삶의 주기 가운데 상대적으로 길거나 짧거나 하는 차이만 있을 뿐, 모든 사람의 삶의 여정의 일부이다. 따라서 싱글라이프는 나와 상관없는 삶이 아니라 현재 결혼 상태에 있더라도, 언젠가 내가 다시 맞이할 삶임을 기억해야 한 다. 이에 따라 싱글들과 함께 삶을 공유하고 이들을 배려하는 교회 분위기와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현재 싱글 인구의 증가 주세를 볼 때 결혼하지 않고 평생 싱글로 살거나 늦게 결혼하는 사람들이 중가하는 현상은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교회도 이제 싱글들의 삶을 존중하고 이들을 섬기는 사역에 관심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이 글에서는 싱글들의 삶과 교회생활, 싱글들이 교회에 기대하는 것, 그리고 교회에서 이들을 어떻게 섬기면 좋을지, 더 나아가 싱글친화적인 교회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 그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8. 시니어 미니스트리(Senior Ministry)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울 만큼 빠른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다. 2025년 초고령 사회진입 후에는 더 빠른 고령화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고령화율이 가장 높은 일본을 30년 내에 추월해 OECD 최고령 국가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초고령사회와 같이 고령자가 다수를 차지하는 시대는 고령화 문제를 개인이나 가족 차원에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고령화 문제를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즉 적극적 노화의 개념으로 전적인 방향 전환을 하지 않고서는 해결되기 힘들다는 것이 국제 사회의 결론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제 사회는 고령화 시대에 최적화된 대안 패러다임으로 '고령친화성(age friendliness)을 선택했다. 이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는 '고령친화도시와 지역 사회(age-frendy cities and communities) 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고령친화대학 국제네트워크(age friendly university global network)가 연령 통합을 추구하는 새로운 대학으로 그 역할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초고령화 시대를 맞이해 심각한 고령화 현실에 직면하고 있는 교회는 지속가능한 성장 및 고령화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위해 본격적으로 '고령친화성’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는 초고령사회의 새로운 선교적 교회 모델로서 고령친화교회(age friendly church)의 토대를 갖추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향후 10년 내에 고령자의 다수를 차지하게 될 활동적 노화를 추구하는 엑티브 시니어(active senior) 강점과 노인의 취약성 모두를 포용할 수 있는 고령친화교회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른다면 초고령사회는 한국 교회의 기회가 될 것이다. 그렇지 못할 경우 고령화는 한국 교회의 위기가 될 것이다. 이런 점에서 고령친화교회는 초고령사회에 활동적 노화를 위해 교회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이 될 것이다.

 

 

9. 솔트리스 처치(Saltless Church)

‘교회가 세상을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이 교회를 걱정한다’는 우스갯소리 같은 이야기가 자주 들린다. 이러한 말이 나오는 이유 중 하나는 목회자를 포함한 성도와 교회를 둘러싸고 언론에 오르내리는 불미스러운 일들 때문일 것이다. 한마디로 그리스도인과 교회가 제 역할을 감당하지 못한 채 세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맛을 잃은(Saltless) 교회와 같다. 한국 교회 일련의 세속화 현상은 심화하고 있으며 더 강화되고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세속화란 사회와 문화의 여러 영역에서 종교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세속화는 제도적 측면 외에도 개인적 측면이 존재한다. 즉 개인의 종교적 신념과 실천이 약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스도인으로서 기준점을 잃어버리고 세상이 제시하는 기준이 중심이 되어 살아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교회 공동체가 거룩성을 지녀야 할 대안 공동체로서 기능하지 못하고 세상과 구별되지 못한 채, 세상과 닮아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세속화란 성도와 교회가 세상의 영향을 받아 그 본연의 비전을 상실해가는 현상인 동시에 세상이 더 이상 그리스도인의 삶과 교회의 가르침에 귀 기울이지 않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히려 사회와 그 구성원들이 직면한 세속화 환경(다원주의, 물질주의, 이성주의 등의 환경)이 강해질 수록 개신교 역시 세상의 가치관과 문화에 영향을 받게 되었고 이제는 개신교 신앙 고유의 정체성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사회와의 구별이 점점 사라지는 ‘교회 세속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교회 세속화’란 신앙인의 믿음이 약화되고 선한 삶의 열매가 사라지는 것, 교회가 세상에 목소리를 발신하지만 세상이 듣지 않으며,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 교회의 교회됨을 상실하고 세상과 같아지는 것 등을 의미한다.

 

 

10. 미션 비욘드 트래디션(Mission Beyond Tradition)

선교는 시대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최근 30년간 국제 사회 전반에 일어난 변화의 정도와 범위는 그 유래를 찾기 어렵다. 선교도 예외일 수 없다. 세계화, 도시화, 인구이동, 기술발전 그리고 세계 기독교 시대 등의 다양한 영향,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이 변화의 가속 페달을 밟으면서 세계 선교 상황도 급변하고 있다. 한국 교회는 세계 선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해 왔다. 하지만 빠르게 변하는 환경은 한국 교회 선교에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뜨거운 열정의 한국 교회였지만 지금은 적절한 변화와 선택이 필요한 시대를 맞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 교회는 오늘의 환경을 이해하고, 마주한 상황을 적절하게 판단하고 반응해야 한다. 무엇보다 시대적 필요와 요청 가운데 부상하는 선교의 영역들을 준비하고 수행해나가야 한다. 한국 교회 선교가 과거의 빛나는 유산으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변화를 기꺼이 감내할 용기와 함께 미래를 맞을 준비를 해야 한다. 미션 비욘드 트래디션(Mission Beyond Tradition)이 시급하다. 이번 '한국 교회 트렌드 2025 조사’에서 선교사들은 한국 선교의 향후 전망에 대해 낙관보다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또 젊은 선교사일수록 한국 선교의 미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컸다. 한국 교회는 어떻게 어두운 미래 선교 전망을 다시 희망으로 바꾸어 갈 수 있을까? 성도와 목회자 그리고 현장 선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광범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가 속한 시대 환경을 살펴보고 지역 교회가 참여하고 준비할 사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728x90

2017년도부터 전주대 강의를 진행했다. 

처음 두 해는 진로 채플을 진행했고 이후에는 기독교 교양필수(3학점) 과목을 강의했다. 

지금의 강의 제목은 '기독교 윤리와 적성-인생의 의미'이다. 

매 학기 강의를 마치고 기말고사를 치르고 나서 자체 강의 평가를 같은 항목으로 진행한다. 

전체 항목중 내가 가장 관심있게 보는 항목은 13번, 14번 문항이다. 

본 강의를 수강하기 전과 후의 기독교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보여준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첨부된 내요을 살펴보세요.~~

2024년 2학기 기독교윤리와적성 강의평가(박기모).pdf
1.54MB

728x90

트렌드코리아 2025(미래의 , 김난도)

 

2024년의 트렌드 키워드는 'DRAGON EYES'였습니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 분초사회(Don’t Waste a Single Second : Time-Efficient Society)
  • 호모 프롬프트(Rise of ‘Homo Promptus’)
  • 육각형인간(Aspiring to Be a Hexagonal Human)
  • 버라이어티 가격 전략(Getting the Price Right : Variable Pricing)
  • 도파밍(On Dopamine Farming)
  • 요즘남편 없던아빠(Not Like Old Daddies, Millennial Hubbies)
  • 스핀오프 프로젝트(Expanding Your Horizons : Spin-off Projects)
  • 디토소비(You choose, I’ll Follow : Ditto Consumption)
  • 리퀴드폴리탄(Elasticity. Liquidpolitan)
  • 돌봄경제(Supporting One Another : ‘Care-based Economy)

2024년의 트렌드는 한정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시간 가성비를 추구하며, 일상 재미와 즐거움을 우선시한다. 또한 경기 침체로 인한 불황형 소비가 두드러지면서 일상 쉼이 강조되고 있다.

그래서 트렌드 코리아가 선정한 10 상품을 보면 다음과 같다.

 

트렌드 코리아는 2025 키워드를 가지 맥락에서 'SNAKE SENSE' 도출했다. 첫째, 벼리가 되는 트렌드, 둘째, 경제적 정체 상황에서 비롯된 미시적 트렌드, 셋째, 인구·기술·환경적 변화에서 촉발되는 거시적 트렌드이다.

 

SNAKE SENSE, 뱀의 남다른 감각

2025년은 을사년 푸른 뱀띠 해다. 뱀은 배와 움이 합쳐진 말로, 배로 움직이는 동물이라는 뜻이다. 배로 기어가는 형태와 독성 때문인지 뱀은 오랫동안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뱀을 보면 왠지 징그럽다. 아담과 이브의 이야기에서 보듯, 간악한 이미지도 강하다. 반면 뱀에게는 숭상의 측면도 있다. 새끼를 많이 낳기에 풍요와 다산의 상징이며, 꿈에 뱀이 나오면 재물이나 자녀를 얻을 징조라고 해석한다. 치유력을 가진 존재여서 의술 관련한 상징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성서에도 "뱀처럼 지혜로워라"라는 표현이 있듯이, 뱀은 현명한 존재로 여겨져 왔다. 우리 문화에서 뱀은 재물을 지켜준다. 구렁이를 업이라고 부르며 집안의 부를 지켜주는 존재라고 믿었다. 이처럼 뱀은 이중적 존재다.

 

뱀은 환경 적응력이 뛰어난 동물이다. 자기 몸이 커지면 허물을 벗고, 날이 추워지면 동면을 한다. 구태를 미련 없이 버리고 떠난 자취를 보면, 뱀은 죽지 않고 영원히 살지도 모른다는 불사자의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갖게 된다. 이런 특성은 환경 변화가 상수가 현대사회를 살아야 하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트렌드가 격변하는 시대에 죽지 않고 살아남으려면, 환경 적응과 자기 혁신, 가지가 핵심이라는 것이다. , 껍질을 벗는 고통을 감수하고서라도 성장해나가야 하고, 추워지면 추워지는 대로 더워지면 더워지는 대로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한다.

 

적응과 혁신을 실천하기 위한 단계는 환경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하는 일이다. 그래서인지 보기와 다르게 뱀은 매우 발달한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다. 뱀은 후각이 예민하다. 혀를 날름거리는 이유는 먹이의 냄새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열을 감지할 수도 있고 미세한 땅의 진동이나 세밀한 공기의 흐름을 느껴 먹이의 존재를 파악할 수도 있다. 뱀의 눈은 크고 무서운데 역시 어둠 속에서도 먹이를 있도록 눈동자가 발달한 탓이다. 마디로 감각기관을 총동원해 환경 변화를 감지하고 먹이를 찾아내는 능력이 뱀의 비범함이다.

 

우리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대응이 어려운 격변의 시대를 살고 있지만, 감각과 직관을 총동원해 변화를 감지하고 새로운 먹거리를 탐색해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뱀이 가진 예민한 감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녹록지 않은 2025년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snake처럼 섬세한 감각sense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올해의 영문 키워드 운은 'SNAKE SENSE' 정했다. 뱀처럼 날카로운 감각으로, 새로운 기회를 잡아채자. 올해의 표지색은 초록과 오렌지의 '그라데이션'으로 골랐다. '그라데이션K'라는 키워드가 있기도 하고, 뱀이 가진 공포와 숭상의 이중성은 상반된 특성의 공촌을 의미하는 그라데이션과도 맞았기 때문이다. 한쪽 끝의 초록은 우리가 감수성을 높여야 자연에서, 다른 끝의 오렌지는 귀엽고 무해한 것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옴니보어(Savoring a bit of everything omnivores)

옴니보어(omnivore) 사전적으로는 잡식성이라는 의미지만, 파생적으로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갖는다" 뜻도 함께 가지고 있다. 사회학적으로는 특정 문화에 얽매이지 않는 폭넓은 문화 취향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트렌드 코리아 2025’ 여기서 걸음 나아가 주어진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자신만의 소비 스타일을 가진 소비자를 옴니보어라고 칭하고자 한다.

옴니보어는 늘어난 기대수명과 이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 순차적 인생 모형의 폐기 새로운 인생의 포트폴리오를 마주한 사람들의 모습을 반영한다. 역사상 가장 많은 세대가 공존하며 온라인을 통한 세대 교류가 활발해진 것도 옴니보어의 등장 배경이다.

마케팅의 기본 중의 기본인 인구학적 기준에 의한 시장 세분화, '세그먼트(segment)’ 개념이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다. 이제 가치, 취향, 기분, 상황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통한 개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폭넓은 세그먼트가 아니라 유효 시장의 핵심을 공략할 있는 무게중심을 가진 마이크로 세그먼트를 찾아야 한다. 개개인 또한 자신의 가능성을 제한하지 않는 '퍼레니얼적 사고' 필요하다.

 

현상

  • 주어진 고정괸념에 얽매이지 않는 자신만의 소비 스타일을 가진 소비자
  • 소비의 전형성이 무너진다. 집단의 차이(세대와 젠더의 경계) 줄고 개인의 차이는 늘고 있다.
  • 샐러드, 첫째 출산, 대학 신입생

이유

  1. 노령화, 순차적 인생 모형의 변화
  2. 구독 채널이 비슷하다. 알고리즘이 비슷
  3. 소득, 성별의 관점이 무너지고 있다. 나이가 아니라 이벤트로 공략

시사점

  • 데모그래픽 세그먼트에서 CoG 타깃으로( 데이터의 중요성)
  • 탈세대 인류, 페레니얼(다년생 식물) 사고가 필요하다.

 

아보하(Nothing out of the ordinary: Very ordinary day)

한국 사회의 행복 담론이 바뀌고 있다. ‘행복해야 한다' 믿음에서 걸음 비켜서서 너무 행복하지도 너무 불행 하지도 않은 일상, 그저 '무난하고 무탈하고 안온한 ' 가치 있게 여기는 태도를 '아주 보통의 하루, 줄여서 '# 보하'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매일매일 전쟁을 치르는 것처럼 힘든 사회에서, 오늘을 힘껏 살아낸 것만으로 스스로 대견하지 않은가? 행복까 이르지는 않았더라도 말이다. 누군가는 보통의 하루에 집중하는 사람들에 대해 도전 정신이 없다거나, 너무 지쳐서 그런 것이라는 평가를 내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들은 게으른 것도, 탈진한 것도 아니다. 하루하루 열심히 살고자 하는 삶의 태도에는 변함이 없다. #아보하는 행복의 과시로 변질된 '소확행(작지만 확실한 행복)' 대한 피로이자 반발이다. 작더라도 확실하게 행복을 추구하고 그것을 과시해야 한다는 강박이 오히려 행복을 방해하는 가장 이유는 아니었을까? 사회, 경제적 양극화가 심해지며 계층 간의 격차가 견고해지고 있으며, 자랑으로 가득한 소셜미디어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한 지도 오래다. 무언가 더하지도 빼지도 않은 일상적인 소비가 우리가 숨쉴 있는 안전지대인지도 모른다. 특별한 행복이 찾아오지 않았더라도 오늘은, 아주 보통의 오늘은 중요하다.

 

의미

  • 너무 행복하지도 너무 불행하지도 않은 일상, 무난하고 무탈하고 안온한 삶을 가치있게 여기는 태도. 정신승리
  • 소확행의 변질. SNS 해시태그
  • 특별한 순간이 아닌 평범한 일상, 남에게 과시하지 않고 나에게 집중, 인정보다 긍정, 행복이 아니고 행운

현상

  • 자기 지향적 소비, 명품 립스틱과 명품 치약
  • 원영적사고 변환기

 

배경

  • 나은 내일이 사라진 정체사회
  • 소확행에 대한 피로, 과시적 행복 추구에 대한 반발

시사점

  • 많은 사건사고 하루하루 일상에 감사, 평온한 하루에 감사
  • 골디락스’(너무 차갑지도 않은 적당한 상태) 환경에 대한 감사

 

토핑경제(All about the toppings)

남과 똑같은 것은 싫다. 피자에 토핑을 추가하듯이, 기성 상품에 나만의 독창성을 덧붙이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용상품을 변형해 개성을 부여하는 커스터마이징 시도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오늘날 소비자들은 더욱 색다르고 다양한 토핑을 얹어가면서 옵션 추가가 기본보다 비싼, ‘배보다 배꼽이 ' 상황도 마다하지 않는다. 이처럼 상품이나 서비스의 본질적인 부분보다 추가적이거나 부수적인 요소인 '토핑' 더욱 주목받아 새로운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는 시장의 변화를 '토핑경제' 명명한다.

사람들은 무엇보다 꾸미는 열중한다. 티셔츠에는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의 와펜을 붙이고, 가방에는 키링 개쯤은 달아주는 식이다. 또한최고의 상품'보다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상품' 추구한다. 소비자는 제조사가 제공하는 여러 요소들을 다양하게 조합해 자기만의 최적 조합을 만들어내고, 넣고 빼기 손쉬운 모듈형 토핑을 활용 상품을 그때그때 변형하는 것을 즐긴다. 토핑경제의 도래는 요즘 시장이 소비자들의 개성과 창의력을 발휘하는 효능감의 경연장이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 손댈 없는 완벽한 기성품을 선보이려 하기보다, 다양한 토핑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소비자가 상품을 재해석하고 참여할 있는 여지를 제공하라. 당신의 상품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고객이 토핑을 더해줄 때까지는.

 

현상

  • 꾸안꾸보다 꾸꾸꾸, 얹고 얹고 얹는 토핑(크룩스 꾸미기)
  • 최고보다 최적, 나에게 맞춘 토핑
  • 완성보다 변형, 모듈형 토필

배경

  • 표준화 경제에서 토핑경제로, 상품의 상향평준화, AI 등장
  • 소비자 효능감
     

시사점

  • 도우(기본적 가치) 잊지 말아야 한다
  •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토핑 생태계 조성

 

페이스테크(Keeping it human: Face tech)

누구나 첫인상이 중요하다. 얼굴에 공을 들이는 이유다. 기술도 마찬가지다. 무생물인 기계에 표정을 입히고, 사람 얼굴과 표정을 정확하게 읽어내며, 사용자마다 각자의 얼굴을 만들어내는 기술인페이스테크' 중요해지고 . 페이스테크는 점점 복잡해지는 첨단 기술을 처음 접했을 , 직관적으로 사용법을 알리고 인지오류를 줄여줄 뿐만 아니라 친근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을 매료시킨다. 이제 사용자들은 얼마나 정교한 인공지능을 탑재하고 있느냐보다 얼마나 사람과 유사한 느낌을 주는가로 로봇의 완성도를 판단한다.

지금까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 UI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면, 앞으로는 가르쳐주지 않아도 쉽게 인지하고 직관 적으로 사용할 있도록 하는 어포던스 affordance 주목받 것이다. 가장 쉽고 직관적인 어포던스를 위해서는 페이스테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생성형 AI 만능시대, 앞으로는 사람의 감정을 읽고 대응 하는 능력을 갖춘, 최대한인간적으로' 다가오는 기업과 상품이 선택받을 것이다. 신기술의 향연이 펼쳐지는 치열한 경쟁 구도에서 페이스테크는 기술이 가장 인간에 근접할 있는 혁신적인 무기다.

 

3가지 유형

  • 표정입히기 : 전기차 램프언어, 로봇, 챗봇
  • 표정 읽어내기 : 안면 인식 기술, 감정 파악
  • 고유의 표정 만들기 : 나만의 젠모지(Genmoji), 버츄얼 캐릭터, 뷰티테크

배경

  • 한국은 고맥락 사회로 표정 소통, 분위기 파악이 중요하다.
  • 신기술시대의 어포던스(affordance) : 지각 가능성, 행동 가능성, 사용의 맥락을 높여주는 기술

시사점

  • 직관적 기술 설계는 사용자 학습을 쉽게 하고 비용을 줄일 있다.
  • 기술 과잉의 시대, 기술 자체의 경쟁력보다 기술과 사용자의 교감이 중요하다.
  • 고객의 행동을 가장 쉽게 유도한 상품이 주도권을 쥐게 것이다.

 

무해력(Embracing harmlessness)

작거나 귀엽거나 서툴지만 순수한 것들이 사랑받는다. 이처럼 작고 귀엽고 순수한 것들의 공통점은 해롭지 않고, 그래서 나에게 자극이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며, 굳이 반대 하거나 비판할 생각이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무해함'으로 범주화하고, 이렇게 무해한 사물들의 준거력(relerent power) 강해지는 현상을 '무해력'이라 부르고자 한다.

국민의 사랑을 받은 푸바오와 뒤를 잇는 레서판다, 밤톨이(햄스터) 같은 깜찍한 동물들, 세상 모든 것을 작디 작게 만드는 미니어처 열풍, 서툰 말씨와 대충 그린 이모티콘이 사랑받는 현상에는 이런 '무해력' 자리한다.

무해력이 주목받는 이유는 단지 귀엽거나 예뻐서가 아니다. 경제 불황과 불안한 미래, 날로 심해지는 정치, 사회적 갈등, 코로나 블루에 이은 코로나 레드 (분노) 지친 젊은이들은 스스로를 '긁힌 세대"라고 부르며 자조한다. 이러한 암울함의 반작용에서 귀엽고 순수하고 단순한, 해가 없는 대상을 찾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무해한 존재들을 단지 '부정적인 것의 부재'로만 인식해서는 된다. 그것이 중요하지는 시대적 배경과 특성을 적확하게 파악할 비로소 무해력을 활용한 효과적 대응이 가능하다. 무해력은 이제 어지럽고 혼탁한 세상에서 줌의 희망을 느낄 있는 생존의 비결이 됐다.

 

현상

  • 앙증깜찍 무해력, 작아서 무해하다.
  • 귀욤뽀짝 무해력, 귀여워서 무해하다.
  • 순수대충 무해력, 서툴러서 무해하다.

배경

  • (돌봄을 부르는) 아기는 가장 강력한 설득자
  • 긁힌 세대의 사회적 갈등 심화, 자극적 정보(디지털 피로도) 피로감
  •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

시사점

  • 진정성 있게 전달
  • 해가 없음매력 없음 동의어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
  • 무해함을 강조하는 것은 그만큼 우리를 해치려는 것들이 많아졌다는 의미

 

그라데이션K(Shifting gradation of Korean culture)

K-, K-푸드, K-드라마 수많은 K(한국) 상품이 해외시장을 주름잡는 가운데,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250 명을 돌파해 인구의 5% 육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진정으로 한국적인 것은 무엇인가?" 대한 대답이 쉽지 않다. 오랫동안 한국은 단일민족이 단일국가를 형성하고 있는, 세계적으로 드문 사례라는 고정관념 내지는 자부심이 있었다. 하지만 범세계적으로 동조화가 커지는 대이동의 시대, 지구적으로 취향을 공유하는 글로벌 소셜미디어의 시대에, K 단일한 기준에 의한 이분법으로 규정하기 쉽지 않다. 이에 색깔에서 다른 색깔로 서서히 변화하는 '그라데이션개념을 사용해 한국적 정체성을 파악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그라데이션K'라는 개념을 제안한다.

K 그라데이션은 사람, 문화, 시장 다양한 영역에서 감지된다. 먼저 국내 외국인의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교와 일터에서의 일상이 달라지고 있다. 콘텐츠, 음식은 물론 도시의 풍경까지 한국 문화와 세계 문화의 경계가 흐려진다. 기업에게는 국내 외국인 거주자와 관광객, 나아가 해외 소비자라는 새로운 목표시장이 열렸다. 그라데이션서는 산업적, 문화적인 시사점을 던진다. ‘무엇이 진정으로 한국적 것인가 대한 보다 유연한 담론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상

  • 사람 그라데이션 : 달라지는 학교 풍경, 일상이 외국인 동료
  • 문화 그라데이션 : 몽탄(몽골 + 동탄) 신도시, KFC(Korean Fried Chicken)
  • 시장 그라데이션 :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 대상 시장, 국내 관광 외국인 대상 시장, 국겨 너머의 외국인 대상 시장(할랄 음식)

배경

  • 한국은 oecd기준 다문화국가, 5%이상
  • 글로벌 유동성의 증가와 문화교류 확대
  • 글로벌 플랫폼의 정착 : K 문화 확산(기생충, 오징어 게임, K- 그룹)

시사점

  • 글로벌 인재유치, 외국인 맞춤형 시장을 확대
  • 유연한 한국적 정체성 규정과 개방적 태도
  • 트렌드 변화는 생각의 변화를 요구한다.

 

물성매력(Expressing the physical: the appeal of materiality)

만지고 느낄 있어야 비로소 존재한다. 모든 것이 디지털화되는 비물질의 시대지만 우리는 여전히 체감할 있는 무엇을 갈구한다. 특정 대상에 경험 가능한 물성(materiality) 부여함으로써 손에 잡히는(tangible) 매력을 지니게 만드는 힘을 '물성매력'이라고 정의한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콘텐츠 물성화다. 스크린에서만 존재하던 애니메이션, 드라마 등의 세계가 오프라인 공간에 구현된다. 브랜드의 가치, 콘셉트, 라이프 스타일이 중요해 지면서 브랜드 자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체험'시키는 브랜드 물성화 사례도 늘고 있다. 실생활에 침투한 로봇, 회사의 철학을 품은 '사옥' 물성화의 형태다.

물성매력이 중요해지는 이유는 체험에 대한 요구가 커져가는 흐름 속에서, 소비자가 체감할 있는 물성의 매력을 얼마나 구체적이고 실감나게 제공할 있느냐가 최근 마케팅의 가장 중요한 트렌드가 됐기 때문이다. 세상은 빠르게 디지털화하지만, 외부세계와의 감각적인 소통을 위해 체화된 경험을 추구하는 아날로그적 선호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몸으로 감각하고 싶은 본능과 디지털 가상세계의 효율성이 서로 보폭을 맞추지 못하는 지체를 빚을 수록, 물성매력은 존재감을 더욱 드러낼 것이다. 지금 소비자는 어느 때보다도 사물 본연의 감각을 몸으로 느끼고 싶어 한다. 느낌이 살아 춤추게 하라.

 

현상

  • 콘텐츠 물성화 : 스크린을 찢고 나온 콘텐츠(버츄얼 아이돌, 테마 파트, VR 기기)
  • 브랜드 물성화 : 손에 잡히는 브랜드 가치(팝업 스토어)
  • 기술 물성화 : 물리적으로 경험하는 첨단 기술
  • 조직문화 물성화 : 물성으로 체감하는 기업의 철학

배경

  • 디지털 피로 아날로그 욕구 증가, 원초적 체험에 대한 갈망
  • 신개념 상품의 급증, 기술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효용성을 쉽게 체감할 있도록 하기 위해

시사점

  • 종교의 물성화 : 신전, 성상, 의례 /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1:1), 육화의 중요성 강조
  • 놀이동산 기념품, 골드바 물성선호는 본능적
  • 얼마나 구체적이고 실감나게 물성을 제공할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 마케팅 트렌드

 

기후감수성(Need for climate sensitivity)

지구온난화 시대는 끝났다. 지구는 끓는 시대(boiling era) 접어들었다.’ 년에 경험할까 말까 했던 역대급의 기상이변과 기후재난을 매년 새로 경험하고 있다. 기후변화의 문제는 언젠가 다가올 수도 있는 미래가 아니라 당장 해결해야 '현존하는 위험'이다.

기후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기후감수성'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꿔놓고 있는 뜨거워진 지구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 덕목 됐다. 기후감수성은 소비, 비즈니스, 공공의 모든 영역에서 중요해지고 있다. '장마' 대신 '우기'라는 말이 많이 쓰이고 날씨를 불문하고레이니룩' 대세가 되는가 하면 먹던 생선과 과일의 생산지도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날씨보험이 등장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기후 복지 중요해지고 있다.

그동안 우리는 이상기후를 북극곰이나 태평양의 투발루 주민들이나 겪는 '남의 ’, 예외적 현상으로 여기곤 했다. 하지만 물폭탄, 찜통더위 같은 용어가 여름마다 반복되는 일상어가 되면서 기후문제는 발생하는 상수라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이제 기후감수성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끓는 지구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 과제다.

 

현상

  • 온난화 시대에서 끓는 시대로
  • 날씨가 바꿔놓은 소비생활 : 과일, 생선, 레이니룩(rainy look)
  • 부상하는 기후 비즈니스 : 패시브 하우스, 양궁 대표팀 모자, 폭염 보험
  • 기후복지 시대의 도래 : 취약 계층을 위한 보호 정책

 

배경

  • 급변하는 날씨에 불안감과 피로감을 느끼는 사람들
  • 감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기후 기후 우울증 증가
  • 기후 문제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수적

시사점

  • 기후 리스크 관리가 점점 중요해진다
  • 기후 행동의 핵심은 확실한 인센티브

 

공진화 전략(Strategy of coevolution)

제품과 서비스 간의 상호연결성이 높아지면서 하나의 상품이 홀로 시장에서 자리 잡기 어려워지고 있다. 예전에는 자동차 하나만 만들면 됐지만, 전기자동차가 등장하면서 충전의 호환성이 요구되고, 자율주행 기능이 발달하면서 주행 데이터의 공유나 스마트폰과의 부드러운 인터페이스 연동성 역시 필요하다. 상호연결성이 높아진 오늘날의 경제에서는 이처럼 같은 업종은 물론이고 다른 산업과도 긴밀한 연계를 통해 공동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 이러한 환경 변화를 고려해, 자연 생태계(ecological system) 공진화(coevolution) 개념으로, 비즈니스 주체들이 생태계를 이루며 함께 성장해나가는 트렌드를 설명하고자 한다. 공진화는 참여자의 , 개방의 정도, 참여자들의 역할과 상호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있다.

적자생존. 적응하는 자만이 살아남는다. 나약한 인류가 지구 전체를 호령할 있게 것은 환경 변화에 맞춰 끊임없이 진화해냈기 때문이었다. 비즈니스의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다. 변화무쌍한 경제 생태계에서 공진화는 필수적인 선택이다.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유연하고 개방적으로 대처할 있는, 서로 경쟁하면서도 과감하게 협력 있는 열린 마인드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공진화 전략 4단계

  • 폐쇄적 자족시스템 : 애플 생태계
  • 제한된 파트너십 : 현대차-삼성전자, 은행과 핀테크 산업
  • 개방적 협력망 : 삼성전자 TV LG 패널 사용, 기술 개발 R&D(research & development)에서 외부의 기술과 지식을 흡수하는 A&D(acquisition & development) 변화, 나아가 동방성장을 꾀하는 연결 개발 C&D(connect & development) 강조
  • 공진화 생태계 : 구글 오픈 소스를 넘어서 노코드 로코드(No code Low code)
     

배경

  • 기술과 산업의 연계성과 상호작용 증대
  • 플랫폼 경제 확산
  • 디지털 전환 가속화

시사점

  • 너와 상대를 구분말고 함께 성장하라
  • 비즈니수 생태계와 지역 생태계가 접목되야 한다
  • 적응하는 자만이 살아남는다 : 빠른 적응과 유연성이 중요하다.

 

원포인트업(Everyone has their own strengths: One-point-up)

"누구나 잘하는 분명히 있을 겁니다. 그걸 잘하면 돼요"라는 펭수의 말대로, 요즘 직장인들은 위대한 인물을 롤모델 삼아 장기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잘할 있는 일을 찾아 실천하며 조금씩 성취감을 쌓아 가고자 한다. 이처럼 지금 도달 가능한 가지 목표를 세워 실천함으로써, 나다움을 잃지 않는 자기계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원포인트업'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원포인트업의 핵심 요소는 먼저 일반화된 성공 공식을 일률적으로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각자 가장 '나다운 성공' 찾는 것이다. 또한 혁신을 통해 자신을 완전히 바꾸는 것이 아니라, 오늘 실천 가능한 가지에 집중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실천을 기록하고 공유하며 성취감을 고양시켜 서로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코로나 사태 이후 불확실성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리스크를 부담하기보다는 작은 개선에 만족하려고 한다. 안온하고 평안한 보통의 하루를 중시하는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놀라운 성장보다는 작은 루틴을 실천하는 것에 만족한다. 기업에서도 일반적인 기준에 의한 공채보다는 직무 중심의 특채가 자주 이루어지다 보니, 획일적인 스펙 쌓기보다는 자신의 장점을 명확히 찾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한 시대가 됐다.

작은 노력이라도 꾸준히 계속하면서, 실천 가능한 자신 만의 밸류업을 시작하자

 

3가지 포인트

  • 자기지향성 : 나에게 맞는 성장 포인트 찾기, 개인 스타일링, 일대일 코칭
  • 도달가능성 : 작은 성취를 지속적으로 쌓아가기, 루틴 자체가 최종 목표가 되어야 한다.
  • 기록과 공유 : 꾸준히 기록하고 네트워크로 공유하기

배경

  • 공채 -특채 - 컬처핏 채용 롤모델이 사라진 시대의 성장
  • 미래 전망이 어려운 불확실성의 시대
  • 아보하형 성장담론 : 놀라운 성장보다 작은 루틴를 실천하는 것에 만족

시사점

  • 인재 육성 방식의 변화 : 개인 맞춤형 성장 지원, 개인 경험에 대한 공감, 실질적인 동기부여와 위로
  • 획일적인 스펙 쌓기보다는 자신의 장점을 명확히 찾아 발전
  • 작은 노력이라도 꾸준히 계속하면서, 본인만의 밸류업을 시작하자.
728x90

기모간사소식 130(2024-10-14)

 

무더운 여름이 지나가고 이제 언제 그랬냐는듯이 아침, 저녁 제법 쌀쌀한 계절이 되었습니다. 가을을 성큼 건너뛰고 이제 추운 겨울이 다가올 것 같습니다. 

 

지난 9월 22일 주간에 인천 송도에서 열린 ‘2024 LAUSANNE’ 대회에 참관인 자격으로 하루 방문했습니다. 1974 로잔, 1989 마닐라, 2010 케이프타운에 이어서 올해 한국에서 로잔 4차대회가 열렸습니다. 대회는 아주 풍성하게 진행되었습니다. 이후 로잔 4차 서울 선언문이 수정중에 있는데 세계 교회에 의미있는 선언이 발표되도록 기도해주시기 바랍니다. 

 

 

1. 청년과 교회

지난 8월 19일 학원복음화협의회 산하 캠퍼스청년연구소에서 진행하는 ‘청년과 교회’라는 포럼을 진행했습니다. 부제를 ‘청년을 살리는 교회, 청년이 살리는 교회’로 잡았습니다. 저는 연구위원으로 함께 주제를 선정하고 함께 논의할 질문들을 선정하는 작업을 함께 했습니다. 기조발제는 느헤미야의 배덕만 교수님이 진행해 주셨고, 여러 연구위원들의 세부 발제가 있었습니다. 발제 내용은 첨부한 자료를 참고해주세요. 

 

- 청년과 교회 자료집 https://peterjoy.tistory.com/1148

 

2. 간사세미나

올해 간사세미나는 저년차와 고년차로 나눠서 진행합니다. 저는 저년차 간사세미나의 멘토단으로 함께 참여하고 있습니다. 세미나 전에 워밍업을 위해서 로버트 클린턴의 ‘영적 지도자 만들기’를 함께 읽고 시간선에 따른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자신이 지금 어느 지점을 통과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돕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본 세미나는 10월 21~24일, 도봉숲속마을에서 진행합니다. 본 간사세미나는 디모데전서를 중심으로 다루면서 간사들에게 필요한 여러가지 주제의 강의를 진행합니다. 모든 시간들을 통해서 간사들에게 의미있는 시간이 되도록 기도해주세요. 

전체 세미나 진행을 위한 재정이 부족합니다. 저년차 간사세미나는 멘토단을 포함해 20여명의 간사들이 함께하는데 식사비나 간식비를 후원하실 분을 찾습니다. 아래 죠이 계좌로 후원해주시거나(후원하실 때 간사세미나라고 적어주세요) 제게 연락주세요.

 

  • 후원 계좌 죠이선교회, 061-079576-01201(우리) / 박기모 020-065688-12001(우리)

 

3. 가정 이야기

올해 초 장모님께서 요양원에 입소하신 이후 매주 아내와 면회를 가서 어머님을 뵙는데 지난번 낙상 이후에 인지기능이 많이 떨어지셔서 대화가 쉽지 않습니다. 가끔 아내와 저를 알아보시면 얼마나 반가운지 모릅니다. 부모님들께서 지난 30여년 동안 사시던 집을 어렵게 급매로 처분하고, 홀로 게신 장인 어른께서 지난 10월 3일 원룸으로 이사를 하셨습니다. 집에 있던 짐들을 정리하는데 거의 두 달이 걸렸습니다. 옷과 그릇, 6개의 냉장, 냉동고에 있던 음식들을 버리고 가구와 가전, 수석들과 여러 집기들을 처분하면서 아내와 우리 인생의 말년에 자식들 고생시키지 않으려면 미리미리 정리해야겠다라는 다짐을 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다짐을 하면서도 부모님댁에 있던 잡동사니들을 집에 모두 싸들고 왔습니다.(ㅠㅠ)

첫째 한결이와 함께 헬스를 시작했습니다. 한결이에게 생일 선물로 무엇이 받고 싶은지 물었더니 한참 고민하다가 헬스를 하고 싶다고 해서 우선 한 달 등록을 해서 함께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벌써 몸에 관심이 생길 나이가 되었지요. 제가 잘은 못하지만 아들에게 운동 방법을 알려주며 함께 운동을 하니 너무 좋습니다. 첫 날 함께 인바디도 체크하고 한 달후의 변화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매주 화요일은 1:1 제자훈련을 진행하고, 수요일은 전주대에 가서 ‘기독교윤리와 적성’이란 수업을 진행합니다. 금요일 저녁에는 성경읽기 기도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벌써 교회 식구들과 5독째를 하고 있는데 함께 성경을 읽고 개인적인 나눔을 통해서 풍성한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 루틴한 사역들을 의미있게 잘 감당할 수 있도록 기도해주시기 바랍니다. 

 

 

기도제목

1. 죠이선교회 지원사역부 안에서 감당하는 루틴한 사역들을 잘 감당하도록

2. 10월 간사 세미나(10/21-24. 도봉 숲속마을)가 잘 진행되도록, 필요한 재정이 잘 채워지도록

3. 한결, 한솔의 학교 생활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 아내의 건강을 위해서

4. 더기쁨 교회 제자훈련을 통해서 한 사람 한 사람이 주님의 제자로 세워지도록

 

 

2024년 10월 14일

박기모 드림

728x90

2024년 8월 19일 진행한 캠청연 '청년과 교회' 자료집입니다. 

EG15.pdf
1.40MB

 

728x90

길 나서는 이를 위한 기도문

주님이 그대 앞에 계셔서 그대에게 바른 길 보이시기 바랍니다.
주님이 그대 곁에 계셔서 그대를 팔로 껴안아 지키시기 바랍니다.
주님이 그대 뒤에 계셔서 그대를 못된 사람들의 흉계에서 보존하시기 바랍니다.
주님이 그대 아래에 계셔서 그대가 떨어지면 받아주시고 그대를 덫에서 끄집어내시기 바랍니다.
주님이 그대 안에 계셔서 그대가 슬퍼할 때에 그대를 위로하시기 바랍니다.
주님이 그대 둘레에 계셔서 그대를 남들이 덮칠 때 막아 주시기 바랍니다.
주님이 그대 위에 계셔서 그대에게 복 주시기 바랍니다.
이처럼 은혜로우신 하나님이 그대에게 복 주시기 바랍니다.

(독일 Wurttemberg주 교회용 찬송가에 수록된 기도문)

728x90

기모간사소식 129(2024-7-29)

 

지난 1년간 해결이 안되어서 고민하던 전세집 문제가 드디어 해결되었습니다. 계약이 2023년 11월에 만료되었지만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해서 임차권등기 설정도 하고 그래도 안되어서 전세금 반환 소송을 진행했습니다. 주인이 결국 급매로 집을 내놓았고 지난 7월 22일에 잔금을 모두 상환받을 수 있었습니다. 기도로 함께 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제가 올해 담당하고 있는 사역은 죠이 지원사역부, 더기쁨교회 목회 사역, 전주대 교수 사역입니다. 이 여러 사역들을 통해서 함께 하는 사람들을 세우고 저 자신의 전문성이 더욱 계발되기를 바랍니다. 

 

죠이 지원사역부

현재 죠이는 크게 현장사역부와 지원사역부로 나누어 사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장 사역부가 캠퍼스 현장과 포스트 캠퍼스 사역을 감당한다면 지원사역부는 간사교육과 미디어 사역의 부분을 감당합니다. 저는 매월 간사들이 함께 하는 월간예배 준비를 돕고 동문 모임인 PCJF를 지원합니다. 그 외의 특별 행사들을 준비하고 돕는 역할과 함께 학복협 캠청연 연구위원으로 섬기고 있습니다. 

올해 10월 간사 세미나를 저년차(1-7년차)와 고년차(8년차 이상)로 진행하려고 하는데 저는 저년차 간사들의 세미나를  맡아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로버트 클린턴의 ‘영적 지도자 만들기’를 함께 읽고 시간선에 따른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은사를 발견하는 것을 돕고, 저년차 간사들에게 필요한 강의들을 디자인해서 함께 진행하는 것을 돕고 있습니다. 

 

학복협 캠청연(캠퍼스 청년연구소)에서는 이번에 ‘청년과 교회(부제 : 청년을 살리는 교회, 청년이 살리는 교회)’라는 주제로 8월 19일(월) 오후 1:30-6:00까지 서울제일교회(왕십리)에서 진행합니다. 기조 발제는 느헤미야의 배덕만 교수님이 진행해주시고 영역별 발제와 소그룹 토론으로 진행됩니다. 연구위원들과 주제를 다듬고 함께 논의할 주제들을 나누면서 이번 포럼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 오프라인으로 모임을 진행하고 이후에 내용들을 정리하여 온라인에 공유할 예정입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연락바랍니다.

 

6월 10일에는 ‘도시공동체 공간 컨퍼런스’에 참석했습니다. '사람은 공간을 만들고 공간은 사람을 만든다'라는 윈스턴 처칠의 말처럼 선교적 교회와 공간의 의미를 돌아보는 시간이었고 실제적으로 공간을 공유하고 있는 여러 구체적인 사역, 사업의 실례들을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과거와는 다르게 공간을 소유가 아니라 공유의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에 대해서 구체적인 고민을 하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7월 1-2일에는 기반센(기독교 반성폭력 센터)에서 진행하는 ‘젠더폭력에 맞서는 주변인 접근법’이라는 프로그램에 죠이의 성폭력 전담위원 자격으로 참석하여 교육을 받았습니다. 개인적으로 남성 목회자, 사역자로 교회, 선교단체라는 영역의 주류에 속해 있으면서 그동안 생각해보지 못한 젠더 이슈를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여성들이 일상의 삶 속에서 느끼는 불안감의 정도가 얼마나 큰지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서 ‘젠더 폭력은 해롭다’라는 명제에 동의하고 가능한 스스로 주변인으로서 역할을 감당할 것을 다짐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더기쁨교회

더기쁨교회는 ‘강서구 가로공원로 194, 시티빌딩 5층 홀리드림찬양신학원‘의 공간을 주일마다 빌려서 예배를 드리고 있습니다. 교회는 공간이 아니라 성도들의 모임임을 다시 한번 고백하게 됩니다. 상황과 여건이 된다면 고정적인 교회 공간을 준비하겠지만 지금은 주일에 공간을 임대해서 예배드리고 줌과 오프라인을 통해서 제자훈련과 성경읽기 기도회를 진행하는 것에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교회가 진실한 공동체로 더욱 세워져 가는 것을 기대하고 소망합니다. 

주일 예배 시간의 백미는 찬양시간입니다. 더기쁨교회는 살아있는 찬양을 드립니다. 특히 아이들이 함께 하는 찬양은 더욱 하나님의 임재를 느끼게 합니다. 이 예배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지난 7월 7일에는 에스와티니 기독의과대학에서 총장으로 섬기시는 양승훈 목사님을 모시고 ’예수님의 3대 사역‘이라는 제목의 말씀을 들었습니다. 사역적으로 절망감을 느끼게 하는 상황 속에서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롬 5:8)하셨다는 사실을 묵상하며 그 소망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사역하신다는 간증이 큰 은혜가 되었습니다. 아래 영상은 7월 7일 주일예배 영상입니다.

https://youtu.be/aCW5hWkdbtM?si=9Y5PZ3yX4R7mhwsc

 

7/20-21에는 교회 수련회를 가평 포시즌 독채 펜션으로 다녀왔습니다. 아이들과의 물놀이, 바베큐, 레크레이션, 주일예배, 남이섬 outing으로 이어지는 풍성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성도님들이 모두 자발적으로 자신의 자리에서 묵묵히 섬겨야 할 부분을 섬겨주셔서 아주 매끄럽고 풍성한 시간이었습니다. 수련회에 참석한 새로운 가정이 이후 교회 공동체에 연결될 수 있기를 기도하고 있습니다. 아래 수련회 리뷰 영상을 첨부합니다.

https://youtu.be/VkdLWJGM7zE?si=TccZC9nGaqsEPkxD

 

 

전주대학교

이번 학기도 ’기독교 윤리와 적성‘이라는 제목의 기독교 교양필수 3학점 수업을 잘 마쳤습니다. 기독교 수업에 반감을 가지고 수업에 임했던 학생들이 가랑비에 옷 젖듯이 성경이 말하는 복음의 내용에 대해서 조금씩 반응하는 모습에 감사합니다. 청년들의 마음을 열게 하는 것은 강한 바람이 아니라 따뜻한 태양임을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인생의 의미라는 큰 제목 속에 12가지의 주제를 나누면서 나 자신이 내가 전하는 성경의 가르침에 동의하고 확신하게 됩니다. 바라기는 이 수업을 듣는 모든 학생들이 기독교에 대한 반감의 수위가 낮아지고 기회가 될 때 복음 앞에 반응할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나 자신이 그 열매를 맛보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그 때가 올 줄로 믿고 성실하게 씨를 뿌리는 사역을 감당하려고 합니다. 타협하지 않고 성실하게 복음의 능력을 학생들에게 들리는 언어로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기도해주시기 바랍니다. 

 

 

가정 이야기

앞서 나눈대로 전세집 문제가 해결되어서 너무 감사합니다. 매일 저녁 가족들과 함께 기도하면서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기도했습니다. 경매까지 가지 않고 급매로 처리 되어서 감사드립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계획에 없는 장례 일정이 많아집니다. 나이 드신 부모님들의 부고 소식을 듣고 함께 그 슬픔을 나누면서 마음의 준비를 하게 됩니다. 장모님께서 지난 1월 요양원에 입소하셨는데 낙상으로 흉추 골절로 입원하셨다가 다행히 회복이 되어서 다시 요양원에 들어가셨는데 이후에 인지기능이 많이 떨어졌습니다. 아내와 매주 면회를 가는데 약에 취해서인지 가끔은 전혀 정신을 못차리시기도 하고 저희를 못알아 보시기도 합니다. 말년을 건강하게 잘 보내시기를 기도합니다. 

저와 아내는 함께 근육 강화와 체중 감소를 위해서 헬스 운동을 시작하고 개인 PT를 받고 있는데, 아내가 근력 운동을 무리하게 하면서 테니스 엘보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잘 회복되어서 다시 운동을 함께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한결이(고 1)와 한솔이(중 2)는 부쩍부쩍 잘 자라고 있습니다. 사춘기를 보내고 있는데 감사하게 아이들과 크게 충돌하지는 않습니다. 주일 예배 후에 식사를 하고 성도님들과 티타임을 가지는 시간에 한결이와 한솔이가 교회 동생들을 데리고 잘 놀아줘서 감사합니다. 놀이터에 가거나 학교 운동장에 가서 신나게 놀다가 옵니다. 다른 이들을 잘 배려하는 아이들로 자라가기를 바랍니다. 

 

기도제목

1. 죠이선교회 지원사역부 안에서 감당하는 루틴한 사역들을 잘 감당하도록

2. 학복협 캠청연 ’청년과 교회‘(8/19) 포럼이 잘 진행되도록

3. 10월 간사 세미나 준비를 잘 감당하도록

4. 한결, 한솔의 학교 생활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 아내의 건강을 위해서

5. 더기쁨 교회 제자훈련을 통해서 한 사람 한 사람이 주님의 제자로 세워지도록

6. 양가 부모님들의 건강을 위해서(장모님 치매가 악화되지 않고 요양원에 잘 지내시고 홀로 계신 장인 어른이 잘 생활하시도록)

 

2024년 7월 29일

박기모 드림

728x90
 
사랑안에 두려움이 없고(윌리엄 윌리몬, 죠이북스)
Fear of the Other
 
윌리엄 윌리몬은 설교자들의 스승으로 일컬어지는 분으로 미국 연합감리교회의 감독이자 듀크대학 신학부 교수였다. 그의 책을 직접 읽어본 적은 없었는데 여러 저명한 기독교 저자들의 책에 그의 글이나 설교가 인용된 내용들을 보면서 원저를 읽어봐야겠다라는 생각이 들곤했다.
그러다가 이번에 죠이북스에서 윌리엄 윌리몬의 책이 나온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이 책을 받아들었다. 이 책의 부제는 '타자 혐오 시대, 그리스도인의 사랑과 환대에 관하여'이다. 저자는 미국의 반이민법이 강화되던 시기에 이를 반대하는 이들을 지지하면서 이 책을 썼다. 현대의 정치인들은 계층간의 갈등을 조장하거나 타인에 대한 두려움을 이용하여 표를 얻으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타자가 된 경험들이 부족하다. 나 자신도 나의 성별이나 인종, 종교, 출신 배경등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은 적이 별로 없다. 그래서 나의 어떤 행동이나 언행이 타자를 혐오하고 있는지 조차 알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 사회의 경우 단일 민족임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강조했었다. 하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자연스럽게 글로벌화 되어가면서 외국인 유학생, 외국인 노동자, 국제 결혼이 일상화 되어가고 있다. 포스트모던 시대로 접어들면서 과거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던 가치들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변화된 상황 속에서 나의 삶 가까이 타자들이 성큼 다가왔고 때로 나도 누군가의 타자가 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지난 주 '젠더 폭력에 맞서는 주변인 접근 전략'이라는 교육을 받았다. 나는 성인 남성으로 여성들이 느끼는 불안함을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 하지만 강의를 통해서 약간의 이해가 넓어지는 순간 보이지 않던, 아니 보지 못하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우리 주변의 '타자'들도 마찬가지다. 나는 타자의 자리에 서보지 않았기에 그들의 존재를 인식하지도 못했고 도리어 무시하거나 두려워하고 있지는 않은가? 미국 교회의 상황과 한국 교회의 상황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많은 부분에서 한국 교회가 미국 교회를 시차를 두고 따라가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우리들의 교회도 의도적으로 '타자'에 대한 감수성 훈련을 해야할 것이다. 그런 이들을 위해서 이 책을 추천한다.
 
책 속의 구절들
  • 하나님은 우리가 타자로 여기고 두려워하는 사람들을 교회의 형제 자매로 보내신다. 그렇게 하셔서 우리의 됨됨이를 시험하실 뿐 아니라, 제자도의 모험을 회복할 기회를 주신다. 이 하나님의 은혜와 교회 사역을 통해, 우리는 자기 힘에 의존할 때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게 된다.(13)
  • 그리스도께서 그분의 '타자'이자 원수인 나를 사랑하셨듯이 나도 주위의 '타자'를 사랑할 때, 이는 실로 기독교적이고 반문화적이며 거의 기적과도 같은 사랑이 된다.(19)
  • 우리는 환대를 명령받았다. 우리 자신이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그런 환대를 받았기 때문이다.(24)
  • 참된 화복은 힘있는 주류층이 자신들의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보하기 위해 사회적 약자들에게 그 특권을 조금 나눠 준다고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36)
  • 타자와의 대화는 늘 위험이 따른다. 그 과정에서 우리 자신이 변화되며, 우리가 결코 원치 않던 말들을 들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42)
  • 타자 혐오증을 뜻하는 '제노포비아'는 이방인을 가리키는 헬라어에서 유래했다. 우리 뇌의 변연계는 위험 앞에서 본능적으로 강렬한 반응을 유발하는 일련의 '비상 신호'들을 통해 활성화된다.... 어떤 위협이 닥쳐올 때 우리 몸은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신경계 내부로 아드레날린을 분비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더 강한 확신을 품고 어떤 판단을 내리지만 실제로는 은밀한 두려움 때문에 올바른 결정을 내릴 능력이 저하된 상태에 놓인다. 이 때 우리는 외부의 위협 앞에서 더방어적이고 덜 사려 깊은 방식으로 반응하게 된다. 깊은 불안감에 빠져 일종의 비상 체제에 돌입하며 오직 자신의 생존에만 몰두하게 되는 것이다.(51-52)
  • 용기는 두려움이 없는 상태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자신의 두려움을 무릅쓰고 올바른 일을 행할 때 생겨난다.(70)
  • 건강한 교회는 쉽게 두려움에 빠지는 우리 자신의 성향을 적절히 경계하게끔 인도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그릇된 일들을 그릇된 방식으로 두려워하던 데서 벗어나 합당한 일들에 관해 올바른 두려움을 품게 된다.(72)
  • 우리의 참된 문제는 '서로 사랑하라'고 분부하시는 하나님보다 '타자'를 더 두려워하는데 있다. 하지만 주님에 대한 올바른 두려움은 타자에 대한 두려움을 압도한다.(75)
  •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다만 그 타자를 우리와 마찬가지로 의로운 동시에 죄악 되며 선과 악이 뒤섞인 존재, 그럼에도 하나님의 사랑과 보살핌을 받는 존재로 여기는 것 뿐이다.(81)
  • 우리가 타자에게 다가가서 두 팔을 벌리는 것은 그를 우리의 벗이 될만한 존재로 재정의했기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예수님이 우리를 먼저 그분의 벗으로 삼아 주셨기 때문이다.(83)
  • '우리는 당신을 위해 지음받았습니다. 그렇기에 당신 안에 거하기 전까지는 우리 마음이 쉼을 얻지 못합니다.'(아우구스티누스)
  • 누군가를 포옹할 때 우리는 팔을 활짝 벌리고 기다렸다가 꼭 끌어안은 뒤에 다시 놓아주게 된다.(미로슬라브 볼프, 배제와 포옹) 타자를 포옹하며 환대한 뒤 다시금 그의 인격을 인정하고 놓아주는 것이다. 우리의 포옹은 타자를 자신의 정체성 속으로 흡수하거나 그의 타자 됨 자체를 부정하는 일이 아니다. 우리는 그들이 다시 그들 자신의 길로 행하도록 격려하고 응원해야 한다.(87)
  • 결혼은 '타자를 영접하기 위한 평생의 훈련', 내 옆에 함께 거하는 '타자'를 평생에 걸쳐 날마다 포용하고 환대할 기회를 억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저 '적과의 동침'이 아니다. 아내는 물론 나의 일부가 아니지만 나보다도 나를 잘 안다. 아내는 내 삶의 영역을 세심하게 넓혀주며 내 안에서 최선의 모습들을 이끌어 낸다. 이처럼 전혀 다른 두 개인이 한몸을 이루는 것은 지극히 경이로운 일이다.(94)
  • 타자를 대면하며 포용하라는 결단 없이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을 드러내신 하나님을 온전히 경배할 수 없다는 것이 내 확신이다. 사랑은 실제로 '타자'를 향해 나아가는 움직임이며 이는 그저 올바른 태도를 품거나 유익한 구호를 외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디트리히 본회퍼가 말했듯이 '막연한 꿈속의 사랑'보다는 행동하는 사랑이 훨씬 중요하다.(105)
  • 우리로 타자를 행해 나아가게 이끄시는 것은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구원을 이루기 위해 쓰시는 주된 방편중 하나다. 교회 안에서 우리는 자신의 욕구 충족에만 몰두하던 이기적인 소비자의 태도를 내려놓고 다른 이들을 돌아보며 너그럽게 베푸는 삶을 살아갈 기회를 얻게 된다. 이때 우리는 별 요구사항이 없는 신들을 만들어내서 우리 자신의 욕망과 두려움을 섬기게 만들려는 인간적인 성향(우상숭배)에서 해방된다.(111)
  • 우리는 그를 '타자'로 여길지라도 하나님에게는 그렇지 않다. 그 '타자'는 미국의 원수일 수 있지만 하나님은 그의 원수가 아니시다. 설령 그 '타자'가 우리와 하나님을 미워할지라도 그분은 여전히 그를 사랑하신다.(114)
  • 오늘날 우리의 가장 큰 소망은 우리로 타자를 향한 환대에 동참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섭리가 교회의 유전자 속에 깊이 새겨져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속한 교회의 경계를 느슨하게 유지하는 일은 우리 의무를 소홀히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는 역사적인 소명을 제대로 받드는 것이 된다... 사도행전은 '타자'를 받아들이는 일을 기독교 선교의 핵심으로 여긴다.(123)
  • 미로슬라브 볼프는 '의심의 해석학'에서 '환대의 해석학'으로 나아갈 것을 제안한다. 1) 누군가의 말과 행동을 정직하게 수용하고 그에게서 무언가 장점이 될만한 일들을 찾아보려 한다. 2) 열린 태도로 타인을 판단하고 해석하며 평가한다. 이는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마음이 그러함을 알기 때문이다.(134)
  • 요즈음 청년들은 우리 교회가 동성애를 혐오하는 낡고 진부한 사고방식에 빠져있으며 인종차별적일뿐 아니라 세상에 존재하는 온갖 폭력의 근원이라고 믿습니다. 교회는 자신들이 지난밤에 행한 일을 차갑게 판단하고 정죄하는 곳이라고 여기지요. 교회에 나오라고 원면할 때 이는 그들 자신을 무방비 상태로 우리에게 내어놓으라는 뜻이 됩니다. 이는 우리의 기독교적인 환대를 받아들이기 위해 '타자'가 어떤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지를 상기시킨다.... '타자'에 대한 적개심이 애국심으로 칭송받는 이 불안한 세상에서 낯선 이들을 영접하고 환대하는 일은 더욱 중요한 교회의 사역이 되었다.(136)
  • 사마리아인의 비유 이야기는 우리가 누구의 이웃이 되어야 할까에 관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누가 우리에게 이웃이 되어줄 지에 관한 이야기다. 지금도 우리에게 다가오는 그 '타자'. 우리가 몹시 두려워하며 꺼리지만 그 손길을 받아들이기만 하면 우리를 위기에서 건져 내줄 그 존재는 과연 누구인가?(154)
  • 이 낯선 세상에서 서로에게 '타자'가 되어버린(혹은 '타자'에 대한 김은 두려움에 갇힌) 우리에게도 여전히 참된 소망이 남아 있다. 그 소망은 바로 그리스도와 과감하고 헌신적인 사랑이 우리의 모든 두려움을 이길만큼 강하다는 데서 온다.
 
요한1서 4:18–21 
18사랑 안에 두려움이 없고 온전한 사랑이 두려움을 내쫓나니 두려움에는 형벌이 있음이라 두려워하는 자는 사랑 안에서 온전히 이루지 못하였느니라 
19우리가 사랑함은 그가 먼저 우리를 사랑하셨음이라 
20누구든지 하나님을 사랑하노라 하고 그 형제를 미워하면 이는 거짓말하는 자니 보는 바 그 형제를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보지 못하는 바 하나님을 사랑할 수 없느니라 
21우리가 이 계명을 주께 받았나니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는 또한 그 형제를 사랑할지니라
728x90

기모간사소식 128(2024-3-29) 

 

개인적으로 축구를 많이 좋아해서 양천 FC라는 조기축구팀에 소속되어서 매주 토요일 운동을 합니다.

지난 3월 23일(토) 오전에는 신정교 밑에 있는 '영롱이 축구장'에서 양천 FC와 신영도 FC 축구 시합이 있었습니다. 두 번째 쿼터를 시작하려는 순간 신영도 FC의 한 분이 쓰러지셨습니다. 갑자기 심근경색이 온 것입니다. 119에 신고를 하고 CPR을 진행했습니다. 기도를 확보하고 저와 다른 한 명이 가슴 압박, CPR을 한참 진행했는데 구급차가 환자가 쓰러진 장소를 제대로 찾지 못해서 골든타임을 넘기고 거의 20분만에 도착했습니다. 응급실로 후송된 이후 몇 시간 만에 그 형님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우리의 일상과 생명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실감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모든 후원자님들도 건강 잘 챙기시기를 바랍니다.  

 

AI, ChatGPT

요즘의 관심사 중 하나는 ‘AI, ChatGPT’입니다. 원래 기술의 발전에 관심이 많은데 급변하는 시대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 또한 조금이라도 준비해서 필요한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합니다. 이번 주에는 OMF 본부 사역자분들을 대상으로 ‘AI의 현재와 미래_ChatGPT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강의를 했습니다. 인공지능의 발달이 누군가에게는 기회로, 누군가에게는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거부할 수 없는 파도를 두려워하기보다 서핑을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하는 자세를 가지고 기술적인 부분은 부족하지만 열심히 공부해서 나누려고 합니다. 다음 주(4/2)에는 노회 목사님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하려고 하는데 필요한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죠이 지원사역부

올해 지원사역부에서는 정희원, 이임수, 박기모, 황재욱, 김민주 간사가 함께 사역합니다. 김민주 간사는 4월부터 육아휴직에 들어가게 됩니다. 작년과 비슷하게 저는 지원사역부에서 루틴한 역할들을 감당합니다. 매월 월간예배 준비를 함께 돕고 동문 모임인 PCJF를 지원합니다. 그외의 특별 행사들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역할, 외부 학복협 캠청연 모임 등을 통해서 간사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올해부터는 ‘성폭력 전담위원’을 맡았습니다. 전담위원은 조직내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 관련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잘 대처하기 위해 세워진 조직입니다. 물론 가장 좋은 것은 성폭력 전담위원의 활동이 필요 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 보이지 않는 곳에서 기도하며 감시하는 역할을 열심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전주대 강의

이번 학기도 매주 수요일 ‘기독교윤리와 적성’이라는 제목의 기독교 과목을 진행합니다. 3시간 수업을 위해서 8-9시간을 길거리에 투자해야 하지만 학생들을 만나면 힘이 납니다. 원래 이 수업은 35명이 정원인 수업인데 인기가 많아서(수강 바구니에 351명이 신청) 증원을 거쳐 현재는 43명이 수업을 듣고 있습니다. 이번 학기는 특별하게 제가 사랑하는 친구(전주 동현교회 이진호 목사)의 딸이 제 수업을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주는 ‘인간의 기원’에 대한 내용을 이야기하면서 ‘미세 조정(fine tunning)’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과학의 여러 현상 속에 나타난 창조주의 손길을 설명하는 시간이었는데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기독교나 성경에 대해서 반감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제대로 된 정보나 지식이 전달될 기회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이 인생의 의미를 고민하고 기독교와 성경에 대해 바로 알아가는 시간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더기쁨교회_제자훈련

더기쁨교회 담임목사로서 제가 하는 가장 중요한 사역은 제자훈련입니다. 물론 주일 예배와 금요일 성경읽기 기도회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1:1로 진행하는 제자훈련은 한 사람의 변화를 볼 수 있어서 더욱 중요합니다. 주로 화요일과 토요일에 걸쳐서 6명과 Zoom으로 혹은 대면으로 만나서 1:1로 공부를 하고 있는데 단지 성경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삶을 깊이 나누고 말씀을 통한 도전을 할 수 있어서 매우 의미있게 생각합니다. 한 사람이 또 한 사람을 세우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주일 예배는 11시에 시작해서 12시경에 마치고 나눔을 가집니다. 이 시간에 아이들은 공과 공부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나서 함께 준비해 온 점심식사를 맛있게 하고 정리를 한 후에 커피 타임을 가집니다. 이 커피 타임에 아이들은 한결이와 한솔이의 인솔하에 놀이터에서 플레잉타임을 가집니다. 모두가 행복한 교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언제든지 더기쁨교회 방문을 원하시는 분은 연락주시고 방문해주세요. 언제든 환영합니다.

 

가정 이야기

지난 1월 장모님께서 요양원에 입소하셨습니다. 치매 증상이 심해지셨는데 공격성이 나타나기도 하고 혼자 계시는 것이 위험해서 요양원 입소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연로해 가시는 부모님들을 보면서 삶의 무게를 더욱 느끼게 됩니다. 요양원 생활에 어려움들이 있는데 적응을 잘 하시고 건강하시기를 기도합니다. 

여전히 전세집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작년 6월에 조합원자격으로 분양받은 아파트에 먼저 입주했는데 11월 계약만기가 되었음에도 아직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임차권 등기를 신청했고 전세금 반환 소송을 진행 중인데 가능하면 경매까지 가지 않고 급매로 처리되어 전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기도해주시기 바랍니다. 

한결이는 대일고등학교에 입학해서 새로운 상황에 잘 적응하고 있습니다. 한솔이도 중2가 되어 학급회장으로 즐겁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학업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건강하게 잘 자라가기를 바랍니다. 

아내와 저는 건강을 위해서 함께 PT를 받고 헬스를 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일주일에 3-4번은 운동하려고 노력하는데 함께 꾸준히 운동을 하며 건강을 잘 유지하려고 합니다. 

제 소식에 항상 관심을 가지고 읽어주시고 기도로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소식도 답장이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함께 기도하도록 하겠습니다. 

 

기도제목

1. 죠이선교회 지원사역부 안에서 감당하는 루틴한 사역들을 잘 감당하도록

2. 전세집(대신빌) 문제가 속히 잘 해결되도록, 속히 급매가 이루어지도록

3. 한결, 한솔의 학교 생활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

4. 더기쁨 교회 제자훈련을 통해서 한 사람 한 사람이 주님의 제자로 세워지도록

5. 양가 부모님들의 건강과 가족들의 건강을 위해서(장모님 치매가 악화되지 않고 요양원에 잘 적응하시도록)

 

2024년 3월 29일

 

박기모 드림

728x90

Res500 논문

'한국 사회 젊은 세대가 윌버포스와 같이 사회 구조적 부패에 맞서 싸우도록 가르칠 것인가?'

 

How Can We Teach the Younger Generation in Korea to Fight Against Social Corruption, Just as Wilberforce Did?

 

 

 

 

 

 

 

How Can We Teach theYounger Generation in Korea to Fight 

Against SocialCorruption, Just as Wilberforce Did?

 

 

 

 

 

 

 

Gimo Park

 

 

 

 

 

RES 500K ResearchStrategies

Professor William B.Badke

Apr. 10. 2013

 

 

Outline

 

1.Introduction. 3

 2.The Social corruptions within the Korean society. 3

 1)A Historical Overview.. 3

 A) Economy. 3

 B) Church. 4

 2)The Attitude of the Younger Generation about SocialCorruption. 4

 3.Overview of William Wilberforce’s Life. 5

 1)His Early Life. 5

 2)How He “Threw away” His Youth. 5

 3)His Colleagues and the Clapham Sect.6

 4)The Critical Factor of His Success. 6

 4.Current Approaches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WilliamWilberforce – A Case Study. 8

 1)Structure, Direction & Speed. 8

 2)The Role of Local Church and Para Church (Role of ClaphamSect.)8

 3)Beyond William Wilberforce. 9

 5.Conclusion. 9

 6.Bibliography. 10

 

 

1.     Introduction

In 1997, God called me to be a staff for a campusministry. Therefore, I am interested in young adults. In my opinion, the Koreansociety has many problems. The problems are not only individual, but alsostructural. In the case of individuals’ problems, we can teach, guide and makean effort for them to overcome their problem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because some people who have a vested right donot want to lose their privileges. In order to solve many social problems, weshould change laws, social structures, and systems.

William Wilberforce shows us a good model of solving sucha social issue. Through this paper, I first begin by providing an overview ofthe situation of the Korean society and the life of Wilberforce, who put his time and effort to abolish the slave trade and erected the Reformation of Manners. Finally, I suggest how Korean young adults can fight against social corruptions and problems. 

 

2.     The Social corruptions within the Korean society

 1)    A Historical Overview

 A) Economy

100 years ago, Korea was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the world. The country was devastated because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War, a great number of people were dead and all of the economic infrastructureswere ruined.Throughout the military dictatorship of Park Jung-Hee, Korea achieved a high growth of economy which was called the miracle of the Han-River. Now Korea is a member of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d G20. Its GNP increased from $255 in 1970 to $22,708 in 2013.[1]However, Korea’s general labor environment, which includes the workers’ rightsand their wages, as well as a sense of morality within the country, did notcatch up to the speed of the drastic economic growth. Owing to thereinforcement of chaebol(conglomerate),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s continuing to growwider. 

 

B) Church

In 1884,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came to Korea.[2]In1960, the number of Korean Protestants was 623,000, and by 1985, it had grownover tenfold to 6,489,000.[3]Theperiods of church explosion and the high economic growth overlap. Now, theKorean church is able to send out missionaries into the world, and in 2011, itsent 19,373.[4]Thelargest church in the world is now situated in Korea, and the Yoido Full GospelChurch (Pentecostal) has approximately 850,000 members.[5]Inspite of this dramatic growth, the Korean church does not have concerns aboutsocial problems and have a lot of issues within itself such as money and sexualproblems in church. Recently, the head pastor of a prominent church in Korea(Sarang Community Church) was accused of plagiarizing his dissertation, creating further problems for the trustworthiness of Korean pastors. It can be clearly seen, therefore, that the moral standard of the Korean church did not catch up with the speed of its growth. 

 

2)    The Attitude of the Younger Generation about Social Corruption

The lives of theyoung adults nowadays are very difficult. Without knowing why or how, they are driven by theextreme speed of neoliberalism, economics, and mammonism. They do not knowwhere they should go. Because they are overwhelmed by the main trends ofsociety, the young adults are therefore not interested in social justice andthe well-being of others. They should be more morally conscious, but they arenot interested. I suggest that Wilberforce can shed light in such a darksituation.

 

3.     Overview of William Wilberforce’s Life

 1)    His Early Life

Wilberforce was born on August 24th, 1759 toRobert and Elizabeth Wilberforce, and he spent his first ten years in thefamily home on the high street of Hull.[6]Hewas weak, small and had poor eyesight. His father died when he was ten. Hismother sent the young William to Robert’s childless brother (another WilliamWilberforce).[7]Williamand Hannah were a kind, warm and loving evangelical Christian couple whoinfluenced Wilberforce in his faith. 

 

2)    How He “Threw away” His Youth

He was very smart and good at giving speeches. At 17 (1776), he went into St John’s College inCambridge.[8]Buthe spent that time enjoying playing cards, drinking, and gambling.[9]Hewas witty, generous, and an excellent conversationalist, and therefore had manyfriends, and he was especially friendly with William Pitt (who would become thefuture Prime Minister of England). At 21 (1780), while he was still a student,Wilberforce was elected as a Member of Parliament in Hull.[10]Atthat time, most politicians got into their positions with money. Wilberforcealso paid about 8,000[11]athis first election. 

He was spiritually born again in 1785 by reading a booknamed Rise and Progress ofReligion in the Soulwritten by Phillip Doddridge.[12]After that, he regretted his past and resolved to commit his future to God.[13]Sohe wanted to become a pastor. But Pitt and Newton advised him to remain inpolitics, and he resolved to do so “with increased diligence andconscientiousness.”[14]OnOctober 28th, 1787, Wilberforce wrote in his diary: “God almightyhas set before me two great objects, the suppression of the slave and thereformation of manners.”[15]

 

3)    His Colleagues and the Clapham Sect.

The Clapham Sect. or Clapham Saints were a group of influential like-minded Church of England social reformers based in Clapham, London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active c. 1790–1830).[16]Theyare described by the historian Stephen Tomkins as "a network of friends and families in England, with William Wilberforce asits centre of gravity, who were powerfully bound together by their shared moraland spiritual values, by their religious mission and social activism, by theirlove for each other, and by marriage."[17]

 

4)    The Critical Factor of His Success

William Wilberforce was motivated by faith(principle). Sometimes, he voted against the ruling Tory party of his friend,Prime Minister Pitt.[18]Heput his Christian faith above his political party’s opinion. 

Second, He appealed not to emotions, but tofacts. In order to find the facts, he asked for help from the Clapham Sect.[19]Itwas composed of politicians, businessmen, lawyers, churchmen, and researcherswho each played a role in supporting him.[20]Organizations such as the Clapham Sect. and the Yorkshire Association wereimportant for his success.[21]

Third, he could form public opinion. In order todo so, he wrote a book called A PracticalView of the prevailing Religious Systems of Professed Christians in the Higherand Middle Classes in this Country Contrasted with Real Christianity,[22] wrote persuasive articles in the newspapers[23]andgathered more than 500,000 signatures for a petition to abolish the slavetrade.[24]

Fourth,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situation,such as the French Revolution and of the revival of Christianity through JohnWesley and George Whitefield helped him to accomplish his goal.[25]

Finally, his perseverance was the most importantfactor in his success. In 1807, he could submit a law to end the slave trade.But he fulfilled his work only in the year of his death, 1833.[26]

 

4.     Current Approaches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WilliamWilberforce – A Case Study

 1)    Structure, Direction & Speed

Albert Wolters suggests the concept of “Structure andDirection”.[27]God created the world with creational constitution, so the structure itself isgood. 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was distorted because of humanity’s sin.However, in the case of young adults, speed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direction. They have accelerated with extreme speed into the wrong directionwithout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Therefore, they need helpin decreasing the speed and to be guided in the right direction. 

This was equally true in 17thand 18thcenturies, when the slave trade was the principal source of income in England.[28]Withthe help of William Wilberforce’s direction, England was able to give up on thefinancial benefits of slave trade, because he helped the country to realizethat it was morally wrong. 

 

2)    The Role of Local Church and Para Church (Role of ClaphamSect.)

Wilberforce did not work alone. He participated inClapham sect. and asked for help from other organizations. In Korea, the localchurch and the para church (NGO) should also bear some responsibility inbringing social reformation. They should support the cause financially,prayerfully, and with their time. The churches should especially teach andguide the new generation to the right direction. 

3)    Beyond William Wilberforce

Previously, I have commented on the 5 critical factors ofsuccess of Wilberforce. I think that the methods of reformation of the Koreansocial system and structure should almost be the same as Wilberforce’s methods.

We should teach young adults the truth of the Bible, andthey should not make choices based on their individual interests or theirpolitical party’s opinions but their faith when they are at a crossroad. 

Also, we should teach them to appeal not to theiremotions but facts. In order to do this, they should make the effort toresearch the problems of the society before they attempt to solve its majorissues. 

In order to form and arouse the public opinion nowadays,we must also use Social Network Service. The Jasmine Revolution in the MiddleEast and the ‘Occupy Wall Street’ movement were created through SNS. UsingFacebook and Twitter would be an effective way to obtain information and sharethe urgent and important social issues. 

Korea is the only divided nation in the world. Currently,it is sandwiched between the development of China, the threat of war from NorthKorea and the rise of the Third World. Instead of focusing on their emotionsand becoming fearful of their surrounding situations, the Koreans should turncrisis into chance. Now in Korea, a lot of churches and NGO are continuing tobe prepared for the reformation. They should help each other and work hand inhand. 

Finally, they should make an effort to accomplish theirgoal. In order to do so, they will need to work together and encourage eachother and endure until their goal is fulfilled.

 

  5.     Conclusion

Through this paper, I suggestedsome guidelines for bringing about social reformation. However, even in thecase of the abolishing of slave trade in England, one person needed to answerGod’s call and be willing to fight against social corruptions. Korea will alsoneed to have someone like William Wilberforce as its reformer, but whether sucha person appears will depend on God’s will. Meanwhile, the Korean societyshould work to create organizations like the Clapham Sect. and pray for a realsocial change that can transform the lives of God’s children. 

 

Butlet justice roll on like a river, righteousness like a never-failing stream!(Am 5:24)

 

  6.     Bibliography

 

Bibliography 

"ClaphamSect." http://en.wikipedia.org/wiki/Clapham_Sect(accessed Mar. 27, 2013). 

Beer, Samuel H."The Representation of Interests in British Government: HistoricalBackground."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51, no. 3(1957): 613-50. 

Belmonte, KevinCharles and Kevin Charles Belmonte. William Wilberforce : A Hero forHumanity. Grand Rapids, Mich.: Zondervan, 2007. 

Greenman, JeffreyP. "Anglican Evangelicals on Personal and Social Ethics." AnglicanTheological Review94, no. 2 (Spring2012, 2012): 179-205. 

Hill, Clifford S. TheWilberforce Connection. Oxford: Monarch, 2004. 

Hind, R. J."William Wilberforce: Reformer and Social Educator." AustralianJournal of Politics & History32, no. 3 (1986): 389-404. 

Inikori, Joseph E."Slavery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apitalism in England." TheJournal of Interdisciplinary History17, no. 4 (1987): 771-93. 

Jenkins, Philip."Church Growth, Korean Style." Christian Century127, no. 18(09/07, 2010): 61-318. 

Lean, Garth. God'sPolitician : William Wilberforce's Struggle. London: Darton, Longman &Todd, 1980. 

Moon, SteveSang-Cheol. "Missions from Korea 2012: Slowdown and Maturation." International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36, no. 2 (04/01, 2012): 84-5. 

Park, Joon-Sik."Korean Protestant Christianity: A Missiological Reflection." International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36, no. 2 (04/01, 2012): 59-62. 

Spring, David."The Clapham Sect: Some Social and Political Aspects." VictorianStudies5, no. 1 (1961): 35-48. 

Statistics Korea."GNP." http://kosis.kr/feature/feature_0103List.jsp?mode=getList&menuId=06&NUM=405(accessed Mar. 27, 2013). 

Tomkins, Stephen,.The Clapham Sect : How Wilberforce's Circle Transformed Britain. Oxford:Lion Hudson, 2010. 

———. WilliamWilberforce : A Biography. Grand Rapids, Mich.: William B. Eerdmans Pub.Co., 2007. 

White, John."Christian Responsibility to Reform Society: The Example of WilliamWilberforce and the Clapham Sect." Evangelical Review of Theology32, no. 2 (04/01, 2008): 166-72. 

Wilberforce, William. A PracticalView of the Prevailing Religious System of Professed Christians, in the Higherand Middle Classes in This Country, Contrasted with Real Christianity.London: H. Fisher, R. Fisher, and P. Jackson, 1839

Wolters, Albert M.Creation Regained : Biblical Basics for a Reformational Worldview. GrandRapids, Mich.: William B. Eerdmans Pub., 2005. 

 

 

 

[1]StatisticsKorea, "GNP," , http://kosis.kr/feature/feature_0103List.jsp?mode=getList&menuId=06&NUM=405(accessed Mar. 27, 2013).

[2]Joon-Sik Park, "Korean Protestant Christianity: A MissiologicalReflection," International 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36, no.2 (04/01, 2012), 59.

[3]Ibid.,59

[4]Steve Sang-Cheol Moon, "Missions from Korea 2012: Slowdown andMaturation," International 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36, no.2 (04/01, 2012), 84.

[5]Philip Jenkins, "Church Growth, Korean Style," Christian Century127, no. 18 (09/07, 2010), 61.

[6]Stephen Tomkins , William Wilberforce : A Biography(Grand Rapids,Mich.: William B. Eerdmans Pub. Co., 2007), 8.

[7]Ibid., 9

[8]Ibid.,19

[9]Ibid.,20

[10]Ibid.,25-26

[11]GarthLean, God's Politician : William Wilberforce's Struggle(London: Darton,Longman & Todd, 1980), 15.

[12]KevinCharles Belmonte and Kevin Charles Belmonte, William Wilberforce : A Herofor Humanity(Grand Rapids, Mich.: Zondervan, 2007), 74.

Wilberforce wrote to his son Samuel: “I understand you are reading Doddridge’s Riseand Progress. You cannot read a better book. I hope it was one of the meansof turning my heart to God. Certainly, there are few books which have been soextensively useful.”

[13]Ibid.,78

[14]Ibid.,80 Wilberforce remembered: “Mr. Newton, in the interviews I had with him,advised me to avoid at present making many religious acquaintance… to keep upmy connection with Pitt, and to continue in Parliament.”

[15]StephenTomkins , The Clapham Sect : How Wilberforce's Circle Transformed Britain(Oxford: Lion Hudson, 2010), 59.

[16]"ClaphamSect," , http://en.wikipedia.org/wiki/Clapham_Sect(accessed Mar. 27, 2013). Don’t cite Wikipedia or useit in a bibliography.

[17]Tomkins,The Clapham Sect : How Wilberforce's Circle Transformed Britain, 12 JeffreyP. Greenman, "Anglican Evangelicals on Personal and Social Ethics," AnglicanTheological Review94, no. 2 (Spring2012, 2012), 188. recitation

[18]CliffordS. Hill, The Wilberforce Connection(Oxford: Monarch, 2004), 57-58.;John White, "Christian Responsibility to Reform Society: The Example ofWilliam Wilberforce and the Clapham Sect," Evangelical Review ofTheology32, no. 2 (04/01, 2008), 167.

[19]Lean, God'sPolitician : William Wilberforce's Struggle, 102

The name “Clapham Sect” was not used till twelve years after Wilberforce’s death and thirty after Clapham had ceased to be the centre of “The Saints’” activities. It was doubly misleading as they were never anything like a sect and their fellowship was always nationwide-and, indeed, stretched far beyond Britain.

[20]White, ChristianResponsibility to Reform Society: The Example of William Wilberforce and theClapham Sect, 169

[21]SamuelH. Beer, "The Representation of Interests in British Government:Historical Background,"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51,no. 3 (1957), 637.

[22]Greenman,Anglican Evangelicals on Personal and Social Ethics, 189 Wilberforce called it his "manifesto."

[23]DavidSpring, "The Clapham Sect: Some Social and Political Aspects," VictorianStudies5, no. 1 (1961), 42.

R. J. Hind, "William Wilberforce: Reformer and Social Educator," AustralianJournal of Politics & History32, no. 3 (1986), 396. The Newspaper’sname is Christian Observer.

[24]Hill, TheWilberforce Connection, 65-66

[25]White, ChristianResponsibility to Reform Society: The Example of William Wilberforce and theClapham Sect, 169

[26]Ibid.,171

[27]AlbertM. Wolters, Creation Regained : Biblical Basics for a ReformationalWorldview(Grand Rapids, Mich.: William B. Eerdmans Pub., 2005), 59.

[28]JosephE. Inikori, "Slavery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apitalism inEngland," The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History17, no. 4(1987), 784.

'과제 및 논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별 금지법과 관련해서  (0) 2014.11.21
창조론 필드트립 다섯째날  (0) 2014.09.18
창조론 필드트립 넷째날  (0) 2014.09.18
창조론 필드트립 셋째날  (0) 2014.09.17
창조론 필드트립 둘째날  (0) 2014.09.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