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3 jFollow kthe pattern of lthe sound4 words mthat you have heard from me, in nthe faith and love that are in Christ Jesus. 14 By the Holy Spirit owho dwells within us, guard ithe good deposit entrusted to you.
j [ch. 3:14; Titus 1:9; Rev. 3:3]
k [Rom. 2:20; 6:17]
l See 1 Tim. 1:10
4 Or healthy
m ch. 2:2
n 1 Tim. 1:14
o See Rom. 8:9
i [See ver. 12 above]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1:12–14.
 
13 너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과 사랑으로써 내게 들은 바 2)바른 말을 본받아 지키고
14 우리 안에 거하시는 성령으로 말미암아 네게 부탁한 아름다운 것을 지키라
2) 헬, 건전한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1:13–14.
 
앞선 11-12절에서 바울은 자신이 복음을 위하여 고난을 받으나 이를 부끄러워하지 않는데 이는 자신이 주님을 알고 주님께서 자신에게 맡기신 것을 주님께서 능히 지키실 것을 확신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제 이어 13-14절에서 바울은 디모데를 향하여 복음 진리, 디모데에게 맡겨진 아름다운 것을 지킬 것을 당부하고 있다. 
 
13절) ‘본받아’에 해당하는 ‘휘포튀포신’은 한글 번역에서는 맨 뒤에 위치되지만 원문에서는 문장의 처음에 등장한다. 이는 딤전 1:16에 바울 자신이 긍휼을 입은 까닭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단어로 원형은 ‘휘포투포시스’이다. 이는 ‘~아래에’를 의미하는 전치사 ‘휘포’와 ‘모형, 형상, 양식’을 의미하는 ‘티포스’의 합성어로 ‘표본, 본보기, 양식’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신학자 거스리는 이를 ‘한 건물의 세부적인 설계도를 작성하기에 앞서 그려보는 것과 같은 대략적인 스케이’를 의미한다고 했고, 헨드릭슨은 ‘화가가 정물화나 인물화 등을 그릴 때 구도를 잡아 미리 그려놓는 밑그림’을 의미한다고 했다. 바울은 여기서 건축가나 화가가 그리는 밑그림처럼 자신이 디모데의 모범이 된다는 점을 주지시키면서 디모데로 하여금 이 밑그림을 따라 그릴 것을 명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디모데가 바울의 어떤 면을 본받아야 하는 것인가? 이는 ‘내게 들을 바 바른 말’이다. 여기서 ‘바른’으로 번역된 ‘휘기아이논톤’은 일반적으로 ‘건전한’이라는 의미로 딤전 1:10; 6:3에서 사용되었다. 이는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과 이에 기초한 삶의 윤리를 제시한 것으로 복음에 입각한 교훈을 가리킨다. 
이제 바울은 이 ‘바른 말’을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과 사랑으로써’ 본받아 지키라고 명하고 있다. 믿음과 사랑은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덕목인데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존재할때 의미있는 것이다.  
 
 
1:13 In the preceding verses Paul’s emphasis was on not being ashamed and on an appeal for Timothy to join with Paul in suffering for the gospel. The reasons given were that God had accomplished a great salvation, which of itself should elicit such service (vv. 8b–12a), and that God was able to guard his suffering servants as he guarded Paul (v. 12).
In this verse and the next Paul returns to his direct appeal to Timothy (cf. v. 8). He emphasizes Timothy’s responsibility to retain (v. 13) and guard (v. 14) the truth content of the gospel message in the face of the threats from false teachers (a matter to which Paul will turn more directly in 2:14ff. and that he will continue to deal with to the end of the letter, e.g., 3:1ff.; 4:3ff., 15). This appeal appropriately follows on the preceding statement and uses the key concept “guard the deposit” reciprocally. With his usual skillful way with words, Paul is saying in effect that as God has guarded the deposit of his life (and will guard Timothy’s) so also Timothy must guard the deposit of the faithful account of the gospel that God has entrusted to him.
Before dealing with Timothy’s responsibility to “guard” the content of the gospel, Paul first reminds him with imperative ἔχε of his responsibility to “keep” or “preserve” (BAGD s.v. I.1c β) that content himself. That which he is to “keep” is the ὑποτύπωσιν “of sound words that you have heard from me.” ὑποτύπωσιν** (also in 1 Tim. 1:16), placed first in the sentence for emphasis, is used here of the “standard” (BAGD; cf. also Ridderbos and Stott) that one must “keep” or “preserve,” indeed, as the following parallel imperative clause indicates, that one must “guard” as a good deposit.
The “standard” is defined by the appositional genitive construction, ὑγιαινόντων λόγων κτλ.: It consists of the “sound words” that (ὧν) Timothy has heard from Paul, i.e., the contents of the apostolic teaching. ὑγιαινόντων λόγων** (the phrase only here and in 1 Tim. 6:3 in the NT) are “sound words” in the sense of “correct,” i.e., “true” (on ὑγιαίνω see the comments on 1 Tim. 1:10). Paul speaks of himself as the source of the sound words because he understands himself, as an apostle, to be an appointed communicator of God’s message (see Gal. 1:11–12; cf. 2 Tim. 2:2 on the phrase παρʼ ἐμοῦ ἤκουσας**). Paul uses related but different terms to speak of himself as the communicator of a standard to be followed in his earlier letters (e.g., “tradition,” παράδοσις, 2 Thes. 2:15; 3:6; 1 Cor. 11:2).
Timothy is to keep the standard “with” or “in” (ἐν) “faith” and “love” that are found only in Christ. “ἐν πίστει κ.τ.λ. specifies the principles in which ὑποτύπ is to be held … the sphere and element” (Ellicott; cf. Bernard: faith and love form “the atmosphere in which the ‘sound words’ are to be preserved”). This construction virtually repeats the phrase used in 1 Tim. 1:14 (see the comments there). Timothy is to keep the standard while trusting God (ἐν πίστει) with the trust that is found only in relationship to Christ since it is found in Christ (τῇ ἐν Χριστῷ Ἰησοῦ). Timothy is also to keep the standard while he lives a life of love (ἐν … ἀγάπῃ), especially love to others, a love that is found only in relationship to Christ because it is found in Christ (τῇ ἐν Χριστῷ Ἰησοῦ). Paul is saying very plainly that the attitudes and actions of “faith” and “love” found in Christ are essential to one who is to preserve the apostolic standar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80–381.
 
14절) 13절에서 바울은 디모데에게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과 사랑으로써 바울에게 전수받은 바른 말, 복음의 진리를 본받아 지키라’고 당부했는데 이제 우리 안에 거하시는 성령의 도움으로 ‘네게 부탁한 아름다운 것’, 복음을 지키라고 당부한다. 
본문에서 ‘거하시는’으로 번역된 ‘에노이쿤토스’는 본래 ‘거주하다, 살다’라는 의미를 지닌 ‘에노이케오’의 현재 분사형으로 성령께서 계속적으로 바울과 디모데를 포함한 모든 그리스도인들 가운데 살아계시고 내주하신 다는 사실을 생생하게 드러낸다. 에노이케오는 “~안에”를 의미하는 전치사 ‘엔’과 ‘집, 가정’을 의미하는 ‘오이코스’의 합성어로 ‘거주하다, 살다’, ‘존재하거나 그 안에 위치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여기서 ‘말미암아’로 번역된 ‘디아’가 본래 ‘~을 통하여’라는 의미의 전치사이기에 오직 그리스도인들 가운데 거하시는, 내주하시는 성령을 통해서만이 ‘네게 부탁한 아름다운 것’을 지킬 수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우리가 복음 진리의 말씀을 지킬기 위해서는 오직 성령안에 거주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네게 부탁한 아름다운 것을’, 여기서 ‘네게 부탁한 것’에 해당하는 ‘파라데켄’이라는 표현은 앞서 12절에서 ‘의탁한 것’으로 번역된 동일한 표현이다. 이 ‘파라데케’는 “파라’라는 전치사와 ‘두다, 놓다’라는 의미의 ‘티데미’의 합성어로 ‘맡긴것, 위탁 보증금, 책임을 지도록 타인에게 맡겨진 소유권’을 의미한다. 이 표현은 모두 바울의 목회서신인 디모데서에서만 3번 사용되었다. 
 
‘지키라’로 번역된 ‘필락손’은 ‘지키다, 감시하다,피하다, 준수하다’를 의미하는 ‘필라쏘’의 부정과거 능동태 명령형이다. 
그렇다면 바울이 디모데에게 위탁한, 부탁한 아름다운 것은 무엇인가? 이는 문맥상 10절에 나오는 ‘생명과 썩지 아니할 것을 드러내는 복음’을 의미한다. 바울은 자신이 이 복음을 위하여 선포자, 사도, 교사로 세우심을 받았음을 확언한바 있는데 이제 바울에게 맡겨졌던 이 복음이 바울을 통하여 디모데에게 전수되고 있는 것이다. 디모데도 이 복음 전수의 비밀에 자신이 참여하고 있음을 분명히 알고 있었다. 또한 이후 바울은 딤후 2:2에서 이 비밀을 소개하고 있다. 
 
디모데후서 2:2
2또 네가 많은 증인 앞에서 내게 들은 바를 충성된 사람들에게 부탁하라 그들이 또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으리라
 
1:14 Paul adds a second imperative and thus takes the exhortation a step further. That which Timothy is to “keep” or “preserve” (v. 13) he is now urged to “guard” (φυλάσσω,** also in v. 12 and 1 Tim. 6:20, which see), i.e., guard against it being lost or damaged (BAGD s.v. 1c), especially against false teachers and false teaching (see the context of 1 Tim. 6:20 and 2 Tim. 2:14ff., 25; 3:13–14; 4:3ff., 15). Since Timothy is the one commanded to guard the παραθήκην, “the deposit,” it is something entrusted to his care (cf. the parallel in 1 Tim. 6:20), i.e., “the standard of sound words that he heard” from Paul (cf. 2:2 with the cognate verb παράθου). The deposit is called “good” (καλήν) to give emphasis to its value and truthfulness (cf. 1 Tim. 1:8; 4:6; Rom. 7:16). τὴν καλὴν παραθήκην is placed first for emphasis.
This guarding is not to be done in Timothy’s own strength but διὰ πνεύματος ἁγίου τοῦ ἐνοικοῦντος ἐν ἡμῖν. διά here is used to indicate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he personal agent (which is πνεύματος ἁγίου). Paul reminds Timothy again (v. 7) that he has the Holy Spirit dwelling (ἐνοικοῦντος; cf. v. 5 and especially Rom. 8:11) in him to enable him to carry out the ministry committed to him. Plural ἐν ἡμῖν, “in you,” emphasizes that the Holy Spirit is present in all Christians, and that, therefore, he, Paul, knows as a personal reality the truth about which he writes (cf. 1 Thes. 1:5). Paul can exhort Timothy to guard the good deposit because he knows that the Holy Spirit is indwelling Timothy and therefore will be the one through whom Timothy will be able to carry out the exhortation (cf. Phil. 2:12–13).
The appeal has come full circle. It began with God’s Spirit and his power and it has ended with the Spirit’s enabling power. The flow of the account is striking. After urging Timothy to “stir up” the gift of God (v. 6), the imperatives follow one after the other, made more urgent by the recounting of what God has done and of what Paul has gladly suffered: “Do not be ashamed,” “suffer with me” (v. 8), “keep the standard” (v. 13), “guard the deposit” (v. 14). The touchstone of the whole appeal is that God, by his Spirit within, is able to make his servant able (vv. 6–7). Thus Paul can appeal to Timothy not to be ashamed and to be willing to suffer for the gospel by God’s power (v. 8). For God has shown his power in the very work of the gospel itself and in Christ, the suffering servant (vv. 8–10). Thus Paul is not ashamed even though he suffers for the gospel’s sake because he knows of God’s keeping power (vv. 11–12). Therefore, Paul concludes his charge to Timothy by commanding him to keep the standard of sound words, with faith and love in Christ (v. 13), and to guard the deposit through the Holy Spirit in us (v. 14).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81–382.
 
이제 주님이 전하신 이 복음이 바울을 거쳐 디모데, 충성된 사람들, 또 다른 사람들을 거쳐서 나에게 전달되었다. 이 바른 말을 본받아 지키라는 명령, 나에게 맡겨진, 부탁된 이것을 지키라는 이 명령은 하나님나라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동일하게 주어진 명령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도 그 바른말, 온전한 복음, 아름다운 것을 온전히 듣고 깨닫고 성령의 능력을 의지하여 살아내야 한다. 우리안에 거하시는 성령을 말미암지 않고는 우리는 이를 지킬 수 없다. 
728x90
11 dfor which I was appointed a preacher and apostle and teacher, 12 ewhich is why I suffer as I do. But fI am not ashamed, for gI know whom I have believed, and I am convinced that he is able to guard until hthat day iwhat has been entrusted to me.3
d See 1 Tim. 2:7
e ch. 2:9
f ver. 8
g [Ps. 10:14; 1 Pet. 4:19]
h ver. 18; ch. 4:8; See 1 Cor. 3:13
i 1 Tim. 6:20
3 Or what I have entrusted to him; Greek my deposit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1:11–12.
 
11 내가 이 복음을 위하여 선포자와 사도와 교사로 세우심을 입었노라
12 이로 말미암아 내가 또 이 고난을 받되 부끄러워하지 아니함은 내가 믿는 자를 내가 알고 또한 내가 의탁한 것을 그 날까지 그가 능히 지키실 줄을 확신함이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1:11–12.
 
11절) 앞선 10절의 본문은 ‘디아 투 유앙겔리우’, ‘복음으로써’로 끝난다. 본 11절은 ‘이 복음을 위하여’에 해당하는 ‘에이스 호’로 시작한다. 즉 11-12절은 복음을 위하여 세우심을 받은 바울이 고난을 부끄러워하지 않음을 고백하는 것이다. 
디모데전서 2:7
7이를 위하여 내가 전파하는 자와 사도로 세움을 입은 것은 참말이요 거짓말이 아니니 믿음과 진리 안에서 내가 이방인의 스승이 되었노라
딤전 2:7에서 이미 찬파하는 자와 사도와 스승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바울이 세우심을 입은 것은 바로 이 복음, 즉 10절에서 말한 바 그리스도의 나타나심으로 사망을 폐하시고 불멸의 생명을 제공해 주는 하나님의 능력이 되는 그 복음’을 위해서이다. 
‘세우심을 입었노나’로 번역된 ‘에데덴’은 ‘두다, 놓다, 세우다’라는 의미의 동사 ‘티데미’의 부정과거 수동태란 점은 이러한 직분으로 세우신 분이 하나님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임을 분명하게 말해준다. 또한 본문에 ‘내가’로 번역된 ‘에고’는 일인칭 주격으로 신약의 용법상 강조 용법으로 바로 자기 자신이 이러한 복음을 위한 사역자로 세우심을 받았다는 사실을 매우 영광스러워하고 있음을 잘 드러낸다.  
1) 반포자 : ‘케뤽스’는 ‘선포하다, 설교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케뤼쏘’, ‘선포, 설교’를 의미하는 명사 ‘케리그마’에서 파생된 표현으로 ‘공개적으로 중요한 소식을 외치는 사람, 특별히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한 구원의 길에 관하여 하나님으로부터 온 소식을 전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2) 사도 : ‘아포스톨로스’로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혹은 다른 사도들로부터 위임받아 파송된 사람’을 의미한다. 사도는 보내심을 받은 사람으로 누구의 보냄을 받았느냐가 관건이다. 특히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목격한 사람을 사도라고 하기에 사울의 사도성이 도전을 받았다. 
3) 교사 : ‘디다스칼로스’는 ‘선생님, 교사, 스승을 의미하는데 기술이나 지식을 나눠줌으로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는 ‘가르치다, 지도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디다스코’와 ‘가르침, 교훈’을 의미하는 명사 ‘디다케’에서 파생된 표현이다. 
 
헨드릭슨은 ‘복음을 선포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는 선포자요, 또한 오직 파송한 자가 위임한 것만을 말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도요, 하나님의 능력이 나타나는 통로인 복음을 가는 곳마다 만나는 사람마다 가르치며 권면해야 한다는 점에서 교사였다’라고 말했다. 
결국 이 복음에 대한 바울의 정체성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밝히고 있는 것으로 디모데에게도 이러한 정체성, 역할을 기억할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1:11 Having mentioned the work of Christ, Paul is now constrained to mention his own part in the ministry for the gospel, as he does elsewhere (2 Cor. 5:18, 20; Eph. 3:7–8; Col. 1:25; 1 Tim. 1:11–12; 2:6–7). The statement here is almost identical to 1 Tim. 2:7 but does not include the words “I am telling the truth, I am not lying” or the phrase “of the Gentiles” after the word “teacher.”
εἰς ὅ refers to that “for which” Paul was appointed, with the antecedent of being εὐαγγελίου. ἐτέθην (aorist passive of τίθημι), which generally means “put” or “place,” carries here the meaning “appoint” and refers to a definite past action (cf. C. Maurer, TDNT VIII, 157). The passive voice assumes that the reader will intuitively grasp that “by God” or “by Christ” is to be understood (cf. Gal. 1:1). ἐγώ is used for emphasis (cf. the other occurrences of ἐγώ in the PE*: 1 Tim. 1:11, 15; 2:7; Tit. 1:3, 5; 2 Tim. 1:11; 4:6, in which all but the second and the last refer to Paul’s appointment to ministry, and even those are in contexts that deal with that topic).
The three terms κῆρυξ, ἀπόστολος, and διδάσκαλος (nominative case with the passive verb) designate different aspects of Paul’s one ministry. κῆρυξ** (see 1 Tim. 2:7; 2 Pet. 2:5; cf. Paul’s use of κήρυγμα [6x] and κηρύσσω [19x]), a term found in the culture of the day in both secular and religious senses, is the “herald” or “proclaimer” (see BAGD, MM). ἀπόστολος (see 1 Tim. 1:1), “apostle,” is used here in the special sense of one directly chosen by Christ and sent with Christ’s authority to speak for him (cf. Acts 11:14, 15; 26:16–18; 1 Cor. 15:8–10; Galatians 1). διδάσκαλος (Pl.* 7x) is applied by Paul to himself only here and in 1 Tim. 2:7 (but see Acts 11:26). In other uses of the word he either includes διδάσκαλοι in a list in which they are distinguished from ἀπόστολοι (1 Cor. 12:28, 29; Eph. 4:11) or uses it in a derogatory sense (Rom. 2:20; 2 Tim. 4:3). Most of the textual witnesses add ἐθνῶν after διδάσκαλος (all except א* A I 33 1175 syrpal). But the UBSGNT editors “regarded the word as a gloss introduced by copyists from the parallel in 1 Tm 2:7, there being no good reason to account for its omission if it were original here” (TCGNT).
What distinguishes these three aspects of Paul’s ministry? κῆρυξ and διδάσκαλος emphasize his roles as evangelist on the one hand and teacher on the other. He may have added these two terms, both of which he uses of himself only here and in 1 Tim. 2:7, to his usual self-designation of ἀπόστολος to emphasize these aspects of his ministry in his letters to Timothy so that he could be a model for Timothy (and others), who is to serve as an evangelist (κηρύσσειν, 2 Tim. 4:2) and teacher (διδάσκειν, 1 Tim. 4:11; 6:2; 2 Tim. 2:2) but is not an ἀπόστολος.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MM J. H. Moulton and G. Milligan, The Vocabulary of the Greek Testament. London, 1930.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 B. M.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77–378.
 
12절) ‘이로 말미암아’로 번역된 것은 바로 10-11절의 내용으로 ‘바울이 영원히 썩지 아니할 불멸의 생명을 제공하는 바로 그 복음을 위하여 하나님으로부터 선포자, 사도와 교사로 세우심을 받았다는 그 사실로 말미암아’라는 의미이다. 바로 그 이유로 그가 이 고난을 받는다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이 고난 받는 이유가 무엇인지 분명히 알았기에 이것으로 인하여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기서 ‘고난을 받되’로 번역된 ‘파스코’는 일반적으로 ‘죽음에 이르는 것과 같은 막대한 고난을 겪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로 여기서는 직설법 현재 시제가 사용되었는데, 계속과 반복을 나타내는 현재 시제가 사용된 것은 바울이 지금 로마의 감옥에 갇혀 죽음에 비견할만한 고통을 당하고 있음을 생생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여기서 ‘이’로 번역된 ‘타우타’는 바울이 2차 로마감옥에 수감되어 당하는 고난을 지시하는 것이다. 
 
앞서 고난 받는 이유를 말했다면 이제 그가 부끄러워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한다. 
첫번째로 ‘내가 믿는 자를 내가 알고’이다. 원문에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가르’가 사용되었다. ‘내가 알고’로ㅓ 번역된 ‘오이다’는 일반적으로 ‘보다, 인지하다, 주목하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 ‘에이도’의 현재 완료형이다. 이는 바울이 과거부터 지속해서 이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말하는 것이다. 바울이 알고 있던 이 지식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자신의 믿음의 대상이 되는 분이 어떠한 분인가에 대한 분명한 앎, 지식이다. ‘내가 믿는 자’에 해당하는 ‘호 페피스튜카’에서 ‘페피스튜카’는 ‘믿다, 맡기다’라는 동사 ‘피스튜오’의 현재완료 능동태 직설법 표현으로 이를 직역하면 ‘내가 믿어오고 있는 분이다. 이처럼 바울은 ‘우리 구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을 계시하신 하나님’에 대한 올바른 시직을 소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로 인하여 바울은 죽음에 비견될만한 고난의 상황속에서도 부끄러워하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이다. 
로마서 8:38–39
38내가 확신하노니 사망이나 생명이나 천사들이나 권세자들이나 현재 일이나 장래 일이나 능력이나
39높음이나 깊음이나 다른 어떤 피조물이라도 우리를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으리라
 
두번째로 ‘내가 의탁한 것을 그 날까지 그가 능히 지키실 줄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한글 번역은 ‘내가 의탁한 것’을 먼저 번역했지만 원문은 등위 접속사인 ‘카이’를 중심으로 부끄러워하지 않을 수 있는 이유로 ‘내가 알고, 오이다’와 ‘확신함이라, 페페이스마이’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언급된 확신은 다름 아닌 ‘내가 의탁한 것을 주께서 재림하실 그날 까지 하나님께서 능히 시켜주실 것’이라는 것이다. 
‘내가 의탁한 것을’로 번역된 ‘텐 파라데켄 무’는 어떤 의미인가? ‘파라데켄’은 ‘위탁물, 예치금’을 의미한다. 여기서 소유격이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따라서 ‘내가 그분에게 맡긴 것’인지 아니면 ‘그가 나에게 맡기신 것’인지 달라진다. 
디모데후서 1:12
12그러므로 나는 이런 고난을 당하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습니다. 나는, 내가 믿어 온 분을 잘 알고 있고, 또 내가 맡은 것을(내가 그분에게 맡긴 것을) 그분이 그 날까지 지켜 주실 수 있음을 확신합니다.
바울이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자신이 아니라 복음이다. 그는 11절에서 복음을 위하여 사도로 세우심을 입었다락 말하고, 12절에서 그 복음을 전하는 사도직을 감당하느라 많은 고난이 있지만 이를 부끄러워하지 않는다고 말하였다. 이어 13-14절에서는 디모데에게 자신이 전해준 진리를 잘 본받아 지키라고 말하였다. 이를 통해 본다면 본절의 ‘텐 파라데켄 무’는 ‘내가 하나님께로부터 위탁받아 가지고 있는 복음’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그 복음을 주님의 재림의 날까지 지키시는 분도 바로 하나님이시다. 
 
1:12 RSV, UBSGNT, and NA26 place a comma at the end of v. 11 and a period or raised dot after πάσχω in v. 12. In this way the intervening words form the conclusion to this long sentence that began with v. 8 and are divided from the words that follow πάσχω. Other critical editions (and all other translations noted in the UBSGNT punctuation apparatus) put the break between sentences at the end of v. 11. But it seems harsh to sever the intervening words from the following ἀλλʼ, and the phrase διʼ ἣν αἰτίαν is found at the beginning of a sentence in its other PE occurrences (2 Tim. 1:6; Tit. 1:13; so also Heb. 2:11; cf. BAGD s.v. αἰτία 1), not at the end. Therefore, it is best to think of a new sentence beginning with the first words of v. 12.
διʼ ἣν αἰτίαν functions as a causal conjunction with the meaning “for which reason,” “therefore.” “Because of” Paul’s service in the gospel ministry he suffers these things, because suffering is tied up with the gospel in this evil world (cf. v. 8; 3:12).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adverbial καί goes with ταῦτα, “even these things” (Ellicott, Bernard), or with πάσχω, “I also suffer,” i.e., suffering also is included in my appointment (Alford and especially Ridderbos).
Present tense πάσχω is used here of that which Paul is “experiencing” in the sense of “enduring” or “undergoing” (BAGD s.v. 3b). ταῦτα, “these things,” is a comprehensive term that includes all that is involved in Paul’s imprisonment (τὸν δέσμιον, v. 8), the only previous item to which this term could refer (and ἐπαισχύνομαι suggests a reference to v. 8, which has the same verb). Although the reader gains further insight into what is included in this ταῦτα as the letter progresses (e.g., v. 16: “my chains”), Paul most likely assumed that Timothy knew what he meant by it (cf. ταῦτα in 2:2).
The next clause, with ἀλλʼ followed by οὐκ, takes away any false impression that “for this reason I also suffer these things” might seem to convey (cf. BAGD s.v. ἀλλά 2). Paul is not “ashamed” (ἐπαισχύνομαι, see v. 8) of the “gospel” (vv. 10–11; cf. Rom. 1:16), “the testimony of our Lord” (v. 8), and his own imprisonment as the Lord’s “prisoner” (v. 8). V. 12 provides a word of explanation for the preceding sentence (vv. 8–11) and takes us back to the exhortation that begins that sentence: “Do not be ashamed.…” Paul indicates that he is not ashamed, even in his circumstances, so that Timothy will also not be ashamed, even if he also suffers.
γάρ signifies that the following words express the reasons that Paul is not ashamed: He knows (οἶδα) the one he has trusted and is persuaded of that one’s ability to guard his trust. Perfect tense πεπίστευκα indicates “I have put my trust, and still put it” (Ellicott). Dative is the object of this verb, but the antecedent of this relative pronoun is not expressed. Since both God the Father and Christ are mentioned in the preceding verses, it is difficult to know which in particular Paul has in mind. He uses the verb πιστεύω with both in the the PE. Since emphasis has been laid on God and his power (cf. vv. 6, 7, 8), it is probable that the Father is in view here as well (cf. 1 Thes. 4:14, where God is named as the one who acts with reference to the Christian dead).
With καί Paul joins to his certain knowledge of the one he has trusted his certain assurance of that one’s ability to guard his trust. πέπεισμαι (perfect passive of πείθω; see v. 5), “I am convinced” or “I am certain,” asserts Paul’s confidence, the substance of which is expressed in the ὅτι clause that follows. The first aspect of Paul’s confidence is that God is “able” (δυνατός; cf. Rom. 4:21; 11:23), with the aorist infinitive that follows indicating the ability of God about which Paul is so confident: God is able “to guard his trust.” The infinitive φυλάξαι means here “to guard” or “to protect” in the sense of keeping what has been entrusted (τὴν παραθήκην) so that it is not lost (cf. v. 14; 1 Tim. 6:20; 2 Thes. 3:3). τὴν παραθήκην** (1 Tim. 6:20; 2 Tim. 1:12, 14, always with φυλάσσω) means “deposit,” “property entrusted to another” (BAGD; see also the excursus in Lock, 90–92) and is used figuratively in the PE.
Paul uses ἐκείνη ἡ ἡμέρα, “that day,” in this letter to designate the all-embracing day of God’s final judgment (cf. 1:18; 4:8), as he (2 Thes. 1:10) and Jesus (Mt. 7:22; Lk. 10:12; 21:34) do elsewhere. NT usage most likely echoes the OT (cf., e.g., Zp. 1:15; see BAGD s.v. ἡμέρα 3bβ; G. Delling, TDNT II, 951–53). εἰς either “marks the limit or accents the duration expressed by the accusative” (Robertson, Grammar, 594). Therefore, Paul affirms here that God will keep his deposit “until” (εἰς) the judgment day (cf. Phil. 1:10 for a similar use of εἰς).
What does Paul mean by “my deposit” (τὴν παραθήκην μου)? Essentially two answers are proposed: The first is that the deposit is what God has entrusted to Paul, usually understood as the gospel although sometimes of his ministry: “what has been entrusted to me” (RSV; cf. TEV, NEB). The second is that the deposit is what Paul has entrusted to God, usually regarded as his life or himself: “what I have entrusted to him” (NASB, NIV, and the marginal alternatives in RSV, TEV, NEB).
Those in favor of the first view (Bernard, Bürki, Easton, Gealy, Guthrie, Huther, Jeremias, Kelly, Lenski, Ridderbos, Stott, Weiss; Barrett and Spicq with hesitation) note that the entire phrase (with the verb φυλάσσω) occurs only twice elsewhere in the NT, both in the PE, and argue that in those places (1 Tim. 6:20; 2 Tim. 1:14—only two verses away) it has this meaning and should, therefore, here as well. Furthermore, they argue that the context is concerned about the gospel message that must be transmitted, not about Paul’s own life. This understanding, it is said, would make a natural transition to the following verses, especially v. 14.
Those in favor of the second view (Alford, Bouma, Calvin, Fee, Hendriksen, Kent, Lock, Moellering, Robertson, Schlatter, Simpson, van Oosterzee, Ward, N. J. D. White; Barclay, “Paul’s Certainties VII”) argue that in this context the deposit is more likely to be what Paul has committed to God, e.g., his own life, since the statement speaks of God as the one who “guards” and of the deposit as Paul’s (“my”). These two factors taken together distinguish this passage from the other two occurrences of the word (1 Tim. 6:20; 2 Tim. 1:4). In them, Timothy, a human being, is the subject of φυλάσσω; it is he who is to guard the deposit, which is not personalized as “my” deposit, as it is here. “My” with the deposit here seems more naturally to refer to what Paul has committed to another than to what has been committed to Paul.
This second view also fits this part of the verse, which is oriented to God’s care of Paul. ᾧ πεπίστευκα, “in whom I have put my trust,” has prepared the way for Paul to speak about the ability of the one in whom he trusts to guard “my deposit,” that which Paul has entrusted to God, which in effect he has already identified as himself in the statement “I have put my trust.” Furthermore, this perspective fits the letter as a whole and particularly this section, where Paul is encouraging Timothy to suffer for the gospel. Paul is concerned not only for Timothy’s fidelity but also that Timothy be assured that God will take care of his suffering servant. Paul gives him this assurance by pointing out this reality in his own life (cf. Paul’s references to God’s care for his life throughout the letter, e.g., 4:8, 17–18, and the maxim that those who endure will reign with Christ, 2:12). For the appropriateness of this view of the “deposit” to what follows see below.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PE Pastoral Epistles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NEB New English Bible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NEB New English Bible
PE Pastoral Epistles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78–380.
 
 
728x90
Therefore qdo not be ashamed of rthe testimony about our Lord, nor of sme his prisoner, but tshare in suffering for the gospel by the power of God, uwho saved us and vcalled us to1 a holy calling, wnot because of our works but because of vhis own purpose and grace, which he gave us in Christ Jesus xbefore the ages began,2 10 and which now has ybeen manifested through zthe appearing of our Savior Christ Jesus, awho abolished death and bbrought life and cimmortality to light through the gospel,
q See Mark 8:38
r See 1 Cor. 1:6
s [ver. 16]; See Eph. 3:1
t ch. 2:3, 9; 4:5
u 1 Tim. 1:1; Titus 3:4
v [Heb. 3:1]; See Rom. 8:28
1 Or with
w Titus 3:5; See Rom. 3:27
v [Heb. 3:1]; See Rom. 8:28
x Titus 1:2; [Rom. 16:25]; See Eph. 1:4
2 Greek before times eternal
y See Rom. 16:26
z See 2 Thess. 2:8
a 1 Cor. 15:26; [1 Cor. 15:54, 55; Heb. 2:14, 15]
b [Job 33:30]
c Rom. 2:7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1:8–10.
 
8 그러므로 너는 내가 우리 주를 증언함과 또는 주를 위하여 갇힌 자 된 나를 부끄러워하지 말고 오직 하나님의 능력을 따라 복음과 함께 고난을 받으라
9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사 거룩하신 소명으로 부르심은 우리의 행위대로 하심이 아니요 오직 자기의 뜻과 영원 전부터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에게 주신 은혜대로 하심이라
10 이제는 우리 구주 그리스도 예수의 나타나심으로 말미암아 나타났으니 그는 사망을 폐하시고 복음으로써 생명과 썩지 아니할 것을 드러내신지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1:8–10.
 
8절은 6-7절의 결과로 디모데가 구체적으로 실천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밝힌다. 바울은 무엇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무엇을 해야하는지를 말한다. 
 
8절) 바울은 주를 증언함과 또는 주를 위하여 갇힌 자 된 나를 부끄러워하지 말 것을 권고한다. ‘주의 증거’라고 번역된 ‘토 마르튀리온 투 퀴리우’에서 ‘주의’에 해당하는 ‘투 퀴리우’는 주격적 소유격으로도 혹은 목적격적 소유격으로도 해석 가능하다. 주격의 경우 ‘우리 주님께서 행하신 증언’이라는 의미이고 목적격의 경우 ‘우리 주님에 대한 증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대부분의 번역은 이를 ‘about our Lord, 우리 주님에 대한’로 했다. 또한 ‘증언, 증거’라고 번역된 ‘마르튀리온’은 ‘목격자, 증인, 순교자’를 의미하는 ‘마르튀스’에서 파생된 표현으로 당시 초대교회에서 주님에 대한 증언은 순교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니까 복음을 전하는 과정에서 겪어야하는 고난과 역경을 부끄러워하지 말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바울은 복음을 전했다는 이유로 갇힌 자가 되었는데 이것에 대해서도 부끄러워하지 말라는 것이다. 
‘주를 위하여 갇힌 자 된 나’라는 표현은 빌 1:12; 몬 1:1,  9; 엡 3:1; 4:1등에서 언급된 적이 있다. 그러나 이 구절들에서 언급된 투옥은 제1차 로마 투옥(AD 61-63)을 가리킨다. 하지만 본문 8절에서 언급된 투옥은 제2차 로마 투옥(AD 67)을 가리킨다. 이 2차 투옥중에 바울은 순교했다. 바울은 이처럼 실제적인 투옥의 고난 속에서도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았고 디모데에게 이를 부끄러워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디모데에게 주신 것은 두려워하는 마음이 아니라 오직 능력과 사랑과 젤제하는 마음이다. 바울은 자신이 지은 어떤 죄로 인해서 투옥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다가 투옥된 것이기에 부끄러워하지 말라고 말하는 것이다. 
‘부끄러워하지 말고’는 ‘메 에파이스퀸테스’로 ‘수치를 당하다’라는 의미의 ‘에파이스퀴노마이’의 부정과거 수동태 표현이다. 여기에 동사를 부정하는 ‘메’와 함께 사용되어 ‘부끄러워하지 말라’로 사용되었다. 
 
혹시 실제로 당시 디모데가 갇힌 바울로 인하여 혹은 주를 증언함으로 인하여 부끄러워했을까? 앞서 7절에서 디모데에게 두려워하지 말것을 권고한 바 있고 디모데가 소심한 성격을 가졌다면 충분히 그런 상황에 처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을지라도 혹시 언제 엄습해올지 모르는 수치의 감정을 사전에 근원적으로 차단하려는 마음에서 거듭 이런 충고를 하고 있는 것이다. 복음을 전하는 자는 매임을 받을 수 있으나 하나님의 복음은 결코 매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는 복음 자체에 대해 또한 복음을 전하는 것으로 인하여 당하는 어떠한 고난도 부끄러워해서는 안된다. 
 
바울은 일차적으로 부끄러워하지 말것을 명하고 나아가 더욱 적극적으로 복음과 함께 고난을 받을 것을 명한다. ‘함께 고난을 받으라’로 번역된 ‘슁카코파데손’은 본래 '고난 받다'라는 의미의 동사 ‘카코파데오’와 ‘함께’라는 의미의 접두사 ‘쉰’의 합성어이다. ‘카코파데오’는 ‘나쁜, 악한’을 의미하는 ‘카코스’와 ‘경험하다, 겪다, 고생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파스코’의 합성어로 원래 ‘불행을 겪다, 고난받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자신의 육체에 채우는 일에(골 1:24) 디모데가 동참해야함을 분명하게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복음과 함께, 복음을 위하여 고난 받는 것은 우리의 힘과 능력으로가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능력으로 가능하다. 
 
‘복음과 함께 고난을 받으라’, 바울은 디모데를 향해, 나아가서 믿는 우리들을 향해서 부끄러워하지 말것과 나아가 복음과 함께 고난을 받을 것을 명하고 있다. 나는 무엇을 부끄러워하는가? 나는 복음과 함께 고난 받는 것을 기쁘게 여기는가? 나아가 다른 누군가에게 복음과 함께 고난을 받자고 이야기할 수 있는가? 이야기하고 있는가? 
 
1:8 Because the spirit God gave us is not one of cowardice but of power, etc., Paul can “therefore” (οὖν) admonish Timothy not to “be ashamed,” i.e., embarrassed (ἐπαισχυνθῇς, aorist subjunctive with μή as a prohibition; deponent passive with transitive use: Robertson, Grammar, 817f.; cf. Kee, “Shame”) of τὸ μαρτύριον τοῦ κυρίου ἡμῶν. “The testimony” (τὸ μαρτύριον) is Christian preaching and the gospel generally (as in 1 Cor. 1:6; [variant reading in 2:1]; 2 Thes. 1:10; cf. especially the other PE* occurrence, 1 Tim. 2:6; BAGD s.v. 1b; H. Strathmann, TDNT IV, 504).
This testimony is “about” “our Lord” (objective gen. τοῦ κυρίου [like τοῦ Χριστοῦ in 1 Cor. 1:6]; NIV, RSV, and NEB have “to our Lord”). From this point on 2 Timothy uses κύριος without further identification (1:16, 18 [2x]; 2:7 [variant reading in 14], 19 [2x], 22, 24; 3:11; 4:8, 14, 17, 18, 22). Because of the earlier use of κύριος clearly identified as “Christ Jesus” (1:2), because τὸ μαρτύριον is more directly related to Christ (cf. 1 Cor. 1:6), and because one might more likely be in danger of being ashamed of Christ, a religious leader put to death as a criminal by Roman authorities and repudiated by Jewish religious leaders, than of God, it is most likely that κύριος here is a designation for Christ. Thus while Paul warns Timothy not to be ashamed of Christ, he also reminds Timothy, with the designation τοῦ κυρίου ἡμῶν, that Christ is the sovereign master of Christians’ lives.
μηδέ, “nor,” is used to continue the preceding negation (μή) and the previous verb (ἐπαισχυνθῇς; BAGD s.v. μηδέ 1a). Thus Paul urges Timothy not to be ashamed of him (ἐμέ) as one who is a “prisoner” (δέσμιον) in Rome (cf. 1:17; 4:16–17). It is striking that Paul refers to himself not as Rome’s prisoner but as “his” (αὐτοῦ), i.e., “the Lord’s” prisoner, with αὐτοῦ referring back to τοῦ κυρίου. His imprisonment is for no other reason than that he serves the Lord. Paul always refers to himself as a δέσμιος in this way (δέσμιος Χριστοῦ Ἰησοῦ, Eph. 3:1; Phm. 1, 9; δέσμιος ἐν κυρίῳ, Eph. 4:1). That he does so here gives Timothy perspective on Paul’s imprisonment and thereby gives him reason not to be ashamed of the apostle.
Paul joins an imperative to the prohibition μὴ ἐπαισχυνθῇς with ἀλλά so that the thrust of the sentence shifts to the positive exhortation: “Do not be ashamed …, but join with me.…” The verb συγκακοπαθέω** (also in 2:3; here imperative συγκακοπάθησον; cf. κακοπαθέω** in 2:9; 4:5) means “suffer together with someone.” Since the someone is not explicitly indicated, and since Paul, who is obviously suffering, is the one encouraging Timothy to suffer together with someone, it is often assumed that the someone is Paul (e.g., NASB, NIV), although others have left that an open question with “take your share of suffering” (e.g., RSV, NEB; similarly TEV).
τῷ εὐαγγελίῳ (dative of advantage) specifies that for which Timothy is to suffer, “the gospel,” God’s good news to mankind (see vv. 9–10). This is the first of three occurrences of εὐαγγελίον in 2 Timothy (also in 1:10; 2:8; elsewhere in PE* in 1 Tim. 1:11, which see). As always Paul’s exhortation is based on God’s enabling grace, and thus he exhorts Timothy to join with him in suffering for the gospel κατὰ δύναμιν θεοῦ, with κατά used in the sense of “in” or “by.” δύναμις θεοῦ (in Pl.* in Rom. 1:16; 1 Cor. 1:18, 24; 2:5; 2 Cor. 6:7; 13:4 [2x]) harks back to the πνεῦμα … δυνάμεως of v. 6. Timothy can rely upon “God’s power” because God’s powerful Spirit is in him to give him that power (cf. Eph. 3:16, 20).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72–373.
 
9절) 바울은 본절에서 우리의 구원과 소명이 우리의 행위로 인함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과 은혜로 인함임을 밝힌다. 바로 우리가 마땅히 함께 고난 받아야하는 그 복음으로 인해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셨다.
 
여기서 ‘구원하사’로 번역된 ‘소산토스’는 ‘구원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소조’의 부정과거 능동태 분사형이다. ‘소테리아-구원, 구출’, ‘소테르-구주, 구원자’라는 표현이 파생되었다. 
 
σῴζω (sōzō), 동사. 구원하다, 구하다. 미래 능동태. σώσω; 부정과거 능동태. ἔσωσα; 완료 능동태. σέσωκέν; 부정과거 능동태. ἐσώθην; 완료 중간태. σέσωσται. 히브리어 등가: ישׁע (83), מלט 1 (26). 아람어 등가: יזב (1).
동사 용법
1. 구출하다 — 해로움이나 악에서 벗어나게 하거나 어떤 경우에서는 구금에서 풀어 주다. 관련 주제: 구조하다.
막 8:35|| ψυχὴν αὐτοῦ σῶσαι ἀπολέσει
막 15:30|| σῶσον σεαυτὸν
눅 23:35|| Ἄλλους ἔσωσεν,
히 5:7 τὸν δυνάμενον σῴζειν αὐτὸν ἐκ θανάτου
유 23 οὓς δὲ σῴζετε ἐκ πυρὸς ἁρπάζοντες,
2. 구원 받은 (상태) — 죄에서 구해지거나 구조되다(그리고 결과적으로 심판에서).
행 2:40 Σώθητε ἀπὸ τῆς γενεᾶς τῆς σκολιᾶς ταύτης.
행 4:12 ἐν ᾧ δεῖ σωθῆναι ἡμᾶς.
엡 2:5 χάριτί ἐστε σεσῳσμένοι—
딤전 2:4 ὃς πάντας ἀνθρώπους θέλει σωθῆναι καὶ εἰς
딤전 2:15 σωθήσεται δὲ διὰ τῆς τεκνογονίας, ἐὰν μείνωσιν
3. 구원하다 (종교) — 죄와 그에 따르는 심판으로 부터 구하다 또는 악에서 구원하다. 관련 주제: 구원; 구원; 호산나.
딤후 1:9 τοῦ σώσαντος ἡμᾶς καὶ καλέσαντος κλήσει ἁγίᾳ,
딤후 4:18 καὶ σώσει εἰς τὴν βασιλείαν αὐτοῦ τὴν
딛 3:5 αὐτοῦ ἔλεος ἔσωσεν ἡμᾶς
약 4:12 ὁ δυνάμενος σῶσαι καὶ ἀπολέσαι·
약 5:20 ὁδοῦ αὐτοῦ σώσει ψυχὴν
4. 치료 받다 ⇔ 구원 받다 — 치료되다, 매임이나 다른 고통에서 구해지거나 구원받았다는 의미로.
마 9:22|| καὶ ἐσώθη ἡ γυνὴ ἀπὸ τῆς ὥρας
막 5:23 ἵνα σωθῇ
막 5:28|| Ἐὰν ἅψωμαι κἂν τῶν ἱματίων αὐτοῦ σωθήσομαι.
행 4:9 τίνι οὗτος σέσωσται,
행 14:9 ἰδὼν ὅτι ἔχει πίστιν τοῦ σωθῆναι
5. 구조되다 (상태) — 해로움이나 악, 그리고 경우에 따라 수감에서 자유로운. 관련 주제: 구조하다.
마 24:22|| οὐκ ἂν ἐσώθη πᾶσα
행 16:30 Κύριοι, τί με δεῖ ποιεῖν ἵνα σωθῶ;
행 27:20 λοιπὸν περιῃρεῖτο ἐλπὶς πᾶσα τοῦ σῴζεσθαι ἡμᾶς.
6. 치유하다 ⇔ 구하다 — 치유하다, 구금 또는 기타 고난에서 사람을 구하거나 건져내는 것으로 생각하여.
마 9:22|| ἡ πίστις σου σέσωκέν σε.
막 5:34|| Θυγάτηρ, ἡ πίστις σου σέσωκέν σε·
막 10:52|| Ὕπαγε, ἡ πίστις σου σέσωκέν σε.
눅 17:19 ἡ πίστις σου σέσωκέν σε.
약 5:15 καὶ ἡ εὐχὴ τῆς πίστεως σώσει τὸν
칠십인역 참조 구절
창 19:17; 삼상 19:11; 시 3:8; 시 21:6; 시 71:4; 잠 11:31; 호 14:4; 욜 2:32; 사 10:22; 사 45:20; 렘 31:6
동사. 동사
미래 능동태. 미래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완료 능동태. 완료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수동태
완료 중간태. 완료 중간태
||  || 눅 9:24 || 마 16:25
||  || 마 27:40
||  || 막 15:31 || 마 27:42
||  || 막 5:34
||  || 마 9:21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  || 막 13:20
||  || 막 5:34 || 눅 8:48
||  || 눅 8:48 || 마 9:22
||  || 눅 18:42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소조’는 위험이나(요 12:27) 병으로부터(마 9:22) 구출되어 안전케됨은 물론 죽음에서 벗어나게 되었음을 묘사할 때도 사용되었고(마 14:30) 본절에서는 죄로 인한 영원한 죽음으로부터의 구원을 나타낸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시는 이유는 ‘거룩하신 소명으로 부르심’이다. ‘거룩하신’으로 번역된 ‘하기아’는 ‘거룩한, 구별된, 성별된’을 의미하는 ‘하기오스’의 여격이다. 구원의 목적과 결과는 바로 거룩이다.(살전 4:7) 이것이 성화이고 이는 영화로 연결된다. 
 
이 거룩하신 소명으로 부르심은 인간의 행위에 따른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 자신의 뜻과 영원전부터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에게 주신 그분의 은혜로 인한 것이다. 
디도서 3:5
5우리를 구원하시되 우리가 행한 바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지 아니하고 오직 그의 긍휼하심을 따라 중생의 씻음과 성령의 새롭게 하심으로 하셨나니
바울은 그의 서신서 전반을 걸쳐서 행위 구원론이나 공적 구원론을 거부한다. 바울은 본절에서 인간의 구원과 부르심의 요소로 두가지를 언급하는데 첫번째는 하나님의 뜻이고 두번째는 영원전부터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에게 주신 은혜이다. 즉 하나님의 뜻과 은혜만이 인간의 구원과 소명을 이루는 유일한 조건이자 방법인 것이다. 
‘뜻’으로 번역된 ‘프로데신’의 원형 ‘프로테시스’는 ‘계획, 목적, 앞에 차린 진설병’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로마서 8:28
28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로마서 9:11
11그 자식들이 아직 나지도 아니하고 무슨 선이나 악을 행하지 아니한 때에 택하심을 따라 되는 하나님의 뜻이 행위로 말미암지 않고 오직 부르시는 이로 말미암아 서게 하려 하사
에베소서 1:11
11모든 일을 그의 뜻의 결정대로 일하시는 이의 계획을 따라 우리가 예정을 입어 그 안에서 기업이 되었으니
에서 뜻, 계획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은혜’로 번역된 ‘카린’의 원형 ‘카리스’는 ‘하나님께서 자유롭게 베푸신 선의, 받을 자격이 없는 이에게 아무 대가 없이 거저 주는 선물’을 의미한다. 바울은 이 은혜가 ‘영원 전부터’ 또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주어졌다는 사실을 지적함으로 이 은혜가 가지는 ‘영원성과 중보성’을 강조한다. 
우리의 행위로는 구원을 통한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을 수 없다. 오직 하나님의 뜻과 은혜로만 가능하다. 
 
1:9 As is often the case with Paul, the mention of the gospel and of God triggers a statement of praise and thanksgiving or a kind of doxology (cf. 1 Tim. 1:17; 6:15f.; Rom. 11:33–36). Here and in the following verse he gives a further statement about God and his gospel (cf. 1 Cor. 15:3–4 and especially Rom. 1:2–4).
τοῦ σώσαντος is the equivalent of an explanatory relative clause and is generally rendered as such: “who has saved” (Burton, Syntax, §426). Paul wants Timothy to remember that God, whose gospel he is asked to suffer for, has saved him (for σῴζει θεός see 1 Cor. 1:21; Tit. 3:5). σώσαντος specifies what God purposed “in Christ Jesus” and manifested in him as “our Savior” (v. 10). Christ’s work as Savior “abolished death, and brought life and immortality to light,” and thus σώσαντος means that God has saved us from death and brought us life and its attendant immortality. ἡμᾶς, “us,” in this general statement of truth designates the Christian community as a whole (cf. 2:11–13), even though it may be particularly applied to Paul and Timothy, as the designation of those “called” by God indicates.
καλέσαντος, also governed by the article τοῦ, further describes God. καλέω is used in the NT and especially in Paul of a “call” that is effectual (K. L. Schmidt, TDNT III, 489), i.e., of the choice of a person for salvation (BAGD s.v. 2). Most often in Paul, as here, it is God who calls (e.g., Rom. 8:30; 9:12 [11 in English versions], 24; 1 Cor. 1:9; Gal. 1:6; 5:8; 1 Thes. 5:24).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the precise force of dative κλήσει ἁγίᾳ, “a holy calling.” Some suggest that it is dative of means or of instrument, “with a holy calling” (RSV, NASB; Schmidt, TDNT III, 492; BAGD s.v. 1; Bouma) because the calling comes from a holy God. Others take it as dative of interest: called “to a holy life” (NIV; NEB: “called to be saints”; Barrett, Kelly, Lenski, Lock, Robertson, N. J. D. White). κλῆσις (Pl.* 9x: Rom. 11:29; 1 Cor. 1:26; 7:20; Eph. 1:18; 4:1, 4; Phil. 3:14; 2 Thes. 1:11) is used in both senses in the NT (see the occurrences and BAGD s.v. 1, 2). The syntactical construction of τῆς κλήσεως ἧς ἐκλήθητε in Eph. 4:1 points to the first understanding, “with a holy calling.” At the same time,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the phrase in Eph. 4:1 is to call Christians “to walk in a manner worthy” of that calling. It may well be that the phrase here functions in that kind of double capacity.
Paul goes on to deny that God’s saving and calling is “on the basis of” (κατά, BAGD s.v. II.5d; seen especially Tit. 3:5) “our deeds,” as he does elsewhere (Rom. 3:20; 9:11; Gal. 2:16; and especially Eph. 2:9; cf. Marshall, “Faith and Works”). ἡμῶν carries on the persistent reference to the first person plural that marks this section (vv. 7, 8, 10, 14; cf. v. 2).
The introduction of a positive statement by ἀλλά after a negative statement continues a pattern seen also in vv. 7 and 8. God has not saved and called us because of our works, but “on the basis of” (κατά, BAGD s.v. II.5d) his plan and grace. πρόθεσις (Pl.* 6x: Rom. 8:28; 9:11; Eph. 1:11; 3:11; 2 Tim. 1:9; 3:10) has as one basic set of meanings “plan, purpose, resolve, will.” Here, as in most of the Pauline occurrences (except 2 Tim. 3:10), it is used of the divine purpose. ἰδίαν, “his own,” emphasizes that it is God’s own purpose and no one else’s. Since χάριν, “grace,” is connected to ἰδίαν πρόθεσιν by καί, it is also governed by ἰδίαν. Thus salvation is not only on the basis of God’s purpose but also on the basis of “his own” χάρις, the gracious intention of God. Paul also links these two elements, God’s purpose or will and his gracious intention, elsewhere as the basis for human salvation. In Rom. 8:28 God’s “purpose” is set in the context of his love (vv. 35, 39), in Rom. 9:11 in the context of his mercy (vv. 15f., 18), in Eph. 1:11 and 3:11 in the context of his grace (1:6–7; 3:2). One term emphasizes God’s plan, the other his attitude and intention. For κατὰ χάριν* elsewhere in Paul see Rom. 4:4, 16; 12:6; 1 Cor. 3:10; 2 Thes. 1:12.
In the participial construction that follows singular τὴν δοθεῖσαν refers either to πρόθεσιν and χάριν as one, or, more likely, just to χάριν as that which is “given” to us (for δίδωμι with χάρις in Paul cf. Rom. 12:3, 6; 15:15; 1 Cor. 1:4; 3:10; 15:57; 2 Cor. 8:16; Gal. 2:9; Eph. 3:8; 4:7; 2 Thes. 2:16). God saved us and called us by giving his grace to “us” (ἡμῖν designating all Christians).
That he gave it “in Christ Jesus” signifies that it is brought to us in Christ’s person and work. Paul speaks elsewhere of “God’s grace” having abounded to many in “the one man, Jesus Christ” (Rom. 5:15), so that they received “abundance of grace” through him (5:17) and that “grace might reign through righteousness to eternal life through Jesus Christ” (5:21). Paul also says that God freely bestowed his grace on us “in the beloved” (Eph. 1:6). In every Pauline salutation God’s grace is said to be from both Christ and God the Father, and nearly every concluding benediction in the Pauline letters wishes that “the grace of our Lord Jesus (Christ) be with” the recipients (Rom. 16:20; 1 Cor. 16:23; 2 Cor. 13:13; Gal. 6:18; Phil. 4:23; 1 Thes. 5:28; 2 Thes. 3:18; Phm. 25).
Grace was given to us in Christ πρὸ χρόνων αἰωνίων. When used of time πρό consistently has the meaning “before” (see BAGD s.v. 2 for the occurrences). But what is the meaning of the combination πρὸ χρόνων αἰωνίων** (Rom. 16:25; Tit. 1:2)? Except for the rendering of the RSV, “ages ago,” there is a consensus among commentators and translations that the phrase, literally “before times eternal,” is best understood here as “from all eternity” (NASB, NEB) or “before the beginning of time” (NIV, TEV). This is in accord with Paul’s perspective, which speaks of God’s decision before time and the world began (1 Cor. 2:7: πρὸ τῶν αἰωνίων; Eph. 1:4: πρὸ καταβολῆς κόσμου).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EB New English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73–375.
 
10절) 원어 성경에는 역접을 의미하는 접속사 ‘데’가 있다. 따라서 본절의 시작을 ‘그러나 이제는’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는 9절의 진술과 선명하게 대조되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영원 전부터 계획되고 예비된 뜻과 은혜가 이제 분명하게 우리에게 나타났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과거 영원전부터 계획되고 발생한 이 사건이 드디어 역사적인 사건으로 실현되었음을 ‘이제는’이라는 표현으로 나타내고 있다. 크로노스가 카이로스속에 실현된 것이다. 
 
그렇다면 놀라운 하나님의 구원과 부르심의 사건을 어떻게 드러나는가? 바울은 그것이 ‘우리 구주 그리스도 예수의 나타나심으로 말미암아 나타났으니’라고 선언하고 있다. ‘나타나심으로’로 번역된 ‘아피파네이아스’는 그리스도의 재림을 지칭하는데 사용되었지만(살후 2:8; 딤전 6:14; 딤후 4:1, 8) 여기서는 그리스도의 초림, 성육신 사건을 지칭한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은 영원에서 발생한 하나님의 뜻, 구원의 놀라운 시작이 인간의 역사와 시간을 뚫고 들어와 비로소 성취된 놀라운 사건이다. 이 놀라운 사건의 주인공이 바로 ‘우리 구주 그리스도 예수’이시다. 
 
 
그리스도께서 인간의 역사속에 나타나심으로 이루신 두가지 사건을 바로 첫번째 사망을 폐하시고 두번째 복음으로써 생명과 썩지 아니할 것을 드러내신 것이다.
먼저 ‘폐하다’로 번역된 ‘카타르게산토스’는 본래 ‘쓸모없게 되다, 폐지하다, 파괴하다’라는 뜻을 지닌 원형 ‘카타르게오’의 부정 과거형으로 이런 폐함의 과정이 아직 마무리되지 못한 것이 아니라 완전히 끝났다는 의미를 전달해준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으로 완벽하게 페하여진 것, 파괴된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사망(다나토스)’이다. 우리 주님께서는 육체적인 죽음이 가져다주는 죽음에 대한 공포와 그 쏘는 힘을 완전히 폐하셨다(힘 2:14-15; 고전 15:55)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 육체적인 죽음은 영원한 소멸이 아닌 영원한 생명으로 진입하는 문이 된 것이다. 
두번째 성육신의 결과는 ‘드러내신 것’이다. ‘드러내신지라’로 번역된 ‘포티산토스’는 ‘불을 밝히다’라는 뜻을 지닌 ‘포티조’의 부정 과거형으로 ‘환하게 밝혀주었다’라는 의미를 전달한다(고전 4:5; 엡 1:18, 3:9). 그렇다면 무엇을 밝혀준 것인가? 그것은 ‘생명과 썩지 아니할 것’(조엔 카이 압다르시안)이다. 생명이 바로 썩지 아니할 것이다. 앞서 사망이 썩는 것이라면 생명은 썩지 않는 것이다. 이처럼 생명과 썩지 아니할 것은 앞서 언급된 ‘사망(다나토스)’의 반의어로 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이 인간에게 불멸의 생명을 제공했다는 사실을 명백히 드러낸다. 이런 불명의 생명은 ‘복음으로써’ 그러난다. ‘디아 투 유앙겔리우’ 직역하면 ‘그 복음을 통하여’이다. 그 복음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이처럼 복음을 통하지 않고는, 그리스도를 통하지 않고는 생명을 얻을 수 없다. 
 
1:10 Paul moves from God’s eternal plan and the grace resident in Christ to the manifestation of that grace in the appearing of Christ as the Savior who accomplishes salvation by abolishing death and providing life and immortality. The shift is indicated by the verb φανερόω and the temporal adverb νῦν, “now,” “at the present time,” which is set in contrast to πρὸ χρόνων αἰωνίων (v. 9).
The feminine singular participle φανερωθεῖσαν agrees with χάριν, as did the previous participle τὴν δοθεῖσαν, and parallels that previous participle. That earlier clause related that God’s grace was given to us in Christ “before the beginning of time.” This clause relates that “now” God’s grace has been “made visible” or “revealed” (other Pauline uses of φανερόω most like this one are in Rom. 16:26; Col. 1:26; and the other PE* occurrences, 1 Tim. 3:16; Tit. 1:3). This manifestation of grace has taken place “through” (διά) Christ’s “appearance.” Paul is the only NT writer to use ἐπιφάνεια** (also in 2 Thes. 2:8; 1 Tim. 6:14; Tit. 2:13; 2 Tim. 4:1, 8), “appearing” or “appearance,” and he uses it exclusively of the “appearing” of Jesus in his first (only here) or second coming (the other occurrences). Paul thus states that God’s grace was made visible in the earthly ministry of Jesus, in which this Jesus appeared in his capacity as “Christ,” the anointed one (Χριστοῦ, see 1 Tim. 1:1f.), and as “our Savior” (τοῦ σωτῆρος ἡμῶν). Paul refers to Jesus as σωτήρ 6x in his letters (Eph. 5:23; Phil. 3:20; Tit. 1:4; 2:13 [see the comments there]; 3:6) and once in Acts (13:23). As the “Savior” Christ accomplished what Paul goes on to describe, and it is through those acts that God made his grace known and saved us.
καταργήσαντος μὲν τὸν θάνατον describes the effectiveness of Christ’s work as Savior from a negative perspective. The μέν … δέ particles indicate both “connection and contrast” (Fairbairn; cf. further Robertson, Grammar, 1150–53). Hence θάνατον, “death,” is defined in part by contrast to “life and immortality” (cf. Jn. 5:24). The “life” that is brought is not physical but spiritual life, and “immortality” itself speaks of life beyond physical death. Therefore, “death” here must be the spiritual death associated with sin (cf. Rom. 6:6 [the same verb]; 7:24; 8:2). Christ has “abolished” (καταργήσαντος) this death, so that it no longer has a hold on his people. Thus Paul speaks of Christ bringing “life” to Christians (cf. Rom. 6:4, 11, 13). When those who belong to Christ are resurrected, the last aspect of “death,” physical death itself, will also be abolished (cf. 1 Cor. 15:26, using the same verb as here), and this, too, will occur on the basis of Christ’s decisive work, which, according to Heb. 2:14, took place in Jesus’ own death.
Christ has “brought life to light” (φωτίσαντος, Pl.* 4x: also in 1 Cor. 4:5; Eph. 1:18; 3:9). He has thus “not only shown it, but effectively manifested it” (H. Conzelmann, TDNT IX, 349). “Life” (ζωήν) here is the supernatural and spiritual life that was promised to believers in Christ (cf. 1:1). Christ embodies life (he speaks of himself as the life in Jn. 11:25; cf. Col. 3:4) and brings it to give to others (Rom. 5:17; 6:4; 2 Cor. 4:10–11; 1 Jn. 5:11–12). Paul joins to ζωήν the word ἀφθαρσίαν** (also in Rom. 2:7; 1 Cor. 15:42, 50, 53, 54; Eph. 6:24), “incorruptibility,” “immortality,” to provide the appropriate eternal dimension, just as he sometimes adds the word “eternal.”
Christ has brought these great realities “through the gospel” (διὰ τοῦ εὐαγγελίου, this phrase in Paul* at 1 Cor. 4:15; Eph. 3:6; 2 Thes. 2:14), i.e., through the “good news” about his death and resurrection and about the significance of such for those who embrace that good news (cf. especially 1 Cor. 15:1–4 and then Eph. 3:6; 2 Thes. 2:14; 1 Cor. 4:15). The combination of “brought to light” with the prepositional phrase “through the gospel” joins the once-for-all historical redemptive deed of Jesus (his life, death, and resurrection) with the message about it and one’s response (implied) to it. The two horizons are fused in this statement. That Jesus brought life and immortality to light in his life and resurrection is the essence of the gospel, and he brought life and immortality to light to the believer “through the gospel” message.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75–376.
 
 
 
 
728x90
 For this reason I remind you nto fan into flame the gift of God, which is in you through the laying on of my hands, for God gave us oa spirit not of fear but pof power and love and self-control.
n 1 Tim. 4:14; [1 Thess. 5:19]
o Rom. 8:15; [John 14:27; Rev. 21:8]
p Luke 24:49; Acts 1: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1:5–7.
 
6 그러므로 내가 나의 안수함으로 네 속에 있는 하나님의 은사를 다시 불일듯 하게 하기 위하여 너로 생각하게 하노니
7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것은 두려워하는 1)마음이 아니요 오직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1)마음이니
1) 헬, 영
1) 헬, 영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1:6–7.
 
앞선 5절까지의 내용이 서론(인사말)이었다면 본 6절부터 4:8까지가 딤후의 본론부에 해당한다. 전반부는 1:6-2:26로 복음 사역자의 자세에 대한 교훈과 격려라면 후반부인 3:1-4:8은 복음 사역자로서 직무에 충성하라는 명령이다. 
 
앞서 바울은 디모데에게 외조모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로부터 받은 거짓이 없는 믿음이 있음을 언급한 후에 이런 이유로 하나님의 은사를 다시금 불 붙게 하기위해 충고한다. 
 
6절) 바울은 디모데의 은사가 다시 불타오르게 하기 위해서 과거 자신이 디모데에게 안수했을때 하나님께서 디모데에게 주셨던 은사를 상기시키고 있다. 딤전 4:14에서는 디모데에 대한 안수가 장로회를 통해 이루어졌다라고 표현하는데 반하여 본절은 바울 자신의 의해서 이루어졌음을 강조한다. 이는 디모데에 대한 사역자로서의 안수가 장로회를 통해 주어진 것이 사실이지만 바울 개인이 행한 것으로 언급함으로 디모데가 바울 자신의 가장 사랑하는 아들이요 계승자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네 속에 있는 하나님의 은사를 다시 불일듯 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은사’는 ‘카리스마 투 데우’이다. ‘카리스마’는 ‘은혜-카리스’, ‘기쁨-카라’, ‘즐거워하다, 기뻐하다’카이로’에서 파생된 명사로 ‘자애로운 호의의 표시로 주는 선물, 특히 성령의 임재나 능력주시는 것이 특징인 은사나 선물’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은사는 은혜이며 감사, 기쁨이다. 이것이 은혜인 이유는 받을 자격이 없는 이들에게 하나님께서 주시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하나님의 은사는 기쁨과 즐거움을 주는 것이다. 
여기서 바울은 디모데가 안수를 통해서 받은 하나님의 은사가 외적이거나 가시적인 형태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내적인 은혜임을 ‘네 속에 있는’이라는 표현을 통해서 분명히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은사가 매우 가시적이고 능력적인 것으로 이를 바란다. 물론 은사에 이런 요소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은사는 우리 속에 있는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다시 불일듯 하게 하기 위하여’라는 표현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은사는 언제든지 꺼질 수 있다는 것이다. 혹자는 디모데 안에 있던 하나님의 은사가 완전히 소멸되었다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여기 사용된 동사 ‘아나조퓌레인’은 ‘계속해서 새롭게 불타오르도록 하다, 계속해서 극렬하게 타오르도록 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아나조퓌레오’의 현재 부정사로 디모데 안에 있는 은사가 새롭게 불타오르도록이라는 의미이다. 이 단어는 ‘다시’를 의미하는 ‘아나’와 ‘살다, 살아나다’를 의미하는 ‘자오’, ‘불, 불꽃’을 의미하는 ‘퓌르’의 합성어이다. 말그래도 '다시 불이 살아나다’는 의미이다. 이를 ESV와 NIV는 ’to fan into flame’, NASB ’to kindle a fresh’로 번역했다. 아마도 당시 연소했던 디모데는 사역을 하던 도중 교회 내에서 활동하던 거짓 교사들과 외적으로 가중되는 로마 제국의 핍박으로 인하여 크게 위축되어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여 바울이 보기에 디모데는 다시금 하나님의 사역자로 안수받던 당시에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은사들을 다시금 기억하며 약해졌던 불을 다시금 뜨겁게 불타오르게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위 본문을 새번역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디모데후서 1:6–7(새번역)
6이런 이유로 나는 그대를 일깨워서, 그대가, 나의 안수로 말미암아, 그대 속에 간직하고 있는 하나님의 은사에 다시 불을 붙이게 하려고 합니다.
7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비겁함의 영을 주신 것이 아니라, 능력과 사랑과 절제의 영을 주셨습니다.
 
거스리는 이렇게 말했다. ‘모든 그리스도인 사역자들은 그들 자신들이 맡은 임미구 아무리 작은 것이라 할지라도 하나님께서는 그들에게 그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만한 특별한 은사를 주시지 않은 채로 그 임무를 맡가시지 않는다는 사실을 지속적으로 확신해야 한다.’
 
1:6 fan into flame the gift of God. Paul does not explain what this gift is (see note on 1 Tim. 4:14), which allows the principle here to be seen as applicable to all kinds of spiritual gifts. Such gifts tend to fade in strength when they are not used and encouraged. The laying on of my hands may refer to Timothy’s ordination. This passage focuses on Paul’s part in that event, whereas 1 Tim. 4:14 mentions the involvement of “the council of elders.”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38.
 
1:6 On the basis of (διʼ ἣν αἰτίαν as a causal conjunction; BAGD s.v. αἰτία 1) the reality of Timothy’s genuine faith (v. 5) Paul reminds Timothy to “rekindle” (ἀναζωπυρεῖν,** a NT hapax; present infinitive of continuous action [Robertson]) “the gift of God.” This metaphor from the rekindling of a dying flame (so Fee) does not mean that Paul thought that Timothy’s faith was dying out, but that he should “fan into flame” (NIV) that special gift of God that he had received, i.e., make full use of it (cf. 1 Thes. 5:19). τὸ χάρισμα is used here in the sense of a special spiritual gift bestowed by God (τοῦ θεοῦ), as in some other occurrences in the NT (cf. 1 Pet. 4:10; Rom. 12:6; 1 Cor. 12:4, 9, 28, 30, 31).
From its association with laying on of hands here and in 1 Tim. 4:14 (see the comments there), this gift of Timothy seems to have been related to the ministry into which that act admitted him, so that the act was the occasion and the means by which (διά) God bestowed the gift. Therefore the gift was probably “a special enduement or anointing of the Spirit which Timothy received … to equip him for the work to which he had been called” (Stott). Paul refers to the event in a personal way here, “my hands,” because he is making a personal appeal to Timothy. Paul knows that Timothy has the gift within him (ἐν σοί) because he was one of the instruments through whom God bestowed it, and therefore he can rightly call on him to stir it up.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70–371.
 
7절) 한글 번역에서는 7절에서 ‘가르’라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를 번역하지 않았다. 이는 바울이 앞서 디모데의 안수식을 생각나게 함으로 그가 받은 하나님의 은사를 다시 불일듯하게 하고자 하는 이유를 밝히는 것이다.  그 이유를 설명하면서 바울은 ’not A but B’ 구문을 사용한다. 이는 헬라어로 ‘우 A 알라 B’의 형식이다. 바울이 먼저 부정하는 것은 ‘두려워하는 마음’이다. ‘마음’으로 번역된 ‘프뉴마’는 ‘영, 정신’이라는 의미를 지니는데 본절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것은 두려워하는 영이 아니라 오직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영이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ESV나 NIV는 모두 이 ‘프뉴마’를 ’spirit’로 번역했다. 여기서 두려워하는 으로 번역된 ‘데일리아스’는 본래 ‘의기소침함, 비겁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문의 좀더 적확한 번역은 ‘두려워하는 마음’이 아니라 ‘의기소침한 마음 혹은 비겁한 마음’이다. 아마도 당시 여러가지 이유로 디모데가 의기소침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니까 바울은 당시 의기소침해 있는 디모데에게 네가 안수를 받을 때 어떤 영을 받았는지를 기억함으로 다시금 열정에 불타오를 것을 촉구하는 것이다. 
 
디모데가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영, 마음은 다름아닌 능력과 사랑과 절제였다. 여기서 능력으로 번역된 ‘뒤나메오스’는 다이나마이트의 어원으로 ‘두나미스’의 속격이다. 바울은 이 능력을 롬 1:16에서도 사용했다. 사랑으로 번역된 ‘아가페스’는 갈 5:22에서 표명된대로 성령의 열매 가운데 하나로 두려움을 물리치는 힘이다(요일 4:18) 
요한1서 4:18
18사랑 안에 두려움이 없고 온전한 사랑이 두려움을 내쫓나니 두려움에는 형벌이 있음이라 두려워하는 자는 사랑 안에서 온전히 이루지 못하였느니라
절제하는 마음으로 번역된 ‘소프로니스무’의 원형 ‘소프로니스모스’는 ‘보존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소조’와 ‘생각’이라 의미의 명사 ‘프렌’의 합성어로 ‘지혜롭게 만들기, 누군가를 현명하게 만드는 원인, 자제, 절제, 수양’을 의미한다. 이 절제하는 마음은 근신, 자기 통제(self-control)로 신약성경에서 여기에 단 한번 등장한다. 
 
1:7 The appeal in v. 6 is further motivated (γάρ) by the statement here about the nature of the “spirit” that God has given to “us.” Is Paul referring to the χάρισμα of v. 6 under another designation, “a spirit,” or broadening the discussion and talking about the “Spirit” who imparts the χάρισμα, or referring to the “attitude” (“spirit”) that God has placed in “us”? The negative first statement in this verse has understandably inclined most modern English translations to use “spirit” with a lowercase letter (e.g., NIV), but the positive affirmation that follows seems to have the Holy Spirit in mind (so TEV: “Spirit”).
Other factors point to the latter choice: Paul connects χάρισμα and the Holy Spirit in 1 Cor. 12:5, 7. When he writes about the πνεῦμα “given” by God (Rom. 5:5; 1 Cor. 12:7; 2 Cor. 1:22; 5:5; 1 Thes. 4:8, all using the verb used here, δίδωμι) and “received” by humans (Rom. 8:15 in context; 1 Cor. 2:12), he almost always refers thereby to the Spirit of God (exceptions are the quotation in Rom. 11:8 and possibly Eph. 1:17).
But since the statement here begins with the negative, the generic lower-case “spirit” is probably the best decision after all, as long as one recognizes that the positive affirmation beginning with ἀλλά does, indeed, refer to the Spirit of God. If this understanding is correct, then ἡμῖν, “us,” refers to Christians in general (as in v. 9) rather than just to Paul and Timothy as those who have received a special χάρισμα (so, e.g., Lock and Parry), and aorist ἔδωκεν refers to the past action of God at the beginning of every Christian’s life in giving his “Spirit” (cf. 1 Cor. 12:13; Rom. 8:9, 11, 14–16).
The “spirit” that God did not give is one of δειλία** (a NT hapax), “timidity” or “cowardice.” Paul probably reminds Timothy of this both because of his own temperament and also because of the difficult situation in which he and Paul found themselves.
“But” (ἀλλά) God did give a spirit of δυνάμεως καὶ ἀγάπης καὶ σωφρονισμοῦ. Similar uses of the genitive with πνεῦμα are found in Rom. 8:2, 15; 2 Cor. 4:13; Eph. 1:17 and elsewhere in the NT (BAGD s.v. 5e). δύναμις, “power,” is a characteristic of the Holy Spirit in the NT (Lk. 4:14; Acts 1:8; Rom. 15:13, 19; Eph. 3:16). The “power” that characterizes the Spirit is that which he brings into the life of believers as he indwells them. Thus believers are “strengthened with power through his spirit in the inner person” (Eph. 3:16) and enabled to have a ministry of accomplishment “in the power of the Spirit” (Rom. 15:18–19).
The Spirit is also characterized by ἀγάπη (Rom. 15:10), and it is through the Spirit that God pours out his “love” into the hearts of believers (Rom. 5:5). Thus for the believer “love” is the first evidence of the fruit of the Spirit (Gal. 5:22), and the believer lives a life of “love in the Spirit” (Col. 1:8).
Paul also says that the Spirit is characterized by σωφρονισμός (a NT hapax but see the occurrences of the other σωφρ- words at 1 Tim. 2:9, 14; 3:2). Since Paul can speak of one aspect of the fruit of the Spirit as ἐγκράτεια (Gal. 5:23) one should not find this related term foreign to Paul’s way of thinking, as Hanson does. It is difficult to know which of its nuances this word has here (see BAGD): “making to understand,” “making wise,” and “admonition to do better”; “more rarely it can mean ‘discretion’ in the sense of ‘moderation,’ ‘discipline’ ” (U. Luck, TDNT VII, 1104). Paul uses a cognate term, σώφρων, “prudent, thoughtful, self-controlled,” when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a bishop (1 Tim. 3:2). When Paul desires that the believer ascertain properly what the Spirit has given him (Rom. 12:3) and live and act accordingly, he uses the cognate verb σωφρονεῖν, “to have sound judgment,” which seems in that context to combine the characteristics of prudence and self-discipline. Somewhat similar characteristics mark the description of the ministry of the Spirit of truth in Jn. 16:13: The Spirit “will not speak on his own initiative, but whatever he hears, he will speak.” It seems likely that Paul’s use of the cognate verb in Rom. 12:13 and the cognate adjective in 1 Tim. 3:2 are our best guides to his use of the noun her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71–372.
 
이처럼 바울은 교회 내부와 외부의 여러가지 문제로 인하여 위축되고 의기소침해 있는 디모데를 향해서 안수함을 통해서 너, 디모데를 사역자로 세우면서 하나님께서 어떤 은사를 주셨는지를 상기시켜주고 있는 것이다. 이는 두려워함이나 위축됨, 의기소침함이 아니라 능력과 사랑과 절제하는 영으로 이를 통해서 열정을 가지고 더욱 사역에 매진할 것을 촉구하는 것이다. 
 
 
728x90
 
목사, 그리고 목사직(이재철, 홍성사)
 
- 목사가 목사에게 던지는 7가지 질문
1) 나는 지금, 왜 목사로 살고 있는가?
2) 나는 출애굽기에 등장하는 두 목회자 가운데 어느 유형인가?
3) 나는 목사이기 이전에 전도인인가?
4) 나는 얼마나 자발적으로 고독한가?
5) 나는 얼마나 인간을 알고 있는가?
6) 나는 나의 목회를 소위 더 큰 목회를 위한 징검다리로 이용하고 있지는 않은가?
7) 나는 하나님의 심판을 믿고 있는가? 
 
이재철 목사가 자신의 목회를 마치고 사역을 하는 목사들에게 던지는 질문은 매우 날카롭다. 이 질문을 동일하게 사역을 하는 간사들 하고 싶다. 먼저 나에게...
728x90
fI thank God gwhom I serve, as did my ancestors, hwith a clear conscience, as I remember you iconstantly in my prayers night and day. jAs I remember your tears, kI long to see you, that I may be filled with joy. I am reminded of lyour sincere faith, a faith that dwelt first in your grandmother Lois and myour mother Eunice and now, I am sure, dwells in you as well.
f See Rom. 1:8
g See Acts 22:3; 24:14
h 1 Tim. 3:9; See Acts 23:1
i Rom. 1:9
j [Acts 20:37]
k Phil. 1:8; [ch. 4:9, 21]
l Rom. 12:9; 1 Tim. 1:5
m Acts 16:1; [ch. 3:15; Ps. 86:16; 116:16]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1:3–5.
 
3 내가 밤낮 간구하는 가운데 쉬지 않고 너를 생각하여 청결한 양심으로 조상적부터 섬겨 오는 하나님께 감사하고
4 네 눈물을 생각하여 너 보기를 원함은 내 기쁨이 가득하게 하려 함이니
5 이는 네 속에 거짓이 없는 믿음이 있음을 생각함이라 이 믿음은 먼저 네 외조모 로이스와 네 어머니 유니게 속에 있더니 네 속에도 있는 줄을 확신하노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1:3–5.
 
서신을 시작하면서 수신자와 발신자를 소개하고 축도를 마친 바울은 이제 디모데를 향한 감사의 기도를 드리고 있다. 
 
3절) ‘내가 밤낮 간구하는 가운데’, 여기서 ‘밤과 낮’이라는 표현은 하루 종일, 24시간을 의미하면서 ‘게으르거나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부지런하게 규칙적으로, 매일 하루도 빠지지 않고’라는 의미를 가진다. 다니엘에 정해진 시간 성전을 향해 하나님께 기도했던 것처럼, 예수님께서도 습관을 좇아 기도하셨던 것처럼 바울은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일 하나님께 기도로 교제하는 시간을 지속적으로 가지며 사역을 감당했다. 그렇기에 그는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향해서 ‘쉬지 말고 기도하라’(살전 5:17)라고 자신있게 명령할 수 있었다. 바울은 이렇게 밤낮 쉬지않고 기도할때마다 디모데를 향하여 감사로 중보기도를 했다고 말한다. 
 
본문에서 ‘쉬지 않고’로 번역된 ‘아디알레입톤’은 부정불변사 ‘아’와 ‘~을 통하여’란 의미의 전치사 ‘디아’, 그리고 ‘부족하다, 불충분하다’라는 의미의 ‘레이포’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는 ‘부족함이 없다’라는 의미이지만 여기에서는 시간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끊임없는, 그치지 않는’의미로 사용되었다. 결국 밤낮으로 간구하는 가운데 디모데를 항상 기억하며 중보기도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들은 밤낮으로 기도하는가? 그렇게 기도할 때마다 빼놓지 않고 기억하며 기도하는 대상과 내용은 무엇인가?
 
‘조상적부터 섬겨 오는 하나님께 감사하고’, 한글 번역에서는 ‘감사하고’가 가장 말미에 번역되어있지만 헬라어 원어는 ‘감사하고’에 해당하는 ‘카린’이 문장의 처음에 등장한다. 지금 바울의 상황은 로마 감옥에 투옥되어 죽음을 바라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속에서 바울은 자신의 삶에 대한 불평 불만이나 비관이 아니라 디모데를 향한 진실한 감사를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이 감사는 바로 자신에게 사도적 소명을 허락하신 하나님께 대한 것이다. 바울은 하나님을 ‘청결한 양심으로 조상적부터 섬겨오는 하나님’이라고 고백한다. ‘조상적부터’로 번역된 ‘아포 프로고논’은 ‘그 믿음이 바로 조상들이 가졌던 전통적 믿음’이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섬겨오는’으로 번역된 라트류오’는 ‘섬기다, 예배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라트류오’의 현재 능동태 직설법으로 ‘바울이 지금까지도 섬기고 있다’라는 사실을 더욱 강조한다. 즉 바울은 그의 조상들, 즉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을 비롯한 믿음의 선조들이 그랬던 것처럼 청결한 양심을 가지고 하나님을 섬겨 오고 있었던 것이다. 
 
λατρεύω (latreuō), 동사. 섬기다, 예배하다. 미래 능동태. λατρεύσω; 부정과거 능동태. ἐλάτρευσα. 히브리어 등가: עבד (60), עבר 1 (1), שׁרת (1). 아람어 등가: פלח (2).
동사 용법
1. 예배하다 ⇔ 섬기다 — 신을 예배하다, 신을 섬긴다는 의미로. 관련 주제: 성직자.
빌 3:3 οἱ πνεύματι θεοῦ λατρεύοντες
딤후 1:3 λατρεύω ἀπὸ προγόνων ἐν καθαρᾷ συνειδήσει,
히 8:5 (οἵτινες ὑποδείγματι καὶ σκιᾷ λατρεύουσιν τῶν ἐπουρανίων,
히 12:28 διʼ ἧς λατρεύωμεν εὐαρέστως τῷ θεῷ μετὰ
히 13:10 τῇ σκηνῇ λατρεύοντες.
칠십인역 참조 구절
출 3:12; 출 4:23; 출 7:16; 출 20:5; 출 23:24; 신 4:28; 신 6:13; 신 10:12; 수 22:27; 수 24:15; 겔 20:32
동사. 동사
미래 능동태. 미래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1:3 χάριν ἔχω,** “I thank” (also in Lk. 17:9; Acts 2:47; 2 Cor. 1:15; Heb. 12:28), is used here (and in 1 Tim. 1:12) in place of the more usual εὐχαριστέω (Rom. 1:8; 1 Cor. 1:4; Eph. 1:16; Phil. 1:3; Col. 1:3; 1 Thes. 1:2; 2 Thes. 1:3; Phm. 4) or the less usual εὐλογητός (2 Cor. 1:3; Eph. 1:3). The phrase is found in the literature of the day, including the papyri (see BAGD s.v. χάρις 5), and is comparable to the Latin expression gratiam habere (Simpson). Paul expresses his thanksgiving “to God” (τῷ θεῷ) here as he does in all his thanksgiving sections.
The relative clause attached to θεῷ gives further insight into Paul and his religious life by affirming that Paul continually “serves” God. Robertson renders the present tense verb, which he says emphasizes the continual unbroken habit of life, “I have been serving” (λατρεύω, Pl.* 4x: Rom. 1:9, 25; Phil. 3:3). The verb is not the usual one for service. It is used in the literature of the day to indicate the execution of religious duties (H. Strathmann, TDNT IV, 62: “The ministry denoted by λατρεύειν is always offered to God”; cf. especially Rom. 1:9).
The second of two prepositional phrases, ἐν καθαρᾷ συνειδήσει, specifies the manner in which Paul performs his service. συνειδήσει (see the comments on 1 Tim. 1:5) means “moral consciousness” or “conscience.” The term signifies that one is conscious of the rightness or wrongness (before God) of one’s actions. καθαρᾷ συνειδήσει (see the comments on 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 the phrase, 1 Tim. 3:9) is used here in the sense of a “clean,” or better, a “clear conscience.” Thus Paul is saying that he is seeking to live according to God’s demands.
The first prepositional phrase, “from my ancestors,” sets forth a linkage in Paul’s life similar to that in Timothy’s life (cf. v. 5). προγόνων** means literally “those born before” and is used here, as in 1 Tim. 5:4 (see the comments there), of one’s “parents,” “grandparents,” or “ancestors.” ἀπὸ προγόνων is best understood as “as my ancestors did” (so BAGD s.v. πρόγονος, citing several examples from inscriptions; similarly rendered in most modern English translations: RSV, NASB, NEB, TEV, NIV). Paul affirms here a continuity with the true faith of his Jewish ancestors, i.e., that he has not left the OT and turned to worship and serve another God, but, in recognizing Jesus as the promised Messiah, has continued to serve the God of Abraham (cf. Acts 23:1; 24:14; 26:6). Paul does not look back on his early life as a time of a bad conscience but as one of the terrible ignorance of unbelief with regard to Jesus (cf. 1 Tim. 1:13).
The relative adverb ὡς introducing the next clause “is almost equivalent to ‘when,’ ‘as often as,’ but adds the thought of the correspondence of the thankfulness with the thought of Timothy, χάριν ἔχω ὡς ἔχω μνείαν: to think of thee is to thank God for thee” (Lock). The neuter adjective ἀδιάλειπτον** (also in Rom. 9:2) is used here as an adverb with the meaning “constantly,” indicating that Paul prays for Timothy on every occasion in which he prays. ἔχω … μνείαν** (also in 1 Thes. 3:6) is used here of remembering and mentioning in prayer, as the words that follow indicate. περὶ σοῦ occurs between the definite article and μνείαν to indicate that μνείαν has particular reference to Timothy (“you”) and that he is the one whom Paul remembers in prayer (see BAGD s.v. περί 1g).
δέησις (see 1 Tim. 2:1) when used alone means “prayer,” and in the NT and the literature of the day referred to prayer addressed exclusively to God (BAGD). ἐν ταῖς δεήσεσίν μου designates the prayers in which Paul remembers or mentions Timothy to God with thankfulness (cf. Phil. 1:4). νυκτὸς καὶ ἡμέρας, “night and day,” is an idiom that occurs in the singular without further qualification some 15x in the NT, 8x in this order, always so in Paul (5x), and 7x in the reverse order (see 1 Tim. 5:5, the only other PE* occurrence). The phrase signifies that in the regularly recurring cycles of Paul’s prayer life that correspond to the two main divisions of his daily existence he remembers Timothy in his prayers (the phrase of prayer in 1 Thes. 3:10; 1 Tim. 5:5; here; the other 2x in Paul are with reference to work). Some have punctuated the sentence so that νυκτὸς καὶ ἡμέρας is taken with the verb following in v. 4: “night and day I long to see you” (see the UBSGNT apparatus). The punctuation in the UBSGNT text, in which the phrase qualifies Paul’s prayers, fits Paul’s usage of the phrase elsewhere (see above).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EB New English Bible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66–368.
 
4절) 본문에서 ‘원함은’이라고 번역된 ‘에피포돈’의 원형 ‘에피포데오’는 ‘~위에, ~에 더하여’라는 의미의 전치사 ‘에피’와 ‘그리워하다, 동경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포데오’의 합성어로 매우 동경하며 원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KJV은 이를 Greatly desiring(큰 욕망)으로 번역하였다. 바울이 디모데를 이토록 열렬히 보기를 원하는 목적은 일차적으로 디모데의 눈물을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멀하는 디모데의 눈물은 어떤 사건을 말하는가? 이는 행 20:37-38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사도행전 20:37–38
37다 크게 울며 바울의 목을 안고 입을 맞추고
38다시 그 얼굴을 보지 못하리라 한 말로 말미암아 더욱 근심하고 배에까지 그를 전송하니라
 
이는 바울이 에베소 성도들과 작별할때 밀레도에서 흘렸던 눈물이다. 이는 바울을 향한 디모데의 애정이 얼마나 깊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누군가 나와의 이별에 눈물로 함께 슬퍼해주었다면 그와의 만남을, 그 사람을 기억하며 보기를 원하는 것은 인지상정일 것이다. 바울이 이렇게 다시 보기를 원했던 이유는 바로 ‘내 기쁨이 가득하게 하려 함’이었다. 당시 바울은 모든 기쁨을 잃어버린 상태였다. 인생의 마지막, 노년의 사역자는 이제 로마 감옥에 투옥되어 죽음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였으며 누가를 제외한 모든 이들이 바울을 버리고 떠나버린 상태였다.(딤후 4:9-11) 이때 바울은 디모데의 눈물을 기억하며 자신의 영적 아들이자 진실한 동역자였던 디모데를 만나고자 했던 것이다. 본 절안에서는 눈물과 기쁨이 대조를 이룬다. 과거의 눈물이 미래의 기쁨으로 바뀔 것을 바울은 소망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토록 이별을 슬퍼하며 눈물을 흘렸던 대상을 다시금 만난다면 그 슬픔의 크기만큼 큰 기쁨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1:4 Although vv. 3–5 form one long sentence, v. 4 is somewhat of an aside triggered by Paul’s reference to remembering Timothy. Now Paul remembers the sorrowful parting they had and wishes that they could be together again, a wish that will be returned to in 4:9ff. ἐπιποθέω (Pl.* 7x: Rom. 1:11; 2 Cor. 5:2; 9:14; Phil. 1:8; 2:26; 1 Thes. 3:6; here) means “desire” or “long for” something. Here the participle is followed by an infinitive phrase expressing what Paul longs for: ἰδεῖν σε, “to see” Timothy (three of the seven Pauline occurrences of the verb are of desire to see people; two of those and one other are also followed by ἰδεῖν).
This participial clause qualifies either χάριν ἔχω or ἔχω μνείαν in v. 3, most likely the latter because it is nearer and because this would produce the most natural construction both grammatically and in terms of the emotions involved. But the choice makes little difference in meaning because both have to do with the same activity and occasion. The clause is a further description of what Paul remembers about Timothy, in prayer before God, and the entirety of v. 4 may be one of the things he asks for Timothy and himself.
Paul’s longing is heightened by his remembrance of the tears of his colleague. The perfect participle μεμνημένος (from μιμνῄσκομαι) is used here in the sense of “remembering,” “recalling to mind,” perhaps even in contrast to “forgetting” (BAGD s.v. 1aα). What Paul remembers are the “tears” (τῶν δακρύων, Pl.* 2x, 2 Cor. 2:4; genitive of the thing following the verb) of Timothy (σου). The most likely recent parting that we have an account of is in 1 Tim. 1:3.
ἵνα χαρᾶς πληρωθῶ, “so that I may be filled with joy,” denotes the purpose in view in Paul’s longing to see Timothy. The passive tense of the verb suggests that it is God who does the filling (cf. Rom. 15:13), though it may simply be the usual construction of the verb when describing someone being filled with something. χαρά, “joy,” is a recurring note in the writings of Paul, who uses the word more often than any other NT author (Pl. 21x, NT 59x). But he does not use χαρά in all his letters and uses it only once in Galatians, Colossians, Philemon, and 2 Timothy (only here in the PE*). It refers here to the joy of renewed contact with a beloved colleague.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l. Paul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68.
 
5절) 바울이 디모데를 그토록 만나기 원했던 또 다른 이유는 바로 디모데의 ‘거짓이 없는 믿음을 생각’했기 때문이다. ‘생각함이라’에 해당하는 ‘휘폼네신 라본’에서 ‘라본’은 본래 ‘손에 들다, 쥐다, 잡다’라는 의미의 ‘람바노’의 부정 과거형이다. 그리고 ‘휘폼네신’의 원형 ‘휘폼네시스’는 ‘~로 말미암아, ~에 의하여’란 의미의 전치사 ‘휘포’와 그 자체로 이미 ‘생각하다, 회상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밈네스코’의 합성어로 ‘~로 말미암아 생각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휘포멤네스코’에서 파생된 명사이다. 이는 다른 사람이 무언가를 기억하도록 돕거나 자극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아마도 바울은 다른 누군가로부터 디모데에 대한 소식을 접했고 그로 말미암아 디모데의 거짓이 없는 믿음을 상기했을 것이다. 
 
'거짓이 없는 믿음’으로 번역된 ‘아뉘포크리투’의 원형 ‘아뉘포크리토스’는 부정 불변사 ‘아’와 ‘~체하다, 가장하다, 속이다’라는 의미의 동사 ‘휘포크리노마이’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 ‘꾸미지 않다, 가식이 없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는 ‘위선이 아니니’이란 의미를 나타낸다. 디모데가 보여준 믿음은 외식적이거나 겉치레에 불과한 그런 가변적인 믿음이 아니라 한결같은, 정직한 믿음이었다. NIV나 ESV는 이 거짓이 없는을 ’sincere’로 번역했다. 
 
바울은 이 믿음이 디모데의 외조모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로부터 유래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먼저’로 번역된 ‘프로톤’은 양이나 질, 또는 서열상의 우선권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형용사로 디모데의 외조모인 로이스와 어머니인 유니게가 일차적으로 디모데의 마음 속에 믿음의 씨앗을 심어 주었음을 의미한다. 이 믿음이 유대 신앙인지 그리스도교 신앙인지 정확하지는 않지만 행 16:1을 보면 디모데의 어머니는 ‘믿는 유대여자’로 언급된다. 이처럼 ‘믿는 유대 여자’란 과거 유대교 신앙을 가졌다가 이제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개종한 이들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행 16:14-15)
사도행전 16:1
1바울이 더베와 루스드라에도 이르매 거기 디모데라 하는 제자가 있으니 그 어머니는 믿는 유대 여자요 아버지는 헬라인이라
사도행전 16:14–15
14두아디라 시에 있는 자색 옷감 장사로서 하나님을 섬기는 루디아라 하는 한 여자가 말을 듣고 있을 때 주께서 그 마음을 열어 바울의 말을 따르게 하신지라
15그와 그 집이 다 세례를 받고 우리에게 청하여 이르되 만일 나를 주 믿는 자로 알거든 내 집에 들어와 유하라 하고 강권하여 머물게 하니라
당시에 이처럼 사도들의 말씀을 듣고 유대교의 신앙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으로 회심하는 일들이 많이 있었다. 하여 외조모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는 이전에 유대교 신자였으며 디모데에게 유대교의 하나님의 신앙을 전수했던 자들이었으나 바울의 전도 사역을 통해서 그리스도에게로 회심하여 그 신앙을 디모데에게 전해준 것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믿어왔던 유대교 신앙이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되었다는 바울의 주장에 동의했고 구약의 약속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다는 사실을 확신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이러한 거짓이 없는(진실한, 정직한, 순수한, 한결같은) 믿음을 디모데에게 전수했던 것이다. 
바울은 디모데의 가정이 얼마나 진실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지를 언급함으로 디모데의 믿음을 칭찬하고 있다. 본문에 ‘확신하노라’에 해당하는 헬라어 ‘페페이스마이’는 ‘확신하다, 믿다, 옳게 여기다’라는 의미의 ‘페이도’의 현재 완료 수동태이다. 현재 완료형은 과거부터 계속 하여 믿어 왔다는 사실을, 수동태는 믿지 않을래야 믿지 않을 수 없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즉 바울은 디모데의 믿음에 대해서 어떠한 의심도 품지 않았다. 
 
1:5 In one sense this verse, the conclusion of the long sentence in vv. 3–5, indicates what has particularly prompted Paul’s thankfulness to God, i.e., Timothy’s “sincere faith.” ὑπόμνησιν λαβών is an idiom that can mean that Paul has received an external “reminder” (ὑπόμνησις** is used in such a way in 2 Pet. 1:13; 3:1; the phrase only here in the NT). Guthrie and a number of others (following Bengel) suggest that Paul has just received news of Timothy. This is not improbable, but is only a conjecture. Lock allows for the possibility that Paul refers here to a “reminder,” but also refers to places where ὑπόμνησις is used in the sense of “remembrance.”
Whether Paul was prompted from without or from within, it was Timothy’s ἀνυποκρίτου πίστεως that he remembers. ἀνυπόκριτος,** “genuine, sincere” (literally “without hypocrisy”) is used here and in 1 Tim. 1:5 (see the comments there) of faith. Some have proved to have a faith less than genuine (cf. Demas, 4:10). In the midst of persecution and suffering, where fidelity is so very important (cf. 1:8ff.), Paul is thankful to God that he can remember Timothy as one in whom (ἐν σοί) there was a faith that neither wavered nor was double-minded, a genuine trust in God (cf. by analogy Jas. 1:6–8).
As with Paul himself (v. 3), so also with Timothy, what Paul commends in Timothy he finds as part of Timothy’s spiritual heritage. Such a faith (ἥτις) “dwelled” (ἐνῴκησεν) “first” (the neuter adjective πρῶτον used as an adverb) as a spiritual reality in his grandmother and his mother. μάμμη** (a NT hapax) is used in Greek literature to refer to one’s “mother” or “grandmother” (so commonly in the papyri; see MM), but its use here with μητήρ makes it clear that “grandmother” is intended. This is the only NT reference to Timothy’s grandmother Lois (Λωΐς**), probably his maternal grandmother, since she is mentioned here with his mother. Eunice (Εὐνίκη**), his mother, is not named elsewhere in the NT but is mentioned in Acts 16:1 as “a Jewish woman who was a believer” (πιστῆς), apparently meaning that she was a Christian (cf. πιστός in Acts 10:45).
Paul adds for emphasis and as an encouragement to Timothy πέπεισμαι δὲ ὅτι καὶ ἐν σοί. The perfect passive of πείθω is used here with a present meaning and with a ὅτι following (as in Rom. 8:38; 14:14; 15:14; 2 Tim. 1:5, 12, the other PE* occurrences): “I am convinced that” expresses Paul’s certainty that a genuine faith is “also” (καί) a continuing spiritual reality in Timothy (with the verb ἐνοικέω being understood from the previous clause with the prepositional phrase ἐν σοί), as it was in his mother and grandmother.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MM J. H. Moulton and G. Milligan, The Vocabulary of the Greek Testament. London, 1930.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68–369.
728x90
 
'트렌드 코리아 2023’에서 제시한 키워드는 ‘RABBIT JUMP’이다. 더 높은 도약을 준비하는 검은 토끼의 해라고 설명한다. 아래의 내용은 트렌드 코리아의 요약 내용을 중심으로 캠퍼스 사역의 환경에서 함께 고민할 내용은 파란색으로 표시했다. 
3년간의 팬데믹의 출구에서 여러 경제적, 지정학적인 위기속에서 회복 or 침체로 나아가느냐의 갈림길에 서 있다. 
“격변의 시대에 가장 위험한 것은 격변 자체가 아니다. 지난 사고방식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다.(The greatest danger in turbulent times is not turbulence, but to act with yesterday’s logic).”(피터 드러커)
배는 항구에 있을 때 가장 안전하다. 그러나 그것이 선박의 존재이유는 아니다. 거센 풍랑이 예고되는 2023년이지만 어쩌면 그 위기가 우리의 근본부터 다시 돌아보게 하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 위기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그것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가 문제다. 
 
 
2023 10대 키워드
Redistribution of the Average(평균 실종)
Arrival of a New Office Culture: 'Office Big Bang’(오피스 빅뱅)
Born Picky, Cherry-sumers(체리슈머)
Buddies with a Purpose: 'Index Relationships’(인덱스 관계)
Irresistible! The 'New Demand Strategy’(뉴디맨드 전략)
Thorough Enjoyment: 'Digging Momentum’(디깅모멘텀)
Jumbly Alpha Generation(알파세대가 온다)
Unveiling Proactive Technology(선제적 대응기술)
Magic of Real Spaces(공간력)
Peter Pan and the Neverland Syndrome(네버랜드 신드롬)
 

1. 평균 실종 Redistribution of the Average

'평균'이 사라지고 있다. 정확히 표현하면 집단을 대표하는 평균값이 무의미해지고 있다. 대푯값으로서 평균이 의미 있으려면 해당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이뤄야 하는데,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분포의 정규성이 크게 왜곡되고 있기 때문이다. 평균이 기준을 상실하는 경우는 1) 양극단으로 몰리는 '양극화', 2) 개별값이 산재하는 'N극화', 3) 한쪽으로 쏠리는 '단극화'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평균 실종' 트렌드의 배경은 구조적이고 추세적이다. 자본주의는 태생적으로 부익부 빈익빈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속성을 지니는데, 코로나19 팬데믹이 2년 넘도록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경제·사회·교육·문화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양극화가 가속화됐다. 각종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준거집단이 다원화되고 개인 맞춤화 경향이 강해지는 가운데 시장의 전형성이 사라졌고, 규모의 효율에 극도로 좌우되는 플랫폼 경제와 경쟁의 외연이 넓어지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발달하면서 승자독식의 쏠림이 심화됐다.
평균 실종 트렌드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은 엄중하다. 평균으로 표현될 수 있는 무난한 상품, 평범한 삶, 보통의 의견, 정상의 기준이 변화하고 있다. 정규분포로 상징되는 기존의 대중(mass) 시장이 흔들리며, 대체 불가능한 탁월함. 차별화·다양성이 필요한 시장으로 바뀌고 있다. 앞으로 우리가 취해야 할 전략은 다음 세 가지 중 하나 일 것이다. 양극단의 방향성에서 한쪽으로 색깔을 확실히 하는 '양자택일' 전략, 소수 집단(때로는 단 한 명)에게 최적화된 효용을 제공하는 '초다극화' 전략, 마지막으로 경쟁자들이 모방할 수 없는 생태계(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승자독식' 전략이다. 평범하면 죽는다. 특별해야 한다. 평균을 뛰어넘는 남다른 치열함으로 새롭게 무장할 때 불황으로 침체된 시장에서 토끼처럼 뛰어오를 수 있을 것이다.
 
- 정규분포가 사라지고 양극화, N극화, 단극화로의 변화
- 라이프 스타일의 다양화로 개인 맞춤 시대이다. / 평균주의의 시대는 지났고 개개인성의 시대를 맞이해야 한다. 
 

2. 오피스 빅뱅 Arrival of a New Office Culture: 'Office Big Bang'

우리의 일터가 송두리째 달라지고 있다. 인재가 떠나가고, 조직 문화가 바뀌며, 노동 시장의 시스템이 변하고 있다. 일을 둘러싼 변화가 매우 폭발적이라는 의미에서 이를 '오피스 빅뱅(office Big Bang)'이라고 표현하고자 한다. 오피스 빅뱅 중에서도 가장 주목할 현상은 퇴직 열풍이다. '대사직 시대'가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른 요즘, 한국에서도 이직이 경력 관리의 수단이자 직장인의 로망이 됐다. 이직과 퇴직 열풍 속에서 인재를 지키려는 조직 차원의 시도 역시 주목받고 있다. 연봉이나 성과금 인상은 기본, 젊은 직원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세부적인 복지가 눈길을 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경험한 재택근무의 여파가 가시지 않은 가운데, 원격근무 지원, 거점오피스 제공, 워케이션 기회 마련 등 물리적 공간의 변화도 작지 않다. 나아가 조직에 속하지 않는 제도권 노동도 증가하고 있는데, 디지털화로 인한 플랫폼 노동자와 슈퍼 프리랜서 규모의 증가세가 심상찮다. 긱 경제는 조직에서 이탈한 퇴직러들을 빠르게 흡수하고 있으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장도 성장하는 추세다.
오피스 빅뱅의 원인은 팬데믹 기간 동안 많은 노동자들이 새로운 업무 방식에 적응했을 뿐만 아니라 자산 가격의 상승으로 임금노동의 가치가 하락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새로운 세대의 노동시장 진입으로 “회사의 발전이 곧 나의 발전"이라고 여기는 조직 동일시가 "조직의 성장보다 나의 성장이 더 중요하다"는 개인주의적 가치관으로 변화했다는 점도 중요하다. 앞으로 오피스 빅뱅은 직장 내에서 그치지 않고 개인·조직·시장의 변화를 연쇄적으로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 거대한 변화의 물결을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나를 나답게 만들어주는 일은 무엇인가"를 적극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용기가 절실해졌다.
- 코로나 이후 ‘조용한 퇴사’가 늘어나고 있다. '일은 충실히 하되, 완벽을 추구하지 않는다. 사표를 내지는 않았지만, 회사의 평가나 경쟁과는 결별한다.’
- 조직은 공동체 구성원들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주고 서로간의 소통을 통해 신뢰를 구축해나가야 하며 구체적이고 측정가능한 핵심성과지표를 마련해야 한다.
 

3. 체리슈머 Born Picky, Cherry-sumers

전례 없는 인플레이션과 자산 가치의 하락으로 소비 심리가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 세계경제 전체가 현대판 보릿고개를 넘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비용 대비 효용이 뛰어난 것만 쏙쏙 골라 매우 합리적으로 구매하려 한다. 흔히 구매는 하지 않으면서 혜택만 챙겨가는 소비자를 ‘체리피커(cherry picker)'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진일보하여 한정된 자원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알뜰소비 전략을 펼치는 소비자를 ‘체리슈머(cherry-sumer)'라고 명명한다. 불경기에 '짠테크' 소비가 확산하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셈에 능한 요즘 소비자들이 나누하며고 쪼개는 실속소비는 과거의 불황 때와는 사뭇 다르다. 체리슈머는 자신이 필요한 만큼만 딱 맞춰 구매하는 '조각 전략'으로 실속을 챙기고, 함께 모여 소비하는 '반반 전략'으로 절약을 도모한다. 그리고 '말랑 전략'으로 유연한 계약을 찾으며 리스크를 줄인다.
체리슈머의 등장이 최근의 경제 악화에 기인하는 것은 맞지만, 1인 가구의 증가로 작고 유연한 소비를 선호하게 되는 구조적 변화이자 앞으로 계속 발전해나갈 추세적 변화이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똑똑하고 창의적인 MZ세대들의 성향이 체리슈머 트렌드를 가속화하고 있다. 그렇다면 기업은 체리슈머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체리슈머를 불황 속에서 꼼수를 부리는 소수의 특이한 소비자로만 바라봤다면, 이제 그 생각을 바꿔야 할 때다. '문간에 발 들여놓기' 전략을 통해 브랜드 친숙도를 높이고, 가격대별로 촘촘한 제품군을 마련하여 다양한 소비자들의 니즈에 그때그때 대응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소비자들 역시 실속을 챙기면서도 소비자 윤리에 어긋나지 않는 '매너소비자'의 덕목을 갖춰야 할 것이다. 소비자와 기업 모두 큰 어려움에 맞닥뜨리고 있는 가운데, 그 이후를 준비하는 변신의 계기를 모색할 시점이 다가왔다.
 
- 부모보다 가난한 최초의 세대이자 똑똑하고 창의적인 MZ 세대들은 그 어떤 세대보다 현명하고 합리적인 소비를 즐긴다.
 

4. 인덱스 관계 Buddies with a Purpose: 'Index Relationships'

전화나 문자 메시지로 지인과 연락하던 시절은 가고,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통해 불특정 다수와 소통하는 시대가 왔다. 수단이 본질을 바꾼다. 소통의 매체가 진화하면서 관계 맺기의 본질이 바뀌고 있다. 소수의 친구들과 진한 우정을 쌓아가는 것이 예전의 '관계 맺기'라면, 요즘의 관계 맺기는 목적 기반으로 형성된 수많은 인간관계에 각종 색인(index)을 뗐다 붙였다 하며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관계 관리'에 가깝다. 이제 현대인의 인간관계는 "친하다/안 친하다"의 이분법으로 나뉘지 않는다. 선망하는 '인친'-함께 덕질하는 '트친'-최신 뉴스를 알려주는 '페친'-동네에서 만나는 '실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닌다. 이렇듯 요즘 인간관계는 여러 인덱스를 붙여 관리 되는 형태를 띤다는 점에 착안해 '인덱스 관계(Index Relationship)'라고 이름 붙이고자 한다. 
인덱스 관계는 1) 만들기, 2) 분류하기, 3) 관리하기의 3단계로 나뉜다. 먼저 관계 만들기는 과거처럼 학연·지연 같은 인연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만들어지거나 혹은 완전히 우연에 기대는 '랜덤' 방식으로 형성된다. 둘째, 이렇게 관계를 만들고 나면 그 친분을 분류한다.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매체가 다양한 만큼 그 관계의 친소도 매우 복잡하다. 다시 말해 관계의 중요도가 다차원적으로 구성되면서 관계의 '밀도'보다 '스펙트럼'이 중요해졌다. 마지막은 관계를 관리하는 단계다. 분류된 관계에 붙여진 인덱스를 뗐다 붙였다 하기를 반복하며 관리해나간다.
개인주의화되는 '나노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이 사회생활의 방식을 송두리째 바꿔놓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는 가운데 관계 맺기의 양상이 변화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인간사에서 가장 중요하다 해도 과언이 아닐 '인간관계'가 새로운 변화의 국면을 맞고 있다. 이제 문제는 다양한 인덱스 관계가 사람들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사회에서 우리가 어떻게 더 행복한 인간관계를 맺어나갈 수 있느냐다.
- 목적이 관계보다 우선한다. 많은 사람과 얕고 넓은 관계를 맺기보다는 친밀함과 신뢰도가 높은 소수의 관계를 맺는 것이 행복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 자기중심성이 강조되는 시대이기에 자신이 선택하고 끊을 수 있는 관계를 선호한다. 보안과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5. 뉴디맨드 전략 Irresistible! The 'New Demand Strategy'

어떻게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낼 것인가? 이는 모든 비즈니스에 숙명처럼 주어지는 질문이다. 비슷비슷한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는 '상품과잉의 시대'에 고객이 지갑마저 닫는 지금 같은 불황기에는 그 해답이 더욱 절실하다. 그러나 아무리 상품이 과잉이고 경기가 나쁘다고 해도, 전에 없던 새로운 경험에 소비자는 솔깃해지고 허를 찌르는 참신함 앞에서 지갑을 연다. '트렌드 코리아 2023'에서는 제품과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상향 표준화되는 시장 상황에도 불가항력적인 수요를 만들어내는 수요 창출 전략을 ‘뉴디맨드(New Demand)' 전략이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사지 않고는 배길 수 없는 대체 불가능한 상품을 개발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방법론을 가리킨다.
수요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그 발생 상황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사용하고 있던 제품을 바꾸는 '교체수요'이고, 다른 하나는 가지고 있지 않던 제품을 구매하는 '신규수요'다. 이때 각 유형별로 뉴디맨드 전략을 펼치는 방식이 다르다. 교체수요는 1) 업그레이드하기, 2) 컨셉 덧입히기, 3) 지불 방식 바꾸기를 통해, 신규수요는 1) 전에 없던 상품, 2) 새로운 카테고리의 상품, 3) 마이크로 세그먼테이션에 기반한 상품을 통해 창출할 수 있다.
소비자가 열광하는 새로운 상품을 내놓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의도적으로 궤도를 이탈하여 최대한 이질적인 것과 부딪히며 집요하리만큼 파고들고, 전복적 사고로 무장하며 훈련해야 한다. 하지만 아무리 독창적이고 앞선 기술이 적용된 상품이라 할지라도, 소비자지향적 관점에서 출발하지 못하면 시장에서 성공하기 어렵다. 답은 항상 고객으로부터 찾아야 한다.
- 아이폰의 iOS냐 삼성의 안드로이드냐에 따라 사용하는 앱 생태계가 달라지므로 업그레이드 서비스를 통해 고객을 잡아둘(Lock-in) 필요가 있다. 캠퍼스 사역을 통해서 우리의 대상을 잡아둘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라. 
- 기술 혁신은' 존속적 혁신(sustaining innovation)과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으로 구분된다. 파괴적 혁신 기술은 기존의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것이다. 이는 게임체인저 역할을 한다. 우리들의 사역가운데 혁신 기술이 있는가? 기존의 패러다임을 뛰어넘기 위한 어떤 시도들을 하고 있는가? / 의도적으로 궤도를 이탈하여 최대한 이질적인 것과 부딪히며 집요하리만큼 파고들고, 전복적 사고로 무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의 기술과 브랜드와 상품을 재정의 함으로써 소비자들이 미처 생각지 못한 즐거움을 제공해야 한다.
 

6. 디깅모멘텀 Thorough Enjoyment: 'Digging Momentum'

단순한 취미라고 부르기에 부족할 정도로, 'ᄋᄋ에 진심인 사람'이 늘고 있다.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괴짜로 보일 수도 있지만 본인들은 전혀 개의치 않는다. 몰두의 대상이 다소 특이하고 그 몰입의 정도가 꽤 깊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현실도피적이지 않다. 오히려 자신이 사랑하는 일에 시간과 돈과 열정을 투자하며 누구보다도 삶에 열심이다. 이처럼 자신의 취향에 맞는 한 분야를 깊이 파고드는 행위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트렌드를 ‘디깅모멘텀(Digging Momentum)'이라고 지칭하고자 한다. 디깅모멘텀은 단지 취미 생활에 대한 트렌드가 아니다. '멀티 페르소나' 시대에 '찐자아를 찾으려는 열정 가득한 노력이자, 코로나 사태와 불경기 속에서 흔들리는 실존적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신만의 행복전환점을 찾으려는 삶의 매진이다.
디깅은 크게 세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1) 몰입하는 재미를 느끼기 위해 컨셉에 열중하는 컨셉형, 2) 같은 대상을 좋아하는 사람들끼리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몰두의 정도를 높이는 관계형, 3) 특정 물건이나 경험의 수집을 통해 만족과 과시를 추구하는 수집형이 있다. 디깅에 진심인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엔터테인먼트·콘텐츠·취미·키덜트(kid+adult)등 관련 산업도 함께 크고 있다. 나아가 디깅러들의 ‘입소문힘(viral power)'이 강해지면서 일반 산업에서도 이들의 마케팅적 역할이 중요해지는 추세다. 특히 순발력, 마이너 감성의 주류화, 다양한 미디어를 넘나들 수 있는 매체 전략 등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디깅이 현실로부터의 도피가 될지, 자아에 대한 치열한 몰입이 될지 명확한 선을 긋기는 어렵지만, 일상과 디깅을 조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핵심은 성장이다. 자기 성장이라는 큰 지향점 아래에서 삶과 적절히 어우러질 때, '디깅'은 행복한 인생을 위한 진정한 발돋움의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가 느끼는 행복도는 이미 가지고 있는 유전적 기질, 주어진 외부 환경과 더불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자율성의 합으로 결정된다. 고로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노력으로 바꿀 수 있는 자율성을 높이는 것, 즉 몰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인간의 행복은 마음속에 관심있는 대상이 존재하는 상태이며 그 대상을 향해 스프링처럼 튀어나갈 수 있는 준비가 됐을 때가 행복한 상태’이다.
 

7. 알파세대가 온다 Jumbly Alpha Generation

태어나 처음 말한 단어가 '엄마'가 아닌 '알렉사'라는 진정한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 소비자가 등장하고 있다. 1995~2009년생을 일컫는 Z세대의 다음 세대, 2010년 이후에 태어나 13세 이하인, 초등학교 6학년보다 어린 '알파세대'가 바로 그 주인공이 다. X-Y-Z를 잇는 알파벳이 없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알파세대라고 명명했는데, A 가 아니라 '알파'라는 이름이 붙은 것이 의미심장하다. 이는 단순히 2세대의 다음 세대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종족의 탄생을 은유한다. 알파세대는 신세대의 기수인 1980년대생 밀레니얼 세대 부모에게서 태어나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길러졌으며, 코로나 사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자라고 있다.
알파세대는 저마다의 매력을 존중하고 나는 나대로, 너는 너대로 세상에서 유일한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지닌다. 자기중심성이 강해 '제일 중요한 것은 나'라고 믿는 까닭에 모두가 스스로를 셀러브리티이자 아키텍트라고 여긴다. 그래서 누구나 쉽게 인플루언서가 될 수 있는 '틱톡'을 주요 SNS로 활용하고, '국영수코'로 불리는 코딩 학습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더불어 '머니러시' 트렌드를 따르는 '자본주의 키즈'의 후예답게 소비와 투자를 아우르는 경제 교육을 적극적으로 받고 있다. 팬데믹 이후 오프 라인 활동이 제한됨에 따라 '줌'을 비롯한 온라인 공간에서 많이 활동하고 있으나 온라인에서 해소되지 않는 오프라인에서의 실제 활동에 대한 갈증도 크다.
이전 세대에 비하면 비교할 수 없이 편리한 디지털 환경에서 풍족하게 자라는 것처럼 보이는 알파세대지만, 정작 "그들이 행복한가?” 하는 것은 이와 별개의 문제다. 이들의 행복지수는 OECD 최하위이며, 디지털 격차로 일컬어지는 양극화 문제 역시 오히려 더 심각해지고 있다. 이 어린 세대의 행복에 부모와 학교와 사회 전체가 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알파세대의 미래가 곧 대한민국의 미래다.
- 틱톡, 로블록스, 다이소-인생네컷-마라탕-버블티
- 알파세대는 자기중심성이 매우 높고 남들과 비교하기보다는 자신만의 정답을 찾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8. 선제적 대응기술 Unveiling Proactive Technology

돌도끼부터 인공지능까지, 인류는 기술 발달에 힘입어 차츰 쾌적한 삶을 누려왔다. 기술은 사람을 편리하게 해주는 도구지만, 지금까지는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이용자가 자신의 필요에 맞춰 조작을 해야 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기술이 이용자에게 필요한 기능을 스스로 파악해 미리 제공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고객의 사용 흐름을 읽어 더 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기술, 나아가 고객이 필요를 표현하기 전에 고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 궁극적으로는 고객이 필요를 깨닫기도 전에 먼저 솔루션을 제공해 불편함을 해소시켜주는 기술을 '선제적 대응기술(Proactive Technology)'이라고 명명한다. 고객 데이터가 축적되고 이를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 사람이 겪을 수 있는 다양한 맥락을 구분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선제적 대응기술은 이미 소비자의 일상에 광범위하게 스며들어 하루하루 적용의 스펙트럼이 넓어지고 수준 또한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와 상호작용할 때의 주도성 (proactiveness)을 기준으로 그 적용 수준을 1) 고객의 사전적 대응을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2) 사용자의 맥락에 따라 기능이 자동적으로 맞춤 조정되는 단계, 3) 사용자의 필요를 예측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특히 공공서비스 영역에서 선제적 대응기술의 적극적인 확산이 기대된다. 소비자가 환호할 수 있는 선제적 대응기술을 선보이기 위해서는 고객의 행동을 분석해 데이터로 축적하고, 그로부터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추출한 후, 타이밍에 맞는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소비자에게 선제적 도움을 주는 제품을 개발하려면 소비자행동에 대한 이해와 상상력도 필요하다. 소비자가 모르는 욕구를 먼저 파악하고 아직 발생하지 않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상상력을 누가 먼저, 더 적합하게 발휘하느냐가 선제적 대응기술 경쟁력의 승부처가 될 것이다.
- 맞춤형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상에 대한 이해와 기술이 절대적이다. 일괄적인 방식의 훈련이나 프로그램이 아니라 대상의 수준이나 상황, 환경에 따라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런 서비스를 제공할 사역자의 능력이 중요하다.
 

9. 공간력 Magic of Real Spaces

공간의 힘을 다시 보라. 작은 개인 블로그부터 거대한 메타버스에 이르기까지 가상공간이 세상을 호령하는 시대지만, 가상의 영토가 넓어질수록 실제공간의 역할도 중요해진다. 흔히 가상공간을 온라인, 현실공간을 오프라인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실제공간은 단지 온라인의 상대 개념이 아니라 우리 삶의 근본적인 토대이자 터전이다. 자기만의 매력으로 무장한 실제공간에는 아무리 정교한 가상공간도 따라올 수 없는 강력한 힘이 존재한다. '트렌드 코리아 2023'에서는 사람을 모으고 머물게 하는 공간의 힘을 '공간력'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공간력은 1) 공간 자체의 힘으로 사람을 끌어당기는 '인력', 2) 가상의 공간과 연계되어 효율성을 강화하는 '연계력', 3) 메타버스와의 융합을 통해 그 지평을 넓히는 ‘확장력'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공간의 인력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1) 매장을 더 크거나 작게 하며 마치 중력처럼 고객을 끌어당겨 고객과의 거리를 최대로 가깝게 하는 방법, 2)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느끼게 하는 방법, 3) 지역 주민의 교류와 공감의 마당이 되게 하는 방법을 동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간의 연계력을 높이려면 각종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1)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2) 상품이 고객에게 이르는 퍼스트마일-미들마일-라스트마일-엑스트라마일의 전 단계에서 서비스 속도를 향상시키며, 3) 매장내 고객행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서비스로서의 리테일'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공간의 확장력에도 주목해야 한다. 이제 가상공간은 단순히 물건을 파는 유통의 공간을 넘어, 브랜드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고객의 입소문을 유도하는 매체의 역할도 수행한다. 엔데믹 시대에 펼쳐질 공간의 새로운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테마파크와 같은 궁극의 경험공간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 공간은 사람을 이끌고, 머물게 하고, 느끼게 한다. 
- ‘일상이란 죽음으로 가는 지루한 통로’(자크 라캉)이며 지루함을 돌파할 수 있는 것은 비일상성으로 일상에서 볼 수 없는 환상감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일상속에서 영원을 바라보게 하기 위해서는??

 

10. 네버랜드 신드롬 Peter Pan and the Neverland Syndrome

최근 한국 사회에서 나이보다 어리게 사는 것이 하나의 미덕이 되고 있다. 영원히 아이의 모습으로 사는 피터팬과 그 친구들이 사는 곳, '네버랜드'의 이름을 따서 우리 사회에 나이 들기를 거부하는 피터팬들이 많아지는 트렌드를 '네버랜드 신드롬'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네버랜드 신드롬은 1) 공주세트나 포켓몬빵 같은 아이템을 구매하는 등 어린 시절로 돌아가고 싶어하고, 2) 외모를 유지하는 것을 넘어 승진을 마다하면서까지 현 상태에서 더 나이 들지 않으려 하며, 3) 아이들처럼 쉽고 재밌고 명랑하게 노는 것을 좋아하는, 세 유형으로 나뉜다. 우리 사회의 유년화는 단지 일부의 취향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사고방식(way of thinking)', 나아가 ‘생활양식(modus vivendi)'이 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의 확산을 미래가 불안정하고 힘든 상황에서 어린 시절에 대한 향수에 젖으며 위안을 얻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동반하게 된 생애주기의 구조적 변화에 있다. 건강하게 오래 살게 되면서 청춘의 기간이 길어진 가운데, 생애과정이 다양화되며 어른이라고 부를 수 있는 전형적인 모습이 사라진 것이다. 네버랜드 신드롬은 사회 전체가 유아화되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낳는다. 자기중심적인 주장만 강요한다든지, 생명이 없는 캐릭터에 집착한다든지, 문제 발생의 원인을 자신이 아니라 타인이나 정부의 탓으로 돌린다든지, 자기 취향에 지나치게 몰두하는 등의 행동은 아동기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
청년의 활기는 극대화하면서도 유아적 미성숙의 징후를 최소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네버랜드가 유토피아가 될지 디스토피아가 될지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에 달려 있다. 유아적이고 무책임한 자기중심주의가 아닌 청년의 신선함과 발랄함을 가슴에 품을 수 있을 때, 우리 개개인은 물론 사회 전체의 진정한 성숙이 가능할 것이다.
- ‘청춘이라는 나라가 있다. 거의 모든 사람이 이미 오래전 잃어버린 그 나라의 명예시민이 되고자 한다. 40대, 50대, 심지어 60대도 자기는 아직 청춘인 것 같다고 말한다.’(파스칼 브뤼크네르)
- 어떻게 어린이 같은 삶의 경이를 잃지 않으면서도 경험의 지혜를 일생을 통해 켜켜이 쌓아 올려갈 수 있을까? / 청년 대학생만이 아니라 동문들에게 여전히 네버랜드(죠이어)의 삶을 꿈꾸고 살아가게 할 수 없을까?

 

 
728x90

세 나무 이야기

 

옛날 어느 산꼭대기에 올리브나무와 떡갈나무, 소나무 세 나무가 있었는데 이들은 장차 크게 자라 무엇이 되고 싶은지 장래 희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첫 번째 올리브나무는 ‘나는 아름다운 보석 상자가 되어 세상의 온갖 값진 보석들을 담고 싶다’라고 이야기했습니다.

두 번째 떡갈나무는 ‘나는 왕들을 태우는 튼튼한 배가 되어 온 세상을 돌아다니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세 번째 나무는 ‘나는 그 산 언덕을 떠나지 않고 가장 큰 나무가 되어 하나님이 계신 하늘과 가장 가까이 있고 싶다’라고 말했습니다. 

 

세월이 흘러 나무들은 자랐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세 명의 나무꾼들이 이 나무들을 베었습니다. 첫 두 나무들은 자신들의 꿈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에 가슴이 뛰었습니다. 그렇지만 언덕에 남고 싶었던 세 번째 나무는 가슴이 철렁했습니다.

그런데 첫 번째 나무는 자신이 꿈꾸던 것과는 달리 값진 보물을 담는 보물상자가 아니라 동물들의 밥그릇이 되어 보석 대신 건초가 그 나무를 가득 채웠습니다.

두 번째 나무는 강한 왕이 타는 큰 배가 아니라 작고 평범한 고깃배가 되어 매일 어부들을 태우고 냄새 나는 물고기들을 싣고 다녔습니다.

세 번째 나무는 그냥 튼튼한 기둥들이 되어 목재소 마당에 방치되어 있었습니다. 세 나무는 자신들이 꿈꾸던 미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대해 무척 슬퍼하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시간은 흘렀고 세 나무들은 이제 자신의 꿈을 거의 다 잊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해산을 앞둔 젊은 부부가 마구간에 들어와 여물통을 잘 닦아 새로 태어난 아이의 요람으로 사용했습니다. 첫 번째 나무는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보물, 메시아를 담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 후 30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어느 날 두 번째 나무는 비바람이 부는 가운데 한 피곤한 여행자와 그의 친구들을 태우고 요동치는 호수 가운데 있었습니다. 곧 부서질 것 같았던 그 순간 그 피곤해하던 남자가 깨어나 폭풍을 잠잠하게 했을 때 두 번째 나무는 자신이 하늘과 땅의 왕을 모시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 후 3년의 시간이 또 흘렀습니다. 어느 금요일 아침, 세 번째 나무는 목재 더미에서 꺼내져 소리 지르는 군중들 사이로 옮겨졌습니다. 마침내 군인들이 어떤 남자의 손을 자신에게 못 박았습니다. 자신이 너무나 추하고 잔인하게 느껴졌습니다. 통나무 더미에 놓여 있던 세 번째 나무는 어떤 남자가 골고다 언덕에서 못 박히는 십자가로 사용된 것입니다. 아무도 쳐다보지 않는 통나무로 버려졌다가 진리를 통해 세상을 구원하는 구세주를 모시는 영광을 입게 된 것입니다. 

 

이처럼 첫 번째 올리브나무는 값진 보화가 아니라 생명의 주인이신 주님을 담는 그릇이 되었고, 두 번째 떡갈나무는 만왕의 왕이시오 만주의 주이신 주님을 태우는 배가 되었으며, 세 번째 소나무는 온 백성의 구원자이신 주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시는 기둥이 되어 이제 그 십자가를 바라볼 때마다 모든 사람들은 하나님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세 나무는 모두 자신의 가치를 상실했다고, 자신들의 꿈은 이제 끝났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 때 이 나무들은 이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이야기의 중요한 한 부분이 된 것입니다. 

728x90
Paul, aan apostle of Christ Jesus bby the will of God according to cthe promise of the life that is in Christ Jesus,
To Timothy, dmy beloved child:
eGrace, mercy, and peace from God the Father and Christ Jesus our Lord.
a See 2 Cor. 1:1
b See 1 Cor. 1:1
c Titus 1:2; Heb. 9:15
d 1 Cor. 4:17; [ch. 2:1]; See 3 John 4
e See 1 Tim. 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1:1–2.
 
1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약속대로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 된 바울은
2 사랑하는 아들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1:1–2.
 
디모데후서의 경우 총 4장으로 이루어져있는데 1-2장은 주로 복음 사역자의 자세와 관련된 교훈과 격려를 다루고 있고, 3-4장은 복음 사역자로서의 직무에 충실할 것을 다룬다. 
 
1절) 본서의 발신자는 바울이다. 바울은 자신을 설명하면서 자신이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약속대로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가 되었다라고 밝힌다. 
한글 번역은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를 먼저 번역했지만 원문은 ‘파울로스 아포스톨로스 크리스투 이예수’가 먼저 등장한다. 즉 ‘바울은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이다’임을 먼저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당시 이 서신을 쓰고 있는 바울을 생각해보면 바로 그 사도됨으로 인해서 그는 투옥중이었다. 앞서 1차 로마 투옥당시(AD 61-63)에는 자신이 석방될 것을 예상하고 있덨던 반면 지금 2차 로마 투옥시기(AD 67)에 바울은 자신의 죽음을 예상하고 있었다. 이렇게 자신의 사도됨을 인하여 로마의 추운 감옥에서 죽음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그는 자신의 사도됨을 무엇보다 가장 자랑하고 있는 것이다. 
 
사도행전 26:15–18
15내가 대답하되 주님 누구시니이까 주께서 이르시되 나는 네가 박해하는 예수라
16일어나 너의 발로 서라 내가 네게 나타난 것은 곧 네가 나를 본 일과 장차 내가 네게 나타날 일에 너로 종과 증인을 삼으려 함이니
17이스라엘과 이방인들에게서 내가 너를 구원하여 그들에게 보내어
18그 눈을 뜨게 하여 어둠에서 빛으로, 사탄의 권세에서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하고 죄 사함과 나를 믿어 거룩하게 된 무리 가운데서 기업을 얻게 하리라 하더이다
 
이처럼 바울은 아그립바 왕 앞에서도 자신의 사도됨을 자랑했다. 바울은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의 소명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알고 있었다. 
사도, ‘아포스톨로스’는 ‘파송하다’라는 뜻의 동사 ‘아포스텔로’에서 유래된 명사로 '파송받은 자’라는 의미이다. 황제가 보낸 사절을 나타낼 때도 사용되었던 이 표현은 본래 보내는 자의 전권을 위임받아 파송된 자를 의미한다. 특히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부르심을 받아 파송된 사람으로 주님의 죽음과 부활을 목도한 이들을 의미한다. 
 
바울은 자신이 이렇게 사도로 부르심을 받은 것이 첫번째로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된 것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디아 텔러마토스 데우’라는 표현으로 ‘말미암아’로 번역된 ‘디아’는 ‘~을 통하여’라는 뜻을 지닌 전치사로 여기서는 바울의 사도직의 기원과 관련된 언급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바울이 사도된 것은 자신의 의지가 아니라 신적 기원에 의한 것이었다. 특히 바울에게 있어서 다메섹 도상에서의 경험은 이를 분명하게 한다. 
 
두번째로 바울은 자신이 사도된 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약속대로’ 되었음을 밝힌다. 여기서 ‘대로’로 번역된 ‘카트’는 ‘카타’의 축약형으로 ‘~을 따라서, ~에 부합하여’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바울의 사도직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약속’에 따라서 된 것이며 또한 이에 부합하는 것임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의 약속’은 바로 다름아닌 ‘복음’이다. 즉 복음은 생명의 약속이다. 이 생명의 약속은 다름 아닌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대속으로 말미암아 영원한 생명이 주어진다는 것이 바로 복음이다. 즉 바울은 이 복음을 따라서, 복음에 부합하게 사도가 된 것이다. 
 
1:1 “Apostle of Christ Jesus” indicates Paul’s special authority as one sent by Christ to act and write on his behalf (see further the comments on ἀπόστολος at 1 Tim. 1:1; for Παῦλος see there and at Tit. 1:1). The one who has directly appointed him is “Christ Jesus,” i.e., Jesus who is the Christ, the one anointed and sent by God (see 1 Tim. 1:1). Although some find it unlikely that Paul would identify himself as an “apostle of Christ Jesus” in a letter to a personal friend and colleague, this self-designation is in place when one realizes that Paul is not just writing as a friend but with the authority of an apostle to instruct and admonish Timothy about his ministry and his responsibilities (note the imperatives in 1:14; 2:1, 3, 7, 8, 14, 15, 16, 22, 23; 3:1, 14; 4:5, 9 and the charge in 4:1ff.) and also to communicate to the Christians under Timothy’s care the basis of authority for what Paul is asking Timothy to do (note plural ὑμῶν in 4:22 and the allusions to others in, e.g., 2:14).
Paul specifies that he is an apostle “by God’s will,” διὰ θελήματος θεοῦ. This phrase is found in Pauline salutations also in 1 Cor. 1:1; 2 Cor. 1:1; Eph. 1:1; Col. 1:1 (cf. Gal. 1:4 for a similar phrase; the phrase is also found in Rom. 15:32; 2 Cor. 8:5). Where it is not used in a Pauline salutation, an equivalent is used (κατʼ ἐπιταγὴν θεοῦ, 1 Tim. 1:1; Tit. 1:3) or some other indication of the Father’s will is specified (the Father is the assumed subject in Rom. 1:2ff.; in Gal. 1:1 Paul is an apostle “through” [διά] Jesus Christ and God the Father). διά indicates here that God’s will is “the efficient cause” (BAGD s.v. A.III.1d). Paul describes this “will of God” at work in his life and especially in regard to his apostleship in Gal. 1:15–16 (cf. Gal. 2:7–9).
The following prepositional phrase expresses the aim and purpose of Paul’s apostleship. κατʼ indicates “the object and intention of [Paul’s] appointment” to apostleship (Ellicott; cf. Tit. 1:1, where κατά appears to be used in the same way; κατʼ ἐπαγγελίαν also appears in Acts 13:23; Gal. 3:29). ἐπαγγελία (Pl. 26x, PE* 2x: 1 Tim. 4:8 and here) is used almost uniformly in the NT of God’s “promise” (BAGD s.v. 2a; cf., e.g., Heb. 6:13; 10:23; 11:11). “The content of the promises,” even though different terms are used, “is always Messianic salvation” (J. Schniewind and G. Friedrich, TDNT II, 583). Paul utilizes the “promise” concept most fully in Galatians 3, where he indicates that what was promised to Abraham and to his spiritual descendants is fulfilled in Christ (the noun 8x: vv. 14, 16, 17, 18 [2x], 21, 22, 29; the related verb in v. 19). In Tit. 1:2, Paul speaks of the “eternal life” that God “promised (ἐπηγγείλατο) long ago” and has now manifested in his word.
The closest parallel to the combination ἐπαγγελίαν ζωῆς, found here, is in 1 Tim. 4:8. Genitive ζωῆς denotes the thing promised, “life” itself (see the discussion at 1 Tim. 4:8; 1:16; cf. 1 Jn. 2:25). ζωῆς τῆς ἐν Χριστῷ Ἰησοῦ specifies that the “life” spoken of is “the” life that is “in Christ Jesus,” in Jesus as the Christ, the anointed one of God (cf. 2:10; for Χριστὸς Ἰησοῦς see the comments on 1 Tim. 1:1). ζωή is used in the NT “of the supernatural life belonging to God and Christ, which the believers will receive in the future, but which they also enjoy here and now” (BAGD s.v. 2). What Paul says here in brief form he says more extensively in the argument of Romans 6, i.e., that by spiritual union with Christ (v. 5), we now are “alive to God in Christ Jesus” (v. 11) and so “walk in newness of life” (v. 4) and have as “the outcome eternal life” (v. 22) “in Christ Jesus our Lord” (v. 23; cf. also 1 Jn. 5:11–12a).
The “in Christ” formula is characteristically Pauline (72x; elsewhere in the NT 2x in 1 Peter). The formula is found 9x in the PE* and 7x in 2 Timothy (1 Tim. 1:14; 3:13; 2 Tim. 1:1, 9, 13; 2:1, 10; 3:12, 15). For the formula ἐν Χριστῷ Ἰησοῦ see A. Oepke, TDNT II, 541f.; W. Grundmann, TDNT IX, 550–52, 561f. and the literature referred to there and in BAGD s.v. ἐν I.5d. Allan (“ ‘In Christ’ Formula,” 117) emphasizes the differences in usage of this formula in the PE in comparison to the other Pauline letters and discounts the similarities, e.g., those cases in which it is preceded by the definite article, a difference already found in the other Pauline letters.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l. Paul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63–364.
 
2절) 본절은 본 서신의 수신자가 디모데임을 밝히고 있다. 딤전 1:2에서 수신자를 ‘믿음 안에서 참 아들된 디모데’라고 말했다면 여기서는 ‘사랑하는 아들 디모데’라고 좀더 친근감있게 부르고 있다. 바울이 디모데를 아들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바로 디모데가 바울을 통해서 영적인 생명을 얻었기 때문이다. 자신의 죽음을 앞둔 바울은 자신의 영적 아들이자 신실한 동역자인 디모데를 회상하면서 그를 ‘사랑하는 아들’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이 사랑하는 아들을 향해서 바울은 마음을 담아 축복의 기도를 하고 있다. 이 축복의 내용은 앞선 딤전의 내용과 동일하다. 
 
아들이라는 표현은 ‘테크논’으로 
 
τέκνον -ου, τό; (teknon), 명사. 아이, 자손. 히브리어 등가: בֵּן 1 (119). 아람어 등가: בַּר 2 (1).
명사 용법
1. 아이 — 때로 전체적으로 자녀라고 불리는 나이를 막론한 아들이나 딸.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υἱός. 관련 주제: 아이; 자손.
롬 9:8 τὰ τέκνα τῆς σαρκὸς
갈 4:27 ὅτι πολλὰ τὰ τέκνα τῆς ἐρήμου μᾶλλον
벧전 1:14 ὡς τέκνα ὑπακοῆς,
요일 3:1 τέκνα θεοῦ
요일 3:10 ἐν τούτῳ φανερά ἐστιν τὰ τέκνα τοῦ
2. 아이 (어린) — 남성이든 여성이든 (대개)사춘기 이전에 있는 사람. 때로 사춘기에 있는 사람을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관련 주제: 아이.
고후 6:13 ὡς τέκνοις
3. 아이 (애정) — 사랑받는 것을 나타내는 기술적인 용어. 자녀를 향한 돌봄과 양육을 가리킬 것이다. 관련 주제: 아이; 딸.
딤전 1:2 Τιμοθέῳ γνησίῳ τέκνῳ ἐν πίστει·
딤후 1:2 Τιμοθέῳ ἀγαπητῷ τέκνῳ·
딛 1:4 Τίτῳ γνησίῳ τέκνῳ κατὰ κοινὴν πίστιν·
몬 10 τοῦ ἐμοῦ τέκνου, ὃν ἐγέννησα ἐν τοῖς
요삼 4 ἀκούω τὰ ἐμὰ τέκνα ἐν τῇ ἀληθείᾳ
4. 사람 (범주) — 특정한 계층이나 그룹에 속한 사람; 대개 해당 계층이나 그룹에 종속된 개념을 갖는다.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υἱός.
마 23:37|| ποσάκις ἠθέλησα ἐπισυναγαγεῖν τὰ τέκνα σου, ὃν
눅 13:34|| ποσάκις ἠθέλησα ἐπισυνάξαι τὰ τέκνα σου ὃν
눅 19:44 καὶ ἐδαφιοῦσίν σε καὶ τὰ τέκνα σου
요일 3:10 καὶ τὰ τέκνα τοῦ
계 2:23 τὰ τέκνα αὐτῆς
5. 아이 (종류) — 몇 가지 일반적인 특성에 의해 구별 하는 것 들 또는 품질 (그것의 headword에서 파생 된);의 카테고리 headword의 자식으로 이해.
갈 4:25 δουλεύει γὰρ μετὰ τῶν τέκνων αὐτῆς·
엡 2:3 καὶ ἤμεθα τέκνα φύσει ὀργῆς ὡς καὶ
요이 1 Ὁ πρεσβύτερος ἐκλεκτῇ κυρίᾳ καὶ τοῖς τέκνοις
요이 4 Ἐχάρην λίαν ὅτι εὕρηκα ἐκ τῶν τέκνων
요이 13 Ἀσπάζεταί σε τὰ τέκνα τῆς ἀδελφῆς σου
6. 아브라함의 후손 (영적) — 아브라함이 받은 약속과 복을 물려 받는 적법한 후사으로 여겨지는 사람; 아마도 특별히 아브라함이 가졌던 것과 같은 믿음으로 특징되는.
롬 9:7 οὐδʼ ὅτι εἰσὶν σπέρμα Ἀβραάμ, πάντες τέκνα,
7. 후손 ⇔ 아이 — 부모의 직계로 이해되는 후손. 관련 주제: 아이.
마 3:9|| τούτων ἐγεῖραι τέκνα τῷ
눅 3:8|| τούτων ἐγεῖραι τέκνα τῷ
요 8:39 τέκνα τοῦ Ἀβραάμ
행 13:33 ὅτι ταύτην ὁ θεὸς ἐκπεπλήρωκεν τοῖς τέκνοις
여러 용어 명사 용법
1. 아브라함의 후손 (영적) — 아브라함이 받은 약속과 복을 물려 받는 적법한 후사으로 여겨지는 사람; 아마도 특별히 아브라함이 가졌던 것과 같은 믿음으로 특징되는.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υἱός.
마 3:9|| τούτων ἐγεῖραι τέκνα τῷ
눅 3:8|| τούτων ἐγεῖραι τέκνα τῷ
칠십인역 참조 구절
창 3:16; 창 17:16; 삼상 3:16; 시 33:12; 지혜 16:21; 욜 2:23; 슥 9:13; 사 30:1; 사 63:8; 렘 38:17; 1마카 1:38
명사. 명사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  || 눅 13:34
||  || 마 23:37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  || 눅 3:8
||  || 마 3:9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  || 눅 3:8
||  || 마 3:9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앞서 발신자와 수신자를 밝힌 후에 바울은 이제 축복의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바울은 자신의 여러 서신들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함께 언급한다(롬 1:7; 고전 1:3; 고후 1:2; 엡 1:1; 살후 1:2). 성부는 근원이시며 성자는 대행자이시다. 
유다서 25
25곧 우리 구주 홀로 하나이신 하나님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광과 위엄과 권력과 권세가 영원 전부터 이제와 영원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바울의 서신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는 밀접하게 연합되어서 양자 모두 동일한 일을 수행하신다. 본 인사말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는 명령을 하시고, 구원자의 역할을 행하시고 축복을 선언하신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은혜(카리스)와 긍휼(엘레오스), 평강(에이레네)를 구한다. 
카리스(은혜)는 하나님의 그리스도안에서의 구원 사역을 한 단어로 요약하는 것으로 구원이 무가치한 죄인에게 베풀어진 값없는 선물임을 강조한다. 이는 바울의 신학에서 매우 중요한 표현으로, 신약에서 154회 사용되는데 100번이 바울서신에서 등장한다. 원래 이 표현은 종교적 함의가 없는 표현이었는데 구약에서 ‘헨’, 호의라는 의미로 사용된 것인데 바울은 이것을 사용하면서 구약의 ‘헨’보다는 ‘헤세드’(언약적 신실함)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엘레오스(긍휼)은 두 사람간의 관계에서 적절한 동정과 도움의 행위를 묘사한다. 고전 헬라어에서 긍휼은 불행하고 부당한 일이 어떤 사람에게 발생했을 때의 반응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긍휼을 요구할 수 없으며 그분은 자신의 뜻대로 긍휼을 자유롭게 주신다. 
 
에이레네(평강)은 전쟁의 중지, 평화로운 관계를 의미하는데 구약에서는 ‘샬롬’으로 표현되어서 적대행위의 외적인 부재와 이어 하나님에 의해 주어지는 총체적 의미의 안녕을 묘사하는 것이다.
바울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서신의 인사말에서 은혜와 평강을 구한다(롬, 고전후, 갈, 엡, 빌, 살후, 몬). 본문에서는 ‘긍휼(엘레오스)’가 포함되어있다. 이에 대해서 크리소스톰은 디모데의 어려운 상황속에 이 긍휼이 더욱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1:2 With the name Timothy in the dative case Paul designates the addressee of the letter. When the addressee is an individual (as in Philemon, 1 and 2 Timothy, and Titus) Paul refers to the warm and close bond that exists between him and the one addressed. In addressing Timothy and Titus, his younger assistants, Paul uses the affectionate term τέκνον preceded by a word that heightens its significance and thereby the status of the one in that role. In 1 Timothy and Titus that additional word is γνησίῳ followed by ἐν πίστει to indicate the sphere in which the term τέκνῳ functions. Here the word is ἀγαπητῷ (Pl. 27x, PE* 2x: 1 Tim. 6:2).
τέκνον might designate one or more of three possible spiritual relationships existing between Timothy and Paul: (a) spiritual sonship, Timothy being Paul’s convert; (b) spiritual adoption and training, i.e., Timothy being Paul’s adopted spiritual son; (c) spiritual youth in relationship to Paul as the older person in the faith. It is likely that at least both (a) and (b) are true. For full discussion see the comments on 1 Tim. 1:2.
Paul uses ἀγαπητός in Romans first of those who are “beloved” of God and called by him (1:7) and then of those who are “beloved” by Paul “in the Lord” (16:8; cf. 16:5, 12). Those who are “beloved” of God are “beloved” by one another (cf. 1 Tim. 6:2). Thus Paul can call the Corinthians “my beloved children” (1 Cor. 4:14, with Eph. 5:1, the only NT occurrences of plural ἀγαπητὰ τέκνα) and in the same context call Timothy “my beloved and faithful child in the Lord” (1 Cor. 4:17, 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 singular ἀγαπητὸν τέκνον). Here ἀγαπητῷ τέκνῳ is undoubtedly meant to designate that same spiritual relationship to Paul even though the ἐν πίστει in 1 Timothy and Titus and the ἐν κυρίῳ in 1 Cor. 4:17 are not used here, since ἀγαπητὸν τέκνον can be used to designate that spiritual relationship without any further qualification (as in 1 Cor. 4:14).
Timothy was one of Paul’s apostolic assistants who served faithfully with him in many situations and for him on various assignments. He is mentioned in all the Pauline letters except Ephesians, Galatians, and Titus. Much of what we learn about Timothy we learn from this letter, and each will be considered in turn as it is related (e.g., 1:3–7). For a synopsis of our knowledge of Timothy see the Introduction.
1 Timothy was sent while Timothy was on assignment in Ephesus (1 Tim. 1:3). Indicators in 2 Timothy point to Ephesus as his location when it also was sent: Onesiphorus is associated with Ephesus (1:18), and greetings are to be conveyed to his household (4:19). Tychicus is being sent to Ephesus and is most likely the bearer of the letter and perhaps a replacement for Timothy (cf. the epistolary aorist in 4:12). Alexander the coppersmith (4:14–15) may be the Alexander, probably to be associated with Ephesus, mentioned in 1 Tim. 1:20.
“Grace, mercy, and peace from God the Father and Christ Jesus our Lord” is the greeting that, with only slight variations, is in all of Paul’s letters. The form here is identical to the one found in 1 Timothy (for full treatment see the comments on 1 Tim. 1:2).
Pl. Paul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64–365.
 
 
 
 
 
728x90

기모간사소식 124(2022-12-21)

 

올 한해를 보내면서 오랜만에 소식을 나눕니다. 몇몇 동역자님들로부터 왜 요즘은 소식이 뜸하냐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몇 번의 타이밍을 놓치고 이렇게 연말에 부담을 가지고 지난 이야기들을 나눕니다. 

 

올해는 크게 세 가지 영역에서 사역을 감당하고 있습니다. 먼저는 죠이선교회 지원사역부, 전주대 강의 사역, 더기쁨교회 사역입니다. 제가 올해 진행한 사역들을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1. 죠이선교회 지원사역부 사역

 

올 해 사역을 시작하면서 죠이선교회 내부에 조직 개편이 단행되었고 작년 11월부로 학원사역부, 해외사역부, 전문사역부, 출판사역부, 사역연구소, 법인사무국으로 운영되던 체제를 현장사역부와 지원사역부로 이원화하여 구조개편을 진행했습니다. 

저는 사역연구소에서 지원사역부로 자리를 옮겨서 사역을 하고 있습니다. 지원사역부 안에는 총무국, 간사교육국, 미디어, 출판부가 함께하고 있는데 저는 주로 지원사역부 총무국에서 역할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지원사역부는 말 그대로 현장의 필드 사역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돕는 역할을 감당하고 있습니다. 올해 지원사역부는 정희원 부대표를 중심으로 박기모, 김민주, 제승도 간사가 함께 사역하고 있고, 미디어 사역에 김서영 사역동문이 함께 사역을 했습니다. 

지원사역부에서 제가 주로 감당하는 역할은 월간예배 진행, 죠이 동문 기도회(SJF) 진행, TOT(Training of Trainers) 멤버, 엑스컴 & TOT 멤버, 방송 시스템을 담당하고 외부 사역으로는 학복협 캠퍼스청년연구위원, 선교한국 프로그램위원회로 함께 섬기고 있습니다. 

1) 월간예배

월간예배는 이전에 간사들을 대상으로 매월 진행하던 직원예배의 이름을 바꾼 것입니다. 특별한 일이 없다면 매월 첫째 주 월요일 제기동 회관에 간사들이 함께 모여 예배를 드립니다. 찬양과 설교, 공동체를 위한 기도, 광고로 진행되는데 대표님이나 간사들, 때로 외부 강사분들의 적실한 설교 말씀을 통해서 개인과 공동체를 향한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경험합니다. 

2) 간사 세미나와 간사 수양회

전반기 TOT를 진행하면서 ‘미디어 사역의 방향’이라는 주제 속에서 ‘교육의 미래와 메타버스’라는 내용을 다루었는데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속에서 간사들이 함께 주지해야할 내용이라고 판단되어서 4월 18일 진행된 간사 세미나 시간에 ‘메타버스’라는 주제의 강의를 준비하였습니다. 오전에는 조대연, 손문탁 교수님이 강의를 진행해주셨고, 오후에는 제가 오전 강의 내용을 정리하고 Framevr이라는 메타버스 관련된 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펴보고 각 부서에서 직접 가상 공간에 자신의 사역을 소개하는 장을 만들고 시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메타버스 세상을 준비하며(월간지 원고) https://peterjoy.tistory.com/1075

 

간사수양회는 10월 17-19일 대전 KT 연수원에서 진행되었는데 저녁시간에는 WMC 이길제 선교사님을 통해 한국선교역사 강의를 듣고 다음날은 대전과 공주지역의 선교지를 직접 방문하여 생생한 선배 선교사들의 발자취를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3) 각종 교육과 행사 

올해 5월과 11월 둘째 주 금요일에는 DOP(Day of Prayer) 행사를 가졌습니다. 바쁜 사역의 일정을 뒤로하고 공동체가 모두 함께 모여서 사역하는 간사들과 우리의 공동체를 위해서  하루종일 온전히 기도하는 시간입니다. 무엇보다 기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실제로 우리의 시간을 그렇게 드리는 것이 쉽지 않은 때에 함께 마음을 모아, 시간을 함께 한다는 것이 매우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5월 21일에는 죠이선교회 64주년 창립기념예배를 드렸습니다. ‘그해, 죠이는’이라는 주제로 과거 70년대 죠이에서 영어로 진행되던 순서 그대로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그 때에 우리와 함께 하셨던 주님께서 지금도 우리와 함께 하심을 고백하는 귀한 시간이었습니다. 

4) 학복협과 선교한국

학복협(학원복음화협의회)안에 캠청연(캠퍼스청년연구소)이 있습니다. 이 캠청연에서 전반기 3월 21일, 28일에 캠퍼스 청년 사역자 포럼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고, 하반기 11월 15일 성복중앙교회에서 ‘2022 한국 대학생 의식과 생활’라는 주제로 설문조사에 대한 연구와 교회와 선교단체가 청년 대학생을 어떻게 섬겨야 하는지에 대한 주제를 발표했습니다. 

매년 진행되던 학복협 축구대회가 코로나로 멈췄다가 올해 9월 26일 청주 용정축구공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최근 죠이에서는 팀을 구성하지 못해서 연합팀으로 참석해서 찐하게 함께 교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올해 선교한국 사무총장과 사무국 직원들의 구성에 대거 변화가 있었습니다. 지난 대회는 코로나로 인해서 온라인으로 진행했고 2023 대회를 준비하면서 프로그램 준비위원회로 함께 하고 있습니다. 과거 대회를 진행했던 기억을 떠올리면서 프로그램을 새롭게 기획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포항의 한동대와 기쁨의 교회에서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 같이’라는 주제로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전체적인 방향과 강사 선정, 다양한 프로그램을 정하는데 지혜와 집중력이 필요합니다. 많은 기도 부탁드립니다.

2. 전주대 강의

여전히 ‘청년 대학생‘은 저의 가슴을 뛰게 하는 단어이지만 캐나다에서 공부를 마치고 귀국한 이후로는 현장과는 거리가 있는 사역을 하다가 전주의 이진호 목사의 권유로 2017년부터 전주대에서 강의를 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진로채플‘로 섬기다가 2019년부터는 ’기독교와 문화‘ 지금은 ’기독교 윤리와 적성‘이라는 기독교 교양필수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생의 질문, 인생의 본질, 인생의 책, 인생의 관계, 인생의 문제, 인생의 회복, 인생의 공동체,,,, 인생의 끝‘으로 이어지는 세계관적인 질문들이 강의의 주제입니다. 매학기마다 수업으로 만나는 학생들은 40여명 정도인데 불신자들이 대부분으로 졸업을 위한 필수 과정이라 억지로 수업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수업을 통해 기독교에 무관심한 학생들에게 기독교가 어떤 진리를 믿는 종교인지, 우리의 인생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강요하는 태도를 가장 싫어하는 세대이기에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 내용들을 통해서 먼저 관심을 가지고 마음을 열게 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처음에는 무관심하거나 기독교에 반감을 가진 학생들이 기독교의 진리에 귀 기울이고 관심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인 목적입니다. 이번 학기도 수업을 마치며 강의 평가형식의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 기독교윤리와 적성 2022년도 2학기 자체 강의평가 https://d.pr/f/RC2egC

 

기독교에 대해 안 좋은 생각을 가진 저였지만 교수님의 좋은 수업으로 인하여 생각이 바뀔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학교를 다니면서 채플을 4번을 들었지만 이번 기독교 윤리와 적성 수업이 제일 듣기 좋았으며 많은 것을 배웠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학생 1)

 

제가 종교에 대해 어릴 때부터 부정적인 인식이 강해 수강하는 첫날부터 부정적인 마음을ᅠ가지고 들었었습니다. 하지만 이 강의를 들으면서 생각보다 종교가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바뀔 수 있는 계기를 주기도 하면서 어떻게하면 바르게 살 수 있는지 고민하는 젊은이들에게 길잡이가 되어 주기도 하며 이미 길을 잘못 들어간 사람에게는 조력자가 되어 주고 많은 사람들이 고민하는 것을 답을 찾으려고 노력하여 답을 찾아 줄 수 있도록 해주는 등 제가 보고 있던 종교는 부정적인 시선으로만 보려고 노력하였기 때문에 이런 이점을 보지 못했던 것을 깨달을 수 있게 해준 시간을 갖게 해준 강의였던 것 같습니다.(학생 2)

 

단순히 '기독교'에 대한 내용이 아닌 인생 속의 기독교를 다루고 있어 인생에 대해 알아봐서 좋았던 시간이었습니다. '나에게 24시간이 남는다면?','결혼한다면 어떤 배우자가 되고 싶은가?' 등의 살면서 할 법도 한 질문들을 가지고 살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점에서 생각해보는 기회가 주어져서 좋았습니다. 또한 조원들과의 토론을 통해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던 것을 생각해 봄으로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었습니다.(학생 3) 

 

3. 더기쁨교회

아시는 분도 계시지만 제가 주일에는 교회 사역을  하고 있습니다. 2015년도에 캐나다에서 돌아와서 이전에 다니던 교회에 인사를 하러 갔다가 그곳에서 주일 설교사역을 함께 돕게 되었습니다. 이후 담임 목사님께서 다른 사역으로 바쁘셔서 제가 주로 주일 설교를 담당하다가 예배공간을 이전하면서 교회를 맡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2019년 10월부터 주일에는 카페(커피집 이공)를 임대하여 주일 예배를 드리면서 교회 이름도 ‘더기쁨교회’로 정하게 되었습니다. 의도하지 않게 개척아닌 개척을 하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개척을 시작하자마자 얼마 후 코로나가 발생하여 대면으로 모이지 못하는 상황을 거치면서 지금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2022년을 시작하기 전, 작년 말에 하나님께 기도를 드렸습니다. 교회 사역과 관련해서 제가 좀 더 집중해서 사역을 하기 원하시면 제게 하나님의 사인을 보여달라고 말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제 기도를 들으시고 놀라운 방식으로 몇 가정을 연결시켜 주셨습니다. 관련된 내용은 아래 유투브 설교에서 들으실 수 있습니다. 

- 그에게 감사하라(더기쁨교회 감사주일 설교) https://youtu.be/QZ5_IhZm_7I

 

제가 지금 교회에서 하는 사역은 일대일 제자훈련 과정을 3그룹 진행하고 있고, 교인들과 함께 꾸준히 공동체적 성경읽기를 진행하면서 매주 금요일 성경읽기 기도회를 함께 합니다. 올해로 세 번째 성경통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말씀을 함께 나누면서 한 사람, 한 사람의 변화를 목도하는 것이 저를 아주 흥분시킵니다. 뿐만 아니라 몇 주전에는 교회에서 처음으로 출산하는 가정의 부모를 축복하며 ‘베이비 샤워-baby shower’행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놀랍게도 베이비 샤워 행사를 한 다음날 아기가 태어나서 다들 너무 깜짝 놀라기도 하고 감사하기도 했습니다. 주님의 몸된 교회를 통해서 정말 영혼이 거듭나고 변화되는 것을 목도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베이비 샤워 행사 동영상 https://youtu.be/_KU2PUs8Zw4

 

4. 한결이와 한솔이

이제 첫째 한결이는 중2, 둘째 한솔이는 초 6학년을 마치게 됩니다. 올해 한결이의 키가 부쩍 커서 이제 올해가 지나면 제 키를 추월할 것 같습니다. 작년에 이어서 올해도 매일 저녁 온 가족이 함께 모여서 성경읽기를 함께 합니다. 지난 10월로 전체 통독을 마치고 새롭게 다시 읽어 가고 있습니다. 올해 말부터는 듣기가 아니라 직접 소리내서 읽기 형식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좀 더 집중해서 함께 말씀을 읽고 깨달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내는 새로운 학교로 옮겨서  올해도 1학년 부장을 맡아서 열심히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옆에서 교사로서의 아내의 모습을 보면 참 존경스럽고 감사합니다.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 늘 노력하며 아이들에게 좀 더 좋은 것을 주기 위해서 열심히 배우고 노력하는 모습에 저도 자극을 받게 됩니다. 

서로 나이가 들어가면서 쉽게 피로해지고 아픈 부분들이 많아지는데 건강을 잘 챙기기 위해서 시간을 내서 운동을 꾸준히 잘 감당하기를 원합니다. 

올 한해도 함께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새로운 2023년도 주님과 함께 달려가기를 기대합니다. 

 

기도제목

1. 죠이선교회 지원사역부 안에서의 역할을 잘 감당하도록

- 루틴한 사역에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고 잘 섬길 수 있도록

2. 전주대 강의 사역을 통해서 학생들이 인생의 의미를 발견하고 주님께 나아오기를

3. 더기쁨교회 사역을 통해서 한 영혼이 거듭나고 한 영혼이 하나님의 제자로 세워짐으로 풍성한 삶을 누리도록

4. 개인 경건의 시간을 잘 확보하도록

5. 가족들과 양가 부모님들이 모두 건강하시도록

 

후원안내

1. 죠이 사역자는 정해진 급여지급이 아니라, 개인 후원모금으로 사역하고 생활합니다

2. 사무국(029293652) 혹은 네이버 폼 작성을 통한 온라인 후원이 가능합니다. 

http://naver.me/FOvHmJ30

 

 

2022년 12월 22일  제기동 회관에서

박기모 드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