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5 “I have said these things to you in figures of speech. uThe hour is coming when I will no longer speak to you in figures of speech but will tell you plainly about the Father. 26 In that day you will ask in my name, and I do not say to you that I will ask the Father on your behalf; 27 vfor the Father himself loves you, because wyou have loved me and xhave believed that I came from God.1 28 yI came from the Father and have come into the world, and now zI am leaving the world and going to the Father.”
29 His disciples said, “Ah, now you are speaking plainly and not ausing figurative speech! 30 Now we know that byou know all things and do not need anyone to question you; this is why we believe that cyou came from God.” 31 Jesus answered them, “Do you now believe? 32 Behold, dthe hour is coming, indeed it has come, when eyou will be scattered, each to his own home, and fwill leave me alone. gYet I am not alone, for the Father is with me. 33 I have said these things to you, that hin me you may have peace. iIn the world you will have jtribulation. But ktake heart; lI have overcome the world.”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요 16:25–33.

예수의 인성은 공간에 제한을 받지만 그분의 신성은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편재하신다. 

25절) 비사로 말씀하시는 주님, 이는 ‘파로이미아이스’라는 헬라어로 비유적으로 말하다라는 의미이다. 하나님과 구원의 실제에 대한 내용을 인간들에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런 시도는 필수적이었다. 새시대-주님이 부활하시고 성령이 오심으로 임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해서 여러 비유적인 해석들이 필요했다. 
The Greek paroimiais, which can be rendered “figuratively” (NIV) or “in figures of speech” (NRSV), is undoubtedly an attempt to communicate to earthbound humans ideas of the reality of God and of salvation.
 Gerald L. Borchert, John 12–21, vol. 25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2), 177

26-27절) 그날에는 주님이 우리를 위하여 구할 필요가 없이 우리가 직접 주님의 이름으로 구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우리가 주님을 사랑하고 주님이 하나님께로서 오신줄을 믿기 때문에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사랑이다. 그 사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주님을 향한 우리의 사랑과 믿음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가 있을때 우리는 주님의 이름으로 구할 수 있고 그러면 하나님께서 이 일을 이루실 것을 약속하신다. 
The unity of the Godhead is once again stressed in the fact that Jesus did not come on his own but came from God/the Father,309 which is similar to the fact that the Spirit/Paraclete proceeded from the Father (cf. 15:26).
309 Although there is strong support for “the Father” here from manuscripts like Vaticanus and some Western readings, the most likely reading here is “God.” Cf. Metzger, Textual Commentary, 248.
 Gerald L. Borchert, John 12–21, vol. 25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2), 179.

28절) 주님의 사명 : 1) 아버지 하나님의 대리자로 성육신 하심으로 오신 주님, 2) 하나님의 말씀을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역할로 오심, 3) 예수의 십자가와 죽음을 통해 의도된 시간에 주님의 떠나심, 4) 아버지 하나님께로 영광스럽게 돌아가셔서 그분을 따르는 이들을 위한 처소를 준비하시는 것으로 완성됨
the mission of Jesus. Thus (1) it encapsulates his coming as the incarnate representative of the Father (1:1, 9, 14) and (2) his entering the world to serve as the unique agent of God in communicating God’s message to humans (5:19–30). In addition, (3) it highlights the traumatic departure of Jesus in the arrival of that fateful but purposeful hour of the crucifixion/death of Jesus (12:23–24, 27; 19:30), and (4) it culminates in his victorious going back to the Father and preparing a place for his followers (14:2).
 Gerald L. Borchert, John 12–21, vol. 25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2), 179.

29-30절) 제자들의 고백 : 주께서 모든 것을 아시고 사람의 질문, 물음이 필요없으신 분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당신이 하나님께로부터 오심은 믿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결국 이들의 믿음의 고백과 실제는 차이가 있었다. 이내용에 대해서 이제 주님게서 말씀하신다. 

31절) 예수님께서 위의 제자들의 믿음의 고백을 들으시고 이를 다시 확인하신다. 왜냐하면 우리 인간들에게 있어서 믿음의 고백과 실제 삶에는 언제나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32절) 제자들, 주님을 따르던 이들이 각각 주님을 버려두고 흩어질게 될 것음 말씀하심. 이는 슥 13:7의 실현이다. 
Jesus’ prediction of a coming hour at which each of his followers will be scattered, each to his own home (cf. 19:27) probably alludes to Zech. 13:7 (quoted in Matt. 26:31 par.; cf. Matt. 26:56b). The shepherd will be deserted by his sheep.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58.
믿음의 고백을 한 제자들에게 폭탄발언을 하신다. 너희가 나를 버리고 흩어질 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제자들이 주님을 버릴찌라도 주님이 제자들을 버리지 않으신 다는 것이다. 바로 주님이 홀로 계신 이순간 아버지 하나님께서 함께 계신다. 
The glue of Christianity is not the disciples; it is Jesus, who will not abandon the disciples or let them become orphans (14:18) even though they would leave Jesus when the pressures come to them (16:32).
 Gerald L. Borchert, John 12–21, vol. 25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2), 181.

33절) 이를 말씀하시는 이유는 바로 우리가 세상에서 환난을 당할 것이지만 담대하게 평안을 누리게 하기 위해서 이다. 왜냐하면 바로 주님께서 이 세상을 이기셨기 때문이다. 주님이 우리에게 약속하시는 평안, 샬롬(에이레네)은 고난의 부재 상태가 아니라 부로 이 고난 속에서 세상을 이기신 주님으로 인한 안정감으로 인한 것이다. 
In Johannine thinking the world is in the hands of an evil ruler (archōn; cf. 12:31; 14:30; 16:11). As a result the followers of Jesus are subject to “tribulation” (RSV), “trouble” (NIV), “persecution” (NRSV), “trials and sorrows” (NLT). The word thlipsin (singular, but undoubtedly with a collective sense) appears only here and at 16:21 to refer to pains in childbirth and is undoubtedly used to suggest serious difficulties for Christians.
But in spite of such predicted troubles in the world, the followers of Jesus were called to encouragement because Jesus had “overcome” the world. The use of the perfect nenikēka was obviously intended by John to communicate a proleptic sense of victory even before the crucifixion. It is the only use of this battle term in the Gospel, although it is used a number of times in 1 John, where the stress is on winning the victory against both the evil one and the inauthentic ways of the world (2:13–14; 4:4; 5:4–5 plus the noun nike, “victory,” at 5:4; cf. also the many uses of the term in the Apocalypse).
 Gerald L. Borchert, John 12–21, vol. 25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2), 18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