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For you yourselves know, brothers,1 that our fcoming to you gwas not in vain. But though we had already suffered and been shamefully treated hat Philippi, as you know, iwe had boldness in our God jto declare to you the gospel of God in the midst of much kconflict. For lour appeal does not spring from merror or nimpurity or oany attempt to deceive, but just as we have been approved by God pto be entrusted with the gospel, so we speak, not qto please man, but to please God rwho tests our hearts. sFor we never came with words of flattery,2 as you know, nor with a pretext for greed—tGod is witness. uNor did we seek glory from people, whether from you or from others, vthough we could have made wdemands as xapostles of Christ. But we were ygentle3 among you, zlike a nursing mother taking care of her own children. So, being affectionately desirous of you, we were ready to share with you not only the gospel of God abut also our own selves, because you had become very dear to us.
1 Or brothers and sisters; also verses 9, 14, 17
f ch. 1:9
g [2 Thess. 1:10]
h Acts 16:22–24
i See Acts 4:13
j Acts 17:2–9
k Phil. 1:30
l [2 Cor. 2:17]
m 2 Thess. 2:11
n ch. 4:7
o 2 Cor. 4:2
p See Gal. 2:7
q See Gal. 1:10
r Ps. 17:3; See Rom. 8:27
s See Acts 20:33
2 Or with a flattering speech
t ver. 10; See Rom. 1:9
u [2 Cor. 4:5]; See John 5:41
v 1 Cor. 9:4; 2 Thess. 3:9; [Philem. 8, 9]
w [ver. 9; 2 Cor. 11:9]
x See 1 Cor. 9:1
y 2 Tim. 2:24; [1 Cor. 14:20]
3 Some manuscripts infants
z [ver. 11; Isa. 49:23; 60:16]
a See 2 Cor. 12:15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2:1–8.
 
2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 가운데 들어간 것이 헛되지 않은 줄을 너희가 친히 아나니
2 너희가 아는 바와 같이 우리가 먼저 빌립보에서 고난과 능욕을 당하였으나 우리 하나님을 힘입어 많은 싸움 중에 하나님의 복음을 너희에게 전하였노라
3 우리의 권면은 간사함이나 부정에서 난 것이 아니요 속임수로 하는 것도 아니라
4 오직 하나님께 옳게 여기심을 입어 복음을 위탁 받았으니 우리가 이와 같이 말함은 사람을 기쁘게 하려 함이 아니요 오직 우리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 함이라
5 너희도 알거니와 우리가 아무 때에도 아첨하는 말이나 탐심의 탈을 쓰지 아니한 것을 하나님이 증언하시느니라
6 또한 우리는 너희에게서든지 다른 이에게서든지 사람에게서는 영광을 구하지 아니하였노라
7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마땅히 1)권위를 주장할 수 있으나 도리어 너희 가운데서 유순한 자가 되어 유모가 자기 자녀를 기름과 같이 하였으니
8 우리가 이같이 너희를 사모하여 하나님의 복음뿐 아니라 우리의 목숨까지도 너희에게 주기를 기뻐함은 너희가 우리의 사랑하는 자 됨이라
1) 또는 폐를 끼칠 터이나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2:1–8.
 
 
2장 1-12절에서는 앞선 1장 5절에서 언급한 선교사들의 특성을 부연 설명하고 있다. 본문의 내용은 바울 일행이 데살로니가에서 사역하던 시절을 회상하면서 하는 이야기이다. 
 
1절) 원문상으로 ‘아우토이’라는 단어가 가장 처음에 등장한다. 이는 다른 사람이 가르쳐주지 않았음에도 너희 스스로 안다라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즉 본절부터 12절 까지 모든 내용을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이미 알고 있었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의 일행들이 데살로니가에 들어가 복음을 전하는 행위가 헛되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당시 돈을 위해서 지식을 팔고 다니는 떠돌이 철학자들이 많이 있었고 이들의 가르침은 헛된 것이었던 반면 자신들의 가르침을 그렇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다. 
본문의 ‘헛되지’라고 번역된 ‘케노스’는 ‘텅 빈, 빈 손의, 선물을 들고 오지 않은, 아무 결과도 낳지 못하는, 열매없는’의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래서 본문의 의미는 바울의 들어감, 사역이 열매를 맺었다라고 보기도 하고 또한 케노스를 ‘빈손의’로 보아서 바울 일행이 데살로니가로 들어올 때에 빈손이 아닌 무언가 줄 것을 가지고 들어갔다는 의미로 해석하기도 한다. 
실제로 바울의 데살로니가 사역은 적지 않은 열매가 있었고(행 17:4) 그들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자 밤낮으로 일하며 복음 사역을 감당했고(살전 2:9) 자신들의 목숨도 주기를 주저하지 않았다(살전 2:8).
 
본문의 너희 ‘가운데'라는 표현은 ‘프로스’인데 이는 ‘위하여’와 ‘향하여’라는 목적과 방향의 의미를 지닌다, 
 
2절) 바울은 자신들이 먼저 빌립보에서 고난과 능욕을 당했으나 하나님을 힘입어 복음을 전했음을 너희가 알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능욕을 당하였다’라는 ‘휘브리스덴테스’는 ‘휘브리조’의 부정과거 수동태 분사형으로 다른 사람에게 일방적으로 능욕을 당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행 16장 20-38의 내용을 보면 로마의 시민권자인 바울과 실라는 빌립보 사람들로부터 정당한 재판을 받지도 못한고 옷을 벗기우고 매를 맞고 깊은 옥에 발에 착고가 채워진채로 갇혔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당하신 고난과 일치한다. 
누가복음 18:32
32인자가 이방인들에게 넘겨져 희롱을 당하고 능욕을 당하고 침 뱉음을 당하겠으며
베드로전서 2:21
21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받았으니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오게 하려 하셨느니라
 
2:2 The arrival of Paul and his colleagues at Thessalonica was not a triumphal entry, since they had experienced suffering and had been shamefully treated at Philippi. Paul does not make clear here or anywhere else what happened there (cf. Phil. 1:30), but his readers clearly knew, as καθὼς οἴδατε (“just as you know”) reveals. According to Acts 16:19–24, 35–39 they were publicly humiliated by being beaten with rods despite their being Roman citizens and were then thrown into jail by the magistrates at Philippi. By his own admission Paul was no stranger to such treatment (2 Cor. 11:23–25), and therefore it seems entirely possible that what is described in the Acts account is what lies behind Paul’s reference to “having suffered previously” (προπαθόντες) and “having been treated shamefully” (ὑβρισθέντες) at Philippi.
While the experience at Philippi might have destroyed his own and his colleagues’ sense of purpose and led them to act with far more circumspection out of fear when they came to Thessalonica, it in fact had no such effect. Quite the contrary, as Paul points out, they were emboldened by God to preach his gospel. The verb παρρησιάζεσθαι, like the noun παρρησία, from which it was derived, originally referred to speaking freely or openly but came to refer to courage or boldness in speaking. Malherbe (“ ‘Gentle as a Nurse,’ ” 208; see also “Exhortation in First Thessalonians,” 247–249) has shown that παρρησία was used to describe the way in which the true Cynic philosopher-cumpreacher was supposed to present his message. The Cynic used the suffering that he had experienced at the hands of mobs to justify the harshness of his treatment of his hearers’ moral shortcomings (“Exhortation in First Thessalonians,” 248f.). Paul acknowledges his suffering in 2:2, but as Malherbe (249) has noted, he does not use it as an excuse for boldness. His boldness in preaching the gospel is in spite of suffering and humiliation. For Paul and his colleagues it was God who had emboldened them to speak his gospel.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92.
 
우리는 이 고난을 위하여 부름을 받은 것이다. 
또한 ‘먼저 고난을 당하였다’라는 표현은 ‘프로파돈테스’인데 이것의 원형은 ‘프로파스코’로 “~전에”에 해당하는 ‘프로’와 ‘고난당하다’라는 의미인 ‘파스코’의 합성어로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수치를 이미 충분히 받은 상태에서 데살로니가로 들어왔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본문에 ‘힘입어 전하다’라는 표현인 ‘에파르레시아사메다’는 담대하게 행동하다, 기탄없이 말하다라는 의미로 고난과 능욕을 당하는 중에도 복음의 기원이신 하나님안에 있음으로 전혀 주눅들지 않고 담대히 복음을 증거했음을 강조하고 있다. 
 
‘많은 싸움 중에’로 표현된 ‘엔 폴로 아고니’로 ‘많은’이라는 의미의 ‘폴로’와 ‘경주, 경쟁, 투쟁, 격심한 싸움’이라는 ‘아곤’이 시용되었다. 이는 정신적 고뇌와 육체적 싸움을 아우르는 말이다(빌 1:30, 골 2:1, 딤전 6:12, 히 12:1). 실제로 바울의 일행은 사역지에서 반대자들로부터 이러한 정신적 반대와 실제적인 위협(고난과 능욕)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힘입어 믿음과 소명에 대한 확신가운데 하나님의 복음을 전한 것이다. 
The visit to Thessalonica, like the one to Philippi, was not without ordeal. Paul says that his preaching took place ἐν πολλῷ ἀγῶνι (“in the face of considerable opposition”). ἀγών, which originally concerned the exertion involved in athletic contests, has three possible senses in this context: (1) It could refer to the effort or exertion entailed in preaching the gospel (Dibelius, 6); (2) it could refer to care or anxiety arising from the persecution at Philippi (Rigaux, 405); or (3) it could allude to the missionaries’ conflict with those opposed to their activity (Best, 91f.). Since 1:6 (cf. 2:13–17; Acts 17:5–9) makes it clear that the gospel was delivered in a situation of opposition in Thessalonica, it seems probable that Paul is recollecting that opposition here. By doing so he underscores how amazing his boldness was in declaring the gospel to the Thessalonians in oppressive circumstances similar to those that he experienced at Philippi. Pfitzner (Paul, 118) claims that Paul understood the whole of his apostolic mission as an ἀγών. It is doubtful whether we should go that far, but the evidence of 1 Thessalonians indicates that his ministry at Thessalonica was conducted in the face of considerable antagonism. Both he and the Thessalonian believers suffered duress from non-Christians.
In claiming to have preached the gospel in much ἀγών, Paul identifies himself with the best tradition among moral philosophers. Dio Chrysostom criticized those Cynic preachers who refused to become involved in the ἀγών of life (see Malherbe, “ ‘Gentle as a Nurse,’ ” 214). Paul insists in 2:2 that he and his coworkers were involved in the same struggles of life endured by their convert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93.
 
3-4절) 바울은 자신의 권면이 간사함이나 부정, 속임수로부터 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옳게 여기심을 입었으며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시게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밝힌다. 
3절은 부정어를 반복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반대자들의 비방은 정면으로 부정하고 반박하고 있다. 바울의 대적자들은 바울의 권면이 당시 떠돌이 설교자들이나 순회 철학자들과 같이 돈과 자기 자신의 탐심을 채우고자 하는 행동이라고 비방을 했으나 바울은 강역하게 이를 부인하고 있다. 
‘권면’으로 번역된 ‘파라클레시스’는 ‘~곁에’의 의미를 지닌 ‘파라’와 ‘부르다’라는 ‘칼레오’라는 동사의 합성오로 어떠한 대상에게 가까이 나아가 호소하며 간청하며 격려한다는 ‘카라칼레오’의 명사형이다. 이는 보혜사로 번역된 ‘파레클레토스’와도 같은 어근이다. 바울의 권면은 무익한 우상을 버리고 참되신 하나님께 나아와 그분을 섬기라는 복음의 호소이다. 
바울이 부정하고 있는 대상은 세가지인데 첫번째는 ‘간사(플라네스)’로 문자적으로 길을 읽고 옆으로 벗어나 방황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로 NIV나 ESV는 ‘error’로 번역하였다. 이는 바울의 가르침이 온전한 진리가 아니라 부정확한 지식, 오류라고 말하는 것인데 바울은 이를 강력 부인하고 있다. 
두번째는 부정(아카다르시아스)인데 이는 ‘정결치 않음’의 의미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덕적 부패, 불결한 마음’을 가리킨다. 이는 당시 이방 종교들이 대부분 매춘 행위를 종교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정하였는데 반해서 바울의 복음은 성적 방종에서 난것이 아님을 강조하는 것이다. 
세번째는 ‘속임수(둘로)’인데 이것은 원래 미끼로 고기를 잡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인데 여기서는 교묘한 말로 사람들을 기만하고 속이는 것을 의미한다. 바울의 복음은 유창한 화술로 환심을 사서 돈을 얻어내는 그런 철학자들의 속이는 말과 다른 영혼을 구원하는 진지한 말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의 목숨을 주기까지도 이 복음을 전하는 것에 진지했다.(8절)
 
4절에서는 앞선 3절의 부정적 진술에서 긍정적 진술을 통해 바울이 전한 복음의 정당성을 변호한다. 4절의 시작은 ‘알라’라는 단어로 시작되는데 이는 ‘오직’이라는 표현인데 좀더 정확하게는 ‘그러나 이와 반대로’로 번역하는 것이 더욱 적당하다. 
‘옳게 여기심을 입어’는 ‘데도키마스메다’로 ‘도키마조’의 완료 수동태 표현이다. 도키마조는 금속의 순도를 불로써 시험하는 것을 의미(벧전 1:7, 고후 8:8, 요일 4:1, 롬 14:22)한다. 이는 현재 완료 수동태로 하나님의 시험에 통과해 자격 있고 옳은 사람으로 인정된 상태가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누구의 옳게 여기심, 인정을 받았느냐이다. 바울과 그 일행은 이미 하나님의 시험에 통과해 복음을 위탁받은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고귀한 복음을 함부로 맡기시지 않는다. ‘위탁 받다’는 ‘피스튜데나이’로 믿다라는 의미의 ‘피스튜오’의 수동태 부정사로 ‘하나님으로부터 믿어졌다, 하나님께서 신임하고 맡기셨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바울과 그의 일행들은 무엇을 목적으로 복음을 전해야하는지를 분명히 전하고 있다. 그들은 사람을 기쁘게 하려함이 아니라 오직 우리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해야한다라고 분명히 말한다. 바울은 갈 1:10에 이렇게 말한다. 
갈라디아서 1:10
10이제 내가 사람들에게 좋게 하랴 하나님께 좋게 하랴 사람들에게 기쁨을 구하랴 내가 지금까지 사람들의 기쁨을 구하였다면 그리스도의 종이 아니니라
바울은 자신의 복음 전파사역이 오직 하나님을 위한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기쁘게 하다’는 ‘아레스코’라는 표현으로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한 봉사의 의미가 담긴 단어로 고대 헬라 세계에서는 공동의 복지를 위해 공을 세웠던 자들의 묘비에 새겨졌던 단어였다. 
‘감찰하다’ 역시 ‘도키마존티’로 ‘도키마조’의 현재 능동 분사이다. 여기서는 ‘시험하여 그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 그 진가를 인정하시는’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의 외모가 아니라 마음의 내적 동기를 보시고 판단하시는 분이시다(삼상 16:7). 하나님을 우리 마음을 감찰하신다. 
많은 사역자들이 인정을 받기원하는 마음에 자신에게 맡겨진 영광스러운 복음을 변질시킨다. 오직 하나님만을 기쁘시게 하겠다라는 복음 전파의 원칙을 포기해서는 안될 것이다. 
 
5절) 아첨은 사람을 기쁘게 하는 말로 자기의 이기적 욕망을 충족시키는 행위이며 탐심의 탈을 쓴다는 것은 ‘마음에도 없으면서 짐짓 그런 체하는 것’(마 23:14, 막 12:40, 행 27:30)으로 탐욕이 가득한 채로 겉으로는 그렇지 않은 척 하는 것이다. 
‘하나님이 증언하시느니라’는 ‘데오스 마르튀스’라는 표현으로 하나님이 증인이시다라는 의미이다. ‘마르튀스’는 증인, 목격자, 순교자라는 의미이다. 이는 ‘사건을 보고 일어난 일을 보고하는 사람’이면서 동시에 ‘종교적 신앙으로 인해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우리는 겉으로는 겸손을 가장하기도 하고 위선과 탐심의 탈을 쓰고 행동하면서도 자기 자신도 속이기도 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4절에서 말한대로 우리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께서 어떻게 증언하시느냐이다. 인간의 판단은 한계가 있다. 속마음을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이다.  
 
6-7절) 원문은 7절 상반절을 6절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니까 다시 살펴보면 ‘우리가 마땅히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요구할 수 있으나 우리는 너희에게나 다른 이들에게나 사람들로부터 영광을 구하지 아니했다. 도리어 너희 가운데서 자신의 아이들을 돌보는 유모와 같이 유순한 자가 되었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앞서 3-5절에서 바울은 자신이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진실된 자세로 복음을 전했다라고 피력했다. 이어 6-9절에서 자신이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주장할 것이 있지만 오히려 겸손과 사랑, 희생의 자세를 나타냈음을 말한다. 
개역은 사도를 단수로 표현하고 있지만 원문은 ‘아포스톨로이’로 복수형이다. 바울과 실라, 디모데는 예수님께서 살아계실 때 직접 파송받은 사도는 아니지만 영적으로 예수님으로부터 파송을 받은 자(행 9:15-16: 22:21)이기에 의도적으로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본문의 권위를 주장하다라는 표현은 ‘바레이’인데 이는 ‘바로스’에서 나온 단어로 ‘무거움, 무게, 짐, 수고, 부담’을 의미한다. 그래서 KJV은 ‘우리가 부담이 되었을지도 모른다’로 번역하였였는데 이는 사도라는 복음을 전하는 역할이 전도를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심적, 물질적 부담이 되었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개역 개정은 이 ‘바로스’를 권위로 번역하여 ‘권위를 주장할 수 있으냐’로 번역하였다. 
이처럼 당시 도를 전하는 사도와 같은 이들은 자신들의 영적 권위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짐을 지울 수 있었다. 복음 증거의 정당한 대가로 사도들의 생활비를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 관행이었으나 바울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사람들에게 인정, 대접, 칭찬을 통해서 영광을 받고자 하는 것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욕구(인정의 욕구)이다. 그런데 바울과 그 일행들은 더 가치있고 고귀한 영광을 알고 이를 추구하였기에 인간적인 영광에 연연하지 않을 수 있었다. 사람으로부터의 인정과 칭찬은 언젠가는 시들어비리고 말 것이다. 그래서 주께로부터 인정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순한 자’는 ‘네피오이’로 ‘어린 아이들’이라는 표현이다.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에피오이’로 ‘온유하고 온화한’으로 보기도 한다. 한글 성경은 이를 ‘에피오이’로 보아 ‘유순한 자’로 번역했다. 둘 중의 어떤 것을 사용했다 하더라도 어린아이의 특성인 단순함과 순진 무구함을 표현한 것이다. 이는 순수한 동기로 탐심이 없이 복음을 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모가 자기 자녀를 기름과 같이’에서 유모는 다른 사람의 자녀를 대신 젖먹이는 여자일 수도 있지만 어머니로 번역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따라서 ‘젖 먹이는 어머니가 자기 자녀를 깊은 애정은 돌봄으로 양육하는 것처럼’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자녀에게 젖을 먹이는 어머니는 어떤 영예나 보상을 바라고 자녀에게 젖을 먹이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어떤 권위를 주장하면서 이러한 일을 하는 것도 아니다. 오로지 자신의 자녀에 대한 사랑으로 돌보는 것이다. 
 
8절) 바울의 일행이 이처럼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사모하여 복음뿐 아니라 자신들의 목숨까지도 주기를 기뻐하는 이유는 바로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사랑했기 때문이다. 
과연 어떤 사랑이 자신의 목숨까지도 주기를 기뻐할 수 있을까? 아이를 향한 어머니의 사랑이 이를 가능케 한다. 주님께서 죄인들을 위해서 십자가에서 죽음을 감당하셨다. 그 주님의 사랑을 아는 자들이야말로 그 사랑을 따를 수 있는 것이다. 
본문에 ‘사모하여’라는 표현은 신약에서 이곳에 한번 사용된 단어로 ‘호메이로메노이’라는 표현이다. 이는 데살로니가 성도들에 대한 자신들의 강한 애정과 뜨거운 갈망을 나타낸 단어로 세속 헬라어에서는 자식을 먼저 잃은 부모가 그 죽은 자식의 무덤에 세우는 묘비에 새겨 넣는 표현이었다.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향한 바울과 그 일행의 사랑은 ‘아가페’적인 사랑이었다. 이러한 사랑은 그리스도께서 죄인들을 향해 보이신 사랑이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로부터 이와 같은 무한한 사랑을 체험한 자들이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바울은 성도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그들에게 행한 것들, 빌립보에서 당한 많은 고난 속에서 복음을 전한 것이 헛되지 않은 것임을 알기 원했다. 왜냐하면 이들이 전한 권면, 복음은 사람에게서 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로부터 위탁받은 것이기 때문이다. 바울은 아첨이나 탐심의 탈을 쓰지 않고 사람에게 영광을 구하지 않았다. 사도의 권위를 주장할 수 있지만 도리어 유순한 자가 되어 자녀를 기름과 같이 수고하였다. 
 
 
 
 
 
 
 
'
 
 
728x90
Paul, aa servant1 of Christ Jesus, bcalled to be an apostle, cset apart for the gospel of God, which dhe promised beforehand ethrough his prophets in the holy Scriptures, concerning his Son, fwho was descended from David2 gaccording to the flesh and hwas declared to be the Son of God iin pow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holiness by his resurrection from the dead, Jesus Christ our Lord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Ro 1:1–4.


2절) 이 복음은 선지자들을 통하여 성경에 미리 약속하신 것이다.
예수는 구약의 예언, 즉 다윗의 후손으로 영원히 다스릴 것이라는 메시야 예언의 성취이다.
- Jesus fulfilled the OT prophecy that a descendant of David would rule forever, and hence he is the Messiah (see 2 Sam. 7:12–16; Psalm 89; 132; Isa. 11:1–5; Jer. 23:5–6; Ezek. 34:23–24). The eternal Son of God assumed humanity to become the messianic King.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157.

본문 2절은 이후의 16:26절과 수미 쌍관을 이룬다. '선지자들을 통하여'

복음은 약속의 완성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창세기의 여자의 후손이 뱀의 후손을 깨뜨릴 것에 대한 것이나 오실 구원자를 예표하는 시편의 표현들, 예레미야가 말한 새 언약등이 그러하다. 구약은 지속적으로 이 성취의 때가 올 것을 말한다. 하나님께서 구약안에서 당신의 선지자들을 통해서 이를 약속하셨다. 이 선지자들은 하나님이 선택하셔서 그분의 메시지를 맡긴 사람들이다. 이후에 이 메시지를 기록하여 남기게 하셨고 선지자들을 통해 기록된 것이 바로 성경이다. 본문은 하나님께서 어떻게 사람들과 소통하시느냐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다. 성경은 하나님으로부터 기원한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뜻을 선지자들에게 알리셨고 그들은 이를 성취할 목적으로 하나님이 드러내시기를 원하는 바로 그 내용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 성경은 바로 거룩한 성경인 것이다.

- The gospel comes in fulfillment of a promise. In Genesis, God spoke of the heel of the woman’s offspring crushing the serpent (Gen 3:15). Messianic psalms portray the coming deliverer (Pss 45; 72). Jeremiah spoke of a new covenant (Jer 31:31–34). The Old Testament continually points beyond itself to a time of fulfillment, the age to come. God made his promise “through his prophets” in the Old Testament. He entrusted his message to men chosen to speak for him. Beyond that, he allowed his message to be written down. What the prophets wrote became “Holy Scriptures.” Here we have a brief summary of the method God chose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his people. Scripture originated with God. He used prophets to communicate his will, and they accomplished that purpose by writing down what God was pleased to reveal. The result was Scripture that is holy.5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60.

3절) 이 복음의 내용중에 아들에 관한 것으로는 그는 육신으로는 다윗의 혈통에서 나셨다. 본문의 육신이라는 표현은 '사륵스'로 인간됨의 상태를 표현하는 것이다. 이는 타락이후 인간됨을 상징하는 것으로 인간이 약하고 죄에 영향을 쉽게 받는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또한 이 단어는 하나님을 떠난 상태 혹은 하나님과 상반됨을 의미하기도 한다.
- regarding his Son. The Good News is a person: God’s Son. as to his earthly life. Could also be translated “according to the flesh.” Paul uses “flesh” (Greek sarx) to denote the state of being human, emphasizing the weakness and susceptibility to sin that typifies what it means to be human after the fall. The word sometimes has the sense of human existence apart from or even in contrast to God (e.g., 8:4–13), but at other times, as here, it refers simply to being human. descendant of David. Alludes to Jesus’ fulfilling the OT expectation of a “son of David,” a king or Messiah, who would liberate and rule God’s people (e.g., 2 Sam 7:13–16; Ps 2).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291.

무엇보다 복음의 핵심은 바로 아들, 하나님의 아들에 관한 것이다. 하나님의 아들이 바로 타락한 인간과의 회복을 위한 하나님의 방식인 것이다. 윤리나 신학 모두 이 그리스도의 사건에 종속된다. 하나님의 아들은 인간의 자손으로 역사의 장에 들어오셨다. 그분은 바로 다윗의 계보에 속했고 그의 인간 본성은 요셉과 마리아의 가족에 속함으로 비롯된 것이다. 그분은 진정한 인간이고 그분의 혈통은 다윗의 계보를 잇는다.
신학에서 예수님은 진정한 하나님이시며 동시에 인간이심을 가르친다. 본문의 3절은 예수님의 인성을, 4절은 예수님의 신정을 나타내고 있다. 무엇보다 죽은자들 가운데서 부활하신 사건은 그분의 신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 The gospel is “centered in God’s Son” (Goodspeed). In him are brought into focus all the hopes of God’s people in the Old Testament (v. 3). God’s Son is the Father’s “game plan” for the reconciliation   p 61  of lost humanity. Ethics and theology are all subordinate to the Christ event. God’s Son enters6 the scene of history by natural descent. He belonged to the lineage of David.7 His human nature resulted from genuine participation in the human family.8 He was truly man. His blood line may be traced back to David. The AV inserts the final clause from v. 4 at this point, “Concerning his Son Jesus Christ our Lord.” Translators apparently were anxious to assure readers that while Jesus as to his human nature came from David, he was at the same time “Jesus Christ our Lord.” The transposition of this clause from v. 4 is grammatically allowable but weakens its place of emphasis in the Greek text.
Theology teaches that Jesus was both God and man. Verse 3 declares his humanity; v. 4 proclaims his deity.9 Jesus was designated Son of God “by his resurrection from the dead.”10 It is the resurrection that sets him apart and authenticates his claim to deity.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60–61.

예수님의 주장은 너무나 터무니 없게 느껴진다. 그렇기에 감히 누구도 이러한 주장을 쉽게 할 수 없다. 그런데 그분은 참 인간이자 하나님이심으로 이러한 선포, 고백을 하실 수 있는 것이다.

루이스는 "만약에 어떤 사람이 예수님이 하신 것과 같은 종류의 말씀을 하셨다면 그는 위대한 도덕 선생도 될 수 없다. 그는 삶은 달걀로 부터 나왔다라는 정도의 주장을 하는 미치광이이거나 지옥의 악마일 것이다. 당신은 선택을 해야 한다. 이 사람이 하나님의 아들인지 아니면 미치광이 혹은 그것도다 더 악한 무엇인지 말이다."
C. S. Lewis wrote: “A man who was merely a man and said the sort of things Jesus said would not be a great moral teacher. He would either be a lunatic—on a level with the man who says he is a poached egg—or else he would be the Devil of Hell. You must make your choice. Either this man was, and is, the Son of God: or else a madman or something worse.”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61.


복음에 대한 정의(2-4절)
바울은 그가 선포하기위해서 보냄을 받은 바로 그 복음을 본문에서 3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첫번째, 성경에(구약에) 미리 약속하신 것이다. 로마서 전체를 통해서 그는 자신이 주장하는 진리를 구약에 근거하고 있다. 본문의 약속이라는 개념은 신약에 52번 사용되는데 그중에 22번 바울이 구원의 은총을 설명할때 사용한다. 아직 만나보지 못한 로마의 교인들에게 신뢰를 주기 위해서 바울은 자신의 메시지가 구약의 약속에 근거하고 있음을 힘주어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복음을 설명할때 통합적으로 강조할 수 있어야 한다.
두번째, 복음의 심장은 바로 하나님의 아들이 다윗의 후손으로 오셨다는 것이다. 이는 그분의 선재와 그의 육체로 오심을 강조한다. 본문의 나셨고라는 표현은 '기노마이'라는 단어로 실재가 되심이라는 의미이다.
(γίνομαι.
In the NT we have this Ionic and Hellenistic form rather than γίγνομαι.1 Usually the term has no particular religious or theological interest in the NT. Only at Jn. 8:58 is there any special distinction between γίνεσθαι and εἶναι ( εἶναι, ὁ ὤν), though there is also an emphasis on that between death and eternal life, or between perishing and abiding. The formulation of faith and of the knowledge of God is not abstract and speculative; even Hb. 11:3 speaks of βλεπόμενον rather than γενόμενον.

Friedrich Büchsel, “Γίνομαι, Γένεσις, Γένος, Γένημα, Ἀπογίνομαι, Παλιγγενεσία,” ed. Gerhard Kittel, Geoffrey W. Bromiley, and Gerhard Friedrich,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Eerdmans, 1964–), 681–682.)

3-4절의 내용은 초대 신조의 내용에 기인한다.

세번째, 그 복음은 예수가 하나님의 신성한 아들이라는 하나님의 지정에 집중한다.
- Defining the Gospel (1:2–4)  Paul now describes the gospel he has been sent to proclaim, noting three characteristics. First, he tells us it was promised beforehand in the Old Testament. Throughout Romans, Paul will be anchoring his theological points in Old Testament truth. This statement in verse 2 establishes the promise-fulfillment pattern that will dominate his use of the Old Testament. The verb is made up of two parts, promise and before, with the latter drawing out the main aspect of the promise, that it was given ahead of time through the prophets. The idea of promise is frequent in the New Testament (especially in the writings of Paul, who employs it twenty-two of the fifty-two times it is used in the New Testament) to describe the blessings of salvation (e.g., Gal 3:22; 2 Cor 7:1; Heb 4:1; 10:23). Cranfield (1975:56–57, from Barth [1959:12–13]) points out how this idea dominates the letter. Anchoring these truths in the previous revelation by God in the Old Testament gives Paul’s message special credence, providing a perfect introduction for an apostle the church had not yet met. The prophets here are undoubtedly not just those of the latter part of the Old Testament but would also include Moses (Acts 3:22) and David (Acts 2:30). It is important for us to realize that the Bible as a whole, and not just the New Testament, forms the gospel.
Second, the heart of the gospel is the Son of God as descended from David. Actually, there are two points in verse 3: his preexistence and his earthly existence. His preexistence is seen in that the Son “came into being” (genomenou—niv, was) as a human. His earthly existence shows his royal messianic status. This is part of a movement from descendant of David (v. 3)* to Son of God (v. 4)*. In fact, many believe that verses 3–4* stem from an earlier creedal statement. Yet the Davidic status of Jesus’ messiahship is also important (cf. also Rom 15:7–9). The idea goes back to 2 Samuel 7:12–16, where David was promised an eternal throne. This led to the idea of a Davidic Messiah who would deliver the nation (Ps 89:3–4; Is 11:1; Jer 23:5–6; Ezek 34:23–24), an idea recognized both in Judaism (Psalms of Solomon 17–18; Qumran: 1QM 11:1–8; 4QFlor 1:11–14) and in the early church (Mt 1:1–16; Mk 10:47; 12:35–37; Jn 7:42; 2 Tim 2:8). Jesus then is the royal Messiah who has come to assume his throne.
Third, the gospel centers on God’s designation (better than niv’s declared) of Jesus as his divine Son. The verb is similar in meaning to other terms signifying “appoint” or “assign” (Louw and Nida 1988:483). This has led some to an adoptionistic theology, claiming that Jesus was not the Son until “adopted” at his baptism or (here) at his resurrection. But that would be an overly literal interpretation of Paul here, and this merely says that at his resurrection God designated him Son. Jesus is also designated Son at his baptism (Mk 1:11 and parallels), and sonship defines his entire earthly existence. Moreover, I have already commented on his preexistence as Son in verse 3, so this simply means God has shown him to be Son in a new way at his resurrection. Schreiner (1998:42) notes that his Son in verse 3 refers to Jesus’ “messianic kingship as the descendent of David,” while in verse 4 Son of God refers to his enthronement as messianic King and Lord of all. It is better to take in power with the noun rather than the verb (contra niv’s declared with power), meaning Christ has been designated “Son-of-God-in-power” (so most recent commentaries). As Nygren points out (1949:51, in Stott 1994:50), “So the resurrection is the turning point in the existence of the Son of God. Before that he was the Son of God in weakness and lowliness. Through the resurrection he becomes the Son of God in power” (italics his). His sonship is now defined in terms of cosmic Lord with authority over heaven and earth (Mt 28:19). So the idea of power is important to the message, and it prepares for verse 5, where the gospel to the Gentiles is inaugurated by the “Son-of-God-in-power.” It is also connected with the later statement that the gospel is “the power of God for salvation” (1:16).

Grant R. Osborne, Romans,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4), 29–31.

 

 3-4절의 내용이 그리스도의 두 본성을 단순히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존재에서 두 단계를 묘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문에 중요한 두 대조가 등장하는데 그것은 육신으로는(사륵스)라는 단어와 성결의 영이라는 단어입니다. 바울의 육체와 성령의 대조는 그의 신학의 근본이며 모라서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합니다. 이 본문의 핵심은 바로 이러한 대조가 바울이 말하는 역사적 구원이라는 것입니다. 육체는 지나가고 오래된 시대를 나타내고 성령은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에 의해서 시작된 새 시대로 강력한 하나님의 성령의 역사로 기록된 새 시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 To put it another way, verses 3–4 do not depict two natures of Christ, but two stages in his existence. This is confirmed by one more key contrast in the verses. The word translated in the niv “human nature” is sarx (lit., flesh). “Spirit of holiness” is properly capitalized in the niv (though see niv note) to indicate a reference to the Holy Spirit. The flesh/Spirit contrast in Paul is fundamental to his theology and will appear constantly in Romans. What is key to this text is that the contrast is usually a salvation-historical one in Paul. “Flesh” represents the old era that is passing away; “Spirit” denotes the new era inaugurated by Christ’s work of redemption and marked by a new, powerful work of God’s Spirit.3

Douglas J. Moo, Roman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2000), 37.


728x90
Greeting
Paul, aa servant1 of Christ Jesus, bcalled to be an apostle, cset apart for the gospel of God, which dhe promised beforehand ethrough his prophets in the holy Scriptures, concerning his Son, fwho was descended from David2 gaccording to the flesh and hwas declared to be the Son of God iin pow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holiness by his resurrection from the dead, Jesus Christ our Lord, through whom jwe have received grace and kapostleship lto bring about the obedience of faith for the sake of his name mamong all the nations, including you who are ncalled to belong to Jesus Christ,
To all those in Rome who are loved by God and called to be saints:
oGrace to you and peace from God our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Ro 1:1–7.

본문의 서론 격인 1:1-17절에 복음에 대한 표현이 집중적으로 등장한다. 로마서에 11번 등장하는데 이 짧은 본문에 8번에 걸쳐서 이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
These opening and concluding statements have many similarities, not the least of which is the emphasis on the gospel. (Eight of the 11 occurrences in Romans of euangelion [“gospel”] and euangelizomai [“to evangelize”] are in these passages.)

Douglas J. Moo, The Epistle to the Roman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6), 39.

Paul introduces himself by stating his divine call (v. 1), the message that he has been called to proclaim (vv. 2–4), and the specific task with which he is occupied (vv. 5–6). Finally comes the address in v. 7a, followed by the usual Pauline salutation in v. 7b. The length and theological orientation of this prescript are due mainly to the fact that Paul was introducing himself to a church that he had neither founded nor visited. He wanted to establish his credentials as an apostle with a worldwide commission to proclaim the good news of Jesus Christ. Whether this elaborate prescript had a polemical motive (as, e.g., Murray thinks) is not clear.

Douglas J. Moo, The Epistle to the Roman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6), 40.

1절) 바울은 본 1절을 통해서 자신을 세가지로 규정하고 있다.
첫번째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라는 것이다.
두번째는 자신이 사도로 부르심을 받았다는 것이고
세번째는 하나님의 복음을 위해서 택정함을 입었다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의 여러 복음서를 통해서 자신이 그리스도의 종이며, 사도로 부르심을 받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이는 이 일의 주도권이 자신에게가 아니라 하나님께 있음을 선포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이 사도나 종이 되기를 원하지 않았다. 또한 복음을 위해 택정함을 입은 것도 마찬가지 이다.
하나님의 일군으로서 우리들도 이러한 인식을 가지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세상의 유명인들은 자신의 노력과 능력으로 성공한 것을 자랑하지만 우리들은 현재 우리에게 주어진 어떤 자리와 지위마저도 하나님의 결정과 인도하심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정직하게 인정해야 한다.
Paul1 began his letter by identifying himself in three different ways.2 First, he was a “servant of Christ Jesus.” He belonged without reserve to the one who confronted him on the Damascus road. Although cultured Greeks would never refer to themselves in such a demeaning fashion, the Old Testament designation “servant of the Lord” was a title of honor given to Moses and other prominent leaders (Josh 14:7;   p 60  24:29). Then Paul said that he was “called to be an apostle.” God initiated the process. Paul did not choose the role for himself. And even before he was called, he had been “set apart”3 to serve in the interests of the gospel of God.4 All three statements reflect the subordinate role the apostle played. Not for a moment did he elevate himself above his assigned position as a servant of God, set apart and called to serve in the interests of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Christians in leadership positions must recognize the servant nature of their roles in the work of the kingdom. What the world calls success has led many gifted leaders gradually to assume a celebrity posture. But with pride, the original sin, comes spiritual disaster. It would be well for Christian leaders to begin each day acknowledging before God that they are his servants. And even that role is a result of God’s decision to call them into service.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59–60.

당시 로마는 85-90%의 노예들로 운영되던 사회였다. 그래서 본문에서 이야기되는 종이라는 표현은 당시 사람들에게 매우 친숙한 표현이었다. 구약을 통해서는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종으로 표현되고 수많은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은 자신을 하나님의 종이라고 부르고 불리우는 것을 무엇보다 큰 영예로 여겼다. 이제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주요 하나님으로 여기며 이제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예수님의 메시야직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당시 종은 노예로 예속된 고됨을 나타내는 동시에 자신이 섬기는 주인의 지위에 따라서 도리어 자유로운 신분일 때보다 더 높은 자유를 누리기도 했다.
Paul typically begins with a statement of his office but here breaks the pattern by first emphasizing his Lord and Master, calling himself “a slave of Christ Jesus.” This should not be watered down to niv’s servant of Christ Jesus, for Paul is alluding to the fact of slavery in the Roman empire (it is estimated that 85 to 90 percent of the population of Rome and Italy were slaves or of slave origin; see Rupprecht 1993:881) as well as to the metaphor of slavery in the Old Testament. After the people of Israel were liberated from slavery in Egypt, it became common for them to call themselves “slaves of God” (Lev 25:55 [niv, “servants”) as a title of honor designating their new allegiance. Many of the leaders of Israel (Abraham, Moses, Joshua, David and Elijah) called themselves God’s slaves. Since Jesus has become both Lord and God, now Paul is the slave of Christ Jesus, with emphasis on the messianic office, i.e., Messiah Jesus. Paul is saying not only that he belongs to Christ but also that this is a privileged state. In the Roman world slaves were protected and even paid by their owner; they were members of the owner’s extended family and often had higher social status as slaves than they did after gaining their freedom. So Paul considers this a badge of honor, as should all believers.

바울은 자신을 사도로 칭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데 이는 사도란 칭호가 바로 하나님 부름과 선택에 의하여 교회의 설립과 지도자로서의 직분이기 때문이다. 이 사도는 처음에는 예수님께서 부르신 12명으로 시작되고 이후에 바나바, 야고보와 안드로니고와 유니아가 포함된다. 일반적인 조건은 주님과 함게 동역했고 부활하신 주님을 목격한 사람이다. 여기서 바울은 자신이 다메섹 도상에서 주님을 뵈었다고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Apostle is Paul’s more typical self-designation and has two basic meanings—a church representative or missionary (2 Cor 8:23; Phil 2:25), and one of those called or chosen by God to be founding agents and leaders of the churches. We know some of them, beginning with the Twelve (called apostles from the beginning, Mk 3:14) but probably including also Barnabas (Acts 14:4), James (1 Cor 15:7), and perhaps Andronicus and Junias (Rom 16:7). The normal criteria for that high office included walking with the Lord as well as seeing the risen Lord (Acts 1:21–22), but Paul was included on the basis of his having “seen” the Lord in the Damascus Road vision (1 Cor 9:1; 15:8). Paul was especially “chosen” to be God’s envoy to the Gentiles (Acts 9:15; 22:21), giving him authority (cf. Gal 1:1) that afforded this letter special weight as an official communication from God through Paul his chosen instrument.
바울이 택정함을 입었다는 표현은 구약의 예레미야를 떠오르게 한다. 로마서 전체에서 복음은 매우 중요한 주제인데 본문에서는 하나님의 복음이라고 표현되고 있다. 복음은 복음 자체로서의 메시지와 선포일 뿐만 아니라 하나님께서 당신의 아들을 희생제물로 보내셔서 이루신 구원을 이루신 사건을 의미한다.
Finally, he has been set apart for the gospel. This is a further definition of what it means to be called, specifying that Christ has chosen him to take the gospel to the Gentiles. In Galatians 1:15 Paul says that he was “set apart … from my mother’s womb,” an allusion to the call of Jeremiah (Jer 1:5), and this may be alluded to here as well. Moo (1996:42–43) says that gospel here refers not only to the gospel message and its proclamation but also to the very events by which the gospel came to be, God sending his Son as the sacrifice that produced salvation. Thus by Jesus Christ and God should be seen as indicating origin; that is, this gospel came from God. Lohse (1995:127–40) notes that the gospel of God frames the letter (1:1–17; 15:14–21), which especially centers on the proclamation of justification in Christ. The gospel is central to Paul’s purpose in writing this letter.

Grant R. Osborne, Romans,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4), 28–29.


'성경묵상 > 로마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롬 1:5-7 믿어 순종케 함  (0) 2018.01.24
롬 1:2-4 이 복음  (0) 2018.01.23
사도의 조건, 증표  (0) 2018.01.13
롬 1:2 미리 약속하신 복음  (0) 2018.01.11
로마서 서론  (0) 2018.01.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