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oThis is why I left you in Crete, so that you might put what remained into order, and pappoint elders in every town as I directed you— qif anyone is above reproach, the husband of one wife,4 and his children are believers5 and not open to the charge of rdebauchery or insubordination.
o [1 Tim. 1:3]
p [Acts 14:23; 2 Tim. 2:2]
q For ver. 6–8, see 1 Tim. 3:2–4
4 Or a man of one woman
5 Or are faithful
r See Eph. 5:1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5–6.
 
5 내가 너를 그레데에 남겨 둔 이유는 남은 일을 정리하고 내가 명한 대로 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 함이니
6 책망할 것이 없고 한 아내의 남편이며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는 일이 없는 믿는 자녀를 둔 자라야 할지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1:5–6.
 
본론을 시작하면서 먼저 바울은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둔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바울이 로마의 1차 투옥 직후에 석방되어 그레데에 들러 교회를 개척한 후에 이 교회를 디도에게 위임한 후에 밀레도, 드로아, 마게도냐, 고린도, 니고볼리, 로마 등의 순서로 전도 여행에 나섰을 것이다. 아래 지도에서 보는 것처럼 그레데는 지중해 그리스 남쪽의 섬이다(행 2:11; 딛 1:5; 딛 1:12). 그데데는 시실리, 사르디니아, 구브로 다음가는 지중해에서 네번째로 큰 섬이며 유럽과 소아시아, 그리고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다양한 문화를 지니고 있었다. 구약 성경에는 이 섬이 ‘갑돌’로 기록되어 있으며(신 2:23; 렘 47:7; 암 9:7) 오늘날에는 칸디아로 불리고 있다. 이곳은 일찍부터 문명이 발달하였던 지역으로 로마 황제 가이사 아구스도 통치 당시에 행정구역상 구레네와 합쳐져 한 지방이 되었다. 이곳 출신 디아스포라 유대인 중에 오순절 성령 강림시 함께 한 사람도 있었다.(행 2:11)
 
 
 
‘내가~ 남겨둔’으로 번역된 ‘아펠리폰’의 원형 ‘아폴레이포’는 ‘뒤에 남기도, 어느 장소에 어떤 사람을 남겨두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서 바울은 디도와 함께 그레데를 방문한 후 어떤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그곳에 디도를 남기고 떠났던 것으로 보인다. 바울은 디모데와 디모데 및 여러 일행들과 함께 선교여행을 떠나서 디모데는 에베소에(딤전 1:3) 디도는 그레데에 남겨두고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것이다. 
 
‘남은 일을 정리하고’, 개역한글은 이를 ‘부족한 일을 바로잡고’라고 번역하였다. 이를 통해서 디도는 처음부터 그레데 교회를 섬기기 위해서 세워졌다라기 보다는 바울을 대신해서 어떤 일정한 기간동안 그 교회를 돌보도록 위임받은 사역자였음을 알 수 있다. 바울은 두가지 목적으로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두었다. 
첫번째는 ‘남은 일을 정리하기 위해서’이다. 본문에서 ‘남은’으로 번역된 ‘레이폰파’의 원형 ‘레이포’는 ‘열등하다, 결핍하다, 부족하다’라는 의미를 갖는데 여기서는 현재 분사형으로 불완전한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바울이 말한 남은 일(들)은 복수형으로 여러 부족한 것들을 의미한다. 당시 그레데 교회가 온전한 교회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 보완되어야 할 것들로 거짓 사상에 맞선 진리에 대한 불충분한 인식과 교육, 또한 교회를 건강하게 세워가기 위해서 조직적이고 행정적인 부분들을 채워가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을 감당하는데 있어서 바울은 신뢰하던 디도를 적임자로 그레데에 남겨둔 것이다. 
 
‘정리하고’로 번역된 ‘에피디오르도세’의 원형 ‘에피디오르도오’ 동사는 신약에서 이곳에서만 등장한다. 이는 ‘~위에, ~에 더하여’란 의미의 전치사 ‘에피’와 ‘통하여, 철저히’라는 의미의 전치사 ‘디아’ 그리고 ‘곧은, 똑바로 선’이라는 의미의 형용사 ‘오르도스’의 합성어로 ‘~에 부가하여 철저하게 바로 잡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NIV는 이를 ‘put in order’, ESV는 ‘put into order’, RSV는 ‘amend”로 번역하였다. ‘정리하다 혹은 흠이 있는 일을 고쳐 바로잡다’, 공동 번역은 ‘내가 거기에서 다하지 못한 일을 그대가 완성하고’로 번역한다. 바울은 그곳에 더 머물러 그레데 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교회를 더 건강하게 세우기를 원했지만 자신에게 남아있는 시간이 얼마 없는 줄 알기에 다른 사역지로 떠나면서 자신이 해결하고자 했던 여러 사안들을 디도에게 맡기고 떠난 것이다. 
 
두번째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둔 이유는 ‘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함’이었다. 본문에 ‘각 성에’라는 표현으로 보아 그레데 섬 안에는 이미 몇몇 지역에 교회들이 세워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디도는 이런 여러 교회들에 지도자 역할을 할만한 장로들을 세우는 일을 맡은 것이다. 
‘장로들을’로 번역된 ‘프레스뷔테루스’는 ‘프레스뷔테로스’의 복수형 목적격이다. ‘프레스뷔테로스’는 '나이 많은’이란 의미의 형용사 ‘프레스뷔스’의 비교급으로 원래 ‘연장자, 원로, 노인, 선진’을 뜻하는 단어였다. 그러나 그 의미가 확대되어 유대인의 산헤드린 공의회 의원(마 16:21; 막 8:21; 눅 9:22; 행 4:5) 혹은 개개의 도시들에서 공적 업무를 처리하고 재판을 집행하는 자(눅 7:3), 교회나 집회를 관장하는 자(행 11:30; 딤전 5:17; 요이 1; 요삼 1; 벧전 5:1, 5)등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쓰였다. 여기서 말하는 장로는 오늘날 ‘목사’의 개념에 더 가깝다. 당시에 목사를 지칭하는 ‘포이멘’이라는 단어가 따로 있었지만(엡 4:11) ‘프레스뷔테로스’ 혹은 7절에 언급된 ‘감독, 에피스코포스’란 단어가 더 많이 쓰였다. 장로가 구약 시대 한 성읍의 지도자를 지칭하는 말로 유대적인 배경에서 나온 단어라면 감독이란 호칭은 헬라 도시의 행정 책임자를 지칭하는 말로 헬라적인 배경에서 나온 단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장로가 연장자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단어라면 감독은 목회 사역의 측면에 중점을 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세우게 하려함이니’라는 표현은 ‘카타스테세스’로 원형 ‘카시스테미’의 부정과거 능동태 가정법 표현이다. 이는 ‘어떤 사람에게 의무, 책임, 책무를 부과하다’라는 의미이다. 
 
 
1:5 The prepositional phrase τούτου χάριν** (as a preposition χάριν almost always follows its noun) indicates the reason or goal for Paul’s leaving Titus on Crete, which is developed in the following ἵνα clause. ἀπέλιπον means here “I left behind”; the nuance of “behind” is seen clearly in the other occurrences of ἀπολείπω in the PE* (2 Tim. 4:13, 20; for the textual variants here, neither of which alters the meaning, see NA26). Κρήτη** (also mentioned in Acts 27:7, 12f., 21), the island of Crete, lies south of the Aegean Sea in the Mediterranean. As early as Homer (Iliad 2.649) Crete was known for its many cities, which may account for κατὰ πόλιν later in this verse. That Paul left Titus behind implies that he was with Titus on Crete. The occasion for this that best fits into Paul’s life would be during a journey after Paul’s release from his first Roman imprisonment (see the Introduction). From what follows, one can surmise that the two were successful in evangelizing various cities on the island but did not have time to return and strengthen the believers by setting the churches in order and seeing that elders were elected (for Paul’s pattern see Acts 14:21–23).
Therefore, Paul left Titus to “set in order what remains and appoint elders in every city, as I directed you” (v. 5b). Middle ἐπιδιορθώσῃ** is to be preferred over the active (see NA26 for the evidence for each reading; ἐπιδιορθόω is a biblical hapax here). λείπω occurs 6x in the NT but nowhere else with the sense that the participle has here. Literally ἵνα τὰ λείποντα ἐπιδιορθώσῃ means “that you might set right the things lacking.” TEV has perhaps best captured the phrase in an English idiom with “put in order the things that still needed doing.” That this is the proper sense is verified by the next clause, which indicates one thing that needed to be done.
καταστήσῃς (aorist subjunctive of καθίστημι) means here “appoint” or even possibly “ordain” (BAGD), as its only other occurrence in this kind of setting seems to indicate: In Acts 6:3 the apostles speak of the action they are about to take, that of putting the Seven (chosen by the congregation) in charge of the diaconal task by laying hands on them (v. 6). Similarly, in Acts 14 Paul and Barnabas do what Paul is asking Titus to do here, and the verb used is χειροτονέω, which could be rendered either “lay hands on” or “ordain.” It would appear that both Paul, addressing Titus, and Luke in Acts 14 are compressing what takes place by speaking only of the last act, i.e., appointment or laying on of hands, and do not feel it necessary to relate the steps that lead up to that act (which are related in Acts 6). Moreover, Paul has not written the list of qualifications that follows in vv. 6ff. for Titus’s benefit but more probably as a guide for the Christians on Crete, just as a brief list of qualifications was given to the Christians in Jerusalem to follow in their selection of the Seven (Acts 6:3). This similarity would suggest that the Acts 6 (and 14) pattern was operative here, and that would be a further indication for understanding καταστήσῃς as referring to the final act in the process.
κατὰ πόλιν is used in the distributive sense: “city by city” or “in every city” (BAGD s.v. κατά II.1d; cf. Acts 15:21; 20:23; also κατʼ ἐκκλησίαν, Acts 14:23). This means that plural πρεσβυτέρους relates to each city that has a church: Several elders/overseers are appointed in each church. This corresponds to what was done in the cities of Philippi (Phil. 1:1) and Ephesus (Acts 20:17, 28; cf. 14:23; 1 Thes. 5:12, 13; 1 Tim. 5:17). πρεσβύτεροι here designates the officials who lead the Christian congregation (see the comments on 1 Tim. 5:17 and the excursus on Bishops/Presbyters and Deacons following the comments on 1 Tim. 3:8–13). Jeremias’s suggestion that the term be understood here and in 1 Tim. 5:17 as “older men” and the clause here rendered “install older men” is rightly regarded by Dibelius-Conzelmann (and others) as “not possible linguistically.”
Titus is to do this in accord with Paul’s command. The clause with ὡς indicates the manner in which the activity should proceed (BAGD s.v. I.1; cf. Col. 4:4; Eph. 6:20) and refers to what Paul has already said to Titus (aorist tense). He repeats it here in part by indicating the qualifications necessary for an individual to become an elder. With emphatic ἐγώ (as in v. 3) and the verb διεταξάμην (“I ordered, commanded”; cf. 1 Cor. 7:17; 16:1) Paul is providing for Titus (σοι) full apostolic authority to carry out this action carefully in compliance with the standards he giv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7–289.
 
 
6절) 본절의 내용은 앞선 딤전 3:1-13절의 내용과 상당히 유사하다. 에베소 교회와 그레데 교회의 상황에 따라서 같은 내용이지만 바울은 약간 다른 뉘앙스로 적절하게 권면한다. 그레데 교회에 주는 교훈이 더 강조적이라는 점에서 에베소 교회보다 아직 성숙하지 못한 공동체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추축할 수 있다. 
 
 ‘책망할 것이 없고’, ‘아넹클레토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고소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엥칼레오’의 합성어로 ‘비난할 수 없는, 아무 죄가 없는, 문책받을 것이 없는’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그리스도인이라념 누구나 갖추어야할 윤리적인 자질이며 그리스도와의 교제 가운데 있는자라면 당연히 드러나야하는 성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장로가 가지는 공적 위치를 감안할 때 개인적으로 결백하고 흠잡을 데가 없는 고매한 성품을 지녀야할 뿐만 아니라 공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비난받거나 나무랄  데가 없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한 아내의 남편이며’, 바울은 장로의 자격중 가정에서의 남편됨을 강조한다. 바울이 장로에게 이런 조건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아 당시 교회안에서도 일부다처제를 따르거나 문란할 결혼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딤전 3:2) 하지만 본 구절을 근거로 목사가 반드시 기혼남이어야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 직분자로서 가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성적으로 거룩함을 유지해야한다는 것이다.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는 일이 없는 믿는 자녀를 둔 자’, 본문은 자녀교육에 대한 측면을 그 자격으로 말하고 있다. 자녀는 부로를 반영하는 거울이기에 그 자녀의 모습을 통해서 부모의 성격과 인품을 알 수 있다. 
‘방탕하다 하는’으로 번역된 명사 ‘아소티아스’의 원형 ‘아소티아’는 부정 접두어 ‘아’와 성경에서 ‘구원하다, 건강하다, 지키다’라는 의미의 동사 ‘소조’의 합성어로 ‘교정할 수 없다’라는 의미인데 성경에서는 방탕하여 하나님의 뜻을 저비리는 사람에게 사용되었다.(엡 5:18; 벧전 4:4) 즉 이 표현은 도덕적인 문란이나 방탕의 의미와 더불어 종교적으로 구원에서 멀어져 하나님의 뜻을 저버리는 사람을 나타낸다. 
 
 
‘불순종하는 일이’로 번역된 ‘아뉘포탁타’의 원형 ‘아뉘포탁토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복종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휘포탓소’의 합성어로 수동적으로는 ‘복종하게 되지 않은’, 능동적으로는 ‘통제할 수 없는, 다루기 어려운, 불순종한, 고집센’이라는 의리를 가진다. 여기서는 고집이 세서 부모 말씀에 불순종한다는 의미와 더불어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믿는 자녀를 둔 자’, 이 말은 ‘그의 자녀는 신실하다’ㄹ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 말을 ‘믿는’이라고 번역하는 주된 이유는 이 편지에서 이 단어가 디모데와 디도에게는 언제나 구원얻는 믿음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이 단어를 ‘신실하다’라고 번역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어떤 아버지도 자기 자녀의 회심을 보장할 수는 없지만 보통 자녀들이 ‘신실’하게 행동하게 할 수는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또한 딤전 3장의 유사한 구절도 자녀는 적절히 행동해야 한다고만 말하지 자녀의 회심이 그들의 아버지가 감독이 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딤전 3:4).
 
1:6 Above reproach (repeated in v. 7) summarizes the main point, which the rest of the list (vv. 6–9) fills out: there should be no legitimate accusation that could be brought against the elder that would bring disrepute on the gospel or the church; his life should be seen as worthy of imitation. husband of one wife. See note on 1 Tim. 3:2–3. His children are believers can also be rendered “his children are faithful” (Gk. pistos). The primary argument for rendering it as “believers” is that in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is word almost always refers to saving faith. Those who think it should be rendered “faithful” would argue that no father can guarantee the conversion of his own children, but he can ordinarily ensure that they act in a “faithful” way. Also, the parallel passage in 1 Timothy 3 says only that the children must be well-behaved, not that their conversion is a requirement for their father to be an overseer. The concern in the passage is that the children behave appropriately and are not open to the charge of debauchery or insubordination. The word “children” (plural of Gk. teknon) would apply only to children living at home and still under their father’s authority.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48.
 
자녀(테크논)이라는 단어는 가정에서 살며 아직 아버지의 권위 아래 있는 자녀에게 적용되는 표현이다. 
이처럼 교회의 영적인 지도자는 남을 다스리기 전에 자신 뿐만 아니라 그 가정을 바르게 다스릴줄 알아야 한다. 장로 자신이 책망받고 불륜을 저지르거나 그의 자녀들이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다면 누가 그 장로의 말을 듣겠는가? 그러기 때문에 무엇보다 장로는 좋은 교훈과 본을 보여야한다. 장로는 믿는 자들의 고동체인 교회를 잘 다스려야하지만 먼저 그 전에 자신이 속한 가장 우선적인 작은 공동체인 가정을 잘 다스릴줄 알아야 한다. ‘수신제가 치국평천하
 
1:6 Paul begins (as in 1 Tim. 3:2) by stating the overall requirement that a potential elder be “above reproach” (here ἀνέγκλητος, also used of church leaders in 1 Tim. 3:10 [deacons; see the comments there]; the synonym ἀνεπίλημπτος is used of the overseer/elder in 1 Tim. 3:2). As such, a man would not be open to attack or criticism in terms of Christian life in general or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that Paul goes on to name. This does not mean that an elder must be perfect, but it may be fairly said that each named characteristic marks his life. εἴ τίς (see 1 Tim. 3:1) ἐστιν, “If anyone is,” causes the reader to expect a conclusion such as “Elect such a person as an elder.” The conclusion is not stated, probably because Paul wants to list other qualifications, and then having done so, he considers it unnecessary to make explicit the obvious conclusion. The clause implies, therefore, that these requirements are what is necessary and that “anyone” meeting them is eligible.
μιᾶς γυναικὸς ἀνήρ, “the husband of one wife,” indicates that marital and sexual fidelity are required of the potential elder. This assumes that the church officer is married (the usual situation in life) and thus prescribes fidelity in these terms. By inference it demands the same sexual purity of an unmarried elder, who is no more ruled out by this requirement than is the man with less than two children by the next requirement (see comments on 1 Tim. 3:2).
With “having children who believe, not accused of dissipation or rebellion,” it is not demanded that the elder have children but only that, if he has them, they should be πιστά τέκνα (on τέκνα see 1 Tim. 3:4, 12). ἔχων is used here “to denote the possession of persons to whom one has close relationships” (BAGD s.v. I.2bα). The implication is that Paul is talking only about children who are still rightfully under their father’s authority in his home (cf. ἐν ὑποταγῇ and the repeated τοῦ ἰδίου οἴκου of 1 Tim. 3:4–5).
Should πιστά in this clause be understood as “faithful” or as “believing”? The range of usage shows that either meaning is a possibility: The word can clearly mean “faithful,” as it does several times in the PE, including once with a noun, as here (2 Tim. 2:2: πιστοὶ ἀνθρώποι). It can also mean “believing” and does on several occasions in the PE, again including once with a noun (1 Tim. 6:2: πιστοὶ … δεσπόται). The context here and the parallel in 1 Tim. 3:4–5, however, provide some important indicators: The qualifying statement here, “not accused of dissipation or rebellion,” emphasizes behavior and seems to explain what it means for τέκνα to be πιστά. Likewise 1 Tim. 3:4 speaks of the overseer “keeping his children under control with all dignity.” In both cases the overseer is evaluated on the basis of his control of his children and their conduct. It is likely, therefore, that τέκνα ἔχων πιστά here is virtually equivalent to τέκνα ἔχοντα ἐν ὑποταγῇ in 1 Tim. 3:4. If that is so, then πιστά here means “faithful” in the sense of “submissive” or “obedient,” as a servant or steward is regarded as πιστός when he carries out the requests of his master (Mt. 24:45f.; 25:21, 23; Lk. 12:42f.; 1 Cor. 4:2; cf. Thayer, Lexicon; Cremer, Lexicon; LSJM s.v.; R. Bultmann, TDNT VI, 175, all but Thayer giving “obedient” as one of the meanings for the word and referring to Xenophon, Hellenica 2.4.30; MM mentions a deed of sale in which a slave is described as πιστοῦ καὶ ἀδράστου, “faithful and not given to running away”; Horsley, New Documents II [1982] 53 gives an epitaph for a slave that says “I remain faithful [πιστός] as before” [cf. ibid. 3 (1983) 39]; Bultmann cites Hesychius: πιστός= εὐπειθής, ready to obey, obedient). This proposed understanding of the passage goes contrary to a consistent pattern in recent English translations (RSV, NEB, TEV: “believers”; similarly NASB, NIV), but the considerations cited above seem compelling.
The concluding part of the verse, μὴ ἐν κατηγορίᾳ ἀσωτίας ἢ ἀνυπότακτα, literally “not in an accusation of dissipation or rebellious,” negatively qualifies πιστά and thus indicates what may not characterize πιστά children. The negative particle μή is used here, rather than οὐκ, probably because the participle ὄντα is understood with this construction (H. C. G. Moule, 155). μὴ ἐν κατηγορίᾳ** (the noun occurs in Jn. 18:29; 1 Tim. 5:19) can best be expressed in English by “not accused of.” ἀσωτία** (here genitive of the content of the accusation) means “debauchery” or “dissipation” and is used in the NT of drunkenness (Eph. 5:18) and of associated vices of the non-Christian world (1 Pet. 4:4; cf. ἀσώτως in Lk. 15:13). Therefore the potential elder’s children must not be guilty of “sensuality, lusts, drunkenness, carousals, drinking parties” (1 Pet. 4:3).
ἀνυπότακτα stands in tandem with the preceding prepositional phrase and its genitive modifier. Here it means “undisciplined, disobedient, rebellious,” as it does in 1 Tim. 1:9, where it is used of those who are unwilling to be under God’s will and law, and in Tit. 1:10 of the false teachers who “turn away from the truth” (v. 14). What must not characterize the children of an elder is immorality and undisciplined rebelliousness, if the children are still at home and under his authority. Paul is not asking any more of the elder and his children than is expected of every Christian father and his children. However, only if a man exercises such proper control over his children may he be an elder.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PE Pastoral Epistles
LSJM H. G. Liddell and R.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rev. and augmented by H. S. Jones and R. McKenzie, with a Supplement by E. A. Barber. Oxford, 1968.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MM J. H. Moulton and G. Milligan, The Vocabulary of the Greek Testament. London, 1930.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9–290.
 
 
 
728x90
and hat the proper time manifested in his word3 ithrough the preaching jwith which I have been entrusted kby the command of God our Savior;
To Titus, lmy true child in ma common faith:
nGrace and peace from God the Father and Christ Jesus our Savior.
h See 1 Tim. 2:6
3 Or manifested his word
i [Rom. 10:14]
j See 1 Tim. 1:11
k 1 Tim. 1:1
l See 3 John 4
m Jude 3; See 2 Pet. 1:1
n See 1 Tim. 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3–4.
 
3 자기 때에 자기의 말씀을 전도로 나타내셨으니 이 전도는 우리 구주 하나님이 명하신 대로 내게 맡기신 것이라
4 같은 믿음을 따라 나의 참 아들 된 디도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1:3–4.
 
3절) ‘때에’로 번역된 ‘카이로스’는 앞서 2절에서 사용된 ‘크로노스’, 즉 연대기적인 시간이 아닌 ‘결정적 시점, 적시, 기회’를 의미한다. 이는 어떤 특정한 일이 발생하는 결정적 시기로 하나님의 경륜가운데 존재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자기 때’는 구속사의 흐름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사건이었던 성육신,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께서 이 땅 가운데 오신 때, 사건을 의미한다. 갈 4:4에 ‘때가 차매’라는 표현이 있는데 그곳에서의 때가 카이로스가 아닌 크로노스로 표현되었지만 예수님의 카이로스는 하나님이 정해 놓으신 연대기적 크로노스가 다 찬 때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는 이 땅에서 공생애를 시작하시면서 하나님 나라의 복음, 구원의 진리를 선포하셨다. 즉 하나님이 때에 오셔서 하나님의 구원의 진리의 말씀을 선포하신 것이다. 이처럼 예수님이 구원에 관한 진리의 말씀을 전하는 방식이 바로 본문에서 말하는 ‘전도’, 즉 ‘케리그마’이다. 이 표현은 ‘이미 일어났거나 다가올 사건에 대한 정보를 담은 사자로서의 공적 선포, 특히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구원과 관련된 메시지’를 의미한다(마 11:1; 막 1:38-39; 3:14). 즉 전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공적으로 선포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강단에서 전해지는 말씀도 케리그마에 해당한다. 
‘나타내셨으니’로 번역된 ‘에파네로센’은 ‘파네로오’의 부정 과거형이다. ‘파네로오’는 ‘알게하다, 나타내다, 현현하다, 즉 감추여져 있거나 알려지지 않은 것을 명백하게 눈에 보이게 하다’라는 의미이다.(막 4:22; 요 2:11; 고후 2:14; 엡 5:13; 계 2:18) 주로 하나님의 은혜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나타난 것을 말할 때 쓰였다.(딤후 1:10)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현현이며 그가 전한 말씀은 하나님의 뜻이 나타난 것인데 이것이 부정 과거 동사로 벌써 이러한 나타남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이 나타남의 방법이 바로 전도, 케리그마이다. 
 
 
 
일반적으로 바울은 그의 서신 도입부에 ‘주’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여기서는 ‘우리 구주’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유다서와 바울의 목회 서신에서만 등장하는 표현으로 성부 하나님(딛 2:10; 3:4; 딤전 1:1; 2:3)을 가리키기도 하고 성자 하나님(딛 1:4; 3:6; 딤후 1:10; 유 1:25)을 가리킨다. 본 3절에서는 성부 하나님을 가리킨다. 
‘명하신 대로’로 번역된 ‘카트 에피타겐’으로 이것의 원형은 ‘에피타게’인데 ‘명령, 지령, 계명, 권위’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즉 이 표현이 명령이라는 의미로 사용될 때는 명령을 내린 자의 권위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바울 사도에게 맡기신 명령이 신적 권위가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맡기신 것이라’로 번역된 ‘에피스튜덴’은 ‘믿다, 신뢰하다, 확신하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 ‘피스튜오’의 수동태 부정 과거형이다. 따라서 ‘에피스튜덴 에고’는 ‘나는 신뢰를 받았다, 위탁을 받았다’라는 뜻인데 이를 능동태로 바꾸면 바울에게 은혜를 베푸시고 구원하셨던 하나님이 바울을 신뢰하사 그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을 맡기셨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동사 ‘피스튜오’는 ‘믿다, 신뢰하다’라는 의미와 위탁받은 상태 즉 ‘자신이 관리하도록 맡겨진 어떤 것의 수령인이 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πιστεύω (pisteuō), 동사. 믿다, 맡기다. 미래 능동태. πιστεύσω; 부정과거 능동태. Ἐπίστευσα; 완료 능동태. πεπίστευκα; 부정과거 수동태. ἐπιστεύθην; 완료 중간태. πεπίστευμαι. 히브리어 등가: אמן 1 (36), שׁמע (1).
동사 용법
1. 예수를 신뢰하다 — 복음서에서 말하는 것처럼 예수를 신뢰하는 것
요 3:16 πᾶς ὁ πιστεύων εἰς αὐτὸν
요 5:44 πῶς δύνασθε ὑμεῖς πιστεῦσαι, δόξαν παρʼ ἀλλήλων
살후 1:10 καὶ θαυμασθῆναι ἐν πᾶσιν τοῖς πιστεύσασιν,
벧전 1:8 πιστεύοντες δὲ
벧전 2:7 τοῖς πιστεύουσιν·
2. 믿다 (받아들이다) — 사실로 받다; 진실로 받아 들이다. 의미상 반의어: 믿지 않다. 관련 주제: 자신감; 대담함; 믿음; 신뢰; 기독교; 개종자; 믿음.
막 16:13 οὐδὲ ἐκείνοις ἐπίστευσαν.
요 5:47 εἰ δὲ τοῖς ἐκείνου γράμμασιν οὐ πιστεύετε,
약 2:19 σὺ πιστεύεις ὅτι εἷς ἐστιν ὁ θεός;
요일 5:1 Πᾶς ὁ πιστεύων ὅτι Ἰησοῦς ἐστιν ὁ
요일 5:10 ὅτι οὐ πεπίστευκεν εἰς τὴν μαρτυρίαν ἣν
3. 맡기다 — 누군가의 돌봄이나 보호에 들어가게 하다. 관련 주제: 보증금; 위임하다.
눅 16:11 τίς ὑμῖν πιστεύσει;
요 2:24 αὐτὸς δὲ Ἰησοῦς οὐκ ἐπίστευεν αὑτὸν αὐτοῖς
4. 믿다 (신뢰) — 믿음을 갖다; 어떤 것을 신뢰하다 의미상 반의어: 불신하다. 관련 주제: 자신감; 대담함; 믿음; 신뢰; 기독교; 개종자; 믿음.
막 16:16 ὁ πιστεύσας καὶ βαπτισθεὶς
요 3:12 καὶ οὐ πιστεύετε, πῶς
약 2:23 Ἐπίστευσεν δὲ Ἀβραὰμ τῷ θεῷ,
요일 3:23 ἵνα πιστεύσωμεν τῷ ὀνόματι τοῦ υἱοῦ αὐτοῦ
요일 5:10 ὁ πιστεύων εἰς τὸν υἱὸν τοῦ θεοῦ
5. 위탁 받은 (상태) — 자신이 관리하도록 맡겨진 어떤 것의 수령인이 되다. 관련 주제: 보증금; 위임하다.
롬 3:2 ὅτι ἐπιστεύθησαν τὰ λόγια τοῦ θεοῦ.
고전 9:17 εἰ δὲ ἄκων, οἰκονομίαν πεπίστευμαι.
갈 2:7 πεπίστευμαι τὸ εὐαγγέλιον τῆς ἀκροβυστίας καθὼς Πέτρος
살전 2:4 καθὼς δεδοκιμάσμεθα ὑπὸ τοῦ θεοῦ πιστευθῆναι τὸ
딛 1:3 ὃ ἐπιστεύθην ἐγὼ κατʼ ἐπιταγὴν τοῦ σωτῆρος
6. 믿다 (수용하다) — 사실로 수용하거나 그렇게 되다; 사실이라고 받다. 관련 주제: 자신감; 대담함; 믿음; 신뢰; 기독교; 개종자; 믿음.
살후 1:10 ὅτι ἐπιστεύθη τὸ μαρτύριον ἡμῶν ἐφʼ ὑμᾶς,
딤전 3:16 ἐπιστεύθη ἐν κόσμῳ,
동사. 동사
미래 능동태. 미래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완료 능동태. 완료 능동태
부정과거 수동태. 부정과거 수동태
완료 중간태. 완료 중간태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1:3 Paul now moves from eternity past to the manifestation in time and history of God’s promise. φανερόω (PE* 3x: also in 1 Tim. 3:16; 2 Tim. 1:10; here ἐφανέρωσεν) means “reveal, make known, show.” Here what is revealed is τὸν λόγον αὐτοῦ, God’s message. There is a slight but understandable shift from the “eternal life” promised by God, referred to in the preceding verse, to “his word” here. According to 2 Tim. 1:10 (eternal) life is brought to light through Christ’s work. But since eternal life is unseen and still in the future for believers, God makes known the truth about eternal life in what is called here τὸν λόγον αὐτοῦ, which in the analogous passage 2 Tim. 1:10 is said to take place διὰ τοῦ εὐαγγελίου. It would appear, therefore, that “his word” her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gospel message (cf. the same correlation in Eph. 1:13; Phil. 1:12, 14; Col. 1:5).
This manifestation was made καιροῖς ἰδίοις, which may be rendered “at the proper time” (see comments on 1 Tim. 2:6; 6:15). God has determined the time of the manifestation (cf. Gal. 4:4; Rom. 5:6; see Lock).
Paul adds to τὸν λόγον αὐτοῦ the words ἐν κηρύγματι, “in proclamation” or “in preaching,” thus, as elsewhere, carefully linking the essence of the gospel message to the apostolic communication of that message (cf. the closely analogous passages 2 Tim. 1:10–11; Rom. 16:25ff.). He says thereby not only that God has manifested the content of the gospel message but also that he has done so in and through the apostolic proclamation (ἐν with the dative to express manner or means).
Paul was “entrusted” with this task of “proclamation” (cf. 2 Tim. 1:10–11). Here he adds ἐγώ, “I,” for emphasis, since he always remains amazed that he, who had been the gospel’s arch-opponent, should be entrusted by God’s wondrous grace with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5 of 7x in the PE* ἐγώ is used of this event: here; 1 Tim. 1:11, 15; 2:7; 2 Tim. 1:11; the other 2 are related to Paul’s activity as an apostle: Tit. 1:5; 2 Tim. 4:6). A passive form of πιστεύω with the meaning “be entrusted with something” occurs 6x in Paul and nearly always refers to his being entrusted with the gospel and its proclamation (1 Cor. 9:17; Gal. 2:7; 1 Thes. 2:4; 1 Tim. 1:11; here; the one exception is Rom. 3:2).
κατʼ ἐπιταγήν (see 1 Tim. 1:1) is used here with the meaning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which BAGD suggest is equivalent to “by command.” Paul wants to make plain that his being entrusted with the gospel, i.e., his apostleship (see 1 Tim. 1:1), did not originate from humans (see Gal. 1:1, 11, 12) but is an “order” or “injunction” from God himself. Thus Paul refers in several of his salutations to this action of God, using ἐπιταγή (here and 1 Timothy) or θέλημα (1 and 2 Corinthians, Ephesians, Colossians, and 2 Timothy) with θεοῦ, or by directly repudiating any human agency (Galatians).
Here and in 1 Tim. 1:1 (see the comments on that verse) Paul adds to θεοῦ the designation τοῦ σωτῆρος ἡμῶν, “our Savior.” He may do so because the readers of these two letters needed to be reminded that the one who has entrusted Paul with the gospel is indeed their Savior, so that this awareness might shape their thinking and acting as it shapes his (note where Paul refers to God as “Savior” in these two letters: 2:10, 13; 3:4; 1 Tim. 2:3; 4:10; “God our Savior” occurs nowhere else in his letters).
By thus referring to the “proclamation” with which he was “entrusted,” i.e., to his own ministry, Paul returns to the purpose of his apostleship and thus concludes this portion of the salutation by giving further emphasis to that purpose. This clear statement of Paul’s authoritative apostleship and its purpose of furthering the spiritual health and well-being of God’s people provides for Titus the basis for communicating and carrying out Paul’s sometimes forceful demands in this letter. Titus knows all these things, but by writing them to him Paul is making them very clear to those on Crete to whom Paul is ministering by means of this letter.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5–286.
 
4절) 바울은 1-3절에서 자신의 사도적 소명에 대해서 기술한다. 즉 이 서신의 발신자된 바울이 누구이며 어떻게 복음 전하는 일을 맡게 되었는지를 밝히고 나서 이제 본 4절에서는 이 편지의 수신자가 디도임을 밝히고 그에게 축도를 하고 있다.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 은혜와 평강을 구하는 내용은 딤전 1:2와 딤후 1:2의 축도와 유사하다. 
 
디모데전서 1:2
2믿음 안에서 참 아들 된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디모데후서 1:2
2사랑하는 아들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바울은 디도가 자신과 같은 믿음을 가졌음을 먼저 밝히고 있다. ‘같은’으로 번역된 ‘코이넨’의 원형 ‘코이노스’는 ‘일반적인, 공통의, 공유의’라는 의미와 ‘속된, 부정한, 불결한’이란 뜻도 가진다. 여기서는 전자의 의미로 바울의 믿음과 공통적인 믿음을 가졌음을 밝히는 것이다. 바울의 영적 아들인 디도도 역시 바울과 동일한 믿음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바울은 디도를 향해 ‘참 아들’이라고 말했다. 바울은 디모데와 오네시모에게도 ‘아들’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딤전 1:2; 몬 1:10) 여기 사용된 ‘나의 참’이라는 표현인 ‘그네시오스’는 ‘서출이 아닌, 적법하게 태어난, 진짜의’란 의미의 형용사이다. 디도와 디모데는 바울이 직접 낳은 아들이 아니다. 하지만 이런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그들이 바울에게 매우 특별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바울이 직접 전도하여 신앙으로 양육한 자이며 바울이 매우 신뢰하고 있는 믿음의 동역자라는 것을 나타낸다.(갈 2:3; 고후 2:13; 8:23; 12:18)
디도는 같은 믿음을 따라 바울의 참 아들이다. 바울은 이 표현을 통해서 그레데 교회의 성도들로 하여금 디도의 권위에 순종하고 그의 가르침에 귀 기울일 것을 이야기 하고 있다. 왜냐하면 디도는 바울의 참된 영적인 아들로 다른 거짓 선생이나 대적자들과는 다르게 그리스도의 복음에 충실한 바울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바울이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이기에 그에게서 가르침을 받은 디도의 권위 또한 인정받기에 충분하다. 
 
디도는 사도행전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바울서신에 자주 등장하며 고린도후서에서는 8번이나 등장한다.(고후 2:13; 7:6, 13, 14; 8:6, 16, 23; 12:18; 갈 2:1, 2, 3; 딤후 4:10) 그는 헬라인으로 이고니온에서 바울에 의해 회심한 것으로 추정되며 바울에 의해 그레데 지역의 목회자로 위임되었다. 바울은 다메섹에서 예수를 만난후 본격적인 전도자로 서기 위해 예루살렘에 올라갈 때 바나바와 디도와 동행했었다.(갈 2:1) 이 디도는 바울과 고린도 교회에 문제가 생겼을 때 둘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했고(고후 7:6, 7, 13) 바울이 편지 전달 및 헌금 모금을 위해 고린도에 사람을 보내려 할 때 자원하는 등 바울에게 힘이 되어준 동역자였다.(고후 8:16, 17) 이로 보아 바울은 디도를 매우 사랑하고 신뢰했음을 알 수 있다. 
 
3절에서도 우리 구주, 4절에서도 우리 구주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이처럼 디도서에서는 하나님 아버지는 구주로 세 번(1:3, 2:10, 3:4, 딤전 1:1 및 주석, 2:3, 4:10 및 주석 참조), 예수님 역시 구주로 세 번(1:4, 2:13, 3:6, 딤후 1:10 참조) 불린다. 하나이신 하나님(신 6:4)만이 유일한 구원자(사 43:11, 45:21)라는 구약의 확신을 고려할 때, 바울은 아들을 성부와 같은 신성한 존재로 보았을 가능성이 높다.
Savior. In the book of Titus, God the Father is called Savior three times (here; 2:10; 3:4; see also 1 Tim 1:1 and note; 2:3; 4:10 and note), with Jesus also called Savior three times (here; 2:13; 3:6; see 2 Tim 1:10). Given the OT conviction that God, who is one (Deut 6:4), is the only Savior (Isa 43:11; 45:21), Paul is likely viewing the Son as divine like the Father.
OT Old Testament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87.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앞서 발신자와 수신자를 밝힌 후에 바울은 이제 디도에게 축복의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바울은 자신의 여러 서신들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함께 언급한다(롬 1:7; 고전 1:3; 고후 1:2; 엡 1:1; 살후 1:2). 성부는 근원이시며 성자는 대행자이시다. 
유다서 25
25곧 우리 구주 홀로 하나이신 하나님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광과 위엄과 권력과 권세가 영원 전부터 이제와 영원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바울의 서신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는 밀접하게 연합되어서 양자 모두 동일한 일을 수행하신다. 본 인사말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는 명령을 하시고, 구원자의 역할을 행하시고 축복을 선언하신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은혜(카리스)와 평강(에이레네)를 구한다. 
카리스(은혜)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안에서 행하신 당신의 구원 사역을 한 단어로 요약하는 것으로 구원이 무가치한 죄인에게 베풀어진 값없는 선물임을 강조한다. 이는 바울의 신학에서 매우 중요한 표현으로, 신약에서 154회 사용되는데 100번이 바울서신에서 등장한다. 원래 이 표현은 종교적 함의가 없는 표현이었는데 구약에서 ‘헨’, 호의라는 의미로 사용된 것인데 바울은 이것을 사용하면서 구약의 ‘헨’보다는 ‘헤세드’(언약적 신실함)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에이레네(평강)은 전쟁의 중지, 평화로운 관계를 의미하는데 구약에서는 ‘샬롬’으로 표현되어서 적대행위의 외적인 부재와 이어 하나님에 의해 주어지는 총체적 의미의 안녕을 묘사하는 것이다.
 
1:4 Here Paul indicates to whom (dative) he is writing this letter. Paul’s designation of Τίτος (see Recipients: Titus in the Introduction) as his “true child according to a common faith” is nearly the same as his designation of Timothy in 1 Tim. 1:2 (see the comments on that verse). Here, however, he uses κατά in place of ἐν and adds κοινήν. κατά is merely a stylistic variation. Paul may use κοινός, “common,” to remind Titus, the churches on Crete, and the false teachers “of the circumcision” (1:10; cf. v. 14) that he regards the uncircumcised Titus and himself, a Jew, as sharing the same faith (see Introduction, p. 9; cf. Gal. 2:3–4; 3:7–9, 14, 28–29). Titus, no less than circumcised Timothy, is Paul’s spiritual child in this shared faith.
The greeting “Grace and peace from God the Father and Christ Jesus our Lord/Savior” so well articulated for Paul the essence of what Christians need, from whom they receive it, and in what capacity the members of the Godhead, who is this source, stand to Christians that he places it, with only minor differences, in the salutation of every letter (see the comments on 1 Tim. 1:2). In 1 and 2 Timothy he adds ἔλεος, “mercy” (for the textual variants in Titus, including those that add ἔλεος, see UBSGNT; TCGNT). Here alone he calls Christ σωτήρ, “Savior,” rather than κύριος, “Lord.” It is as if he anticipates the two crucial theological arguments that undergird his ethical exhortations in chapters 2 and 3, in both of which Christ as Savior is at the center (2:13; 3:6) as the one through whom God’s grace has come to save us and to instruct and enable us in living godly (2:11ff.) and peaceful (3:1ff.) lives.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 B. M.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6.
 
 
 
 

'성경묵상 > 디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딛 1:10-14 거짓 선지자들을 엄히 꾸짖으라  (0) 2023.04.12
딛 1:7-9 감독의 자격  (1) 2023.04.07
딛 1:5-6 장로의 자격  (0) 2023.04.06
딛 1:1-2 바울이 사도된 이유  (0) 2023.03.30
디도서 서론  (0) 2023.03.29
728x90
Paul, a servant1 of God and aan apostle of Jesus Christ, for the sake of the faith of God’s elect and btheir knowledge of the truth, cwhich accords with godliness, din hope of eternal life, which God, ewho never lies, fpromised gbefore the ages began2
1 For the contextual rendering of the Greek word doulos, see Preface
a See 2 Cor. 1:1
b See 1 Tim. 2:4
c 1 Tim. 6:3
d 2 Tim. 1:1; Heb. 9:15; [ch. 2:13; 3:7]
e Num. 23:19; 2 Tim. 2:13; Heb. 6:18
f Rom. 1:2
g See 2 Tim. 1:9
2 Greek before times eternal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1–2.
 
1 하나님의 종이요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인 나 바울이 사도 된 것은 하나님이 택하신 자들의 믿음과 경건함에 속한 진리의 지식과
2 영생의 소망을 위함이라 이 영생은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 영원 전부터 약속하신 것인데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1:1–2.
 
디도서는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와 더불어 목회서신이라 불리우는 책이다. 딤전, 딤후는 에베소에서 목회하던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이고 디도서는 그레데에서 목회하던 디도에게 보낸 편지이다. 본서는 그레데 교회에 필요한 장로의 자격 조건 및 이단과 거짓 사상에 대한 경계, 그리고 교회의 조직 주립 및 정통 교리 수호를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고 이러한 실천적 덕목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교의 근본 진리와 관련한 영생과 그리스도의 신성 등 신학적 내용도 담고 있다. 
본서는 바울이 1차 로마 감옥 생활(행 28장)에서 풀려난 후 다시 체포되어 2차 로마 감옥에 투옥되어 순교하기 이전 AD 66년경 기록된 것으로 보여진다. 
다른 서신서와 마찬가지로 디도서는 세부분으로 구성된다. 인사말에 해당되는 도입부는 1:1-4, 본론부는 1:5-3:11이며 결론부는 3:12-15이다. 
 
1:1-4은 도입부로 두가지의 특징을 지닌다. 
첫째 내용적으로 볼 때 복음의 진리와 바울 자신의 사도직을 다루는 점에서 로마서와 유사하며(롬 1:2-4) 분량으로 볼 때 본서는 매우 짧은 서신임에도 불구하고 도입부가 로마서와 갈라디아서 다음으로 길다. 
둘째 바울의 다른 서신서 도입부에 대부분 기록되어 있는 내용인 하나님 혹은 교인들에 대한 감사의 내용(롬 1:8; 고전 1:4; 엡 1:16; 빌 1:3; 골 1:3; 살전 1:2; 딤후 1:3)이 생략되어 있다. 바울은 이런 내용을 생략하고 바로 디도에게 자신이 주께로부터 복음 진리를 모든 사람에게 전파하라는 명령을 받았음을 밝히면서 자신과 동일한 전도명령을 받은 자로서 그 사명을 감당하는 목회자로서의 사명을 감당할 것을 디도에게 일깨워주고 있다. 
 
1절) ‘하나님의 종’, 본절에서 *종으로'로 번역된 ‘둘로스' 는 ‘노예, 종' (마 10:24 ; 눅 12:46 ; 요 15:15 ; 고전 7:21 ; 갈 3:28 ; 엡 6:8 ; 골 3:11 ; 계 13:16)이라는 문자적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 단어는 반드시 비천한 계급의 사람에게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왕의 신하' (삼상 29:3 ; 왕하 5:6), 모세나 여호수아 그리고 선지자 등과 같은 '하나님의 일꾼' (출 14:31 ; 민 12:7 : 수 1:2 : 삿 2:8 ; 시 78:70 ; 105:26 ; 암 3:7 ; 렘 7:25 ; 단 9:6)을 가리키는 데도 쓰였다. 특히 신약 성경에서는 '그리스도에 의하여 구속된 사람' (고전 7:23 ; 요 8:34 ; 룸 6:17.20 ; 딤후 2:19), '그리스도에 의해 소유된 자'(고전 3:23 ; 7:22), ‘그리스도의 대리자'(갈 1:10 ;롬 1:1;골 4:12), '그리스도의 뜻에 순종하고 봉사하는 자' (고전 3:5 ; 고후 3:6 : 엘 3:7), 흑은 '복음을 전파하는 교사’ (딤후 2:24)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 ‘둘로스' 라는 단어는 특히 바울이 하나님과의 관계하에서 자신을 지칭할 때 즐겨 사용하는 표현이다(롬 1:1 ; 고전 7:21 ; 고후 4:5 ; 갈 1:10 ; 빌 1:1 ; 골 1:7). 그러나 로마서나 빌립보서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 이라고 표현하였지만(롬 1:1;빌 1:1) 본서에는 유일하게 '하나님의 종'이라고 말하고 있다(행 16:17 ;벧전 2:16 ; 계 7:3 ; 15:3 ; 19:5). 이것은 고대의 예언자나 위인을 칭할 때 주로 사용되는 표현이었지만, 여기서는 하나님에 대한 절대적인 순종과 겸손을 나타냄과 동시에 자신이 하나님의 거룩한 일을 맡은 자라는 신적 권위틀 내포하고 있는 표현이라 말할 수 있다. 즉 바울은 자신이 언급할 이하의 내용이 신적 권위에 근거한 것임을 드러내기 위하여 이 표현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 ‘사도, 아포스톨로스’라는 표현도 ‘종, 둘로스’라는 표현과 함께 바울이 자신을 지칭할 때 즐겨 사용하는 표현으로 빌립보서와 빌레몬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서신서에 등장한다.(롬 1:1; 고전 1:1; 고후 1:1; 갈 1:1; 엡 1:1; 골 1:1;  살전 2:6; 딤전 1:1; 딤후 1:1) ‘종’이 자신을 더 낮추는 겸손한 표현이라면 ‘사도’는 자신이 그리스도께 부름받았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칭호라고 할 수 있다. 
‘아포스톨로스’는 ‘보내다’는 의미의 동사 ‘아포스텔로’에서 파생된 명사로 ‘전권을 가지고 파견하신 분을 위해 행동하는 사람,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혹은 다른 사도들로부터 위임 받아 그를 대신하여 말하는 권위를 입은 사람’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바울은 여러 사람들로부터 자신의 사도성을 의심받았다. 왜냐하면 다른 제자들은 주님의 공생애에 함께 동행했고 그분의 죽음과 부활을 직접 목도했지만 바울을 그렇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울은 자신이 열두 제자의 일원은 아니지만 다메섹 도상에서 부활하신 주님을 직접 만나 사도로 부르심을 받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고전 15:8; 갈 1:!; 롬 1:5; 고전 1:1, 고후 1:1) 
바울은 이제 자신이 사도로 부르심을 받은 이유를 1-2절에 걸쳐서 세가지로 설명한다. 그것은 하나님이 택하신 자들의 믿음과 경건에 속한 진리의 지식과 영생의 소망을 위함이다. 
 
‘나 바울이 사도된 것은’으로 번역된 ‘카타’는 ‘~을 따라, ~에 대하여, ~을 위한 목적으로’라는 의미로 근거나 목적을 제시할때 사용되는 전치사이다.  이를 통해 바울은 자신이 하나님의 종됨과 그리스도의 사도됨의 목적을 세가지로 밝히고 있다. 
‘택하신 자들의’로 번역된 ‘엑클렉톤’의 원형 ‘에클렉토스’는 영어에서 ‘선임, 선출, 선거’의 의미를 지니는 ‘election’의 어원이 되는 단어로 ‘뽑힌, 선택된’이라는 의미로 여기서 하나님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인간 구원이 온전히 하나님의 주권적인 선택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사 43:20; 45:4; 65:9)으로 신약에서는 롬 8:33과 골 3:12에서 사용된다. 
여기서 ‘하나님의 택하신 자들의 믿음’이란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조상 아브라함을 택하시고 그와 언약을 맺으심으로 그의 자손들을 하나님의 백성으로 택하셨으며 그들의 믿음을 근거로 구원을 이루셨다는 역사적 사실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딤후 2:10) 즉 바울 자신이 하나님의 종이요 그리스도의 사도가 된 첫번째 목적은 구원받을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의사나 공로와는 전혀 관계없이 하나님의 영원하신 선택에 따라서(카타) 부름받은 사람들로 하여금 구원에 합당한 믿음을 갖게 하는 데에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벧전 1:2)
 
두번째 이유는 ‘경건함에 속한 진리의 지식’을 위함이다. 바울 서신에서 ‘경건’이라는 표현은 애우 중요하다. ‘경건함’에 해당하는 ‘유세베이아’는 원래 ‘숭배, 존경, 하나님을 향한 경건한 행위와 바른 믿음’이라는 의미이다. 이 표현을 영어 성경에서는 ‘godliness’로 번역했는데 이는 ‘하나님을 닮은 것’이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경건은 ‘하나님의 인격을 닮은 것’으로 그리스도인이라면 마땅히 추구해야할 궁극적인 목표이며 그리스도인의 온전한 삶의 당연한 귀결이다.(벧후 3:11) 본문에서는 진리의 지식이 경건함을 따라 나온다는 의미로 ‘속한’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으로 ‘진리의 지식’이 불경건에 속할 수는 없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이 사도된 목적이 성도들로 하여금 진리를 아는 지식을 가지게 하기 위함임을 분명히 밝히면서 이 진리를 아는 지식과 경건한 삶이 결코 분리될 수 없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진리를 아는 참된 지식은 참된 삶인 경건으로 귀결되며 참된 삶의 근거는 바로 참된 지식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1:1 This verse contains the name of the author (Παῦλος), two designations of his role (δοῦλος, ἀπόστολος) with their respective indicators of relationship (θεοῦ,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the results for which he labors (πίστιν … καὶ 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 τῆς κατʼ εὐσεβείαν) and those for whom he labors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For Παῦλος see 1 Tim. 1:1.
δοῦλος (see 1 Tim. 6:1) means “slave” and is used literally by Paul on several occasions (e.g., 1 Cor. 7:21, 22; Eph. 6:5–8; Col. 3:11, 22; 4:1; 1 Tim. 6:1; Tit. 2:9; Phm. 16, 18). The word can be used to designate the exclusive nature of man’s relationship to God and is used by the LXX in the Psalms and elsewhere to describe this relationship to God (cf., e.g., Pss. 19:11, 13; 67[66]:17; 86[85]:2, 4, 16; 119[118]:17, 23, 38, 49, 65, 76, 84, 122, 124f., 135, 140, 176; Tuente, NIDNTT III, 595). Just as it is used for the members of the covenant community, so also it is used to designate its leaders, e.g., Moses (Ps. 104[105]:26), Joshua (Jos. 24:30[29]; Jdg. 2:8), Abraham (Ps. 104[105]:42), David (Ps. 88:4[89:3]), Jacob (Is. 48:20) (cf. Rengstorf, TDNT II, 268; BAGD s.v. 4). Paul connects the secular usage of δοῦλος, “slave,” to the religious usage by designating the “free” Christian as “Christ’s slave” (see 1 Cor. 7:22) and hence uses the term for members of the Christian community (Rom. 6:16; 1 Cor. 7:22; Eph. 6:6) and its leaders including himself (cf., e.g., for others Col. 4:12; for others with himself Phil. 1:1; for himself Rom. 1:1; Gal. 1:10; used as a principle 2 Tim. 2:24; cf. also σύνδουλος, Col. 1:7; 4:7). When qualified by a genitive in Paul it is usually Χριστοῦ (Rom. 1:1; [1 Cor. 7:22]; Gal. 1:10; Eph. 6:6; Phil. 1:1; Col. 4:12) rather than θεοῦ as here (and in Jas. 1:1 [where it is also qualified by κυρίου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1 Pet. 2:16; Acts 16:17; Rev. 7:3; 15:3; cf. 2 Tim. 2:24, δοῦλον κυρίου). “But here, as elsewhere, the distinctive thing about the concept of the doulos is the subordinate, obligatory and responsible nature of his service in his exclusive relation to his Lord” (Tuente, NIDNTT III, 596).
Paul joins to the above designation his more usual designation of himself as an ἀπόστολος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see 1 Tim. 1:1; note that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here is the reverse of the order found in 1 Tim. 1:1 and 2 Tim. 1:1, although Χριστοῦ Ἰησοῦ is found in some MSS here, see NA26). For ἀπόστολος see 1 Tim. 1:1. Paul refers to himself as “an apostle of Jesus Christ” in this opening section (as he does in his other letters) to indicate the role and authority with which he writes to Titus (1:4) and through him to the members of the churches on Crete (cf. 2:2ff., 15; 3:1ff., 8, and especially 15c: “Grace be with you all” [μετὰ πάντων ὑμῶν]).
His apostleship is κατὰ πίστιν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καὶ 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 τῆς κατʼ εὐσέβειαν. Although κατά might mean “in accordance with” here, the sense of the passage seems to be best captured by the RSV rendering “to further the faith of God’s elect …” (cf. also Bernard, Brox, Hendriksen; Kelly renders it “in the interest of” and refers appropriately to Jn. 2:6; cf. also Jos., Ant. 3, 268). Just as in Rom. 1:5 Paul’s apostleship is to “bring about the obedience of faith among the Gentiles,” so here similarly his apostleship is “in the interest of” the πίστιν and 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 of the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πίστις would appear to designate here the subjective element of trust or belief, since it is followed by the genitive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and paralleled by ἐπίγνωσις. ἐκλεκτός (NT 22x, Pl.* 6x, PE 3x, Rom. 8:33; 16:13; Col. 3:12; 1 Tim. 5:21; here; 2 Tim. 2:10) means generally those “chosen or selected” and is used here, as elsewhere in the NT, “especially of those whom God has chosen fr. the generality of mankind and drawn to himself” (BAGD). The phrase ἐκλεκτοὶ (τοῦ) θεοῦ is used in the NT to designate Christians and to emphasize who it is that has elected them (the phrase is used only by Paul in the NT, Rom. 8:33; Col. 3:12; Tit. 1:1; it is also used in the LXX to designate God’s people, 1 Ch. 16:13; Ps. 88:4[89:3]; 104[105]:6, 43; Is. 65:9, 15, 23). The entire phrase πίστις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reminds one of the statement “as many as had been appointed to eternal life believed” (Acts 13:48).
καί joins ἐπίγνωσιν to πίστιν as a joint object of the preposition κατά. For ἐπίγνωσις see 1 Tim. 2:4. With the definite article τῆς following ἀληθείας and preceding κατʼ εὐσέβειαν Paul insists that ἀληθεία is that “truth” which pertains to or produces εὐσέβεια (cf. 1 Tim. 6:3, 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 κατʼ εὐσέβειαν). εὐσέβεια (see 1 Tim. 2:2) means here, as often elsewhere in the NT, “godliness” in the sense of a godly life, the life of one who fears and serves God.
The correlation of these terms characterizes the purpose of Paul’s apostleship and highlights the perspective of his message and ministry. He constantly calls on his readers to turn to God in faith and to live in faith and is equally emphatic that God has previously chosen or elected such people (e.g., Rom. 8:28–33; 9:11). Similarly he constantly calls on them to know and understand God’s truth so that they can “walk in a manner worthy of the Lord, to please him in all respects” (e.g., Col. 1:9–10). Here he knits all these aspects together with carefully chosen words (cf. 2:10–11; 3:8).
LXX Septuagint
NIDNTT C. Brown, ed.,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I–III. Grand Rapids, 1975–78.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NIDNTT C. Brown, ed.,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I–III. Grand Rapids, 1975–78.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Ant. Antiquitates Judaicae (Josephus)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E Pastoral Epistles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LXX Septuagint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2–283.
 
2절) 세번째 목적은 ‘영생의 소망을 위함이라’이다. 성경에서 이 ‘영생의 소망’이라는 표현은 본절과 딛 3:7에 유일하게 두번 등장한다. 
‘인함이라’로 번역된 전치사 ‘에프’는 문자적으로 ‘~위에서’라는 의미로 ‘영생에 대한 소망의 터 위에서’로 번역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생의 소망은 그리스도인이 도달할 최종 종착지로서 영원한 삶을 누리게될 천국의 삶을 의미한다. 이 영생에 대한 소망은 구원을 은혜로 거저 주시고 성도에게 기업이 되시는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는다.(딤전 1:16; 4:8; 6:12, 19; 딤후 1:1, 10) 사도가 전하는 복음, 곧 예수 그리스도는 성도에게 영생을 약속한다.(요 10:28) 이러한 영생에 대한 소망은 이 세상에서의 윤리적인 삶만을 강조하는 여타 다른 종교와 기독교에 차별성을 제공한다. 사도가된 중요한 이유는 다름아닌 사람들로 하여금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영생의 소망을 갖도록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어서 바울은 그 영생의 소망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부연 설명한다. 
 
‘이 영생은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 영원 전부터 약속하신 것’이다. ‘거짓이 없으신’에 해당하는 ‘압슈데스’는 ‘거짓, 거짓말’을 뜻하는 ‘프슈도스’에 부정 접두어 ‘아’가 결합된 것으로 ‘거짓 없는, 거짓말하지 않는’이란 의미이다. 이는 하나님의 속성이다.(히 6:18) 반대로 사단은 거짓말하고 속이는 자이다.(요 8:44; 요일 2:22) 바울이 여기서 하나님이 여러 다른 속성중 거짓말하지 않는 속성을 기록한 것은 그렇게 진실하신 하나님께서 하신 약속이므로 그것은 틀림없이 성취될 것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하나님은 변함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신 분(약 1:17)으로서 한번 하신 약속을 식언하는 행위를 하지 않으신다.(민 23:19) 그리스도를 믿는 자에게 주어지는 이 영생의 약속은 이런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 약속하신 것임으로 확실한 것이다. 
또한 이 약속은 영원전, 창세전부터 하나님에 의해 계획되어지고 약속되어진 것이다. 즉 영생은 인류 역사 가운데 어떤 특정한 사건을 계기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아무런 사건도 일어나지 않은 ‘영원 전부터’약속된 것임을 말하고 있다.(고전 2:7; 엡 1:4; 살후 2:13; 딤후 1:9) 여기서 ‘영원’으로 번역된 ‘크로논 아이오니온’이다. ‘코로논’의 원형인 ‘크로노스’는 ‘때의 한 기간, 어떤 특정한 시간’이라는 의미로 역사 속에서 순차적으로 흘러가는 시간, 즉 연대기적인 시간을 초월한 개념이다. 논리적으로 볼 때 ‘영원한 시간 전’이라는 표현은 성립할 수 없다. ‘영원’에는 전이나 후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문은 영생을 약속하신 하나님이 이를 영원 전부터 약속하셨다라고 표현한다. 이는 하나님은 인간의 시간 속에 제한을 받는 분이 아니시고 시간의 한계를 초월하여 존재하시는 분이시므로(눅 20:37-38) 이 표현은 창세 이전의 시간만이 아닌 하나님의 존재 방식까지 나타내는 것으로 봐야 한다. 영원하신 하나님은 시간의 주인이시다. 
 
1:2 The logical connection between ἐπʼ ἐλπίδι ζωῆς αἰωνίου and the preceding verse is not precisely clear and various possibilities have been proposed (see Huther and Hendriksen for examples). The preposition ἐπί does not in itself provide an answer. Analogies are provided by the occurrences of ἐλπίς in 1 Tim. 1:1 and of ἐπαγγελίαν ζωῆς in 2 Tim. 1:1, both in the section of the salutations of those letters related to Paul’s apostleship, though in both cases in a slightly different construction than here, and with 1 Tim. 1:1 adding the qualification “our” (ἡμῶν).
Perhaps then this prepositional phrase at the beginning of v. 2 qualifies ἀπόστολος (cf. 1 Tim. 4:10), as does the preceding phrase, κατὰ πίστιν.… It would thus give an additional reason for Paul’s apostleship (cf. BAGD s.v. ἐπί II.1bγ). If this is so, then this phrase speaks of the hope that Paul shares with the ἐκλεκτοὶ θεοῦ as he carries out his apostolic ministry and message. In 3:7—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 ἐλπὶς ζωῆς αἰωνίου—Paul relates that he does share in this hope. The phrase should probably be understood to function here as it does there.
ἐλπίς (PE* 4x: 1 Tim. 1:1; Tit. 1:2; 2:13; 3:7) is used here and in the NT in the sense of “confident expectation” (as opposed to sight or possession: Rom. 8:24–25) based on God’s promise. Sometimes the same hope is expressed in other words (e.g., “the hope of glory,” Rom. 5:2; Col. 1:27). The combination ζωὴ αἰωνίος, “eternal life” (see 1 Tim. 1:16), signifies in Paul that endless future life which the believer will have as a gift from God through Jesus Christ (Rom. 5:21; 6:23; 1 Tim. 1:16; 6:12) and will enjoy in fellowship with God and his people.
The God who promised this eternal life (cf. 2 Tim. 1:1; 1 Jn. 2:25) “before the beginning of time” (NIV) is he “who does not lie.” ἐπηγγείλατο (see 1 Tim. 2:10) is used here with the meaning “promised.” Paul speaks elsewhere of God promising life with the cognate noun ἐπαγγελία (1 Tim. 4:8 and 2 Tim. 1:1). God’s faithfulness to this promise is expressed negatively here with the adjective ἀψευδής** (a NT hapax), “who cannot lie.” This way of speaking about God has its roots in the OT (e.g., Nu. 23:19; 1 Sa. 15:29), and this OT background is reflected elsewhere in Paul (e.g., Rom. 3:3–4; 2 Tim. 2:13) and in the NT (Heb. 6:18).
The time that God made this promise was πρὸ χρόνων αἰωνίων. The preposition πρό, when used of time, means “before” (see BAGD s.v. 2). Some have interpreted χρόνοι αἰωνίοι** (also in Rom. 16:25; 2 Tim. 1:9) as referring to the long period of time reaching back to when God made this promise to the patriarchs (e.g. Calvin; cf. RSV, NASB, NEB). Others (cf. NIV) think that Paul is speaking here of God’s commitment before time began. The most compelling consideration is the meaning of the phrase (again with πρό) in 2 Tim. 1:9, where it relates to the time of God’s purpose (πρόθεσις) and is contrasted with the “now” (νῦν) of Christ’s first appearance. There the phrase is usually understood to refer to eternity (so NASB and NEB). Here, too, there is the same movement from the time of promise to the time of manifestation (Tit. 1:2, 3). Therefore, it is best to understand χρόνοι αἰωνίοι as referring to eternity here also. This would also be in accord with Paul’s perspective elsewhere, where he looks back to God’s decision before time and the world began (cf. 1 Cor. 2:7: πρὸ τῶν αἰώνων; Eph. 1:4: πρὸ καταβολῆς κόσμου).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EB New English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EB New English Bible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3–28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