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4 and cthe grace of our Lord overflowed for me with the dfaith and love that are in Christ Jesus. 15 The saying is etrustworthy and deserving of full acceptance, that Christ Jesus fcame into the world to save sinners, gof whom I am the foremost. 16 But I received mercy for this reason, that in me, as the foremost, Jesus Christ might display his perfect patience as an example to those who were to believe in him for eternal life. 17 To hthe King of the ages, iimmortal, jinvisible, kthe only God, lbe honor and glory forever and ever.4 Amen.
c Rom. 5:20
d [Luke 7:47, 50]; See 1 Thess. 1:3
e ch. 3:1; 4:9; 2 Tim. 2:11; Titus 3:8; [Rev. 22:6]
f Matt. 9:13; See John 3:17; Rom. 4:25
g [1 Cor. 15:9]
h [Ps. 10:16; Rev. 4:9, 10]
i ch. 6:15, 16; Rom. 1:23
j John 1:18; Col. 1:15; Heb. 11:27; 1 John 4:12
k Jude 25
l 1 Chr. 29:11
4 Greek to the ages of ages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전 1:14–17.
 
14 우리 주의 은혜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과 사랑과 함께 넘치도록 풍성하였도다
15 미쁘다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 이 말이여 그리스도 예수께서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세상에 임하셨다 하였도다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
16 그러나 내가 긍휼을 입은 까닭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내게 먼저 일체 오래 참으심을 보이사 후에 주를 믿어 영생 얻는 자들에게 본이 되게 하려 하심이라
17 영원하신 왕 곧 썩지 아니하고 보이지 아니하고 홀로 하나이신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이 영원무궁하도록 있을지어다 아멘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전 1:14–17.
 
 
14절) ‘넘치도록 풍성하였도다’는 ‘휘페레플레오나센’으로 이것의 원형은 ‘휘페르플레오나조’이다. 이는 '~위에, ~을 넘어서'라는 의미의 전치사 ‘휘페르’와 ‘증가하다, 자라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 ‘플레오나조’의 합성어로 ‘풍성하다, 넘치다’라는 의미이다. 이는 보통 혹은 일반적인 경우보다 훨씬 더 풍성한이라는 의미로 이곳에서 단한번 사용된 표현이다. 이전에 바울 자신이 비방자요 박해자요 폭행자였으나 주께서 그를 부르심으로 복음의 직분을 맡기신 것 그 자체로 자신에게 얼마나 큰 은혜가 넘치도록 풍성하게 임했는지를 표현하는 매우 강력한 표현이다. 바울은 자신을 향한 주의 은혜가 너무 커서 도저히 표현하거나 측량할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넘치도록 풍성하다라는 표현이 한글 성경에서는 맨 나중에 위치하지만 헬라어 원문에서는 맨 앞에 위치하여 강조되고 있다. 
 
바울은 주의 은혜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과 사랑과 함께 넘치도록 풍성하였다라고 고백한다. 바울 신학에 있어서 '은혜는 뿌리요, 믿음과 사랑은 줄기요, 선한 행실들을 구원나무의 열매다'라고 헨드릭슨은 말했다.
 
15절) 13절에서는 바울이 이전에 얼마나 복음에 적대적이었는지를 이어 14절에서는 그런 바울에게 주님의 은혜가 얼마나 넘치도록 풍성하게 임하였는지를 간증한다. 이어 15절, 16절에서 바울은 주의 긍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본문은 ‘미쁘다’(피스토스)라는 표현으로 시작된다. 이는 목회서신의 특별한 특징으로 주위를 환기시키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3:1, 4:9; 딤후 2:11; 딛 3:8) 특히 목회 서신과 계시록에서는 피스토스와 로고스를 함께 사용하여 말씀의 신실함을 강조하고 있다. 
 
원문의 순서는 ‘피스토스 호 로고스 카이 파세스 아포도케스 악시오스’이다. 이는 ‘미쁘다 이 말이여, 이는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하도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그렇다면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 미쁘신 말씀은 바로 ‘그리스도 예수께서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세상에 임하셨다’라는 것이다. 이는 요 3:16-17절을 연상시킨다.
요한복음 3:16–17
16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17하나님이 그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것은 세상을 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 하려 하심이라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 모든 사람이 받아야만하는 복음의 핵심을 본절은 밝히고 있다. 그것은 바로 예수께서 무엇을 위해서 이땅에 오셨는지를 밝힌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는 죄인을 구원하시기 위해서 이 땅 가운데 오신 것이다. 본문의 죄인은 ‘하마르톨로스’인데 여기에서 죄악, 불법이라는 ‘하마르티아’가 나왔고 이것의 동사형은 ‘하마르타노’이다. 구원하다는 표현은 헬라어 ‘소조’이다. 이는 구출하다, 구원하다, 치유하다등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바울은 이어서 자신을 설명하면서 ‘죄인중에 내가 괴수니라’라고 말했다. 이는 ‘그리스도 예수께서 세상에 오셔서 구원하시려는 죄인중에 내가 가장 큰 첫째가는 죄인이다’라는 의미이다. 괴수라고 번역된 헬라어는 ‘프로토스’로 이는 ‘처음, 첫째, 으뜸되는’의 의미로 KJV은 이를 ‘chief’ 우두머리라고 번역했고, NIV는 ’the worst’ 최악의로, ESV는 ’the foremost’ 으뜸으로 번역했다. 본절은 바울의 자기 인식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그는 본절에서 자신을 ‘죄인중의 괴수, 우두머리’로 인식했으며 
고린도전서 15:9
9나는 사도 중에 가장 작은 자라 나는 하나님의 교회를 박해하였으므로 사도라 칭함 받기를 감당하지 못할 자니라
에베소서 3:8
8모든 성도 중에 지극히 작은 자보다 더 작은 나에게 이 은혜를 주신 것은 측량할 수 없는 그리스도의 풍성함을 이방인에게 전하게 하시고
사도는 본문에서 ‘에고 에이미’라는 표현을 통해 분명한 자기 인식을 나타낸다. 여기서 ‘에이미’는 1인칭 현재 능동태 직설법 시제로 과거를 회상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자신의 모습에 대한 고백인 것이다. 
이 세가지의 바울의 자기인식을 순서대로 보자면 AD50년 중반의 고린도전서, AD60년 초반의 에베소서, 본서를 AD60중반이라고 본다면 바울은 점점 연륜이 깊어질수록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에 비추어볼때 자신이 얼마나 작은 자인지 더 나아가 얼마나 큰 죄인인지를 절감하며 고백했던 것이다. 이러한 고백은 단지 입에 발린 표현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의 복음에 깊이 나아간 겸손한 하나님의 사람들의 공통된 표현이다. 이런 온전한 자기 인식이 있을때에야 비로소 우리는 영광의 복음앞에서 감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스스로 죄인이란 인식이 없다면 죄인을 구원하시기 위해서 이땅가운데 오신 그리스도 예수의 은혜에 대한 감격이나 기쁨도 결코 있을 수 없다. 
 
1:15 Calling attention to certain sayings as trustworthy is a particular distinctive of the Pastoral Epistles (cf. 3:1; 4:9; 2 Tim. 2:11; Titus 3:8). Christ Jesus came … to save sinners, of whom I am the foremost (cf. Luke 19:10). Paul cannot mean that he now sins more than anyone in the world, for he elsewhere says that he has lived before God with a clear conscience (Acts 23:1; 24:16), and he asks other believers to follow his example (see note on Phil. 3:17). Apparently he means that his previous persecution of the church (1 Tim. 1:13; cf. 1 Cor. 15:9–10) made him the foremost sinner, for it did the most to hinder others from coming to faith (cf. 1 Thess. 2:15–16). Yet it also allowed God to save Paul as an “example” of grace (1 Tim. 1:16). Another interpretation is that, in light of the Holy Spirit’s powerful conviction in his heart, and his nearness to God, Paul could not imagine anyone being a “worse” sinner than he. Godly people with some self-knowledge are prone to think of themselves in this way.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26.
 
Excursus: The “Trustworthy Saying” Formula
The formula occurs five times in these letters. The core phrase is πιστὸς ὁ λόγος (“the saying is trustworthy”), which occurs without expansion in 1 Tim 3:1; 2 Tim 2:11; Titus 3:8. The expanded form πιστὸς ὁ λόγος καὶ πάσης ἀποδοχῆς ἄξιος (“the saying is trustworthy and deserving of full acceptance”) occurs in 1 Tim 1:15 and 4:9. The expansion phrase serves as reinforcement, stressing the need to affirm as true the cited material when (perhaps) the material did not elicit this affirmation clearly on its own (Knight, Faithful Sayings, 29, 144).
In the Hellenistic world, the phrase is attested in Dionysius of Halicarnassensis (Roman Antiquities 3.23.17; 7.66.2) and Dio Chrysostum (Oration 45.3; see further Spicq, 277) and serves the same basic purpose of affirming its referent but it does not appear to be formulaic as such (but see Quinn, 230–32). The only Jewish parallel reported (“The Book of Mysteries” = 1Q27 1:8; see discussion in Nauck, “Herkunft,” 50) is no more than a parallel. This leaves the occurrences in the letters to coworkers as the first “formulaic” use (Marshall, 327). For some the origin of the phrase has been thought to rest in the similar description of God as faithful: πιστὸς ὁ θεός (1 Cor 1:9; 10:13; 2 Cor 1:18; cf. 1 Thess 5:24; 2 Thess 3:3; Heb 10:23; cf. Fee, 52). While the trustworthiness of the “saying” in each context surely owes to its divine origin, that factor would seem to be somewhat farther back in Paul’s thinking and the desire to continue to draw the line between the sound teaching encapsulated by the sayings and the false teaching by means of the πίστις word group more to the fore (cf. Schlarb, Die Gesunde Lehre, 214).
Both the direction and extent of the “sayings” referred to by the formula in 1 Tim 3:1 and 4:9 are disputed (see further the commentary on each text). Most are agreed that in 1 Tim 1:15 and 2 Tim 2:11 the formula precedes the saying and that in Titus 3:8 it follows, but the extent of material encompassed by the formula in the case of Titus 3 (vv. 3–7; 4–7; 5–7, or 5–6?) is debated. It is not clear that the formula uniformly refers to salvation texts, or, indeed, that this should be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ubstance of the logos in question (pace e.g. Campbell, “Faithful Sayings”; Young, Theology, 56–57; Johnson, 203, but cf. 250).
What are “faithful sayings”? The answer to this question revolves around that of the function of the formula. Does it mean to affirm the truthfulness of what is said (Marshall, 328–29; Donelson, Pseudepigraphy, 150–51; Trummer, Paulustradition, 204)? Or does it mark off the material to which it refers as part of the accepted tradition (Dibelius and Conzelmann, 28–29; Brox, 112–14; Spicq, 277; Hanson, 63)? Or is it both of these at once (Knight, Faithful Sayings, 19–20)? The majority considers the affirmation of truthfulness to be most significant, with the application of the material being intended (cf. Roloff, 90). The contents of the saying introduced or concluded by the formula, however, do not appear to be fully explained with the category of “accepted tradition.” Most of the sayings have been formulated, or significantly shaped, for use in their present contexts, so it is unlikely that Paul has drawn on a reservoir of “tradition” in the usual sense. Rather, with the formula, Paul emphasizes the authentic correspondence of the saying and its authority with the apostolic tradition, the (his) gospel, the sound teaching, and so on. From the outset, Paul identifies the problem as a collision of his gospel with an opposing teaching (1:3; 2 Tim 2:14–18; Titus 1:11). And in each community Paul’s gospel had come under heavy fire. The “trustworthy saying” formula is a technique by which Paul, in one motion, rearticulates his gospel (and corresponding aspects of teaching), asserts its authenticity and apostolic authority, and alienates the opposing teaching that, by implication (and this is the polemical significance of the πίστις word group), does not belong to the category denoted by the term πιστός (“trustworthy”).
 Philip H.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143–145.
 
The content of the “saying”42 is a gospel statement consisting of a traditional verb and purpose statement: “Christ Jesus came into the world to save sinners.”43 The broad appeal of this saying may be seen in the way it resonates in varying degrees with Jesus’ mission statements preserved in both the Synoptic and Johannine traditions:
1 Tim 1:15: Christ Jesus came into the world to save sinners.
Luke 19:10: For the Son of Man came to seek and to save what was lost.
Mark 2:17: I have not come to call the righteous, but sinners.
John 18:37: and for this I came into the world, to testify to the truth.
Perhaps the strongest affinity is with the saying in Luke 19:10, which shares the verb-infinitive combination “came to save,” but lacks the phrase “into the world.”44 The name, “Christ Jesus,” corresponds to the dominant pattern in this letter (see note 1:1). Mark 2:17 includes the verb “come” and makes reference to “sinners,” but the purpose is expressed differently as “calling.”45 Johannine tradition shows ample use of the phrase “into the world” in combination with the verb “to come” (9:39; 11:27; 12:46; 16:28; 18:37; cf. 1 John 4:9),46 but the salvific purpose statement found here is never attached to the Johannine statements, and it is certainly not clear that Paul is indebted to this strand of theology in developing his view of incarnational Christology.47 Clearly, the gospel saying in 1:15 is not a verbatim quote of any text extant to us. Given Paul’s louder echo of Lukan material in 5:18, probably the stronger case can be made for some sort of reworking of the Jesus tradition known to Luke. But whatever pre-existing materials Paul drew on, he has fashioned a new statement, continuous with existing tradition, which exceeds it by placing the salvation work of Christ Jesus into historical relief as a divine work carried out in the human context. Let’s explore this claim further.
42 Gk. λόγος (3:1; 4:5, 6, 9, 12; 5:17; 6:3; 2 Tim 1:13; 2:9, 11, 15, 17; 4:2, 15; Titus 1:3, 9; 2:5, 8; 3:8); its use is varied: “saying” (1:15; 3:1; 4:9, etc.); ordinary “speech, conversation” (4:12); “message, teaching, what is to be preached” (Titus 2:8; 2 Tim 2:17; 4:2); “the word of God” as divine revelation (4:5; 2 Tim 2:9; Titus 1:3; 2:5); “words” (in the plural) that represent what has been preached (6:3; 2 Tim 1:13; 4:15). Schlarb, Die gesunde Lehre, 206–229. Cf. G. Kittel, TDNT 4:100–141; H. Ritt, EDNT 2:356–59.
43 Only this faithful saying is introduced by the recitative ὅτι (“that”).
44 Gk. ὅτι Χριστὸς Ἰησοῦς ἦλθεν εἰς τὸν κόσμον ἁμαρτωλοὺς σῶσαι (1 Tim 1:15); ἦηλθεν γὰρ ὁ υἱὸς τοῦ ἀνθρώπου ζητῆσαι καὶ σῶσαι τὸ ἀπολωλός (Luke 19:10). See Kelly, 54; Brox, 111.
45 Mark 2:17: οὐκ ἦλθον καλέσαι δικαίους ἀλλὰ ἁμαρτωλούς.
46 See e.g. John 9:39: εἰς κρίμα ἐγὼ εἰς τὸν κόσμον τοῦτον ἦλθον; see Windisch, “Christologie,” 221–22.
47 See discussion Dibelius and Conzelmann, 29; Roloff, 90–91.
 Philip H.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145–146.
 
16절) 본절에서 자신이 어떻게 구원을 받았는지, 긍휼을 입게 되었는지를 밝힌다. 그는 율법에 열심이 있던 자로 예수 믿던 이들을 죽이기에 열심을 품었던 자였다. 그랬던 그가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자 이제 생명을 바쳐 그리스도를 전하는 복음 전도자가 된 것이다. 이처럼 바울의 회심은 아주 강력한 본, 모델이 된다. 그는 참된 기독교의 복음이 사람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보여주는 본이 된다. 
 
바울은 13절에 이어서 다시금 자신이 긍휼을 입었음을 밝히고 있다. 그는 죄인중의 우두머리, 괴수였다. 그러나 그런 그가 긍휼을 입은 것이다. 그렇게 긍휼을 입은 이유가 바울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주님의 오래 참으심 때문이었다. 본절에서 ‘오래 참으심’으로 번역된 ‘마크로뒤미안’의 원형 ‘마크로뒤미아’는 ‘길다, 멀다’를 의미하는 형용사 ‘마크로스’와 ‘진노’를 나타내는 명사 ‘뒤모스’의 합성어로 마땅히 심판과 진노를 내려야하는 상황에서 그 진노를 유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하나님께서 죄인들에 대해서 인내하시는 것으로 인해 죄인에 대한 용서가 임하게 된 것이다. 
 
바울을 향한 주님의 인내의 목적은 다름 아닌 후에 주를 믿어 영생 얻는 자들에게 본이 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바울이 본이 될 수 있는 것은 그가 죄인 중의 괴수 였음에도 그리스도의 오래 참으심으로 인해 구원을 받게 되고 하나님의 충성스러운 직분을 받을 수 있다면 그의 뒤를 따르는 이들에게도 용기와 희망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바울처럼 저렇게 극악하게 율법을 따라 적대적인 삶을 살았던 사람조차도 주님의 오래 참으심의 대상이 된다면 우리들도 마찬가지로 그 오래참으심, 용서와 긍휼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7절) 앞선 12절에서 능력을 주시고 충성되이 여기심으로 직분을 맡겨주신 하나님을 찬양했다. 이어 13-14절에서 회심 이전에 비방자요 박해자요 폭행자였던 자신에게 긍휼을 베푸시고 은혜를 넘치도록 주신 것에 감격했다. 이어 15-16절에서 자신을 죄인중의 괴수로 고백하며 이런 자신에게 임한 하나님의 긍휼을 고백했다. 이제 본절은 자신에게 이러한 불가항력적이고 무조건적인 은혜를 베푸신 하나님의 능력과 영광을 찬양한다.
먼저 바울은 하나님을 영원하신 왕이라고 찬양한다. 개역은 이를 ‘만세의 왕이라고 번역했다. 이는 ‘바실레이 톤 아이오논’으로 직역하자면 ‘세대들의 왕’이다. 바울이 세대, ‘아이오논’을 복수로 쓴 것은 현 세대와 장차 올 세대를 양분하는 유대인들 및 당대 헬라 사고를 가진 사람들의 관념과 일치하는 것으로 하나님께서 현 세대와 오는 모든 세대에 왕으로 통치하신다는 의미를 함축한다. 그래서 개역개정의 번역보다는 개역한글의 번역이 더 적합하다. 이 세상의 왕은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받는다. 언제든지 반역이나 죽음으로 통치가 끝날 수 있지만 하나님의 통치는 영원하다. 
두번째로 바울은 ‘썩지 아니하고’라고 하나님을 묘사했다. 이는 ‘압다르토’로 이것의 원형은 ‘압다르토스’인데 이는 부정 접두어 ‘아’와 썩어지다, 더럽히다, 악하다, 해롭게 하다, 멸망하다란 의미를 지닌 ‘프데이로’의 합성어로 절대 더럽혀지거나 약해지거나 해롭게 되거너 멸망당하여 업어지지 않는 분으로, 하나님의 불변성과 불멸성을 나타낸다. 
세번째로 바울은 하나님을 보이지 아니하시는 분이라고 표사한다. 이는 ‘아오라토’로 이것의 원형 ‘아오라토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보이다란 뜻의 형용사 ‘호라토스’의 합성어로 신약 성경에서 하나님과관련되어 5번 사용되었다. 하나님은 보이지 아니하시는 분이라는 의미는 하나님의 불가견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눈에 보이는 우상과는 완전히 다른 존재이심을 강조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얼굴을 본 자는 없다. 모세조차도 하나님의 영광의 그림자, 뒷모습만 보았을 뿐이다.(출 33:18-23)
 
네번째로 바울은 하나님을 홀로 하나이신 분으로 찬양한다. 원문에는 ‘모노’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오직 하나인, 단독이며 다른 것에서 고립된의 의미이다. 이는 요한복음에서는 ‘유일하신’이라는 표현으로 번역되었다. 
 
바울은 이러한 하나님을 향해서 존귀(티메)와 영광(독사)이 있기를 기원하며 찬양한다. 바울은 기회가 있을때마다 이처럼 하나님을 찬양하는 일을 즐겨했다(롬 11:36; 16:27; 갈 1:5; 엡 3:21; 딤전 6:16).  이어서 본절은 ‘아멘’으로 끝마쳐지는데 이는 ‘네 진실로 그렇습니다. 그렇게 되기를 원합니다’라는 고백이다. 
 
The next three terms owe their place within Jewish doxological expressions to the Jewish-pagan dialogue. “Immortal,” borrowed from Greek categories by late Jewish writers, in the NT describes God directly only here and in Rom 1:23, where it is clearly shown to be a quality proper to God alone.69 The “invisibility” of God (Col 1:15; Heb 11:27)70 is more widely affirmed in the NT in various constructions. As a quality of God it emerged especially in the polemic of Hellenistic Judaism against the materialistic views of gods in pagan idolatry.71 Equally, the phrase “the only God” (6:16; cf. 2:5) represents a fundamental affirmation of belief that goes back to the Shema of Deut 6:4 (“Hear, O Israel … the Lord is one”) and became standard theology in the early church.72 The original affirmation contested pagan polytheism, which in Deuteronomy was symbolized in Egyptian idolatry, and was later developed and used widely in the running debate with paganism.73 In a purely worship setting, the epithet would draw attention to the supremacy of God.
The expression of praise in the doxology74 comes in the dual phrase “honor and glory” that has become standard in the NT.75 Greek culture had elevated the importance of these elements of good reputation to the highest degree, with the ruler being the epitome of one worthy of such an acclamation. “Honor” is a public acknowledgement of worth.76 “Glory,” in this context, refers similarly to the recognition of honor that is owed to a deserving person of high repute.77 In the set combination, the terms function together to elevate the esteem that is rightly owed to God.78 Accentuating the immensity of honor even more is the prepositional phrase “for ever and ever”79 that forms the standard conclusion to doxologies. Neither the plural form (lit. “for the ages of the ages”) nor the repetition in this longer form reflect precise measurements of time.80 Rather, the Hebrew idiom functions to stretch the praise of the doxology beyond all limits to eternity.81 In the concluding “amen” (6:16; 2 Tim 4:18) the invitation is given to Timothy and the church to join in the acknowledgement.82
69 Gk. ἄφθαρτος; the term only appears late in Jewish writings (Wis 12:1; Philo, Life of Moses 2.171; Unchangeableness of God 26) and was borrowed from Stoic thought (T. Holtz, EDNT 3:422–23).
70 Gk. ἀόρατος; Philo, On Special Laws 1.20; 4:31; On the Cherubim 101 (as an epithet for God after the NT, see PGL, s.v. B.1–2); as a category of things or powers pertaining to God or to the spiritual realm, Rom 1:20; Col 1:16; in 2 Macc 9:5 of an action of God.
71 See esp. Philo, On the Embassy to Gaius 290, 310, 318; On Abraham 75–76; J. Kremer, EDNT 2:528–29; Spicq, 347; the conviction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1 Tim 6:16; John 1:18; 5:37; 6:46; 1 John 4:20).
72 Gk. μόνος θεός; Rom 16:27; more widespread in the NT is the similar εἷς θεός formula (Rom 3:29–30; 1 Cor 8:4–6; Gal 3:20; Eph 4:5–6; and discussion at 1 Tim 2:5)
73 2 Macc 7:37; Josephus, Antiquities 8.335; P. Dalbert, Die Theologie der hellenistisch-jüdischen Missionsliteratur unter Ausschluss von Philo und Josephus (Hamburg: Reich, 1954), 124–30.
74 The verb to be supplied is a form of “to be” that fits the implicit request that the items of praise and appellation be acknowledged.
75 Gk. τιμὴ καὶ δόξα; for the combination, see LXX Exod 28:2; Pss 8:6; 95:7; Rev 4:9, 11; 5:13; cf. Heb 2:7, 9; 2 Pet 1:17.
76 Gk. τιμή (“honor, esteem, price, value”; 5:17; 6:1, 16; 2 Tim 2:20); H. Hübner, EDNT 3:357–59; J. Schneider, TDNT 8:169–80.
77 1:11 (see discussion there); 2 Tim 4:18; Titus 2:13 (see discussion). H. Hegermann, EDNT 1:344–48, 345; Thiselton,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834–37.
78 Hübner, EDNT 3:358.
79 Gk. εἰς τοὺς αἰῶνας τῶν αἰώνων (or the short form, minus the added genitive: εἰς τοὺς αἰῶνας); 2 Tim 4:18; Rom 16:27; Gal 1:5; phil 4:20; Heb 13:21; 1 Pet 4:11; 5; 11; Rev 1:6; 5; 13; 7:12.
lit. literally
80 See esp. J. Barr, Biblical Words for Time (Second Ed.; London: SCM, 1969), 67–71.
81 T. Holtz, EDNT 1:44–46, 45.
82 Gk. ἀμήν; in doxologies see LXX Pss 44:14 (MT 41:13); 71:19 (MT 72:19); Isa 25:1; 3 Macc 7:23; 4 Macc 18:24. In NT see Rom 16:27; 2 Cor 1:20; Gal 1:5. See further H. Schlier, TDNT 1:335–38; H.-W. Kuhn, EDNT 1:69–70.
 Philip H.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152–154.
 
 
728x90
12 I thank him xwho has given me strength, Christ Jesus our Lord, because he judged me faithful, yappointing me to his service, 13 though formerly I was a blasphemer, zpersecutor, and insolent opponent. But aI received mercy bbecause I had acted ignorantly in unbelief
x Acts 9:22; Phil. 4:13
y See 2 Cor. 3:6
z See Acts 8:3
a 1 Cor. 7:25; 2 Cor. 4:1
b See Acts 3:17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전 1:12–13.
 
12 나를 능하게 하신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 내가 감사함은 나를 충성되이 여겨 내게 직분을 맡기심이니
13 내가 전에는 비방자요 박해자요 폭행자였으나 도리어 긍휼을 입은 것은 내가 믿지 아니할 때에 알지 못하고 행하였음이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전 1:12–13.
 
바울이 충성되이(피스토스), 신뢰할만하게 여김을 받은 때는 그가 믿지 아니할 때였다. 바울은 이 주님의 은혜로 인해서 놀라고 있다. 그 이유는 다름 아닌 죄인을 구원하기 위함이었던 것이다. 
 
앞선 3-11절에서 바울은 자신의 영적 아들인 디모데를 에베소에 체류시킨 목적이 유대 율법주의적인 이단을 경계하기 위함임을 밝혔다. 이를 위해 바울은 율법주의를 경계하였다. 이어지는 12-17절은 앞선 유대 율법주의 이단과 자신의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바울은 자신의 신앙을 간증한다. 
 
12절) 바울은 자신의 신앙을 간증하기에 앞서 자신을 능하게 하시고 충성되이 여겨 직분을 주신 주님께 감사하고 있다. 
원문은 ‘카린 에코’로 시작된다. 이는 ‘내가 감사함은’이라는 의미이다. 본문의 ‘에코’는 현재 직설법 능동태 표현으로 계속하여 감사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빌 4:13절에도 바울은 이렇게 고백한다. 
빌립보서 4:13
13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
바울은 자신을 능하게 하시는 분이 누구신지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있었고 이에 대해서 그의 태도는 감사였다. 
 
‘능하게 하신’은 ‘엔뒤나모산티’로 이는 가능하게 하다, 힘을 제공하다라는 의미인데 ‘엔뒤나모오’의 부정과거형으로 이 사건이 이미 과거에 발생했다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바울이 예수께로부터 능력을 받았던 때는 언제인가? 그는 본문에서 이를 명시하지 않았지만 다메섹 도상에서 주님을 인격적으로 만난 극적인 사건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때 바울은 회심을 경험했고 부르심, 소명을 부여받았다. 벵겔은 말하기를 ‘참된 회개와 소명은 능력을 가져다준다’라고 말했다. 
 
‘충성되이’로 번역된 ‘피스톤’은 신실한, 믿음직한 이라는 표현으로 명사형은 ‘피스티스’, 동사는 ‘피스튜오’이다. 바울은 13절에서 밝히는 것처럼 믿지 아니할 때에 긍휼을 입어 충성되이, 믿을만한 존재로 여김을 받은 것이다. 믿을 만하지 않을때에 믿어주시는 것이 은혜이다. 
 
게다가 주님께서는 그를 믿음직하게 여겨주셨을 뿐만 아니라 그에게 직분을 맡기셨다. 그 직분은 앞서 11절의 하나님의 영광의 복음을 맡겨주신 것이고, 영생얻는 자들에게 본이 되게 하는 것이었다. 
 
본문에 ‘여겨’라는 표현은 ‘헤게사토’로 이것의 원형은 ‘헤게오마이’이다. 이는 ‘지도하다, 다스리다, 통치하다’라는 의미로 '~라고 생각하거나 추정하다’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바울은 자신이 어떤 상태에서 충성되게, 의롭게 여김을 받았는지를 잘 알고 있었다. 
 
1:12 Paul gives thanks because Christ was willing to appoint him to service in spite of his past sins. Paul marvels that God graciously considered him worthy of trust (Gk. pistos, translated here as faithful) in spite of the fact that he had been unbelieving (Gk. apistia, v. 13).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26.
 
12 Gratitude is the dominant and opening note of this testimony: “I thank Christ Jesus our Lord.” The shape of the thanksgiving is for two reasons not typical of Paul’s letters to churches. First, he uses a Greek combination here (consisting of the noun for thanks, charis, and the simple verb “to have”) that, while common in Hellenistic writings, diverges from the pattern found elsewhere in his letters to churches.6 It is, however, similar to his formulaic expression, “thanks be to God,” that occurs several times (Rom 6:17; 7:25; 1 Cor 15:57; 2 Cor 2:14; 8:16; 9:15). There is little to be made of the difference, though it is worth noting that Paul’s intention in other opening thanksgiving passages is generally to express his commitment and fellowship to the churches, while here it is a statement of commitment to Christ Jesus.7
Second, Paul directs his thanks to Christ Jesus, whereas the object of such thanksgiving elsewhere is typically God. This is explained by two factors in Paul’s reflection. On the one hand, as already noted, the passage is heavily christological, with three additional references to “Christ Jesus”8 still to come, and the theological climax coming in the gospel saying about Christ Jesus in v. 15. On the other hand, Paul’s opening reflection (see below) looks back on the event of his calling in which Christ Jesus played the decisive role.
Standing between the act of thanks and the recipient, Christ Jesus, is a participial phrase that further describes Christ: “who has given me strength.”9 This phrase, which is deceptively simple in appearance, invites closer inspection. The verb from which the participle is formed is used of divine empowerment (2 Tim 2:1; 4:17; Eph 6:10), and has a traditional link with Paul’s early post-conversion ministry experience (Acts 9:22). The aorist tense of the participle corresponds to an event of empowerment somewhere in Paul’s past. Considering the thrust of the present context, the Damascus Road experience of conversion and calling is probably in mind (Acts 9; 22; 26).10 The association of divine empowerment with calling, Spirit-filled ministry and revelatory episodes is well known in Paul’s own writings and in the biblical tradition.11 Furthermore, in Pauline and wider biblical theology the agent of empowerment in this sense is the Holy Spirit (2 Tim 1:7).12 As in his similar reflection in Galatians 1, the role of the Spirit is taken for granted.13 In contrast to the opponents who seek to be “teachers of the law” (1:7), Paul places himself into the tradition of the prophetic call to ministry.
This distinction is developed further as Paul gives the reason for his thankfulness: Christ’s personal decision to appoint him to ministry. Here the reflection back on his encounter with the risen Christ is even clearer (Acts 9:1–22; 22:6–16; 26:12–20), as Christ is also seen as the initiator of the apostolate to the Gentiles.14 Summing up this calling is the generic term for “service” that was applied to various kinds of God-ordained “ministry” (1 Cor 12:5) and that Paul used frequently in reference to his mission.15
But the reason behind his calling raises two questions. First, although Paul is imprecise in the way he relates the assessment (“considered16 me trustworthy”) and the act of appointment (“appointing me to his service”),17 he is probably much more intent on attributing his calling to Christ than he is of making trustworthiness the condition of appointment.
Second, and more puzzling, is the sense in which “trustworthy”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is calling testimony. The term operates on two levels in this discourse. On the one hand, it features in the technical vocabulary of these three letters to describe authentic believers from the standpoint of faithfulness, believing or both (1:2 note). Here the sense is of that faithful commitment to God’s commands and word expected of leaders (2 Tim 2:2; cf. 1 Cor 4:2; 7:25). On the other hand, within the historical reflection, Christ’s assessment would have been something of a forecast. The possibility of an echo of 1 Cor 7:25 should not be ignored: “but I give a judgment as one who by the Lord’s mercy is trustworthy.”18 There, as here, the issue is of Paul’s teaching a correct view of things, and the condition of being “trustworthy” (the same “faith” word that occurs here) is linked to the Lord’s “mercy” (see below 1:13). These links, as well as the affinity with the Corinthian situation (see Introduction C.2.b.), suggest how the association of divine calling, trustworthiness and authoritative teaching serves to distinguish Paul from opponents who were attempting to undercut his position. Paul is not arguing that Christ foresaw that in spite of his sin Paul would prove himself faithful; rather, the sense here is of the potency of divine calling to achieve certain results in human lives. As Paul reflects on the process, his argument is that his ministry to this point has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Christ’s choice to appoint him apostle to the Gentiles.
6 Gk. χάριν ἔχω (Heb 12:28; Luke 17:9; Josephus, Antiquities 4.316; 7:208 [to God]); see Spicq, TLNT 3:503–506. In the letters to churches, Paul prefers the verb of thanks, εὐχαριστέω (Rom 1:8; 1 Cor 1:4; Eph 1:16; Phil 1:3; Col 1:3; 2 Thess 1:3; 2:13; Phlm 4).
7 But see the discussions of nuances in Spicq, 340; Oberlinner, 2:13–14.
8 On the order of names and frequency, see notes on 1:1, 2.
9 Gk ἐνδυναμόω (aorist ptc., “to strengthen, empower”; 2 Tim 2:1; 4:17); see W. Grundmann, TDNT 2:284–317; Marshall, 388–89; H. Paulsen, EDNT 1:451.
10 Roloff, 92; Fee, 50; Wolter, Paulustradition, 38.
11 Cf. Rom 15:19; 1 Cor 2:4–5; 2 Cor 4:7; 6:7; 12:9; 13:4; Phil 4:13; Acts 1:8; 3:12; 4:7–10; Isa 41:10; 42:6.
12 Isa 11:2; 42:1; Mic 3:8; Luke 4:18; Acts 1:8; 10:38; Rom 15:9; 1 Cor 2:4. The lack of an explicit mention of the Spirit at this point is sometimes held to be further evidence of the non-Pauline character of this reminiscence; so esp. Wolter, Paulustradition, 40–45; J. D. G. Dunn, Jesus and the Spirit (London: SCM Press, 1975), 347–50.
13 There is no indication that the present text adopts a later “ecclesiastical” (and unpneumatic) view of ordination (contra Wolter, Paulustradition, 40–45).
14 The role of this event in Paul’s letters to churches is already evident (1 Cor 15:8; Gal 1:16).
15 Gk. διακονία; 2 Tim 4:5, 11; Rom 11:13; 12:17; 15:31; 2 Cor 4:1; 5:18; 6:3; see also his use of διάκονος (“minister”) as a self-description (1 Cor 3:5; 2 Cor 3:6; 6:4; 11:23). H. W. Beyer, TDNT 2:81–93.
16 Gk. ἡγέομαι (in Paul, see 6:1; 2 Cor 9:5; Phil 2:3, 6, 25; 3:7, 8; etc.).
17 Gk. τίθημι (aorist ptc.; in the sense of appointment; 2:7; 2 Tim 1:11; 1 Cor 12:28; see further C. Maurer, TDNT 8:152–58); the ptc. might indicate either attendant circumstance (two events) or an action more integrally related to the assessment.
18 Dibelius and Conzelmann, 26; Roloff, 85. The language of 1 Cor 7:25b presents two striking points of contact with this text in the reference to “mercy” (cf. 1:13) and in the term “faithful”: γνώμην δὲ δίδωμι ὡς ἠλεημένος ὑπὸ κυρίου πιστὸς εἶναι.
 Philip H.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136–138.
 
 
13절) ‘전에는’은 ‘프로테로스’로 ‘이전에, 일찍이, 예전에, 처음에’의 의미이다. 
 
본절은 바울이 감사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밝히는데 그는 이전에 비방자요, 박해자요, 폭행자였기 때문이다. 
비방자로 번역된 ‘블라스페몬’은 연설을 의미하는 ‘페메’와 어리석음을 뜻하는 ‘블락스’의 합성어든지 혹은 상해를 입히다를 뜻하는 ‘블랍토’의 합성어로 보인다. 이는 ‘어리석은 말, 상해를 믿히는 말’이란 의미이다. 롬 2:24에서 바울은 모독하다라는 뜻으로 동일한 어근에서 파생된 동사를 사용했다. 
박해자로 번역된 ‘디옥텐’은 사냥꾼이 사냥감을 추격하듯이 필사적으로 그 뒤를 좇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 ‘디오코’에서 파생되었다. 
사도행전 22:4
4내가 이 도를 박해하여 사람을 죽이기까지 하고 남녀를 결박하여 옥에 넘겼노니
바울은 이처럼 이 도를 박해하는 자였다. 그는 철저한 유대주의자로 하나님의 교회를 박해하고 나아가 예수 믿는 이들을 죽이려고 혈안이 되었던 자였다. 
폭행자로 번역된 ‘휘브리스텐’의 원형 ‘휘브리스테스’는 거만하다, 난폭하게 행동하다, 오만 무례하고 모역적으로 행동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휘브리조’에서 파생된 명사이다. 
이 세단어는 모두 매우 강력한 단어로 예수를 믿기전 바울의 상태가 어땠는지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긍휼을 입을 자격이 없는 자였다. 그런 그가 주님의 은혜를 입은 것이다. 
본문의 ‘믿지 아니할 때에’라는 표현은 ‘엔 아피스티아’인데 이는 부정 접두어 ‘아’와 ‘피스티아’의 합성어로 믿지 아니함, 불신앙을 의미한다. 바울은 믿지 아니할 때에 알지 못하고 비방자, 박해자, 폭행자로서의 삶을 살았다. 바로 그가 믿지 아니할 때(아피스티아)에 충성되이, 믿음직하게(피스토스) 여김을 받은 것이다. 
 
1:13 Paul received mercy because he acted ignorantly. The point is that his salvation was undeserved; his ignorance did not excuse his sin or warrant God’s mercy. Most likely Paul is contrasting himself with the false teachers. When Paul so opposed Christ, he had not yet professed faith. These men profess to follow Christ and still live in an evil manner. In so doing, they are coming dangerously close to being cut off from the possibility of God’s mercy (cf. Matt. 12:31–32; Mark 3:28–30; Luke 12:10; 1 John 5:16).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26.
 
13 As the explanation of thankfulness continues, Paul describes his conversion. Although this statement is in the guise of a concession that accentuates the scale of Christ’s mercy,19 Paul shapes this part of his testimony in such a way that his conversion becomes a salvation historical pivot point. The signal for this is the “formerly-now”20 formula initiated here explicitly and completed implicitly in the “now” of Paul’s experience of mercy. As elsewhere, the device, in one configuration or another, is ethical in orientation.21 It supplies a contrast between two ways of life with the focus on the Christ event as the moment of change. The striking thing about this application of the schema is the way Paul has deeply personalized each element (Gal 1:23). His sins become illustrative of the “former” time; his experience of grace and mercy takes the place of an explicit reference to the Christ event, though v. 15 supplies the christological referent in due course; his experience of faith and love characterize the “now” of Christian existence.
This personalizing of the eschatological transformation will serve two purposes. It prepares the way for Paul’s presentation of himself as the pattern of salvation (to which the opponents do not conform). It also links his conversion to God’s plan to reach the Gentiles. Thus both purposes are polemically weighted: Paul’s conversion included liberation from a Torah-absorbed interpretation of life, and his apostolate to the Gentiles is the eschatological outworking of God’s promise.
To describe the former life, he employs a brief vice list (cf. Titus 3:3; Col 3:5) enumerating three sins specific enough to fit the Pauline self-testimony and general enough to occur in lists of impious conduct elsewhere (Col 3:8; Rom 1:30). In this context, however, it is notable that the opponents are also charged with blasphemy (1:20), making this an implicit allegation that they still live as unbelievers and are caught in errors from which Paul himself had been rescued.22 The “blasphemer” was one who denied God by speaking the name of YHWH carelessly or disrespectfully.23 In relation to Paul’s history, this will refer to his scorn for the messianic claim about Jesus and his hostility towards the followers of Jesus.
The next term, “persecutor,” is not used elsewhere either by Paul or in the NT.24 But as frequent use of the cognate verb shows, the identification comes straight out of Paul’s pre-conversion profile (1 Cor 15:9; Gal 1:13, 23; Phil 3:6; cf. Acts 9:4–5).
Corresponding to the first two sins is the description of rude arrogance contained in the term “violent man.” This describes the seething attitude of insolent anger and boastful pride that often fills the void caused by fear and insecurity and produces the worst acts of behavior.25 The language is rare in the NT (Rom 1:30), widespread in the Greek OT, but the phenomenon is part of the stock description of uncivilized behavior in Greco-Roman culture.
Paul’s self-description is severe enough to place him into the worst of categories.26 If it seems out of balance with statements he made elsewhere to the effect that before his conversion he was “blameless” (Phil 3:6),27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he was not maintaining his moral innocence in such statements, but rather his commitment to the Torah and the rituals that assured his covenant purity as a Jew over and against the defilement of the Gentiles. Zeal in the form of persecution against the upstart Messianic sect (though ultimately an act of sinful, ignorant and arrogant disrespect for God) could even be justified on such a basis. Yet the apostle had long since come to regard his zeal as sin of the worst sort (1 Cor 15:9; Gal 1:13), which suggests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the sentiments expressed here and those belonging to the undisputed reflections.28
Having offered this personal illustration of the sinful “former” times, Paul makes the transition (“but”)29 to the “now” of salvation history. For him the change was the result of divine grace. “But I was shown mercy” is a way of describing the experience of sal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itiative and expression of God’s kindness and compassion (see esp. Rom 11:30).30 God steps in and does what a person neither deserves nor is capable of doing. The thought of faithfulness to the covenant that is often attached to OT discussions of “mercy” (in connection with hesed) may recede somewhat here but not altogether (cf. 2 Tim 1:9–10).
But that is not the end of the explanation. Paul attaches the reason: “because I acted in ignorance and unbelief.” The reason raises two questions. The first is that of meaning. Presumably, by pleading “ignorance” Paul means to place his pre-conversion errors into the Torah category of sins done “unintentionally or unconsciously,” and the language here corresponds closely to Lev 22:14.31 “In unbelief” identifies the sphere (before coming to faith in Christ) in which Paul did these things. But pleading ignorance does not lessen the degree of guilt (Eph 4:18; cf. Wis 13:8–9); it merely categorizes it and “qualifies” those who are guilty in this sense for God’s forgiveness (Luke 23:24; Acts 3:17; cf. Wis 13:1–7). Paul is saying that he sinned as an unbeliever.
This leads to the second question: what is the intention of the admission? For this the controlling feature of the whole discourse is the contrast between Paul/Timothy/sound teaching/gospel and false teachers/false teaching. In contrast to Paul, who sinned before coming to faith in Christ, the false teachers are portrayed as believers (or those who profess to believe) who by their sin have rejected their faith (1:19; cf. 2 Tim 2:17–18).32 Paul’s pre-conversion sin and that of the opponents, though remarkably similar in the preference for Torah evident in both cases, belong to different categories: Paul’s sin predates the enlightenment provided by the risen Lord, while the false teachers’ sin postdates their enlightenment by the gospel. The consequences for the latter are much to be feared (Heb 6:4–6; 2 Pet 2:15–22).
19 The present ptc., ὄντα (“being”), modifies the preceding verbal pair, “considered, appointed,” introducing a concession (“even though”).
20 The adverbial phrase, Gk. τὸ πρότερον, introducing a description of Paul’s moral past, begins a sequence that is completed with the clause ἀλλὰ ἠλεήθην (“but I was shown mercy”) that describes his present situation in Christ. The device corresponds to the more typical ποτε … νῦν[ι] (“formerly … now”; Titus 3:3–4; Rom 6:20–22; 11:30–32; Gal 1:23; 4:8–9; Eph 2:1–22; 5:8; Col 1:21–22; 3:7–8; Phlm 11; 1 Pet 2:10).
21 See discussion in Towner, Goal, 63–64.
22 Oberlinner, 37.
23 Gk. βλάσφημος; 2 Tim 3:2; for the verb, see 1:20; 6:1; Titus 2:5; 3:2; for the noun “blasphemy” see 6:4. H. W. Beyer, TDNT 1:621–25; P. Hofius, EDNT 1:221.
24 Gk. διώκτης; Didache 5:2; Barnabas 20:2; A. Oepke, TDNT 2:229–30.
25 Gk. ὑβριστής; G. Bertram, TDNT 8:295–307; cf. the discussion of “pride” in Spicq, TLNT 3:390–95.
26 See Marshall, 391, who identifies this category as that of the classical “enemy of God” (θεομάχος).
27 Stressed by many, e.g. Dibelius and Conzelmann, 27–28; Roloff, 93; Hanson, 60.
28 Contra Oberlinner, 38–42; see further Marshall, 392; Johnson, 178–79; Fee, 55.
29 Both the presence and force of this schema are lost in the translations (see TNIV; NIV; NRSV).
30 Gk. ἐλεέω (here in the aorist passive reflecting the activity of God); 1:16; cf. R. Bultmann, TDNT 2:477–87. See discussion and note at 1:2 and Titus 3:5 for “mercy.”
31 Gk. ὅτι ἀγνοῶν ἐποίησα; cf. the category in LXX Lev 22:14: κατὰ ἄγνοιαν (Acts 3:17); cf. Num 15:22, 27 (cf. m. Ker. 1.2). See also W. Schmithals, EDNT 1:21 (for “without premeditation” but this qualification surely does not apply to Paul’s persecution of the church).
32 The explanation that the plea of ignorance is a part of the literary fiction of the PE, in this case designed to sanitize the Pauline story (Collins, “Portrait,” 168; Brox, 110), deconstructs in 1:15 where the voice of Paul declares the apostle to be the “chief sinner.” See further Roloff, 94; Marshall, 393.
 Philip H.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138–141.
 
 
 
 
 
 
 
 
 
 
 
 
 
728x90
Now we know that rthe law is good, if one uses it lawfully, understanding this, that the slaw is not laid down for the just but for the lawless and disobedient, for the ungodly and sinners, for the unholy and profane, for those who strike their fathers and mothers, for murderers, 10 the sexually immoral, men who practice homosexuality, enslavers,2 liars, perjurers, and whatever else is contrary to tsound3 doctrine, 11 in accordance with uthe gospel of the glory of vthe blessed God wwith which I have been entrusted.
r Rom. 7:16
s Gal. 5:23
2 That is, those who take someone captive in order to sell him into slavery
t 2 Tim. 4:3; [ch. 6:3; 2 Tim. 1:13; Titus 1:13; 2:2]
3 Or healthy
u [2 Cor. 4:4]
v ch. 6:15
w Titus 1:3; See Rom. 2:16; Gal. 2:7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전 1:8–11.
 
8 그러나 율법은 사람이 그것을 적법하게만 쓰면 선한 것임을 우리는 아노라
9 알 것은 이것이니 율법은 옳은 사람을 위하여 세운 것이 아니요 오직 불법한 자와 복종하지 아니하는 자와 경건하지 아니한 자와 죄인과 거룩하지 아니한 자와 망령된 자와 아버지를 죽이는 자와 어머니를 죽이는 자와 살인하는 자며
10 음행하는 자와 남색하는 자와 인신 매매를 하는 자와 거짓말하는 자와 거짓맹세하는 자와 기타 1)바른 교훈을 거스르는 자를 위함이니
11 이 교훈은 내게 맡기신 바 복되신 하나님의 영광의 복음을 따름이니라
1) 헬, 건전한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전 1:8–11.
 
앞선 5-7절에서 바울은 이단을 경계하는 목적을 밝히면서 이단에 빠진 자들의 어리석음을 지적했다. 그들은 7절에서 말하는 것처럼 율법의 선생이 되려하지만 자기가 무엇을 말하는지도 모르고 확증하는 것도 깨닫지 못하는 이들이다. 이제 8-11절에서 율법의 올바른 사용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8절) 바울을 율법을 무시하거나 폄하하지 않는다. 그는 지속적으로 율법은 그 자체로는 선한 것임을 밝힌다. 롬 7:7-12절은 이렇게 말한다. 
로마서 7:7–12
7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을 하리요 율법이 죄냐 그럴 수 없느니라 율법으로 말미암지 않고는 내가 죄를 알지 못하였으니 곧 율법이 탐내지 말라 하지 아니하였더라면 내가 탐심을 알지 못하였으리라
8그러나 죄가 기회를 타서 계명으로 말미암아 내 속에서 온갖 탐심을 이루었나니 이는 율법이 없으면 죄가 죽은 것임이라
9전에 율법을 깨닫지 못했을 때에는 내가 살았더니 계명이 이르매 죄는 살아나고 나는 죽었도다
10생명에 이르게 할 그 계명이 내게 대하여 도리어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이 되었도다
11죄가 기회를 타서 계명으로 말미암아 나를 속이고 그것으로 나를 죽였는지라
12이로 보건대 율법은 거룩하고 계명도 거룩하고 의로우며 선하도다
율법 자체는 죄가 아니며 죄를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 의미에서 율법과 계명은 거룩하고 의롭고 선하다. 
 
바울은 이 율법의 기능과 의의에 대해서 디모데와 함께 잘 알고 있다라고 말한다. 여기서 ‘오이다멘’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오이다’의 현재 완료형으로 과거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계속해서 알아오고 있음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여기서 ‘율법은 선하다’라고 말한 것에 조건이 붙는다. 그것은 ‘그것을 적법하게만 쓰면’이다. 본문에 ‘적법하게’라고 번역된 ‘노미모스’는 볼절과 딤후 2:5에만 등장하는 표현으로 율법은 그 제정된 목적, 즉 죄를 깨닫게 하며 구원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하며 하나님의 선하신 뜻을 보여주는 그 목적에 부합하게 사용될 때 선한 것으로 이해된다는 뜻을 내포한다. 이 표현은 ‘노모스’라는 어근에서 나온 표현으로 ‘노모스’는 율법, 법이라는 의미이다. 8절 한 절 안에 ‘노모스’와 ‘노미노스’라는 표현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딤후 2:5에서는 ‘법대로’ 경기하는 자의 비유속에서 이 표현을 사용한다. 
디모데후서 2:5
5경기하는 자가 법대로 경기하지 아니하면 승리자의 관을 얻지 못할 것이며
 
‘선한’으로 번역된 ‘칼로스’는 좋은, 아름다운, 유익한, 품질이 좋은, 어울리는의 의미를 지닌다. 이처럼 율법 자체는 선한 것이지만 이것이 거짓 교사들의 변론의 도구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적법하게 사용되면 선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καλός -οῦ, ὁ; (kalos), 형용사. 좋은, 아름다운, 착한.  히브리어 등가: טוֹב 1 (36). 장소명에 대한 용례 정보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미항.
형용사 용법
1. 좋은 — 바람직한 또는 긍정적인 자질; 특히 특정한 일에 적합한. 의미상 반의어: 나쁜. 관련 주제: 경건; 헌신; 경건; 친절; 선; 미덕/악 목록; 윤리; 황금률.
딤전 3:1 καλοῦ ἔργου
딤전 4:6 Ταῦτα ὑποτιθέμενος τοῖς ἀδελφοῖς καλὸς ἔσῃ διάκονος
딤전 6:12 ἀγωνίζου τὸν καλὸν ἀγῶνα τῆς πίστεως,
딤전 6:18 πλουτεῖν ἐν ἔργοις καλοῖς,
딛 3:8 ταῦτά ἐστιν καλὰ καὶ ὠφέλιμα τοῖς ἀνθρώποις·
2. 좋은 (도덕적) — 도덕적 탁월성. 관련 주제: 경건; 헌신; 경건; 친절; 선; 미덕/악 목록; 윤리; 황금률.
딛 2:14 καὶ καθαρίσῃ ἑαυτῷ λαὸν περιούσιον, ζηλωτὴν καλῶν
딛 3:8 καλῶν ἔργων
딛 3:14 καλῶν ἔργων
약 3:13 δειξάτω ἐκ τῆς καλῆς ἀναστροφῆς τὰ ἔργα
벧전 2:12 ἔθνεσιν ἔχοντες καλήν, ἵνα,
3. 아름다운 — 감각을 즐겁게 하거나 지적이나 정서적으로 감탄할 만큼 흥분시키는. 의미상 반의어: 못생긴.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ὡραῖος. 관련 주제: 아름다움.
눅 21:5|| λίθοις καλοῖς καὶ ἀναθήμασιν
행 27:8 τινὰ καλούμενον Καλοὺς Λιμένας
4. 더 나은 (유익한) — 더 현명한 또는 더 유리한 그래서 바람직한.
마 18:8|| καλόν σοί ἐστιν εἰσελθεῖν εἰς τὴν ζωὴν
막 9:42|| εἰς ἐμέ, καλόν ἐστιν
막 14:21|| καλὸν αὐτῷ εἰ οὐκ ἐγεννήθη ὁ ἄνθρωπος
롬 14:21 καλὸν τὸ μὴ φαγεῖν κρέα μηδὲ πιεῖν
고전 9:15 καλὸν γάρ μοι μᾶλλον ἀποθανεῖν ἤ—τὸ καύχημά
5. 품질의 좋은 — 불순물이 없는; 높고 특별한 순도가 있는.
마 13:45 ζητοῦντι καλοὺς μαργαρίτας·
6. 어울리는 — 어떤 사람이나 경우와 조화를 이루거나 적절한. 관련 주제: 맞다.
마 15:26|| Οὐκ ἔστιν καλὸν λαβεῖν τὸν ἄρτον τῶν
마 17:4|| Κύριε, καλόν ἐστιν ἡμᾶς ὧδε εἶναι·
막 7:27|| οὐ γὰρ καλόν ἐστιν λαβεῖν τὸν ἄρτον
막 9:5|| Ῥαββί, καλόν ἐστιν ἡμᾶς ὧδε εἶναι,
눅 9:33|| Ἐπιστάτα, καλόν ἐστιν ἡμᾶς ὧδε εἶναι,
명사 용법
1. 좋은 (도덕적 개념) — 도덕적 탁월함이나 우수성 의미상 반의어: 악 (본질). 관련 주제: 경건; 헌신; 경건; 친절; 선; 미덕/악 목록; 윤리; 황금률.
롬 7:18 τὸ δὲ κατεργάζεσθαι τὸ καλὸν
고후 13:7 τὸ καλὸν
갈 4:18 καλὸν δὲ ζηλοῦσθαι ἐν καλῷ πάντοτε, καὶ
살전 5:21 τὸ καλὸν κατέχετε,
약 4:17 εἰδότι οὖν καλὸν ποιεῖν καὶ μὴ ποιοῦντι,
여러 용어 명사로 사용
1. 좋은 행동 — 친절한 행동 혹은 도덕적으로 긍정적인 여러 다른 행위.
마 26:10|| ἔργον γὰρ καλὸν ἠργάσατο εἰς ἐμέ·
칠십인역 참조 구절
창 1:4; 창 2:9; 창 12:14; 창 29:17; 창 39:6; 수 21:45; 대하 14:2; 잠 3:4; 잠 17:26; 슥 1:13; 사 1:17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1:8 Paul’s reason for warning against the false teachers in Ephesus was that they had misunderstood the intent and use of God’s law. In speaking of the law, Paul was not merely referring to the Ten Commandments or to the law of Moses. He was speaking of the principle of making legal demands, and he argued that legal demands are good if a person knows rightly how to make those demands. The law itself is intrinsically noble and honorable, but its teachers must use it according to its spirit and intention.
What is the right use of the law? Theologians have summarized three uses of the law. First, the Bible resembles a locked door to restrain individuals from trespassing onto the wrong territory (Rom 7:7; Ps 19:13). Second, the law resembles a mirror to reveal sin and lead us to Christ (Rom 3:19–20; Gal 3:24). Third, the law serves as a rule and guide to point out the works that please God (Rom 13:8–10). The errorists whom Paul was addressing did not know they needed restraint, a mirror for their sins, or a guide in life. They used the law as a launchpad to turn out spellbinding tales about ancestors and thereby robbed the law of its convicting power. If these teachers had used the law as a means of leading their hearers to Jesus, that would have been fine with Paul.10 In saying that the law was not made for “the righteous,” Paul was describing believers as the righteous. Committed believers do not need the law to propel them to holy living. They have pleasure in God’s law and have entered the sphere in which the promptings of the Holy Spirit spur them to obedience (Gal 5:22–24).
10 A similar view of expressing the right use of the law, but stated in different words, appears in H. A. Virkler, Hermeneutics: Principles and Processes of Biblical Interpretation (Grand Rapids: Baker, 1981), 143. Virkler outlines four uses of the law that include showing human beings the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wrong, restraining evil, bringing individuals to Christ, and providing a guideline for godly living.
E. P. Sanders in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A Comparison of Patterns of Religion (Philadelphia: Fortress, 1977) began a revolution in Pauline studies by denying that Paul held a legalistic perception of Judaism. According to Sanders, it is incorrect to picture first-century Judaism as encouraging a works-type of righteousness. Rather, according to Sanders, both Judaism and Paul felt that obedience to the law was not required to enter into God’s covenant but was necessary for maintaining participation in the covenant. Aware of Sanders’s emphases, R. Sloan has said that the law cannot save because it “now operates within the power sphere of sin and death and, thus weakened, has not the power to save” (“Paul and the Law: Why the Law Cannot Save,” NT 33, no. 1 [1991]: 54). Sloan feels that both in the Jews and in the unconverted, Paul felt the power of evil operated through their devotion to keeping the law so that they were incapable of actually seeing Jesus as the Messiah. Sloan’s views reflect an understanding of Sanders’s insights but also show an appreciation for consistency in Paul’s thinking.
 Thomas D. Lea and Hayne P. Griffin, 1, 2 Timothy, Titus, vol. 34,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2), 70–71.
 
9절) 앞서 바울은 '우리는 아노라’라고 말하고 나서 9절을 시작하면서 ‘알것은 이것이니’라고 말한다. 다시금 알고 있는 것, 알아야 할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 내용은 바로 ‘율법은 옳은 사람을 위하여 세운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본문의 ‘옳은 사람’은 ‘디카이오스’로 바울이 하나님의 칭의로 말미암아 의롭게 된 사람을 지칭하는 법정적 의미에서 사용하는 표현이다. 하지만 본문은 이런 칭의적인 차원에서의 의인이 아니라 ‘도덕적 차원에서의 옳은 사람’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인간이 타락하지 않았다면 율법은 필요없다. 반면에 율법이 주어졌다는 것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뜻에서 먼 불법한 자들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제 율법이 필요한 이들이 어떤 이들인지를 밝히고 있다. 
 
‘불법한 자와 복종치 아니하는 자’, 불법한 자는 ‘아노모이스’로 이것의 원형인 ‘아노모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율법을 의미하는 ‘노모스’의 합성어로 법을 지키지 않는 자, 율법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자를 의미한다.  복종치 아니하는 자는 ‘아뉘포탁토이스’인데 이것의 원형 ‘아뉘포탁토스’ 역시 부정 접두어 ‘아’와 복종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동사 ‘휘포탓소’의 합성어로 율법에 대해 불순종하는 자라는 의미이다. 이는 앞서 ‘불법한 자’와 비교할때 지적 측면보다 행동적 측면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바울은 에베소의 유대주의적 이단들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율법의 권위를 무시하고 율법에 순종하지 않았다. 유대주의자들은 율법의 행위로 구원에 이른다고 주장하면서도 아이러니하게 그 율법 자체도 지키지 않은 것이다. 
 
‘경건하지 아니한 자와 죄인’, 경건치 아니한 자로 번역된 ‘아세베시’의 원형 ‘아세베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경배하다, 경건하다, 좇다라는 의미를 지닌 ‘세보마이’의 합성어로 경건치 아니한 자, 경배하지 아니하는 자 혹은 하나님을 좇지 아니하는 자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무신론자들을 지칭한다기 보다는 하나님에 대해서 알고 있지만 삶과 행위에서 하나님을 무시하고 따르지 않는 자들을 의미한다. 죄인으로 번역된 ‘하마르톨로이스’의 원형 ‘하마르톨로스’로 문자적으로는 과녁을 맞추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하마르티아’는 죄, 불법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죄인은 바로 하나님의 부르심의 목적을 따라서 살지 않는 자들, 자기중심성을 추구하는 이들이라고 할 수 있다. 
 
‘거룩하지 아니한 자와 망령된 자’, 거룩하지 아니한 자로 변역된 ‘아노시오이스’의 원형 ‘아노시오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거룩한 이라는 의미를 지닌 ‘호시오스’의 합성어로 신약에서 말세의 특징을 언급할 때 사용되었다. 망령된 자는 ‘베벨로이스’로 이 원형은’베벨로스’인데 이는 가다, 걷다라는 뜻을 지닌 ‘바이노’와 문지방을 뜻하는 ‘벨로스’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 ‘문지방을 건너는 자’라는 의미로 제한없이 아무것에든지 접근한다는 의미로 속되게 행하는 자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거룩한 것의 특징을 침해하는 모습을 보이는 행위이다. 
 
십계명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다루는 1-4계명과 사람들과의 관계를 다루는 5-10계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앞선 내용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다룬다면 이후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다룬다. 
 
‘아버지를 죽이는 자와 어머니를 죽이는 자’, 본 내용은 십계명의 제 5계명, 네 부모를 공경하라를 어기는 이들에 대한 언급이다. 아버지를 죽이는 자로 번역된 ‘파트롤로아이스’의 원형 ‘파트롤로아스’는 아버지를 의미하는 ‘파테르’와 치다, 타작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알로아이오’의 합성어로 타작마당에서 추수하는 농부가 곡식을 내려치듯이 아버지를 심하게 구타하는 자를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어머니를 죽이는 자’는 ‘메트롤로아이스’로 그 원형은 ‘메트롤로아스’인데 어머니를 의미하는 ‘메테르’의 ‘알로아이오’의 합성어이다. 여기서 죽이다라는 의미의 ‘알로이아오’는 출 21:15에 쓰인 단어와 동일한 단어이다. 이는 5계명을 염두에 둔 것이다. 
 
‘살인하는 자’, 살인하는 자로 번역된 ‘안드로포노이스’의 원형 ‘안드로포노스’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아네르’와 살인자라는 의미의 ‘포노스’의 합성어이다. 이는 십계명의 6계명을 염두에 둔 것이다. 
 
10절) ‘음행하는 자와 남색하는 자’, 음행하는 자로 번역된 ‘포르노이스’의 원형 ‘포르노스’는 영어의 포르노의 어원이 되는 단어로 단순히 결혼하지 않은 이들의 혼전 성관계나 기혼자의 혼외 정사만을 의미하지 않고 모든 형태의 성적 부도덕을 포괄한다.예수님께서는 모든 형태의 음란한 생각까지도 간음으로 여기셨다. 당시 이러한 음행은 이교 사회에 공공연하게 퍼져있었고 이교도의 신전(아프로티테)에서는 여사제들을 통한 매춘이 신전에서 공공연하게 행해졌다. ‘포르네이아’은 음란, 성적 부도덕을 의미한다. 
남색하는 자로 번역된 ‘아르세노코이타이스’의 원형 ‘아르세노코이테스’는 남자를 의미하는 ‘아르센’과 눕다, 자리잡다를 의미하는 ‘케이마이’의 합성어로 남자들끼리의 직접적인 동성 연애를 지칭한다. 
 
인신 매매를 하는 자와 거짓말하는 자, 인신 매매를 하는 자로 번역된 ‘안드라포디스타이스’는 사람을 뜻하는 ‘아네르’와 발을 의미하는 ‘푸스’의 합성어로 걸어가서 잡다라는 뜻과 더불어 노예로 삼다라는 듯을 지닌 ‘안드라포디조’에서 파생된 명사이다. 이는 자유민을 노예로 삼는 사람, 다른 사람의 노예를 탈취하는 사람을 뜻한다. 이는 노예 무역 상인을 뜻하는 것인데 이는 사람을 탈취하여 노예로 파는 것은 8계명, ‘도적질하지 말라’는 계명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거짓말하는 자로 번역된 ‘프슈스타이스’는 9계명,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 말지니라’는 명령을 위반하는 것이다. 이 단어의 원형 ‘프슈스테스’는 영어의 가짜의, 위장된이란 의미의 접두어로 널리 사용되는 슈도(pseudo)의 어원이 된다. 
 
거짓 맹세하는 자와 기타 바른 교훈을 거스르는 자’, 거짓 맹세하는 자로 번역된 ‘에피오르코이스’의 원형 ‘에피오르코스’는 ‘~위에’라는 의미의 전치사 ‘에피’와 맹세를 의미하는 명사 ‘호르코스’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 맹세 위에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위증하는 자를 뜻한다. 이는 거짓말 하는 자와 마찬가지로 9계명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레 19:12). 
‘바른’으로 번역된 ‘휘기아이누세’는 건강하게 하다, 건전하게 하다라는 뜻을 지닌 원형 ‘휘기아이노’의 분사형으로 바울의 목회서신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여기서 바른 교훈이란 참되고 바른 하나님의 진리의 말씀을 가리킨다. 바울은 이처럼 율법을 거스르는 죄의 목록을 다루면서 마지막으로 바른 교훈을 거스르는 자를 언급하면서 세부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모든 내용을 다루고 있다. 
 
1:9–10 Paul presented a list of vices that begins with three pairs of adjectives and then follows the order of the Ten Commandments. The three pairs of adjectives refer respectively to moral vagabonds who willfully break the law and refuse to obey its authority (“lawbreakers and rebels”), the outwardly disobedient who wantonly disregard God’s will in their lives (“ungodly and sinful”), and the inward scoffers who irreverently trample on God’s name (“unholy and irreligious”). The latter group treated nothing as sacred.
Those who kill their parents (v. 9) had lost all natural affection and violated the Fifth and Sixth Commandments. “Murderers” violated the Sixth Commandment, and “adulterers and perverts”11 violated the Seventh Commandment. “Slave traders” disregarded the Eighth Commandment, and “liars and perjurers” sinned against the Ninth Commandment. Paul’s list spotlighted easily recognizable external sins. He made no specific mention of the Tenth Commandment prohibiting covetousness.
There is implied reference to the Tenth Commandment and all other violations in Paul’s mention of “whatever else is contrary to the sound doctrine.” The word “sound” (hygiainousē) is a medical metaphor that contrasts healthy doctrine with the sickly, unhealthy teaching of the heretics. “Doctrine” (didaskalia) can refer either to proper belief (1 Tim 6:1)—the content of doctrine—or to proper behavior (Titus 2:1)—the result of right belief. In v. 10 the emphasis is on right behavior stemming from correct moral teaching. Kelly points out that Paul’s metaphor expressed his conviction that a morally disordered life is diseased and stands in need of treatment by the law. A life based on the teaching of the gospel is clean and healthy.
11 The term “perverts” is used only once additionally in the NT (1 Cor 6:9). In each instance Paul was warning against male coital homosexuality. In 1 Cor 6:9 the term is translated “homosexual offenders,” and it is paired with a related term “male prostitutes,” which referred to a man or boy who allowed himself to be abused homosexually. The term “homosexual offenders” (“Sodomites” [translation mine]) describes the initiators of a homosexual encounter. The term “male prostitutes” (“Catamites,” [translation mine]) described the recipients of active homosexual behavior. Paul used the term in 1 Tim 1:10 to warn against an active homosexual life-style.
 Thomas D. Lea and Hayne P. Griffin, 1, 2 Timothy, Titus, vol. 34,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2), 71–72.
 
11절) 11절은 ‘카타’라는 단어로 시작된다. 이는 ‘~을 따라서’를 의미하는 표현인데 이는 바울이 율법에 대해 피력한 앞선 진술이 복음을 좇아서 이루어진 것이란 점을 강조한 것이다. 즉 이 교훈은 율법의 올바른 사용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부분으로 앞선 8-10절 전체를 받는 것이다. 이 교훈이 학문적인 노력으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의 복음으로 인한 것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바울은 이 복음을 첫째는 ‘내게 맡기신’ 복음으로 이해하고 있다. ‘맡기신’으로 번역된 ‘에피스튜덴’은 믿다, 신뢰하다라는 뜻을 지닌 ‘피스튜오’의 부정 과거 수동태 표현이다. 이는 신적 수동태 표현으로 바울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복음을 맡은 것이 아니라 바울에게 복음을 맡기신 주체가 바로 하나님이란 사실을 강조한다(고전 9:17; 갈 2:7; 살전 2:4).  둘째 바울은 복음을 복되신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것으로 인식한다. 이는 복음 자체가 영광스럽다는 의미와 동시에 그 복음이 하나님의 영광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복음은 모든 믿는 자로 하여금 구원을 얻게 하는 하나님의 능력으로 그 자체로 영광이 된다. 본절의 독특한 표현으로 하나님을 ‘복되신' 분으로 묘사하고 있다. ‘마카리오스’는 복된, 행복한, 행운의라는 의미로 산상수훈에서 ‘복이 있나니’라는 형태로 사용된 표현으로 하나님과 교통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영적인 축복을 받는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본문에서 ‘마카리오스’는 하나님께 적용되어서 하나님 자신의 절대적인 복되심과 아울러 하나님께서 절대적인 의미에서 완전히 자기 충족적이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1:11 Paul presented three facts about the gospel. First, the gospel concerns the glory of the blessed God. The content of the gospel is to set forth and proclaim the glory of God. Second, this gospel comes from “the blessed God.” The term “blessed” pictures God as the source and fountain of all blessedness. Blessedness rests in and proceeds from God. Third, this gospel had been entrusted to Paul. The malicious perversions of truth Paul cited in vv. 9–10 did not proceed from the God of glory, and Paul wanted such heretical teaching to cease.
Paul’s chief concern was that the life-style and testimony of a Christian aid in the spread of the gospel concerning Jesus. The false teachers in Ephesus had given their energies to many enticing replacements for the gospel. That trend had to stop! No program, aim, or emphasis in our lives can be allowed to hinder our full involvement in sharing the gospel of Jesus’ saving power.
 Thomas D. Lea and Hayne P. Griffin, 1, 2 Timothy, Titus, vol. 34,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2), 72.
 
 
 
728x90
 The aim of our charge is love lthat issues from a pure heart and ma good conscience and na sincere faith. Certain persons, by oswerving from these, have wandered away into pvain discussion, desiring to be teachers of the law, qwithout understanding either what they are saying or the things about which they make confident assertions.
l 2 Tim. 2:22
m 1 Pet. 3:16, 21
n Rom. 12:9; 2 Tim. 1:5
o ch. 6:21
p Titus 1:10
q [ch. 6:4; Col. 2:1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전 1:4–7.
 
5 이 교훈의 목적은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과 거짓이 없는 믿음에서 나오는 사랑이거늘
6 사람들이 이에서 벗어나 헛된 말에 빠져
7 율법의 선생이 되려 하나 자기가 말하는 것이나 자기가 확증하는 것도 깨닫지 못하는도다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전 1:5–7.
 
 
앞선 3-4절에서 바울은 거짓 가르침, 이단을 경계하기 위해서 디모데를 에베소에 머물라 하였다. 이제 5-7절은 거짓 가르침과 대조되는 교훈의 목적과 이단에 빠진 자들의 어리석음을 밝힌다. 신화와 끝없는 족보에 몰두하는 거짓 가르침은 변론을 이루어내지만 하나님이 바울을 통하여 주신 올바른 가르침, 교훈은 사랑을 이루어낸다. 
 
5절) 한글 성경은 번역하지 않았지만 원문은 그러나 라는 접속사 ‘데’가 사용되었다. KJV은 이를 Now(이제)로 번역한다. 본문에서 교훈으로 번역된 ‘파랑겔리아스’는 앞선 3절에서 명하여로 번역된 단어이다. 이는 어떤 것을 하도록 하는 명령이나 훈령에 대한 공적인 진술을 의미한다. 이전 한글 개역 성경은 이 표현을 ‘경계’라고 번역하였다. 이 교훈, 명령은 바로 바울이 에베소 교회의 성도들을 향해서 명하고 가르쳐야하는 중요한 가르침을 의미하는데 이 가르침의 목적은 바로 사랑(아가페)이다. 
 
신화와 끝없는 족보에 몰두하여 탁상공론, 변론을 일삼던 에베소의 거짓 교사들에게는 이 사랑이 결여되어 있었다. 바로 그 교훈의 목적은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과 거짓이 없는 믿음에서 나오는 사랑이다. 
 
1) 청결한 마음(카다라스 카르디아스), 마음으로 번역된 카르디아스의 원형 카르디아는 성경에서 인간의 지, 정, 의의 좌소로서 인간 존재의 가장 깊은 중심을 의미한다. 잠 4:23에서는 
잠언 4:23
23모든 지킬 만한 것 중에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
샘영의 근원이 마음에서 나온다고 지혜자는 말하고 있다. 
‘청결한’으로 번역된 ‘카다로스’는 물리적인 깨끗한 상태를 의미하기도 하지만(마 23:26; 요 13:10) 대부분 도덕적, 종교적 의미를 나타낸다. 이는 죄악으로부터 벗어나 청결한 상태를 의미하는 표현이다.  이처럼 죄악으로부터 해방된 청결한 마음에서 아름다운 사랑이 나오는 것이다. 이 표현에서 강박 관념에서 벗어나는 상태를 의미하는 영어의 ‘카타르시스’라는 표현이 나왔다. 이처럼 죄악에 물들지 않은 청결한 마음은 사랑의 필수 요소이다.  
정결한 것과 부정한 것 (טָהוֹר, 타호르; טָמֵא, 타메; καθαρός, 카따로스; ἀκάθαρτος, 아카따르토스). 명칭은 하나님 앞에서 제의적 적합성 또는 부적합성을 말한다. 이는 거룩한 것과 속된 것에 대한 진술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종종 의의 상태를 말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육체적인 상태나, 행위, 그리고 짐승들과 관련해서도 사용된다.
 Bryan C. Babcock, “정결한 것과 부정한 것,” ed. John D. Barry, Lexham 성경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2) 선한 양심(쉬네이데세오스 아가데스), 양심으로 번역된 ‘쉬네이데시스’는 ‘~함께’라는 의미의 ‘쉰’과 ‘보다, 알다’란 의미의 동사 ‘에이도’의 합성어로 모든 인간이 ‘보편적으로 보고 인식하는 것’이란 의미이다. 이처럼 선한 양심은 하나님의 계시를 근거로 올바른 판단을 내리는 도덕적 자아의 핵심이다. 
 
3) 거짓이 없는 믿음(피스테오스 아뉘포크리투) : 거짓이 없는 으로 번역된 ‘아뉘포크리투’의 원형 ‘아뉘포크리토스’는 부정을 의미하는 ‘아’와 ‘가장하다, ~처럼 뀌다’라는 의미의 ‘휘포크리노마이’의 합성어로’가장하지 않은, 꾸미지 않은’의 의미이다. 거짓 교사들은 거짓 가면을 쓰고 자신의 정체를 감추고 거짓되게 활동을 했다면 바울은 이데 디모데에게 그들과는 다르게 거짓 없이, 있는 모습 그대로의 모습을 보일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거짓된 가르침을 가르치는 이들의 믿음을 변론으로 귀결될 것이지만 거짓 없는 믿음은 사랑으로 귀결된다. 참된 믿음은 참된 사랑으로 확증된다. 그렇기에 참된 사랑이 드러나지 않는 믿음은 거짓 믿음이다. 
 
The aim of our charge, that is, the goal of apostolic instruction, is love—a clear indication of the intended result of Paul’s teaching in 1 Timothy. Whereas false teaching results in meaningless speculation, proper apostolic teaching results in practical good behavior rooted in love. And that love must come from internal, Spirit-worked changes that have produced a pure heart (rather than one filled with sinful desires), a good conscience (rather than one laden with guilt), and a sincere faith (rather than pretense and hypocrisy). This verse is central for the whole letter.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25.
 
The goal itself is “love.” Properly understood, and seen in connection with the three qualifiers that follow, this statement acquires thematic importance within the framework of Christian existence Paul seeks to construct in thes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term is agapē, which in Paul can serve as shorthand for the entire visible, outward life produced by genuine faith (e.g. Gal 5:7). The term is frequently found in connection with “faith” (as here),50 with the two concepts together comprising what might be thought of as the invisible (posture of belief in God/Christ) and visible (faith’s outworking in life) dimensions of Christian existence. In this construction, love is the concept that Paul uses to summarize the goal to be achieved by correct teaching and preaching. It stands for the active response to God’s grace, expressed in sacrificial action done in behalf of others. Thus what is noticeable from the outset is the concern for the observable and measurable dimension of Christian existence and its origin in the apostolic gospel. It is this interrelationship of message and agape-life that is in mind as Paul goes on to show that love is the end product of authentic conversion that renders the human interior faculties capable of producing the manner of living God intends.
How is such love produced? Paul considers this source51 from the perspective of three interior features of genuine belief. The first perspective is the “pure heart” (2 Tim 2:22). This phrase depicts the inner dimension of Christian existence in its entirety. Within Paul’s anthropological teaching, and continuous with the biblical tradition and cultures that influenced him, the heart was regarded as the locus of the human personality and origin of the emotions and intentions.52 It is with the heart that people relate to God, and with the heart they may call upon the Lord (cf. 2 Tim 2:22) and express either worship, or resistance and rejection.53 In the latter case (sin, rebellion), the OT already expressed, in similar language, the notion that the heart needs to be cleansed for worship and to restore the relationship with God.54 The Jesus tradition affirmed this fundamental thought (Matt 5:8). In this particular setting, the thought is of an action (cleansing) that has already taken place, with the assumption being that God has acted to purify the inner person who has come to faith by the gospel (cf. Eph 5:26). The probable connection of the figure of “cleansing” to the rite of baptism55 may also suggest the backward look here to the event that marked the profession of faith. Love, the authentic outward expression of Christian faith, issues from the person whose emotional and volitional center has experienced cleansing by God.
The second term for the source of love, “good conscience,”56 overlaps to some degree with the first. The focus in “good conscience,” however, is on the organ of decision that facilitates the process by which a person may move from some norm (in this case that existing in the gospel, the faith, the sound teaching, etc.) to appropriate behavior. The qualification of conscience in these letters as either “good” (1:5, 19) or “clear” (3:9; 2 Tim 1:3) in the case of believers, and as “seared” (4:2) or “corrupted” (Titus 1:15) in the case of unbelievers, is a theological development from other Pauline use in which the term was employed as a neutral concept (see the Excursus below). That is, Paul regards the condition of the human conscience as ultimately affected positively by adherence to the apostolic gospel or rendered ineffective by rejection of it. And following from this, the false teachers’ rejection of the gospel makes moral goodness unattainable, while acceptance of the gospel opens up this possibility for authentic believers. “Good,” as in the case of “good deeds” (see on 2:10), in Paul’s vocabulary refers to an intrinsically positive benefit stemming from conversion. Consequently, Paul regards an effectively functioning conscience to be intrinsic to the process that is to lead from teaching to the goal of love.
The third and last aspect in this description of the source of love is “sincere faith.” Within this context (“in faith”; 1:4), “faith” again (1:2 note) describes Christian existence as a posture or state that consists of active believing in God and the apostolic gospel, rather than standing as a measurement of the purity of what one believes.57 The attached adjective, “sincere” (anhypokritos) 58 stresses the integrity and authenticity (and complete lack of deception) of this commitment, primarily as seen in the response of lifestyle that accompanies belief. Its emphasis on authenticity is suggested by the use of the antonym “hypocrisy” (hypokrisis) to describe the deception of the false teaching (4:2).
These three Christian realities bring into alignment the faith relationship with God and the effects of that relationship in cleansing the inner person for perception of truth and the processing of it into appropriate action. The organization of ideas in the sentence suggests that Paul is exploring the source of Christian behavior; but at the center of the underlying components is faith in God as mediated through the gospel he preached.
50 For ἀγάπη (1:14; 2:15; 4:12; 6:11; 2 Tim 1:7 [without πίστις], 13; 2:22; 3:10; Titus 2:2), see further Spicc, TLNT 1:8–22; G. Schneider, EDNT 1:8–12; W. Gunther, H.-G. Link, C. Brown, NIDNTT 2:538–51; for the linking of “faith” and “love”, see Towner, Goal, 162–63, 165–66.
51 The Gk preposition, ἐκ (“from”), expresses the source of ἀγάπη.
52 Gk. καθαρὰ καρδία (for the phrase, see Towner, Goal, 159). For καθαρά (“clean, pure”), see 3:9; 2 Tim 1:3; 2:22; Titus 1:15[3x]. For καρδία (“heart”) in Paul, see Rom 1:24; 5:5; 1 Cor 4:5; 2 Cor 4:6; Eph 1:18; F. Baumgärtel, J. Behm, TDNT 3:604–14; T. Sorg, NIDNTT 2:180–84; R. Jewett, Paul’s Anthropological Terms (Leiden: Brill, 1971), 448; Lips, Glaube, 65–66; Marshall, 370.
53 Cf. LXX Deut 4:29; 5:29; 6:5; 10:12; 11:13 with Deut 29:3; 30:6.
54 LXX Ps 50:12 (καρδίαν καθαρὰν κτίσον ἐν ἐμοί ὁ θεός); Sir 38:10 (ἀπὸ πάσης ἁμαρτίας καθάρισον καρδίαν); Deut 30:6; cf. Gen 20:5, 6; Ps 50:12.
55 Titus 2:14; 1 Pet 3:21; so Marshall, 370; Roloff, 67–68.
56 Gk καὶ συνειδήσεως ἀγαθῆς; 1:19; Acts 23:1; 1 Pet 3:16, 21; cf. Heb 13:18.
57 See Marshall, 370–71; cf. U. Wilckens, TDNT 9:570–71, who concentrates on the sense of orthodoxy.
58 Gk ἀνυπόκριτος; in the NT (cf. LXX Wis 5:18; 18:15 of the Lord) the term is found in several ethically-focused texts, describing, as here, the quality of the faith commitment (2 Tim 1:5), sincerity of love (Rom 12:9; 2 Cor 6:6), or brotherly love (1 Pet 1:22), or on its own as one of several Christian qualities (James 3:17). See further, Spicq, TLNT 1:134–36; 3:412–13.
 Philip H.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114–117.
 
6절) 거짓 가르침에 빠진 이들은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과 거짓이 없는 믿음에서 나오는 사랑에서 벗어나 헛된 말에 빠진다. 
‘벗어나'로 번역된 ‘아스토케산테스’는 부정어 ‘아’와 ‘표적’을 의미하는 ‘스토코스’의 합성어로 표적을 벗어났다라는 의미이다. ‘헛된 말’로 번역된 ‘마타이올로기안’은 ‘쓸데없는’을 의미하는 형용사 ‘마타이오스’와 말하다라는 의미의 동사’레고’의 합성어로 쓸데없는 논쟁, 비생산적이고 쓸모없는 대화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화와 끝없는 족보에 몰두하는 이들이 바로 이런 자들이다. ‘빠져’로 번역된 ‘엑세트라페산’은 본래 ‘돌다, 비틀거리다’라는 동사 ‘엑트레포’의 부정 과거형으로 사랑이라는 목적에서 벗어나 헛된 변론에서 허우적대며 비틀거리는 자들의 어리석은 모습을 시각적으로 잘 묘사해준다. 
 
 
6 This positive expression of Timothy’s goal becomes the next platform for denouncing the opponents. The return to this mode is signaled by the second demeaning reference to them as “some” (see on 1:3). But the force of the argument lies in the contrast drawn between the “goal” just stated and the actual quite different orientation and results of the false teachers. With the contrast Paul intends to underline their deviation from the approved norm.
Their deviant course is described by a combination of two terms, each belonging to Paul’s polemical vocabulary, which stress erratic movement away from the “goal” just mentioned.59 The TNIV translation expresses the sequential nature of the two interrelated acts of deviation. But the translation can be sharpened somewhat by bringing out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Coming first is the adverbial participle that identifies the likely source or cause of this departure—“because [some] missed out on” the items mentioned in the previous verse (see also 6:21; 2 Tim 2:18).60 The meaning of this verb in almost all of its uses relates to misdirection, missed targets, and so on. And this sense is very much in evidence in each of its occurrences in the letters to Timothy; but as Paul uses the term, the target, goal or path that has been deviated from is always related to the faith in some sense. The second term describes the effect of this deviation: they “turned away to” a goal of their own devising. This verb in three of its four occurrences, describes similarly the results of the false teaching in terms of a divergence from the apostolic faith (see also 5:15; 2 Tim 4:4).61
Finally, the end of this misdirection, the “goal” arrived at by wandering lost, comes to expression in the prepositional phrase that describes the useless false teaching as “meaningless talk.”62 Though capable of various translations (see the versions), this term disparages the false teaching a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things that are pagan (see on Titus 1:10). For this reason it is substandard. It belongs similarly to Paul’s rather long list of derogatory expressions for the uselessness of the alternative doctrine.63
59 The connection with the list of items in 1:6 is created by use of the genitive relative pronoun, ὧν (so also 1:19, 20; 2:7; 6:4, 10; 2 Tim 1:7).
TNIV Today’s New International Version
60 Gk ἀστοχέω; limited to these three occurrences in the letters; see LXX Sir 7:19; 8:9.
61 Gk ἐκτρέπομαι (Heb 12:13). In 6:20 the verb is used to direct Timothy to avoid the false teaching. For other similar terms in the polemical repertoire, see 1:19; 4:1; 5:15; 2 Tim 4:4.
62 Gk. ματαιολογία is a biblical hapax (Polycarp, Phil. 2:1; see ματαιολόγοι in Titus 1:10).
63 Other terms of this sort include βέβηλος (1 Tim 1:9; 4:7; 6:20; 2 Tim 2:16), κενοφωνία (1 Tim 6:20; 2 Tim 2:16), μωροὶ ζητήσεις (2 Tim 2:23; Titus 3:9); ἀνωφελής, μάταιος (Titus 3:9), ἀπαίδευτος (2 Tim 2:23), γραωδής (1 Tim 4:7), ἀντιθέσεις (1 Tim 6:20), ἐντολαὶ ἀνθρώπων (Titus 1:14). See further, Towner, Goal, 24–25; Schlarb, Die gesunde Lehre, 59–73; O. Bauernfeind, TDNT 4:519–24.
 Philip H.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119–120.
 
7절) 율법의 선생으로 번역된 ‘노모디다스칼로이’는 율법을 의미하는 ‘노모스’와 선생을 뜻하는 ‘디다스칼로스’의 합성어이다. 신약에 3번 등장하는데 다른 본문에서는 ‘율법교사’로 표현하였다. 당시 거짓 선생들, 에베소에서 거짓 교훈을 가르치는 자들은 이처럼 율법 교사로서의 모습을 가지지만 자기가 무엇을 말하는지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체 가르침을 전하는 자였다. 당시 영지주의적 거짓 교사들이 많이 있었는데 본문의 거짓 교사들을 유대 율법 교사들이었다. 거짓 교사들의 문제는 자신이 말하고 가르치는 내용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없었고 가르침과는 다른 삶을 살아가는 자들이었다. 
우리 중에도 이런 거짓 선생들이 많이 있다. 예수를 믿는 다고 하고, 복음을 증거한다라고 말하지만 실제로 자신이 전하는 복음의 무게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채 그저 현학적인 표현들로 사람들의 귀를 즐겁게 하는 이들은 도리어 영광의 복음을 가볍게 만드는 이들이다. 
 
7 Paul develops this thought further64 by underlining the irony created by the opponents’ lofty desire (“to be teachers of the law”) and the contra-indications of their ability to achieve it. This specific desire locates these opponents within an extreme (enthusiastic) Jewish-Christian orbit, already hinted at in the reference to “myths and genealogies.” The term “teachers of the law”65 appears to be a Christian term for Jewish teachers.66 Although against this background the term may express a critical view of their aspirations rather than being a self-description on their part, it still shows that the OT law is central to their teaching activities, and probably that they sought to have the role within the community equivalent to Jewish teachers. Thus they sought an authoritative place within the community and regarded that authority to be linked to teaching of the law.
Their failure, however, is not in their aspiration, but in their complete ignorance of the subject matter they are dealing with. Paul underlines this with the emphatic qualifying statement: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talking about or what they so confidently affirm.” Two items should be stressed. First, Paul initiates here the theme of ignorance:67 with a variety of language, he insists that rejection of the gospel leads to ignorance of the will of God (1 Tim 6:4, 20; 2 Tim 2:23; 3:7; Titus 1:15; 3:9). Second, Paul’s condemnation is sweeping: the development from “what they say” to “what they so confidently affirm” places all of their teaching activities under the category of ignorance.68 The effect in Paul’s argument is to render all of their speaking activities null and void.
64 The sentence continues with a participial phrase that describes the “some” of v. 6 in terms of a lofty desire and contradictory results.
65 Gk. νομοδιδάσκαλοι (pl.); Luke 5:17; Acts 5:34. The fact that only Luke uses the term elsewhere in the NT suggests Lukan influence in the writing of these letters to some (see S. G. Wilson, Luke and the Pastoral Epistles [London: SPCK, 1979]).
66 So e.g. K. H. Rengstorf, TDNT 2:159; see also Roloff, 71. For the view that the desire to be “teachers of the law” indicates that the false teachers are non-Jewish, see Schlarb, Die gesunde Lehre, 91.
67 Gk. μὴ νοοῦντες; (νοέω; 2 Tim 2:7); see J. Behm, TDNT 4:948–51.
68 For this, the Gk rhetorical device, μήτε … μήτε (= “neither … nor”; see Marshall, 373), establishes a range or scope (in this case beginning with “saying” and ending with “professing dogmatically”) within which the condition under discussion is true. Cf. 2 Thess 2:2; Acts 23:12; 27:20; Matt 5:35; 11:18.
 Philip H.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120–121.
728x90
gAs I urged you when I was going to Macedonia, remain at Ephesus so that you may charge certain persons not hto teach any different doctrine, nor ito devote themselves to myths and endless jgenealogies, which promote kspeculations rather than the stewardship1 from God that is by faith. The aim of our charge is love lthat issues from a pure heart and ma good conscience and na sincere faith. Certain persons, by oswerving from these, have wandered away into pvain discussion, desiring to be teachers of the law, qwithout understanding either what they are saying or the things about which they make confident assertions.
g [Titus 1:5]
h ch. 6:3; [Gal. 1:6, 7]
i ch. 4:7; 2 Tim. 4:4; Titus 1:14; 2 Pet. 1:16
j Titus 3:9
k ch. 6:4
1 Or good order
l 2 Tim. 2:22
m 1 Pet. 3:16, 21
n Rom. 12:9; 2 Tim. 1:5
o ch. 6:21
p Titus 1:10
q [ch. 6:4; Col. 2:1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전 1:3–7.
 
3 내가 마게도냐로 갈 때에 너를 권하여 에베소에 머물라 한 것은 어떤 사람들을 명하여 다른 교훈을 가르치지 말며
4 신화와 끝없는 족보에 몰두하지 말게 하려 함이라 이런 것은 믿음 안에 있는 하나님의 경륜을 이룸보다 도리어 변론을 내는 것이라
5 이 교훈의 목적은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과 거짓이 없는 믿음에서 나오는 사랑이거늘
6 사람들이 이에서 벗어나 헛된 말에 빠져
7 율법의 선생이 되려 하나 자기가 말하는 것이나 자기가 확증하는 것도 깨닫지 못하는도다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전 1:3–7.
 
앞서 1-2절의 인사말에 이어서 바울은 단도직입적으로 디모데가 가장 걱정하고 있을만한 문제인 거짓 가르침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3절) 당시 바울은 로마의 감옥에서 석방된 후 에베소에서 마게도냐로 떠나면서 디모데로 하여금 에베소에 머물면서 자신의 대리자로 그곳에서 기승을 부리던 거짓 교사들을 물리치고 복음의 진리를 온전하게 지킬 것을 독려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은 디모데로 하여금 에베소에 머물라고 한 이유를 분명히 설명하는데 그것은 거짓 선생들을 잘 대처하라는 것이었다. 특별히 디모데전서에는 거짓 가르침과 거짓 교사들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등장한다. 마게도냐는 발칸 반도의 북쪽 지방으로 성경에 나오는 빌립보, 데살로니가, 베뢰아 등의 도시가 위치한 곳이다. 바울은 지금 에베소를 디모데에게 맡기고 다른 선교지들이 위치한 마게도냐를 돌보기 위해서 떠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혹자들은 본절의 바울의 여정이 로마 1차 투옥이후의 바울의 여정으로 이를 4차 선교여행으로 본다. 이 여정속에서 에베소에는 디모데를, 그레데에는 디도를 후임으로 세우고 전도여행을 계속 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바울의 2차 투옥과 순교를 AD 67-68년으로 본다면 자신의 죽음을 앞두고 사역지를 돌아보며 각 지역의 성도들의 신앙을 굳게 하기 위해서 노력한 것이다. 본인이 한 지역에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없었기에 자신이 신뢰할 만한 동역자들을 보낸 것이다.
 
‘권하여~ 머물라’, 권하여라는 표현은 ‘파라칼레오’로 ‘~옆에’라는 의미의 ‘파라’와 ‘부르다, 청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칼레오’의 합성어이다. 여기서는 ‘옆으로 다가와 간절하게 청하다’라는 의미로 ‘간청하다’(행 9:38)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에클레시아, 교회’, ‘파라클레토스, 보혜사, 중재자’라는 단어가 파생되었다. 또한 ‘머물라’로 번역된 ‘프로스메노’는 ‘프로스’와 ‘메노’의 합성어이다. ‘프로스’는 장소와 관련하여 “가까이에’라는 의미와 시간과 관련하여 ‘~동안”이라는 의미를 지니며 ‘메노’는 ‘머물다’라는 의미의 동사이다. 따라서 프로스메노라는 표현은 단순히 머무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머물라는 의미인 것이다. 바울이 이런 충고를 하고 있는 것은 디모데가 에베소에 머물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에베소는 매우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고 바울을 대신해 어린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 그에게 상당한 증압감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그렇기에 바울은 디모데로 하여금 이단의 진리에 대항하여 복음을 증거할 것을 권하고 있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을 명하여 다른 교훈을 가르치지 말며’, 3-4절은 ‘히나’ 가정법 구문이다. 명하여로 번역된 ‘파랑게일레스’는 ‘파라’와 ‘앙겔로’의 합성어이다. ‘파라’는 ‘~으로부터. ~곁에’라는 의미이고 ‘앙겔로’는 '소식을 가져오다’라는 의미의 동사이다. 문자적으로 ‘어떤 사람에게서 받은 메시지를 다른 사람에게 그대로 전하다’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권위자로부터 명령을 하달받아 지시하는 의미를 지닌다. 그렇다면 본문의 ‘어떤 사람들’은 누구인가? 이들은 20절에 언급된 후메내오와 알렉산더를 연상시킨다. 이들은 거짓된 가르침을 전하거나 이를 따르는 모든 이들을 포함한다. 결국 이들은 7절에서 말하는 대로 율법의 선생이 되려하지만 복음이 아니라 다른 교훈을 가르치는 자들이다. 
‘다른 교훈을 가르치지’로 번역된 ‘헤테로디다스칼레오’는 본절과 딤전 6:3에서만 등장하는 표현이다. 이는 ‘가르치다, 지도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디다스코’와 ‘다른, 또하나의, 이종의’라는 의미의 ‘헤테로스’의 합성어로 ‘허용된 표준과 상반되게 교리를 가르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디다케’는 ‘가르침, 교훈’이라는 의미이다. 
이 표현은 바울이 에베소에 들어온 거짓 교사들을 지칭하기 위해 만든 신조어일 가능성이 크다. 
 
* 거짓 교사들의 거짓 가르침
1:3 다른 교훈을 가르침
1:4 신화와 끝없는 족보에 몰두하게 함
1:6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과 짓이 없는 믿음에서 벗어남
1:6 헛된 말에 빠짐
1:7 자신의 말이나 자기가 확증하는 것도 깨닫지 못함
1:10 바른 교훈을 거스르는 일을 행함
1:19 그 믿음에 관하여 파선함
1:20 신성을 모독함
4:1 믿음에서 떠남
4:1 미혹하는 영과 귀신의 가르침을 따름
4:2 양심이 화인을 맞아 외식하고 거짓말함
4:7 망령되고 허탄한 신화를 끝없이 추구함
5:15 사탄에게 돌아감
5:20 계속 죄를 지음
6:10 믿음에서 떠남
6:20 망령되고 헛된 말과 거짓된 지식의 반론
6:21 믿음에서 벗어남
 
The historical scenario alluded to requires a situation in which Timothy has either already been dispatched on his own to Ephesus (from somewhere else on duty either with Paul or with others),11 or in which Paul left him there as he himself went on to Macedonia.12 The ambiguity of their relative locations here is similar to the command to Titus concerning Crete (cf. Titus 1:5). And any attempt to locate the place in Paul’s travels in which this assignment most likely occurred remains provisional.13 Barring the theory of a release from Roman imprisonment (cf. Introduction B.1.a), the sequence of Paul’s and his coworker’s movements reported in and around Acts 20:1–3 is perhaps most promising. At this point,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Ephesian and ongoing Corinthian stages of Paul’s work, Paul is reported to have left Ephesus for Macedonia (Acts 20:1) after which he arrived in Greece and stayed for three months (20:2). Timothy’s location is not stated at this juncture, though in 19:22 Luke reports that he had been dispatched to Macedonia. If Timothy had returned, or was redirected by Paul back to Ephesus, the scenario assumed by the language of 1 Tim 1:3 of “remaining” on assignment in Ephesus just becomes a possibility during that brief period. After the brief stay in Greece, Paul then makes his way back to Asia Minor via Macedonia, and Timothy is reported to have accompanied Paul from Greece to Troas at this point, all of which assumes that Timothy again left Ephesus in order to return to Paul. As Johnson points out, “the window of opportunity for 1 Timothy” presented by the account of Acts is not substantial.14 But Paul’s frequent travels back and forth between Asia Minor, Achaia and Macedonia and his practice of dispatching delegates to churches are clear from his letters, so the kind of assignment envisioned here is not at all unlikely. If neither Acts nor Paul’s letters allow certainty in the question of the timing of such an assignment of personnel, the incompleteness of each source must also be recognized. We will assume that 1 Timothy addresses Timothy in his work at Ephesus some time during Paul’s active pre-imprisonment ministry in these regions.15
Timothy’s reason for staying in Ephesus emerges in the purpose clause (hina) that begins here and continues into the next verse. It is chiefly to confront the false teachers. First, the term, “command”16 (4:11; 5:7; 6:13, 17) belongs to the technical vocabulary of didactic and corrective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apostolic mission and teaching within the church (see discussions 4:11; Titus 1:9, 13; 2:1; 15). The term implies the delegate’s authority to issue commands in behalf of Paul17 (the content of which follows) and equally that those being thus commanded are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is authority. This means that those referred to indirectly as “certain persons”18 most likely to demean them before the whole community, were members of the church and therefore accountable to Paul.19
The content of the command is expressed negatively as a prohibition by means of two parallel infinitive verbs. The first of these prohibits the activity of “teaching what is false,” before continuing to prohibit the useless speculation that lies behind and fuels the activity itself. The verb, “to teach what is false,” is rare, occurring in the NT only in this letter (6:3).20 The allegation closely parallels one made in Gal 1:6 (cf. 2 Cor 11:4), where opponents are identified with the same indirect demeaning tag (“some people,” Gal 1:7; cf. 2 Cor 10:2). Paul’s main concern at this point is less with the teaching style or methods of the opponents (i.e. some sort of speculation and perhaps argumentation, though elsewhere this too is specifically denounced; 6:4; 2 Tim 2:14; Titus 3:9),21 and mainly with the substandard content that is being taught. The choice of this devaluative verb sets the stage for the series of contrasts that will extol and endorse the apostolic gospel as the standard (“the gospel,” “the sound teaching,” “the sound words of our Lord,” etc.) and deprecate the message of the opponents as a counterfeit.
11 Variously, Simpson, 27.
12 See Dibelius and Conzelmann, 15; Fee, 39.
13 See Introduction B.1.
14 Johnson, 137.
15 The argument mounted by proponents of pseudonymity to the effect that the apostle’s “leaving behind” of coworkers (expressed differently in 1 Tim 1:3 and Titus 1:5), in contrast to the genuine Paul’s practice of first planting churches, then “sending” coworkers to further the work (e.g. 1 Cor 4:17; 16:10; 2 Cor 2:4–7), is a literary device that reveals the post-apostolic situation of thes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especially, Trummer, Paulustradition, 124; Wolter, Paulustradition, 180–84; see also discussion in Marshall, 364). While the Pauline strategy adduced from his letters to churches seems clear, the interpretation of 1 Tim 1:3 and Titus 1:5 on the basis of some sort of comparison with other letters to churches is obviously wholly dependent upon prior assumptions about the non-historical and inauthentic character of the letters. If one considers for a moment the possibility that these are in fact two of the only three letters (of the extant Pauline collection) that Paul addressed to individual coworkers (with the wider audience of the churches anticipated), and that Timothy and Titus were already in place as 1 Tim 1:3 and Titus 1:5 suggest (thus explaining the past tense), one has to ask how else Paul would have described their appointments that were in fact already in effect. The function of the instructions to Timothy and Titus not only reminded the coworkers of their task, but also the communities of the coworkers’ authority as apostolic delegates.
16 Gk παραγγέλλω; the term is used frequently of Paul’s authoritative teaching in the churches (1 Cor 7:10; 11:17; 1 Thess 4:11; 2 Thess 3:4, 6, 10, 12 (W. Radl, EDNT 3:16–17; Lips, Glaube, 130–31; Marshall, 364; Roloff, 63) and belongs to the didactic vocabulary by which this ministry is described.
17 Although Marshall, 364, makes the point that Timothy here is called on “to carry out the task of a church leader,” there seems little reason to think that the coworker has ceased to function in his capacity as an apostolic delegate, despite the fact that he is here ministering within a particular church.
18 Gk τινες (the plural indefinite pronoun from τις); this technique is intentional (1:6, 19; 4:1; 5:15, 24; 6:10; 21; 2 Tim 2:18), found also elsewhere in the Pauline letters (Rom 3:8; 1 Cor 4:18; 5:1; 2 Cor 3:1; 10:2; Gal 1:7; 2:12; Phil 1:15; see also Heb 10:25; Ignatius, Eph. 7:1; 9:1; 1 Clement 1:1), and in the letters to Timothy is used specifically for the opponents. See further Johnson, 162; Roloff, 71; Marshall, 365.
19 See Fee, 40, who suggests erring elders are specifically in mind; Towner, Goal, 24–27.
20 Gk ἑτεροδιδασκαλέω; see also Ignatius, To Polycarp 3.1. The term, and other hetero-combinations, occur more frequently in the Fathers, but first-century (and earlier) use of such compounds is also evident (Josephus, Antiquities 10.281; Jewish War, 2.129; Plato, Theaetetus 190E). For the combination of ἑτερο- (“different”) with other verbs to form similar compounds, see 1 Cor 14:21; 2 Cor 6:14.
21 As with the technical term, “the teaching” (διδασκαλία), as it occurs in these letters, either the activity or the content of “teaching” may be in view (cf. Lips, Glaube, 39, n. 39; Towner, Goal, 26–27).
 Philip H.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106–109.
 
4절) 바울이 디모데를 에베소에 머물라고 한 이유는 거짓 선생들로 하여금 다른 교훈’을 가르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또한 신화와 끝없는 족보에 물두하지 말게 하려함이었다.
‘신화와 끝없는 족보’, ‘신화’로 번역된 ‘뮈도스’는 ‘비밀을 전수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뮈에오’의 명사형으로 ‘비밀스럽게 전해지는 이야기’(벧후 1:16)를 의미하는데 신약에서 5번 사용된다. 여기에서 파생된 단어가 ‘myth, 신화, 전설’이라는 단어이다. 당시 그리스-로마 신화와 같은 신화나 전설이 유행했다. 이런 형태의 영지주이적 이단, 유대주의적 이단의 가르침을 포괄한다고 볼 수 있다. 딛 1:14에서도 ‘유대인의 허탄한 이야기’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
 
 ‘족보’로 번역된 ‘게네알로기아’는 ‘일어나다, 발생하다’라는 의미의 ‘기노마이’와 ‘말하다, 이야기하다’라는 의미의 ‘레고’의 합성어로 ‘조상과 가족력에 대한 연구나 조사’를 의미한다. 바울 당시 고대로부터 랍비들이 꾸며 만든 이야기를 늘어놓기 좋아하는 이들이 있었다. ‘끝없는’은 ‘아페란토이스’로 부정접두어 ‘아’와 ‘관통하다, 끝내다’라는 의미의 ‘페라이노’의 합성어로 ‘끝없이 계속되다’라는 의미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끝없는 족보를 ‘유대인의 쥬빌리서’라는 외경으로 본다. ‘소창세리’라고 불리는 이 책은 수많은 분량의 조상일람표가 확대 과장되어 있고, 여인들의 이름이 날조 삽입되어 있으며, 알레고리적이고 부가적으로 날조된 이야기가 가득 들어차있다. 당시 말하기 좋아하는 거짓 선생들은 이러한 이야기를 하기를 좋아했고, 이러한 거짓 가르침들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빼앗아 복음안에서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을 방해했다. 
 
‘몰두하지 말게’, 이는 헬라어로 ‘메데 프로세케인’이라는 표현으로 ‘메데’는 부정을 의미하는 접속사, 부사이며 ‘프로세케인’은 ‘~을 향하여, ~ 가까이에, ~함께’라는 의미의 ‘프로스’와 ‘가지다’라는 의미의 동사 ‘에코’의 합성어로 ‘주의하다. 조심하다, 좇다, 청종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사람들은 이처럼 거짓 가르침에 귀 기울이고 마음을 빼앗기기가 쉽다. 
 
‘하나님의 경륜을 이룸보다 도리어 변론을 내는 것이라’, 신화와 끝없는 족보가 주는 악영향은 바로 하나님의 경륜을 이루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변론을 내기 때문이다. 
‘경륜’을 의미하는 ‘오이코노미안’의 원형 ‘오이코노미아’는 ‘집’을 의미하는 ‘오이코스’와 ‘법, 규칙’을 의미하는 ‘노모스’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는 ‘집의 규범’이라는 의미로 이것이 확대되어 직분(눅 16:4), 청지기직(눅 16:3)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문자적으로 볼때 하나님의 경륜은 ‘하나님의 집의 규범, 경영’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에베소서에서 바울은 이 단어를 통해서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한다. 결국 신화와 끝없는 족보에 몰두하는 것은 불필요한 논쟁들만 양산할 뿐이고 하나님의 구원을 이루는 청지기직을 수행하지 못하게 한다는 것이다. 
 
‘변론’으로 번역된 ‘엑제테시스’는 ‘변론’이라는 의미를 지닌 ‘제테시스’에 강조를 나타내는 ‘에크’라는 접두어가 결합된 것으로 매우 격렬한 논쟁을 의미한다. 이는 신화와 끝없는 족보는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시대의 신화와 끝없는 족보는 무엇인가? 과거 그리스 로마 신화나 성경의 족보들, 기원을 설명하는 여러 이야기들이 사람들의 마음을 빼앗고 하나님의 경륜, 구원계획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이야기들이었다면 이 시대의 신화는 성공의 신화, 물질, 맘몬의 신화, 자본주의의 신화들이다. 이들이 추구하는 족보는 스펙과 학력을 추구하는 모습들이다. 어느 라인에 자신들의 이름을 올리고 그것을 토대로 더 높은 곳에 올라가려는 이 시대의 모든 노력들이 바로 신화와 족보이다. 
 
This phrase24 is problematic and resists precise interpretation. Nevertheless, there are certain precedents that allow us to close in on Paul’s sense. The term “myth”25 has a long history of use prior to the NT, through which it comes to mean a fable or far-fetched story often about the gods; most importantly, it can stand as a category meaning essentially falsehood.26 Here the term is in the plural, as throughout the NT, which contains a negative evaluative assessment in itself (namely, spurious, contradictory, human) in contrast to the divinely imbued singularity and unity of the gospel.27 Paul employs the plural term to label the teaching emphatically as falsehood. But the history of the term’s use goes another step: Plato, for one, used the term to denounce certain stories not simply as false but also deceptive, in that they were told so as to lend credence to immoral behavior or practices by linking them to ancient stories about the gods.28 The apparent link between certain extreme ascetic aspects of behavior and the false doctrines in Ephesus (1 Tim 4:1–3; cf. discussion at Titus 1:14–15) suggests that Paul also drew on this nuance of the term’s polemical use. Thus rather than identifying the content of the teaching, the term “myths” evaluates it as false and pernicious.
“Genealogies,” however, with the help of other contextual clues, takes us in the direction of actual content. This term also has a long history of use, describing lists of family names (family trees), an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m, that served various purposes.29 Within Judaism, genealogies played the key role of establishing a person’s bloodline and link to a particular family and tribe: rights by birth determined in this way allowed, for example, entrance into the priesthood. As use in Philo demonstrates, the term could refer to the accounts of people in the early parts of Genesis.30 This usage especially opens up the possibility that Paul is identifying the practice among the false teachers of speculating on stories about the early biblical characters as well as actual genealogical lists such as occur there or in other more speculative non-canonical Jewish writings (e.g. Jubilees). Speculation fitting roughly into this category was known to have been practiced in Jewish communities,31 and the reference in 1:7 to the opponents’ aspirations to be “teachers of the law” helps to locate the sources of this practice within the repository of Jewish literature (cf. Titus 1:14 and the reference to “Jewish myths”).32
The adjective “endless” attached to “genealogies” might have been a literal reference to long drawn out speculations, or may be meant in the sense of “pointless,” “contradictory” or “inconclusive.”33 Its force is clearly polemical, meant to discredit the protracted arguments that go nowhere.
We can go little beyond deducing that these early stories were somehow mined for (or reshaped to yield) clues they contained about the deeper sort of piety the false teachers laid claim to.34 Nevertheless, it is clear that Paul regarded this teaching as deceptive and dangerous. Quite possibly the extreme practices alluded to in 4:1–3 (see discussion) were grounded in this speculative interpretation of Israel’s early history, all of which was being served up in the guise of authoritative doctrine (1:7).
In the next phrase, Paul supplies an important reason35 why Timothy is to prohibit this false teaching. It consists of a contrast between the wheel-spinning futility of the deceptive speculation and the direction of God’s mission. The first half of this reason is clear: the obsession with myths and genealogies “promotes controversial speculations.” The verb36 is neutral and also governs the positive side of the contrast to come. But the term that follows, “controversial [or useless]speculations,”37 is one of several that belongs to Paul’s polemical repertoire in these three letters to coworkers drawn on to discredit the opposing doctrines and behavior as being everything from foolish nonsense to disputatious and pernicious.38 It is clearly these latter characteristics and their danger to the church that most concern Paul as he writes (6:3–4).
In contrast,39 it is implied that correct and authoritative teaching will promote “God’s work.” However, the TNIV translation is questionable. The Greek term is oikonomia theou.40 It is translated in various ways in the versions: “the divine training”41 (NRSV); “God’s plan for us” (REB; cf. TEV); “God’s work” (TNIV; NIV); and there are numerous other variations.
Of these attempts to render the term, the first is unlikely. Most who propose the meaning “God’s plan” narrow the focus to salvation, and draw on the use of the term oikonomia in expanded phrases especially in Ephesians 1:10 and 3:9 (cf. 3:2).42 While this can be made to fit the present context, more or less,43 it is perhaps a better fit in Ephesians.
The TNIV rendering, “God’s work,” might mean a couple of things, such as what God himself does, or what the church (empowered and led by God) is to do for God. In any case, the focus in this translation is on “work” (mission work, church work, gospel work) and it is again possible to see this as an apt counterpart to the speculations promoted by false teaching.
This menu of options suggests a continuing state of uncertainty. Johnson and Marshall have suggested that the key to interpreting oikonomia here lies in the household terminology, which Paul employed elsewhere and which is thematic in 1 Timothy. To begin with, oikonomia refers to the organization and ordering of a household or the responsibility of management that maintains the order. This is how Paul describes his mission to the Gentiles in 1 Cor 9:17: that is, he understands himself to have been entrusted with management of a household (presumably God’s; cf. 1 Cor 4:1). The description of his ministry in Col 1:25 follows the same line: “I have become a minister according to the responsibility to manage God’s house [oikonomia tou theou] that was given to me.” Within 1 Timothy household language links several things together into a whole pattern. Leaving 1:4 aside for the moment, in 3:15 the church is depicted as “God’s house” (oikos theou; cf. 2 Tim 2:20–21), and by derivation, overseers are to understand their task in terms of a stewardship (see 3:4–5; in Titus 1:7 the term oikonomos theou [“God’s steward”] is used).
This brings us back to the phrase oikonomia theou in 1:4. Surely it is correct to define the concept within the sphere of household management and duties from which the language emerged. At this point, we note the slight difference in the final results of Johnson and Marshall. Marshall focuses on the activity of management, which leads him to interpret the contrasting image as follows: “rather than [promoting] the performance of the duties of stewardship” (associated with God’s house).44 The duties envisioned include all those to be done by the leaders of the church.
Johnson, however, emphasizes the idea of order: “God’s way of ordering things.” He interprets Paul as contrasting the speculations of the false teachers, which produce disruption and a flawed understanding of behavior and of God’s will, with “faithful attention to” God’s way of ordering his creation. The teaching then that Paul will give the church concerning everything from prayer to women in the church, to elders and widows, and behavior in the household and leadership is all designed to explicate “God’s way of ordering things.” This “ordering” of church and society, two entities or spheres that Johnson rightly sees as continuous and equally “ordered” by God, has been misapprehended by the opponents. In any case, the essential starting point for Johnson is Paul’s setting of the whole letter under the rubric of the ordering of life by God. Paul’s point is then that “by faith,” that is, through acceptance of the correct apostolic preaching and teaching, this divine arrangement can be apprehended and implemented.45
In the absence in 1:4 of a direct statement by Paul to the effect that the oikonomia theou is that which has been entrusted or given to Paul (emphasizing specifically stewardship, responsibility and the activity of management; 1 Cor 9:17; Eph 3:2; Col 1:25), it seems best in this case to increase the emphasis on the pattern and order that is to be implemented. That is, the first thought is not of administration as ministry and responsibility, but of the shape of things and the ordering of life to be achieved through the various activities of ministry and service.
The attached comment about faith adds a crucial condi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divine pattern.46 Although it is rendered instrumentally by the TNIV: “which is by faith.” It may denote somewhat more broadly the sense of sphere: “in faith.” In either case, it says something more about “the way God has organized life.” To be “in faith” is to be in the sphere of authentic faith (see note on 1:2), and its attachment to the preceding phrase here will encompass the apprehension of God’s ways and patterns as well as any actions taken to implement them. The point Paul makes, however, is polemical. It is genuine faith, namely, that faith associated with his gospel, which has access to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will of God. The fundamental condition for understanding the way God has organized life (his oikonomia), and for carrying out the activities in the community and world that bring them into alignment, is adherence to genuine faith. As he is about to say, it is Timothy’s task of teaching what is true and correcting what is false that will give insight into the oikonomia of God.
24 For the whole phrase, μύθοις καὶ γενεαλογίαις ἀπεράντοις (“myths and endless genealogies”), cf. Polybius, Histories 9.2.1; Plato, Timaeus 22A, which show the linkage of these two terms to be traditional.
25 Gk μύθος; in the NT always in the plural (4:7; 2 Tim 4:4; Titus 1:14; 2 Pet 1:16; see also Sir 20:19; 2 Clement 13:3; cf. Bar 3:23; Ignatius, Magn. 8.1).
26 See e.g. Plato, Republic 376D–377A; Epictetus, Diss. 3.24.18 (also with the verb προσέχω); on the whole matter, see. Spicq, TLNT 2:528–33; G. Stählin, TDNT 4:762–95; F. F. Bruce, NIDNTT 2:643–47; Johnson, 162–63; Marshall, 206; Dibelius and Conzelmann, 16–17.
27 Cf. the plural descriptions “teachings of demons” (4:1; cf. the plural formulations in 6:20; 2 Tim 2:16; Titus 1:11, 14). References to the gospel or the teaching (in various terms) are consistently in the singular.
28 E.g. Plato, Laws 636C–D; 12.941B (ὑπό τινων μυθολόγων πλημμελῶν; “being led astray by certain tellers of myths”); Republic, 376E–383C; see also Quinn, 245; Marshall, 206.
29 Gk γενεαλογία; for the noun, as here, see Plato, Crat. 396C; Josephus, Antiquities 11.71; for the verb (to trace one’s ancestry”), see Herodotus 2.146; Plato, Timaeus 23B.
30 Philo, Life of Moses 2.47 (and Colson’s note in Loeb, VI, 606, which argues for the association of the term with persons in history as against impersonal aspects of history); see further Quinn, 245; Marshall, 335–36; Spicq, 93–104; F. Büchsel, TDNT 1:663–65; Schlarb, Die gesunde Lehre, 86–90;
31 E.g. 1QapGen; Pseudo-Philo; see also Schlarb, Die gesunde Lehre, 86–92; G. Kittel, “Genealogia des Pastoralbriefe,” ZNW 20 (1921) 49–69; Quinn, 245–46; Marshall, 335.
32 See Schlarb, Die gesunde Lehre, 83–93.
33 Gk ἀπέραντος; only here in the NT (in positive descriptions see LXX Job 36:26; 3 Macc 2:9); in a similar derogatory sense, see Philo, Cong. 53; Spicq, TLNT 1:159; Marshall, 366; Fee, 42.
34 Arguments to the effect that the false teachers were tampering with the lineage of Jesus (as given in Matthew; B. T. Viviano, “The Genre of Matt. 1–2: Light from 1 Tim. 1:4,” RB 97 [1990] 31–53) or sought by study of their own genealogies to place themselves well with Judaism (Schlatter, 34–35), or that Christ’s ancestry was being challenged to some end by them (so Quinn, 245–46, chiefly in reference to Titus 3:9) have little to commend them. Corroborating evidence is also lacking for the once popular (yet still influential) view that “myths and genealogies” (especially the latter term) refers to the systems of Gnostic emanations or aeons, documented only after the first century, that made some use of the biblical genealogies (see e.g. Irenaeus, AH 1 Praef; 1.30.9; Easton, 112–113; Dibelius and Conzelmann, 16–17; G. Haufe, “Gnostische Irrlehre und ihre Abwehr in den Pastoralbriefen,” in K.-W. Tröger (ed.), Gnosis und NT (Gütersloh: Mohn, 1973) 325–39 (see discussion in Towner, Goal, 28; Marshall, 336, 366; Johnson, 163); and most recently see Oberlinner, 14.
35 The indefinite relative, αἵτινες, refers to the preceding “myths and genealogies” (taking its gender from the feminine γενεαλογίαις) intending to categorize them by the result they produce (“of a kind which”; see BDF §293.2).
36 Gk παρέχω; 6:17; Titus 2:7.
37 Gk ἐκζήτησις; the variant, ζητήσεις, meaning “disputes,” appears in a majority of the mss. (see discussion in Metzger, 571; Elliott, 18; Marshall, 362), and it is indeed a word that Paul uses in each of these three letters (1 Tim 6:4; 2 Tim 2:23; Titus 3:9; cf. verb in 2 Tim 1:17), while ἐκζητήσεις (“speculations, investigations”) is extremely rare, limited to this instance in the NT and LXX (Johnson, 163, refers to 2 Kgs 4:11, but this appears to be in error) and infrequent in secular Greek (the related verb is common), the harder reading (“speculations”) is more likely the original, having been corrected to (“disputes”) to accord with what was thought to be the author’s vocabulary. Marshall, 362, suggests that ἐκζήτησις (“speculation”) may include the thought of disputation.
38 See the discussions of language at 2 Tim 2:23; Titus 3:9; see also Towner, Goal, 24–25; Schlarb, Die Gesunde Lehre, 59–73; Marshall, 334–35.
39 The combination μᾶλλον ἤ (2 Tim 3:4; Gal 4:27; Acts 4:19; 5:29) means “rather than.”
TNIV Today’s New International Version
40 Gk οἰκονομία θεοῦ (Col 1:25; Eph 3:2).
41 See also Dibelius and Conzelmann, 17–18; Hanson, 57; Oberlinner, 14–15, for the sense “the training which leads to salvation.” This sense of the phrase is attested much later in Clement of Alexandria.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REB Revised English Version
TEV Today’s English Version
TNIV Today’s New International Versi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42 See Kelly, 45; Fee, 42; Arichea-Hatton, 17; Brox, 103.
43 But see Roloff, 65 and Marshall, 367, who maintain that within the contrast, “God’s plan of salvation” is an inapt counterpart to “useless speculations”; however, this may overstress the precision intended.
TNIV Today’s New International Version
44 Marshall, 367. See Knight, 75–76, for the combination of this with the idea of God’s salvation plan: “the outworking, administration or stewardship of God’s plan of salvation through the gospel and its communication.”
45 This use of the term oikonomia seems closest to its use in Eph 1:10 (3:9) for God’s all encompassing plan. There, too, where a Christological perspective is of course dominant, oikonomia must be understood to refer not just to “salvation plan,” but rathe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ivine ordering of things/life/creation through the Christ event (i.e. of “salvation plan” in its widest sense).
46 The Greek phrase, τὴν ἐν πίστει, is an example of the attachment of a qualification to an anarthrous noun (οἰκονομίαν) by following it with the article and the qualifying phrase (see also 1:14; 3:13; 4:8; 6:3; 2 Tim 1:13, 2:10; 3:15; Titus 1:1); it makes the qualification somewhat emphatic (Marshall, 368); see further BDF §269.3.
TNIV Today’s New International Version
 Philip H.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109–114.
 
The Charge to Deal with False Teachers. At least one of Timothy’s purposes in Ephesus was to deal with false teaching that was troubling the church. Not enough information is given to determine exactly what the false teaching was. The concern here is not so much the identity of the false teachers but their effect, which was in direct contrast to the goal of apostolic instruction. The results of false teaching were “speculations” (v. 4) and “vain discussion” (v. 6) while the result of true teaching is “love” coming from “a pure heart and a good conscience and a sincere faith” (v. 5). The focus of false teaching led to “swerving” and wandering (v. 6) while the focus of true teaching was a steadfast “aim” (v. 5). And regarding the law, the advocates of false teaching were “without understanding” (v. 7) while the advocates of true teaching had correct knowledge (vv. 8–11).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25.
 
 
728x90
Paul, aan apostle of Christ Jesus bby command of cGod our Savior and of Christ Jesus dour hope,
To Timothy, emy true child in the faith:
fGrace, mercy, and peace from God the Father and Christ Jesus our Lord.
a See 2 Cor. 1:1
b Titus 1:3; [Rom. 16:26]
c See Luke 1:47
d Col. 1:27
e Titus 1:4
f 2 Tim. 1:2; 2 John 3; [Jude 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전 1:1–2.
 
디모데전서 1:1–2
1우리 구주 하나님과 우리의 소망이신 그리스도 예수의 명령을 따라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 된 바울은
2믿음 안에서 참 아들 된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본 1-2절은 바울의 인사말이다.  이 인사말에서 바울은 자신의 사도성을 변증하고 믿음의 아들 디모데에게 하나님과 주 예수의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있기를 구한다. 이 서신은 바울이 디모데에게 쓴 개인적인 서신이지만 에베소 교회의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는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1절) 바울은 자발적으로, 자의적으로 사도가 된 것이 아니다. 그는 ‘우리 구주 하나님과 우리의 소망이신 그리스도 예수의 명령을 따라’ 사도가 되었다. 1:7을 보면 에베소 교회에는 율법의 선생이 되려하는 이들이 있었다. 하지만 바울은 자신이 사도가 된 것이 하나님과 예수님의 명령에 의한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본문에서 ‘우리 구주 하나님’이라는 표현은 신약에 6번(딤전 1:1, 2:3, 딛 1:3, 2:10, 3:4, 유 25) 등장한다.  본문에서 ‘우리 구주, our savior”라는 표현은 하나님께 주로 사용되지만 예수님을 언급할 때도 사용된다(딤후 1:10, 딛 1:4; 3:6).
본문의 ‘구주, savior’라는 표현은 헬라어 ‘소테르’로 구세주, 구원자라는 의미이다. 이는 위험이나 폭력으로부터 무언가를 구원하는 사람, 특히 백성의 죄와 그로 인한 심판의 위험으로부터 구원하는 사람으로 그리스도에게 사용된 독특한 표현이다. 이는 신약에서 총 24번 사용되었다. 이것의 동사형은 ‘소조’이고 명사형으로 ‘소테리아’는 구원이라는 의미이다. ‘소테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예샤, 예수아, 메시야’등이 있다.  
 
σωτήρ -ος, ὁ; (sōtēr), 명사. 구주, 구원자. 히브리어 등가: יֵ֫שַׁע (10), יְשׁוּעָה (4), מוֹשִׁיעַ (4).
명사 용법
1. 구세주 — 어떤 것을 위험이나 폭력으로 구하는 사람; 특별히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와 그로 인한 심판의 위험에서 건진 이인 그리스도에게 특별히 사용된다. 관련 주제: 구세주; 구하다, 저장하다.
딛 1:3 ὃ ἐπιστεύθην ἐγὼ κατʼ ἐπιταγὴν τοῦ σωτῆρος
딛 2:13 θεοῦ καὶ σωτῆρος ἡμῶν
딛 3:4 ἐπεφάνη τοῦ σωτῆρος ἡμῶν
벧후 1:1 ἡμῶν καὶ σωτῆρος Ἰησοῦ
유 25 σωτῆρι ἡμῶν διὰ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τοῦ κυρίου
칠십인역 참조 구절
삿 3:9; 삿 3:15; 시 23:5; 시 24:5; 시 26:9; 시 61:3; 미 7:7; 합 3:18; 사 12:2; 사 17:10; 사 45:21
명사. 명사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우리의 소망이신 그리스도 예수’,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의, 인류의 소망이시다(골 1:27; 딛 2;13; 히 6:18-19; 요일 3:3). 이는 막연한 낙관론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이루시겠다라고 약속하신 것에 대한 기대, 확신에 근거한다. 우리를 둘러싼 도전적인 삶의 정황과 그리스도인의 삶은 이러한 소망을 요구한다(딤전 4:10; 5:5; 6:17). 
소망(hope)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엘피스’로 희망의 대상, 근거, 느낌을 의미한다. 
 
our Savior. Often refers to God (see 1 Tim 1:1 and note), but Christ Jesus fills the same role (Titus 1:4; 3:6).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79.
 
apostle. Paul did not volunteer to be an apostle; the Father and Son commanded it. God our Savior. Occurs five times in the OT and six times in the NT, mainly in the Pastoral Letters (2:3; Titus 1:3; 2:10; 3:4; Jude 25). In both the OT and NT, God is a protector and rescuer. For Christ as Savior, see 2 Tim 1:10 and note. Paul represents not only primarily himself in what he writes but also Christ Jesus. our hope. Jesus Christ (Col 1:27; Titus 2:13; Heb 6:18–19; 1 John 3:3). hope. Not vague optimism but assured expectation of what God will do. Challenging ministry settings and Christian living generally call for such “hope” (cf. 1 Tim 4:10; 5:5; 6:17), one of three great aspects of the saving knowledge of God (cf. 1 Cor 13:13).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68.
 
 
본문의 명령(command)는 헬라어로 ‘에피타게’로 ‘명령, 권위’를 의미한다. 이는 구두나 서면을 통해서 어떤 것을 하도록 하는 권위있는 명령이나 가르침을 의미한다. 이는 ‘타쏘’라는 동사 어근에서 파생된 것으로 이는 정하다라는 의미이다. 여기에서 파생된 단어로 ‘아탁토스’는 무질서하게라는 의미이다. 에피타게는 총 7번 사용되었는데 6번은 명령이라는 의미로, 1번은 권위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롬 16:26; 고전 7:6. 7:25; 고후 8:8; 딤전 1:1; 딛 1:3, 2:15). 
 
 
바울은 1절을 통해서 자신의 사도성의 근원이 하나님과 예수님께 있음을 강하게 밝히고 있다. 우리의 구원자이시며 우리의 소망되시는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께서 자신을 부르셔서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가 되도록 부르신 것이다. 이처럼 바울이 자신의 사도권이 하나님과 그리스도께 있음을 강조한 바울의 인사는 갈 1:1에 등장한다. 바울은 사도성에 도전을 받는 상황에서 자신이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임을 강력하게 증거하고 있다. 바울은 여기서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자신이 다메섹 도상에서 주님의 부르심을 직접 받은 것을 생각했을 것이다(행 9:15; 갈 1:11-15)). 사도는 ‘아포스톨로스’로 보냄을 받은자라는 의미이다. 신약에서 사도는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부르심을 받아 그를 대신하여 말하는 권위를 입은 사람을 의미한다. 결국 사도는 자신을 부르신 자, 자신이 누구를 대신하여 어떤 메시지를 전하느냐가 중요하다. 
 
1절의 본문에서는 ‘그리스도 예수’라는 순서를 갖는다. 딤전에서 ‘그리스도 예수’는 12번, ‘예수 그리스도’는 2번 나온다. ‘그리스도 예수’라는 순서는 바울이 먼저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보고 나서 지상적 예수를 알게 되었다는 역사적 선후관계를 반영한다. 반면에 야고보, 베드로, 요한 또한 유다의 서신에서는 변함없이 ‘예수 그리스도’라고 나오는데(33회) 이는 그 저자들이 먼저 지상적 예수를 알았기 때문이다.(WBC 205) 
 
2절) ‘믿음안에서 참 아들 된 디모데’, 바울은 자신의 사도성을 주장한 후에 이제 이 편지의 수신자가 누구인지를 밝힌다. 그는 자신의 영적인 아들인 디모데(빌 2:2)로 에베소 교회의 지도자였다. 바울은 딤후 1:2에서는 디모데를 ‘사랑하는 자녀’라고 칭한다. 
참 아들, ‘그네시오 테크노’ 본문의 ‘그네시오’는 참된, 진심어린이라는 의미로 본래 혼인으로 태어난 적법한 자녀를 지칭한다. 자녀를 믜미하는 ‘테크논’는 영적 자녀에 대한 흔한 지칭으로 바울에 의해서 디모데가 복음을 듣고 개종하였기 때문이다.
 
 
디모데는 믿음안에서 바울의 참 아들이다. 바울은 이 표현을 통해서 에베소 교회의 성도들로 하여금 디모데의 권위에 순종하고 그의 가르침에 귀 기울일 것을 이야기 하고 있다. 왜냐하면 디모데는 바울의 참된 영적인 아들로 다른 거짓 선생이나 대적저들과는 다르게 그리스도의 복음에 충실한 바울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바울이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이기에 그에게서 가르침을 받은 디모데의 권위 또한 인정받기에 충분하다.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앞서 발신자와 수신자를 밝힌 후에 바울은 이제 축복의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바울은 자신의 여러 서신들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함께 언급한다(롬 1:7; 고전 1:3; 고후 1:2; 엡 1:1; 살후 1:2). 성부는 근원이시며 성자는 대행자이시다. 
유다서 25
25곧 우리 구주 홀로 하나이신 하나님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광과 위엄과 권력과 권세가 영원 전부터 이제와 영원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바울의 서신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는 밀접하게 연합되어서 양자 모두 동일한 일을 수행하신다. 본 인사말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는 명령을 하시고, 구원자의 역할을 행하시고 축복을 선언하신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은혜(카리스)와 긍휼(엘레오스), 평강(에이레네)를 구한다. 
카리스(은혜)는 하나님의 그리스도안에서의 구원 사역을 한 단어로 요약하는 것으로 구원이 무가치한 죄인에게 베풀어진 값없는 선물임을 강조한다. 이는 바울의 신학에서 매우 중요한 표현으로, 신약에서 154회 사용되는데 100번이 바울서신에서 등장한다. 원래 이 표현은 종교적 함의가 없는 표현이었는데 구약에서 ‘헨’, 호의라는 의미로 사용된 것인데 바울은 이것을 사용하면서 구약의 ‘헨’보다는 ‘헤세드’(언약적 신실함)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엘레오스(긍휼)은 두 사람간의 관계에서 적절한 동정과 도움의 행위를 묘사한다. 고전 헬라어에서 긍휼은 불행하고 부당한 일이 어떤 사람에게 발생했을 때의 반응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긍휼을 요구할 수 없으며 그분은 자신의 뜻대로 긍휼을 자유롭게 주신다. 
ἔλεος -ου, ὁ; (eleos), 명사. 긍휼, 자비, 연민. 히브리어 등가: חֶ֫סֶד 2 (158).
명사 용법
1. 자비 — 권위가 있는 개인이나 기관을 통해 범법자에게 보여진 관대함과 연민. 관련 주제: 사랑; 동정; 연민; 자비; 자비심; 친절.
딤후 1:16 δῴη ἔλεος ὁ κύριος τῷ Ὀνησιφόρου οἴκῳ,
약 2:13 μὴ ποιήσαντι ἔλεος· κατακαυχᾶται
요이 3 ἔσται μεθʼ ἡμῶν χάρις ἔλεος εἰρήνη παρὰ
유 2 ἔλεος ὑμῖν καὶ εἰρήνη καὶ ἀγάπη πληθυνθείη.
유 21 προσδεχόμενοι τὸ ἔλεος τοῦ κυρίου ἡμῶν Ἰησοῦ
여러 용어 명사로 사용
1. 자비를 보이다 — 어떤 것 또는 누군가를 향해 관용과 연민을 표시하다.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ποιέω. 관련 주제: 사랑; 동정; 연민; 자비; 자비심; 친절.
눅 1:72 ποιῆσαι ἔλεος μετὰ τῶν πατέρων ἡμῶν
칠십인역 참조 구절
창 19:19; 창 24:12; 창 24:44; 창 24:49; 민 14:19; 삿 1:24; 삼상 15:6; 시 24:6; 시 50:3; 시 102:17; 호 6:6
명사. 명사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에이레네(평강)은 전쟁의 중지, 평화로운 관계를 의미하는데 구약에서는 ‘샬롬’으로 표현되어서 적대행위의 외적인 부재와 이어 하나님에 의해 주어지는 총체적 의미의 안녕을 묘사하는 것이다.
바울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서신의 인사말에서 은혜와 평강을 구한다(롬, 고전후, 갈, 엡, 빌, 살후, 몬). 본문에서는 ‘긍휼(엘레오스)’가 포함되어있다. 이에 대해서 크리소스톰은 디모데의 어려운 상황속에 이 긍휼이 더욱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Grace,” in Paul, is often a concept laden with theological meaning, and probably even in the customary framework of a letter opening it does more than simply satisfy the requirements of epistolary etiquette.36 Within its broad range of meaning, which includes “graciousness, good will, thanks, and loving care,”37 it is the LXX use of the term to express the idea of God’s favor shown to his people (in various contexts) that Paul has developed into his theology of salvation.38 In a way continuous with the nature of salvation, Paul thus asks that Timothy experience God’s favor.
“Mercy,” in the LXX, is the frequent translation of the dominant Hebrew term hesed that describes the lovingkindness of God that undergirds his covenant with Israel as Paul well understood.39 Within Paul’s letters, the insertion of “mercy” between “grace” and “peace” is unique to the greetings of the two letters to Timothy (2 Tim 1:2; 2 John 3; Jude 2), though in one place he does connect the thoughts of peace and mercy (Gal 6:16). If it is assumed that “grace and peace” is the “standard” Pauline greeting, then this threefold formula is of course unique.40 But that observation tells us nothing other than that Paul wished here to add the notion of “mercy” to his personal letters to Timothy. The fact that in each letter to Timothy “mercy” is developed into a significant theme within the opening discourses (1 Tim 1:13, 16; 2 Tim 1:16, 18) may explain the addition to the greeting in these two instances.41 Paul wishes for Timothy a deep sense of God’s sustaining protection.
“Peace,” in NT usage, also owes most to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in the Greek OT background. In reference to individuals or groups, it denotes harmony or tranquility within and without, the source of which is God and especially his salvation.42 As with “grace,” the importance of “peace” (both inward and outward) for the situation Timothy would be addressing in Ephesus would seem obvious; no less obvious was the need for the experience of God’s peace in the churches generally.
As is typical in Paul’s letters, God the father and Christ are named together as the source of the blessings just mentioned.43 The prepositional phrase, “from God [the] Father and Christ Jesus our Lord,” exactly replicated in 2 Tim 1:2, differs from the standard Pauline phrase in giving the order of the names as “Christ Jesus” and in moving “Lord” to the end of the sequence. Since Paul’s preference is to use the name “Jesus Christ” in connection with the “Lord” attribution,44 this may represent a divergence from the pattern (cf. 6:3, 14 where the pattern is maintained). One possible explanation for this deviation might be the dominance of the order “Christ Jesus” in the letters to Timothy.45 But attention to the pattern “Jesus Christ” in the two other combinations with “Lord” (6:3, 14) suggests that either the shift to “Christ Jesus” was influenced by the order of the names in the preceding verse, or it has resulted from the placement of “Lord” after the names (cf. Phil 3:8).
36 In Hellenistic letters the standard word of greeting is χαίρειν (1 Macc 10:18, 25; 11:30; 12:6; 12:20; 3 Macc 3:12; Letter of Aristeas 41; Diogenes Laertius, Lives of Emminent Philosophers 2.141.2; etc.; see also Johnson, 158) and it is likely that Paul’s choice of χάρις (shaped by its use with “peace” in Judaism) transposes the greeting into a pronouncement of blessing.
37 The usage of χάρις in these letter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Pauline letters (in greetings and benediction: 1 Tim 1:2; 6:21; 2 Tim 1:2; 4:22; Titus 1:4; 3:15; in statements about salvation or the Christ event: 1 Tim 1:14; 2 Tim 1:9; Titus 2:11; 3:7; and in a construction in which it means “thanks”: 1 Tim 1:12; 2 Tim 1:3 [cf. the use of χάρις with dative for “thanks to God” elsewhere in Paul: Rom 6:17; 7:25; 1 Cor 15:57; etc.]).
LXX Septuagint
38 Spicq, TLNT 3:500–506; H. Conzelmann, W. Zimmerli, TDNT 9:397–99; K. Berger, EDNT 3:457–60.
LXX Septuagint
39 Gk. ἔλεος (“mercy”; see Spicq, TLNT 1:471–79; Towner, “Mercy,” EDBT, 520–523; id., “Mercy/Compassion,” in New Dictionary of Biblical Theology, eds. T. D. Alexander, B. S. Rosner [Leicester: IVP, 2000], 660–63), in noun and verbal forms, is an important theme in these three letters: it forms the basis of salvation for Paul and others (1 Tim 1:13, 16; Titus 3:5) and describes other aspects of God’s gracious help and protection (2 Tim 1:16, 18). Cf. Rom 9:23; 11:31; 15:9; Gal 6:16; Eph 2:4.
40 For speculative explanations of the insertion of “mercy” as a departure from this standard, see Knight, 66 and Spicq, 318 (who link it to Jewish practice, Timothy’s Jewish background, and unique pressures to be faced by Timothy); Dibelius and Conzelmann, 14 and Kelly, 41 (who see it as a replacement for the usual “you” [pl.] of Pauline greetings).
41 Cf. Roloff, 55.
42 Gk. εἰρήνη; see Spicq, TLNT 1:424–38; G. von Rad, TDNT 2:400–417. Cf. Rom 15:33; 16:20; Phil 4:9; Col 3:15; 1 Thess 5:23; 2 Thess 3:16.
43 See Rom 1:7; 1 Cor 1:3; 2 Cor 1:2; Gal 1:3; Eph 1:2; Phil 1:2; 2 Thess 1:1; Phlm 3.
44 In 1 Timothy the order of names, “Christ Jesus,” occurs far more frequently (12x) than “Jesus Christ” (2x); however, the 2 minority occurrences (6:3, 14) each has the name in collocation with the phrase “our Lord” according to the overwhelming preponderance of instances of this collocation in earlier Pauline writings (40+ occurrences in which most have the order “our Lord Jesus Christ” [but see the order “Jesus Christ our Lord” in Rom 1:4; 5:21; 7:25; 1 Cor 1:9]); Paul’s only true variation from this pattern is Phil 3:8 (“Christ Jesus my Lord”); for the rest, the order “Christ Jesus” occurs with “our Lord” only when the name is governed by the preposition ἐν; Rom 6:23; 8:38; 1 Cor 4:17; 15:31; Eph 3:11; Col 2:6; in view of this, the configuration in 1 Tim 1:2 (2 Tim 1:2), which combines the order of names “Christ Jesus” with “our Lord” (Χριστοῦ Ἰησοῦ τοῦ κυρίου ἡμῶν), belongs to the anomalous category of Phil 3:8.
45 1 Timothy (12x to 2x for the reverse), 2 Timothy (12x to 1x); see Johnson, 158.
 Philip H.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102–103.
 
 
The Recipient (1:2a)
Timothy is Paul’s “true son in the faith.” The word for “true” (gnesios) is different from the more common one (alethes), which means true as opposed to false. The present word means “genuine” as opposed to illegitimate or fake. The word could be used of a child born within a legitimate marriage, and the implication in the figurative statement here refers to the quality of Timothy’s relationship to Paul. Paul had met this young man in Lystra; Acts 16:1 describes him as a “disciple,” with a Jewish mother and Gentile father. Second Timothy 1:5 refers to Timothy’s “sincere faith,” which “first lived” in his grandmother and mother, Lois and Eunice. From his infancy Timothy had known the Scriptures, through which he had come to “salvation through faith in Christ Jesus” (3:15).
This repeated terminology about faith and the identification of his believing mother provides a background for Paul’s reference to Timothy as his “true son in the faith.” Timothy’s mother provided the environment of Jewish faith in which he had grown up; Paul provided the nurture of his Christian faith. Since he is called a “disciple” at the outset of the Acts 16 narrative, he probably had become a Christian before Paul’s arrival, possibly through Paul’s earlier ministry in Lystra (Acts 14:8–20). Paul also had a part in the conferral of a spiritual endowment on Timothy (1 Tim. 4:14; 2 Tim. 1:6).
The other extant Pauline letters are to churches (and, at Philippi, to their leaders), not to individuals. Outside the Pastoral Letters only Philemon, which is clearly personal, is addressed to an individual. This fact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 early churches had a plural leadership and that Timothy and Titus are addressed individually only because they have a special mission as “apostolate delegates” (i.e., sent by the apostle as his authorized representatives). These letters are probably not only for their personal reading but function as public documents attesting the authority bestowed on these two delegates.
Kind Wishes (1:2b)
It was customary for letters in the first century to convey kind wishes for the continued well-being of the recipients. Paul uses some Christian terms for this purpose, but also uses common terminology with a Christian meaning. Here he expresses these thoughts with the words “grace, mercy and peace.” Those who spoke Greek would normally greet a friend with the word chaire. The word for “grace,” charis, has a similar sound.
Paul’s third greeting, eirene (from which we derive our word irenic), means “peace.” This word recalls the Hebrew greeting shalom, which connotes wholeness and well-being as well as peace.
In addition to these usual two words of greeting in Paul’s letters, 1 and 2 Timothy add “mercy” (cf. also 2 John 3). This word can shade towards the idea of pity or compassion. It recalls the Hebrew ḥesed, with its overtones of mercy and kindness to those within God’s covenant. The terms grace and mercy imply that those who receive those benefits have a need they cannot fulfill themselves.
In most of his letters, Paul indicates, as here, that these beneficial favors come “from God the Father and Christ Jesus our Lord.” This is not to deny the fact that the Holy Spirit gives gifts, but it simply attributes generosity to God as Father (James 1:17) and adds the name of Christ, who conveys God’s grace to us.
 Walter L. Liefeld, 1 and 2 Timothy, Titu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9), 46–47.
728x90
신앙감정론(조나단 에드워즈, 부흥과 개혁사)
 
 
이 책 신앙감정론은 예일 대학교 출판부의 조나단 에드워즈 전집 27권중 1권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편집자 서문
에드워즈는 이 책을 통해서 “성령의 임재 여부를 어떻게 분별할 것인가?”라는 청교도 개신교의 중심적인 질문과 씨름했다. 그는 18세기 뉴잉글랜드의 종교적 부흥이 제기한 문제를 진지하게 다루고 있다. 
 
 
  1. 역사적 배경
에드워즈는 18세기 초반 자신이 경험한 여러 부흥의 이야기들을 토대로 감정론의 내용을 전개한다. 그것은 성령을 선물로 받은 사람들이 얻게 되는 복음 진리에 관한 새로운 감각(new sense) 또는 새로운 확신(new conviction)에 대한 것이다. 새로운 감각을 통해 복음의 진리성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봄’ 또는 직접적 인식의 체험은 ‘마음의 감각(the sense of the heart)이라는 에드워즈 사상의 원천이 된다. 이 새로운 감각의 의미를 해석하는 확신 교리가 바로 ‘감정론’의 주요사상이다. 
 
에드워즈는 이 책을 통해 소극적인 증거와 적극적인 증거를 제시한다. 소극적인 표지는 부흥을 경험할 때 하나님의 손이 임재하셨는가를 판단하는 참된 기준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되는 사건이나 그 사건의 특징들이다. 반면에 적극적인 표지는 부흥 현상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어떤 통일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에드워즈는 이것들을 하나님의 성령께서 일하실 때 나타나는 확실한 표지로 규정했다. 
 
  1. 논의 : 은혜로운 감정의 열두 가지 표지
‘감정론’의 가장 놀라운 특징은 언어의 정확성과 생생함이다.
우리의 과업은 에드워즈가 말하는 감정은 무엇이며 감정은 어떻게 일어나며 감정과 성령의 관계는 무엇이며 그리고 감정이 의지와는 어떤 관계인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나아가 우리는 감정을 판단할 수 있는 표지나 기준의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감정은 영혼이 사랑으로 하나님을 향하든지 아니면 하나님을 떠나 세상을 향하든지 그 영혼이 움직이는 방향을 알려주는 길잡이다. 
감정은 성향이 지성을 통하여 표현된 것이다. 감정은 지성의 생각들과 필연적인 관계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의지의 탓으로 돌려지는 행위의 원천이다. 성향은 지성과 관계 없는 맹목적인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성향은 자아가 판단하고자 하는 대상이나 교리나 사상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또한 감정은 영혼의 깊이에만 관련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오로지 지성적인 것만은 아니다. 
“참된 믿음은 대부분 거룩한 감정 안에 있다.” : 감정은 믿음에 필수적이며, 믿음의 본질 가운데 대부분을 형성한다는 의미이다. 
에드워즈의 입장은 감정은 본질적으로 중요하지만, 참된 감정뿐만 아니라 거짓된 감정이 있기 때문에 판단의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에드워즈는 ‘따라서 작용들과 체험들의 방식이나 순서는 신적인 본질에 대한 분명한 표지가 될 수 없다’고 결론내린다. 
 
소극적 표지
1) 감정의 정도
2) 몸의 격렬한 반응
3) 신앙과 신학에 대한 관심
4) 감정의 자가 생산 여부
5) 성경이 갑자기 떠오름
6) 사랑의 피상적 표현
7) 감정의 정도
8) 감정의 체험 순서
9) 종교적 행위와 의무의 피상적 실천
10) 찬송을 열심히 부름
11) 자신의 구원 확신
12) 타인에 의한 구원의 확신
 
적극적 표지
1) 첫째 표지 : 성령의 내주 - 영적이고 초자연적이며 신적인 영향에서 비롯되는 감정만이 참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는 원칙에 기초
2) 둘째 표지 : 하나님의 하나님되심에 대한 인식 
3) 셋째 표지 : 하나님의 아름다우심에 대한 인식
4) 넷째 표지 : 하나님을 아는 지식 - 거룩한 감정은 빛이 없는 열이 아니며 지성이 받아들이는 어떤 지식적 정보나, 영적 가르침이나, 어떤 빛 또는 실제적인 지식에서 비롯된다. 
5) 다섯째 표지 : 진리에 대한 깊은 확신
6) 여섯째 표지 : 참된 겸손 - 기준은 교만과 자기 영화를 낳는 ‘영적인 업적’이나 ‘크고도 압도적인 체험’이 아니라, 자유롭게 사랑가운데서 생겨나는 하나님의 영광을 근본적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7) 일곱째 표지 : 성품의 변화 - 이는 회심 즉 하나님을 향하는 것이며 부패된 본성을 떠나는 것의 표지이다. 한 시간 동안 감정을 고양시키고 열정을 불러일으키지만, 새롭고 영속적인 본성에 어떠한 변화도 일으키지 못하는 감정은 은혜로운 것이 아니다. 
8) 여덟째 표지 : 그리스도의 성품을 닮아 감
9) 아홉째 표지 : 하나님을 두려워 함
10) 열째 표지 : 신앙의 균형
11) 열한째 표지 : 하나님을 향한 갈망
12) 열두째 표지 : 행위로 나타나는 신앙 - 거룩한 감정은 그리스도인의 행위에 반드시 영향을 주어야 한다. 
 
3. 신앙, 부흥운동 그리고 신앙감정
‘감정론’이 제공하는 공헌 세가지
첫째, 신앙을 신앙이 아닌 어떤 것으로 환원시키는 것을 막는 길을 보여준다. 
둘째, 지식이 독특한 개인의 체험을 무시하지만 않는다면, 지식은 신앙의 영역안에서 보존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해 준다. 
셋째, 부흥주의적인 신앙에 대한 현재의 관심을 해석하고 평가하는 기초를 제공해준다. 
 
 
부흥운동가들은 진리가 일반적인 수준으로 퇴락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긴급성과 심각성을 극적으로 표현한다. 
에드워즈는 참된 감정은 지성의 빛이 없는 뜨거운 감정만이 아니라고 반복적으로 주장했다.
 
순진한 부흥주의자들이 자주 범하는 오류는 배움의 노력과 수고를 간과하는 것이다. 그는 자신이 받은 직접적인 계시가 진리라고 확신하기 때문에 성경은 그 의미가 아주 분명해서 사람이 뛰어가면서도 읽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해할 수 있는 책이라고 소개한다. 하지만 에드워즈는 단호하게 이런 생각을 거부했다. 
 
“감정을 다 믿지 말고 오직 감정이 하나님께 속하였나 시험하라. 많은 거짓 감정들이 세상에 나왔음이니라.”
728x90
마르틴 루터의 단순한 기도(마르틴 루터, 김기석 옮김, IVP)
A simple way to pray
마르틴 루터가 이발사 친구 페터에게 전하는 참된 기도의 정석. 
 
 
 
“하나님의 방식은 종종 아주 신비하다. 다음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라면, 루터는 아마도 ‘이 훌륭하고 값진 소책자’를 쓰지 않았을 것이다. 성이 베스켄도르프인 이발사 페터는 1535년 3월 27일, 부활절 전 토요일에 사위의 집에서 열린 가족 모임에서 흥분해 있었다. 그때 페터는 직업이 용병인 사위 디트리히의 허풍을 증명하려고 했다. 디트리히는 으쓱거리면서 자신은 칼에 맞아도 끄떡없다고, 그래서 그가 참여한 수많은 전투에서 아무 탈없이 생환한 것이라고 말했다. 사위의 자랑을 입증해 보이려는 것이었든 아니면 시험해보려는 것이었든, 술에. 취한 페터는 사위의 가슴을 칼로 찔렀다. 이 일로 디트리히는 목숨을 잃었고, 페터는 집과 재산 그리고 시민권까지 잃었다. 루터의 간청과 전제후의 재상인 프란츠 부르카르트의 호소 덕분에 그리고 이 노인이 법정에서 윶회로 선고받는 것이 매우 애석한 일이라는 대중의 생각을 반영하여, 페터는 사형 선고 대신 추방형을 받았다. 유배자 페터는 데사후에 피난처를 마련했다. 이 노인은 위로가 필요했고 또 자신이 사위를 살해했음에도 여전히 하나님의 자녀일 수 있는지를 확실히 알기 원했다. 그는 루터에게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루터는 대학의 일과 또 다른 여러 일들로 아주 바쁜 상황이었지만 친구에게 위대한 목회적 섬김을 제공했고, 그 결과 우리 모두 유익을 얻게 되었다.”(7-8)
 
루터는 자신의 친구인 페터에게 단순하지만 중요한 기도의 방법을 소개한다. 물론 한 사람을 향한 편지이지만 이는 집중해서 기도하고 인격적이고 의미있게 기도하는 방법을 통찰력있게 가르친다. 
이 기도에 대한 제안은 매우 개인에게 보내진 편지로 매우 개인적인 모습을 띠고 있지만 그 내용은 매우 대중적이고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다. 루터는 주기도문과 십계명, 사도신경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도할 것을 요청한다. 당시 기도가 의미없는 주문, 중언부언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을 경계하면서 무엇보다 중요한 핵심적인 내용을 가지고 기도할 것을 제안한다. 
주님이 가르쳐주신 기도의 내용속에서 7가지의 간구의 내용을 다루고 십계명과 사도신경 속에서는 각 내용속에서 4부분으로 기도할 것을 가르친다. 그 내용은 첫번째 교훈, 두번째 감사, 세번째 고백, 네번째는 기도이다. 그래서 루터는 '십계명은 우리 삶의 교과서이고 찬송집이며 참회서이고 기도서이다'라고 말한다.
 
루터는 칼빈과 더불어 종교개혁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중세의 종교개혁은 루터의 성경 연구로 부터 시작되어 ‘이신칭의’의 교리로 대표된다. 이 칭의 교리와 십자가 신학을 둘러싼 신학적 논쟁은 구교와 신교의 분리를 가져왔다. 결국 복음에 대한 이해가 바뀌게 되었고 이것은 중세를 이어온 교회의 예배의 전통과 경건 생활 전체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교회는 복음을 소유했음에도 화석화된 전통속에서 그 힘을 잃어가고 있었다. 종교개혁을 통해서 변화는 시작되었지만 도리어 교회는 낡은 제도와 전통에서 풀려나면서 자유는 얻었지만 이제 어디로 가야할지 그 방향을 찾지 못횄다. 많은 목회자들과 그리스도인들은 옛것을 버리기는 했지만 새것은 애써 취하려고 하지 않았다. 루터는 이러한 상황을 타계하기 위해서 예배 형식을 완전히 개혁하는 <독일식 예배>(1526)과 신앙의 핵심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대교리문답>, <소교리문답>(1529)을 썼다. 그리고 1535년 자신의 이발사인 친구 페터에게 이 기도에 대한 가르침을 적은 <단순한 기도>를 썼다. 그렇기에 이 책은 단순한 개인 편지가 아니라 교리문답의 핵심인 주기도문과 사도신경, 십계명의 내용을 중심으로 단순하지만 매우 강력한 기도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728x90
호모 데우스, 인간을 업그레이드하라. 
 
 
<사피엔스>에서 저자는 ‘아프리카에 살던 보잘것 없던 영장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어떻게 이 행성을 지배하게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 인지혁명, 농업혁명, 과학혁명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집단 신화를 믿는 독특한 능력으로 인해 이 행성을 정복할 수 있었다고 설명한다. 이 집단 신화는 돈, 종교, 국가등을 말한다. 
<호모 데우스>에서는 이제 나아가 ‘오랜 신화들이 21세기 신기술과 만날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는 근대 과학은 우주가 계획도 목적도 없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인간의 모든 의미와 권위의 원천이던 신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대신 과학 발전과 경제성장을 추구했고 이 과정에서 인본주의라는 새로운 종교를 따랐다. 인본주의가 자신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것을 요청했고 그 욕망을 따라 굶주림, 전염병 전쟁을 극복하고 나아가 불멸, 행복, 신성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 바로 호모 데우스라고 말한다. 이 과정에서 기술의 발달은 사피엔스가 말하는 욕망을 따라 선택하는 것을 넘어서 그 욕망 자체를 조종하고 선택할 수 있게 된다라고 말한다. 이렇게 기술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인본주의의 붕괴가 이루어질 것을 경고한다. 이제 이 시대가 따르는 종교는 ‘데이터교’가 될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초연결 사회로 진입하면서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이 나보다 더 나를 잘 아는 시대가 될 것이고 언젠가 그 결정의 권한을 인간이 아니라 알고리즘에게 념겨주게 될 것을 경고한다. 과거 공상과학 영화에 등장하는 단골 주제이지만 지금의 우리의 현실을 잘 반영한다. 페이스북이나 유투브, 구글이 나의 관심사와 기호를 더 잘 파악해서 나에게 최고의 여행지나 영화, 책, 영상들을 추천한다. 그리고 그 추천은 대게 만족스럽다. 
결국 질문은 이 과정에서 인간은 어떤 존재로 전락하게 될 것인가이다. 기계나 컴퓨터의 알고리즘이 모든 것을 조종하는 만물 인터넷이 다스리는 상황속에서 인간은 어디에서, 어떻게 그 존재의 가치를 입증하면서 의미있는 삶을 살 것인가? 그 과정에서 종교는 어떤 역할을 하게 될 것인가? 
 
앞으로 수십년 이 세상은 데이터교가 지배하는 세상이 될 것인가? 인간들의 삶의 환경이나 직업 환경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의미 있는 삶을 위해서 과연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할 것인가? 또한 새로운 종교가 도래하는 과정에서 교회는 어떤 준비들을 할 것인지? 무턱대고 이시대의 기술을 거부하거나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필터링의 과정을 거쳐야할지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호모데우스-미래의 역사(유발 하라리, 김영사)
 
1장. 인류의 새로운 의제
인류는 지금까지 굶주림, 전염병, 폭력에 의해서 죽어갔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들은 대부분 종식되었다. 
 
체호프의 법칙 “연극의 1막에 등장한 총은 3막에서 반드시 발사된다”은 깨졌다. 역사에서 왕과 황제들은 새로운 무기들을 획득하면 곧바로 그것을 사용하고 싶은 유혹을 떨쳐내지 못했지만 핵무기의 발명은 도리어 이시대 무분별한 무기사용을 억제하여 정극의 법칙과 체호프의 법칙을 깨뜨렸다. 
테러범들은 도자기 가게를 부수려는 파리와 같다. 파리 스스로 도자기 한 개도 부술 수 없지만 황소의 귀에서 앵앵거리며 황소를 충동하여 미쳐 날뛰게 함으로 도자기 가게를 부술 수 있다.(9/11 테러)
 
'역사에는 공백이 없다.’ 과거 기근과 역병과 전쟁의 자리는 반드시 다른 문제들로 대체될 것이다. 우리는 어떤 새로운 전선으로 호출될까?
“전례없는 수순의 번영, 건강, 평화를 얻은 인류의 다음 목표는, 고거의 기록과 현재의 가치들을 고려할 때 불멸, 행복, 신성이 될 것이다. 굶주림, 질병, 폭력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인 다음에 할 일은 노화와 죽음 그 자체를 극복하는 것이다. 사람들을 극도의 비참함에서 구한 다음에 할 일은 사람들을 더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다. 짐승 수준의 생존투쟁에서 인류를 건져올린 다음 할일은 인류를 신으로 업그레이드하고, ‘호모 사피엔스’를 ‘호모 데우스’로 바꾸는 것이다.(p. 39) 
 
과거에 죽음이 성직자나 신학자들의 일이었다면 지금은 공학자들이 그 권한을 인수받았다.(죽음의 이유에 대한 해석과 그 대처방법의 변화)
인류의 새로운 의제 첫번째는 죽음을 정복하고 불사의 존재가 되는 것이다. 두번째는 행복의 열쇠를 찾는 것이 될 것이다. 21세기 세번째 큰 과제는 인류가 신처럼 창조하고 파괴하는 힘을 획득해 호모 사피엔스를 호모 데우스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될 것이다.
 
국가는 밴담이 말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한다고 하지만 교육이나 복지를 추구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국민의 행복보다는 국력 강화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자살률 통계(p. 56) 
땅콩 한 알로 영원한 행복을 느끼는 다람쥐는 생존경쟁에서 뒤쳐지게 된다. 도리어 계속 배고픔을 느끼는 다람쥐가 오래 살아남아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남겼을 확률이 크다. 
 
교육제도나 전투의 현장에서 부적응이나 우울증의 문제를 개인의 생화학적 기제의 영향으로 돌리고 있다. 
LSD(Lucy in the Sky in the Diamonds) : 비틀즈의 노래
생화학적 행복 추구 : 나쁜 조작(마약, 약물)과 좋은 조작(ADHD나 우울증을 치료하는 약), 약물에서 나아가 전기 자극이나 유전자 조작
  • 인간을 신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세가지 방법: 생명 공학, 사이보그 공학, 비유기체 합성
  1. 생명공학 : 사피엔스의 몸을 가져다 유전암호를 고치고, 뇌 회로를 바꾸고, 생화학 물질의 균형을 바꾸어 새로운 팔 다리를 자라게 할 것이다. 
  2. 사이보그 공학 : 유기체를 비유기적 장치들과 융합(600만불의 사나이), 나노로봇
  3. 비유기체 합성 : 인공지능
 
시험관 아기 : 선택(문제 있는 배아를 제거), 대체(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대체, 3명의 부모), 수선(비만, 면역, 우울증의 유전자를 고침)
모든 업그레이드가 처음에는 치료를 이유로 정당화 된다. 이처럼 유전 기술의 발달에 체호프의 법칙이 적용될 수 있을까?
마르크스이 이론이 실패한 이유는 자본주의자들이 그의 이론을 읽고 새로운 대체를 해나갔기 때문이다. 이는 지식의 역설을 의미한다. ‘행동을 바꾸지 못하는 지식은 무용지물이다. 하지만 행동을 바꾼 지식도 곧 용도 폐기 된다. 우리가 데이터를 더 많이 보유할 수록, 역사를 더 잘 이해할수록 역사는 그 경로를 빠르게 변경하고, 우리의 지식은 더 빨리 낡은 것이 된다.’(p.90)
우리가 역사를 알아야하는 가장 큰 이유는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과거에서 해방되어 다른 운명을 상상하기 위해서이다.(잔디의 역사) 잔디가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다. 잔디가 관리되지 않은 집은 문제가 있는 집으로 여겨진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많은 노동력과 자원이 필요하기에 어떤 변화를 이룰 것인가? 잔디를 고집할 것인가 아니면 일본식 정원이나 뉴욕의 센트럴 파크를 만들 것인가?
 
호모 사피엔스의 생명, 행복, 힘을 신성시하는 인본주의가 300년 동안 세상을 지배해왔다. 불멸, 행복, 신성을 얻으려는 시도는 인본주의가 품어온 오랜 이상의 논리적 결론이다.(p. 99)
21세기 지금으로서는 불명, 행복, 신성이 최우선 의제이다. 하지만 이 목표들이 거의 달성할 무렵, 그 목표들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격변들이 우리를 전혀 다른 목적지로 향하게 할 것이다.(p.100)
 
 
제 1부. 호모 사피엔스 세계를 정복하다. 
2장. 인류세
호모 사피엔스가 최근 7만년 동안 게임의 규칙을 바꾸었다. 지난 40억년간 진화의 규칙은 바뀌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인류는 자연 선택을 지적 설계로 대체하고 샘영을 유기적 영역에서 비유기적 영역으로 확장해나가고 있다.(p 108-9)
대부분 셈족 언어에서 ‘이브’는 ‘뱀’ 혹은 ‘암컷 뱀’을 뜻한다. 이런 신화에 따르면 뱀은 우리의 적이 아니라 조상이다.(p. 114)
농업혁명이 유신론적 종교를 탄생시킨 반면, 과학혁명은 신을 인간으로 대체한 인본주의 종교를 탄생시켰다.(p. 142) 유신론이 신을 내세워 농업을 정당화 했다면, 인본주의는 인간을 내세워 공장식 축산 농장을 정당화 했다.  
 
3장. 인간의 광휘
 
- 차우세스쿠의 마지막 연설 : https://www.youtube.com/watch?v=EptI9hx4h1c&t=211s
 
의미의 그물망(204) 
- 객관적 실재 : 모든 것이 우리의 믿음이나 느낌과 관계없이 존재(중력)
- 주관적 실재 : 내 개인적 믿음과 느낌에 의존(두통)
- 상호주관적 실재 : 개개인의 믿음과 느낌보다는 여러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에 의존
 
사피엔스가 세계를 지배하는 것은 그들만이 상호주관적 의미망을 엮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어떤 동물들도 우리에게 맞서지 못하는 것은 그들에게 영혼이나 마음이 없어서가 아니라 그러기 위해 필요한 상상을 할 수 없기 때무이다…. 이렇게 상호주관적인 실재들을 창조하는 능력은 인간을 다른 동물들에게서 분리할 뿐 아니라 인문학을 생명과학에서 분리한다.(212-3)
 
인간이 만들어낸 허구들이 유전암호와 전자암호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상호주관적 실재가 객관적 실재를 삼키고, 생물학은 역사와 융합할 것이다.(215)
 
제2부. 호모 사피엔스, 세계에 의미를 부여하다. 
 
4장. 스토리텔러
 
석기시대의 정령, 요정, 악마는 비교적 약한 실체였다. 
약 1만 2000년 전 시작된 농업혁명은 상호주관적 연결망을 확대하고 강화하는데 필수적인 물질적 기초를 제공했다.(훈련된 군대-지배 체제, 219)
약 5000년 전 수메르인들이 문자와 돈을 발명함으로 인간 뇌의 데이터 처리 한계를 깼다. 문자와 돈 덕분에 수십만명에게 세금을 징수하고 복잡한 관료제를 조직하고 거대한 왕국을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수메르의 엔키와 이닌나 신, 이집트의 파라오(221-)
 
1940년 봄 북쪽에서 내려운 나치가 순식간에 프랑스를 장악하자, 그곳에서 살던 유대인 집단 대부분이 프랑스를 떠나 남쪽으로 도망쳤다. 국경을 넘으려면 스페인이나 포르투갈행 비자가 필요했고, 따라서 수만명의 유대인들이 생사가 걸린 종잇조각을 얻기 위해 다른 난민들의 물결에 휩쓸려 보르도 주재 포르투갈 영사관에 몰려들었다. 포르투갈 정부는 프랑스에 있는 영사들에게 외교부의 승인 없이는 비자를 발급하지 말라고 했다. 하지만 보르도 주재 포르투갈영사 아리스티데스 데 소사 멘데스는 그 명령을 무시했고, 그로인해 30년 외교관 경력을 날려버렸다. 나치의 탱크가 보르도로 다가오는 가운데, 소사 멘데스와 그의 팀원들은 비자를 발급하고 종이에 도장을 찍느라 잠도 못 자며 하루 24시간씩 열흘 밤낮을 일했다. 수천장의 비자를 발급한 뒤 소사 멘데스는 탈진해 쓰러졌다. 난민들을 수용할 마음이 없던 포르투갈 정부는 요원들을 보내 명령에 불복한 멘데스를 고국으로 호송했고, 그의 외교관직을 받탈했다. 그러나 인간의 고통에 아랑곳하지 않던 관료들도 문서에는 깊은 존경심을 보였다. 그리하여 소사 멘데스가 명령을 어겨가며 발급한 비자는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관료들에게 받아들여져 나치가 친 죽음의 덫에서 3만명의 영혼을 구했다. 겨우 고무도장 한개로 무장한 소사 멘데스는 홀로코스트에서 개인으로서는 가장 큰 규모의 구조작전을 펼쳤다. (p.230) 
‘문자 언어는 실제를 기술하기 적당한 방법으로 생겨났지만, 서서히 실제를 고쳐쓰는 강력한 방식이 되었다.”(232)
 
1958~1961년 중국 대약진 운동, 마오쩌둥은 농업 생산량 증가를 명령, 관료들은 그 생산량을 부풀려 상부에 보고, 중국 정부는 보고서만 믿고 수백만톤의 쌀을 외국에 팔아 무기와 중장비를 구입, 그 결과로 수천만명의 중국인이 기아로 죽음(231)
 
관료들은 권력을 축적하면서 실수에 무뎌진다. 그들은 실제에 맞춰 이야기를 바꾸는 대신 이야기에 맞춰 실제를 바꾼다. 그리하여 관료의 환상과 일치하는 외적 실제가 생기지만 그것은 강요된 실제일 뿐이다.(203) 아프리카의 국경선을 그은 사람들은 아프리카에 와본 적도 없는 유럽 관료들이었다. 유럽 관료들이 종이 위에 그은 상상의 선들이 아프리카에 실제하는 국경선과 만났을 때 뒤로 물러난 것은 실제였다.(235)  
 
두 종류의 휴가 여행 패키지 
1) 석기시대 패키지
2) 현대 프로레타리아 패키지
 
5장. 뜻밖의 한 쌍
종교가 계약인 반면, 영성은 여행이다.(256) 
과학자들이 진행하는 모든 실용적 과제는 종교적 통찰에 기대고 있다.(262)
‘종교는 다른 무엇보다 질서에 관심이 있다. 종교의 목표를 사회 구조를 만들고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과학은 다른 무엇보다 힘에 관심이 있다. 과학의 목표는 연구를 통해 질병을 치료하고 전쟁을 하고 식량을 생산하는 힘을 획득하는 것이다. 과학자와 성직자 개인이 다른 무엇보다 진리를 우선시할 수는 있겠지만, 집단적인 제도로서 과학과 종교는 진리보다 질서와 힘을 우선시한다. 그러므로 이 둘은 의외로 잘 어울리는 짝이다.’(275)
 
6장. 근대의 계약
왜 근대에 와서야 경제성장에 속도가 붙기 시작했을까? 성장이라는 개념이 우리의 육감, 진화적 유산, 세상 돌아가는 방식과 모순되기 때문이다. 
들판의 토끼와 여우의 개체수, 여우는 토끼의 숫자를 늘리거나 들판의 풀의 양을 늘릴 수 없지만 인간들은 이것을 가능케 했다. 진보와 성장의 가속화는 결국 생태계의 붕괴를 초래할 것이다. 
‘더 많이”를 신조로 외치는 시대에 어떻게 하면 성장의 신화를 멈출 수 있을까? 
 
7장. 인본주의 혁명
인본주의라는 이 새로운 종교는 인류를 숭배하고, 그리스도교와 이슬람교에서 신이 맡았던 역할, 불교와 도교에서 자연법이 맡았던 역할을 인류에게 요구한다. 과거에는 장대한 우주적 계획이 인간의 삶에 의미를 부여했다면, 인본주의는 역할을 뒤집어 인간의 경험이 우주에 의미를 부여하도록 한다.(307)
 
인본주의의 슬로건 : ‘자신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라, 자신에게 충실해라, 자신을 믿어라, 마음가는 대로 행동하라, 자신이 좋다고 느끼는 것을 해라’
 
과거에는 절대자가 부여한 원칙, 진리를 따랐다면 현대는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마음이 가는대로 행동할 것을 요청한다.(혼외 정사-중세 신부들이 신으로부터 우리가 한 일이 선인지 악인지 구별했다면 현대 심리치료사들은 우리의 내적 감정에 직접 연락하도록 돕는다.) ‘자, 그래서 당신은 그 일에 대해 어떻게 느낍니까?’
 
윤리학에서 인본주의의 모토는 ‘좋게 느껴지면 해라’이다. 
정치학에서 인본주의는 ‘유권자가 가장 잘 안다’고 가르친다. 
미학에서 인본주의는 ‘아름다움은 보는 이의 눈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인본주의 시대의 윤리, 정치, 미학의 기준은 이제 신이 명한 준칙이 아니라 인간이 그 일에 대해서 어떤 감정을 느끼느냐가 되었다.(경제, 교육)
  • 마르셀 뒤샹(1917년, 샘-소변기) 예술이란 무엇인가?
 
교육 제도 : 중세에는 모든 의미와 권위의 원천이 외부에 있었으므로, 순종을 주입하고 성경을 암기하고 고대 전통을 배우는데 교육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현대 인본주의 교육은 학생들에게 스스로 생각하라고 가르친다.(322)
 
의미와 권위의 원천이 하늘에서 인간의 감정으로 옮겨오면서 우주 전체의 성질이 변했다. 신, 뮤즈, 요정, 악귀 들로 바글거리던 외부 우주는 텅빈 공간이 되었다. 반면 지금까지는 날것의 감정들을 처박아두던 별 볼일 없는 공간이던 내부세계는 이루 말할 수 없이 깊고 풍부해졌다.(323)
 
  • 중세 유럽(지식=성경*논리),
  • 과학혁명(지식=경험적 데이터*수학),
  • 인본주의(지식=경험*감수성)여기서 경험은 감각, 감정, 생각으로 이루어진 주관적 현상이다. 감수성이란 감각, 감정, 생각에 주목하는 것이고 그 감각, 감정, 생각이 나에게 미치는 영향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과학적 양(+)과 인본주의적 음(-), 양은 우리에게 힘을 주는 반면 음은 우리에게 의미와 윤리적 판단을 제공한다. 근대 이후 세계의 양과 음은 이성과 감정, 실험실과 미술관, 생산라인과 슈퍼마켓이다.(331)
 
전근대 내러티브의 대부분은 외적 사건과 행동, 영웅적 행위에 초점을 맞췄다면, 근대 이후 인본주의적 관점에서는 예술은 행동보다 느낌과 경험에 주목하였다. 
 
장자크 발터, 브라이덴펠트 전투에 나선 스웨덴의 구스타프 아돌프(1631)
 
피터르 스나여르스, 바이센베르크 전투(1620)
오토 딕스, 전쟁(1929-32)
 
토머스 리, 2000야드의 응시(1944)
 
 
인본주의의 분열
  1. 자유인본주의(개인의 감정, 이해 중시) : 자유주의 정치는 유권자가 가장 잘 안다고 믿는다. 자유주의 예술은 아름다움은 보는 사람의 눈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자유주의 경제는 고객이 항상 옳다고 주장한다. 자유주의 윤리학은 좋게 느껴지면 하라고 조언한다. 자유주의 교육은 모든 답이 자기 안에 있으니 스스로 생각하라고 가르친다. / 난민들의 절망과 독일인들의 불안이 충돌하는 상황(메르켈 총리와 팔레스타인 난민 소녀)
  2. 사회주의적 인본주의(정당과 노조의 이해 중시), 자유주의가 시선을 내부로 돌려 내 독자성과 내 나라의 독자성을 강조한다면, 사회주의는 나와 내 감정에 집착하는 것을 멈추고 타인들이 어떻게 느끼고 내 행동이 그들의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둘 것을 요구한다.
  3. 진화론적 인본주의(특정 민족을 인류 진보의 엔진으로 간주-히틀러와 나치), 갈등은 자연선택의 원래료로 진화를 추동한다. 전쟁은 약자를 절멸시키고 강하고 야심찬 자들에게 보상을 내린다. 니체는 이런 생각을 전쟁은 '인생의 학교'이며, '나를 죽이지 않은 시련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들뿐이다'라고 말했다.(352)
  • '마침내 누가 뭐라 해도 내 의지가 주인이었다..... 이제 나는 침착하고 단호했다. 그리고 그런 상태가 지속되었다. 이제 어떤 운명이 나를 시험하더라도 내 용기는 부서지지 않고 내 이성은 무너지지 않을 것이다.'(나의 투쟁, 히틀러)
  • 음악에 대한 평가(베토벤의 운명 교향곡 5번, 록큰롤, 아프리카 전통음악, 늑대의 울음소리)
 
종교적인 그룹들(태평천국의 난-홍수전, 수단-마디)은 실패했지만 마르크스와 레닌이 성공한 이유는 그들이 철학적으로 더 정교했기 때문이 아니라 마르크스와 레닌이 당대의 기술적, 경제적 현실들을 이해하는데 더 많은 관심을 쏟았기 때문이다.(376) 
 
21세기 초, 진보의 열차가 다시 정거장을 빠져나가는데 그 좌석을 얻기 위해서 21세기의 기술을 더 이해해야한다. 특히 생명공학과 컴퓨터 알고리즘의 힘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21세기의 주력 상품은 몸, 뇌, 마음이 될 것이고 몸가 뇌를 설계할 줄 아는 사람들과 그러지 못하는 사람들 사이의 격차는 디킨스의 영국과 마디의 수단 사이의 격차보다 훨씬 더 클 것이다. 이 열차에 올라탄 사람들은 창조와 파괴를 주관하는 신성을 획득하는 반면 뒤처진 사람들은 절멸에 직면할 것이다.(378) 오늘날 마르크스가 살아 돌아온다면 그는 남아 있는 소수의 제자들에게 '자본론'을 읽을 시간에 인터넷과 인간 게놈을 공부하라고 할 것이다.  
 
과거에 종교에는 창조적인 힘이 있었다. 하지만 요즘은 창조하는 힘에서 반응하는 힘으로 바뀐지 오래이다. 생물학자들이 피임약을 발명하는데 교황은 이 약을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른다. 컴퓨터 공학자들이 인터넷을 개발하는데 랍비들은 정통 유대교도가 인터넷 서핑을 해도 되는지 논쟁한다. 페미니즘 사상가들은 여성이 자기몸을 소유할 권리를 요구하는데 학식있는 무프티(이슬람 샤리아를 해석할 권한을 지닌 학자)들은 이 선동적인 사상에 어떻게 맞서야 할지 논쟁한다.(380)
 
인본주의가 인간의 생명, 감정, 욕망을 신성시한지 오래되었음을 고려하면 인본주의 문명이 앞으로 인간의 수명, 행복, 힘을 극대화 할 것이다.(382)
 
제3부. 호모 사피엔스, 지배력을 잃다.
 
8장. 실험실의 시한폭탄
진화론은 자유를 관 속에 넣고 못을 박았다.(389)
유기체가 자유의지를 갖고 있지 않다면, 그것을 우리가 약물, 유전공학, 직접적인 뇌 자극을 통해 그 유기체의 욕망을 조작하는 것은 물론 통제까지 할 수 있다는 뜻이다.(393)
 
저자는 과학은 자유주의의 자유의지에 대한 믿음뿐만 아니라 개인주의에 대한 믿음을 약화시킨다고 말한다. 
 
경험하는 자아와 이야기하는 자아, 이야기하는 자아는 경험의 합계를 내지 않고 경험의 평균을 낸다.(407)
라마단 때의 금식, 건강검진을 위한 금식, 돈이 없어서 먹지 못하는 배고픔 이 각각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자아가 배고픔에 부여하는 각기 다른 의미들은 매우 다른 경험을 불러 일으킨다.(410)
 
중요한 것은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불변하는 단 하나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느낌을 항상 받는 것이다. 이 느낌은 내가 나눌 수 없는 개인이며, 우주 전체에 의미를 제공하는 분명하고 일관된 내면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고 믿게 만드는 미심쩍은 자유주의를 야기한다.(411)
 
정부, 기업들도 실패한 사업에 엄청난 돈을 쏟아붓고 개인들도 파탄 난 결혼 생활과 앞날이 보이지 않는 직업에 매달린다. 이야기하는 자아는 과거의 고통이 무의미했음을 인정하지 않기 위해 미래에도 계속 고통을 겪는 쪽을 택한다.(416) 우리들 각자는 저마다 이야기를 지어내는  정교한 장치를 가지고 있다.
 
9장. 중대한 분리
 
인공지능과 기술이 계속 발달해 인간을 대체하게될때 “잉여 인간은 무엇을 해야하는가?”
  • 체스, 바둑, 운전, 게임, 왓슨(의학), 투자.....
  • 음악 : EMI(Experiments in Musical Intelligence:음악지능실험, 애니 / 컴퓨터가 작곡한 것을 구별하지 못함
 
알고리즘이 인간을 직업시장에서 몰아내면 전능한 알고리즘을 소유한 소수 엘리트 집단의 손에 부와 권력이 집중될 것이고, 전례없는 사회적 불평등이 생길 것이다. 아니면 그 알고리즘들이 스스로 주인이 될지도 모른다. (442)
 
  • 고용의 미래 : 20년안에 수많은 직업이 알고리즘에게 일자리를 빼앗기게 될 것이다.
 
자유주의가 직면한 몇가지 실질적 위협
  1. 인간이 군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쓸모없어질 것이다.
  2. 미래에 시스템이 여전히 인간을 필요로 한다고 해도 개인을 필요로 하지는 않을 것이다. 
  3. 일부 사람들은 업그레이드되어 필수불가결한 동시에 해독 불가능한 존재로 남아 소규모 특권집단을 이룰 것이다. 
 
개인주의에 대한 자유주의의 믿음을 현대의 생명과학의 성과에의해 부정되고 있다.(449)
 
과거 20세기에는 나의 통화를 도청하거나 나의 여러가지 정보를 안다고 해도 나에 대한 예상을 정확히 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하지만 21세기의 기술은 인류를 해킹해 나보다 나를 훨씬 더 잘 아는 외부 알고리즘을 만들 수 있다.(451)
 
스마트폰, 손목시계 : 혈당체크, 수면패턴, 성관계시 착용하는 생체완장(심박수, 땀의 양, 오르가즘 지속시간, 소비한 칼로리)
 
2013년 5월 14일, 안젤리나 졸리는 뉴욕타임스에 양쪽 유방절제술을 받기로 했다는 기사를 내보낸다. 이는 자신의 어머니와 외할머니가 유방암으로 사망했고 그녀에게도 그 위험 유전자가 있어서 87%의 확률로 유방암이 걸릴 것이라는 알고리즘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 독감 진단 경로 : 병원에서 진료한 사람들의 정보을 국립보건원에서 분석해서 독감경보를 발령, 하지만 구글은 이 과정을 몇분만에 할 수 있다.(검색엔진에 두통, 열, 구토, 재채기등이 비정상적으로 검색된다면) / Google Flu Trends(구글 독감 동향)
  • 구글은 우리가 걸은 모든 걸음과 우리가 나눈 모든 악수를 실제로 기억할 것이다.(461)
  • 이성관계 상담 / 질문: 잘들어봐, 구글. 존과 폴이 둘다 나에게 작업을 걸고 있엇. 둘다 좋은데 좋은 면이 달라. 그래서 마음을 정하기가 너무 힘들어. 네가 아는 사실들을 모두 고려해 나에게 조언 좀 해줄래?”, 구글의 대답 “나는 네가 태어난 날부터 너를 알고 있었어. 네 이메일을 모두 읽었고, 네 통화를 모두 기록했고, 네가 좋아하는 영화들, 네 유전자 정보, 네 심장 기록도 모두 갖고 있어. 네가 데이트한 정확한 날자도 보관하고 있으니, 존이나 폴과 만날 때마다 네 심장박동, 혈압, 혈당수치를 초 단위로 기록한 그래프를 원한다면 보여줄 수 있어. 필요하다면 네가 그들과 가진 모든 성관계의 정확한 순위도 제공할 수 있어. 그리고 당연히 나는 너를 아는 것만큼 그들도 잘 알아. 이 모든 정보, 대 뛰어난 알고리즘, 수많은 관계에 대한 수십년에 걸친 통계자료를 토대로, 나는 너에게 존을 선택하라고 권해. 장기적으로 그와 함께 할. 때 더 만족스러울 확률은 87%야.” “나는 너를 잘 아는데, 너는 이 답변이 마음에 들지 않을 거야. 존보다 폴이 훨씬 더 잘 생겼지. 너는 외모를 중시하니까, 내가 폴이라고 말해주기를 내심 바랬을 거야. 물론 외모는 중요하지. 하지만 네가 생각하는 것만큼은 아니야.수만년 전 아프리카 사바나에서 진화한 네 생화학적 알고리즘은 배우자감을 전반적으로 외모에 두는 비중에 35%야. 하지만 최신 연고와 통계를 바탕으로 하는 내 알고리즘은 외모가 사랑하는 관계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14%에 불과하다고 말해. 그러니 폴의 외모를 고려한대해도 네가 존과 함께하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해.”(462)
 
시스템이 나보다 나를 더 잘 알기만 하면 그날로 자유주의는 붕괴할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잘 모른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런 일은 생각보다 쉽게 일어날 것이다.(465)
 
  • 페이스북 알고리즘 : 좋아요의 숫자(직장동료-10, 친구-70, 가족-150, 배우자-300)가 이 이상이면 페이스북 알고리즘이 더 잘 예측한다. 
 
신탁에서 주권으로
이제 머지않아 구글, 페이스북 혹은 다른 알고리즘들이 신탁-대리인-주권자로 변모하게 될 것이다.(네비게이션 서비스의 발전) 길이 막힐때 구글맵이 1번에서 2번도로를 제안한다면 모든 사람이 2번으로 몰려 교통체증이 생길 것이다. 구글이 주권자가 되어 이 경우 절반의 사람에게는 1번을 제안하고 절반에게는 2번을 알려주면 문제가 해결된다. 
 
마이크로소프트 ‘코타나’, 구글 ‘나우’, 애플 ‘시리’ 아마존, 킨들 
 
생물학자들이 유기체는 알고리즘이라고 결론을 내린 순간, 유기물과 무기물 사이의 벽이 허물어지고 컴퓨터 혁명이 순수한 기계적 사건에서 생물학적 격변으로 바뀌고, 권한이 개인에게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알고리즘으로 이동했다.(473)
 
2016년 초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62명이 가장 가난한 36억명의 부를 가지고 있다. 세계 인구가 72억명이므로 이는 62명의 억만장자들이 인류의 하위 절반이 가진 부를 보유한다는 뜻이다.(476)
 
군사적, 경제적 이해관계 때문에 엘리트 집단이 가난한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해야 했던 20세기와 달리, 21세기의 가장 효율적인 전략은 쓸로없는 3등칸을 떼어내고 1등칸만으로 빠르게 전진하는 것이다.(478)
 
과학의 발전과 기술 발전이 인류를 쓸모없는 대중과 소규모 엘리트 집단의 엡그레이드된 초인간들로 나눈다면 혹은 모든 권한이 인간에게서 초지능을 지닌 알고리즘으로 넘어간다면 자유주의는 붕괴할 것이다. 이때 어떤 새로운 종교 또는 이념이 이 공백을 메우고 신과 같은 우리 후손들의 후속 진화를 이끌까?(480)
 
 
10장. 의식의 바다
새로운 종교는 실험실에서 탄생할 것이다. 사회주의가 증기와 전기를 통한 구원을 약속함으로써 세계를 장악했듯이, 도래하는 시대에 새로운 기술종교들은 알고리즘과 유전자들을 통한 구원을 약속함으로써 세계를 정복할 것이다.(481) 이 신흥종교들은 과거 종교들이 약속한 행복, 평화, 번영 심지어 영생까지도 사후가 아니라 이곳 지상에서 기슬을 통해서 이루겠다라고 약속한다. 
 
저자는 7만년전 인지혁명을 통해서 사피엔스의 유전자에 약간의 변화와 뇌배선이 바뀜으로 일어났다고 본다. 첫번째 인지혁명이 일으킨 마음의 혁신들 덕분에 호모 사피엔스가 상호주관적 영역에 접근하고 지구의 지배자가 되었다면 두번째 인지혁명으로 탄생할 호모 데우스는 지금의 우리로서는 상상할 수도 없는 새로운 영역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고 결국 은하계의 주인이 될지도 모른다.(483)
 
기술 인본주의는 유전공학, 나노기술,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의 도움으로 인간의 마음을 업그레이드하여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경험과 의식상태에 접근하려고 한다. 
 
마음의 영역은 표준이하와 WEIRD(Western, Educated, Industrialized, Rich, Democratic)라는 서구의, 많이 배우고, 산업화되고, 부유하고 민주적인 사회에 사는 사람들이다. 
 
 
 
자유주의적 인본주의가 기술 인본주의에 자리를 내주고, 의학의 초점이 점점 환자를 치료하는 것에서 건강한 사람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의식 상태들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술적 능력은 손에 넣었지만 아직 마음의 스펙트럼에 대한 지도가 완벽하지 않음으로 어디로 가야할지를 모르는 상태이다.(492)
 
우리는 점점 냄새 맡고 집중하고 꿈꾸는 능력이 줄어들었다. 대신 점점 더 집중력 헬멧을 사용하려고 한다. 우리는 냄새 맡고 꿈꾸고 집중하는 능력을 잃었듯이 결국 혼란, 의심, 모순을 참아내는 능력을 잃을 것이다. 
 
우리는 몸과 뇌를 업그레이드 하는데는 성공한다 해도, 그 과정에서 마음을 잃게 될 것이다.(497)
 
미릿속의 거슬리는 소음을 죽인다는 것은 멋진 생각처럼 보인다. 단 그렇게 해서 듣는 것이 당신 내면에 존재하는 진정한 자아의 목소리여야 한다. 하지만 진정한 자아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떤 목소리를 죽이고 어던 목소리를 증폭할지 어떻게 결정할까?(500)
 
로미오와 줄리엣 : 기술은 이 희곡을 어떻게 써 나갈까?
기술은 욕망이 우리를 불편하게 만들때 구원해 주겠다고 약속한다. 우주 전체가 걸린 못이 문제있는 장소에 박혀있을때, 기술은 그 못을 뽑아 다른 곳에 박을 것이다. 그런데 그곳이 정확히 어디일까? 내가 우주 어딘가에 그 못을 박을 수 있다면 어디에 박아야 할까? 그리고 왜 하필 그곳일까?(501)
 
무엇이 욕망과 경험대신 의미와 권위의 원천이 될까? 바로 정보이다. 가장 흥미로운 신흥종교는 데이터교이다. 
 
11장. 데이터교
찰스 다윈이 <종의 기원>을 발표한 때로부터 150년에 걸쳐 생명과학은 유기체를 생화학적 알고리즘으로 보게했다. 그리고 앨런 튜링이 튜링 기계라는 개념을 탕안한 때로부터 80년동안 컴퓨터 과학자들은 점점 더 정교한 전자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데이터교는 이 둘을 합치면서 정확히 똑같은 수학적 법칙들이 생화학적 알고리즘과 전자 알고리즘 모두에 적용된다고 지적한다. 데이터교는 그렇게 동물과 기계의 장벽을 허물고, 결국 전자 알고리즘이 생화학적 알고리즘을 해독해 그것을 뛰어 넘을 것으로 본다..(503)
 
자본주의가 이기고 공산주의가 패한 것은 자본주의가 더 윤리적이어서도, 개인의 자유가 신성해서도, 신이 이교도인 공산주의라들에게 본노해서도 아니었다. 자본주의가 냉전에서 승리한 것은 적어도 기술 변화가 가속화되는 시대에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 처리보다 분산식 데이터 처리가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509)
 
19세기와 20세기의 산업혁명은 속도가 그리 빠르지 않아서 정치인과 유권자들이 상상 한 발앞에서 그 경로를 규제하고 조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치의 리듬이 증기시대 이래로 크게 바뀌지 않은 반면, 기술은 1단에서 4단으로 기어가 전환되었다….정부는 밀려드는 데이터를 어쩔 줄을 모른다. 과거 정치가들은 기술의 방향을 주도했다. 하지만 지금은 기술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512-3)
 
  • 데이터교에서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네가지 방법
  1. 프로세스의 수를 늘린다.(인지혁명, 여러 대륙에 퍼져나가 독자적으로 문화를 이룸) 
  2. 프로세서의 다양성을 늘린다.(농업혁명, 밀도 높은 지역 네트워크 구축) 
  3. 프로세서들 간의 연결을 늘린다.(과학혁명, 문자와 돈 덕분에 인간협력의 중력장이 원심력을 압도했다.) 
  4. 현존하는 연결을 따라 이동할 자유를 늘린다.(1492년의 콜롬버스의 탐험이후로 전 지구적 연결망이 점점 촘촘해져 정보가 더욱 자유롭게 이동하기 시작했다.)
 
데이터교의 첫번째 계명 “가능한 한 많은 매체와 연결해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생산하고 소비함으로써 데이터 흐름을 극대화하라.” 두번쩨 계명은 연결되기를 원치 않는 이단까자 포함해 모든 것을 시스템에 연결하라는 것이다… 우주의 한 부분도 생명의 거대한 웹과 연결이 끊겨서는 안된다. 반대로 가장 큰 죄악은 데이터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다.(523)
 
표현의 자유는 인간에게 주어졌고 원하는 것을 생각하고 말할 인간의 권리를 보호했다. 여기에는 입을 다물 권리와 생각을 밝히지 않을 권리도 포함된다. 반면 정보의 자유는 인간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정보에 주어진다. 더구나 이 새로운 가치가 전통적인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도 있다. 정보가 자유롭게 유포될 권리는 인간이 정보를 소유하고 그 흐름을 제한할 권리보다 우선하기 때문이다.(524)
 
데이터교 신봉자들은 더 나은 세계를 창조하는 열쇠는 데이터를 자유롭게 풀어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데이터교 순교자 애런 스워츠, 524-6)
 
독감 예측, 공유 자동차 서비스
 
자유시장 자본주의자들이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을 믿듯이, 데이터교도들은 데이터 흐름의 보이지 않는 손을 믿는다.(528) 
 
“경험하면 기록하라. 기록하면 업로드하라. 업로드하면 공유하라.”
 
로크, 흄, 볼테르 시대에 인본주의자들은 ‘신은 인간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주장했다. 이제 데이터교가 인본주의자들에게 그들이 한 대로 똑같이 돌려줄 차례이다. ‘신은 인간 상상력의 산물이지만, 인간 상상력은 생화학적 알고리즘의 산물이다’, 18세기 인본주의는 신 중심적 세계관에서 인간중심적 세계관으로 이동함으로써 신을 밀어냈다. 21세기 데이터교는 인간 중심적 세계관에서 데이터 중심적 세계관으로 이동함으로써 인간을 밀어낼 것이다.(534) 
 
인본주의의 계명이 ‘네 감정에 귀 기울여라’였다면, 데이터교의 계명은 ‘알고리즘에 귀 기울여라’이다. 
 
‘종자’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은 인간이지만, 이 알고리즘은 성장하면서 자기만의 길을 따라 인간이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곳으로, 그리고 어떤 인간도 갈 수 없는 곳으로 간다.(539)
 
고대에는 힘이 있다는 것은 곧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는 뜻이었다. 오늘날 힘이 있다는 것은 무엇을 무시해도 되는지 안다는 뜻이다.(543)
 
마지막 질문
  1. 유기체는 단지 알고리즘이고, 생명은 실제로 데이터 처리 과정에 불과할까?
  2. 지능과 의식 중에 무엇이 더 가치있을가?
  3. 의식은 없지만 지능이 매우 좋은 알고리즘이 우리보다 우리 자신을 더 잘 알게 되면 사회, 정치, 일상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
728x90
16 Now may ithe Lord of peace himself jgive you peace at all times in every way. kThe Lord be with you all.
17 I, Paul, write lthis greeting with my own hand. This is the sign of genuineness in every letter of mine; it is the way I write. 18 mThe grace of our Lord Jesus Christ be with you all.
i See Rom. 15:33; Eph. 6:23
j Num. 6:26
k Ruth 2:4
l See 1 Cor. 16:21
m See Rom. 16:20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후 3:16–18.
 
16 평강의 주께서 친히 때마다 일마다 너희에게 평강을 주시고 주께서 너희 모든 사람과 함께 하시기를 원하노라
17 나 바울은 친필로 문안하노니 이는 편지마다 표시로서 이렇게 쓰노라
18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 무리에게 있을지어다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후 3:16–18.
 
이제 본문은 이 서신의 마지막 인사말에 해당한다. 마지막 인사말을 대개 축도로 이루어지는데 데살로니가 후서의 경우 16절과 18절이 축도의 형태를 띠고 있다. 
 
16절) 평강의 주께서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평강 주시기를 구하는 바울
‘평강의 주’는 ‘호 큐리오스 테스 에이레니스’이다. 이는 살전 5:23에서 ‘평강의 하나님’이라고 호칭한 것과 비슷한 표현이다. 바울 서신에서 평강의 하나님이라는 표현은 흔하지만(롬 15:33; 16:20; 고전 14:23; 고후 13:11; 빌 4:9; 살전 5:23) 평강의 주라는 표현은 흔하지 않다. 
‘평강’이라는 의미인 ‘에이레네’는 혼돈, 염려, 두려움, 무질서, 싸움이 없는 완전한 평정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하나님의 여러 성품중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평강의 상태의 원형은 에덴에서 하나님과 아담이 완전한 교제를 나누었을 때 가능했지만 인간의 타락이후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발견할 수없는 것이 되고 말았다. 인간은 겉으로는 별문제가 없이 평강한 상태처럼 보여도 하나님이 없이는 영혼 깊은 곳에 두려움과 불안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오직 하나님으로만이 채워질 수 있는, 채워져야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을 받은 존재이기에 하나님과의 관계의 단절은 필연적으로 평강의 부재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위에서 막힌 담을 허심으로 평화, 평강을 다시금 이루셨다. 
 
하나님의 평강과 주님의 평강이 서로 다른 것은 아니다. 도리어 이 평강, 에이레네가 삼위일체 하나님의 속성으로 성부 하나님과 성자 예수님께로부터 동일하게 임하는 것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앞선 내용에서 임박한 종말을 고대하며 게으르고 무질서하게 행하는 이들과 이로 인해서 낙심한 이들을 권면할 필요가 있었기에 이들을 위로하고 격려하기 위해서 평강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바울은 진정으로 성도들로 하여금 여러 환난과 핍박, 임박한 종말에 대한 거짓 가르침 속에서 진정한 평강을 누리기를 원했다. 
본문에서 ‘평강의 주’라는 표현 앞에 ‘아우토스’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한글 번역으로는 뒷부분에 친히라고 번역되지만 헬라어 성경에는 맨 처음에 ‘아우토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는 ‘호 큐리오스’를 강조함으로 오직 주님으로부터만 
평강을 얻을 수 있음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우리들에게는 이러한 진정한 평강이 필요하다. 이는 어떤 사람이나 주변의 환경이 보장하거나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직 주 하나님께서만이 우리에게 주실 수 있는 것이다. 
 
‘때마다 일마다’, ‘디아 판토스 엔 판티 트로포’ 이를 직역하면 ‘모든 것을 통해 모든 방식 안에서)인데 이는 시간적인 측면과 영역적인 측면을 모두 지칭하는 표현이다. 즉 평강의 주께서 평강을 주시되 끊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 빠짐없이 주시기를 바라는 것이다. 영역 성경 NIV는 이를 ‘at all times and en every’로 번역했다. ESV는 ‘at all times in every way’로 번역했다.
 
‘주께서 너희 모든 사람과 함께 하시기를 원하노라, The Lord be with you all’, ‘호 퀴리오스 메타 판톤 휘몬’, 주님 앞에 정관사가 붙어 있는 것으로 보아서 앞서 언급한 ‘평강의 주’를 지칭한다. 평강의 주께서 성도들과 함께 하시는 것이 진정한 축복이다. 
 본문에서 ‘메타’라는 표현이 바로 함께 하다, be with의 표현이다. 주님의 탄생을 통해서 ‘임마누엘’의 약속이 실현되었다(마 1:23). 이후 주님께서 승천하시면서(마 28:30) 이를 약속하셨다. 
 
The expression αὐτὸς δὲ ὁ κύριος τῆς εἰρήνης (“and the Lord of peace himself”) is unusual because it is the only instance in the NT writings where Christ is designated as “the Lord of peace.” The normal expression in Paul is “the God of peace” (cf. 1 Thes. 5:23; Rom. 15:33; 16:20; 2 Cor. 13:11; Phil. 4:7, 9), though in the salutations of most of his letters he connects peace both with “God our father” and “our Lord Jesus Christ” (cf. 2 Thes. 1:1; Rom. 1:7; 1 Cor. 1:3; 2 Cor. 1:2; Gal. 1:3; Phil. 1:2), and in Col. 3:15 he refers to “the peace of Christ.”
The Lord of peace is called upon to give peace to the readers: δῴη ὑμῖν τὴν εἰρήνην διὰ παντὸς ἐν παντὶ τρόπῳ (“may he give to you peace at all times, in every way”). The peace that Paul requests from the Lord here is more than the absence of conflict within the community. The Christians at Thessalonica were also troubled by external oppression (cf. 1:4–10). Even this may not be as inclusive as Paul intended. Peace was virtually synonymous in Jewish circles with the idea of the total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Such peace could only come from God. The breadth of its application in v. 16 is shown by the words “at all times, in every way.” (The textual variant τόπῳ for τρόπῳ found primarily in witnesses of the Western tradition [cf. A* D* F G itar, c, d, dem, etc. vg Ambrosiaster] probably arose in an attempt to bring the passage into conformity with such other Pauline texts as 1 Cor. 1:2; 2 Cor. 2:14; 1 Thes. 1:8.)
V. 16b is the first of two benedictions. Just as “the Lord of peace” in the first part of the verse is unique in Paul’s letters, so also is the benediction “the Lord be with all of you.” Both Rom. 15:33 and Phil. 4:9 speak of “the God of peace” being with the readers. In all probability the use of “the Lord of peace” in the first part of the verse led to the slightly unusual benediction in the second part of the verse. Whatever may be the reason for the unique formulation, Paul’s wish-prayer had the effect of reassuring the readers of the presence of their Lord with all of them.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291–292.
 
17절) ‘나 바울은 친필로 문안하노니’, 친필로라는 의미는 ‘내 자신의 손으로’라는 의미로 본문에 사용된 ‘에메’는 본인임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인칭 대명사로 이 같은 표현이 고전 16:21, 골 4:18에 등장한다. 바울은 마지막 인사를 통해서 본서를 자신이 직접 기록했음을 강조하고 있다. 당시 헬라 세계에서는 대부분의 편지를 다른 사람이 대필하고 편지 마지막에 송신자 자신이 몇마디 쓰는 것이 관행이었다. 대필자는 말그대로 불러주는 내용만을 받아적었고 자신의 생각을 기록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고대의 편지들의 경우에 마지막 부분에서 문체가 갑자기 바뀌는 경우가 흔하다. 
로마서 16:22
22이 편지를 기록하는 나 더디오도 주 안에서 너희에게 문안하노라
롬 16:22에 보면 더디오가 바울의 편지를 대필하였고 마지막 부분은 바울 사도가 직접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데살로니가후서의 경우 아마도 디모데가 대필한 것으로 보이고 마지막 문안 인사및 축도 부분을 바울이 직접 했을 것이다. 
 
‘이는 편지마다 표시로서 이렇게 쓰노라’, 본문에서 ‘표시’라고 번역된 표현은 세메이온인데 이는 ‘표적, 징조, 이적, 표시’라는 뜻인데 본문에서는 편지와 관련된 의미로 그 편지를 기록한 저자의 독특한 서명을 가리킨다. 바울이 왜 데살로니가후서에서 이와 같이 이 편지에 자신의 독특한 표시, 사인이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일까? 앞선 2:2에서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바울의 이름을 가장한 거짓 선지자들이 보낸 편지로 인해 미혹을 받았기 때문이다. 바울은 자신의 독특한 서명이 없는 것은 거짓이므로 조심할 것을 촉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문에 바울이 사인을 직접 한 것이라기 보다는 앞선 내용을 필사자가 기록하고 마지막 인사와 축도 부분을 바울이 기록함으로 표시를 한 것이다. 그렇기에 바울의 친필 사인을 찾으려고 노력할 필요는 없다. 
 
 
- Paul makes explicit what would have been clear to readers of the original letter: the bulk of the letter was dictated to a secretary, and the final greeting was written in Paul’s own unique handwriting, which served as a mark of authenticity, much like signatures at the end of modern letters. Paul’s highlighting of this fact may reflect a suspicion that a forgery in his name was in existence, which may have been the source of the idea that the day of the Lord had already come (see 2:2). This affirmation of genuineness also shows that writing in another person’s name was condemned among early Christians.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20.
 
As in several of his other letters Paul took up the pen to write his own greeting and noted this point for his readers (cf. 1 Cor. 16:21; Col. 4:18; see also Phm. 19 and Gal. 6:11–18 where Paul identifies himself as writing the conclusion of the letter). Best (347) maintains that v. 16 is the greeting to which Paul refers in v. 17, but on the basis of both 1 Cor. 16:21 and Col. 4:18 this is incorrect. As Marshall (231) points out, the actual greeting is contained in the words ὁ ἀσπασμὸς τῇ ἐμῇ χειρὶ Παύλου (“greeting, with my own hand, from Paul”). The clear implication of this notice by Paul is that a change of handwriting occurred at this point in the autograph copy. This in turn means that he employed an amanuensis or secretary in the writing of the letter (see Longenecker, “Ancient Amanuenses,” for the role of the amanuensis).
To his greeting Paul adds: ὅ ἐστιν σημεῖον ἐν πάσῃ ἐπιστολῇ: οὕτως γράφω (“which is a sign in every letter [of mine]; this is the way I write”). Lindemann (“Abfassungszweck,” 39–40) claims that the author of 2 Thessalonians, someone writing after Paul’s time and seeking to replace 1 Thessalonians with his own letter, intentionally sought to call into question the authenticity of 1 Thessalonians by means of 2 Thes. 3:17 (as well as 2:2). Lindemann asserts that 1 Thessalonians lacked the mark of Pauline authenticity as described in v. 17. The author of 2 Thessalonians intended this to cast doubt on 1 Thessalonians.
Lindemann’s position is based on a misunderstanding of the “sign.” The sign to which Paul refers is not his signature (signatures were not normally written at the end of letters in any case; cf. Spicq, Épîtres pastorales, 17). The sign was, rather, the fact that the greeting itself was written in Paul’s hand. He did this, undoubtedly, because like many other letter writers of the time Paul dictated each of his letters to an amanuensis and then added the greeting and end of the letter in his own hand as an authenticating mark (see Deissmann, Light, page facing 170 for an example of the change in handwriting in the greeting based on a photograph of an original letter). For this reason we should not expect to find the “mark” in 1 Thessalonians as we do not possess the autograph copy which would have ostensibly shown the change in handwriting. That the first person singular suddenly appears in 1 Thes. 5:27, however, gives credence to the possibility that the original did in fact contain a greeting written in Paul’s hand. The comment in 2 Thes. 3:17 that “this is the way I write” identified the particular handwriting appearing in the autograph as Paul’s own. Thus if a question arose about any letter being from Paul (cf. 2:2), the greeting and conclusion of this letter provided a way of authenticating it. Marshall (232) may also be correct that Paul wrote v. 17 to underscore the authority of the letter for its recipient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292–293.
 
18절) 본절은 축도에 해당한다. 
편지를 마무리하면서 이 편지를 받는 이들에게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임하기를 기원한다. 
앞선 데살로니가전서의 축도와 비교해보자. 
데살로니가전서 5:28
28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데살로니가전서에서는 ‘너희에게’, 본서에서는 ‘너희 무리에게’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본문에서는 무리에 해당하는 ‘판톤’이라는 표현이 추가되었다. 이는 ‘모든, ~마다, 각각’의 의미로 ‘all, every, each’의 의미이다. 하여 바울은 주님의 은혜가 신앙안에 굳게 서 있는 자이든, 연약한 자이든 관계없이 모두에게 임하기를 기원하고 있는 것이다. 
 
all. This addition to the grace benediction (elsewhere in Paul’s letters only in 2 Cor 13:13; Eph 6:24; Titus 3:15) stems from the apostle’s desire to include all members, including the idlers (see also 2 Thess 3:16b).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64.
 
The concluding benediction is typically Pauline even though it is not identical with any found in Paul’s other letters (cf. 1 Cor. 16:23; Gal. 6:18; Phil. 4:23; 1 Thes. 5:28; Phm. 25). The wording of this benediction, ἡ χάρις τοῦ κυρίου ἡμῶν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μετὰ πάντων ὑμῶν (“may the grace of our Lord Jesus Christ be with all of you”), is closest in wording to 1 Thes. 5:28 and 1 Cor. 16:23, though both of those texts lack the πάντων (“all”). But this is only a minor variation. If any theological point is to be made from the inclusion of “all,” it is perhaps that Paul asked for Christ’s grace even on those who were not holding to the Christian pattern of behavior regarding work.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29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