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 “I do not rask for these only, but also for those swho will believe in me through their word, 21 tthat they may all be one, just as you, Father, are in me, and I in you, that uthey also may be in vus, so that the world wmay believe that you have sent me. 22 xThe glory that you have given me yI have given to them, tthat they may be one even as we are one, 23 zI in them and you in me, athat they may become perfectly one, bso that the world may know that you sent me and cloved them even as dyou loved me. 24 Father, I desire that they also, whom you have given me, may be ewith me fwhere I am, gto see my glory that you have given me because you loved me h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25 iO righteous Father, even though jthe world does not know you, I know you, and these know that you have sent me. 26 kI made known to them your name, and I will continue to make it known, that the love lwith which you have loved me may be in them, and mI in them.”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요 17:20–26.
본문은 장래에 주님을 믿게될 이들을 위한 기도이다. 주님의 관심은 그를 따르는 이들과의 연합과 사랑이다. 신자의 연합, 하나됨은 하나님 안에서의 하나됨에 기인한다. 그분과 연합되면 그들은 하나님의 보내심을 받은 자로서 예수님에 대한 진정한 일체감을 증거하는 증인이 되게 될 것이다.
Jesus does not stop at praying for himself (vv. 1–5) and his disciples (vv. 6–19) but now prays for those who will believe in me in the future. Jesus’ concern is for his followers’ unity (vv. 21–23) and love (v. 26). The vision of a unified people of God has previously been expressed in 10:16 and 11:52. Believers’ unity results from being united in God (cf. 10:38; 14:10–11, 20, 23; 15:4–5). Once unified, they will be able to bear witness to the true identity of Jesus as the Sent One of God.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60.
20절) 주님의 간구는 지금 믿는 사람들만이 아니라 이들, 제자들과 주님을 따르는 사람들이 전하는 복음을 인하여 예수를 믿게될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21절) 하나됨, 연합은 기독교의 신비중의 하나이다. 아버지께서 주님안에, 주님이 아버지 안에, 우리들도 하나가 되어 성부와 성자 안에 거함으로 복음(아버지께서 아들을 보내신 것)을 믿게되기를 구하고 계신다. 역사를 통해서 이 하나됨은 여러가지의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신자들의 하나님과의 하나됨은 하나님과의 하나됨을 경험한 공동체를 전제로 한다. 하나님안에 거한다는 것, 주님안에 거한다는 것이 그저 신비적인 체험, 그분의 어떤 신성안에 흡수되는 체험으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세상은 하나님과의 관계속에서 성도들의 하나됨을 보게 될 것이고 이것을 통해서 믿게 될 것이다.
-
This oneness with the Godhead is not to be viewed as a mystical flight of the hermit to be alone with God or to be mystically absorbed into the divine. Nor is this relationship to be understood as an individualized self-centered salvation that has developed in many churches as a result of the subjective individualistic philosophies of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This relationship of believers with God is premised on a community who together experience a oneness with God.
Gerald L. Borchert, John 12–21, vol. 25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2), 207.
22절) 하나님께서 주님에게 주신 영광을 우리들에게도 주시겠다고 말씀하시는 주님, 영광을 우리들에게 주심으로 우리도 주님과 아버지와 간이 하나가 되게 하시기 위해서 이다. 주님의 영광을 보고 경험한 사람은 진정한 연합, 하나됨을 이룰 수 있다. 우리가 이땅을 살면서 진정한 하나됨을 경험하고 살아내지 못하는 이유는 주님의 영광을 보고 경험하지 못하게 때문이다. 주님의 영광을 본자는 바울의 고백과 같이 이전에 자신이 가치롭게 여기던 모든 것을 배설물과 같이 여길 수 있다.
23절) 주님이 우리안에, 아버지께서 주님안에 계심으로 우리로 온전한 하나됨을 이루려 하심은 세상으로 하나님께서 주님을 보내셨음을 그리고 하나님께서 주님을 사랑하시는 것처럼 우리를 사랑하심을 알게하려 함이다.
-
But unity is neither self-generated in the disciples nor their ultimate goal. Oneness is a means to enable the world to realize what God has been doing. The marvelous message is that God sent Jesus on an important mission to the world and that he not only loved his beloved Son but that he also loved the train of disciples who are fulfilling that continuing mission to the world.
Gerald L. Borchert, John 12–21, vol. 25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2), 208.
24절) 예수님께서 당신을 따르는 미래의 신자들로 보게되기를 원하는 것은 바로 하나님께서 주님에게 주신 주님의 영광이다. 여기서 보다라는 헬라어는 바로 “데오레로”로 어떤 것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님의 그 영광은 창세전부터 사랑하심으로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다. 바로 그 영광을 함께 하기를 원하신 다는 것이다.
-
See represents the Greek word theōreō, “to observe with sustained attention,” and includes the idea of entering into and experiencing something. You loved me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implies that love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Trinity did not begin at any point in time but has existed eternally (cf. v. 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60.
25절) 타락한 세상은 하나님을 알지 못한다. 아니 알려고 하지 않고 그분을 알지 못하는 것이 바로 죄이다. 중요한 것은 바로 주님이 하나님을 알고 그분을 전하셨으므로 세상이 주님을 보고 아버지 하나님께서 주님을 보내신 줄을 알았다. 결국 주님의 사명은 바로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세상으로 하여금 그 하나님을 알게 하는 것이다. 그들의 눈이 가리워져서 하나님을 보지 못하기에 그분이 친히 성육신 하심으로 그분의 삶으로 하나님을 알게 하신 것이다. 우리의 사명도 마찬가지이다.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세상으로 하여금 우리의 착한 행실로 그리스도를 선포하고 하나님의 선하심을 세상으로 알게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사명이다.
26절) 주님께서 아버지의 이름을 우리들에게 알게 하였고 또 계속해서 알게 하실 것이다.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사랑하시는 그 사랑이 우리 안에 있고 예수님도 우리안에 있게 하심이다. 이처럼 우리 안에 계신다는 표현은 언약적인 표현이다. 구약을 통해서 성막 가운데 계신 주님께서 우리가운데 계실 것을 말씀하고 계신 것이다. 본문 속에서 이제 주님의 부재, 떠남 이후에 도리어 보혜사를 통해서 그분의 사랑이 우리안에 충만히 거하시게 될 것이다.
-
The phrase I in them is filled with covenantal overtones (cf. 14:20; 17:23). After the giving of the law at Sinai, God came to dwell in the midst of Israel in the tabernacle (Ex. 40:34). As they moved toward the Promised Land, God frequently assured his people that he was in their midst (Ex. 29:45–46; Deut. 7:21; 23:14).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060.
The world is a hostile place, and the disciples were now to be sent to that world. With what spirit should they go? And what would be their model and resource? Those questions are answered in the concluding words of the prayer, which are both an affirmation and a petition. The spirit of the disciples was to be that of love, not the love of which the world speaks but the kind of love God had for the Son. May that kind of love be in us! And the model and resource of the disciples? Surely not the power structures of the world. It must be Jesus himself. Jesus would act in them after the resurrection through the agency of the Paraclete. That is the reason he breathed on them as God breathed on Adam (cf. John 20:22; Gen 2:7). Jesus himself through the Spirit would be the focal resource of Christians, even though such a resource may seem foolish and weak to the world (cf. 1 Cor 1:22–25). The way of God in Christ Jesus is neither foolish nor weak because, as Pilate would learn, ultimate power is not in the world. It is from above (John 19:11).
Gerald L. Borchert, John 12–21, vol. 25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2), 211.
'성경묵상 > 요한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 18:12-18 예수님의 잡힘과 베드로의 부인 (0) | 2016.11.25 |
---|---|
요 18:1-11 유다의 배신으로 잡히시는 주님 (0) | 2016.11.24 |
요 17:6-19 진리로 거룩한 삶 (0) | 2016.11.22 |
요 17:1-5 아들을 영화롭게 하소서. (0) | 2016.11.21 |
요 16:25-33 담대하라 (0) | 2016.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