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aul, aSilvanus, and Timothy,
To the church of the bThessalonians in God the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cGrace to you and peace.
a Acts 15:22; 2 Cor. 1:19; 2 Thess. 1:1; 1 Pet. 5:12
b See Acts 17:1
c Rom. 1:7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1:1.
 
데살로니가전서 1:1
1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는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 편지하노니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일반적으로 당시 서신은 인사말, 본문, 결론의 구조를 가진다. 
인사말도 세가지의 기본적인 요소로 구성되는데 첫번째 발신자의 이름 두번째 수신자와 세번째 형식적 인사말이다. 
 
바울이 실루아노와 디모데를 동역자로 함께 소개하고 있는 이유
If in fact Paul is the real author of 1 Thessalonians, why has he included the names of his fellow workers Silvanus and Timothy in the salutation? Two answers may be given. In the first place, Silvanus and Timothy shared in the missionary work at Thessalonica, and therefore as Paul’s colleagues they had a stake in the development of the church there. Their inclusion as co-senders of the letter thus strengthens the authority of the document by implying unanimity among Paul and his coworkers regarding the situation of the Thessalonians. Doty (Letters, 30) has suggested a second reason. In Hellenistic letters the carrier who was to deliver the letter was often mentioned in order to link him with the writer and thereby “guarantee that what he had to say in interpreting the letter was authorized by the writer.” Since Paul used various colleagues in this way, including Timothy, this may help explain the inclusion of Silvanus and Timothy in the prescript if one or both of them was to deliver the letter (see 3:1–5 on the use of Timothy as an emissary and substitute for Paul’s apostolic parousia or presence).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68.
 
1:1 Opening. Paul makes no mention of his apostolic status, perhaps because there are no false teachers challenging it within the Thessalonian church. Silvanus and Timothy were coworkers with Paul during his second missionary journey. Silvanus, or Silas, was a Judean Christian (Acts 15:22) who joined Paul after he separated from Barnabas (Acts 15:39–40). Timothy, of Lystra in south Galatia, was a son of a Jewish mother and Greek father and became partners with Paul when Paul passed through his hometown early on his second journey (see Acts 16:1–4; Introduction to 1 Timothy). Timothy had just returned from a visit to the Thessalonian church (1 Thess. 3:6), and his report is Paul’s major source of information as he writes. While Silas and Timothy are included as co-senders, Paul was clearly the main author (see 2:18; 3:5; 5:27). in God the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Believers enjoy a mysterious union with both the Father and the Son and hence are supremely secure and safe from spiritual harm. Grace … and peace. See note on Rom. 1:7.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5.
 
특별히 살전에서는 바울이 자신의 사도성을 강조하고 있지 않다. 이유는 데살로니가 교회 안에 바울의 사도의 지위에 대해서 도전하는 세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다른 서신서에서는 바울의 사도성이나 지위, 책임을 강조하는 내용이 첨언된 반면에 데살로니가서의 경우는 이러한 내용이 없다. 이는 그만큼 데살로니가 교인들과의 관계가 안정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바울이 처음 쓴 서신이기에 그만큼 도전도 적었고 이에 대한 준비도 적었을 것이다. 
In most of his letters Paul begins by identifying himself as an apostle (Rom. 1:1; 1 Cor. 1:1; 2 Cor. 1:1; Gal. 1:1) or as the slave or prisoner of Christ (Phil. 1:1; Phm. 1). The absence of such a self-identification in 1 Thessalonians (and 2 Thessalonians) is therefore noticeable but can perhaps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situation. In the case of Romans, 1 and 2 Corinthians, and Galatians, Paul’s status and authority were to some degree in question. In the case of Philippians and Philemon the self-description was intended to evoke respect and possibly sympathy from the recipients. Nothing in 1 Thessalonians indicates that Paul’s authority or status was in doubt among his readers, and Paul’s personal situation was certainly not as precarious at the time of writing as it was when Philippians and Philemon were written.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68.
 
- 실루아노 : 실라는 바나바와 헤어진 뒤 바울에게 합류한 유대출신의 그리스도인이었다. 실루아노(고후 17:1-9)가 라틴식 이름이라면 실라는 그리스식 이름이다. 행 15:22절에는 실라와 유다가 형제들 가운데 지도자로 소개되고 있다. 실라와 유다는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자로 안디옥 교회에 대한 사도들의 결정을 담은 서신을 전달하도록 임명된 인물이었다. 바울과 바나바는 요한 마가가 2차 선교여행에서 동행할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려 헤어지고 난뒤에 실라가 바울의 선교팀에 동참하게 된다. 바울은 실라가 앞서 예루살렘 교회의 인정을 받은 인물이었기에 자신의 선교활동을 위한 예루살렘 교회의 지원을 확실히 하기 모교회와의 연합과 일치를 위해서 그를 선택했을 것이다. 행 16:37에서 바울은 실라와 자신을 로마 사람으로 묘사한다. 
Acts tells us several other things about Silas that may help explain his role with Paul. After the Jerusalem conference recorded in Acts 15, Silas and a man named Barsabbas, both “leading men among the brothers” at Jerusalem (v. 22), were sent with a letter to the Gentile converts in Antioch, Syria, and Cilicia specifying certain moral and ritual purity practices that the Gentile Christians were to adhere to (vv. 22–34). According to 15:36–41, when Paul and Barnabas fell out over whether John Mark should accompany them on a second missionary journey, Paul took Silas with him. While we are unable to confirm these details from Paul’s own letters, it is not beyond the realm of possibility that Paul took Silvanus along precisely because he was a representative of the mother church in Jerusalem. By doing so he perhaps hoped to ensure the support of Jerusalem for his missionary activity and to emphasize the unity of his work with the mother church.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68–69.
 
사도행전 15:36–41
36며칠 후에 바울이 바나바더러 말하되 우리가 주의 말씀을 전한 각 성으로 다시 가서 형제들이 어떠한가 방문하자 하고
37바나바는 마가라 하는 요한도 데리고 가고자 하나
38바울은 밤빌리아에서 자기들을 떠나 함께 일하러 가지 아니한 자를 데리고 가는 것이 옳지 않다 하여
39서로 심히 다투어 피차 갈라서니 바나바는 마가를 데리고 배 타고 구브로로 가고
40바울은 실라를 택한 후에 형제들에게 주의 은혜에 부탁함을 받고 떠나
41수리아와 길리기아로 다니며 교회들을 견고하게 하니라
 
사도행전 15:22
22이에 사도와 장로와 온 교회가 그 중에서 사람들을 택하여 바울과 바나바와 함께 안디옥으로 보내기를 결정하니 곧 형제 중에 인도자인 바사바라 하는 유다와 실라더라
 
- 디모데 : 바울이 2차 선교여행 초기에 그의 고향을 지나갈 때 동역자가 되었다. 디모데는 남부 루스드라 출신으로 유대인 어머니와 헬라인 아버지를 두고 있었다. 특히 디모데는 갈라디아서와 에베소서를 제외하고 바울 서신의 공동 저자로 이름하고 있다.(고전 1:1; 빌 1:1; 골 1:1, 살전 1:1; 살후 1:1; 몬 1) 뿐만 아니라 디모데전후서의 수신자이다. 
- The name Τιμόθεος occurs in all the letters of the Pauline corpus except Galatians and Ephesians. In six letters Timothy is named as Paul’s co-writer (1 Cor. 1:1; Phil. 1:1; Col. 1:1; 1 Thes. 1:1; 2 Thes. 1:1; Phm. 1). 1 Cor. 4:17 and 16:10; Phil. 2:19–23; and 1 Thes. 3:1–6 make it clear that Timothy served as Paul’s special assistant and emissary to the churches when Paul was unable to be present.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69.
 
 
사도행전 16:1–3
1바울이 더베와 루스드라에도 이르매 거기 디모데라 하는 제자가 있으니 그 어머니는 믿는 유대 여자요 아버지는 헬라인이라
2디모데는 루스드라와 이고니온에 있는 형제들에게 칭찬 받는 자니
3바울이 그를 데리고 떠나고자 할새 그 지역에 있는 유대인으로 말미암아 그를 데려다가 할례를 행하니 이는 그 사람들이 그의 아버지는 헬라인인 줄 다 앎이러라
 
디모데는 유일하게 바울이 직접 할례를 행한 인물로 외조모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의 믿음을 이어받아 바울이 가장 사랑하는 제자, 영적 아들이 되었다. 
디모데후서 1:5
5이는 네 속에 거짓이 없는 믿음이 있음을 생각함이라 이 믿음은 먼저 네 외조모 로이스와 네 어머니 유니게 속에 있더니 네 속에도 있는 줄을 확신하노라
 
디모데는 데살로니가 교회를 방문했다가 방금 되돌아왔고 바울에게 데살로니가 교회의 상황을 전해준 인물이었다. 
 
“Silas” (the name consistently used in Acts) is a variant of the longer “Silvanus” (the name used in the rest of the NT, including the Greek text here).3 This Silvanus likely was the same person as the Silas mentioned in Acts who was a trusted leader of the church in Jerusalem (Acts 15:22, 27). He, along with Judas (also called Barsabbas), carried a letter to the Gentile church in Antioch from the Jerusalem church. Both men also were prophets, and they ministered to the church at Antioch (15:32, 34).4 Paul later chose the same man as his companion on the second missionary journey (Acts 15:40). The need to select a missionary companion other than Barnabas resulted from the disagreement between Paul and Barnabas over John Mark. The choice of Silas to fill this role probably was motivated both by his gifts (Acts 15:32) and by the esteem in which he was held by the Jerusalem church. His participation in the Gentile mission might well have given the mission credibility in Jewish circles, where Paul was considered theologically suspect. The narrative of the mission to Greece presents Silas as an equal to Paul but Paul as the main spokesman of the team (Acts 16:19, 25, 29; 17:4, 10, 14–15; 18:5). In addition to these references in Acts, Paul named Silvanus in 1 Thess 1:1; 2 Thess 1:1; and 2 Cor 1:19 as a coworker in the mission in Greece.5
Timothy is a prominent character both in Acts and in the Pauline corpus. He was a resident of Lystra and a member of the church there of whom the believers “spoke well.” As the son of a Jewish-Christian mother and a Greek father (probably a non-Christian), he had not been circumcised (Acts 16:1–3). After being recruited and circumcised by Paul, Timothy remained an associate of the apostle during his evangelization of Greece (Acts 17:14–15; 18:5) and his ministry in Ephesus (Acts 19:22; 20:4). He is named in six Pauline letters as a coworker (1 Corinthians; Philippians; Colossians; 1 Thessalonians; 2 Thessalonians; Philemon). Several times he served as a special emissary from the apostle (1 Cor 4:17; 16:10; Phil 2:19; 1 Thess 3:2, 6).6 In the several letters where he is mentioned, Timothy is accorded the respect of a faithful fellow worker in the gospel and at the same time lauded as a beloved son in the faith to Paul (Rom 16:21; 1 Cor 4:17; Phil 1:1; 2:19–23). He also is the named recipient of two letters.7
3 Silvanus (Σιλουανὸς) may be the Latinized form of the Greek name Silas (Σιλᾶς). Considering that the first mention of the man places him in Jerusalem as a representative of the Jewish Christian church, both names may well have been derived from a Semitic original. See BAGD, s.v. “Σιλουανὸς” and “Σιλᾶς.”
4 V. 34 contains a variant reading explaining that Silas decided to stay in Antioch. The variant is a scribal addition inserted to explain Silas’s presence in Antioch later in the narrative (15:40). See B.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UBS, 1971), 439.
5 Also see B. N. Kaye, “Acts’ Portrait of Silas,” NovT 21 (1980): 13–26.
6 See R. W. Funk, “The Apostolic Parousia: Form and Significance,” in Christian History and Interpretation: Studies Presented to John Knox, ed. W. R. Farmer et 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7), 249–68, for a discussion of the tasks and authority that characterized such apostolic emissaries.
7 See T. D. Lea and H. P. Griffin, Jr., 1, 2 Timothy, Titus (Nashville: Broadman, 1993), 19–53, for a general introduction to matters related to the authorship and the recipient(s) of 1, 2 Timothy.
 D. Michael Martin, 1, 2 Thessalonians, vol. 3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48–49.
 
바울은 이 편지를 데살로니가에 살고 있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쓴 것이 아니라 그 도시안에 있는 그리스도인들, 교회를 향해 썼다. 교회(에클레시아)는 어떤 특정한 건물이 아니라 함께 모인 사람들을 의미한다. 그러니까 '데살로니가인의 교회’라는 표현은 데살로니가인들로 구성된 그리스도인 공동체’를 의미한다. 
교회는 에클레시아로 원래 이 단어는 총회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는데(행 19:32, 39) 예수를 믿는 신자들의 무리를 뜻하는 의미로 전용되었다. 이 말의 동의어인 회당(시나고게)는 유대인의 모임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The letter is addressed to the church (ekklēsia). Ekklēsia was not a distinctively Christian word. It means “assembly” and was used of a variety of assemblies in the first-century world—social, political, or religious. Acts 19:32, 39, for instance, identifies as an ekklēsia the gathering of citizens in Ephesus to protest the work of Paul and the church. Ekklēsia is also a synonym for “synagogue” (synagōgē) and was occasionally used of Jewish assemblies in the Septuagint. The early Christian assemblies could have described themselves as ekklēsiai to distinguish their Christian assemblies from the Jewish synagōgai. It seems more likely, however, that ekklēsia was chosen as a word that was both understandable to the Gentile population and at the same time general enough so as not to prejudice the uninformed hearer regarding the character of the assembly.8 In other words, it was not so much separation from the synagogue as access to the Gentile world that made the term ekklēsia useful as a self-designation. Considering the degree of anti-Semitism in the first century Greco-Roman world, it would have been much easier for an inquirer to attend an ekklēsia than a synagōgē.
8 For a more detailed discussion see K. L. Schmidt, TDNT, s.v. “kaleō … ekklēsia.”
 D. Michael Martin, 1, 2 Thessalonians, vol. 3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49–50.
 
 
데살로니가의 신앙 공동체는 하나님의 교회 라 불리지 않고 “하나님 안에 있는‘ 교회 라고 불린다. 이 것은 바울 서신에서는 드문 표현이다. 바울 서 신에 서 “하나님 안에 있는” 이라는 말은 하나님 안에서 자랑함( 롬 2 : 17 : 5 : 1 1 ) 이나 하나님 안에 감추어짐 ( 엡 3 : 9 : 골 3 : 3) 이란 용례로 사용되었다. 반면에 “그리스도 안에 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 또는 ‘ 주 안에서”는 바울이 사용하는 특징적인 표현이 다. 특히 이 말은 “연합”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서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부활의 생명에 참여하는 것 또는 그의 몸의 지체가 되었음을 가리키는 말이 다. 만일 이 러한 의미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이라는 구절의 의미라면, ‘하나님 아버지 . . . ( 안에 있는) "도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할것이다. 이 것은 바울 서신 의 특징적인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베스트(Best, 62) 는 전치사 ‘ 안에"(낭/1 - 엔) 를 분명히 도구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여기 고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 암은 기독교 공동체” 라고 해석했다(WBC 62)
 
은혜와 평강
Paul wishes his readers grace and peace, as he does in all his letters. the context does not narrow the meaning of these words, which should therefore be taken in their widest sense. There is a considerable overlap of meaning between them. Grace here means, not physical gracefulness and not a specific favor, but God’s willingness to look upon Christians as his people, and to give them good gifts, such as forgiveness. In secular Greek peace meant the cessation or absence of war, just as it usually does in modern English. Paul, however, uses the term to mean a right and harmonious relationship among men or between men and God, a total well—being which God himself gives. TEV FrCL GeCL NEB, like older translations, retain the traditional nouns, grace and peace.
TEV Today’s English Version
FrCL French common language translation
GeCL German common language translation
NEB New English Bible
 Paul Ellingworth and Eugene Albert Nida, A Handbook on Paul’s Letters to the Thessalonians, UBS Handbook Series (New York: United Bible Societies, 1976), 3.
 
은혜(카리스) : 하나님께서 기꺼이 그리스도인들을 자신의 백성, 자녀로 여기시며 용서와 같은 선물을 주시려는 마음
평강(에이레네, 샬롬) : 전쟁의 중단 또는 부재 하지만 바울은 사람 사이 또는 사람과 하나님 사이의 올바르고 조화로운 관계, 즉 하나님께서 친히 주시는 완전한 웰빙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당시 ‘카이레인’이라는 표현이 헬라식의 편지의 서두에 인사말로 쓰였는데 이는 지금으로는 '친애하는(Dear)’에 해당하는 표현이다. 그런데 바울은 이를 ‘카리스’라는 신학적 표현으로 바꾸었다. 이는 형식적인 인사말을 신학적인, 기독교적인 표현으로 바꾸어 낸 것이다. 
In a play on words that produces a uniquely Pauline and distinctively Christian construction, the Greek salutation (chairein) “be glad” or “greeting” (which was stylized at the beginning of Hellenistic letters and had as little content in the first century as “Dear …” has for writers today) was replaced by (charis) “grace.” The Jewish greeting (shalom) “peace” is added in Greek (eirēnē). The combined effect turns a perfunctory “hello” into a theologically meaningful salutation. “Grace” would remind the reader of the goodness of a God who gives blessings even to those who are undeserving and particularly of the preeminent work of undeserved benevolence—the giving of his Son.12 “Peace” reflects the Hebrew wish for wellness and wholeness and ties the grace of the Christ to the foundation of the God of the Jews, the one true God.13
12 See H. Conzelmann, “χαίρω,” TDNT (which contains also a discussion of the Heb. equivalents of charis by W. Zimmerli); C. L. Mitton, “Grace,” IDB, and Holladay, “Grace in the Old Testament.”
13 See W. Foerster, “Εἰρήνη,” TDNT. Included in this article is a brief treatment of shalom by G. von Rad.
 D. Michael Martin, 1, 2 Thessalonians, vol. 3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51–52.
728x90

14 For rhe himself is our peace, swho has made us both one and has broken down tin his flesh the dividing wall of hostility 15 by abolishing the law of commandments expressed in uordinances, that he might create in himself one vnew man in place of the two, so making peace, 16 and might wreconcile us both to God in one body through the cross, thereby killing the hostility. 17 And he came and xpreached peace to you who were yfar off and peace to those who were znear. 18 For athrough him we both have baccess in cone Spirit to the Father.

r Ps. 72:7; Mic. 5:5; Zech. 9:10; [Col. 3:15]; See Luke 2:14

s See Gal. 3:28

t Col. 1:21, 22; [Rom. 7:4]

u Col. 2:14, 20

v See Rom. 6:4

w Col. 1:20–22; [1 Cor. 12:13]

x Isa. 57:19

y ver. 13

z Deut. 4:7; Ps. 148:14

a [John 14:6]

b ch. 3:12; [John 10:7, 9]; See Rom. 5:2

c ch. 4:4; 1 Cor. 12:13; [John 4:2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엡 2:14–18.

 

앞서 13절에서 이야기한 내용, ‘멀리 있던 너희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그리스도의 피로 가까와줬다’라는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오늘의 본문이다. 13절에서 너희가 이제 14절부터 우리로 바뀐다. 그리고 계속해서 17절에 너희, 18절에 우리로 표현된다. 

바르트는 말하기를 “그리스도를 말하는 것은 평화에 대해 말하는 것이고, 평화를 말하는 것은 그리스도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To say Christ—that is to speak of peace. To speak of peace—that is to speak of Christ!”

 Klyne Snodgrass, Ephesian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1996), 129.

 

14절) 

중간에 막힌 담, 분리하는 벽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예루살렘 성전의 바깥 뜰, 이방인의 뜰에는 이방인들에 대해서 그들이 이 벽을 통과해 안으로 들어오면 죽임을 당할 것이라는 경고가 적혀 있다. 구약의 성막은 성소와 지성소를 휘장으로 나누고 있었다. 이 지성소는 함부로 들어갈 수가 없고 대제사장의 경우라도 죄를 지으면 죽임을 당하였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시는 순간 상징적으로 성소의 휘장이 위에서 아래로 갈라지게 되었다. 바로 이것이 십자가로 둘을 하나로 만들고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신 상징적인 사건이다. 

그리스도는 그분 스스로 화평이실 뿐만 아니라 화평케하시는 분이시다. 그분의 십자가로 말미암아 수직적인 화평(하나님과 인간의 관계)과 수평적인 화평(유대인과 이방인의 관계)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 수평적인 화평은 단지 적대감의 부재가 아니라 서로를 용납하고 사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오늘의 본문 14, 15, 17절에 화평(에이레네)가 4번 등장한다. 본문속에서 화평은 연합, 나뉨과 적대감을 없애는 것, 접근과 화해를 의미한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화평이시다. 또한 그리스도는 화평을 이루시는 분이고 그리스도는 화평을 선포하셨다. 바울은 가능한한 그리스도와 화평을 연결시킨다. 그는 화평을 가능케 하시는 분이시고 그것의 유용성을 선포하시고 그분안에서 화평을 누릴 수 있다. 

 

바울신학의 여러 중요 주제들은 화평과 관련되어 있다. 

  • 하나님은 화평의 하나님이시다. 

  • 복음은 평화의 복음이다. 

  • 성령의 생각은 생명과 평화이다. 

  • 평화는 종말론적인 보상이다. 

  • 평화는 구원과 동등하며 하나님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 그 왕국은 성령안에서 의와 평강과 희락이다. 

  • 화평은 인간 관계의 목표이다. 

  • 화평은 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이다. 

  • 성령의 열매는 화평이다. 

  • 평강은 우리 마음을 지키고 마음을 지킨다.

 

화평은 단순히 적대감의 중단이 아니다. 그것은 구원과 하나님과의 삶에 대한 포괄적인 용어이다. 이러한 사용의 배경이 되는 것이 구약에 사용된 샬롬의 의미이다. 이는 온전함, 육체적인 안녕, 풍요, 안전, 좋은 관계 그리고 고결한 상태를 의미한다. 다윗은 심지어 그의 전쟁에서 샬롬을 묻는다. 샬롬은 단지 분쟁이 부재한 상태보다 더 긍정적이다. 그것은 그래야만하는 삶의 방식이며 오직 그분의 임재안에서만 받을 수 있는 하나님의 선물입니다. 다양한 본문에서 샬롬은 공의, 정의, 구원과 하나님의 통치와 동일시 된다. 여호와는 화평이시다. 여호와는 평화의 언약을 그의 백성들과 맺고 평화를 가져올 것을 약속하신다. 평화는 미래에 대한 위대한 예언들에게 보여지는 바대로 그의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뜻이시다. 

본문 14-18절 속에서 평화는 뜻밖에 파괴적이면서 동시에 건설적인 행위로 묘사된다. 나뉨과 적대감은 파괴되어야만 하고 연합과 평화는 확립되어야 한다. 화평과 화해는 수평적, 수직적 차원 모두에서 일어나야 한다. 일차적인 초점은 먼저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에 수평적인 평화를 세우는 것입니다. 14절의 그 둘은 11-12절에서 언급된 두 부류로 유대인과 이방인들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은 하나의 새로운 존재가 되었습니다. 

동시에 “그는 우리의 화평이시라”는 표현은 수직적인 차원을 묘사한다. 우리는 하나님과 화평합니다. 인류와 하나님 사이의 적대감은 16절에 “그들의 적대감, 원수된 것을 죽이라”는 표현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리스도는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을 새로운 존재로 참가시키셨을 뿐만 아니라 그들 양쪽 모두를 한 몸으로 하나님의 임재로 인도하십니다. 

17절에서 ‘먼데 있는 너희에게 평안을 전하시고 가까운 데 있는 자들에게 평안을 전하셨다”는 그리스도의 선포는 사도들과 선교사들이 이방인과 유대인들에게 전한 내용을 말하며 문자그대로 그리스도께서 전파하신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 문구는 바울이 그 자신과 다른 선포자들이 얼마나 그리스도를 대신하는 자로 보았는지를 보여준다.  

Peace dominates this section both explicitly (vv. 14, 15, 17 [twice]) and implicitly (unity, destruction of division and hostility, access, and reconciliation). Christ is our peace, makes peace, and proclaims peace. Paul seeks to connect Christ and peace as comprehensively as possible. He is the one who makes peace possible, who announces its availability, and in whom peace is enjoyed. This theology of peace is both a Christological and a soteriological statement.

The word for peace (eirene) occurs forty-three times in Paul’s letters, eight of which are in Ephesians (1:2; 2:14–17; 4:3; 6:15, 23). Peace is a central and fundamental component of Paul’s theology. Virtually every topic of doctrinal significance is brought into relation to peace. In addition to occurrences in greetings and blessings, note the following:

God is a God of peace (Rom. 15:33; 16:20; 1 Cor. 14:33; 2 Cor. 13:11; 1 Thess. 5:23).

Christ is the Lord of peace who gives peace (2 Thess. 3:16).

The gospel is a gospel of peace (Eph. 6:15).

The mindset of the Spirit is life and peace (Rom. 8:6),

Peace is an eschatological reward (Rom. 2:10),

Peace is equivalent to salvation and describes relation to God (Rom. 5:1),

The kingdom is righteousness, peace, and joy in the Holy Spirit (Rom. 14:17),

Peace is the goal for human relations (Rom. 14:19; Eph. 4:3; 2 Tim. 2:22).

Peace is the foundation for problem solving (1 Cor. 7:15; 14:33).

The fruit of the Spirit is peace (Gal. 5:17).

Peace guards our hearts (Phil. 4:7) and rules in them (Col. 3:15).

With such varied use it is not surprising that Paul summarizes the gospel by saying, “He [Christ] is our peace.” Peace is not merely the cessation of hostility; it is a comprehensive term for salvation and life with God. The background to this use is the Old Testament concept of shalom, which covers wholeness, physical well-being, prosperity, security, good relations, and integrity.23 David even asks about the shalom of his war (2 Sam. 11:7; niv, “how the war was going”)! Shalom is much more positive than merely the absence of conflict. It refers to the way life should be and is a gift of God that is received only in his presence. In various texts shalom is equated with righteousness, justice, salvation, and the reign of God.24 Yahweh is peace (Judg. 6:24), makes a covenant of peace with his people, and promises one who will bring peace.25 Peace is what God wills for his people, as can be seen in the great prophecies about the future.26

In 2:14–18 peace is unexpectedly both a destructive and a constructive act. Division and hostility had to be destroyed, and unity and peace established. Peace and reconciliation (v. 16) take place o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levels. Most of the focus initially is placed on the horizontal peace established between Jews and Gentiles. “The two” (v. 14) refers to the two parties mentioned in verses 11–12, the Jews and the Gentiles,27 and the mention of the law (v. 15) and of Gentiles being included with God’s people (v. 19) is further confirmation. In Christ, Jews and Gentiles are made into one new being.

At the same time, “he himself is our peace” describes the vertical dimension. We have peace with God (Rom. 5:1). Hostility between humanity and God is at least implied here and may be explicit in 2:16 with the words “put to death their hostility”28 (if this does not refer again to the hostility between Jews and Gentiles; see Rom. 5:8–10). Christ not only joins Jews and Gentiles into a new being, but he ushers both of them in one body into God’s presence.

Christ’s preaching of “peace to you who were far away and peace to those who were near” (v. 17) refers to the preaching done by the apostles and missionaries to Gentiles and Jews respectively, not literal preaching by Jesus. But this phrase does show how much Paul viewed himself and other proclaimers as representatives of Christ. “Preached peace” is adopted from Isaiah 52:7 (cf. also Zech. 9:10).29

23 As examples, see Genesis 37:14 (niv, “well”); Psalm 38:3 (niv, “health”); 73:3 (niv, “prosperity”); Leviticus 26:6; Judges 4:17 (niv, “friendly relations”); Zechariah 8:16 (niv, “sound” judgment). For good discussions of peace see Ulrich Mauser, The Gospel of Peace (Louisville: Westminster/John Knox, 1992); Perry B. Yoder, Shalom: The Bible’s Word for Salvation, Justice, and Peace (Newton, Kans.: Faith and Life, 1987).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24 See Leviticus 26:3–23; Psalm 34:14; 37:37–40; 85:10; 119:165; Isaiah 32:16–17; 52:7 (to which allusion is made in Eph. 2:17).

25 See Numbers 6:26; 25:12; Isaiah 54:10; Ezekiel 34:25; 37:26; Malachi 2:5; for the promise of one who will bring peace, see Isaiah 9:1–7; 11:1–9; Micah 5:2–5; Zechariah 9:9–10.

26 Such as Isaiah 2:2–4; 11:1–9; Jeremiah 29:11 (niv, “prosper”).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peace in the New Testament is no less important. Not surprisingly, the first word of the risen Christ to his disciples in the Gospel of John is “peace.”

27 That the neuter is used for “the two” (rather than the masculine as in 2:16 and 18) is no proof that reference was originally to two parts of the cosmos (contra Lincoln, Ephesians, 128–29). The neuter and the mixing of genders often occur in reference to people (note, e.g., John 1:11; 6:39–40; 1 Cor. 1:27–28).

28 Literally, “having killed the hostility in himself.” The phrase means that the killing takes place in his own being, not that the hostility is his.

29 Koshi Usami, Somatic Comprehension of Unity: The Church in Ephesus (Rome: Biblical Institute Press, 1983), 53–55, suggests that Paul intentionally avoided the pronoun “we” in verse 17, in order not to express an attitude of superiority.

 Klyne Snodgrass, Ephesian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1996), 129–131.

 

본문에서 막힌 담, 나누는 벽이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다. 

  1. 육체

  2. 영지주의 본문에서 언급된 하늘과 땅 사이의 우주적 장벽

  3. 율법

  4. 성전에서 성소와 지성소를 가르는 휘장

  5. 이방인의 뜰과 유대인의 뜰을 나누는 성전의 장벽(행 21:28-29)

예루살렘 성전에 이방인의 뜰과 유대인의 뜰에는 요세프스와 필로의 기록에 의하면 라틴어와 헬라어로 이 벽을 넘어가면 죽음을 당한다라고 쓰여있었다고 한다. 실제로 행 21:28-29에 바울이 드로비모를 데리고 들어갔다라고 고소한 내용이 등장한다. 

하지만 본문에서 단지 물리적인 성전의 장벽만을 의미하는 것은 너무 좁게 해석한 것으로 보인다. 

 

15절) 법조문과 율법의 역할은 의도하던 의도하지 않았던 다른 나라들과 이스라엘을 나누는 역할을 했다. 

그리스도는 모세의 율법으로 대변되는 옛 언약을 모든 믿는 자들을 위한 새언약으로 대치하셨다. 옛 언약을 폐하시고 새 언약을 세우신 것이다. 결과적으로 모세 율법은 더이상 유대인과 이방인 신자들 사이의 장벽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새 언약의 신자들이 모세의 율법하에 있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기억해야할 것은 그들이 그리스도의 법아래에 있다라는 것이다. 

신약의 바울서신에 이 화평(에이레네)라는 단어가 43번 등장하는데 이 에베소서에 8번이 사용된다. 이처럼 화평(평안, 평강)은 바울 신학의 중심적, 기초적인 구성요소이다. 

Christ sets aside the old covenant with its Mosaic law and replaces it with a new covenant for all believers. Consequently, the Mosaic law cannot serve as a barrier between Jewish and Gentile believers. Although new covenant believers are not under the Mosaic law, they are under “Christ’s law” (1 Cor 9:21; cf. Matt 5:17; Rom 3:31; Gal 6:2).

cf. compare, confer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403.

 

본문에서 율법을 폐하셨다라는 표현은 종종 오해를 받는다. 이것이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율법이나 도덕적인 지침을 파괴했다라는 의미가 아니다. 여기서 폐한 것은 바로 이방인을 제외시키는 규정으로서의 일련의 율법을 폐한 것이다. 유대인들은 애써서 이방인들에게 할례를 행하거나 제사, 음식법을 강요함으로 그들이 유대인이 될 것이라고 했지만 바울은 이러한 것을 폐한 것이다. 본문에서 가장 말하고 싶은 것은 하나님에 의해 그리스도안에서 이방인들이 유대인들과 함께 동등한 위치에 서 있다라는 것이다. 이러한 장벽 철폐는 바로 그리스도의 몸안에서 이루어졌다. 11절에서 ‘육체로는’이 문제의 핵심이었는데 이제 14절에서 ‘자기의 육체로’이것을 허셨다. 이는 바로 그분의 성육신과 십자가의 죽음을 의미한다. 그리스도는 자신의 죽음을 통해서 그 적대감을 없애셨다. 갈 3:13절은 이렇게 말한다. 

(갈 3:13, 개정)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으니 기록된 바 나무에 달린 자마다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그리스도께서는 자신 스스로 제사장으로서 또한 희생제물이 되신 것이다. 

 

14-16절에서 화목하게 함은 파괴적이며 건설적인 행동임을 보여준다. 본절에서 그리스도안에서 이 둘이 어떻게 일어났는지 4가지 표현을 사용한다. ‘자기 육체로’, ‘자기 안에서’, ‘한 몸으로’, ‘십자가로

이처럼 그리스도는 적대감을 제하시고 파괴하셨을 뿐만 아니라 그분안에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셨다. 이는 죽음과 부활을 통한 새창조를 의미한다. 

 

하나됨, 연합은 이 서신의 주요 주제이다. 14-18절에서 4번의 확언이 이루어진다. 

  1. 둘로 하나를 만듬(14절)

  2. 둘로 자기 안에서 한 새 사람을 지음(15절)

  3. 이 한 몸안에서 그들 둘을 화해시킴(16절)

  4. 우리 둘이 한 성령안에서 아버지께 나아감을 얻음(18절)

 

화목, 화해는 ‘아포카탈라쏘’라는 단어이다. 신약에서 각각의 화해에 관한 단락의 초점은 서로 다르다. 롬 5:10-11에서는 하나님과 죄인간의 화해에 초점을 맞춘다. 고전 5:18-21에서는 하나님께서 자신과 우리(세상)를 화목케하시고 우리에게 화목하게 하는 직책을 주신다. 골 1:20-21에서 하나님은 자신과 하늘과 땅의 모든 것을 화목케하신다. 엡 2:16에서는 두가지의 화해가 일어나는데 이것은 하나님과 인간과 유대인과 이방인간의 화해이다. 하나님은 화목케하시는 분이시고 인간은 화목케되어지는 존재들이다. 하나님 혹은 그리스도가 화목케하신다. 이 일의 주도권은 항상 하나님께 있다. 십자가는 사람들과 그분 자신과 화목케하기위한 하나님의 행동이다. 사람들이 하나님을 대적하고 진노하심에도 그분은 사랑하시고 관계를 화목하게 하시기 위해서 일하신다. 이 화목의 결과는 ‘아버지께 나아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 나아감의 의미는 왕께 나아감이나 성전에서 하나님께 나아가는 의미를 지닌다. 바로 성령께서 우리를 하나님께로 인도하시는 역할을 감당하고 계신다. 

Reconciliation. This passage is one of the few that discuss the doctrine of reconciliation, which focuses on the restoration of broken relations. In the New Testament this language appears only in Paul’s letters, and then only infrequently.46 The verb to “reconcile” (apokatallasso) does not occur prior to Paul’s use, and in the New Testament appears elsewhere only in Colossians 1:20 and 22.47 In each reconciliation passage the focus is different. Romans 5:10–11 focuses on reconciliation between God and sinners who are enemies. In 2 Corinthians 5:18–21 God reconciles us/the world to himself and gives us the ministry of reconciliation. In Colossians 1:20–21 God reconciles to himself all things on earth and in heaven. In Ephesians 2:16 a double reconciliation occurs—that between God and humanity and that between Jews and Gentiles.

In New Testament texts, God is always the one who does the reconciling. Human beings are reconciled; God (or Christ) reconciles. The initiative always lies with God. The cross is God’s act to reconcile people to himself, not an act by which he is reconciled. Even when people are hostile to God and God is angry, he loves and works to restore relations.

46 See Romans 5:10–11; 11:15; 2 Corinthians 5:18–21; Ephesians 2:16; Colossians 1:20–22. Still, Ralph Martin considers it the center of Paul’s theology. See “Center of Paul’s Theology,” Dictionary of Paul and his Letters, eds. Gerald F. Hawthorne and Ralph P. Martin (Downers Grove, Ill.: InterVarsity, 1993), 92–95; see also his Reconciliation: A Study of Paul’s Theology (Atlanta: John Knox, 1981); Peter Stuhlmacher, “Jesus as Reconciler, Reflections on the Problem of Portraying Jesus Within the Framework of a Biblical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Reconciliation, Law, and Righteousness, 1–15.

47 Paul may have coined the word; other Pauline texts use the verb katallasso and the noun katallage

 Klyne Snodgrass, Ephesian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1996), 135.

 

728x90
Jesus Heals a Woman and Jairus’s Daughter
21 And when Jesus had crossed again in the boat to the other side, a great crowd gathered about him, and he was beside the sea. 22 hThen came one of ithe rulers of the synagogue, Jairus by name, and seeing him, he fell at his feet 23 and implored him earnestly, saying, “My little daughter is at the point of death. Come and jlay your hands on her, so that she may be made well and live.” 24 And he went with him.
And a great crowd followed him and kthronged about him. 25 And there was a woman lwho had had a discharge of blood for twelve years, 26 and who had suffered much under many physicians, and had spent all that she had, and was no better but rather grew worse. 27 She had heard the reports about Jesus and came up behind him in the crowd and touched his garment. 28 For she said, “If I touch even his garments, I will be made well.” 29 mAnd immediately the flow of blood dried up, and she felt in her body that she was healed of her ndisease. 30 And Jesus, perceiving in himself that opower had gone out from him, immediately turned about in the crowd and said, “Who touched my garments?” 31 And his disciples said to him, “You see the crowd pressing around you, and yet you say, ‘Who touched me?’ ” 32 And he looked around to see who had done it. 33 But the woman, knowing what had happened to her, came in fear and trembling and fell down before him and told him the whole truth. 34 And he said to her, “Daughter, pyour faith has made you well; pgo in peace, and be healed of your ndisease.”

h For ver. 22–43, see Matt. 9:18–26; Luke 8:41–56
i Luke 13:14; Acts 13:15; 18:8, 17
j ch. 6:5; 7:32; 8:23, 25; 16:18; Matt. 9:18; Luke 4:40; 13:13; Acts 9:12, 17; 28:8
k ver. 31; ch. 3:9
l Lev. 15:25
m Matt. 15:28; 17:18
n See ch. 3:10
o Luke 5:17; 6:19; 8:46; [Acts 10:38]
p See Luke 7:50
p See Luke 7:50
n [See ver. 29 above]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막 5:21–34.

21절) 예수님께서 배를 타고 다시 맞은 편으로 건너가셨다. 앞서 데가볼리에서 광인을 고치시고 다시금 갈릴리로 돌아오신 것이다. 이에 큰 무리가 그에게로 모여들었다. 예수님의 가르침과 그분의 이적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그분에게 관심을 가지고 찾아왔다. 앞서 17절의 거라사 지방에서는 예수님께 떠나달라고 요청했지만 이 지경의 무리들은 열렬히 주님을 환호했다. 

22-24절) 회당장 야이로가 예수님께 나아와 엎드려 자신의 어린 딸이 죽게 되었으니 오셔서 고쳐달라고 강청한다. 이에 예수님께서는 야이로와 함께 그의 집을 향해 가시는데 이때에 많은 무리가 예수님을 에워싸며 따라갔다. 
본문의 회당장(ruler of the synagogue, 아키시나고고스)은 말그대로 회당의 리더를 말하는데 회당의 모임을 인도하거나 가르치는 역할을 하는 이를 말한다. 본문의 회당장은 일반적으로 예수님을 반대하던 무리들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Officials of Jewish synagogues included a ruler or president, who had the responsibility for conducting worship and instruction, and the attendant (Luke 4:20), who was in charge of the building and its contents. Both were laymen. Some synagogues had more than one person with the title of ruler (cf. Acts 13:15). A synagogue ruler was an important and highly respected person. This ruler’s attitude toward Jesus contrasts sharply with that of some others (cf. Luke 13:14) and the scribes and Pharisees in general. Whether or not he had had previous contact with Jesus, he believed that Jesus could and would heal his daughter.
 James A. Brooks, Mark, vol. 2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1), 93.
마태의 경우 이 회당장의 이름을 생략한다.(9:18) 반면 누가는 그를 야이로라고 부른다.(8:41) 

병고침을 행하실때 손을 얹는 행동, 안수는 당시 유대인들이나 이방인들 사이에서 일반적인 행동이었다. 본문의 구원을 받아라고 표현된 단어는 “소조”라는 헬라어로 직접적인 위협으로부터 건짐, 어려운 상황으로부터 안전하고 좋게 옮겨짐이라는 의미이다. NIV는 “healed”로 , ESV는 “be made well”로 표현하고 있다. 마가복음 5장의 모든 이적에서 육체적인 치유의 사건은 영적인 구원의 비유이다. 
1. “to deliver from a direct threat,” 2. “to bring safe and sound out of a difficult situation.”
 Werner Foerster, “Σῴζω, Σωτηρία, Σωτήρ, Σωτήριος,” ed. Gerhard Kittel, Geoffrey W. Bromiley, and Gerhard Friedrich,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Eerdmans, 1964–), 965.
Healing by the imposition of hands is referred to again in 6:5; 7:32; 8:23, 25 and was common in Jewish and pagan circles but not in the Hebrew Bible.37 The verb translated “healed” elsewhere means save. It appears again in vv. 28 and 34. Certainly in v. 34 its meaning borders on salvation in the theological sense. In all the miracles of Mark 5, physical healing is a parable of spiritual deliverance.
37 It does occur in 2 Kgs 5:11 LXX.
 James A. Brooks, Mark, vol. 2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1), 93–94.

25-28절) 이 여인은 12해동안 혈루증을 앓으며 고통받아왔다. 많은 의사에게 진찰을 받고 가산을 탕진했지만 나아지지 않았고 도리어 더 증상이 심해질 뿐이었다. 이에 예수님의 이야기는 그녀로 하여금 용기를 내어 그분앞에 나아가게 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정결법을 어기고 무리들앞에 나아가 예수님의 옷을 만지게 된 것이다. 
예수님께서 회당장 야이로의 딸을 고치기 위해서 그 집을 향해 가시던 중에 많은 무리가 그분을 따랐는데 그 가운데 12해를 혈루증으로 앓고 있던 여인이 있었다. 지금 마가는 의도적으로 야이로의 딸을 고치러 가는 도중에 혈루증 여인을 치유하시는 이적을 배치시기고 있다. 이 혈루증은 부정한 병으로 사람들에게 자신의 부정한 상태를 알리지 않은 상태에서 공개적인 자리에 나갈 수 없었다. 지금 여인은 예수님을 만짐으로 고침을 받으려고 했는데, 이는 의식법상으로 만짐을 당한 상대를 부정하게 만드는 것이 된다. 하지만 우리의 주님은 이러한 정결법보다 크신 분으로 자신이 부정하게 되는 대신에 그 여인을 깨끗하게 만드실 수 있는 분이시고 그렇게 하셨다. 
While Jesus is on his way to heal Jairus’s daughter, Mark interjects the simultaneous event of the healing of the woman with a constant discharge of blood (vv. 25–34; see note on Matt. 9:20). On account of her condition, she is ceremonially unclean (cf. Lev. 15:25–28) and is not permitted to enter the temple section reserved for women; nor is she permitted to be in public without making people aware that she is unclean. By touching Jesus’ garment, she technically renders him ceremonially unclean (cf. Lev. 15:19–23), but Jesus is greater than any purity laws, for he makes her clean by his power instead of becoming unclean himself (cf. Mark 1:41; 5:41).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902.

예수님의 옷을 만지려는 행동은 당시 사람들이 이처럼 의복을 만지거나 심지어 어떤 이의 그림자에도 능력이 있다고 생각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woman’s determination to touch Jesus’ clothing reflects the ancient idea that the power of a person extended to one’s clothing (cf. 6:56; Acts 19:11–12) or one’s shadow (Acts 5:15).
 James A. Brooks, Mark, vol. 2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1), 96.

29-31절) 여자의 생각대로 그녀가 예수님의 옷을 만졌을때 그녀의 혈루 근원이 곧 말랐고 그녀는 자신의 몸에 병이 나은 줄을 깨달았다. 그러자 예수님께서는 자신의 몸에서 능력이 나간 줄을 아시고 무리가운데 돌이키셔서 말씀하셨다. “누가 내 옷에 손을 대었느냐?”, 이에 제자들이 조금은 빈정대는 말투로 이렇게 사람이 많아서 에워싸 밀고 있는데 누가 손을 대었다고 묻는거지라고 말했다. 본문속에서 예수님의 신성을 또한번 보게 된다. 많은 무리들로 인해서 예수님과 접촉하는 많은 이들이 있었을 것이다. 아무런 의도 없이 예수님의 옷에 손을 대는 이들도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여인이 자신의 병이 고침을 받을까하여 조심스럽게 그분의 옷에 손을 댔고 실제로 능력이 나가서 그녀는 병고침을 받았다. 그런데 바로 그때 예수님께서는 이 사실을 알고 누구냐?라고 물으시는 것이다. 예수님의 이 질문의 의도가 무엇인지 궁금해진다. 정말 누군지 몰라서 물으시는 것인지, 누구인지 그리고 왜 그랬는지 다 아시면서 이 여인으로 하여금 고백하게 하시고 구원의 자리로 이끄시기 위해서 기회를 주고 계신 것인지?? 본문속에 제자들의 비꼬는 듯한 질문이 나오는데 마태는 이를 생략했고, 누가는 이를 축소해서 표현하고 있다. 
The disciples’ sarcastic reply is an example of Markan candor that is omitted by Matthew (cf. 9:20–22) and toned down in Luke (8:45).
 James A. Brooks, Mark, vol. 2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1), 96.
29절에서 마르다, 깨닫다로 사용된 단어의 시제가 모두 부정과거인데 이는 이미 완료된 행동을 표현할때 사용된다. 
The miracle is extraordinary because it was performed without conscious effort on Jesus’ part, although he immediately realized what had taken place. On the one hand, Mark may have seen in Jesus’ awareness a sign of his deity; on the other, he candidly described the limitations of Jesus’ humanity (also v. 32). Although some think Jesus knew all the while who had touched him and asked only to induce the woman to confess publicly her deed, more likely he needed to learn the person’s identity. Self-limitation of the earthly Jesus is not incompatible with omniscience of the risen Christ. Mark, perhaps better than any other New Testament writer, realized that. Another purpose of Jesus’ question may have been to begin to lead the person to a confession of faith.
 James A. Brooks, Mark, vol. 2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1), 96.

32-34절) 이에 예수께서 이일을 행한 이를 찾기 위해서 둘러보시자 여자가 나아와 자기에게 일어난 모든 일을 알고 두려워하여 떨며 나아와 모든 사실을 이야기했다. 여자는 지금 중요한 일을 위해서 급히 가시는 예수님의 행차를 멈춰서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분을 부정케 한 것에 대해서 예수님이 꾸지람을 하실 것을 예상하고 두려워하며 나아와 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예수님께서는 “딸아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으니 평안히 가라. 네 병에서 놓여 건강할 지어다”라고 구원과 치유의 선언을 하고 계신다. 결국 이 여인이 두려움앞에 서는 용기가 그녀를 구원으로 인도하였다. 
예수님께서는 지금 이 여인의 치유가 물리적인 접촉이나 마술이 아니라 그녀의 믿음으로 인한 것임을 선포하고 계신다. 본문의 구원하였다는 “소조”는 완료시제이다. 또한 주님은 그녀의 육체적인 치유 뿐만 아니라 그녀의 영적인 구원을 선포하시는데 본문의 평안히 가라는 표현은 전쟁의 부재나 문제가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고난 속에서도 평정심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 평안 “에이레네”는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로 인한 온전하고 평안한 상태를 의미한다. 
Jesus explained to the woman that she had been healed not through physical touch or any kind of magic but by faith. Again Mark or those before him who transmitted the story chose the perfect tense of the Greek verb meaning to save (sōzō) to translate Jesus’ Aramaic word. That Jesus affirmed not only the woman’s healing but her spiritual salvation as well is highly probable. He affirmed the permanence of both. He further pronounced the peace of God upon her. The biblical concept of peace does not refer to the absence of war and other kinds of trouble. To the contrary, it is something that can exist even in the midst of conflict. It is a status of wholeness and well-being because of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James A. Brooks, Mark, vol. 2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1), 96–9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