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rPhilip said to him, “Lord, sshow us the Father, and it is enough for us.” Jesus said to him, “Have I been with you so long, and you still do not know me, Philip? tWhoever has seen me has seen the Father. How can you say, ‘Show us the Father’? 10 Do you not believe that uI am in the Father and the Father is in me? The words that I say to you vI do not speak on my own authority, but the Father who dwells in me does his works. 11 Believe me that uI am in the Father and the Father is in me, or else wbelieve on account of the works themselves.
12 “Truly, truly, I say to you, xwhoever believes in me will also do the works that I do; and greater works than these will he do, because I yam going to the Father. 13 zWhatever you ask in my name, this I will do, that athe Father may be glorified in the Son. 14 zIf you ask me5 anything in my name, I will do it.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요 14:8–14.

8절) 아버지를 보여달라고 요청하는 빌립, 빌립은 앞서 나다나엘을 주님께로 인도했고, 오병이어 기적 당시 200데나리온이 있어도 부족하다고 말했으며, 명절에 예배하러온 헬라인 몇사람을 안드레를 통해 주님께로 인도한 역할을 했다. 이처럼 빌립은 매우 합리적이고 실제적인 사람으로 증거를 보여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구약의 관점에서 하나님을 본다는 것은 죽음을 불사하는 요구이다. 출 33:20은 "또 이르시되 네가 내 얼굴을 보지 못하리니 나를 보고 살 자가 없음이니라”라고 말한다. 

9절) 자신이 누구인지를 깨닫지 못하는 빌립을 향해서 안타까와하시는 예수님. 제자들은 이처럼 둔하고 늦게 배우는 사람들이었다. 마찬가지로 우리들도 그러하다. 많은 것들을 보고 경험하지만 여전히 주님이 어떤 분인지에 대한 이해가 우리에게 부족하고 믿음이 부족하다. 하나님을 보는 것이 구약에서는 위험하고 금지된 요청이지만 신약에 와서는 달라진다. 
"1:1 태초부터 있는 생명의 말씀에 관하여는 우리가 들은 바요 눈으로 본 바요 자세히 보고 우리의 손으로 만진 바라
1:2 이 생명이 나타내신 바 된지라 이 영원한 생명을 우리가 보았고 증언하여 너희에게 전하노니 이는 아버지와 함께 계시다가 우리에게 나타내신 바 된 이시니라
1:3 우리가 보고 들은 바를 너희에게도 전함은 너희로 우리와 사귐이 있게 하려 함이니 우리의 사귐은 아버지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와 더불어 누림이라”(요일 1:1-3)
요한은 그의 서신을 통해서 생명의 말씀이신 주님을 듣고 보고 만진바 되었다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자신이 이 영원한 생명의 말씀을 전하는 이유는 그분과의 사귐에 동참케 하기 위해서이다라고 말한다. 우리가 생명의 말씀을 듣고 보고 이것을 행하는 삶을 살게 될때 우리는 그리스도와 더불어 사귀는 삶에 동참하게 되는 것이다. 

10-11절) 상호내재, 내가 아버지안에 또한 아버지가 내안에 있는 것을 믿으라. 왜냐하면 내가 하는 일을 아버지께서 내안에 계심으로 그 일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호 내재를 믿으라. 그렇지 못하겠거든 행하는 그 일을 인하여 나를 믿으라고 말씀하시는 주님. 
Schnackenburg categorizes this dual “in-ness” of Jesus and the Father as a “reciprocal formula of immanence.”122 This close interdependent assertion is an affirmation of a close unity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without assuming that the unity implies absolute identity (cf. 10:38). But such interdependent unity is far more than a mere example of the rabbinic idea of agency, where the agent is an obedient servant/envoy of the master so that the servant acts as or becomes an alter ego of the master.123 Jesus certainly fulfills this role of agency, but he is much more than a functioning servant. The reason is that between Jesus and the Father one soon realizes that the reciprocal “in-ness” represents a kind of interpenetration of natures. Still we must also stress that, for John, Jesus is said to be obedient to the Father and not the reverse (5:30; 8:29; 14:10; etc.).
122 Schnackenburg, St. John, 3.69–70.
123 For the rabbinic idea of agency see the Mishnah Berk 5:4–5 and the Babylonian Talmud Qidd 43a.

 Gerald L. Borchert, John 12–21, vol. 25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2), 114.

12절) 그리스도를 믿는 자는 그리스도께서 하신 일보더 더 큰 일을 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리스도께서 아버지께로 가셔서 성령을 보내주실 것이기 때문이다. 본문에서의 일은 주님께서 행하신 이적뿐만 아니라 그분의 전체 사역에 있어서 그분의 여러 활동과 가르침을 포함한다.(see 4:34; 5:36; 10:32; 17:4)
These “greater works” include evangelism, teaching, and deeds of mercy and compassion—in short, the entire ministry of the church to the entire world, beginning from Pentecost. (E.g., on the day of Pentecost alone, more believers were added to Jesus’ followers than during his entire earthly ministry up to that time; cf. Acts 2:41.) These works are “greater” not because they are more amazing miracles but because they will be greater in their worldwide scope and will result in the transformation of individual lives and of whole cultures and societies.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53.

13절)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하는 것에 대해서 주님께서 이루실 것을 약속하셨다. 아들을 인하여 아버지 하나님께서 영광을 받으시기 위해서.
Praying in Jesus’ name means praying in a way consistent with his character and his will (a person’s name in the ancient world represented what the person was like); it also means coming to God in the authority of Jesus. Probably both senses are intended here. Adding “in Jesus’ name” at the end of every prayer is neither required nor wrong. Effective prayer must ask for and desire what Jesus delights in. See also note on 1 John 5:1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53.

12-14절의 본문은 주님의 부활 이후를 이야기하고 있다. 주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신 이후 부활하셔서 아버지의 보좌 우편에 계실때, 주님의 이름으로 구하는 것을 시행하겠다라고 말씀하신다. 주님 부활이후에도 사도들이나 바울은 사역을 하면서 그리스도께서 이 일을 행하신다라고 고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지금 이순간 우리가 믿음으로 행하는 일들,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구하고 행하는 일들은 바로 그리스도께서 행하시는 것이다. 
지금 주님께서는 하나님과 함께 계시면서 동시에 당신의 교회를 통해서 일하고 계신 것이다. 
In the introduction to Acts he asserted that the “former book,” namely, the Gospel of Luke, detailed “all that Jesus began to do and teach” until his exaltation to heaven (Acts 1:1–2). The implication of the statement in Acts is not that Jesus ceased to work at that point but that Luke’s second volume implied that Jesus continued to work through the early Christians. Accordingly, when Peter heals Aeneus, Peter says, “Jesus Christ heals you” (Acts 9:34). Moreover, when the pre-Christian Saul/Paul is on the way to persecute the Christians in Damascus and he is struck blind, he hears the voice saying, “Why do you persecute me?” When he asks who the voice is, the reply comes, “I am Jesus, whom you are persecuting.” Saul was in fact persecuting Christians, but the voice identified the persecuted one as Jesus (Acts 9:1–5). The conclusion can only be that for Luke, Jesus was still active in mission; but although he was with God, he was now working in and through the church.
 Gerald L. Borchert, John 12–21, vol. 25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2), 116.

상호내재, 삼위일체의 사역. 지금 그리스도께서 하나님 보좌 우편에서 거하시면서 보혜사를 통해서 우리와 함께 거하신다. 임마누엘의 주님께서 이땅에 인간의 몸으로 오셨고 세상끝날까지 우리와 함께 하시겠다라고 약속하신 것이다. 그 임마누엘의 주님을 믿음으로 우리는 무엇이든지 주님의 이름으로 구할수 있고 주님께서는 이를 시행하시겠다라고 약속하신다. / 우리가 주님의 일에 동참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우리가 주님을 믿고 그분 안에 거하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