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1장 선교 : 말씀, 행위, 새로운 존재


선교의 두가지 역할 : 선포(proclaiming)와 추진(propelling)

'개인'을 구원을 이해하는 출발점으로 삼고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삶의 문제들을 추정해 나가는 방식과 성경을 인간과 우주 역사의 유일한 해석이라고 보는 것을 시작점으로 해서 성경이 우리에게 개인의 삼의 의미에 대해서 보여주는 것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나가는 방식이 있다. 


그리스도를 선포함으로써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이 역사가운데서 무엇을 행하시는가를 이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선교의 추진적 역할은, 사건들을 그것의 진정한 종말을 향하여 가도록 압박한다.

- 중국이나 인도의 청년들이 기독교에서 마르크스주의로 돌아선 이유, 일잔 한번 과거의 존재론적 틀이 깨지고 나면 결코 다시 복구될수 없다. 역사는 미래를 향해 가차없이 추진해 가고 있다. 


선교에서 행함과 복음선포의 연계성 문제

현재 복음전도, 곧 교회의 선언적 기능의 우위를 강조하는 사람들과 불의, 편견, 억압에 대항하는 행동, 곧 정의와 평화를 위한 행동에 최우선을 두려는 사람들 사이의 끝없는 싸움이 존재한다. 

복음서에서 제자들의 치유행위에 대한 설명을 통한 복음전파는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라는 단순 명료한 말씀으로 진술되어야 했다. 

치유만을 강조하고 복음전파가 없는 경우 vs 치유가 없는 복음전파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이 가지는 선교적 의미

교회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가 아니다. 그러나 주님이 하신 일은 천국의 비밀을 실어 전하도록 선택된 공동체를 준비하셨는데 바로 이 공동체, 교회가 그분이 남긴 유산이다. 

교회는 예수님이 하신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하나님의 통치하심, 곧 그분의 정의와 평화를 대변하도록 권한을 받은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교회는 에수님과 함께 악의 세력들에 대항하고, 자신의 삶 속에 대항에 대한 대가를 짊어짐으로써 그분의 동역자가 되는 것이다. 

에수님의 오심과 함께 도래한 새로운 것은 첫째, 하나님 나라가 더이상 형식적 관념이 아니라는 것이고, 둘째, 새롭다는 것은 우리의 교회속에 있는 성령의 은사 안에서 하나님 나라를 미리 맛보게 된다는 점이다.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바른 이해와 잘못된 이해

선교는 우리 자신이 하는 사업이 아니고 하나님의 사업이다.


선교는 성령안에서 천국의 임재를 미리 맛보는 데서 시작한다. 

1. 말씀과 행위, 복음전파와 활동 이 두가지를 서로 대립적으로 보는 것은 불합리하다. 말씀이 행위를 설명하고, 행위는 말씀에 타당성을 부여한다. 

2. 세상의 정의와 평화를 위한 행동이 복음전도의 주된 임무에서 이차적이고 주변적인 것이 아님은 확실하다. 

3. 정의와 평화를 위한 행동이 하나님의 뜻으로 분명히 간주되는 특정한 계획에 대한 전적인 헌신을 의미할 수는 없다. 

4. 이런 근본적인 진리가 잘못 이해되어서 만일 복음을 믿는 사람들이 그들이 사는 시대의 정치적, 문화적 삶 가운데서 책임감을 가지고 환여하는 것을 맏는다면 그것은 재난을 가져다 주는 원천이 될 수도 있다. 

5. 정의와 평화라는 거대한 문제와 연관된 교회의 주요 역할은 격식을 차린 선언문 안에 있는 것이 아니다. 

6. 교회 존재의 중심적인 실재, 즉 복음의 중심적인 진리들, 다시 말해서 성육신 하시고 십자가에 죽으셨다가 다시 사셨고, 지금은 하나님 우편에 좌정하시고, 이제는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시기 위해서 다시 오실 것을 약속하신 복음에 대해 분명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필요는 항상 있다. 


12장. 상황화 : 올바른 것과 잘못된 것

복음 전달과 상황의 문제

시대마다 다르게 표현되는 예수님의 모습


타문화 선교와 상황화(contextualization) 논쟁

기독교의 메시지를 기독교의 영향권 밖에서 살아왔던 사람들의 언어와 문화로 옮기려 할 때, 바로 상황화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식민주의 시대가 남긴 감정상의 앙금


복음은 문화라는 옷을 입고 전해진다. 

장소와 문화에 상관없이 기독교적인 복종이 요청되는 것은 무엇일까?

선교사의 역할(앨렌) : 거기에는 반드시 성경과 성례전 그리고 사도적 사명이 구비된 회중이 있어야 한다. 이런 조건들이 충족될 때, 선교사는 자신의 일을 다 한 것이다. 그런 다음에 새로 생긴 교회는 성장해 나가면서 복음을 자신의 문화 속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형상화시킬 것인가에 대해 자유롭게 배워 나가야 한다."


복음은 공동체 가운데서 올바른 상황화의 길을 간다. 

말씀을 기억하고 반복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성경을 지속적으로 읽고 묵상하며 세례와 성례전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통해서 이루어질 것이다. 


억압받는 상황과 여러 가지 상황 신학

- 라틴 아메리카 해방 신학, 흑인 신학, 여성 신학, 인도 댈리트 신학 : 이들은 성경을 탄합으로부터의 해방에 관한 이야기로 해석한다. 이들에게 그리스도인의 제자도의 핵심은 투쟁이 된다. 


올바른 상황화는 먼저 하나님을 주목한다.

올바른 상황화는, 복음이 정당한 우월성을 가지며 모든 문화에 침투할 수 있고 각각의 문화 안에서 그 문화의 언어와 상징을 가지고 이야기할 수 있음을 인정할 것이다. 복음은 진정으로 지역적인 동시에 에큐메니컬해야 한다. 


인간을 상황의 중심에 두는 접근법의 문제점

첫째, 나의 지식은 제한적이다.

복음은 자체가 독립적인 힘을 지니며, 복음 전도자의 손에 놀아나는 도구는 결코 아니다. 

둘째, 어떤 시대 상황에 대답을 주는것만이 목적이라면 복음은 어떤 프로그램의 들러리 밖에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복음이 진정으로 실감나게 살아 역사할 때 이런 일을 목격하는 당사자는 일을 성취하는 주권이 이제는 다른데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