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3 When you come, bring the cloak that I left with Carpus at Troas, also the books, and above all the parchments. 14 lAlexander the coppersmith did me great harm; mthe Lord will repay him according to his deeds. 15 Beware of him yourself, for he strongly opposed our message.
l See 1 Tim. 1:20
m Ps. 62:12; Prov. 24:12; [Neh. 6:14; 13:29; Ps. 28:4; Rev. 18:6]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4:13–15.
 
13 네가 올 때에 내가 드로아 가보의 집에 둔 겉옷을 가지고 오고 또 책은 특별히 가죽 종이에 쓴 것을 가져오라
14 구리 세공업자 알렉산더가 내게 해를 많이 입혔으매 주께서 그 행한 대로 그에게 갚으시리니
15 너도 그를 주의하라 그가 우리 말을 심히 대적하였느니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4:13–15.
 
13절) 바울은 앞서 9절에서 디모데에게 속히 올 것을 요청하면서 이제는 올 때에 자신에게 필요한 몇가지 물건을 가지고 올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 부탁한 물품은 겉옷과 가죽으로 된 책이었다. 
‘내가 드로아 가보의 집에 둔’이라는 관계사 절로 수식되는 ‘겉옷’으로 번역된 ‘파일로넨’은 ‘서류 가방이나 책의 덮개, 작은 가방’이라는 뜻과 아울러 ‘겉옷으로 사용된 허름한 모포’라는 뜻을 동시에 함축한다(왕하 2:8). 그래서 혹 자들은 이것이 겉옷이 아니라 가방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이 겉옷은 추위와 비를 막기위해 고안된 겉옷으로서 모포 가운데 머리가 들어갈만한 크기의 구멍이 뚫려있는 소매없는 옷을 가리킨다. 이후 21절에서 ‘겨울 전에 어서 오라’는 언급에 비추어볼 때 습하고 음침하고 추운 로마의 토굴 감옥에서 겨울을 나기 위해서 이러한 겉옷이 반드시 필요했을 것이다. 
 
여기서 언급된 ‘가보’에 대한 다른 언급이 신약 성경에는 없다. 그는 드로아에서 살고 있던 신실한 그리스도인으로 바울의 동역자이다. 아마도 바울은 더운 계절에 들고 다니기에 부담스러웠던 겉옷과 가죽책을 그에게 맡겨두었을 것이다. 바울이 드로아 지역에 들른 기사는 행 16:8과 20:6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 외에 로마에 가는 길에 들렀을 수도 있다. 분명한 것은 바울이 드로아에 몇 번 방문한 적이 있다는 것이다. 드로아는 에베소와 같은 소아시아에 북쪽에 위치한 도시이다. 
 
Κάρπος (Karpos), 명사. 가보, 카르푸스. 인명이나 다른 존재의 이름으로 사용된 정보를 보려면,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가보.
주요 구절
딤후 4:13
καρποφορέω (karpophoreō), 동사. 열매를 맺다, 수확을 내다. 미래 능동태. καρποφορήσω; 부정과거 능동태. ἐκαρποφόρησεν.
동사 용법
1. 열매 맺다 — 열매 맺다 관련 주제: 과일.
마 13:23|| ὃς δὴ καρποφορεῖ
막 4:20|| καὶ καρποφοροῦσιν ἓν τριάκοντα καὶ ἓν ἑξήκοντα
막 4:28 αὐτομάτη ἡ γῆ καρποφορεῖ, πρῶτον χόρτον, εἶτα
2. 결과를 만들어 내다 ⇔ 열매 맺다 — 자기 본성에 맞는 행동과 자연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다; 그 종류에 따라 열매를 맺는 나무로 생각하여.
눅 8:15|| καὶ καρποφοροῦσιν ἐν ὑπομονῇ.
롬 7:4 ἵνα καρποφορήσωμεν τῷ θεῷ.
롬 7:5 εἰς τὸ καρποφορῆσαι τῷ
골 1:6 κόσμῳ ἐστὶν καρποφορούμενον καὶ
골 1:10 ἐν παντὶ ἔργῳ ἀγαθῷ καρποφοροῦντες
명사. 명사
동사. 동사
미래 능동태. 미래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  || 막 4:20 || 눅 8:15
||  || 눅 8:15 || 마 13:23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  || 막 4:20 || 마 13:23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가보로 번역된 카르포스는 동사인 ‘카르포포레오’에서 파생된 명사로 '열매를 맺다, 수확을 내다’의 의미이다. 말하자면 그의 이름의 의미는 열매를 풍성히 맺는, 열매가 풍성한 사람이라는 의미인 것이다. 
 
바울은 특별히 가죽종이에 쓴 책을 가져올 것을 부탁한다. 여기서 ‘책’으로 번역된 ‘타 비블리아’는 일반적으로 ‘파피루스 두루마리’를 지칭하는 단어이지만 여기에서는 특별히 가죽 종이에 쓴 것이라는 문구로 한정되어 양피지 책을 지칭한다. ‘가죽 종이에 쓴 것’으로 번역된 ‘멤브라나스’는 라틴어의 ‘멤브라나’로 표현된 단어로 ‘얇은 가죽’을 뜻한다. 무두질한 가죽이 버가모에서 최초로 제작되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이 단어는 양피지를 가리킨다고할 수 있다. 즉 ‘멤브라나스’는 ‘양이나 염소, 송아지 가죽 위에 필사한 책’이라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가죽 종이는 파피루스에 비해 훨씬 비쌌다. 당시 감옥에서 파피루스에 기록된 종이 책은 쉽게 손상이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이 책은 무엇인가? 어떤 학자는 재판을 대비하기 위한 로마 시민권 증서라고 하기도 하며 다른 학자는 헬라어 구약성경이나 주님의 말씀을 기록한 것으로 본다. 
 
 
4:13 While Timothy is “coming” to Paul (ἐρχόμενος; cf. the infinitive ἐλθεῖν in vv. 9, 21), Paul asks him to “bring” or “carry” (φέρε; cf. Acts 4:34, 37; 5:2) with him τὸν φαιλόνην. φαιλόνης** (a NT hapax, spelled φελόνης in some manuscripts) is regarded by most as a loanword from Latin paenula, which appeared at a much earlier date than the Greek word. The original form was φαινόλας or φαινόλης, which by metathesis (transposition) became φαιλόνης (see BAGD; MHT II, 106). The φαιλόνης, “cloak,” was “a large, sleeveless outer garment, made of a single piece of heavy material, with a hole in the middle through which the head was passed” (Kelly). Since it served as protection against cold and rain, Paul may have wanted it because winter was at hand (v. 21) and also perhaps because his prison was cold. Whatever the immediate reasons, Paul wanted to recover essential possessions that he had left behind (ὃν ἀπέλιπον; see evidence for a variant spelling, which makes no difference in meaning, in NA26).
Paul left the cloak in Τρῳάς** (Acts 16:8, 11; 20:5, 6; 2 Cor. 2:12), a city and region in the northwest corner of Asia Minor. Troas was a seaport (Acts 16:11) and could easily be on a route from Ephesus to Rome. Therefore, Paul can ask Timothy to pick up the cloak on his way. Paul left it with Κάρπος,** “Carpus,” presumably a Christian in that area, who is mentioned only here in the NT. (H. C. G. Moule conjectures that it was in Carpus’s house that the Lord’s Supper gathering mentioned in Acts 21:6ff. took place.) The best hypothesis is that the cloak was left when Paul was most recently arrested.
Paul also wants Timothy to bring “the books.” βιβλίον (NT 34x, Pl.* 2x: Gal. 3:10) “is the most common word for the ‘roll of a book,’ a ‘book,’ or a ‘writing’ in the koine” (G. Schrenk, TDNT I, 617). In both the LXX and the NT it is used of any writing in general (e.g., Dt. 24:1, 3; Mk. 10:4; Mt. 19:7) and to refer to individual OT writings (e.g., 1 Ch. 27:24; cf. the related word βίβλοι in Dan. 9:2), particularly as “a solemn expression for the Book of the Law” (U. Becker, NIDNTT I, 243, referring to Dt. 28:58; Jos. 1:8; so also in Josephus [Schrenk, 617, n. 9]). Thus in the NT it is used in the expressions “the book of the prophet Isaiah” (Lk. 4:17) and “the book of the law” (Gal. 3:10) and by itself to refer to the Law (Heb. 9:19; cf. 10:7).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Paul refers to the OT writings with plural τὰ βιβλία.
To make his request more specific, Paul adds the words μάλιστα τὰς μεμβράνας. μεμβράνα** is a loanword from Latin for the “parchment” used for making books (BAGD). There are two possible significances for Paul’s phrase. The first is that it indicates which books, among all those that Paul asks for, he particularly (μάλιστα taken as “most of all, above all, especially”) wants. The second possibility is that proposed by Skeat (“Especially the Parchments”), which understands μάλιστα as an equating or defining term so that the phrase is giving a further definition of all the books that Paul wants. On this view μάλιστα would be rendered “that is,” and τὰ βιβλία and τὰς μεμβράνας would refer to the same thing. Skeat’s documentation of μάλιστα with this meaning (in addition to the more common meaning) elsewhere in Greek literature and in the PE is convincing, which makes it possible here as well (cf. 1 Tim. 4:10; 5:17; Tit. 1:10[?]).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MHT J. H. Moulton, W. F. Howard, and N. Turner, A Grammar of New Testament Greek I–IV. Edinburgh, 1908–76.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LXX Septuagint
NIDNTT C. Brown, ed.,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I–III. Grand Rapids, 1975–78.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6–467.
 
14절) 바울은 드로아 가보의 집에서 겉옷과 책을 가져오라고 디모데에게 부탁하고 이제 구리 세공업자 알렉산더를 조심하라고 권고한다. 
 
Ἀλέξανδρος (Alexandros), 명사. 알렉산더. 인명이나 다른 존재의 이름으로 사용된 정보를 보려면,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알렉산더 (시몬의 아들); 알렉산더 발라스; 알렉산더 대왕; 알렉산더 (에베소 기독교인); 알렉산더 (안나스의 친척); 알렉산더 (구리 세공인); 알렉산더 (거짓 선생).
주요 구절
막 15:21; 행 4:6; 행 19:33; 딤전 1:20; 딤후 4:14
명사. 명사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구리 세공업자에 해당하는 ‘칼큐스’는 금속을 가공하는 사람으로 특히 그것이 뜨겁고 연성일 때 망치로 두드리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 알렉산더라는 이름은 신약 성경에 5번 등장한다. 이는 헬라 세계에서 매우 흔한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그는 바울과 교회에 해를 끼치는 존재였다. 그는 행위와 말로 해를 많이 끼쳤다. 이는 바울 자신과의 개인적인 관계에서의 악감정이면서 더욱 심각한 것은 바울이 복음을 전하는데 대한 심한 방해였던 것으로 보인다. 
 
알렉산더의 경우 행 19:33-34, 딤후 4:14-15에 등장한다. 이 이름은 당시 매우 흔한 이름으로 여기 등장하는 사람을 동일인으로 특정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사도행전 19:33–34
33유대인들이 무리 가운데서 알렉산더를 권하여 앞으로 밀어내니 알렉산더가 손짓하며 백성에게 변명하려 하나
34그들은 그가 유대인인 줄 알고 다 한 소리로 외쳐 이르되 크다 에베소 사람의 아데미여 하기를 두 시간이나 하더니
디모데후서 4:14–15
14구리 세공업자 알렉산더가 내게 해를 많이 입혔으매 주께서 그 행한 대로 그에게 갚으시리니
15너도 그를 주의하라 그가 우리 말을 심히 대적하였느니라
 
그는 구리 장색으로 바울을 괴롭게 했던 인물이다. 
이처럼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하나님께 대적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믿음에 파선하여 복음의 진리를 막은 것만은 분명하다. 딤전 1:20에서 바울은 이런 이들에 대한 징계로 사탄에게 그들을 내주었다라고 표현한다. 이는 출교에 해당하는 징계이다. 
 
바울은 개인적인 해를 입은 것에 대한 악감정도 가지고 있었지만 이 보다는 하나님나라 복음을 전하는데에 대한 방해로 인하 복음의 원수로 여겼을 것이다. 그래서 바울은 알렉산더는 자기 자신이 개인적으로 보복하고자 하지 않고 그에 대한 심판을 하나님께 맡기고 있다. 이는 하나님의 심판 자리를 빼앗지 않고 그의 심판의 주권을 인정하는 신본주의적 태도로 하나님을 향한 진정한 신뢰와 믿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자기를 몇 번이나 죽이려 했던 사울왕을 죽이지 않고 하나님께 맡긴 다윗을 연상시킨다.(삼상 26:10)
 
4:14 On Alexander see the comments on 1 Tim. 1:20, which probably refers to the same man, who may also have been the Jewish spokesman in Ephesus after the riot there (Acts 19:33–34). χαλκεύς** meant in particular “coppersmith” but came to mean in general “metal-worker.” Paul does not specify the “much harm” (πολλὰ κακά) that Alexander “did” to him (μοι). It may be that Paul mentions Alexander here because the “harm” he did was to have Paul arrested: ἐνδείκνυμι, used here of what Alexander did, was used as a legal term meaning “inform against” (see LSJM), and Paul notes that Alexander “vigorously opposed our message” (so Fee and Spicq).
Paul expresses his confidence in God’s retributive justice with ἀποδώσει αὐτῷ ὁ κύριος κατὰ τὰ ἔργα αὐτοῦ (a recurring statement in the OT, e.g., 2 Sam. 3:39; Ps. 28:4; 62:12; Pr. 24:12; one or more of these OT statements is cited in Rom. 2:6, where Paul uses the same verb and prepositional phrase as here). ὁ κύριος is undoubtedly the same “Lord,” “the righteous judge,” as in v. 8, namely Christ, whose “appearing” Paul longs for. At the future judgment day he “will recompense” (ἀποδώσει, future of ἀποδίδωμι, the same verb as in v. 8) Alexander “according to his deeds” (κατὰ τὰ ἔργα αὐτοῦ). This statement reflects the same convictions as 2 Cor. 5:10.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LSJM H. G. Liddell and R.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rev. and augmented by H. S. Jones and R. McKenzie, with a Supplement by E. A. Barber. Oxford, 1968.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7–468.
 
15절) 본문에 ‘너’로 번역된 2인칭 주격 대명사 ‘쉬’는 강조 용법이다. 바울은 명백히 ‘디모데 자신’을 강조하고 있다. ‘주의하라’로 번역된 ‘퓔랏수’는 본래 ‘지키다, 보호하다’라는 의미의 ‘필랏소’의 현재 중간태 명령형으로 ‘네 자신을 ~로부터 지키고 보호하라’는 의미를 지닌다. 바울은 자신이 알렉산다에게 해를 입은 것처럼 디모데 역시 구리 세공업자인 알렉산더에게 해를 당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 강력하게 주의를 주고 있는 것이다. 
본문에는 한글 성경에는 번역되지 않은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가르’가 사용되었다. ‘너도 그를 주의하라 왜냐하면 그가 우리말을 심히 대적하였기 때문이다’로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된 ‘우리 말(토이스 헤메테로이스 로고이스)’은 바울과 바울의 동료들이 전했던 하나님나라의 복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본문에 ‘대적하였느니라’로 번역된 ‘안티스테미’는 ‘반대’를 의미하는 접두어 ‘안티’와 ‘서 있다’라는 의미의 ‘이스테미’의 합성어로 ‘반대편에 서 있는 것, 즉 대적하다, 저항하다, 거스르다, 견뎌내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4:15 The preceding statement that Alexander did Paul “much harm” serves as the grounds for the warning here that Timothy should “guard against” Alexander. The connection is provided by adverbial καί (“also”) and the emphatic pronoun σύ (“you” or “you yourself”) used in a correlative contrast with the preceding μοι: “You also guard against him.” Middle imperative φυλάσσου has the middle significance here of “(be on your) guard against,” “look out for” with the accusative of the person to be guarded against (BAGD s.v. 2a; cf. Lk. 12:15; Acts 21:25; 2 Pet. 3:17). The present tense of the imperative indicates that Timothy must constantly be on his guard.
γάρ introduces a statement about Alexander’s opposition, which is what Timothy must beware of. Alexander opposed “our” (ἡμετέροις, i.e., that of Paul and his fellow workers) teaching and presumably will continue to do so. λίαν (cf. Mt. 2:16; 27:14; Mk. 6:51; Lk. 23:8), “very much” or “exceedingly,” placed first for emphasis, expresses the degree of his opposition. With ἀντέστη (from ἀνθίστημι), “opposed,” Paul repeats the verb used in 3:8 (see the comments there), where he spoke of the false teachers’ opposition to the “truth.” Plural λόγοις, “words,” signifies that Alexander’s opposition was to their actual statements, i.e., the content of their message (plural λόγοι in the PE* in 1 Tim. 4:6; 6:3; 2 Tim. 1:13), and harks back to 1:13 and 2:2.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8.
728x90
dDo your best to come to me soon. 10 For eDemas, fin love with gthis present world, hhas deserted me and gone to Thessalonica. Crescens has gone to Galatia,2 iTitus to Dalmatia. 11 hLuke alone is with me. Get jMark and bring him with you, for he is very useful to me for ministry. 12 kTychicus I have sent to Ephesus.
d ch. 1:4
e Col. 4:14; Philem. 24
f See 1 John 2:15
g 1 Tim. 6:17; Titus 2:12
h [ch. 1:15]
2 Some manuscripts Gaul
i [Titus 3:12]
h [See ver. 10 above]
j See Acts 12:12
k Acts 20:4; Eph. 6:21; Col. 4:7; Titus 3: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4:9–12.
 
9 너는 어서 속히 내게로 오라
10 데마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나를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갔고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 디도는 달마디아로 갔고
11 누가만 나와 함께 있느니라 네가 올 때에 마가를 데리고 오라 그가 나의 일에 유익하니라
12 두기고는 에베소로 보내었노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4:9–12.
 
디모데후서는 머리말(1:1-5), 본론(1:6-4:8), 결론(4:9-22)로 이루어진다. 
4:9-18절에 이어지는 내용은 이제 죽음을 앞둔 노사도 바울이 자신의 신변을 정리하면서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인간적인 연민, 고독감을 잘 보여준다. 먼저 바울은 디모데로 하여금 자신에게 속히 올 것을 요청한다. 
 
9절) ‘너는 어서 오라’에 해당하는 ‘스푸다손 엘레인’에서 ‘스푸다손’은 ‘서둘로서, 속히, 금히, 열심히 ~을 하다’라는 의미이다. ‘스퓨도’의 2인칭 부정 과거 명령형이다. 이어지는 ‘엘데인’은 ‘오다, 이르다’라는 의미의 동사 ‘에르코마이’의 부정사이다. 이른 직역하면 ‘너는 오는 것을 서둘러라, 너는 서둘러서 오라’가 된다. 이러한 요청은 21절에서 다시 한번 반복된다. 
본문속에서 ‘어서 속히’에 해당하는 긴급을 의미하는 표현이 두번이나 반복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바울이 디모데와의 만남을 얼마나 간절히 원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바울이 디모데와 사랑의 교제와 복음의 교제, 권면의 말을 하기 원함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얼마나 외로운지를 느끼게 해준다. 바울은 지금 자신의 마지막을 앞두고 로마의 음침한 토굴 감옥에서 외롭게, 쓸쓸하게 지내면서 자신의 마지막을 정리하고 있는 것이다. 유독 이 표현은 바울의 목회서신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본문에서 ‘속히’로 번역된 ‘타케오스’는 ‘급히, 빨리, 곧’의 의미를 지닌다. 본문은 '가까운 미래에 혹은 지체하지 않고 신속하게’라는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4:9 The reference in v. 6 to Paul’s impending death is the setting for this request that Timothy come to him as soon as possible. Imperative σπούδασον can mean either “hasten,” or “make every effort, do your best” (σπουδάζω, PE*: Tit. 3:12 [see comments there]; 2 Tim. 2:15; 4:21, all but 2:15 requests for Titus or Timothy to come to Paul). Since the adverb ταχέως is added to convey the need for hurrying, it is more likely that the imperative is used in the other sense. Either way it conveys a sense of urgency.
The urgent request is for Timothy “to come” (ἐλθεῖν, used similarly in 4:21; Tit. 3:12). The personal nature of the request comes through clearly in the simple prepositional phrase πρός με, “[come] to me.” ταχέως, “soon,” a relative term, is given perspective by being replaced by πρὸ χειμῶνος, “before winter,” in v. 21 (for its relative character see in Paul* 1 Cor. 4:19; Gal. 1:6; Phil. 2:19, 24; 2 Thes. 2:2; 1 Tim. 5:22). This request presumes the usual time factor in the Roman judicial system, and particularly as it relates to Paul’s case, and also takes into account the time for the letter to be carried to Timothy and for him to travel to Rome. Furthermore, Paul’s requests for certain items to be brought to him (v. 13) also presume some time remaining for him when Timothy arrives. But at the same time, and more importantly, Paul writes as a man who is certain that he will not be released and that before long he will depart this life (v. 6) to Christ’s heavenly kingdom (v. 18). In that light he writes urging Timothy to come to him as soon as he possibly ca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3–464.
 
10절) 원문에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가르’가 포함되어 9절에서 디모데로 하여금 속히 오라고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데마와 그레스게와 디도가 모두 바울을 버리고 각기 다른 곳으로 떠났기 때문이다. 바울이 디모데의 방문을 간절하게 원하고 있는 것은 복음의 교제를 나누기 위함만이 아니라 인간적인 고립감, 배신감, 거절감을 극복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말년에 로마 감옥에서 바울의 수감 생활중 함께 했던 이들이 그를 떠난 것이다. 
 
‘이 세상을’로 번역된 ‘톤 뉜 아이오나’는 문자적으로 ‘현재의 시대, 현실 세상’을 뜻하는데 이는 하나님의 복음을 사랑하여 이를 전함으로 고난을 받기보다 자기 자신을 더욱 사랑하고 쾌락을 좇아 살게 하는 세상을 의미한다. 데마는 복음을 위하여 바울과 함께 고난받는 것을 거부하고 자기 쾌락을 좇아 이를 따라 세상을 사랑하여 바울을 떠났다. ‘사랑하여’에 해당하는 ‘아가페사스’는 ‘아가파오’의 부정과거 분사형이다. ‘아가파오’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향한 무조건적 사랑을 의미하는 표현인데 데마가 단순히 세상을 좋아하는 정도가 아니라 세상을 위해서 목숨을 내놓을만큼 뜨겁게 사랑하여 자신을 버리고 떠났음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8절에서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자’라는 표현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바울은 데마가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여 바울을 버리고 떠났음을 보여둔다. 
‘버리고’로 표현된 ‘엥카텔리펜’은 ‘남기다, 버리다, 폐기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엥카탈레이포’의 부정과거 능동태 직설법표현으로 롬 9:29에서는 남겨두다라는 의미로 번역되었다.
로마서 9:29
29또한 이사야가 미리 말한 바 만일 만군의 주께서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지 아니하셨더라면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로마서의 이 표현은 이사야의 예언에 대한 인용으로 하나님, 만군의 주께서 씨를 남겨 두셨다라는 그분의 능동적 행동을 묘사한 표현으로 이처럼 데마는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바울을 버려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바울을 버렸음을 말해준다. 단순히 고난을 피하기 위해서 바울을 버린 것만이 아니라 영적으로도 하나님을 버리고 자신의 신앙마저도 버렸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데마는 몬 1:24이나 골 4:14에서 언급된 것처럼 바울의 복음 증거를 돕는 자였다. 그는 바울이 총애해 마지않던 누가와 동시에 언급될 정도로 신실한 종이었다. 그런데 이제 영적 지도자인 바울과 더불어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까지 저버린 것이다. 그렇다면 왜 데살로니가로 갔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곳이 데마의 고향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골로새서 4:14
14사랑을 받는 의사 누가와 또 데마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빌레몬서 24
24또한 나의 동역자 마가, 아리스다고, 데마, 누가가 문안하느니라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 디도는 달마디아로’, 데마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바울을 버리고 갔다면 그레스게와 디도는 사역을 위해 바울이 파송한 이들이었다. 데마처럼 바울을 버리고 떠난것은 아니지만 지금 바울 곁을 떠난 사실은 동일하다. 이들이 복음 사역을 위하여 바울을 떠났더라도 그로 인해 바울이 로마의 감옥에서 홀로 느꼈을 고립감과 외로움은 매우 컸을 것이다. 
‘그레스게’는 다른 성경본문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레스게가 파송된 곳이 갈라디아라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바울은 아가야 마게도냐 또는 아시처럼 로마의 정치적 단위의 지방들을 공식적인 명칭으로 부르는데, 그렇다면 그레스게가 파송 갈라디아 소아시아에 자리한 로마령 갈라디아 확실하다. 그러나 이것이 다른 문헌에는 갈리아 표기되어 있다. 만약 표기가 정확한 것이라면 그레스게가 로욘 근처의 비엔나에 교회를 설립했다라는 저명한 교회사가 유세비우스(Eusebius) 지적을 고려해 있다. 세비우스는 그레스게가 고올(갈리아)’ 보냄을 받았다고 분명하게 말한 있고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여기서 표현된 갈라디아는 아시아의 갈라디아 아닌 유럽의 갈리아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없다. 바울이 스페인을 방문했을 것으로 가정할 , 그가 남쪽 고올 지방에 교회들을 세웠고 그리고 그레스게를 보내어 거기서 시작된 자신의 사역을 강화시켰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도 논리에 부합한다(Hendriksen). (옥스포드 586)
 
디도는 달마디아로 갔다. 
로마서 15:19
19표적과 기사의 능력으로 성령의 능력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리하여 내가 예루살렘으로부터 두루 행하여 일루리곤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편만하게 전하였노라
본문에서 ‘달마디아’가 바로 아드리아 연안 동쪽에 있는 일루리곤에 속한 지역이다. 이미 바울에 의해 개척된 곳이다. 이렇게 바울이 디도를 달마디아로 보낸 것은 자신이 이전에 복음 증거하여 세워진 곳의 사역을 다시금 돌아보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디도는 예루살렘을 방문한 이후 그의 모든 전도활동의 무대를 오늘날의 유럽지역으로 집중했다.(갈 2:1)

 

고후 2:13

내가 형제 디도를 만나지 못하므로 심령이 편하지 못하여 그들을 작별하고 마게도냐로 갔노라

고후 7:6

그러나 낙심한 자들을 위로하시는 하나님이 디도가 옴으로 우리를 위로하셨으니

고후 7:13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위로를 받았고 우리가 받은 위로 위에 디도의 기쁨으로 우리가 더욱 많이 기뻐함은 그의 마음이 너희 무리로 말미암아 안심함을 얻었음이라

고후 7:14

내가 그에게 너희를 위하여 자랑한 것이 있더라도 부끄럽지 아니하니 우리가 너희에게 이른 말이 참된 같이 디도 앞에서 우리가 자랑한 것도 참되게 되었도다

고후 8:6

그러므로 우리가 디도를 권하여 그가 이미 너희 가운데서 시작하였은즉 은혜를 그대로 성취하게 하라 하였노라

고후 8:16

너희를 위하여 같은 간절함을 디도의 마음에도 주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노니

고후 8:23

디도로 말하면 나의 동료요 너희를 위한 나의 동역자요 우리 형제들로 말하면 여러 교회의 사자들이요 그리스도의 영광이니라

고후 12:18

내가 디도를 권하고 함께 형제를 보내었으니 디도가 너희의 이득을 취하더냐 우리가 동일한 성령으로 행하지 아니하더냐 동일한 보조로 하지 아니하더냐

2:1

십사 후에 내가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갔나니

2:3

그러나 나와 함께 있는 헬라인 디도까지도 억지로 할례를 받게 하지 아니하였으니

딤후 4:10

데마는 세상을 사랑하여 나를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갔고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디도는 달마디아로 갔고

1:4

같은 믿음을 따라 나의 아들  디도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4:10 The explanatory γάρ signifies that this verse provides a reason for Paul’s request in the preceding verse. He relates that almost all his coworkers have gone elsewhere and says (in v. 11) that he is nearly alone. The implication is that he is lonely and needs help and companions.
Paul’s difficult situation is highlighted by his beginning with Demas, who has deserted him because of his “love of the world.” Δημᾶς** is listed as one of Paul’s “fellow workers” in Phm. 24 and under that designation is one of those who send greetings in Col. 4:14. BAGD and BDF (§125.1) suggest Δημᾶς might be a shortened form of Δημήτριος. Chapman (“Historical Setting,” 364ff.) identifies the Δημήτριος of 3 Jn. 12 with this Δημᾶς, but this proposal is not conclusive.
Paul says that Demas “deserted” (ἐγκατέλιπεν, NT 10x, Pl.* 4x: Rom. 9:29; 2 Cor. 4:9; 2 Tim. 4:16; for the variant -λειπεν, which does not affect the meaning, see NA26) him (με) “because he has loved the present age” (ἀγαπήσας τὸν νῦν αἰῶνα). In this aorist participle of antecedent action “it is the inception of the action only which precedes the action of the principal verb” (Burton, Syntax, §137), i.e., Demas has begun to love and still loves the present age. Elsewhere Paul refers to ὁ νῦν αἰών,** “the present age, the present world” (also in 1 Tim. 6:17; Tit. 2:12), with ὁ αἰὼν ὁ ἐνεστώς (Gal. 1:4) and ὁ αἰὼν οὗτος (Rom. 12:2; 1 Cor. 1:20; 2:6, 8; 3:18; 2 Cor. 4:4; Eph. 1:21). Since it is an “evil” age (Gal. 1:4), whose God is the evil one (2 Cor. 4:4), Christians are not to be conformed to it (Rom. 12:2). Paul seems to be contrasting Demas’s love with that which marks true Christians (4:8, the only other use of ἀγαπάω in the PE*), who love and long for the future appearance of the Lord. Demas’s love for this world implies that he is one whose love for something else has taken the place of love for God (cf. 3:2, 4, where a compound of φίλος is used; cf. 1 Jn. 2:15).
In deserting Paul, Demas has gone to Thessalonica, a city in Macedonia on the Thermaic Gulf (Θεσσαλονίκη,** elsewhere in the NT in Acts 17:1, 11, 13; Phil. 4:16). He may be returning to his hometown, since he is mentioned in Phm. 24 with Aristarchus the Thessalonian (Acts 20:4; 27:2) and since two of the politarchs of Thessalonica were named Demetrius (Lightfoot, Biblical Essays, 247 n. 2).
Paul utilizes the verb “has gone” not only for Demas but also for two other fellow workers, naming the place to which each “has gone” (ἐπορεύθη, aorist passive of πορεύομαι, with εἰς and the place also in Rom. 15:24, 25; 1 Tim. 1:3). But the construction of the phrase with these two others, consisting of the person’s name with the prepositional phrase, implies only this latter verb, not the earlier statement about desertion. Furthermore, that Titus has gone to Dalmatia, just north of Nicopolis, fits with Paul’s earlier request (and presumed evangelistic strategy) for Titus to join him in Nicopolis (Tit. 3:12). Κρήσκης,** a rare Greek form of the common Latin “Crescens,” is not mentioned elsewhere in the NT. Crescens is said to have gone to Γαλατία** (1 Cor. 16:1; Gal. 1:2; 1 Pet. 1:1; for manuscript evidence for this reading and the variant “Gallia” see UBSGNT and TCGNT). Γαλατία is almost certainly an area in central Asia Minor (for alternatives see the literature on Γαλατία in BAGD). Τίτος is Paul’s well-known fellow worker (see the statements about his life and ministry in the Introduction). He has gone to Δαλματία,** Dalmatia, which is located in southern Illyricum across the Adriatic Sea from southern Italy.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DF F. Blass and A. Debrunner,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 W. Funk from the 10th German ed. Chicago, 1961.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 B. M.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4–465.
 
11절) 바울의 말년 감옥 생활에 유일하게 남아있던 사람은 다름 아닌 누가였다. 누가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저자로 바울의 전도여행에 동행했다. 팔레스틴에서부터 로마까지 멀고도 험난한 해상 여행에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바울과 함께 하였다.(행 27장) 누가는 바울과 함께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였으며 바울의 주치의이기도 했다.(골 4:14) 누가는 바울의 1, 2차 로마 수감 생활동안 그와 함께 했으며(골 4:14; 몬 1:24; 딤후 4:11) 서신을 대필하기도 한 비서요 신실한 친구였다. 누가는 그리스도인, 선교사, 의사, 비서, 친구로서 바울과 언제나 함께 하였다. 
 
‘마가를 데리고 오라’, 마가는 예루살렘 출신으로(행 12:12) 바울의 제1차 전도여행에서 바울 일행을 떠나 개인적인 행동을 함으로(행 13:13) 바울과 바나바가 서로 결별하는 이유를 제공했다(행 15:36-41) 하지만 이후 골 4:10이나 몬 1:24을 보면 마가는 바울이 일차로 로마감옥에 수감되었을때 그와 함께 했음이 분명하다. 벧전 5:13에서 마가는 베드로와 함께 로마에서 복음을 증거했다. 전승에 따르면 베드로가 로마에서 순교한 후 이전의 바울과의 반목을 털어버리고 그의 신실한 조력자가 되었다고 한다. 한때는 서로 반목했던 자들이 복음 안에서 다시 화해하고 한 뜻으로 주의 복음을 위해 애쓰는 모습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모습임에 틀림없다. 여기서 디모데에게 마가와 동행할 것을 요청하는 이유는 마가가 바울 자신의 일에 유익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일’에 해당하는 헬라어 단어 ‘디아코니안’은 교회와 관련된 봉사, 또한 하나님나라와 관련된 사역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이처럼 바울은 자신이 관계하는 복음 사역에 마가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4:11 The result of these departures is that the company of fellow workers has been reduced to one: Λουκᾶς ἐστιν μόνος μετʼ ἐμοῦ, “Luke only is with me” (for this use of μόνος cf. Rom. 11:3; 1 Cor. 9:6; 14:36; Phil. 4:15; 1 Thes. 3:1). Λουκᾶς** is listed as one of Paul’s fellow workers in Phm. 24 and is described as “the beloved physician” (ὁ ἰατρὸς ὁ ἀγαπητός) in Col. 4:14.
The remainder of this verse assumes that Timothy will come to Paul and states that he should bring Mark with him (μετὰ σεαυτοῦ). BAGD (s.v. 4) proposes that ἀναλαβών is used here as in Acts 23:31 and in extrabiblical literature (references in BAGD) in the sense of “taking along” a person who travels with someone. It is possible, however, that it is used in the more general sense of “take to one’s self” (BAGD s.v. 3; so Thayer, Lexicon). Imperative ἄγε, “bring [him] along,” is the key verb in this statement.
Μᾶρκος** undoubtedly refers to the one associated with Paul elsewhere in the NT. Hence “Mark” is the surname of John, son of Mary of Jerusalem and cousin of Barnabas (Col. 4:10) who accompanied Paul and Barnabas on the so-called first missionary journey but left them early during that journey (Acts 12:25; 13:5, 13). Paul did not want to take Mark on his next journey because of this desertion (Acts 15:37–40), but Mark proved himself after that time and came to be regarded by Paul as a fellow worker (Phm. 24; cf. 1 Pet. 5:13).
The reason (γάρ) that Paul wants Timothy to bring Mark with him is that Mark is “useful” (εὔχρηστος,** also in 2:21; Phm. 11, where what is said about Onesimus could just as well be applied to Mark) to Paul “for service.” Paul has used διακονία for the “ministry” in which he was placed by Christ (1 Tim. 1:12) and for the “ministry” that Timothy is to fulfill (2 Tim. 4:5). Furthermore, Paul regards Mark as his “fellow worker” (συνεργός, Phm. 24). For those reasons and because Paul wants Mark to come to replace other coworkers who have left, it is most likely that he uses διακονία here for the ministry of the gospel (rather than personal service). Cf. NIV: “because he is helpful to me in my ministry” (also TEV).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5–466.
 
12절) 행 20:4에 아시아까지 바울을 동행한 이들이 언급되는데 그 중에 두기가고 포함된다. 
사도행전 20:4
4아시아까지 함께 가는 자는 베뢰아 사람 부로의 아들 소바더와 데살로니가 사람 아리스다고와 세군도와 더베 사람 가이오와 및 디모데와 아시아 사람 두기고와 드로비모라
두기고는 바울의 1차 로마 감옥 수감생활중에 함께 하였고 에베소서와 골로새서를 전달한 인물이기도 하다.(엡 6:21; 골 4:7) 그는 사랑을 받는 형제와 복음의 충성스러운 사역자요 바울의 동료이며 매우 신실한 그리스도인임에 분명하다. 
에베소는 디모데가 바울의 후임으로 사역하고 있는 곳이었다. 그렇다면 바울이 두기고를 에베소로 보낸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디모데가 로마감옥에 수감된 자신을 방문하기 위해서 올 경우 디모데가 에베소에서 하던 사역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였을 것이다(딛 3:12) 여기서 ‘보내었노라’로 번역된 ‘에페스테일라’가 본래 ‘보내다, 파송하다’라는 의미의 ‘아포스텔로’의 부정과거라면 두기고가 본서를 디모데에게 전달했을 가능성도 있다. 바울은 두기고를 디모데를 대신하여 잠시 동안 에베소 교회를 부탁해도 무방할 정도로 신뢰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바울이 자신의 극심한 외로움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교회가 한치도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 얼마나 세심하게 배려하고 있는지, 바울이 얼마나 주도면밀한 인물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4:12 Τύχικος** is apparently the one who carried the letters to the Ephesians and to the Colossians, in which Paul calls him “the beloved brother and faithful minister in the Lord” (Eph. 6:21; Col. 4:7) and a “fellow bondservant in the Lord” (Col. 4:7). He was from Asia (where Timothy now is) and was one of those who accompanied Paul on his journey to Jerusalem with the collection (Acts 20:4). The terse statement here, “But Tychicus I have sent to Ephesus,” together with v. 8, is probably written here for the same reason that a similar statement appears in Tit. 3:12. There Titus is told to come to Paul “when” (ὅταν) either Artemas or Tychicus have come to Titus, presumably because either of the two would take Titus’s place. Paul says that he “has sent” (ἀπέστειλα, epistolary aorist) Tychicus εἰς Ἔφεσον (for Ἔφεσος see the other PE* occurrences, 1 Tim. 1:3; 2 Tim. 1:18), “to Ephesus,” where Timothy is located and laboring (cf. 1:18). That place name, rather than the more usual “to you” (Tit. 3:12; Eph. 4:7; Eph. 6:21), is probably used simply to continue the pattern in v. 10.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6.
 
728x90
For uI am already being poured out as a drink offering, and the time of my vdeparture has come. wI have fought the good fight, xI have finished the race, I have kept the faith. Henceforth there is ylaid up for me zthe crown of righteousness, which the Lord, athe righteous judge, will award to me on bthat day, and not only to me but also to all cwho have loved his appearing.
u Phil. 2:17
v Phil. 1:23; [2 Pet. 1:14]
w See 1 Tim. 6:12
x Acts 20:24
y Col. 1:5; 1 Pet. 1:4
z See James 1:12
a Ps. 7:11
b ch. 1:12
c [Rev. 22:20]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4:6–8.
 
6 전제와 같이 내가 벌써 부어지고 나의 떠날 시각이 가까웠도다
7 나는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8 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되었으므로 주 곧 의로우신 재판장이 그 날에 내게 주실 것이며 내게만 아니라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모든 자에게도니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4:6–8.
 
6절) 헬라어 원문은 ‘에고 가르’가 문장의 첫부분에 등장한다. ‘에고’는 1인칭 주격 단수 대명사로 문장의 첫부분에서 강조 용법으로 사용된다. ‘가르’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인데 한글에서는 번역되지 않았다. 6절은 앞선 1-5절의 권면의 내용과 연결되어져서 말씀을 전파하는 전도자의 직무를 다할 것을 권면한 이후에 이제 바울 자신의 임박한 죽음을 염두에 두고 강조하며 당부를 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의 죽음을 ‘전제와 같이 내가 벌써 부어지고’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스펜도마이’를 번역한 것으로 ‘제주를 붓다, 제주를 들이키다’라는 의미의 동사 원형 ‘스펜도’의 현재형으로 민 15:1-10의 제사를 연상시킨다. 어린양이 제물로 바쳐질 경우 포도주 1/4힌으로된 관제를 드리고 수양이 제물로 바쳐질 경우 포도주 1/3을 관제로 드리고 수송아지의 경우 포도주 1/2힌을 각각 드렸다라고 설명한다. 바울은 지금 자신의 마지막 죽음을 희생 제사 예식과 연결시켜서 자신에게 남아있는 마지막 피 한 방울이라도 하나님의 제단에 쏟아붓고 가겠다라는 결연한 의지를 천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그가 롬 12:1에서 언급한 것과 일치한다. 
로마서 12:1
1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
바울은 분명하게 자신의 믿음의 경주의 결승점, 마지막을 자각하며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떠날 기약이’로 번역된 ‘호 카이로스 테스 아날뤼세오스’에서 ‘카이로스’는 ‘기회, 때'라는 명사이다. 여기서 사용된 카이로스는 어떤 일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시점이란 의미이다. ‘떠날’로 번역된 ‘아날뤼세오스’는 본래 ‘느슨하게 만들다, 풀어놓다’라는 의미의 동사 ‘아날뤼오’에서 파생된 명사로 ‘선원이 배를 바다로 출항시키기 위하여 정박해 두었던 배의 줄을 푸는 것, 여행자가 새로운 행선지로 향하기 위해 자신이 기거하던 텐트를 걷는 것’과 같은 이미지를 연상시킨다. 지금 바울은 자신의 죽음을 새로운 항해의 시작, 여행자가 새로운 행선지로 들어가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빌 1:23)
‘가까웠도다’로 번역된 ‘에페스테켄’은 원형인 ‘에피스테미’의 완료 능동태 직설법 표현으로 ‘곁에 서다, 실현되다, 임박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데 본문에서는 무엇이 존재할 때에 동반되는 사건으로 이해하여 임박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바울은 지금 분명하게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디모데에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4:6 ἐγώ is used here both to emphasize that Paul is speaking about himself and as a contrast to the emphatic σύ of the preceding verse. The contrast provides further reason (γάρ) for what has been previously said—You Timothy must carry on the ministry because I Paul am about to depart. This is the last ἐγώ in the PE,* and each time the word has been used for special emphasis (cf. 1 Tim. 1:11, 15; 2:7; Tit. 1:3, 5; 2 Tim. 1:11).
σπένδομαι** is used of the “pouring out of a drink offering” and here refers figuratively to what is happening to Paul. Paul may well be thinking of OT drink offering language in his use of the verb (cf. Ex. 29:40–41; Lv. 23:13; Nu. 15:5–10; 28:7), since he uses OT ceremonial language elsewhere and in Phil. 2:17 uses this verb with a word for sacrifice (θυσία). Here he alludes to the pouring out of his blood in martyrdom. He uses the present tense in its progressive sense (Robertson) to indicate the certainty of the event, as if it were actually taking place. “What was once a possibility [Phil. 2:17] is now a certainty” (Parry). He does not mean that his death will take place immediately, since he can ask Timothy to come be with him (vv. 9, 21) and bring him some items (v. 13). But he does indicate its certainty and that it is near. He uses, therefore, the temporal adverb ἤδη, “already,” with the present tense to describe a process that is already taking place and that insures that outcome (notice also the passive voice of the verb).
The second half of the verse moves from the figurative to the more literal and joins (καί) to the vivid description of the process the stark statement of the finality of the end result. ὁ καιρός, “the time,” is used with the qualifying phrase τῆς ἀναλύσεώς μου to designate the time in view. ἀναλύσεως** (a NT hapax), literally “loosing,” is used of “departure” and figuratively of departure from life, i.e., “death” (cf. Philo, In Flaccum 187), here Paul’s own (μου) death (cf. ἀναλύω in Phil. 1:23). The time of his departure ἐφέστηκεν. ἐφίστημι (Pl.* 3x: 1 Thes. 5:3; 2 Tim. 4:2), which means generally “stand by,” is used here in the perfect tense with the meaning “is imminent,” i.e., “is near at hand.” The imminence of Paul’s death is a poignant reason for his charge to Timothy.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58–459.
 
7절) 앞서 6절이 바울의 임박한 죽음을 이야기하고 있다면 이제 본절은 자신이 지나온 과거속에 행한 일이 무엇인지를 세가지로 고백하고 있다. 
첫번째 ‘나는 선한 싸움을 싸웠다’라고 말한다. 여기서 ‘내가 싸우고’로 번역된 ‘에고니스마이’는 ‘싸우다, 투쟁하다’라는 동사 ‘아고니조마이’의 현재 완료형이다. 이는 고전 9:5이나 골 1:29에서 나타나듯이 바울이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며 앞서 딤전 6:12에서도 동일하게 언급한 바 있다. 바울은 자신이 부르심을 받은 이후의 삶을 통해서 계속해서 선한 싸움을 싸우는 투쟁의 삶을 살아왔다라고 고백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전쟁, 운동경기와 같다. 
‘선한 싸움’으로 번역된 표현은 ‘톤 칼론 아고나’이다. ‘싸움을’로 번역된 ‘아고나’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혹자는 이것이 마치 군인이 전쟁에서 피를 흘리기까지 싸운 것과 같이 바울 역시 믿음의 영적인 전투에서 그와같이 피흘리며 싸웠음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뿐만 아니라 이어 등장하는 ‘달려갈 길’이라는 어구를 염두에 둔다면 이는 운동경기를 기리킨다고도 볼 수 있다. 바울은 자신이 올림픽 경기에 참가한 선수와 같이 믿음의 선한 경주를 싸웠고 이제 그것이 결승점을 통과하고 있음을 선언하고 있는 것이다. 
 
 
두번째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달려갈 길’로 번역된 ‘드로몬’은 일반적으로 ‘경주 코스’를 의미하는데 마라톤 경기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스가 전투에서 승리한 소식을 마라톤 평야를 달려와 전한 것처럼, 마라톤 선수가 42.195km의 긴거리를 완주한것처럼 믿음의 마라톤 경주를 마쳤다라고 선언하는 것이다. 
‘마치고’로 번역된 ‘테텔레카’는 ‘끝내다, 완수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텔레오’의 현재 완료형으로 바울이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위탁한 그 영광스러운 복음 전파의 경주를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계속하여 수행하였고 이제 그 사역, 경주를 완주하였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세번째 ‘믿음을 지켰으니’, ‘믿음’으로 번역된 ‘피스틴’은 ‘그리스도 예수에 대한 신실성’을 의미한다. 바울은 다메섹 도상에서 그리스도 예수를 인격적으로 만난 이후 한 번도 굴하지 않고 줄곳 그분에 대한 믿음을 지켜왔다. 
‘지켰으니’로 번역된 ‘테테레카’는 ‘지키다, 보존하다’라는 의미의 원형 ‘테레오’의 현재 완료형이다. 이는 경기하는 자가 자신이 참가한 종목에서 경기 규칙을 지미는 것, 군인이 군대와 그 상관에 대한 충성 서약을 지키는 것, 나아가 청지기가 자신의 주인이 위탁한 재산을 지키는 것과 결부되어 사용되는 표현이다. 
 
본절에서 사용된 세개의 동사는 모두 1인칭 단수 현재 완료형으로 바울 자신이 지금까지 이러한 일들을 계속해서 해왔음을 매우 강하게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4:7 With three graphic clauses Paul tells of his service for Christ. These clauses are parallel in construction, and that parallelism makes a forceful impact. Each consists of an accusative articular noun placed first and a perfect tense verb.
The first clause uses two cognate terms, ἀγών and ἀγωνίζομαι, to describe Paul’s life and ministry in terms of a contest or a struggle (see the comments on 1 Tim. 6:12, 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 this clause, for data, discussion, and literature; for the concept cf. especially 1 Cor. 9:25). These words were used in both the athletic and the military realms, and one need not decide which Paul has in view, if indeed it is one and not the other, because he uses the terms for both elsewhere and because the emphasis in his figurative use is not on the particular image but on the basic idea of “struggle.”
Paul adds καλόν (as in 1 Tim. 6:12 and 1 Tim. 1:18 [see comments there on καλόν]) to make clear the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of this struggle: The struggle is “good” (καλόν) because he has engaged in it for God and the gospel. Indeed, one must struggle for the gospel so that it can make its way in this evil world. The perfect tense of the verb, ἠγώνισμαι, signifies that Paul can make this statement about his entire ministry and that at the near conclusion of his life this fact stands established (as can also be said of the perfect tense verbs in the two following clauses).
Paul makes this observation to serve as a model for Timothy and to encourage him to rely on Christ’s enabling grace (cf. 2:1).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1 Timothy (1:18; 6:12) he admonished him in the same or similar words. In the second letter he has urged him to be a good soldier for the Lord (2:3ff.). Now he writes about the same struggle in his own life as something that has been accomplished.
In the second clause Paul uses τὸν δρόμον,** “the race course,” in the same way in which he used it (according to Luke) in speaking to the Ephesian elders (Acts 20:24), i.e., as a virtual synonym for “ministry” (διακονία; cf. δρόμον in Acts 13:25). This course, Paul says, he “has finished” (τετέλεκα; cf. the synonymous verb τελειόω in Acts 20:24, which, with this slight difference, is 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 this clause). Paul is affirming here that by God’s grace he has fulfilled his ministry (cf. 4:5 [διακονία]; for Paul’s use of race imagery see also 1 Cor. 9:24).
In regard to the third clause we must ask whether Paul uses τὴν πίστιν in a subjective or objective sense, i.e., whether he is saying that he has kept on believing or that he has preserved “the faith” intact. Or perhaps the clause is a fixed formula, as it is in other ancient writings, that refers to keeping one’s trust (cf. Dibelius-Conzelmann), here with a Christian perspective. These all seem to be valid possibilities, so the issue must be resolved on the basis of context.
The three clauses in this verse are parallel, and in the other two clauses the nouns are objectifications of experiential phenomena, i.e., figurative expressions for the struggle that the gospel entails and the ministry that Paul has received. Therefore, “the faith” would appear to be used here in that same manner for “that which is believed,” as it is elsewhere in the PE and in Paul (see the comments on 1 Tim. 1:19). Furthermore, since the other two verbs emphasize perseverance it is likely that this nuance of τετήρηκα is intended here as well. Therefore, Paul is saying that he has “persevered in the faith.” At the same time, in a letter warning Timothy about those who corrupt and turn aside from the truth (2:18, 25; 3:8), in which Paul specifically urges Timothy to retain the pattern of sound words (1:13), to guard the treasure (1:14), and to handle accurately the word of truth (2:15), and in which he has just warned about those who will not endure sound doctrine and will turn away from the truth (4:3–4), it is also likely that he would speak, as a model to Timothy, of having “kept” or “preserved” “the faith.” This use of τηρέω is in accord with its usage elsewhere with an impersonal object, where it “denotes the actual maintaining of the essential functions or realities of Christian life” (H. Riesenfeld, TDNT VIII, 143, citing Eph. 4:3; Rev. 16:15). This sense of “keeping” in terms of faithfully proclaiming and preserving the faith does not rule out the subjective sense, that Paul has “kept on believing,” and even necessarily includes it: Paul perseveres in that which he preserves (cf. 1 Cor. 15:1–2).
Some have questioned the propriety of Paul making such statements about himself. Four observations may help to put this question in perspective: First, Paul puts the nouns first in these three clauses because he wants to emphasize the inherent value of the activity he has engaged in. It is “the good contest” or “the course” or “the faith” itself that has merited a lifelong “struggle” or “finishing” or “keeping” on Paul’s part, as it ought to merit such on Timothy’s part. Second, Paul does not speak in grandiose terms of his triumph but only of his attempted perseverance. He says only that he has struggled and fought, not that he has won. Third, Paul does not feel the necessity to repeat here what he has said earlier, which Timothy knows so well, i.e., that any perseverance on his part is brought about by God’s grace within him (cf. 1 Tim. 1:12, 14; 2 Tim. 2:1; 4:17; Col. 1:29). Fourth, Paul is not exalting himself, but, as the context makes clear, is encouraging Timothy through his own experience of God’s enabling grace.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59–461.
 
8절) ‘이제 후로는’으로 번역된 ‘로이폰’은 문자적으로 ‘이제 남은 것은’이란 의미이다. 바울은 6절에서 자신의 현재 상황, 7절에서 자신의 과거 상황을 언급했다면 이제 8절에서 자신의 미래의 상황으로 시야를 돌리고 있다.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그는 최선의 삶을 달려왔다. 이 믿음의 경주를 완수하는 이 시점에서 바울에게 예비된 것은 무엇인가? 바울은 그것을 ‘의의 면류관’이라고 말한다. ‘면류관’으로 번역된 ‘스테파노스’는 일반적으로 올림픽 경기가 끝난 후 우승자에게 주어지는 상인 월계관을 의미한다. 여기서 ‘의의 면류관’으로 번역된 ‘디카오쉬네스 스테파노스’는 이중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 의와 면류관이 동격의 소유격 관계라면 그것은 ‘의 곧 면류관, 의라는 면류관’이란 의미가 된다. 둘째 소유의 소유격 관계라면 ‘의로운 자에게 수여되는 면류관, 의에 대한 보상인 면루관’이라는 의미가 된다. 즉 믿음으로 의롭게 된 자들에게 주어질 의의 면류관이란 결국 하나님께서 친히 마련해두신 것으로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에게 수여되는 영원한 생명 즉 충성된 자에게 주어지는 상급을 의미한다.이처럼 이 면류관을 바울의 인내에 대한 보상으로 이해한다면 이는 바울 서신(고전 3:14; 골 3:24)과 보다 일반적으로 신약(마 5:12, 46, 6:1-6, 16-18, 10:41-42; 히 10:35, 11:26; 요이 8)의 일반적인 주제와 일치한다. 오느 해석을 따르든 그리스도는 바울뿐만 아니라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모든 자 즉 그리스도의 재림을 열망하는 모든 참된 신자들에게 면류관을 주실 것이다.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소망은 인내의 한 본질적인 요소이다. 
‘예비되었으므로’에 해당하는 ‘아포케이타이’는 미래형이 아니라 현재형으로 쓰였다. 의의 면류관이 수여되는 시점은 미래이지만 그 면류관은 현재에 이미 예비되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바울에게 의의 면류관을 수여하시는 주체는 누구인가? 그분은 바로 의로우신 재판장이시다. ‘디카이오스 크리테스’는 문자적으로 ‘정직한 재판장’인데 문맥상 ‘일체의 오류를 허용하지 않고 모든 인류 곧 죽은 자와 산자를 심판하시는 분(1절), 바로 그리스도 예수’이시다. 당시 네로 황제가 불의한 재판관이라면 재림을 고대하는 초대 그리스도인들의 주인되신 그리스도 예수는 정반대로 의로우신 재판장이시다. 
 
 
 
4:8 This subsection (vv. 6–8) began with a statement about Paul’s present status (v. 6), which led to reflection on his past life of ministry (v. 7). In view of all this Paul now speaks of what is in store for him and for others who share his longing for the Lord’s return.
λοιπόν is used adverbially and can be construed either inferentially, in the sense of “therefore,” or simply as an indicator of time, in the sense of “now” or “henceforth” (see BAGD s.v. 3aα, β). Since inferential use is doubtful in the NT (perhaps in 1 Cor. 7:29) and since the reason that Paul receives the crown is given later in the verse, it is best not to insist on this doubtful understanding.
Paul resumes the language of the games by speaking of ὁ στέφανος (NT 18x), “the crown” or “the garland” (elsewhere in Pl.*: literal in 1 Cor. 9:25; figurative, as here, in Phil. 4:1; 1 Thes. 2:19; cf. the related verb in 2 Tim. 2:5), which is qualified by genitive τῆς δικαιοσύνης. In the other NT occurrences of ὁ στέφανος with genitive nouns (1 Thes. 2:19: “of exultation”; Jas. 1:12: “of life”; 1 Pet. 5:4: “of glory”; Rev. 2:10: “of life”; 12:1: “of twelve stars”[?]) the genitive is appositional and epexegetic. Furthermore, in 1 Cor. 9:25 the adjectival qualification “imperishable” is used in the same way: To receive an imperishable wreath is to receive imperishability. Therefore, it is most likely that here, too, the genitive is appositional, so that the phras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rown, namely, righteousness.” Rather than being “the crown which will bring final justification” (W. Grundmann, TDNT VII, 629) it is much more likely that it refers to the permanent and perfect “state of righteousness” (G. Schrenk, TDNT II, 210) into which the Christian is brought by God (cf. Phil. 3:12–14, where Paul uses βραβεῖον, the “prize” in a contest, which is used interchangeably with στέφανος in 1 Cor. 9:24–25; cf. eschatological use of δικαιοσύνη also in Gal. 5:5). This crown, says Paul, is already “laid up” or “stored up” (ἀπόκειται,** literal in Lk. 19:20; figurative, as here, in Col. 1:5, which has an analogous expression; Heb. 9:27) for “me” (μου).
ὁ κύριος, who will give the crown, is Christ, since Paul identifies “the Lord” with “the righteous judge” (cf. v. 1) and speaks of longing for “his appearing.” ὁ κριτής is used here of the supreme “judge” (cf. its use of Jesus in Acts 10:42; of God in Heb. 12:23; Jas. 4:12; 5:9). δίκαιος indicates that this judge is inherently and absolutely “righteous” and “just,” and thus is qualified to judge justly and give “the crown of righteousness” (cf. Jn. 17:25; 1 Pet. 2:23; Rev. 16:5, 7; 19:2; cf. further G. Schrenk, TDNT II, 188). Paul declares in Rom. 3:25–26 that God’s characteristic of being δίκαιος was demonstrated in Jesus’ death, on the basis of which God justly justifies sinners; like justification, “the crown of righteousness” is a gift from “the righteous judge” presented on the basis of Christ’s death and righteous life (cf. 1:10; Phil. 3:8–14). The Lord “will give” (ἀποδώσει, used elsewhere by Paul of God and the judgment in Rom. 2:6, utilizing language found in Pr. 24:12; Ps. 62:12) the crown to Paul (μοι) “on that day.” The demonstrative pronoun ἐκείνη is used with ἡμέρα to designate “that” well-known and future judgment “day” of God (see the comments on 1:12).
Since Paul has spoken of himself in vv. 6–8a, he forcefully asserts at this point that this crown is given not only to him (οὐ μόνον δὲ ἐμοί) but also to “all” (πᾶσι) God’s people. The ascensive force of ἀλλὰ καί gathers up those specified after it and includes them with the one specified by οὐ μόνον. πᾶσι has such textual support that inclusion of it is more likely than omission of it (see UBSGNT; TCGNT). Those who will receive the crown are defined in terms of their “love” for Christ’s return (τὴν ἐπιφάνειαν αὐτοῦ; see 1 Tim. 6:14). ἠγαπηκόσι, used with reference to a future event (τὴν ἐπιφάνειαν) may be rendered “have longed for” (so NIV; cf. BAGD s.v. 2) as well as “have loved.” The perfect tense signifies that this “love” has constantly characterized their lives.
With this participial clause Paul mentions that which characterizes all true Christians and in doing so echoes a motif that goes back to Jesus and his appeal to be alert and expectant with regard to his return (e.g., Mt. 25:13). Just as alertness for Christ’s return is to characterize Christ’s people (in Paul’s letters, e.g., 1 Thes. 1:10; 5:6; 1 Cor. 1:7; Phil. 3:20; 1 Tim. 1:1; Tit. 2:13 [cf. Acts 24:15]), so also “love” for this return is to mark them. Paul leaves this note that all Christians long for Christ’s return and will therefore all receive a crown of righteousness, which is particularly joyous and encouraging in the face of his departure, for Timothy to embrace and pass on. He thus ends this larger section just as he began it (v. 1): by referring to Christ and his return. Paul wants both Timothy, who continues to live, and himself, who dies, to live and die in the light of Christ’s return and kingdom.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 B. M.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1–46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