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다섯번 째 만남. 참된 자기 사랑

1. 자기 사랑의 기초 :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진 일

* 생각해볼 질문 : 그리스도인들은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렇게 생각하는(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하나님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나를 받아들이셨습니다. 

- 나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특별한 작품입니다. 

- 나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새로운 가족 공동체에 속했습니다. 

 

우리는 이렇게 그리스도 안에서 놀라운 특권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말씀을 통해서 ‘하나님을 알아가는 특권’을 받았고, 기도와 예배와 순종을 통해서 ‘하나님을 사랑하는 특권’을 얻게 되었습니다. 이런 놀라운 특권을 얻었음에도 우리들은 ‘나’의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여전히 죄와 열등감으로 인해서 고민합니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바라봅니다. 마 16장 24절을 잘못 이해하고 있습니다. 

마태복음 16:24 (NKRV)

24이에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

 

여기서 자기를 부인하고를 자신을 형편없는 존재로 여기는 것으로 잘못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기비하, 자기 멸시, 심하게는 자기 학대에 빠져 있습니다. 자존감이 매우 낮고 죄의식에 빠져 있으며 자신은 늘 죄를 짓고 실패할 수 밖에 없다는 아주 강한, 잘못된 확신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참된 자기 사랑을 위해서 우리는 다시한번 우리가 그리스도 예수를 믿고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에베소서 2장 1-10절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3절입니다. 

에베소서 2:1–3 (NKRV)

1그는 허물과 죄로 죽었던 너희를 살리셨도다

2그 때에 너희는 그 가운데서 행하여 이 세상 풍조를 따르고 공중의 권세 잡은 자를 따랐으니 곧 지금 불순종의 아들들 가운데서 역사하는 영이라

3전에는 우리도 다 그 가운데서 우리 육체의 욕심을 따라 지내며 육체와 마음의 원하는 것을 하여 다른 이들과 같이 본질상 진노의 자녀이었더니

 

본문은 예수님을 알기 전의 우리의 상태에 대해서 말합니다. 

우리가 하나님과 관계가 없을 때는 마치 우리 자신이 주인이 되어 인생을 마음대로 살아가는 것 같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내가 나의 삶의 주도권을 쥔 것이 아니라 세상 풍조, 공중의 권세 잡은자, 그 가운데 역사하는 영, 육신의 정욕과 육체와 마음이 원하는 것이 나의 삶의 주도권을 잡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돈을 벌고 쓰는 일, 직장을 찾는 일, 연애하고 결혼하는 일,  아이를 키우는 일에서 남들에게 뒤떨어지지 않으려고 아둥바둥대며 열심히 노력하며 살아갑니다. 정말이지 삶의 주도권이 우리에게 없습니다. 그리스도를 따른다고 하면서도 여전히 우리는 예수님을 알기 전의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리스도께서 우리들을 위해서 어떤 일을 행하셨습니까?

에베소서 2:4–6 (NKRV)

4긍휼이 풍성하신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 사랑을 인하여

5허물로 죽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셨고 (너희는 은혜로 구원을 받은 것이라)

6또 함께 일으키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하늘에 앉히시니

하나님께서는 당신을 떠나 이 세상을 좇아 살아가는 우리들을 너무나도 사랑하셔서 허물로 죽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셨고, 또함께 일으키셨고 또한 그리스도와 함께 하늘에 앉히셨다라고 본문은 말합니다. 

다시 말씀드립니다. 하나님은 당신의 사랑으로 인해서 우리를 그리스도 예수와 함께 살리셨고, 그리스도 예수와 함께 일으키셨고, 그리스도 예수와 함께 하늘에 앉히셨습니다. 여기 나오는 동사의 시제는 모두 부정과거 능동태로 모두 과거에 일어나서 지속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의미입니다. 다시금 강조하면 본문은 우리들을 부활시키실 것이 아니라 이미 부활시키셨고, 하늘에 앉히실 것이 아니라 하늘에 앉히셨다라고 선언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내용을 표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스도 밖에 있던 우리(1-3절)

그리스도 안에 있는 우리(4-6절)

영적 상태

허물과 죄로 죽었던(1절)

그와 함께 살리셨고(5절)

삶의 주도권

세상 풍파, 공중의 권세 잡은 자, 육신과 마음이 원하는 대로 따르는 삶(2-3절)

그와 함께 일으키셨고(6절)

우리의 신분

진노의 자식(3절)

그와 함께 하늘에 앉힘(6절)

사랑하는 여러분, 우리들은 하나님에 대해서 살았고,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의 능력이 우리 속에서 이미 역사하고, 우리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그분과 함께 하나님의 우편에 앉았습니다. 이것이 바로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일어난 일입니다. 참으로 놀라운 이야기이며, 엄청난 축복이 아닐 수 없습니다. 바로 이 놀라운 영적 축복이 자기 사랑의 기초입니다. 구원은 그저 죽어서 천당가는 것이 아니라 이 놀라운 영적인 축복을 지금 나의 삶에 자리에서 누리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2. 믿음 : 자신에게 이루어진 축복 받아들이기

* 생각해볼 질문 : 그리스도인이 되고 나서 자신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달라졌습니까? 

 

어던 가난한 학생이 장학증서를 받았습니다. 이 장학증서는 학교를 졸업할 때까지의 장학금과 생활비 일체를 제공해주겠다는 조건입니다. 그런데 이 학생이 이 장학증서를 주머니 속에 넣어두고 ‘새학기 등록은 어떻게 하나? 용돈이 없어서 너무 배고프다”라고 한다면 이 얼마나 어처구니 없는 일입니까? 그런데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바로 이런 모습으로 살아갑니다. 

그리스도 밖에 있던 자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살아가게 되었습니다. 이 놀라운 장학증서, 선물을 어떻게 받을 수 있습니까? 

에베소서 2:8–9 (NKRV)

8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9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니 이는 누구든지 자랑하지 못하게 함이라

 

8절 본문은 이 놀라운 선물을 믿음으로 말미암아 받게 된다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이 이미 그분의 뜻안에서 사랑으로 행하신 일을 믿음으로 받아들이면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믿을 때 그리스도 안에 속하고 그 속에서 완전한 피조물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와 함게 이미 새 생명을 얻었고 그리스도와 함께 하늘에 앉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믿음으로 받아들여서 구원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부인해야 할 것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기 전에 그리스도와 관계 없을 때의 우리의 모습입니다. 반대로 우리가 사랑해야 하는 모습이 있는데 그것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나, 하나님이 특별한 존재로 만드신 나, 그리스도를 통해서 완전히 받아들여진 나입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건강한 욕망과 부정적인 욕망을 구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음식을 맛있게 먹는 것은 건강한 것입니다. 하나님이 우리들에게 그 음식물을 주셨기에 맛있게 먹으면 됩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먹어야 할 것 까지 뺏앗아 먹는다던지 먹어서는 안되는 것을 먹는 것을 부정적인 욕망입니다. 그래서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이렇게 부인해야 할 것과 사랑해야 할 것을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자면 그리스도와 관계 없었던 때 우리를 지배하던 것을 부인하고 하나님이 우리를 만드실 때 주신 건강한 욕구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주어진 특별한 가치를 누려야 합니다 

이처럼 건강한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들에게 부여하신 새로운 신분에 걸맞게 살아가면서 예수를 알기전에 물들어 있던 잘못된 습관을 벗어버리는 사람들입니다. 

 

 

3. 변화된 신분에 걸맞는 삶으로 이끄시는 성령님

* 우리는 ‘아직도 제가 덜 죽어서요’라는 말을 자주 하고 듣습니다. 이런 말이 어떤 면에서 잘못인지 생각해보십시오.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 ‘아직도 제가 덜 죽어서요’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이 말은 ‘아직도 제가 덜 죽어서 자꾸 죄를 짓네요. 제가 더 죽어야 하는데 아직도 이렇게 시퍼렇게 살아있으니 어쩌겠어요’라는 뜻입니다. 일부 맞는 면도 있지만 틀린 면이 더 많습니다. 

 

여러분, 미국 사람이 될려면 어떻게 하면 됩니끼? 영어를 열심히 공부가고 밥대신에 빵을 먹고, 젓가락 대신에 나이프와 포크를 사용하면 미국 사람이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시민권을 얻어야 합니다. 그러면 영어가 좀 서툴러도, 젓가락을 사용해도 미국 사람임에 틀림없습니다. 기독교는 타력 종교입니다. 다른 종교들은 수양을 통해서, 선행을 통해서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지만 기독교는 자격 없는 우리가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에 이르고, 구원받은 자로 살아가다보니 변화된 신분에 걸맞는 모습으로 변해간다고 말합니다. 갈 2:20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갈라디아서 2:20 (NKRV)

20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이제 내가 육체 가운데 사는 것은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자기 자신을 버리신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믿음 안에서 사는 것이라

바울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이미 죽었기 때문에 그 새로운 신분에 걸맞게 살아가라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미국이나 캐나다의 이민국을 통과할 때 매번 긴장합니다. Immigration office를 통과할 때 몇번 끌려들어간 적이 있습니다. 한참을 기다리다가 조사를 받고 나와야 합니다. 왜냐하면 제가 미국 시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미국 시민들은 다른 줄에 서서 들어갑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바로 그런 존재입니다. 하나님 나라의 시민의 새로운 신분을 부여받은 존재들인 것입니다. 자신을 많이 죽여서 좀 괜찮아 보여야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미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히 변화된 존재들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십자가에서 이미 이 놀라운 일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미 십자가에서 죽었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혀서 새로운 존재가 되었습니다. 아직 온전히 그리스도인답지 않아도 하나님이 우리를 그리스도인으로 여겨주십니다. 우리가 이렇게 새로운 존재가 되고 새로운 신분을 갖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고린도전서 3:16 (NKRV)

16너희는 너희가 하나님의 성전인 것과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계시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

우리는 이렇게 신분이 바뀐것과 동시에 보혜사 성령의 내주하심과 함께 합니다. 보혜사는 ‘변호해주시는 분 또는 도와주시는 분’을 의미합니다. 예수님이 제자들과 함께 하시며 변호해주시고 도와주셨던 것처럼 성령께서 우리에게 오셔서 우리와 함께 하시고 우리를 변호하시고 도와주십니다. 

이 성령님이 우리와 함께 하시기 때문에 우리들의 삶을 달라지게 됩니다. 

갈라디아서 5:24 (NKRV)

24그리스도 예수의 사람들은 육체와 함께 그 정욕과 탐심을 십자가에 못 박았느니라

본문에서 말하는 ‘그리스도 예수의 사람들’은 바로 그리스도인들을 의미합니다. 안디옥 교회에서 처음 불리움을 받은 그리스도인이라는 호칭은 헬라어로 ‘크리스티아노스’인데 그것의 의미가 바로 ‘그리스도께 속한 자’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그리스도인들은 육체와 함께 그 정욕과 탐심을 십자가에 못받았다라고 말합니다. 이것이 바로 자기 부인입니다. 우리의 신분이 그리스도인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우리 속에서 우리를 지배했던 정욕과 탐심을 육체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는 것입니다. 본문의 육체는 body가 아니라 self, sinful nature로 죄된 성품을 말합니다. 사람들이 육체를 십자가에 못박아야 한다는 이 표현을 잘못 이해해서 건강한 식욕, 숙면욕, 성욕과 같은 하나님이 주신 건강한 욕구까지도 나쁜 것으로 제한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것은 육체를 잘못 해석한 것입니다. 우리가 부인해야할 육체는 바로 우리의 죄된 본성인 것입니다. 

 

4. 우리 속에서 경험하는 두가지 욕망

* 생각해볼 질문 : 육체의 욕망을 따르지 않고 성령을 따라 살 때 가장 큰 방해물은 무엇입니까? 

 

우리는 그리스도안에서 변화된 신분을 주장하며 살기를 원합니다. 그런데 실제 우리의 삶속에서는 신분의 변화는 이미 이루어졌지만 상태의 변화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갈등의 상황이 계속됩니다 우리 속에 성령님이 계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는 육신을 입고 죄를 짓고 있는 것입니다. 

갈라디아서 5:16–17 (NKRV)

16내가 이르노니 너희는 성령을 따라 행하라 그리하면 육체의 욕심을 이루지 아니하리라

17육체의 소욕은 성령을 거스르고 성령은 육체를 거스르나니 이 둘이 서로 대적함으로 너희가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니라

우리 속에는 이렇게 두가지 욕망이 있습니다. 육체가 바라는 것과 성령이 바라는 것이 공존하고 있는 것입니다. 수많은 시간동안 육체의 욕심을 따라 살았기에 이제 성령께서 우리 가운데 오셨지만 그분과 함께 사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 내 삶에서 성령의 열매가 많이 맺히지 않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알기 전 우리는 육체의 욕심을 따라 살았습니다. 갈 5장 19-21절은 육체의 욕망이 무엇인지 우리에게 이야기해줍니다. 

갈라디아서 5:19–21 (NKRV)

19육체의 일은 분명하니 곧 음행과 더러운 것과 호색과

20우상 숭배와 주술과 원수 맺는 것과 분쟁과 시기와 분냄과 당 짓는 것과 분열함과 이단과

21투기와 술 취함과 방탕함과 또 그와 같은 것들이라 전에 너희에게 경계한 것 같이 경계하노니 이런 일을 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것이요

육체의 욕심은 도덕적인 죄, 관계의 죄, 생활방식에 있어서의 죄와 관련이 있습니다. 바울은 이런 죄를 짓는 자들은 하나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한다라고 강력하게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바울은 성령의 욕망을 따라 살아가는 삶이 어떤 모습인지를 말합니다. 

갈라디아서 5:22–24 (NKRV)

22오직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23온유와 절제니 이같은 것을 금지할 법이 없느니라

24그리스도 예수의 사람들은 육체와 함께 그 정욕과 탐심을 십자가에 못 박았느니라

 

사랑하는 여러분, 우리들은 어떻습니까? 우리 속에 이 두가지의 욕망중에 어떤 욕망이 더 살아 꿈틀대고 있습니까? 이것은 결국 우리의 삶을 통해서 드러나게 되어 있습니다. 갈등 상황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성령의 욕망을 좇아서 갈등을 해결할 것인지, 육체의 욕망을 좇아서 갈등을 해결할 것인지 말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신앙생활은 기간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교회는 오래다녔어도 성령을 좇아 행하는 법을 배우지 못한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교회는 오래 다녔는데 여전히 인간적인 모습이 불쑥 불쑥 튀어나옵니다. 하지만 우리가 성령을 따라 행하면서 그러한 것들을 십자가에 못 박으면 우리 속에 거룩한 모습과 성령의 열매가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의 죄된 본성을 거스르는 것으로 배우고 연습하지 않으면, 성령의 능력을 의지하지 않으면 불가능합니다. 

 

진정한 자기 사랑이란 그리스도 안에 속하지 않았을 때의 모습을 부인하고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답게, 그리스도께 속한 자답게, 이제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워진 존재를 긍정하는 것입니다. 우리 속에 오셔서 우리와 함께 하시는 성령님을 따르는 것입니다. 진정한 자기 사랑이란 우리 속에 일어나는 두가지 욕망중에서 육체의 욕망을 따르지 않고 성령의 욕망을 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728x90

15 After these things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Abram in a vision: c“Fear not, Abram, I am dyour shield; your reward shall be very great.” But Abram said, “O Lord God, what will you give me, for I continue1 childless, and the heir of my house is Eliezer of Damascus?” And Abram said, “Behold, you have given me no offspring, and ea member of my household will be my heir.” And behold,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him: “This man shall not be your heir; fyour very own son2 shall be your heir.” And he brought him outside and said, “Look toward heaven, and gnumber the stars, if you are able to number them.” Then he said to him, h“So shall your offspring be.” And ihe believed the Lord, and jhe counted it to him as righteousness.

And he said to him, “I am the Lord who kbrought you out from Ur of the Chaldeans lto give you this land to possess.” But he said, “O Lord God, mhow am I to know that I shall possess it?” He said to him, “Bring me a heifer three years old, a female goat three years old, a ram three years old, a turtledove, and a young pigeon.” 10 And he brought him all these, ncut them in half, and laid each half over against the other. But ohe did not cut the birds in half. 11 And when birds of prey came down on the carcasses, Abram drove them away.

c ch. 26:24; Dan. 10:12; Luke 1:13, 30

d Ps. 3:3; 18:2; 84:11; 119:114

1 Or I shall die

e ch. 14:14

f ch. 17:16

2 Hebrew what will come out of your own loins

g Ps. 147:4

h ch. 22:17; 26:4; Ex. 32:13; Deut. 1:10; 10:22; 1 Chr. 27:23; Heb. 11:12; Cited Rom. 4:18

i Rom. 4:9, 22; Gal. 3:6; James 2:23

j Cited Rom. 4:3; [Ps. 106:31]

k ch. 11:31; 12:1; Neh. 9:7, 8; Acts 7:2–4

l Ps. 105:42, 44

m [Judg. 6:17; 2 Kgs. 20:8; Ps. 86:17; Isa. 7:11–13; Luke 1:18]

n Jer. 34:18, 19

o Lev. 1:17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Ge 15:1–11.

 

 

이 아브라함 언약을 통해서 앞서 12:2에서 큰 민족을 이루게 하시겠다라는 하나님의 약속이 다시금 분명하게 확인된다. 하지만 이것의 성취는 이후 몇세기가 지나서야 이루어진다. 

15장의 아브라함 언약 이야기는 하나님께서 인간과의 언약속에 자신을 묶으시는 순간이다.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약속하신 자녀와 땅의 정복이 성취될 것을 구체적으로 선언하신다. 1-6절이 자손에 대한 약속이라면 7-21절은 땅에 대한 약속을 받는 것이다. 1절과 7절은 각각 I am 형식으로 말씀하신다. 이를 구조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A.하나님께서 1 am"형식에 따라 아브람에게 약속하심 (1 )

    B. 불안한 아브람이 주 여호와’께 질문함(2-3절)

     C. 하나님이 상정적인 행동을 통해 아브람을 안심시킴: 별들을 보여주시고 아브람의 씨앗의 숫자와 연결시키심(4-6절)

  A. 하나님께서 “1 am" 형식에 따라 아브람에게 약속하심(7)

    B. 불안한 아브람이 주 여호와’께 질문함"(8 )

      C' . 하나님이 상징적인 행동을 통해 아브람을 안심시캄: 별들을 보여주심: 짐승들 사이를 햇불이 지나가게 하고 장차 후손들이 받을 땅과 연결시키심

 

1절) 이 일들 후에 여호와의 말씀이 아브람에게 임하여 환상중에 말씀하신다. ‘아브람아 두려워하지 말아라. 나는 너의 방패요 너의 지극히 큰 상급이다.

본문에서 ‘이 후에’라고 표현된 것은 앞의 사건과 15장의 사건을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앞선 14장에서 아브람은 롯을 구출하고 돌아오던 중에 승리에 대한 전리품을 소돔왕으로 부터 받는 것을 거절한다. 그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님께서는 내가 너의 지극히 큰 상급이 될것이라고 말씀하신다. 아브람은 소돔왕의 제안을 통해 부해 지는 것을 거절함을 통해서(14:22-24) 하나님께서 자신을 풍성케 하실 것이라는 믿음을 보이고 있고 이에 대해서 하나님께서 환상중에 구체적으로 약속하고 계시는 것이다. 또한 본문은 아브람은 선지자로 묘사하고 있다. 구약의 여느 선지자들처럼 환상을 통해 여호와의 말씀이 그에게 임했기 때문이다. 지금의 시점에 전투를 마치고 돌아온 시점임을 기억한다면 지금 그가 물리친 왕들의 보복을 두려워하고 있었던 시점에서 매우 적절한 위로요 또한 소돔왕의 승리에 대한 보상을 거부하고 하나님께서 직접 그에게 상급을 주시는 것이다. 이러한 적의 보복 이외에도 아브람을 두렵게 하는 것이 있었는데 이는 아마도 하나님께서 자손을 주시겠다라는 약속의 시점이 오래 되었음에도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대한 불안이 있었을 것이다. 이 문구는 훗날 위기에 처한 이삭과(26:24) 야곱에게도(46:3) 임한 말씀이다. 

After these things links this episode to the one immediately preceding. In ch. 14 Abram rejected the offer from the king of Sodom for the victory spoils as a reward. In response, God now states that Abram’s reward shall be very great. By rejecting the use of human wealth to achieve greatness (14:22–24), Abram demonstrates his willingness to wait for God to provide. in a vision. Although it is not certain, the initial vision may have taken place at night. In 15:5 God brings Abram out of his tent to count the stars.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7.

 

2-3절) 하나님의 말씀에 대해서 아브람은 자신에게는 지금 자식이 없고 법적으로 자신의 상속자는 이 다메섹 사람 엘리에셀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렇게 된 이유가 자신에게 자식을 하나님께서 주시 않으셨기에 지금 자신의 집에서 길리운 자 중의 하나인 엘리에셀이 자신의 상속자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엘리에셀이라는 이름은 ‘하나님은 도움이시다’라는 의미로 아브람의 신뢰를 받고 있는 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브람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가나안 땅에 이주해서 살면서 자신의 집이 부유해졌지만 여전히 자신에게 자식이 없음으로 인해서 고민을 하고 있었고 실제로 이후의 상속자를 누구로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자신에게 자녀가 없었기에 법적인 다음 상속자로 엘리에셀을 생각하고 있었다. 하나님으로부터 상급을 기대하고, 싸움의 승리가 하나님께 있음을 알고 경험했지만 아직도 여전히 하나님의 전적인 계획을 알지 못하는 아브람은 인간적인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불안한 나머지 나름대로 비상대책도 세워 놓았다. 주전 2000년대 중반에 제작 것으로 보이는 누지(Nuzi) 토판들에 의하면 자식이 없는 사람은 종들 중

니를 택해 양자를 삼고 그에게 모든 재산 상속권을 주는 것이 당시의 풍습이었다.(Hamilton). 아브람은 이 풍습에 따라 그의 종이었던 다마스크스의 엘리에셀을 상속자로 지명했다(2-3 ). 어떤 학자들은 훗날 이삭의 아내를 찾아 라반에게로 갔던 종이 바로 이 종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확실한 근거 없는 추측일 뿐이다. 엘리에셀처럼 전혀 피를 섞지 않은 지를 통해 대를 이어간다 것은 그 당시에도 최후의 수단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실제로 아브람이 그를 양자로 삼았는지 앞으로 그렇게 할 계획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 일단 아브람 말투에 체념과 한숨이 어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엑스포지멘터리 창세기 293)

 

4-6절) 이러한 아브람의 반응에 대해서 하나님께서는 다시금 말씀하신다. 엘리에셀이 너의 상속자가 아니라 네 몸에서 날 자가 너의 상속자가 될 것이다라고 말씀하시고 아브람을 이끌고 밖으로 나가셔서 하늘의 뭇 별을 보면서 또한 말씀하신다. 네가 하늘의 별들을 셀 수 있느냐? 너의 자손이 이와 같이 많을 것이다라고 하신다. 이에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로 여기셨다.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알려주신 것은 엘리에셀이 너의 상속자가 아니라 네 몸에서 날 자가 너의 상속자가 될 것이라는 것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하나님께서 사라를 통해서 너의 상속자를 주실 것이라는 것은 말씀하지 않으셨다. 이에 아브람은 사래의 몸종 하갈을 통해서 이스마엘을 얻는다. 우리들도 어렴풋이 알고 있는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을 잘못 적용하여 실수를 할 수 있다. 아브람은 지금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서 엘리에셀은 아니고 나에게서 후손이 생기겠구나라는 것은 알았지만 하나님께서 사래의 태를 여셔서 아들을 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하고 인간적인 다른 대안을 선택하게 된 것이다. 

 

6절 본문은 믿음과 관련되엇 매우 중요한 구절로 신약에서 4번 인용된다.(롬 4:3, 22; 갈 3:6; 약 2:23)

 

로마서 4:3 (NKRV)

3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진 바 되었느니라

갈라디아서 3:6 (NKRV)

6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을 그에게 의로 정하셨다 함과 같으니라

야고보서 2:23 (NKRV)

23이에 성경에 이른 바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니 이것을 의로 여기셨다는 말씀이 이루어졌고 그는 하나님의 벗이라 칭함을 받았나니

 

믿음은 하나님의 말씀이 진리이며 진실하다는 것에 기초하며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삶으로 이어져야 한다. 아브람의 삶이 그러했다. 그가 하나님의 부름을 받을 당시에 그의 믿음은 완성형이 아니었다. 여러가지 위기의 순간을 거쳐가면서 그는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에 대해서 알아갔고 말씀하신 것을 이루시는 분이라는 것에 대한 확신이 분명해진 것이다. 그는 비록 지금 자신에게 자녀가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래서 다메섹 사람 엘리에셀을 자신의 상속자로 세워야하는지 고민하고 있었지만 하나님의 말씀과 환상을 통해서 하나님이 약속하신 것을 능히 이루실 분임을 더욱 분명히 믿은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이를 아브람의 의로 여기셨다. ‘의’는 구약성경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 가운데 하나이다. 구약의 의는 율법에 일치하는 경건한 삶을 사는 것이다. 

본문에서 하나님에 대한 아브람의 믿음은 그리드소 안에서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믿음의 모델이 된다.(갈 3:6-9) 의로움은 우리의 성취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여겨지고 간주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믿음 안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안에서 의를 주시는 하나님을 바리기 때문입니다. 

Abram’s trust in God is the model for Christians’ trust in God’s promises in Christ (Gal. 3:6–9). Righteousness is “counted” or reckoned, not on the basis of our achievement, but because in faith we look to God who supplies righteousness in Christ (Rom. 4:5–9; 2 Cor. 5:21; Gal. 3:6).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7.

 

그렇다면 본문에서 아브람은 무엇을 믿었는가? 본문이 구체적으로 구원에 대한 믿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앞선 내용과의 관련속에서 본다면 하나님께서 방패이시면 지극히 큰 상급이 되심을, 또한 지금은 자신에게 자녀가 없지만 그 자녀를 주시겠다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믿은 것이다. 이 믿음에 대해서 하나님께서는 이것을 의로 여기셨고 그에게 실제로 약속을 성취하신다. 이처럼 인정된 의는 축복의 근거가 된다. 

 

‘의롭다’의 기본적인 의미는 ‘기준에 맞다/도달하다’라는 뜻이다"(Mathews) . 폰라트{G . von Rad)는 훗날 이 개념이 “공동제의 평안과 안녕을 위해 하나님께서 세우선 기준”을 뜻했다고 한다. 그래서 성도가 성전에 가서 예배를 드리고자 하면 성전 문 앞에서 제사장이 그가 공동체적인 책임[기준]을 충족시키는 삶을 살았는지를 묻고 긍정적으로 대답하는 사람만 입장을 허락했다고 한다. 아브람은 하나님이 세워 놓으신 ‘믿음 기준’에 부합하는 사람이었던 것이다.(엑스포지멘터리 296)

 

7-8절) 또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에게 ‘나는 이 땅을 너 아브람에게 주어 소유를 삼게하려고 너를 갈대아 우르에서 이끌어낸 여호와이다.’라고 말씀하셨고 아브람은 

'주 여호와여 내가 이 땅을 소유로 받을 것을 어떻게 알겠습니까?’라고 믇는다. 

본문은 지속적으로 아브람과 여호와 하나님의 대화로 이루어진다. 일방적으로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거나, 아브람이 자신의 이야기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묻고 대답하고 대화하는 방식으로 하나님께서 환상중에 이야기하고 계신 것이다. 아브람은 앞서 6절까지는 자손에 초점을 맞춘다면 7절 이하는 아브람의 자손이 가나안 당을 소유하게 된다는 것과 관련해서 그것을 보증해줄 수 있는 표적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9-11절) 아브람이 요구하는 표적에 대해서 이제 여호와께서 삼년된 암소와 삼년된 암염소와 삼년된 숫양과 산비둘기와 집비둘기 새끼를 가져오라고 말씀하신다. 이에 아브람이 하나님께서 분부하신 모든 것을 가져다가 이를 반으로 쪼개고 그 쪼갠 것을 마주 대하여 놓고 작은 새는 쪼개지 않았다. 이렇게 제물을 반으로 쪼개 놓았기에 솔개가 사체위에 내려올때 아브람이 이를 쫓았다. 

 

728x90

jIf any of you lacks wisdom, klet him ask God, lwho gives generously to all without reproach, and it will be given him. But mlet him ask in faith, nwith no doubting, for the one who doubts is like oa wave of the sea that is driven and tossed by the wind. For that person must not suppose that he will receive anything from the Lord; phe is a double-minded man, qunstable in all his ways.

j 1 Kgs. 3:9–12; Prov. 2:3–6

k See Matt. 7:7

l Prov. 28:5

m Mark 11:24

n Matt. 21:21

o [Isa. 57:20; Eph. 4:14]

p ch. 4:8

q [2 Pet. 2:14; 3:16]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약 1:5–8.

 

5절에서 하나님께서 주시는 방식을 설명했다면 6-8절에서는 우리가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룬다. 

 

5절) 야고보는 앞서 여러가지 시험을 당하는 이유에 대하여 다루었다. 결국 시험의 이유는 인내로 온전케 하기 위함인데 이를 위해서는 지혜가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야고보는 시험을 다루면서 지혜가 부족한 신자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지혜가 성도들을 온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 하는 능력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구약에서 지혜는 삶의 실제적인 문제들에 대해 하나님이 주시며 하나님 중심적인 분별력을 말한다. 지혜는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는 기도로부터 나온다. 하나님께서는 이를 구하는 이들에게 후하게 주시고 꾸짖지 않으신다. 

James addresses the believer who lacks wisdom in handling trials. Wisdom, as in the OT, is a God-given and God-centered discernment regarding the practical issues in life. Wisdom comes from prayer for God’s help. God gives generously (with “single-minded” liberality) and without reproach (he does not want anyone to hesitate to come to him).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91.

 

지혜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말씀과 목적의 빛 안에서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결국 지혜는 하나님의 뜻에 대한 통찰과 그것을 실제의 삶에 적용시키는 방법이다.(잠 2:10-19) 시험중에 기뻐하기 위해서 이것이 신자들에게 필요하다. 야고보서에서 이 지혜는 매우 중요한 테마인데 직접적으로 지혜를 언급하기도 하지만 ‘혀’라는 표현으로 언급하기도 한다. 

 

우리가 하나님께 구한 것을 받을 줄로 믿는 것은 다름 아니라 하나님의 인격과 성품, 그분의 신실하심을 믿기 때문이다. 

(잠 2:6, 개정) 『대저 여호와는 지혜를 주시며 지식과 명철을 그 입에서 내심이며』

(마 7:7, 개정) 『구하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주실 것이요 찾으라 그리하면 찾아낼 것이요 문을 두드리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열릴 것이니』

 

후히라고 번역된 ‘하플로스’는 신약성경에서 여기에만 등장하는데 이 단어는 단일한(single), 단순한(simple)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인데 이 단어가 준다라는 동사와 함께 사용될때 단일함의 개념은 관대함의 의미를 지닌다.(고후 8:2; 9:11, 13) 하지만 본문의 이 표현을 후히보다 단일함의 의미로 보는 것이 야고보의 의도에 더 가깝다고 보기도 한다. 

  • 후히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 하플로스(haplōs)는 신약성경에서 여기에만 한번 나타난다. 이 단어는 ‘단일한’(single), 또는 ‘단순한’(simple)이란 기본 의미를 지닌 단어의 파생어인데, 바울이 에베소서 6:5에서 사용한 헬라어 명사 하플로테스(haplotēs)에 그 의미가 다음과 같이 남아 있다. “종들아…성실한 마음으로(haplotēti kardias) 하라”(골3:22). 준다는 동사와 함께 사용될 때 ‘단일함’의 개념은 관대함의 의미를 지닌다(고후 8:2; 9:11, 13을 보라). 이것이 야고보서 1:5에 대해 대부분의 번역본들이 채택하고 있는 의미이고, 많은 주석가들도 이에 동조한다(특히 호르트〈Hort〉의 주석에 나타난 전반적인 논의 참조).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는 하나님의 나뉘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 의지를 표현하는 ‘단일함’의 사상이 야고보의 의도에 보다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 단어와 동족 형용사인 하플루스(haplous)가 누가복음 11:34(마 6:22을 보라)에서 이런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3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야고보는 철저하게 예수의 가르침에 친숙하다. 더욱이 ‘단일한’, ‘주저 없이’란 의미는 이어서 나오는 ‘꾸짖지 아니하시는’이란 표현과 잘 어울리고, 7–8절에 나오는 ‘두 마음을 품은’과 분명한-아마도 의도적인-대조를 이룬다. 그렇다면 야고보의 의도는 구하는 자들에게 지혜의 선물을 주시고자 하시는 무조건적이고, 계산하지 않으시며, 변함없는 하나님의 의지를 강조하려는 데 있다.

  • 3 마 6:22과 눅 11:34에 나오는 하플루스의 의미는 논쟁이 되고 있다. ‘한 마음’(single-minded), ‘순전한’(pure)의 의미에 대해서는 O. Bauernfeind, TDNT, 1, 386; I. H. Marshall, The Gospel of Luke (Eerdmans, 1978), 489를 보라.

  •  더글라스 J. 무 지음, 야고보서, trans. 이승호, 초판., vol. 16, 틴데일 신약주석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92–93.

 

6절) 구하는 방식, 의심이 아니라 믿음으로 구할 것을 설명한다. 

믿음 vs 의심

믿음은 성경에 계시된 그분의 성품과 약속에 근거한 하나님 안에서의 확고한 신뢰와 확신이다(히 11:1) 

의심은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과 세상에 대한 신뢰 혹은 자기 자신의 선천적인 능력들을 신뢰하는 것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는 것이다. 

결국 믿음으로 구하는 자는 받게 되고 의심하는 자는 주께 얻기를 생각지 말아야 한다. 

 

야고보와 예수님은 이렇게 의심하지 아니하고 믿음으로 구하는 것에 대해서 말씀하신다. 

(마 21:21-22, 개정) 『[21]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만일 너희가 믿음이 있고 의심하지 아니하면 이 무화과나무에게 된 이런 일만 할 뿐 아니라 이 산더러 들려 바다에 던져지라 하여도 될 것이요 [22] 너희가 기도할 때에 무엇이든지 믿고 구하는 것은 다 받으리라 하시니라』

  • 의심하다는 동사는 기본적으로 ‘구별하다’의 의미를 가진 헬라어 디아크리노(diakrinō)의 번역이다. 이 어근의 의미로부터 디아크리노는 ‘판단하다’(고전 14:29, 개역개정에는 ‘분별하다’로 표현-역자 주), ‘논쟁하다’(행 11:2, 개역개정에는 ‘비난하다’로 표현-역자 주)의 의미로까지 확장되어 사용되며, 중간태 형태로 ‘토론하다’, ‘흔들리다’ 또는 ‘의심하다’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야고보는 2:4에서 동일한 단어를 교회 안에서 과도할 정도로 부자를 우대하는 ‘차별’ 또는 ‘구별’의 의미로 사용한다. 이런 점에서 디아크리노는 어떤 지적인 의심 보다는 충성(loyalty)에 대한 기본적인 갈등, 예컨대 하나님과 ‘맘몬’(mammon, 마 6:24), 하나님과 ‘세상’(약 4:4) 간의 갈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더글라스 J. 무 지음, 야고보서, trans. 이승호, 초판., vol. 16, 틴데일 신약주석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94.

 

야고보는 이것을 요동치는 바다 물결로 형상화 한다. 거친 바람에 흔들리는 바다 물결처럼 우리는 의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거친 풍랑가운데서도 주님을 온전히 신뢰하는 자만이 안정감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매순간 같은 모습을 가지지 못하고 이리저리 흔들리며 움직이는 바다 물결과 같이 마음이 나누인 사람, 두마음을 품은 사람은 이 세상 속에서 쉬지 않고 변화하는 여러가지 사상과 반대, 유혹의 바람에 흔들리게 된다.  

 

7-8절) 두마음을 품어 모든 일에 정함이 없는 사람은 무엇인든지 주께 얻기를 생각하지 말라. 

여기서 이런 사람은 바로 두마음을 품은, 의심하는 자를 말한다. 이런 사람은 하나님에 대한 충성심이 신실하지 못하고 일관적이지 못하기에 그의 기도는 응답되지 못한다. 

  • 두 마음을 품은(딥쉬코스, dipsychos) 이란 단어는 문자 그대로 ‘두 마음을 가진’(double-souled)의 의미로, 이 사람의 내면이 분열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그 단어는 헬라어 문헌에서 여기에서만 유일하게 사용된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이 단어를 야고보가 직접 만들었을 가능성을 열어둔다.

  • 그러나 이 단어가 아무리 새롭다 하더라도 그 사상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구약성경에서는 죄인을 가리켜 ‘두 마음을 가진’ 자로 특징짓고(시 12:2; 호 10:2), 하나님을 ‘전심’(a whole heart)으로 찾는 자에게 복을 선언한다(시 119:2). 랍비들은 사람이 지닌 본질적인 죄성을 마음속에서 서로 싸우는 선과 악이라는 두 경향에서 보았다. 예수 역시 가장 큰 계명이 무엇이냐고 묻는 서기관의 질문에 신명기 6:5을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대답하셨다.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마 22:37). 하나님에 대해 근본적으로 분열된 태도, 때로는 이 길을, 때로는 저 길을 생각하는 태도, 이러한 태도야말로 야고보가 기도할 때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는 믿음의 정반대편에 있는 태도이다(6a). 하나님께서 그러한 불신앙으로 드린 기도에 응답하지 않으실 것은 분명하다.

  • 우리는 이 ‘두 마음’이 그리스도인의 삶의 목표인 ‘온전함’(텔레이오스, teleios, 4절)과 하나님의 ‘단일하고’(single), ‘전심어린’(wholehearted) 속성(5절)과 정반대의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단일한 마음과 동기의 순결함에 대한 열망이 2–8절을 지배하는 주제이며, 서신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주제이기도 하다(특히 4:4–10을 보라).

  •  더글라스 J. 무 지음, 야고보서, trans. 이승호, 초판., vol. 16, 틴데일 신약주석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96–97.

 

5절에서는 지혜를 구할 것을 이야기한다. 지혜가 부족할때 하나님께 구하면 후히 주신다는 것이다. 야고보서의 경우 잠언과 같이 하나하나의 절을 따로 따로 볼것인가 아니면 전체적인 맥락속에서 볼 것인가에 따라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앞서 시험을 당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며 이 시힘이 인내를 이루어 온전하가 구바하여 부족함이 없게 되기 위해서 지혜가 필요하다. 이렇게 시험을 대할때 이를 통해 성숙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지혜가 필요한데 이렇게 지혜가 부족하거든 구하라는 것이다. 이어서 6절에서 믿음으로 구하는 것의 내용이 무엇인가? 5절과 연관되어서 믿음으로 구하는 것이 지혜일 수도 있고 좀더 보편적인 내용일 수도 있다. 지혜로 한정해서 보자면 하나님의 지혜를 믿음으로 구하고 의심하지 말라는 것이다. 두마음을 품은 사람은 주님께 지혜 얻기를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지혜는 단순한 지식이 아니다. 하나늠을 두려워함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주시는 영적인 분별력, 통찰력을 의미하기에 의심하는 자는 이를 얻을 수 없는 것이다. 

 

'성경묵상 > 야고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 1:19-27 말씀을 듣고 행하라  (0) 2019.12.27
약 1:12-18 시험을 참는 자는 복이 있나니  (0) 2019.12.26
약 1:9-11 우리의 자랑은?  (0) 2019.12.16
약 1:2-4 시험의 이유  (0) 2019.12.12
야고보서-서론  (0) 2019.12.06
728x90

There is uone body and vone Spirit—just as you were called to the one whope that belongs to your call— xone Lord, yone faith, zone baptism, aone God and Father of all, bwho is over all and through all and in all.

u ch. 2:16

v See ch. 2:18

w ch. 1:18

x Zech. 14:9; See 1 Cor. 1:13; 8:6

y [ver. 13; Jude 3]

z See Gal. 3:27, 28

a 1 Cor. 12:5, 6

b Rom. 9:5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엡 4:4–6.

 

4-6절의 하나됨의 교리로서의 고백은 삼중적인 구조를 가진다. 4절에서는 몸, 성령, 소망으로 5절에서는 주, 믿음, 세례로 6절에서는 만유의 주이신 아버지 하나님께서 만유위에 계시고, 만유를 통일하시고, 만유 가운데 계심을 선포한다. 

고전 12:4-6절과 엡 4:4-6절을 비교해보자. 

(고전 12:4-6, 개정) 『[4] 은사는 여러 가지나 성령은 같고 [5] 직분은 여러 가지나 주는 같으며 [6] 또 사역은 여러 가지나 모든 것을 모든 사람 가운데서 이루시는 하나님은 같으니』

 

(엡 4:4-6, 개정) 『[4] 몸이 하나요 성령도 한 분이시니 이와 같이 너희가 부르심의 한 소망 안에서 부르심을 받았느니라 [5] 주도 한 분이시요 믿음도 하나요 세례도 하나요 [6] 하나님도 한 분이시니 곧 만유의 아버지시라 만유 위에 계시고 만유를 통일하시고 만유 가운데 계시도다』

고전 12장은 성령은 같고, 주는 같으며, 하나님은 같으니라고 표현한다. 

엡 4장은 성령도 한분이시요 주도 한분이시요 하나님도 한분이시니라고 표현한다. 

이 표현은 동방의 신조들이 강조하는 표현을 담고 있다. 현재 우리의 신앙고백은 “나는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을 믿사오며…”라고 표현하는데 니케아 신조(초대 동방의 신조를 형태를 따르는)에서는 “우리는 전능하신 아버지, 한 하나님을 믿으며… 한 주 예수 그리스도…..”라고 표현한다. 이후 확장된 판에서는 “한 거룩한 우주적 사도적 교회를 ….. 죄를 사해주시는 한 세례를 …”이라는 표현이 추가된다. 

This section has the nature of an early Christian credo, not unprecedented in the Pauline writings, but more elaborate than its predecessors. “To us,” says Paul in 1 Cor. 8:6, “there is one God, the Father, from whom are all things and for whom we exist; and one Lord, Jesus Christ, through whom are all things and through whom we exist.” This binary credo is followed, later in the same letter, by a triadic pattern of words, framing “the same Spirit … the same Lord … the same God” (1 Cor. 12:4–6). So also the wording of Eph. 4:4–6 is built up around “one Spirit … one Lord … one God.” Here we have the prototype of the Eastern creeds, with their emphatic repetition of the numeral “one”;11 thus, over against the old Roman creed,12 “I believe in God, the Father almighty …,” we have the creed of Nicaea (following the pattern of earlier Eastern creeds): “We believe in one God, the Father almighty … and in one Lord Jesus Christ …” (later expansions add “… on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church … one baptism for the forgiveness of sins …”).13

11 See R. R. Williams, “Logic versus Experience in the Order of Credal Formulae,” NTS 1 (1954–55), 42–44.

12 If the Roman creed was not the ancestor of the Apostles’ Creed, as was argued (e.g.) by A. E. Burn (The Apostles’ Creed [London, 1914]), it was an earlier representative of the same Western tradition (see J. N. D. Kelly, Early Christian Creeds [London, 1950], pp. 404–34).

13 See J. N. D. Kelly, Early Christian Creeds, pp. 215–16, 297–98.

 F. F. Bruce, The Epistles to the Colossians, to Philemon, and to the Ephesian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4), 335.

 

4-6절에서 한(one)이라는 단어가 7개의 항목 앞에 위치한다. 몸, 성령, 소망, 주, 믿음, 세례, 하나님이 모두 하나이다. 이러한 고백은 그 항목에 대한 고유성과 연합의 근본적 가치를 표현하는 것이다. 세가지 모두는 복음이 오직 하나라는 사실을 표현하고 복음이 만들어내는 연합에 들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표현한다. 기독교는 공유된 신앙이다. 별개 혹은 개별적인 신앙은 존재하지 않으며 다른 구원도 존재하지 않는다. 

Christians must maintain the unity of the Spirit because everything they hold of any significance they hold with other people. Seven items are preceded by the word “one,” and in each case the oneness expresses both the uniqueness of the item and its foundational value for unity. All seven express the reality that there is only one gospel and that to believe that gospel is to enter into the unity it creates. Christianity is a shared faith. No separate or merely individual faith exists, nor is there a different salvation.

 Klyne Snodgrass, Ephesian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1996), 198.

 

4절) 한 몸과 한 성령은 고전 12:13을 반향한다. 한 성령안에서 그리스도의 백성들은 한 성령으로 세례를 받았다. 그 성령은 그리스도와 연합된 몸에 생명을 주는 원리이다. 성령의 하나됨, 연합은 몸의 멤버들이 함께 조화롭게 전체의 안녕을 유지하게 합니다. 이는 고전 12:12-26절에서 그 지역교회(고린도교회)와 연관되어 가르쳐졌는데 여기에서 그 원리는 좀더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어디든지 그리스도의 백성들이 발견되는 곳마다 그의 몸이 있었고 그들은 개별적인 멤버가 되었다. 

 

(롬 9:24, 개정) 『이 그릇은 우리니 곧 유대인 중에서뿐 아니라 이방인 중에서도 부르신 자니라』

 

 

5절)

우리는 마땅히 한 주님을 따라야 한다. 여러명의 주인을 따를 때 혼란을 느끼게 된다. 세상에는 우리의 주인이 되고자 하는 많은 주체들이 있다. 저마다 목소리를 높이면서 나를 따르라고 한다. 하지만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오직 한 주이신 예수님의 명령만을 따라야만 한다. 

 

한 믿음은 앞선 2:1-10절에 나타난 복음에 대한 설명을 떠오르게 한다. 하지만 여기서의 언급은 믿음의 행동이 아니다. 여기서 믿음은 믿음의 내용으로 믿는 것에 대한 환유적 표현이다. 이 말은 복음은 오직 하나라는 의미이다. 

 

본문속에서 직접적인 세례에 대한 언급은 없다.(하지만 4:22-24; 5:26에서 비슷한 내용은 언급한다.) 바울이 주로 강조하는 것은 유일한 세례는 성령에 의해서 그리스도를 통한 세례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고전 1:13;12:13; 갈 3:17) 만약 사람들이 같은 주를 가진다면, 같은 복음을 믿는다면 그리고 그리스도를 통해 세례를 받는 같은 실제를 경험한다면 그들은 이러한 하나됨으로 살지 않겠는가? 

The second triad (v. 5) likewise refers to chapter 2. In Christ the whole building grows into a holy temple “in the Lord” (2:21)—the only occurrence of “Lord” by itself in chapters 1–3. While the world may know numerous “lords” (1 Cor. 8:5–6), Christians know only one, and this implies that the one Lord is not going to give contradictory commands to his followers.

“One faith” looks back to the explanation of the gospel in 2:1–10, but reference here is not to the act of believing. “Faith” is used here by metonymy for that which is believed, the content of the faith. The statement means there is only one gospel.

No other explicit reference to “baptism” occurs in the letter, although an allusion to it appears at 4:22–24 (perhaps also 5:26).17 Paul’s main emphasis here is that the only baptism that exists is baptism into Christ (or into his body) by the Spirit (cf. also 1 Cor. 1:13; 12:13; Gal. 3:27). If people have the same Lord, believe the same gospel, and have experienced the same reality of being baptized into Christ, should they not live out this unity?

17 Despite this, some scholars suggest Ephesians was originally a baptismal homily. See especially John C. Kirby, Ephesians: Baptism and Pentecost (Montreal: McGill Univ. Press, 1968), who suggests Ephesians is for the renewal of baptismal vows, probably in the context of observing Pentecost.

 Klyne Snodgrass, Ephesian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1996), 199.

 

왜 “한 믿음’, “한 세례”에 “한 주”가 붙어 있는지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분은 그의 백성의 믿음의 대상이다.(엡 3:12) 그리고 그들이 세례를 받은 것은 그분 안에서이다.(롬 6:3; 갈 3:27) 그 "한 믿음"은 그들의 공통된 믿음의  본체, 몸통이 아니다. 그것은 그리스도안에 공통된 믿음이다. 바울이 로마의 기독교인들에게 상기시킨것 처럼 유대인과 이방인의 하나님은 “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또한 무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실” 분이시다. 한 믿음은 한 주안에 놓여있다. “한 세례”에 대해서는 그것은 물 셰레인지 성령 세례인지 묻는 것은 초점을 벗어난다. 기독교의 세례는 주 예수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세례이다. 요한의 세례에서 행해진 것처럼 물을 바르는 것과 관련된 것이지만 오순절의 임재에서 알 수 있듯이 성령의 은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why “one faith” and “one baptism” are attached to “one Lord”: he is the object of his people’s faith (Eph. 3:12) and it is into him that they have been baptized (Rom. 6:3; Gal. 3:27). The “one faith” is not their common body of belief (even if it is mentioned in a credal context); it is their common belief in Christ.16 The God of the Jews and of the Gentiles, as Paul reminded the Roman Christians, is one, “and he will justify the circumcised on the ground of their faith and the uncircumcised through their faith” (Rom. 3:29–30)—one faith, placed in one Lord.

As for the “one baptism,” it is beside the point to ask whether it is baptism in water or the baptism of the Spirit: it is Christian baptism—baptism “into the name of the Lord Jesus” (Acts 8:16; 19:5; cf. 1 Cor. 1:13–15)—which indeed involved the application of water, as John’s baptism had done, but (as its inauguration on the day of Pentecost indicates)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gift of the Spirit.17

16 It is doubtful whether πίστις is ever used in the NT (apart from Jude 3, 20) in the sense of a creed or body of belief, although a few occurrences of the word in the Pastorals may have this force.

17 No more than this need be said on the relation of water-baptism to the Spirit, so far as the exegesis of Ephesians requires. (If baptismal candidates were especially in view, there would be a special point in the inclusion of “one baptism” in the sevenfold unity.) Even J. D. G. Dunn, who minimizes the relation of water-baptism and Spirit-baptism to the point of saying that they “remain distinct and even antithetical,” agrees that water-baptism “symbolizes the spiritual cleansing which the Spirit brings” (Baptism in the Holy Spirit [London, 1970], pp. 227–28). In Acts Christian baptism is regularly followed (2:38; 8:14–17; 19:5–6) or even preceded (10:44–48) by the gift of the Spirit: the time-lag between the Samaritan converts’ baptism and their reception of the Spirit (Acts 8:14–17) is anomalous and calls for a special explanation. See G. W. H. Lampe, The Seal of the Spirit (London, 1951), pp. 70–72 et passim.

 F. F. Bruce, The Epistles to the Colossians, to Philemon, and to the Ephesian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4), 336–337.

 

 

6절) 통합, 하나됨에 대한 가장 강력한 근거는 만유의 아버지이신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 신학은 3:14-15절에 근거한다. 유대인의 쉐마,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이시니(신 6:4)”의 내용이 이 구절의 뒤에 있다. “만유위에 계시고 만유를 통일하시고 만유 가운데 계신다”라는 제의적 표현은 여러 문맥, 특히 고전 8:6과 유사하다. 

An even greater basis for unity exists in God, the “Father of all” (v. 6). The theology is close to that in 3:14–15. Surely the Jewish Shema—the confession that Yahweh is one (Deut. 6:4)—lies behind this verse (cf. also Rom. 3:30; 1 Cor. 8:6). The liturgical expression “who is over all and through all and in all” is paralleled in several texts, most notably 1 Corinthians 8:6 (though this text is different in that all things come through Christ). Variation occurs in the way liturgical expressions are applied.18

18 See also Romans 9:5; 11:36; 1 Corinthians 8:6; 12:6; 15:28; Colossians 1:16; 3:11; Romans 9:5 has the only other occurrence of “over all” in Paul’s letters, but whether he is referring to Christ or to God is debated.

 Klyne Snodgrass, Ephesian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1996), 199.

 

본문의 한 하나님에 대한 고백은 그분이 만유의 창조자이시며 만유의 목적이시며 초월하시고 편재하시고 내재하시는 분이심을 선포한다. 그는 만유위에 계신다. 모든 것을 다스리시고 모든 것을 통치하시며 모든 것을 아시는 분이시다. 그분은 만유를 통일하시는 분이시다. 만유에 스며들어계시는 분이시며 만유가운데 계신 분이사다. 

 

 

728x90

For zby grace you have been saved athrough faith. And this is bnot your own doing; cit is the gift of God, dnot a result of works, eso that no one may boast. 10 For fwe are his workmanship, gcreated in Christ Jesus hfor good works, iwhich God prepared beforehand, jthat we should walk in them.

z ver. 5

a 1 Pet. 1:5; [Rom. 4:16]

b [2 Cor. 3:5]

c [John 4:10; Heb. 6:4]

d 2 Tim. 1:9; Titus 3:5; See Rom. 3:20, 28

e 1 Cor. 1:29; [Judg. 7:2]

f Deut. 32:6, 15; Ps. 100:3

g [ch. 3:9; 4:24; Col. 3:10]

h ch. 4:24

i [ch. 1:4]

j Col. 1:10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엡 2:8–10.

 

본문의 8-10절에 등장하는 내용은 은혜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는 바울의 구원의 복음을 가장 효과적으로 축약하여 설명하는 본문이다.  

 

 

8절) 너희는 은혜로 인하여 믿음을 통해서 구원을 받았다. 그리고 이것은 너희 자신의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선물이다. 

앞서 5절에서 이야기한 내용을 반복해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은혜는 우리의 구원을 기초이고 원인이다.(롬 3:24; 11:6, 딛 3:7) 은혜는 받을 자격이 없는 자에게 베푸시는 하나님의 전적인 선물, 호의로 그분의 율법을 어김으로 마땅히 그분의 진노를 받아야하는 이들에게 베푸신 것이다. 우리는 허물과 죄로 이미 죽은 이들이기에 우리 자신이 우리를 돕거나 구원할 수 없다. 믿음 자체고 하나님의 선물인데 우리가 하나님의 구원을 받게 하는 인간의 반응이다. 이는 우리 자신의 성취를 통해서 우리를 의롭다 하는 것을 거부하고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안에서 이미 이루신 성취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본문의 이것은 은혜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은 구원인데 다시금 이것이 너희, 인간들의 노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물임을 강조한다. 

by grace you have been saved. This phrase first occurs in v. 5 and is repeated here for emphasis. Grace is the basis and cause of our salvation (Rom 3:24; 11:6; Titus 3:7). It is God’s unmerited favor toward those who have transgressed his commandments and deserve his wrath. We could not help ourselves because “we were dead” (Eph 2:5). See “Love and Grace,” p. 2684. through faith. Faith, itself a gift of God, is the human response by which we receive God’s salvation. It is a confident trust in God whereby we refuse to justify ourselves based on our achievements but gratefully receive what God has already accomplished in Christ (see Rom 3:21–31). this. The process of salvation by grace through faith. not from yourselves. Human effort can never contribute to our salvation. the gift of God. Salvation, including our faith (Phil 1:29), is God’s initiative and activity; it is entirely “the gift of God” (cf. Titus 3:5).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p. page

cf. compare, confer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402.

 

8절은 구원을 얻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그리스도인은 그들의 믿음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게 된다. 믿음은 이 은혜를 받게하는 유일한 수단인 것이다. 이 서신의 나머지에서는 믿음의 중요성과 구원과 삶에 대한 인식을 강조한다. 

믿음(피스티스)는 정신적인 동의나 혹은 어떤 아이디어들을 믿는 것으로 제한될 수 없다. 그 헬라어 명사는 ‘믿음’, ‘충실함’, ‘신뢰’, ‘약속’, ‘맹세’, ‘증거’, ‘신뢰’, 그리고 ‘자신감’을 뜻한다. 게다가 그것은 믿는 행위, 무엇을 믿는지에 대한 내용, 혹은 모든 복음을 한 단어로 포관한 단어로 ‘그 믿음의 종교’로 사용된다. 그 동사인 ‘피스테오’는 ‘신뢰하다’, ‘신뢰감을 주다’, ‘무언가를 확신하게되다’, ‘신뢰하다’, ‘자신감을 가지다’를 의미한다. 우선적으로 이 단어의 그룹은 의존할만한 어떤 것 혹은 무언가 믿을만한 것에 의존하는 행위를 다룬다. 이는 동전의 양면처럼 신뢰할만한 것으로 믿어지는 어떤 것 혹은 어떤 이를 의존하는 것이다. 

Faith. Romans 1:17 and Galatians 3:11 both show the importance of Habakkuk 2:4 for the origin of Paul’s understanding of “faith,” and an allusion to that Old Testament text is possible here. Up to this point in the letter “faith” and its cognates have served only to identify the readers as believers (1:1, 15, 19) and to indicate their reception of the gospel (1:13). Verse 8 is similar to 1:13, describing the means by which salvation is appropriated. Language is especially important here. Christians are saved by God’s grace, not by their faith. Faith is the only means by which this grace is received. The rest of the lett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faith and its cognates for salvation and life (3:12, 17; 4:5, 13; 6:16, 21, 23).

Faith (pistis) cannot be limited to mental assent or to believing certain ideas. The Greek noun can mean “faith,” “faithfulness,” “reliability,” “promise,” “pledge,” “proof,” “trust,” and “confidence.” In addition, it can be used of the act of believing, the content of what is believed, or as a word that encapsulates all the gospel stands for—in essence, “the faith religion” (cf. Gal. 3:23; Eph. 4:5). The verb pisteuo can mean “trust,” “give credence to,” “be convinced that,” “entrust,” and “have confidence.” Primarily, this word group treats that on which one may rely or the act of relying on something believed reliable. Both sides of the coin are present—relying on something or someone believed reliable. As always, context—not a catalogue of possibilities—determines meaning.

 Klyne Snodgrass, Ephesian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1996), 104–105.

 

이처럼 믿음은 단지 어떤 아이디어에 동의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접하여 그분과 교제하며 반응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바울은 ‘그리스도와 함께’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것이 믿음에 대한 그의 확신을 표현하는 것으로 구원이 단지 믿는 아이디어로부터 오거나 감정적인 결정으로 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와 결합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People who believe do not merely assent to certain ideas; they are bound to God and live in response to him. Paul’s frequent use of phrases such as “with Christ” and “in Christ” show his conviction that faith joins them to Jesus Christ so strongly that they are in him and that what is true of him is true of them. Christ’s past is their past, and he determines their present and future. Faith has an adhesive quality to it;46 it binds the believer to the one who is believed. Salvation does not come from believing ideas or an emotional decision, but from being bound to Christ.

46 See William Sanday and Arthur C. Headlam, The Epistle to the Romans (Edinburgh: T. & T. Clark, 1896), who define faith as “the lively act or impulse of adhesion to Christ” (11) and the “enthusiastic adhesion, personal adhesion; the highest and most effective motive-power of which human character is capable” (34, italics theirs).

 Klyne Snodgrass, Ephesian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1996), 105.

 

9절) 구원은 행위의 결과가 아니기때문에 누구도 자랑하지 못한다. 

행위는 인간의 노력으로 유대의 문맥에서는 율법의 행위를 말한다. 하나님의 구원은 어떤 인간의 자랑도 배제시킨다. 우리는 자신의 행위로 자랑하는 대신에 그리스도안에서, 그분의 영광과 은혜와 지혜 안에서 자랑해야한다. 

Any human effort; equivalent to “works of the law” (Rom 3:20, 28) in a Jewish context. boast. God’s salvation excludes any human boasting (1 Cor 1:26–31). We should instead boast in the Lord (2 Cor 10:17; Gal 6:14)—in his glory (Eph 1:3–14), grace (2:7), and wisdom (3:10).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402.

 

모든 인간은 자랑하고자 하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 때로 우리는 겸손을 가장한 교만의 모습을 보일때가 많이 있다. 또한 인간 본성은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불편해 한다. 그래서 본인 스스로의 힘으로 무엇을 이루는 것이 의미있고 이것이 성공이라는 생각이 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생각을 철저하게 부정하신다. 본문은 철저하게 구원이 인간의 노력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도적인 일하심, 은혜의 선물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의 신학의 핵심중에 하나는 하나님앞에 자랑할 사람은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렘 9:24) 

(렘 9:24, 개정) 『자랑하는 자는 이것으로 자랑할지니 곧 명철하여 나를 아는 것과 나 여호와는 사랑과 정의와 공의를 땅에 행하는 자인 줄 깨닫는 것이라 나는 이 일을 기뻐하노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이 구약의 내용은 바울의 예배와 사역, 그리고 자기이해의 기초를 제공한다.

 

 

10절) 우리는 그의, 하나님의 만드신 바, 작품이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로 이는 하나님이 전에 미리 예배하사 우리로 그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하신 것이다. 

본문에 ‘포이에마’는 헬라어로 장인의 숙련된 작품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신자의 죽음으로부터 생명으로의 변화는 아주 엄청난 것이기에 새로운 창조의 행위로 여겨진다. 이러한 새창조의 견해는 개별적인 것 이상이다. 그것은 믿음의 공동체를 포함한다. 개인과 공동체의 새창조는 우주의 새창조를 기대한다. 

본문에서 다시금 행하다라고 표현된 단어는 앞선 2절에사 사용된 단어로 우리의 이전의 상태와 현재의 삶의 방식을 대조하고 있다. 어디에서 행하고 있는가 말이다. 앞서 허물과 죄가운데 행하는 대신에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창조하셔서 선한일을 행하도록 하셨다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은 우리 안에 하나님의 새로운 창조사역의 기초(근거, 이유)가 아니라 새로운 창조사역의 증거(결과)이다. 

The Greek word can connote the skillful work of a craftsman. created. The transformation of believers from death to life is so radical that it is considered a new act of creation (4:24; 2 Cor 5:17). The scope of this new creation is more than the individual. It also includes the community of faith (vv. 14–16; Gal 6:15), and, together, the new creation of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anticipates that of the cosmos (Eph 1:10; Rom 8:18–25). See notes on Eph 2:15; 4:24; see also “Creation,” p. 2642. for us to do. Or “that we should walk in them.” The occurrence of the Greek for “walk” here and in v. 2 contrasts our former and present lifestyles. Instead of “walking” in “transgressions and sins” (v. 1), God has created us anew to “walk” in “good works.” These good works are not the basis of but the evidence of God’s new creative work in us.

vv. verses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p. page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402.

 

 

사람들은 누구도 자신이 자기의 출생에 무언가를 기여할 수 없었던 것처럼 자신들의 거듭남에 기여할 수 없다. 모든 인간, 우리 모두는 그분의 행위의 결과물들이다. 구원과 새 생명은 하나님의 역사이고 인간 존재는 그것의 수여자일 뿐이지 원인자가 아니다. 이러한새 창조 사역은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새 창조는 그리스도의 부활에 기초한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선한일을 위하여 지으셨다. 선행이 우리를 구원하는 것은 분명히 아니다. 존 스토트는 이렇게 말했다. “선한 일은 구원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근거나 수단이 아니라 그 결과와 증거이다.” 말하자면 선한일이 우리를 구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원받은 증거로서 믿는 자들의 삶속에서 선한 행실이 보이지 않는다면 그 구원은 무언가 잘못된 것이라는 것이다. 

728x90

I will htake my stand at my watchpost

and station myself on the tower,

and ilook out to see jwhat he will say to me,

and what I will answer concerning my complaint.

The Righteous Shall Live by His Faith

And the Lord answered me:

k“Write the vision;

make it plain on tablets,

so he may run who reads it.

For still lthe vision awaits its appointed time;

it hastens to the end—it will not lie.

If it seems slow, mwait for it;

nit will surely come; it will not delay.

“Behold, his soul is puffed up; it is not upright within him,

but othe righteous shall live by his faith.1

“Moreover, wine2 is pa traitor,

an arrogant man who is never at rest.3

His greed is as wide as Sheol;

like death qhe has never enough.

rHe gathers for himself all nations

and collects as his own all peoples.”

h Isa. 21:8

i Jer. 6:17; Ezek. 33:2

j Ps. 85:8

k Isa. 8:1; 30:8; [Rev. 1:19]

l [Dan. 10:14]; See Ezek. 7:5–7

m Zeph. 3:8; See Isa. 8:17

n Cited Heb. 10:37; [2 Pet. 3:9]

o Cited Rom. 1:17; Gal. 3:11; Heb. 10:38; [John 3:36]

1 Or faithfulness

2 Masoretic Text; Dead Sea Scroll wealth

p ch. 1:13; Isa. 21:2

3 The meaning of the Hebrew of these two lines is uncertain

q [Prov. 27:20]

r Jer. 27:7; [ch. 1:6; Dan. 2:37, 3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합 2:1–5.

 

 

1절) 하박국은 망대에 서서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무엇이라고 말씀하실지를 보기위해 기다렸다. 그리고 나의 질문에 대해서 어떻게 대답하실지 보겠다고 했다.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은 구약의 중요한 가르침의 주제이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도움없이 그분의 세상을 운행하실 수 있지만 성경속에서보면 하나님께서 인간을 도구로 사용하시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모세를 구원하시기 위해서 그의 어머니와 누이를 사용하시는 하나님, 출 2장) 

Human responsibility and divine providence are complementary teachings in the Old Testament. These doctrines appear to run on parallel tracks, each necessary for the completion of the other. God certainly may work in his world without the cooperation of human instruments, but the biblical evidence indicates that God chooses to use the work of his chosen servants. For example, God used Moses’ mother and sister to preserve Moses’ life (Exod 2). Moses’ mother devised a plan to save her child’s life. At the same time the biblical text shows the providence of God in the life of the child. God apparently chose to work and also to use human instrumentality to deliver the child from the plan of Pharaoh.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20.

 

하나님께서는 하박국 선지자의 질문에 대답하신다. 하박국은 의심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예수님의 제자중 도마와 모세, 예레미야와 같이 하박국은 질문했다. 이러한 질문하는 이들의 중요한 특징은 하나님에 대해서가 아니라 하나님께 질문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하박국의 경험은 하나님은 우리의 질문과 의심들을 돕기를 원하신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God answered the prophet’s complaint by commanding that the prophet write the vision so that anyone running might read the message. God rewarded the prophet’s willingness to wait and to watch to see the message of the Lord. God cares for the one who is willing to take his needs to the Lord. Habakkuk might be characterized as a doubter. Like Thomas among the disciples and Moses and Jeremiah of the Old Testament, Habakkuk questioned.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each of these questioners is the willingness to talk to God rather than about God. Habakkuk’s experience suggests that God will help with our questions and concerns.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21.

 

하박국은 독자들을 하나님의 성회로 데려간다. 또한 하나님께서 그분의 선지자들을 통해서 그분의 계획을 어떻게 드러내시는지를 보여준다. 

How could the holy and just God tolerate the wickedness in Judah? More importantly, how could he tolerate the wickedness of Babylon against Judah? “Because of the way he gains his knowledge …, Habakkuk takes the reader into the council of God (cf. Jer 23:18) and demonstrates the process of how God ‘reveals His plan to His servants the prophets’ (Amos 3:7). Therefore, Habakkuk serves as revealer, interpreter, and guide, even as he fulfills the traditional function of a prophet (2:1).”164 Armerding describes Habakkuk’s role as “discharged in attentive, reverent prayer by the same conscientious watchfulness and persistence demanded of the literal watchman.”165 The vision he looked to see was something God would say, so that a close connection exists between prophetic seeing and prophetic saying. Visions could be transposed into sayings.

164 House, The Unity of the Twelve, 197.

165 Armerding, “Habakkuk,” 509.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21–322.

 

2절) 너는 이 묵시를 판에 명백히 기록하여 달려가면서도 읽을 수 있도록 하라. 

본문의 묵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온 예언적 메시지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단어이다. 이 메시지는 당장 성취될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영원한 증거가 되어야 했다. 달려가면서도 읽을 수 있게하라는 표현은 전령이 그 메시지를 나라 전체에 전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또한 다가오늘 심판을 피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심판의 메시지를 명백하게 기록하여 달려가면서 전파하고 또한 도망가면서도 읽을 수 있도록 하라는 것이다. 

vision; it is about the life of the righteous and the destiny of the evildoers, and it is to be plainly written (cf. Deut 27:8), perhaps in large letters.

cf. compare, confer

 D. A. Carson, ed.,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1834.

 

herald. From a root in Hebrew that can mean both “to call out” and “to read” (as in Exod 24:7; Deut 17:19; 2 Kgs 5:7; Jer 36:6, 8, 10). Possible meanings then are: “so that he who runs may be able to read” (stressing “tablets” for clarity) or “so that the one reading the message may run,” either in the sense of delivering the message or in a metaphoric sense of running well, living one’s life (cf. Isa 40:31).

cf. compare, confer

 D. A. Carson, ed.,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1834.

 

3절) 묵시는 정한 때가 있다. 그 끝이 속히 임할 것이고 거짓되지 않을 것이다. 그것이 천천히 보일지라도 그것을 기다리라. 그것이 반드시 임하겠고 지체되지 않을 것이다. 

우리의 때와 하나님의 때가 다르기에 우리는 그 때가 임하지 않는 것 처럼 또한 그것이 너무 천천히 임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하나님의 때는 완벽하다. 실제로 유다에게 임한 심판은 기원전 586년에 시작되겠지만 바벨론에 대한 심판은 539년에 이르러서야 성취될 것이다. 

The fulfillment of the message may occur more slowly than expected, but God’s timing will be perfect. wait for it. While the judgment coming upon Judah will begin quite soon (586 b.c.), the punishment of the Babylonians will not be fulfilled until 539.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723.

 

하나님께서는 그 예언의 성취가 곧 임할 것이니 기다리라고 말씀하신다. 예언자 혹은 인간들이 보기에 그 일이 이루어지는 것이 더뎌보이기에 조급하고 성급해진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이미 예언의 성취에 대한 큰 계획을 가지고 계신다. 그리고 그것을 그분의 시간표에 따라 이루어가시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그 시간표를 알지 못하기에 조급한 것이다. 하박국과 우리들은 약속과 성취라는 시간 속에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그 시간을 초월하여 계신다. 

Impatience is the normal human response to God’s promise to answer his people. God warned the prophet to wait on the prophecy. The answer of God would surely come, but the prophet should write down the message because from the prophet’s point of view the prophecy might seem slow. The prophet was to “preserve it until its fulfillment could be demonstrated historically.”169 God had already decided upon a solution and would reveal it according to his timetable, but God was not indebted to any human to reveal the answer before he chose to. “Habakkuk, like all of us, was living ‘between the times,’ between the promise and the fulfillment.”170 Heflin notes that the end here “may refer to the termination of Babylonian power but, more likely, to the eschaton.”171

169 Heflin, Nahum, Habakkuk, Zephaniah, and Haggai, 90. Achtemeier notes that “from the beginning of his work, God has seen its goal and completion” (Nahum–Malachi, 43).

170 R. L. Smith, Micah–Malachi, 107.

171 Heflin, Nahum, Habakkuk, Zephaniah, and Haggai, 90.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23.

 

4절) 보라. 그의 마음은 교만하며 그 곳에서 정직하지 못하지만 의인은 그의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 것이다. 

본문에서 그의 마음은 단수형태로 바벨론 국가 전체를 지칭하지만 우선적으로 그 왕을 지칭한다. 교만한 사람은 그 자신을 의지하는 반면 의로운 사람은 하나님을 의지한다. 앞서 말한대로 여기서 그의 마음은 일차적으로 바벨론을 가리키지만 그것은 교만한 누구나를 포함한다. 하나님의 게획이 펼쳐지는 것을 끈질기게 기다리는데는 믿음이 필요할 것이지만 의인은 하나님께서 그것을 성취하실 것을 믿는다. 본문에 등장하는 “의인은 그의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라는 표현은 신약에서 사람들은 믿음을 통한 은혜로 구원받는 사실을 강조하는데 인용되었고 그리스도인은 믿음으로 살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하박국이 묘사하는 그러한 종류의 믿음은 신약의 저자들이 장려했는데 가장 암울한 시절에도 계속해서 하나님을 신뢰하고 하나님의 약속에 붙어있는 것이다. 

his soul. The singular form refers to the Babylonian nation as a whole, but with a primary reference to the king. A proud person relies on himself, whereas a righteous person relies on God. While the phrase “his soul is puffed up” refers primarily to Babylon in this context, it could include anyone who is proud. It will take faith to wait patiently for God’s plan to unfold, but the righteous believe that God will accomplish it. The phrase but the righteous shall live by his faith is quoted in the NT to emphasize that people are saved by grace through faith (Rom. 1:17; Gal. 3:11; cf. Eph. 2:8) and that Christians should live by faith (Heb. 10:38–39). The kind of faith that Habakkuk describes, and that the NT authors promote, is continuing trust in God and clinging to God’s promises, even in the darkest days.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724.

 

the righteous person. The one whose faithfulness (see NIV text note) is anchored in the God who triumphs over evil (3:3–15, especially v. 13; cf. Gen 15:6; Isa 26, especially vv. 1–8; Ezek 18:9). The righteous person trusts God in the darkest of times, holding fast to the conviction that God’s promises will be fulfilled (2 Cor 1:20). The teaching that people are saved by grace through faith (Rom 1:17; Gal 3:11; Eph 2:8) includes the call to live by faith (Heb 10:38–39; 11:17; Jas 2:22–23). “Justification by faith,” part of the book’s message and central to NT teaching, became the rallying cry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in the sixteenth century.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cf. compare, confer

vv. verses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NT New Testament

 D. A. Carson, ed.,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1835.

 

의로운 사람은 하나님을 신뢰한다. 그는 하나님의 약속이 참이며 그분의 의로운 목적이 성취될 것을 믿는다. 이러한 믿음은 그리스도안에서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될 것을 바랍니다. 

The righteous person trusts in God; he believes that God’s promises are true and that he will bring to pass his righteous purposes. This trust anticipates trust in Christ (Rom. 1:17; Gal. 3:11; Heb. 10:37–38), in whom the promises of God are fulfilled (2 Cor. 1:20).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724.

 

본문에 믿음이라고 표현된 단어는 히브리어로 ‘에무나’라는 표현으로 내적인 안정감에서 흘러나오는 행동의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내적인 태도와 이것이 만들어내는 삶의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행동은 순수함, 신뢰 그리고 성실함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믿음으로 살아가는 사람의 특징을 ‘순전함’, ‘신실함’, ‘믿음직함’ 그리고 ‘안정성’으로 표현할 수 있다. 

The message to Habakkuk referred to the righteous person living by faithfulness—an important Old Testament term describing loyalty as well as truth and trust. Jepsen demonstrated that “faithfulness” (ʾĕmûnâ) is a way of acting that flows from inner stability. It indicated one’s “own inner attitude and the conduct it produces.” Thus it is a type of behavior characterized by genuineness, reliability, and conscientiousness. Jepsen used the terms “sincerity,” “faithfulness,” “reliability,” and “stability” to describe the righteous person who lives by faithfulness.183 The NIV, along with most other English translations, uses “faith” in the translation, probabl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text to the New Testament. “Habakkuk was not to wait with folded hands and bated breath for all this to happen. He was to live a life of faithfulness.”184

“Faith in God was the key to consistent living, even though violence abounded and justice was perverted (1:2–4). That short statement helps believers to persevere even though God chastens them (1:5–11) and they cannot understand his ways (1:12–17). It provides a solution to the doubt they sometimes feel in His all-wise providence (2:1–3), and helps them to understand his righteous judgments (2:4–20). In the final analysis, faith provide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Lord’s sovereign purpose, and it leads men to worship (3:1–19).”185

183 A. Jepsen, “אָמַן ʾāman, etc.” TDOT 1:316–18; cp. H. Wildberger, “אמן ʾmn firm, secure,” TLOT, 147–51, who sees the basic meaning as “firmness,” though “dependability, faithfulness” is the most frequent meaning in the texts.” He sees the term at home in the salvation oracle given to war commanders and used in response to laments in worship with Hab 2:2–4 an example of the latter. People are called to trust the oracle promising deliverance. “Pious persons resist external threat and internal opposition with their faith” (p. 144).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184 R. L. Smith, Micah–Malachi, 107.

185 Barber, Habakkuk and Zephaniah, 39.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25–326.

 

5절) 악인의 특징은 술을 즐기며 거짓되고 교만하여 가만히 있지 않고 스올처럼 자기의 욕심을 넓히며 그는 사망과 같아서 만족할 줄을 모른다. 그런 이들이 자기에게로 모든 나라를 모으며 모든 백성을 모은다. 

스올, 무덤은 결코 족하다라고 말하지 않는것처럼 악한 이들은 결코 그들이 얻은것에 만족하는 법이 없다. 

greedy as the grave. As the grave never says, “Enough!” (Prov 30:15–16; cf. Job 24:19; Isa 5:14), so evil persons are never satisfied with what they acquire.

cf. compare, confer

 D. A. Carson, ed.,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1835.

 

앞서 1장 15절에서 바벨론을 묘사하면서 그물로 나라들을 모으는 것처럼 싸망이 족한 줄을 모르고 자기에게로 여러 나라를 모으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The verse describes the arrogance of the Babylonians by looking back to the image of 1:13. Like death and the grave (Sheol), the Babylonians never have enough.193 Sheol often is pictured as being greedy, always enlarging itself to receive more of the dead. “Death never takes a holiday. The Babylonian, like death, continues to sweep the nations into his net (cf. 1:15).”194

The Babylonians sought more and more nations to devour, taking captives away to Babylon. Babylon, like Assyria before it, practiced exiling captives to far-away lands. The Babylonians added to this brutal practice by bringing captives from other lands to occupy the lands of those deported to other places. Roberts correctly notes, “This is no benign gathering in of the scattered and oppressed as imperialistic propaganda might wish to portray it; rather, it is a devouring of the nations that would destroy their identities as they are absorbed into the body of the Babylonian empire.”195

193 Armerding (“Habakkuk,” 515) discusses the difficulty of determining the root meaning of ינוה (yinweh) “rest.” This may come from Hb. נוה, “abode” or “habitation” or from an Arabic room meaning “to attain a goal.” The LXX appears to support the Arabic derivation. Haak (Habakkuk, 59–61) seeks an ambiguous translation that will fit all the possibilities: “He surely does not stop.”

194 R. L. Smith, Micah–Malachi, 108; Armerding (“Habakkuk,” 514) sees the description as being the addiction to wine, an addiction that knows no limits and to which all other interests are sacrificed, but the Babylonians’ addiction was to political and military ambition.

195 Roberts, Nahum, Habakkuk, and Zephaniah, 117.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27–328.

 

하박국이 보기에 죄인된 유다나 바벨론은 심판을 받지 않고 잘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에 그는 좌절하며 두려워하는 것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해서 하나님께서는 유다나 바벨론이나 하나님께 대항하여 반역한 이들은 죽게 될 것을 말씀하신다. 그의 마음이 교만한 이들의 특징은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 다른 것들을 의지하는 이들이다. 이처럼 사람들이 지적인 성취나 부유함, 무력, 예술적인 능력,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등을 의지하는 것을 그들에게 진정한 살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God answered the prophet by means of a strong contrast. The first half of the verse apparently refers to the wicked described in 1:7, 11, 13 (without using the term) while the second statement explicitly describes the righteous person.178 By means of a strong contrast, the Lord answered the complaints of the prophet. The one whose life is puffed up in pride and arrogance will die; the righteous, in contrast, by his faithfulness will live. Whether in Judah or Babylon, those in rebellion against God would die.179 “Wherever human beings rely on something of this earth—whether it be intellectual achievement or wealth or military might or aesthetic ability and appreciation or pride of birth and status or even the ability to cope and solve problems and master the complexities of modern life—wherever confidence is placed in human prowess and not in God for the achievement of a satisfying and secure manner of living, there true life cannot be had.”180

178 The MT reads: “Behold, his nepheš (soul, desire) is puffed up (swollen), it is not upright in him.” The NIV follows the Hb. somewhat while other translations diverge from the MT significantly. J. A. Emerton, “The Textual and Linguistic Problems of Habakkuk II. 4–5,” JTS 28 (1977): 1–18, divides the consonants of the first verb and reads עף לה, reading עף as a participle meaning “to fly away,” that is, “to die.” R. L. Smith (Micah–Malachi, 105) says the subject has fallen out, so he reads העוּל, “the oppressor” with Wellhausen and others, but notes (p. 106) that this is the “easiest solution (which is not necessarily the best).” Elliger holds to the basic correctness of the MT, deleting the feminine ending on the second word as resulting from relating it to the following “soul.” He translates, Sieh da an dem Vermessenen hat meine Seele keinen Gefallen, “behold, my soul has no pleasure in the arrogant” (Das Buch der zwölf kleinen Propheten II). The soul refers to the whole person and not some abstract part of the person. For a discussion of “soul” see H. W. Wolff, Anthropology of the Old Testament (Philadelphia: Fortress, 1973), 10–25. Heflin, 92, notes the problem of a lack of subject in 4a and wants to generalize it to include “any who are not righteous, who do not live by faithfulness.”

179 Achtemeier (Nahum–Malachi, 45) defines “puffed up” as the opposite of being faithful; it is “reliance on one’s own self or personal resources to secure and sustain one’s life.”

180 Ibid.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24–325.

 

 

728x90
16 But xthey have not all obeyed the gospel. For Isaiah says, y“Lord, who has believed what he has heard from us?” 17 So zfaith comes from hearing, and hearing through the word of Christ. 
18 But I ask, have they not heard? Indeed they have, for 
a“Their voice has gone out bto all the earth, 
and their words to the ends of the world.” 
19 But I ask, did Israel not understand? First Moses says, 
c“I will dmake you jealous of those who are not a nation; 
with a efoolish nation I will make you angry.” 
20 Then Isaiah is so bold as to say, 
f“I have been found by those who did not seek me; 
I have shown myself to those who did not ask for me.” 
21 But of Israel he says, g“All day long I have held out my hands to a disobedient and contrary people.” 
xch. 3:3; Heb. 4:2
yJohn 12:38; Cited from Isa. 53:1
zGal. 3:2, 5
aCited from Ps. 19:4; [1 Thess. 1:8]
b[Mark 16:15]; See Matt. 24:14
cCited from Deut. 32:21
dch. 11:11, 14
e[Titus 3:3]
fCited from Isa. 65:1; [ch. 9:30]
gCited from Isa. 65: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롬 10:16–21.

16절) 구원을 얻기 위해서 복음을 듣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들음으로 충분하지 않다. 사람은 반드시 개인적인 믿음을 가지고 반응해야만 한다. 이사야는 모든 사람이 믿는 것은 아니라고 예언한다. 롬 9-11장의 문맥속에서 바울은 특별히 믿지 않았던 유대인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 Hearing the gospel is necessary for salvation, but hearing is not enough: people must also respond with personal trust. Isaiah(Isa. 53:1) prophesies that not all will believe. In the context of Romans 9–11, Paul is thinking especially of the Jews who did not believe.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175.

믿음은 복음에 대한 우리의 반응인 것이 사실이지만 또한 그 메세지 자체가 믿음을 깨우고 믿음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사실이다. 모든 효과적인 선포는 하나님 자신에 의해서 성취된다. 메신저는 기껏해야 그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을 수행하기 위한 성령의 도구일 뿐이다. 그것이 죄인과 직면하고 화해를 수여하는 하나님 자신의 목소리이다. 이것이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다라고 말하는 복음의 실재이다. 
  • Although it is true that faith is our response to the gospel, it is also true that the message itself awakens and makes faith possible. God is at work even in our response to his gracious offer of forgiveness. The message is heard “through the word of Christ,” that is, it is Christ himself who speaks when the gospel is proclaimed.67All effective preaching is accomplished by God himself. The messenger is at best merely the instrument used by the Holy Spirit as a necessary part of the process. It is God’s own voice that confronts the sinner and offers reconciliation. This existential reality is what constitutes the gospel, “the power of God for … salvation” (Rom 1:16).
  • 67Some, however, take ῥήματος Χριστοῦ as an objective genitive, i.e., “the word about Christ” (cf. Robertson, WP4:390).
  •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212.

17절) 바울은 이제까지의 논쟁을 정리한다.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말미암았다.” 
믿음을 얻기 위해서는 오직 들음을 통해서만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메시지는  그리스도의 말씀이다. 그것이 바로 복된 소식, 복음으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것이다. 
  • Paul now sums up the argument thus far. One can come to faithonly through hearingthe gospel, and the specific message that must be heard is the word of Christ, that is, the good news about Jesus Christ as the crucified and risen Savior.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175.

바울은 믿지 않는 이스라엘에 대해 두가지 의의를 제기한다. 첫째는 18절로 그들이 들을 기회를 가졌느냐는 것이고 두번째는 19절로 그들이 들었다고 하더라도 그들이 이해하지 못한 것은 아니냐는 것이다. 
18-19절) 그들(이스라엘, 유대인)이 그리스도의 말씀, 복음을 듣지 않았는가?라고 묻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그 복음이 온땅, 땅끝까지 전해졌기에 그들도 들었다라고 답변한다. 그럼에도 이스라엘이 알지 못하였느냐라고 질문하고 하나님께서 백성 아닌 자로 이스라엘을 시기나게 하며 미련한 백성으로 그들을 노엽게 할것이다라고 말씀하신다. 

그 소리와 그 말씀, 곧 믿음을 불러 일으키는 그 메시지를 나타낸다. 이것이 온 땅에 퍼졌고 땅 끝까지 이르렀다고 말하고 있다. 골 1:23절, 이스라엘은 절대 그들이 그 메시지를 듣지 못했다고 핑계댈 수 없다. 
  • Thus the “voice” and the “words” that have gone out represent the message that awakens faith. In another place Paul said that the gospel “has been proclaimed to every creature under heaven” (Col 1:23; cf. v. 6 as well).70The Israelites could not be excused on the basis that they had not heard the message.
  • 70Obviously, we should not take this to mean that the worldwide ministry of preaching the gospel was then complete. Later in Romans we learn that Paul was planning a trip to Spain to continue his ministry (Rom 15:24, 28).
  •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212.

19절은 만약 언약의 밖에 있는 이방인이 복음을 이해할 수 있다면 유대인과 같이 종교적으로 재능있고 대단히 호의적인 그룹이 자신들이 이해할 수 없다라고 주장하는 것은 근거가 없는 것이다. 
  • The answer implied in v. 19 is that if   p 213  unenlightened people outside of the covenant could understand the gospel, then certainly a religiously gifted and highly favored group like the Jews had no grounds for claiming that it was beyond their understanding.
  •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212–213.

20-21절) 본문은 이사야서 65:1-2절의 성취로 하나님을 찾지 아니한 이방인들에게 찾은바되고 그분을 구하지 않는 자들에게 나타나셨다라고 말한다. 또한 도리어 이스라엘은 순종하지 아니하고 거슬러서 말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 여전히 손을 그들을 향해서 펴신다. 
하나님께서는 구원받을 자들을 예정하신다. 또한 하나님께서는 여전히 모든 이들이 구원받기를 바라신다. 이 두가지는 양립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성경은 이 두가지를 동시에 말하고 있다. 
  • The prophecy of Isa. 65:1 has been fulfilled in that the Gentiles who did not seekafter God have now experienced God’s saving promises. Israel, on the other hand, has fulfilled the words of Isa. 65:2. They have rebelled against and disobeyed the gospel message. Still, God extends his handsto them, inviting them to be saved. On the one hand, God predestines some to be saved. On the other hand, God still longs for all to be saved (see note on 1 Tim. 2:4; also Ezek. 33:11). Though it may seem impossible to understand how both of these statements are true, the Bible teaches both, and one should not use either truth to deny the other. On election, see also notes on Eph. 1:4; 1:5; 1:6; 1:11.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175.

하나님께서는 불순종하고 믿음이 없는 이스라엘과 이방인들을 대조하심으로 하나님께서 그들을 그분의 섭리대로 사용하시는 것을 보여준다. 이 대조는 이 단락의 처음, 롬 9:30-31절을 생각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단락은 희망에 대한 언급으로 끝을 맺는데 여전히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 이스라엘에게 그분의 손을 내밀고 계신다는 것이다. 
  • Gentiles. Both Moses and Isaiah, then, contrast faithless Israel (v. 21) with Gentiles whom God is using positively in his purposes. This contrast harks back to the beginning of this section (9:30–31). Nevertheless, the section ends on a note of hope (v. 21), a note that ch. 11 repeatedly sounds: God still holds out his hands to his people Israel.
  •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 ch. chapter
  •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312.

이스라엘의 거부는 그들이 복음을 들을 기회가 없거나 그것을 이해할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다. 이는 민족적인 불순종때문이다. 그들은 하나님의 호의, 구원을 얻기 위해서 행위에 근거한 개인적인  공로를 주장했다. 그들은 의롭다하심을 얻기 위한 하나님의 요구가 바로 믿음이라는 사실을 항상 알았다. 데니는 하나님의 뻗은 손들이 모든 역사 가운데 지속적으로 무시해온 이스라엘을 향한 끊임없는 사랑의 상징이라고 말했다. 왜 오늘날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복음을 거절하는가? 그들이 듣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다. 아마도 한가지 이유는 교수형에 처해있는 그들이 세상의 수수께끼를 푸는 단서를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 Israel’s rejection had nothing to do with any lack of opportunity to hear or ability to understand. It rested solely upon the nation’s willful disobedience (v. 21).73They insisted on personal merit based on works to gain God’s approval. All the time they knew that God’s requirement for righteousness is faith. Denney notes that God’s outstretched arms were “the symbol of that incessant pleading love which Israel through all its history has consistently despised.”74And why today do so many people reject the gospel? It is not necessarily because they have not heard or do not understand. Perhaps one reason is that “they find it hard to see, in a man who was hanged, the master-clue to the riddle of the world.”75
  • 73The quotation is from Isa 65:2 (LXX).
  • 74Denney, “Romans,” 2:675. Although the difference is slight, others understand the outstretched hands more in the sense of welcome than supplication. Calvin writes that “God stretches forth His hands to us exactly as a father stretches forth his arms, ready to receive his son lovingly into his bosom” (Romans, 236–37).
  • 75Hunter, Romans, 98.
  •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213  


728x90
through whom jwe have received grace and kapostleship lto bring about the obedience of faith for the sake of his name mamong all the nations, including you who are ncalled to belong to Jesus Christ,
To all those in Rome who are loved by God and called to be saints:
oGrace to you and peace from God our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Ro 1:5–7.

5절)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가 은혜와 사도의 직분을 받아 모든 민족 가운데 그분의 이름을 위하여 믿음의 순종에 이르게 한다.
본문의 믿어 순종하게 한다라는 이 의미는 바울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상이다. 바울에게 있어서 믿음은 순종으로 새시대를 오게하는 방식이다. 순종은 믿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스라엘은 모두 복음을 받아들이지(순종하지) 않았다. 그리스도를 믿은 믿음은 자연적으로 그리스도에게 헌신된 신실한 삶, 즉 그리스도에 대한 순종으로 이끈다. 바울에게 있어서 믿음과 순종은 구별되지만 따로 떨어지지 않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개념이다. 우리는 그분을 주로 인정하지 않고는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없다. 이는 그분에 대한 기본적인 헌신에 따른 결과이다.
-Paul may mean that faith is the form that obedience takes in the new era (in other words, “the obedience that is faith”; see 10:16, where Paul says that not all the Israelites “accepted” [translating the same Greek word for “obeyed”] the gospel). But he probably means that faith in Christ naturally leads to a life of dedicated faithfulness to Christ, of obedience to Christ. For Paul, “faith” and “obedience,” while always to be distinguished, are inseparable, two sides of the same coin. One cannot have faith in Christ Jesus without acknowledging him as Lord, with all the consequences that follow from that basic commitment.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291.

믿음은 일련의 전제에 대한 지적인 동의가 아니라 그분을 신뢰하도록 요구하는 그분, 하나님께 항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항복하는 것이 순종하는 것이다. 성경적 믿음은 윤리적 교훈을 모아놓은 것에 부드럽게 동의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적극적인 헌신이다. 순종이야말로 어떤 사람의 신앙에 대한 진정한 척도이다. 바울의 소원은 모든 세계가 복음을 받아들이고 모든 나라들이 행동을 변화시키는 믿음으로 하나님께 돌아서는 것이었다. 변화된 삶을 떠난 곳에 진정한 믿음은 없다.
- Faith is not intellectual assent to a series of propositions but surrender to the one who asks us to trust him. To surrender is to obey. Biblical faith is not some mild assent to a collection of ethical maxims but an active commitment of one’s life. Obedience is the true measure   p 63  of a person’s faith. E. Best comments that “faith and obedience go inextricably together. Only in obedience is there faith, for faith is not emotional feeling or intellectual acceptance but active response to a person.”14 Paul’s desire was to take the gospel to the entire world and see the nations turn to God in a faith that changes conduct. Any other response would be inadequate. Apart from a changed life there is no real faith.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62–63.

복음은 선교의 모든 것입니다. 본문은 주님이 바울의 사역의 도구(그분으로 말미암아)와 수신자(그의 이름을 위하여)라는 것을 보여주는 두 전치사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님은 복음 선포의 수단이자 중심입니다. 바울의 복적은 그분의 이름을 존중하고 영화롭게 하는 것입니다.
- The gospel is all about mission. Paul rejoices in the ministry to the Gentiles that Christ has graciously given him. The verse (in the Greek text) is framed by two prepositional phrases showing that Christ the Lord is both the instrument (through him) and the recipient (for his name’s sake) of Paul’s ministry. The Lord is the means and the focus of the gospel proclamation. Paul’s goal is to honor and glorify the name of Christ. He gave Paul two things, grace and apostleship, which should be combined to indicate that Paul’s apostolic commission as apostle to the Gentiles (Acts 9:15; 22:21; Rom 11:13; 15:16; Gal 2:8–9) was an undeserved gift of grace from Christ. Paul was always amazed that God had chosen him, the worst of sinners (1 Tim 1:15–16), to be his chosen instrument. That call was first to all the Gentiles. That this could mean “nations” and include the Jews is exemplified in Romans 1:16 (“first for the Jew, then for the Gentile”) and Paul’s constant practice on his missionary journeys of beginning in the synagogues and then going to the Gentiles (so Stott 1994:51). But the term itself more often refers to Paul’s Gentile ministry, and that is likely here (so Cranfield 1975:67; Moo 1996:53).

Grant R. Osborne, Romans,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4), 32–33.

믿어 순종하게 한다라는 표현이 어떤 의미인가? 이를 목적소유격으로 보아 믿음에 순종, 형용사적 소유격으로 보아서 믿는 신앙, 출처의 소유격으로 믿음에서 오는 순종, 동격 소유격으로 순종 곧 믿음으로 다양하게 해석가능하다. 뒤의 두가지가 유력한데 순종은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오는 믿음의 자연적인 결과이며 믿음은 항상 순종을 가져옵니다. 이 두가지, 믿음과 순종은 그리스와의 온전한 관계속에서 상호 교환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순종은 로마서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이를 신약의 교회, 지금 현대의 교회에 가죠온다면 복음전도(신앙)과 제자훈련(순종)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둘중 한측면만을 강조하고 나머지를 방치한다면 이는 균형을 잃은 것이고 비성경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Paul’s purpose is to bring them to the obedience of faith, a phrase that could mean “obedience to the faith” (objective genitive), “believing faith” (adjectival genitive), “the obedience that comes from faith” (genitive of source) or “the obedience that is faith” (genitive of apposition). While the first is unlikely (there is no article with faith), Dunn (1988a:17–18) is probably correct in saying that the latter two are probably both part of the meaning here. Obedience is the natural result of a faith relationship with Christ, and faith always produces obedience. They are interchangeable aspects of a proper relationship with Christ (similarly, see Garlington 1990b:209–13, arguing that the adjectival use preserves this deliberate ambiguity). Obedience also occurs in Romans 5:19; 6:12, 16, 17; 10:16; 15:18; and 16:19, 20, and is a central theme in any enumeration of the responsibilities of the Christian life. This phrase would also define the task of every church today—evangelism (faith) and discipleship (obedience) as inseparable aspects of a true New Testament church. To center upon one aspect and neglect the other is to be unbalanced and unbiblical.

Grant R. Osborne, Romans,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4), 33.

- From the time of his conversion (see Acts 9:15), the Lord made clear that Paul’s primary mission was to bring Gentiles to faith in Jesus. But rather than referring simply to “faith,” Paul uses an expanded phrase, which literally translates “the obedience of faith.” The niv, following many commentators, takes “faith” (pistis) as the basis for the obedience: commitment to Christ in faith leads to obedience in life.4
But pistis can also identify the obedience that Paul has in mind: “the obedience that is faith.” Paul sometimes describes faith in terms of obedience, as when he speaks of people “obeying” the gospel (Rom. 10:16 nrsv).5

Douglas J. Moo, Roman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2000), 37–38.

6절) 예수 그리스도의 것으로 부르심을 받은 자들, 바로 이 편지를 받고 있는 로마의 교인들을 향한 호칭이다.
바울은 편지의 첫머리에 자신을 예수 그리스도의 종으로 또한 사도로 부르심을 받은 자로 규정했다. 또한 본문에 로마의 교인들도 그분에게 부르심을 받았다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하나님의 부르심은 단순한 초청이 아니라 강력하고 효과있게 그분을 위하여 개개인을 요구하기 위한 시도입니다.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영접하기 위해서 우리 자신의 모든 권리를 포기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께 속해 있습니다. 바울은 사도로서 주님의 종입니다. 믿는 우리들은 그분이 보시기에 합당하도록 그분의 처분대로 우리자신이 사용되도록 우리를 드려야 합니다.
- Paul began his letter by identifying himself as a servant of Christ Jesus who had been “called to be an apostle” (v. 1). Then he told the believers in Rome that they too had been called17 (v. 6). They were “called to belong to Jesus Christ.” God’s call is not an invitation but a powerful and effective reaching out to claim individuals for himself.18 To accept Christ as Savior is to give up all rights to oneself. Christians belong to Christ. Paul the apostle was the servant of the Lord. We who believe have placed ourselves at Christ’s disposal to be used as he sees fit.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63.
 
7절) 성도로 부르심을 받은, 본문의 성도는 헬라어로 '하기오스'라는 단어로 하나님의 사람, 거룩한 사람, 성도라는 의미이다. 이 거룩한이라는 단어는 구약에서 이스라엘을 의미하는데 하나님의 백성으로 구별되었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신약에서는 이 성도라는 표현이 단순히 삶의 방식에서 특별히 거룩한 사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께 속했다라고 부른 모든 사람들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 Greek hagioi, meaning “holy ones” or “saints.” holy. The OT uses this term to describe the Israelites, who were “set apart” to be God’s own people (e.g., Lev 20:24, 26). The NT often uses this word and related words to denote, not people who are particularly holy in their lifestyle (this is why “saints” can be a misleading English translation), but all those people whom God has called to belong to him (v. 6). Status, not behavior, is in view (see “Holiness,” p. 2676).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291–2292.

바울은 6절에서 언급된 너희, 로마의 신자들을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받고 성도로 부르심을 받은 자라고 묘사한다. 하나님의 사랑은 모든 인류에게 미치지만 오직 믿음으로 그 사랑에 응답한 이들만이 특별한 방식으로 그분의 사랑을 받게 된다. 그들은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하고 새로운 피조물이 된다. 바로 그러한 이들을 성도라고 부르는 것이다.... 은혜와 평강은 사도가 주로 사용하는 인사말이다. 진정한 평화는 우직 하나님의 은혜의 결과이다. 은혜는 우리가 받는 것이고 평강은 우리를 대신한 하나님의 행동의 결과로 우리가 경험하는 것입니다. 이 영적인 축복의 결합은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온 것입니다. 그 아들은 아버지와 함께 영적인 축복을 수여하시는 분으로 자리를 차지합니다. 그분의 완전한 호칭은 그의 신성성에 있어서 주로, 지상에서의 삶에 있어서 예수, 그리고 구속적인 역할로서 그리스도입니다. 하나니은 멀리 떨어진 신으로 묘사되지 않고 믿는 자들의 아버지로 묘사됩니다. 이는 앞서 하나니므이 사랑하심을 받은이라는 표현에서 지지됩니다. 하나님은 오직 진정한 아버지만이 사랑할 수 있는 것처럼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우리들은 사랑으로 구별된 가족의 일원입니다.
- Paul addressed his letter to the Christian believers in the city of Rome.19 They are described in Greek by two verbal adjectives: they   p 64  were “loved” by God and “called”20 to be saints. God loves the entire human race (John 3:16), but those who respond to him in faith are loved in a special way. They have experienced the love of God and become new creations (2 Cor 5:17). They are called to be holy.21 The ultimate purpose of God’s calling is that redeemed humanity becomes like him in holiness. That single goal directs the life and conduct of every true believer.
The salutation “grace and peace” combines a Christianized form of the Greek and Hebrew greetings.22 Grace and peace are intricately related.23 Real peace comes only as a result of the grace of God. Grace is what we receive; peace is what we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activity of God on our behalf. This combination of spiritual blessings comes from “God our Father” and from the “Lord Jesus Christ.” The Son takes his place with the Father as the giver of spiritual blessings.24 His full title marks out his deity (“Lord”), his life on earth (“Jesus”), and his redemptive role (“Christ”). God is not portrayed as a remote deity but as the Father of those who believe. This supports the earlier statement in v. 7 that believers are “loved by God.” He loves us as only a true father can love. We are members of a family distinguished by love.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63–64.

바울에게 은혜와 사도의 직분을 주신분이 바로 주 예수 그리스도이다. 또한 바울은 주님의 이름을 위하여 모든 이방인들로 하여금 믿어 순종함에 이르게 하는 사역을 맡은 것이다. 이 많은 이방인중에서 로마의 성도들도 예수 그리스도의 것으로 부르심을 받은 성도들인 것이다. 이제 바울은 이 인사말을 마치면서 이 편지를 받는 성도들이 어떤 사람들인지를 설명하고 있다. 이들은 로마에 있으며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받았고 성도라고 부르심을 받은 자들이며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그리스도의 은혜(카리스)와 평강(에이레네)를 받을 자들인 것이다. 
 


'성경묵상 > 로마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롬 1:11-12 바울의 로마교회 방문 이유  (0) 2018.01.29
롬 1:8-10 바울의 감사와 기도  (0) 2018.01.25
롬 1:2-4 이 복음  (0) 2018.01.23
사도의 조건, 증표  (0) 2018.01.13
롬 1:2 미리 약속하신 복음  (0) 2018.01.11
728x90
The Temptation of Jesus
12 yThe Spirit immediately drove him out into the wilderness. 13 yAnd he was in the wilderness forty days, being ztempted by aSatan. And he was with the wild animals, and bthe angels were ministering to him. Jesus Begins His Ministry
14 cNow after John was arrested, Jesus dcame into Galilee, proclaiming the gospel of God, 15 
and saying, e“The time is fulfilled, and fthe kingdom of God is at hand;5 grepent and believe in the gospel.”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막 1:12–15.

12절) 성령이 곧 예수를 광야로 몰아내셨다. 예수님의 시험 당하심에 있어서 궁극적인 주체는 성령 하나님이시다. 사탄이 시험을 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 시험의 자리, 광야로 나아가신 것은 성령에 의해서 였던 것이다. 본문의 몰아내다라는 단어는 ‘엑발로’라는 단어로 마가복음에서 18번 등장하는 단어로 귀신을 쫓아낼때 주로 사용하던 단어이다. 
- This time (contrast v. 10) the NIV translates the word meaning “at once” or “immediately” (euthys). Mark used the verb ekballō a total of seventeen times, most often about exorcisms so that something stronger than “sent … out” is needed, something like “drove … out” (RSV, NRSV, REB) or “impelled” (NASB). The idea is that of divine necessity, not that Jesus was reluctant to go. The “desert” was the place of John’s preaching (vv. 3–4); it was also the place of Jesus’ temptati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James A. Brooks, Mark, vol. 2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1), 44.

13절) 광야에서의 40일, 하지만 마가는 이 광야에서의 시험을 매우 간략하게 기록하고 있다. 
- The “forty days” recalls Moses on the mountain (Exod 24:18; 34:28), Elijah’s journey to the sacred mountain (1 Kgs 19:8), Jesus’ instruction of his disciples (Acts 1:3), and perhaps even Israel’s forty years in the wilderness (especially Deut 8:2). The word translated “tempted” also means tested, and that is probably the primary idea here. “Satan” is the anglicized form of the Greek transliteration of a Hebrew word meaning adversary. James A. Brooks, Mark, vol. 2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1), 44.

사탄에게 시험을 받으시고 들짐승과 함께 계심. 
- Mark’s inclusion of wild animals in the temptation story is variously explained as an allusion to Jesus as the second Adam (Waetjen 1989:75–76) or to the persecution that Christians in Rome experienced during Nero’s reign (Best 1965:8–9). Such interpretations should be regarded cautiously. While they are not implausible in themselves, there is little, if anything, in the rest of this Gospel to support them. The presentation of Jesus as the second Adam is a prominent theme in Luke, but there is no explicit depiction of Jesus in these terms in Mark. Furthermore, the wild animals appear only in this passage. They are not mentioned in the apocalyptic discourse of Mark 13 at all, where the testing of Jesus’ disciples is a central theme. On balance, it is better to take this reference as an indication that Jesus was alone, a theme that comes to a climax during the crucifixion. Except for the presence of the angels and wild animals Jesus was alone in his temptation (Lane 1974:61). There was no human comfort or support, and in that loneliness he was tempted by Satan. Ronald J. Kernaghan, Mark,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7), 40.

요한의 세례와 광야의 시험을 통과하신 이후에 이제 공식적인 사역의 시작을 알리시는 주님

14절) 요한이 잡힌 후, 본문은 신적 수동태의 형태를 띠고 있다. 이후 주님의 잡히심을 떠올릴 수 있다. 
- Mark placed the beginning of Jesus’ ministry after the imprisonment of John, although he did not describe John’s imprisonment and death until 6:14–29. Actually the word Mark used (paradidomi) means to hand over and is used to refer to the betrayal and arrest of Jesus in 9:31; 10:33; 14:21, 41. Its use with reference to John suggests that his death foreshadowed that of Jesus. The use of the passive voice implies that what was done was in accordance with God’s purpose.1
1 This use is called the “divine passive.” It probably had its origin in the reluctance of the Jews to use the sacred name Yahweh. It was one of many substitutes for the divine name.
 James A. Brooks, Mark, vol. 2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1), 45–47.
이제 갈릴리에서 하나님의 복음을 전파하심, 그 하나님의 복음의 구체적인 내용이 바로 15절이다. 

15절) 때가 찼다.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본문의 때는 크로노스가 아니라 카이로스이다. 또한 하나님 나라는 복음서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인데 마태의 경우 하나님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못해서 천국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1세기 유대인들은 하나님 나라의 미래적 성격을 강조한데 반하여 마가는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성경을 강조한다. 마가의 표현은 사람들의 마음에 대한 왕의 다스림, 통치, 지배, 하나님의 주권을 암시한다. 
- The word translated “time” (kairos) means a favorable, opportune, or significant time as opposed to mere chronology. Here Mark referred to the time appointed by God for the fulfillment of his promises. The period of preparation, that of ancient Israel and John, was complete. The divinely appointed time had come. The prophecies were being fulfilled in Jesus.
The expression “kingdom of God” appears fourteen times in Mark (also 4:11, 26, 30; 9:1, 47; 10:14, 15, 23, 24, 25; 12:34; 14:25; 15:43). According to the Synoptic Gospels, it was the major subject of Jesus’ message. In first-century Judaism it described a future, earthly kingdom in which God through Israel would rule over the nations. With the possible exceptions of 14:25 and 15:43, however, in Mark it refers to a present, spiritual kingdom rather than a future, earthly one. Therefore the expression refers to the kingly rule, the reign, the dominion, the sovereignty of God in the hearts of people. “Realm” in the sense of sphere of influence might be a better translation, but it too is subject to misunderstanding. “Reign” probably is the best translation.
Jesus claimed that the kingdom, which to most Jews seemed far in the future, had drawn near with his appearance. On linguistic grounds either “is near” or “is at hand” (RSV, NASB) or “has come near” (NRSV) is a better translation than “has come” (cf. use in 14:42). One of the former alternatives is preferable on theological grounds as well. The reign of God began to take place in the life and ministry of Jesus, but it was not fully manifested then and will not be until Jesus returns. Therefore a present, mystical kingdom does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a future, earthly one. Mark, however, says little about that. Jesus, like John (cf. v. 4), preached repentance, but the distinctive element in his message was faith or commitment or trust. The necessity of faith is a major subject in Mark, underscoring the theological motivation of the writing. Note especially the commands to believe in 1:15; 5:36; 11:22, 24 and the rebuke of unbelief in 4:40; 6:6; 9:19. Note also how faith is commended in 2:5; 5:34; 9:23; 10:52; 11:23.

 James A. Brooks, Mark, vol. 2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1), 47.

- 하나님이 복음이 전파되는데 그 때가 요한이 잡힌 후였다. 하나님 나라가 이미 임했는데 여전히 무고한 자가 잡히고 죽임을 당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이는 지금 하나님 나라가 이미와 아직의 팽팽한 긴장감 속에 확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의미와 종말적인 의미를 우리는 모두 명심해야 할 것이다. 본문의 '가까이 왔다’라는 표현이 바로 이미와 아직의 이중적 의미를 모두 보여준다. 예수의 초림으로 이미 임했지만 아직 임하지 않은 재림을 기다리는 우리들을 말하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의 복음은 개인적인 버전과 사회적인 버전을 서로 나눌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하다. 개인적 회심과 사회적 회심을 우리는 생각할 수 있다.
- The kingdom of God expresses the hope for a world in which the powers of sin, death and darkness are replaced by peace, justice and the worship of the one true God. In essence, it is the hope that the rule of God would be restored over all of creation.
Yet here at the beginning of Jesus’ ministry we encounter a disturbing paradox. If, as Jesus proclaimed, the kingdom of God is near, how is it that John the Baptist, who appeared as the herald of Jesus’ message, was arrested and eventually put to death? According to Mark 1:14 it was not the forty days in the wilderness, but John’s arrest that marked the start of Jesus’ ministry. If the rule of God were about to be restored over creation, we would expect things to work out differently.
The Greek verb translated “is near” can mean either “has arrived” or “has almost arrived.” Since either translation is possible, we must look at the context for clues that point to Mark’s meaning. The first one is found in Jesus’ announcement that the time has come (or is fulfilled). The time that is fulfilled is the time of waiting, and this observation implies that the kingdom of God is actually here (Beasley-Murray 1986:73). If the kingdom were not here, the time of waiting would not be over.
On the other hand, John’s arrest is a precursor of Jesus’ death. That is to say, if the kingdom of God is really present, how is it possible that innocent people still suffer and die? This observation suggests that the kingdom is either not present or not completely present. If we take both statements seriously, that is, without allowing either one to negate the other, then we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the kingdom of God has actually come into history, although we are still waiting for its complete realization (Schnackenburg 1971:141–42). As we look more closely in the following sections at Jesus’ ministry, we will try to figure out inductively what it means to affirm that the kingdom of God is actually, though not completely, here.
For this reason Jesus called people to repent and believe. John had called people to embrace the new thing God was doing. With Jesus, embracing this new thing becomes even more complex for he invites us to turn away from our expectations about how the rule of God comes. Believing the gospel means affirming what God does, particularly when our expectations are not met. There is a fundamental tension between the hopes that Jesus’ ministry generated and the course of events as they unfolded according to God’s will. The need for repentance did not disappear when John’s ministry came to an end. On the contrary, the call to repent and believe was essential to Jesus’ ministry.
Repenting and believing are as important for Jesus’ modern followers as they were for his first ones. Jesus’ gospel was not packaged into a personal version for those who seek inner peace and a social version for those who want to change the world. In Mark the personal and social dimensions of the gospel are inseparable. The kingdom of God addresses us personally, just as it addresses the structures of our life together. Picking and choosing the aspects of the gospel we like is a matter for repentance, just as embracing those aspects of the gospel that make us anxious is a matter for faith.

 Ronald J. Kernaghan, Mark,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7), 41–42.


728x90
just as hAbraham “believed God, and it was counted to him as righteousness”? Know then that it is ithose of faith who are jthe sons of Abraham. And the Scripture, foreseeing that kGod would justify3 the Gentiles by faith, preached the gospel beforehand to Abraham, saying, l“In you shall all the nations be blessed.”
So then, those who are of faith are blessed along with Abraham, the man of faith.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갈 3:6–9.


- We now come to an important transition in Paul’s argument in Galatians. Paul reviewed his special calling and unique apostolic ministry from his encounter with the risen Christ near Damascus through his confrontation with Peter at Antioch. Here he concluded the opening historical section of his letter by stating clearly that justification was not secured by human works of any kind but only through faith in Jesus Christ (2:16). This was the central thesis Paul was defending against certain Jewish-Christian missionaries who had come into Galatia insisting that Paul’s converts there submit to circumcision and other observances of the Jewish law in order to achieve a right standing before God. Paul saw in this false teaching the sinister scheme of the Evil One and appealed to the Galatians to remember how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was manifested among them as an act of God’s sheer mercy quite apart from any works they had done (3:1–5). Timothy George, Galatians, vol. 3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4), 215.


6절) 아브라함이 의롭다 함을 받은것이 바로 믿음에 의한 것임을 바울은 논증한다. 족장 아브라함은 바울 서신에 19번이나 등장한다. 그는 유대인들에게도 자신들의 신학을 강화시키는데 증인이다. 아브라함이 자신의 독자 이삭을 바치는 순종을 통해서 자신의 의를 드러냈고 구원을 받았다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아브라함의 모습을 예로 들면서 율법에 더욱더 강력하게 순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바울은 그 관점을 조금 바꾸어서 아브라함이 의롭다 칭함을 받는 것이 율법의 행위로 인한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창 15:6) 이 주장은 롬 4장과 아울러서 이신칭의 교리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본문이 된다. 
* 아브라함의 예로부터 배울 수 있는 믿음에 대한 중요한 세가지 원리
1) 믿음은 자랑을 배제한다. : 아브라함이 의롭다 칭함을 받은 것이 자신의 행위에 있다면 그는 자랑할 만 하다. 하지만…
2) 믿음은 이성을 초월한다. : 당시 루터는 하나님의 특별계시를 벗어나 독립된 원리로 신학을 하는 것에 대해서 경계하고 있는 것이다. 루터는 말한다. “잠잠하라. 판단하지 말고 다만 하나님의 말씀을 들어라. 그리고 이를 믿어라.”
3) 믿음은 순종에서 비롯된다. : “우리는 믿음으로만 의롭다 칭함을 받는다. 그러나 그 믿음은 홀로 의롭게 되지 않는다"
- The patriarch Abraham, who is mentioned nineteen times in Paul’s letters, is the pivotal figure in all of Paul’s arguments from Scripture in Galatians. But why Abraham? It has been suggested that Paul was exercising theological one-upmanship in his appeal to the father of the Jewish people. In other words, if his opponents claimed the authority of Moses, the giver of the law, he would do them one better by going even further back to Abraham.19 It is much more likely, however, that Paul developed his unique understanding of Abraham’s role in the history of salvation over against the appeal to Abraham in the theology of his opponents. Thus Paul’s main purpose was not so much to oppose Abraham to Moses as it was to set the Abraham of “faith alone” over against the Abraham of rabbinic exegesis who was blessed by God because of his meritorious deeds.20
In the postexilic period the Pentateuchal patriarchs became the focus of extensive study and speculation. In a time of national conflict and identity crisis, the Jewish people sough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at does it mean to be in covenant with the “God of Abraham, Isaac, and Jacob”? Abraham, of course, was not only the father of the Jewish nation, but he also was the original source of blessing for the Jewish people. In the Jewish literature of this period Abraham is invariably depicted as the “hero of faith” whose fidelity and obedience merited the favor of God and brought divine blessing on him and his posterity. Abraham is extolled as the “friend of God,” a man of hospitality, virtue, and conviction.
Two incidents in Abraham’s life were singled out as illustrations of his faithful obedience and worthiness before God. The first event is referred to in a lyrical passage from the apocryphal book called Sirach (Ecclesiasticus), where Abraham is praised as one of the great heroes of Israel’s past:
Great Abraham was the father of many nations;
no one has ever been found to equal him in fame.
He kept the law of the Most High;
he entered into covenant with him,
setting upon his body the mark of the covenant;
and, when he was tested, he proved faithful.
Therefore, the Lord swore an oath to him,
that nations should find blessing through his descendants,
that his family should be countless as the dust of the earth
and be raised as high as the stars,
and that their possession should reach from sea to sea,
from the Great River to the ends of the earth. (Sir 44:19–21, NEB)

The “mark of the covenant” that was set upon Abraham’s body is an explicit reference to Abraham’s acceptance of circumcision as recorded in Gen 17:4–14. This was doubtless a critical text for Paul’s opponents, for it suggested that circumcision was an indispensable sign of the covenant. If Gentile converts wanted to receive the full blessing of the people of God, they had to submit themselves to the God-ordained sign of his covenant as Father Abraham had done long ago. The text from Sirach also declares that Abraham had “kept the law of the Most High.” Of course, Abraham lived before the actual giving of the Mosaic law, but it was believed that he had fulfilled it proleptically through his exemplary obedience and faithfulness before the Lord.21
Abraham’s anticipatory obedience of the law was further illustrated by the ten trials or tests that proved Abraham’s trustworthiness, the ten trials corresponding to the Ten Commandments, which would be broken by the children of Israel.22 In rabbinic writings the last of the ten trials was always the “Aqēdâ Isaac,” the “binding” and sacrifice of Abraham’s beloved son as recorded in Gen 22:1–19. These two things, Abraham’s obedience to the law and his sacrifice of Isaac, were brought together in the story of Mattathias, the father of Judas Maccabeus, who organized an army of liberation to wage guerilla war against the Gentile invaders of Israel. First Maccabees 2 describes how these “freedom fighters” swept through the land, pulling down pagan altars and forcibly circumcising all the uncircumcised boys found within the frontiers of Israel. Thus they “saved the law from the Gentiles and their kings and broke the power of the tyrant.” On his deathbed Mattathias gathered his sons about him, exhorting them to be zealous for the law and give their lives for the covenant of their fathers. He reviewed the catalog of Israel’s heroes whom God blessed because of their obedience to the law: Joshua kept the law and became a judge in Israel; Elijah was zealous for the law and was taken up to heaven; Daniel was an observant Jew in a pagan culture and was rescued from the lions’ jaws. At the head of the list, of course, stands Abraham: “Did not Abraham prove steadfast under trial, and so gain credit as a righteous man?” (1 Macc 2:45–64). Here again is the standard portrayal of Abraham—the valiant warrior of faith who received the reward of righteousness because of his obedience and steadfastness under testing, even to the limits of sacrificing his own son.
No doubt Paul was well aware of this traditional portrait of Abraham. Very likely it had been cast in his teeth by his Judaizing opponents. Paul did not ignore their appeal to Abraham, but he shifted the point of departure to an earlier event in Abraham’s life. Nowhere did Paul refer explicitly to Abraham’s sacrifice of Isaac, nor in Galatians did he cite the covenant of circumcision mentioned in Gen 17.23 For Paul the critical verse was Gen 15:6: “He believed God, and it was credited to him as righteousness.” This quotation is introduced by the correlative conjunction kathōs, “just as,” which connects the faith of Abraham to the experience of the Galatians that Paul had just reviewed. He was saying, in effect, that just as the Galatians had trusted God’s Word, which they heard through Paul’s preaching, so also Abraham believed what God said and was counted righteous, just like the Galatians, through the “hearing of faith,” not by the doing of deeds.
How did Paul understand Abraham’s faith? In Rom 4:3 he again quoted this same text from Genesis and described more fully how faith became the instrument of Abraham’s justification. Thus the best commentary on Gal 3 is Rom 4. Looking at both passages in the total context of Paul’s theology, we can learn three important principles about faith from the example of Abraham.24
1. Faith excludes boasting. The theme of boasting is a major motif in Paul’s writings, not only in Galatians and Romans but also in the Corinthian correspondence and Philippians as well.25 To boast is to glory, to take credit for, to claim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to brag about one’s autonomy and self-sufficiency. While few people are so brazen as to claim outright, “I am the master of my fate; I am the captain of my ship” (Thomas Henley), this thought lies just beneath the surface in every unregenerate heart. But the faith by which Abraham was justified stands in absolute contradiction to every kind of self-glorification. Just prior to quoting Gen 15:6 in Rom 4, Paul made this very point. If indeed Abraham had been justified by works, he would have had reason to boast. Yet this is precisely what Abraham could not do because God called him, as Paul would show later in Gal 3, four hundred thirty years before the law was given, even twenty-nine years, according to the reckoning of the rabbis, before the sacrifice of Isaac. Thus, contrary to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Paul did not present Abraham as a paragon of virtue or a model of religious activism. Rather, it happened this way: God spoke, Abraham heard and believed, and on the basis of mere faith (sola fide) he received God’s justifying verdict.
2. Faith transcends reason. In his exegesis of this verse, Martin Luther introduced a second antithesis: not only faith versus works but also faith versus reason. “To attribute glory to God is to believe in him, to regard him as truthful, wise, righteous, merciful, and almighty, in short, to acknowledge him as the Author and Donor of every good. Reason does not do this, but faith does.… Faith slaughters reason and kills the beast that the whole world and all the creatures cannot kill.”26 Such language can easily be misunderstood if we take it as a blanket condemnation of logical thinking or rational discourse. Both Paul and Luther made good use of their God-given ability to think clearly and argue cogently by means of human reasoning. But Luther was right to oppose faith to reason where the latter is understood as an autonomous principle of doing theology apart from the special revelation of God in his Word.
Abraham’s faith was not based on his independent inquiry into the structure of reality nor his construal of various arguments for or against the existence of God. Abraham’s listening to God and finding God in the right was thus “contrary to all self-assessment and the verdict of human probability.”27 In Rom 4 Paul gave the example of Abraham’s trust that God would fulfill his promise to give him descendants as numerous as the stars in the heavens or the sands along the seashore even when he and Sarah were well past the normal age of childbearing. When reason would have counseled doubt and despair, Abraham “was fully persuaded that God had power to do what he had promised” (Rom 4:21). The sacrifice of Isaac must be interpreted along these same lines. Abraham was willing to slay his son of promise at God’s command, believing that, if necessary, God could raise him back to life in order to fulfill his word. This is the kind of faith Jesus spoke of when he announced that, contrary to every canon of reason, God was able to raise up sons to Abraham by the power of his word from inanimate objects such as lifeless stones. Thus Luther invites us to enter with Abraham into “the darkness of faith,” saying to reason, “You keep quiet. Do not judge; but listen to the Word of God, and believe it.”28
3. Faith issues in obedience. By emphasizing so strongly the unilateral action of God in justifying sinners by faith alone apart from works, did not Paul undercut the basis of Christian morality and leave himself open to the charge of antinomianism? Clearly he faced just such an objection in his own day as he himself indicated: “Shall we go on sinning so that grace may increase? By no means!” (Rom 6:1–2). In Gal 5 and 6 he would spell out the dimensions of the Spirit-led life and encourage his readers to “test their own actions, serve one another in love, and fulfill the law of Christ” (6:4; 5:13).

19 This, for example, is the suggestion of J. Stott (Only One Way: The Message of Galatians[Downers Grove: InterVarsity, 1968], 72). Paul does not mention Moses by name in Galatians, although he is referred to by inference in 3:19–20. For other Pauline references to Moses see especially Rom 5:13–14 and 2 Cor 3:6–18. On the place of Moses in Paul’s covenant theology, see P. Démann, “Moïse et la loi dans la pensée de saint Paul,” in Moïse, l’homme de l’alliance, ed. H. Cazelles (Paris: Desclé, 1955), 189–242.
20 On this theme see the excursus and literature cited in Betz, Galatians, 139–40, and Longenecker, Galatians, 110–12. On Paul’s use of Abraham as a key figure in the development of his theology see G. W. Hansen, Abraham in Galatians: Epistolary and Rhetorical Contexts (Sheffield: JSOT, 1989), and the excellent summary article by N. L. Calvert on “Abraham” in DPL, 1–9.
21 Cf. Jubilees 23:10: “For Abraham was perfect in all his deeds with the Lord, and well-pleasing in righteousness all the days of his life.”
22 The following dialogue between Moses and God is reported by Rabbi Abin as an example of the merit of Abraham’s faithfulness: “But Moses pleaded: ‘Lord of the Universe! Why art thou angry with Israel?’ ‘Because they have broken the Decalogue,’ He replied. ‘Well, they possess a source from which they can make repayment,’ he urged. ‘What is the source?’ He asked. Moses replied: ‘Remember that Thou didst prove Abraham with ten trials, and so let those ten [trials of Abraham] serve as compensation for these ten [broken commandments]’ ” (Exod Rab 44.4).
23 In a suggestive article, however, M. Wilcox has pointed to several possible allusions of the sacrifice of Isaac in Paul’s writings including the word for “cross” or “tree” (ζύλον) in Gal 3:13 (“ ‘Upon the Tree’—Deut 21:22–23 in the New Testament,” JBL 96 [1977]: 85–99). This word can also mean “wood,” which was used in Midrashic interpretations to refer to the wood of the burnt offering that Abraham loaded onto Isaac for their excursion to Mount Moriah. Tertullian spells out the significance of this act for Christian typology: “Isaac, when led by his father as a victim, and himself bearing his own ‘wood’ (lignum) was even at that period pointing to Christ’s death; conceded, as he was, as a victim by the Father; carrying, as he did, the ‘wood’ of his passion” (Adversus Iudaeos 10.6). Wilcox also finds a Pauline reference to Isaac in Rom 8:32, where God is described as the one “who did not spare his own son, but handed him over for the sake of us all.”
24 In interpreting Gal 3 by means of Rom 4, I presuppose the essential coherence of Paul’s thought while allowing for the occasional and contextual character of both Galatians and Romans. Important differences exist in the way Paul treated the Abraham story in these two epistles, but his interpretations are complementary rather than contradictory. J. C. Beker has argued that Paul’s polemical attack against the law in Galatians reflects the contingency and particularity of his defense of the gospel against the Judaizers (Paul the Apostle: The Triumph of God in Life and Thought [Philadelphia: Fortress, 1980], 99). Romans, on the other hand, is more irenic and positive in its treatment of circumcision and the law because it was written as a dialogue with converted Jews rather than as an apologia for Gentile Christians. While Beker’s analysis is helpful in accounting for the different tone and nuances of the two letters, he goes too far in claiming that “Romans 4 allows for the continuity of salvation-history, whereas Galatians 3 focuses on its discontinuity.” In neither Romans nor Galatians did Paul ever lose sight of the Jews’ and Gentiles’ special place in God’s salvific economy. H. Hübner proposed a developmental scheme of Paul’s thought that bifurcates Galatians and Romans in an even more extreme manner (Law in Paul’s Thought [Edinburgh: T & T Clark, 1984], 51–57). He sees great inconsistency in Paul’s treatment of the law in these two letters and attributes this disjunction to the apostle’s fundamental rethinking of the relationship of Gentile Christianity to its Jewish counterpart. Galatians was written rather late in Paul’s apostolic career even if, as we have argued, it may have been the first of his extant letters. By the time he wrote Galatians, he had behind him many years of missionary preaching, the synod on the Gentile mission at Jerusalem, and the confrontation with Peter at Antioch. It is inconceivable that he would not yet have given thought to the “inconsistencies” in his attack on the law on the one hand and his appeal for the unity of Jewish and Gentile Christianity on the other. Galatians reflects a mature, if passionate, theology that is anything but half-baked.
25 See R. Bultmann,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New York: Scribners, 1955); E. Käsemann, Romans (Grand Rapids: Eerdmans, 1980), 64. Cf. Gal 6:13–14; Rom 2:23; 3:21–31; 4:1–6; 1 Cor 1:29–31; 2 Cor 10:7–18; 11:16–30; Phil 3:3–9.
26 LW 26.227–28. On the various ways Luther used the word “reason” (ratio, Vernunft). See the excellent study of B. A. Gerrish, Grace and Reas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See also H. Oberman, ed., Luther: Sol, Ratio, Erudio, Aristoteles (Bonn: Bovier, 1971).
27 G. Ebeling, The Truth of the Gospel: An Exposition of Galatians (Philadelphia: Fortress, 1984), 176.
28 LW 26.228. In his excoriation of unbridled reason, Luther sometimes praises faith in a way that seems inappropriate as when he calls it “the creator of the deity, not in the substance of God but in us.” Early in his reforming career Luther had broken with the mystical doctrine that within every human soul there remained a spark of divinity. His language about “faith creating deity” represents an awkward attempt to read an evangelical meaning into a pre-Reformation conceptual framework. See T. George, Theology of the Reformers (Nashville: Broadman, 1988), 62–73.
 Timothy George, Galatians, vol. 3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4), 216–221.

7절) 믿음으로 말미암은 자들은 아브라함의 자손이다. 이 고백 속에 사라와 하갈, 이삭과 이스마엘의 이야기가 떠오른다. 
Abraham is the father of God’s people not because he is the biological ancestor of the Jews but because he has a family of spiritual children who follow in his footsteps by believing as he did. God promised Abraham that he would bring life from his dead body (see Romans 4). Thus Abraham is a living OT prophecy of the gospel: he was not an Israelite but a pagan, and God justified him by faith.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249.

바울의 대적자들은 갈라디아의 이방 교인들을 향해서 이렇게 말한다. “너희가 그리스도인이 되기 원하냐? 그렇다면 할례를 받고 율법을 준수해라” 하지만 이에 대해서 바울을 이렇게 대답한다. “아브라함이 의롭다 칭함을 처음 받았을때가 언제인가? 그가 할례를 받았기 때문에, 율법을 준수했기 때문에 의롭다 칭함을 받은 것인가? 그렇지 않다. 아브라함은 절대로 자신의 거룩한 행위로 인정받은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을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은 것이다. 그가 의롭다 칭함을 받았을때 그는 할례에 대해서 알지도 못했고 단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서 약속의 땅으로 첫번째 스텝을 내디뎠을 뿐이다. 그가 유대인들의 조상이 되었지만 그가 의롭다 칭함을 받았을때 그는 여전히 갈라디아인과 같이 이방인이었다."
- Appealing to the traditional Jewish exegetical tradition about Abraham, Paul’s opponents had evidently been saying to the Gentile believers of Galatia: “So you want to become Christians? Great! We will show you how to become true sons of Abraham. You must receive the seal of circumcision, the indispensable sign of God’s covenant with his people, and, like Father Abraham, keep the commands of the holy law.” Against this “orthodox” theology of Abraham, Paul offered a counterinterpretation. “All right,” he said; “you think being a son of Abraham is such a big deal? Well, let’s go back to Abraham himself. How was he declared righteous before God in the first place? Was it because he forsook his fatherland, his family, and all his friends back in Ur of the Chaldees? Was it because he accepted circumcision and observed the law? Was it because he was ready, at the command of God, to sacrifice his son Isaac? No! Abraham was justified not on account of his outstanding virtues and holy works, but solely because he believed God. And his faith was reckoned as righteousness long before he knew anything about circumcision or had taken the first step in his long journey toward the promised land. Although he became the father of the Jews, he was justified when he was still a Gentile!—just like you Galatians, who were justified and received the Holy Spirit through the hearing of faith, not through works of the law.” Timothy George, Galatians, vol. 3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4), 223.

결국 진정한 아브라함의 자손, 자녀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믿는 사람들인 것이다. 그렇기에 그들의 존재는 바로 믿음에 기초한다. 

8절) 본문의 말씀은 창 12:3과 18:18절을 융합, 인용한 것이다. 본문에서 바울의 ‘성경’에 대한 이해를 옅볼 수 있다. 하나님께서 이방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로 정하실 것을 알았고 또한 아브라함에게 모든 이방인(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받을 것임을 말씀하셨다. 이것이 성경을 통해서 이미 증거된 것이다. 
- What was it that the Scriptures “foresaw” and “preached beforehand” to Abraham? Simply this: the good news of salvation was to be extended to all peoples, including the Gentiles, who would be declared righteous by God, just like Abraham, on the basis of faith.35 Thus Paul interpreted the Genesis quotation “All nations will be blessed through you” in a far richer sense than traditional Jewish exegesis allowed. Through the Jewish people the world had received many wonderful benefits, above all the sacred Scriptures and the religion of monotheism. However, Paul went much further when “he simply identifies the blessing with God’s ‘grace’ and his ‘justification by faith.’ ”36 Abraham was special because centuries before Jesus was born he received in this word from God the promise of the Messiah and believed. Paul’s exegesis at this point is really a commentary on the declaration of Jesus: “Abraham was overjoyed to see my day; he saw it and was glad” (John 8:56, NEB). In Paul’s mind, of course, the “day” of Christ had inaugurated a new epoch in the history of salvation which, as he had shown already in Gal 1, included his own calling and special mission to the Gentiles. He was now ready to apply the lesson of Abraham to the Gentile Christians of Galatia.
35 Betz notes that προευηγγελίσατο is a hapax legomenon in the NT, although it does occur in Philo (Galatians, 143). Cf. J. Locke’s paraphrase of this text: “For it being in the purpose of God to justify the Gentiles by faith, he gave Abraham a foreknowledge of the gospel” (J. Locke, Paraphrase of Paul [Oxford: Clarendon, 1987]), 136–37).
36 Betz, Galatians, 142.
 Timothy George, Galatians, vol. 3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4), 225.

9절) 그러므로 믿음의 사람들은 믿음의 사람 아브라함과 같이 은혜를 받게 됩니다. 첫째로 아브라함의 자손, 가족은 하나님이 허락하신 은혜에 의한 믿음을 통해서 된다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다른 말로 하면 진정한 아브라함의 자손은 혈통이 아니라 그 영의 형제들이다라는 것입니다. 둘째로 그 복이 아브라함을 통해서 모든 민족에게 임한다는 것을 약속한다. 
- This verse presents the conclusion (“so,” Gk., hōste) to the Abraham-argument Paul introduced in v. 6. Clearly he was not through with Abraham, as the unfolding of his argument in Gal 3 and 4 will show. However, in these few short verses he had already made two critical points that will be elaborated in the following passages. First, he redefined the Abrahamic family in such a way as to undercut the appeal of his opponents to this biblical paradigm. The true children of Abraham are those who, like the great patriarch, have been declared righteous by faith, that is, by God himself in his grace. Put otherwise, “the authentic descendants of Abraham are soul brothers rather than merely blood brothers.”37 Second, Paul interpreted the blessing promised through Abraham to “all the nations” as a prophecy of his own law-free mission to the Gentiles. Through the unerring word of God, Abraham not only received the promise of the gospel but also anticipated its fulfillment in Jesus Christ, a fulfillment that was being realized in part among the Galatians themselves who had been justified by faith through their hearing of the gospel by the ministry of Paul.38
37 P. R. Jones, “Exegesis of Galatians 3 and 4,” RevExp 69 (1972): 476.
38 This point has been well made by J. M. G. Barclay in his excellent study, Obeying the Truth: A Study of Paul’s Ethics in Galatians (Edinburgh: T & T Clark, 1988), 87–88.
 Timothy George, Galatians, vol. 3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4), 225–226.

- Paul’s entire argument in this passage hinges on one tremendous assumption: the continuity of the covenant of grace. It is not surprising that Marcion, for all his adulation of Paul, wanted to excise all reference to Abraham as the prototype of faith.39 By rejecting the Old Testament completely, Marcion presented Christianity as the religion of the “alien Father” of Jesus, a deity who stood in total opposition to the God of the Old Testament as well as to the world of matter that he had neither created nor was interested in redeeming.
39 See Tertullian, Adversus Marcionem (chap. 4): ANF 3.435–38. In Gnostic exegesis of this passage, Paul’s reference to Abraham is taken as a figurative representation of the demiurge while the “children of Abraham” are the psychics, those unenlightened souls who can only believe since they are not yet “in the know.” The early Gnostic commentator Heracleon rejected justification by faith, snidely remarking, “The demiurge believes well” (Pagels, Gnostic Paul, 106).

 Timothy George, Galatians, vol. 3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4), 2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