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The qtwo angels came to Sodom in the evening, and Lot was sitting in the gate of Sodom. When Lot saw them, he rose to meet them and bowed himself with his face to the earth and said, “My lords, rplease turn aside to your servant’s house and spend the night sand wash your feet. Then you may rise up early and go on your way.” They said, t“No; we will spend the night in the town square.” But he pressed them strongly; so they turned aside to him and entered his house. And he made them a feast and baked unleavened bread, and they ate.

But before they lay down, the men of the city, the men of Sodom, both young and old, all the people to the last man, surrounded the house. uAnd they called to Lot, “Where are the men who came to you tonight? vBring them out to us, that we wmay know them.” Lot went out to the men at the entrance, shut the door after him, and said, “I beg you, my brothers, do not act so wickedly. xBehold, I have two daughters who have not known any man. Let me bring them out to you, and do to them as you please. Only do nothing to these men, for they have come under the shelter of my roof.” But they said, “Stand back!” And they said, “This fellow ycame to sojourn, and zhe has become the judge! Now we will deal worse with you than with them.” Then they pressed hard against the man Lot, and drew near to break the door down. 10 But the men reached out their hands and brought Lot into the house with them and shut the door. 11 And they struck with ablindness the men who were at the entrance of the house, both small and great, so that they wore themselves out groping for the door. 

 

q ch. 18:22

r Heb. 13:2; [Judg. 4:18]

s See ch. 18:4

t [Luke 24:28]

u Isa. 3:9; [ch. 13:13]

v Judg. 19:22

w Rom. 1:24, 27; Jude 7

x [Judg. 19:24]

y ch. 13:12

z Ex. 2:14

a [2 Kgs. 6:18; Acts 13:11]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9:1–11.

 

 

 

1-3절) 아브라함과의 만남을 뒤로하고 두 천사는 먼저 여정을 떠나 소돔을 향한다. 앞서 22절과 연결해서 읽을 수 있다. 저녁때에 두 천사가 소돔에 도착했는데 마침 롯이 소돔 성문에 앉아 있다가 그들을 보고 일어나 영접했다. 이 영접하는 모습은 흡사 아브라함이 천사들을 영접했던 것과 같다.(18:1-4) 땅에 엎드려 절하는 것은 자기보다 더 높은 사람에게 '나는 당신을 해할 의도가 없습니다'라는 의미의 상징적인 행동이었다.

롯은 두 천사에게 자신의 집에 들어와서 발을 씻고 쉬어 갈 것을 청한다. 처음 두 천사는 자신들이 거리에서 밤을 새울 것이라고 말하지만 롯의 간청으로 집에 들어가게 되고 롯이 그들을 위해서 식탁을 베풀고 무교병을 구워 먹게 하였다.

 

본문에서 마침이라는 단어는 매우 의미심장하다. 어떤 시기에 꼭 맞게, 공교롭게, 우연히, 바로 그 때라는 의미이다. 만약에 그 때 롯이 소돔의 성문에 앉아 있지 않았다면 그의 가족을 구원을 얻을 기회를 얻지 못했을 것이다. (룻 2:4; 요 6:4)

마침 보아스가 베들레헴에서부터 와서 베는 자들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너희와 함께 하시기를 원하노라 하니 그들이 대답하되 여호와께서 당신에게 복 주시기를 원하나이다 하니라” (룻기 2:4, NKRV)

마침 유대인의 명절인 유월절이 가까운지라” (요한복음 6:4, NKRV)

 

그러면 왜 롯은 그렇게 소돔의 성문에 앉아 있었을까? 당시 성문은 장사하는 사람들과 지역의 유지들이 진을 치고 있던 곳이다. 바로 이곳에서 재판을 포함한 성의 모든 행정적 상업적 업무가 진행되었다. 아마도 롯은 이곳 소돔에 정착하면서 유력한 인물로 주목받기 시작했을 것이다. 그래서 나중에 도시 사람들이 롯에게 9절에서 '이자가 들어와서 거류하면서 우리의 법관이 되려 하는도다'라고 말한다. 아마도 이런 이유로 그는 소돔을 떠나는 것을 머뭇거렸을 지도 모른다.

 

그리고 본문의 기록속에서 롯의 아내의 모습은 등장하지 않는다.

앞서 13:12에 롯은 소돔 근처에 거주하였다가 이제는 도시 안에서 살아가고 있다. 롯의 두 천사들에 대한 환대와 보호는 그가 의로운 사람임을 보여준다.

무법한 자들의 음란한 행실로 말미암아 고통 당하는 의로운 롯을 건지셨으니 (이는 이 의인이 그들 중에 거하여 날마다 저 불법한 행실을 보고 들음으로 그 의로운 심령이 상함이라)” (베드로후서 2:7–8, NKRV)

  • Lot previously camped “near Sodom” (13:12), but now he lives within the city. His hospitable response to the visitors closely resembles Abraham’s in 18:1–5. The similarities indicate that Lot by nature resembles Abraham. His subsequent protection of the men further indicates his righteousness (2 Pet 2:7–8). Lot’s wife, unlike Sarah, plays no obvious role in preparing the meal for the strangers.

  •  D. A. Carson, ed.,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53.

 

 

4-5절) 이제 천사들이 접대를 받고 나서 잠자리에 들기 전에 소돔 성의 사람들이 노소를 막론하고 모두 모여 롯의 집을 에워싸고 롯을 부르며 '오늘 밤 네게 온 사람들이 어디 있느냐? 그들을 우리에게로 이끌어 내라. 우리가 그들과 상관하겠다."라고 말한다. 본문의 상관하다라는 단어는 히브리어 '야다'로 성적인 관계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그래서 이 본문은 동성애의 죄악을 알리는 표현으로 유명하다. 여기서 유래한 단어가 '소도미(sodomy)'라는 표현이다. 이 sodomy라는 표현은 항문 성교, 남색, 수간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이로인해 소돔은 성적인 죄악이 가득한 도시로 낙인이 찍히게 된 것이다.

앞서 롯은 이 소돔이 치안이 위험한 도시임을 알았기에 이 나그네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자신의 집으로 들인 것인데 결국 소돔의 사람들은 힘이 없는 나그네들을 포악하게 대함으로써 이 도시 전체가 심판을 받게 된다.

동성애 관련된 질문들 속에서 과연 소돔의 심판이 동성애 때문인가 아니면 나그네를 대접하지 않는 부정과 부도덕 때문인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 that we may know them. In Hebrew the verb “to know” (Hb. yada‘) sometimes denotes sexual intercourse (e.g., 4:1, 17, 25; 19:8; cf. Judg. 19:22). The context implies that the men of Sodom intend to have homosexual relations with the two visitors, hence the origin of the term “sodomy.” Lot’s earlier insistence (Gen. 19:3) that the visitors should not spend the night in the square indicates that he feared for their safety. By acting so wickedly against defenseless strangers, the entire community invites divine punishment.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83.

 

무법한 자들의 음란한 행실로 말미암아 고통 당하는 의로운 롯을 건지셨으니 (이는 이 의인이 그들 중에 거하여 날마다 저 불법한 행실을 보고 들음으로 그 의로운 심령이 상함이라)” (베드로후서 2:7–8, NKRV)

신약 성경은 이처럼 롯을 고통 당하는 의로운 롯이라고 묘사한다. 이러한 표현은 고대의 명예 규정을 떠나서는 이해할 수 없다. 자신들의 손님을 지켜야할 책임이 그에게 있었기에 지금 소돔 사람들이 천사들을 강제추행하려고 하자 필사적으로 이를 막으려고 했던 것이다.

 

  • 4–5  Here for the first time the nature of Sodom’s sin is clearly revealed. An earlier statement (13:13) was content to evaluate the Sodomites as “evil” and “sinners.” The story that is about to unfold will substantiate that statement with specific details.

  • Before the guests can retire, the house of Lot is surrounded23 by the townsmen, who want to know Lot’s guests. This situation is somewhat ironical. The Sodomites want to “know” two men whom Lot himself does not really “know.” We know that he does not know their identity or the reason for their mission to Sodom.

  • Much debate has focused on these two verses and the meaning of know. In the OT the Hebrew root ydʿ and its derivatives occur 1,058 times. Fifteen of the 948 instances of the verb refer to sexual knowledge.24 These fifteen passages include instances where the man is the subject, where the woman is the subject, and where man is both subject and object.25 While it is well known that Heb. yāḏaʿ can connote sexual knowledge, what is not as well known is that Hebrew shares this feature with other Semitic languages.26

  • What is its meaning in Gen. 19:5? Some maintain that know in this verse should not be included with the fifteen passages mentioned above. Rather, a case is made that yāḏaʿ carries here its normal meaning of “become acquainted with.”27 This viewpoint argues that the sin of the Sodomites is a violation of the rules of hospitality. Because he is only a sojourner, Lot has exceeded his privileges. Since he has no authority to monopolize the time of these visitors, the men of Sodom request the opportunity to meet and get to know these two outsiders.

  • This interpretation can only be evaluated as wild and fanciful. For when Lot responds by offering his daughters “who have never known a man” (v. 8), it becomes clear that the issue is intercourse and not friendship.28 Lot would never have made such an unusual suggestion if the request was only for a handshake and moments of chitchat.

  • Among those who agree that the issue is sexual, the question arises whether the issue is homosexual relations per se or homosexual rape. The answer depends on how one chooses to translate yāḏaʿ. For instance, compare Speiser’s “bring them out to us that we may get familiar with them” with JB’s “hand them over to us so that we may abuse them.”

  • We see at least four problems with the view that the prohibition here is only on homosexual rape. First, nowhere in the OT does the verb yāḏaʿ have the nuance of “abuse” or “violate.” Second, the OT uses unmistakable language to relate rape incidents. Thus the Shechemites “seized” and “lay with” and “humbled” Dinah (Gen. 34:2). Amnon “forced” and “lay with” his half-sister Tamar (2 Sam. 13:14). Similarly, the biblical laws about rape also use these terms: “seize,” “lie with” (Deut. 22:25–27). Third, this interpretation forces one meaning on “know” in v. 5 (i.e., “abuse”) but a different meaning on “know” three verses later (i.e., “have intercourse with”), for it is unlikely that Lot is saying: “I have two daughters who have never been abused.” Fourth, such an interpretation forces these incredible words in Lot’s mouth: “Do not rape my visitors. Here are my daughters, both virgins—rape them!” Clearly, then, the incident frowns on homosexual relations for whatever reason.29 Note that in the often-cited parallel to Gen. 19, viz., Judg. 19, the host offers both his own virgin daughter and his guest’s concubine to Gibeah’s city dwellers with the statement “and sexually mistreat them” (weʿannû ʾôṯām, v. 24). By contrast, Lot avoids using any verb that has clear-cut indications of sexual aggression. Still, the reader of this narrative cannot avoid puzzlement over Lot’s willingness to make his daughters available to the people of Sodom for their sexual pleasure, even if he acts out of a desire for hospitality for his guests. In any case, his action is unsuccessful, unheroic, and it “may even make the audience of the story relieved not to be among the daughters of Lot.”30

  •  

  • 23 Speiser (Genesis, p. 139) notes that a number of Hebrew verbs (sāḇaḇ, qāhal, kāḇēḏ) when used in the Niphal and followed by the preposition ʿal convey hostile intentions. To capture that nuance, he translates nāsabbû ʿal habbayiṯ in the later part of v. 4 as “they closed in on the house.” See Josh. 7:9 for the same construction, and Judg. 19:22 for an approximate construction (accusative instead of preposition): nāsabbû ʾeṯ habbayiṯ.

  • 24 These statistics are taken from G. J. Botterweck, “yāḏaʿ,” TDOT, 5:453.

  • 25 A man is the subject in Gen. 4:1, 17, 25; 24:16; 38:26; Judg. 19:25; 1 Sam. 1:19; 1 K. 1:4; a woman is the subject in Gen. 19:8; Num. 31:17, 18, 35; Judg. 11:39; a man is both subject and object in Gen. 19:5; Judg. 19:22. Heterosexual intercourse is in view in all but the last two references, which refer to homosexual intercourse. Interestingly, in Gen. 19:5 but not in Judg. 19:22 or anywhere else, the LXX renders yāḏaʿ with synginṓskō (“to meet, converse with”) instead of the usual ginṓskō. The LXX has here chosen a word capable of innocuous interpretation in the context. See J. A. Lee, “Equivocal and Stereotyped Renderings in the LXX,” RB 87 (1980) 109–10.

  • 26 Law 130 in the Code of Hammurapi reads: “If a seignior [a free man, perhaps a noble] bound the (betrothed) wife of a(nother) seignior, who had had no intercourse with [lit., “had not known”] a male …” (ANET, p. 171). For other references to this idiom in cuneiform literature see W. von Soden, “edû,” Akkadisches Handwörterbuch, 3 vols. (Wiesbaden: Harrassowitz, 1965–81), 1:188; and CAD, 7:28. But neither von Soden nor CAD lists many references for this use of edû/idû.

  • 27 See D. S. Bailey, Homosexuality and the Western Christian Tradition (London; Longmans, 1955), pp. 4ff. This is also the position of J. J. McNeill, The Church and the Homosexual (Kansas City, KS; Sheed, Andrews and McMeel, 1976), pp. 42–50.

  • 28 See Kidner, Genesis, pp. 136–37; P. M. Ukleja, “Homosexuality and the Old Testament,” BSac 140 (1983) 260–62; D. L. Bartlett, “A Biblical Perspective on Homosexuality,” Foundations 20 (1977) 134.

  • JB Jerusalem Bible

  • 29 R. Gordis observes that “it is difficult to see how the clear indication in both Genesis and Judges that homosexuality is worse than rape can be ignored” (“Homosexuality and the Homosexual,” in Homosexuality and Ethics, ed. E. Batchelor, Jr. [New York: Pilgrim, 1980], p. 250 n. 10). Or, I might add, that homosexual rape is as vicious as heterosexual rape.

  • 30 G. Coats, “Lot: A Foil in the Abraham Saga,” in Understanding the Word: Essays in Honour of Bernhard W. Anderson, ed. James T. Butler, et al., JSOTSup 37 (Sheffield: JSOT, 1985), p. 122. Note also this comment: “The proposition is, to put it mildly, disgusting.… Two young women, captive to their father’s will, dragged from what they may have supposed was the security of their home, in exchange for two grown men who arrive uninvited, of their own accord, at night in a strange city” (D. N. Fewell and D. M. Gunn, Gender, Power, and Promise [Nashville: Abingdon, 1993], p. 58).

  •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33–35.

 

 

  • Bring them out to us, that we may know them: the verb know is used in 4:1, 17, 25 meaning to have sexual relations with a spouse. See 4:1 for discussion. However, the same verb is used here for homosexual relations. Translators must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ord or phrase used in 4:1 is suitable in the present context. If homosexual relations are unknown or no term is available, translators may have to provide one. This may require a footnote to explain, for example, that the men of Sodom wanted to sleep with these men. One translation, for example, says, “We want to sleep with those two; just like men do to women we want to do to them.” Examples of translations that avoid direct expressions that may be regarded as offensive are spcl “We want to lie with them,” frcl “we want to take our pleasure with them,” brcl “We want to have relations with them.”

  • In this action the men of Sodom are not only asking to have sex with Lot’s guests; they are also violating the right of a guest to be protected by the host, an equally bad misconduct.

  •  

  • spcl Spanish common language version

  • frcl French common language version

  • brcl Brazilian Portuguese common language version

  •  William David Reyburn and Euan McG. Fry, A Handbook on Genesis, UBS Handbook Series (New York: United Bible Societies, 1998), 417.

 

6-9절) 롯은 이에 위험을 감지하고 문 밖의 무리에게 나가 문을 닫고 말한다. 소돔의 사람들을 '내 형제들아'라고 부르면서 이런 악을 행하지 말것을 간청한다. 그러면서 자신에게 남자를 가까이 하지 아니한 두 딸이 있으니 그들을 너희에게 이끌어 낼 것이니 너희가 원하는 대로 하고 내 집안에 들어온 이 사람들에게는 아무 일도 저지르지 말라라고 말한다. 하지만 소돔의 사람들은 '네가 뭔제 이래라 저래라야. 너는 저리 물러나 있어. 너도 이곳에 들어와서 거류하면서 우리의 법관이 되려고 하는거야? 네가 먼저 당해볼래"라고 하면서 롯을 밀치고 문을 부수려고 했다.

 

롯이 자신의 두 딸을 내준 대안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당대의 관습에 따르면 집 주인은 자신의 손님들을 모든 위해로부터 지켜야할 책임이 있었다. 이것 자체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그는 더 나아가 그래서 지금 롯은 자신의 결혼하지 않을 딸을 내준다는 무리한 요구를 했다. 이것이 블러핑인지는 알 수 없지만 과도한 요구임에 틀림없다. 당시 가장이 절대적인 권한을 가졌고 딸들은 매우 낮은 위치에 있었기에 롯의 제안은 이러한 가치관을 반영하는 사회속에서 최악의 상황에 처한 사람을 돕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롯을 소돔과 고모라의 일원으로서 같은 죄인으로 보기도 한다. 좀더 롯 편에서 해석을 해보자면 롯의 딸들에게는 이미 약혼자들이 있었다. 롯의 집에 몰려든 소돔 사람들도 이것을 모를 리가 없다. 그러므로 롯이 딸들을 내놓겠다는 것은 소돔 사람들이 딸들의 남편될 사람들의 얼굴을 보아서라도 함부로 못할 것을 기대했던 것이 아닐까? 고대 근동의 법전은 한결같이 약혼한 여자를 강간하는 자는 사형에 처하도록 했다. 즉 롯은 자신의 딸들이 이들에게 강간강하리라고는 상상하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후 이 딸들을 범하는 자가 누구인지 알고 있다.

 

소돔은 지금 동성애를 행하는 것과 강간/윤간을 주저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앞서 말한대로 롯은 이 성문 앞에 앉아있는 유지였지만 소돔 사람들은 롯을 '이 자'라고 부르면서 롯의 정체성과 사회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롯은 앞서 소돔 주변에 장막을 쳤다.(13:12) 그러다 소돔에 거하게 되었고(14:12) 이후 전쟁 포로로 끌려가게 되는데 이를 아브라함이 구출해준다.(14:14) 이렇게 소돔 사람들은 자신들이 구출된 것이 롯 때문임을 알고 있었다. 그런데 지금 그때의 일을 잊고 네가 무엇이관대하면서 그를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롯은 자신이 소돔성의 유력한 자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자신의 딸들도 그곳의 남자들과 약혼한 상태였다. 그런데 이런 폭력적인 상황에 이르자 소돔 사람들이 여전히 자신을 외부인으로 취급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롯의 타이름에 분노한 이들은 손님보다 롯을 먼저 욕보이려고 했다.

 

10-11절) 소돔의 백성들의 무리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갔던 롯이 도리어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 되어 버렸다. 이에 집 안에 있던 두 천사가 손을 내밀어 롯을 집안으로 끌어 들이고 문을 닫고 나서 문 밖의 무리를 대소를 막론하고 그 눈을 어둡게 하였다. 이에 그들이 문을 찾느라고 헤매었다.

 

 

 

 

 

 

728x90

22 iSo the men turned from there and went toward Sodom, but Abraham jstill stood before the Lord. 23 Then Abraham drew near and said, k“Will you indeed sweep away the righteous with the wicked? 24 Suppose there are fifty righteous within the city. Will you then sweep away the place and not spare it for the fifty righteous who are in it? 25 Far be it from you to do such a thing, to put the righteous to death with the wicked, lso that the righteous fare as the wicked! Far be that from you! mShall not the Judge of all the earth do what is just?” 26 And the Lord said, n“If I find at Sodom fifty righteous in the city, I will spare the whole place for their sake.” 

27 Abraham answered and said, o“Behold, I have undertaken to speak to the Lord, I who am but dust and ashes. 28 Suppose five of the fifty righteous are lacking. Will you destroy the whole city for lack of five?” And he said, “I will not destroy it if I find forty-five there.” 29 Again he spoke to him and said, “Suppose forty are found there.” He answered, “For the sake of forty I will not do it.” 30 Then he said, “Oh let not the Lord be angry, and I will speak. Suppose thirty are found there.” He answered, “I will not do it, if I find thirty there.” 31 He said, “Behold, I have undertaken to speak to the Lord. Suppose twenty are found there.” He answered, “For the sake of twenty I will not destroy it.” 32 Then he said, p“Oh let not the Lord be angry, and I will speak again but this once. Suppose ten are found there.” He answered, “For the sake of ten I will not destroy it.” 33 And the Lord went his way, when he had finished speaking to Abraham, and Abraham returned to his place. 

 

i ver. 16; ch. 19:1

j ver. 1; [Ps. 106:23; Jer. 18:20]

k ch. 20:4; Num. 16:22; 2 Sam. 24:17

l [Job 8:20]

m Deut. 32:4; Job 8:3; 34:10; Rom. 3:5, 6

n Jer. 5:1; Ezek. 22:30; [Isa. 65:8]

o [Luke 18:1]

p Judg. 6:39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8:22–33.

 

 

 

앞선 1-15절에서 아브라함은 매우 친절한 주인으로 나그네들을 섬겼다면 오늘의 본문에서는 매우 적극적인 중재자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소돔과 고모라에서 들려오는 억울한 자들의 울부짖음에 응답하신 것이다.(20-21절) 과연 정말 그러한지를 보고 알기 위해서 내려오신 것이다. 율법에 의하면 벌이 사형에 해당하는 경우에 최소한 2명 이상의 증인이 필요하기에 지금 이 천사들을 소돔과 고모라에 사형에 해당하는 심판의 증인들로 내려보내고 계신 것이다.

 

22절) 그 사람들(두 천사)들이 거기서 떠나 소돔으로 향하여 가고 아브라함은 여호와 앞에 그대로 서 있었다.

앞서 18:2에서 본것처럼 아브라함을 방문한 사람은 처음에 세 사람이었다. 아브라함의 극진한 대접을 받고 나서 떠나다가 아브라함에게 소돔에 대한 심판을 알려주신다. 이어 두 사람은 원래의 계획대로 소돔을 심판하러 떠나고 아브라함과 여호와 하나님만이 남아 있는 것이다.

  • So the men: So suggests a conclusion based on the speech of the Lord. However, the men has not been the subject of any verb since verse 16. It is better to begin here with a transition to a new development, as in tev “Then.” We may also say “After that,” “Later.” The men is plural, as in verse 16; however, there it referred to all three of the visitors, but now it appears to refer to only two of them, since the Lord remained to talk with Abraham. Note also that in 19:1 it is “two angels” who later arrive in Sodom. Accordingly tev and others translate “the two men” in verse 22. Some translations say “the other two” or “the two angels.” See comments on 18:2.

  • tev Today’s English Version

  • tev Today’s English Version

  •  William David Reyburn and Euan McG. Fry, A Handbook on Genesis, UBS Handbook Series (New York: United Bible Societies, 1998), 403–404.

 

23-26절) 이에 아브라함은 여호와께 가까이 나아가 아뢰었다. 그는 지금 소돔에 있는 조카 롯의 안전을 걱정한 것으로 보인다. 본문에는 명확하게 그 내용이 등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말이다. 또한 그는 지금 의인을 악인과 함께 멸하는 것이 하나님의 거룩하신 본성과 맞지 않는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하나님께 아뢰고 있다. 그래서 그는 만약 소돔 성에 의인 50명이 있는데도 그곳을 멸하실 것입니까라고 묻는다. 그러면서 그는 25절에서 '의인을 악인과 함께 죽이는 것은 부당하며 의인과 악인을 같이 하시는 것도 부당합니다. 세상을 심판하시는 분이 정의를 행하셔야하는 것 아닙니까?'라고 도전한다. 이에 여호와 하나님께서는 만일 소돔 성에서 의인 50명을 찾는다면 그 50명을 위해서 그 온 성읍을 용서하겠다라고 약속하신다.

23절에서 아브라함은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와 말했다. 그와 하나님의 매우 친밀한 관계를 보여주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그는 매우 대담한 요청을 지금 하고 있는 것이다. '니가쉬'는 가까이 나아가다, 접근하다라는 의미이다.

너 모세만 여호와께 가까이 나아오고 그들은 가까이 나아오지 말며 백성은 너와 함께 올라오지 말지니라” (출애굽기 24:2, NKRV)

하나님의 임재앞에 가까이 나아갈 수 있는 사람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대제사장 조차도 함부로 하나님게 나아갈 수 없었다. 그런데 아브라함이 매우 대담하게 하나님께 나아가 중재의 요청을 하고 있는 것이다.

훗날 모세와 아모스는 이스라엘을 위해서 중재했다.(출 32:11-14; 암 7:1-6) 아브라함은 지금 이스라엘과 관계가 없는 악한 소돔과 고모라를 위하여 중재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하나님께서 그에게 부여하신 소명을 따라서 열방에 축복의 통로가 되는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것이다.(12:3) 앞서 말한대로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설득하기 위한 방편은 공평과 정의, 거룩에 근거한 하나님의 본성이었다. 의인과 악인을 함께 죽이고 같은 대우를 하는 것은 하나님의 본성에 맞지 않는 것이기에 다른 신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님이시라면 정의(미쉬파트)를 행하셔야 한다는 논리였다. 하나님께서는 이 아브라함의 논리에 전적으로 동의하셨다. 지금 하나님께서 사람의 모습으로 오셔서 사람(아브라함)의 말을 들으시고 사람(롯과 그의 가족들)을 구원하시는 일을 행하고 계신 것이다.

 

  • The only reason Abraham can appeal to Yahweh’s mercy is because of what Abraham knows about Yahweh’s character. Yahweh can be merciful because he is righteous and just. Abraham’s confidence in Yahweh’s character is expressed in his stunning question: Shall not he who judges all the earth give right judgment? (v. 25b).28 This question may be interpreted as a challenge hurled by Abraham toward God,29 or it may be understood as a testimony by Abraham about his belief in his God’s integrity and predictability.

  • Abraham’s concern is: Which affects God more regarding Sodom’s future—the many who are wicked or the few who are innocent? The transparent answer that is given is that it is the few who are innocent. Not only are the ten righteous more important, but they become a holy remnant30 and the means of the entire community’s preservation. Just as the nations of the earth find blessing in Abraham and his seed, so the guilty of Sodom and Gomorrah find mercy in the lives of their fellow citizens who are innocent.

  • Later prophetic tradition both affirmed and challenged the indubitable effects that the lives of one group have on another. For affirmation we may consider God’s word to Jeremiah (5:1): “Run to and fro the streets of Jerusalem, look and take note! Search her squares to see if you can find a man, one who does justice and seeks truth, that I may forgive her.” The presence of one righteous person would suffice to spare Jerusalem.31 But the same Jeremiah (31:29–30)—as well as his junior contemporary Ezekiel (14:12–23; 18:2–4)—suggests that each generation stands on its own with regard to the consequences of guilt. Ezek. 14:12ff. is especially strong in denying the fact that a righteous person had influence with God to the point of nullifying a divine decree. “Thus, with one sharp stroke, the theological presupposition of Genesis 18, in which YHWH himself acknowledges the theoretical possibility that a minimum number (ten) of righteous men could save a sin-filled city by virtue of their merits, is thoroughly rejected.”32

  •  

  • 28 See J. Crenshaw, “Introduction: The Shift from Theodicy to Anthropodicy,” in Theodicy in the Old Testament, IRT 4, ed. Crenshaw (Philadelphia: Fortress, 1983), p. 7; idem, “Theodicy,” IDBS, p. 895; R. P. Carroll, “Theodicy and the Community: The Subtext of Jeremiah v 1–6,” OTS 23 (1984) 27–28.

  • 29 See J. Crenshaw, “Popular Questioning of the Justice of God in Ancient Israel,” ZAW 82 (1970) 385; C. S. Rodd, “Shall not the judge of all the earth do what is just? (Gen. 18:25),” ExpTim 83 (1971/72) 137–39; S. E. Balentine, “Prayers for Justice in the Old Testament: Theodicy and Theology,” CBQ 51 (1989) 597–616.

  • 30 See G. Hasel, The Remnant (Berrien Springs, MI: Andrews University, 1974), pp. 147–52.

  • 31 For a wisdom text that makes this same claim see Job 22:28–30, esp. v. 30. M. Pope (Job, AB, 3rd ed. [Garden City, NY: Doubleday, 1973], p. 168) provides references in rabbinical literature to the idea of saving the wicked out of consideration for the righteous.

  • 32 M. Fishbane, “Sin and Judgment in the Prophecies of Ezekiel,” in Interpreting the Prophets, ed. J. L. Mays and P. J. Achtemeier (Philadelphia: Fortress, 1987), p. 175. I have corrected an obvious typographical error: Fishbane referred to “Genesis 19” rather than Gen. 18.

  •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5–26.

 

27-33절) 이에 아브라함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그 숫자를 조금씩 낮추면서 여호와 하나님께 조심스럽게 묻는다. 자신이 티끌이나 재와 같이 미천한 존재인데 감히 주님께 아룁니다라며 처음에는 50에서 5을 감한 45명을 이어서 40-30-20-10명으로 계속해서 그 인원을 줄이면서 물을때에 주님께서는 화내지 않으시면서 그 남은 의인으로 말미암아 멸하지 않을 것을 약속하신다. 이렇게 여호와께서 아브라함과 말씀을 마치시고 가셨고 아브라함도 자기 곳으로 돌아갔다.

 

당시 소돔의 인구는 과연 얼마나 될까? 어떤 학자는 당시 도시의 인구가 100명 정도로 50명은 이에 절반에 해당하는 숫자라고 말하기도 한다. 절반에서 시작한 이 숫자는 10명까지 내려가지만 우리가 잘 아는대로 10명이 없어서 소돔은 진멸의 심판을 받게 된다. 그렇다면 아브라함이 10명이 아니라 더 그 숫자를 줄여야만 했던 것은 아닐까? 10은 완전성을 상징하는 숫자로 사회를 구성하는 공동체의 최소한의 숫자로 여겨졌다. 당시 소돔과 고모라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살고 있었던 것과 관계 없이 이 도시들 안에 의인 10명만 있으면, 이들을 의인 공동체로 인정하시고 심판하지 않으실 것이라는 것이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심판의 원리를 확인했기에 더이상 숫자를 감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고 여기에서 멈춘다. 결국 10명이 부족하여 심판이 행해지지면 이 가운데서도 하나님께서는 개인적인 차원의 구원을 이루어 가신다. 노아의 방주를 통해서, 소돔에서 롯의 가족들을, 여리고성의 라합과 가족들을 이와 같이 구원하고 계신다.

 

우리는 본문 속에서 아브라함이 하나님과 소돔을 중재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는 소돔과 고모라에 대한 하나님의 평가와 판결에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 이는 하나님의 고유의 영역이기에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순간 아브라함은 소돔과 고모라에 회개를 종용하지도 않았다. 그는 이순간 최선을 다해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에 호소할 뿐이었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권위와 주권에 도전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분의 은혜를 간구하고 있는 것이다. 아브라함은 하나님께서 소돔과 고모라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리시든 그분의 공평과 정의에 따라 행하실 것을 확인한 후에 집으로 돌아갔다. 하나님이 의인과 악인을 함께 멸하시는 분이 아님을 확인하고 돌아간 것이다. 아브라함의 이러한 모습은 훗날 그의 뒤를 이을 중재자들에게 모범적인 모댈을 제시한다(Hamilton). 사무엘(삼상 7:5-9; 12:19-25), 엘리야{왕상17:17-23), 엘리사{왕하 4:33; 6: 15-20), 욥{욥 42:7-9), 아모스(암 7:1-6), 모세(출 32:11-13, 31-34; 33;12-15; 34:9; 민 12:11-13; 14:13-19; 신 9:16-29) 모두 아브라함처럼 적정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며 남을 위해 중재했다. (엑스포지멘터리 347)

앞서 만약 아브라함이 무조건 소돔과 고모라를 용서해달라고, 구원해 달라고 요청했다면 이 또한 의인과 안인을 똑같이 취급하는 불공정한 요청이 되는 것이다. 우리는 앞서 17-19절에서 하나님의 독백을 볼 수 있다. 이곳에서 하나님께서는 혼잣말을 하시면서 자신의 심판의 결정에 대한 논리에 대해 고민하시며 자문자답하시는 것을 볼 수 있다.

앞서 말한대로 10명은 최소한의 공동체로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개혁을 시도할 수있는 최소한의 숫자였다. 우리가 아는대로 19장에 심판의 소식을 들은 롯과 가족들이 소돔의 사람들을 설득했지만 롯의 아내마저도 이를 듣지 않았다.

결국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주권과 본성에 의거하여 이땅을 심판하실 것이다. 우리들이 이땅의 구원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10명의 의인들을 통해서 이땅의 변혁과 갱신을 위해서 중보하고 노력하는 것이다.

 

 

 

 

 

 

 

 

 

 

728x90

16 Then the men set out from there, and they looked down toward Sodom. And Abraham went with them to set them on their way. 17 The Lord said, c“Shall I hide from Abraham what I am about to do, 18 seeing that Abraham shall surely become a great and mighty nation, and all the nations of the earth shall be dblessed in him? 19 For I have echosen6 him, that he may command his children and his household after him to keep the way of the Lord by doing righteousness and justice, so that the Lord may bring to Abraham what he has promised him.” 20 Then the Lord said, “Because fthe outcry against Sodom and Gomorrah is great and their sin is very grave, 21 gI will go down to see whether they have done altogether7 according to the outcry that has come to me. And if not, hI will know.”

c [Ps. 25:14; Amos 3:7; John 15:15]

d ch. 12:3; 22:18; 26:4; Acts 3:25; Gal. 3:8

e [Amos 3:2]

6 Hebrew known

f ch. 4:10; 19:13; [Isa. 3:9; Ezek. 16:49, 50; James 5:4]

g ch. 11:5, 7; Ex. 3:8

7 Or they deserve destruction; Hebrew they have made a complete end

h Josh. 22:2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8:16–21.

 

 

16-19절) 아브라함은 세 사람에게 극진한 섬김을 베풀었다. 이제 손님들이 길을 나서기 위해서 일어난 것이다. 그들의 목적지는 소돔이었고 그 도시의 죄악으로 인한 심판을 위해서 가던중에 아브라함과의 만남을 가진 것이다. 아브라함은 끝까지 손님을 대접하는데 최선을 다한다. 일어나 그들을 배웅하기 위해서 그들과 함께 길을 나섰다. 아마도 아브라함이 이 노력을 하지 않았다면 소돔에서 롯의 가족을 구할 기회를 얻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선을 행할 때 낙심하지 말고 최선을 다해서 끝까지 베풀어야 한다. 이렇게 배웅을 하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했을 지 모른다. 그러다가 얼마를 가다가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말씀하신다. 

‘내가 하려는 것을 아브라함에게 숨기겠느냐? 아브라함은 강대한 나라가 되고 천한 만민은 그로 말미암아 복을 받게 할 것이다. 내가 그로 그 자식과 권속에게 명하여 여호와의 도를 지켜 의와 공도를 행하게 하려고 그를 택했다. 이렇게 한 이유는 나 여호와게 아브라함에게 대하여 말한 일을 이루기 위함이다.

하나님께서는 이렇게 아브라함을 갈대아 우르, 하란에서 불러내신 분명한 목적을 말씀하신다. 12:2-3을 통해서 말씀하신 내용을 재 확인하고 계신다. 아브라함을 통해서 큰 민족을 이루고 이들을 강대한 나라가 되고 천하 만민을 그로 인해서 복을 받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1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하게 하리니 너는 복이 될지라 2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라 하신지라” (창세기 12:2–3, NKRV)

나아가 19절은 아브라함을 택하신 이유가 무엇인지를 다른 표현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본문에서 택하였나니라고 표현된 단어는 히브리어 ‘야다’이다. 이는 내가 그를 알았다라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나를 아신다는 것, 하나님이 나를 ‘야다’하신 다는 것은 바로 그분이 나를 택하셨다라는 것이다.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야다’하신 이유를 ‘그 자식과 권속에게 명하여 여호와의 도를 지켜 의와 공도를 행하게 하려고’라고 말한다. 이는 17:1을 재차 확인하는 말씀이다. 

아브람이 구십구 세 때에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서 그에게 이르시되 나는 전능한 하나님이라 너는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 (창세기 17:1, NKRV)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의 가족을 창대케 함으로 그에게 복을 주시기 위해서 가나안으로 인도해오셨는데 그 궁극적인 이유는 바로 그와 그의 후손들이 여호와의 도를 지켜 의와 공도를 행하는 것이다. 본문에 등장하는 의(체다카)와 공도(미쉬파트)는 구약에서 쌍으로 등장하는 매우 중요한 표현이다. 이는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삶을 말한다. 성경은 미쉬파트(바름, 정의)는 체다카(옳음, 의)를 실천할때 얻어지는 결과라고 말한다. 이는 결코 한순간에 이루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평생의 삶을 통해서 ‘여호와의 도(데렉 야웨)’를 지킬 때에라야 비로소 이루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아브라함은 본인 자신만 여호와의 도를 지키는 것이 아니라 그 자식과 후손들로 하여금 여호와의 도를 행하도록 명할 소명을 부여 받았다. 이처럼 하나님의 택하심, 아심은 단순히 나 자신만의 유익, 구원을 위함이 아니라 다른 이들에게로 그 구원의 복이 흘러가게 한다. 

우리가 그렇게 여호와의 도를 지켜 의와 공도를 행하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대하여 약속하신 것을 이루실 것이다. 19절에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일(디베르)을 이루시겠다라고 하신다. 우리는 우리가 한 말을 잊지만 하나님이 말씀하신 것을 바로 약속하신 것이고 그분은 반드시 그 일을 이루어내신다.(신 6:17-25) 

 

20-21절) 이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대화의 주제를 바꾸신다. 

자신이 내려오신 이유를 말씀하신다. 그 이유는 바로 소돔과 고모라에 대한 부르짖음이 크고 그 죄악이 심히 무거워서 그 모든 행한 것이 하나님께 들린 부르짖음과 같은지를 확인하시기 위해서 내려오신 것이다. 

“12아브람은 가나안 땅에 거주하였고 롯은 그 지역의 도시들에 머무르며 그 장막을 옮겨 소돔까지 이르렀더라 13소돔 사람은 여호와 앞에 악하며 큰 죄인이었더라” (창세기 13:12–13, NKRV)

앞서 이미 소돔은 여호와 앞에 악을 행하는 큰 죄인들이라고 말하였다. 롯은 바로 이 도시를 선택했고 그 악과 부르짖음을 점점더 가속화 되어 가고 있었던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이 죄악의 도시속에서 울부짖는 부르짖음이 커서 내려오신 것이다. 본문의 부르짖음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제아카’이다. 이는 부르짖음, 호령, 곡성, 도움을 구하는 외침이라는 의미이다. 무고한 피흘림은 하나님께 복수를 해달라고 부르짖는다. 

이르시되 네가 무엇을 하였느냐 네 아우의 핏소리가 땅에서부터 내게 호소하느니라” (창세기 4:10, NKRV)

우리는 압제당하고 폭력의 희생자가 될 때 신에게 자신들을 구해달라고 부르짖고 또한 고통을 제거해달라고 울부짖는다.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내가 애굽에 있는 내 백성의 고통을 분명히 보고 그들이 그들의 감독자로 말미암아 부르짖음을 듣고 그 근심을 알고” (출애굽기 3:7, NKRV)

의인이 부르짖으매 여호와께서 들으시고 그들의 모든 환난에서 건지셨도다” (시편 34:17, NKRV)

하나님은 그 부르짖음을 들으신다. 

귀를 막고 가난한 자가 부르짖는 소리를 듣지 아니하면 자기가 부르짖을 때에도 들을 자가 없으리라” (잠언 21:13, NKRV)

이처럼 이 부르짖음은 악을 행하고 부당한 행동을 당하여 억울함을 호소하는 외침을 의미한다. 지금 소돔과 고모라에서는 비인간적인 행위와 약자들에 대한 착취가 자행되고 있었고 이러한 부르짖음을 들으시고 이를 알아보려고 내려오신 것이다. 이 말씀은 바벨탑 사건을 연상케 한다. 

여호와께서 사람들이 건설하는 그 성읍과 탑을 보려고 내려오셨더라” (창세기 11:5, NKRV)

하나님께서 바벨탑의 현장에 내려오심과 같이 지금 소돔과 고모라의 죄악의 현장에 내려오신 것이다. 이를 통해서 하나님께서 심판을 내리시기 전에 죄인들의 죄를 낱낱이 조사하여 신중하고 정의로운 판결을 내리시고 있음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1980년대 빌리 그래이엄 목사는 미국 사회에 대해서 이런 말을 남겼다. “만일 하나님께서 미국을 심판하시지 않으신다면 소돔과 고모라에 대해서 사과하셔야 한다.’ 우리도 별반 다르지 않다. 만약 지금 하나님께서 대한민국 서울땅에 내려오신다면 어떠할까? 지금 이 도시의 어느 곳에서 부르짖음이 외쳐지고 있는가? 우리는 그 외침을 외면하고 있지는 않은가? 

 

זָעַק (zāʿaq), q. call for help, call to arms, assemble, utter a plaintive cry, proclaim; ni. be summoned, rally together; hi. summon, raise cry of lament (#2410); זְעָקָה (zeʿāqâ), nom. a plaintive cry, call for help (#2411).

ANE The vb. is found once in Aram. (APFC 71.17), where it refers to a shout or cry in a fragmentary text (DISO, 79). It is known in Samaritan Aram. and Arab.

OT 1. In the OT זָעַק is a dialectical variant of צָעַק (THAT 2:568); both forms are found throughout the OT, though in the Pentateuch the forms of צָעַק are found 27×, while זָעַק (q.) is found only at Exod 2:23 and זְעָקָה at Gen 18:20. In the refrain of Ps 107 the form צָעַק is found 2× (vv. 6, 28) and the form זָעַק 2× (vv. 13, 19); both forms appear interchangeably in other contexts as well (1 Sam 4:13, 14; 2 Sam 19:28 [29]; Jer 48:3, 4, etc.). At times the MSS vary in form for the same word (e.g., Judg 4:3), a phenomenon that should be regarded as an orthographic variant.

2. In the greatest number of occurrences the q. and the nom. refer to a cry of need or distress (Prov 21:13; cf. Isa 33:15d); the q. is found 58× in the MT and the nom. 18×. The cry is often one of urgent prayer (2 Chron 20:9; 32:20; Joel 1:14); it may be one of alarm and fear (1 Sam 5:10; 28:12 [13]), or the outcry of outrageous wrongs (Gen 18:20). Often the cry of distress is that of pain and lamentation. Tamar, after having been raped by Amnon, walked along crying out loud in her torn royal garment, her hands on her head, which was covered with ashes (2 Sam 13:19). At the news of the death of Absalom David wept, buried his face in his hands, and cried out (19:4 [5]). The Philistines will cry out and wail before the destruction of the conquering armies (Jer 47:2; cf. Isa 14:31); Moab will wail and cry because she is laid waste (Jer 48:20; cf. 48:31, 34; Isa 15:4–5, 8). Hosea admonishes Ephraim because they do not cry out to the Lord, but instead wail and gash themselves because of the destructive judgment that is coming upon their crops (Hos 7:14). The function of the beds in relation to wailing may be a mourning ritual or a separate cultic act (Andersen and Freedman, 474), but the rituals of laceration are mentioned.

3. The term זָעַק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large-scale calamity. In the visions of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Ezekiel cries out in alarm and lamentation at the decimation of the entire city (Ezek 9:8; 11:13; cf. 21:12 [17]). He describes the funeral dirge of Tyre in terms of the mourning rituals of ashes on the head, shaving of the hair, wearing of sackcloth, bitter weeping, and a loud outcry (27:29–32). The leaders of the nations wail, cry out, and roll in the dust because the day of their slaughter has come (Jer 25:34). At the edict to liquidate all the Jewish people Mordecai rends his garments, puts on sackcloth, and cries out in a loud and bitter voice (Esth 4:1). The feast of Purim was established as a memorial to remember their fasts and their outcries (9:31); זְעָקָה is here translated lamentations in the NIV, because that was the nature of their cry. Isaiah looks forward to the day when there will no longer be the sound of weeping or crying (Isa 65:19). Lamentation is in essence a cry of distress, whatever other acts may accompany it. This is also true of the cry of the nations at the time of their destruction. Most interesting in this regard is the extensive use of Isa 15–16 in Jer 48:29–38a, in the oracle against Moab (Holladay, 346–55; cf. Wildberger, 605–11). Lamentation was universally common. It is noteworthy that the use of the Isaiah material by Jeremiah does not add appreciably to the mockery, mourning, and desolation otherwise present in Jeremiah; it may be that in later times there was a sense of kinship in such tragedy (Holladay, 355), but it may also be that the natural similarity simply led to expansions of the lament poem.

4. The ni. is found 6× to indicate the loud cry by which an army is assembled; the G has a variant interpretation at Judg 6:34, treating it as q. with Gideon as subject, much as Jepthah in Judg 12:2. The cry of Jehoshaphat in battle has been interpreted as a similar rallying call (1 Kgs 22:32), but the Chronicler takes it to be a call of prayer to the Lord (2 Chron 18:31). The hi. is used on two occasions to describe the assembly of an army (Judg 4:10, 13; 2 Sam 20:4–5). In Job 38:9 the hi. appears to be the equivalent of the q. (Gordis, 401); Zech 6:8 is more of a military context, though a single individual is addressed, while Jonah 3:7 is the cry of judgment with the sense of assembling the city to hear it.

q. qal

ni. niphal

hi. hiphil

ANE Ancient Near East(ern)

APFC A. E. Cowley, Aramaic Papyri of the Fifth Century B.C., Oxford, 1923

DISO C.-F. Jean and J. Hoftijzer, Dictionnaire des inscriptions sémitiques de l’ouest, Leiden, 1965

THAT Theologisches Handbuch zum Alten Testament, ed. E. Jenni and C. Westermann, 2 vols., Munich, 1971, 1976

q. qal

q. qal

q. qal

MT Masoretic text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i. niphal

q. qal

hi. hiphil

hi. hiphil

q. qal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1131–1132.

 

 

 

 

 

 

 

 

728x90

And the Lord appeared to him by the ooaks1 of Mamre, as he sat at the door of his tent in the heat of the day. He lifted up his eyes and looked, and behold, three men were standing in front of him. pWhen he saw them, he ran from the tent door to meet them and bowed himself to the earth and said, “O Lord,2 if I have found favor in your sight, do not pass by your servant. Let a qlittle water be brought, and wash your feet, and rest yourselves under the tree, while I bring a morsel of bread, that ryou may refresh yourselves, and after that you may pass on—ssince you have come to your servant.” So they said, “Do as you have said.” And Abraham went quickly into the tent to Sarah and said, “Quick! Three seahs3 of fine flour! Knead it, and make cakes.” And Abraham ran to the herd and took a calf, tender and good, and gave it to a young man, who prepared it quickly. Then he took curds and milk and the calf that he had prepared, and set it before them. And he stood by them under the tree while they ate.

They said to him, “Where is Sarah your wife?” And he said, “She is tin the tent.” 10 The Lord said, “I will surely return to you uabout this time next year, and vSarah your wife shall have a son.” And Sarah was listening at the tent door behind him. 11 Now wAbraham and Sarah were old, advanced in years. The way of women had ceased to be with Sarah. 12 xSo Sarah laughed to herself, saying, y“After I am worn out, and zmy lord is old, shall I have pleasure?” 13 The Lord said to Abraham, “Why did Sarah laugh and say, ‘Shall I indeed bear a child, now that I am old?’ 14 aIs anything too hard4 for the Lord? bAt the appointed time I will return to you, about this time next year, and Sarah shall have a son.” 15 But Sarah denied it,5 saying, “I did not laugh,” for she was afraid. He said, “No, but you did laugh.”

o ch. 13:18; 14:13

1 Or terebinths

p ch. 19:1; [Heb. 13:2]

2 Or My lord

q ch. 19:2; 24:32; 43:24; [Luke 7:44; John 13:14]

r Judg. 19:5; [Ps. 104:15]

s ch. 19:8; 33:10

3 A seah was about 7 quarts or 7.3 liters

t ch. 24:67

u ver. 14; 2 Kgs. 4:16

v ch. 17:19, 21; 21:2; Cited Rom. 9:9

w ch. 17:17; Rom. 4:19; Heb. 11:11, 12

x [ch. 17:17]

y [Luke 1:18]

z 1 Pet. 3:6

a Job 42:2; Jer. 32:17, 27; Zech. 8:6; Matt. 19:26; Luke 1:37

4 Or wonderful

b ver. 10

5 Or acted falsely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8:1–15.

 

 

17장과 18장은 연속적으로 함께 읽혀져야 한다. 이 두장은 번성해가는 아브라함과 쇠퇴해가는 롯을 대조하면서 동시에 여러 공통점을 보여준다. 먼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이삭의 탄생 예고를(17:19) 사라에게도 직접 알려주셨지만(18:12) 아브라함도 웃었고(17:17) 사라도 웃었다.(18:12) 사라가 내년 이맘때에 이삭을 낳을 것(17:21)이라는 점도 다시금 언급된다.(18:14) 

 

12절의 사라의 웃음은 17:17절의 그녀의 남편 아브라함의 웃음을 상기시킨다. 

 

1절) 한글성경은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나타나셨다라고 말하지만 원어는 아브라함이라고 직접 칭하지 않고 그에게 나타나셨다라고 표현한다. 문맥상 17장과 연속적으로 읽을때 본문의 그를 아브라함이라고 인식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1-8절) 아브라함이 무더운 한낮에 더위를 피하기 위해서 마므레의 상수리 나무 그늘에 앉아 있었다. 본문의 마무레 상수리 나무는 앞서 13:18에서 장막을 옮겨 거주하던 곳이었다. 

이에 아브람이 장막을 옮겨 헤브론에 있는 마므레 상수리 수풀에 이르러 거주하며 거기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았더라” (창세기 13:18, NKRV)

도망한 자가 와서 히브리 사람 아브람에게 알리니 그 때에 아브람이 아모리 족속 마므레의 상수리 수풀 근처에 거주하였더라 마므레는 에스골의 형제요 또 아넬의 형제라 이들은 아브람과 동맹한 사람들이더라” (창세기 14:13, NKRV)

2절은 세 사람이 찾아왔고 아브라함이 그들을 보고 그들을 환대하였다. 본문은 몇번에 걸친 인칭의 변화가 등장한다. 1절에서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오셨다라고 말하는데 2절에서 아브라함은 세 사람을 보고 그들에게 달려가 몸을 굽혀 영접한다. 2절에서 놀라움을 표현하는 ‘힌네’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이어 아브라함은 3절에서 마치 한명에게 이야기하듯이 이야기한다. 3절에서는 아브라함이 말하는 대상이 나의 주님들이 아니라 ‘나의 주’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어 4-9절에서는 여러사람을 염두에 두고 2인칭 남성 복수로 대화를 진행해 나간다. 뿐만 아니라 이 천사들의 다음 여정지에는 두 천사가 등장한다.(19:1) 아브라함과 만났을 때는 분명 세사람이었는데 소돔에 이르렀을 때는 2명이 된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18:22을 보면 그 사람들(두 천사)가 떠나 소돔으로 향할 때 아브라함은 여호와 앞에 그대로 서 있었다. 말하자면 셋 중에 둘은 소돔으로 떠나고 여호와 하나님께서는 남으셔서 아브라함과 대화를 이어나가고 계셨던 것이다. 

유목민 삶을 중심으로 형성된 고대 근동에서 손님 환대(hospitality)는 죽음에서 생명을 구할 수도 있는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당시 풍습은 누구든지 자신의 장막으로 다가오면 쉬고, 먹고, 마실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는 것을 미덕으로 삼았기에 환대하지 않는 것은 이상하고 예외적인 일로 생각되었다. 그들이 이렇게 행한 이유는 선을 베풂으로써 잠재적 원수(potential enemy)를 최소한 잠시 동안이라도 자신의 편으로 만들거나 해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온 사람의 마음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었다. 이러한 근동 지역의 관습이 아브라함의 행동뿐만 아니라 다음 장에 기록된 천사들을 향한 롯의 섬김의 모습을 설명한다. 실제로 낯선 사람을 환대하는 것은 일종의 예배 행위이다. 탈무드는 객들에게 베푸는 호의는 하나님의 임재를 환영하는 것보다 더 위대하라’라고 기록하고 있다. 대접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처음에 제시했던 것보다 더 좋은 것이 나와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쉬었다 가라고 했으면 냉수라도 내와야 한다. 본문에서도 아브라함은 조금만 먹고 가라(5절)고 했다가 큰 잔치상을 마련한다. 탈무드는 이러한 아브라함의 행동을 보고 ‘의인의 길이 이렇다. 작은 것을 약속하고 큰 것을 베푸는 것이다’라고 했다. (엑스포지멘터리 336-7)

 

그늘에 앉아서 쉬고 있던 아브라함이 세 사람을 보고 달려나가서 그들을 영접하고 그들을 환대하며 극진하게 섬기고 있는 것이다. 앞서 말한대로 그당시 나그네를 환대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이었지만 거의 100세나 된 노인이 달려나가서 그들을 영접하는 것은 일반적인 것은 아니다. 우리는 결국 아브라함이 이 세 사람이 특별한 존재임을 인식하였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아브라함은 그들을 환대하면서 먼저는 발을 씻고 나무 아래서 쉴 것을 청한다. 그리고 나아가서 떡을 조금 가져오겠다라고 말한다. 이에 그들이 ‘네 말대로 그리하라’라고 명한다. 당시 샌들을 신고 다니는 문화에서 나그네들의 발은 항상 지저분할 수 밖에 없다. 손님이 도착했을때 발을 씻어 주는 것은 집안의 종들중에 가장 막내의 몫이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시기 전에 제자들의 발을 씻기신의미도 이것이다. 손님들이 그의 초청에 응하자 아브라함은 아주 바빠졌다. 그는 급히 장막으로 가서 아내 사라에게 고운 가루 세 스아를 가져다가 떡을 만들라고 명했고 이어서 가축 떼 있는 곳으로 가서 젊은 하인에게 기름지고 좋은 송아지를 잡아 주어 그것을 급히 요리하라고 명한다. 그리고 나서 엉긴 젓(요구르트)과 우유와 하인이 요리한 송아지를 가져다가 그들 앞에 차려 놓고 나무 아래에 모시고 이를 제공했다. 

한 스아는 학자들마다 다른데 4.5리터에서 15리터에 달하는 부피를 말한다. 세 스아의 고운 밀가루는 약 13리터에서 45리터에 해당되는 많은 양이다. 아비가일이 화가 난 다윗의 군대를 달래기 위해서 다섯 스아의 밀가루로 빵을 빚었다.(삼상 25:18) 엘리야가 갈멜 산에서 바알 선지자와 싸울 때 여호와의 제단 주위에 두 세아의 곡식을 둘만한 도랑을 팠다. 이런 점을 고려해보면 세 스아의 밀가루는 매우 많은 양으로 손님들만이 아니라 온 집안 사람들이 먹고도 남을 정도의 빵을 구운 것이다. 또한 본문속에 보면 ‘급히, 속히’라는 표현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아브라함이 이들을 얼마나 귀하게 인식하고 대했는지를 알 수 있다. 아브라함은 기름지고 좋은 송아지를 잡아 요리핟록 시켰다. 아브라함이 손님을 위해 송아지까지 잡은 것은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서이거나 그를 찾은 손님을 극진히 대전하비 위한 이유일 것이다. 뿐만 아니라 소화에 도움을 주는 엉긴 젓, 우유를 발효시킨 요구르트까지 내왔다. 이 세사람은 이처럼 아브라함이 준비한 음식을 먹었고 아브람은 그 식사 자리에 동참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음식 먹는 것을 지켜보고 있었다. 아브라함은 지금 철저하게 그들을 섬기고 있는 것이다. 

 

9-15절) 이제 음식을 먹은후에 천사들은 아브라함에게 ‘네 아내 사라가 어디 있느냐’라고 묻는다. 나그네들이 이처럼 아내가 어디 있는지를 묻는 것은 무례한 질문이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누군가가 어디에 있는 지를 물으셨던 이전의 구절들(3:9, 4:9)을 통해서 볼 때 하나님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 질문하신 것이 아니라 대화를 핵심으로 이끌어가려는 목적으로 질문하고 계신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해서 아브라함은 ‘장막에 있습니다’라고 대답한다. 이에 ‘내년 이맘 때 내가 반드시 네게 돌아올텐데 네 아내 사라에게 아들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고 이 말씀을 사라가 장막 문뒤에서 들었다. 당시 아브라함은 100세, 사라는 90세로 늙어서 사라의 생리가 끊어진 상태였다. 11절에서는 거듭 아브라함과 사라가 임신할 가능성이 없음을 강조한다. 첫째는 나이가 많아, 둘째는 늙어서, 셋째는 여성의 생리가 끊어져서라고 말한다. 이로 인해서 사라는 속으로 웃으며 말했다. ‘내가 기력이 다했고, 내 남편도 늙었는데 매게 무슨 즐거움(아들을 잉태함)이 있겠는가?’ 하지만 이 속으로 한 말을 여호와께서 들으시고 ‘사라가 왜 웃으며 내가 늙었거늘 어떻게 아들을 낳겠느냐라고 하느냐? 여호와께 능치 못한 일이 있겠느냐? 때가 되었을 때 내가 네게 돌아올텐데 사라에게 아들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11절에서는 아브라함과 사라가 나이 많아 늙었다라고 말하고 12절에서는 내 주인도 늙었다라고 표현하고 13절에서는 나 자신이 늙었다라고 표현하다. 세절에서 거급해서 늙었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지금 화자는 아브라함과 사라가 자식을 나을 가능성이 전혀 없음을 거듭 강조하는 것이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 그들의 가능성이 줄어들수록 하나님의 전능하심은 더욱 놀랍게 느껴진다. 

“여호와께 능하지 못한 일이 있겠느냐?”라는 이 표현에서 ‘능하지 못한’이라는 단어는 인간의 노력과 연관지을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 이는 히브리어로 ‘펠레’인데  의미는 '기이한, 깜짝 놀라는, 신비한, 초자연적인’이다. 말하자면 여호와께는 어떤 불가능한 일도 있을 수 없다라는 의미인 것이다. 

The question about why Sarah laughs is simply the lead into the more important statement of verse 14, “Is anything too hard for the Lord?” The word translated “hard” here is not a quality that can be connected to human endeavors. Even applied as a description of the temple (2 Chron. 2:9), it refers to that which goes beyond what human workmanship can attain. Proverbs 30:18–19 speaks of four things that are beyond human understanding, though they are in the realm of human experience. The sense of the word goes beyond “wonderful” or “astonishing” to something more like “mystical” or “supernatural.” Here we see a clear statement of what the text is teaching about God.

 John H. Walton, Genesi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2001), 454.

פָּלָא (pālāʾ), ni. be difficult, extraordinary, wonderful; pi. fulfill; hi. do something in an extraordinary way; hitp. to show o.s. marvelous (hapleg.) (#7098); מִפְלָאוֹת (miplāʾôt), wonderful works (hapleg.; #5140); nom. פֶּלֶא (peleʾ), something extraordinary, wonder (#7099); adj. פִּלְאִי (pilʾî), marvelous (#7100). Some distinguish between פָּלָא, marvelous, and פָּלָא, pi. fulfil (a vow); hi. to fulfil (a vow), see THAT 2:415. The existence of this separate root is a debated question.

ni. niphal

pi. piel

hi. hiphil

hitp. hitpael

o.s. oneself (in lexical definition)

hapleg. hapax legomenon

hapleg. hapax legomenon

pi. piel

hi. hiphil

THAT Theologisches Handbuch zum Alten Testament, ed. E. Jenni and C. Westermann, 2 vols., Munich, 1971, 1976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615.

Abraham’s earlier protestations regarding fathering a child had focused on his problem (15:4), or on the advanced age of both prospective parents (17:17). Also, such protestations occurred in Abraham’s direct discourse. But here it is the narrator who speaks. He knows Abraham and Sarah are advanced in years and Sarah has reached menopause. This phrase reinforces the advanced stage of Sarah. She was not just old or older, but at a point where her menses had ceased. This verse and the following two place special emphasis on the ages of Abraham and Sarah by the three-time use of the root zqn. The narrator calls both of them “elderly” (zeqēnîm, v. 11), a point made by Sarah about Abraham (zāqēn, v. 12) and about herself (zāqantî, v. 13). The narrator simply states the biological facts. The narrator, while he does not succumb to an outburst of laughter as Abraham did, and as Sarah shortly will, through such asides, injects his own sense of humor and the incredulous into the story. As Sternberg has said, “In his interpolated aside on the age of the prospective parents, he [v. 12, the narrator] goes out of his way to give color to Sarah’s laughter at the visitor’s forecast: the more natural her doubt, the stronger our sense of God’s supernatural prescience.”37

37 M. Sternberg, The Poetics of Biblical Narrative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1985), p. 91.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12.

 

사라의 비웃음과 거짓말, 사라는 자신이 1년후에 아들을 낳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속으로 웃었다. 왜냐하면 누구보다 자신은 지금 여성으로서의 기능이 그쳐졌다는 것을 정확히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호와께 능치 못한 일이 있느냐?’라고 정색하며 주님께서 정한 기일에 그 일을 이루실 것을 말씀하시자 사라가 두려워하며 거짓말을 한다. 자신의 불신이 드러나자 두려움에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두려움은 사람들로 하여금 비이성적이고 본성과 반대되는 말이나 행동을 하게 한다. 아담은 하나님이 두려워서 숲에 숨었다. 아브라함은 애굽 사람들이 두려워서 사래를 자신의 누이라고 속였다. 본문에서 사라는 자신의 불신이 드러나자 두려워하여 부인하고 있다. 첫번째 죄를 덮기 위해서 두번째 죄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죄는 항상 이렇다. 이미 지은 죄를 숨기고 가리기 위해서 새로운 죄를 짓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죄를 일찍 인정하고 회개해야 한다. 

 

 

 

 

 

728x90

15 And God said to Abraham, “As for Sarai your wife, you shall not call her name Sarai, but Sarah4 shall be her name. 16 I will bless her, and moreover, I will cgive5 you a son by her. I will bless her, and dshe shall become nations; kings of peoples shall come from her.” 17 Then Abraham efell on his face fand laughed and said to himself, “Shall a child be born to a man who is a hundred years old? Shall Sarah, who is ninety years old, bear a child?” 18 And Abraham said to God, “Oh that Ishmael might live before you!” 19 God said, “No, but gSarah your wife shall bear you a son, and you shall call his name hIsaac.6 I will establish my covenant with him as an everlasting covenant for his offspring after him. 20 As for Ishmael, I have heard you; behold, I have blessed him and will make him fruitful and imultiply him greatly. He jshall father twelve princes, and kI will make him into a great nation. 21 But lI will establish my covenant with Isaac, mwhom Sarah shall bear to you at this time next year.”

22 When he had finished talking with him, nGod went up from Abraham. 23 Then Abraham took Ishmael his son and all those born in his house or bought with his money, every male among the men of Abraham’s house, and he circumcised the flesh of their foreskins that very day, as God had said to him. 24 Abraham was ninety-nine years old when he was circumcised in the flesh of his foreskin. 25 And Ishmael his son was thirteen years old when he was circumcised in the flesh of his foreskin. 26 That very day Abraham and his son Ishmael were circumcised. 27 And all the men of his house, those born in the house and those bought with money from a foreigner, were circumcised with him.

4 Sarai and Sarah mean princess

c ch. 18:10

5 Hebrew have given

d ch. 35:11

e ver. 3

f ch. 21:6; Rom. 4:19; [John 8:56]

g ch. 18:10; 21:2; Gal. 4:23, 28

h ch. 21:3

6 Isaac means he laughs

i ch. 16:10

j See ch. 25:12–16

k ch. 21:13, 18

l ch. 26:2–5

m ch. 21:2

n ch. 35:1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7:15–27.

 

 

15-16절) 하나님께서 다시 아브라함에게 말씀하신다. 아브라함의 아내 사래의 이름을 이제 사라로 개명할 것을 명하신다. 사라의 이름은 ‘여주인, 열국의 어미’라는 뜻으로 하나님께서 사라에게 복을 주어 아들을 낳게 해주시고 이를 통해 여러 민족의 어머니가 되게 하시고 그녀로부터 민족의 여러 왕이 날 것이다라고 약속하셨다. 

 

사래의 원래 뜻은 ‘공주, 여왕’이란 의미이다. 이제 사라는 ‘여러 민족의 어미, 많은 왕들의 어미’라는 뜻이다. 하나님께서는 그녀도 아브라함처럼 많은 민족과 왕들의 어머니가 될 것이라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성경에서 이름이 바뀐 여인으로 기록된 사람은 사라가 유일하다. 또한 23:1에 그녀가 127살에 죽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여인의 죽음에 대해서 나이를 밝히는 것도 사라가 유일하다. 그녀는 독보적인 여인이었던 것이다. 또한 아브라함의 경우 이름이 바뀌면서 왕들을 후손으로 둘 것이라는 것 외에는 특별히 더해진 내용이 없는데 반해 사라의 경우에는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여러 민족과 왕들’이 사라의 몸을 통해서 나올 것이라는 말씀을 더하신다.(16절) 사라의 몸종 하갈을 통해서 얻은 이스마엘이 아니라 사라의 태에서 나올 아들을 통해서 이런 일이 있으리라는 사실은 매우 충격적이다. 지금 그녀는 불임으로 수치스러운 인생을 살아왔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간적인 방법을 동원했다가 큰 어려움에 봉착하기도 했다. 그런데 지금 하나님께서는 놀라운 변화를 그녀의 삶에 시작하고 계신 것이다. 사라가 아이를 낳고 그 아이를 통해서 ‘열국의 어미’가 될 것이라는 하나님의 말씀은 진정한 의미에서 복음이다. 아이를 낳지 못한다는 평생의 수치를 한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대단한 사건이다. 또한 언약의 내용이 점점 더 구체화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인간의 한계를 보게 된다. 하나님의 때와 그 방법을 기다리지 못하고 인간적인 방법을 동원한 아브람과 사래의 모습은 참으로 아쉽다. 물론 인간 편에서 하나님께 원망을 할 수도 있다. 좀더 일찍 해주시지. 이처럼 우리의 믿음 생활 속에서 하나님이 때를 기다리는 것은 매우 중요한, 어려운 것이다. 

 

17-18절) 이 이야기를 들은 아브라함이 엎드려 웃었다. 그가 웃은 이유는 바로 자신과 아내의 늙음으로 인해서 출산이 불가능하다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아브라함의 나이는 100세, 사라의 나이는 90세로 생식적으로 출산이 불가능하기에 속으로 웃으면서 이스마엘이나 하나님 앞에서 살기를 원한다라고 말했다. 

지금 아브라함은 이스마엘을 자신의 후계자로 생각하며 살고 있었는데 사라를 통홰서 아들을 주시겠다라는 말씀은 그에게 매우 믿을 수 없는, 충격적인 선언이었다. 그래서 이스마엘이나 하나님 앞에서 잘 살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아브라함은 어쩌면 지금 현재 이스마엘의 자라는 것을 보면서 그 삶에 만족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안정되고 익숙한 삶에 새 아이가 태어나면 지금이 안정감이 파괴될지도 모른다는 불안이 엄습했을까?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이 아브라함의 믿음없음으로 인해서 멈추지 않으시고 이삭을 주실 것을 약속하신다. 

 

19-21절) 이제 다시 하나님께서 그의 웃음을 보시고 말씀하신다. 네 아내 사라가 네게 아들을 낳을 것인데 이름을 이삭이라고 하라.하나님께서 이삭과 언약을 세울 것인데 이는 이삭의 후손에게 영원한 언약이 될 것이다. 이스마엘(하나님이 들으시다)에게는 복을 주어 크게 생육하고 번성하게 하여 12두령을 낳고 큰 나라를 이루게 하겠지만 하나님과 언약을 맺는 것은 사라를 통해서 태어날 이삭을 통해서임을 말씀하셨다. 

 

이삭은 ‘그가 웃는다’라는 의미이다. 특별히 이삭이 태어나는 것과 관련해서 웃임이라는 모티브가 여러 부분에서 등장한다. 17절에서는 아브라함이, 18:12-15에서는 사라가 믿지 못하고 웃었다. 또한 이삭을 낳고 나서 사라는 기뻐서 웃었다.(21:6) 또한 이스마엘이 이삭을 놀렸다라는 표현도 같은 단어이다.(21:9) 이는 히브리어로 ‘사하크’라는 단어로 옷음을 자아내다, 농담하다, 희롱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처럼 이 단어는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사용된다. 

צָחַק (ṣāḥaq), q. laugh; pi. play, joke, insult, indulge in revelry (#7464); nom. צְחֹק (ṣeḥōq), laughter, derision (#7465).

ANE There are cognates in Ugar. (ṣḥq and ẓḥq), Akk. (ṣâḫu), and Arab. (ḍaḥika), with the basic meaning laugh.

OT The term is used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1. Laughter can be associated with a positive change of fortune brought about by God for an individual. The aged Sarah reacted to the birth of Isaac by declaring “God has brought me laughter,” a laughter of joy that others would share with her (Gen 21:6; for the interpretation of v. 6b see Westermann, 333–34). There is a play on the name “Isaac” (יִצְחָק).

2. It is one of the ironies of the Samson narratives that his God-appointed work as judge to deliver Israel from the Philistine oppressors (Judg 13:5) was accomplished by the entertainment he was forced to provide, which led to their destruction (16:25).

3. In Exod 32:6 the vb. i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worship of the golden calf (NIV indulge in revelry). This usage may correspond to that of שָׂחַק (#8471) for religious celebration (cf. Sasson, 152), but more likely it refers to a sexual orgy (Hvidberg, 148; Brenner, 47, 51; cf. Gen 26:8; 39:17).

4. There are instances of a negative connotation. In Gen 17:17 the vb. refers to Abraham’s incredulous reaction to God’s miraculous promise of a son, to which the name “Isaac” (17:19) would bear witness. In Gen 18:12, 13, 15 Sarah’s laughter seems to reflect a more reprehensible measure of doubt and disbelief. (Abraham/Abram)

q. qal

pi. piel

ANE Ancient Near East(ern)

Ugar. Ugaratic

Akk. Akkadia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796–797.

 

우리는 본문을 통해서 처음에는 하나님의 말씀을 믿지 못해서 비웃던 비웃음이 이후에 진정한 웃음으로 변하게 되는 것을 보게 된다. 

 

23-27절) 아브라함이 하나님이 자기에게 말씀하신 이날에 그 집안의 모든 남자들을 불렀다. 이에 이스마엘과 집에서 태어난 자와 돈으로 산 모든 아브라함 집안의 남자들을 불러 할례를 행하였다. 아브라함은 99세, 이스마엘은 13세에 할례를 받았고 다른 모든 남자들도 아브라함과 함께 할례를 받았다. 

 

하나님께서는 창 12:2에 아브라함에게 처음 나타나셔서 큰 민족을 이루어주실 것을 약속하셨다. 하지만 그에게는 아들이 없었다. 하지만 여전히 하나님께서는 15:4에 다시 나타나셔서 자식이 없는 아브라함에게 다메섹 사람 엘리에셀이 아니라 네몸에서 태어날 자가 너의 상속자가 될 것아라고 약속하셨다. 이때에도 누구를 통해서 태어날지는 언급하지 않으셨다. 그 결과로 16장에서 사래는 자신의 여종 하갈을 아브람에게 들여보내서 아들을 낳게한다. 그가 이스마엘이다. 하지만 17:16에서 다시금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나타나셔서 사라의 태를 여서서 그녀를 통해 아들 이삭을 낳게 할 것을 약속하셨다. 이러한 약속을 받으면서 아브라함은 어땠을까? 

노년에 하갈을 통해서 이스마엘을 낳고 아브람은 이스마엘이 약속된 아들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지냈을 것이다. 그리고 그 13년동안 하나님께서 별다른 말씀을 하지 않으셨고 이 과정에서 아브람은 나름대로 이스마엘을 통해 하나님의 언약이 이루어질 것을 믿으면서 그의 재롱을 보면서 노년을 보내고 있었다. 지금 그의 모든 사랑, 희망, 꿈들은 이 소년 이스마엘에게 집중되어 있었고 이미 이스마엘을 후계자로 이야기해놓았을지도 모른다. 이당시 아브라함은 다른 아들을 기대하고 있지 않았다. 그런데 바로 지금 그가 99세되는 때에 하나님께서 그에게 나타나셔서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이야기를 하고 계신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때였을까? 아브라함이 사라와 처음 가나안에 입성했을때, 그들은 그때까지 아이를 낳지 못했지만 조그만 희망은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특히 사라의 아름다움은 바로의 마음을 휘어잡을 정도였기에 충분히 아이를 가질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사라의 폐경기가 지났고 아브라함도 나이가 들어 소망이 없어진 상태가 되었다. 의학적으로, 생식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 된 것이다. 바로 이때가 하나님의 때인 것이다. 사라에게 육체적으로/의학적으로 티끌만한 희망이 남아있는 한 그때는 하나님의 때가 아니었다. 하나님께서는 당사자들이 완전히 불가능하다라고 여길 그 때를 기다리신 것이다. 왜냐하면 앞으로 아브라함을 통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낼 이스라엘 자손은 자신들이 잉태 단계부터 하나님의 놀라운 역사, 기족을 통해 비롯되었음을 알아야 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사건을 통해서 인간이 불가능하다고 완전히 포기할 때에야 비로소 하나님께서 사역을 시작하신다는 교훈을 배우게 된다. 

 

아브람에서 아브라함으로, 할례를 행하고 사래를 사라로 개명하는 것은 가능했는데 사라를 통해서 자녀를 주시겠다라는 약속의 말씀은 어쩌면 기쁜 소식이 아니라 믿기 어려운, 도리어 자신의 기존의 계획과 생각을 뒤엎어야 하는 놀라운 소식이 아닐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웃었고 나중에는 결국 이스마엘이 아니라 이삭을 통해서 하나님의 언약이 진행된다는 사실을 알고 고민에 휩싸였을 것이다. 

우리의 인생이 이러하다.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경험하고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여 살아간다. 그런데 그렇게 오랜 기간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처럼 느껴지고 그 상황가운데 자신의 계획대로, 자신의 생각대로 일을 담담히 해나간다. 하지만 그러다가 어떤 순간에 하나님께서 오셔서 나의 계획은 이것이다라고 말씀하실 때 지금 내가 가는 이 길이 잘못된 방향이라는 것을 깨닫는 순간 우리는 어떤 반응을 보일 것인가? 아브라함처럼 웃으며 말도 안되요라고 하나님의 일하심을 거부할 것인가 아니며 도저히 믿기지 않지만 하나님의 열심이 이 일을 이루실 것을 기대하며 불가능해 보이는 그 길을 향해서 우리의 발걸음을 내딛을 것인가? 

 

 

 

 

 

 

 

 

728x90

And God said to Abraham, “As for you, you shall keep my covenant, you and your offspring after you throughout their generations. 10 This is my covenant, which you shall keep, between me and you and your offspring after you: Every male among you shall be circumcised. 11 You shall be circumcised in the flesh of your foreskins, and it shall be a zsign of the covenant between me and you. 12 He who is aeight days old among you shall be circumcised. Every male throughout your generations, whether born in your house or bbought with your money from any foreigner who is not of your offspring, 13 both he who is born in your house and he who is bought with your money, shall surely be circumcised. So shall my covenant be in your flesh an everlasting covenant. 14 Any uncircumcised male who is not circumcised in the flesh of his foreskin shall be cut off from his people; he has broken my covenant.”

z Acts 7:8; Rom. 4:11

a Lev. 12:3; Luke 1:59; 2:21; Phil. 3:5

b [Ex. 12:48, 49]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7:9–14.

 

A detail of a relief in the tomb of Ankhmahor at Saqqara depicting a priest performing ritual circumcision, ca. 2600 BC.

Werner Forman Archive/Glow Images

 

 

앞서 아브람을 아브라함으로 칭하시고나서 그 이름처럼 열국의 아버지가 되게 하시겠다라고 약속하셨다. 그것의 결과로 여러 민족과 왕들이 나오고 거류하는 이 땅 가나안을 영원한 기업으로 주시겠다라고 약속하시고 나서 이제 또한 언약의 증표로 할례를 요구하신다. 

어떤 언약의 경우에 이와 연관된 증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무지개(9:12-13)와 안식일(출 31:16-17)등이다. 

 

9-14절은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명령하시는 내용이다.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내용은 바로 ‘너는 내 언약을 지키고 네 후손도 대대로 지키라’라고 말씀하시는데 여기서 요구하시는 내 언약이 바로 할례이다. 이는 앞선 1절에서 하나님께서 요구하신 ‘너는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라고 명령하신 것을 지키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증표로 할례를 요구하신다. 11절은 남자의 포피를 베는 이 행위가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사이의 언약의 표징이라고 말한다. 결국 할례를 행한다는 것은 이 언약에 매인바되어서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며 살아가겠다라는 사실을 증거하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이 할례는 집에서 태어난 자이던 아니면 이방인으로 돈으로 산 자이던 간에 관계없이 받아야 하는데 난지 8일만에 받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 언약의 표징이 너희의 몸에 있어 영원한 언약이 되게 하려는 것이고 할례는 받지 않은 남자, 그 포피를 베지 않은 자는 백성중에서 끊어질 것인데 이는 ‘내 언약’을 배반하였기 때문이다. 

 

11절) 할례는 언약의 표징이다. 

결국 할례는 하나님과의 언약의 관계안에 있다라는 것을 상징한다. 하나님의 언약이 요구하는 것은 바로 다름 아니라 거룩함이다. 구약은 이처럼 거룩함을 위해서 계속해서 노력해야 했다. 하지만 신약에 와서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으심으로, 보혈의 능력으로 우리를 정결케 하셨고 믿는 이들에게 외적인 할례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그리스도께서 신자들을 십자가위에서 정결케 하셨기 때문이다. 이러한 육신의 할례는 유대인들이 처음 고안해 낸 것은 아니다. 이미 이집트의 신전에서 제의를 거행하던 남자들에게 할례를 통해 종교적인 정결을 요구하였다. 할례는 남자의 생식기의 포피의 끝부분을 잘라내는 의식이다. 육체에 분명하게 남겨지는 표지로서 다른 사람에게 공개적으로 보이려는 목적은 아니다. 결국 이 할례는 아브라함의 자손의 하나님의 언약속에 구별되었음을 보이려고 의도적으로 베풀어진 것이다. 이 할례가 다음 세대에도 대대로 지켜진 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서 새로 태어나는 사내아이는 8일 째 되는 날에 할례를 시행했다. 

할례는 고대 근동에서 여러 민족들이 성년식으로, 다산 예식으로, 결혼 예식으로, 자신의 신전의 제사장을 정결케 하는 이유로 이루어졌다. 결혼 예식으로 사용될 때는 신부 집안의 남자들이 신랑에게 할례를 행했는데 가족의 일원으로 받아들인다느 상징적인 의미였다. 아이에게는 8일째 할례를 행했는데 당시 태어나자마자 죽는 아이들이 많았기 때문에 갓 태어난 아이가 일주일을 살면 생존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성경에서 8일쩨 할례를 행한 이유는 이 내어난 아이가 7일 동안의 천지창조 사이클을 경험한 후 첫날이며 또한 8일째 되는 날은 속죄일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출 22:29; 레 9:1; 14:10, 23; 15:15, 29; 22:27; 민 6:10) 아이가 태어난지 8일째 되는 날은 하나님께 아이를 헌신하기에 가장 좋은 날인 것이다. 

 

이처럼 이스라엘 백성들은 할례받지 않은 이들을 부정한 자, 하나님을 대적하는 자들로 여겼다.(삼상 17:26, 36; 합 2:16; 사 52:1) 뿐만 아니라 레 19:23을 보면 새로운 땅에 들어가 얻은 열매는 3년간 할례를 받지 않은 것으로 여겨서 이 열매를 먹지 말것을 명하고 있다. 

너희가 그 땅에 들어가 각종 과목을 심거든 그 열매는 아직 할례 받지 못한 것으로 여기되 곧 삼 년 동안 너희는 그것을 할례 받지 못한 것으로 여겨 먹지 말 것이요” (레위기 19:23, NKRV)

 

그렇다면 이 할례, 표징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은밀한 성기에 있는 이 표징은 다른 사람을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할례를 받은 당사자를 위한 것이다. 이를 바라보면서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를 기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Circumcision is called both “my covenant” (v. 10) and a mark (or sign, ʾôṯ) of the covenant (v. 11). The designation of circumcision itself as a covenant is a synecdoche for covenantal obligation: “this is [the aspect of] my covenant you must keep.”

Circumcision is designated as a sign of the covenant, but a sign for whom? The one who is circumcised (and his family)? God? The outsider? This is the fourth passage in Genesis that mentions a sign (Heb. ʾôṯ). In 1:14 the luminaries serve as signs to identify the seasons. In 4:15 the sign on Cain identifies him to the outsider as one under divine protection. He belongs to that category. Along with these two identity signs we have the mnemonic sign of the rainbow (9:8–17, “when I see it, I will remember”), put in the heavens by God to remind him of his promise to Noah not to destroy the world by a deluge again.

Circumcision does not identify Israelites qua Israelites to non-Israelites, for many non-Israelites already practiced the same rite. And the later verses of this chapter record the circumcision of Ishmael, who is not part of the covenant that is to be perpetuated by Isaac! Also, how would one identify an Israelite via circumcision when clothing concealed it?

May the act of circumcision be a sign for the benefit of the one circumcised? Every time he looks at his body he is reminded that he is part of Yahweh’s covenant. Thus interpreted, circumcision is a mnemonic sign, reminding God’s people of who they are (as in Exod. 13:9, 16; 31:12–17; Num. 15:37–40; Deut. 6:8; 11:18; Josh. 4:6–7), from what they have been delivered, and by whom they have been delivered.

It is equally possible that circumcision is a sign to God, as was the rainbow in ch. 9. God will see the circumcised penis of the Israelite before and during sexual congress, and will then “remember” his promise to Abraham and to all his descendants to make them very fertile.14

One factor that militates against the idea of circumcision as a sign for the one circumcised and favors the idea of circumcision as a sign for God is the lack of an explanation for the sign. In other instances where a sign is given to the Israelites,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at sign is also given.

We may note the following: (1)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Exod. 13:3–10) is to be “a sign of your hand and as a memorial between your eyes that the law of the Lord may be in your mouth” (Exod. 13:9). (2) The consecration of the firstborn (Exod. 13:1–16) is to be “a mark on your hand or frontlets between your eyes, for by a strong hand the Lord brought us out of Egypt” (Exod. 13:16). (3) The Sabbath (Exod. 31:12–17) is “a sign between me and you throughout your generations, that you may know that I, Yahweh, sanctify you” (Exod. 31:12; also v. 17). (4) The bronze censers for the altar (Num. 17:1–5 [Eng. 16:36–40]) are “to be a reminder to the people of Israel … so that no one who is not a priest … should draw near to burn incense before Yahweh” (Num. 17:5 [Eng. 16:40]). (5) Aaron’s rod is to be “a sign … so that you make an end of their murmurings against me” (Num. 16:25 [Eng. 17:10]). (6) The placing of the phylacteries between one’s eyes and on the doorposts of the house is to remind God’s people of his word (Deut. 6:8; 11:18). (7) The monument of stones (Josh. 4:1ff.) is to be a “a sign among you,” reminding both the present and succeeding generations of the redemptive acts of God (“so that all the people of the earth may know that the hand of Yahweh is mighty”; Josh. 4:24).

In two passages the sign (ʾôṯ) is for God. The rainbow is for his benefit, and it serves to remind him of his earlier promise to Noah never again to drown the earth (Gen. 9:12–17). The blood on the doorposts at Passover (Exod. 12:7–13) is a sign for God to observe. When he sees it he is to “pass over” that house. This example is all the more remarkable when it is recalled that the Israelites already are living apart from the Egyptians, confined to the land of Goshen. The occupants of these houses can only be Hebrews. Clearly the sign of the blood does not identify the occupants of the house as Hebrews, when Yahweh passes over, but rather is an evidence to Yahweh of their compliance with his directive about the blood on the doorposts.

How, then, may one account for the absence of a clause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ign of circumcision? God sees the rainbow with the result that he remembers. He sees the blood with the result that he passes over the house. One might suggest that the delicacy of the circumstances mandated this omission in Gen. 17. It is unlikely that the OT would have inserted “And when I see you copulating I will remember my promise to make Abraham fertile”!

14 See M. Fox, “The Sign of the Covenant: Circumcision in the Light of the Priestly ʾôt Etiologies,” RB 81 (1974) 595–96.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0), 470–471.

 

본문에서 포피라고 말하는 것은 남자의 생식기의 끝의 피부를 말한다. 이는 ‘아홀라’라는 히브리어 인데 주로 할례와 관련되어 사용되었다. 

עָרַל (ʿāral), q. treat as uncircumcised; ni. be uncircumcised (#6887; but see below [OT 1]); denom. from עָרֵל (ʿārēl), adj. uncircumcised (#6888); עָרְלָה (ʿorlâ), nom. foreskin (#6889).

ANE The root occurs in Akk., Arab., and Aram.

OT 1. The adj. עָרֵל, uncircumcised, and nom. עָרְלָה, foreskin, are used literally in the passages that relate to circumcision (מוּל, #4576): Gen 17:11ff.; 34:14; Exod 4:25; 12:48; Lev 12:3; Josh 5:3, 7. In Judg 14:3; 15:18; 1 Sam 14:6; 17:26, 36; 31:4 (= 1 Chron 10:4); 2 Sam 1:20, the adj. is used as a term of ethnic contempt concerning the Philistines, who were probably of Indo-European origin and so did not conform to the West Sem. practice of circumcision. It implies their alien status and, especially in 1 Sam 17:26, 36, their opposition to Israel’s God. In Hab 2:16 the vb. הֵעָרֵל, be uncircumcised, may connote “show one’s foreskin” and so “be exposed” (NIV), but there is strong textual evidence (cf. NRSV, REB) for a reading הֵרָעֵל, stagger (cf. Isa 51:17, 22). In Isa 52:1 Jerusalem, ruined during the Exile, is promised that the עָרֵל, uncircumcised, and the unclean, the foreigners who destroyed it, would not invade the holy city again. There is a link with the cultic role of circumcision (מוּל).

2. The vb. and nom. are used in a metaphor at Lev 19:23. The fruit of newly planted trees was for the first three years to be regarded as their uncircumcised foreskins and so could not be offered to God as firstfruits. Again, the cultic role of circumcision is in view.

3. Regarding the metaphorical uses of the nom., for a discussion of Deut 10:16; Jer 9:25 [24], see מוּל, circumcise (Circumcision [sec. 5]). A similar case occurs in Lev 26:41, which refers to the humbling of Israel’s “uncircumcised heart” (לְבָבָם הֶעָרֵל); it is explained in terms of rejecting God’s laws (v. 43). In Ezek 44:7 (cf. v. 9) foreigners, who are עַרְלֵי־לֵב, uncircumcised in heart, and עַרְלֵי בָשָׂר, uncircumcised in flesh, and thus emphatically not members of the covenant people, are forbidden to serve in the grounds of the new temple, unlike the Carian guards who patrolled the courts of the preexilic temple (cf. 2 Kgs 11:4–16). In Jer 6:10 Israel’s ear is called עֲרֵלָה, uncircumcised, in its unresponsiveness to God; the same lack of commitment has been considered above (see מוּל). In the priestly text of Exod 6:12, 30 Moses objects to God’s commission of him on the ground that he (Moses) is עֲרַל שְׂפָתָיִם, uncircumcised in lips. It clearly connotes “faltering lips” (NIV), probably via the notion of being unfit for cultic use (cf. Lev 19:23; Isa 6:5 [unclean lips]; 52:1; cf. Hermisson, 71–72).

4. In the satirical lament over Egypt in Ezek 32:18–32, mention of the עֲרֵלִים, uncircumcised, lying in the underworld occurs 9× (in v. 27a reading מֵעוֹלָם, long ago, is preferable; cf. NRSV, NJPSV). Similar language is used in 28:10; 31:18. Since at least in 28:10; 32:29, 30 reference is made to ethnic groups who normally practiced circumcis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a term for infants who died before being circumcised and were barred from burial in the family tomb is here used of a category of outcasts in Sheol (cf. Lods, 271–83).

q. qal

ni. niphal

ANE Ancient Near East(ern)

Akk. Akkadian

Sem. Semitic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REB Revised English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NJPSV New Jewish Publication Society Version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537–538.

 

12-13절) 본문은 아브라함의 집에 있는 모든 남자들, 집에서 태어난자나 돈으로 산 종들이나 모두 할례를 받을 것을 반복해서 강조한다. 결국 이는 할례가 인종적인 순결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또는 사회적인 신분을 나누기 위한 것도 아니다. 왜나하면 아브라함에게 속한 이방인 종들에게도 할례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결국 할례는 하나님과 맺은 언약의 관계의 중요성을 믿는가 그렇지 않은가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었다. 

 

14절)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할례는 매우 중요한 의식, 표징이었다. 그래서 이 육신의 할례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고 신약에 와서도 복음을 증거하면서 이를 강조했다. 구약시대에는 이것이 큰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신약의 초대교회때가 되면서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메시야로 믿는 이방인의 숫자가 많아지자 이 할례의 문제가 현실적인 난관이 되게 되었다. 유대인들은 구원에 있어서 할례가 필수적인 요소라고 강조한 반면에 바울은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게 되기 때문에 육신의 할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마음의 할례가 더욱 중요하다고 하였다. 

할례 자체에 특별히 어떠한 신비한 능력이 있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과의 언약의 증표, 상징으로 주신 것인데 이를 거부하는 것은 하나님을 거부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할례가 언약의 전부인 것으로 착각했다. 하지만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할례는 아브라함과 그 후손들이 하나님과 언약을 맺음으로 특별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는 표증이지 언약 자체는 아니라는 것이다. 할례는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백성이 평생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자신은 구별된 하나님의 백성임을 기억하고 묵상하게끔 하기 위한 흔적, 흉터라고 할 수 있다. 

Every uncircumcised male was excluded from the benefits of belonging to the covenant. Circumcision distinguished those who believed in the importance of the divine promises to Abraham from those who did not. This created a major theological problem for the early church as more and more Gentiles believed in Jesus Christ as Savior and Lord. While some Jewish believers argued that circumcision was necessary for salvation (see chart), Paul contended that “righteousness” comes through faith and that circumcision of the heart is what matters, not circumcision of the foreskin (see Rom. 2:25–29; 1 Cor. 7:18–19; Gal. 6:1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80.

 

 

아브라함 사이클에서 그동안 진행되어 언약의 구체화를 되돌아보자. 하나님께서는 우르를 떠나 하란에 머물고 있던 아브라함에게 떠나라고 하시며 만일 그가 떠나면 그를 통해 큰 나라를 만들고 복을 주어서 그의 이름을 높여 주시고, 그를 복의 근원이 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하셨다(12:1-3). 이것이 아브라 언약의 서곡이었다. 롯과 헤어진 후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과의 약속을 재확인하시면서 그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모든 땅을 그와 후손에게 주시겠다고 하셨다(13:14-17), 가나안 땅 소유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었다. 그러나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가나안으로 입성한 10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하나님과 아브라함 사이에 정식 언약이 체결되었디(cf. 15 장). 하나님께서는 이 약 체결식에서 아브라함에게 자손도 약속하셨지만 땅에 대해 구체적으로 씀하셨다. 아브라함과 후손들은 가나안 땅을 차지할 것이지만,  일이 있기 전에 먼저 아브라함의 후손들이 다른 나라에 가서 400년 동안 종살이를 해야 한다고 하셨다. 아직 가나안땅을 아브라함과 후손들에게 넘겨주실 여건이 차 않았다고 하시면서 말이다. 그후로 이스마엘이 태어났지만(cf. 16장), 이 이는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언약의 아이가 아니었다. 이스마엘이 태어난 지 13 년이 지난 후에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으신 언약이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다(17 장). 일을 기념하면서 아브람과 사래의 이름이 바뀌었다. 할례 제도를 설정해 종들과 이방인까지 할례를 받도록 명하셨다. 언약의 증거가 눈에 보이지 않으면 잃어 버리고 망각히는 것이 인간의 심리이다. 래서 하나님께서는 아예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의 폼에 영구적인 언약의 증표를 주신다. 이것이 할례이다.(엑스포지멘터리 325)

 

 

할례 

할례(割禮, circumcision) 남성 음경의 포피를 절제하는 의식. 하나님과 아브라함(아브라함으로 대표되는 선민 이스라엘 전체) 사이에 체결된 언약의 증표로서 제정된 의식이다(창 17:10–14). 이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되시고 그들은 특별히 선택되어 하나님의 소유된 백성으로서, 오직 하나님만을 예배하고 복종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따라서 이스라엘 모든 남자아이에게는 태어난 지 8일 만에 할례식이 집행되었으며(창 17:12; 레 12:3) 특히 할례의 중요성 때문에 안식일에도 허용되었다(요 7:22–23). 그리고 외국인이든 나그네든 개종한 자는 할례를 통해 언약 공동체의 일원이 될 수 있었다(출 12:48). 하지만 비록 혈통상 이스라엘인이라 할지라도 할례를 받지 않으면 언약 공동체에서 끊어졌다(창 17:14).

물론 출애굽 이후 40년 광야 생활 동안 계속해서 행진해야 하는 특별한 상황이었으므로 광야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할례를 행할 수 없었고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곧바로 여호수아 주도로 할례 예식이 이뤄졌다(수 5:2–5). 할례 의식은 하나님이 명령하신 대로 행하되(창 21:4), 주로 그 집안의 가장(家長)에 의해 실시되었으며(창 17:23), 간혹 모친의 손에 의해 행해지기도 했다(출 4:25). 히브리인들은 할례받지 않은 자 곧 무할례자를 심히 경멸하여 그들과의 교제를 일절 단절하였다(삿 14:3; 15:18; 삼상 14:6; 사 52:1).

한편, 신약 시대에 이르러 그리스도의 십자가 피 공로를 믿는 믿음 안에서 율법이 정한 한시적인 제도인 할례의 종결(폐지)이 선언되었다(행 15:5–29; 롬 3:30; 4:9–11; 고전 7:18–19; 갈 2:3–4; 5:2–11; 6:12; 엡 2:11, 15; 골 2:11; 3:11). 물론 초대교회 당시 과도기적 상황에서 방편상 할례가 행해지기도 했지만(행 16:3), 구원과 관련된 할례의 효력은 철저히 부인되었다(고전 7:18–19). 예수 안에서는 할례나 무할례가 효력이 없고 오직 믿음뿐이요(갈 5:6), 오직 예수 안에서 새로 지으심을 받아야 할 뿐임을 강조했다(갈 6:15).

따라서 할례를 육체의 자랑거리로 삼는 것(갈 6:13), 할례받아야 구원을 얻는다는 생각(행 15:1), 그리고 표면적 육신의 할례가 진정한 할례라고 생각하는 것(롬 2:28) 등을 삼갈 것을 명하고 있다. 대신 참된 할례는 마음 가죽을 베는 것(렘 4:4) 곧 마음에 하는 것으로서(신 10:16; 롬 2:29) 그것이 곧 그리스도의 할례(그리스도로 인해 거듭나고 구원받음)라 할 수 있다(갈 5:2; 골 2:11).

 가스펠서브, 라이프 성경사전 (서울시 종로구 경희궁1길 5-9(03176): 생명의말씀사, 2006), 1040–1041.

 

 

728x90

17 When Abram was ninety-nine years old the Lord appeared to Abram and said to him, “I am God Almighty;1 walk before me, and be nblameless, that I may make my covenant between me and you, and omay multiply you greatly.” Then Abram pfell on his face. And God said to him, “Behold, my covenant is with you, and you shall be qthe father of a multitude of nations. No longer shall your name be called Abram,2 but ryour name shall be Abraham,3 sfor I have made you the father of a multitude of nations. I will make you exceedingly fruitful, and I will make tyou into nations, and ukings shall come from you. And I will vestablish my covenant between me and you and your offspring after you throughout their generations for an everlasting covenant, wto be God to you and to your offspring after you. And xI will give to you and to your offspring after you the land of your sojournings, all the land of Canaan, for an everlasting possession, and yI will be their God.”

1 Hebrew El Shaddai

n ch. 6:9; Deut. 18:13; Job 1:1; Ps. 119:1; Matt. 5:48

o ch. 12:2; 13:16; 22:17

p ver. 17

q Rom. 4:11, 12, 16

2 Abram means exalted father

r Neh. 9:7

3 Abraham means father of a multitude

s Cited Rom. 4:17

t ch. 35:11

u ver. 16

v Gal. 3:17

w Heb. 11:16; [ch. 26:24; 28:13]

x ch. 12:7; 13:15; Ps. 105:11

y Ex. 6:7; Lev. 26: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7:1–8.

 

 

하갈이 아브람에게 이스마엘을 낳을때에 아브람의 나이가 86세였다. 이제 13년의 시간이 지나서 아브람이 99세가 되던해에 여호와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셔서 그와 할례 언약을 맺으신다. 이는 하란을 떠나 가나안에 입성한지 24년이 흐른 뒤였다. 이스마엘이 출생한 이후 13년간은 하나님께서 침묵하시는 시간이었다. 많은 일들이 있었겠지만 성경에 기록될만한 가치가 없는 일이었던 것이다. 인간적인 방법으로 후손을 얻은 것에 하나님께서 침묵하시다가 13년만에 나타나셔서 매우 중요한 약속을 하시며 증표를 주신다. 증표는 아브람이 아브라함이 된것, 할례, 사래가 사라가 된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미 15장에서 언약이 맺어졌는데 왜 새로운 언약이 필요한가? 이 두 언약의 내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하고 었다는 이 여러 학자들의 주장이다. 15 장의 언약은 땅을 약속하는 것이며 (cf 15:18-21)17 장의 언약은 자손을 약속한다(2절). 전개 과정을 보면 이 두 언약 이야기는 여러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둘 다 하나님의 ‘나는 .. . 이라는 계시로 시작했다(15:7; 17:1). 둘째 두 이야기 모두 아들을 약속한다. 그러나 이번 이야기에서는 사래를 통해 이 아이가 탄생할 것이라고 산모를 구체적으로 밝힌다'{cf 15:4; 17:16, 19 , 21). 셋째, 두 이야기 모두 많은 자손’과 영토를 약속한다'{cf. 15:4; 17:4). 그러나 이 이야기에서 영토는 아브람의 자손의 영원한 소유가 될 것이라는 사실을 더하신다(cf. 15 :18; 17:8). 넷째, 두 이야기 모두 ‘언약이라는 단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저자는 17장 이야기에서 ‘영원한 언약'이란 표현을 세 차례 사용함으로써 15장의 것과 차별을 두려고 하는 듯하다(7, 13, 19 ) . 차이점은 전 이야기에서는 아브람이 아무 역할도 하지 않고 하나님께서 주시는 언약을 받기만 했는데 반해 이번 이야기에서 아브람은 언약을 체결하기 위해 옹 집안에 할례를 행한다.

 

1-2절) 정말 오랜 시간이 지난후에 아브람에게 여호와 하나님께서 나타나셔서 자신을 ‘엘 샤다이’(전능한 하나님-God Almighty)라고 말씀하시며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할 것을 요청하신다. 그러면 내가 내 언약을 나와 너 사이에 두어 너를 크게 번성케 하겠다라고 약속하신다. 

셈족의 언어에서 하나님을 나타내는 단어는 ‘엘’이다. 이 뒤에 여러 하나님의 속성, 특성을 나타내는 단어가 추가되어 사용되는데 엘 샤다이는 하나님의 권능, 그분의 능력을 강조한다. 전능이라는 말은 말그대로 모든 것이 가능하다라는 말이다. 문맥 속에서 본다면 불임의 사래를 통해서 아이를 낳게 하여 크게 번성케 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런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두가지를 강조하시는데 첫번째는 내 앞에서 행할 것을(walk before me)이고 두번째는 완전하라(blameless-타밈)는 것이다. 하나님 앞에서 행한다는 것은 ‘히트할라크’로 이는 걷다, 동행하다의 명령형이다. 앞서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였다라는 표현과 같은 표현이다.(창 5:22-24) 이어서 완전하라는 표현은 히브리어 ‘타밈’으로 흠이 없는 희생 제물을 표현할때 사용된다. 하나님앞에 드려지는 제물이 흠이 없고 완전해야했는데 창 6:9에서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노아가 바로 의인이자 완전한 자이며 하나님과 동행했다라고 언급된다. 

창세기 6:9 (NKRV)

9이것이 노아의 족보니라 노아는 의인이요 당대에 완전한 자라 그는 하나님과 동행하였으며

 

3-5절) 앞서 15장에서 하나님께서 쪼갠 제물 사이를 지나시며 언약을 맺으셨다면 이제 17장에서는 다시금 언약을 확인하시면서 언약의 표징, 할례를 요구하신다. 결국 이 언약의 목적은 이를 지킬 때 그 지키는 이를 크게 번성케 하는 것이었다. 이 언약을 지키며 완전하게 행하는 사람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임하게 되는 것이다. 

 

언약의 핵심은 바로 아브람이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될 것이다라는 것이다. 이것의 표징으로 그의 이름을 아브람에서 아브라함으로 바꾸어 주시는데 아브라함의 이름이 바로 ‘열국의 아비, 많은 무리의 아버지’라는 의미이다. 성경에서 아버지라는 표현은 아버지와 아들, 조상과 자손 사이의 생물학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하지만 성경에서는 이것이 비유적인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요셉이 자신을 ‘바로의 아버지’라고 표현하기도 했고(창 45:8) 사사기에서는 에브라임 산지에 살던 미가가 어떤 젊은 레위인에게 자신의 가정의 제사장이 되어줄 것을 요청하며 ‘나를 위하여 아버지와 제사장이 되라’고 요청하기도 했다.(삿 17:10) 아브라함이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된다는 것은 앞선 12:3의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다라는 하나님의 말씀과 연관이 있다.  

이후 출애굽기를 통해서(출 1:7)를 통해서 이스라엘 민족의 숫자가 많아진 것은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어감을 나타낸다. 아브라함의 후손인 그리스도를(갈 3:16) 신뢰하는 이들은 아브라함의 후손이 된다(갈 3:6-9). 따라서 구원받은 모든 민족들은(계 5:9) 궁극적으로 아브라함을 아버지로 여기게 되는 것이다.(롬 4:17-18)

우리는 여기서 여러 형태의 아브라함의 자손들을 만나게 된다. 

 

6절)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심히 번성케 하시겠다라고 약속하신다. 이것의 결과로 여러 민족과 왕들이 너의 후손들로부터 나올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번성케 하시겠다라는 약속은 창조시의 문화명령(1:28)과 홍수 이후 노아와 매은 언약(9:1)에서도 반복해서 주어졌다. 번성함은 자손이 많아짐을 통해서 이 피조세계에 대한 온전한 다스림을 의미한다.  아브라함과 맺으시는 언약은 천지 창조때의 아담에게 주어진 명령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7절) 하나님께서는 이 언약을 아브라함과 이후의 후손들과 지속적으로 맺으시기를 원하신다. 아브라함의 후손들이 이 언약을 지킨다는 것은 바로 여호와 하나님이 그 후손들의 하나님이 되신다는 것을 의미한다. 

 

8절)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과 후손들에게 가나안 온 땅을 영원한 기업이 되게 하심으로 그들의 하나님이 되시겠다라고 약속하신다. 이처럼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기업으로서의 땅은 하나님의 보호와 돌보심을 상징하는 매우 중요한 매개체이다. 

 

장은 서술 중심으로 전개되는 창세기의 대부분의 텍스트와 달리 등장 물들 직접적인 스피치를 매우 많이 담고 있다. 직접화법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장은 크게 하나님의 명령(1-22)과 아브람의 순종{23-27절)으로 분된다. 하나님은 아브람에게 5 차례 말씀하신다: (1) 1-2절; (2) 3-8 절; (3) 9-14절; (4) 15-16절; (5) 19-21절. 이 다섯 세 번(#2,  #4, #5)은 아브람과 자손을 복하시겠다는 하나님의 의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나머지 번(#1, #3)은 포커스가 아브라함에 대한 하나님의 요구/기대에 맞추어져 있다. 대부분 하나님의 피치로 구성되어 있는 본 텍스트에서 아브람의 발언은 두차례로 제한되어 소개되고 있는데,  번은 자기 스스로에게(17절) 한 번은 하나님께 는 말이다(18 절). 하나님과 아브람 사이에 오간 대화의 내용은 언약에 관한 이었다.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주신 언약을 재차 확인하는 차원에서 대화가 오갔다.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선포하시는 말씀(3b-16절)은 세 파트로 세분화될 수 있다"(3b-8; 9-14; 15-16절). 이 세 부분 모두 ‘하나님이 가라사대 ... ’로 시작하며 언약에 관련되어 있는 세 인물에 관한 것들이다: (1) ‘나는 너와(as for me .. . )(4); (2) ‘너는 나와’(as for you .. . )(9 ); (3) ‘너의 아내 사래’(as for Sarai, your wife .. . )(15 ). 아울러 세 파트 모두 언약에 대한 증표를 포함한다: 첫 부분에서는 아브람의 름이 바뀐다(5 ); 둘째 부분에서는 할례가 주제로 떠오른다"(10-14 ); 셋째 부분에서는 사래의 이름이 바뀐다"(15).(엑스포지멘터리 317)

 

 

728x90

The angel of the Lord found her by a spring of water in the wilderness, the spring on the way to fShur. And he said, “Hagar, servant of Sarai, where have you come from and where are you going?” She said, “I am fleeing from my mistress Sarai.” The angel of the Lord said to her, “Return to your mistress and submit to her.” 10 The angel of the Lord also said to her, g“I will surely multiply your offspring so that they cannot be numbered for multitude.” 11 And the angel of the Lord said to her,

“Behold, you are pregnant

and shall bear a son.

You shall call his name Ishmael,3

hbecause the Lord has listened to your affliction.

12  He shall be ia wild donkey of a man,

his hand against everyone

and everyone’s hand against him,

and he shall dwell jover against all his kinsmen.”

13 So she called the name of the Lord who spoke to her, “You are a God of seeing,”4 for she said, k“Truly here I have seen him who looks after me.”5 14 Therefore the well was called lBeer-lahai-roi;6 it lies between mKadesh and Bered.

15 And Hagar bore Abram a son, and Abram called the name of his son, whom Hagar bore, Ishmael. 16 Abram was eighty-six years old when Hagar bore Ishmael to Abram.

f ch. 25:18; Ex. 15:22

g ch. 17:20; 21:18; See ch. 25:12–18

3 Ishmael means God hears

h [ch. 29:32]

i Job 39:5–8; [ch. 21:20]

j ch. 25:18

4 Or You are a God who sees me

k [ch. 32:30; Ex. 19:21; 33:20; Judg. 13:22]

5 Hebrew Have I really seen him here who sees me? or Would I have looked here for the one who sees me?

l ch. 24:62; 25:11

6 Beer-lahai-roi means the well of the Living One who sees me

m ch. 14:7; 20:1; Num. 13:26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6:7–16.

 

 

본문은 사래의 여종 하갈이 사래의 학대를 피하여 도망하는 장면이다. 그녀는 지금 자신의 고향인 애굽을 향하는 술이라는 지역을 향해 가던중 한 샘에서 하나님의 사자를 만나게 된다. 

 

7절) 아브람이 거주하던 가나안에서 술이라는 지역의 광야의 샘에서 하갈은 여호와의 사자를 만난다. 술은 시나이 반도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트랜스 요르단에 위치한 보스라에서 이집트와 왕의 대로를 연결시켜주는 지역을 관통한다. 즉 이 길은 브엘세바를 거쳐 애굽으로 내려가는 길목으로 하갈은 자신의 고향으로 향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술은 히브리어로 ‘성벽’을 뜻하는데 이 지역에 벽처럼 늘어서 있는 유명한 이집트의 요새들을 가리키는것 일 수도 있다. 브엘라해로이는 가데스에 위치해 있는데 만일 아브람이 아직 헤브론에 진 치고 있었다면 하갈은 임신한 채 혼자서 이 위험한 지역을 가로질러 110km를 여행한 셈이 된다. 

 

본문에서 천사, 사자로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는 ‘말라크’로 ‘소식을 전달하는 자’를 의미한다. 

이는 사업이나 정치적 사건에 대한 의사 소통의 중재자를 나타낸다. 

מַלְאָךְ (malʾāk), nom. messenger, angel (#4855); מַלאָכוּת (malʾākût), nom. message (hapleg. in Hag 1:13; #4857).

ANE The mār šipri in Akk. and malʾāk in WestSem. sources denote a mediator of communication in business and political affairs (cf. Heb. מְלָאכָה, business). The messenger delivered an oral message, along with documentation, explaining and defending his master’s word. A god might also send a messenger or vizier (sukkallu) on business.

OT 1. Human leaders frequently send מַלְאָכִים on business or diplomacy (Gen 32:3–6). These human messengers are fully equated with their senders (Judg 11:13; 2 Sam 3:12, 13; 1 Kgs 20:2–40). God can send prophetic or priestly messengers (Hag 1:13; Mal 2:7). The prophetic commissioning and messenger formula (“Thus says Yahweh”) reflect the image of diplomatic protocol (Ross, 99–102). It was sometime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human and angelic messengers (Judg 13:20; Mal 3:1).

2. Angels serve as messengers of revelation, for example, in the role of the angelus interpres of Zech 1:14; 2:3. Most striking is the figure of the מַלְאַךְ יְהוָה, like human messengers, who speaks in God’s name and occasionally appears as Yahweh himself (e.g., Gen 16:7–14). Of the three “men” who appear to Abraham and Sarah, one speaks in Yahweh’s name (Gen 18:22; cf. Dan 12:5), and the other two are called מַלְאָכִים (19:1). Manoah’s wife describes the “man of God” as looking like “an angel of God” (Judg 13:6), but Manoah later learns that he is the מַלְאַךְ יְהוָה, who is closely identified with God himself. While it may be anachronistic to speak of the מַלְאַךְ יְהוָה as a hypostasis of God, he does provide a provocative image of divine agency and hence a proleptic type for NT Christology (Hurtado, 71–92).

3. God’s angel is instrumental in the saving events of Exodus, Sinai, and Conquest (Exod 14:19; 23:20; Josh 2:1–4; cf. Hos 12:14). Angels can also threaten the wicked with destruction and death (Exod 12:23; 1 Chron 21:12; Ps 78:49; Prov 16:14), and they are associated with eschatological judgment (Ezek 9:1–8; Dan 7:9–14).

hapleg. hapax legomenon

ANE Ancient Near East(ern)

WestSem. West Semitic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941–942.

창 19:1에서는 두 천사가, 18:2에서는 사람 셋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여호와의 사자의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식되며 어떤 학자들은 여기서 여호와의 사자는 성육신하기 전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고도 주장한다.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이 절의 표현은 하나님의 말씀을 대신 전달하는 임무를 맡은 천사를 가리킨다고 이해한다. 

 

천사가 샘 곁에서 숨을 돌리고 있던 하갈을 찾아왔다. ‘천사’(호와의 메신저 )(7)는 구약에서 48차례 사용되는 용어다. 창세기에서는 이 이야

기에서 4번(7, 9, 10, 11) 아브라함이 이삭을 바친 이야기에서 2번 나온다(22: 11, 15). 구약에서 하나님과 천사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기는 쉽지 않다. 때로는 하나님과 천사가 동일시되기도 하고, 이 둘이 확연하게 구분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cf. 22:15-16; 3:24와 행 7:30-32; 22:22, 31, 35, 38; 6:11-18; 13:21-22). 이곳에서도 천사와 하나님의 관계가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처음에는 분명히 천사라고했는데(7), 이 천사는 마치 자신이 하나님인 것처럼 말하고(10), 내레이터와 하갈도 그를 ‘여호와’라고 부르기 때문이다(13). 여호와의 메신저’와 평행을 이루는 ‘하나님의 메신저’라는 말의 용도에서도 하나님과 천사의 관계를 정의하기가 어렵기는 마찬가지다.(엑스포지멘터리 313)

 

8-10절) 여호와이 사자와 하갈이 서로 대화한다. 

먼저 천사가 묻는다. ‘사래의 여종 하갈아 네가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가느냐?’ 천사는 지금 하갈의 신분이 어떤지를 분명히 인식시키고 있다. 그녀는 다름 아닌 사래의 여종이었다. 이 질문에 대해 하갈이 대답한다. ‘자신의 여주인 사래를 피하여 도망하고 있습니다.’ 앞선 상황속에서 보면 하갈은 자신이 임신하고 나서 여주인 사래를 업신여겼었다. 하지만 지금 자신이 어떤 존재이며 어떤 상황인지를 다시금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천사가 다시 말한다. ‘너의 여주인에게로 돌아가서 그녀에게 복종하라.’ 하나님께서는 천사를 통해서 하갈에게 여주인 사래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바꿀것을 명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천사는 하갈에게 ‘내가 네 씨를 크게 번성하여 그 수가 많아 셀 수 없게 하겠다’라고 말씀하신다.(17:20; 25:12-18) 선택받은 후손의 계보가 그리스도로 연결되어지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축복이 넘쳐흘러서 이스마엘과 같은 후손들에게도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하갈의 도주는 창 3장을 연상시킨다. 죄를 짓고 숲으로 도망하여 숨은 인간에게 하나님께서 찾아오셔서 말씀하신 것 같이 사래의 학대를 피해 도망간 하갈에게 천사가 나타나 묻고 있는 것이다. 실망과 좌절의 순간에 하나님의 임재는 두려움임과 동시에 소망이 되는 것이다. 

 

천사는 하갈에게 본인의 신분이 무엇인지를 확인시키면서 마땅히 본인이 있어야할 자리로 돌아갈 것을 강권하고 있다. 하갈은 성경에서 처음으로 천사가 이름을 불러준 여인이다. 또한 앞으로 태어날 아들에 대해서 하나님의 신탁을 받은 최초의 여인이기도 하다. 그녀는 또한 하나님의 축복을 약속받은 최초의 여인이다. 

 

11-12절) 이어 천사는 하갈에게 이야기한다. ‘네가 임신하여 아들을 나을 것인데 그 이름을 이스마엘이라고 하라. 이는 여호와께서 네 고통을 들으셨기 때문이다. 너의 아들이 사람중에 들나귀같이 되어 그의 손이 모든 사람을 치겠고 모든 사람의 손이 그를 칠것이며 그가 모든 형제와 대항해서 살 것이다.’ 이스마엘은 ‘하나님이 들으신다’라는 의미이다. 사래의 학대속에 하갈이 하나님께 외친 외침을 하나님이 들으셨다라는 것이다. 하갈의 아들의 삶은 엄마와는 사뭇 다른 삶을 살아가게 될 것이다라고 말한다. 이스마엘은 매우 적대적이고 독립적인 삶을 살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스마엘은 어머니 하갈과는 다르게 다른 이를 섬기지 않고 다른 이들을 대적하는 삶을 살 것이다라고 말한다. 

이 아들을 통한 하나님의 축복, 약속은 하갈로 하여금 돌아갈 용기를 제공해 주었다. 물론 주인의 집으로 돌아가면 분명히 사래의 학대가 있을 것이지만 이제 그녀에게는 사래의 어떠한 학대도 이겨낼 수 있는 비전이 생긴 것이다. 이스마엘도 아브람의 아들이기에 축복의 대상이 된 것이다. 

 

하나님의 우리의 작은 한숨과 탄식에도 귀 기울이시는 분이다. ‘너의 작은 신음에도 응답하시는’ 하나님을 경험할 때 우리는 고난 중에 위로를 얻게 된다. 

 

이스마엘에 대한 천사의 예언은 이중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들나귀는 힘이 세고 두려움이 없고 떼를 지어 다니기 때문에 짐승들 중에 가장 가축화하기 힘들었던 동물에 속한다. 노예로 속박당하고 견디기 힘든 구박을 받다가 도망쳐 나온 하갈에게 그녀의 아들은 그 누구도 속박할 수 없는 자유로운 삶을 살 것이라는 예언은 그녀에게 복음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스라멩릐 후손들이 누리게될 자유는 다른 모든 사람들과의 적대관계를 형성하여 평생 원수로 살게 될 것을 예언하는데 실제로 이후에 이스라엘은 이스마엘 백성과 수시로 충돌하게 된다. 

 

13-14절) 하갈은 천사의 말을 통해서 하나님을 만난다. 그는 자기에게 이르신 여호와의 이름을 ‘나를 살피시는 하나님(엘 로이)’이라고 부른다. 그녀는 지금 천사와의 만남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자신의 고통을 들으시고 이에 관심을 가지시고 말씀하시는 하나님이시라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알게 된 것이다. 그래서 내가 여기서 나를 살피시는 하나님을 뵈었다, 만났다라고 말하고 그 샘의 이름을 ‘브엘라해로이’라고 불렀는데 이것의 의미는 ‘나를 살피시는 살아계신 이의 우물’이라는 의미이다. 이 샘은 가데스와 베렛 사이에 있었다. 

 

지금 하갈을 사래의 학대를 피해 임신 중에 도망가다가 한 샘에서 천사를 만나게 되고 그 천사의 말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자신의 고통을 듣고 계심을, 또한 자신의 자손을 향한 계획을 가지고 계심을 알게 됨으로 하나님이 자신의 삶을 살피시는 분이심을 경험적으로 알게 된 것이다. 우리의 인생가운데서도 하나님을 이렇게 실존적으로 만나는 경험이 필요하다. 하나님이 모든 것을 아시고, 모든 것을 들으시고, 모든 것을 보시는 분이심을 머리로는 알지만 경험적으로 알지 못하는 믿음을 가지고 살아가게 된다. 하지만 지금 하갈처럼 인생의 위기의 순간가운데 우리가 머리로만 고백하여 알던 하나님을 알게 되는 경험이 있게 된다. 

 

15-16절) 아마도 술 길의 브엘라해로이 샘에서 천사와 만난 이후에 하갈은 주인의 집으로 돌아갔을 것이다. 그리고 그곳에서 아브람의 아들을 낳고 천사가 말한대로 그 이름을 이스마엘이라고 하였다. 이때 아브람이 86세 였다. 본문은 침묵하고 있지만 도망갔던 여종 하갈이 돌아온 것을 사래와 아브람이 받아준 것으로 보인다. 아브람은 공개적으로 이스마엘을 자신의 아들로 인정하여 이름을 지어주었고 이 때는 아브람이 가나안 땅으로 옮겨 온지 11년만이었다. 

 

 

위의 표에서 보는 것처럼 아브라함의 자손들은 여러 형태로 구분된다. 

 

 

 

 

 

 

728x90

16 aNow Sarai, Abram’s wife, had borne him no children. She had a female Egyptian servant whose name was bHagar. And Sarai said to Abram, “Behold now, the Lord has prevented me from bearing children. Go in to my servant; it may be that I shall obtain children1 by her.” And Abram listened to the voice of Sarai. So, after Abram chad lived ten years in the land of Canaan, Sarai, Abram’s wife, took Hagar the Egyptian, her servant, and gave her to Abram her husband as a wife. And he went in to Hagar, and she conceived. And when she saw that she had conceived, dshe looked with contempt on her mistress.2 And Sarai said to Abram, “May the wrong done to me be on you! I gave my servant to your embrace, and when she saw that she had conceived, she looked on me with contempt. May ethe Lord judge between you and me!” But Abram said to Sarai, “Behold, your servant is in your power; do to her as you please.” Then Sarai dealt harshly with her, and she fled from her.

a ch. 15:2, 3

b ch. 21:9; Gal. 4:24

1 Hebrew be built up, which sounds like the Hebrew for children

c ch. 12:5

d [1 Sam. 1:6, 7]

2 Hebrew her mistress was dishonorable in her eyes; similarly in verse 5

e ch. 31:53; 1 Sam. 24: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6:1–6.

 

louis jean francois lagrenee의 그림

 

1절) 1절은 네 씨로 큰 민족을 이루겠다라는 하나님의 약속이 장애물을 분명히 언급하는데 그것은 아브람의 아내 사래가 출산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사래는 자손이 없음이 당대의 여인들의 부끄러움이기도 하였고 하나님의 약속이 자신으로 인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부담속에서 인간적인 방법을 자신의 남편에게 제안한다. 자신의 여종인 애굽 여인 하갈에게 들어갈 것을 먼저 요청한다. 이러한 아내 사래의 제안이 우리에게는 매우 이상하게 보이지만 주전 1500년경 누지 문서, 결혼 계약서에 따르면 부인이 애를 낳지 못하는 경우 남편에게 대리모를 구해주어야 한다는 조항이 명시되어 있다. 

 

"길림니누Gilimninu가 아이를 낳으면 센니마shennima는 다른 아내를 얻을 수 없다. 그러나 길림 니누가 애를 낳지 못하면 길림니누는 센니마를 위하여 룰루 지방 출신의 여인(여자 노예)을 첩으로 구해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길림니누는 그렇게 태어나는 후손에 대한 권리를 가질 수 있다.(누지 문서)

It seems an unusual course of action to us since it follows an option that our society does not consider appropriate. But in the context of the ancient world, this was not only appropriate but at times contractually dictated. Marriage contracts from the town of Nuzi in the middle of the second millennium b.c. stipulate that if the wife turns out to be barren, she should provide the husband with a surrogate child-bearer. The pertinent section reads:

If Gilimninu bears children, Shennima shall not take another wife. But if Gilimninu fails to bear children, Gilimninu shall get for Shennima a woman from the Lullu country (a slave girl) as concubine. In that case, Gilimninu herself shall have authority over the offspring.1

1 HSS 5:67.

 John H. Walton, Genesi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2001), 445–446.

 

시편 113:7–9 (NKRV)

7가난한 자를 먼지 더미에서 일으키시며 궁핍한 자를 거름 더미에서 들어 세워

8지도자들 곧 그의 백성의 지도자들과 함께 세우시며

9또 임신하지 못하던 여자를 집에 살게 하사 자녀들을 즐겁게 하는 어머니가 되게 하시는도다 할렐루야

시 113편을 역으로 추론해보면 자녀를 낳을 수 없는 것은 하나님의 벌로 여겨졌다. 사래는 여호와께서 자신의 출산을 허락하지 않으셨다라고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 이처럼 불임은 여인이 저주받았다고 생각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되었고 많은 경우 이혼의 이유도 되었다. 

The inference that follows inversely from Psalm 113 is that the inability to bear children was seen as a punishment from God. That the privilege of bearing was in the hands of God is clear in Sarai’s statement that the Lord had kept her from having children (Gen. 16:2). Infertility also had the potential of causing a woman social difficulties. It was bad enough that people would generally consider her accursed, but in many cases her condition would serve as cause for her to be divorced, and it was small comfort that her dowry would be returned to her.4 Van der Toorn aptly summarizes the resulting stress.

The woman who remained childless not only ran the risk of being disdained, or worse, repudiated by her husband and in-laws, she also incurred the suspicion of indecent behavior. The gods surely had to have their reasons for withholding children. Consequently, we may safely assume that newly-wed who, as time elapsed perceived no signs pointing to pregnancy, was overcome by panic. Her fear undoubtedly doubled her piety.5

4 Laws of Hammurabi §138.

5 Van der Toorn, From Her Cradle to Her Grave, 79.

 John H. Walton, Genesi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2001), 447.

 

3-4절) 사래가 하갈을 아브람에게 첩으로 준 때는 아브람이 가나안에 거주한지 10년이 지난 후였다. 아브람은 하갈과 동침했고 하갈은 임신을 하게 된다. 자손의 문제는 해결되었지만 또다른 문제가 발생가헤 되는데 하갈이 자신의 여주인 사래를 멸시하기 시작한 것이다. 사래는 자신의 불임으로 인해 자책하고 있는 상황에서 하갈은 임신하게 되어 하나님이 자신에게 복을 주셨다라는 확신과 함께 여주인을 멸시하게 된 것이다. 

 

5-6절) 하갈은 이제 남편 아브람에게 하소연 한다. 말하자면 중간에서 당신이 잘 했어야 했다는 것이다. 지금 내가 받는 멸시, 모욕은 당신의 책임이라는 것이다. 아브람은 아내 사래에게 하갈은 당신의 수하에 있으니 마음대로 하라고 말하자 사래는 하갈을 학대하고 하갈은 도망치게 된다. 인간의 잘못된 해결책은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킨다. 

Sarai initially directs her anger at Abram, who acquiesces in the situation, permitting Sarai to deal harshly with Hagar. The human solution to Sarai’s barrenness creates new problems.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8.

 

하나님께서 아브람과 맺은 약속은 바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래는 이를 기다리지 못하고 자신의 계략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 자신이 임신하지 못하여 자손이 없음을 인간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한 것이다. 결국 자신의 여종 애굽 사람 하갈을 아브람에게 아내로 주어 하갈은 임신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인간적인 방법은 하나님의 역사를 이루지 못하고 도리어 문제를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첩이 본처를 멸시하게 되었고 이를 견디지 못한 사래가 남편 아브람에게 바가지를 긁고 있는 것이다. 결국 아브람은 사래의 손을 들어주게 되고 사래가 하갈을 학대하여 하갈이 집을 나가게 된다. 하나님의 역사는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재촉하려는 인간의 시도는 도리어 다른 문제를 불러일으키게 된다. 

아브람은 전쟁에서 승리하고 하나님과 언약을 체결하는 위대한 신앙의 영웅의 면모를 보이지만 여전히 연약하고 불안한 존재임을 본문은 말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자손을 번성케 하겠다라는 약속을 믿었지만 그것이 어떤 방식일지 알지 못했고 덥썩 인간적인 방법을 선택하고 만다. 첩을 들이는 문제에 대해서 아브람은 사래의 말을 들음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고 만다. 가정내의 불화를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이후 이스라엘 역사속에 계속되는 충돌의 불씨를 만든것이다. 

만약 아브람이 믿음의 가장으로 아내 사래의 제안을 거절하고 사래를 위로하고 격려했다면 어땠을까? 하지만 아브람은 침묵과 동조로 인간적인 제안에 동참했다. 우리는 이 아브람의 행동에서 아담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는 또한 이후 하갈이 도망하여 어려움을 겪는 모습속에서 이스라엘 민족과 모세의 출애굽을 희미하게 볼 수 있다. 지금 본문 속에서는 히브리 사람 사래가 애굽 사람 하갈을 학대하지만 이후 출애굽기에서는 애굽 사람이 히브리 사람들을 학대한다. 

사래는 자신의 불임이 하나님의 약속을 가로막는 것으로 느껴졌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려고 인간적인 방법을 동원한 것이다. 하지만 사래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바로 이런 불가능한 상황속에서도 창조주의 능력이 이를 반전시키시고 이루실 것이라는 믿음이었다. 

본문속에서 사래는 제 2의 하와이다. 하와가 하나님과 같아지려고 선악과를 따 먹은 것처럼 사래는 하나님의 약속을 스스로 실현하려고 일을 꾸몄다. 물론 그녀의 동기가 순수한 것이지만 우리도 하나님의 일을 한다는 순수한 열정이 도리어 그분의 일하심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728x90

12 As the sun was going down, a pdeep sleep fell on Abram. And behold, dreadful and great darkness fell upon him. 13 Then the Lord said to Abram, “Know for certain qthat your offspring will be sojourners in a land that is not theirs and will be servants there, and rthey will be afflicted for sfour hundred years. 14 But tI will bring judgment on the nation that they serve, and afterward uthey shall come out with great possessions. 15 As for you, you shall go to your fathers in peace; vyou shall be buried in a good old age. 16 And they shall come back here in the fourth generation, for wthe iniquity of the Amorites xis not yet complete.”

17 When the sun had gone down and it was dark, behold, a smoking fire pot and a flaming torch passed between these pieces. 18 On that day the Lord made a covenant with Abram, saying, y“To your offspring I give3 this land, from zthe river of Egypt to the great river, the river Euphrates, 19 the land of the Kenites, the Kenizzites, the Kadmonites, 20 the Hittites, the Perizzites, the Rephaim, 21 the Amorites, the Canaanites, the Girgashites and the Jebusites.”

p ch. 2:21

q Acts 7:6, 7

r Ex. 1:11, 12; 3:7

s Acts 7:6; [Ex. 12:40, 41; Gal. 3:17]

t Ex. 6:6

u Ex. 12:36; Ps. 105:37

v ch. 25:8

w 1 Kgs. 21:26; Amos 2:9

x [Dan. 8:23; Matt. 23:32; 1 Thess. 2:16]

y ch. 12:7; 13:15; 24:7; 26:4; Num. 34:2; Deut. 34:4; Neh. 9:8

3 Or have given

z Ex. 23:31; Deut. 1:7; Josh. 1:4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5:12–21.

 

 

앞서 아브람은 하나님께 드릴 제물들을 준비해 놓았다. 새를 제외하고 다른 제물들은 반으로 쪼개 놓은 상태였고 솔개가 사체에 내리를 것을 쫓고 있었다. 이제 때가 되었다. 

15장 8절을 보면 하나님께서 가나안 땅을 주실 것을 약속하신다. 아브람은 자손을 주실 것은 의심없이 믿었지만 땅에 대해서는 약간의 의심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자손을 주시는 것은 그의 생애에 경험하게 되는 것이지만 땅을 얻게 되는 것은 그의 사후의 일인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의 보증 요구에 언약을 통해서 말씀하신다. 

 

12절) 해 질 때에.. 깊은 어둠의 상황일 수록 빛은 강력하다. 이후에 하나님께서 타는 횃불로 나타나시는 것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서 큰 흑암의 상태가 준비된 것이다. 이 언약을 이룰 때 아브람이 맨 정신이었는지 아니면 꿈을 꾼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아마도 아브람은 하루 종일 하나님을 기다리며 제물을 준비하며 솔개들을 쫓느라고 피곤했을 것이고 그래서 깊은 잠에 빠지게 된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꿈을 통해서 계시를 주실 때 사람들에게 아주 깊은 잠을 주신다.(사 29:10; 욥 4:13; 단 8:18; 10:9)

 

13-16절) 먼저 여호와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말씀하신다. ‘너의 자손이 이방에서 객이 되어 이방(애굽)을 섬기겠고 그들은 400년 동안 너의 자손을 괴롭힐 것이다. 이후에 내가 그들이 섬기는 나라(애굽)을 심판할 것이고 너의 자손은 큰 재물을 이끌고 나올 것이다. 너는 장수하다가 평안히 장사될 것이고 너의 자손은 4대만에 이 곳으로 돌아올 것인데 왜냐하면 아모리 족속의 죄악이 아직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똑똑히 알라, 확실히 알라는 말씀은 앞선 8절,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라는 아브람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본절은 아브라함 이후 모세를 통해서 시행될 출애굽을 이야기하고 있다. 창세기의 이후 내용을 통해서 이스라엘 백성은 기근을 피해서 애굽으로 이주하게 되고 400여년의 시간이 지난 후에 그곳에서 나오게 된다.(행 7:6) 실제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곳에서 나올 때 큰 재물을 이루고 나오게 된다. 아모리 족속은 가나안 땅에 살고 있던 민족 가운데 하나로 창 10장에서 언급된 함의 자손 가운데 하나이다. (10:16) 아브라함의 사망후에 이스라엘은 가나안 땅에 돌아오게 되는데 이때 아모리 족속이 가나안 땅에서 쫓겨날 것이다. 아직은 그들의 행위의 악함이 가득차지 않았고 때가 이르렀을 때 하나님께서 그들을 심판하시겠다라는 것이다. 

왜 이렇게 오랜 기간을 기달려야만 하는 것인가? 하나님께서는 가나안 사람의 죄가 아직 차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씀하신다. 하나님의 공의와 공평이 드러나는 순간이다. 하나님은 한 민족의 부귀영화를 위해서 다른 민족을 이유없이 심판하시는 분이 아니다. 모든 민족에게 공평한 기회를 주시는 통치자이시다. 결국 모세와 여호수아 시대에 가나안 사람들의 죄가 가득 차서 심판을 당하게 될 것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본문 16절은 4대 만에 이 땅으로 돌아올 것을 이야기하는데 이는 앞선 표현대로라면 400년에 해당한다. 본문의 세대라고 표현된 히브리어는 ‘도르’는 정해진 기간이 아닌 어떤 기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한 세대를 30년으로 보기에 4대면 120년을 의미하지만 특정한 기간이 아니기에 여기서 한 세대를 100년이라고 보면 400년이라고 할 수 있다. 

Hebrew dôr (“generation”) denotes a span of time, but not necessarily the same fixed number of years. The adult male population in Israel was counted at the age of twenty (e.g., Exod 38:26; Lev 27:3; Num 1:3; 14:29; 26:2; Ezra 3:8), yet forty years amounts to the wilderness “generation” (e.g., Num 32:13; 2 Kgs 10:30; 15:12; Ps 95:10).281 The reference to “four hundred years” (v. 13) suggests that “generation” should also equate to a hundred years. This is supported by Abram’s first generation (Isaac) who was born after a hundred years (21:5). “Fourth generation,” however, may be only a stereotypical expression, conveying the idea of completeness; the duration of a father’s life would not normally extend to four generations. The influence of a parent affected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 (e.g., Exod 20:5; Num 14:18), and four generations established a ruling dynasty (2 Kgs 10:30; 15:12).

281 D. N. Freedman and J. Lundbom, “דּוֹר dôr,” TDOT 3.174.

 K. A. Mathews, Genesis 11:27–50:26, vol. 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5), 174–175.

 

דּוֹר (dôr II), generation(s) (#1887).

OT 1. Albright (BASOR 163:50–51) provided the most convincing explan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meaning of דּוֹר when he explained it on the basis of older dahru>dâru>dôw, properly, “lap in a race, cycle of time, lifetime.” In the HB the word occurs 166×, 92× by itself and 37× (or 74×) in the double expression דּוֹר וָדוֹר “forever,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pl. of the word is masc. in form 3× (Ps 72:5; 102:25; Isa 51:8) and fem. in form 48×. דּוֹר appears most often in the Psalms (59×).

Gen 15:16 suggests that in an earlier time a generation was roughly equivalent to a century. Only when the iniquity of the Amorites had reached its full measure (i.e., four generations from Abraham) would Abraham’s descendants possess the land promised to him. Such a postponement highlights Joshua’s invasion of Canaan four “generations” later as an act of justice rather than of aggression.

2. Subsequently דּוֹר was interpreted as a period of approximately forty years. Thus the whole book of Numbers is structured around the deeds and eventual death of the first generation that came out of Egypt (Num 1:1–25:18) and the prospects for the survival of the second generation (Num 26:1ff.). (Numbers)

3. On four occasions Yahweh made a covenant that spanned generations: with Noah (Gen 9:12); with Abraham (17:7, 9); with Israel (Deut 7:9); with David (Ps 89:4 [5]). It is not necessary for Yahweh to make a covenant with each new generation. This may explain why the word “covenant” never appears in the OT in the plural. Such transgenerational covenants emphasize the gracious, faithful commitment of Yahweh to his own (בְּרִית, #1382).

4. The reverse side of the above are the reminders in the OT that each generation needs to expedite faithfully its religious obligations. Appropriate celebrations were to be observed by “the generations to come” (Exod 12:17, 42; 16:32; 32:13, 16; Lev 23:14, 21, 31, 41); the same applied to covenant requirements (Gen 17:12; Num 35:29). Neither the celebrations nor the obedience of one generation sufficed for another generation. That each generation engaged in the observance of the same festivals, with little modification or adaptation, provided both continuity between the generations and minimized the possibility of a later generation forgetting its roots and the source of its vitality.

See Descendant, offspring,

BASOR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 transformed to

> transformed to

HB Hebrew Bible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930–931.

 

17절) 쪼갠 고기, 제물 사이로 횃불이 지나가는 것은 바로 언약을 체결하는 모습이다. 앞서 12절 해 질 때였고 이제 한밤중이 되었다. 아브람은 낮 시간동안 언약 체결 의식에 필요한 동물들을 준비했다. 본절에서 연기나는 화로와 타는 횃불은 바로 하나님의 임재를 나타낸다.(출 13:21-22) 이 타는 횃불이 쪼갠 고기 사이를 지나는 것은 바로 이 약속, 언약을 어기면 자신이 이 제물과 같이 죽임을 당할 것이라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시는 것이다.(렘 34:18) 당대의 언약을 체결할 때 언약의 당사자들이 이렇게 제물사이를 지나는 것은 죽음으로 이 언약을 지킬 것을 상징하는 행위였다. 그런데 이 언약 체결에서 제물 사이를 지나는 분은 바로 하나님 자신이시다. 결국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불순종을 대신하셔서 십자가 위에서 죽으심으로 우리의 모든  형벌을 담당하셨다. 

 The flame, symbolizing God, passes between the pieces, symbolizing that God himself will bear the penalty if the promise is broken. Ultimately, Christ bears the penalty for our disobedience.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7.

 

18-21절) 언약의 중심 내용은 바로 이 땅을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주실 것이라는 것이다. 그 땅의 한계는 애굽 강에서부터 큰 강 유브라데까지이다. 남쪽의 한계은 애굽 강에서 부터 북쪽의 한계는 유브라데까지이다. 본 절의 애굽 강은 나일의 동쪽 지류로 보인다. 현재 아브람에게 언약이 주어졌을 때 가나안 땅은 다른 족속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이 약속은 솔로몬이 통치하던 시대에 일시적으로 이루어진다.(왕상 4:21)

왜 하나님의 언약이 성취되지 않았을까? 이는 하나님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이스라엘이 하나님께서 주신 이 비전을 포기하고 이루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브람 시대에는 계약을 체결할 때 계약서에 당사자들이 숭배히는 신들의 이름을 포함시켰다. 이 신들은 증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언약을 맺은 쌍방중 한쪽이 언약을 파괴할 때 그 사람(들) 에게 계약에 열거된 저주를 내리기 원한다는 의미에서 계약서에 포함되는 것이었다. 계약이 체결되면 세 개의 계약서가 만들어져 계약자들이 각각 하나씩 갖고, 하나는 봉인되어 신전에 소장되었다. 신들이 이 언약을 보호하고 사람의 약속이 가장 성스러운 곳에 보관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풍습이었다. 또한 계익빨 체결할 때는 짐승들이 희생되었다. 피로 체결된 약속이란 것을 상정하기 위해서였다.(엑스포지멘터리 303)

본문 18절에 언약을 세우다라는 단어는 ‘카라트 엣 베리트’이다. 베리트는 언약을 의미하고 카라트라는 단어는 쪼개다/자르다라는 의미로 계약을 체결할 때 짐승들이 쪼개져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이 언약에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모든 명예와 능력을 걸고 아브람이 반드시 이 땅을 차지할 것이라는 것을 선언하고 계신 것이다.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시는 하나님, 그런데 이 언약은 성취되기까지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 애굽에서의 포로기간을 400년으로 잡는다고 할때 최소 600-800년 이후의 일을 말하고 있다. 만약에 나에게 이런 동일한 일이 일어났다라고 가정해보자. 어떤 집을 계약했다. 나의 바램은 새로운 집에 바로 입주하여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다. 그런데 그 계약서의 작은 글씨로 된 조항을 읽어보니 이 집에 바로 입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400년 후에 들어가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주께는 하루가 천년 같고 천년이 하루 같다.(벧후 3:8-9) 하나님의 시간표와 우리의 기대가 일치 하지 않는 것이다. 

지금 우리의 시대는 빠름을 추구하고 있다. 점점 더 참을성이 없어진다. 화면이 나오는데 2-3초의 딜레이에도 너무나 갑갑하다. 짧은 시간안에 우리의 마음을 빼앗지 못하면 우리는 그냥 스킵하고 지나간다. 무언가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설교는 점점 더 짧아지기를 원하고 무언가를 깊이 되뇌이며 생각하는 것은 매우 힘든 소양이 되어 버렸다.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기대도 이렇지 않은가? 마치 자판기에 동전을 넣고 버튼은 누르면 내가 원하는 물건이 바로 나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손으로 두드리거나 발로 찬다. 하나님께 기도하고 바로 응답되지 않으면 더이상 기대하지 않고 실망하고 더이상 기도하지 않는다. 

기대는 미래를 바라보고 소망한다. 그런데 그 기대가 이루어지 위해서는 현재의 수고와 노력, 관계가 요구되어진다. 아이들을 향한 부모의 기대도 마찬가지이다. 부모들은 아이들이 빨리 젖을 떼고, 기저귀를 떼고 걷고 뛰기를 바란다. 그리고 유치원, 학교에 들어가서 부쩍부쩍 자라고 건강한 청소년기를 거쳐서 대학을 나와서 직장을 잡고 배우자를 만나 행복한 가정을 이루기를 바란다. 그런데 이 일은 한순간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소망의 기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단계마다 부모의 수고와 노력, 인내와 기다림이 필요한 것이다. 기저귀를 가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고, 폭풍과 같은 청소년기를 거쳐야한다. 이처럼 우리는 미래의 기대를 이루기 위해서는 현재의 관계를 아름답게 일구어 나가야 한다. 어찌보면 소비되고 낭비되어지는 것 같은 현재를 잘 일구어 나가야 하는 것이다. 

 

 

어린 왕자는 각각 한 사람이 살고 있는 별들을 방문하는데, 그들은 각각 무엇이 중요한지 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을 대표한다. 그는 복종받는 일에 매우 관심이 있는 왕을 만나는데,  그 왕은 자기가 명령하기만 하면 무엇이든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이를테면, 일몰). 그의 권위는 그에게 유일하게 중요한 것이다. 또 어린 왕자는 허영심이 많은 사람을 만나는데,  그에게 유일하게 중요한 것은 칭송을 받는 것이다. 세 번째 별의 “술고래”는 자기 의 음주 습관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한다. 사업가는 사실과 숫자들에서 중요성을 발견하고, 가로등을 켜는 사람은, 그 일이 얼마나 비합리적 인지와 상관없이, 자기의 의무를 수행하는데서 중요성을 발견한다. 마지막 별에서, 어린 왕자는 지리학자를 만나는데 , 그는 오로지 변화하지 않는 것에서 중요성을 찾는다. 지리학자들은 덧없는 것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 어린 왕자는 자신의 탐험 과정을 통해,  그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발견한다. 그것은 자기 별에서 그가 돌보았던 장미 한 송이이었다. 그의 친구가 된 여우는 ‘네 장미를 그토록 중요하게 만드는 것은 네가 네 장미에 쏟은 시간”때문이라고 이야기 한다. 어린 왕지는 이를 통해 그에게 중요한 것은 관계라는 것을 발견한다.

5가지 사랑의 언어에서 우리는 함께하는 시간, 선물, 칭찬의 말, 선물, 스킨십등을 통해서 사랑을 확인한다라고 말한다. 이중에 함께하는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이 관계 자체가 우리의 기대와 소망을 이루는 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일을 이루시는 방법도 매우 즉각적일 수 있지만 또한 매우 오랜 시간을 통해서 우리로 기대하게 하신다. 그것을 온전히 이루기 위해서는 우리는 속도를 늦추고 현재의 우리의 관계에 집중하며 주님께 우리의 시선을 맞추어야 한다. 가족과의 관계 속에서는 함께 걷거나 함께하는 시간을 보내는 것이다. 

400년이라는 시간이 너무나 길고 무의미해 보일 수 있지만 내일을 의심하고 걱정하는 대신 오늘에 집중하여 만족하며 오늘 나에게 주어주신 사명과 관계를 소중히 여기며 살아갈 때 400년의 기다림은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 그러기에 우리들은 그리스도의 재림을 지나치게 두려워하거나 열망함으로 오늘을 믿음을 살아가는 관계를 소홀히 여겨서는 안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