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o Jesus again said to them, “Truly, truly, I say to you, bI am the door of the sheep. All who came before me are thieves and robbers, but the sheep did not listen to them. I am the door. If anyone enters by me, che will be saved and will go in and out and dfind pasture. 10 The thief comes only to steal and ekill and destroy. I came that they may have life and have it abundantly. 11 fI am the good shepherd. The good shepherd glays down his life for the sheep. 12 He who is ha hired hand and not a shepherd, who does not own the sheep, sees the wolf coming and ileaves the sheep and flees, and the wolf snatches them and jscatters them. 13 He flees because khe is a hired hand and lcares nothing for the sheep. 14 mI am the good shepherd. nI know my own and omy own know me, 15 pjust as the Father knows me and I know the Father; and qI lay down my life for the sheep. 16 And rI have other sheep that are not of this fold. sI must bring them also, and tthey will listen to my voice. So there will be uone flock, vone shepherd. 17 wFor this reason the Father loves me, xbecause yI lay down my life that I may take it up again. 18 zNo one takes it from me, but yI lay it down aof my own accord. I have authority to lay it down, and bI have authority to take it up again. cThis charge I have received from my Father.”
19 dThere was again a division among the Jews because of these words. 20 Many of them said, e“He has a demon, and fis insane; why listen to him?” 21 Others said, “These are not the words of one who is oppressed by a demon. gCan a demon open the eyes of the blind?”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10:7–21.

나는 양의 문이다.(내가 문이다.)
나는 선한 목자다. 선한 목자는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린다. 반면 삯꾼은 목자도 아니고 양도 제 양이 아니라 이리가 오면 양을 버리고 달아난다.  

7-10절) 양의 문이신 주님
Jesus is the only way by which one can become part of the people of God (i.e., Jesus’ flock). See also Ps. 118:20 and note on John 6:3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43.
예수님보다 앞서는 자는 절도며 강도다. 겔 34:2-4에서 이스라엘의 목자가 자신만을 배부르게 하며 양들을 먹이지 않는 것을 경고한다. 
(겔 34:2-4, 개정) 『[2] 인자야 너는 이스라엘 목자들에게 예언하라 그들 곧 목자들에게 예언하여 이르기를 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자기만 먹는 이스라엘 목자들은 화 있을진저 목자들이 양 떼를 먹이는 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냐 [3] 너희가 살진 양을 잡아 그 기름을 먹으며 그 털을 입되 양 떼는 먹이지 아니하는도다 [4] 너희가 그 연약한 자를 강하게 아니하며 병든 자를 고치지 아니하며 상한 자를 싸매 주지 아니하며 쫓기는 자를 돌아오게 하지 아니하며 잃어버린 자를 찾지 아니하고 다만 포악으로 그것들을 다스렸도다』

The NT elsewhere speaks of “entering” God’s kingdom as through a door (e.g., Matt. 7:7, 13; 18:8–9; 25:10 par.; Acts 14:22). Jesus’ language, will go in and out, echoes covenant terminology, especially the blessings for obedience in Deut. 28:6 (cf. Num. 27:16–17; Ps. 121:8). Find pasture conveys the assurance of God’s provision (cf. 1 Chron. 4:40; Ps. 23:2; Isa. 49:9–10; Ezek. 34:12–1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43.

9절) 문을 통해서 구원을 얻고 꼴을 얻게 된다. 본문에 사용된 ‘소제인’이라는 단어는 복음서에서 드물게 사용되는 단어이다. 
The use of sōzein is rather rare in the Gospel, appearing only five other times (3:17; 5:34; 11:12; 12:27, 47). Excluding 11:12 (which is an ironic statement) and 12:27 (which is a Gethsemane-like prayer), the other four uses are important statements that define the purpose for the coming of Jesus. Jesus is the agent of wholeness, of eternal life, of secure pasture, and of release from the realm of darkness.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33.

10절) 도적이 오는 이유 : 도적질 하고 죽이고 멸망시키기 위해서. 예수님이 오신 이유 :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그리고 그 생명을 더 풍성히 얻고 누리게 하기 위해서 이다. 여기서 요한은 3대지를 이용한다. 세가지를 나열하는 것은 성경안에서 강조를 위한 중요한 표현이다. 
The use of a triad such as “steal and kill [better “slaughter”] and destroy” (10:10) is a typical biblical way of emphasizing either positive or negative qualities. Paul frequently thought in triads (e.g., faith, love, hope of 1 Thess 1:3; turn, serve, wait of 1:9–10; spirit, mind, body of 5:23; hearts, passions, mind of Rom 1:24, 26, 28).258 So also apparently did Jesus use triads (e.g., way, truth, life of John 14:6; cf. ask, seek, knock of Matt 7:7).
258 See the author’s commentary Discovering Thessalonians (Carmel, N.Y.: Guideposts, 1986), 24–25, on the many triads in the Thessalonian letters.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32–333.
 
11절) 나는 선한 목자라. 구약에서도 하나님께서 자신을 신실한 목자로 묘사하신다. 뿐만 아니라 다윗, 모세도 그런 표현을 했다. 양들을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린다는 표현은 삼상 17장의 다윗의 고백을 떠올리게 한다. 
In the OT, God as the true shepherd is contrasted with unfaithful shepherds who will be judged by him (Psalm 23; Isa. 40:11; Jer. 23:1–4; Ezekiel 34; Zech. 11:4–17; see note on John 10:8). But David or the Davidic Messiah is also depicted as a (good) shepherd (2 Sam. 5:2; Ps. 78:70–72; Ezek. 37:24; Mic. 5:4), as is Moses (Isa. 63:11; cf. Ps. 77:20). Jesus as God and man is the fulfillment of both of these themes. The reference to the “good shepherd” who lays down his life for the sheep calls to mind young David, who literally risked his life for his sheep (1 Sam. 17:34–37). But Jesus surpassed David in that he gave his life on the cross for his sheep. See also John 10:1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43.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린다. : 본문은 양들을 대신하여 목숨을 버린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The expression hyper tōn probatōn, “for the sheep” (better “on behalf of the sheep,” 10:11, 15) implies a self-sacrificing perspective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34.

11-13절) 선한목자와 삯꾼 목자의 차이.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느냐, 아니면 위협앞에 도망가느냐?
- 몸의 상처를 보면 그가 삯꾼인지 선한 목자인지를 알 수 있다. 선한, 진실한, 진정한 목자. 

16절) 주님은 이 무리에 들지 않은 다른 양들을 인도하시려고 하고, 그들도 목자이신 주님의 음성을 듣고 한 무리가 되어 나아올 것을 말씀하신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무리에 들지 않은 다른 양은 누구인가? 반대로 무리에 든 양은 누구인가? 여러 논의가 있다. 첫째로 유대인과 흩어진 유대인(무리에 들지 않은 양)이라고 보는 견해와 둘째로 유대인과 이방인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마 10:5-6이나 15:24에서 예수께서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을 찾으러 오셨다고 말씀하셨는데 이를 근거로 흩어진 유대인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17-18절) 양들을 모아 인도하는 것은 이들을 사랑하기에 자기의 목숨을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양과 주님, 예수님과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그 앎은 인지적인 앎을 넘어서는 관계적인, 총체적인 앎을 의미한다. 
The focus of these texts is upon relationships. The good shepherd’s relationship with his sheep is based on their interpersonal knowledge of each other (10:14). The use of ginōskein (“know”) here is far more than cognitive (factual) knowledge.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 and his sheep is model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 and the Father (10:15). It is this relationship that supplied the rationale for the self-sacrifice of Jesus for his sheep. The discussion of 10:17–18 thus flows from the presupposition of this relationship.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35.

17절은 그 인과관계가 중요하다. 본문은 “내가 목숨을 버리기 때문에 아버지께서 나를 사랑하신다”로 되어 있지만 이를 반대로 번역하면 “아버지께서 나를 사랑하시기 때문에 내 목숨을 버린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도리어 이렇게 거꾸로 번역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으로 보인다. 아버지께서 나를 사랑하신 것처럼 나도 너희를 사랑하고,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라고 말씀하고 계시기 때문이다.
Accordingly, the force of Greek connectives dia touto and hoti (“The reason,” 10:17) probably are not causal in implication when combined (cf. RSV), but the causal relationship leads to a result rather than the reverse. It would be highly unlikely that either Jesus or John would have based the love of the Father for Jesus on the Son’s causal willingness to die. Instead, the love of the Father would more likely have led to the Son’s willingness to die for the sheep. Therefore, I would reverse the idea and read the text of 10:17 as, “Because [dia touto] the Father loves me, that is the reason [hoti, therefore] I lay down my life.” The model of the Father provided the model for the Son, which in turn should provide the model for the followers of Jesus (cf. 13:34; 15:12).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36.

19-21절) 예수님의 말씀이후에 유대인들 가운데 분쟁, 나뉘어짐이 있게 된다. 일단의 무리는 그분이 귀신드렸다라고 말하고 다른 이들은 소경의 눈을 뜨게 하는 것은 메시야의 사인이기에 귀신들린 말이 아니다라고 주장하게 된다. 주님의 말씀이 바르게 선포되어질때 하나되게 하는 성령의 능력이 나타나면서 동시에 분쟁과 나뉘어짐이 일어날 수도 있다.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Festival Cycle has been the element of conflict and the division Jesus created among the people (cf. 5:16; 6:41–42, 52, 60, 66; 7:20, 32, 47; 8:22–24, 44, 48, 52, 59; 9:16, 22, 34, 40). Here again the hostility is noted, and many of “the Jews” (the symbol of the opponents) identified Jesus as both demonic and demented (10:20). The point is that Jesus’ words cut deeply into the guilty hearts of his opponents and dulled their sensitivities to his actions. But for others his powerful actions gave perspective to his words (10:21; cf. 7:31)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36.

21절) 소경의 눈을 뜨게 하는 권능은 오직 하나님께로만 나온다. 
The charge of demon possession (see note on 7:20) is contradicted by OT teaching that it is the Lord who gives sight to the blind (Ps. 146:8; cf. Ex. 4:11).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44.



728x90
I Am the Good Shepherd
10 “Truly, truly, I say to you, he who does not enter the sheepfold by the door but climbs in by another way, that man is a thief and a robber. But he who enters by the door is the shepherd of the sheep. To him the gatekeeper opens. The sheep hear his voice, and he calls his own sheep by name and leads them out. When he has brought out all his own, he goes before them, and the sheep follow him, for they know his voice. yA stranger they will not follow, but they will flee from him, for they do not know the voice of strangers.” This figure of speech Jesus zused with them, but they adid not understand what he was saying to them.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10:1–6.

서부의 목양을 떠올리면, 개가 양을 몰고 다니는, 성경의 본문에서 나오는 양과 목자사이의 친밀함을 생각하기는 쉽지 않다. 본문은 동양적인 목양의 풍경이다. 

3절) 양의 이름을 아는 목자
The concept of naming was extremely important to the biblical writers because names were declarations of the nature of living creatures. When Adam named the creatures and even Eve, he identified each one’s nature (Gen 2:18–23). Moreover, shifts in names such as from Abram to Abraham and from Jacob to Israel were identifications of shifts in the nature or the circumstances of a person (cf. Gen 17:4–7; 32:26–30).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31.

성경의 목자의 이미지는 오늘날 리더십의 중요한 심상이 된다. 이는 하나님의 백성과 그들의 지도자, 리더의 인격적인 관계를 이야기할 뿐만 아니라 예수님을 통해 보여주는 리더십의 전형이 된다. 하지만 이시대의 리더는 요 10장의 섬기는 리더가 아니라 군림하는 리더의 모습인 경우가 있기에 상충되는 경우가 있다. 양 앞에서 위협을 먼저 직면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목자가 아니라 전장의 뒤에서 명령하고 군림하는 모습, 채찍을 휘두르며 양들을 우리에 가두는 모습이 어찌보면 지금 우리의 현실이 된다. 
The image of the shepherd is an extremely important biblical picture of a “leader” (Num 27:17) because it implies not only an intensely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God’s people and their leaders but a style or model of leadership exemplified by Jesus (cf. Mark 6:34). The very word “leadership” is developed from the shepherd imagery, where the shepherd goes before the flock and encounters the problems of the flock first. The shepherd does not issue commands in a pyramid fashion down to subordinates who carry out his wishes like a general or admiral who stays back out of range of the conflict; nor is a shepherd a whip-carrying organizer who drives the sheep into the pen or to a particular pasture. But the shepherd knows the setting, leads the sheep, and they follow him (cf. John 10:4). Sometimes “leaders” today are like the strangers of this text, whose voices are unknown to the sheep, and they wonder why there are problems in their organizations (cf. 10:5)!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32.

목자의 특징
1) 양의 문으로 들어간다. 문으로 들어가지 않는 자는 절도며 강도이다. 
2) 양들이 목자의 음성을 알고 그 음성을 듣는다. 
3) 양들의 이름을 알고 그들을 각각 불러 인도하여 낸다. 
4) 양들 앞서 간다. 양들은 그 목자를 따라 간다. 

이 목자가 양을 이끄는 모습은 구약의 이스라엘을 상기시킨다. 특별히 출애굽시에 모세가 이스라엘을 이끌고 나오는 모습. 

6절) 비유로 말씀하시는 주님. 
The Greek words παροιμία (“image” or “figure”) and παραβολή (“parable”) are used to express aspects of the Hebrew משׁל, which as indicated above has a wide range of meanings. In John the term παροιμία suggests a statement or proverb that carries a hidden meaning that needs to be elucidated. For a discussion of παροιμία see F. Hauck’s discussion in TDNT 5.854–56.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728x90
35 Jesus heard that they had cast him out, and having found him he said, “Do you believe in qthe Son of Man?”3 36 He answered, r“And who is he, sir, that I may believe in him?” 37 Jesus said to him, “You have seen him, and sit is he who is speaking to you.” 38 He said, “Lord, I believe,” and he worshiped him. 39 Jesus said, t“For judgment I came into this world, uthat those who do not see may see, and vthose who see may become blind.” 40 Some of the Pharisees near him heard these things, and said to him, w“Are we also blind?” 41 Jesus said to them, “If you were blind, xyou would have no guilt;4 but now that you say, ‘We see,’ your guilt remains.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9:35–41.

나면서 부터 소경된 이를 고쳐주시자 바리새인들이 소경된 자를 추긍한다. 이에 그가 이 사람(예수)이 하나님께로부터 오지 아니하였으면 아무 일 도 할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고백하자 그를 쫓아낸다.

35-38절) 이에 쫓겨난 소경을 찾아오셔서 만나주시는 주님. 그분께서 소경에게 “네가 인자를 믿느냐?”라고 물으신다. 이에 “그가 누구십니까? 내가 믿고 싶습니다.”라고 말하자 주님께서 직접 그에게 자신을 계시하시며 말씀하신다. “네가 그를 보았고 지금 너와 말하는 자가 바로 인자이다.”라고 말씀하신다. 이렇게 주님을 만난 이 소경의 반응은 바로 믿음과 예배였다. 그는 내가 믿나이다라고 고백하고 나서 바로 그분께 절하며 경배를 드렸다. 
36절의 주여와 38절의 주여의 호칭은 모두 헬라어로는 ‘큐리오스’이지만 그 의미는 다르다. 한글 번역에서는 모두 주여로 번역되지만 영어에서는 처음은 ‘sir’로 두번째는 ‘Lord’로 번역하고 있다. 36절에서 소경은 예수님에 대해서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면 이데 38절에 와서는 그분을 주님으로 고백하고 있는 것이다. 
- 본문의 소경의 고백은 이후에 도마의 고백을 떠오르게 한다. 보지 않고 믿는자가 복되다라고 말씀하시는 주님. 
Moreover, when taken together, the unique use of “Lord” and the linkage to “believing” and “worship” (of a God figure) all function as a window into the Thomas confession of “My Lord and my God!” (20:28). Coming from a blind man who committed himself to the truth of transformation without having seen his transformer in person, his confession illustrates Jesus’ blessing announced to Thomas upon those who would believe without seeing (cf. 20:29).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25.

39절) 주님께서 이땅에 오신 이유 : 심판하러 이 세상에 오셨다. 그래서 보지 못하는 자들을 보게하고, 보는 자들을 소경되게 하려 하신다. 

40-41절) 바리새인이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자신이 소경인가라고 묻는다. 이에 대해서 주님께서는 너희가 소경이라면 죄가 없겠지만 본다고 하니 너희 죄가 여전히 있다라고 말씀하셨다. 

여기서 우리는 육체적으로 보는 것과 영적으로 보는 것의 차이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주님께서 이땅에 오셔서 심판을 행하실때 육체적으로 소경된 자들을 보게하시고, 영적으로 보는 자들(하지만 정말 봐야할 것으로 보지 못하는 자들)을 소경되게 하려하신다고 말씀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지금 무엇을 보고 있는지? 그리고 내가 보고 있는 그것을 정말 바르게 믿고 예배하고 있는지 생각해야 한다. 







728x90
24 So for the second time they called the man who had been blind and said to him, d“Give glory to God. We know that ethis man is a sinner.” 25 He answered, “Whether he is a sinner I do not know. One thing I do know, that though I fwas blind, now I see.” 26 They said to him, “What did he do to you? How did he open your eyes?” 27 He answered them, g“I have told you already, and you would not listen. Why do you want to hear it again? Do you also want to become his disciples?” 28 And they reviled him, saying, “You are his disciple, but hwe are disciples of Moses. 29 We know that God has spoken to Moses, but as for this man, iwe do not know where he comes from.” 30 The man answered, “Why, this is jan amazing thing! kYou do not know where he comes from, and yet he opened my eyes. 31 We know that lGod does not listen to sinners, but mif anyone is a worshiper of God and does his will, God listens to him. 32 Never since the world began has it been heard that anyone opened the eyes of a man born blind. 33 nIf this man were not from God, he could do nothing.” 34 They answered him, o“You were born in utter sin, and would you teach us?” And they pcast him out.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9:24–34.

24-26절) “영광을 하나님께 돌리라”는 말은 하나님께 찬양을 돌리는 내용이 아니라 유대인들이 맹세를 할때 사용하는 문구이다.(cf. Josh 7:19; Jer 13:16, cf. also 2 Chr 30:8) 이미 무리들은 예수님에 대해서 죄인이다라는 확신을 가지고 질문을 하고 있다. 그런데 소경되었던 이는 그분이 죄인인것은 알지 못하지만 중요한 것은 내가 지금 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소경이 눈을 뜨게된 놀라운 하나님의 역사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어떻게 눈을 뜨게 되었는지?”에 관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27-30절) 질문하는 이들은 정해진 대답을 듣기 원해서 질문을 반복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소경은 질문하는 이들도 그의 제자가 되기를 원해서 그렇게 묻는 것이냐라고 비아냥 거린다. 이에 대해서 “ 너는 그의 제자이지만 우리는 모세의 제자이다”라고 이야기하며 선을 긋는다. 이들은 주님에 대한 이해가 없으므로 그분이 어디로부터 왔는지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하고, 알려고도 하지 않는다. 반면에 소경은 나의 눈을 뜨게 해준 사람이라면 분명히 하나님께로부터 온 사람임에 틀림없다라는 확신이 있는 것이다. 
 
31-33절) 이 소경이 하나님께 대하여 가지고 있는 전제는 하나님께서는 죄인의 간구를 듣지 않으시고 의인의 간구를 들으신다는 것이고 또한 창세로부터 내어날때부터 소경된 자의 눈을 뜨게 한 일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예수님께서 자기에게 행하신 이적을 통해서 그분이 하나님께로부터 온 분임을 확신하고 있다. 
The man’s major premise, that God does not listen to sinners, reflects a theme in several OT passages (e.g., Ps. 34:15; 66:18; 109:7; 145:19). The man’s minor premise, that there was no precedent for the opening of the eyes of a person born blind, is also confirmed by the absence of similar instances in the OT or extrabiblical sources. The man’s conclusion (cf. John 3:2) concurs with the common Jewish view that miracles were performed in answer to prayer.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42.

소경의 대답
To summarize, first, in his answer to the investigators he revealed his astonishment (“that is remarkable!”); second, he practically taunted them as specialists in the knowledge of God (“you don’t know … yet he opened my eyes,” 9:30); third, he virtually instructed them in his theology of God (God “listens to the godly … who does his will,” 9:31); fourth, he asserted the uniqueness of his experience (“nobody has ever heard … opening the eyes of a man born blind,” 9:32); and fifth, he concluded the certainty of the healer’s divine ministry (“if this man were not from God, he could do nothing,” 9:33).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22.

표적과 기사가 하나님의 실존을 증거한다. 하지만 표적과 기사가 없다고 하나님이 없다라고 말할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 우리는 기적을 좇는 신앙의 피상성을 조심해야 한다. 

또한 소경이 이야기한대로 하나님께서는 죄인들의 기도는 듣지 않으시는가? 이는 너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이다. 하나님께서는 모든 것을 알고 들으신다. 하지만 우리가 기도를 통해서 그분을 조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도해도 듣지 않으실 수도 있고 우리의 기도와 관계없이 그분이 이루실 수도 있는 것이다. 

34절) 소경의 이야기를 듣고 분개하여 그를 쫓아내는 무리들, 이 쫓아냄이 22절에서 그의 부모들이 두려워하던 출교인지 아니면 그저 회당에서 내보낸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728x90
13 They brought to the Pharisees the man who had formerly been blind. 14 qNow it was a Sabbath day when Jesus made the mud and opened his eyes. 15 rSo the Pharisees again asked him how he had received his sight. And he said to them, “He put mud on my eyes, and I washed, and I see.” 16 Some of the Pharisees said, “This man is not sfrom God, tfor he does not keep the Sabbath.” But others said, u“How can a man who is a sinner do such signs?” And vthere was a division among them. 17 So they said again to the blind man, “What do you say about him, since he has opened your eyes?” He said, w“He is a prophet.”
18 xThe Jews1 did not believe that he had been blind and had received his sight, until they called the parents of the man who had received his sight 19 and asked them, “Is this your son, who you say was born blind? How then does he now see?” 20 His parents answered, “We know that this is our son and that he was born blind. 21 But how he now sees we do not know, nor do we know who opened his eyes. Ask him; he is of age. He will speak for himself.” 22 (His parents said these things ybecause they feared the Jews, for zthe Jews had already agreed that if anyone should aconfess Jesus2 to be Christ, bhe was to be put out of the synagogue.) 23 Therefore his parents said, c“He is of age; ask him.”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9:13–23.

13-17절) 왜 사람들이 사두개인이나 서기관, 산헤드린 공회가 아니라 바리새인에게 이 소경되었던 자를 데리고 갔는가? 공관복음과는 다르게 요한복음에서는 사두개인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서기관도 별도로 삽입되었다는 간음중에 잡힌 여인의 사건중에 8:3 한번 등장할 뿐이다. 
바리새인들의 관심사는 예수님이 안식일을 위반하였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분을 올무에 빠뜨리려는 의도를 가지고 질문을 한다. 앞선 질문과 같이 어떻게 보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그러자 소경은 예수님이 진흙을 자신의 눈에 바르고 씻었더니 보게 되었다라고 대답한다. 또한 바리새인중에 어떤 이가 예수님이 안식일을 지키지 않았기에 하나님께로부터 온자가 아니다라고 하기도 하고 죄인으로서 어떻게 이러한 표적을 행할수 있느냐라고 의견이 분분하여 졌다. 이에 대해서 소경되었던 자에게 다시 묻는다. “너는 네 눈을 뜨게 해준 그 사람을 어떠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느냐?” 그러나 소경은 “선지자입니다”라고 대답한다. 
그분이 안식일에 주인인 것을 이미 말씀하셨고, 율법에도 안식일에 생명을 살리는 긴급한 일을 행할 수 있다록 명시해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질서와 권위에 도전하는 예수님에 대해서 위협을 느낀 무리들은 그를 올무에 빠뜨리기 위해서 이러한 도전을 하고 사람들을 위협함으로 여론을 조성하고 있는 것이다. 
-  Because Jesus violated their view of the Sabbath, he was “not from God” (ouk para theou, 9:16; cf. 5:18).227 The rules of the rabbis, however, did not forbid all acts of mercy on the Sabbath because it was argued that if someone were in imminent danger of death, a Jew could come to the person’s aid. But the blind man did not fall under such a rule, and therefore they would have judged the healer here as guilty (see, however, my comments at 7:22–23 concerning the change the rabbis themselves made concerning healing).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18.

18-23절) 유대인들은 소경으로 있다가 눈을 뜬 것을 믿지 못해서 그 부모를 소환한다. 그래서 그 부모에게 저 소경으로 태어났다하는 저 이가 너희들의 아들인가 묻는다. 이 질문에 대해서는 아주 간단하게 대답한다. “그가 우리 아들이고 그는 태어날때 부터 소경으로 태어난 것이 맞다.” 두번째 질문은 그가 지금 어떻게 보게 되었는가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그 부모들의 대답은 위협과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는듯 자신들은 알지 못하니 장성한 자신들의 아들에게 물어보라고 전가한다. 
유대인들은 이미 누구든지 예수를 그리스도라고 시인하는 자는 출교시키기로 결의를 한 상태이기에 부모들은 두려워할 수 밖에 없었다. 






728x90
Jesus Heals a Man Born Blind
As he passed by, he saw a man blind from birth. And his disciples asked him, c“Rabbi, dwho sinned, ethis man or fhis parents, that he was born blind?” Jesus answered, “It was not that this man sinned, or his parents, but gthat the works of God might be displayed in him. We must hwork the works of him who sent me iwhile it is day; night is coming, when no one can work. As long as I am in the world, jI am the light of the world.” Having said these things, khe spit on the ground and made mud with the saliva. lThen he anointed the man’s eyes with the mud and said to him, “Go, wash in mthe pool of Siloam” (which means Sent). So he went and washed and ncame back seeing.
The neighbors and those who had seen him before as a beggar were saying, o“Is this not the man who used to sit and beg?” Some said, “It is he.” Others said, “No, but he is like him.” He kept saying, “I am the man.” 10 So they said to him, “Then how were your eyes opened?” 11 He answered, p“The man called Jesus made mud and anointed my eyes and said to me, ‘Go to Siloam and wash.’ So I went and washed and received my sight.” 12 They said to him, “Where is he?” He said, “I do not know.”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9:1–12.

2절) 구약의 가르침 속에서 사람들은 고통이 죄때문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신약에서는 우리의 고통이 항상 개인적인 죄의 결과때문은 아니라고 말한다. 
The disciples’ question reflects the assumption, customary in ancient Judaism, that suffering could be traced to sin. The underlying concern—well-intentioned, but misguided—was not to charge God with perpetrating evil on innocent people (cf. Ex. 20:5; Num. 14:18; Deut. 5:9). Yet the NT makes clear that suffering is not always a direct result of a person’s sin (e.g., Luke 13:2–3a; 2 Cor. 12:7; Gal. 4:13; and Jesus’ crucifixion; see also John 12:28, 37–41; 17:1, 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41.

3절) 도리어 예수님께서는 죄로 인함이 아니라 하나님의 하시는 일을 나타내기 위해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우리에게 고난과 고통이 임할 수 있다고 말씀하신다. 
아비의 죄가 자녀에게 전가되느냐는 것은 오래된 난제이다. 성경에도 이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지금 주님께서는 하나님의 일을 드러내기 위해서 인간의 고통을 사용하실 수 있다라고 말씀하고 계신다. 
In the present case it might be argued that since the blindness was from birth, the blame would seemingly fall on the parents, but failing that solution, the blame would fall on the person’s prenatal state. Based on the text of the struggle between Esau and Jacob in Rebekah’s womb (Gen 25:22–23), the rabbis argued that Esau sinned in the womb (cf. Ps 58:3; contrast Paul’s argument in Rom 9:11 and the perspective of God’s role concerning a child in Jer 1:5).215 Jesus, however, refused to accept the disciples’ alternative of blame and in fact shifted the base system of the discussion from blame to the grace of God in the face of human need. The story line thus signals that in this pericope Jesus was going to use the man’s tragedy to reveal the works (erga) of God (9:3).
215 For a rabbinic perspective on a child’s responsibility see Gen. Rab. 63.6.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13.

5절) 예수님의 I am 메세지. 나는 세상의 빛이다. (요 8:12 참조)

6-7절) 땅에 침을 뱉어서 진흙을 이겨 소경의 눈에 바르시는 주님, 이런 행동을 하신 이유가 무엇인가? 소경의 눈을 뜨게하는데 진흙이나 그분의 침에 특별한 능력이 있어서가 아니라 그분의 이적을 세상에 알리고 계시는 것이다. 구약의 선지자들이 벌거벗거나, 인분으로 떡을 굽거나, 세례요한처럼 광야에서 약대털옷을 입고 회개의 메시지나 심판의 메시지를 전할때 그들의 특별한 행동이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을 것이다. 이처럼 소경이 진흙은 눈에 바르고 실로암 연못을 향해 눈을 씻으러 걸어가는 도중에 수많은 사람이 그 기괴한 장면을 보고 이것이 무슨일인가? 누가 이일을 하였는가를 물었을 것이다. 바로 주님께서 이 일을 하셨다. 주님께서는 자신이 세상의 빛이심을 선포하시고 바로 날때부터 장님된 이에게 세상의 빛을 선물로 주신 것이다. 
예수님께서 침을 사용하셔서 치유의 기적을 일으키신 장면이 둘이 등장한다. 이는 예수님께서 손을 대시거나, 침을 뱉는 행동을 통해서 당신의 능력이 전달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 기적은 창세기에서 인간을 창조하실때 흙으로 빚으시고 그 코에 생기를 불어넣으시는 장면은 연상케 한다. 
Two spittle miracles are recorded in Mark (the healing of the deaf man who also had a speech problem in 7:32–35 and the healing of the blind man at Bethsaida in 8:22–25), but there are no spittle miracles in Matthew or Luke. In both cases from Mark, as in this case from John, spittle seems to be a kind of vehicle Jesus used to perform the miracle. Like his touch (cf. Mark 5:31; 5:41), Jesus’ spittle seems to be an aspect of his person that carried his power. In the present case the mixing of Jesus’ spittle (ptysma) with dirt is somewhat reminiscent of God’s breath mixing with dirt of the earth in the miracle of human creation (Gen 2:7).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14.
주님께서 이 소경으로 하여금 실로암 못에 가서 씻으라 말씀하셨고 이에 순종했을때 그의 눈이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내용을 들을때 우리는 구약의 요단강에서 몸을 씻은 나아만(왕하 5:10-14)을 떠올린다. 치유하시는 분의 명령과 이에 순종할때 놀라운 하나님의 치유의 능력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실로암은 보냄을 받았다라는 의미로 예수님의 사명과 주님의 은혜를 경험한 제자들에게 하시는 주님의 명령을 떠올리게 한다. 하나님께서 주님을 우리의 구원을 위해서 보내셨고, 구원받은 우리들은 이제 그 사명을 성취하게 위해서 보냄을 받은 것이다. 

실로암 못의 중요성
The intersection of the Pool of Siloam with the Festival of Tabernacles should also not be overlooked here because the water drawn for the water ceremony in the temple was carried in procession from this very same pool. The Pool of Siloam was a strategic place of well-being for the inhabitants of Jerusalem because after Hezekiah dug the water tunnel from the Spring of Gihon to the Pool of Siloam, the Jerusalemites had a continual source of life-sustaining water within the walls of the city during times of siege.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15.

8-12절) 이 사건 이후에 이웃 사람들과 무리들이 몇가지 질문을 제기한다. 첫번째 저 사람이 이전에 구걸하던 자인가? 그가 걸인이었던 것이 맞다면 어떻게 눈이 떠졌는가? 그리고 걸인을 치료해준 예수라는 인물은 어디에 있는가?이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알던 소경이 눈을 뜨고 있는 것에 대해서 놀라워 믿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놀라서 질문 한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해서는 고침을 받은 그 소경이 분명하게 대답한다. “내가 바로 그 걸인이었던 사람이다."
두번째 질문은 첫번째와 연결되어 당연히 나올 질문이다. 이에 대해서 그는 자신이 경험한 대로 진술한다. “예수라는 사람이 진흙을 이겨서 내 눈에 바르고 실로암에 가서 씻으라 했고 내가 가서 씻었더니 보게 되었다”라는 것이다. 
그리고 세번째 질문에 대해서 그는 예수님이 어디에 계신지 알지 못한다라고 대답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진짜 알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예수님에 대해서 적대적인 분위기를 느끼고 예수님을 보호하기 위해서 알지 못한다고 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하지만 이후의 내용의 전개로 볼 때 예수님이 어려운 곤경에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빛과 어두움, 선과 악, 낮과 밤 요한은 계속해서 두가지 상반된 이미지들을 통해서 이야기를 전개해나가고 있다. 





728x90
Before Abraham Was, I Am
48 The Jews answered him, “Are we not right in saying that you are a Samaritan and ghave a demon?” 49 Jesus answered, “I do not have a demon, but hI honor my Father, and you dishonor me. 50 Yet iI do not seek my own glory; there is One who seeks it, and he is the judge. 51 Truly, truly, jI say to you, if anyone keeps my word, he will never ksee death.” 52 The Jews said to him, “Now we know that you have a demon! lAbraham died, as did the prophets, yet myou say, ‘If anyone keeps my word, he will never ntaste death.’ 53 oAre you greater than our father Abraham, who died? And the prophets died! Who do you make yourself out to be?” 54 Jesus answered, p“If I glorify myself, my glory is nothing. qIt is my Father who glorifies me, rof whom you say, ‘He is our God.’4 55 But syou have not known him. tI know him. If I were to say that I do not know him, I would be ua liar vlike you, but I do know him and I keep his word. 56 wYour father Abraham xrejoiced ythat he would see my day. zHe saw it and was glad.” 57 So the Jews said to him, “You are not yet fifty years old, and have you seen Abraham?”5 58 Jesus said to them, “Truly, truly, I say to you, before Abraham was, aI am.” 59 So bthey picked up stones to throw at him, but Jesus hid himself and went out of the temple.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8:48–59.

48-52절) 유대인들이 지금 예수님을 귀신들린 사마리아 사람이라고 폄하하고 있다. 앞서 4장에서 사마리아 여인은 유대 남자가 자신과 대화하는 것 자체만으로 놀라워할 정도로 유대인들과 사마리아인들의 관계는 좋지 않았다. 세상의 구주로 오신 주님을 유대인들은 영접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마치 그들이 사마리아인들은 받아들이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또한 주님께서 하시는 주장이 너무나 놀라워서 그분에게 귀신이 들렸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주님께서는 지금 내말을 지키는 삶은 영원히 죽음을 보지 않을 것이다 라고 말씀하신다. 이에 대해서 아브라함과 선지자도 모두 죽었는데 어떻게 죽음을 영원히 맛보지 않는다는 것이냐라고 반문하고 있다. 

죽음을 보다와 맛보다(51, 52절)라는 표현은 셈족 문화에서 삶의 현실성을 표현하는 전형적인 표현이다. 모두 경험하다라고 해석가능하다. 
The literal expressions “not see death unto the ages” (8:51) and “not taste death unto the ages” (8:52) are parallel statements referring to personal experience. The use of “see” and “taste” are typical Semitic ways of expressing the great realities of life in sense terminology.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07.
51절의 영원히로 번역된 부분의 헬라어는 “에이스 톤 아이오나”로 unto the age로 번역된다. 헬라의 언어에서는 영원이라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기에 시간이 반복된다는 관점으로 이런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58절) "아브라함이 나기전부터 내가 있느니라”라는 예수님의 증언에 대해서 유대인들은 이것에 대해서 본능적인 적대감을 가졌다. 왜냐하면 이는 출 3:14에서 하나님께서 자기 계시를 하시는 내용을 떠올리게 될뿐만 아니라 그분의 영원성을 주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53-59절) 53절의 “우리 조상 아브라함보다 크냐”라는 질문은 앞서 사마리아여인이 제기했던 “야곱보다 큰이인가?”라는 질문과 동일하다. 야곱이 우물의 제공자였다면 아브라함은 생명의 제공자이다. 
The follow-up question was to be expected. “Are you greater than our father Abraham?” (8:53). The question was clearly parallel to the Samaritan woman’s question concerning Jacob (4:12). The only difference in the questions was that the earlier one was phrased in terms of a water/well-giver, and in this case it was a life/escape-death-supplier. The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08.
지금 주님은 아브라함을 증인으로 호출하고 있다. 아브라함이 주님의 때를 볼 것을 즐거워했고 이를 보고 기뻐했다는 것이다. 이는 유대인들로서는 참을 수 없는 신성모독에 가까운 말이었다. 그래서 그들은 돌을 집어들었다. 
That claim was a reminder of the claims for God in the Old Testament over against creation (cf. Ps 90:2; Isa 42:3–9) and of the self-designation for the comforting God of Isaiah (41:4; 43:3, 13). The claim of Jesus, therefore, was clearly recognized from the Jews’ perspective to be a blasphemous statement they could not tolerate. Accordingly, they again made their judgment call, and their verdict implied death by stoning (John 8:59; cf. Lev 24:11–16; 1 Kgs 21:10–13).202
202 For further references see Str-B 1.1013–19. Cf. m. Sanh. 7:4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09.
57절) 일반적으로 주님께서 공생애를 시작하신 나이를 30살정도로 본다. 그리고 그분의 공생애가 3년이었으니 지금 나이는 30-33살정도일 것이다. 그런데 본문에서 유대인들은 예수님의 나이를 50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것은 정확한 나이는 아니지만 50도 못되었다라는 표현은 그분이 그만큼 힘들게 생활하셔서 30대의 나이인데 50대에 가깝게 보였다라는 해석이 될 수도 있고, 실제로 여러 제자들의 나이를 고려할때 50대에 가까운 나이였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정확하지는 않다. 
성경에 예수님의 나이에 대한 내용이 많이 등장하지는 않지면 몇몇 구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눅 2:42, 개정) 『예수께서 열두 살 되었을 때에 그들이 이 절기의 관례를 따라 올라갔다가』
(눅 3:23, 개정) 『예수께서 가르치심을 시작하실 때에 삼십 세쯤 되시니라 사람들이 아는 대로는 요셉의 아들이니 요셉의 위는 헬리요』
이렇게 누가복음에서는 공생애의 시작을 30세쯤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유대인들은 예수님의 나이가 50이 못되어 보인다라고 했다. 누가가 좀더 예수님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가까이서 보았다라고 가정한다면 유대인들은 예수님의 외모를 보고 그분을 겉늙게 보았다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렇게 많이 잡아도 50이 안되어 보이는 인물이 어떻게 2000년전의 아브라함을 들먹이며 이야기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58절에 예수님은 분명하게 내가 아브라함이 나기 전부터 있었다라고 선포하신다. 
유대인들은 주님이 어떻게, 언제 아브라함을 보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에, 주님께서는 아브라함이 나를 보았다라고 말씀하고 계신다. 그 초점이 다름에 주의하자. 

59절) 이에 돌을 들어 쳐 죽이려는 유대인들, 이렇게 돌로 쳐서 죽이는 행위는 신성 모독에 대한 형벌인데 바른 판단을 기초해야만 한다. 
See note on Acts 7:58. Stoning was the prescribed punishment for blasphemy (Lev. 24:16; cf. Deut. 13:6–11; John 10:31–33; 11:8). However, this punishment was supposed to be the result of righteous judgment, not mob violence (Deut. 17:2–7).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41.





728x90
You Are of Your Father the Devil
39 They answered him, m“Abraham is our father.” Jesus said to them, n“If you were Abraham’s children, you would be doing the works Abraham did, 40 but now oyou seek to kill me, a man who has told you the truth pthat I heard from God. This is not what Abraham did. 41 You are doing the works your father did.” They said to him, q“We were not born of sexual immorality. We have rone Father—even God.” 42 Jesus said to them, s“If God were your Father, you would love me, for tI came from God and uI am here. vI came not of my own accord, but whe sent me. 43 xWhy do you not understand what I say? It is because you cannot ybear to hear my word. 44 zYou are of your father the devil, and your will is to do your father’s desires. aHe was a murderer from the beginning, and bdoes not stand in the truth, because there is no truth in him. cWhen he lies, he speaks out of his own character, for he is a liar and the father of lies. 45 But because I tell the truth, you do not believe me. 46 Which one of you convicts me of sin? If I tell the truth, why do you not believe me? 47 dWhoever is of God hears the words of God. eThe reason why you do not hear them is that fyou are not of God.”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8:39–47.

39-40절) 자신들이 아브라함의 자손임을 자랑하는 유대인들을 향해서 그들이 혈통으로는 아브라함의 자손임이 분명하지만 아브라함의 행사를 하지 않는 것을 책망하고 계신다. 아브라함의 가장 중요한 행동은 바로 하나님을 믿은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을 바로 믿는다면 하나님이 보내신 주님을 죽이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This implies that Abraham’s true children are only those who believe in Jesus (cf. Rom. 2:28–29; 9:6–8). What Abraham did most prominently was believe God (Gen. 15:6; Rom. 4:3; Gal. 3:6; James 2:23). Similarly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40.

42-44절) 자신들이 아브라함의 자녀이며 하나님의 자녀라고 주장하는 이들을 향해서 내말을 깨닫지 못하고, 나를 죽이려고 하는 너희들은 마귀의 자식들이다라고 도전하고 계신다.  / 주님이 말씀하신 것을 깨닫고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는 주님의 말씀을 들을 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마귀의 자식들의 특징은 바로 살인과 거짓이다. 

45-47절) 주님께서 진리를 말하심으로 그분을 믿지 않은 사람들. 왜냐하면 마귀에게 난 자로 진리가 그 속에 없고, 진리에 서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진리를 말하는 그분을 믿지 않고 책망하고 있다. 결국 진리는 우리를 나눈다. 

47절) 하나님께 속한자와 그렇지 않은 자를 나누는 결정적인 차이는 결국 하나님의 말씀을 듣느냐, 듣지 않느냐이다. 듣지 못하는 이유가 하나님께 속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 43절과 47절에서 사용되는 듣다라는 단어는 “아코우에이”라는 단어로 “heed, hear”의 의미로 주의하여 듣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막 12:29절에서 동일하게 사용된다.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첫째는 이것이니 이스라엘아 들으라 주 곧 우리 하나님은 유일한 주시라” 우리가 들어야할 주님의 말씀, 그냥 흘려 들어서는 안된다. 마음을 다해서 주의깊게 듣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서 애써야 하는 말씀이다. 








728x90
31 So Jesus said to the Jews who had believed him, c“If you abide in my word, you are truly my disciples, 32 and you will dknow the truth, and the truth ewill set you free.” 33 They answered him, f“We are offspring of Abraham and have never been enslaved to anyone. How is it that you say, ‘You will become free’?”
34 Jesus answered them, “Truly, truly, I say to you, geveryone who practices sin is a slave3 to sin. 35 hThe slave does not remain in the house forever; ithe son remains forever. 36 So if the Son sets you free, you will be free indeed. 37 I know that you are offspring of Abraham; yet jyou seek to kill me because my word finds no place in you. 38 kI speak of what I have seen with my Father, and you do what you have heard lfrom your father.”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8:31–38.

31-32절)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말은 반드시 31절과 연결되어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문을 중간에 끊어서 읽고 따로 해석하게 되면 큰 문제가 생긴다. 
앞서 30절에서 많은 사람이 믿었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주님은 사람의 많음에 영향을 받지 않으시고 오직 자신의 말에 거하는 이가 참된 제자이다라고 말씀하고 계신다. 그 말에 거한다는 의미가 무엇인가? 이는 “메네인”이라는 헬라어 단어로 지키다, 지속하다, 머물다. 거하다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주님의 말씀을 지키고 그안에 거하는 사람이 참 주님의 제자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 참 제자인이가 진리를 알게 되고 자유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참 제자가 아니면 그분의 진리를 알 수 없고 여전히 매임 가운데 있게 된다는 것이다. 무엇으로부터의 자유인가를 생각할때 죄로 부터의 자유임을 34절에서 우리에게 말해준다. 

32절은 대단히 유명한 구절로 대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구절이다. 학문적인 앎이 자유의 열쇠라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본문의 의미는 진리로서의 주님을 아는 것을 의미한다. 바로 그분이 인간 삶의 자유의 변혁을 일으키실 수 있는 분이다. 
The statement in v. 32 has become classic. Indeed, parts of it are embossed on the seal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significance in such cases is normally understood to mean that academic learning is the key to liberty. But that is hardly the meaning of John 8:32.184 The meaning here involves knowing Jesus as truth, who brings a transforming sense of freedom to human life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03.

33절) 자유함에 대해서 이야기하자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아브라함의 자손이고 남의 종이 된적이 없는데 어째서 자유케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느냐고 반문한다. 생물학적으로 그들이 아브라함의 자손인것은 사실이지만 종된 적이 없다는 말은 넌센스이다. 그들은 역사적으로 수많은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포로생활을 해왔기 때문이고 본문의 유월절이 바로 애굽으로부터의 탈출, 자유케 됨을 기념하는 절기이기에 이러한 배경속에서 자유케 함에 대한 이해를 하게 된다. 
But these so-called “believers” were incensed that Jesus implied they were in bondage. Their reaction was immediate and involved both an assertion and a denial. They first asserted their identity as being descendants (of the “seed,” sperma) of Abraham.185 Then they denied that they had ever been the slaves of anyone. On the surface the first statement seemed to be correct, at least biologically. The second statement, however, seemed to be ridiculously untrue. After all, historically they had been slaves or a vassal state of most of the great powers: beginning with Egypt, thereafter Assyria, Babylonia, Media-Persia, Macedonia, Egypt again and Syria, then finally Rome. Given the context of the Festival of Tabernacles with its background in the wilderness experience of Israel following the liberation from Egypt, however, the reference to freedom and liberty should simply jump out to the knowledgeable reader. The fact that the connection to Tabernacles is seldom made is a commentary on our contemporary concern for political freedom and a failure to see the contextual framework of the Johannine message.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03.

34-38절) "진실로 진실로 죄를 범하는 자마다 죄의 종이라” 너무나 분명하고 강력한 진술이다. 물리적인, 신체적인 종됨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유대인들을 향해서 바로 너희들이 죄의 종인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 종은 집에 영원히 거하지 못하지만 아들은 영원히 거한다. 종과 아들의 차이에 대해서 분명히 진술한다. 집을 하나님 나라라고 말할때 죄의 종은 그 영원한 하나님 나라에 거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들이신 주님께서 우리를 자유케 하시면 우리가 자유로와 질 수 있다. 왜냐하면 그분에게는 죄를 사하는 권세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 나를 죽이려고 하는 이유는 나의 말이 너희속에 있을 곳이 없기에, 앞서 말한대로라면 참 제자가 아니고 그들에게 참 자유가 없기 때문인 것이다. 반대로 참 제자라면 주님을 죽이려고 할 수 없다. 
38절에서 또 주님과 유대인들을 대조하신다. “나는 내 아버지에게서 본것을 말하고 너희는 너희 아비에게서 들은 것을 행한다”는 것이다. 우리들의 아비는 누구인가? 우리는 하나님 아버지를 아비로 모시고 그분의 자녀로 살아가고 있는가? 아니면 이 세상을 아비 삼아서 죄의 종으로 이땅을 살아가고 있는가? “본것을 말하고 들은 것을 행한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728x90
21 So he said to them again, f“I am going away, and gyou will seek me, and hyou will die in your sin. Where I am going, you cannot come.” 22 So the Jews said, i“Will he kill himself, since he says, ‘Where I am going, you cannot come’?” 23 He said to them, j“You are from below; I am from above. kYou are of this world; lI am not of this world. 24 I told you that you mwould die in your sins, for nunless you believe that oI am he you will die in your sins.” 25 So they said to him, p“Who are you?” Jesus said to them, “Just what I have been telling you from the beginning. 26 I have much to say about you and much to judge, but qhe who sent me is true, and I declare rto the world swhat I have heard from him.” 27 They did not understand that the had been speaking to them about the Father. 28 So Jesus said to them, “When you have ulifted up the Son of Man, vthen you will know that wI am he, and that xI do nothing on my own authority, but yspeak just as the Father taught me. 29 And zhe who sent me is with me. zHe has not left me alone, for aI always do the things that are pleasing to him.” 30 As he was saying these things, bmany believed in him.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8:21–30.

21절) 21절의 죄는 단수로, 24절의 죄는 복수로 사용된다. 
The use of the singular “sin” here probably is a condemnation on their unwillingness to believe, but the repetition in the plural (“sins”) at 8:24 means that Jesus rendered his verdict on their evil actions as well.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299.
유대인들을 향한 주님의 말씀은 그분을 따르는 이들에 대한 그분의 약속과 사뭇 다르다. “내가 갈텐데 너듸가 나를 찾다가 죄가운데 죽겠고 내가 가는 곳에 너희가 오지 못할 것이다라고 말한다.” 반면에 요 14:2-3에서는 “ 내 아버지 집에 거할 곳이 많도다 그렇지 않으면 너희에게 일렀으리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거처를 예비하러 가노니 가서 너희를 위하여 거처를 예비하면 내가 다시 와서 너희를 내게로 영접하여 나 있는 곳에 너희도 있게 하리라” 라고 말한다. 

22-24절) 분명한 구분, “너희는 아래서 났고 나는 위에서 났으며 너희는 이 세상에 속하였고 나는 이 세상에 속하지 아니하였다.” 이당시 헬라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익숙한 이원론적인 언어를 사용해서 본인이 어디에 속해 있는지를 설명하신다. 주님은 아랫 세상에 속하신 분이 아니다. 주님께서 “내가 그다”라고 말씀하신다. 주님이 그리스도이심을,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지 아니하면 죄 가운데 죽게된다. 이것은 주님을 믿지 않은 것에 대한 것임과 동시에, 믿음을 통해서 얻게 되는 죄사함을 거절하기에 그들의 죄악속에 죽게 됨을 말하는 것이다. 

25-28절) 다시금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는 유대인들 “네가 누구냐?” “나는 처음부터 너희에게 말하여온 자다. 내가 너희에 대해서 말하고 판단할 것이 많지만 나를 보내신 분이 참되시매 내가 그분에게 들은 것을 세상에 말한다” 이 주님의 대답이 아버지 하나님에 대한 것임을 깨닫지 못하는 유대인들. 이에 인자가 들림을 받은 후에 내가 누구인줄 알게 될 것이다. 나는 난 스스로 아무것도 말하지 아니하고 아버지께서 가르치신 것만을 말하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인자의 들림과 높아지심. 
So he pointed to his forthcoming death-resurrection (“lifted up”) as the context for recognizing both his “I am-ness” (egō eimi) and his God-directed mission. As such, his authority came from his relationship to the Father (8:28–29). The concept of “lifted up” (hypsoun) in John is the way Jesus referred to the events involved in his glorification (8:28; cf. 3:14; 12:32–34),180 an expression used to identify his work on earth as the sacrificial Lamb of God who died on the cross and was raised up in victory so that all who believe might have life (cf. the important combination in Isa 52:13 wherein hypsoun and doxazein, “glorify,” both appear).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00.

29절) 나를 보내신 이가 나와 함께 하시도다. 내가 항상 그의 기뻐하시는 일을 행한다. 이 진술은 요한 복음에 계속 반복된다. 
Throughout his statements in the Festival Cycle, Jesus had maintained that he was not acting alone but in response to the Father’s will (8:28; cf. 5:19; 6:38; 7:16). But the idea is carried a stage further here in that as Jesus faced the clear prospect of his death, he exhibited a firm conviction that the one who sent him on mission had not abandoned him (contrast Mark 15:34). The agony on the cross in John must thus be understood in light of Jesus’ confidence in the Father’s continuing presence in the midst of the passion. Moreover, the conviction of no abandonment by the Father of the Son is the basis for the Johannine assurance of no abandonment by the Son of his followers (cf. John 14:18).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01.

30절) 이 말씀을 하시매 많은 사람이 믿더라. 
This verse is transitional. It serves as the end of this section and the beginning of the next. The evangelist summarized his argument here with the familiar note that many believed (cf. 2:23; 4:39) The studied reader of John, however, has learned that such statements about believing can be double leveled and therefore are not always a conclusive or final evaluation of reality (cf. 2:24; 6:66; 12:42–43).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3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