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There was a man isent from God, whose name was jJohn. 7He came as a kwitness, to bear witness about the light, lthat all might believe through him. mHe was not the light, but came to bear witness about the light.
nThe true light, which gives light to everyone, was coming into the world. 10 He was in the world, and the world was made through him, yet othe world did not know him. 11 He came to phis own,2 and qhis own people3 rdid not receive him.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1:6–11.

6-8절) 요한은 빛에 대하여 증거하러 온 자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후 세례 요한의 사역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그를 메시야로 착각하기도 했지만 그는 분명히 자신의 소명에 대한 자각이 있었다. 모든 사람이 그분으로 말미암아 믿게 될 것에 대한 확신이 있었다. 내가 하나님의 사역에 있어서 어떤 존재인지, 나에게 주어진 소명과 부르심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인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분의 명령에 불순종하는것도 문제이지만 열심이 앞서서 하나님보다 앞서갈려는 것도 큰 문제이다.
- Mandeanism : a Gnostic religion originating the 2nd and 3rd centuries that believes John the Baptist was the Messiah and that incorporates Jewish and Christian elements into a framework of dualistic beliefs
- 말씀으로 목양하는 리더들은 자신이 빛이 아니며 빛을 증거하는 자임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하나님의 은혜를 깊이 경험할 수록 더욱 겸손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이 그 빛이 되고자하는 유혹에 넘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많은 이단들이 처음부터 자신이 메시야라고 주장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한걸음 한걸음, 또한 여러 사람들의 환호와 박수 갈채를 받으면서 미혹되어 넘어간 것이다. 

9절) 신약의 가장 중요한 주제중의 하나가 바로 진리이다. true, truth

10절) 세상은 요한복음과 복음서에서 중요한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정돈된 우주로 인간이 살아가는 실제, 장소로서의 공간을 의미하지만 뿐만 아니라 인간들을 의미하기도 한다. 요한복음에서 세상은 사람을 제외한 지구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분을 알지 못하는 세상 : 남녀가 알아간다는 것의 의미,  임신하여 자녀를 낳아가는 과정에서의 앎 / 하나님을 안다고 하면서 알지 못하는 세상. 
Western Christians generally have lived with the concept of “knowing” as primarily related to the sphere of intellectual information (i.e., head knowledge). But they need to recognize that such a definition is a far cry from the Johannine meaning of “knowing.” Knowing is a relational idea in this Gospel. This may be illustrated from Gen 4:1, where it states (literally) that Adam “knew” his wife, and that kind of knowledge resulted in children.55 That knowledge obviously was not primarily intellectual! Accordingly, knowing the Logos in this Gospel is more than knowing facts about the Logos (see further comments on knowing and believing at v. 12). Here the point is that the world (i.e., people) has a dark relationship with its Creator and Redeemer.
55 See my comments in Great Themes from John (Buffalo: Baptist Life, 1965), 5–6, and “Thematic Preaching and the Signs of John,” Proclaim (1987): 7–8.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114.

그분을 알지 못할뿐만 아니라 나아가 그분을 영접하지 않는 세상

12절) 앎(그노시스)와 믿음(피스티스)의 의미
그 이름을 믿는 다는 것의 의미 : 구약에서 이름을 믿는다는 것은 어떤 사람 혹은 존재의 본성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아담이 이름을 짓는 직책을 받았을때 그는 그 존재에 대한 본성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그 존재에 대해 권위를 가진다는 의미이다. 아브람에서 아브라함이라는 이름의 변화, 큰 아빠라는 의미에서 열국의 아비라는 의미로 바뀐 것이다. 야곱에서 이스라엘로의 변화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들을 하나님의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것에 대해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여호와라는 이름을 부르지 못했다.(아모스 6:10) 그래서 아도나이라고 불렀다. 
Yet like the ancients in the surrounding countries, Israel was tempted to use that name as a magical symbol of power to control the divine forces. Israelites also were worried that the name might carry bewitching power that would strike the user. So they actually ceased to use the name of God (YHWH, sometimes translated or wrongly transliterated “Jehovah”) because of such a fear (cf. Amos 6:10).68 Instead they carefully used the substitute name “Adonai” for God. But God knew the people’s ways. One of the Ten Commandments is a warning against taking the name of God in vain (Exod 20:7). Humans may have been given dominion over the created order (Gen 1:28–30), but they were never given authority over God. By their actions the people of Israel polluted and profaned the name of God (e.g., Jer 27:15; 29:21–23; Ezek 20:39; Amos 2:7). The misuse of God’s name raises the specter of judgment, but the proper recognition (believing) of God and his name brings the hope of life (cf. John 1:12).
68 Names of gods were frequently used in incantations or engraved on amulets and worn as magical protective symbols similar to the wearing of St. Christopher medals by some today or religious symbols that are attached to cars.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117–118.

13절)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없는 방식 : 혈통, 육정, 사람의 뜻을 통해서는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하나님을 영접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대단히 중요하다. 지금 우리가 믿는 믿음의 무게와 이당시 신자들이 믿는 믿음의 무게가 다르다는 것이다.
세상은 그분을 받아들이지 않았는데 그분을 받아들이고 영접하기 위해서는 그 이름을 믿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인간적인 방식의 출산이나 관계로 가능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께로부터 난 자여야 한다. 거듭남이라 바로 이런 의미이다. 인간적인, 육신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님께로부터 다시 태어나는 것이다. 

참 빛으로 오신 주님, 그런데 세상은 그 주님을 알지도, 영접하지도 않았다. 오직 그 이름을 믿는 자들만이 그분을 영접하여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을 육신적인, 사람의 방법과 방식으로는 전혀 불가능한 것이다. 



728x90
The Word Became Flesh
aIn the beginning was bthe Word, and cthe Word was with God, and dthe Word was God. He was in the beginning with God. eAll things were made through him, and without him was not any thing made that was made. fIn him was life,1 and gthe life was the light of men. hThe light shines in the darkness, and the darkness has not overcome it.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01), 요 1:1–5.

1절) 태초부터 계신 말씀,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이 말씀이 곧 하나님 이시다. 이는 아들과 아버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본문이다. 태초부터, 창세전부터 하나님과 아들은 함께 계셨다. 삼위일체로서의 하나님을 이야기하고 이 관계는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성경이 이야기하는 교제(코이노니아)의 핵심은 아버지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와 더불어 누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기쁨가운데서 누리는 사귐의 은혜가 바로 이 함께 함의 핵심이다. 바로 요한복음의 서론이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이렇게 선포하고 있다. 
(요일 1:2-4, 개정) 『[2] 이 생명이 나타내신 바 된지라 이 영원한 생명을 우리가 보았고 증언하여 너희에게 전하노니 이는 아버지와 함께 계시다가 우리에게 나타내신 바 된 이시니라 [3] 우리가 보고 들은 바를 너희에게도 전함은 너희로 우리와 사귐이 있게 하려 함이니 우리의 사귐은 아버지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와 더불어 누림이라 [4] 우리가 이것을 씀은 우리의 기쁨이 충만하게 하려 함이라』

1절의 핵심 주제는 말씀과 하나님의 관계적인 차이와 그 상호 관계를 다루고 있다. 
여호와 증인들은 여기 말씀이 육신이 되신 것에 대해서 사실상 하나님이 아니라 하나님보다 낮은 존재라고 가르친다. 이렇게 위계를 구분하는 것 문제가 있다. 여기서 헬라 철학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여러가지 도움을 줄 수 있으면서 동시에 문제가 되는 지점이 된다. 원어적으로 말씀에는 관사가 있지만 하나님에는 관사가 없는데 그래서 이 하나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오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분명한 것은 요한은 말씀이 그저 신의 속성, 신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말씀이 바로 하나님이라고 불리는 실체에 관계되고 포함되는 것으로 보았다. 요한의 이해와 그의 서술은 본질적, 존재론적인 로고스(말씀)이 시간과 공간속에서 활동하는 로고스에 선행한다고 보고 있다. 
Possessing a little Greek knowledge can sometimes lead to incorrect deductions and to very inappropriate theological conclusions. Simply because the Greek term “Word” (logos) here has an article and the Greek term for “God” (theos) lacks the article does not mean that the term “God” should be rendered as “a god.” In this predicate nominative construction the Greek verb “to be,” when linking the noun “God,” is used in a generic or adjectival manner. It does not therefore mean that the Word is “a god” as over against “God” or that the Word merely possesses some attributes of the “divine nature.” As Beasley-Murray has pointed out, there is another Greek word (theios) for that type of divine reference, for instance in 2 Pet 1:4, where believers are said to participate in the “divine nature.”17 The meaning of John 1:1 is not merely that the Word has divine characteristics but that the Word participates in the reality called God. That Word was true deity, and John wanted there to be no doubt about it.
This affirmation is fundamental to what John understood the Word can do or has done in history. Logically for John the essential (ontological) being of the Logos preceded the acting of the Logos in time and space.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103–104.

The phrase “the word [dabar] of the Lord” expresses one of the fundamental ideas of the Hebrew Old Testament. Among the many contexts in which it appears, it was used (1) as the basis for the covenant with Abraham (e.g., Gen 15:1); (2) as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Israel’s laws (e.g., Exod 24:3–4) and the giving of the Ten Commandments (e.g., Deut 5:5); (3) as a clue to the closeness of the relationship of Israel with God (e.g., 1 Sam 3:1); (4) as the stated source for the proclamations of the prophets (e.g., 1 Kgs 13:20; 18:1; Isa 1:10; Hos 1:1; Joel 1:1); (5) as the wise means for guidance (e.g., Ps 17:4); and (6) as the key or way to enlightenment (e.g., Ps 119:105). Yet the creation statement of Ps 33:6 reminds us that in Israel’s thinking the word of the Lord carries in it the concept of an active power. The speaking of God in Genesis 1 is not merely the verbalizing of rationality that is basic to the Greek meaning of logos or the English word “logic.” When God spoke according to the Old Testament, his very speaking initiated the power to create or to order reality.
In trying to synthesize Greek and Hebrew thought, the Hellenistic Jew Philo found the concept of the Logos to be a useful idea for expressing the means God used in creating and governing the ordered universe. For him in a sense the Logos was “divine” and was second to God,20 but only as the first order of creation.21 Logos never took on the sense of personalized deity that is present in the Prologue of John.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105.

1절의 선포는 창세, 시공간이 생기기 이전에 이미 말씀이 선재했음을, 말씀과 하나님의 분명한 차이를, 또한 동시에 말씀은 하나님과의 연합속에서 이해되어져야함을 말하고 있다. 

3절) Made through him follows the consistent pattern of Scripture in saying that God the Father carried out his creative works through the activity of the Son (cf. 1 Cor. 8:6; Col. 1:16; Heb. 1:2).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19.

4-5절)  The references to life, light, and darkness continue to draw on Genesis motifs (cf. Gen. 1:3–5, 14–18, 20–31; 2:7; 3:20; cf. also Isa. 9:2; 42:6–7; 49:6; 60:1–5; Mal. 4:2; Luke 1:78–79). Against this background, Jesus as the “light” brings to this dark world true knowledge, moral purity, and the light that shows the very presence of God (cf. John 8:12; 1 John 1: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19.

5절) 빛이 어두움에 비치된 어둠이 깨닫지 못하더라. 다른 본역본들은 본문을 이렇게 번역한다. 
(요 1:5, 개정) 『빛이 어둠에 비치되 어둠이 깨닫지 못하더라』
(요 1:5, 새번역) 『그 빛이 어둠 속에서 비치니, 어둠이 그 빛을 ㉢이기지 못하였다. / ㉢'깨닫지' 또는 '받아들이지'로 번역할 수도 있음』
(요 1:5, 현대어) 『그분의 생명은 어둠 속에서 비추는 빛이시며 어둠이 결코 그 빛을 끌 수가 없다.』
(Jn 1:5, ESV) 『The light shines in the darkness, and the darkness has not overcome it.』
(Jn 1:5, NIV) 『The light shines in the darkness, but the darkness has not understood it.』
(Jn 1:5, NLT) 『The light shines in the darkness, and the darkness can never extinguish it①. / ①Or and the darkness has not understood it』
(요 1:5, NASB) 『And the light shines in the darkness, and the darkness did not comprehend it.』
In v. 5 this Johannine idea is completed as the Life/Light-giver continues to shine (notice the present tense) into the darkness. The question is: What response is elicited? From the Greek Fathers to the present time katelaben (the aorist tense) has been translated as a word indicating conflict. Such a rendering would mean that the darkness did not “overcome” or “capture” the light.36 More recently, however, katelaben has been taken to mean “accepted,” “received,” or “understood” (NIV).37 This interpretation would suggest that the positive coming of the light was rejected by the darkness. Such a rendering would mean that this verse parallels the nonacceptance of the Logos stated in v. 11.
 Gerald L. Borchert, John 1–11, vol. 25A,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6), 109–110.

주님은 말씀이고 생명이고 빛이시다. 그 빛이 임했지만 그 빛을 인식하지도 받아들이지도 못하는 이 어두운 세상, 5절의 이 표현, katelaben(카테라벤)은 부정과거형이다.
이 어둠은 결코 그 빛을 이기지 못한다. 깨닫지 못한다, 이기지 못한다라는 표현은 부정과거형이다. 부정과거형이란 이미 오래전 결정이 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어두임이 빛을 이기지 못하는 것, 어두움이 빛을 깨닫지 못하는 것은 이미 오래전에 결정이 난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땅 가운데서 우리가 크리스찬으로서 어두움과의 싸움은 보장된 승리를 확신하는 싸움이라는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