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4 In the days of wheat harvest Reuben went and found kmandrakes in the field and brought them to his mother Leah. Then Rachel said to Leah, “Please give me some of your son’s mandrakes.” 15 But she said to her, “Is it a small matter that you have taken away my husband? Would you take away my son’s mandrakes also?” Rachel said, “Then he may lie with you tonight in exchange for your son’s mandrakes.” 16 When Jacob came from the field in the evening, Leah went out to meet him and said, “You must come in to me, for I have hired you with my son’s mandrakes.” So he lay with her that night. 17 And God listened to Leah, and she conceived and bore Jacob a fifth son. 18 Leah said, “God has given me my wages because I gave my servant to my husband.” So she called his name Issachar.8

19 And Leah conceived again, and she bore Jacob a sixth son. 20 Then Leah said, “God has endowed me with a good endowment; now my husband will honor me, because I have borne him six sons.” So she called his name lZebulun.9 21 Afterward she bore a daughter and called her name Dinah. 

22 Then God mremembered Rachel, and God listened to her and nopened her womb. 23 She conceived and bore a son and said, “God has taken away omy reproach.” 24 And she called his name Joseph,10 saying, p“May the Lord add to me another son!” 

 

k Song 7:13

8 Issachar sounds like the Hebrew for wages, or hire

l [Matt. 4:13]

9 Zebulun sounds like the Hebrew for honor

m See ch. 8:1

n ch. 29:31; [Ps. 127:3]

o Luke 1:25; [1 Sam. 1:6; Isa. 4:1]

10 Joseph means May he add, and sounds like the Hebrew for taken away

p ch. 35:17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30:14–24.

 

◎밀 거둘 때 르우벤이 나가서 들에서 합환채를 얻어 그의 어머니 레아에게 드렸더니 라헬이 레아에게 이르되 언니의 아들의 합환채를 청구하노라 

15 레아가 그에게 이르되 네가 내 남편을 빼앗은 것이 작은 일이냐 그런데 네가 내 아들의 합환채도 빼앗고자 하느냐 라헬이 이르되 그러면 언니의 아들의 합환채 대신에 오늘 밤에 내 남편이 언니와 동침하리라 하니라 

16 저물 때에 야곱이 들에서 돌아오매 레아가 나와서 그를 영접하며 이르되 내게로 들어오라 내가 내 아들의 합환채로 당신을 샀노라 그 밤에 야곱이 그와 동침하였더라 

17 하나님이 레아의 소원을 들으셨으므로 그가 임신하여 다섯째 아들을 야곱에게 낳은지라 

18 레아가 이르되 내가 내 시녀를 내 남편에게 주었으므로 하나님이 내게 그 값을 주셨다 하고 그의 이름을 3)잇사갈이라 하였으며 

19 레아가 다시 임신하여 여섯째 아들을 야곱에게 낳은지라 

20 레아가 이르되 하나님이 내게 후한 선물을 주시도다 내가 남편에게 여섯 아들을 낳았으니 이제는 그가 나와 함께 살리라 하고 그의 이름을 4)스불론이라 하였으며 

21 그 후에 그가 딸을 낳고 그의 이름을 디나라 하였더라 

22 하나님이 라헬을 생각하신지라 하나님이 그의 소원을 들으시고 그의 태를 여셨으므로 

23 그가 임신하여 아들을 낳고 이르되 하나님이 내 부끄러움을 씻으셨다 하고 

24 그 이름을 5)요셉이라 하니 여호와는 다시 다른 아들을 내게 더하시기를 원하노라 하였더라 

 

3) 값

4) 거함

5) 더함

 The Holy Bible: New Korean Revised Version, electronic ed. (South Korea, n.d.), 창 30:14–24.

 

 

14-16절) 레아의 아들 르우벤이 밀 거둘 때 들에서 합환채를 얻어서 어머니에게 드렸다. 이에 라헬이 언니 레아에게 그 합환채를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레아가 네가 이미 남편 야곱을 빼앗아 놓고 또 내 아들의 합환채까지 빼앗을려고 하느냐고 나무라자 라헬이 그 합환채를 자신에게 준다면 오늘 밤 야곱과 동침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라고 제안한다. 이에 야곱이 들에서 들어올 때 레아가 남편 야곱에게 내가 르우벤의 합환채로 당신을 샀으니 오늘 밤 나와 동침하자라고 요청하다.

본문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남편의 사랑을 온몸에 받고 있던 라헬은 누가 남편과 잠자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결정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남자를 사이에 두고 4명의 여인이 경쟁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중에 레아는 남편의 사랑에 굶주려 있고 라헬은 자녀에 굶주려 있다.

 

본문의 합환채는 '두다임'으로 가지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는 '사랑 열매'로 알려져 있다. 아랍 사람들은 이 식물을 '악마의 사과(devil's apple)'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 식물은 남성들에게는 정력제로, 여성들에게는 불임을 치료하는 약으로 사용되었다. 그래서 로마에서는 비너스로 알려진 아프로티데가 합환채의 여인(Lady of Mandrake)로 불리기도 했다. 아마도 라헬은 이 합환채가 여성의 임신을 돕는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하고 언니에게 이를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 30:14–16 These verses, which recount Leah’s conception of Issachar, highlight the intensity of the dispute between the two sisters. On this occasion Leah buys from Rachel the right to lie with Jacob. Having agreed to this with her sister, she says to Jacob, I have hired you with my son’s mandrakes. The Hebrew term translated here as “mandrakes” (duda’im, possibly “love fruits”) is usually understood to denote the plant mandragora officinarum, a species long regarded as having unusual properties. Unfortunately, no explanation is given as to why Rachel is so eager to have these mandrakes; the context suggests that she may have viewed the plant as increasing female fertility. This and other proposals, however, must be treated with caution.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02.

 

  • During the time of wheat harvest (March or April) Reuben, Leah’s firstborn, finds some mandrakes out in the fields. Mandrakes (Heb. dûḏāʾîm) grow all over Israel. There is no stalk, but large leaves fan out from the root at ground level. In the midst of these leaves appear violet flowers and yellow fruit. This fruit, which looks like a tomato, ripens in March and April, and emits a very distinct odor (see Cant. 7:14 [Eng. 13]).7

  • Its relationship to dôḏ, “lover,” and dôḏîm, “love,” has evoked legends about the aphrodisiac properties of the fruit so that even to the present a popular name for the fruit of the herb is “love apples.”8 Rachel seems to believe that the possession of these will bring about fertility. Vv. 22–24 make it clear, however, that Rachel’s ability to bear a child are due to God, not to the mandrakes.

  •  

  • 7 See H. N. and A. L. Moldenke, Plants of the Bible (Waltham, MA: Chronica Botanice, 1952) pp. 137–39, no. 132.

  • 8 M. H. Pope, Song of Songs, AB (Garden City, NY: Doubleday, 1977), pp. 647–50.

  •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74–275.

 

17-21절) 그날 야곱과 동침한 후에 레아는 다섯째 아들을 낳게 된다. 본문은 하나님이 레아의 소원을 들으셨다라고 표현한다. 이는 아들 넷을 낳고 나서 남편이 자신을 찾지 않았고 이 상황에서 여전히 레아는 더 많은 자녀를 낳기 원했고 이를 하나님께 간구했던 것이다. 레아가 더이상 자녀를 낳지 못한 이유는 불임이 되어서가 아니라 라헬이 부추겨서 야곱이 더이상 레아와 잠자리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르우벤의 합환채로 말미암아 다시금 남편과의 기회가 레아에게 찾아온 것이다. 하지만 본문은 레아가 다시 자녀를 낳은 것이 합환채로 인함이 아니라 하나님이 레아의 소원을 들어주셨기 때문이라고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하지만 레아는 자신의 시녀(실바)를 남편에게 주어 내게 그 값, 보상을 주셨다고 말하면서 다섯째 아들의 이름을 잇사갈이라고 하였다. 물론 이 해석은 옳은 해석이 아니다. 잇사갈의 이름의 의미는 '그가 보상하다'라는 의미에서 '값/대가'이다. 이어서 레아는 여섯째 아들을 낳았는데 그 이름을 스불론, '명예, 존귀함,거함'이라는 의미로 아마도 '하나님께서 선물을 주셨다'와 '나의 남편이 나를 합법적인 아내로 인정하리라'라는 의미를 합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디나라는 딸을 낳았다. 이는 '재판'이라는 의미이다.

 

본문속에서 레아가 라헬에게 합환채를 주고 야곱과의 잠자리를 산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과거에 야곱이 팥죽 한 그릇으로 에서의 장자권을 산 것을 생각나게 한다. 그때는 자신이 거래의 주도권을 쥐고 있었다면 이번에는 레아와 라헬의 거래에 좌지우지되고 있다. 하나님께서 철저하게 야곱이 과거에 저질렀던 일들에 대해서 그대로 보응하고 계신 것이다.

 

  • 17–18  The fifth son Leah bares to Jacob she calls Issachar (Qere yiśśāḵār; Ketib yiśśā(ś)ḵār). The repetition of the s in the MT supports the Ketib. The Ketib is then divided into yš śkr (“man of [or who is] [my] reward”),11 or “man of hire.” Leah states that God has given her Issachar as my wage (śāḵār) in return for Leah giving her maid to Jacob. This idea reminds us of Ps. 127:3, “sons are a heritage from Yahweh, the fruit of the womb a reward [śāḵār].”

  • 19–20  Leah gives birth to a sixth son and names him Zebulun (zeḇulûn). Her explanation is that God has given me, even me, a valuable gift (zeḇāḏanî ʾĕlōhîm ʾōṯî zēḇeḏ ṭôḇ), and my husband will exalt me (yizbelēnî ʾîšî). Zebulun is based on the root zbl, not on the root zbd.12 As a verb, zāḇal occurs only here in the Hebrew Bible. On the basis of the use of the root elsewhere in the OT (1 K. 8:13 par. 2 Chr. 6:2; Ps. 49:15 [Eng. 14]; Isa. 63:15; Hab. 3:11), all of which have to do with an “exalted abode,”13 and on the basis of the use of the root in Ugaritic (“prince, royalty”), one may posit a meaning such as “exalt, elevate.”14

  •  

  • MT Masoretic Text

  • 11 See C. D. Isbell, “Initial ʾAlef-Yod Interchange and Selected Biblical Passages,” JNES 37 (1978) 229. Isbell correctly notes the expression yēš śāḵār in 2 Chr. 15:7, “there is a reward,” and this may indeed be the meaning of Issachar.

  • 12 But if one accepts two etymologies for Zebulun (zaḇaḏ, “give, endow, bestow”; zāḇal, “exalt”), then they are the result of a blending of two literary traditions or were produced by two different writers altogether, with an approximate etymology followed by a precise etymology. See Y. Zakovitch, “A Study of Precise and Partial Derivations in Biblical Etymology,” JSOT 15 (1980) 31–32. There are instances of personal names in (and outside) the OT formed from the verb zāḇaḏ, for example, Zabdiel (“gift of God/El,” not “God/El is my gift”), the father of one of David’s officers (1 Chr. 27:2), or an overseer in Nehemiah’s time (Neh. 11:17). See S. C. Layton, Archaic Features of Canaanite Personal Names in the Hebrew Bible, HSM 47 (Atlanta: Scholars, 1990), pp. 142–45. Barr (“Etymology and the Old Testament,” OTS 19 [1974] 26) cites the use of the roots zbd and zbl in Gen. 30:20 to suggest that etymology was a play on word similarity, rather than a serious analysis of root meanings; thus zbd and zbl were close enough for their one consonant difference not to matter.

  • 13 Ps. 49:15 (Eng. 14) is a crux interpretum that many commentators consider hopelessly corrupt (see, e.g., A. A. Anderson, Psalms, NCBC, 2 vols. [Grand Rapids: Eerdmans, repr. 1981], 1:379). Cf. J. Gamberoni, “zebhul,” TDOT, 4:29–31; R. B. Coote, “Sibyl: ‘Oracle,’ ” JNWSL 5 (1977) 7 n. 28; P. Bordeuil, “mizzĕbul lô: à propos de Psaume 49:15,” in Ascribe to the Lord, Fest. P. Craigie, ed. L. Eslinger and G. Taylor, JSOTSup 67 (Sheffield: JSOT, 1988), pp. 95–98.

  • 14 See M. Held, “The Root ZBL/SBL in Akkadian, Ugaritic and Biblical Hebrew,” JAOS 88 (1968) 90–91.

  •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75–276.

 

22-24절) 이어 하나님께서 라헬을 생각하셨다. 하나님게서 라헬의 소원을 들으시고 라헬의 태를 여셔서 아들을 낳았다. 라헬은 이로 하나님이 자신의 부끄러움을 씻으셨다라고 하며 그 이름을 요셉이라 하였고 그 의미는 '주께서 더하시다, 더함'이다.

라헬은 오랫동안 아들을 기다려왔다. 당시 자녀가 없음은 여인들에게 하나님의 은혜를 받지 못한 것으로 여겨졌다. 반면에 자녀는 하나님의 축복으로 여겨졌다. 언니 레아가 자녀를 낳는 것을 보면서 라헬은 더 마음이 괴로왔을 것이다. 바로 이순간 하나님께서 라헬을 생각하셨다.(기억하셨다.) 본문에 사용된 단어는 '자카르'라는 단어로 8:1에 사용된 단어이다. 하나님이 라헬을 기억하신 때는 바로 그녀가 자신의 기득권을 내려놓은 때 였다. 인간이 자신의 기득권과 욕심을 내려놓은 바로 그 순간이 하나님이 우리를 기억하시고 은혜를 베푸시는 순간이 되는 것이다. 우리의 힘으로 되지 않는 불가능한 일을 붙들고 씨름할 것이 아니라 하나님앞에 포기하고 내려놓을 때 하나님의 기억하심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서 하나님께서 라헬의 태를 여셨다. 이는 하나님께서 의도적으로 그녀의 태를 닫고 계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하나님께서 그녀의 부끄러움을 거두어 가셨다. 22절 본문에서 하나님(엘로힘)이라는 단어가 두번이나 사용되면서 하나님께서 그 태를 여셨음을 강조하고 있다.

라헬은 요셉(더함)이라 이름하며 다른 아들을 더하시기를 원했다. 하지만 다음의 두번째 아들 베냐민을 출산하면서 라헬은 죽게 된다.(35:18)

 

  • 30:22–24 God remembered Rachel (v. 22). After many years of waiting, Rachel eventually bears Jacob a son. (On God’s “remembering,” see note on 8:1.) The repetition of “God” in 30:22 emphasizes that he is the One who has enabled Rachel to conceive and give birth. This is reinforced when Rachel acknowledges that God has taken away my reproach (v. 23). Since throughout Genesis fertility is often associated with divine blessing, a woman’s inability to bear children could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divine disapproval. Given the resentment that existed between the sisters, Leah may well have taunted Rachel over her inability to bear children. As with all the other sons born to Jacob, Joseph’s name is derived from a remark made by his mother; in Hebrew Joseph (v. 24) sounds like the verb “add to.” For the sad answer to her prayer, see 35:16–20.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02.

 

 

 

 

728x90

30 When Rachel saw that bshe bore Jacob no children, she envied her sister. She said to Jacob, “Give me children, or I shall die!” Jacob’s anger was kindled against Rachel, and he said, “Am I in the place of God, cwho has withheld from you the fruit of the womb?” Then she said, “Here is my servant dBilhah; go in to her, so that she may give birth eon my behalf,1 that even I may have children2 through her.” So she gave him her servant Bilhah as a wife, and Jacob went in to her. And Bilhah conceived and bore Jacob a son. Then Rachel said, “God has fjudged me, and has also heard my voice and given me a son.” Therefore she called his name Dan.3 Rachel’s servant Bilhah conceived again and bore Jacob a second son. Then Rachel said, “With mighty wrestlings4 I have wrestled with my sister and have prevailed.” So she called his name gNaphtali.5

When Leah saw that she had ceased bearing children, she took her servant Zilpah and hgave her to Jacob as a wife. 10 Then Leah’s servant Zilpah bore Jacob a son. 11 And Leah said, i“Good fortune has come!” so she called his name iGad.6 12 Leah’s servant Zilpah bore Jacob a second son. 13 And Leah said, “Happy am I! For women jhave called me happy.” So she called his name Asher.7

b ch. 29:31

c [ch. 16:2; 1 Sam. 1:5]

d ch. 29:29

e ch. 50:23

1 Hebrew on my knees

2 Hebrew be built up, which sounds like the Hebrew for children

f [ch. 49:16]

3 Dan sounds like the Hebrew for judged

4 Hebrew With wrestlings of God

g [Matt. 4:13]

5 Naphtali sounds like the Hebrew for wrestling

h ver. 4; ch. 29:24

i [ch. 49:19]

i [ch. 49:19]

6 Gad sounds like the Hebrew for good fortune

j [Luke 1:48]

7 Asher sounds like the Hebrew for happy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30:1-13

 

1 라헬이 자기가 야곱에게서 아들을 낳지 못함을 보고 그의 언니를 시기하여 야곱에게 이르되 내게 자식을 낳게 하라 그렇지 아니하면 내가 죽겠노라

2 야곱이 라헬에게 성을 내어 이르되 그대를 임신하지 못하게 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내가 하나님을 대신하겠느냐

3 라헬이 이르되 내 여종 빌하에게로 들어가라 그가 아들을 낳아 내 무릎에 두리니 그러면 나도 그로 말미암아 자식을 얻겠노라 하고

4 그의 시녀 빌하를 남편에게 아내로 주매 야곱이 그에게로 들어갔더니

5 빌하가 임신하여 야곱에게 아들을 낳은지라

6 라헬이 이르되 하나님이 내 억울함을 푸시려고 내 호소를 들으사 내게 아들을 주셨다 하고 이로 말미암아 그의 이름을 5)단이라 하였으며

7 라헬의 시녀 빌하가 다시 임신하여 둘째 아들을 야곱에게 낳으매

8 라헬이 이르되 내가 언니와 크게 경쟁하여 이겼다 하고 그의 이름을 6)납달리라 하였더라

9 ◎레아가 자기의 출산이 멈춤을 보고 그의 시녀 실바를 데려다가 야곱에게 주어 아내로 삼게 하였더니

10 레아의 시녀 실바가 야곱에게서 아들을 낳으매

11 레아가 이르되 복되도다 하고 그의 이름을 1)갓이라 하였으며

12 레아의 시녀 실바가 둘째 아들을 야곱에게 낳으매

13 레아가 이르되 기쁘도다 모든 딸들이 나를 기쁜 자라 하리로다 하고 그의 이름을 2)아셀이라 하였더라

5) 억울함을 푸심

6) 경쟁함

1) 복됨

2) 기쁨

 The Holy Bible: New Korean Revised Version, electronic ed. (South Korea, n.d.), 창 30.

 

 

1-2절) 라헬은 레아가 4명의 아들을 낳자 자신이 야곱의 아들을 낳지 못함을 인해서 언니를 시기하였다. 그래서 야곱에게 내게 자식을 낳게하라. 그렇지 않으면 죽어버리겠다라고 야곱에게 바가지를 긁었다. 이에 야곱이 라헬에게 성을 내며 당신이 임신하지 못하게 하시는 분이 하나님이시지 나냐라고 하며 내가 하나님을 대신할 수 없다라고 한다. 야곱의 고백은 창조주 하나님을 인정하는 믿음의 고백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신이 이 일에 책임이 없다는 회피 발언데 더욱 가깝다. 

라헬의 불임은 집안의 큰 갈등을 초래한다. 야곱이 이 불임이 하나님의 손에 있다라고 말하는 것은 틀리지 않았지만 문제는 야곱이 라헬을 위해서 기도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아버지 이삭은 리브가를 위해서 기도했었다.(25:21-22)

 

레아와 라헬의 갈등은 자식의 출산을 인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이후 라헬과 레아는 자신들의 종을 야곱에게 들여보내서 아이를 낳게 한다. 아이러니하게 아브라함에게 하셨던 자식의 축복이 지금 야곱을 통해서 1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보게 된다. 

In the midst of sordid competition between Leah and Rachel, God sovereignly fulfills the first stage of his promise to multiply Abraham’s offspring (12:2; 15:5; 17:5; 26:4; 28:14).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02.

 

레아와 라헬을 비교할 때 아이를 낳은 것을 제외하고 모든 것을 라헬이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라헬은 이에 만족하지 않았다. 자신이 가지지 못한 것이 가장 중요하고 크게 보였고 그것을 가져야만 행복할 것이라는 생각에 남편을 채근했다. 라헬이 야곱의 사랑을 받기는 했지만 그녀는 하나님에 대한 믿음은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인간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인간이 해야할 일은 다름아니라 바로 하나님앞에 나아가 기도하는 일이다. 라헬은 자식을 낳고 그들의 이름을 지어줄 때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고 그분을 찬양했다. 반면 라헬은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남편에게 바가지를 긁고있다. 그녀의 답답한 마음이 이해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이후에 그녀가 집을 떠날 때 라반 집안의 수호신 드라빔을 훔쳐가는 일을 보아도 그녀가 신앙적으로 성숙한 여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1  How the Philistines felt about Isaac’s possessions (qānāʾ, 26:14) and how Joseph’s brothers felt about his dreams (qānāʾ, 37:11) parallels how barren Rachel felt about fruitful Leah: she became envious (qānāʾ). No mention had been made earlier that Leah envied Rachel’s lovely and shapely body, which attracted Jacob. Now, however, Rachel envies Leah’s womb. Her inability to bear children she cannot attribute to Jacob, for he has already fathered four children. Give me children. Rachel’s use of the interjection or imperative hāḇá to Jacob recalls Jacob’s use of the same word to Laban in his request for Rachel (29:21). But unlike Jacob’s use of hāḇá to introduce a legitimate request (he had completed his seven years of service for Rachel’s hand in marriage), Rachel’s use of hāḇá introduces an anguished cry. It is ironic that Rachel, who believes she will die if she mothers no children and who is not satisfied with adopted children, dies while trying to mother a second child (35:16–19).10

10 See A. Brenner, “Female social behaviour: two descriptive patterns within the ‘birth of the hero’ paradigm,” VT 36 (1986) 263. This example of irony is sad rather than funny; see idem, “On the Semantic Field of Humour, Laughter, and the Comic in the Old Testament,” in On Humour and the Comic in the Bible, ed. Y. T. Radday and A. Brenner, JSOTSup 92 (Sheffield: Almond, 1990), p. 41 n. 9.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70.

 

3-8절) 라헬은 여종 빌하를 야곱에게 첩으로, 대리모 역할을 하게 한다. 이에 야곱이 빌하에게로 들어갔고 빌하가 임신하여 두 아들 단과 납달리를 낳게 된다. 

이 사건은 옛적 사라가 몸종 하갈을 아브라함에게 준 일을 생각나게 한다. 그러나 그 때는 아브라함에게 아들이 한명도 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레아가 낳은 아들들이 있는 상황이었다. 

라헬은 하나님이 자신의 억울함을 푸시려고 자신의 호소를 들으셔서 자신에게 아들을 주셨다고 하며 빌하가 낳은 첫째 아들의 이름을 단(억울함을 푸심)이라 하였다. 단이라는 이름은 판단하다, 재판관이라는 의미를 지닌 이름이다. 본문에 억울함을 푸시고라는 히브리어 단어가 ‘다난’이다. 

이어 라헬은 빌하의 둘째 아들이 태어나자 자신이 언니와 크게 경쟁하여 이겼다라고 하여 그 이름을 납달리(경쟁)라고 하였다. 납달리는 씨름/겨루기라는 뜻을 지닌 이름이다. 본문에 경쟁하다라는 단어가 ‘닙탈티’이다. 한글 번역에서 빠진 내용이 있는데 그것은 ‘With mighty westling’ ‘With westling of God’이라는 표현이다. 하나님과의 씨름, 그렇다면 본문에서 누구와의 씨름을 말하는 것일까? 라헬과 레아의 경쟁을 의미할 수도 있고 이후 얍복강가에서 야곱과 천사와의 씨름을 의미한다고도 해석한다. 

 

Rachel, not Bilhah, names the child, for it is Rachel’s via adoption. Bilhah functioned only as a surrogate mother. The child is called Dan, which is connected with has vindicated me (dānannî). In such a context, the verb dîn signifies justice for an individual who finds herself in a heretofore hopeless and helpless state.14

7–8  Again Bilhah conceives a child, and this one Rachel names Naphtali, which is connected with I have been entangled in a desperate contest (nap̄tûlê15 ʾĕlōhîm16 nip̄taltî). Rachel’s experience of wrestling (pāṯal) is parallel to Jacob’s forthcoming experience of wrestling (ʾāḇaq, 32:25, 26 [Eng. 24, 25]). The basic meaning behind the verb pāṯal is “to be crafty, wily” (Ps. 18:27 [Eng. 26]; Job 5:13). In Prov. 8:8 the word means “twisted” and is parallel with ʾeqqēš, “crooked.” Thus the related noun pāṯîl comes to refer to a cord or rope, which is formed by twisting together strands.

The phrase nap̄tûlê ʾĕlōhîm could be translated as “divine wrestling match” or “God’s fight” (JB), which takes ʾĕlōhîm as “God.” Thus Fokkelman renders, “twists of God I have twisted (in the fight) with Leah, but I have prevailed.”17 That is, Rachel’s struggle with Leah has actually been a struggle with God and for his favor, for Rachel knows well that it is God who has closed her womb and opened Leah’s. F. I. Andersen offers another way of reading ʾĕlōhîm as “God” here: “I wrestled (with) God/With my sister I did succeed.”18

In addition to Rachel’s wrestling paralleling Jacob’s wrestling, chs. 30 and 32 have another motif in common. Rachel wrestled and prevailed (yāḵōltî, “I emerged victorious”). Jacob also fought with Elohim, and he too prevailed (tûḵāl, 32:29 [Eng. 28]). The “man,” however, did not prevail (yāḵōl, 32:26 [Eng. 25]) against Jacob.

14 D. Daube, The Exodus Pattern in the Bible (London: Faber and Faber, 1963), p. 35. C. Rabin (“Etymological Miscellanea,” Scripta Hierosolymitana 8 [1961] 389) rejects the connection of dānannî with dîn. Instead, he connects it with the Arabic root danâ, “to be close,” and renders the verse “God has been close to me and hath harkened to my voice.” While his comments are directed more to dān yāḏîn ʿammô in 49:16 (“Dan shall judge his people”), J. A. Emerton (“Some Difficult Words in Genesis 49,” in Words and Meanings: Essays Presented to David Winton Thomas, ed. P. Ackroyd and B. Lindar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1968], pp. 88–91) connects dîn (at least in 49:10) with Akk. danānu, “to be strong.” But in 30:6, translating dîn as “God has strengthened me” does not fit well. I see no good reason for not translating dîn here with its common meaning “pass a favorable judgment on behalf of, vindicate.” See A. Globe, “The Muster of the Tribes in Judges 5:11e–18,” ZAW 87 (1975) 179.

15 nap̱tûlê (from nap̱tûlîm) represents one of the few instances of a naqṭāl noun in the OT (i.e., one that begins with a prefixed nun). GKC, § 85n, cites only this one in Gen. 30:8 and nāzîḏ (from zîḏ), “boiled pottage” (Gen. 25:29, 34). See also R. Gordis, The Word and the Book (New York: Ktav, 1976), p. 320.

16 My translation takes ʾĕlōhîm not as “God” but as an intensifying epithet. See also Speiser, Genesis, pp. 229, 230–31, who renders a “fateful contest” for nap̱tûlê ʾĕlōhîm in order to preserve the numinous, supernatural force of ʾĕlōhîm. See also Westermann, Genesis, 2:474, who says that ʾĕlōhîm must be understood adjectivally. D. W. Thomas (“A Consideration of Some Unusual Ways of Expressing the Superlative in Hebrew,” VT 3 [1953] 218) does state, however: “In the O.T. it is, I believe, difficult, if not impossible, to point to any unambiguous example of the use of the divine name as an intensifying epithet and nothing more.” He also notes (p. 214) that ʾĕlōhîm occurs in 30:8 in a context that is too obscure to permit definite conclusions about its function there. Among the modern English translations, most read ʾĕlōhîm as an adjective: “great wrestlings” (KJV, NKJV); “mighty wrestlings” (RSV); “a great struggle” (NIV); “a fine trick” (NEB); “a fateful struggle” (NAB); “a fateful contest” (NJPS). Only JB reads it as a noun: “I have fought God’s fight with my sister.”

JB Jerusalem Bible

17 Fokkelmann, Narrative Art in Genesis, p. 135.

18 F. I. Andersen, “Note on Gen 30:8,” JBL 88 (1969) 200. He understands the first word nap̱tûlê as a Niphal infinitive absolute of pāṯal (which in the sing. would normally be hippāṯōl or nip̱tōl). He then reads nap̱tôlî (with the terminal as an archaism) for MT nap̱tûlê. W. L. Moran (“The Hebrew Language in Its Northwest Semitic Background,” in The Bible and the Ancient Near East: Essays in Honor of William Foxwell Albright, ed. G. E. Wright [Garden City, NY: Doubleday, 1965], p. 70) made a similar suggestion by repointing nap̱tûlê to nip̱tôlî.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71–272.

 

9-13절) 이제 레아가 자신이 출산이 멈춤을 보고 자신이 여종 실바를 데려다가 야곱에게 주었다. 이에 실바가 갓과 아셀을 아들로 낳았다. 

레아가 자신의 여종 실바를 야곱에게 준 것은 자신의 태가 멈춤과 라헬이 빌하를 들여보내 아들을 낳음으로 야곱의 관심을 사는 것에 대한 자극때문이었다. 남편의 관심과 사랑을 얻으려는 두 자매의 갈등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것이다. 레아는 갓(복됨)이라는 이름을 지었는데 이는 ‘복되도다, 행운’이라는 의미이고 아셀(기쁨)은 ‘행복’이라는 의미이다. 

앞서 레아는 자신의 아들 4명을 낳으면서 아이를 낳을때마다 하나님을 찬양했다. 그런데 실바를 통해 낳은 아들들에 대해서는 하나님을 찬양하지 않는다. 첫번째는 복, 둘째는 행복이라고 이름을 짓는다. 실바를 통해 낳은 아이들로 남편과의 관계가 호전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인간적인 노력을 다해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도리어 그녀의 하나님을 향한 믿음이 흔들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레아의 경우에 이미 자신에게 아들이 4명이나 되면서도 아들이 없어서 여종을 들여보낸 라헬에게 가는 남편의 관심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자신도 똑같은 선택을 하고 있는 것이다. 

 

Jacob fathers his seventh and eighth children by Leah’s maid Zilpah. Again, as in the previous verses, a catch phrase in the adoptive mother’s mouth is then connected with the proper name. The first of these two children is called Gad (Heb. gāḏ), because Leah said Luck has come! (Heb. bāʾ gāḏ, “luck has come,” or bāḡāḏ, “with luck”).6 The second child is called Asher (Heb. ʾāšēr), because the women will count me blessed (Heb. ʾiššerûnî).7 One may compare Leah’s words with Mary’s words in her NT canticle: “from now on all generations will call me blessed” (Luke 1:48).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that Leah speaks of “the women” (LXX A “all the women,” pásai hai gynaíkes), while Mary speaks of “all generations” (pásai hai geneaí). This emphasis on “all generations” calling Mary blessed implies an unusual respect for Mary as the mother of the Lord.8 The event being celebrated in this song is significant for “all generations,” an emphasis that provides some preparation for Luke 1:50 and 55.9 All women will deem Leah fortunate because of the child Asher whom she brings forth. But all generations will deem Mary fortunate because of the child she will bring forth, a child who will bring salvation to all the nations.

6 J. Tigay (“Israelite Religion,” in Ancient Israelite Religion: Essays in Honor of Frank Moore Cross, ed. P. D. Miller, Jr., P. Hanson, and S. D. McBride [Philadelphia: Fortress, 1987], pp. 163, 167, 185 n. 39) provides extrabiblical references to gaḏ, which was sometimes personified as the genius or fortune of an individual (i.e., a semidivine being or spirit). Cf. the personal name Gaddiel in Num. 13:10. See also J. Teixidor, The Pagan God: Popular Religion in the Greco-Roman Near Eas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1977), pp. 159–60. In contrast, gāḏ in Gen. 30:11 is only a common name. Cf. O. Eissfeldt, “Gut Glück!’ in Semitischer Namengebung,” JBL 82 (1963) 195–200, esp. 199–200.

7 On ʾāšar, ʾešer, ʾāšār, and ʾōšer see G. Bertram and F. Hauck, “makários,” TDNT, 4:364–70; H. Cazelles, “ʾašrê,” TDOT, 1:445–48.

LXX Septuagint

8 See J. A. Fitzmyer,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AB, 2 vols. (Garden City, NY: Doubleday, 1981–85), 1:367; R. E. Brown, The Birth of the Messiah (Garden City, NY: Doubleday, 1977), p. 360 n. 62.

9 See R. C. Tannehill, “The Magnificat as Poem,” JBL 93 (1974) 272.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73.

 

성경에 등장하는 대리모(surrogacy) 이야기

 

 

 

 

 

728x90

31 When the Lord saw that Leah was whated, xhe opened her womb, but Rachel was barren. 32 And Leah conceived and bore a son, and she called his name Reuben,3 for she said, “Because the Lord yhas looked upon my affliction; for now my husband will love me.” 33 She conceived again and bore a son, and said, “Because the Lord has heard that I am hated, he has given me this son also.” And she called his name Simeon.4 34 Again she conceived and bore a son, and said, “Now this time my husband will be zattached to me, because I have borne him three sons.” Therefore his name was called Levi.5 35 And she conceived again and bore a son, and said, “This time I will praise the Lord.” Therefore she called his name aJudah.6 Then she ceased bearing.

w Deut. 21:15

x [ch. 30:22]

3 Reuben means See, a son

y ch. 31:42; Ex. 3:7; 4:31; Deut. 26:7

4 Simeon sounds like the Hebrew for heard

z [Num. 18:2, 4]

5 Levi sounds like the Hebrew for attached

a Matt. 1:2; [ch. 49:8]

6 Judah sounds like the Hebrew for praise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29:31–35.

 

 

31절) 여호와께서 레아가 야곱에게 사랑받지 못함을 보시고 레아의 태를 여셨지만 라헬은 자녀가 없었다. 

야곱은 레아보다 라헬을 더욱 사랑했다.(18절) 이러한 상황은 레아를 고통스럽게 했을 것이다. 이 상황속에서 여호와께서 레아의 사랑받지 못함, 레아가 미움을 받는 것, 고통스러워 하는 것을 보셨다. 이것을 보시고 하나님께서는 레아의 태를 여심으로 그녀로 하여금 아이를 가지게 하셨다. 

반면에 사랑받던 라헬은 자녀가 없었다. 

하나님께서는 모든 생명의 주관자로 태를 여시기도 하고 태를 닫으심으로 당신이 창조주이심을 드러내신다. 

하나님께서는 앞서 아비멜렉 집안의 태를 여셨다(20:17-18). 

앞서 하나님께서는 맏아들 에서가 아니라 둘째 야곱을 선택하셨다. 이제 남편의 사랑을 받는 라헬이 아니라 사랑받지 못한 레아를 선택하셨다. 

태의 히브리어는 ‘레헴’인데 이는 라헬을 세 자음중 처음 두 자음이 동일한데 열린 것은 라헬의 태가 아니라 레아의 태였다. 

 

It is he, not Laban, who observes that Leah is unloved. The Hebrew word is śenûʾá, literally, “hated.”5 The preceding verse has defined what hate means: “Jacob loved Rachel, not Leah.” “Hate” is used here as it is in Deut. 21:15 and Matt. 6:24. The use of śenûʾá also shows that in Hebrew a word, especially a verb, “may be used to describe not merely its own actions, but also the omission or prevention of an opposite action.”6

As Yahweh chose the second-born over the firstborn (i.e., the unlikely one) in Jacob’s and Esau’s case, he now chooses the unloved Leah over the loved Rachel (i.e., the unlikely one). He permits Leah, the hated one, to mother first. This is the second instance of womb opening Yahweh has brought about, the first being that of the Philistine women in Abimelech’s kingdom (20:17–18). There may be some irony in the fact that the first two of three consonants in “womb” (reḥem) and “Rachel” (rāḥēl) are the same. But it is not Rachel’s reḥem that is opened—it is Leah’s.

5 On the use of the tradition in Genesis about Jacob’s two wives, one loved, one unloved, in the formulation of the law in Deut. 21:15–17 (“If a man has two wives, the one loved and the other hated …”), see C. Carmichael, The Laws of Deuteronom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1974), pp. 58–62.

6 See R. Gordis, “Some Hitherto Unrecognized Meanings of the Verb SHUB, JBL 52 (1933) 153–54.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65–266.

 

32-35절) 레아의 아들들

32) 첫째 아들 르우벤 : '보라 아들이다'. 레아는 이 아이의 이름에 주님께서 나의 고통을 살피시고 나에게 아이를 주셨다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르우벤의 경우에 먼저 이름을 이야기하고 그 이름의 의미를 설명했다면 나머지 세 아들의 경우에는 먼저 레아가 설명을 하고 나서 그 이름을 말한다. 

Leah’s firstborn is Reuben. She apparently makes a wordplay using two clauses which supply a popular or folk etymology for Reuben. In Yahweh has seen my distress (Heb. rāʾá YHWH beʿonyî) one detects, rather far apart, the consonants r-b-n. In the clause my husband will love me (Heb. yeʾĕhāḇanî) the cluster b-n may be identified with the b-n sequence in Reuben. By itself Reuben (Heb. reʾûḇēn) makes perfectly good sense: “See, a son!”7 In this light, the phrases from Leah’s mouth after Reuben’s birth may be read as affirmations by Leah, not as etymological explanations.

The first part of Leah’s statement is correct: Yahweh has seen my distress. The same noun was used for Hagar’s situation: “Yahweh has given heed to your distress” (16:11). In both instances one wife/concubine (Leah/Hagar) plays a subordinate role to another wife (Rachel/Sarah). The result of Yahweh’s involvement in the plight is that the subordinate woman gives birth to a child. Both times the name given to the child is followed by a phrase that highlights a verb in the child’s name: Yahweh has seen; Yahweh has given heed. Leah’s second phrase—my husband will love me—is not as accurate. Leah is not the last woman to discover that her pregnancy is not a guarantee of a spouse’s support and love.

Reuben’s birth differs from the following three births in one respect. In the other three the name is given to the child after Leah makes a comment. In Reuben’s case the name is given to the child before she makes a comment.8 Is this a way of highlighting Reuben as the firstborn? Here is the firstborn (Leah) mothering the firstborn (Reuben).

7 For the literal and interpreted meaning of Jacob’s sons, see M. Calloway, Sing, O Barren One: A Study in Comparative Midrash, SBLDS 91 (Atlanta: Scholars, 1986), p. 27.

8 Both B. O. Long (Problem of Etiological Narrative) and J. Fichtner (“Die etymologische Atiologie in der Namengebung der geschichtlichen Bucher des Alten Testaments,” VT 6 [1956] 372–96) distinguish between etiologies in which the name precedes the etiology (Form I), and those in which the name follows the etiology (Form II). All the etiologies in 29:31–35 are Form I: (1) the act of naming is narrated in the historical tense by the use of waw-conversive prefix form of the verb qārāʾ; (2) the etymological explanation with affix verb form follows the name giving itself. Thus v. 32 has (1) “and she named him” (wattiqrāʾ), and (2) “for she said” (kî ʾāme). What distinguishes vv. 33–35 from v. 32 is that in the former a short statement providing the motivation for the name (e.g., v. 33, “now that Yahweh has heard that I was unloved”) precedes (1) and contains a wordplay. Vv. 33 and 34 come close to Form II because of the presence of ʿal kēn, the formula introducing Form II etiologies (on which see Long, Problem of Etiological Narrative, pp. 54–55).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66–267.

 

33절) 둘째 아들 시므온 : ‘들으심', 주님께서 내가 남편의 사랑을 받지 못함을 들으심으로 이 아들을 주셨다. 

33  The name of the second child, Simeon (Heb. šimʿôn), is connected with the verb has heard (Heb. šāmaʿ). As with Reuben’s birth, Simeon’s birth is linked with an unsavory experience, followed by a happy rectification of that chagrin. In naming the child Leah focuses not on an unpleasant circumstance but on Yahweh who overcame that circumstance. She will not name her first child “My distress,” nor will she name the second child “Unloved one.”

First (v. 31), Yahweh “saw” that Leah was unloved. Leah now says that Yahweh heard that she was unloved. Heard from whom? Or does “hear” mean “take heed to, take action on”? There is a bold contrast between the use of “love” in v. 32 (ʾāhaḇ) and unloved (śenûʾá) in v. 33. Reuben’s birth has not caused a change in Jacob’s feelings about Leah. Interestingly, Jacob takes no part in naming the children.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67–268.

 

34절) 셋째 아들 레위 : ‘매임, 연합’, 내가 남편을 위해서 아들을 셋이나 나았으니 남편이 나와 연합할 것이다.

34  Leah names her third child Levi (Heb. lēwî), for she hopes that her husband will attach himself (Heb. yillāweh)9 to her. She has not yet given up on Jacob. Jacob is giving his seed to Leah, but he is not giving his affection to her. One wonders why, given her fecundity, Jacob continues to cohabit with Leah, since he does not love her. He could continue to be married to her without continuing to cohabit with her. The last phrase in v. 35, she ceased bearing, may mean that Jacob ceased from sexual activity with Leah, but only after the birth of the fourth child, and then resumed again (according to 30:16ff.).

9 lāwâ (Niphal), “to attach,” followed by the preposition ʾim refers to attachment between equals (Ps. 83:9 [Eng. 8]); followed by the preposition ʾel or ʿal, it refers to attachment between nonequals, with one subordinated to the other (Num. 18:2, 4; Isa. 14:1; 56:3; Jer. 50:5; Zech. 2:15 [Eng. 11]). Interestingly, Leah uses lāwâ ʾel.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68.

 

35절) 넷째 아들 유다 : ‘찬양’, 내가 이제는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

35  Only with the birth of her fourth son does Leah say nothing about her lamentable situation. She names this child Judah (Heb. yehûḏá), and says I will praise [ʾôḏeh] Yahweh. W. F. Albright understood Judah as a Hophal jussive of yāḏá, with the divine-name element -ʾel (El) represented by the ending. Thus Judah (perhaps originally Jehudael or Jehudeel) means “may God be praised.”10 Similarly, A. R. Millard suggests that the name is an abbreviation for Jehudjah (“may Yah be praised”), which is the explanation offered in v. 35.11

The birth of these last two sons is not without import. Levi, we remember, is the ancestor of the Levitical priests. Moses and Aaron are sons of Levites. From Judah issues the principal line of the monarchy. Two of the major OT institutions—priesthood and kingship—have their origin in an unwanted and unplanned marriage.

10 W. F. Albright, “The Names ‘Israel’ and ‘Judah’ with an Excursus on the Etymology of Todah and Torah, JBL 46 (1927) 168–78. According to him yehûḏâ was probably abbreviated from an original yehûḏeʾēl. He accounts for the ending on yehûḏâ by arguing that the qāmeṣ “is simply the pretonic lengthening of the traditional short a vowel, which originated in the influence of the weak largyngeal ʾalef upon the preceding šewă, giving it an a coloring.… When hypocoristica were formed from composite names of this type, the clipped imperfects retained the a coloring, which was lengthened to qāmeṣ under the tone” (pp. 173–74).

11 See A. R. Millard, “The Meaning of the Name Judah,” ZAW 86 (1974) 216–18. For support Millard appeals to the alternative ways of writing other personal names that end in and that clearly refer to the same person: mîḵâ (2 Chr. 34:20) with mîḵāyâ (2 K. 22:12).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68.

 

레아의 첫째 아들은 르우벤, 둘째는 시므온으로 하나님께서 약자들에 대한 섭리를 가장 잘 드러내는 보다와 듣다라는 단어에 근거한 이름을 지어주고 있다. 레아는 야곱의 사랑을 받지는 못했지만 하나님이 향한 믿음과 신앙은 아주 강했다. 자신의 태를 여신 분이 바로 하나님이심을 그녀는 분명히 알았고 그 이름을 지을때마다 여호와 하나님에 대한 그의 신앙을 고백하고 있다. 

야곱은 레아로 인해서 자신이 7년이나 더 라반에게 매여 노동을 해야했던 것에 대해서 미움을 표했을 것이다. 레아는 자신이 첫째 부인이었지만 공공연하게 사랑받지 못했고 부당한 처사를 당했을 것이다. 그런 레아의 상황을 하나님게서 보고, 들으심으로 그의 인생에 개입하신다. 그의 태를 여신 것이다. 레아는 자신에게 아이가 생김으로 인해서 남편이 자신을 사랑해줄 것을 기대했지만 그렇지 못했던 것 같다. 애정없는 부부관계만이 있었고 넷째 유다를 낳고 나서 레아는 이제 자신의 시선을 하나님께 돌리고 여호와만은 찬송하겠다라는 마음으로 이름을 유다라고 부른다. 

35절 마지막은 레아의 출산이 멈추었다라고 표현한다. 아이 넷을 낳고 불임상태가 되었다라고도 볼 수 있지만 이후의 합환채 사건을 볼때 더이상 야곱이 레아와 잠자리를 하지 않았다라고 볼 수도 있다. 

 

하나님께서는 남편의 사랑을 받지 못했던 레아를 보기고, 그녀의 고통을 들으시고 그에게 사랑을 베푸신다. 그녀의 태에서 훗날 메시야를 탄생시킬 유다 지파가, 하나님을 섬기는 레위지파가 시작되었다. 

 

 

 

 

 

 

 

728x90

15 Then Laban said to Jacob, “Because you are my kinsman, should you therefore serve me for nothing? Tell me, what shall your wages be?” 16 Now Laban had two daughters. The name of the older was Leah, and the name of the younger was Rachel. 17 Leah’s eyes were weak,1 but Rachel was beautiful in form and appearance. 18 Jacob loved Rachel. And he said, q“I will serve you seven years for your younger daughter Rachel.” 19 Laban said, “It is better that I give her to you than that I should give her to any other man; stay with me.” 20 So Jacob qserved seven years for Rachel, and they seemed to him but a few days because of the love he had for her.

21 Then Jacob said to Laban, “Give me my wife that I may go in to her, for my time is completed.” 22 So Laban gathered together all the people of the place and rmade a feast. 23 But in the evening he took his daughter Leah and brought her to Jacob, and he went in to her. 24 (Laban gave2 shis female servant Zilpah to his daughter Leah to be her servant.) 25 And in the morning, behold, it was Leah! And Jacob said to Laban, “What is this you have done to me? Did I not serve with you for Rachel? Why then have you deceived me?” 26 Laban said, “It is not so done in our country, to give the younger before the firstborn. 27 tComplete the week of this one, and we will give you the other also in return for serving me another seven years.” 28 Jacob did so, and completed her week. Then Laban gave him his daughter Rachel to be his wife. 29 (Laban gave uhis female servant Bilhah to his daughter Rachel to be her servant.) 30 So Jacob went in to Rachel also, and he loved Rachel more than Leah, and served Laban vfor another seven years.

1 Or soft

q ch. 30:26; 31:41; [Hos. 12:12]

q [See ver. 18 above]

r Judg. 14:10; [John 2:1, 2]

2 Or had given; also verse 29

s See ch. 30:9–12

t [Judg. 14:12]

u See ch. 30:3–7

v ver. 20; ch. 31:41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29:15–30.

 

15 라반이 야곱에게 이르되 네가 비록 내 생질이나 어찌 그저 내 일을 하겠느냐 네 품삯을 어떻게 할지 내게 말하라

16 라반에게 두 딸이 있으니 언니의 이름은 레아요 아우의 이름은 라헬이라

17 레아는 시력이 약하고 라헬은 곱고 아리따우니

18 야곱이 라헬을 더 사랑하므로 대답하되 내가 외삼촌의 작은 딸 라헬을 위하여 외삼촌에게 칠 년을 섬기리이다

19 라반이 이르되 그를 네게 주는 것이 타인에게 주는 것보다 나으니 나와 함께 있으라

20 야곱이 라헬을 위하여 칠 년 동안 라반을 섬겼으나 그를 사랑하는 까닭에 칠 년을 며칠 같이 여겼더라

야곱이 레아와 라헬을 아내로 맞다

21 ◎야곱이 라반에게 이르되 내 기한이 찼으니 내 아내를 내게 주소서 내가 그에게 들어가겠나이다

22 라반이 그 곳 사람을 다 모아 잔치하고

23 저녁에 그의 딸 레아를 야곱에게로 데려가매 야곱이 그에게로 들어가니라

24 라반이 또 그의 여종 실바를 그의 딸 레아에게 시녀로 주었더라

25 야곱이 아침에 보니 레아라 라반에게 이르되 외삼촌이 어찌하여 내게 이같이 행하셨나이까 내가 라헬을 위하여 외삼촌을 섬기지 아니하였나이까 외삼촌이 나를 속이심은 어찌됨이니이까

26 라반이 이르되 언니보다 아우를 먼저 주는 것은 우리 지방에서 하지 아니하는 바이라

27 이를 위하여 칠 일을 채우라 우리가 그도 네게 주리니 네가 또 나를 칠 년 동안 섬길지니라

28 야곱이 그대로 하여 그 칠 일을 채우매 라반이 딸 라헬도 그에게 아내로 주고

29 라반이 또 그의 여종 빌하를 그의 딸 라헬에게 주어 시녀가 되게 하매

30 야곱이 또한 라헬에게로 들어갔고 그가 레아보다 라헬을 더 사랑하여 다시 칠 년 동안 라반을 섬겼더라

 The Holy Bible: New Korean Revised Version, electronic ed. (South Korea, n.d.), 창 29:15–30.

 

 

15-20절) 라반의 집에 도착한 야곱은 한달을 그곳에서 거주했다. 그리고 나서 라반은 야곱에게 품삯을 정하도록 한다. 네가 조카라고 해도 공짜로 일을 시킬 수는 없다. 품삯을 어떻게 할지 정하라라고 요청한다. 라반에에게 두 딸, 레아와 라헬이 있었는데 레아는 시력이 약학 라헬은 곱고 아름다왔다. 

이에 야곱은 라헬을 더 사랑하여서 라헬과 결혼하겠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서 자신이 7년간 섬길 것을 약속한다. 이에 라반은 자신의 딸을 다른 사람에게 시집보내는 것보다 친척인 야곱에게 주는 것이 낫다고 여겼고 이에 이를 승낙한다. 야곱이 라헬을 위해세 7년동안 섬겼는데 그녀를 사랑했기에 7년을 며칠 같이 여겼다. 

 

15절의 라반의 말은 ‘네가 나의 조차이지만 공짜로 일을 시킬 수 없다’라는 의미로 해석되지만 일부는 ‘네가 혈육이라도 되느냐? 공짜로 일하게’라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라반이 야곱을 우물가에게 처음 만났을 때 한 가족으로 인정한 것을 번복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당시 관습에 의하면 가족들은 결코 노동에 대한 대가를 받지 않았는데 지금 라반이 야곱에게 삯을 주겠다고 제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라반이 야곱을 외삼촌과 조카의 관계에서, 고용주와 고용인의 관계로 변경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전에 아브라함의 종이 엄청난 선물을 가지고 왔던 것과는 다르게 야곱은  아무것도 가지고 오지 못했다. 이에 라반은 지금 야곱의 힘과 노동력을 착취하고자 한 것이다. 그런데 야곱은 사랑스러운 라헬을 얻기 위해서 7년의 노동을 수일처럼 여겼다. 

Laban informs Jacob that it is not the custom to marry off the younger daughter before an older daughter, after he has indirectly said Jacob may marry Rachel. Here he offers Jacob remuneration for his work, but only after he has worked a month for him (v. 14).

D. Daube and R. Yaron have forwarded a novel interpretation of this verse.4 They have suggested that the verse is not made up of an assertion—“you are my relative”—followed by a question—“why should you serve … ?” Rather, it is made up of two questions: (1) “Are you my relative?” (2) “Why should you serve … ?” They understand the first question to mean “you are not my relative”; Laban is thereby severing family ties with Jacob, thus reducing Jacob to a hireling who can now receive wages. Heb. haḵî may introduce a legitimate question (i.e., the questioner does not know the answer; 2 Sam. 9:1), or it may introduce a rhetorical question (i.e., the questioner is quite certain of the answer; Job 6:22 [“no!”]; 2 Sam. 23:19 [“yes!”]).5 Gen. 29:15 seems to fit into this second category, with the question of Laban demanding a yes answer (as in 27:36). Contra Daube and Yaron, I would argue that Laban is claiming that Jacob, as a relative, should not receive wages. But given his sanguine nature, Laban is prepared to waive this technicality, and compensate Jacob adequately for his labor, even to the point of allowing Jacob to determine his own wage. In the process, however, Jacob’s nephew-uncle relationship with Laban will be subordinated to that of an employee-employer relationship, giving Laban (so he hopes) the upper hand in this relationship.

4 See D. Daube and R. Yaron, JSS 1 (1956) 61–62; Sarna, Genesis, p. 203.

5 See GKC, § 150d, e.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57–258.

 

16절에서 레아는 시력이 약하고 라헬은 곱고 아리따왔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본문에서 시력이 약하다로 표현된 단어는 ‘라꼿’으로 ‘라흐’라는 단어에서 온 것인데 이는 약한, 연약한, 부드러운이라는 의미이다. 이 단어는 원래 부정적인 의미보다는 섬세하고 부드럽고 정교한 것을 설명하는 표현이다. 

한국어와 영어 번역들이 어떻게 이 단어를 해석하고 있는지를 참조하라:

(1)“레아는 부드러운 눈매를 하고"(공동번역)

(2)“레아는 눈매가 부드러웠으며”(새역)  

(3)“Leah’s eyes were lovelγ’(레아의 눈은 다)(NRS)

(4)Leah had lovely eyes ’레아 운 눈을 가졌다(NAB; NJB)

(5)Leah had pretty eyes"(레아 가졌다(NLT) 

(6)“Leah's eyes were de!icate"(레아의 눈은 예민했다)(NKJ).

이러한 표현들을 통해서 레아는 강렬한 눈매가 아니라 부드러운, 유순한 눈을 가지고 있었던데 반하여 라헬은 몸매가 아름답고 얼굴, 용모도 예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습에 반한 야곱은 7년을 며칠같이 여기며 지냈다. 

레아와 라헬에 대한 외모, 아름다움의 기준은 아마도 현대의 기준과는 사뭇 다를 것이다. 앞서 이삭의 아내가 될 리브가도 우물에서 만났다. 지금 라헬도 우물에서 야곱을 처음 만났다. 양떼를 기르고, 낙타에게 물을 줄 정도로 건장한 몸매를 지녔을 것이고 이러한 건강미에 야곱이 반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 traditional rendering “Leah’s eyes were weak” (RSV, NIV; cf. NEB, JB) is in need of reexamination. The adjective raḵ means “weak”6 only in a few places, particularly Gen. 33:13 (“frail” children) and Deut. 20:8 (“softhearted, timid” paralleling “fearful,” yārēʾ). More often it describes something that is tender (flocks, Gen. 18:7), gentle (a king’s reign, 2 Sam. 3:39), soft (speech, Prov. 15:1; Job 40:27 [Eng. 41:3]), delicate (a woman, Deut. 28:56; Isa. 47:1), and young (an inexperienced lad, 1 Chr. 22:5; 29:1; 2 Chr. 13:7). In the last three references raḵ is parallel with naʿar, “inexperienced, youthful.” Leah may be older, but her eyes are the beautiful eyes of a person who looks much younger.

In an earlier story involving Abraham’s servant and Rebekah, attention was drawn right at the outset of the meeting to Rebekah’s beauty (24:16). Notice is made of her charms before there is any dialogue. Here it is reversed. There is dialogue between Jacob and Rachel (v. 12), then Leah and Rachel are introduced, then attention is drawn to Rachel’s pulchritude. Such a positioning stresses that Rachel’s beauty is indeed what attracts Jacob to Rachel. Jacob did not put out a fleece before Yahweh, as Abraham’s servant did. He is attracted by Rachel’s physical appearance.7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JB Jerusalem Bible

6 Understanding the Hebrew to mean “weak,” and following the custom of saying nothing disparaging about the patriarchs and matriarchs of Israel, Gen. Rabbah 70:16 chose to translate raḵ as “lovely” (yʾyn). It adds, further, that Leah’s eyes were “weak” on account of her weeping over the possibility that, as the elder sister, she would have to marry Esau, the older brother.

7 Cf. Alter, Art of Biblical Narrative, p. 56, who contrasts Rachel’s beauty as part of her objective identity with Rebekah’s beauty as a “casual element in Jacob’s special attachment to her.”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58–259.

 

18절에서 분명히 야곱을 라헬을 요구했다. 라헬을 더 사랑하기에 그녀는 얻기 위해서 7년을 섬기기로 약속한 것이다. 그런데 19절에서 라반은 내가 그녀를 너에게 주는것이 타인에게 주는 것보다 낫다라고 표현한다. 라헬이라고 정확하게 표현하지 않고 일부러 애매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어쩌면 이때부터 라반은 야곱을 속일 계략을 꾸미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Unlike his grandfather’s servant who came to this same territory earlier for the same purpose, but with ten camels and gifts, Jacob arrives empty-handed. Accordingly, he is not prepared to offer Laban a monetary sum as the bride price. He has nothing to offer. In the place of a sum of money Jacob is willing to pledge himself to seven years of service for Laban.8

Here then is Jacob’s response to Laban’s earlier question: “should you serve [ʿāḇaḏ] me for nothing?” (v. 15). Jacob says he will “serve” seven years (v. 18) for Rachel, and he “served” seven years (v. 20). Earlier in the Jacob narrative Jacob was designated the object, not the subject, of this verb (25:23). Service was something he was supposed to receive (from Esau). Now the object of ʿāḇaḏ becomes the subject of ʿāḇaḏ. No reason is given why Jacob chose seven years. But it seems as if he is in no hurry to go home. Why should he? Why precipitate an unnecessarily early meeting with Esau? Let Esau wait for as long as possible.

Laban is as concerned, or at least seems as concerned, about whom his daughter marries as Isaac was about whom his son would marry (28:2). Rachel is not consulted for her opinion. A daughter is “given”9 by her father to her husband-to-be. That Laban says It is better to give her to you, and not “it is better to give Rachel to you,” may be intentionally ambiguous; he thereby lays the groundwork for his forthcoming act of deception.

8 David’s providing a hundred Philistine foreskins to Saul for the hand of Michal in marriage (1 Sam. 18:21–25) is another case of a nonmonetary bride price.

9 Cf. the words in the marriage ritual: “Who giveth this woman to this man?”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59.

 

 

본문속에서 야곱은 라헬을 얻기 위해서 라반에게 7년간 섬기기로 약속한다. 본문에서 일하다, 섬기다라는 표현 ‘아보드’라는 단어가 7번 사용된다.(15, 18, 20, 25, 27(2번), 30절) 이 단어는 노동하다, 일하다, 봉사하다라는 표현으로 예배하다라는 표현으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 본문에서는 자신을 위해서 남을 속이는데 익숙하던 야곱이 사랑을 얻기 위해서 섬기는 것을 자원해서 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사랑을 통해서 야곱을 변화시키고 계신 것이다. 

당시 누지 문서에 의하면 남자가 여자를 아내로 맞이하기 위해서 처가에 지불하는 몸값은 보통 은 30-40세겔 수준이었다. 은 10세겔이 노동자의 1년봉급에 해당하기에 70세겔은 보통의 몸값에 두배에 해당하는 액수이다. 물론 라헬이 그정도를 지불할만큼 사랑스러웠지만 라반은 타국땅에 의지할 것 없는 야곱의 노동력을 착취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당시 신부의 몸값은 남편이 죽거나 남편에게 버림을 받게 될 때 여인의 생계비 역할을 했고 또한 몸값을 지불받은 집안의 다른 형제들의 결혼 자금을 위해서 쓰이기도 했다. 31장 은 이렇게 말한다. 

창세기 31:14–16 (NKRV)

14라헬과 레아가 그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우리가 우리 아버지 집에서 무슨 분깃이나 유산이 있으리요

15아버지가 우리를 팔고 우리의 돈을 다 먹어버렸으니 아버지가 우리를 외국인처럼 여기는 것이 아닌가

16하나님이 우리 아버지에게서 취하여 가신 재물은 우리와 우리 자식의 것이니 이제 하나님이 당신에게 이르신 일을 다 준행하라

본문은 야곱이 라반의 집에서 나와 고향으로 돌아갈 때 라헬과 레아가 말한 내용이다. 

 

21-24절) 이제 약속한 7년이 지났다. 야곱이 라반에게 이제 기한이 다 되었으니 라헬을 자신에게 달라고 요청한다. 이에 라반이 그곳 사람을 다 모아 잔치를 열고 저녁에 라헬이 아니라 레아를 야곱에게로 데러가 들어가게 하였다. 또한 여종 실바를 레아의 시녀로 주었다. 

속임의 주체에서 속임을 당하는 객체로 전락한 야곱, 앞서 야곱은 이삭 앞에서 에서인척 했다. 그런데 지금 자신의 옆에 레아가 라헬인체 하고 누워있는 것이다. 

21절에서 야곱은 라반에게 당신의 딸을 나에게 아내로 달라고 요청한 것이 아니라 내 아내를 내게 주어 내가 그에게 들어가게하라고 요청한다. 결혼을 하지 않았지만 약혼한 사이이기에 내 아내라고 할 수 있었다. 본문에서 내가 그에게 들어가겠다라는 표현은 그녀와 성적인 관계를 가지겠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야곱은 결혼 자체가 아니라 성적인 관계에 대한 열망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21  The reader may be somewhat surprised that Jacob refers to Rachel as my wife, rather than “your daughter.” His relationship to Rachel must be akin to Joseph’s relationship to Mary in the NT. The couple are husband and wife, but the marriage has not yet been physically consummated.11 This is clear from Jacob’s words to Laban. He does not say, “let me have Rachel so that I may take her as my wife.” He says: Let me have my wife … that I may go in to her, i.e., have sexual intercourse with her. Jacob’s expressed desire is not for marriage but for sexual congress on the heels of marriage.

11 On legal matters vis-à-vis the betrothed wife, see Deut. 20:17; 22:23–24.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61.

 

당시 결혼식과 장례식은 온 마을이 성대히 치르는 행사였다. 지난 7년간의 수고의 결실을 얻는 시간이었다. 아마도 이 잔치에 야곱은 너무 기뻐서 코가 비뚤어지도록 마시고 첫날 밤을 맞이했던 것 같다. 드디어 늦은 밤 신방에 들어가자 사랑하는 여인이 들어왔다. 저녁 시간의 어두움, 술기운, 베일을 하고 들어온 약혼자. 베일과 어두움에 숨겨져 있지만 여전히 레아의 목소리까지 숨길 수는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첫날밤의 긴장과 술기운으로 인해서 야곱은 감쪽같이 속았다. 

그리고 여종 실바에 대한 언급은 이후에 레아를 대신해 야곱의 자녀(30:9-13갓, 아셀)를 낳을 것에 대한 기반을 제공한다. 

 

라반의 속임은 이해가 간다. 하지만 이것에 대해서 레아나 라헬은 어떠했을까? 7년동안 라헬과 야곱은 서로 사랑을 쌓아갔을 것이다. 그런것을 뻔히 알고 있는 레아가 지금 아무리 아버지의 명이라고 해도 이렇게 야곱을 속이는 일에 동참한 것은 참 이해하기 쉽지 않다. 아마도 레아와 라헬 모두 야곱을 연모하지 않았을까? 레아도 어쩔수 없이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야곱에게 들어갔다라기 보다는 야곱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었기에 이러한 속임이 가능했을 것이다. 

 

25-30절) 야곱이 첫날밤을 치르고 아침에 일어나 보니 자신의 옆에 누워있는 여인은 라헬이 아니라 레아였다. 이에 외삼촌 라반에게 어떻게 나에게 이렇게 하실 수가 있습니까? 내가 라헬을 아내로 맞이하기 위해서 외삼촌을 섬긴 것이 아닙니까? 왜나를 속이셨습니까?라고 묻는다. 이에 라반은 언니보다 아우를 먼저 주는 것이 우리 지방의 풍습이 아니니 먼저 레아와 7일을 채우고 나면 라헬을 너에게 주겠다. 이를 위해서 다시 7년을 섬겨라라고 요구한다. 이에 야곱은 요구대로 7일을 채우고 나서 라헬을 아내로 맞이하게 된다. 또 라반이 라헬의 여종 빌하를 그에게 주었다.(30:3-8 단, 납달리) 

야곱이 라헬에게 들어겄고 레아보다 라헬을 더 사랑하여 다시 7년을 섬겼다. 

 

아침에 일어난 야곱의 기분이 어땠을까? 첫날밤의 기쁨은 경악과 분노로 바뀌었다. 신혼 방의 어두움과 술 기운, 여인의 베일에 그는 완전히 속았다. 앞서 야곱이 아버지의 침침한 눈과 감각을 속였던 것처럼 그는 완전히 속았다. 앞서 야곱이 이삭을 속였을때(27:35) 이 표현이 사용되었다. 뿌린대로 거둔 것이다. 

야곱의 분노에도 불구하고 어찌할 수 없었다. 라반은 지역의 풍습을 핑계로 다시 7년을 섬길 것을 요구했다. 이 풍습이 사실이라고 해도 이러한 풍습에 대해서 분명하게 이야기하지 않은 것은 분명히 문제이다. 불완전계약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본문은 바로 라헬을 아내로 주지않고 7일의 시간이 지난후에 라헬을 들여보낸다. 이는 레아와의 결혼식 잔치가 끝나는 7일후가 되도록 기다린 것이다. 유대인의 결혼 축제는 보통 7일간 지속된다. 이 때는 신랑과 신부가 아무 일도 하지 않고 계속 같이 지냄으로 일찍 아이를 가질 수 있도록 했다. 

 

라반은 한번의 결혼식으로 두 딸을 결혼 시킨다. 레위기는 한 자매가 한남자와 관계를 갖는 것을 금지한다. 

레위기 18:18 (NKRV)

18너는 아내가 생존할 동안에 그의 자매를 데려다가 그의 하체를 범하여 그로 질투하게 하지 말지니라

 

28–30  Jacob offers no further protest. He accepts Laban’s request of seven more years of service if he is to marry Rachel. At the end of the bridal week Rachel is given to Jacob. This is an act of trust by Laban. Might not Jacob abscond with Rachel after seven years and a week under Laban’s roof? What is there to guarantee Jacob’s commitment to a promise made in excruciating circumstances? It is a testimony to Jacob’s character that he fulfills his duty to Laban chronologically, even though his employment tenure with Laban is doubled due to Laban’s ability to switch his daughters, causing great distress for Jacob (and probably for Rachel too).

Between vv. 20 and 30 fourteen years elapse: seven pre-Rachel years, seven post-Rachel years. Essentially nothing is recorded about this long period, unless one reads the narrative in 29:31ff. (the birth of Jacob’s children) as synchronous with 29:30, the seven additional years for which Jacob served Laban. In fact, this is the more likely reading; yet, taking 29:31ff. as sequential to 29:30 is not impossible. V. 31 suggests that Rachel was unable to conceive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nd not just for the first year of marriage. Then again, Leah surely was not barren herself for seven years. About the seven years of courtship nothing at all is said. Perhaps the first seven years of marriage were stormy, for Jacob cannot split his affection evenly between Rachel and Leah. He is clearly in love with Rachel. If Laban has become the Jacob in this event, Jacob is becoming like his mother and father, each of whom loved one son more than the other (25:28). Parental favoritism is now replaced with marital favoritism. The former led to friction in Isaac’s family. Will the latter produce friction in Jacob’s family?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64.

 

우리는 본문을 통해서 뿌린대로 거두는 야곱을 보게 된다. 그는 형과 아버지를 속인 것처럼 라반에게 속임을 당한다. 야곱은 아버지 이삭에게 동생인 자신을 형이라고 속임으로 축복을 받았다. 이 사건에서는 라반이 야곱에게 언니(형)를 동생이라고 속였다. 어찌보면 정 반대의 사건이지만 속임의 사건이 벌어진 것이다. 에서와 야곱 사이의 갈등이 이제 레아와 라헬 사이의 갈등으로 양상을 달리하며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앞서 이삭과 리브가가 자식을 편애했던 것을 보았다. 그 편애로 말미암아 이삭의 가족의 분열이 일어났고 이제 이어서 야곱이 아내를 편애하는 것으로 인해서 야곱의 가족에 분열이 일어나는 것을 보게 된다. 

 

 

 

728x90

Then Jacob went on his journey and came to kthe land of the people of the east. As he looked, he saw a well in the field, and behold, three flocks of sheep lying beside it, for out of that well the flocks were watered. The stone on the well’s mouth was large, and when all the flocks were gathered there, the shepherds would roll the stone from the mouth of the well and water the sheep, and put the stone back in its place over the mouth of the well.

Jacob said to them, “My brothers, where do you come from?” They said, l“We are from Haran.” He said to them, “Do you know Laban the son of Nahor?” They said, “We know him.” He said to them, “Is it well with him?” They said, “It is well; and see, Rachel his daughter is coming with the sheep!” He said, “Behold, it is still high day; it is not time for the livestock to be gathered together. Water the sheep and go, pasture them.” But they said, “We cannot until all the flocks are gathered together and the stone is rolled from the mouth of the well; then we water the sheep.”

While he was still speaking with them, mRachel came with her father’s sheep, for she was a shepherdess. 10 Now as soon as Jacob saw Rachel the daughter of Laban his mother’s brother, and the sheep of Laban his mother’s brother, Jacob came near and rolled the stone from the well’s mouth and watered the flock of Laban his mother’s brother. 11 Then Jacob kissed Rachel and wept aloud. 12 And Jacob told Rachel that he was nher father’s kinsman, and that he was Rebekah’s son, oand she ran and told her father.

13 As soon as Laban heard the news about Jacob, his sister’s son, ohe ran to meet him and embraced him and kissed him and brought him to his house. Jacob told Laban all these things, 14 and Laban said to him, p“Surely you are my bone and my flesh!” And he stayed with him a month.

k Num. 23:7; Judg. 6:3

l ch. 27:43

m Ex. 2:16, 17

n ch. 13:8; 14:14, 16

o [ch. 24:28, 29]

o [See ver. 12 above]

p ch. 2:23; 37:27; Judg. 9:2; 2 Sam. 5:1; 19:12, 13; 1 Chr. 11:1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29:1–14.

 

야곱이 길을 떠나 동방 사람의 땅에 이르러

2 본즉 들에 우물이 있고 그 곁에 양 세 떼가 누워 있으니 이는 목자들이 그 우물에서 양 떼에게 물을 먹임이라 큰 돌로 우물 아귀를 덮었다가

3 모든 떼가 모이면 그들이 우물 아귀에서 돌을 옮기고 그 양 떼에게 물을 먹이고는 우물 아귀 그 자리에 다시 그 돌을 덮더라

4 야곱이 그들에게 이르되 내 형제여 어디서 왔느냐 그들이 이르되 하란에서 왔노라

5 야곱이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가 나홀의 손자 라반을 아느냐 그들이 이르되 아노라

6 야곱이 그들에게 이르되 그가 평안하냐 이르되 평안하니라 그의 딸 라헬이 지금 양을 몰고 오느니라

7 야곱이 이르되 해가 아직 높은즉 가축 모일 때가 아니니 양에게 물을 먹이고 가서 풀을 뜯게 하라

8 그들이 이르되 우리가 그리하지 못하겠노라 떼가 다 모이고 목자들이 우물 아귀에서 돌을 옮겨야 우리가 양에게 물을 먹이느니라

9 야곱이 그들과 말하는 동안에 라헬이 그의 아버지의 양과 함께 오니 그가 그의 양들을 치고 있었기 때문이더라

10 야곱이 그의 외삼촌 라반의 딸 라헬과 그의 외삼촌의 양을 보고 나아가 우물 아귀에서 돌을 옮기고 외삼촌 라반의 양 떼에게 물을 먹이고

11 그가 라헬에게 입맞추고 소리 내어 울며

12 그에게 자기가 그의 아버지의 생질이요 리브가의 아들 됨을 말하였더니 라헬이 달려가서 그 아버지에게 알리매

13 라반이 그의 생질 야곱의 소식을 듣고 달려와서 그를 영접하여 안고 입맞추며 자기 집으로 인도하여 들이니 야곱이 자기의 모든 일을 라반에게 말하매

14 라반이 이르되 너는 참으로 내 혈육이로다 하였더라 야곱이 한 달을 그와 함께 거주하더니

 The Holy Bible: New Korean Revised Version, electronic ed. (South Korea, n.d.), 창 29:1–14.

 

 

 

1절) 야곱이 길을 떠나서 동방 사람의 땅에 이르렀다. 

원래 야곱의 목적지는 밧단아람, 하란이었다. 이는 메소포다미아 북서쪽에 위치한 곳인데 본문에서는 동방 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동방 사람의 땅은 요단강 동편 지역, 시리아, 북 아라비아 등 가나안 지역 동쪽을 총괄하는 일반적인 표현이다. 또한 창세기에서 동쪽은 흔히 하나님의 임재로부터 떠나 추방된 사람들과 연관이 있다(3:23-24, 4:16, 25:6). 이 언급은 하란의 사람들이 하나님을 섬기지 않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성경에서 우물은 배우자를 찾는 장소로 흔히 사용되었다. 이삭, 야곱, 모세가 우물가에서 아내를 찾았다. 앞서 아브라함의 종이 이곳을 방문하면서 하나님께 기도하고 리브가를 만났다면(24장) 본문에서 야곱의 기도내용은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리브가는 스스로 종의 낙타에게 물을 주었다면 본문에서는 야곱이 라반의 양떼에 물을 주는 것으로 둘 사이의 관계가 특별함을 보여준다. 또한 앞서 아브라함의 종이 낙타 10마리에 많은 선물을 가지고 이 마을을 방문했다면 지금 야곱은 형의 복수를 피해서 도망자의 신세로 이곳을 찾았다. 

 

That the home of Nahor may be described as among the Easterners shows that benê qeḏem (lit., “sons of the East”) may refer to Arameans along the northern Euphrates. In other places in Scripture (Isa. 11:14) the same term designates Israel’s enemies on the east, or south and southeast, as opposed to their enemies on the west and southwest, i.e., the Philistines. In Judg. 6:3, 33; 7:12 the expression is a summarizing appositive for the Midianites and the Amalekites (not a distinct third group). In Ezek. 25:4, 10 the “sons of the East” represent a desert group that will overrun Ammon and Moab. Cf. also 1 K. 5:10 (Eng. 4:30); Job 1:3; Jer. 49:28. More than any other book in the OT, Genesis emphasizes the east (see 3:24; 4:16; 10:30; 11:2; 13:11; 25:6) as a direction of some significance. Movement to the east in Genesis is in the context of judgment (4:16) or vanity (11:2; 13:11) or alienation (25:6). The same is true with Jacob. The journey to the east is filled with heartaches and is far from ideal. It is not until Jacob journeys to the west (i.e., his return to Canaan) that peace comes. The reference to “the East” is thus a general one and is flexible. Haran is obviously much more north than east of Canaan, but it is still east of the Euphrates.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52.

 

2-10절) 야곱이 도착한 곳은 우물이었다. 이 우물에 양 세떼가 있었는데 이 우물은 입구가 큰 돌로 덮여 있었다. 모든 양떼가 모이면 목자들이 우물의 돌을 옮기고 물을 먹이곤 했다. 야곱이 목자들에게 그들이 어디로부터 왔는지 그리고 나홀의 손자 라반을 아는지를 물었다. 목자들은 자신들이 하란으로부터 왔으며 라반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야곱은 라반이 평안하냐(샬롬)라고 묻자 평안하다고 답하자 그때 라헬이 양을 몰고 왔다. 

이에 야곱이 라헬이 양떼를 몰고 오는 것을 보고 우물의 돌을 옮기고 라반 양떼에게 물을 먹였다. 

 

우물은 만남이 이루어지고, 목축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공간이었다. 우물의 입구를 돌로 막은 것은 물이 오염되거나 짐승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혼자 우물을 독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러명이 옮길 정도의 돌을 설치한 것이다. 

 

4-6절은 세가지 질문과 대답으로 이루어진다. 

 

야곱의 질문

목자들의 대답

4절

어디서 왔느냐?

하란에서 왔다.

5절

나홀의 손자 라반을 아느냐?

안다.

6절

그가 평안하냐?

평안하다. 그의 딸 라헬이 지금 양을 몰고 오고 있다.

본 구절은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드러낸다. 앞서 하나님께서 야곱과 함께 하시겠다라는 약속의 성취를 보여준다. 또한 자신의 샬롬만을 추구하던 야곱이 삼촌의 샬롬을 묻는것도 인상적이다 

These three verses provide illustration of the fulfillment of God’s recent promise to Jacob, “I will be with you” (28:15), for the text should be read as a providential leadership of Jacob in his wanderings. It is no coincidence that he stumbles upon some individuals who know Laban well, anymore than it is coincidence that Ruth happens to glean in the fields of Boaz. Furthermore, the seemingly chance meeting of Jacob and Rachel is not serendipitous.

Is he well? (Heb. hašālôm lô, lit., “Is peace to him?”), the third of Jacob’s three questions. In the previous narrative Jacob was concerned about his own šālôm (28:21). Here his concern is directed toward his uncle’s šālôm. One need not read into the word šālôm all the rich nuances it carries elsewhere in the Bible.11 Jacob’s question to the shepherds about Laban’s šālôm is simply polite inquiry about the state of Laban’s well-being. One may compare it with Gen. 43:26ff., where Joseph inquires about the šālôm of his brothers, then to his brother about their father. In both instances, chs. 29 and 43, A inquires about the šālôm of B from C.12

Unlike Gen. 24, which featured lengthier and more formal dialogue when Abraham’s servant first met Rebekah by the well (24:15ff.), Jacob’s meeting with the shepherds around this well is marked by the quick exchange of short questions and answers: v. 4—first question, first answer; v. 5—second question, second answer; v. 6—third question, third answer. Such a format, according to Alter, is “an appropriate prelude to Jacob’s quick-paced story of vigorously pursued actions, deceptions, and confrontations.”13

11 See W. Brueggemann, Biblical Reflections on Shalom: Living Toward a Vision (Philadelphia: United Church, 1976).

12 For the expression šāʾal lešālôm (“to greet”) cf. Gen. 43:27; Exod. 18:7; Judg. 18:15; 1 Sam. 10:4; 17:22; 25:5; 30:21; 2 Sam. 8:10; 11:7; 1 Chr. 18:10. See D. J. Harris, The Biblical Concept of Peace (Grand Rapids: Baker, 1970), p. 75; H. H. Schmid, Šālôm “Frieden” im Alten Orient und im Alten Testament, Stuttgarter Bibelstudien 51 (Stuttgart: Katholisches Bibelwerk, 1971), pp. 47–48.

13 Alter, Art of Biblical Narrative, p. 55.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53.

 

아브라함의 종의 경우에 하나님께서 그의 기도를 들으시고 리브가에 대한 구체적인 사인을 주셨는데 야곱은 지역의 목동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라헬의 정보를 얻는다. 7절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지금 라헬이 양떼를 몰고 온 때는 일반적으로 목동들이 우물을 찾는 시간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라헬이 우물을 찾은 것은 하나님께서 이 만남을 이끄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라헬의 이름은 ‘어린 암 양’이란 뜻을 지니고 있다. 어린 암 양이 양떼를 몰고 왔다. 

우물의 입구를 막은 돌은 여럿이 옮겨야 할만큼 무거운 것이었다. 지금 우물 근처의 목자들은 더 목자들이 모일때까지 기다리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목자들이 힘이 부족했던지 게을렀던지 적극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그런데 지금 야곱은 초인적인 힘을 발휘해서 멋지게 돌을 옮기고 양떼에게 물을 먹이고 있는 것이다. 고향 집에 있던 샌님의 모습과는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나님께서 그와 함께 하심으로 힘을 주셨는지, 아니면 라헬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초인적인 힘을 발휘했는지는 알 수 없다. 

10절은 외삼촌 라반을 3번 반복함으로 라헬이 이삭과 리브바가 야곱에게 말한 결혼 상대자임을 암시하고 있다. 

 

11-14절) 야곱이 라헬에게 입맞추고 소리내어서 울며 자신의 정체를 밝혔다. 그러자 라헬이 달려가 그 아버지 라반에게 알리고 조카가 왔다라는 소식을 듣고 라반이 달려와 그를 영접하여 안고 입맞춤 자기 집으로 인도하여 들였다. 야곱이 자기의 일을 라반에게 고하고 라반이 그를 혈육으로 인정하고 야곱과 한달을 함께했다. 

 

입맞춤은 친척들 사이의 일상적인 인사 방법이다. 하지만 본문을 잘 보면 야곱은 자신의 정체를 밝히기 전에 라헬에게 입맞춤을 한다. 남자를 알지 못하는 라헬로서는 매우 당황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었을 것이다. 오랜 시간, 먼 거리의 여정을 달려왔다. 형의 복수의 칼날을 피해서, 또한 아버지의 축복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며 달려온 그의 앞에 라반의 딸이 서 있는 것이다. 오랜 여정의 고달픔과 핏줄에 대한 그리움,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에 대한 기대함이 한꺼번에 그에게 몰려와 눈물을 흘렸을 것이다. 옛적에 아브라함의 종은 이렇게 약속하신 배우자를 만나자 감사와 찬양을 드렸는데 야곱을 그렇게 하지는 않았다. 라반은 100여년 전에 이미 이 우물에 달려 나온 적이 있다. 그 당시 아브라함의 종의 많은 선물을 받았었지만 지금은 거지꼴로 온 조카를 만났다. 라반이 야곱을 반겨 맞은 것은 야곱의 힘 때문이 아니었을까? 라헬이 달려와서 야곱의 이야기를 하면서 우물의 돌을 옮긴 이야기를 했을 것이다. 많은 재물을 가지고 오지는 않았지만 조카의 힘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라반에게 있지 않았을까? 하여튼 그는 야곱을 혈육으로 맞이하고 그를 자신의 집에 거주하도록 허락한다. 

 

11  Jacob’s kissing of Rachel, followed by his weeping aloud, strikes the modern, Western reader of Scripture as strange. Rachel does not ask why he is crying, nor does he offer her an explanation. But Jacob’s crying may be brought on by the successful termination of his journey. He is now in the right place and he has met the right person. The providential leading of God again becomes obvious. Earlier, the same expression (lit., “lifted up his voice and wept”) was used of Esau (27:38). But Esau’s weeping stems from grief and disappointment, whereas Jacob’s weeping reflects his gratitude. This is one of the rare instances in a biblical narrative of a man kissing a woman. In the OT kissing (as a sign of greeting or blessing) normally involves two men. For a man kissing a woman, see Gen. 31:28 and 32:1 (Eng. 31:55; Laban and his daughters); 1 K. 19:20 (Elisha and his mother); Cant. 1:2 (the beloved and her lover).11

11 In Prov. 7:13 it is reversed. There it is the personified “Dame Folly” who kisses any simple man who wanders into her house.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56.

 

14  Laban’s only recorded words to Jacob are: Indeed, you are my bone and my flesh. This expression is a formula that occurs first in Gen. 2:23 and again in Judg. 9:2; 2 Sam. 5:1 (par. 1 Chr. 11:1); and 2 Sam. 19:13. While each of these passages includes, by this formula, the possibility of blood ties, the larger context would suggest that a reciprocal covenant oath is involved as well. Laban is not only celebrating family connections, but is instituting, albeit in an incipient stage, a bond between nephew and uncle. Of course, Laban will be the head, while Jacob will be the junior partner.13

The sparse dialogue in vv. 1–14 is mostly between Jacob and the shepherds (vv. 4–9a). Jacob and Rachel do not talk to one other in direct discourse, nor do Rachel and Laban, nor does Jacob with Laban. Laban’s own words are minimal (four words in Hebrew).14 But while words are few, enthusiasm is abundant. Rachel ran (Heb. rûṣ) to tell Laban, and Laban ran out (Heb. rûṣ) to meet Jacob.

The concluding note in v. 14 that Jacob stayed with Laban for an entire month does not conflict with later references that he remained twenty years with Laban (31:41).15 V. 14b does not imply that Jacob headed back to Canaan at the end of the month. It simply indicates that at the end of that month Laban proposed that Jacob’s position be regularized by Laban paying Jacob a wage, and that Jacob should not be expected to work for Laban for free just because he is kin.16

13 See D. Daube and R. Yaron, “Jacob’s Reception by Laban,” JSS 1 (1956) 60–61; W. Brueggemann, “Of the Same Flesh and Bone (Gn 2, 23a)” CBQ 32 (1970) 537–38.

14 I cannot agree with Fokkelman’s interpretation (Narrative Art in Genesis, p. 126) that ʾaḵ is, in Laban’s mouth, an expression of disappointment, rather than a particle of emphasis—“you do not bring riches; oh well, yet you are my flesh and blood.” For ʾaḵ as a particle for emphasis, see Andersen, Sentence in Biblical Hebrew, p. 177.

15 As argued by Noth, History of Pentateuchal Traditions, pp. 88–89.

16 See R. N. Whybray, The Making of the Pentateuch, JSOTSup 53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1987), p. 194.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56–257.

 

 

 

 

 

 

 

 

 

728x90

10 Jacob left pBeersheba and went toward qHaran. 11 And he came to a certain place and stayed there that night, because the sun had set. Taking one of the stones of the place, he put it under his head and lay down in that place to sleep. 12 And he rdreamed, and behold, there was a ladder2 set up on the earth, and the top of it reached to heaven. And behold, sthe angels of God were ascending and descending on it! 13 And behold, tthe Lord stood above it3 and said, u“I am the Lord, the God of Abraham your father and the God of Isaac. vThe land on which you lie I will give to you and to your offspring. 14 Your offspring shall be like wthe dust of the earth, and you shall spread abroad to the west and to the east and to the north and to the south, and in you and xyour offspring shall all the families of the earth be blessed. 15 Behold, yI am with you and will keep you wherever you go, and zwill bring you back to this land. For I will anot leave you until I have done what I have promised you.” 16 Then Jacob awoke from his sleep and said, “Surely the Lord is bin this place, and I did not know it.” 17 And he was afraid and said, “How awesome is this place! This is none other than the house of God, and this is the gate of heaven.”

18 So early in the morning Jacob took the stone that he had put under his head and set it up cfor a pillar dand poured oil on the top of it. 19 He called the name of that place eBethel,4 but the name of the city was Luz at the first. 20 Then Jacob fmade a vow, saying, “If God will be with me and will keep me in this way that I go, and will give me bread to eat and clothing to wear, 21 gso that I come again to my father’s house in peace, hthen the Lord shall be my God, 22 and this stone, which I have set up for a pillar, ishall be God’s house. And jof all that you give me I will give a full tenth to you.”

p ch. 21:31; 26:33

q [Acts 7:2]

r [Num. 12:6; Job 33:15, 16]

2 Or a flight of steps

s [John 1:51]

t [ch. 35:1; 48:3]

3 Or beside him

u ch. 26:24

v ch. 35:12; See ch. 13:14–16

w See ch. 13:16

x See ch. 12:3

y ch. 26:24; 31:3

z ch. 35:6

a 1 Kgs. 8:57

b Ex. 3:5; Josh. 5:15

c ch. 31:13, 45; 35:14; [1 Sam. 7:12; 2 Sam. 18:18]

d [Lev. 8:10, 11; Num. 7:1]

e ch. 35:7; Judg. 1:23, 26

4 Bethel means the house of God

f ch. 31:13

g [Judg. 11:31; 2 Sam. 15:7–9]

h Deut. 26:17

i ch. 35:7, 14

j ch. 14:20; Lev. 27:30–3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28:10–22.

 

10 ◎야곱이 브엘세바에서 떠나 하란으로 향하여 가더니

11 한 곳에 이르러는 해가 진지라 거기서 유숙하려고 그 곳의 한 돌을 가져다가 베개로 삼고 거기 누워 자더니

12 꿈에 본즉 사닥다리가 땅 위에 서 있는데 그 꼭대기가 하늘에 닿았고 또 본즉 하나님의 사자들이 그 위에서 오르락내리락 하고

13 또 본즉 여호와께서 그 위에 서서 이르시되 나는 여호와니 너의 조부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요 이삭의 하나님이라 네가 누워 있는 땅을 내가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니

14 네 자손이 땅의 티끌 같이 되어 네가 서쪽과 동쪽과 북쪽과 남쪽으로 퍼져나갈지며 땅의 모든 족속이 너와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복을 받으리라

15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가 어디로 가든지 너를 지키며 너를 이끌어 이 땅으로 돌아오게 할지라 내가 네게 허락한 것을 다 이루기까지 너를 떠나지 아니하리라 하신지라

16 야곱이 잠이 깨어 이르되 여호와께서 과연 여기 계시거늘 내가 알지 못하였도다

17 이에 두려워하여 이르되 두렵도다 이 곳이여 이것은 다름 아닌 하나님의 집이요 이는 하늘의 문이로다 하고

18 야곱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베개로 삼았던 돌을 가져다가 기둥으로 세우고 그 위에 기름을 붓고

19 그 곳 이름을 1)벧엘이라 하였더라 이 성의 옛 이름은 루스더라

20 야곱이 서원하여 이르되 하나님이 나와 함께 계셔서 내가 가는 이 길에서 나를 지키시고 먹을 떡과 입을 옷을 주시어

21 내가 평안히 아버지 집으로 돌아가게 하시오면 여호와께서 나의 하나님이 되실 것이요

22 내가 기둥으로 세운 이 돌이 하나님의 집이 될 것이요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모든 것에서 십분의 일을 내가 반드시 하나님께 드리겠나이다 하였더라

1) 하나님의 집

 The Holy Bible: New Korean Revised Version, electronic ed. (South Korea, n.d.), 창 28:10–22.

 

 

10절) 야곱이 브엘세바에서 떠나 하란으로 향했다. 브엘세바에서 하란은 직선거리로 730km정도로 약 900km에 해당되는 먼 여정이었다. 

이삭은 야곱에게 라반이 살고 있는 밧단아람으로 가라고 했다.(28:2, 5) 그런데 10절에서는 하란으로 간다라고 말한다. 이 둘은 같은 지역을 말하지만 하란이라는 표현은 아브라함이 순종을 연상케 하기 위한 표현이다.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따라 순종하여 하란을 떠나 가나안으로 이주한 것처럼 이제 야곱이 아버지 이삭의 명령에 순종하여 하란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이다. 야곱이 할아버지 아브라함의 여정을 그대로 밟고 있다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하란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11-15절) 이 여정중에 한 곳, 벧엘에 이르러 그가 유숙하게 된다. 11절은 한 곳이라고 표현한다. 이는 야곱이 의도해서 그곳에 머물게 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 벧엘은 매우 의미가 있는 곳이다. 

11절에 place, ‘마콤’이라는 표현이 세번 등장한다. 이 곳은 아직 야곱에게 특별한 장소가 아니었다. 하지만 이전에 벧엘은 의미있는 곳이었고 야곱에게도 특별한 장소가 된다. 어찌보면 하나님께서 야곱의 여정속에 이곳을 통과하게 하심으로 그에게 무의미했던 장소가 그의 인생에 매우 의미있는 장소가 되게 하신 것이다.

Jacob “happens upon” or strikes upon a certain place. The verb chosen carries a different nuance than a bland “he came.” It emphasizes the randomness with which Jacob chose this place to pass the night. The place of lodging represents simply the end of daylight hours for Jacob. It was certainly not a predetermined resting place. Three times this verse uses the word māqôm (“place,” “spot”) for the site at which Jacob lodged. No name is yet attached to this area by Jacob or the narrator. It is not yet “Bethel” or “Luz,” just a certain place (māqôm, from qûm, “rise, stand up”). Each of the three times, however, māqôm is qualified with the definite article ha-. Jacob happens upon “the” place (bammāqôm, not bemāqôm). I suggested above (n. 2) that the use of the article with māqôm may be to stress the unfamiliarity (to Jacob) of the site. Since it is used with the article first by the narrator, this construction may be the narrator’s way of hinting that this was more than an outdoor resting spot—it is the place, i.e., a holy place.13 The extremities of Jacob’s itinerary are clearly spelled out in v. 10. In between the start of his journey at Beer-sheba and the end of his journey at Haran, God chooses to encounter him at an anonymous “place.” Jacob now stretched out (šāḵaḇ be) at a place.

13 Westermann, Genesis, 2:453–54.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38–239.

 

12절)  In vv. 10–11, and including the first Hebrew word of v. 12, no less than eight narrative waw-consecutive verb forms occur, relating where Jacob went, what he did, and what experience he encountered. Now suddenly in vv. 12 and 13 the waw consecutives are replaced by no less than five participles: muṣṣāḇ (Hophal), “was set”; maggîaʿ (Hiphil), “reaching”; ʿōlîm, yōreḏîm (Qal), “going up, going down”; niṣṣāḇ (Niphal), “standing.” These participles are made even more pungent by the threefold use of the exclamatory hinnēh—two times in v. 12 and once in v. 13. The chain of participles bluntly shifts the narrativ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switch in verbal form also moves the story beyond what the narrator saw Jacob doing (vv. 10–12a) to what Jacob himself saw (vv. 12a–13a).14

Jacob’s dream involves a stairway stretching from the earth up into the sky, and on which heavenly beings ascend and descend. Many have objected to the traditional rendering “ladder” (so AV, RSV), for a ladder is not a place for two-way traffic (unless one assumes that all the angels went up together and then descended together—but on a ladder?). This is, however, more of a modern, rationalistic concern than a linguistic observation. If we wish to be completely modern and rationalistic, then we need to isolate the issue in terms not of “ladder” versus “stairway,” but why angels would need either one!

The Hebrew word here is sullām, which occurs only here in the Hebrew Bible. Many commentators have connected sullām with the verb sālal, “heap up,” and accordingly suggest for the noun something like “ramp” or “stairlike pavement.”15 More likely is the suggestion that Heb. sullām is to be connected (through metathesis) with Akk. simmiltu, “stairway.”16

It is uncertain whether Egyptian or Babylonian literature provides the background imagery for sullām here, though the latter carries wider acceptance.17 (Actually, one need not appeal to either possibility.) This interpretation posits a parallel between Jacob’s “ladder” and the stairways of the ziggurat in Mesopotamia.18 But as H. Hoffner has pointed out, the parallel is not without its difficulties, for while priests used ziggurat stairways for climbing to the summit of the temple tower for worship, the deities did not use the stairways for descent to the ground level (as in the Jacob story).19

One cannot help but be struck by the parallel between the stairway in this dream, a stairway whose top reaches the sky, and the tower of Babel, whose top also extended into the heavens (11:4).20 But the similarity stops here. Unlike the Babel tower, Jacob’s stairway is not a product of human delusions of grandeur. It is a way by which God will make himself known to Jacob. Messengers, not pride, go up and down this structure.

There is much movement in this narrative. Jacob is traveling, and so are the messengers. He is heading east; they are ascending and descending. Jacob strikes upon (pāḡaʿ) a certain site, and a stairway reaches (nāḡaʿ) the sky. Two rhyming verbs describe somebody/something reaching somewhere.

14 Fokkelman (Narrative Art in Genesis, pp. 51–52) captures this change in syntax and the threefold use of hinnēh with “there, a ladder! oh, angels! and look, the Lord himself!” and says that hinnēh here “goes with a lifted arm, an open mouth.” See also Andersen, Sentence in Biblical Hebrew, p. 95: each clause has the structure wehinnēh plus subject (noun) plus predicate (participial phrase).

AV Authorized (King James) Version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15 See, e.g., von Rad, Genesis, p. 284; Speiser, Genesis, p. 218; Brueggemann, Genesis, p. 243. LXX klímax and Vulg. scala are ambiguous—both can mean “ladder” or “stairway.”

Akk. Akkadian

16 See H. Hoffner, Jr., “Second Millennium Antecedents to the Hebrew ʾÔB,” JBL 86 (1967) 397 n. 30; A. R. Millard, “The Celestial Ladder and the Gate of Heaven (Genesis xxviii.12, 17),” ExpTim 78 (1966/67) 86–87; H. R. Cohen, Biblical Hapax Legomena in the Light of Akkadian and Ugaritic, SBLDS 37 (Missoula, MT: Scholars, 1978), pp. 34, 108. Cf. Westermann, Genesis, 2:454, who connects sullām to both sālal and Akk. simmiltu. The connection of Hebrew sullām with Akk. simmiltu, if correct, means that the Hebrew word is a metathesis of the Akkadian one (Hebrew reversing the consonants l and m). In his treatment of hapax legomena, F. Greenspahn (Hapax Legomena in Biblical Hebrew, SBLDS [Chico, CA: Scholars, 1984], p. 176) cautions that “reliance on metathesis … reduces the probability of a proposed cognate relationship.” He confines sullām to his list of “Non-absolute Hapax Legomena” (p. 195) rather than to his list of “Absolute Hapax Legomena” (which he discusses at length).

17 For the former see J. G. Griffiths, “The Celestial Ladder and the Gate of Heaven (Genesis xxviii,12 and 17),” ExpTim 76 (1964/65) 229–30. For the latter see Millard, ExpTim 78 (1966/67) 86–87.

18 See Speiser, Genesis, pp. 218, 219.

19 Hoffner, JBL 86 (1967) 397–98.

20 Cf. werōʾšô ḇaššāmayim (11:4) with werōʾšô maggîaʿ haššāmāye (28:12).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39–240.

 

벧엘은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곳이다. 아브라함이 이곳에 제단을 샇고 하나님을 경배했다.(12:8; 13:3-4) 야곱이 꿈을 꾼 밤은 아브라함이 짐승들을 쪼개놓고 해가 진 다음 하나님의 불을 본 일을 연상시킨다.(15:12, 17)

벧엘(Bethel) בֵּית־אֵל(베트 엘, ‘하나님의 집’)

1. 에브라임 지파 성읍(삿1:22–25; 4:4–5). 예루살렘 북쪽 약 19km 지점으로 옛 지명은 ‘루스’(창28:19). ① 아브라함 이후(창12:8) 구약 족장들이 일찍부터 제단을 쌓고 하나님을 경배했던 곳이다. ② 야곱은 형 에서를 피해 하란으로 도망가던 중 꿈에 하나님의 역사를 보고 이곳을 ‘하나님의 집’, 곧 ‘벧엘’이라 불렀다(창28:19). ③ 사사 시대 말기에는 하나님의 법궤가 길갈에서 벧엘로 옮겨져 성막이 세워짐으로써 이스라엘 종교의 중심지가 되었다(삿20:18,26–28). ④ 사무엘은 벧엘과 길갈, 미스바를 순회하며 이스라엘 백성을 지도했다(삼상7:15–16). ⑤ 왕국 분열 후 북이스라엘 왕 여로보암은 금송아지 우상을 세워 벧엘을 범죄의 온상으로 만들었다(왕상12:29–33; 13:1–22; 왕하10:29). ⑥ 엘리야 선지자 때는 선지자 학교가 있었다(왕하2:1–3). 또 젊은 아이들이 엘리사를 조롱하다 42명이 암콤에게 죽임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왕하2:23–25). ⑦ 아모스 선지자와 호세아 선지자는 벧엘의 우상 숭배 행위를 엄하게 지적하며 회개를 촉구했다(암3:14; 5:5–6; 7:10–13; 호4:15; 5:8; 10:5,8). 특히 호세아는 ‘벧엘’(하나님의 집)을 ‘벧아웬’(우상 숭배의 집)이라 부르며 죄악상을 고발했다(호4:15). ⑧ 북이스라엘이 멸망한 후 남유다의 요시야 왕은 벧엘에 있던 우상의 제단을 부수고 여호와 예배를 회복시켰다(왕하23:15–23).

2. 시므온 지파 성읍(삼상30:27). 위치는 분명하지 않다. ‘브둘’(수19:4), ‘브두엘’(대상4:30)로도 불린다.

 가스펠서브, ed., 라이프 성경단어 사전 (서울시 종로구 경희궁1길 5-9(03176): 생명의말씀사, 2011), 799.

 

야곱은 이곳에서 한 돌을 가져다가 돌베게를 하고 잠을 청했다. 이제 꿈속에서 하나님의 환상을 보게 된다. 사닥다리가 땅위에 서 있는데 그 꼭대기가 하늘에 닿았다. 이 사다리(계단)의 모양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중요한 것은 바로 하늘과 땅을 연결한 통로로 하나님의 천사들이 오르락내리락 했다는 것이다. 이 사다리 위에 여호와께서 자신을 아브라함과 이삭의 하나님으로 설명하시고 아브라함과 이삭에게 약속했던 약속을 확인시켜 주신다. 

본문에서 사용된 사다리는 ‘술람’이라는 표현으로 성경에서 여기 한번만 등장한다. 개역개정은 사닥다리라고 표현하지만 계단이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보인다. 고대 근동 신화들 안에서 이렇게 하늘(신의 거처)와 땅(인간의 거처)를 연결하는 사다리가 있는 곳을 성지로 여겼다. 고대 바벨론과 앗시리아에서 발견된 지구라트 신전의 형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것이 바로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계단을 염두에 둔 건축물이다.

 

 

할아버지 아브라함도 깊은 잠에 빠져서 하나님의 축복을 확인했다(15:12; 18:22) 야곱이 받은 약속또한 앞서 아브라함과 이삭에게 주셨던 약속을 재 확인시켜주신다. 

 The expression the Lord stood above it (v. 13) could also be rendered “the Lord stood beside him” (ESV footnote). Jacob’s reaction in v. 16 suggests that he perceived God as being with him on earth rather than in heaven. The Lord’s words loudly echo the divine promises made to Abraham (12:3, 7; 13:14–16; 17:7–8; 18:18; 22:17–18) and Isaac (26:4). In an act of grace, God states that he will not abandon Jacob but will fulfill these promises to him.

ESV English Standard Version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99.

 

이 약속의 내용은 땅(13), 많은 자손(14절), 야곱의 자손을 통한 열방의 축복(14)이다. 

 

또한 15절은 야곱에게 함께 하실 것읋, 야곱을 지키고 이끌어 주실 것(보호와 안전)을, 마지막으로 야곱이 안전하게 집으로 다시 돌아올 것을 약속하셨다. 이 약속하신 것을 모두 이루기까지 야곱을 떠나지 않으실 것이라고 약속하신다. 야곱의 부모들은 그에게 약속의 땅을 떠나라고 말했지만 하나님께서는 그의 안전한 귀향을 계획하고 보장하고 계신다. 

지금 야곱이 땅과 자손의 축복을 받는 시점은 그가 형의 보복을 피해서 도망치는 순간이었다. 아직 결혼도 하지 못했고 이후에 어떤 상황이 펼쳐질지도 전혀 예상할 수 없는 순간 이런 약속을 받는 것이다. 앞서 아브라함은 자식은 없었지만 결혼했었다. 그렇기에 이렇게 야곱에게 주시는 약속이 더욱 파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6-19절) 야곱이 이제 잠에서 깨어 고백한다. 여호와께서 여기 계신 것을 내가 알지 못했다. 이곳이 하나님의 집이요 하늘의 문이다라고 고백하며 아침에 일찍 일어나 베개로 삼았던 돌을 기둥으로 세우고 기름을 붓고 벧엘(하나님의 집)이라고 불렀다. 이 성의 옛 이름은 루스였다. 

 

야곱은 지금 자신이 잠을 잔 곳이 어떤 장소인지 잠에서 깨어나서 깨닫게 된다. 그는 두려움에 빠졌다. 야곱은 평생 두려움속에 살아갔다. 자신의 죽이려는 형에 대한 두려움, 자신을 속이고 노동력을 착취하는 삼촌 라반에 대한 두려움. 평생 이 두려움 속에 살았다. 그런 두려움과 하나님은 인식하고 두려워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지금 야곱이 느끼는 두려움은 거룩하신 하나님앞에서 죄인이 느끼는 두려움으로 마땅히 우리가 인식해야하는 건강한 두려움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님에 대한 건강한 인식은 우리의 삶을 변화시킨다. 야곱에게서는 한 곳(a certain place)가 그 곳(that place)가 되는 순간이었다. 

우리의 인생의 순간에도 바로 이런 시간과 공간이 존재한다. 아무 의미없이 흘러가던 시간속에 어떤 공간이 바로 하나님과의 만남으로 말미암아 특별한 순간, 바로 그 장소가 되는 순간 말이다. 그래서 야곱은 자신이 베고 잤던 돌을 기둥으로 세우고 그 위에 기름을 부었다. 종교적인 목적을 위해서 기둥을 세우는 것은 당시 고대 근동의 전통이었다. 일부 근동 사람들은 기둥을 죽은 사람들의 영혼이 머무는 일종의 납골당으로 여겼다. 이러한 이교도적인 생각때문에 율법은 기둥들을 우상으로 규명했다(신 16:22). 그리고 야곱은 이 곳을 벧엘, 하나님의 집이라고 불렀다. 하나님의 현현을 통해서 한 평범한 장소는 하나님의 집이 되고, 베게로 사용되었던 한 돌은 제단이 되었으며, 한 도망자는 순례자가 되었다. 

 

19절)  First Jacob poured oil (šemen); now he gives a name (šēm) to the site: Bethel. For the first time we are informed that this place already has a name: Luz. Heb. lûz means “nut, almond, hazelnut” or a “nut-tree” itself. The place name may originally have been “Lauz, Loz,” later vocalized Luz, and would mean “place of refuge,” which is exactly the function of Bethel for Jacob at this point.

It is the narrator, not Jacob, who draws attention to the prior name of Bethel. This observation should explain that there is no real problem in Abraham’s associations with Bethel qua Bethel, i.e., “Bethel” is anachronistic there (12:8; 13:3). The narrator in both places (chs. 12 and 28) uses the adopted name for this site.

The insignificance of the name Luz is highlighted by the use of chiasm in this verse, which reads literally: “the name of that place Bethel … Luz, the name of the city” (šēm-hammāqôm hahûʾ bêṯ-ʾēl … lûz šēm-hāʿîr). In the first clause “name” precedes the proper name; in the second clause “name” follows the proper noun. Normally the sequence is šēm followed by a name (cf. šēm … lûz in Judg. 1:23). There are only three instances in the Pentateuch (Gen. 17:15; here; and Exod. 15:3) where the sequence is reversed, with šēm as predicate following the subject.39 We now discover that Jacob’s māqôm is somebody’s (the Canaanites’?) Luz.

The story is filled with incidents of transformation. A stone becomes a pillar. A māqôm becomes Bethel. A man running away from home runs into God. He who is later himself renamed (Jacob becomes Israel) plays a role in the Luz to Bethel shift. And the -el of Bethel (reflecting the Canaanite El?) becomes the personal God of Jacob.

39 See Andersen, Hebrew Verbless Clause in the Pentateuch, p. 41.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46–247.

 

20-22절) 이제 야곱은 하나님께 서원한다. 

하나님이 야곱과 함께 계셔서 자신이 가늘 길에서 자신을 지키시고 먹을 떡과 입을 옷을 주시어 자신을 평안히 아버지의 집에 돌아올 수 있게 하시면 여호와께서 나의 하나님이 되실 것이다. 자신이 기둥으로 세운 이 돌이 하나님의 집이 될 것이고 하나님께서 야곱에게 주신 것의 1/10을 반드시 드리겠다라고 서원했다. 

 

앞서 야곱의 여정은 형의 칼날을 피해서 자신의 아내를 얻기 위한 여정에 불과했다. 하지만 하나님과의 만남이후에 그의 여정의 목적은 변했다. 이제는 하나님의 함께하심을 의지하며 그 길을 가고 있다. 야곱에 벧엘에서 하나님과의 만남을 통해서 그가 누웠던 장소가 하나님의 집이 된 것처럼, 하나님의 약속과 야곱의 서원이 바로 야곱의 도주를 순례자의 여정으로 바꾸어 놓은 것이다. 

하지만 야곱의 서원의 내용을 보면 그가 얼마나 계산적인지를 알 수 있다. 형에게 장자권과 축북을 빼앗고 아버지를 속였던 야곱이 이제 하나님과 협상을 하고 있는 것이다. 아브라함은 모리아산에서 하나님께 시험을 받았는데 야곱은 하나님을 시험하는 것이다. ‘하나님, 당신이 이렇게 해주시면 제가 이렇게 하겠습니다’라고 하는 것이다. 야곱의 교활함을 생각할 때 이는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하나님께서 이란 야곱을 용납하시고 사랑하셨다는 사실이다. 

어찌보면 야곱은 이렇게 하나님을 시험할 필요가 없었다. 15절에 하나님은 이미 야곱에게 자신이 야곱과 함께 하며 그를 안전하게 돌아오게 해주실 것을 약속하셨기 때문이다. 그런데 하나님은 이러한 야곱마저도 용서하시고 사랑하셨다. 그렇기에 우리에게 희망이 있다. 

야곱은 자신의 안전을 지키시면 여호와가 자신의 하나님이 되실 것이고 이곳에 하나님의 집을 세울 것을, 그리고 온전히 십일조를 바칠 것을 약속한다. 

 

본문은 놀라운 변화의 연속이다. 한 곳이 그 곳, 벧엘이 된다. 한 돌은 베개가 되고 기둥, 제단이 된다. 형을 피해 도망치던 한 사람은 이제 하나님의 도우심과 보호를 약속받고 이제 이스라엘이 되어 돌아오게 될 것이다. 결국 하나님과의 만남은 한 곳을 그 곳 되게 한다. 

 

 

 

 

 

 

 

 

728x90

Now Esau saw that Isaac had blessed Jacob and sent him away to Paddan-aram to take a wife from there, and that as he blessed him he directed him, “You must not take a wife from the Canaanite women,” and that Jacob had obeyed his father and his mother and gone to Paddan-aram. So when Esau saw mthat the Canaanite women did not please Isaac his father, Esau went to Ishmael and took as his wife, besides the wives he had, nMahalath the daughter of Ishmael, Abraham’s son, the sister of oNebaioth.

m ch. 24:3; 26:35

n [ch. 36:3]

o ch. 25:13; 36: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28:6–9.

 

6 ◎에서가 본즉 이삭이 야곱에게 축복하고 그를 밧단아람으로 보내어 거기서 아내를 맞이하게 하였고 또 그에게 축복하고 명하기를 너는 가나안 사람의 딸들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지 말라 하였고

7 또 야곱이 부모의 명을 따라 밧단아람으로 갔으며

8 에서가 또 본즉 가나안 사람의 딸들이 그의 아버지 이삭을 기쁘게 하지 못하는지라

9 이에 에서가 이스마엘에게 가서 그 본처들 외에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엘의 딸이요 느바욧의 누이인 마할랏을 아내로 맞이하였더라

 The Holy Bible: New Korean Revised Version, electronic ed. (South Korea, n.d.), 창 28:6–9.

 

 

에서는 이삭이 야곱을 축복하고 밧단아람으로 보내어 거기서 아내를 맞이하라고 한 것을 알게 되었다. 또 야곱에게 축복하고 명하기를 가나안 사람의 딸들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지 말라고 명령한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야곱은 부모의 명을 따라 밧단아람으로 갔다. 

또한 에서는 가나안 사람의 딸들, 즉 자신의 아내들이 아버지 이삭을 기쁘게 하지 못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그는 아버지를 기쁘시게하기 위해서 이스마엘(아브라함의 아들)에게 가서  이스마엘의 딸, 느바욧의 누이인 마할랏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창세기 26:34–35 (NKRV)

34에서가 사십 세에 헷 족속 브에리의 딸 유딧과 헷 족속 엘론의 딸 바스맛을 아내로 맞이하였더니

35그들이 이삭과 리브가의 마음에 근심이 되었더라

 

이미 에서는 헷 족속의 딸들 유딧과 바스맛을 아내로 삼고 있었다. 아버지에게 축복을 받지 못하고, 그 축복을 받지 못한 이유가 가나안 사람의 딸들을 아내로 취한 것이라고 생각한 에서는 인척인 이스마엘의 딸을 아내로 취한다. 아마도 사냥꾼이었던 에서는 자신이 가나안 여인들과 결혼한 것이 어떤 의미인지, 부모님의 마음이 어떤지에 대해서 제대로 의식하지 못했던 것처럼 보인다. 야곱이 밧단아람으로 떠나고나서 그는 여러가지로 심각한 고민속에서 이유를 생각했고 나름대로 부모의 마음에 들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력했지만 여전히 문제를 더 심각한 상태로 이끌고 있다. 이방 여인, 가나안 여인이 아니라 큰 아버지 이스마엘의 딸, 그러니까 자신과는 사촌의 관계에 있는 마할랏을 아내로 맞이한 것이다. 이 결혼을 이삭과 리브가는 어떻게 보았을까? 앞서 이스마엘과 이삭도 장자권 경쟁을 통해서 장자인 이스마엘이 밀려났다. 에서와 야곱도 마찬가지 였다. 아브라함은 이스마엘과 이삭 사이의 갈등을 고려해서 이스마엘을 멀리 떠나 보냈다. 

창세기 25:5–6 (NKRV)

5아브라함이 이삭에게 자기의 모든 소유를 주었고

6자기 서자들에게도 재산을 주어 자기 생전에 그들로 하여금 자기 아들 이삭을 떠나 동방 곧 동쪽 땅으로 가게 하였더라

 

아버지 아브라함의 장사후에도 이스마엘과 이삭은 불편한 관계속에 서로 소원한 상태로 지냈을 것이다. 그런데 지금 에서는 자신의 세번째 아내를 이방인 중에서가 아니라 인척 중에서 얻기 위해서 이스마엘의 딸중에서 아내를 맞고 있다. 평생 일부일처제를 지키며 살아온 이삭과 리브가로서는 에서의 셋째 아내가 달가울 수 없었을 것이다. 

에서는 지금 야곱이 밧단아람으로 떠나는 것을 지켜보면서 깨달은 것이 있었다. 이는 가나안 사람의 딸들중에 아내를 맞는 것을 부모가 기뻐하지 않는다는 것이었고 그래서 이스마엘의 딸인 마할랏을 아내로 맞았다. 하지만 이러한 깨달음이 그를 올바른 선택으로 이끌지는 못했다. 여전히 새로운 갈등의 씨앗을 심고있는 것이다. 

 

본문에서 보다라는 단어는 ‘라아’로 보다, 이해하다, 생각하다라는 표현이다. 에서는 지금 이삭이 축복을 받고 자신이 축복을 받지 못한 이유를 보았다. 그래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새로운 선택을 하지만 여전히 새로운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보아야 할 것을 보고 이를 통해서 올바른 선택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창 36:2-3절의 족보와 26:34과 28:9을 비교하면 에서의 아내의 이름이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창세기 26:34 (NKRV)

34에서가 사십 세에 헷 족속 브에리의 딸 유딧과 헷 족속 엘론의 딸 바스맛을 아내로 맞이하였더니

창세기 28:9 (NKRV)

9이에 에서가 이스마엘에게 가서 그 본처들 외에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엘의 딸이요 느바욧의 누이인 마할랏을 아내로 맞이하였더라

창세기 36:2–3 (NKRV)

2에서가 가나안 여인 중 헷 족속 엘론의 딸 아다와 히위 족속 시브온의 딸인 아나의 딸 오홀리바마를 자기 아내로 맞이하고

3또 이스마엘의 딸 느바욧의 누이 바스맛을 맞이하였더니

 

헷족속 브에리의 딸 유딧, 헷족속 엘론의 딸 바스맛, 이스마엘의 딸 마할랏

헷족속 엘론의 딸 아다, 히위족속 시브온의 딸인 아나의 딸 오홀리바마, 이스마엘의 딸 바스맛

이처럼 아내의 이름이 일치하지 않는다. 바스맛은 ‘향기로운 여인’이라는 의미로 본이름이 아닌 애칭으로 불렸을 수도 있다. 성경에 등장하는 이름들중에는 동명이인들도 등장한다. 위의 본문을 비교해볼때 일단 헷족속 엘론의 딸을 바스맛으로도 아다로도 불렸고 마찬가지로 이스마엘의 딸은 마할랏과 바스맛으로 불린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헷 족속 부에리의 딸 유딧과 시브온의 딸 오홀리바마가 동일인물인지 다른 인물인지는 알 수 없다. 서로 다른 인물일 경우에 에서는 최소 4명의 아내를 맞은 것으로 볼 수 있다. 

In an attempt to redeem himself and please his parents, Esau makes one last move. He marries Mahalath, the daughter of his paternal uncle Ishmael, the son of Abraham by Hagar (i.e., Esau’s parallel cousin). In 36:3 Mahalath is called Basemath. According to 26:34 Esau was also married to another Basemath, the daughter of Elon the Hittite (who is called Adah in 36:2)! Is Basemath a nickname (“fragrant perfume”) that was given to both Adah and Mahalath? Or should we understand “Mahalath, the daughter of Ishmael” (28:9) to be the same person as “Basemath, daughter of Ishmael” (36:3)?15 One could account for the difference in the name of Ishmael’s daughter who married Esau by attributing each to different traditions. But the fact that 26:34 and 28:9 (both P) list Esau’s wives as Judith, Basemath, and Mahalath, while 36:2–3 list his wives as Adah, Oholibamah, and Basemath, would at least mean that one must distinguish P from the Toledoth source, with each representing a different stage of the tradition.16

In this last-minute ploy by Esau to redeem himself, to some degree at least, before his father dies, he fails. The marriage goes unnoticed by Isaac. Esau may now have three wives (two Hittite, one Ishmaelite), but he also has three family members (father, mother, brother) who have succeeded in marginalizing him. Jacob has the birthright in hand, thus voiding Esau’s place as firstborn. Jacob also has his father’s blessing, thanks to Rebekah’s machinations and Isaac’s unretractable blessing. What Esau has is three wives, and a limited blessing from his father that amounts almost to a curse (subservience to Jacob), which one day will be mitigated (27:40b). While Esau can only stay home and mourn his losses, Jacob, the blessed and the holder of the birthright, is off to Paddan-aram in search of a bride.

15 See N. J. Opperwall, ISBE, 1:436.

16 See M. D. Johnson, Purpose of the Biblical Genealogies, p. 16. R. R. Wilson (Genealogy and History in the Biblical World, pp. 174–76) opines that the names found in 26:34 and 28:9 were originally part of the Esau narratives before Esau was linked with Edom. By contrast, the wives mentioned in 36:2–3 represent names that were originally part of an old Edomite tribal tradition. Gen. 36:1–5 is then an attempt to harmonize these two traditions. Note that in both places the ethnic designation of Esau’s wives is the same: (1) Judith, the Hittite; Basemath, the Hivite (LXX, SP); Mahalath, the daughter of Ishmael; (2) Adah, the Hittite; Oholibamah, the Hivite; Basemath, the daughter of Ishmael.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35–236.

 

728x90

28 Then Isaac called Jacob gand blessed him and directed him, f“You must not take a wife from the Canaanite women. hArise, go to Paddan-aram to the house of iBethuel your mother’s father, and take as your wife from there one of the daughters of Laban your mother’s brother. jGod Almighty1 bless you and make you fruitful and multiply you, that you may become a company of peoples. May he give kthe blessing of Abraham to you and to your offspring with you, that you may take possession of lthe land of your sojournings that God gave to Abraham!” Thus Isaac sent Jacob away. And he went to Paddan-aram, to Laban, the son of Bethuel the Aramean, the brother of Rebekah, Jacob’s and Esau’s mother.

g ver. 6

f [See ch. 27:46 above]

h Hos. 12:12

i ch. 22:23

j See ch. 17:1

1 Hebrew El Shaddai

k See ch. 12:2, 3

l ch. 17:8; 36:7; 37:1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28:1–5.

 

28 이삭이 야곱을 불러 그에게 축복하고 또 당부하여 이르되 너는 가나안 사람의 딸들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지 말고 

2 일어나 밧단아람으로 가서 네 외조부 브두엘의 집에 이르러 거기서 네 외삼촌 라반의 딸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라 

3 전능하신 하나님이 네게 복을 주시어 네가 생육하고 번성하게 하여 네가 여러 족속을 이루게 하시고 

4 아브라함에게 허락하신 복을 네게 주시되 너와 너와 함께 네 자손에게도 주사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주신 땅 곧 네가 거류하는 땅을 네가 차지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5 이에 이삭이 야곱을 보내매 그가 밧단아람으로 가서 라반에게 이르렀으니 라반은 아람 사람 브두엘의 아들이요 야곱과 에서의 어머니 리브가의 오라비더라 

 

 The Holy Bible: New Korean Revised Version, electronic ed. (South Korea, n.d.), 창 28:1-5

 

 

본문은 앞선 46절과의 연장선에서 보아야 한다. 리브가는 헷 사람의 딸들 즉 에서의 아내들과의 갈등을 이유로 이삭에게 반드시 야곱의 아내들은 이방인, 가나안 사람의 딸들이 아니라 자신들의 민족 중에서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1-2절) 이에 이삭은 아내 리브가의 말에 따라 이제 야곱을 불러 그를 떠나보내기전에 축복하며 당부하고 있다.

앞서 27장에서는 헷사람의 딸들이라고 표현했다면 1절에서는 가나안 사람의 딸들이라고 표현한다. 헷 족속이 가나안 족속에 포함되었다고 보면 될 것이다. 에서의 분노를 피해서 밧단 아람, 라반의 집으로 피하여 가서 그곳에서 외삼촌 라반의 딸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라고 말한다. 이삭은 이에 대해서 익숙하다. 앞서 아브라함은 자신의 종에게 이삭의 아내를 얻기 위해서 밧단아람으로 보낸바있다.(24장) 하지만 본문에서는 야곱의 아내를 '외삼촌 라반의 딸'중에서로 한정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앞서 27:43절에서 리브가는 야곱에게 라반의 집으로 피신하라고 말하는데 본문 2절은 밧단아람으로 가라고 말한다. 이는 이삭은 리브가처럼 에서의 보복에 대해서 긴박감을 느끼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문의 내용만으로 보면 피신하는 것의 의미보다는 아내를 맞이하게 하기 위해서 라반의 집으로 갈 것을 말하고 있다.

 

  • In response to Rebekah’s negative observation about Hittite wives, Isaac instructs Jacob to take a wife from Laban’s family. (Abraham issued similar instructions in 24:3–4.) This advice, which coincides with Rebekah’s desire that Jacob should flee from Esau, requires Jacob to go to Paddan-aram (28:2; see note on 25:20). Although Rebekah specifically mentions Hittite wives, Isaac expands on this by referring to Canaanite women (28:1), a broader designation that would have included the Hittites (see note on 10:6–20).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98.

 

3-4절) 이삭이 야곱에게 빌어준 복의 내용은 하나님께서 아담과 하와에게 주셨던 것과 아브라함에게 주셨던 복을 반복하고 있다. 야곱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주신 복의 상속자가 되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삭은 자신도 속아서 내린 축복이기는 했지만 이제는 이를 인정하면서 '전능하신 하나님'이 네게 복을 주신다라고 말한다. 이 표현은 유일하게 17:1에서 표현되었던 것인데 야곱에게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 축복의 내용은 생육하고 번성하여 여러 족속을 이루는 것, 구체적으로 아브라함에게 허락하신 복은 야곱과 야곱의 자손에게도 주어서 아브라함에게 주신 땅 곧 야곱이 거류하는 땅을 차지하게 될 것을 약속하고 계신 것이다.

  • Isaac’s blessing of Jacob, as in 27:29, not only echoes the divine promises to Abraham but explicitly requests that God Almighty (28:3; see note on 17:1–2) will give the blessing of Abraham (28:4) to Jacob. Although Jacob is being sent away to Haran in northwest Mesopotamia, Isaac anticipates that he will return to Canaan in order to take possession of the land divinely given to Abraham. make you fruitful and multiply you. See note on 1:28. a company of peoples. This echoes the motif of Abraham as father of many nations (see 17:4–6) and is repeated in 35:11.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98.

 

  • Rebekah’s reminder to Isaac (27:46) that Esau had married Hittite women, and Isaac’s ultimatum to Jacob not to marry Canaanite women (28:1), are not in conflict. Nor do these two verses demonstrate that in P terms like “Hittite” and “Canaanite” are void of any historical significance.13 Given Esau’s Hittite marriages, Isaac desires to scuttle the possibility of any Canaanite marriages for Jacob. It also presents further evidence for a Hittite enclave in Canaan, so that Hittite women could also be called native daughters (lit., “daughters of the land”).

  • To Isaac’s credit, the blessing he gives to his son is the blessing of Abraham. This is the only time Isaac mentions his father. The God of Abraham was with Isaac (26:24), and now the blessing of Abraham is to be with Jacob. Isaac recognizes his role as that of a link in a chain, a transmitter.

  •  

  • 13 As argued by J. Van Seters, “The Terms ‘Amorite’ and ‘Hittite,’ ” VT 22 (1972) 64–81, esp. p. 79.

  •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35.

 

5절) 이에 이삭이 야곱을 보내고, 야곱은 밧단아람으로 가서 라반에게 이르렀다. 라반은 아람 사람 브두엘의 아들이요 야곱과 에서의 어머니 리브가의 오빠였다.

 

본문은 족장이 아들에게 언약 축복을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기억할 것은 이삭은 축복을 빌 뿐이지 이를 약속하지는 않고 있고 약속 할 수도 없다. 오로지 하나님만이 이 언약을 이루시며 성취하실 수 있으시다.

 

그러면 야곱이 하란으로 도망갈 때 그의 나이는 몇살이나 되었을까?

 

형 에서를 피하여 야곱은 어쩔 수 없이 사랑하는 가족, 특히 어머니를 떠나 머나먼 하란으로 향한다. 에서는 이미 오래전 결혼을 두 번이나 했지만 야곱은 이방의 가나안 여인을 아래로 취할 수 없어 밧단아람에 있는 삼촌 라반에게 가서야 결혼을 합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야곱의 연대를 역추적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먼저 말하면 밧단아람, 하란으로 내려갈때 야곱의 나이는 77세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야곱이 애굽에 내려갔을때 자신의 나이를 130세라고 말합니다.(47:9)

 

야곱이 애굽에 내려갔을 때가 7년 풍년이 지나고 흉년이 이 년째 되는 해였습니다. 그러니까 요셉이 총리가 된 때가 30살이고, 그 후 7년 그리고 2년이 흘러 39 또는 40살이 된 때입니다. 이때 바로 앞에서 야곱이 자신의 나이를 ‘백삼십 년’(47:9)이라고 말합니다. 요셉이 형들에게 애굽에 팔려간 나이가 ‘십칠 세’(37:2)입니다. 야곱이 요셉을 낳은 때는 야곱이 91세가 됩니다. 

 

야곱이 하란에서 칠 년째 되는 해 레아와 라헬과 결혼을 합니다. 라반은 야곱을 속여 라헬을 준 다음 칠 년을 더 요구하여 합 14년을 두 아내를 얻는데 사용합니다.(29장) ‘라헬이 요셉을 낳았을 때’(30:25) 라반을 찾아가 자신의 집을 세우게 해달라고 부탁합니다. 야곱이 라반의 집을 떠나올 때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면서 라반의 집에서 이십 년(31:41) 동안 섬겼다고 말합니다. 이때가 요셉의 나이 6살 때였고, 야곱의 나이는 97세 때입니다. 이로부터 20년 전이나 야곱이 벧엘로 도망할 때는 77세가 됩니다.

 

정리하면 77세에 하란으로 갔고, 7년을 섬기고 또 7년을 섬겨 두 아내를 얻었고, 십사 년이 흘러 야곱이 91세 되던 때에 요셉을 낳았고, 6년 동안 더 봉사하고 97살에 가나안에 돌아왔고, 요셉 나이 7살이 됩니다. 

 

창 31:41 내가 외삼촌의 집에 있는 이 이십 년 동안 외삼촌의 두 딸을 위하여 십사 년, 외삼촌의 양 떼를 위하여 육 년을 외삼촌에게 봉사하였거니와 외삼촌께서 내 품삯을 열 번이나 바꾸셨으며

 

다시 십년이 흘러 요셉이 17살(37:2), 야곱 나이 107살에 가나안에 도착한지 만 십년 만에 요셉은 애굽으로 팔려갑니다. 그리고 요셉은 애굽으로 팔려가서 30세가 되었을 때 애굽의 총리가 됩니다.(41:46) 요셉이 애굽의 총리가 되고 나서 7년의 풍년이후에 7년의 흉년을 감독하게 되는데 흉년이 된지 2년만에 형제들과 만나게 됩니다.(45:6) 그러니까 요셉이 총리가 된후 9-10년이후에 요셉과 야곱이 상봉하게 된 것이다. 이때 야곱의 나이가 야곱의 나이 130살이었습니다.(47:9) 

 

생각보다 야곱이 결혼한 나이가 많이 늦다. 이삭은 40세(25:20), 에서도 40세(26:34)에 아내를 맞이 했는데 야곱은 매우 늦은 나이에 아내를 맞이하게 된다. 77세에 라반의 집으로 떠나 7년 봉사이후에 레아와 라헬을 얻었다고 해도 84세의 나이인 것이다.

 

 

 

 

 

 

 

 

728x90

30 As soon as Isaac had finished blessing Jacob, when Jacob had scarcely gone out from the presence of Isaac his father, Esau his brother came in from his hunting. 31 He also prepared delicious food and brought it to his father. And he said to his father, “Let my father arise and eat of his son’s game, that you may bless me.” 32 His father Isaac said to him, “Who are you?” He answered, “I am your son, your firstborn, Esau.” 33 Then Isaac trembled very violently and said, “Who was it then that hunted game and brought it to me, and I ate it all before you came, and I have blessed him? Yes, and he shall be blessed.” 34 As soon as Esau heard the words of his father, the cried out with an exceedingly great and bitter cry and said to his father, “Bless me, even me also, O my father!” 35 But he said, “Your brother came deceitfully, and he has taken away your blessing.” 36 Esau said, u“Is he not rightly named Jacob?1 For he has cheated me these two times. vHe took away my birthright, and behold, now he has taken away my blessing.” Then he said, “Have you not reserved a blessing for me?” 37 Isaac answered and said to Esau, “Behold, wI have made him lord over you, and all his brothers I have given to him for servants, and xwith grain and wine I have sustained him. What then can I do for you, my son?” 38 Esau said to his father, “Have you but one blessing, my father? Bless me, even me also, O my father.” And tEsau lifted up his voice and wept.

39 Then Isaac his father answered and said to him:

“Behold, yaway from2 the fatness of the earth shall your dwelling be,

and away from3 the dew of heaven on high.

40  By your sword you shall live,

and you zshall serve your brother;

but when you grow restless

ayou shall break his yoke from your neck.”

41 Now Esau bhated Jacob because of the blessing with which his father had blessed him, and Esau said to himself, c“The days of mourning for my father are approaching; dthen I will kill my brother Jacob.” 42 But the words of Esau her older son were told to Rebekah. So she sent and called Jacob her younger son and said to him, “Behold, your brother Esau comforts himself about you by planning to kill you. 43 Now therefore, my son, obey my voice. Arise, flee to Laban my brother in Haran 44 and stay with him a while, until your brother’s fury turns away— 45 until your brother’s anger turns away from you, and he forgets what you have done to him. Then I will send and bring you from there. Why should I be bereft of you both in one day?”

46 Then Rebekah said to Isaac, e“I loathe my life because of the Hittite women.4 fIf Jacob marries one of the Hittite women like these, one of the women of the land, what good will my life be to me?”

t Heb. 12:17

u ch. 25:26

1 Jacob means He takes by the heel, or He cheats

v ch. 25:33

w ver. 29; [2 Sam. 8:14]

x ver. 28

t [See ver. 34 above]

y ver. 28; ch. 36:6, 7

2 Or Behold, of

3 Or and of

z ch. 25:23; [2 Sam. 8:14]; See Obad. 18–21

a [2 Kgs. 8:20–22]

b [ch. 37:4]

c ch. 50:3, 4, 10

d [Amos 1:11; Obad. 10]

e ch. 26:34, 35; 28:8

4 Hebrew daughters of Heth

f ch. 24: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27:30–46.

 

 

 

30-36절) 이삭이 야곱을 축복하고나서 이삭이 나가자마자 바로 그의 형 에서가 사냥하여 돌아왔다. 

에서가 별미를 만들어 아버지에게 가지고 가서 ‘아버지 일어나셔서 제가 사냥한 고기를 드시고 나를 축복해주세요’라고 말한다. 

이삭은 깜짝 놀라서 ‘네가 누구냐?’라고 묻고 에서는 ‘저는 아버지의 맏아들 에서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에 이삭이 크게 놀라서 떨며 ‘그러면 앞서 사냥한 고기를 내게 가져온 사람이 누구냐? 에서 네가 오기전에 내가 다 먹고 그를 위해 축복하였고 그가 복을 받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에서가 이삭의 말을 듣고 소리 질러 슬피 울면서 ‘아버지 내게 축복하소서’라고 외친다. 

이삭이 ‘네 아우 야곱이 속여서 네 복을 빼앗았구나’라고 대답한다. 

에서가 ‘그의 이름을 야곱이라 함이 합당하지 않습니까? 그가 나를 속임이 두번째입니다. 먼저는 장자의 명분을 빼앗고 이제는 나의 복을 빼앗았습니다. 아버지 혹시 나를 위해 빌 복이 남아 있지 않나요?’라고 물었다. 

 

야곱이 축복을 받고 나오자마자 에서가 들어왔다. 에서가 조금만 일찍 돌아와서 서로 마주쳤다면 사단이 날뻔했다. 이런 절묘한 타이밍또한 하나님의 섭리라 할 수 있다. 리브가와 야곱이 속임을 통해서 에서에게 갈 축복을 가로채고 있지만 이일을 통해서 ‘큰 자가 작은 자를 섬기리라’는 하나님의 섭리가 이루어져가고 있는 것이다. 

36절에서 야곱의 이름은 ‘발꿈치를 잡다, 속이다, 거짓말을 하다’라는 의미이기에 그를 야곱이라고 부르는 것이 합당하다는 것이다. 이후에 속임이라는 단어가 ‘야카브’로 언어 유희를 볼 수 있다. 야곱의 이름은 태어날 때 형의 발꿈치를 붙들고 나왔다고 해서 야곱이라 했는데 이제 에서는 그의 이름이 속이다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하는 것이다. 

 

38절에서 에서은 소리 높여 울었다. 그는 동생에게 장자권을 빼앗기고 이어 축복까지도 빼앗겼다. 여기서 울다는 큰 것을 잃고 하는 통곡 혹은 침해를 당한 자의 감정이다. 물론 야곱과 리브가의 음모를 합리화할 수는 없지만 에서가 장자권을 너무 쉽게 포기했기에 그가 장자로서 받을 축복을 빼앗기게 된 것이 필연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당시에는 한번 선포된 축복은 선포한 자와 상관없이 자체의 효능과 유동성을 지니고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래서 에서도 아버지에게 이미 야곱에게 선포된 축복을 취소하라고 요구하지는 않았다. 

 

37-40절) 이삭은 ‘내가 야곱을 너의 주로 세우고 그의 모든 형제를 내가 그에게 종으로 주었고 곡식과 포도주를 그에게 주었다. 그렇기에 내가 네게 무엇을 할 수 있겠느냐?’라고 한다. 이미 야곱에게 모든 복을 주었기에 너에게 줄 복이 남아 있지 않다라는 것이다. 

에서는 아버지에게 ‘아버지가 빌 복이 이 하나뿐이겠습니까? 아버지 부디 나에게도 축복해주세요’라고 말하며 소리 높여 울었다. 

이에 이삭은 ‘네가 거하는 곳은 땅의 기름짐에서 멀고 내리는 하늘 이슬에서 멀것이며 너는 칼을 믿고 생활하겠고 네 아우를 섬길 것이고 네가 매임을 벗을 때 그 멍에를 네 목에서 떨쳐버릴 것이다’라고 했다. 

나중에 에서의 자손은 세일땅을 정복하게 된다.(32:3-5) 이후에 그 땅은 ‘에돔’이라고 불린다.(36:1-37:1)

 

you shall break his yoke from your neck. Although Jacob has been given authority over his older twin brother, Isaac indicates that Esau will eventually free himself from his brother’s control. Later, Esau’s descendants settle outside the Promised Land, to the east of the Jordan River (see note on 32:3–5), eventually taking control of Seir, which is later named “Edom” (see note on 36:1–37:1).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98.

 

Here is a second play on the name Jacob, the first being 25:26. Esau is fully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Jacob’s name, the “heel-grabber, the overreacher.”28 Apparently Esau is more concerned by the loss of the blessing than by the loss of the birthright. Nowhere did he protest the relinquishment of the latter. He also never said to Isaac: “Have you only one birthright?” He is stretching the point to say that Jacob took away his birthright. What about Esau’s own culpability at that point, Jacob’s opportunism notwithstanding?

28 It is interesting to notice that the Ugaritic texts also use the root ʿqb in this metaphorical way. In the Aqhat Epic El addresses Anat and says: dṯ ydṯ mʿqbk: “who hinders thee will be crushed” (Ginsberg, ANET, p. 142b). A more literal rendering is: “verily trampled be he-who-grasps-your-heel.” See B. Margalit, “Lexicographical Notes on the Aqht Epic (Part I: KTU 1.17–18),” UF 15 (1983) 95–96. Margalit’s translation of Gen. 27:36 is: “Not for naught is his name ‘Yaʿqob’; this is the second time that he has foiled me ([wa-]yaʿqeḇēnî, lit. ‘grasped-my-heel’).” The LXX also, by its translation, connects 25:26 and 27:36 rather than seeing two different meanings in ʿqb in the two passages. The LXX renders 25:26 as “his hand holding Esau’s heel” (tēs ptérnēs), and 27:36 as “he was justly named Jacob for he has now kicked me on the heel [eptérniken, from pternizō] for a second time.” See T. Muraoka, “Towards a Septuagint Lexicon,” in VI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eptuagint and Cognate Studies, ed. C. E. Cox (Atlanta: Scholars, 1987), pp. 265–68, 273.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27.

 

이삭이 에서에게 빈 내용은 축복이 아니라 저주에 가깝다. 땅은 기름지지 않고 이슬도 잘 내리지 않는 땅에서 살게 될 것이고 칼을 의지하며 살게 될 것이다라고 했다. 이는 사냥을 주업으로 하게 된다는 뜻이기도 하고 전쟁이 잦은 삶을 의미할 수도 있다. 

에서가 야곱의 매임에서 벗어나는 것은 왕하 8:20-22절에서 일차적으로 성취되었다. 

 

41-46절) 이삭이 야곱을 축복한 것으로 말미암아 에서는 야곱을 증오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아버지를 곡할 때가 가까왔으니 내가 내 아우 야곱을 죽이겠다’라고 말했다. 

41절의 미워하다라는 단어는 ‘사탐’으로 증오하다, 적개심을 가지다라는 의미로 구약에서 6번 사용되었다.(창 27:41, 49:23  & 창 50:15, 욥 16:9, 욥 30:21, 시 55:3) 이는 폭력적인 보복을 염두에 둔 마음속 깊은 증오, 분노를 의미한다. 

שָׂטַם (śāṭam), q. hate, show enmity, persecute (#8475); מַשְׂטֵמָה (maśṭēmâ), nom. the result of enmity or animosity (#5378). A related form is שָׂטָן (#8477).

OT 1. The vb. appears 6× and has the sense of strong hostility (Ps 55:3 [4], bear a grudge (BDB, 966). It is thus particularly suitable for Esau’s strong feelings against Jacob and the concern of Joseph’s brothers that he would similarly view them for their selling him into slavery (Gen 49:23; 50:15). It is also used of Job’s thoughts as to how God regarded him (Job 16:9; 30:21).

2. Hosea employs the nom. twice of sinful Israel’s settled hostility against God and his prophets (Hos 9:7–8). (Animosity)

See Animosity, enmity, hostility

q. qal

BDB F. Brown, S. R. Driver, and C. A. Briggs,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T, Oxford, 1907; repr. with corrections, 1953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1230–1231.

 

이 말을 리브가가 듣고 사람을 보내 야곱을 불러서 ‘네 형 에서가 너를 죽여서 그 한을 풀려고 한다. 그러니 일어나 하란으로 가서 내 오빠 라반에게로 피신해라. 너의 형의 노가 풀릴 때까지 얼마간 그와 함께 거주해라. 네 형의 분노가 사라져 네가 에서에게 행한 것을 잊어버리게 되면 내가 사람을 보내서 너를 불러올 것이다. 어찌 하루에 둘을 잃을 수 있겠느냐?’라고 했다. 

이어 리브가는 이삭에게 ‘내가 헷 사람의 딸들로 말미암아 내 삶이 싫어졌으니 야곱이 이 땅에서 헷 사람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면 내 삶이 무슨 재미가 있겠느냐?’라고 했다. 

리브가는 에서가 헷 사람의 딸들을 아내로 삼은 것(26:34-35)을 못마땅히 여겼다. 이에 리브가는 야곱마저 이땅에서 헷 사람의 딸들을 아내로 취하여 근심하게 될까봐 그를 라반의 집으로 도피시키면서 그곳에서 아내를 맞을 것을 조언한다. 

 

형제 살인에 대한 이야기는 성경에 여러번 등장한다. 에서는 가인과 라멕의 전철을 밟으려고 하는 것이다. 이 때 이삭은 나이 많아 기력이 쇠한 상태였기에 이 날이 빨리 올 것이라고 생각되었지만 이후 이삭은 40년을 더 살게 된다. 그래서 리브가는 야곱을 오빠 라반의 집으로 도피시키고 에서의 화가 진정되고 나면 야곱을 다시 부르려고 했지만 에서의 분노가 사그러들지 않았고, 이후에 아는대로 20년이 지나서도 이것이 해결되지 않았다. 

사랑하는 아들은 멀리 친정 오빠집에서 생활하고, 야곱으로 인해서 더 껄끄러워진 에서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갔던 리브가도 마음 고생이 심했을 것이다. 

 

리브가가 에서가 심중에 한 말을 어떻게 알게 되었을까? 그가 혼자 독백을 한 것을 들었는지 확실하지 않지만 결국 이를 알게된 리브가는 또 한번 야곱을 위해 계책을 세운다. 남편 이삭을 설득해서 야곱을 라반에게 보내도록 한 것이다. 리브가는 에서의 아내들에 대한 원망을 이삭에게 쏟아 놓는다. 아마도 고부 갈등이 심했던 것같다. 하지만 실제로 며느리들과 어떤 관계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지금 리브가는 아브라함이 이삭의 아내를 친족의 집안에서 구해주었던 것처럼(24장) 이삭을 대신해서 야곱의 아내를 친족에서 구해주고자 하는 일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리브가는 야곱도 에서와 같이 헷 사람, 가나안 여인을 아내로 맞을 수 있기에 그를 라반에게 보내야 된다고 이삭을 설득하고 있는 것이다. 이삭이 야곱에게 한 축복인 성취되기 위해서는 가나안 여인을 아내로 취해서는 안되었기에 이삭도 이에 동의한다. 

 

 

 

THE NEW TESTAMENT APPROPRIATION

a. Gen. 27:28–29, 39–40 and Heb. 11:20

The writer of Hebrews cites only one instance of faith from Isaac’s life (but two different episodes): Isaac’s blessing on Jacob (Gen. 27:28–29) and on Esau (Gen. 27:39–40). These were utterances done “in faith.” Nothing is mentioned in Hebrews about Jacob’s method of obtaining the paternal blessing. What is mentioned is that both blessings were in connection with the future of each son, and thus Isaac’s faith reverberates the essence of faith spoken of in Heb. 11:1—“faith is the evidence of things not seen.” If we take the terms literally, Gen. 27 introduces Isaac’s words to Jacob as a “blessing” (v. 27), but introduces Isaac’s words to Esau as an “answer” (v. 39). The letter to the Hebrews styles both oracles as an act of blessing (eulógēsen).

b. Gen. 27:34, 38 and Heb. 12:17

Esau, who has already been likened to one who had a sexual vice and a profane life for selling his birthright (Heb. 12:16), is now held up as one who was unable to repent. He wanted to obtain the blessing, but he was “rejected” by God. This language is stronger than that used in Gen. 27. The Greek word translated “rejected” (apodokimázō) was used by the Greek orators for officials who were disqualified.1 Although he sought it with tears, he has no second chance for repentance (cf. Heb. 6:4ff. for a parallel). The antecedent of “it” in “sought it with tears” may be either “blessing” or “repentance.” The context suggests the latter.2 The repentance that Esau sought was not directed to God, or even to his father, but within himself. He could not move himself to change. Esau illustrates, says the author of Heb. 12:27, that repentance after apostasy is an impossibility. Beware, says the writer to his audience, that any of you be like tragic Esau: the consequences of his actions could not be reversed by a subsequent repentance. Esau’s faithlessness is irremediable.3

1 See J. Moffat, The Epistle to the Hebrews, ICC (Edinburgh: T. & T. Clark, 1924), p. 212.

2 Against F. F. Bruce, Epistle to the Hebrews, NICNT, rev. ed. (Grand Rapids: Eerdmans, 1990), p. 351. Agreeing with Bruce is B. F. Westcott, Epistle to the Hebrews (Grand Rapids: Eerdmans, repr. 1965), p. 409. For scholars arguing for “repentance” as the antecedent of “it” cf. E. Riggenbach, Der Brief an die Hebräer (Leipzig: A. Deichert, 1913), p. 407; C. Spicq, L’Epitre aux Hebreux, 2 vols. (Paris: Gabalda, 1952–53) 2:402; Moffat, Hebrews, p. 212 (autḗn refers to metanóias, not to eulogías [which would require metanoías euren to be taken as a parenthesis, a construction that is wrecked on the antithesis between heúren and ekzētḗsas]); G. W. Buchanan, To the Hebrews, AB (Garden City, NY: Doubleday, 1972), p. 220; H. W. Attridge, Epistle to the Hebrews, Hermeneia (Philadelphia: Fortress, 1989), p. 370 (“The proximity of the latter term [viz., metanoías] … strongly support[s] the latter alternative [viz., the antecedent of ‘it’ is repentance]”). Only D. Hagner (Hebrews, New International Biblical Commentary [Peabody, MA: Hendrickson, 1983], p. 223) argues that the antecedent could be both “blessing” and “repentance.” Futility in one means futility in the other.

3 See P. R. Jones, “A Superior Life: Hebrews 12:3–13:25,” RevExp 82 (1985) 395–96.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31–232.

 

 

 

 

728x90

18 So he went in to his father and said, “My father.” And he said, “Here I am. Who are you, my son?” 19 Jacob said to his father, “I am Esau your firstborn. I have done as you told me; now sit up and eat of my game, that your soul may bless me.” 20 But Isaac said to his son, “How is it that you have found it so quickly, my son?” He answered, “Because the Lord your God granted me success.” 21 Then Isaac said to Jacob, “Please come near, that I jmay feel you, my son, to know whether you are really my son Esau or not.” 22 So Jacob went near to Isaac his father, who felt him and said, “The voice is Jacob’s voice, but the hands are the hands of Esau.” 23 And he did not recognize him, because khis hands were hairy like his brother Esau’s hands. lSo he blessed him. 24 He said, “Are you really my son Esau?” He answered, “I am.” 25 Then he said, “Bring it near to me, mthat I may eat of my son’s game and bless you.” So he brought it near to him, and he ate; and he brought him wine, and he drank.

26 Then his father Isaac said to him, “Come near and kiss me, my son.” 27 So he came near and kissed him. And Isaac smelled the smell of his garments land blessed him and said,

“See, nthe smell of my son

is as the smell of a field that the Lord has blessed!

28  May God give you of othe dew of heaven

and of the fatness of the earth

and pplenty of grain and wine.

29  Let peoples serve you,

and nations qbow down to you.

rBe lord over your brothers,

and may your mother’s sons bow down to you.

sCursed be everyone who curses you,

and blessed be everyone who blesses you!”

j ver. 12

k ver. 16

l Heb. 11:20

m ver. 10

l [See ver. 23 above]

n [Hos. 14:6]

o Deut. 33:13; Zech. 8:12; [ch. 49:25; 2 Sam. 1:21]

p Deut. 7:13; 33:28; Joel 2:19

q [ch. 49:8]

r [2 Sam. 8:14]

s ch. 12:3; Num. 24:9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27:18–29.

 

 

야곱이 이삭에게 자신의 형 에서의 옷을 입고 어머니 리브가가 만들어준 음식을 들고 나아가 축복을 구한다. 

아버지에게 나아가 ‘내 아버지여’라고 부르자 이삭은 ‘네가 누구냐?’라고 반문한다. 지금 자신 앞에 아들이 서있는데 그를 행해서 ‘네가 누구냐’라고 묻는 것은 이삭이 얼마나 감각이 쇠퇴했는지를 보여준다. 오감이 떨어진 이삭은 지금 자신에게 나아온 아들이 누구인지 자신하지 못했다. 그러자 야곱은 적극적으로 아버지에게 거짓말을 한다. 

‘나는 아버지의 맏아들 에서입니다. 아버지께서 명하신대로 준비하였으니 내가 사냥한 고기를 드시고 이제 마음껏 나를 축복해주세요’라고 말한다. 지금 이삭은 야곱의 대답을 들으면서 자신과 에서가 둘이 이야기한 내용, 사냥을 해서 음식을 만들어오면 축복해주겠다라는 것을 이삭이 이야기하는 것을 듣고 에서가 맞구나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여러가지로 의심을 거둘 수는 없었다.(목소리, 이렇게 빨리..)

 

이에 이삭은 ‘네가 어떻게 이렇게 속히 짐승을 잡았느냐?’라고 물었고 이에 야곱은 ‘아버지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나로 순조롭게 사냥감을 만나게 하셨다’라고 대답한다. 지금 이삭은 에서에게 사냥을 해서 음식을 준비할 것을 요청했는데 생각보다 빨리 돌아온 아들이 의아했던 것이다. 하지만 야곱은 순발력있게 이를 대처했다. 

야곱은 이삭의 의심을 잠재우기 위해서 하나님의 이름을 동원한다. 말하자면 하나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컬은 것이다. 거짓말이 더 큰 거짓말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그래도 이를 반신반의한 이삭은 ‘내 아들아 가까이 와라. 네가 과연 에서인지 만져보겠다’라고 하고 야곱이 아버지에게 가까이 갔을 때 이삭은 야곱을 만지면서 음성은 야곱의 음성인데 손은 에서의 손이다라고 말했다. 

앞서 이삭을 에서를 사랑하고 리브가는 야곱을 사랑했다. 아마도 다른 때와 다르게 에서가 이삭에게 거리두기를 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평소에 살갑게 굴던 에서가 지금 멀찍이 떨어져 있자 이삭이 가까이 오라고 말하고 그를 만져보았다. 

 

이미 이를 대비해서 리브가는 야곱에게 에서의 옷을 입고, 염소 가죽을 몸의 매끈매끈한 곳에 입혔다. 이삭은 그의 손을 만져보고 에서의 손과 같이 털이 있으므로 이를 분별하지 못했다. 

여전히 확신하지 못하는 이삭은 다시금 야곱에게 ‘네가 참 내 아들 에서냐?’라고 물었고 이에 야곱은 ‘그렇다’라고 대답한다. 

이삭은 이제 사냥하여 준비한 음식을 가져오라고 하고 그것을 먹고 또한 포도주를 마시고 나서 야곱에게 가까이 자신에게 나와 입맞출 것을 요청한다. 이에 이삭이 그의 옷의 냄새를 맡고 그에게 축복하였다. 

지금 야곱은 시각, 촉각, 미각, 청각을 통해 확신하지 못했고 이제 후각을 통해서 이가 에서라고 여기고 나서 축복을 하고 있는 것이다. 

Isaac conducts five tests concerning the identity of his son: logic (27:20), touch (27:21–22), sound (27:22), his word (27:24), and scent (27:27). Jacob dissembles through the first and the fourth, and his disguise gets him through the second and fifth. Only the middle one, the sound of his voice, fails. Having been adequately satisfied that this is Esau, Isaac proceeds with the blessing. In this blessing we can recognize the standard elements of patriarchal pronouncements: fertility of the land and authority over others.

 John H. Walton, Genesi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2001), 556.

 

이삭은 야곱에게 크게 세가지의 축복을 내리고 있다. 

첫번째는 하늘의 이슬과 땅의 기름짐으로 대표되는 풍성한 곡식과 포도주를 구했다. 팔레스타인 이 지역에서 땅의 소산을 풍성히 얻기 위해서는 제때 내리는 이슬과 땅의 비옥함이 필수적이었다. 농작물이 자라서 그 소산, 곡식과 포도주를 얻기 위해서는 하늘의 이슬과 땅의 기름짐이 필수적이다. 여기서 ‘하늘과 땅’은 포괄성을 상징하며, ‘곡식과 포도주’는 잔치를 상징하는 한쌍의 단어이다. 이처럼 이삭은 야곱에게 총체적이고 항상 잔치를 하는 듯한 풍요로운 삶을 빌어주고 있는 것이다. 

두번째는 만민이 너를 섬기고 열국이 네게 굴복할 것을, 또한 형제들의 주가 되고 그들이 굴복할 것을 말하는데 이는 정치와 군사적인 주권에 대한 축복이다. 이는 ‘형이 동생을 섬길 것’이라는 하나님의 예언이 정식으로 확인되어지는 것이다. 

세번째는 너를 저주하는 자는 저주를 받고 너를 축복하는 자는 복을 받을 것이라는 저주와 축복의 선언이다. 이는 하나님이 그와 함께 하심으로 그를 보호하실 것을 약속하는 것이다. 하나님이 함께 하기에 그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저주를, 그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축복이 임하게 되는 것이다. 

 

The blessing of Isaac on Jacob has three parts: (1) a statement of what Jacob is, v. 27; (2) a statement of what he will receive, v. 28; (3) a statement about his relationship with others (v. 29). In the end it is the odor of Jacob’s clothes and covered skin that seals the matter for Isaac and paves the way for the pronouncement of this threefold blessing.

The essence of the part of the blessing found in v. 28 is agricultural fertility. This future fertility is described with the poetic pair, the dew of the heavens and the fatness of the earth.15 Interestingly, the same two phrases are used for Esau later in the chapter, but in reverse order (see v. 39). The reversed phrases represent a reversal of the blessings.

This blessing of fertility is further spelled out as an abundance of grain [dāḡān] and wine [tîrōš]. That Dagan is a Canaanite (Philistine) deity is well known. Tirosh is also now recognized as the name of a Canaanite god,16 a kind of Bacchus from which the Hebrews obtained the term tîrōš, their poetic word for “wine.”

Parts of v. 28 are much like some lines from an Ugaritic text: ṭl šmm šmn arṣ rbb rkb ʿrpt, “dew of heaven, fat of earth, rain of the Rider of clouds.”17 In the light of the similarity of the phraseology and the identification of Dagon and Tirosh, Dahood is prepared to translate v. 28 as follows: “May God give you of the dew of Heaven and of the oil of Earth and of the spray of Dagan and Tirosh.”18 That is, the God of Jacob will provide Jacob with all the ingredients of fertility that were thought to be given by the Canaanite gods Heaven, Earth, Dagan, and Tirosh.

The last part of Isaac’s blessing over Jacob shifts from agricultural fertility (v. 28) to political supremacy (v. 29). Peoples will serve and bow down to Jacob. Closer to home, his brothers and mother’s sons are also to come under his authority. Now, to be sure, nowhere does Genesis state that Isaac and Rebekah had other children besides Esau and Jacob. But Genesis does refer to Jacob’s brothers (see 27:37; 31:46); also, the association of the terms “brother(s)” and “mother’s sons” was a standard feature of OT verse, and thus “brothers”/“mother’s sons” may be poetic craft rather than a reference to Jacob’s blood brothers.19

The last part of the promise about curse/blessing is very close to Num. 24:9 with regard to nations, except that the lines are reversed. “Cursing” comes first in Gen. 27:29; “blessing” comes first in Num. 24:9. In form, Gen. 27:29 is much closer to Num. 24:9, for in both texts the active participles are in the plural and the passive participles are in the singular, a construction known as the distributive singular—“Those who curse you, cursed be every one of them; those who bless you, blessed be every one of them.”20

Isaac has unknowingly spoken the truth. He does not know he has been tricked, but neither does he know that he has spoken prophetically. The last two parts of the prophecy find fulfillment within the very narrative. For who is it that qualifies for “who curses you”? Esau. And who is it that qualifies for “who blesses you”? Isaac. To all of this blessing Jacob makes no response. He exits quietly, as recorded in the next verse (“had left his father’s presence”).

15 For “oil, fat of the land” as a metaphorical expression for rain see H. J. Zobel, “Der bildliche Gebrauch von šmn im Ugaritischen und Hebräischen,” ZAW 82 (1970) 209–16.

16 See M. C. Astour, “Some New Divine Names From Ugarit,” JAOS 86 (1966) 284; A. Cooper, “Divine Names and Epithets in the Ugaritic Texts,” in RSP, 3:428. In a review article Albright (BASOR 139 [1955] 18) observes the presence of the name ʿAbdi-ti-ir-ši in an Ugaritic text (PRU, III, 16.257, iv:8) and connects it with m Abdi-TIR-ši, a king of Hazor in Galilee who dispatched one of the Amarna Letters to Pharaoh. The name translates as “Servant of the God(dess) Tiršu.”

17 See UT, ʿnt II:39–40 (CTA, 3.II.39–40). Translation of C. H. Gordon, Ugarit and Minoan Crete (New York: Norton, 1966), p. 52.

18 M. J. Dahood, review of Ugaritica V in Or 39 (1970) 376. For a translation that does not appeal to the presence of Canaanite deities in the verse see R. E. Whitaker, “Ugaritic Formulae,” in RSP, 3:215.

19 For references see Gevirtz, Patterns in the Early Poetry of Israel, pp. 42–43; and n. 10 above.

20 See GKC, § 145l; J. Milgrom, Numbers, JPS Torah Commentary (Philadelphia: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90), p. 205. On the order “curse … blessing” in Gen. 27:29 and “blessing … curse” in Num. 24:9, i.e., an inverted quotation, see the examples collected by P. C. Beentjes, “Inverted Quotations in the Bible: A Neglected Stylistic Pattern,” Bib 63 (1982) 506–23, esp. 509–10.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21–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