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For an overseer,6sas God’s steward, must be above reproach. He must nottbe arrogant or quick-tempered or a drunkard or violentuor greedy for gain,8 but hospitable, a lover of good, self-controlled, upright, holy,vand disciplined.9 He mustwhold firm to the trustworthy word as taught, so that he may be able to give instruction inxsound7doctrine and also to rebuke those who contradict it.
바울은 앞선 5-6절에서 장로의 자격에 대하여 말했다. 이어 7-9절에서는 감독의 자격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하지만 장로와 감독이 별개의 직분인 것은 아니다. 헨드릭슨은 장로와 갑독의 개념에 대해 ‘둘다 교회의 영적 지도자로서의 한 직분을 지칭하는데 나이와 위엄에 따라서 장로로 호칭되는가 하면, 그들의 직무에 따라서 감독으로 호칭된다’라고 말하였다. 즉 감독이라는 단어에는 교회의 영적 질서를 살피고 감독하는 자라는 직무적 개념이 들어있는 것이다.
7절) 본절의 맨 첫 단어는 ‘데이’로 이는 ‘당연히 ~하다, 마땅하다’라는 의미인데 바울은 이 표현을 사용함으로 자신이 열거한 감독의 자격 요건이 선택 사항이 아니라 필수 사항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감독’으로 번역된 ‘에피스코폰’의 원형 ‘에피스코포스’는 ‘돌보다’라는 의미의 동사 ‘에피스켑토마이’에서 유래한 단어로 ‘돌보는 자, 보호자, 관리자, 감독’(행 20:28; 빌 1:1; 딤전 3:2; 벧전 2:25)라는 의미로 쓰인다. 특히 하나님께서 어려움 가운데 있는 자신의 백성을 돌보신다는 것을 묘사하는데 쓰인 단어이다.(눅 1:68; 7:16; 행 15:14) 이런 표현에서 보듯이 감독은 하나님이 자신의 백성을 돌보시는 것 같이 영혼들을 돌보는 자를 의미한다. 초대 교회 당시 성도들이 많아지고 여러 곳에 교회가 생겨남에 따라서 교회를 다스리며 양무리들을 돌보는 역할을 감당할 지도자들이 많이 요청되었다. 그 직분으로서 감독이 필요했고 지금 그 직분을 감당할 자격을 바울이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 직분은 기름부음을 받은 선지자나 사도의 직분과는 구별되고 또한 교사의 직분과도 구별되는 직분이다.
잠언 27:23
23네 양 떼의 형편을 부지런히 살피며 네 소 떼에게 마음을 두라
솔로몬의 말대로 영적 양떼를 돌보는 직책인 감독은 그 양떼들에게 마음을 두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어야 한다.(푸른 풀밭과 쉴만한 물가)
‘하나님의 청지기’, ‘청지기’로 번역된 ‘오이코노몬’의 원형 ‘오이코노모스’는 집이라는 의미의 명사 ‘오이코스’와 관리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네모’의 합성어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집을 관리하는 사람’이란 의미를 지닌다. 이 단어는 은유적으로 사도들이나 교사들에게도 사용되었다.(벧전 4:10) ‘하나님의 청지기’인 감독은 바로 하나님의 집(딤전 3:15)인 교회를 맡아 하나님의 뜻대로 잘 다스리는 귀한 직분을 맡은 사람이다.
‘제 고집대로 하지 아니하며 급히 분내지 아니하며’, ‘제 고집대로 하다’라는 표현은 ‘아우다테’로 ‘자기 자신’을 의미하는 ‘아우토스’와 ‘기쁘게 하다’를 의미하는 ‘헤도마이’의 합성어로 ‘자기를 기쁘게 하는, 자기 만족의, 제멋대로의, 독단적인’이라는 의미이다. 감독은 항상 두 곳을 향해 자신의 귀를 열어놓고 있어야 한다. 첫째는 하나님의 뜻, 즉 성령의 세미한 음성이고 둘째는 성도들의 소리이다.
‘급히 분내다’라는 표현은 ‘오르길론’으로 이곳에서 유일하게 한번 사용된다. 이는 ‘진노’를 의미하는 명사 ‘오르게’에서 유래하였다. 분노를 품고 또한 그 분노를 쉽게 폭발시키는 자는 온유하고 인내하시는 하나님의 성품을 본받지 못한 자로서 하나님의 의를 이루지 못한다.(약 1:2); 민 20:10-13)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며’, ‘술을 즐기지’로 번역된 ‘파로이논’의 원형 ‘파로이노스’는 ‘~곁에’를 의미하는 전치사 ‘파라’와 ‘포도주, 포도원, 음료’의 뜻을 갖는 명사 ‘오이노스’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는 ‘포도주 곁에 오래 앉아 있는’이란 의미로 ‘포도주에 빠진, 술취한’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술을 즐기지 않는다는 것을 술에 지나치게 취하여 말다툼을 하거나 추태를 부리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딤전 3:8에서는 술에 인박이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술 취한 자의 해악에 대해서는 잠 23:29-35절을 보라.
‘구타하지’로 번역된 ‘플렉텐’의 원형 ‘플렉테스’는 ‘때릴 준비다 되어 있는 난폭한 자, 때리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바울이 감독의 직분에 구타를 언급하는 것을 보면 당시 구타 문제가 일상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당시 구타의 주 대상은 노예들이나 여인들이었다. 당시 로마인들은 노예를 사람취급하지 않고 하나의 재산으로 여겼기에 그들을 매매하였고 쉽게 폭력을 행사하고 죽이는 일도 서슴지 않았다. 또한 당시 여인이나 아이들의 인권은 존중받지 못했고 이러한 약자들을 한 인격체로 돌보는 것이야말로 성도의 마땅한 바이다. 당시 ‘사도 경전’이라는 문서에 ‘과실을 범한 성도를 구타하는 감독은 파편한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감독 중에는 과실을 범한 성도들에게 폭력을 사용하는 자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감독은 그 누구를 막론하고 자신의 기분에 따라 타인에게 혈기를 부리거나 구타해서는 안되며 인내함과 온유함으로 자신을 통제하며 타인을 존중해야 한다.
‘더러운 이득을 탐하지 아니하며’, ‘더러운 이를 탐하지’로 번역된 ‘아이스크로케르데’의 원형 ‘아이스크로케르데스’는 ‘더러운, 부끄러운, 천박한’이라는 의미를 갖는 형용사 ‘아이스크로스’와 ‘얻다, 갈구하다, 좋아하다’라는 의미의 ‘케르도스’의 합성어로 ‘천박한 이익을 갈구하는, 더러운 이득을 욕망하는’이라는 의미의 표현이다. 그레데인들에 대해 폴리비우스는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비열하고 탐욕스러운 방법이라도 개의치 않는 자들이다’라고 말했다. 감독들은 그런 풍조를 좇는 이들과 달라야 한다. 교회의 지도자가 될수록 쉽게 돈과 권세와 명예의 유혹을 받을 수 있다. 교회가 커지고 운영하는 재정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지도자들은 쉽게 더러운 이를 탐할 유혹에 빠지게 된다. 교회의 영적 지도자들은 늘 하나님의 종, 청지기임을 기억하고 그 사명을 감당해야한다.
여기서 말하는 더러운 이득이 항상 금전적인 것만이 아니다. 이단이나 잘못된 교회의 지도자들은 항상 돈과 섹스 권력의 유혹에 노출되어 자신을 지키지 못할 때 문제에 휩쓸리게 된다. 더러운 이득을 탐하지 않기 위해서 자족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 1:7As Paul repeats here the requirement of “blamelessness,” he introduces the functional titleἐπίσκοπος, “overseer” (“bishop”), for the elder, as he did in Acts 20:28 (cf. v. 17). He does so before he describes negatively and positively the traits that must characterize one who exercises oversight of others. He is not introducing another church office into the discussion (that of the overseer/bishop, as distinct from that of the elder) but is using another name for the same office (see the comments on 1 Tim. 3:2 and the excursus onBishops/Presbyters and Deacons). With singularτὸν ἐπίσκοπονPaul continues here the use of the generic singular that began in v. 6 (“if anyone,”εἴ τις) after the instructions regarding “elders” that began with the plural (v. 5). Thus Paul continues to focus on the elder/overseer as an individual.
ὡς θεοῦ οἰκονόμοςgives the reason that blamelessness is needed (δεῖ; cf. 1 Tim. 3:2),ὡς, “as,” being equivalent to “since he is” (Huther) and thereby introducing a basic characteristic of the elder/overseer (BAGD s.v.ὡςIII.1a). Anοἰκονόμος, “steward,” is one chosen by his employer to manage his business or his household (cf. Lk. 12:42). The elder/overseer is a person chosen by God to be a manager and entrusted with the church as God’s household (cf. 1 Tim. 3:5–6, 15). Therefore, his life must show that he truly is God’s steward by displaying God’s transforming grace.
Paul now lists five vices that must not characterize the elder, all negated byμήand all accusative in agreement withἐπίσκοπον, the subject of the infinitiveεἶναι(Robertson,Grammar, 1172). This list has a number of similarities with the list of five items in 1 Tim. 3:3 (see the two descriptions of the elder/overseer in Titus 1 and 1 Timothy 3 set in parallel columns in the discussion above of 1 Tim. 3:2): Two items are exactly alike and use words,πάροινοςandπλήκτης, that appear nowhere else in the NT. The last two items in 1 Tim. 3:3 are also negated (byἀ-privative), and the last is a synonym of the last term here. With these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ists we might also expect to find some relationship between the remaining two terms in each list, the third and fourth in 1 Tim. 3:3 and the first two here.
αὐθάδης** (also in 2 Pet. 2:10) means “self-willed” or “arrogant.” Its negation implies the corresponding virtue and thus may find its positive counterpart inἐπιεικής(gentle, kind, gracious) in 1 Tim. 3:3. Aristotle (Magna Moralia1.29;Rhetorica1.9.29) identifiesσεμνότης(cf. 1 Tim. 3:4) as the mean in the range in whichαὐθάδειαis one extreme.
One who isὀργίλος** (a NT hapax) is “inclined to anger, quicktempered” (BAGD). The possible positive counterpart in 1 Tim. 3:3 isἄμαχος, which means “peaceable” in the sense of not being contentious.
πάροινος,** “addicted to wine,” andπλήκτης,** “a pugnacious man or bully” (BAGD), appear in the NT only here and in the corresponding list in 1 Tim. 3:3 (see the comments there and, forπάροινος, on 1 Tim. 5:23).
αἰσχροκερδής** means “greedy for money” (BAGD; cf. Lysias 12, 19, where it is used of those who take from others even though they have an abundance of what they take). This vice is mentioned in all the lists for officers in the PE (the same word [the only other NT occurrence] in 1 Tim. 3:8 [deacons]; 1 Tim. 3:3 has the synonymἀφιλάργυρος) and in the exhortation of elders in 1 Pet. 5:2 (the only NT occurrence ofαἰσχροκερδῶς), probably because it is such a strong and dangerous temptation (cf. 1 Tim. 6:9–10): When a person serves it, he cannot serve God (Mt. 6:24).
In this list of five vices Paul has singled out ways in which one may be gripped and controlled by the different sins of self: pride, anger, and desire for drink, dominance, or wealth. Being controlled by any of these disqualifies a man from the position of “overseer,” one who leads others by serving as God’s steward.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오직 나그네를 대접하며’, ‘필록세논’의 원형 ‘필록세노스’는 ‘사랑하는, 좋아하는, 친구’라는 의미의 ‘필로스’와 ‘외국인’을 의미하는 ‘크세노스’의 합성어로 ‘나그네의 친구인, 외국인을 환대하는, 외국인을 환대하기를 좋아하는’이라는 의미를 가진다.(딤전 3:2; 벧전 4:9) 유대인들은 전통적으로 나그네를 환대하는 관습이 있었다. 나그네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특별한 의미를 갖는데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 땅 나그네로 살게 하셨고(출 22:21; 23:9; 신 10:19)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 나그네된 이스라엘을 돌보신 것처럼 나그네를 돌아볼줄 아는 마음을 갖게 하셨다. 율법에서도 고아와 과부와 나그네를 선대하라고 가르치고 있고(신 10:18; 슥 7:10; 말 3:5() 예수님께서도 나그네를 환대하는 것이 자신을 환대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셨다.(마 25:35, 43) 이처럼 나그네는 도움이 필요한 약자를 대표하는 대상이다. 당시 상황을 염두에 두고 보자면 1세기 경 여행자를 위한 숙박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였기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돌아다니던 전도자들을 위하여도 이러한 환대는 필수 요소였다. 그렇기에 교회의 지도자들은 전도자를 대접하고 뿐만 아니라 종교적 핍박이 있을 때 피신하는 성도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직무중의 하나였다. 부지중에 나그네를 대접하다 천사를 대접한 이들도 있었던(히 13:1; 창 18:1-21) 반면 요삼 1:9-11절을 보면 디오드레베는 형제들을 접대하지 않았고 심지어 접대하려고 하는 이를 금하여 교회에서 내쫓았고 사도 요한은 이를 성도가 본받아서는 안되는 악한 일이라고 증언했다.
요한3서 9–11
9내가 두어 자를 교회에 썼으나 그들 중에 으뜸되기를 좋아하는 디오드레베가 우리를 맞아들이지 아니하니
10그러므로 내가 가면 그 행한 일을 잊지 아니하리라 그가 악한 말로 우리를 비방하고도 오히려 부족하여 형제들을 맞아들이지도 아니하고 맞아들이고자 하는 자를 금하여 교회에서 내쫓는도다
11사랑하는 자여 악한 것을 본받지 말고 선한 것을 본받으라 선을 행하는 자는 하나님께 속하고 악을 행하는 자는 하나님을 뵈옵지 못하였느니라
‘선을 좋아하며’, ‘필라가돈’은 ‘필로스’와 ‘선’을 의미하는 ‘아가도스’의 합성어로 ‘선한 것을 사랑하는’을 의미한다. 사랑이란 단지 좋은 감정을 가지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이를 집요하게 추구하며 이를 위해서 수고와 노력을 아끼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문 역시 선을 추구함에 있어 매우 적극적인 태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신중하며’, ‘소프로나’라는 단어는 ‘마음이 건전한 제정신의’라는 의미이다. KJV은 이를 ‘술 취하지 않은, sober’로 번역하였는데 이는 술 취한 몽롱한 상태가 아닌 정신적으로 맑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처럼 근신한다는 것은 어떤 것에 취하거나 정신이 빠져있지 않고 건전한 정신을 지켜서 바른 선택과 태도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의로우며 거룩하며, ‘디카이온 호시온’, 한글번역으로는 이 두가지가 비슷한 의미로 보이지만 원문에서 두 단어의 뉘앙스는 분명하게 구별된다. ‘의로우며’로 번역된 ‘디카이온’의 원형 ‘디카이오스’는 히브리어 ‘차디크’와 동일하게 하나님이나 사람의 법에 어그러짐이 없이 법대로 사는 것을 의미한다. ‘거룩하며’로 번역된 ‘호시온’의 원형 ‘호시오스’는 ‘헌신적인,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이란 보다 적극적인 의미가 있다. 전자가 정해진 어떤 기준에 어그러짐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좀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스스로를 의생하여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목적을 이루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절제하며’, ‘엥크라테’의 원형 ‘엥크라테스’는 ‘~안에’를 의미하는 전치사 ‘엔’과 ‘힘 능력’을 의미하는 명사 ‘크라토스’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 ‘힘 안에 있는, 자제력이 있는’이란 의미로 쓰였다. 이는 ‘물욕, 권세욕, 명예욕’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킨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처럼 인간의 죄성을 억제하는 절제는 인간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 아담의 타락 이후 영적 선을 이루는데 인간은 전적으로 무능해졌기에 성령의 도우심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절제하며’라는 표현은 거룩한 영이신 성령과 동행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 1:8In contrast (ἀλλά) to those five vices, Paul names here and in the next verse seven virtues that must characterize the elder’s life. The counterpart to this list is in 1 Tim. 3:2 and contains only five items:δίκαιοςandὅσιος, the fourth and fifth items here, are not represented there, perhaps because they were self-evident enough not to need mention on every occasion. The first and third terms in the list here appear identically in 1 Tim. 3:2, the second and sixth may represent ideas presented in different terms there, and the last, which consists of all of v. 9, refers to the same concept as the last word in 1 Tim. 3:2 (see the parallel columns in the comments on that verse).
On the first virtue in this list,φιλόξενος, which is the opposite of the first vice in v. 7,αὐθάδης, see the comments on 1 Tim. 3:2.
φιλάγαθος** (a NT hapax) means “loving what is good” (MM cite a late second-century a.d. papyrus document and render the word “a lover of virtue”). One is reminded of the list of good things that are commended to Christians in Phil. 4:8. An overseer’s love for people is always to be correlated with a love for what God wants people to be. It is conceivable that this word corresponds toκόσμιοςin 1 Tim. 3:2, especially if the latter means “well-behaved” or “virtuous” there.
Onσώφρωνsee the comments on 1 Tim. 3:2.
δίκαιος, “upright, just, righteous,” is used here of one who lives in accordance with God’s law (BAGD s.v. 1; G. Schrenk,TDNTII, 190f.). It is used with this significance, “law-abiding” (BAGD), in the only other PE occurrence in reference to persons, in 1 Tim. 1:9. Paul is writing here, not about the fact that a person is declared righteous through Christ, but about righteous living (cf. his use of the relatedδικαιοσύνηin Rom. 6:13, 16, 18, 19). A general definition of this significance of the word is given in 1 Jn. 3:7: “the one who practices righteousness is righteous.”
ὅσιος, “holy,” is used here of a one who is “devout, pious, pleasing to God” (cf. by contrastἀνόσιοςin 1 Tim. 1:9; 2 Tim. 3:2).
ἐγκρατής(a NT hapax; Paul usesἐγκράτειαin Gal. 5:23 andἐγκρατεύομαιin 1 Cor. 7:9; 9:25) indicates one who is “self-controlled, disciplined” (BAGD). Probably this word is virtually equivalent toνηφάλιοςin 1 Tim. 3:2 (cf. 1 Tim. 3:11; Tit. 2:2). Paul says in 1 Cor. 9:25 that the athlete “exercises self-control in all things” and applies that lesson to Christians as spiritual athletes, most vigorously to himself (vv. 26–27). That perspective is undoubtedly intended here for those who are to be leaders of the Christian community. Thus in a sense Paul has come full circle with this term: Now he states positively and generally in one word what he has stated negatively and specifically in v. 6 with several words.
Paul has sketched out with these few well-chosen words the characteristics that must mark an “overseer”: He must love people and equally love virtue. He must be wise and prudent, must live in accordance with God’s law, must be devoted to God and seek to please him, and must manifest genuine self-control. With this blend of characteristics, the Christian leader is equipped by God’s grace to exercise the kind of oversight that a steward in God’s house, the church, should exercise.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MM J. H. Moulton and G. Milligan,The Vocabulary of the Greek Testament. London, 1930.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92–293.
9절) ‘미쁜 말씀의 가르침을 그대로 지켜야 하리니’, ‘미쁜’으로 번역된 ‘피스투’의 원형 ‘피스토스’는 믿을만한, 믿음의’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피스투 로구’는 ‘믿음의 말씀;으로 그리스도인이 믿고 따르고 있는 진리의 말씀을 가리킨다. 바울은 이 진리의 말씀에 대한 가르침, 즉 기독교의 진리, 하나님의 말씀을 가감없이 그대로 지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켜야’로 번역된 ‘안테코메논’의 원형 ‘안테코’는 ‘~에 반대하여, ~를 대신하여’라는 의미의 전치사 ‘안티’와 ‘가지다, 지키다’라는 의미의 동사 ‘에코’의 합성어로 외부적인 어떤 것에 배타적인 태도를 가짐으로써 원래 고유한 것을 훼손없이 계속 가지고 있다는 의미에서 ‘~에 대해 지키다, 확고히 고수하다, 굳게 붙들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복음서에서 이 단어는 ‘중히 여기다’로 번역되었는데(마 6:24; 눅 16:13) 이처럼 확고히 여긴다는 것은 중요하게 여기는 태도를 포함한다. 교회의 감독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양무리를 가르치고 인도하는 자이다. 그렇기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먹이지 않고 불순물을 섞는 행위는 대단히 위험한 태도이다. 자신이 제대로 지키고 행하지 않으면 절대로 제대로 가르칠 수 없다. 탁월한 언변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친다고 하더라도 그 말씀을 제대로 지켜 행하지 않는다면 곧 말씀의 능력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이는 능히 바른 교훈으로 권면하고', ‘능히’로 번역뒨 ‘뒤나토스’는 ‘가능한, 할 수 있는, 힘있는’이라는 의미의 형용사인데 ‘권면하고’와 함게 스여서 ‘권면할 수 있도록’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니까 바른 교훈으로 권면하기 위해서는 앞선 내용처럼 미쁜 말씀의 가르침을 그대로 지켜 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도자로서 따르는 이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는 권위는 리더의 큰 목소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리더 자신의 인격과 삶의 태도에서 비롯된다. 자신이 먼저 하나님의 말씀을 옳게 이해하고 그 말씀을 그대로 지켜 행해야만 바른 권면을 할 수 있다.
바울의 목회 서신에서는 ‘진리, 부탁한 것, 바른 교훈’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딛 2:1, 4, 7, 10; 딤전 1:10, 11; 4:6; 6:3; 딤후 3:10, 16; 4:3) 여기서 ‘교훈’으로 번역된 ‘디다스칼리아’는 ‘가르치다’라는 의미의 동사 ‘디다스코’에서 유래된 명사로 ‘가르침, 교훈, 진리’라는 의미를 지닌다. ‘바른’으로 번역된 ‘휘기아이누세’는 동사 ‘휘기아이노’의 현재 분사로 여기서는 아무런 오류의 혼합물이 없는 건전하고 참되며 부패하지 않은 교리를 말한다. 이는 거짓된 교훈과 대조되는 에수 그리스도의 정통 복음을 말한다.(딤전 1:10; 4:6; 딤후 4:3)
'거슬러 말하는 자들을 책망하게 하려 함이라’, ‘안틸레곤타스’의 원형 ‘안틸레고’는 ‘~에 반대하여’를 의미하는 전치사 ‘안티’와 ‘말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레고’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 ‘~에 대항하여 말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눅 2:34에서는 비방하다는 의미로, 행 13:45에서는 ‘반박하다’라는 의미로, 행 29:19에서는 ‘반대하다’라는 의미로 번역되었다. 본문에서는 복음의 적대자들이 복음 전하는 자들에 대해서 악의를 품고 악행한다고 비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시 이렇게 복음의 진리를 대적하며 거슬러 말하는 이들이 있었기에 이들을 책망하기 위해서 미쁜 말씀의 가르침을 그대로 지킬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 1:9The last characteristic in the list that began in v. 8 is crucial, for without it the overseer cannot carry out the duties prescribed in the remainder of this verse. Paul usesἀντέχομαι(always in the middle and with the genitive in the NT) here with the meaning “cling to, hold fast to, be devoted to” and thereby calls for the overseer’s firm acceptance ofὁ πιστὸς λόγος, i.e., the “preaching” or “proclamation” that the prospective overseer/elder has heard and that is “faithful or trustworthy.” At this time prospective elders were dependent on oral proclamation of the message, so Paul usesλόγοςin the sense it has in 1 Tim. 5:17, “preaching,” andπιστόςin the sense it has several times in the PE (e.g., 1 Tim. 1:12, 15; 3:1; 4:9).
The prepositional phraseκατὰ τὴν διδαχήνbetween the articleτοῦand the adjectiveπιστοῦis the key qualifier: Theλόγοςisπιστός, i.e., the message is reliable, when it is “in accord with the teaching.”διδαχή, “teaching,” is used here in the passive sense (see Rom. 6:17; 16:17) of that which is taught by the apostles (and by Christ). Paul refers to this teaching elsewhere with the related wordsδιδασκαλίαandδιδάσκω(1 Tim. 4:6; 2 Thes. 2:15). Since what “has been heard” from the apostle is to be entrusted to “faithful men,” whose task is to teach it to others (2 Tim. 2:2), Paul here designates as “faithful” proclamation that which is in accord with apostolic teaching.
Theἵναclause that occupies the rest of the verse describes the practical and necessary task to be accomplished by one who is equipped by adherence to the reliable word. Holding to that word provides the basis on which an overseer “may be” (ᾖ) “able” (δυνατός; cf. Acts 18:24) to accomplish that task. Similarly, 2 Tim. 3:15, 17 says that the scriptures “are able (τὰ δυνάμενα) to make you wise for salvation” and that by them “the man of God may be adequate (ἄρτιος ᾖ) for every good work.” Similarly, “able” here means equipped, in terms of knowledge and commitment, to carry out one’s responsibility as an elder/overseer.
The responsibilities are twofold, as indicated by theκαί … καί, “both … and,” construction. Each is indicated by a present infinitive, the firstπαρακαλεῖν(see the discussion at 1 Tim. 5:1; 6:2). Here the meaning would seem to be “exhort” in the sense of urging one’s hearers to accept the sound doctrine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it. The exhortation occurs in the sphere of (ἐν; so Bernard) “sound doctrine” (τῇ διδασκαλίᾳ τῇ ὑγιαινούσῃ); in the first occurrence in the PE of this phrase (1 Tim. 1:10; also in Tit. 2:1; 2 Tim. 4:3), “sound doctrine” is said to be “according to the gospel,” so that we may say that it signifies the teaching of Christianity.ὑγιαινούσα(PE* 8x, see 1 Tim. 1:10) indicates that theδιδασκαλίᾳis “correct,” thus distinguishing it from that which is erroneous and thereby clearly identifying it as the teaching of Christianity. The activity called for here is also called for in 2 Tim. 2:2.
The second task isἐλέγχειν(see 1 Tim. 5:20). A number of nuances are given forἐλέγχωby BAGD, and various ones have been suggested for this occurrence, such as “refute,” “confute,” “convince,” and “convict.” But since all of them are plausible with the object that appears here, the substantival participleτοὺς ἀντιλέγοντας, some other determining factor must be sought. Sinceἐλέγχωis used in v. 13 in a virtual enlargement and application of this statement, it is likely that the nuance there will also be present here. Probably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adverb “sharply” (ἀποτόμως) there, a number of the modern English translations that disagree here find themselves agreeing in v. 13 on the nuance “rebuke” (RSV, TEV, NIV; NASB:“reprove”). “Rebuke” (or “reprove”) would seem therefore to be the likely nuance here also. A positive outcome is always hoped for with regard to those being dealt with here (see v. 13; cf. 2 Tim. 2:25–26), who are calledοἱ ἀντιλέγοντες, literally “those who speak against.” These persons are undoubtedly speaking against the sound doctrine just mentioned (cf. for this attitude Tit. 1:14; possibly 3:10; 1 Tim. 6:3, 20; 2 Tim. 2:16–18, 25–26; 3:8; 4:15).
The instructions in v. 9 correspond to the “able to teach” (διδακτικός; cf. 2 Tim. 2:24–26) requirement in 1 Tim. 3:2. By their explicitness they indicate what is involved in carrying out this particular responsibility of the elder/overseer.
Vv. 6–9 have presented the qualifications for an elder/overseer, God’s steward. Such a person must be above reproach in his Christian life in general and in these special qualifications. His family life must demonstrate his fidelity and leadership ability (v. 6). He must not be controlled by any of the besetting sins of self (v. 7). He must love both people and goodness and must be thoughtful and prudent, obedient to God’s law, seeking to please God, and self-controlled because he himself is controlled by God (v. 8). He must know and be zealously committed to the apostolic teaching and willing to teach it and to rebuke those who oppose it (v. 9). This last responsibility, especially that of rebuking those who “speak against,” leads immediately into the next section and indicates the practical and necessary value of such leaders to the health and welfare of the congregation.
PE Pastoral Epistles
PE Pastoral Epistles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RSVRevised Standard Version
TEV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NIVNew International Version
NASBNew American Standard Bible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93–294.
5 oThis is why I left you in Crete, so that you might put what remained into order, andpappoint elders in every town as I directed you—6 qif anyone is above reproach, the husband of one wife,4and his children are believers5and not open to the charge ofrdebauchery or insubordination.
o[1 Tim. 1:3]
p[Acts 14:23; 2 Tim. 2:2]
qFor ver. 6–8, see 1 Tim. 3:2–4
4Ora man of one woman
5Orare faithful
rSee Eph. 5:1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5–6.
5내가 너를 그레데에 남겨 둔 이유는 남은 일을 정리하고 내가 명한 대로 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 함이니
6책망할 것이 없고 한 아내의 남편이며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는 일이 없는 믿는 자녀를 둔 자라야 할지라
본론을 시작하면서 먼저 바울은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둔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바울이 로마의 1차 투옥 직후에 석방되어 그레데에 들러 교회를 개척한 후에 이 교회를 디도에게 위임한 후에 밀레도, 드로아, 마게도냐, 고린도, 니고볼리, 로마 등의 순서로 전도 여행에 나섰을 것이다. 아래 지도에서 보는 것처럼 그레데는 지중해 그리스 남쪽의 섬이다(행 2:11; 딛 1:5; 딛 1:12). 그데데는 시실리, 사르디니아, 구브로 다음가는 지중해에서 네번째로 큰 섬이며 유럽과 소아시아, 그리고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다양한 문화를 지니고 있었다. 구약 성경에는 이 섬이 ‘갑돌’로 기록되어 있으며(신 2:23; 렘 47:7; 암 9:7) 오늘날에는 칸디아로 불리고 있다. 이곳은 일찍부터 문명이 발달하였던 지역으로 로마 황제 가이사 아구스도 통치 당시에 행정구역상 구레네와 합쳐져 한 지방이 되었다. 이곳 출신 디아스포라 유대인 중에 오순절 성령 강림시 함께 한 사람도 있었다.(행 2:11)
‘내가~ 남겨둔’으로 번역된 ‘아펠리폰’의 원형 ‘아폴레이포’는 ‘뒤에 남기도, 어느 장소에 어떤 사람을 남겨두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서 바울은 디도와 함께 그레데를 방문한 후 어떤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그곳에 디도를 남기고 떠났던 것으로 보인다. 바울은 디모데와 디모데 및 여러 일행들과 함께 선교여행을 떠나서 디모데는 에베소에(딤전 1:3) 디도는 그레데에 남겨두고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것이다.
‘남은 일을 정리하고’, 개역한글은 이를 ‘부족한 일을 바로잡고’라고 번역하였다. 이를 통해서 디도는 처음부터 그레데 교회를 섬기기 위해서 세워졌다라기 보다는 바울을 대신해서 어떤 일정한 기간동안 그 교회를 돌보도록 위임받은 사역자였음을 알 수 있다. 바울은 두가지 목적으로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두었다.
첫번째는 ‘남은 일을 정리하기 위해서’이다. 본문에서 ‘남은’으로 번역된 ‘레이폰파’의 원형 ‘레이포’는 ‘열등하다, 결핍하다, 부족하다’라는 의미를 갖는데 여기서는 현재 분사형으로 불완전한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바울이 말한 남은 일(들)은 복수형으로 여러 부족한 것들을 의미한다. 당시 그레데 교회가 온전한 교회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 보완되어야 할 것들로 거짓 사상에 맞선 진리에 대한 불충분한 인식과 교육, 또한 교회를 건강하게 세워가기 위해서 조직적이고 행정적인 부분들을 채워가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을 감당하는데 있어서 바울은 신뢰하던 디도를 적임자로 그레데에 남겨둔 것이다.
‘정리하고’로 번역된 ‘에피디오르도세’의 원형 ‘에피디오르도오’ 동사는 신약에서 이곳에서만 등장한다. 이는 ‘~위에, ~에 더하여’란 의미의 전치사 ‘에피’와 ‘통하여, 철저히’라는 의미의 전치사 ‘디아’ 그리고 ‘곧은, 똑바로 선’이라는 의미의 형용사 ‘오르도스’의 합성어로 ‘~에 부가하여 철저하게 바로 잡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NIV는 이를 ‘put in order’, ESV는 ‘put into order’, RSV는 ‘amend”로 번역하였다. ‘정리하다 혹은 흠이 있는 일을 고쳐 바로잡다’, 공동 번역은 ‘내가 거기에서 다하지 못한 일을 그대가 완성하고’로 번역한다. 바울은 그곳에 더 머물러 그레데 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교회를 더 건강하게 세우기를 원했지만 자신에게 남아있는 시간이 얼마 없는 줄 알기에 다른 사역지로 떠나면서 자신이 해결하고자 했던 여러 사안들을 디도에게 맡기고 떠난 것이다.
두번째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둔 이유는 ‘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함’이었다. 본문에 ‘각 성에’라는 표현으로 보아 그레데 섬 안에는 이미 몇몇 지역에 교회들이 세워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디도는 이런 여러 교회들에 지도자 역할을 할만한 장로들을 세우는 일을 맡은 것이다.
‘장로들을’로 번역된 ‘프레스뷔테루스’는 ‘프레스뷔테로스’의 복수형 목적격이다. ‘프레스뷔테로스’는 '나이 많은’이란 의미의 형용사 ‘프레스뷔스’의 비교급으로 원래 ‘연장자, 원로, 노인, 선진’을 뜻하는 단어였다. 그러나 그 의미가 확대되어 유대인의 산헤드린 공의회 의원(마 16:21; 막 8:21; 눅 9:22; 행 4:5) 혹은 개개의 도시들에서 공적 업무를 처리하고 재판을 집행하는 자(눅 7:3), 교회나 집회를 관장하는 자(행 11:30; 딤전 5:17; 요이 1; 요삼 1; 벧전 5:1, 5)등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쓰였다. 여기서 말하는 장로는 오늘날 ‘목사’의 개념에 더 가깝다. 당시에 목사를 지칭하는 ‘포이멘’이라는 단어가 따로 있었지만(엡 4:11) ‘프레스뷔테로스’ 혹은 7절에 언급된 ‘감독, 에피스코포스’란 단어가 더 많이 쓰였다. 장로가 구약 시대 한 성읍의 지도자를 지칭하는 말로 유대적인 배경에서 나온 단어라면 감독이란 호칭은 헬라 도시의 행정 책임자를 지칭하는 말로 헬라적인 배경에서 나온 단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장로가 연장자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단어라면 감독은 목회 사역의 측면에 중점을 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세우게 하려함이니’라는 표현은 ‘카타스테세스’로 원형 ‘카시스테미’의 부정과거 능동태 가정법 표현이다. 이는 ‘어떤 사람에게 의무, 책임, 책무를 부과하다’라는 의미이다.
- 1:5The prepositional phraseτούτου χάριν** (as a prepositionχάρινalmost always follows its noun) indicates the reason or goal for Paul’s leaving Titus on Crete, which is developed in the followingἵναclause.ἀπέλιπονmeans here “I left behind”; the nuance of “behind” is seen clearly in the other occurrences ofἀπολείπωin the PE* (2 Tim. 4:13, 20; for the textual variants here, neither of which alters the meaning, seeNA26).Κρήτη** (also mentioned in Acts 27:7, 12f., 21), the island of Crete, lies south of the Aegean Sea in the Mediterranean. As early as Homer (Iliad2.649) Crete was known for its many cities, which may account forκατὰ πόλινlater in this verse. That Paul left Titus behind implies that he was with Titus on Crete. The occasion for this that best fits into Paul’s life would be during a journey after Paul’s release from his first Roman imprisonment (see theIntroduction). From what follows, one can surmise that the two were successful in evangelizing various cities on the island but did not have time to return and strengthen the believers by setting the churches in order and seeing that elders were elected (for Paul’s pattern see Acts 14:21–23).
Therefore, Paul left Titus to “set in order what remains and appoint elders in every city, as I directed you” (v. 5b). Middleἐπιδιορθώσῃ** is to be preferred over the active (seeNA26for the evidence for each reading;ἐπιδιορθόωis a biblical hapax here).λείπωoccurs 6x in the NT but nowhere else with the sense that the participle has here. Literallyἵνα τὰ λείποντα ἐπιδιορθώσῃmeans “that you might set right the things lacking.”TEVhas perhaps best captured the phrase in an English idiom with “put in order the things that still needed doing.” That this is the proper sense is verified by the next clause, which indicates one thing that needed to be done.
καταστήσῃς(aorist subjunctive ofκαθίστημι) means here “appoint” or even possibly “ordain” (BAGD), as its only other occurrence in this kind of setting seems to indicate: In Acts 6:3 the apostles speak of the action they are about to take, that of putting the Seven (chosen by the congregation) in charge of the diaconal task by laying hands on them (v. 6). Similarly, in Acts 14 Paul and Barnabas do what Paul is asking Titus to do here, and the verb used isχειροτονέω, which could be rendered either “lay hands on” or “ordain.” It would appear that both Paul, addressing Titus, and Luke in Acts 14 are compressing what takes place by speaking only of the last act, i.e., appointment or laying on of hands, and do not feel it necessary to relate the steps that lead up to that act (which are related in Acts 6). Moreover, Paul has not written the list of qualifications that follows in vv. 6ff. for Titus’s benefit but more probably as a guide for the Christians on Crete, just as a brief list of qualifications was given to the Christians in Jerusalem to follow in their selection of the Seven (Acts 6:3). This similarity would suggest that the Acts 6 (and 14) pattern was operative here, and that would be a further indication for understandingκαταστήσῃςas referring to the final act in the process.
κατὰ πόλινis used in the distributive sense: “city by city” or “in every city” (BAGD s.v.κατάII.1d; cf. Acts 15:21; 20:23; alsoκατʼ ἐκκλησίαν, Acts 14:23). This means that pluralπρεσβυτέρουςrelates to each city that has a church: Several elders/overseers are appointed in each church. This corresponds to what was done in the cities of Philippi (Phil. 1:1) and Ephesus (Acts 20:17, 28; cf. 14:23; 1 Thes. 5:12, 13; 1 Tim. 5:17).πρεσβύτεροιhere designates the officials who lead the Christian congregation (see the comments on 1 Tim. 5:17 and the excursus onBishops/Presbyters and Deaconsfollowing the comments on 1 Tim. 3:8–13). Jeremias’s suggestion that the term be understood here and in 1 Tim. 5:17 as “older men” and the clause here rendered “install older men” is rightly regarded by Dibelius-Conzelmann (and others) as “not possible linguistically.”
Titus is to do this in accord with Paul’s command. The clause withὡςindicates the manner in which the activity should proceed (BAGD s.v. I.1; cf. Col. 4:4; Eph. 6:20) and refers to what Paul has already said to Titus (aorist tense). He repeats it here in part by indicating the qualifications necessary for an individual to become an elder. With emphaticἐγώ(as in v. 3) and the verbδιεταξάμην(“I ordered, commanded”; cf. 1 Cor. 7:17; 16:1) Paul is providing for Titus (σοι) full apostolic authority to carry out this action carefully in compliance with the standards he giv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A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26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A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26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TEV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6절) 본절의 내용은 앞선 딤전 3:1-13절의 내용과 상당히 유사하다. 에베소 교회와 그레데 교회의 상황에 따라서 같은 내용이지만 바울은 약간 다른 뉘앙스로 적절하게 권면한다. 그레데 교회에 주는 교훈이 더 강조적이라는 점에서 에베소 교회보다 아직 성숙하지 못한 공동체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추축할 수 있다.
‘책망할 것이 없고’, ‘아넹클레토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고소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엥칼레오’의 합성어로 ‘비난할 수 없는, 아무 죄가 없는, 문책받을 것이 없는’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그리스도인이라념 누구나 갖추어야할 윤리적인 자질이며 그리스도와의 교제 가운데 있는자라면 당연히 드러나야하는 성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장로가 가지는 공적 위치를 감안할 때 개인적으로 결백하고 흠잡을 데가 없는 고매한 성품을 지녀야할 뿐만 아니라 공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비난받거나 나무랄 데가 없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한 아내의 남편이며’, 바울은 장로의 자격중 가정에서의 남편됨을 강조한다. 바울이 장로에게 이런 조건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아 당시 교회안에서도 일부다처제를 따르거나 문란할 결혼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딤전 3:2) 하지만 본 구절을 근거로 목사가 반드시 기혼남이어야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 직분자로서 가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성적으로 거룩함을 유지해야한다는 것이다.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는 일이 없는 믿는 자녀를 둔 자’, 본문은 자녀교육에 대한 측면을 그 자격으로 말하고 있다. 자녀는 부로를 반영하는 거울이기에 그 자녀의 모습을 통해서 부모의 성격과 인품을 알 수 있다.
‘방탕하다 하는’으로 번역된 명사 ‘아소티아스’의 원형 ‘아소티아’는 부정 접두어 ‘아’와 성경에서 ‘구원하다, 건강하다, 지키다’라는 의미의 동사 ‘소조’의 합성어로 ‘교정할 수 없다’라는 의미인데 성경에서는 방탕하여 하나님의 뜻을 저비리는 사람에게 사용되었다.(엡 5:18; 벧전 4:4) 즉 이 표현은 도덕적인 문란이나 방탕의 의미와 더불어 종교적으로 구원에서 멀어져 하나님의 뜻을 저버리는 사람을 나타낸다.
‘불순종하는 일이’로 번역된 ‘아뉘포탁타’의 원형 ‘아뉘포탁토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복종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휘포탓소’의 합성어로 수동적으로는 ‘복종하게 되지 않은’, 능동적으로는 ‘통제할 수 없는, 다루기 어려운, 불순종한, 고집센’이라는 의리를 가진다. 여기서는 고집이 세서 부모 말씀에 불순종한다는 의미와 더불어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믿는 자녀를 둔 자’, 이 말은 ‘그의 자녀는 신실하다’ㄹ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 말을 ‘믿는’이라고 번역하는 주된 이유는 이 편지에서 이 단어가 디모데와 디도에게는 언제나 구원얻는 믿음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이 단어를 ‘신실하다’라고 번역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어떤 아버지도 자기 자녀의 회심을 보장할 수는 없지만 보통 자녀들이 ‘신실’하게 행동하게 할 수는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또한 딤전 3장의 유사한 구절도 자녀는 적절히 행동해야 한다고만 말하지 자녀의 회심이 그들의 아버지가 감독이 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딤전 3:4).
- 1:6Above reproach(repeated in v. 7) summarizes the main point, which the rest of the list (vv. 6–9) fills out: there should be no legitimate accusation that could be brought against the elder that would bring disrepute on the gospel or the church; his life should be seen as worthy of imitation.husband of one wife. See note on 1 Tim. 3:2–3.His children are believerscan also be rendered “his children arefaithful” (Gk.pistos). The primary argument for rendering it as “believers” is that in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is word almost always refers to saving faith. Those who think it should be rendered “faithful” would argue that no father can guarantee the conversion of his own children, but he can ordinarily ensure that they act in a “faithful” way. Also, the parallel passage in 1 Timothy 3 says only that the children must be well-behaved, not that their conversion is a requirement for their father to be an overseer. The concern in the passage is that the children behave appropriately and arenot open to the charge of debauchery or insubordination. The word “children” (plural of Gk.teknon) would apply only to children living at home and still under their father’s authority.
Crossway Bibles,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48.
자녀(테크논)이라는 단어는 가정에서 살며 아직 아버지의 권위 아래 있는 자녀에게 적용되는 표현이다.
이처럼 교회의 영적인 지도자는 남을 다스리기 전에 자신 뿐만 아니라 그 가정을 바르게 다스릴줄 알아야 한다. 장로 자신이 책망받고 불륜을 저지르거나 그의 자녀들이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다면 누가 그 장로의 말을 듣겠는가? 그러기 때문에 무엇보다 장로는 좋은 교훈과 본을 보여야한다. 장로는 믿는 자들의 고동체인 교회를 잘 다스려야하지만 먼저 그 전에 자신이 속한 가장 우선적인 작은 공동체인 가정을 잘 다스릴줄 알아야 한다. ‘수신제가 치국평천하’
- 1:6Paul begins (as in 1 Tim. 3:2) by stating the overall requirement that a potential elder be “above reproach” (hereἀνέγκλητος, also used of church leaders in 1 Tim. 3:10 [deacons; see the comments there]; the synonymἀνεπίλημπτοςis used of the overseer/elder in 1 Tim. 3:2). As such, a man would not be open to attack or criticism in terms of Christian life in general or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that Paul goes on to name. This does not mean that an elder must be perfect, but it may be fairly said that each named characteristic marks his life.εἴ τίς(see 1 Tim. 3:1)ἐστιν, “If anyone is,” causes the reader to expect a conclusion such as “Elect such a person as an elder.” The conclusion is not stated, probably because Paul wants to list other qualifications, and then having done so, he considers it unnecessary to make explicit the obvious conclusion. The clause implies, therefore, that these requirements are what is necessary and that “anyone” meeting them is eligible.
μιᾶς γυναικὸς ἀνήρ, “the husband of one wife,” indicates that marital and sexual fidelity are required of the potential elder. This assumes that the church officer is married (the usual situation in life) and thus prescribes fidelity in these terms. By inference it demands the same sexual purity of an unmarried elder, who is no more ruled out by this requirement than is the man with less than two children by the next requirement (see comments on 1 Tim. 3:2).
With “having children who believe, not accused of dissipation or rebellion,” it is not demanded that the elder have children but only that, if he has them, they should beπιστά τέκνα(onτέκναsee 1 Tim. 3:4, 12).ἔχωνis used here “to denote the possession of persons to whom one has close relationships” (BAGD s.v. I.2bα). The implication is that Paul is talking only about children who are still rightfully under their father’s authority in his home (cf.ἐν ὑποταγῇand the repeatedτοῦ ἰδίου οἴκουof 1 Tim. 3:4–5).
Shouldπιστάin this clause be understood as “faithful” or as “believing”? The range of usage shows that either meaning is a possibility: The word can clearly mean “faithful,” as it does several times in the PE, including once with a noun, as here (2 Tim. 2:2:πιστοὶ ἀνθρώποι). It can also mean “believing” and does on several occasions in the PE, again including once with a noun (1 Tim. 6:2:πιστοὶ … δεσπόται). The context here and the parallel in 1 Tim. 3:4–5, however, provide some important indicators: The qualifying statement here, “not accused of dissipation or rebellion,” emphasizes behavior and seems to explain what it means forτέκναto beπιστά. Likewise 1 Tim. 3:4 speaks of the overseer “keeping his children under control with all dignity.” In both cases the overseer is evaluated on the basis of his control of his children and their conduct. It is likely, therefore, thatτέκνα ἔχων πιστάhere is virtually equivalent toτέκνα ἔχοντα ἐν ὑποταγῇin 1 Tim. 3:4. If that is so, thenπιστάhere means “faithful” in the sense of “submissive” or “obedient,” as a servant or steward is regarded asπιστόςwhen he carries out the requests of his master (Mt. 24:45f.; 25:21, 23; Lk. 12:42f.; 1 Cor. 4:2; cf. Thayer,Lexicon;Cremer,Lexicon;LSJM s.v.; R. Bultmann,TDNTVI, 175, all but Thayer giving “obedient” as one of the meanings for the word and referring to Xenophon,Hellenica2.4.30; MM mentions a deed of sale in which a slave is described asπιστοῦ καὶ ἀδράστου, “faithful and not given to running away”; Horsley,New DocumentsII [1982] 53 gives an epitaph for a slave that says “I remain faithful [πιστός] as before” [cf. ibid. 3 (1983) 39]; Bultmann cites Hesychius:πιστός=εὐπειθής, ready to obey, obedient). This proposed understanding of the passage goes contrary to a consistent pattern in recent English translations(RSV, NEB, TEV:“believers”; similarlyNASB, NIV), but the considerations cited above seem compelling.
The concluding part of the verse,μὴ ἐν κατηγορίᾳ ἀσωτίας ἢ ἀνυπότακτα, literally “not in an accusation of dissipation or rebellious,” negatively qualifiesπιστάand thus indicates what may not characterizeπιστάchildren. The negative particleμήis used here, rather thanοὐκ, probably because the participleὄνταis understood with this construction (H. C. G. Moule, 155).μὴ ἐν κατηγορίᾳ** (the noun occurs in Jn. 18:29; 1 Tim. 5:19) can best be expressed in English by “not accused of.”ἀσωτία** (here genitive of the content of the accusation) means “debauchery” or “dissipation” and is used in the NT of drunkenness (Eph. 5:18) and of associated vices of the non-Christian world (1 Pet. 4:4; cf.ἀσώτωςin Lk. 15:13). Therefore the potential elder’s children must not be guilty of “sensuality, lusts, drunkenness, carousals, drinking parties” (1 Pet. 4:3).
ἀνυπότακταstands in tandem with the preceding prepositional phrase and its genitive modifier. Here it means “undisciplined, disobedient, rebellious,” as it does in 1 Tim. 1:9, where it is used of those who are unwilling to be under God’s will and law, and in Tit. 1:10 of the false teachers who “turn away from the truth” (v. 14). What must not characterize the children of an elder is immorality and undisciplined rebelliousness, if the children are still at home and under his authority. Paul is not asking any more of the elder and his children than is expected of every Christian father and his children. However, only if a man exercises such proper control over his children may he be an elder.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PE Pastoral Epistles
LSJM H. G. Liddell and R. Scott,A Greek-English Lexicon, rev. and augmented by H. S. Jones and R. McKenzie, with aSupplementby E. A. Barber. Oxford, 1968.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MM J. H. Moulton and G. Milligan,The Vocabulary of the Greek Testament. London, 1930.
RSVRevised Standard Version
NEBNew English Bible
TEV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NASBNew American Standard Bible
NIVNew International Versi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9–290.
3절) ‘때에’로 번역된 ‘카이로스’는 앞서 2절에서 사용된 ‘크로노스’, 즉 연대기적인 시간이 아닌 ‘결정적 시점, 적시, 기회’를 의미한다. 이는 어떤 특정한 일이 발생하는 결정적 시기로 하나님의 경륜가운데 존재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자기 때’는 구속사의 흐름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사건이었던 성육신,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께서 이 땅 가운데 오신 때, 사건을 의미한다. 갈 4:4에 ‘때가 차매’라는 표현이 있는데 그곳에서의 때가 카이로스가 아닌 크로노스로 표현되었지만 예수님의 카이로스는 하나님이 정해 놓으신 연대기적 크로노스가 다 찬 때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는 이 땅에서 공생애를 시작하시면서 하나님 나라의 복음, 구원의 진리를 선포하셨다. 즉 하나님이 때에 오셔서 하나님의 구원의 진리의 말씀을 선포하신 것이다. 이처럼 예수님이 구원에 관한 진리의 말씀을 전하는 방식이 바로 본문에서 말하는 ‘전도’, 즉 ‘케리그마’이다. 이 표현은 ‘이미 일어났거나 다가올 사건에 대한 정보를 담은 사자로서의 공적 선포, 특히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구원과 관련된 메시지’를 의미한다(마 11:1; 막 1:38-39; 3:14). 즉 전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공적으로 선포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강단에서 전해지는 말씀도 케리그마에 해당한다.
‘나타내셨으니’로 번역된 ‘에파네로센’은 ‘파네로오’의 부정 과거형이다. ‘파네로오’는 ‘알게하다, 나타내다, 현현하다, 즉 감추여져 있거나 알려지지 않은 것을 명백하게 눈에 보이게 하다’라는 의미이다.(막 4:22; 요 2:11; 고후 2:14; 엡 5:13; 계 2:18) 주로 하나님의 은혜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나타난 것을 말할 때 쓰였다.(딤후 1:10)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현현이며 그가 전한 말씀은 하나님의 뜻이 나타난 것인데 이것이 부정 과거 동사로 벌써 이러한 나타남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이 나타남의 방법이 바로 전도, 케리그마이다.
일반적으로 바울은 그의 서신 도입부에 ‘주’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여기서는 ‘우리 구주’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유다서와 바울의 목회 서신에서만 등장하는 표현으로 성부 하나님(딛 2:10; 3:4; 딤전 1:1; 2:3)을 가리키기도 하고 성자 하나님(딛 1:4; 3:6; 딤후 1:10; 유 1:25)을 가리킨다. 본 3절에서는 성부 하나님을 가리킨다.
‘명하신 대로’로 번역된 ‘카트 에피타겐’으로 이것의 원형은 ‘에피타게’인데 ‘명령, 지령, 계명, 권위’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즉 이 표현이 명령이라는 의미로 사용될 때는 명령을 내린 자의 권위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바울 사도에게 맡기신 명령이 신적 권위가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맡기신 것이라’로 번역된 ‘에피스튜덴’은 ‘믿다, 신뢰하다, 확신하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 ‘피스튜오’의 수동태 부정 과거형이다. 따라서 ‘에피스튜덴 에고’는 ‘나는 신뢰를 받았다, 위탁을 받았다’라는 뜻인데 이를 능동태로 바꾸면 바울에게 은혜를 베푸시고 구원하셨던 하나님이 바울을 신뢰하사 그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을 맡기셨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동사 ‘피스튜오’는 ‘믿다, 신뢰하다’라는 의미와 위탁받은 상태 즉 ‘자신이 관리하도록 맡겨진 어떤 것의 수령인이 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6.믿다 (수용하다)†— 사실로 수용하거나 그렇게 되다; 사실이라고 받다. 관련 주제: 자신감; 대담함; 믿음; 신뢰; 기독교; 개종자; 믿음.
살후 1:10ὅτι ἐπιστεύθη τὸ μαρτύριον ἡμῶν ἐφʼ ὑμᾶς,
딤전 3:16ἐπιστεύθη ἐν κόσμῳ,
동사. 동사
미래 능동태.미래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부정과거 능동태
완료 능동태.완료 능동태
부정과거 수동태.부정과거 수동태
완료 중간태.완료 중간태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Rick Brannan, ed.,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 1:3Paul now moves from eternity past to the manifestation in time and history of God’s promise.φανερόω(PE* 3x: also in 1 Tim. 3:16; 2 Tim. 1:10; hereἐφανέρωσεν) means “reveal, make known, show.” Here what is revealed isτὸν λόγον αὐτοῦ, God’s message. There is a slight but understandable shift from the “eternal life” promised by God, referred to in the preceding verse, to “his word” here. According to 2 Tim. 1:10 (eternal) life is brought to light through Christ’s work. But since eternal life is unseen and still in the future for believers, God makes known the truth about eternal life in what is called hereτὸν λόγον αὐτοῦ, which in the analogous passage 2 Tim. 1:10 is said to take placeδιὰ τοῦ εὐαγγελίου. It would appear, therefore, that “his word” her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gospel message (cf. the same correlation in Eph. 1:13; Phil. 1:12, 14; Col. 1:5).
This manifestation was madeκαιροῖς ἰδίοις, which may be rendered “at the proper time” (see comments on 1 Tim. 2:6; 6:15). God has determined the time of the manifestation (cf. Gal. 4:4; Rom. 5:6; see Lock).
Paul adds toτὸν λόγον αὐτοῦthe wordsἐν κηρύγματι, “in proclamation” or “in preaching,” thus, as elsewhere, carefully linking the essence of the gospel message to the apostolic communication of that message (cf. the closely analogous passages 2 Tim. 1:10–11; Rom. 16:25ff.). He says thereby not only that God has manifested the content of the gospel message but also that he has done so in and through the apostolic proclamation (ἐνwith the dative to express manner or means).
Paul was “entrusted” with this task of “proclamation” (cf. 2 Tim. 1:10–11). Here he addsἐγώ, “I,” for emphasis, since he always remains amazed that he, who had been the gospel’s arch-opponent, should be entrusted by God’s wondrous grace with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5 of 7x in the PE*ἐγώis used of this event: here; 1 Tim. 1:11, 15; 2:7; 2 Tim. 1:11; the other 2 are related to Paul’s activity as an apostle: Tit. 1:5; 2 Tim. 4:6). A passive form ofπιστεύωwith the meaning “be entrusted with something” occurs 6x in Paul and nearly always refers to his being entrusted with the gospel and its proclamation (1 Cor. 9:17; Gal. 2:7; 1 Thes. 2:4; 1 Tim. 1:11; here; the one exception is Rom. 3:2).
κατʼ ἐπιταγήν(see 1 Tim. 1:1) is used here with the meaning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which BAGD suggest is equivalent to “by command.” Paul wants to make plain that his being entrusted with the gospel, i.e., his apostleship (see 1 Tim. 1:1), did not originate from humans (see Gal. 1:1, 11, 12) but is an “order” or “injunction” from God himself. Thus Paul refers in several of his salutations to this action of God, usingἐπιταγή(here and 1 Timothy) orθέλημα(1 and 2 Corinthians, Ephesians, Colossians, and 2 Timothy) withθεοῦ, or by directly repudiating any human agency (Galatians).
Here and in 1 Tim. 1:1 (see the comments on that verse) Paul adds toθεοῦthe designationτοῦ σωτῆρος ἡμῶν, “our Savior.” He may do so because the readers of these two letters needed to be reminded that the one who has entrusted Paul with the gospel is indeedtheirSavior, so that this awareness might shape their thinking and acting as it shapes his (note where Paul refers to God as “Savior” in these two letters: 2:10, 13; 3:4; 1 Tim. 2:3; 4:10; “God our Savior” occurs nowhere else in his letters).
By thus referring to the “proclamation” with which he was “entrusted,” i.e., to his own ministry, Paul returns to the purpose of his apostleship and thus concludes this portion of the salutation by giving further emphasis to that purpose. This clear statement of Paul’s authoritative apostleship and its purpose of furthering the spiritual health and well-being of God’s people provides for Titus the basis for communicating and carrying out Paul’s sometimes forceful demands in this letter. Titus knows all these things, but by writing them to him Paul is making them very clear to those on Crete to whom Paul is ministering by means of this letter.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5–286.
4절) 바울은 1-3절에서 자신의 사도적 소명에 대해서 기술한다. 즉 이 서신의 발신자된 바울이 누구이며 어떻게 복음 전하는 일을 맡게 되었는지를 밝히고 나서 이제 본 4절에서는 이 편지의 수신자가 디도임을 밝히고 그에게 축도를 하고 있다.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 은혜와 평강을 구하는 내용은 딤전 1:2와 딤후 1:2의 축도와 유사하다.
디모데전서 1:2
2믿음 안에서 참 아들 된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디모데후서 1:2
2사랑하는 아들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바울은 디도가 자신과 같은 믿음을 가졌음을 먼저 밝히고 있다. ‘같은’으로 번역된 ‘코이넨’의 원형 ‘코이노스’는 ‘일반적인, 공통의, 공유의’라는 의미와 ‘속된, 부정한, 불결한’이란 뜻도 가진다. 여기서는 전자의 의미로 바울의 믿음과 공통적인 믿음을 가졌음을 밝히는 것이다. 바울의 영적 아들인 디도도 역시 바울과 동일한 믿음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바울은 디도를 향해 ‘참 아들’이라고 말했다. 바울은 디모데와 오네시모에게도 ‘아들’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딤전 1:2; 몬 1:10) 여기 사용된 ‘나의 참’이라는 표현인 ‘그네시오스’는 ‘서출이 아닌, 적법하게 태어난, 진짜의’란 의미의 형용사이다. 디도와 디모데는 바울이 직접 낳은 아들이 아니다. 하지만 이런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그들이 바울에게 매우 특별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바울이 직접 전도하여 신앙으로 양육한 자이며 바울이 매우 신뢰하고 있는 믿음의 동역자라는 것을 나타낸다.(갈 2:3; 고후 2:13; 8:23; 12:18)
디도는 같은 믿음을 따라 바울의 참 아들이다. 바울은 이 표현을 통해서 그레데 교회의 성도들로 하여금 디도의 권위에 순종하고 그의 가르침에 귀 기울일 것을 이야기 하고 있다. 왜냐하면 디도는 바울의 참된 영적인 아들로 다른 거짓 선생이나 대적자들과는 다르게 그리스도의 복음에 충실한 바울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바울이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이기에 그에게서 가르침을 받은 디도의 권위 또한 인정받기에 충분하다.
디도는 사도행전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바울서신에 자주 등장하며 고린도후서에서는 8번이나 등장한다.(고후 2:13; 7:6, 13, 14; 8:6, 16, 23; 12:18; 갈 2:1, 2, 3; 딤후 4:10) 그는 헬라인으로 이고니온에서 바울에 의해 회심한 것으로 추정되며 바울에 의해 그레데 지역의 목회자로 위임되었다. 바울은 다메섹에서 예수를 만난후 본격적인 전도자로 서기 위해 예루살렘에 올라갈 때 바나바와 디도와 동행했었다.(갈 2:1) 이 디도는 바울과 고린도 교회에 문제가 생겼을 때 둘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했고(고후 7:6, 7, 13) 바울이 편지 전달 및 헌금 모금을 위해 고린도에 사람을 보내려 할 때 자원하는 등 바울에게 힘이 되어준 동역자였다.(고후 8:16, 17) 이로 보아 바울은 디도를 매우 사랑하고 신뢰했음을 알 수 있다.
3절에서도 우리 구주, 4절에서도 우리 구주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이처럼 디도서에서는 하나님 아버지는 구주로 세 번(1:3, 2:10, 3:4, 딤전 1:1 및 주석, 2:3, 4:10 및 주석 참조), 예수님 역시 구주로 세 번(1:4, 2:13, 3:6, 딤후 1:10 참조) 불린다. 하나이신 하나님(신 6:4)만이 유일한 구원자(사 43:11, 45:21)라는 구약의 확신을 고려할 때, 바울은 아들을 성부와 같은 신성한 존재로 보았을 가능성이 높다.
- Savior.In the book of Titus, God the Father is called Savior three times (here; 2:10; 3:4; see also 1 Tim 1:1 and note; 2:3; 4:10 and note), with Jesus also called Savior three times (here; 2:13; 3:6; see 2 Tim 1:10). Given the OT conviction that God, who is one (Deut 6:4), is the only Savior (Isa 43:11; 45:21), Paul is likely viewing the Son as divine like the Father.
OTOld Testament
Douglas J. Moo,“The Letters and Revelation,”in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87.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앞서 발신자와 수신자를 밝힌 후에 바울은 이제 디도에게 축복의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바울은 자신의 여러 서신들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함께 언급한다(롬 1:7; 고전 1:3; 고후 1:2; 엡 1:1; 살후 1:2). 성부는 근원이시며 성자는 대행자이시다.
유다서 25
25곧 우리 구주 홀로 하나이신 하나님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광과 위엄과 권력과 권세가 영원 전부터 이제와 영원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바울의 서신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는 밀접하게 연합되어서 양자 모두 동일한 일을 수행하신다. 본 인사말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는 명령을 하시고, 구원자의 역할을 행하시고 축복을 선언하신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은혜(카리스)와 평강(에이레네)를 구한다.
카리스(은혜)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안에서 행하신 당신의 구원 사역을 한 단어로 요약하는 것으로 구원이 무가치한 죄인에게 베풀어진 값없는 선물임을 강조한다. 이는 바울의 신학에서 매우 중요한 표현으로, 신약에서 154회 사용되는데 100번이 바울서신에서 등장한다. 원래 이 표현은 종교적 함의가 없는 표현이었는데 구약에서 ‘헨’, 호의라는 의미로 사용된 것인데 바울은 이것을 사용하면서 구약의 ‘헨’보다는 ‘헤세드’(언약적 신실함)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에이레네(평강)은 전쟁의 중지, 평화로운 관계를 의미하는데 구약에서는 ‘샬롬’으로 표현되어서 적대행위의 외적인 부재와 이어 하나님에 의해 주어지는 총체적 의미의 안녕을 묘사하는 것이다.
- 1:4Here Paul indicates to whom (dative) he is writing this letter. Paul’s designation ofΤίτος(seeRecipients: Titusin theIntroduction) as his “true child according to a common faith” is nearly the same as his designation of Timothy in 1 Tim. 1:2 (see the comments on that verse). Here, however, he usesκατάin place ofἐνand addsκοινήν.κατάis merely a stylistic variation. Paul may useκοινός, “common,” to remind Titus, the churches on Crete, and the false teachers “of the circumcision” (1:10; cf. v. 14) that he regards the uncircumcised Titus and himself, a Jew, as sharing the same faith (seeIntroduction, p. 9; cf. Gal. 2:3–4; 3:7–9, 14, 28–29). Titus, no less than circumcised Timothy, is Paul’s spiritual child in this shared faith.
The greeting “Grace and peace from God the Father and Christ Jesus our Lord/Savior” so well articulated for Paul the essence of what Christians need, from whom they receive it, and in what capacity the members of the Godhead, who is this source, stand to Christians that he places it, with only minor differences, in the salutation of every letter (see the comments on 1 Tim. 1:2). In 1 and 2 Timothy he addsἔλεος, “mercy” (for the textual variants in Titus, including those that addἔλεος, seeUBSGNT; TCGNT). Here alone he calls Christσωτήρ, “Savior,” rather thanκύριος, “Lord.” It is as if he anticipates the two crucial theological arguments that undergird his ethical exhortations in chapters 2 and 3, in both of which Christ as Savior is at the center (2:13; 3:6) as the one through whom God’s grace has come to save us and to instruct and enable us in living godly (2:11ff.) and peaceful (3:1ff.) lives.
UBSGNT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The Greek New Testament(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B. M. Metzger,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6.
1 Paul, a servant1of God andaan apostle of Jesus Christ, for the sake of the faith of God’s elect andbtheir knowledge of the truth,cwhich accords with godliness,2 din hope of eternal life, which God,ewho never lies,fpromisedgbefore the ages began2
1For the contextual rendering of the Greek worddoulos, see Preface
aSee 2 Cor. 1:1
bSee 1 Tim. 2:4
c1 Tim. 6:3
d2 Tim. 1:1; Heb. 9:15; [ch. 2:13; 3:7]
eNum. 23:19; 2 Tim. 2:13; Heb. 6:18
fRom. 1:2
gSee 2 Tim. 1:9
2Greekbefore times eternal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1–2.
1하나님의 종이요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인 나 바울이 사도 된 것은 하나님이 택하신 자들의 믿음과 경건함에 속한 진리의 지식과
디도서는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와 더불어 목회서신이라 불리우는 책이다. 딤전, 딤후는 에베소에서 목회하던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이고 디도서는 그레데에서 목회하던 디도에게 보낸 편지이다. 본서는 그레데 교회에 필요한 장로의 자격 조건 및 이단과 거짓 사상에 대한 경계, 그리고 교회의 조직 주립 및 정통 교리 수호를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고 이러한 실천적 덕목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교의 근본 진리와 관련한 영생과 그리스도의 신성 등 신학적 내용도 담고 있다.
본서는 바울이 1차 로마 감옥 생활(행 28장)에서 풀려난 후 다시 체포되어 2차 로마 감옥에 투옥되어 순교하기 이전 AD 66년경 기록된 것으로 보여진다.
다른 서신서와 마찬가지로 디도서는 세부분으로 구성된다. 인사말에 해당되는 도입부는 1:1-4, 본론부는 1:5-3:11이며 결론부는 3:12-15이다.
1:1-4은 도입부로 두가지의 특징을 지닌다.
첫째 내용적으로 볼 때 복음의 진리와 바울 자신의 사도직을 다루는 점에서 로마서와 유사하며(롬 1:2-4) 분량으로 볼 때 본서는 매우 짧은 서신임에도 불구하고 도입부가 로마서와 갈라디아서 다음으로 길다.
둘째 바울의 다른 서신서 도입부에 대부분 기록되어 있는 내용인 하나님 혹은 교인들에 대한 감사의 내용(롬 1:8; 고전 1:4; 엡 1:16; 빌 1:3; 골 1:3; 살전 1:2; 딤후 1:3)이 생략되어 있다. 바울은 이런 내용을 생략하고 바로 디도에게 자신이 주께로부터 복음 진리를 모든 사람에게 전파하라는 명령을 받았음을 밝히면서 자신과 동일한 전도명령을 받은 자로서 그 사명을 감당하는 목회자로서의 사명을 감당할 것을 디도에게 일깨워주고 있다.
1절) ‘하나님의 종’, 본절에서 *종으로'로 번역된 ‘둘로스' 는 ‘노예, 종' (마 10:24 ; 눅 12:46 ; 요 15:15 ; 고전 7:21 ; 갈 3:28 ; 엡 6:8 ; 골 3:11 ; 계 13:16)이라는 문자적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 단어는 반드시 비천한 계급의 사람에게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왕의 신하' (삼상 29:3 ; 왕하 5:6), 모세나 여호수아 그리고 선지자 등과 같은 '하나님의 일꾼' (출 14:31 ; 민 12:7 : 수 1:2 : 삿 2:8 ; 시 78:70 ; 105:26 ; 암 3:7 ; 렘 7:25 ; 단 9:6)을 가리키는 데도 쓰였다. 특히 신약 성경에서는 '그리스도에 의하여 구속된 사람' (고전 7:23 ; 요 8:34 ; 룸 6:17.20 ; 딤후 2:19), '그리스도에 의해 소유된 자'(고전 3:23 ; 7:22), ‘그리스도의 대리자'(갈 1:10 ;롬 1:1;골 4:12), '그리스도의 뜻에 순종하고 봉사하는 자' (고전 3:5 ; 고후 3:6 : 엘 3:7), 흑은 '복음을 전파하는 교사’ (딤후 2:24)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 ‘둘로스' 라는 단어는 특히 바울이 하나님과의 관계하에서 자신을 지칭할 때 즐겨 사용하는 표현이다(롬 1:1 ; 고전 7:21 ; 고후 4:5 ; 갈 1:10 ; 빌 1:1 ; 골 1:7). 그러나 로마서나 빌립보서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 이라고 표현하였지만(롬 1:1;빌 1:1) 본서에는 유일하게 '하나님의 종'이라고 말하고 있다(행 16:17 ;벧전 2:16 ; 계 7:3 ; 15:3 ; 19:5). 이것은 고대의 예언자나 위인을 칭할 때 주로 사용되는 표현이었지만, 여기서는 하나님에 대한 절대적인 순종과 겸손을 나타냄과 동시에 자신이 하나님의 거룩한 일을 맡은 자라는 신적 권위틀 내포하고 있는 표현이라 말할 수 있다. 즉 바울은 자신이 언급할 이하의 내용이 신적 권위에 근거한 것임을 드러내기 위하여 이 표현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 ‘사도, 아포스톨로스’라는 표현도 ‘종, 둘로스’라는 표현과 함께 바울이 자신을 지칭할 때 즐겨 사용하는 표현으로 빌립보서와 빌레몬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서신서에 등장한다.(롬 1:1; 고전 1:1; 고후 1:1; 갈 1:1; 엡 1:1; 골 1:1; 살전 2:6; 딤전 1:1; 딤후 1:1) ‘종’이 자신을 더 낮추는 겸손한 표현이라면 ‘사도’는 자신이 그리스도께 부름받았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칭호라고 할 수 있다.
‘아포스톨로스’는 ‘보내다’는 의미의 동사 ‘아포스텔로’에서 파생된 명사로 ‘전권을 가지고 파견하신 분을 위해 행동하는 사람,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혹은 다른 사도들로부터 위임 받아 그를 대신하여 말하는 권위를 입은 사람’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바울은 여러 사람들로부터 자신의 사도성을 의심받았다. 왜냐하면 다른 제자들은 주님의 공생애에 함께 동행했고 그분의 죽음과 부활을 직접 목도했지만 바울을 그렇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울은 자신이 열두 제자의 일원은 아니지만 다메섹 도상에서 부활하신 주님을 직접 만나 사도로 부르심을 받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고전 15:8; 갈 1:!; 롬 1:5; 고전 1:1, 고후 1:1)
바울은 이제 자신이 사도로 부르심을 받은 이유를 1-2절에 걸쳐서 세가지로 설명한다. 그것은 하나님이 택하신 자들의 믿음과 경건에 속한 진리의 지식과 영생의 소망을 위함이다.
‘나 바울이 사도된 것은’으로 번역된 ‘카타’는 ‘~을 따라, ~에 대하여, ~을 위한 목적으로’라는 의미로 근거나 목적을 제시할때 사용되는 전치사이다. 이를 통해 바울은 자신이 하나님의 종됨과 그리스도의 사도됨의 목적을 세가지로 밝히고 있다.
‘택하신 자들의’로 번역된 ‘엑클렉톤’의 원형 ‘에클렉토스’는 영어에서 ‘선임, 선출, 선거’의 의미를 지니는 ‘election’의 어원이 되는 단어로 ‘뽑힌, 선택된’이라는 의미로 여기서 하나님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인간 구원이 온전히 하나님의 주권적인 선택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사 43:20; 45:4; 65:9)으로 신약에서는 롬 8:33과 골 3:12에서 사용된다.
여기서 ‘하나님의 택하신 자들의 믿음’이란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조상 아브라함을 택하시고 그와 언약을 맺으심으로 그의 자손들을 하나님의 백성으로 택하셨으며 그들의 믿음을 근거로 구원을 이루셨다는 역사적 사실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딤후 2:10) 즉 바울 자신이 하나님의 종이요 그리스도의 사도가 된 첫번째 목적은 구원받을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의사나 공로와는 전혀 관계없이 하나님의 영원하신 선택에 따라서(카타) 부름받은 사람들로 하여금 구원에 합당한 믿음을 갖게 하는 데에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벧전 1:2)
두번째 이유는 ‘경건함에 속한 진리의 지식’을 위함이다. 바울 서신에서 ‘경건’이라는 표현은 애우 중요하다. ‘경건함’에 해당하는 ‘유세베이아’는 원래 ‘숭배, 존경, 하나님을 향한 경건한 행위와 바른 믿음’이라는 의미이다. 이 표현을 영어 성경에서는 ‘godliness’로 번역했는데 이는 ‘하나님을 닮은 것’이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경건은 ‘하나님의 인격을 닮은 것’으로 그리스도인이라면 마땅히 추구해야할 궁극적인 목표이며 그리스도인의 온전한 삶의 당연한 귀결이다.(벧후 3:11) 본문에서는 진리의 지식이 경건함을 따라 나온다는 의미로 ‘속한’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으로 ‘진리의 지식’이 불경건에 속할 수는 없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이 사도된 목적이 성도들로 하여금 진리를 아는 지식을 가지게 하기 위함임을 분명히 밝히면서 이 진리를 아는 지식과 경건한 삶이 결코 분리될 수 없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진리를 아는 참된 지식은 참된 삶인 경건으로 귀결되며 참된 삶의 근거는 바로 참된 지식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 1:1This verse contains the name of the author (Παῦλος), two designations of his role (δοῦλος, ἀπόστολος) with their respective indicators of relationship (θεοῦ,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the results for which he labors (πίστιν … καὶ 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 τῆς κατʼ εὐσεβείαν) and those for whom he labors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ForΠαῦλοςsee 1 Tim. 1:1.
δοῦλος(see 1 Tim. 6:1) means “slave” and is used literally by Paul on several occasions (e.g., 1 Cor. 7:21, 22; Eph. 6:5–8; Col. 3:11, 22; 4:1; 1 Tim. 6:1; Tit. 2:9; Phm. 16, 18). The word can be used to designate the exclusive nature of man’s relationship to God and is used by the LXX in the Psalms and elsewhere to describe this relationship to God (cf., e.g., Pss. 19:11, 13; 67[66]:17; 86[85]:2, 4, 16; 119[118]:17, 23, 38, 49, 65, 76, 84, 122, 124f., 135, 140, 176; Tuente,NIDNTTIII, 595). Just as it is used for the members of the covenant community, so also it is used to designate its leaders, e.g., Moses (Ps. 104[105]:26), Joshua (Jos. 24:30[29]; Jdg. 2:8), Abraham (Ps. 104[105]:42), David (Ps. 88:4[89:3]), Jacob (Is. 48:20) (cf. Rengstorf,TDNTII, 268; BAGD s.v. 4). Paul connects the secular usage ofδοῦλος, “slave,” to the religious usage by designating the “free” Christian as “Christ’s slave” (see 1 Cor. 7:22) and hence uses the term for members of the Christian community (Rom. 6:16; 1 Cor. 7:22; Eph. 6:6) and its leaders including himself (cf., e.g., for others Col. 4:12; for others with himself Phil. 1:1; for himself Rom. 1:1; Gal. 1:10; used as a principle 2 Tim. 2:24; cf. alsoσύνδουλος, Col. 1:7; 4:7). When qualified by a genitive in Paul it is usuallyΧριστοῦ(Rom. 1:1; [1 Cor. 7:22]; Gal. 1:10; Eph. 6:6; Phil. 1:1; Col. 4:12) rather thanθεοῦas here (and in Jas. 1:1 [where it is also qualified byκυρίου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1 Pet. 2:16; Acts 16:17; Rev. 7:3; 15:3; cf. 2 Tim. 2:24,δοῦλον κυρίου). “But here, as elsewhere, the distinctive thing about the concept of thedoulosis the subordinate, obligatory and responsible nature of his service in his exclusive relation to his Lord” (Tuente,NIDNTTIII, 596).
Paul joins to the above designation his more usual designation of himself as anἀπόστολος Ἰησοῦ Χριστοῦ(see 1 Tim. 1:1; note thatἸησοῦ Χριστοῦhere is the reverse of the order found in 1 Tim. 1:1 and 2 Tim. 1:1, althoughΧριστοῦ Ἰησοῦis found in some MSS here, seeNA26). Forἀπόστολοςsee 1 Tim. 1:1. Paul refers to himself as “an apostle of Jesus Christ” in this opening section (as he does in his other letters) to indicate the role and authority with which he writes to Titus (1:4) and through him to the members of the churches on Crete (cf. 2:2ff., 15; 3:1ff., 8, and especially 15c: “Grace be with you all” [μετὰ πάντων ὑμῶν]).
His apostleship isκατὰ πίστιν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καὶ 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 τῆς κατʼ εὐσέβειαν. Althoughκατάmight mean “in accordance with” here, the sense of the passage seems to be best captured by theRSVrendering “to further the faith of God’s elect …” (cf. also Bernard, Brox, Hendriksen; Kelly renders it “in the interest of” and refers appropriately to Jn. 2:6; cf. also Jos.,Ant.3, 268). Just as in Rom. 1:5 Paul’s apostleship is to “bring about the obedience of faith among the Gentiles,” so here similarly his apostleship is “in the interest of” theπίστινand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of theἐκλεκτῶν θεοῦ.πίστιςwould appear to designate here the subjective element of trust or belief, since it is followed by the genitiveἐκλεκτῶν θεοῦand paralleled byἐπίγνωσις.ἐκλεκτός(NT 22x, Pl.* 6x, PE 3x, Rom. 8:33; 16:13; Col. 3:12; 1 Tim. 5:21; here; 2 Tim. 2:10) means generally those “chosen or selected” and is used here, as elsewhere in the NT, “especially of those whom God has chosen fr. the generality of mankind and drawn to himself” (BAGD). The phraseἐκλεκτοὶ(τοῦ)θεοῦis used in the NT to designate Christians and to emphasize who it is that has elected them (the phrase is used only by Paul in the NT, Rom. 8:33; Col. 3:12; Tit. 1:1; it is also used in the LXX to designate God’s people, 1 Ch. 16:13; Ps. 88:4[89:3]; 104[105]:6, 43; Is. 65:9, 15, 23). The entire phraseπίστις ἐκλεκτῶν θεοῦreminds one of the statement “as many as had been appointed to eternal life believed” (Acts 13:48).
καίjoinsἐπίγνωσινtoπίστινas a joint object of the prepositionκατά. Forἐπίγνωσιςsee 1 Tim. 2:4. With the definite articleτῆςfollowingἀληθείαςand precedingκατʼ εὐσέβειανPaul insists thatἀληθείαis that “truth” which pertains to or producesεὐσέβεια(cf. 1 Tim. 6:3, 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κατʼ εὐσέβειαν).εὐσέβεια(see 1 Tim. 2:2) means here, as often elsewhere in the NT, “godliness” in the sense of a godly life, the life of one who fears and serves God.
The correlation of these terms characterizes the purpose of Paul’s apostleship and highlights the perspective of his message and ministry. He constantly calls on his readers to turn to God in faith and to live in faith and is equally emphatic that God has previously chosen or elected such people (e.g., Rom. 8:28–33; 9:11). Similarly he constantly calls on them to know and understand God’s truth so that they can “walk in a manner worthy of the Lord, to please him in all respects” (e.g., Col. 1:9–10). Here he knits all these aspects together with carefully chosen words (cf. 2:10–11; 3:8).
LXX Septuagint
NIDNTTC. Brown, ed.,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I–III. Grand Rapids, 1975–78.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NIDNTTC. Brown, ed.,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I–III. Grand Rapids, 1975–78.
NA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26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RSVRevised Standard Version
Ant.Antiquitates Judaicae(Josephus)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E Pastoral Epistles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LXX Septuagint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2–283.
2절) 세번째 목적은 ‘영생의 소망을 위함이라’이다. 성경에서 이 ‘영생의 소망’이라는 표현은 본절과 딛 3:7에 유일하게 두번 등장한다.
‘인함이라’로 번역된 전치사 ‘에프’는 문자적으로 ‘~위에서’라는 의미로 ‘영생에 대한 소망의 터 위에서’로 번역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생의 소망은 그리스도인이 도달할 최종 종착지로서 영원한 삶을 누리게될 천국의 삶을 의미한다. 이 영생에 대한 소망은 구원을 은혜로 거저 주시고 성도에게 기업이 되시는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는다.(딤전 1:16; 4:8; 6:12, 19; 딤후 1:1, 10) 사도가 전하는 복음, 곧 예수 그리스도는 성도에게 영생을 약속한다.(요 10:28) 이러한 영생에 대한 소망은 이 세상에서의 윤리적인 삶만을 강조하는 여타 다른 종교와 기독교에 차별성을 제공한다. 사도가된 중요한 이유는 다름아닌 사람들로 하여금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영생의 소망을 갖도록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어서 바울은 그 영생의 소망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부연 설명한다.
‘이 영생은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 영원 전부터 약속하신 것’이다. ‘거짓이 없으신’에 해당하는 ‘압슈데스’는 ‘거짓, 거짓말’을 뜻하는 ‘프슈도스’에 부정 접두어 ‘아’가 결합된 것으로 ‘거짓 없는, 거짓말하지 않는’이란 의미이다. 이는 하나님의 속성이다.(히 6:18) 반대로 사단은 거짓말하고 속이는 자이다.(요 8:44; 요일 2:22) 바울이 여기서 하나님이 여러 다른 속성중 거짓말하지 않는 속성을 기록한 것은 그렇게 진실하신 하나님께서 하신 약속이므로 그것은 틀림없이 성취될 것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하나님은 변함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신 분(약 1:17)으로서 한번 하신 약속을 식언하는 행위를 하지 않으신다.(민 23:19) 그리스도를 믿는 자에게 주어지는 이 영생의 약속은 이런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 약속하신 것임으로 확실한 것이다.
또한 이 약속은 영원전, 창세전부터 하나님에 의해 계획되어지고 약속되어진 것이다. 즉 영생은 인류 역사 가운데 어떤 특정한 사건을 계기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아무런 사건도 일어나지 않은 ‘영원 전부터’약속된 것임을 말하고 있다.(고전 2:7; 엡 1:4; 살후 2:13; 딤후 1:9) 여기서 ‘영원’으로 번역된 ‘크로논 아이오니온’이다. ‘코로논’의 원형인 ‘크로노스’는 ‘때의 한 기간, 어떤 특정한 시간’이라는 의미로 역사 속에서 순차적으로 흘러가는 시간, 즉 연대기적인 시간을 초월한 개념이다. 논리적으로 볼 때 ‘영원한 시간 전’이라는 표현은 성립할 수 없다. ‘영원’에는 전이나 후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문은 영생을 약속하신 하나님이 이를 영원 전부터 약속하셨다라고 표현한다. 이는 하나님은 인간의 시간 속에 제한을 받는 분이 아니시고 시간의 한계를 초월하여 존재하시는 분이시므로(눅 20:37-38) 이 표현은 창세 이전의 시간만이 아닌 하나님의 존재 방식까지 나타내는 것으로 봐야 한다. 영원하신 하나님은 시간의 주인이시다.
- 1:2The logical connection betweenἐπʼ ἐλπίδι ζωῆς αἰωνίουand the preceding verse is not precisely clear and various possibilities have been proposed (see Huther and Hendriksen for examples). The prepositionἐπίdoes not in itself provide an answer. Analogies are provided by the occurrences ofἐλπίςin 1 Tim. 1:1 and ofἐπαγγελίαν ζωῆςin 2 Tim. 1:1, both in the section of the salutations of those letters related to Paul’s apostleship, though in both cases in a slightly different construction than here, and with 1 Tim. 1:1 adding the qualification “our” (ἡμῶν).
Perhaps then this prepositional phrase at the beginning of v. 2 qualifiesἀπόστολος(cf. 1 Tim. 4:10), as does the preceding phrase,κατὰ πίστιν.… It would thus give an additional reason for Paul’s apostleship (cf. BAGD s.v.ἐπίII.1bγ). If this is so, then this phrase speaks of the hope that Paul shares with theἐκλεκτοὶ θεοῦas he carries out his apostolic ministry and message. In 3:7—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ἐλπὶς ζωῆς αἰωνίου—Paul relates that he does share in this hope. The phrase should probably be understood to function here as it does there.
ἐλπίς(PE* 4x: 1 Tim. 1:1; Tit. 1:2; 2:13; 3:7) is used here and in the NT in the sense of “confident expectation” (as opposed to sight or possession: Rom. 8:24–25) based on God’s promise. Sometimes the same hope is expressed in other words (e.g., “the hope of glory,” Rom. 5:2; Col. 1:27). The combinationζωὴ αἰωνίος, “eternal life” (see 1 Tim. 1:16), signifies in Paul that endless future life which the believer will have as a gift from God through Jesus Christ (Rom. 5:21; 6:23; 1 Tim. 1:16; 6:12) and will enjoy in fellowship with God and his people.
The God who promised this eternal life (cf. 2 Tim. 1:1; 1 Jn. 2:25) “before the beginning of time”(NIV)is he “who does not lie.”ἐπηγγείλατο(see 1 Tim. 2:10) is used here with the meaning “promised.” Paul speaks elsewhere of God promising life with the cognate nounἐπαγγελία(1 Tim. 4:8 and 2 Tim. 1:1). God’s faithfulness to this promise is expressed negatively here with the adjectiveἀψευδής** (a NT hapax), “who cannot lie.” This way of speaking about God has its roots in the OT (e.g., Nu. 23:19; 1 Sa. 15:29), and this OT background is reflected elsewhere in Paul (e.g., Rom. 3:3–4; 2 Tim. 2:13) and in the NT (Heb. 6:18).
The time that God made this promise wasπρὸ χρόνων αἰωνίων. The prepositionπρό, when used of time, means “before” (see BAGD s.v. 2). Some have interpretedχρόνοι αἰωνίοι** (also in Rom. 16:25; 2 Tim. 1:9) as referring to the long period of time reaching back to when God made this promise to the patriarchs (e.g. Calvin; cf.RSV, NASB, NEB). Others (cf.NIV) think that Paul is speaking here of God’s commitment before time began. The most compelling consideration is the meaning of the phrase (again withπρό) in 2 Tim. 1:9, where it relates to the time of God’s purpose (πρόθεσις) and is contrasted with the “now” (νῦν) of Christ’s first appearance. There the phrase is usually understood to refer to eternity (soNASBandNEB). Here, too, there is the same movement from the time of promise to the time of manifestation (Tit. 1:2, 3). Therefore, it is best to understandχρόνοι αἰωνίοιas referring to eternity here also. This would also be in accord with Paul’s perspective elsewhere, where he looks back to God’s decision before time and the world began (cf. 1 Cor. 2:7:πρὸ τῶν αἰώνων; Eph. 1:4:πρὸ καταβολῆς κόσμου).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IVNew International Versi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바울이 디도에게 보낸 이 목회 서신은 디도가 경건하지 않은 사람들과 교회 내 율법주의자들의 지속적인 반대를 견디고 있을 때 격려와 지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디도에게 자신이 돌보는 교회들을 위해 감독자(장로)를 세우는 임무를 완수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지도자들이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지, 모든 신자들이 불신자들과의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서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올바른 그리스도인의 행동은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나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가져다주었다"는 사실에 근거하며, 따라서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은 그의 재림을 기다리면서 "절제하고 정직하며 경건한 삶을 살아야" 합니다(2:11~13). 바울은 아마도 서기 60년대에 이 편지를 썼을 것입니다.
1. 저자와 제목
딛 1:1-4을 통해서 볼때 이 서신은 사도 바울이 그의 동역자인 디도에게 쓴 편지이다. 바울이 디도서를 썼다는 사실에 대한 도전이 있어왔지만 본문이 명백히 바울이 저자임을 밝히고 편지의 신학과 문체가 다른 바울의 편지들과 일치한다.
2. 저작 연대
혹자들은 사도행전에 바울이 그레데에서 선교 사역을 한 기록이 없다는 사실을 들어서 바울의 저작 사실을 비판한다. 하지만 바울의 편지도, 사도행전도 바울의 모든 사역을 기록했다고 볼 수 없다. 전통적으로 디도서가 디모데전서와 마찬가지로 바울의 1차 투옥(행 28장)과 바울의 죽음으로 이어진 2차 투옥 사이의 시기에 기록되었다고 본다. 이 관점에서 본다면 디도서는 디모데전서와 거의 같은 시기인 AD 60년대 중반에 기록되었을 것이다.
3. 저작 목적, 상황 및 배경
바울은 최근 그레데로 여행을 마치고 새로운 교회들을 설립했습니다. 바울은 이 교회들이 제대로 세워졌는지 확인하기 위해(바울의 전형적인 패턴대로, 사도행전 14:21~23 참조)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 두었습니다. 신생 교회들 사이에 거짓 교사들(딛 1:10-16)이 존재하면서 상황은 더욱 심각해졌습니다.
거짓 교사들은 이 편지를 쓰게 된 특별한 계기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거짓 교사들에 대한 논의는 서신의 핵심을 구성합니다. 또한 장로들에 대한 묘사(1:5-9)와 올바른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묘사(2:1-10, 3:1-3)는 이러한 반대자들과 의도적으로 대조하기 위해 쓰인 것으로 보입니다. 거짓 가르침의 내용은 디모데전서에서처럼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반대자들이 "할례파"(딛 1:10)에서 비롯되었고 “유대인의 허탄한 이야기"(1:14)와 아마도 의식적 순결(1:15)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가르침에 상당한 유대적 요소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바울의 주된 관심사는 거짓 가르침의 실제적인 영향에 있습니다. 의식적 순결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거짓 가르침의 신봉자들은 복음에서 흘러나오는 경건의 삶을 살지 않고 하나님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방식으로 살았습니다(1:16).
어떤 식으로든 불경건을 허용하는 이 거짓 가르침은 고대 세계에서 부도덕의 대명사였던 크레타 섬에서 환영받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2346페이지). 그러나 바울은 그레데에서도 복음이 일상 생활에서 진정한 경건을 낳기를 기대했습니다.
바울은 거짓 가르침에 대처하면서 디도에게 건강한 교회의 초상도 제시합니다. 그는 올바른 리더십(1:5-9), 오류에 대한 올바른 대처(1:10-16, 3:9-11), 올바른 그리스도인의 삶(특히 부도덕한 환경에서 새 신자에게 중요, 2:1-10, 3:1-2), 경건의 근원으로서의 복음(2:11-14, 3:3-7)에 대해 설명합니다.
4. 문예적 특징
디도는 형식과 내용 면에서 신약 서신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인사말, 교훈, 파레네시스(도덕적 권면), 결말에 관한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디모데 전서와 디모데 후서와 마찬가지로, 이 서신은 그레데 섬의 여러 지역 교회와 관련하여 목회적 지도력을 가진 사람에게 보내는 서신이기 때문에 '목회 서신'이라고도 불립니다. 바울은 지역 교회에서 목회자의 사역과 관련된 지침을 제시합니다.
이 편지의 독특한 수사학적 또는 문체적 특징은 이 편지에서 보이는 내용의 집중도입니다. 신약 서신서 기준으로는 짧은 편지에 가능한 모든 지침을 담기 위해 바울은 간결하고 비즈니스적인 방식으로 글을 씁니다. 수신자에게 권위적이고 지시적인 자세를 취하는 필자의 태도가 곳곳에 드러납니다. 바울의 조언은 대부분 명령적인 분위기로 표현되어 있어 긴박감이 느껴집니다.
5. 핵심 주제
1. 복음은 본질적으로 신자들의 삶에서 경건을 낳습니다. 믿음과 행동 사이에는 합법적인 분리는 없습니다. (1:1; 2:1, 11-14; 3:4-7)
2. 행함이 하나님을 안다는 주장을 증명하거나 반증할 것입니다.(1:16)
3. 경건한 사람이 장로/목사로 봉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1:5-9)
4.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은 다른 사람들에게 복음을 추천할 것입니다.(2:5, 8, 10)
5. 선행은 신자의 삶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2:1-10, 14; 3:1-2, 8, 14)
6. 교회에서 교리적, 도덕적 오류를 명확하고 단호하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10-16; 3:9-11)
7. 복음은 기독교 윤리의 기초입니다.(2:11-14; 3:3-7)
6. 주제와 신학
디도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명사는 하나님(13개), 일("선행"에서와 같이, 8개), 믿음(6개), 구주(6개)입니다. 그리스도는 고상한(그러나 과장되지 않은) 용어로 표현됩니다. 그의 지상의 모습은 그가 아버지 하나님과 마찬가지로 구세주이심을 보여주었습니다(1:4, 2:10). 그의 미래 모습은 "우리의 위대하신 하나님이시며 구주이신 예수 그리스도"(2:13)의 계시로 포장된 "복된 소망"입니다. 디도서 2:13은 예수님을 하나님으로 명시적으로 식별하는 신약의 여러 구절 중 하나입니다(요 1:1, 18, 20:28, 롬 9:5, 히 1:8, 벧후 1:1, 요한일서 5:20 참조).
그리스도의 신성은 영광스럽지만 추상적인 진리가 아니라 추종자들을 선한 일("선한 것", 1:8, 2:7, 14, 3:1, 8, 14)로 이끄는 변혁적 증거입니다. 거짓 추종자들은 부분적으로 그러한 선한 행동의 부족으로 자신을 식별합니다(1:16). 그러므로 바울의 많은 윤리적 권면은 신자들이 자신이 고백하는 복음을 실제 삶에서 보여 달라는 요청입니다. 바울에게 구원의 믿음(1:1, 4, 13, 2:2, 3:8, 15)은 무엇보다도 그 행동으로 나타납니다.
디도서의 메시지는 독특한 사회적 배경을 배경으로 구체화됩니다. 크레타 문화는 무질서하고 부정직이 만연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습니다. 유명한 신화 속 신 제우스는 크레타 섬에서 태어나고 죽었으며, 인간에 대한 관대함으로 신적인 지위를 얻었다고 합니다. 디도서에 나오는 몇몇 구절은 이 신화를 염두에 두면 더욱 선명한 의미를 갖게 되는데, 바울은 기독교의 가르침에 도전했을 수 있는 크레타섬 사람들의 신념을 끌어들이기 위해 담론을 구성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울은 신화가 아닌 참되고 살아계신 하나님에 대한 가르침을 바탕으로 설교했습니다.
As the first verse states, this letter was written by the apostle Paul to his coworker Titus. In the last two centuries the Pauline authorship of Titus (as well as 1 and 2 Timothy) has been called into question. However, the criticisms in the end cannot disprove Pauline authorship, and the arguments for the authenticity of 1 and 2 Timothy also apply to Titus, providing a good basis for affirming the straightforward claim that the book of Titus was written by Paul. The text clearly claims to be from Paul, its theology aligns with Paul’s other letters, and the difference in style is certainly conceivable given the difference in situation. For more discussion on authorship, see Introduction to 1 Timothy: Author and Title.
Date
As with 1 Timothy, critics of Pauline authorship point out that the letter to Titus does not seem to fit into the narrative of Acts. There are no accounts in Acts or Paul’s other letters of Paul doing mission work in Crete (Titus 1:5). However, neither Paul’s letters nor Acts claim to be comprehensive in their account of Paul’s ministry.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has been that Titus, like 1 Timothy, was written in the time between Paul’s first imprisonment (Acts 28) and a second imprisonment which led to his death (see Introduction to 1 Timothy: Date). In this case, Titus would have been written in the mid-60s a.d., around the same time as 1 Timothy. This is plausible in light of the strong similarities between the letters.
Theme
The theme of Titus is the inseparable link between faith and practice, belief and behavior. This truth is the basis for its critique of false teaching as well as its instruction in Christian living and qualifications for church leaders.
Purpose, Occasion, and Background
Paul had recently completed a journey to Crete,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new churches. In order to see that these churches were properly established (as was Paul’s typical pattern, see Acts 14:21–23), Paul left Titus in Crete. The existence of false teachers (Titus 1:10–16) amid the fledgling churches heightens the intensity of the situation.
The false teachers appear to be the particular occasion for the writing of the letter. Discussion of the false teachers frames the heart of the letter (see Outline). Furthermore, the description of elders (1:5–9) as well as the descriptions of proper Christian living (2:1–10; 3:1–3) appear to be worded for intentional contrast with these opponents. The content of the false teaching is not made explicit (as in 1 Timothy). There appears to be a significant Jewish element to the teaching since the opponents arise from “the circumcision party” (Titus 1:10), and are interested in “Jewish myths” (1:14) and perhaps ritual purity (1:15). Paul’s primary concern, however, is with the practical effect of the false teaching. In spite of their concern for ritual purity, the adherents of the false teaching did not live lives of godliness flowing out of the gospel but instead lived in a way that proved they did not know God (1:16).
This false teaching, which in some way allowed for ungodliness, would have found a welcome home in p 2346 Crete, which was proverbial in the ancient world for immorality. But Paul expected the gospel, even in Crete, to produce real godliness in everyday life.
In dealing with the false teaching, Paul also provides Titus a portrait of a healthy church. He describes proper leadership (1:5–9), proper handling of error (1:10–16; 3:9–11), proper Christian living (esp. important for new believers in an immoral milieu; 2:1–10; 3:1–2), and the gospel as the source of godliness (2:11–14; 3:3–7).
Literary Features
In form and content, Titus is readily identifiable as a NT epistle, with sections devoted to salutation, instruction,paraenesis(a body of moral exhortations), and closing. Like 1 and 2 Timothy, this is sometimes called a “Pastoral Epistle” because it is addressed to someone who had pastoral leadership responsibilities, in this case with regard to a number of local churches in Crete. Paul gives directions pertaining to a pastor’s work in a local congregation.
The distinctive rhetorical or stylistic feature of the letter is its concentration. In order to pack in all of the instruction that he can in a letter that is short by NT epistolary standards, Paul writes in a curt and businesslike manner. The authoritative and directive stance of the writer to his recipient is evident throughout. Most of Paul’s advice is phrased in the imperative mood, producing a tone of urgency.
Key Themes
1.The gospel by its nature produces godliness in the lives of believers. There is no legitimate separation between belief and behavior.
1:1; 2:1, 11–14; 3:4–7
2.One’s deeds will either prove or disprove one’s claim to know God.
1:16
3.It is vitally important to have godly men serving as elders/pastors.
1:5–9
4.True Christian living will commend the gospel to others.
2:5, 8, 10
5.Good works have an important place in the lives of believers.
2:1–10, 14; 3:1–2, 8, 14
6.It is important to deal clearly and firmly with doctrinal and moral error in the church.
1:10–16; 3:9–11
7.The gospel is the basis for Christian ethics.
2:11–14; 3:3–7
Crossway Bibles,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45–2346.
- AUTHOR
The first word of the letter names “Paul, a servant of God and an apostle of Jesus Christ” (1:1), as its author. This locates the letter among a dozen other NT documents with similar openings. Titus is Paul’s associate (2 Cor 8:23; Gal 2:1, 3; 2 Tim 4:10). While doubts about Paul’s authorship of Titus have been expressed (see Introductions to 1 and 2 Timothy: Author), there is nothing in the setting, language, teaching, or underlying theology of this letter sufficient to prevent accepting the first word’s testimony.
DATE, PLACE OF COMPOSITION, AND DESTINATION
Titus is a pastoral leader whom Paul assigned to put things in order on the island of Crete (1:5). He and Paul worked together for well over a decade (see note on 2 Tim 4:10). Paul writes perhaps in the early AD 60s after release from his first imprisonment. He appears to be on a mission as he writes; the precise location is unknown, but he plans to arrive in Nicopolis soon (3:12). Nicopolis was on the west coast of the province of Epirus in central Greece.
PURPOSE
It is not known just how or when the faith was established in Crete. But at the time Paul writes, it seems local gatherings of believers (probably house churches) have reached a point where they require more formal and established leaders (as in Acts 14:23). The letter furnishes guidance for this process. In addition to upright leadership (1:5–9), Paul is concerned that both sexes, all ages, and all social classes live out the gospel (2:1–10). Titus must refute leaders who mislead (1:10–16), avoiding useless controversy and exercising church discipline where required (3:9–11). He needs to make progress in these tasks soon enough to join Paul before winter (3:12).
TITUS’S MINISTRY ON THE ISLAND OF CRETE
GENRE
Titus is a letter from an apostle to a trusted co-worker and, by extension, to the churches he has been called to stabilize via leadership development (see Introduction to 1 Timothy: Genre). While Paul’s words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original recipients, they retain appeal and indeed authority for followers of Christ today, for the apostolic faith was not only for then and there but continues in the church until the end of the age (Matt 28:20).
CANONICITY
As in the case of 1–2 Timothy, there is evidence that Titus was known and cited as a Pauline writing by the early second century (see Introductions to 1–2 Timothy: Canonicity). This helps account for the fairly uniform high regard that the letter has received throughout church history (until recent times in some circles).
THEMES AND THEOLOGY
The nouns occurring most frequently in Titus (with their number of occurrences) areGod(13),work(as in “good works”; 8),faith(6), andSavior(6). Christ is presented in elevated (but not exaggerated) terms. His earthly appearance showed him to be Savior, just like God the Father (1:4; 2:10). His future appearance is “the blessed hope” wrapped up in the revelation of “our great God and Savior, Jesus Christ” (2:13). Titus 2:13 is one of several NT verses that explicitly identifies Jesus as God (see also John 1:1, 18; 20:28; Rom 9:5; Heb 1:8; 2 Pet 1:1; 1 John 5:20).
Christ’s divinity is not an abstract truth, however glorious, but a transformative witness that impels followers to good works (“what is good”; 1:8; 2:7, 14; 3:1, 8, 14). False followers identify themselves in part by lack of such actions (1:16). Paul’s many ethical promptings are therefore calls for believers to show in real life the gospel they profess. For Paul, saving faith (1:1, 4, 13; 2:2; 3:8, 15) is shown not least in its actions.
The message of Titus takes shape against a unique social background. Cretan culture was widely regarded as disorderly and rife with dishonesty. The prominent mythical god Zeus allegedly was born and died on Crete, earning divine status by his generosity to humans. Some passages in Titus take on sharper meaning when this myth is borne in mind; Paul likely shapes his discourse to engage Cretan convictions, for these may have challenged Christian teaching. Paul drew on teachings about the true and living God, not a mythical one.
NTNew Testament
Douglas J. Moo,“The Letters and Revelation,”in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85–2186.
19 GreetuPrisca and Aquila, andvthe household of Onesiphorus.20 Erastus remained at Corinth, and I leftwTrophimus, who was ill, at Miletus.21 xDo your best to come before winter. Eubulus sends greetings to you, as do Pudens and Linus and Claudia and all the brothers.3
22 The Lord beywith your spirit.zGrace be with you.4
uSee Acts 18:2
vch. 1:16
wActs 20:4; 21:29
xver. 9
3Orbrothers and sisters. In New Testament usage, depending on the context, the plural Greek wordadelphoi(translated “brothers”) may refer either tobrothersor tobrothers and sisters
yGal. 6:18; Philem. 25
zSee Col. 4:18
4The Greek foryouis plural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4:19–22.
19브리스가와 아굴라와 및 오네시보로의 집에 문안하라
20에라스도는 고린도에 머물러 있고 드로비모는 병들어서 밀레도에 두었노니
21너는 겨울 전에 어서 오라 으불로와 부데와 리노와 글라우디아와 모든 형제가 다 네게 문안하느니라
이 본문은 디모데후서의 마지막 인사말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각처에 있는 그리스도인 동역자들에게 문안하라는 명령과 믿음의 형제들의 디모데에 대한 문안을 전해주고 있다.
19절) 바울은 브리스가와 아굴라, 오네시보로의 집에 문안할 것을 명령한다. 이들은 모두 복음 전도 사역시에 바울에게 큰 도움을 준 이들이다. 브리스가는 브리스길라의 다ㅇ른 이름으로 시약 성경에 여러번 등장한다(행 18:2, 18, 26; 롬 16:3; 고전 16:19)
이들은 갈라디아지역의 북동쪽에 위치한 본도 출신으로 로마에 거주했었으나 글라우디오 항제의 반유대주의 정책으로 인해 로마에서부터 고린도로 이주했던 자들이다. 이들은 바울과 동일하게 장막을 만드는 직업을 가졌다. 바울은 이들을 롬 16:3-4절에서 이렇게 언급했다.
로마서 16:3–4
3너희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의 동역자들인 브리스가와 아굴라에게 문안하라
4그들은 내 목숨을 위하여 자기들의 목까지도 내놓았나니 나뿐 아니라 이방인의 모든 교회도 그들에게 감사하느니라
이처럼 이 부부는 바울의 둘도 없는 신실한 동역자들이었다. 혹자는 부인인 브리스가의 이름이 남편인 아굴라의 이름보다 먼저 등장하는 것에 주묵하여 부인이 남편보다 더욱 탁월한 충성과 열심을 지녔기 때문이라거나 부인이 더 훌륭한 귀족 가문 출신이라거나, 또는 부인이 더 고결한 인격의 소유자이기 때문이라고도 설명한다. 충분히 가능한 설명이지만 이를 너무 강조할 필요는 없다.
오네시보로는 앞선 1:16-18절에도 등장한다.
디모데후서 1:16–18
16원하건대 주께서 오네시보로의 집에 긍휼을 베푸시옵소서 그가 나를 자주 격려해 주고 내가 사슬에 매인 것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고
17로마에 있을 때에 나를 부지런히 찾아와 만났음이라
18(원하건대 주께서 그로 하여금 그 날에 주의 긍휼을 입게 하여 주옵소서) 또 그가 에베소에서 많이 봉사한 것을 네가 잘 아느니라
바울을 자주 격려해주고 사슬에 매인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로마에 있을때도 바울을 부지런히 찾아와 만났다라고 말한다. 바울은 그 오네시보로의 집을 축복하고 있다.
오네시보로는 바울을 자주 격려해주었다. ‘격려해주다’라는 표현은 ‘아넵쉿센’으로 ‘위로, 위를 향하여’를 의미하는 전치사 ‘아나’와 ‘서늘하게 하다라’라는 의미의 동사 ‘프쉬코’의 합성어로 ‘시원함, 편안함’을 의미하는 ‘아납시코’의 부정과거형이다. 신약에서는 이곳에 한번 등장하는 표현으로 개역한글은 ‘유쾌하게 하다’라고 번역했다. 오네시보로는 옥에 갇힌 바울을 방문하여 그의 마음을 시원하게, 즉 상쾌하게 하고 기운을 되찾게 해주었던 것이다. 또한 그는 ‘바울이 사슬에 매인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당시 헬라 세계에서 복음은 미련한 것으로 치부되었고 바울은 이러한 복음으로 인해 죄수의 신분으로 로마 감옥에 수감되었고 모든 사람이 바울을 배신하여 떠나간 상황속에서 오네시보로는 바울을 전혀 부끄러워하지 않았던 것이다.
바울은 지금 이런 오네시보로의 집에 대하여 문안할 것을 명령하는 것이다.
- 4:19Paul begins with greetings to Prisca and Aquila. He uses the verbἀσπάζομαι, which he normally uses to send greetings (Pl. 40x, all in the concluding verses of his letters). The imperative form, hereἄσπασαι, may be translated “Greetings to …”
Πρίσκαν**καὶ Ἀκύλαν** were the wife and husband team that befriended Paul in Corinth, whom he stayed with, and who worked with him as tentmakers (Acts 18:2–3). Aquila was a Jew and a native of Pontus (18:2). They accompanied Paul to Ephesus and remained there when he went on to Caesarea (18:18–22). Their Christian commitment and understanding was evidenced as they shared “the way of God more accurately” with Apollos (18:26). In Acts the woman is calledΠρίσκιλλα, in Paul’s letters she is calledΠρίσκα(Πρίσκιλλαis a variant reading in Rom. 16:3; 1 Cor. 16:19). Paul calls them “my fellow workers in Christ Jesus” (Rom. 16:3) and mentions the church “in their house” (1 Cor. 16:19).
Prisca is usually named before her husband, and various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this unusual order. It is possible that she was the more active Christian. Ramsay pointed out another case in which a woman was named before her husband probably because she was of higher rank (cited in BAGD s.v.Πρίσκα). It is also possible that placing Prisca’s name first is an expression of Christian courtesy extended to her because she is a woman. In Paul’s case in particular (and perhaps his attitude is also reflected by his companion Luke in Acts), it may reflect his gratitude in that the couple’s hospitality toward him involved her in considerably more work. He names Aquila first only in 1 Cor. 16:19, where his mentioning “the church in their house” may recall the leadership role of Aquila in the church. These various theories are nothing more than that, and no conclusions should be drawn from them, particularly none that would contradict Paul’s direct statements regarding the role of women in the church (especially 1 Tim. 2:10–15; also 1 Cor. 14:34ff.).
Paul’s other greeting is toτὸν Ὀνησιφόρου οἶκον.τὸν οἶκον(PE* 8x: 1 Tim. 3:4, 5, 12, 15; Tit. 1:11; 2 Tim. 1:16) is used here metaphorically, as in virtually all the PE passages, for the “household” or “family” ofὈνησίφορος.** Onesiphorus is mentioned only here and in 1:16, and all that we know about him in the NT is found in 1:16–18. His “house” is mentioned either because he is dead or because he is away from it. It is probably singled out because Paul appreciates the services the “household” has rendered, both directly and through Onesiphorus (see the comments on 1:16–18, especially v. 18).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75–476.
20절) 앞서 문안할 것을 명한 바울은 이제 에라스도와 드로비모의 개인적인 사정에 대해 언급한다.
에라스도는 고린도에 머물러 있다라고 바울은 말한다. 에라스도는 어떤 인물인가? 에라스도는 신약에 3번 등장한다(행 19:22; 롬 16:23).
사도행전 19:22
22자기를 돕는 사람 중에서 디모데와 에라스도 두 사람을 마게도냐로 보내고 자기는 아시아에 얼마 동안 더 있으니라
여기서 디모데와 에라스도가 나란히 거명되는 것으로 보아 본문에서 언급된 에라스도와 동일인으로 추정된다. 그는 고린도 지방의 재무를 담당했으며, 바울의 마지막 전도여행 때에 고린도로 파송되었다.
로마서 16:23
23나와 온 교회를 돌보아 주는 가이오도 너희에게 문안하고 이 성의 재무관 에라스도와 형제 구아도도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드로비모는 행 20:4; 21:29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사도행전 20:4
4아시아까지 함께 가는 자는 베뢰아 사람 부로의 아들 소바더와 데살로니가 사람 아리스다고와 세군도와 더베 사람 가이오와 및 디모데와 아시아 사람 두기고와 드로비모라
사도행전 21:29
29이는 그들이 전에 에베소 사람 드로비모가 바울과 함께 시내에 있음을 보고 바울이 그를 성전에 데리고 들어간 줄로 생각함이러라
바울은 바로 이사람으로 인해 예루살렘 폭도들에게 붙잡혔고 갖은 우여곡절 끝에 죄수의 신분으로 로마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본절의 문맥상 드로비모는 바울과 같이 전도여행을 하다가 병에 걸렸고 바울은 로마로 돌아왔지만 드로비모는 밀레도에 남겨진 것이다. 사도의 은사를 지닌 바울도 언제나 모든 병을 고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육체적 치유를 위하여 간절히 기도해야하지만 지금도 구체적인 각 경우에 병 고침의 여부는 하나님께 달려있다.
- 4:20In v. 10 Paul mentioned who had left and gone elsewhere. Here he brings Timothy up to date on two men who, for different reasons, have remained elsewhere and are, therefore, not with Paul in Rome (immediately after this Paul again asks Timothy to come to him).
TheἜραστος** mentioned in Acts 19:22, like the one mentioned here, is a coworker of Paul and is associated with Ephesus and with Timothy. Therefore, it is almost certain that they are the same pers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Erastus mentioned in Rom. 16:23, “the city treasurer of Corinth,” is the same person, especially since Paul’s comment here about this Erastus is that he “remained in Corinth.” An inscription has been found in Corinth mentioning an Erastus, “commissioner of public works” (ERASTVS PRO∙ AED∙ S∙ P∙ STRAVIT;see Cadbury, “Erastus”).Κόρινθος** is a city in Greece located on the isthmus of Corinth that served from 27 b.c. as capital of the senatorial province of Achaia and seat of the proconsul. The statement that Erastus “remained” (ἔμεινεν) in Corinth may imply that Paul was there with him.
Τρόφιμος** is an Ephesian (Acts 21:29) and was one of two from Asia in the group that accompanied Paul on his last journey to Jerusalem (the other from Asia was Tychicus, mentioned already in v. 12; the group included Timothy [Acts 20:4]). Jews from Asia falsely charged Paul with having brought Trophimus, a Greek, into the Jerusalem temple and stirred up the people in the city. As a result of this commotion Paul was arrested by the Roman authorities (Acts 21:27–36). This arrest led eventually to Paul’s first journey to Rome. Paul “left behind” (ἀπέλιπον, a similar nuance in the other PE* occurrences: v. 13; Tit. 1:5) Trophimusἐν Μιλήτῳ** (Acts 20:15, 17). Miletus was a port on the coast of Asia Minor near the Meander River and about thirty-five miles south of Ephesus. Paul stopped there on his last journey to Jerusalem and met with the elders of Ephesus (cf. Acts 20:15–38).
Paul left Trophimus at Miletus because Trophimus wasἀσθενοῦντα. The verbἀσθενέωwas used generally of the state of being weak. All its NT occurrences refer to physical illness (e.g., Mt. 25:39; Jn. 4:46; Phil. 2:26f.; Jas. 5:14). Though Paul on other occasions was the instrument through which individuals were healed (Acts 14:9–10; 19:11–12; 20:10; 28:8–9; cf. 2 Cor. 12:12), he did not always heal: On this occasion he left a fellow worker “sick” (cf. 2 Cor. 12:7–10). The implication of the verb “I left behind” (ἀπέλιπον) is that Paul was with Trophimus in or near Miletus when Trophimus stopped traveling.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76–477.
21절) 겨울 전에 너는 어서 오라, 이미 9절에서 ‘너는 어서 속히 내게로 오라’고 말한바 있는데 여기더 사디 한번 겨울 전에 어서 오라고 언급함으로 바울이 얼마나 디모데와의 만남을 간절히 바라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겨울 전에’오라고 요청한 이유는 무엇인가? 유대력상 겨울은 초박절부터 유월절까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양력으로 10월부터 4월까지를 포괄한다. 그런데 행 27장에서 보여지듯이 이시기에는 지중해에서 일체의 항해가 중단되고 어렵게 항해를 한다고 해도 위험하기 짝이 없다. 뿐만 아니라 이미 6-8절에서 자신의 죽음을 확신하고 있었기에 만약 겨울 전에 디모데가 오지 못한다면 바울과 디모데는 이 세상에서 결코 만나지 못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본서가 ‘눈물의 서신’인 것이다.
‘으불로’는 문자적으로 ‘좋은 위로자, 분별 있는 사람’이란 뜻이다.
‘부데’는 ‘검소한’이란 뜻이며 전승에 따르면 베드로의 복음 증거로 말미암아 개종한 로마 원로원의 의원이라고 한다.
‘리노’는 ‘아마 빛깔의 머리를 한 사람’이란 뜻으로 유세비우스의 전승에 따르면 베드로 사후 로마 교회의 감독이 되었다고 한다.
‘글라우디아’는 ‘절름발이’라는 뜻을 지닌 여성명사로 리노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바울은 ‘모든 형제’가 디모데에게 문안한다고 언급합으로써 로마 교회 그리스도인들의 안부도 빠뜨리지 않는다.
- 4:21Paul repeats his request for Timothy to come to him using the same imperative and infinitive as in v. 9 (see the comments there). But now, instead of using the adverbταχέως, he uses the phraseπρὸ χειμῶνος.πρόis used with the seasonal designationχειμῶνοςto signify the time before which Timothy should come.χειμώνwas used of both the cold season, “winter” (e.g., Mt. 24:20 par. Mk. 13:18; Jn. 10:22), and wintery and stormy weather (e.g., Mt. 16:3; Acts 27:20). Here the two meanings virtually coalesce since the season is probably intended precisely because then Paul will need his cloak (v. 13) and the weather will make sea travel impossible (cf. Acts 27:20 and context). Paul knows that if Timothy does not come “before winter” (usually regarded as from about November to about March; see, e.g., J. Kelso,ZPEBV, 806) he will have to wait until travel commences again in spring. Perhaps the most compelling reason for Timothy to “come before winter” is Paul’s expectation that his trial and probable execution will not be put off that long.
Paul conveys greetings to Timothy from four individuals and fromοἱ ἀδελφοὶ πάντες. The four, three men, Eubulus, Pudens, and Linus, and one woman, Claudia, are otherwise unknown in the NT. According to Irenaeus,Haer.3.3.3, Linus was the first bishop of Rome after Peter and Paul (cf. also Eusebius,HE3.2; 3.4.9). Paul’s earlier mention of the departure of all his fellow workers except for Luke (vv. 10–11) implies that these four are not fellow workers. They are probably members of the church at Rome, since their names are joined toοἱ ἀδελφοὶ πάντες, which is probably a general designation for members of that church (see below). These four are singled out perhaps because the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imothy going back to when he was in Rome with Paul (cf. Timothy’s inclusion with Paul as author in Phil. 1:1; Col. 1:1; Phm. 1).
ἀδελφοίis used figuratively in the NT to designate Christians because they are members of a spiritual family through their relationship to Christ as Lord and Savior and to God as Father.ἀδελφοίin 1 Tim. 4:6 (cf. 6:2, the other PE occurrence in this sense) indicates those whom Timothy is to instruct and is responsible for, i.e., the Christians in Ephesus. Here theἀδελφοίare distinguished from Paul’s fellow workers, who other than Luke have left (vv. 10–11) and must, therefore, be the members of the Christian church in Rome. The universal termπάντες, “all,” shows that Paul is including all those who properly bear the nameἀδελφοί, i.e., all the members of Christian family there (cf. elsewhere in Pl.:* 1 Cor. 16:20; 1 Thes. 5:26, 27).
par. parallel Gospel passages
ZPEBM. Tenney, et al., eds.,The Zondervan Pictorial Encyclopedia of the BibleI–V. Grand Rapids, 1975–76.
Haer.Adversus Haereses(Irenaeus)
HEHistoria Ecclesiastica(Eusebius)
PE Pastoral Epistles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77–478.
22절) 바울은 이제 본서의 마지막에 디모데와 에베소 성도들을 향한 축도로 본 서신을 맺고 있다.
‘나는 주께서 네 심령에 함께 계시기를 바란다’, 이는 대상이 디모데 한 사람을 향한 것으로 다른 서신의 종결부의 축도와 차이를 보인다.
‘은혜가 너희와 함께 있을지어다’, 바울은 마지막에 에베소 교회의 성도들을 향한 축도를 함으로써 본서가 단순히 디모데 개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당시의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적용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 곧 회람 서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그리스도를 위한 고난에 동참해야만 하는 것이 바울과 디모데만의 문제가 아님이 명확한데 본서가 어떻게 디모데 개인에게만 적용되겠는가? 이는 본 서신이 모든 세대의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주어진 바울의 유언적 성격을 지닌 축도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은혜’로 번역된 ‘헤 카리스’가 ‘하나님께서 거저 주시는 선물’임을 의미함은 오직 하나님의 전적이며 주권적인 선물인 은혜만이 그리스도를 위한 고난에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만드는 원천임을 시사한다.
한편 표준 원문(Textus Receptus)에는 본절 맨 끝에 다음과 같은 문장이 삽입되어 있다. ‘아멘, 에베소 교회의 첫째 감독으로 선택된 디모데에게 보내는 이 두번째 편지는 바울이 네로 황제 앞에 두번째로 설 때 즈음 로마에서 기록되었다’ 이 삽입절은 바울이 직접 쓴 것이 아니라 후대의 필사자들이 본서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삽입한 것이다.
- 4:22The benediction, which is found at or near the end of each of Paul’s letters, is given here in two parts. The first, with second person singularσου, is directed to Timothy, and the second, with second person pluralὑμῶν, is directed to everyone in the church in Ephesus.
For the final time Paul refers toὁ κύριος, “the Lord,” i.e., Christ (see vv. 8, 14, 17, 18), an identification that some copyists sought to make explicit (seeNA26;TCGNT). On other occasions where Paul refers to “the Lord” in closing benedictions he speaks of “the grace of the Lord” (ἡ χάρις τοῦ κυρίου: Rom. 16:20; 1 Cor. 16:23; 2 Cor. 13:13; Gal. 6:18; Phil. 4:23; 1 Thes. 5:28; Phm. 25). He does not use that formula here, probably to save “grace” for the second part of the benediction and perhaps also to make this benediction more personal: Paul wishes that “the Lord” will be with Timothy as he has so evidently been with Paul himself (cf. especially vv. 17–18).μετὰ τοῦ πνεύματος ὑμῶν, “with your spirit,” in some of the closing benedictions (Gal. 6:18; Phil. 4:23; Phm. 25) means the same thing as “with you” in others (μεθʼ ὑμῶν, sometimes withπάντων, in Rom. 16:20; 1 Cor. 16:23; 2 Cor. 13:13; Col. 4:18; 1 Thes. 5:28; 2 Thes. 3:18; 1 Tim. 6:21; Tit. 3:15). Here Paul addresses singularμετὰ τοῦ πνεύματός σουto Timothy alone. This phrase makes it clear that Paul is speaking of spiritual presence, wishing, i.e., that the Lord will be spiritually present with Timothy in his inner person (cf. Rom. 8:16: “The Spirit himself bears witness with our spirit (τῷ πνεύματι ἡμῶν) that we are children of God”).
With pluralὑμῶνin the second part of the benediction Paul turns to all the church members in Ephesus (on the textual variants, including the concludingἀμήν, seeTCGNT). Paul uses (πάντων)ὑμῶνalone or in the phraseτοῦ πνεύματος ὑμῶνafterμετάin the closing benedictions of all his letters except Ephesians (whereπάντωνalone is used). Withὑμῶνhe designates all the believers in the place he is writing to. He also usesχάριςin each of the benedictions (so also Heb. 13:25; Rev. 22:21). He explicitly calls it the “grace of (our) Lord Jesus (Christ)” except in his last letters, Ephesians, Colossians, and the PE, whereχάριςis unqualified, probably because at this stage Paul thought it would be evident whose “grace” he intended. Thus Paul reminds his readers at the conclusion of every letter that they are dependent on Christ’s unmerited favor, forgiveness, and enabling power (cf. 2 Tim. 1:9–10; Tit. 2:11ff.; 2 Tim. 2:1; forχάριςsee the comments on 1 Tim. 1:2).
On the subscriptions added to this letter in a number of manuscripts seeNA26andTCGNT.All of the subscriptions mention that the letter is to Timothy, most that it is the second letter to Timothy. Several say that Paul wrote it at Rome, usually specifying that he wrote it when he was before the emperor Nero the second time (e.g., the Textus Receptus; see theIntroductionon when and where Paul wrote the letter).
NA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26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TCGNTB. M. Metzger,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TCGNTB. M. Metzger,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PE Pastoral Epistles
NA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26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TCGNTB. M. Metzger,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78.
16 At my first defense no one came to stand by me, but all deserted me.nMay it not be charged against them!17 Butothe Lord stood by me andpstrengthened me, so that through me the message might be fully proclaimed andqall the Gentiles might hear it. SorI was rescuedsfrom the lion’s mouth.18 The Lord will rescue me from every evil deed and bring me safely into his heavenly kingdom.tTo him be the glory forever and ever. Amen.
n[Acts 7:60]
oActs 23:11; 27:23; [Matt. 10:19]
pSee 1 Tim. 1:12
qSee Acts 9:15
rch. 3:11
sPs. 22:21; [1 Sam. 17:37]
tSee Rom. 11:36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4:16–18.
16내가 처음 변명할 때에 나와 함께 한 자가 하나도 없고 다 나를 버렸으나 그들에게 허물을 돌리지 않기를 원하노라
17주께서 내 곁에 서서 나에게 힘을 주심은 나로 말미암아 선포된 말씀이 온전히 전파되어 모든 이방인이 듣게 하려 하심이니 내가 사자의 입에서 건짐을 받았느니라
18주께서 나를 모든 악한 일에서 건져내시고 또 그의 천국에 들어가도록 구원하시리니 그에게 영광이 세세무궁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16절) 16-17절은 바울이 로마에 구금되어 재판을 받던 당시의 근황과 심경을 밝히고 있는 부분이다. ‘변명할’로 번역된 ‘아폴로기아’는 일반적으로 ‘변론, 방어, 대답’으로 번역되는데 본문에서는 피고인 자신이 고소를 받고 자신의 혐의에 대해서 변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문에서 말하는 ‘처음 변명할 때’가 언제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어떤 학자들은 이것이 문자 그대로 바울이 로마에 첫번째 투옥되었을 때라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누가가 당시 함께 했기때문에 모든 사람이 바울을 버렸다는 말은 과장된 것이다. 또한 다른 학자들은 바울의 2차 투옥에서 받은 재판의 첫 단계에서 진행한 변론이라고 말한다. 후자의 견해가 좀더 타당해 보인다. 바울은 현재 진행되는 재판의 첫번째 변론 즉 예비 조사 단계에 자신의 동료들이 함께 하지 않았기에 디모데에게 속히 오라고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와 함께한 자가 하나도 없고 다 그를 버렸다’는 무슨 의미인가? 바울은 변호할 변호인들이 하나도 없었다는 것이다. 당시 로마는 황제 숭배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유일하신 하나님을 믿으며 오직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구원이 있다라는 복음의 마세지를 전파하는 바울은 변호하는 것이 변호인들에게는 신변의 위협을 초래하는 일이었기에 많은 이들이 이를 기피했을 것이다. 이를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바울은 ‘그들에게 허물을 돌리지 않기를 원한다’라고 말했다. 바울의 이러한 자세는 예수그리스도와 스데반을 비롯한 여러 순교자들의 정신과 일치한다.
누가복음 23:34
34이에 예수께서 이르시되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하시더라 그들이 그의 옷을 나눠 제비 뽑을새
사도행전 7:60
60무릎을 꿇고 크게 불러 이르되 주여 이 죄를 그들에게 돌리지 마옵소서 이 말을 하고 자니라
고린도전서 13:5
5무례히 행하지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며
- 4:16Two general views are advocated with regard to what event Paul speaks of in the phraseπρώτη μου ἀπολογίᾳ, “my first defense.” One is that it refers to an earlier imprisonment of Paul, probably the (“first”) imprisonment in Rome recorded at the end of Acts, since Paul is before that court for asecondtime (so Eusebius,HE2.22; Bouma; Hendriksen; Lock; Wohlenberg; Zahn,Introduction, II, §33; the most thorough defense is presented by Bouma, Hendriksen, and Zahn; cf. further Meinertz, “πρώτη ἀπολογία”). But most modern commentators (e.g., Bernard, Brox, Dibelius-Conzelmann, Fee, Guthrie, Jeremias, Kelly, Ridderbos, Spicq; see especially Ridderbos and Kelly) take it as referring to the first stage of Paul’s present trial. Both views are possible and the arguments for them (presented below) cannot be considered conclusive.
The advocates of the first view argue that since Luke is with Paul (v. 11), Paul’s statement here that everyone “deserted” him cannot apply to the present trial. Furthermore, the outcome of his house arrest described at the end of Acts appears to have been what Paul describes in v. 17: He says that he was “delivered out of the lion’s mouth,” and was able to engage in further ministry among Gentiles. That he was released and carried on his ministry is borne out by the PE (see further on Paul’s “Release and Second Imprisonment” in theIntroduction). But now Paul expects to die soon (v. 6).
The advocates of the second view regard it as unlikely that Paul would mention an earlier trial, the outcome of which Timothy already knew. It appears, rather, that Paul is informing Timothy about recent events. The “first defense” is thus theprima actio,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in Paul’s present trial. Paul was “deserted” either because his fellow workers had not yet arrived or out of fear had left him, or because the Christians at Rome, who unlike his fellow workers were in a position to “stand by him,” did not do so. He was “delivered” (v. 17) in that he was not condemned at that first hearing and thus had time to write and ask Timothy to come to him before the next stage of the trial (vv. 9, 21). This would fit with Paul’s view that his “deliverance” could finally lead to the “heavenly kingdom” (v. 18). Because the trial was public and was in the capital of the Gentile world, it might be regarded as the culmination of his work of taking the gospel to the Gentiles (v. 17; cf. Acts 23:11 and Paul’s presentation of the gospel while on trial in Acts 26).
ἀπολογία(NT 8x) is used of Paul’s courtroom “defense” (cf. especially Acts 25:16; Phil. 1:7, 16). Paul says that “no one” (οὐδείς) “came to his aid” or “stood by him” (παρεγένετο, BAGD s.v. 3). The verb is used in a special sense, and Kelly has suggested that it is that of coming as a witness or serving as an advocate. Unfortunately, we are unable to say who failed to do so and why. The exclusive nature ofοὐδείςmakes it clear that not even a single person stood by Paul, and the absolutely inclusive nature ofπάντεςmakes it clear that “all,” without exception, deserted him (ἀλλὰ πάντες με ἐγκατέλιπον; see the comments on v. 10 for the verb; cf. also 1:15).
As culpable as such action was, Paul does not put it in the same category as that of Demas (who left Paul out of love for the present world, v. 10), nor does he wish God’s just retribution on them as he did on Alexander (v. 14). Perhaps he knows that those he is thinking of did what they did out of fear (as did Jesus’ disciples, Mk. 14:50). For that reason he compassionately writesμὴ αὐτοῖς λογισθείη, “may it not be counted against them” (μήwith the optative expresses a negative wish).λογίζομαιis used here in the sense of “count against” (cf. 2 Cor. 5:19; aorist optative in wish statements [or wish prayers] also in Rom. 15:5, 13; 1 Thes. 3:11f.; 5:23; 2 Thes. 2:17; 3:5, 16; 2 Tim. 1:16, 18; here only with the negative; cf. Wiles,Paul’s Intercessory Prayers, 32).
HEHistoria Ecclesiastica(Eusebius)
PE Pastoral Epistles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17절) 바울 당시 로마 재판에서는 오늘날 재판과는 달리 피고의 동료들이 재판정에 나와서 피고를 변호해주는 것이 관례였는데 16절에서 본 것처럼 바울이 재판을 받을 때에 그의 곁에는 아무도 남아있지 않았다. 그러나 바울은 인간 동료들이 재판에 참석하여 자신을 변호해주는 것보다 주께서 자신과 함께 하심이 더욱 큰 위로가 됨을 고백하고 있다.
‘곁에 서서’라고 변역된 ‘파레스테’는 ‘돕기 위해서 옆에 서다’라는 뜻을 지닌 ‘파리스테미’의 부정 과거형으로 바울의 주인이신 그리스도 예수께서 동료들이 서야할 그곳에 자신과 함께 서 계셨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강건케 하심은’으로 번역된 ‘에네뒤나모센’은 ‘능력을 부어주다’라는 뜻을 가진 ‘엔뒤나모오’의 부정 과거형으로 빌 4:13에서 ‘내게 능력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에도 등장한다. 바울은 이를 통해서 첫 재판에서 아무도 동석하지 않은 불리한 상황에서 도리어 주님이 함께 계심으로 전혀 위축되지 않았음은 물론 큰 위로를 받았음을 고백한다.
17절의 중반 목적절을 이끄는 표현은 접속사 ‘히나’로 시작되는데 이는 그리스도 예수께서 법정에서 그의 곁에 서서 그를 강건하게 하신 이유를 설명한다. 그 이유는 바울을 통해서 전도의 말씀이 온전하게 전파되어 이방인으로 듣게 하기 위함이었다. 여기서 ‘전도의 말씀’으로 번역된 ‘케뤼그마’는 일반적으로 ‘그리스도 예수의 십자가상의 죽으심과 부활에 관한 메시지’를 의미한다.
고린도전서 15:3–4
3내가 받은 것을 먼저 너희에게 전하였노니 이는 성경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위하여 죽으시고
4장사 지낸 바 되셨다가 성경대로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나사
그렇다면 ‘선포된 말씀이 온전히 전파되어 모든 이방인이 듣게 하려 하심’이라는 표현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는 일차적으로는 이방 세력의 중심지인 로마의 법정에서 바울의 재판을 통해서 예수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이 선포되었다는 의미이며 이후에 이 선포된 말씀이 다른 이들에게 증거될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울은 이처럼 자신의 적대자로 가득찬 재판정에서 자신이 재판을 받는 과정속에서 변론을 통하여 복음을 증거했던 것이다.
‘사자의 입에서 건지웠느니라’는 어구는 헬라어의 관용구로 ‘죽을 고비에서 벗어났다’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사자’로 번역된 ‘레온토스’를 실제 로마의 원형극장에서 순교자들을 물어뜯어 죽인 동물로 보기 보다는 로마로 압송되어 재판을 받으며 죽기까기 겪은 여러가지 죽음의 고비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바울은 약 AD58경 예루살렘에서 체포되어(행 21:27-30) 가이사랴로 호송되었으며(행 23:12-33) 여기서 2년간 연금되었다가(행 24:22-27) 로마로 호송되어 재판을 받았다. 그러나 주께서 바울을 지키심으로 여러 생명의 위협을 받는 위기 상황에서 벗어나 AD 63년경 석방되었다. 이후 바울은 이 시기를 이방인들 앞에서 복음을 전한 기회로 삼고 교회를 돌아보며 복음을 전하기에 힘썼다.
- 4:17Paul affirms that in contrast (δέ, “but”) to these people (v. 16), “the Lord stood by me.” For the third time Paul refers toὁ κύριος(cf. vv. 8, 14). Evidence in those verses demonstrated thatὁ κύριοςwas Christ, and when the NT speaks elsewhere of “the Lord” standing by Paul or strengthening him, as here, Christ is apparently referred to (cf. Acts 23:11; Phil. 4:13).παρέστη(fromπαρίστημι) is used in the intransitive sense with the special nuance of “come to the aid of, help, stand by” (the one so aided in the dative,μοι; BAGD s.v.παρίστημι2aγ). The aid provided was that Christ “strengthened” (ἐνεδυνάμωσεν) Paul, an experience that Paul has spoken of before (Phil. 4:13; 1 Tim. 1:12; 2 Tim. 2:1). Robertson aptly renders the clause as “[the Lord] poured power into me.”
This strengthening was for the particular purpose (ἵνα) of enabling Paul to accomplish his assigned ministry, as has always been the case (see the passages just listed). If the clauses in this verse are in chronological order, then Paul’s proclaiming the gospel preceded his deliverance, which would favor the view that vv. 16–17 refer to the first investigation in his current trial and that the proclamation was made during Paul’s defense in court. Paul usesτὸ κήρυγμαhere to designate “the proclamation” about Christ (Rom. 16:25), with which Paul had been entrusted (Tit. 1:3) as a herald (κῆρυξ, 1 Tim. 2:7; 2 Tim. 1:11). Here, as usual (1 Cor. 1:21; 2:4; 15:14; Tit. 1:3), Paul usesτὸ κήρυγμαabsolutely because the content is understood.
Paul was very conscious of being entrusted with theκήρυγμαto proclaim it to the Gentiles (cf. Rom. 1:5; 16:25–26; 1 Tim. 2:7). When he speaks here of theκήρυγμαbeing “fully accomplished” (πληροφορηθῇ) “through me” (διʼ ἐμοῦ), he is referring to the fulfillment of his particular responsibility, just as he has exhorted Timothy with the same verb to “fulfill” his ministry (4:5). Paul’s mandate was to bear Christ’s name “before the Gentiles and kings and the sons of Israel” (Acts 9:15). If he speaks here of an earlier stage of a legal process he is still involved in, then he has carried out the first and last parts of this mandate as fully as possible and now is in the court of the highest “king,” Caesar himself (cf. Acts 25:11, 12, 21, 25; 26:32). For this reason he regards his defense in that setting (as before King Agrippa in Acts 26) as the fulfillment of theκήρυγμαentrusted to him. If, on the other hand, Paul is speaking of an earlier trial and subsequent release, he regards the further ministry that followed as the fulfillment of his mandate. The same could be said about “all the Gentiles/nations” having heard Paul, sinceκαίis epexegetical.
Paul, like the other NT writers, usesἔθνηfor “nations” or “peoples” in general (e.g., Mt. 28:19; 1 Tim. 3:16) or for “Gentiles” in distinction from Jews (e.g., Acts 9:15; 1 Tim. 2:7; see 1 Tim. 2:7; 3:16). The phraseπάντα τὰ ἔθνη** (Mt. 24:14; 25:32; 28:19; Mk. 11:17; 13:10; Lk. 21:24; 24:47; Acts 14:16; 15:17; Rom. 1:5; 16:26; Gal. 3:8; 2 Tim. 4:17; Rev. 12:5; 14:8; 15:4; 18:3, 23) is used in the NT of both all nations (e.g., Mt. 24:14; 25:32; 28:19; Rom. 16:26) and all nations distinguished from Israel (e.g., Lk. 21:24; Acts 15:17; Gal. 3:8). Either understanding is possible here, regardless of what events Paul is referring to. Since, however, Paul uses the phrase here in connection withκήρυγμαand in 1 Tim. 2:7 refers to himself as aκῆρυξin a context where he usesἔθνηto refer to Gentiles, it is at least likely that the phrase is used in that sense here.
Paul obviously does not mean byπάντα τὰ ἔθνηany single gathering of all Gentiles, who then and there heard him. What he means is either that all those in attendance at his “first defense” (v. 16) heard him or that that occasion brought to completion the full representative complement of Gentiles to whom he was to preach the gospel. If the “first defense” was held publicly and Paul thereby was able to address a representative number of Gentiles in the Empire’s capital, then he may say that “all the Gentiles” heard. Elsewhere in the NT “all the Gentiles” is used representatively with “all” referring to representatives (e.g., Mt. 28:19; Mk. 13:11; Rom. 1:5, “among all the Gentiles”; Gal. 3:8). That sense seems to be present here.
καίlinksἐρρύσθην κτλ. to the two indicative verbs in the first clause of the verse, especially the first one, making this a second statement of what the Lord accomplished by his presence: The Lord not only stood by Paul, he also “delivered” (ἐρρύσθην, aorist deponent passive indicative ofῥύομαι; cf. 3:11) Paulἐκ στόματος λέοντος(the two nouns occur in the NT, but the phrase is a NT hapax). Several understandings have been suggested for the final phrase: a literal lion in an amphitheater in which Christians have been thrown (impossible because of Paul’s Roman citizenship, according to Robertson), Satan (cf. 1 Pet. 5:8), the emperor or the power of the Empire (Josephus refers to the death of Emperor Tiberius withτέθνηκεν ὁ λέων,Ant.18.28), or some great danger, even death (cf. Ps. 7:2; 22:21; 35:17). Whether or not Jesus’ reflections on Psalm 22 have influenced Paul at this point, it appears that Paul has been influenced by the parallelism of Ps. 22:20–21 (LXX 21:21–22:ῥῦσαι, the verb Paul uses here,ἐκ στόματος λέοντος). If so, then deliverance “from the lion’s mouth” is a figure for being saved from the sword (Ps. 22:20). In v. 18 Paul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a line in the Lord’s Prayer (Mt. 6:13); perhaps this has influenced his use ofῥύομαιhere.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Ant.Antiquitates Judaicae(Josephus)
LXX Septuagint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70–471.
18절) 17절에서 ‘내가 사자의 입에서 건짐을 받았느니라’라고 표현했는데 본절에서는 ‘나를 모든 악한 일에서 건져내시고’라고 표현한다. 17절은 ‘아르뤼스덴’으로 ‘건지다, 구원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뤼오마이’의 부정 과거형이고 여기서는 부정 미래형으로 표현되고 있다. 동일한 ‘건져내다, 구원하다’라는 동사의 부정과거형과 미래형을 사용함으로써 바울은 과거 자신의 구원 경험과 미래 자신의 구원 경험을 상호 연관시키고 있다. 즉 그는 여기서 선행한 육체적 죽음에서의 구원과 미래에 존재하는 영구적인 구원을 결헙시키고 있는 것이다. 과거에 자신의 구원에 역사하였던 자신의 주인이신 그리스도께서 이제 미래까지 관여하셔서 마치 주기도문의 고백처럼 모든 악한 일에서 건져내시고 궁극적인 구원을 베풀어 주실 것을 확신하며 그 신앙을 고백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은 주께서 자신을 모든 악한 일에서 건져내실 뿐만 아니라 그분의 천국에 들어가도록 구원하실 것을 믿었다. 바울은 그가 입성하게될 영광스러운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를 '천국’으로 묘사하고 있다. 본문의 천국은 ‘바실레이아’로 일반적으로 마태복음에서는 천국, 다른 복음서에서는 하나님의 나라로 번역되는데 이는 ‘나라, 왕권, 왕위’라는 의미로 하나님이 주권적인 왕으로서 다스리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 ‘바셀리이안’이라는 표현앞에 ‘에푸라니온’이라는 표현, 즉 ‘하늘의’라는 형용사가 사용된다.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나라라는 의미이다. 바울은 그리스도를 ‘하늘에 계신’ 주님이라고 여러번 만한다.(엡 6:9; 골 4:1)
이는 하나님의 영원한 통치가 있는 하늘과 슬픔과 고통이 지속되고 있는 땅을 자연스럽게 대조한다. 성도에 대한 핍박과 환난이 가득한 로마 네로황제 치하와 하늘나라는 얼마나 대조적인가? 음침하고 축축한 로마의 토굴 감옥과 영광스러운 하나님의 나라는 얼마나 대조적인가? 바울은 지금 이러한 천국을 소망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지금 땅을 밟고 있지만 재판을 받는 어려운 현실속에서 하늘을 소망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 그리스도인의 삶의 자세여야 한다.
이러한 천국을 소망하는 바울은 이제 그 나라에 들어갈 수 있도록 인도해주시는 하나님께 영광의 찬양을 돌려드린다. ‘그에게 영광이 세세무궁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갈라디아서 1:5
5영광이 그에게 세세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아멘’은 ‘진실로, 그렇게 되기를 원합니다, 참으로’의 의미이다.
- 4:18Following up on the preceding comment about the Lord’s deliverance in a particular past situation, Paul now confidently asserts that the Lord will deliver him “from every evil deed” (ἀπὸ παντὸς ἔργου πονηροῦ). Futureῥύσεταιlooks forward from the event just mentioned (v. 17, aoristἐρρύσθην) and confidently asserts that in the future also the Lord will “deliver” Paul (cf. for this combination of past and future 2 Cor. 1:10). It appears that Paul uses here the language of a petition in the Lord’s Prayer (ῥῦσαι ἡμᾶς ἀπὸ τοῦ πονηροῦ, Mt. 6:13). If so, then, continuing with his use of the title “the Lord” (ὁ κύριος, see v. 17), Paul applies the petition to himself with the personal pronounμε(ῥύσεταί με ὁ κύριος) and spells out the promise implicit in the petition by adding “every deed” (παντὸς ἔργου) toπονηροῦ(cf. Paul’s earlier use ofῥύομαιwithπᾶςin 3:11).
Singular attributiveπαντόςwith no article means “every” or “each” without exception.παντός ἔργου πονηροῦis “every evil (i.e., hostile) action” (cf. G. Harder,TDNTVI, 557). The eschatological direction that Paul goes later in this sentence makes it clear that he is not excluding any evil that might be done to him, but only the power of evil to destroy him finally (Fee). The distinctiveness of the combinationπᾶν ἔργον πονηρόν, found nowhere else in the NT (pluralἔργα πονηρά** in Jn. 3:19; 7:7; Col. 1:21; 1 Jn. 3:12; 2 Jn. 11; this is the only NT occurrence of the singular and of the phrase with any form ofπᾶς) is further evidence that it is a Pauline adaptation of the petition in the Lord’s Prayer, utilizing singularπονηροῦfrom the petition.
Since he has mentioned his deliverance “from the lion’s mouth,” Paul wants to state clearly to Timothy that he expects his future deliverance to be heavenward and that this, too, is true deliverance. He speaks, therefore, about the ultimate and final deliverance and, because it is such, usesσώσει(also in LXX Ps. 21:22) as the appropriate verb. The pregnant constructionσώσει εἰς, “bring safely into” (see BAGD s.v.εἰς7 and the literature cited there), with “the heavenly kingdom” as the object of the preposition, implies deliverance from this world with all its evils and from death in all its aspects (for this future perspective ofσῴζωelsewhere in Paul see Rom. 5:9–10; 1 Cor. 3:15; 5:5).
At least half of the Pauline occurrences ofβασιλεία, “kingdom, reign,” represent that aspect of Christ’s (and God’s) spiritual reign that believers will enter in the future (e.g., 1 Cor. 6:9–10; 15:24, 50; Gal. 5:21; Eph. 5:5; 2 Thes. 1:5). In 1 Cor. 15:24ff., as here (αὐτοῦreferring back toὁ κύριος), Paul specifically identifies that “reign” as Christ’s.
Paul uses bothἐπουράνιος, “heavenly,” andοὐρανός, “heaven,” of the realm that is distinguishable from earth (cf. especially 1 Cor. 15:47–49 and also Eph. 1:10; 3:15; Col. 1:16, 20). Several times Paul speaks of Christ as Master “in heaven” (ἐν οὐρανῷ, Eph. 6:9; Col. 4:1). Theἐπ- inἐπουράνιοςdenotes that the word means “inheaven” (H. Traub,TDNTV, 538).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appears that Paul is speaking of Christ’s kingdom “in heaven” and saying that when he dies he will be brought safely into that kingdom and remain in it from then on (cf. 1 Thes. 4:13–18). In this heavenly kingdom Paul will “be at home with the Lord” (the best understanding of 2 Cor. 5:8). Here he expresses the same confidence that he expressed earlier when death was a possibility (Phil. 1:23), but now it is a certainty.
This statement about the Lord and his faithfulness evokes a doxology of praise, as elsewhere in Paul’s letters (Rom. 1:25; 9:5; 11:36; 16:25–27; Gal. 1:5; Eph. 3:20–21; Phil. 4:20; 1 Tim. 1:17; 6:15–16). This doxology, like the other Pauline doxologies, expresses the desire that praise should be expressed through eternity (usingαἰών) and concludes with theἀμήνof affirmation. Only Gal. 1:5 is exactly the same as the doxology here. But four of Paul’s doxologies use the doubledαἰών, as is done here, three in the same way as here (εἰς τοὺς αἰῶνας τῶν αἰώνων, 1 Tim. 1:17; Gal. 1:5; Phil. 4:20; only slightly different in Eph. 3:21). Most speak of praise (in its entirety or as part of or as the conclusion of a longer statement) with the wordδόξα(1 Tim. 1:17 withτιμή;δόξαalone in Rom. 11:36; 16:27; Gal. 1:5; Eph. 3:21; Phil. 4:20). Three times Paul usesᾧ, as here (1 Tim. 6:16; Rom. 16:27; Gal. 1:5). These doxologies and others in the NT usually consist of three or four (as here) component parts: the person praised (usually in the dative, hereᾧ), the word(s) of praise (usuallyδόξαwith other words, hereἡ δόξαalone), a conclusion indicating the eternal duration of the praise (usuallyεἰςwithαἰώνin a single or doubled form), and usually anἀμήνof affirmation.
ᾧrefers back toὁ κύριος, which is a title for Christ (cf. again vv. 8, 14, 17, and now 18 for the contextual evidence). This would make this doxology and Rom. 9:5 (according to the best understanding of that passage) the only Pauline doxologies offered to Christ. For the form of the verb to be understood, whether “be” (εἴηorἔστω) or “is” (ἐστιν), see the comments on 1 Tim. 1:17.δόξαsignifies the luminous manifestation of God’s person, his glorious revelation of himself (S. Aalen,NIDNTTII, 45). Used in a doxology, it expresses either the desire for that radiance to continue to be seen in its splendor and glory, or, in an echoing or mirror effect, asks that appropriate praise be given in response to it (see 1 Tim. 1:17).
Paul expresses the desire that glory be to the Lordεἰς τοὺς αἰῶνας τῶν αἰώνων(see the comments on 1 Tim. 1:17). Both the plural form ofαἰώνand the repetition of the word emphasize the “concept of eternity.” The plural form presupposes “a plurality ofαἰῶνες… whose infinite series,” here emphasized by the twofold use of the term, “constitutes eternity” (H. Sasse,TDNTI, 199).
ἀμήνconcludes this doxology as it does most NT doxologies. It expresses the stated confirmation (“so let it be,” “truly,” or simply “amen”; cf. BAGD) of that which the writer has just expressed (cf. Rev. 5:14), and probably also seeks to invoke from his readers the same response (cf. 1 Cor. 14:16; 2 Cor. 1:20; see H. Schlier,TDNTI, 337; H. Bietenhard,NIDNTTI, 99).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LXX Septuagint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NIDNTTC. Brown, ed.,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I–III. Grand Rapids, 1975–78.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NIDNTTC. Brown, ed.,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I–III. Grand Rapids, 1975–78.
13 When you come, bring the cloak that I left with Carpus at Troas, also the books, and above all the parchments.14 lAlexander the coppersmith did me great harm;mthe Lord will repay him according to his deeds.15 Beware of him yourself, for he strongly opposed our message.
13절) 바울은 앞서 9절에서 디모데에게 속히 올 것을 요청하면서 이제는 올 때에 자신에게 필요한 몇가지 물건을 가지고 올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 부탁한 물품은 겉옷과 가죽으로 된 책이었다.
‘내가 드로아 가보의 집에 둔’이라는 관계사 절로 수식되는 ‘겉옷’으로 번역된 ‘파일로넨’은 ‘서류 가방이나 책의 덮개, 작은 가방’이라는 뜻과 아울러 ‘겉옷으로 사용된 허름한 모포’라는 뜻을 동시에 함축한다(왕하 2:8). 그래서 혹 자들은 이것이 겉옷이 아니라 가방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이 겉옷은 추위와 비를 막기위해 고안된 겉옷으로서 모포 가운데 머리가 들어갈만한 크기의 구멍이 뚫려있는 소매없는 옷을 가리킨다. 이후 21절에서 ‘겨울 전에 어서 오라’는 언급에 비추어볼 때 습하고 음침하고 추운 로마의 토굴 감옥에서 겨울을 나기 위해서 이러한 겉옷이 반드시 필요했을 것이다.
여기서 언급된 ‘가보’에 대한 다른 언급이 신약 성경에는 없다. 그는 드로아에서 살고 있던 신실한 그리스도인으로 바울의 동역자이다. 아마도 바울은 더운 계절에 들고 다니기에 부담스러웠던 겉옷과 가죽책을 그에게 맡겨두었을 것이다. 바울이 드로아 지역에 들른 기사는 행 16:8과 20:6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 외에 로마에 가는 길에 들렀을 수도 있다. 분명한 것은 바울이 드로아에 몇 번 방문한 적이 있다는 것이다. 드로아는 에베소와 같은 소아시아에 북쪽에 위치한 도시이다.
Κάρπος(Karpos), 명사.가보, 카르푸스. 인명이나 다른 존재의 이름으로 사용된 정보를 보려면,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가보.
막 4:20||καὶ καρποφοροῦσιν ἓν τριάκοντα καὶ ἓν ἑξήκοντα
막 4:28αὐτομάτη ἡ γῆ καρποφορεῖ, πρῶτον χόρτον, εἶτα
2.결과를 만들어 내다 ⇔ 열매 맺다†— 자기 본성에 맞는 행동과 자연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다; 그 종류에 따라 열매를 맺는 나무로 생각하여.
눅 8:15||καὶ καρποφοροῦσιν ἐν ὑπομονῇ.
롬 7:4ἵνα καρποφορήσωμεν τῷ θεῷ.
롬 7:5εἰς τὸ καρποφορῆσαι τῷ
골 1:6κόσμῳ ἐστὶν καρποφορούμενον καὶ
골 1:10ἐν παντὶ ἔργῳ ἀγαθῷ καρποφοροῦντες
명사. 명사
동사. 동사
미래 능동태.미래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부정과거 능동태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 || 막 4:20 || 눅 8:15
|| || 눅 8:15 || 마 13:23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 || 막 4:20 || 마 13:23
Rick Brannan, ed.,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가보로 번역된 카르포스는 동사인 ‘카르포포레오’에서 파생된 명사로 '열매를 맺다, 수확을 내다’의 의미이다. 말하자면 그의 이름의 의미는 열매를 풍성히 맺는, 열매가 풍성한 사람이라는 의미인 것이다.
바울은 특별히 가죽종이에 쓴 책을 가져올 것을 부탁한다. 여기서 ‘책’으로 번역된 ‘타 비블리아’는 일반적으로 ‘파피루스 두루마리’를 지칭하는 단어이지만 여기에서는 특별히 가죽 종이에 쓴 것이라는 문구로 한정되어 양피지 책을 지칭한다. ‘가죽 종이에 쓴 것’으로 번역된 ‘멤브라나스’는 라틴어의 ‘멤브라나’로 표현된 단어로 ‘얇은 가죽’을 뜻한다. 무두질한 가죽이 버가모에서 최초로 제작되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이 단어는 양피지를 가리킨다고할 수 있다. 즉 ‘멤브라나스’는 ‘양이나 염소, 송아지 가죽 위에 필사한 책’이라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가죽 종이는 파피루스에 비해 훨씬 비쌌다. 당시 감옥에서 파피루스에 기록된 종이 책은 쉽게 손상이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이 책은 무엇인가? 어떤 학자는 재판을 대비하기 위한 로마 시민권 증서라고 하기도 하며 다른 학자는 헬라어 구약성경이나 주님의 말씀을 기록한 것으로 본다.
- 4:13While Timothy is “coming” to Paul (ἐρχόμενος; cf. the infinitiveἐλθεῖνin vv. 9, 21), Paul asks him to “bring” or “carry” (φέρε; cf. Acts 4:34, 37; 5:2) with himτὸν φαιλόνην.φαιλόνης** (a NT hapax, spelledφελόνηςin some manuscripts) is regarded by most as a loanword from Latinpaenula, which appeared at a much earlier date than the Greek word. The original form wasφαινόλαςorφαινόλης, which by metathesis (transposition) becameφαιλόνης(see BAGD; MHT II, 106). Theφαιλόνης, “cloak,” was “a large, sleeveless outer garment, made of a single piece of heavy material, with a hole in the middle through which the head was passed” (Kelly). Since it served as protection against cold and rain, Paul may have wanted it because winter was at hand (v. 21) and also perhaps because his prison was cold. Whatever the immediate reasons, Paul wanted to recover essential possessions that he had left behind (ὃν ἀπέλιπον; see evidence for a variant spelling, which makes no difference in meaning, inNA26).
Paul left the cloak inΤρῳάς** (Acts 16:8, 11; 20:5, 6; 2 Cor. 2:12), a city and region in the northwest corner of Asia Minor. Troas was a seaport (Acts 16:11) and could easily be on a route from Ephesus to Rome. Therefore, Paul can ask Timothy to pick up the cloak on his way. Paul left it withΚάρπος,** “Carpus,” presumably a Christian in that area, who is mentioned only here in the NT. (H. C. G. Moule conjectures that it was in Carpus’s house that the Lord’s Supper gathering mentioned in Acts 21:6ff. took place.) The best hypothesis is that the cloak was left when Paul was most recently arrested.
Paul also wants Timothy to bring “the books.”βιβλίον(NT 34x, Pl.* 2x: Gal. 3:10) “is the most common word for the ‘roll of a book,’ a ‘book,’ or a ‘writing’ in thekoine” (G. Schrenk,TDNTI, 617). In both the LXX and the NT it is used of any writing in general (e.g., Dt. 24:1, 3; Mk. 10:4; Mt. 19:7) and to refer to individual OT writings (e.g., 1 Ch. 27:24; cf. the related wordβίβλοιin Dan. 9:2), particularly as “a solemn expression for the Book of the Law” (U. Becker,NIDNTTI, 243, referring to Dt. 28:58; Jos. 1:8; so also in Josephus [Schrenk, 617, n. 9]). Thus in the NT it is used in the expressions “the book of the prophet Isaiah” (Lk. 4:17) and “the book of the law” (Gal. 3:10) and by itself to refer to the Law (Heb. 9:19; cf. 10:7).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Paul refers to the OT writings with pluralτὰ βιβλία.
To make his request more specific, Paul adds the wordsμάλιστα τὰς μεμβράνας.μεμβράνα** is a loanword from Latin for the “parchment” used for making books (BAGD). There are two possible significances for Paul’s phrase. The first is that it indicates which books, among all those that Paul asks for, he particularly (μάλισταtaken as “most of all, above all, especially”) wants. The second possibility is that proposed by Skeat (“Especially the Parchments”), which understandsμάλισταas an equating or defining term so that the phrase is giving a further definition of all the books that Paul wants. On this viewμάλισταwould be rendered “that is,” andτὰ βιβλίαandτὰς μεμβράναςwould refer to the same thing. Skeat’s documentation ofμάλισταwith this meaning (in addition to the more common meaning) elsewhere in Greek literature and in the PE is convincing, which makes it possible here as well (cf. 1 Tim. 4:10; 5:17; Tit. 1:10[?]).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MHT J. H. Moulton, W. F. Howard, and N. Turner,A Grammar of New Testament Greek I–IV. Edinburgh, 1908–76.
NA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26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LXX Septuagint
NIDNTTC. Brown, ed.,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I–III. Grand Rapids, 1975–78.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6–467.
14절) 바울은 드로아 가보의 집에서 겉옷과 책을 가져오라고 디모데에게 부탁하고 이제 구리 세공업자 알렉산더를 조심하라고 권고한다.
Ἀλέξανδρος(Alexandros), 명사.알렉산더. 인명이나 다른 존재의 이름으로 사용된 정보를 보려면,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알렉산더 (시몬의 아들); 알렉산더 발라스; 알렉산더 대왕; 알렉산더 (에베소 기독교인); 알렉산더 (안나스의 친척); 알렉산더 (구리 세공인); 알렉산더 (거짓 선생).
주요 구절
•막 15:21; 행 4:6; 행 19:33; 딤전 1:20; 딤후 4:14
명사. 명사
Rick Brannan, ed.,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구리 세공업자에 해당하는 ‘칼큐스’는 금속을 가공하는 사람으로 특히 그것이 뜨겁고 연성일 때 망치로 두드리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 알렉산더라는 이름은 신약 성경에 5번 등장한다. 이는 헬라 세계에서 매우 흔한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그는 바울과 교회에 해를 끼치는 존재였다. 그는 행위와 말로 해를 많이 끼쳤다. 이는 바울 자신과의 개인적인 관계에서의 악감정이면서 더욱 심각한 것은 바울이 복음을 전하는데 대한 심한 방해였던 것으로 보인다.
알렉산더의 경우 행 19:33-34, 딤후 4:14-15에 등장한다. 이 이름은 당시 매우 흔한 이름으로 여기 등장하는 사람을 동일인으로 특정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사도행전 19:33–34
33유대인들이 무리 가운데서 알렉산더를 권하여 앞으로 밀어내니 알렉산더가 손짓하며 백성에게 변명하려 하나
34그들은 그가 유대인인 줄 알고 다 한 소리로 외쳐 이르되 크다 에베소 사람의 아데미여 하기를 두 시간이나 하더니
디모데후서 4:14–15
14구리 세공업자 알렉산더가 내게 해를 많이 입혔으매 주께서 그 행한 대로 그에게 갚으시리니
15너도 그를 주의하라 그가 우리 말을 심히 대적하였느니라
그는 구리 장색으로 바울을 괴롭게 했던 인물이다.
이처럼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하나님께 대적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믿음에 파선하여 복음의 진리를 막은 것만은 분명하다. 딤전 1:20에서 바울은 이런 이들에 대한 징계로 사탄에게 그들을 내주었다라고 표현한다. 이는 출교에 해당하는 징계이다.
바울은 개인적인 해를 입은 것에 대한 악감정도 가지고 있었지만 이 보다는 하나님나라 복음을 전하는데에 대한 방해로 인하 복음의 원수로 여겼을 것이다. 그래서 바울은 알렉산더는 자기 자신이 개인적으로 보복하고자 하지 않고 그에 대한 심판을 하나님께 맡기고 있다. 이는 하나님의 심판 자리를 빼앗지 않고 그의 심판의 주권을 인정하는 신본주의적 태도로 하나님을 향한 진정한 신뢰와 믿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자기를 몇 번이나 죽이려 했던 사울왕을 죽이지 않고 하나님께 맡긴 다윗을 연상시킨다.(삼상 26:10)
- 4:14On Alexander see the comments on 1 Tim. 1:20, which probably refers to the same man, who may also have been the Jewish spokesman in Ephesus after the riot there (Acts 19:33–34).χαλκεύς** meant in particular “coppersmith” but came to mean in general “metal-worker.” Paul does not specify the “much harm” (πολλὰ κακά) that Alexander “did” to him (μοι). It may be that Paul mentions Alexander here because the “harm” he did was to have Paul arrested:ἐνδείκνυμι, used here of what Alexander did, was used as a legal term meaning “inform against” (see LSJM), and Paul notes that Alexander “vigorously opposed our message” (so Fee and Spicq).
Paul expresses his confidence in God’s retributive justice withἀποδώσει αὐτῷ ὁ κύριος κατὰ τὰ ἔργα αὐτοῦ(a recurring statement in the OT, e.g., 2 Sam. 3:39; Ps. 28:4; 62:12; Pr. 24:12; one or more of these OT statements is cited in Rom. 2:6, where Paul uses the same verb and prepositional phrase as here).ὁ κύριοςis undoubtedly the same “Lord,” “the righteous judge,” as in v. 8, namely Christ, whose “appearing” Paul longs for. At the future judgment day he “will recompense” (ἀποδώσει, future ofἀποδίδωμι, the same verb as in v. 8) Alexander “according to his deeds” (κατὰ τὰ ἔργα αὐτοῦ). This statement reflects the same convictions as 2 Cor. 5:10.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LSJM H. G. Liddell and R. Scott,A Greek-English Lexicon, rev. and augmented by H. S. Jones and R. McKenzie, with aSupplementby E. A. Barber. Oxford, 1968.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7–468.
15절) 본문에 ‘너’로 번역된 2인칭 주격 대명사 ‘쉬’는 강조 용법이다. 바울은 명백히 ‘디모데 자신’을 강조하고 있다. ‘주의하라’로 번역된 ‘퓔랏수’는 본래 ‘지키다, 보호하다’라는 의미의 ‘필랏소’의 현재 중간태 명령형으로 ‘네 자신을 ~로부터 지키고 보호하라’는 의미를 지닌다. 바울은 자신이 알렉산다에게 해를 입은 것처럼 디모데 역시 구리 세공업자인 알렉산더에게 해를 당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 강력하게 주의를 주고 있는 것이다.
본문에는 한글 성경에는 번역되지 않은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가르’가 사용되었다. ‘너도 그를 주의하라 왜냐하면 그가 우리말을 심히 대적하였기 때문이다’로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된 ‘우리 말(토이스 헤메테로이스 로고이스)’은 바울과 바울의 동료들이 전했던 하나님나라의 복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본문에 ‘대적하였느니라’로 번역된 ‘안티스테미’는 ‘반대’를 의미하는 접두어 ‘안티’와 ‘서 있다’라는 의미의 ‘이스테미’의 합성어로 ‘반대편에 서 있는 것, 즉 대적하다, 저항하다, 거스르다, 견뎌내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 4:15The preceding statement that Alexander did Paul “much harm” serves as the grounds for the warning here that Timothy should “guard against” Alexander. The connection is provided by adverbialκαί(“also”) and the emphatic pronounσύ(“you” or “you yourself”) used in a correlative contrast with the precedingμοι: “You alsoguard against him.” Middle imperativeφυλάσσουhas the middle significance here of “(be on your) guard against,” “look out for” with the accusative of the person to be guarded against (BAGD s.v. 2a; cf. Lk. 12:15; Acts 21:25; 2 Pet. 3:17). The present tense of the imperative indicates that Timothy mustconstantlybe on his guard.
γάρintroduces a statement about Alexander’s opposition, which is what Timothy must beware of. Alexander opposed “our” (ἡμετέροις, i.e., that of Paul and his fellow workers) teaching and presumably will continue to do so.λίαν(cf. Mt. 2:16; 27:14; Mk. 6:51; Lk. 23:8), “very much” or “exceedingly,” placed first for emphasis, expresses the degree of his opposition. Withἀντέστη(fromἀνθίστημι), “opposed,” Paul repeats the verb used in 3:8 (see the comments there), where he spoke of the false teachers’ opposition to the “truth.” Pluralλόγοις, “words,” signifies that Alexander’s opposition was to their actual statements, i.e., the content of their message (pluralλόγοιin the PE* in 1 Tim. 4:6; 6:3; 2 Tim. 1:13), and harks back to 1:13 and 2:2.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8.
9 dDo your best to come to me soon.10 ForeDemas,fin love withgthis present world,hhas deserted me and gone to Thessalonica. Crescens has gone to Galatia,2iTitus to Dalmatia.11 hLuke alone is with me. GetjMark and bring him with you, for he is very useful to me for ministry.12 kTychicus I have sent to Ephesus.
dch. 1:4
eCol. 4:14; Philem. 24
fSee 1 John 2:15
g1 Tim. 6:17; Titus 2:12
h[ch. 1:15]
2Some manuscriptsGaul
i[Titus 3:12]
h[See ver. 10 above]
jSee Acts 12:12
kActs 20:4; Eph. 6:21; Col. 4:7; Titus 3: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4:9–12.
9너는 어서 속히 내게로 오라
10데마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나를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갔고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 디도는 달마디아로 갔고
11누가만 나와 함께 있느니라 네가 올 때에 마가를 데리고 오라 그가 나의 일에 유익하니라
디모데후서는 머리말(1:1-5), 본론(1:6-4:8), 결론(4:9-22)로 이루어진다.
4:9-18절에 이어지는 내용은 이제 죽음을 앞둔 노사도 바울이 자신의 신변을 정리하면서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인간적인 연민, 고독감을 잘 보여준다. 먼저 바울은 디모데로 하여금 자신에게 속히 올 것을 요청한다.
9절) ‘너는 어서 오라’에 해당하는 ‘스푸다손 엘레인’에서 ‘스푸다손’은 ‘서둘로서, 속히, 금히, 열심히 ~을 하다’라는 의미이다. ‘스퓨도’의 2인칭 부정 과거 명령형이다. 이어지는 ‘엘데인’은 ‘오다, 이르다’라는 의미의 동사 ‘에르코마이’의 부정사이다. 이른 직역하면 ‘너는 오는 것을 서둘러라, 너는 서둘러서 오라’가 된다. 이러한 요청은 21절에서 다시 한번 반복된다.
본문속에서 ‘어서 속히’에 해당하는 긴급을 의미하는 표현이 두번이나 반복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바울이 디모데와의 만남을 얼마나 간절히 원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바울이 디모데와 사랑의 교제와 복음의 교제, 권면의 말을 하기 원함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얼마나 외로운지를 느끼게 해준다. 바울은 지금 자신의 마지막을 앞두고 로마의 음침한 토굴 감옥에서 외롭게, 쓸쓸하게 지내면서 자신의 마지막을 정리하고 있는 것이다. 유독 이 표현은 바울의 목회서신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본문에서 ‘속히’로 번역된 ‘타케오스’는 ‘급히, 빨리, 곧’의 의미를 지닌다. 본문은 '가까운 미래에 혹은 지체하지 않고 신속하게’라는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 4:9The reference in v. 6 to Paul’s impending death is the setting for this request that Timothy come to him as soon as possible. Imperativeσπούδασονcan mean either “hasten,” or “make every effort, do your best” (σπουδάζω, PE*: Tit. 3:12 [see comments there]; 2 Tim. 2:15; 4:21, all but 2:15 requests for Titus or Timothy to come to Paul). Since the adverbταχέωςis added to convey the need for hurrying, it is more likely that the imperative is used in the other sense. Either way it conveys a sense of urgency.
The urgent request is for Timothy “to come” (ἐλθεῖν, used similarly in 4:21; Tit. 3:12). The personal nature of the request comes through clearly in the simple prepositional phraseπρός με, “[come] to me.”ταχέως, “soon,” a relative term, is given perspective by being replaced byπρὸ χειμῶνος, “before winter,” in v. 21 (for its relative character see in Paul* 1 Cor. 4:19; Gal. 1:6; Phil. 2:19, 24; 2 Thes. 2:2; 1 Tim. 5:22). This request presumes the usual time factor in the Roman judicial system, and particularly as it relates to Paul’s case, and also takes into account the time for the letter to be carried to Timothy and for him to travel to Rome. Furthermore, Paul’s requests for certain items to be brought to him (v. 13) also presume some time remaining for him when Timothy arrives. But at the same time, and more importantly, Paul writes as a man who is certain that he will not be released and that before long he will depart this life (v. 6) to Christ’s heavenly kingdom (v. 18). In that light he writes urging Timothy to come to him as soon as he possibly ca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3–464.
10절) 원문에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가르’가 포함되어 9절에서 디모데로 하여금 속히 오라고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데마와 그레스게와 디도가 모두 바울을 버리고 각기 다른 곳으로 떠났기 때문이다. 바울이 디모데의 방문을 간절하게 원하고 있는 것은 복음의 교제를 나누기 위함만이 아니라 인간적인 고립감, 배신감, 거절감을 극복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말년에 로마 감옥에서 바울의 수감 생활중 함께 했던 이들이 그를 떠난 것이다.
‘이 세상을’로 번역된 ‘톤 뉜 아이오나’는 문자적으로 ‘현재의 시대, 현실 세상’을 뜻하는데 이는 하나님의 복음을 사랑하여 이를 전함으로 고난을 받기보다 자기 자신을 더욱 사랑하고 쾌락을 좇아 살게 하는 세상을 의미한다. 데마는 복음을 위하여 바울과 함께 고난받는 것을 거부하고 자기 쾌락을 좇아 이를 따라 세상을 사랑하여 바울을 떠났다. ‘사랑하여’에 해당하는 ‘아가페사스’는 ‘아가파오’의 부정과거 분사형이다. ‘아가파오’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향한 무조건적 사랑을 의미하는 표현인데 데마가 단순히 세상을 좋아하는 정도가 아니라 세상을 위해서 목숨을 내놓을만큼 뜨겁게 사랑하여 자신을 버리고 떠났음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8절에서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자’라는 표현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바울은 데마가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여 바울을 버리고 떠났음을 보여둔다.
‘버리고’로 표현된 ‘엥카텔리펜’은 ‘남기다, 버리다, 폐기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엥카탈레이포’의 부정과거 능동태 직설법표현으로 롬 9:29에서는 남겨두다라는 의미로 번역되었다.
로마서 9:29
29또한 이사야가 미리 말한 바 만일 만군의 주께서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지 아니하셨더라면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로마서의 이 표현은 이사야의 예언에 대한 인용으로 하나님, 만군의 주께서 씨를 남겨 두셨다라는 그분의 능동적 행동을 묘사한 표현으로 이처럼 데마는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바울을 버려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바울을 버렸음을 말해준다. 단순히 고난을 피하기 위해서 바울을 버린 것만이 아니라 영적으로도 하나님을 버리고 자신의 신앙마저도 버렸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데마는 몬 1:24이나 골 4:14에서 언급된 것처럼 바울의 복음 증거를 돕는 자였다. 그는 바울이 총애해 마지않던 누가와 동시에 언급될 정도로 신실한 종이었다. 그런데 이제 영적 지도자인 바울과 더불어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까지 저버린 것이다. 그렇다면 왜 데살로니가로 갔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곳이 데마의 고향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골로새서 4:14
14사랑을 받는 의사 누가와 또 데마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빌레몬서 24
24또한 나의 동역자 마가, 아리스다고, 데마, 누가가 문안하느니라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 디도는 달마디아로’, 데마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바울을 버리고 갔다면 그레스게와 디도는 사역을 위해 바울이 파송한 이들이었다. 데마처럼 바울을 버리고 떠난것은 아니지만 지금 바울 곁을 떠난 사실은 동일하다. 이들이 복음 사역을 위하여 바울을 떠났더라도 그로 인해 바울이 로마의 감옥에서 홀로 느꼈을 고립감과 외로움은 매우 컸을 것이다.
‘그레스게’는 다른 성경본문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레스게가 파송된 곳이 갈라디아라는 점에서 일반적으로바울은‘아가야’나‘마게도냐’또는‘아시아’처럼로마의정치적단위의지방들을공식적인명칭으로부르는데,그렇다면그레스게가파송된‘갈라디아’는‘소아시아에자리한로마령갈라디아’가확실하다.그러나이것이다른문헌에는‘갈리아’로표기되어있다.만약이표기가정확한것이라면“그레스게가로욘근처의비엔나에교회를설립했다”라는저명한교회사가유세비우스(Eusebius)의지적을고려해볼수있다.유세비우스는그레스게가‘고올(갈리아)’로보냄을받았다고분명하게말한바있고만약이것이사실이라면여기서표현된갈라디아는‘아시아의갈라디아’가아닌‘유럽의갈리아’였을가능성도배제할수없다.바울이스페인을방문했을것으로가정할때,그가남쪽고올지방에교회들을세웠고그리고그레스게를보내어거기서시작된자신의사역을강화시켰을것으로생각하는것도이논리에부합한다(Hendriksen). (옥스포드 586)
디도는 달마디아로 갔다.
로마서 15:19
19표적과 기사의 능력으로 성령의 능력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리하여 내가 예루살렘으로부터 두루 행하여 일루리곤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편만하게 전하였노라
본문에서 ‘달마디아’가 바로 아드리아 연안 동쪽에 있는 일루리곤에 속한 지역이다. 이미 바울에 의해 개척된 곳이다. 이렇게 바울이 디도를 달마디아로 보낸 것은 자신이 이전에 복음 증거하여 세워진 곳의 사역을 다시금 돌아보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디도는 예루살렘을 방문한 이후 그의 모든 전도활동의 무대를 오늘날의 유럽지역으로 집중했다.(갈 2:1)
- 4:10The explanatoryγάρsignifies that this verse provides a reason for Paul’s request in the preceding verse. He relates that almost all his coworkers have gone elsewhere and says (in v. 11) that he is nearly alone. The implication is that he is lonely and needs help and companions.
Paul’s difficult situation is highlighted by his beginning with Demas, who has deserted him because of his “love of the world.”Δημᾶς** is listed as one of Paul’s “fellow workers” in Phm. 24 and under that designation is one of those who send greetings in Col. 4:14. BAGD and BDF (§125.1) suggestΔημᾶςmight be a shortened form ofΔημήτριος. Chapman (“Historical Setting,” 364ff.) identifies theΔημήτριοςof 3 Jn. 12 with thisΔημᾶς, but this proposal is not conclusive.
Paul says that Demas “deserted” (ἐγκατέλιπεν, NT 10x, Pl.* 4x: Rom. 9:29; 2 Cor. 4:9; 2 Tim. 4:16; for the variant -λειπεν, which does not affect the meaning, seeNA26) him (με) “because he has loved the present age” (ἀγαπήσας τὸν νῦν αἰῶνα). In this aorist participle of antecedent action “it is the inception of the action only which precedes the action of the principal verb” (Burton,Syntax, §137), i.e., Demas has begun to love and still loves the present age. Elsewhere Paul refers toὁ νῦν αἰών,** “the present age, the present world” (also in 1 Tim. 6:17; Tit. 2:12), withὁ αἰὼν ὁ ἐνεστώς(Gal. 1:4) andὁ αἰὼν οὗτος(Rom. 12:2; 1 Cor. 1:20; 2:6, 8; 3:18; 2 Cor. 4:4; Eph. 1:21). Since it is an “evil” age (Gal. 1:4), whose God is the evil one (2 Cor. 4:4), Christians are not to be conformed to it (Rom. 12:2). Paul seems to be contrasting Demas’s love with that which marks true Christians (4:8, the only other use ofἀγαπάωin the PE*), who love and long for the future appearance of the Lord. Demas’s love for this world implies that he is one whose love for something else has taken the place of love for God (cf. 3:2, 4, where a compound ofφίλοςis used; cf. 1 Jn. 2:15).
In deserting Paul, Demas has gone to Thessalonica, a city in Macedonia on the Thermaic Gulf (Θεσσαλονίκη,** elsewhere in the NT in Acts 17:1, 11, 13; Phil. 4:16). He may be returning to his hometown, since he is mentioned in Phm. 24 with Aristarchus the Thessalonian (Acts 20:4; 27:2) and since two of the politarchs of Thessalonica were named Demetrius (Lightfoot,Biblical Essays, 247 n. 2).
Paul utilizes the verb “has gone” not only for Demas but also for two other fellow workers, naming the place to which each “has gone” (ἐπορεύθη, aorist passive ofπορεύομαι, withεἰςand the place also in Rom. 15:24, 25; 1 Tim. 1:3). But the construction of the phrase with these two others, consisting of the person’s name with the prepositional phrase, implies only this latter verb, not the earlier statement about desertion. Furthermore, that Titus has gone to Dalmatia, just north of Nicopolis, fits with Paul’s earlier request (and presumed evangelistic strategy) for Titus to join him in Nicopolis (Tit. 3:12).Κρήσκης,** a rare Greek form of the common Latin “Crescens,” is not mentioned elsewhere in the NT. Crescens is said to have gone toΓαλατία** (1 Cor. 16:1; Gal. 1:2; 1 Pet. 1:1; for manuscript evidence for this reading and the variant “Gallia” seeUBSGNTandTCGNT).Γαλατίαis almost certainly an area in central Asia Minor (for alternatives see the literature onΓαλατίαin BAGD).Τίτοςis Paul’s well-known fellow worker (see the statements about his life and ministry in theIntroduction). He has gone toΔαλματία,** Dalmatia, which is located in southern Illyricum across the Adriatic Sea from southern Italy.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DF F. Blass and A. Debrunner,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 W. Funk from the 10th German ed. Chicago, 1961.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A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26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UBSGNT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The Greek New Testament(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B. M. Metzger,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4–465.
11절) 바울의 말년 감옥 생활에 유일하게 남아있던 사람은 다름 아닌 누가였다. 누가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저자로 바울의 전도여행에 동행했다. 팔레스틴에서부터 로마까지 멀고도 험난한 해상 여행에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바울과 함께 하였다.(행 27장) 누가는 바울과 함께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였으며 바울의 주치의이기도 했다.(골 4:14) 누가는 바울의 1, 2차 로마 수감 생활동안 그와 함께 했으며(골 4:14; 몬 1:24; 딤후 4:11) 서신을 대필하기도 한 비서요 신실한 친구였다. 누가는 그리스도인, 선교사, 의사, 비서, 친구로서 바울과 언제나 함께 하였다.
‘마가를 데리고 오라’, 마가는 예루살렘 출신으로(행 12:12) 바울의 제1차 전도여행에서 바울 일행을 떠나 개인적인 행동을 함으로(행 13:13) 바울과 바나바가 서로 결별하는 이유를 제공했다(행 15:36-41) 하지만 이후 골 4:10이나 몬 1:24을 보면 마가는 바울이 일차로 로마감옥에 수감되었을때 그와 함께 했음이 분명하다. 벧전 5:13에서 마가는 베드로와 함께 로마에서 복음을 증거했다. 전승에 따르면 베드로가 로마에서 순교한 후 이전의 바울과의 반목을 털어버리고 그의 신실한 조력자가 되었다고 한다. 한때는 서로 반목했던 자들이 복음 안에서 다시 화해하고 한 뜻으로 주의 복음을 위해 애쓰는 모습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모습임에 틀림없다. 여기서 디모데에게 마가와 동행할 것을 요청하는 이유는 마가가 바울 자신의 일에 유익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일’에 해당하는 헬라어 단어 ‘디아코니안’은 교회와 관련된 봉사, 또한 하나님나라와 관련된 사역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이처럼 바울은 자신이 관계하는 복음 사역에 마가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 4:11The result of these departures is that the company of fellow workers has been reduced to one:Λουκᾶς ἐστιν μόνος μετʼ ἐμοῦ, “Luke only is with me” (for this use ofμόνοςcf. Rom. 11:3; 1 Cor. 9:6; 14:36; Phil. 4:15; 1 Thes. 3:1).Λουκᾶς** is listed as one of Paul’s fellow workers in Phm. 24 and is described as “the beloved physician” (ὁ ἰατρὸς ὁ ἀγαπητός) in Col. 4:14.
The remainder of this verse assumes that Timothy will come to Paul and states that he should bring Mark with him (μετὰ σεαυτοῦ). BAGD (s.v. 4) proposes thatἀναλαβώνis used here as in Acts 23:31 and in extrabiblical literature (references in BAGD) in the sense of “taking along” a person who travels with someone. It is possible, however, that it is used in the more general sense of “take to one’s self” (BAGD s.v. 3; so Thayer,Lexicon). Imperativeἄγε, “bring [him] along,” is the key verb in this statement.
Μᾶρκος** undoubtedly refers to the one associated with Paul elsewhere in the NT. Hence “Mark” is the surname of John, son of Mary of Jerusalem and cousin of Barnabas (Col. 4:10) who accompanied Paul and Barnabas on the so-called first missionary journey but left them early during that journey (Acts 12:25; 13:5, 13). Paul did not want to take Mark on his next journey because of this desertion (Acts 15:37–40), but Mark proved himself after that time and came to be regarded by Paul as a fellow worker (Phm. 24; cf. 1 Pet. 5:13).
The reason (γάρ) that Paul wants Timothy to bring Mark with him is that Mark is “useful” (εὔχρηστος,** also in 2:21; Phm. 11, where what is said about Onesimus could just as well be applied to Mark) to Paul “for service.” Paul has usedδιακονίαfor the “ministry” in which he was placed by Christ (1 Tim. 1:12) and for the “ministry” that Timothy is to fulfill (2 Tim. 4:5). Furthermore, Paul regards Mark as his “fellow worker” (συνεργός, Phm. 24). For those reasons and because Paul wants Mark to come to replace other coworkers who have left, it is most likely that he usesδιακονίαhere for the ministry of the gospel (rather than personal service). Cf.NIV:“because he is helpful to me in my ministry” (alsoTEV).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IVNew International Version
TEV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5–466.
12절) 행 20:4에 아시아까지 바울을 동행한 이들이 언급되는데 그 중에 두기가고 포함된다.
사도행전 20:4
4아시아까지 함께 가는 자는 베뢰아 사람 부로의 아들 소바더와 데살로니가 사람 아리스다고와 세군도와 더베 사람 가이오와 및 디모데와 아시아 사람 두기고와 드로비모라
두기고는 바울의 1차 로마 감옥 수감생활중에 함께 하였고 에베소서와 골로새서를 전달한 인물이기도 하다.(엡 6:21; 골 4:7) 그는 사랑을 받는 형제와 복음의 충성스러운 사역자요 바울의 동료이며 매우 신실한 그리스도인임에 분명하다.
에베소는 디모데가 바울의 후임으로 사역하고 있는 곳이었다. 그렇다면 바울이 두기고를 에베소로 보낸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디모데가 로마감옥에 수감된 자신을 방문하기 위해서 올 경우 디모데가 에베소에서 하던 사역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였을 것이다(딛 3:12) 여기서 ‘보내었노라’로 번역된 ‘에페스테일라’가 본래 ‘보내다, 파송하다’라는 의미의 ‘아포스텔로’의 부정과거라면 두기고가 본서를 디모데에게 전달했을 가능성도 있다. 바울은 두기고를 디모데를 대신하여 잠시 동안 에베소 교회를 부탁해도 무방할 정도로 신뢰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바울이 자신의 극심한 외로움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교회가 한치도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 얼마나 세심하게 배려하고 있는지, 바울이 얼마나 주도면밀한 인물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 4:12Τύχικος** is apparently the one who carried the letters to the Ephesians and to the Colossians, in which Paul calls him “the beloved brother and faithful minister in the Lord” (Eph. 6:21; Col. 4:7) and a “fellow bondservant in the Lord” (Col. 4:7). He was from Asia (where Timothy now is) and was one of those who accompanied Paul on his journey to Jerusalem with the collection (Acts 20:4). The terse statement here, “But Tychicus I have sent to Ephesus,” together with v. 8, is probably written here for the same reason that a similar statement appears in Tit. 3:12. There Titus is told to come to Paul “when” (ὅταν) either Artemas or Tychicus have come to Titus, presumably because either of the two would take Titus’s place. Paul says that he “has sent” (ἀπέστειλα, epistolary aorist) Tychicusεἰς Ἔφεσον(forἜφεσοςsee the other PE* occurrences, 1 Tim. 1:3; 2 Tim. 1:18), “to Ephesus,” where Timothy is located and laboring (cf. 1:18). That place name, rather than the more usual “to you” (Tit. 3:12; Eph. 4:7; Eph. 6:21), is probably used simply to continue the pattern in v. 10.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6.
6 ForuI am already being poured out as a drink offering, and the time of myvdeparture has come.7 wI have fought the good fight,xI have finished the race, I have kept the faith.8 Henceforth there isylaid up for mezthe crown of righteousness, which the Lord,athe righteous judge, will award to me onbthat day, and not only to me but also to allcwho have loved his appearing.
uPhil. 2:17
vPhil. 1:23; [2 Pet. 1:14]
wSee 1 Tim. 6:12
xActs 20:24
yCol. 1:5; 1 Pet. 1:4
zSee James 1:12
aPs. 7:11
bch. 1:12
c[Rev. 22:20]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4:6–8.
6전제와 같이 내가 벌써 부어지고 나의 떠날 시각이 가까웠도다
7나는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8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되었으므로 주 곧 의로우신 재판장이 그 날에 내게 주실 것이며 내게만 아니라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모든 자에게도니라
6절) 헬라어 원문은 ‘에고 가르’가 문장의 첫부분에 등장한다. ‘에고’는 1인칭 주격 단수 대명사로 문장의 첫부분에서 강조 용법으로 사용된다. ‘가르’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인데 한글에서는 번역되지 않았다. 6절은 앞선 1-5절의 권면의 내용과 연결되어져서 말씀을 전파하는 전도자의 직무를 다할 것을 권면한 이후에 이제 바울 자신의 임박한 죽음을 염두에 두고 강조하며 당부를 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의 죽음을 ‘전제와 같이 내가 벌써 부어지고’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스펜도마이’를 번역한 것으로 ‘제주를 붓다, 제주를 들이키다’라는 의미의 동사 원형 ‘스펜도’의 현재형으로 민 15:1-10의 제사를 연상시킨다. 어린양이 제물로 바쳐질 경우 포도주 1/4힌으로된 관제를 드리고 수양이 제물로 바쳐질 경우 포도주 1/3을 관제로 드리고 수송아지의 경우 포도주 1/2힌을 각각 드렸다라고 설명한다. 바울은 지금 자신의 마지막 죽음을 희생 제사 예식과 연결시켜서 자신에게 남아있는 마지막 피 한 방울이라도 하나님의 제단에 쏟아붓고 가겠다라는 결연한 의지를 천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그가 롬 12:1에서 언급한 것과 일치한다.
로마서 12:1
1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
바울은 분명하게 자신의 믿음의 경주의 결승점, 마지막을 자각하며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떠날 기약이’로 번역된 ‘호 카이로스 테스 아날뤼세오스’에서 ‘카이로스’는 ‘기회, 때'라는 명사이다. 여기서 사용된 카이로스는 어떤 일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시점이란 의미이다. ‘떠날’로 번역된 ‘아날뤼세오스’는 본래 ‘느슨하게 만들다, 풀어놓다’라는 의미의 동사 ‘아날뤼오’에서 파생된 명사로 ‘선원이 배를 바다로 출항시키기 위하여 정박해 두었던 배의 줄을 푸는 것, 여행자가 새로운 행선지로 향하기 위해 자신이 기거하던 텐트를 걷는 것’과 같은 이미지를 연상시킨다. 지금 바울은 자신의 죽음을 새로운 항해의 시작, 여행자가 새로운 행선지로 들어가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빌 1:23)
‘가까웠도다’로 번역된 ‘에페스테켄’은 원형인 ‘에피스테미’의 완료 능동태 직설법 표현으로 ‘곁에 서다, 실현되다, 임박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데 본문에서는 무엇이 존재할 때에 동반되는 사건으로 이해하여 임박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바울은 지금 분명하게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디모데에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 4:6ἐγώis used here both to emphasize that Paul is speaking about himself and as a contrast to the emphaticσύof the preceding verse. The contrast provides further reason (γάρ) for what has been previously said—YouTimothy must carry on the ministry becauseIPaul am about to depart. This is the lastἐγώin the PE,* and each time the word has been used for special emphasis (cf. 1 Tim. 1:11, 15; 2:7; Tit. 1:3, 5; 2 Tim. 1:11).
σπένδομαι** is used of the “pouring out of a drink offering” and here refers figuratively to what is happening to Paul. Paul may well be thinking of OT drink offering language in his use of the verb (cf. Ex. 29:40–41; Lv. 23:13; Nu. 15:5–10; 28:7), since he uses OT ceremonial language elsewhere and in Phil. 2:17 uses this verb with a word for sacrifice (θυσία). Here he alludes to the pouring out of his blood in martyrdom. He uses the present tense in its progressive sense (Robertson) to indicate the certainty of the event, as if it were actually taking place. “What was once a possibility [Phil. 2:17] is now a certainty” (Parry). He does not mean that his death will take place immediately, since he can ask Timothy to come be with him (vv. 9, 21) and bring him some items (v. 13). But he does indicate its certainty and that it is near. He uses, therefore, the temporal adverbἤδη, “already,” with the present tense to describe a process that is already taking place and that insures that outcome (notice also the passive voice of the verb).
The second half of the verse moves from the figurative to the more literal and joins (καί) to the vivid description of the process the stark statement of the finality of the end result.ὁ καιρός, “the time,” is used with the qualifying phraseτῆς ἀναλύσεώς μουto designate the time in view.ἀναλύσεως** (a NT hapax), literally “loosing,” is used of “departure” and figuratively of departure from life, i.e., “death” (cf. Philo,In Flaccum187), here Paul’s own (μου) death (cf.ἀναλύωin Phil. 1:23). The time of his departureἐφέστηκεν.ἐφίστημι(Pl.* 3x: 1 Thes. 5:3; 2 Tim. 4:2), which means generally “stand by,” is used here in the perfect tense with the meaning “is imminent,” i.e., “is near at hand.” The imminence of Paul’s death is a poignant reason for his charge to Timothy.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58–459.
7절) 앞서 6절이 바울의 임박한 죽음을 이야기하고 있다면 이제 본절은 자신이 지나온 과거속에 행한 일이 무엇인지를 세가지로 고백하고 있다.
첫번째 ‘나는 선한 싸움을 싸웠다’라고 말한다. 여기서 ‘내가 싸우고’로 번역된 ‘에고니스마이’는 ‘싸우다, 투쟁하다’라는 동사 ‘아고니조마이’의 현재 완료형이다. 이는 고전 9:5이나 골 1:29에서 나타나듯이 바울이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며 앞서 딤전 6:12에서도 동일하게 언급한 바 있다. 바울은 자신이 부르심을 받은 이후의 삶을 통해서 계속해서 선한 싸움을 싸우는 투쟁의 삶을 살아왔다라고 고백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전쟁, 운동경기와 같다.
‘선한 싸움’으로 번역된 표현은 ‘톤 칼론 아고나’이다. ‘싸움을’로 번역된 ‘아고나’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혹자는 이것이 마치 군인이 전쟁에서 피를 흘리기까지 싸운 것과 같이 바울 역시 믿음의 영적인 전투에서 그와같이 피흘리며 싸웠음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뿐만 아니라 이어 등장하는 ‘달려갈 길’이라는 어구를 염두에 둔다면 이는 운동경기를 기리킨다고도 볼 수 있다. 바울은 자신이 올림픽 경기에 참가한 선수와 같이 믿음의 선한 경주를 싸웠고 이제 그것이 결승점을 통과하고 있음을 선언하고 있는 것이다.
두번째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달려갈 길’로 번역된 ‘드로몬’은 일반적으로 ‘경주 코스’를 의미하는데 마라톤 경기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스가 전투에서 승리한 소식을 마라톤 평야를 달려와 전한 것처럼, 마라톤 선수가 42.195km의 긴거리를 완주한것처럼 믿음의 마라톤 경주를 마쳤다라고 선언하는 것이다.
‘마치고’로 번역된 ‘테텔레카’는 ‘끝내다, 완수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텔레오’의 현재 완료형으로 바울이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위탁한 그 영광스러운 복음 전파의 경주를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계속하여 수행하였고 이제 그 사역, 경주를 완주하였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세번째 ‘믿음을 지켰으니’, ‘믿음’으로 번역된 ‘피스틴’은 ‘그리스도 예수에 대한 신실성’을 의미한다. 바울은 다메섹 도상에서 그리스도 예수를 인격적으로 만난 이후 한 번도 굴하지 않고 줄곳 그분에 대한 믿음을 지켜왔다.
‘지켰으니’로 번역된 ‘테테레카’는 ‘지키다, 보존하다’라는 의미의 원형 ‘테레오’의 현재 완료형이다. 이는 경기하는 자가 자신이 참가한 종목에서 경기 규칙을 지미는 것, 군인이 군대와 그 상관에 대한 충성 서약을 지키는 것, 나아가 청지기가 자신의 주인이 위탁한 재산을 지키는 것과 결부되어 사용되는 표현이다.
본절에서 사용된 세개의 동사는 모두 1인칭 단수 현재 완료형으로 바울 자신이 지금까지 이러한 일들을 계속해서 해왔음을 매우 강하게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 4:7With three graphic clauses Paul tells of his service for Christ. These clauses are parallel in construction, and that parallelism makes a forceful impact. Each consists of an accusative articular noun placed first and a perfect tense verb.
The first clause uses two cognate terms,ἀγώνandἀγωνίζομαι, to describe Paul’s life and ministry in terms of a contest or a struggle (see the comments on 1 Tim. 6:12, 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 this clause, for data, discussion, and literature; for the concept cf. especially 1 Cor. 9:25). These words were used in both the athletic and the military realms, and one need not decide which Paul has in view, if indeed it is one and not the other, because he uses the terms for both elsewhere and because the emphasis in his figurative use is not on the particular image but on the basic idea of “struggle.”
Paul addsκαλόν(as in 1 Tim. 6:12 and 1 Tim. 1:18 [see comments there onκαλόν]) to make clear the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of this struggle: The struggle is “good” (καλόν) because he has engaged in it for God and the gospel. Indeed, one must struggle for the gospel so that it can make its way in this evil world. The perfect tense of the verb,ἠγώνισμαι, signifies that Paul can make this statement about his entire ministry and that at the near conclusion of his life this fact stands established (as can also be said of the perfect tense verbs in the two following clauses).
Paul makes this observation to serve as a model for Timothy and to encourage him to rely on Christ’s enabling grace (cf. 2:1).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1 Timothy (1:18; 6:12) he admonished him in the same or similar words. In the second letter he has urged him to be a good soldier for the Lord (2:3ff.). Now he writes about the same struggle in his own life as something that has been accomplished.
In the second clause Paul usesτὸν δρόμον,** “the race course,” in the same way in which he used it (according to Luke) in speaking to the Ephesian elders (Acts 20:24), i.e., as a virtual synonym for “ministry” (διακονία; cf.δρόμονin Acts 13:25). This course, Paul says, he “has finished” (τετέλεκα; cf. the synonymous verbτελειόωin Acts 20:24, which, with this slight difference, is 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 this clause). Paul is affirming here that by God’s grace he has fulfilled his ministry (cf. 4:5 [διακονία]; for Paul’s use of race imagery see also 1 Cor. 9:24).
In regard to the third clause we must ask whether Paul usesτὴν πίστινin a subjective or objective sense, i.e., whether he is saying that he has kept on believing or that he has preserved “the faith” intact. Or perhaps the clause is a fixed formula, as it is in other ancient writings, that refers to keeping one’s trust (cf. Dibelius-Conzelmann), here with a Christian perspective. These all seem to be valid possibilities, so the issue must be resolved on the basis of context.
The three clauses in this verse are parallel, and in the other two clauses the nouns are objectifications of experiential phenomena, i.e., figurative expressions for the struggle that the gospel entails and the ministry that Paul has received. Therefore, “the faith” would appear to be used here in that same manner for “that which is believed,” as it is elsewhere in the PE and in Paul (see the comments on 1 Tim. 1:19). Furthermore, since the other two verbs emphasize perseverance it is likely that this nuance ofτετήρηκαis intended here as well. Therefore, Paul is saying that he has “persevered in the faith.” At the same time, in a letter warning Timothy about those who corrupt and turn aside from the truth (2:18, 25; 3:8), in which Paul specifically urges Timothy to retain the pattern of sound words (1:13), to guard the treasure (1:14), and to handle accurately the word of truth (2:15), and in which he has just warned about those who will not endure sound doctrine and will turn away from the truth (4:3–4), it is also likely that he would speak, as a model to Timothy, of having “kept” or “preserved” “the faith.” This use ofτηρέωis in accord with its usage elsewhere with an impersonal object, where it “denotes the actual maintaining of the essential functions or realities of Christian life” (H. Riesenfeld,TDNTVIII, 143, citing Eph. 4:3; Rev. 16:15). This sense of “keeping” in terms of faithfully proclaiming and preserving the faith does not rule out the subjective sense, that Paul has “kept on believing,” and even necessarily includes it: Paul perseveres in that which he preserves (cf. 1 Cor. 15:1–2).
Some have questioned the propriety of Paul making such statements about himself. Four observations may help to put this question in perspective: First, Paul puts the nouns first in these three clauses because he wants to emphasize the inherent value of the activity he has engaged in. It is “the good contest” or “the course” or “the faith” itself that has merited a lifelong “struggle” or “finishing” or “keeping” on Paul’s part, as it ought to merit such on Timothy’s part. Second, Paul does not speak in grandiose terms of his triumph but only of his attempted perseverance. He says only that he has struggled and fought, not that he has won. Third, Paul does not feel the necessity to repeat here what he has said earlier, which Timothy knows so well, i.e., that any perseverance on his part is brought about by God’s grace within him (cf. 1 Tim. 1:12, 14; 2 Tim. 2:1; 4:17; Col. 1:29). Fourth, Paul is not exalting himself, but, as the context makes clear, is encouraging Timothy through his own experience of God’s enabling grace.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59–461.
8절) ‘이제 후로는’으로 번역된 ‘로이폰’은 문자적으로 ‘이제 남은 것은’이란 의미이다. 바울은 6절에서 자신의 현재 상황, 7절에서 자신의 과거 상황을 언급했다면 이제 8절에서 자신의 미래의 상황으로 시야를 돌리고 있다.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그는 최선의 삶을 달려왔다. 이 믿음의 경주를 완수하는 이 시점에서 바울에게 예비된 것은 무엇인가? 바울은 그것을 ‘의의 면류관’이라고 말한다. ‘면류관’으로 번역된 ‘스테파노스’는 일반적으로 올림픽 경기가 끝난 후 우승자에게 주어지는 상인 월계관을 의미한다. 여기서 ‘의의 면류관’으로 번역된 ‘디카오쉬네스 스테파노스’는 이중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 의와 면류관이 동격의 소유격 관계라면 그것은 ‘의 곧 면류관, 의라는 면류관’이란 의미가 된다. 둘째 소유의 소유격 관계라면 ‘의로운 자에게 수여되는 면류관, 의에 대한 보상인 면루관’이라는 의미가 된다. 즉 믿음으로 의롭게 된 자들에게 주어질 의의 면류관이란 결국 하나님께서 친히 마련해두신 것으로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에게 수여되는 영원한 생명 즉 충성된 자에게 주어지는 상급을 의미한다.이처럼 이 면류관을 바울의 인내에 대한 보상으로 이해한다면 이는 바울 서신(고전 3:14; 골 3:24)과 보다 일반적으로 신약(마 5:12, 46, 6:1-6, 16-18, 10:41-42; 히 10:35, 11:26; 요이 8)의 일반적인 주제와 일치한다. 오느 해석을 따르든 그리스도는 바울뿐만 아니라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모든 자 즉 그리스도의 재림을 열망하는 모든 참된 신자들에게 면류관을 주실 것이다.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소망은 인내의 한 본질적인 요소이다.
‘예비되었으므로’에 해당하는 ‘아포케이타이’는 미래형이 아니라 현재형으로 쓰였다. 의의 면류관이 수여되는 시점은 미래이지만 그 면류관은 현재에 이미 예비되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바울에게 의의 면류관을 수여하시는 주체는 누구인가? 그분은 바로 의로우신 재판장이시다. ‘디카이오스 크리테스’는 문자적으로 ‘정직한 재판장’인데 문맥상 ‘일체의 오류를 허용하지 않고 모든 인류 곧 죽은 자와 산자를 심판하시는 분(1절), 바로 그리스도 예수’이시다. 당시 네로 황제가 불의한 재판관이라면 재림을 고대하는 초대 그리스도인들의 주인되신 그리스도 예수는 정반대로 의로우신 재판장이시다.
- 4:8This subsection (vv. 6–8) began with a statement about Paul’s present status (v. 6), which led to reflection on his past life of ministry (v. 7). In view of all this Paul now speaks of what is in store for him and for others who share his longing for the Lord’s return.
λοιπόνis used adverbially and can be construed either inferentially, in the sense of “therefore,” or simply as an indicator of time, in the sense of “now” or “henceforth” (see BAGD s.v. 3aα,β). Since inferential use is doubtful in the NT (perhaps in 1 Cor. 7:29) and since the reason that Paul receives the crown is given later in the verse, it is best not to insist on this doubtful understanding.
Paul resumes the language of the games by speaking ofὁ στέφανος(NT 18x), “the crown” or “the garland” (elsewhere in Pl.*: literal in 1 Cor. 9:25; figurative, as here, in Phil. 4:1; 1 Thes. 2:19; cf. the related verb in 2 Tim. 2:5), which is qualified by genitiveτῆς δικαιοσύνης. In the other NT occurrences ofὁ στέφανοςwith genitive nouns (1 Thes. 2:19: “of exultation”; Jas. 1:12: “of life”; 1 Pet. 5:4: “of glory”; Rev. 2:10: “of life”; 12:1: “of twelve stars”[?]) the genitive is appositional and epexegetic. Furthermore, in 1 Cor. 9:25 the adjectival qualification “imperishable” is used in the same way: To receive an imperishable wreath is to receive imperishability. Therefore, it is most likely that here, too, the genitive is appositional, so that the phras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rown, namely, righteousness.” Rather than being “the crown which will bring final justification” (W. Grundmann,TDNTVII, 629) it is much more likely that it refers to the permanent and perfect “state of righteousness” (G. Schrenk,TDNTII, 210) into which the Christian is brought by God (cf. Phil. 3:12–14, where Paul usesβραβεῖον, the “prize” in a contest, which is used interchangeably withστέφανοςin 1 Cor. 9:24–25; cf. eschatological use ofδικαιοσύνηalso in Gal. 5:5). This crown, says Paul, is already “laid up” or “stored up” (ἀπόκειται,** literal in Lk. 19:20; figurative, as here, in Col. 1:5, which has an analogous expression; Heb. 9:27) for “me” (μου).
ὁ κύριος, who will give the crown, is Christ, since Paul identifies “the Lord” with “the righteous judge” (cf. v. 1) and speaks of longing for “his appearing.”ὁ κριτήςis used here of the supreme “judge” (cf. its use of Jesus in Acts 10:42; of God in Heb. 12:23; Jas. 4:12; 5:9).δίκαιοςindicates that this judge is inherently and absolutely “righteous” and “just,” and thus is qualified to judge justly and give “the crown of righteousness” (cf. Jn. 17:25; 1 Pet. 2:23; Rev. 16:5, 7; 19:2; cf. further G. Schrenk,TDNTII, 188). Paul declares in Rom. 3:25–26 that God’s characteristic of beingδίκαιοςwas demonstrated in Jesus’ death, on the basis of which God justly justifies sinners; like justification, “the crown of righteousness” is a gift from “the righteous judge” presented on the basis of Christ’s death and righteous life (cf. 1:10; Phil. 3:8–14). The Lord “will give” (ἀποδώσει, used elsewhere by Paul of God and the judgment in Rom. 2:6, utilizing language found in Pr. 24:12; Ps. 62:12) the crown to Paul (μοι) “on that day.” The demonstrative pronounἐκείνηis used withἡμέραto designate “that” well-known and future judgment “day” of God (see the comments on 1:12).
Since Paul has spoken of himself in vv. 6–8a, he forcefully asserts at this point that this crown is given not only to him (οὐ μόνον δὲ ἐμοί) but also to “all” (πᾶσι) God’s people. The ascensive force ofἀλλὰ καίgathers up those specified after it and includes them with the one specified byοὐ μόνον.πᾶσιhas such textual support that inclusion of it is more likely than omission of it (seeUBSGNT; TCGNT). Those who will receive the crown are defined in terms of their “love” for Christ’s return (τὴν ἐπιφάνειαν αὐτοῦ; see 1 Tim. 6:14).ἠγαπηκόσι, used with reference to a future event (τὴν ἐπιφάνειαν) may be rendered “have longed for” (soNIV;cf. BAGD s.v. 2) as well as “have loved.” The perfect tense signifies that this “love” has constantly characterized their lives.
With this participial clause Paul mentions that which characterizes all true Christians and in doing so echoes a motif that goes back to Jesus and his appeal to be alert and expectant with regard to his return (e.g., Mt. 25:13). Just as alertness for Christ’s return is to characterize Christ’s people (in Paul’s letters, e.g., 1 Thes. 1:10; 5:6; 1 Cor. 1:7; Phil. 3:20; 1 Tim. 1:1; Tit. 2:13 [cf. Acts 24:15]), so also “love” for this return is to mark them. Paul leaves this note that all Christians long for Christ’s return and will therefore all receive a crown of righteousness, which is particularly joyous and encouraging in the face of his departure, for Timothy to embrace and pass on. He thus ends this larger section just as he began it (v. 1): by referring to Christ and his return. Paul wants both Timothy, who continues to live, and himself, who dies, to live and die in the light of Christ’s return and kingdom.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TDNTG. Kittel and G. Friedrich, eds.,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UBSGNT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The Greek New Testament(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B. M. Metzger,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NIVNew International Versi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