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0 pYou, however, have followed my teaching, my conduct, my aim in life, my faith, my patience, my love, my steadfastness, 11 my persecutions and sufferings that happened to me qat Antioch, rat Iconium, and sat Lystra—which persecutions I endured; yet tfrom them all uthe Lord rescued me. 12 Indeed, all who desire to vlive a godly life in Christ Jesus wwill be persecuted,
p [Phil. 2:22]
q Acts 13:14, 45, 50
r Acts 14:1, 2, 5
s Acts 14:6, 19
t Ps. 34:19
u ch. 4:17; [2 Cor. 1:10]
v Titus 2:12
w See Acts 14:2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3:10–12.
 
10 나의 교훈과 행실과 의향과 믿음과 오래 참음과 사랑과 인내와
11 박해를 받음과 고난과 또한 안디옥과 이고니온과 루스드라에서 당한 일과 어떠한 박해를 받은 것을 네가 과연 보고 알았거니와 주께서 이 모든 것 가운데서 나를 건지셨느니라
12 무릇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경건하게 살고자 하는 자는 박해를 받으리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3:10–12.
 
바울은 앞서 3장 1-9에서 거짓 교사들의 모습과는 다르게 3:1-~4:8을 통해서 디모데로 하여금 어떤 자세를 견지하며 사역을 해야할지를 조언한다. 
10-17절에서 바울은 성도들에게 임하는 필연적인 박해속에서 말씀의 진리안에 거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10절) 원어에서 10절은 ‘쉬 데’로 시작한다. 영어로는 ‘You, however’로 ‘그러나 너는’로 번역해야 한다. 이는 본절의 내용이 앞선 거짓 교사들의 모습과는 완전히 반대되는 대조의 형식으로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대저는 거짓 교사들과 바울의 삶으로 극단적으로 비교된다. 
한글 번역에서는 10절의 맨 처음에 한번 ‘나의’라는 표현이 등장하지만 영어 번역에서는 모든 표현, 특성에 대해서 8번이나 반복되어 ’my’가 사용되었다. 원에에서는 ‘무 테’라는 표현이 맨 앞에 등장해서 ‘나의 그 교훈’으로 표현되고 이후에는 ‘테’라는 관사가 사용된다. 이는 ‘호’라는 관사의 여성 여격 단수 표현이다. 말하자면 헬라어는 교훈, 행실, 의향, 믿음, 오래참음, 사랑, 인내는 모두 여성 여격 단수 표현으로 사용했고 11절의 박해를 받음과 고난이라는 표현에서는 ‘토이스’로 사용하여 박해를 받음은 남성 여격 복수 표현이고 고난은 중성 여격 복수 표현의 관사를 사용했다. 
지금 바울의 이 고백은 디모데를 향한 것으로 자신의 이러한 자세와 고난과 핍박을 상기시키는 것은 바울 자신을 높이려는 것이 아니라 디모데로 하여금 영적 아버지인 자신을 본받고 나아가 에베소 교회를 파괴하려는 거짓 교사들과의 싸움에서 승리하도록 격려하기 위한 것이다. 
 
바울이 전하는 교훈은 무엇인가? 이는 다름 아닌 하나님 나라 복음의 진리를 말한다. 
사도행전 17:2–3
2바울이 자기의 관례대로 그들에게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성경을 가지고 강론하며
3뜻을 풀어 그리스도가 해를 받고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야 할 것을 증언하고 이르되 내가 너희에게 전하는 이 예수가 곧 그리스도라 하니
‘교훈’에 해당하는 헬라어 표현은 ‘디다스칼리아’로 ‘교훈, 가르침, 가르치는 일’을 의미한다. 
 
‘행실’로 번역된 ‘아고게’는 그 앞에 정관사 ‘테’를 동반하고 있기에 일반적인 행실이 아닌 특정한 행실, 즉 바울이 보여준 행실을 의미한다. ‘아고게’는 ‘스스로를 제어하거나 행동하는 방식’이라는 의미로 ‘이끌다, 인도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아고’에서 파생된 표현이다. 그렇다면 바울이 보여준 행실은 무엇일까? 이는 하나님의 부름받은 사도로서 그의 생활 태도 일체를 말하는 것으로 언행 일치의 삶, 겸손의 삶, 이타적인 삶,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삶 모두를 포함한다. 
 
‘의향’으로 번역된 ‘프로데세이’역시 정관사를 동반한다. ‘프로데세이’는 ‘견고한 결심, 계획, 목적, 앞에 차린 진설병’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바울의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그것은 행 14:19-22에서 보여주듯 생명을 걸고 복음을 전하는 것이었다. 
사도행전 14:19–22
19유대인들이 안디옥과 이고니온에서 와서 무리를 충동하니 그들이 돌로 바울을 쳐서 죽은 줄로 알고 시외로 끌어 내치니라
20제자들이 둘러섰을 때에 바울이 일어나 그 성에 들어갔다가 이튿날 바나바와 함께 더베로 가서
21복음을 그 성에서 전하여 많은 사람을 제자로 삼고 루스드라와 이고니온과 안디옥으로 돌아가서
22제자들의 마음을 굳게 하여 이 믿음에 머물러 있으라 권하고 또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려면 많은 환난을 겪어야 할 것이라 하고
 
‘믿음과 오래 참음과 사랑과 인내’는 ’오래참음을 제외하고 앞서 딤전 6:11절에 바울이 그리스도도인들을 향해서 좇아야할 덕목으로 이야기한 것이다. 
‘믿음’으로 번역된 ‘피스티스’은 일반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전적인 신뢰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의 믿음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 있어서 신실함, 정직성이란 의미도 내포한다. 
‘사랑’으로 번역된 ‘아가페’는 일반적으로 하나님께서 인간을 위해 당신의 독생자를 보내신 무조건적인 사랑을 뜻하며 동시에 이러한 신적 사랑에 대한 인간의 모방으로써 인간에 대한 자기 희생적 사랑을 나타낸다. 
‘인내’로 번역된 ‘휘포모네’는 ‘~아래’를 의미하는 전치사 ‘휘포’와 ‘머물다’란 의미의 동사 ‘메노’의 합성어로 인생의 어떠한 불행이나 고난, 그리고 역경에도 불구하고 도망가지 않고 자신의 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오래 참음’으로 번역된 ‘마크로뒤미아’는 ‘고통이나 불행을 참을성 있게 견딤’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시간이나 거리가 길거나 먼 것을 가리키는 형용사 ‘마크로스’와 ‘분, 진노’를 가리키는 명사 ‘뒤모스’의 합성어로 ‘분을 낼 상황에서 오랫동안 견디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일상 생활에서의 인내보다는 핍박하는 자들이나 불리한 환경 가운데서의 인내를 의미한다. 
 
3:10 σὺ δέ combines the personal pronoun σύ, used for emphasis in contrast to others, and the contrasting particle δέ, “but” (this combination in the PE* also in 1 Tim. 6:11; Tit. 2:1; 2 Tim. 3:14; 4:5; cf. σὺ οὖν in 2:1, 3; σὺ δέ elsewhere in Pl.* in Rom. 11:17, 20; 14:10). Whereas those Paul has been speaking of have “opposed” Paul and his teaching, Timothy has “followed” the teaching of Paul and the various aspects of Paul’s life that went along with and corroborated that teaching.
Paul uses παρηκολούθησας** (Lk. 1:3; 1 Tim. 4:6), “followed,” in a double sense here. With some of the datives of association (Robertson) that follow it has the sense of “accompanying” or “being present at” events, e.g., persecutions and sufferings. But primarily, and more profoundly, Paul uses it in the sense of the “following” that takes place “with the mind” and that “understands” and “makes one’s own” that which one follows, as in 1 Tim. 4:6 (cf. BAGD s.v. παρακολουθέω 1, 2). In this sense he refers to Timothy having followed his teaching, etc.
Paul lists nine things that Timothy “followed,” prefacing the list with μου both for emphasis and also to indicate that it governs all that follows. The first seven are singular and are principles or concepts. The last two (in v. 11) are plural and give concrete examples of the seventh principle.
Paul begins with “teaching” (διδασκαλίᾳ; cf. 1 Tim. 1:10 and 4:6), i.e., what he teaches, because it is this primarily that he wants to contrast with the teaching of the false teachers (vv. 5–9). But since teaching never exists apart from the reality of the teacher’s life and from the change that it has brought about in the teacher’s life, he adds the marks of godliness that flow from the teaching and accompany it in his own life (cf. 1 Tim. 4:12, 15–16; 6:3; 2 Tim. 2:22–25).
ἀγωγῇ** (a NT hapax, cf. LXX Est. 2:20; 2 Maccabees 11:24) is a comprehensive term indicating Paul’s “way of life,” his “conduct” (cf. 1 Tim. 4:12, with a different word, and the statement about Paul’s way of life in 1 Cor. 4:17). προθέσει (here only in Paul’s letters of a human, elsewhere of God) designates his “purpose” or the resolute plan for his ministry (cf. Acts 20:20–21, 24, 27; 1 Cor. 2:1–5).
Having mentioned these general characteristics, Paul next characterizes his life with the usual Christian trilogy “faith,” “love,” and “perseverance” (cf. Tit. 2:2), with “patience” sandwiched in as something much needed by one who teaches in difficult situations, as he has reminded Timothy (in 2:24, albeit with a different word) and will remind him again (in 4:2, with the same word as here). πίστει is used as elsewhere in the PE (cf. 1 Tim. 4:12; 6:11; 2 Tim. 2:22) of trust in or absolute dependence on God. μακροθυμίᾳ probably carries the sense of “forbearance, patience” toward others, which it also has in its other PE* occurrences (1 Tim. 1:16 [see the comments there]; 2 Tim. 4:2; here for the first time in the PE in a virtue list; cf. 2 Cor. 6:6; Gal. 5:22; Eph. 4:2; Col. 1:11; 3:12) rather than its meaning of endurance, which would only anticipate ὑπομονῇ (see Trench, Synonyms, §53). Paul uses ἀγάπῃ (see 1 Tim. 1:5; it occurs repeatedly in lists in the PE, e.g., 1 Tim. 4:12; 6:11; Tit. 2:2; 2 Tim. 2:22), “love,” here, as he usually does, of love for humans (cf. especially 1 Cor. 13:1ff.). He exhibited before Timothy what he asked him to pursue (2:22) and what he said the Holy Spirit has provided (1:5). ὑπομονή expresses the “endurance, steadfastness, and perseverance” of one who lives in the midst of the difficulties of this life kept and strengthened by Christ while awaiting Christ’s return (see the other PE* occurrences, especially 1 Tim. 6:11; Tit. 2:2). Paul sums up in these words his ministry (teaching, conduct, and purpose) and his life (faith, patience, love, and perseverance).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LXX Septuagint
PE Pastoral Epistles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E Pastoral Epistles
PE Pastoral Epistles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38–439.
 
11절) '박해를 받음과 고난’, 이 두 단어 앞에는 모두 여격 단수 남성 관사인 ‘토이스’가 사용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박해와 고난이 아닌 바로 ‘바울의 핍박과 고난’이라는 의미이다. 10절에서 사용된 그리스도인의 특성인 교훈, 행실, 의향, 믿음, 오래 참음, 사랑, 인내는 모두 단수형으로 표현된 것에 반해서 박해와 고난이라는 표현은 모두 복수형으로 기록되어 박해와 고난이 얼마나 강력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바울은 자신이 당한 구체적인 박해와 고난에 대해서 고후 11:21-33에서 언급하고 있다. 
 
‘네가 과연 보고 알았거니와’에 해당하는 표현인 ‘휘 데 파레콜루데사스’는 원어상으로는 10절 앞부분에 등장한다. 여기서 알고 있는 대상은 다름 아닌 ‘디모데’이다. ‘파레콜루데사스’는 ‘익숙히 알다, 조사하다, 관찰하다’라는 의미의 ‘파라콜루데오’의 2인칭 부정과거 능동태로 디모데가 바울이 말한 아홉 가지의 특성을 잘 알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한글 번역은 이것을 ‘보고 알았거니와’로 표현한다. 결국 믿음은 보고 안 것을 믿고 이를 통해서 건지심을 받게 되는 것이다. 
 
‘안디옥과 이고니온과 루스드라에서 당한 일’, 한글 번역은 박해와 고난과 안디옥과 이고니온과 루스드라에서 당한 일이라는 표현을 ‘또한’이라는 접속사로 연결한다. 그래서 이것이 개별적인 내용인 것처럼 보이지만 원문에서는 이 표현이 앞선 ‘박해와 고난’을 수식하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안디옥과 이고니온과 루스드라에서 내가 받은 박해와 고난’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타당하다. 
바울이 안디옥에서 받은 박해와 고난은 행 13:14-52에 기록되어 있다. 안디옥에서 바울과 바나바는 수많은 회심자를 얻었으나 유대인들의 핍박으로 인해서 그곳을 떠나야만 했다. 바울은 안디옥에서 기회를 얻는대로 회당에서 예수의 죽음과 부활에 대하여 힘있게 증언하였다. 
사도행전 13:38–39
38그러므로 형제들아 너희가 알 것은 이 사람을 힘입어 죄 사함을 너희에게 전하는 이것이며
39또 모세의 율법으로 너희가 의롭다 하심을 얻지 못하던 모든 일에도 이 사람을 힘입어 믿는 자마다 의롭다 하심을 얻는 이것이라
 
사도행전 13:43–45
43회당의 모임이 끝난 후에 유대인과 유대교에 입교한 경건한 사람들이 많이 바울과 바나바를 따르니 두 사도가 더불어 말하고 항상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있으라 권하니라
44그 다음 안식일에는 온 시민이 거의 다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자 하여 모이니
45유대인들이 그 무리를 보고 시기가 가득하여 바울이 말한 것을 반박하고 비방하거늘
 
사도행전 13:47–52
47주께서 이같이 우리에게 명하시되 내가 너를 이방의 빛으로 삼아 너로 땅 끝까지 구원하게 하리라 하셨느니라 하니
48이방인들이 듣고 기뻐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찬송하며 영생을 주시기로 작정된 자는 다 믿더라
49주의 말씀이 그 지방에 두루 퍼지니라
50이에 유대인들이 경건한 귀부인들과 그 시내 유력자들을 선동하여 바울과 바나바를 박해하게 하여 그 지역에서 쫓아내니
51두 사람이 그들을 향하여 발의 티끌을 떨어 버리고 이고니온으로 가거늘
52제자들은 기쁨과 성령이 충만하니라
 
이 말씀을 들은 이들 중 유대인과 유대교에 입교한 경건한 사람들은 바울과 바나바를 따르며 하나님의 말씀을 들으려 했으나 이를 반대한 유대인들은 도리어 경건한 귀부인들과 유력자들을 선동하여 바울과 바나바를 박해하였고 이로 인해서 바울은 안디옥에서 이고니온으로 가게 된다. 
 
이고니온에서도 마찬가지로 바울은 유대인의 회당에 들어가 복음을 선포했다.
 
사도행전 14:1–7
1이에 이고니온에서 두 사도가 함께 유대인의 회당에 들어가 말하니 유대와 헬라의 허다한 무리가 믿더라
2그러나 순종하지 아니하는 유대인들이 이방인들의 마음을 선동하여 형제들에게 악감을 품게 하거늘
3두 사도가 오래 있어 주를 힘입어 담대히 말하니 주께서 그들의 손으로 표적과 기사를 행하게 하여 주사 자기 은혜의 말씀을 증언하시니
4그 시내의 무리가 나뉘어 유대인을 따르는 자도 있고 두 사도를 따르는 자도 있는지라
5이방인과 유대인과 그 관리들이 두 사도를 모욕하며 돌로 치려고 달려드니
6그들이 알고 도망하여 루가오니아의 두 성 루스드라와 더베와 그 근방으로 가서
7거기서 복음을 전하니라
 
루스드라에서도 극심한 박해를 받고 바울을 돌로 치려는 이들이 생겨서 도망하여 루스드라고 향하게 된다. 루스드라는 디모데의 고향이다. 이곳에서 바울은 나면서부터 발을 쓰지 못하는 한 사람을 고쳤고 이로 인해서 사람들은 바울은 헤르메스라 하고 바나바는 제우스라고 여기며 그를 따르려고 했다. 
 
사도행전 14:8–22
8루스드라에 발을 쓰지 못하는 한 사람이 앉아 있는데 나면서 걷지 못하게 되어 걸어 본 적이 없는 자라
9바울이 말하는 것을 듣거늘 바울이 주목하여 구원 받을 만한 믿음이 그에게 있는 것을 보고
10큰 소리로 이르되 네 발로 바로 일어서라 하니 그 사람이 일어나 걷는지라
11무리가 바울이 한 일을 보고 루가오니아 방언으로 소리 질러 이르되 신들이 사람의 형상으로 우리 가운데 내려오셨다 하여
12바나바는 제우스라 하고 바울은 그 중에 말하는 자이므로 헤르메스라 하더라
13시외 제우스 신당의 제사장이 소와 화환들을 가지고 대문 앞에 와서 무리와 함께 제사하고자 하니
14두 사도 바나바와 바울이 듣고 옷을 찢고 무리 가운데 뛰어 들어가서 소리 질러
15이르되 여러분이여 어찌하여 이러한 일을 하느냐 우리도 여러분과 같은 성정을 가진 사람이라 여러분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은 이런 헛된 일을 버리고 천지와 바다와 그 가운데 만물을 지으시고 살아 계신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함이라
16하나님이 지나간 세대에는 모든 민족으로 자기들의 길들을 가게 방임하셨으나
17그러나 자기를 증언하지 아니하신 것이 아니니 곧 여러분에게 하늘로부터 비를 내리시며 결실기를 주시는 선한 일을 하사 음식과 기쁨으로 여러분의 마음에 만족하게 하셨느니라 하고
18이렇게 말하여 겨우 무리를 말려 자기들에게 제사를 못하게 하니라
19유대인들이 안디옥과 이고니온에서 와서 무리를 충동하니 그들이 돌로 바울을 쳐서 죽은 줄로 알고 시외로 끌어 내치니라
20제자들이 둘러섰을 때에 바울이 일어나 그 성에 들어갔다가 이튿날 바나바와 함께 더베로 가서
21복음을 그 성에서 전하여 많은 사람을 제자로 삼고 루스드라와 이고니온과 안디옥으로 돌아가서
22제자들의 마음을 굳게 하여 이 믿음에 머물러 있으라 권하고 또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려면 많은 환난을 겪어야 할 것이라 하고
 
이곳에서의 가르침과 사역으로 인하여 디모데가 회심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19절을 보면 안디옥과 이고니온으로부터 온 유대인들이 바울을 돌로 쳐서 죽이려고 했고 그는 거의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가 간신히 더베로 가서 복음을 전한다. 놀랍게도 바울은 다시금 자신을 죽이려고 했던 도시, 루스드라와 이고니온과 안디옥으로 돌아가서 제자들의 마음을 굳게 하여 이 믿음에 머물러 있을 것을, 또한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려면 많은 환난을 겪어야 할 것을 전한다. 안디옥과 이고니온과 루스드라, 더베로 이어지는 여정을 가졌던 바울은 다시금 되돌아가면서 더베에서 루스드라, 이고니온, 안디옥으로 향하면서 자신의 가르침대로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려는 사람의 삶의 자세를 온 몸으로 보여준 것이다. 그리고 이 바울의 복음 증거와 그가 겪은 많은 환난을 눈으로 지켜본 디모데는 이 가르침을 몸소 체험했던 것이다. 
 
‘주께서 이 모든 것 가운데서 나를 건지셨느니라’, 바울은 앞선 안디옥과 이고니온과 루스드라에서 당한 일, 이 모든 것을 눈으로 목도한 디모데에게 힘있게 바로 주님께서 자신을 건지셨음을, 구원하셨음을 선포했고 디모데는 너무나도 분명하게 이를 알고 있었다. 바로 이것이 간증이다. 주님의 말씀대로 자신의 삶가운데 이루어진 일을 고백하는 것이다. ‘건지셨느니라’로 번역된 ‘에르뤼사토’는 ‘건지다, 구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뤼오마이’의 부정 과거형으로 주님께서 이 모든 박해와 고난에서 단번에 구원하셨음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모든 박해와 고난 속에서 바울을 건져주신 주님께서는 동일한 복음 전도자인 디모데를 또한 우리를 건져주실 것이다(시 27:1-5; 91편; 125편; 사 43:2; 나 1:7).
 
우리는 보고 알고 믿음으로 건지심을 받은 자들이다. 
 
3:11 With two plural nouns διωγμοῖς and παθήμασιν, and with ὑπήνεγκα, “I endured,” Paul makes concrete the reality of his ὑπομονή. διωγμοί** is used in the NT of “persecutions” suffered for religious reasons (Mt. 13:21; Mk. 4:17; 10:30; Acts 8:1; 13:50; Rom. 8:35; 2 Cor. 12:10; 2 Thes. 1:4). παθήματα means generally “that which is suffered or endured.” Used with τοῖς διωγμοῖς it refers to “sufferings” endured as a result of persecution (cf. 2 Cor. 1:6–7; W. Michaelis, TDNT V, 930ff.). The qualitative relative pronoun οἷα, “such as, what kinds of,” points to definite difficulties that Paul (μοι) experienced (ἐγένετο). It is neuter in agreement with its antecedent, τοῖς παθήμασιν. A second qualitative relative pronoun, masculine οἵους, agrees with διωγμούς, which follows it.
By repeating διωγμοί Paul focuses on “persecutions” and by naming certain towns he calls to mind actual events that Timothy “followed.” These events Paul “endured” or “bore up under” (ὑπήνεγκα, aorist of ὑποφέρω,** also in 1 Cor. 10:13; 1 Pet. 2:19) in Antioch, Iconium, and Lystra, as related in Acts (13:45, 50; 14:1–5, 19). These towns were in the area from which Timothy came, and Timothy was aware of these episodes when he agreed to join Paul in the ministry (Acts 16:1–6). Paul mentions these earliest persecutions rather than later ones, probably because he wants to remind Timothy of his commitment to the apostle and his ministry from the very beginning and that from the very beginning that ministry has involved persecutions.
Paul adds the note of triumph in the Lord that marks his accounts of suffering and persecution: καὶ ἐκ πάντων με ἐρρύσατο ὁ κύριος, “and out of them all the Lord delivered me” (words very close to Ps. 33:20 LXX; cf. Paul’s litany of difficulties and deliverances in 2 Cor. 4:7–9). He uses ἐκ in the sense of being delivered “out of” these persecutions, not in the sense of being kept “from” them. He rejoices because he has been brought through persecution and finally out of it (cf. “persecuted [διωκόμενοι] but not forsaken,” 2 Cor. 4:9).
ἐρρύσατο (aorist of ῥύομαι) means here “he delivered, rescued.” The deliverer is ὁ κύριος, Christ, the master whom Paul serves and who can and does preserve his servant (cf. 2:24 on who is in view with κύριος). Paul speaks in absolute terms with ἐκ πάντων, “out of them all.” In every instance the Lord delivered him. And even when the last episode comes and leads to death, the Lord will still deliver, for then, Paul says, the Lord “will deliver me from every evil deed and will bring me safely to his heavenly kingdom” (4:18, with v. 17 the other PE* uses of the verb). Paul thus ends this catalog of what Timothy has “followed” emphasizing persecutions and the mighty Lord who always deliver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LXX Septuagint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39–440.
 
12절) 10절과 11절에서는 바울 자신의 가르침과 그가 당한 핍박을 다루었다. 그렇다면 주님과 하나님나라를 위하여 복음을 전하는 핍박은 특별한 사역자들만의 몫인가? 그렇지 않다. 바울은 본 12절에서 분명하게 경건하게 살고자 하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박해를 받을 것임을 말해주고 있다. 
‘경건하게 살고자 하는 자’로 번역된 ‘호이 델론테스 유세보스 젠’은 목회서신에서 두드러지는 어구이다. 
‘경건하게’로 번역된 ‘유세보스’는 ‘경배하다, 경의를 표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세보’에서 파생되었고 이것의 명사형은 ‘유세베이아, 경건, 독실함’이고 ‘셈노스, 존경할만한, 위엄있는’이라는 표현들이 사용된다. 이처럼 신에 대한 존경과 경외심을 가지는 것은 모든 종교인의 자세이다. 그래서 바울은 그런 종교인들과 이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엔 크리스토 이에수’라는 표현을 분명하게 사용한다. 단순히 종교심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예수를 주로 고백하고 그의 주권인 인정하며 삶을 살아가기로 다짐한 이들의 삶, 그들이 추구하는 경건은 절대로 세상과 타협할 수 없으며 이는 필연적으로 박해와 고난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박해을 받으리라’에 해당하는 ‘디옥데손타이’는 ‘박해하다, 받해받다, 추구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디옥토’의 3인칭 미래 수동태 직설법 표현이다. 이는 미래에 확실하게 발생하는 일을 묘사하고 있다. 11절에는 이것의 명사형인 ‘디옥모스’가 반복적으로 사용되었다. 
 
바울은 앞서 안디옥과 이고니온과 루스다라에서 받은 핍박을 자세히 설명하고 나서도 동일한 고백을 한 바 있다. 
 
사도행전 14:22
22제자들의 마음을 굳게 하여 이 믿음에 머물러 있으라 권하고 또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려면 많은 환난을 겪어야 할 것이라 하고
 
’No cross, No crown’, 고난이 없이는 영광이 없다. 이는 바울의 가르침의 일관된 주장이다. 
 
3:12 Paul now states a general principle regarding persecution and attaches it to what he has said about his own experiences of persecution with postpositive δέ and καί, which together have the force of “and also”: Just as Paul has endured persecutions so “also” this will be the case for Christians in general. πάντες … οἱ θέλοντες εὐσεβῶς ζῆν ἐν Χριστῷ Ἰησοῦ, “all who desire to live godly in Christ Jesus,” is not a designation of a subgroup of Christians who desire a more godly life but rather a description of real Christians in distinction from those who follow false teaching. εὐσεβῶς ζῆν, “to live godly,” is a description of the condition that grace brings about in the life of the one saved by Christ (cf. Tit. 2:11–12 and see the comments there for a discussion of these two terms). οἱ θέλοντες, “those desiring, those wanting,” is used with the verb to express the will, purpose, or resolve (cf. Heb. 13:18; BAGD s.v. 2; G. Schrenk, TDNT III, 49) of those who truly want to be godly, in contrast to those who have only the form of godliness (cf. v. 5).
The godly life desired is found ἐν Χριστῷ Ἰησοῦ, i.e., in a living relationship with Christ through faith in him (see especially 1 Tim. 1:14; Gal. 2:20). With “life in Christ Jesus” Paul recalls the introductory statement in this letter (the infinitive ζῆν here, the noun ζωή in 1:1; this combination elsewhere in Paul only in Rom. 6:11 [with the participle ζῶντας]). “All” (πάντες) so characterized means for Paul “all” Christians (for πάντες with a plural participle in Paul to designate all Christians cf. Rom. 1:7; 4:11; 1 Cor. 1:2; Eph. 6:24; 1 Thes. 1:7; 2 Thes. 1:10), as in 4:8.
Thus, as a general rule, all Christians “will be persecuted” as Paul was (διώκω, the only occurrence in the PE with the meaning “persecute”; elsewhere in Paul with this meaning in Rom. 12:14; 1 Cor. 4:12; 15:9; 2 Cor. 4:9; Gal. 1:13, 23; 4:29; 5:11; 6:12; Phil. 3:6). This principle was already stated by Jesus (cf. Mt. 10:22–23; Lk. 21:12; Jn. 15:20) and by Paul, both on his first missionary journey (Acts 14:22) and in his earliest correspondence (1 Thes. 3:4).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PE Pastoral Epistles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40–441.
 
 
 
 
728x90

기모간사소식 125(2023-2-14) 더기쁨교회 설립예배

 

급하게 한가지 소식을 전합니다. 

제가 ‘더기쁨교회’ 사역을 하고 있는 것 알고 계실텐데요 이번 2월 26일(주일) 오후 3시에 설립예배를 드리기로 했습니다. 

지난번 소식에도 나눈 것처럼 2015년 캐나다에서 돌아와서 ‘푸른초장교회’에서 섬기다가 2019년 9월 8일 교회 예배 장소를 현재 ‘커피집 이공’으로 옮기면서 교회 이름을 ‘더기쁨교회’로 변경하여 모임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2020년 4월 28일 대신총회 서경노회 춘계정기노회에서 교회 설립청원을 했습니다. 원래대로라면 2020년에 설립예배를 드려야했는데 코로나 상황이 심한 상태여서 설립예배를 드리지 못하고 모임을 가지다가 이제야 노회 주관으로 설립예배를 드리게 되었습니다. 

더기쁨교회 첫 예배 주보
2020년 4월 서경노회 정기노회 더기쁨교회 설립청원

 

현재 ‘더기쁨교회’는 주일에는 ‘커피집 이공’ 카페(서울 양천구 오목로 204 2층)를 빌려서 모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중에는 1:1 제자훈련을 진행하고 있고, 매주 금요일 저녁 8:00-9:30 성경읽기 기도회를 줌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더기쁨교회 예배, 행사, 금요 성경읽기 모임

 

‘더기쁨’이라는 이름의 의미는 바로 그(The) 기쁨이라는 의미와 더(more) 많은 기쁨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급하지 않게 차근차근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교회,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교회’로 세워져 나가기를 기도합니다. 

이 기쁨의 자리에 모든 분이 함께 해주시기를 원하지만 모임 공간이 협소해서 많은 분을 초청하지 못하는 것을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기도로 함께 해주시고 꼭 참석을 원하시는 분은 저에게 반드시 연락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기도제목

1. 설립예배가 은혜 가운데 잘 진행되도록(2023년 2월 26일 주일 오후 3시) 

2. 교회(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교회,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교회)가 든든히 세워져 가도록

 

 

2023년 2월 14일

 박기모 드림

728x90
For among them are ithose who creep into households and capture weak women, burdened with sins and led astray by various passions, always learning and never able to jarrive at a knowledge of the truth. Just as kJannes and Jambres lopposed Moses, so these men also oppose the truth, mmen corrupted in mind and ndisqualified regarding the faith. But they will not get very far, for their folly will be plain to all, oas was that of those two men.
i [Titus 1:11]
j 1 Tim. 2:4
k Ex. 7:11
l [Acts 13:8]
m See 1 Tim. 6:5
n Titus 1:16
o Ex. 7:12; 8:18; 9:11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3:6–9.
 
6 그들 중에 남의 집에 가만히 들어가 어리석은 여자를 유인하는 자들이 있으니 그 여자는 죄를 중히 지고 여러 가지 욕심에 끌린 바 되어
7 항상 배우나 끝내 진리의 지식에 이를 수 없느니라
8 얀네와 얌브레가 모세를 대적한 것 같이 그들도 진리를 대적하니 이 사람들은 그 마음이 부패한 자요 믿음에 관하여는 버림 받은 자들이라
9 그러나 그들이 더 나아가지 못할 것은 저 두 사람이 된 것과 같이 그들의 어리석음이 드러날 것임이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3:6–9.
 
6절은 접속사 ‘가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진실로, 던언컨대’라는 단정의 의미를 지닌다. 
 
6절) 본문에 ‘가만히 들어가’로 번역된 ‘엔뒤논테스’는 ‘~안에, ~가까이에’란 뜻의 전치사 ‘엔’과 ‘해가 지다, 가라앉다’라는 의미의 동사 ‘뒤노’의 합성어로 ‘남의 눈을 속이고 몰래 들어가다’라는 뜻의 ‘엔뒤노’의 현재 분사형이다. 이는 앞서 살펴본대로 말세의 징조를 나타내는 사람들이 사람들의 집을 가가호호 방문하여 은밀하고도 집요하고 교활하게 속이는 모습을 드러낸다. 이들은 왜, 누구에게 은밀하게 접근하는가? 
 
‘어리석은 여자를 유인하’기 위해서이다. 본문에서 ‘어리석은 여자’로 번역된 ‘귀나이카리아’는 ‘여자’를 의미하는 ‘귀네’에 축소형 어미가 결합되어 ‘어리석은, 유약한 여인’ 즉 여성에 대한 경멸과 동정을 암시하는 부정적인 표현이다. 
 
이렇게 어리석은 여자들에게 접근하는 자들을 ‘유인하는 자들’이라고 묘사한다. ‘유인하는’이라고 번역된 ‘아이크말로티존테스’는 ‘포로로 잡다’라는 의미를 지닌 동사 ‘아이크말로티조’의 현재 분사형이다. 이는 마치 야생의 새나 짐승을 덫으로 잡아 꼼짝 못하게 하는 것처럼, 패잔병들이 비참하게 포로로 끌려가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거짓 교사들의 속임수에 넘어간 어리석은 여자들이 자신들의 생각과 행동을 지배당한 상태를 생생하게 묘사한다. 아마도 당시 여인들이 자신의 집에 철학자들이나 예술가들을 초대하여 이야기를 듣거나 배움을 받는 관습들이 있었는데 이를 악용하여 여인들을 속이는 이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문에서 말하는 죄를 중히 지고 여러가지 욕심에 끌린바 된 ‘그 여자’는 바로 앞선 ‘어리석은 여자'를 말한다. ‘그 여자는 ~ 중히 지고’로 번역된 ‘세소류메나’는 ‘쌓아 올리다, 축적하다’라는 의미의 ‘세류오’의 현재 완료 분사형으로 죄를 마치 무더기로 쌓아올려 축적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욕심’으로 번역된 ‘에피듀미아’는 ‘음욕, 탐심, 정욕’의 의미로 지나치게 자기 방종한 욕망을 가리킨다. 이들은 인정받고 싶은 욕구, 박식하다는 평을 듣고 싶은 욕심, 자신의 집을 방문한 이들 특히 남성들이 자신들에게 주목해 주기를 바라는 욕심에 끌린바 된 것이다. 
이처럼 죄와 욕심은 서로 깊이 연결되어 있다. 욕심은 죄를 낳고 죄는 다시금 욕심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유인하는 자, 거짓 교사들의 영향을 받은 어리석은 여인들은 계속해서 죄를 축적하고 있는 것이다. 
 
3:6 Paul now turns to a subgroup of those he has just mentioned (ἐκ τούτων). γάρ indicates that this statement provides further explanation why Timothy must “avoid” such people. Present tense εἰσιν and ἐνδύνοντες speak of what is happening as Paul writes (see Ellicott) and provide another indication that the preceding future tense verbs do not apply only to a distant future.
What these false teachers do is described in the present tense participial clause. ἐνδύνοντες** (a NT hapax) can mean simply “entering,” but it is used here with a negative overtone so that “creeping in” (NASB), “worming in” (BAGD, NIV), or “making their way into” (RSV) expresses the nuance better (the same idea is found in Jude 4 [παρεισέδυσαν]; 2 Pet. 2:1; Gal. 2:4). They enter “houses” (for τὰς οἰκίας see 1 Tim. 5:13) “to capture weak women.” With the participle αἰχμαλωτίζοντες** (literal in Lk. 21:24; figurative in Rom. 7:23; 2 Cor. 10:5), “capturing,” Paul continues the military imagery that he used in 2:26.
Those whom the false teachers seek to capture are designated with γυναικάρια,** a diminutive of γυνή (and a NT hapax used with similar significance in extrabiblical literature [see BAGD]), literally “little women,” which is used here with a negative connotation. It is the immaturity and thus the weakness of these “childish women” that make them susceptible to the false teachers. Paul does not use the term to derogate women but to describe a situation involving particular women. That he uses a diminutive form shows that he is not intending to describe women in general.
The reason that these women are characterized as childish and weak is given in two qualifying participial clauses. The passive participle σεσωρευμένα** (the verb also in Rom 12:20, basically “heap or pile up”) means here “overwhelmed,” and its perfect tense specifies that this is a condition that these women are continually in (see Field, Notes). They are overwhelmed by their “sins” (ἁμαρτίαις, dative of means; elsewhere in the PE* in 1 Tim. 5:22, 23).
Not only are they overwhelmed by past sins, they are being continually led in the present (ἀγόμενα, present passive; cf. 1 Cor. 12:2) by a multitude of desires (ἐπιθυμίαις ποικίλαις, dative of means; on ἐπιθυμία see 1 Tim. 6:9; on its use with ποικίλος see Tit. 3:3). ἐπιθυμίαις is used here specifically of evil desires (as it usually is in the NT). These women’s desires are ποικίλαις, “manifold,” or “of various kinds.” That their consciences are burdened by past sins and their lives controlled by such desires puts them in a weakened condition and makes them vulnerable to false teachers who “capture” them as followers.
3:7 The condition these wome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33–434.
 
7절) 여러가지 욕심에 끌리는 여인들은 자신이 인정받기를 원하고 뭔가를 배우기를 원한다. 여기서 ‘배우나’로 번역된 ‘만나논타’는 ‘학습하다, 배우다’라는 의미의 동사 ‘만다노’의 현재 분사형이다. 어리석은 여자들은 거짓 교사들이 전하는 거짓된 가르침에 마음을 빼앗기고 도리어 빠져든다. 그것의 결과는 결코 ‘진리의 지식’에 이를 수 없다. ‘진리의 지식’이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진리의 충만한 지식, 복음 그 자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 어리석은 여인들은 지적 허영에 빠져서 거짓 교사들의 화려한 가르침에 천착하지만 결코 이것은 구원으로 이끌지 못하는 것이다. 
‘이를 수 없느니라’라는 표현은 가능성이 전혀 없어 불가능하다라는 표현이다. 바울은 이처럼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경건의 능력은 없는 이들, 거짓 가르침을 전하는 이들의 잘못된 교훈에 빠져들면 절대로 구원에 이른 진리의 지식에 이를 수 없음을 확신있게 말하고 있다. 
이단과 사이비의 가르침이 그러하다. 신천지나 통일교와 같은 이단은 감언이설로 사람들을 미혹한다. 어리석은 이들은 이러한 거짓 가르침에 빠져서 점점 깊은 수렁에 빠져들게 되는데 아무리 노력해도 결코 진리의 지식에 이를 수 없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어리석은 여자들이 거짓 가르침에 넘어가지 않도록 이들을 먼저 진리의 지식으로 인도해야한다. 
 
3:7 The condition these women enter when they are thus captured is described as that of perpetual learners who never learn the truth. The neuter accusative plural participle μανθάνοντα (as does δυνάμενα) continues to refer to neuter accusative plural γυναικάρια, as did the previous participles, σεσωρευμένα and ἀγόμενα. They are “learning” from the instruction (μανθάνοντα) of these false teachers and are doing so “constantly” or “always” (πάντοτε, adverb of time in a negative sense here as in 1 Thes. 2:16).
Concomitant (καί) with this constant learning is the sad fact that they “never,” “never at all” (μηδέποτε,** a NT hapax and adverb of time, an intensifying negative compound [Robertson, Grammar, 1173], here as the opposite of πάντοτε) are able to come to the knowledge of the truth, which is the opposite of what would be expected of those who are “constantly learning.” The very falseness of the teaching itself makes them not “able” (δυνάμενα; cf. Mt. 23:15 and for the contrast 2 Tim. 3:15) to learn the truth.
εἰς 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 ἐλθεῖν, “to come to the knowledge of the truth,” is associated with being saved in 1 Tim. 2:4; εἰς 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 is associated with repentance in 2 Tim. 2:25; and ἐπίγνωσις ἀληθείας is associated in Tit. 1:1 with the faith of God’s chosen and with godliness (these are the other three occurrences of ἐπίγνωσις ἀληθείας** in the PE [see the comments on each passage: 1 Tim. 2:4; 2 Tim. 2:25; Tit. 1:1], which appears elsewhere in the NT only in Heb. 10:26). ἐπίγνωσις ἀληθείας presents “the content of Christianity as the absolute truth” (BAGD s.v. ἀλήθεια 2b). “To come into” that knowledge is to acknowledge and embrace the truth of the gospel and be converted by it so that the things associated with this phrase in the other PE occurrences (repentance, faith, being saved, living in godliness) become a reality in one’s life. The terrible consequence of the false teaching is that these women, who are so burdened, never really learn the truth that can make them free.
3:8 Paul turns to the false tea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34.
 
8절) 바울은 어리석은 여자들을 유인하는 자를 구약에 모세를 대적했던 이들, 얀네와 얌브레와 비교하고 있다. 
 
출애굽기 7:8–13
8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9바로가 너희에게 이르기를 너희는 이적을 보이라 하거든 너는 아론에게 말하기를 너의 지팡이를 들어서 바로 앞에 던지라 하라 그것이 뱀이 되리라
10모세와 아론이 바로에게 가서 여호와께서 명령하신 대로 행하여 아론이 바로와 그의 신하 앞에 지팡이를 던지니 뱀이 된지라
11바로도 현인들과 마술사들을 부르매 그 애굽 요술사들도 그들의 요술로 그와 같이 행하되
12각 사람이 지팡이를 던지매 뱀이 되었으나 아론의 지팡이가 그들의 지팡이를 삼키니라
13그러나 바로의 마음이 완악하여 그들의 말을 듣지 아니하니 여호와의 말씀과 같더라
 
성경에는 이들의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유대 문헌이나 초대 그리스도교 문헌에서 등장한다. 요나단 탈굼이나 외경에 의하면 이들은  출애굽 당시 모세를 대적했던 애굽의 마술사들의 이름이라고 나온다. 얀네는 아람어로 ‘유혹하는 자’, 암브레는 ‘반란을 일으키는 자’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들 문헌에서는 얀네와 얌브레는 사기꾼으로 모세의 기적을 보고 자신들이 이스라엘의 출애굽을 막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후 유대교로 개종하여 이스라엘 백성들 속에서 그들의 파멸을 촉박시키기로 작정했다고 말한다. 실제로 유대인의 전승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들을 설득해서 그들로 하여금 금송아지를 만들게 하고 거기에 절하게 만든 장본인이 이들이었다고 한다. 얀네와 얌브레게 모세를 대적하여 이스라엘을 잘못된 길로 인도한 것과 같이 바울과 디모데의 가르침을 반대하여 사람들을 거짓의 길로 인도한다는 점에서 당시 거짓 교사들이 얀네와 얌브레와 같이 거짓을 전하는 사기꾼이요, 하나님의 백성들 사이에 가만히 들어와 교회를 파괴하는 이들의 실상을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There is another sect, also, of adepts in the magic art, who derive their origin from Moses,16946 Jannes,16947 and Lotapea,16948 Jews by birth,16949 but many thousand years posterior to Zoroaster: and as much more recent, again, is the branch of magic cultivated in Cyprus.16950 In the time, too, of Alexander the Great, this profession received no small accession to its credit from the influence of a second Osthanes, who had the honour of accompanying that prince in his expeditions, and who, evidently, beyond all doubt, travelled16951 over every part of the world.
16946 Moses, no doubt, was represented by the Egyptian priesthood as a magician, in reference more particularly to the miracles wrought by him before Pharaoh. From them the Greeks would receive the notion.
16947 In 2 Tim. iii. 8, we find the words, “Now as Jannes and Jambres withstood Moses, so do these also resist the truth.” Eusebius, in his Prœ paratio Evangeliea, B. ix., states that Jannes and Jambres, or Mambres, were the names of Egyptian writers, who practised Magic, and opposed Moses before Pharaoh. This contest was probably represented by the Egyptian priesthood as merely a dispute between two antagonistic schools of Magic.
16948 Of this person nothing is known. The former editions mostly have “Jotapea.” “Jotapata” was the name of a town in Syria, the birthplace of Josephus.
16949 He is mistaken here as to the nation to which Jannes belonged.
16950 By some it has been supposed that this bears reference to Christianity, as introduced into Cyprus by the Apostle Barnabas Owing to the miracles wrought in the infancy of the Church, the religion of the Christians was very generally looked upon as a sort of Magic. The point is very doubtful.
16951 His itinerary, Ajasson remarks, would have been a great curiosity.
 Pliny the Elder, The Natural History, ed. John Bostock (Medford, MA: Taylor and Francis, Red Lion Court, Fleet Street, 1855), 5425.
 
얀네와 얌브레와 같은 거짓 교사들의 특성을 본문을 두가지로 언급한다. 첫째로 이들은 마음이 부패한 이들이며 둘째로 믿음에 관하여는 버림 받은 자들이다. 
‘마음’으로 번역된 ‘누스’는 오늘 우리가 생각하는 정서의 자리만이 아니다. 히브리인들에게 있어서 마음은 인간의 지성과 감성과 의지등 인간의 전인격의 좌소이다. 그런데 거짓 교사들의 경우 이 전인격의 자리인 마음이 부패한 것이다. ‘부패한 자’로 번역된 ‘카텝다르메노이’는 강조를 나타내는 접두어 ‘카타’와 ‘파괴하다, 멸망시키다’란 의미의 ‘프테이로’의 합성어로 ‘완전히 파괴하다’라는 ‘카탑데이로’의 현재 완료 분사형이다. 현재 완료 시제가 사용된 것은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계속 이러한 상태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둘째 이들은 믿음에 관하여 버리운 자들이다. ‘믿음, 피스틴’은 일차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이며 나아가 ‘그리스도교 전반에 대한 객관적인 믿음’을 의미한다. ‘버리운 자들이라’로 번역된 ‘아도키모이’의 원형 ‘아도키모스’는 부정 불변사 ‘아’와 ‘시험에 통과해서 인정된’이란 의미를 지닌 ‘도키모스’의 합성어로 ‘실패한, 자격을 잃은, 타락한’이라는 의미인데 여기서는 ‘시험에서 탈락되어 인정되지 못한’ 의미이다.  ‘조사하다, 검증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도키마조’는 마치 국무위원에 대한 인사 검증, 혹은 금과 은이 풀무불을 통과하여 순금, 순은 인지를 테스트하는 것을 의미한다(잠 27:21). 거짓 교사들의 믿음은 불순한 금속을 섞어서 만들어진 주화와 같은 것이어서 검증을 통과하지 못하기에 이러한 위조 지폐는 폐기되어야 마땅한 것이다. 
잠언 27:21
21도가니로 은을, 풀무로 금을, 칭찬으로 사람을 단련하느니라
 
). There is some ambiguity in the combination δοκιμάζειν τὰ διαφέροντα (Rom 2:18; Phil 1:10), which could mean “to examine [discover, determine] the things that make a difference” or, more prob., “to approve of what is superior” (NIV; the NRSV gives a third option, “determine what is best”).
In at least one passage (2 Cor 8:2), the noun δοκιμή has what may be regarded as an active meaning, “act/process of testing, trial, ordeal” (perhaps also 2:9 [NRSV, “to test you”; but NIV, “to see if you would stand the test”]; 9:13 [NRSV, “through the testing of this ministry”; but NIV, “the service by which you have proved yourselves”]; 13:3 [where the usual rendering “proof” could be understood as either act. or pass.]). Otherwise it has a passive nuance, i.e., the result of having been tested, and in these cases the rendering “[tested/proven] character” is sometimes appropriate (Rom 5:4; Phil 2:22). The rare noun δοκίμιον occurs only in the phrase τὸ δοκίμιον ὑμῶν τῆς πίστεως, used in both Jas 1:3 and 1 Pet 1:7 (letters that share various similarities), but with differing nuances. In the former, which has πειρασμός in the background (Jas 1:2), the sense is clearly active, referring to the testing of the believer’s faith as a process that “produces perseverance.” In 1 Pet 1:7, however, the author describes the result of the trial: “so that the proven genuineness of your faith … may result [lit., may be found] in praise, glory and honor”; here Peter, under OT influence, compares this experience with gold that is “tested/refined [δοκιμαζομένου] by fire.”
2 Theological teaching. (a) The passages of Scripture that speak of testing, trial, recognition, and rejection are addressed specifically to those who are part of the church. In Heb 6:8 the figure of a “worthless” (ἀδόκιμος) land illustrates the failure to bear the fruit of repentance and faith (the context is apostasy, 6:4–6; cf. ἀποδοκιμάζω in 12:17).
(b) What matters in testing is that we use God’s gifts aright. Timothy, to whom the word of truth had been entrusted, was to show himself as an approved worker (2 Tim 2:15) by faithful preaching. On the other hand, those who do not honor God according to the knowledge granted them, who reject knowing him (οὐκ ἐδοκίμασαν τὸν θεόν ἔχειν ἐν ἐπιγνώσει, lit., “did not approve of retaining God in their knowledge”), are given over to a base mind (ἀδόκιμον νοῦν) and to improper conduct as a punishment (Rom 1:28).
(c) God himself tests and passes judgment on the day of judgment. Paul   1권, 759쪽  declares in 1 Cor 3:13 that all service for the church and all the fruit borne by it are subjected to God’s testing and verdict in the fire of judgment. The determining factors will be whether faith was created (3:5) and the church built up (3:10). Those who have stood the test in faith will receive eternal life as the victor’s crown (Jas 1:12).
(d) This test is taking place already in this life. God even now shows himself as the tester of human hearts (1 Thess 2:4). So the whole of a Christian’s life is subject to the testing scrutiny of God. All depends on our being found as “approved in Christ” (Rom 16:10; NIV 2011 ed., “whose fidelity to Christ has stood the test”). Paul submitted himself to the judgment of God, not to that of human beings (1 Cor 9:27; cf. 4:3–5), even though they can and should recognize when someone has stood the test (2 Cor 13:3; Phil 2:22). The content and goal of Paul’s pastoral care of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is that they should be found obedient (2 Cor 2:9).
(e) That one has stood the test is manifested in various ways. (i) By a serious effort to know the will of God. The gift of the Holy Spirit enables us to recognize God’s will (Rom 12:2) and to test what is well-pleasing to God (Phil 1:10; Eph 5:10) and what is best (1 Thess 5:21). The gift of testing and distinguishing of the spirits (1 John 4:1) is also part of the Christian’s duty. (ii) By one’s loyalty to God. The vb. δοκιμάζω is used side-by-side with πειράζω G4279 and ἐπιγινώσκω (see γινώσκω G1182) in 2 Cor 13:5 so as to move the Corinthians to the crucial task of testing their own faithfulness. (iii) By love to one’s neighbor. In the instructions regarding the collection (2 Cor 9:13), Paul writes that because of the Corinthians’ “testing” (or proving themselves) in this service many praise God. (iv) By holding fast to hope in the midst of tribulation. The church is exposed to attacks from within and without, from satanic powers and godless people. It lives by faith, not by sight. In this position willed by God it maintains its living hope by remaining under God’s hand, by the overflowing of the riches given by God and of the goodness created by the Spirit to others (2 Cor 8:2), by patience (Jas 1:2–3), and by overcoming temptations (1 Pet 1:6–7).
Bibliography
TDNT 2:255–60; EDNT 1:341–43; Spicq 1:353–61; TDOT 2:69–72; 2:475–79; NIDOTTE 1:636–38; 3:847–53.
prob. probable, probably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2011 ed., unless othewisde indicated)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2011 ed., unless othewisde indicated)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2011 ed., unless othewisde indicated)
act. active
pass. passive
i.e. id est (that is)
lit. literal(ly), literature
OT Old Testament
cf. confer (compare)
lit. literal(ly), literatur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2011 ed., unless othewisde indicated)
ed. edition(s)
cf. confer (compare)
vb. verb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 Kittel and G. Friedrich, transl. G. W. Bromiley, 10 vols. (1964–76)
EDNT 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H. Balz and G. Schneider, 3 vols. (1990–93)
Spicq C. Spicq, Theological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transl. and ed. J. D. Ernest, 3 vols. (1994)
TDO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ed. G. J. Botterweck et al., transl. J. T. Willis et al., 15 vols. (1974–2006)
NIDOTTE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ed. W. Van Gemeren, 5 vols. (1997)
 Moisés Silva,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4), 758–759.
 
3:8 Paul turns to the false teachers, as is evidenced by the subject matter itself, by the use of masculine οὗτοι, and by the use of ἄνθρωποι in its more restricted masculine sense (cf. 2:2). He likens them to “Jannes and Jambres” who opposed Moses and says that they also oppose the truth because of their depraved minds.
δέ ties this verse to v. 6 as further grounds for the command in v. 5b and prepares the way for the comparison applied to the false teachers by οὕτως καί. The adverbial accusative τρόπον is the antecedent of ὅν, with which it is incorporated in the relative clause (Robertson). The phrase indicates a comparison, “in the manner in which,” i.e., “(just) as” (BAGD s.v. τρόπος 1; cf. BDF §475.3; ὃν τρόπον** elsewhere in the NT in Mt. 23:37; Lk. 13:34; Acts 1:11; 7:28; 15:11; 27:25).
The Egyptian sorcerers who opposed Moses before Pharaoh (Ex. 7:11ff., 22) were called Ἰάννης and Ἰαμβρῆς in Jewish writings (e.g., Targum Ps.-Jonathan 1.3; 7.2; at an earlier date in CD 5:17–19). The names were also widely known in pagan writings (e.g., Pliny, Natural History 30.1.11), so Paul’s reference to them would have presented no problem for the church at Ephesus (especially not for the false teachers, with their interest in genealogies [1 Tim. 1:4]). Even though the names do not occur in the OT text, there is no reason to doubt the reliability of the Jewish tradition (so Ellicott; for further discussion of the names and references to primary and secondary literature see BAGD; H. Odeberg, TDNT III, 192f.; Str-B III, 660–64; McNamara, NT and Palestinian Targum, 82–96).
Paul appeals to the OT episode to illustrate the point he is making about the false teachers (cf. 1 Cor. 10:4). Both groups take the same sort of action. Just as the sorcerers “opposed” (ἀντέστησαν, aorist) Moses in the past, so also the false teachers now “oppose” (ἀνθίστανται, present) “the truth” (both verb forms from ἀνθίστημι, which basically means “set oneself against”). Moses (Μωϋσεῖ, the dative required by the verb) is referred to 10x by name in Paul’s letters. In the Corinthian correspondence, as here, the references are with one exception to events in Moses’ life (1 Cor. 10:2; 2 Cor. 3:7, 13, 15). Here, even though in the first instance a person is opposed and in the second the truth is opposed, the two episodes are analogous in that opposition to Moses was really opposition to the truth of Moses’ message (cf. Ex. 7:2, 13 with Ex. 8:18–19).
With the adv. οὕτως, “so,” corresponding to the correlative ὃν τρόπον and strengthened in its comparative force by adverbial καί, “also,” what has been said about Jannes and Jambres is applied to the false teachers. The latter are referred to in the demonstrative pronoun οὗτοι, “these,” the antecedent of which is οἱ ἐνδύνοντες … καὶ αἰχμαλωτίζοντες (v. 6). That which they oppose is ἀληθείᾳ, “truth,” the truth of the gospel (cf. 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 in v. 7). Paul has used ἀλήθεια five times already in this letter (2:15, 18, 25; 3:7, 8) and will use it for the last time in 4:4.
The explanation for their opposition is given in the first of two participial clauses: These “men” (ἄνθρωποι in its distinctly masculine sense following masculine οὗτοι; see 2:2) are κατεφθαρμένοι τὸν νοῦν. νοῦς, “mind,” is used here as elsewhere in the PE* (1 Tim. 6:5 [see the comments there]; Tit. 1:15) “as the sum total of the whole mental and moral state of being” (BAGD s.v. 3; cf. J. Behm, TDNT IV, 948ff.). Here τὸν νοῦν is accusative of respect (BDF §159.3; Robertson, Grammar, 486) with the perfect passive participle κατεφθαρμένοι (from καταφθείρω,** 2 Pet. 2:12): With respect to their minds, these teachers have been “ruined” or “corrupted” (see 1 Tim. 6:5), with the passive perhaps an allusion to the devil’s activity (cf. 2:26 and the related verb διαφθείρω of the evil one in 2 Cor. 11:3).
The second participial clause gives the result of all this: The false teachers are ἀδόκιμοι (see Tit. 1:16; the opposite of δόκιμον in 2 Tim. 2:15), i.e., those who have “not stood the test” and are therefore “rejected” “with respect to” (περί; cf. 2:18) “the faith” (τὴν πίστιν, used here as in 2:18 and 1 Tim. 1:19; see the comments especially on the latter), i.e., the faith relationship with Go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DF F. Blass and A. Debrunner,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 W. Funk from the 10th German ed. Chicago, 1961.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Str-B H. Strack and P. Billerbeck, 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aus Talmud und Midrasch I–V. 3rd ed., München, 1956.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DF F. Blass and A. Debrunner,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 W. Funk from the 10th German ed. Chicago, 1961.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34–436.
 
9절) 그들이 더 나아가지 못할 것은, ‘프로콥수신’은 본래 ‘나아가다, 진보하다’라는 뜻을 지닌 원형 ‘프로콥토’의 미래형이다. 여기서는 부정어 ‘우’와 결합하여 그러한 진보가 일어나지 않을 것임을 명확히 드러낸다. 그들이 나아가지 못하는 이유는 얀네와 얌브레가 된 것 같이 저희의 어리석음이 드러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어리석음’으로 번역된 ‘아노이아’는 부정 접두어 ‘아’와 ‘정신, 지각’을 의미하는 ‘노오스’의 합성어로 ‘지각이 부족한, 지식이 결핍된’을 의미한다. 즉 얀네오 얌브레가 애굽의 주술사, 마술사로 사람들을 속여왔는데 모세의 등장으로 진정한 하나님의 능력 대결에서 패함으로 자신들의 능력과 영적 무지가 백일하에 드러났듯이 이제 에베소에서 활동하며 사람들을 미혹하는 거짓 교사들의 어리석음도 만천하에 드러나게 될 것음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한글 번역에서는 ‘모두에게’라는 의미를 지닌 ‘파신’이 번역되지 않았다. 
NIV는 이를 'their folly will be clear to everyone.’로 ESV는 이를 ' for their folly will be plain to all’로 번역했다. 
‘드러날 것임이라’로 번역된 ‘엑델로스 에스타이’에서 ‘엑델로스’는 ‘~에서 밖으로’라는 의미의 전치사 ‘에크’와 ‘분명하다’라는 의미의 ‘델로스’의 합성어로 ‘외부적으로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을 의미하며, ‘에스타이’는 미래에 반드시 일어날 일을 가리키는 직설법 미래형이다. 결국 거짓 교사들의 정체가 모든 사람들에게 밝히 드러나게 될 것임을 분명하게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3:9 Here Paul encourages Timothy by reminding him of the outcome that will meet the false teachers as it met Moses’ opponents. In contrast (ἀλλά, Ellicott suggests “notwithstanding”) with what he has written about their inroads into households, he wants Timothy to know that their impact will not continue because the “folly” of what they teach will become “obvious to everyone.” With οὐ προκόψουσιν ἐπὶ πλεῖον, “they will not advance farther,” Paul uses the same idiom that he used without the negative in 2:16 (see the comments there).
γάρ indicates that the second clause of this verse states the grounds for the first clause. ἡ ἄνοια αὐτῶν, “their folly,” refers to the teaching of the false teachers. The best understanding of this phrase is gained from Paul’s earlier appraisal of one aspect of the teaching: “They do not understand either what they are saying or the matters about which they make confident assertions” (1 Tim. 1:7). The reason that they will not advance further is that their folly will be “quite evident,” i.e., “plain” and “conspicuous” (ἔκδηλος, a NT hapax; cf. LSJM) to “all” (πᾶσιν) who are exposed to it (cf. πάντες in 1 Tim. 4:15; 2 Tim. 2:24).
Paul makes his point by comparing (ὡς) the false teachers to Moses’ opponents and by reminding Timothy that this happened with them “also” (καί): ὡς καὶ ἡ ἐκείνων ἐγένετο, literally “as also that of those came to be.” recalls ἡ ἄνοια (see BAGD s.v. 9). The demonstrative pronoun ἐκείνων, denoting a remoter object, refers back to Ἰάννης καὶ Ἰαμβρῆς, the subject in v. 8. ἐγένετο, “became,” is used with the adjective ἔκδηλος understood from the preceding clause. Paul says, therefore, that the folly of those men (Jannes and Jambres) also became evident to all. He is apparently referring to the failure of these opponents of Moses to repeat all the miracles that he brought about, which they sought to do to discount his message (e.g., Ex. 8:18–19 and especially 9:11). Thus it eventually became evident that their message was not true and was not to be followed. Paul says that the same will happen with regard to the false teachers at Ephesus.
In vv. 1–9 Paul has placed the difficulties that Timothy faces into the context of what characterizes the last days (vv. 1–7) and has compared them with the difficulties that Moses faced (vv. 8–9). Timothy and those at Ephesus have been forewarned of the difficulty (“realize this,” v. 1), warned to act decisively in response (“avoid these,” v. 5), and encouraged by what they know will be the outcome (v. 9).
LSJM H. G. Liddell and R.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rev. and augmented by H. S. Jones and R. McKenzie, with a Supplement by E. A. Barber. Oxford, 1968.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36–43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