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3 And jwe also thank God constantly4 for this, that when you received kthe word of God, which you heard from us, you accepted it lnot as the word of men5 but as what it really is, the word of God, mwhich is at work in you believers. 14 For you, brothers, nbecame imitators of othe churches of God in Christ Jesus that are in Judea. For pyou suffered the same things from your own countrymen qas they did from the Jews,6 15 rwho killed both the Lord Jesus and sthe prophets, and drove us out, and displease God and toppose all mankind 16 uby hindering us from speaking to the Gentiles that they might be saved—so as always vto fill up the measure of their sins. But wwrath has come upon them at last!7
j See ch. 1:2, 3
4 Or without ceasing
k [Rom. 10:17]
l [Gal. 4:14]; See Matt. 10:20
5 The Greek word anthropoi can refer to both men and women
m Heb. 4:12
n See ch. 1:6
o See 1 Cor. 7:17
p ch. 3:4; Acts 17:5; 2 Thess. 1:4, 5
q [Heb. 10:33, 34]
6 The Greek word Ioudaioi can refer to Jewish religious leaders, and others under their influence, who opposed the Christian faith in that time
r See Luke 24:20
s Jer. 2:30; Matt. 23:29–34; See Matt. 5:12
t [Esth. 3:8]
u Acts 13:45, 50; 14:2, 19; 17:5, 13; 18:12; 22:21, 22
v See Gen. 15:16
w See ch. 1:10
7 Or completely, or forever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2:13–16.
 
13 ◎이러므로 우리가 하나님께 끊임없이 감사함은 너희가 우리에게 들은 바 하나님의 말씀을 받을 때에 사람의 말로 받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음이니 진실로 그러하도다 이 말씀이 또한 너희 믿는 자 가운데에서 역사하느니라
14 형제들아 너희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유대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들을 본받은 자 되었으니 그들이 유대인들에게 고난을 받음과 같이 너희도 너희 동족에게서 동일한 고난을 받았느니라
15 유대인은 주 예수와 선지자들을 죽이고 우리를 쫓아내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아니하고 모든 사람에게 대적이 되어
16 우리가 이방인에게 말하여 구원받게 함을 그들이 금하여 자기 죄를 항상 채우매 노하심이 끝까지 그들에게 임하였느니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2:13–16.
 
 
13-16절은 앞선 1-12절에서 언급한대로 바울의 데살로니가 전도 사역에 대한 회상이다. 
13-16절) 바울은 계속해서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택함을 받았다는 것에 대한 확신(4절)을 강조한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신뢰함으로 받았고(13절) 유대에 있는 자신들의 모교회와 같이 핍박을 받았다(14절). 또한 바울은 최근에 자신을 데살로니가에서 쫓아낸 이들, 선지자들과 예수님에 대적하는 배교자 유대인들을 비난한다(15-16절). 
 
13절) 바울과 그 일행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받을 때 사람의 말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음으로 인해서 끊임없이, 쉬지 않고(아디알레입토스) 감사했다. 
그렇게 끊임없이 감사한 이유는 바로 하나님의 사역자들로부터 선포되고 가르쳐진 이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았기 때문이다. 말씀을 전하고 가르치는 사역자들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일은 너무나도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일이다. 자신이 전하는 이 말씀을 자신의 것으로 주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말씀을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았다는 것이다. 
본절에서 받다라는 헬라어는 두가지가 사용된다. 먼저 사용된 ‘파랄라본테스’는 ‘파랄람바노’의 부정과거분사이고 두번째 사용된 ‘에덱사스데’는 ‘데코마이’ 부정과거 직설법 중간태 동사이다. 전자는 객관적이고 외부적인 받아들임을, 후자는 환영과 찬동을 수반하는 주관적이고 내적인 영접을 뜻한다. 모리스는 전자는 귀있는 모든 사람들이 객관적으로 듣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며 후자는 그 말을 듣는 사람들이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것으로서 사람에 따라 그 반응이 다르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같은 말을 듣고서도 어떤 사람은 그 말을 무시해도 좋을 하찮은 것으로 받아들이는가하면 어떤 사람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 순종의 삶을 사는 것이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바울 일행의 입에서부터 나온 복음의 말씀을 성령의 감동하심에 따라 반드시 순종하고 지켜야할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영어 표현에서도 receive와 accept가 사용되었다. 이는 받다와 밭아들이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진실로 그러하도다’ 이는 ‘너희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사람의 말로 받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은 것처럼 하나님의 말씀은 참으로 하나님의 말씀이다’라는 의미이다,. 
 
‘너희 믿는 자’는 ‘사도들의 입에서 나온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는 너희들’이라는 의미이다. ‘역사하느니라’는 ‘에네르게이타이’인데 이는 ‘에니르게오’의 현재 직설법 동사인데 헬라어에서 직설법 현재형은 첫째, 진리나 격언 및 변함없는 진리를 나타내는 ‘격언적 현재’로 사용된다. 즉 증거되는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 믿는 자들에게는 언제 어디서나 그 말씀이 능력있게 역사한다는 것이다. 둘째, 헬라어 직설법은 과거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계속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지속적 현재’ 용법으로 쓰인다. 이는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영적인 삶에 그 역사가 바울이 말씀을 전하던 때 뿐만 아니라 본 서신을 쓰고 있는 현재에도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말씀은 능력이 있다. 능력있게 역사해서 믿는 자들을 새롭게 하고 살려낸다.(고전 1:18, 히 4:12, 겔 37:1-14).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은 그것을 그분의 말씀으로 받아들이는 자들의 영에 역사하여 자신의 죄악된 실체와 직면하게 하고 그로 인해 그 죄인된 생각과 본성을 변화시키고, 자기중심성을 극복하게 하여 그들 자신의 삶 전체를 하나님께 향하여 그분과 동행하도록 바꾸어 놓는다. 
2:13 not as the word of men but as … the word of God. Paul clearly claims an absolute divine authority for his words as an apostle, and contrasts his words with ordinary human words. His apostolic teaching really is the “word of God,” and should be received as from God himself. which is at work in you. The word of God is still active in the Thessalonian community (see 1 Cor. 1:18; Heb. 4:12).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7.
 
Paul thanks God because of the way in which his readers received the gospel. The participle παραλαβόντες is a technical term for receiving a tradition. For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Eucharist, the apostle says to the Corinthians, “I received (παρέλαβον) from the Lord what I also gave to you.” Similarly, in passages like 1 Cor. 15:3 and Gal. 1:12 Paul can speak of the gospel that he preached as something that he himself has received. He can also use it of the ethical instruction that his converts received from him (cf. 1 Thes. 4:1). Perhaps 1 Cor. 15:1 and Gal. 1:9 (cf. also Col. 2:6) are the closest parallels to 1 Thes. 2:13. In these texts Paul uses παραλαμβάνειν for the reception of the gospel that he preached. Wha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about each of these occurrences of the verb is the authoritative character of the message or instruction that is received, which it has because it is given by an authoritative source. This technical usage of the verb by Paul has parallels in both rabbinic tradition (see Davies, Paul and Rabbinic Judaism, 247–250) and Greek and Hellenistic usage (see G. Delling, TDNT IV, 11f.).
Paul recounts the Thessalonians’ reception of the gospel in the words παραλαβόντες λόγον ἀκοῆς παρʼ ἡμῶν τοῦ θεοῦ ἐδέξασθε (“receiving from us the message of God which was preached”). This is an awkward expression. It is not altogether clear what the governing noun of the genitive “of God” (θεοῦ) is, and ἀκοή may refer either to the act of hearing or to that which is heard. The most probable explanation for the striking position of “of God” is that it was an afterthought inserted into the sentence to avoid any doubt about the origin of the message that had been delivered to the Thessalonians. “From us” (παρʼ ἡμῶν) is ambiguous and could be construed as meaning that the message originated from Paul and his colleagues. The insertion of “of God” into the participial phrase is actually redundant. It makes the phrase preempt the thought of the clause as a whole and detracts from the force of the contrast that Paul seeks to make in v. 13c between a message originating with human beings and the message of Paul, which stemmed from God. ἀκοή probably refers to what was heard and therefore may be rendered by a term like “preaching” (cf. Rom. 10:16f.; Gal. 3:2, 5). The point of the participial phrase as it now stands is that the word of preaching received by the Thessalonians from Paul and his colleagues was a message of divine origin.
The main verb ἐδεξασθε (“you accepted”) is a synonym of παραλαβόντες but does not have the same connotation of the reception of an authoritative message. It is probably employed to emphasize the actual decision of the Thessalonians to accept the message that was declared to them. Paul points out that they accepted this message “not as a human message” (οὐ λόγον ἀνθρώπων), that is, as though it were merely a word spoken by fellow human beings, but “just as it truly is, the message of God” (καθώς ἐστιν ἀληθῶς λόγον θεοῦ); that is, they accepted it because they recognized the divine origin of the missionaries’ preaching. In effect, Paul makes the implicit claim here that his and his coworkers’ preaching was the very word of God. The distinction that he makes by the contrast (note the contrastive conjunction ἀλλα, “but”) is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the context of the following verse. It implies that the suffering experienced by the Thessalonians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message of the missionaries is in reality suffering on God’s account. What he says gives their suffering a profound meaning and is probably intended to enable them to endure it with confidence in God.
The word of God that they received was not a meaningless idea or a doctrine to be maintained; it was a source of power in the lives of those who believed (ὃς καὶ ἐνεργεῖται ἐν ὑμῖν τοῖς πιστεύουσιν). Paul does not specify here how the gospel is effective, but undoubtedly the Thessalonians would have understood it in terms of the way in which they experienced the work of the Spirit (cf. 1:5–6), both at the time of their conversion and later in the life of their community (cf. 5:19f.).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10–112.
 
14절) 앞서 6절에서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바울과 일행, 주를 본받은(미메타이) 자가 되었다는 칭찬이 주어진데 이어 본절에서 유대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들을 본받은 자 되었다는 칭찬이 주어지고 있다. 
데살로니가 교회의 모범, 모방의 대상이 된 유대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는 어떤 교회였냐하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유대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였다. 
유대에 있는 이라는 표현은 팔레스틴 지역 전부를 지칭하는 의미이며 교회들, ‘엑클레시온’이라는 복수형의 표현은 당시 유대의 교회가 예루살렘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팔레스틴 여러지역에 널리 분포해 있었던 것을 말해준다(디아스포라). 
With the expression τῶν ἐκκλησιῶν τοῦ θεοῦ τῶν οὐσῶν ἐν τῇ Ἰουδαίᾳ ἐν Χριστῷ Ἰησοῦ (“the churches of God which are in Judea in Jesus Christ”) Paul probably refers to the various local Christian communities not merely in the geographic area of Judea, but in what we would call Palestine, a term embracing Judea, Samaria, and Galilee. For Greek speakers ἐκκλησία required delimiting since it was not a technical term for the Christian religious assembly (see the comments on 1:1). Elsewhere Paul normally defines the Christian assemblies as those belonging to God (cf. 1 Cor. 10:32; 11:16, 22; 2 Cor. 1:1; Gal. 1:22). In the case of Judea this delimitation was not sufficient since the same might be said by Jews of their local synagogue, and therefore he defines these “churches” as those “in Christ Jesus” to make clear that it was the various local Christian communities in Palestine to which he was referring.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12.
 
유대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들은 유대인들에게 고난을 받았다. 마찬가지로 형제들고, 데살로니가 교회들도 동일한 고난을 받았다. 
사도바울도 다메섹에서 주님을 만나기 전까지 극심하게 교회를 박해하던 자였다(행 9:1-2, 갈 1:13) 헤롯이 사도 야고보를 칼로 죽일 때 유대인들은 심히 기뻐하였으며(행 12:3) 사도 바울이 제3차 전도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에 갔을 때에 유대인들은 교회를 심히 핍박하였다(행 21:27-36; 23:12) 
 
2:14 Genuine offspring bear the traits of their parents. The Judean churches were the first, indisputably authentic churches, and the mother churches of all those planted by Paul. They established a standard by which all other churches might measure themselves. Like them, the Thessalonian Christians suffered persecution for Jesus. your own countrymen. The Thessalonians’ Gentile compatriots were stirred up against them by Jewish opponents of the gospel (Acts 17:5–10). Jews. Paul so loved his fellow Jews that he would almost be willing to be eternally damned if it would mean that they would come to faith (Rom. 9:1–3), but here he points out that in their hard-heartedness they consistently reject God’s Word (see Matt. 23:29–3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7.
 
15-16절은 하나님의 뜻을 저버린 유대인들이 행한 구체적인 악행을 지적하고 그로 인해서 하나님의 진노가 그들에게 임하게 될 것을 경고한다. 
15절) 유대인의 악행은 4가지로 표현된다. ‘죽이고, 쫓아내고, 기쁘시게 하지 아니하고, 대적이 되어'
 ‘유대인은 주 예수와 선지자들을 죽이고’ 원문에서는 한글 번역과 다르게 ‘주’와 ‘예수’ 이 두 단어 사이에 ‘죽이고’라는 단어 ‘아폭테이난톤’가 위치해 있다. 이는 주와 예수를 각각 강조하는 용법이다. 즉 유대인들은 하늘에서 오신 주님을 죽였으며 또한 육체로 오신 인간 예수를 죽였음을 강조한 것이다. 
‘선지자들’이라는 표현은 ‘투스 프로페타스’로, 다른 사본에는 ‘투스 이디우스 프로페타스’로 되어 있는데 이는 ‘자기 자신들의 선지자들’이라는 의미로 단순한 ‘투스 프로페타스’보다 강조된 표현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때마다 보내셨던 그들의 선지자였다.(마 23:37) 왕상 19:10-14에 유대인들이 선지자들을 직접 죽였다는 언급이 있다. 구전에 의하면 이사야 선지자는 므낫세 왕의 통치하에 톱으로 켜서 두 조각 나 죽었으며, 예레미야 선지자는 애굽에 함께 내려갔던 동료 유대인들에 의해 돌에 맞아죽었다고 한다. 이처럼 하나님의 선지자들을 죽이는 행위는 하나님의 대리자를 대적하는 것으로 하나님의 다스림에 대적하는 극악한 행위이다. 이로 인해 하나님의 뜻으로부터 점점 멀어져서 마침내 그분이 보내신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까지 알아보지 못하고 십자가에 못박아 죽였던 것이다. 
To begin with, Paul accuses the Jews of being responsible for the death of “the Lord Jesus and the prophets.” The participial construction τῶν καὶ τὸν κύριον ἀποκτεινάντων Ἰησοῦν καὶ τοὺς προφήτας, like those that follow (as well as the one adjectival phrase), is best rendered in English as a relative clause: “who killed.…” The charge that the Jewish people were responsible for the death of the prophets is certainly not novel in the NT (cf. Mt. 23:29–37 par. Lk. 11:47–51 and 13:34; Acts 7:52) nor in Jewish literature from the period (cf. Mart. Is. 5:1–14). In fact the charge goes back to the OT itself, as 1 Ki. 19:10–14, a passage quoted by Paul in Rom. 11:3, shows (cf. 2 Ch. 36:15f.). The polemical accusation that the Jews were responsible for the death of Jesus is characteristic of the Gospel of John (cf. Jn. 5:18; 7:1; 8:59; 11:45–53; 18:14, 31) and is implied by Acts (cf. Acts 2:36; 3:13), but is nowhere else leveled by Paul, unless Rom. 11:11f. contains an allusion to it (see Cranfield, Romans II, 556). This indictment implies that Paul saw a continuity in the pattern of Jewish rejection of God’s agents from OT times to his own.
Mart. Is. Martyrdom of Isaiah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14–115.
 
패역한 유대인들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사도로 세우셔서 복음을 전하게 하신 바울과 그 일행들까지 핍박하였다. 본문의 ‘쫓아내고’는 ‘엑디오코’의 부정과거 능동태 분사로 ‘밖으로’라는 ‘에크’와 ‘몰아내다’란 ‘디오코’의 합성어로 극심하게 핍박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다.(눅 11:49). 실제로 유대인들은 바울의 일행을 여러번 핍박하였다.(행 17:5-9; 14:5, 19; 17:13; 18:6)
 
‘하나님을 기쁘시게 아니하고’는 현재형이다. 상반절은 부정 과거 시제인데 이러한 시제의 변경은 유대인들이 주의 사자들을 죽이고 핍박할 때에만 하나님을 기쁘시게 아니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삶에서 지속적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헬라어에서 현재형은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일을 나타낸다. 
 
‘모든 사람에게 대적이 되어’에서 ‘대적이 되어’로 번역된 ‘에난티오스’는 본래 맏은 편에 마주해 있는 것을 가리키는 단어이다.(막 15:39) 특히 바람이 배가 진행하는 반대 방향에서 불어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대적이 된다는 것은 누군가가 일을 하고자 할 때 정면에서 달려들어 적극적으로 방해한다는 이미지를 전달한다. 유대인들은 강한 선민의식 속에서 자신들만이 하나님의 선민으로 구원받을 자격이 있으며 다른 모든 민족, 이방인들은 하나님의 구원의 죽복에서 제외되었다는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사상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요나서에서 잘 드러난다. 이로 인해 이방인들도 구원하시기 원하신다라는 가르침을 전하는 사도들을 극렬히 대적하고 핍박하였던 것이다. 이는 유대인을 포함한 이방인, 모든 백성을 구원하시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는 어리석은 행위였다. 
 
16절) ‘우리가 이방인에게 말하여 구원받게함을 그들이 금하여’, 본문에서 '구원받게 함을’로 번역된 ‘히나 소도신’은 목적의 의미를 나타내는 ‘히나 가정법 구문’으로 ‘구원받도록’이라는 의미인데, ‘소도신’은 ‘소조’의 부정과거 신적 수동태로 그 구원이 하나님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나타낸다. 구원은 말씀의 선포로 이루어지는데 복음을 전하는 이들의 선포로 하나님의 구원이 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행위를 금하는 것은 바로 하나님을 거스르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But for Paul, unlike Gentile polemicists, the Jews’ ultimate antagonism toward non-Jews had to do with their hindering of his mission to the Gentiles whom he sought to lead to salvation. The participial phrase κωλυόντων ἡμᾶς τοῖς ἔθνεσιν λαλῆσαι ἵνα σωθῶσιν (“hindering our speaking to the Gentiles …”) is parallel to the four preceding phrases, but is nonetheless intended to explain the last one, the adjectival phrase at the end of v. 15, since it is not joined with a coordinating conjunction to what precedes. Acts has numerous references to Jews hindering of the Pauline mission to the Gentiles (cf. 13:45–50; 14:2, 19; 17:5–9, 13; 18:12), and such activity probably forms the background to 2 Cor. 11:24, where Paul speaks of the numerous beatings he had received at the hands of the Jews. The ἵνα clause in 1 Thes. 2:16a may well express both the purpose and the result of Jewish attempts to prevent Paul from speaking the gospel to Gentiles (Best, 118). Here, as frequently in Paul, the verb σῴζειν denotes the goal of the redemptive process without specifying its content. The image, however, calls to mind the two sides of redemption, namely “being saved from” divine wrath (cf. 1:10; Rom. 5:9) and “being saved to” the future life of glory (cf. 2:12; Rom. 8:18–24).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15–116.
 
‘그들이 금하여’에 해당하는 ‘콜뤼온톤’은 ‘막다, 방해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콜뤼오’의 현재 능동태 분사로 어떤 일을 적극적으로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사도행전 17:5
5그러나 유대인들은 시기하여 저자의 어떤 불량한 사람들을 데리고 떼를 지어 성을 소동하게 하여 야손의 집에 침입하여 그들을 백성에게 끌어내려고 찾았으나
아마도 행 17:5의 사건을 염두에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방해한다고 복음이 막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들이 방해하면 방해할 수록 사도들의 복음 전도에 대한 열정은 강해졌고 복음은 더욱 확장되었다. 
 
‘자기 죄를 항상 채우매’, 전치사 ‘에이스’는 보통 목적과 결과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목적의 의미로 보면 ‘자기들의 죄를 항상 채우려고’, 결과의 의미로 보면 ‘그리하여 자기들의 죄를 항상 채워서’란 의미가 된다. 전자의 입장을 취하면 유대인들이 죄의 분량을 채우기 위해의도적으로 사도들을 핍박했다는 것이고 후자의 입장을 취하면 사도들을 핍박한 결과 자기들도 모르게 정해진 죄의 분량을 채워가고 있었다는 의미이다. 본문에서 ‘항상’으로 번역된 ‘판토테’는 모든 행위에 있어서 그러하다는 의미도 있으나 더욱 직접적으로는 계속적으로 죄를 채우는 일을 행한다는 의미로 쓰였다. 
여기에서 ‘죄’에 해당하는 ‘하마르티아스’는 복수형으로 개별적인 죄들을 하나하나 일컫는 것이다. 또한 ‘채우매’로 번역된 ‘아나플레로사이’의 원형 ‘아나플레로오’는 ‘위에, 위를 향하여’라는 뜻의 전치사 ‘아나’와 ‘가득 채우다, 충만하다’는 의미의 ‘플레로오’라는 동사의 합성어로 이미 정해진 분량까지 가득 채웠다 또는 그릇이 넘칠 정도로 가득 찼다는 의미이다. 유대인들은 마치 자기들에게 할당된 죄의 분량을 채우기 위해서 경쟁하듯 죄를 행하는 일에 몰두하는 자들이었다.(마 23:32)
 
‘노하심이 끝가지 그들에게 임하였느니라’, 죄가 더이상 차오을 수 없는 지점까지 차게 되면 하나님의 심판이 진행된다. ‘임하였느니라’로 번역된 ‘에프다센’은 ‘도달하다, 임하다’는 의미를 지닌 ‘프다노’의 부정 과거이다. 부정 과거는 과거 어느 시점에 발생한 사건을 의미하기도 하고 너무나도 확실하게 이루어질 미래의 일을 강조할 때도 쓰인다. 이러한 예언은 역사적으로 AD 70년 예루살렘 함락 때에 일차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장차 예수님의 재림의 때에 완전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끝까지’는 ‘에이스 텔로스’인데 ‘텔로스’는 '끝, 마지막, 종결, 한계, 목표’라는 의미인데 여기서는 ‘마침내, 완전히, 결국’이라는 복합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즉 하나님의 진노가 유대인들에게 조금도 실수함이 없이, 완전하게, 결국 임하게 된다는 것이다. 
The final clause of v. 16 has been the greatest source of difficulty in interpreting these two verses. What “wrath” has “come upon” the Jews (note the aorist form of ἔφθασεν), and how should εἰς τέλος be understood? We may note first that in the context of the letter ὀργή with the definite article refers back to the eschatological wrath, mentioned in 1:10, that Paul associates with divine judgment (cf. 5:9).
Scholars like Pearson (“1 Thessalonians 2:13–16,” 81–84) who take 2:13–16 to be an interpolation maintain that v. 16c is a reference to the fall of Jerusalem because they insist on a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aorist verb ἔφθασεν. Alternative views have been suggested that allow for a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aorist but do not associate it with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For example, Bammel (“Judenverfolgung,” 300f.) connects this text with the expulsion of the Jews from Rome by Claudius, while Jewett (“Agitators,” 205 n.5) favors a massacre in Jerusalem in AD 49 that may have resulted from the violence of Jewish nationalists according to a report by Josephus (War 2.224–227; for other possibilities see Best, 119f.)
The apocalyptic character of the statement, however, warns against insisting that an actual event lies behind the verb. As J. J. Collins (Apocalyptic Imagination, 214) has noted, apocalyptic language is not “descriptive, referential newspaper language, but the expressive language of poetry, which uses symbols and imagery to articulate a sense or feeling about the world.” Best (120) and Marshall (80f.) may be correct in taking the verb to mean that divine wrath had in Paul’s view “drawn near” to the Jews, so near that it was inevitably about to manifest itself (cf. the use of the aorist form ἔφθασεν in Mt. 12:28 par. Lk. 11:20) when the measure of their sins was completely filled up (v. 16b). It may be, however, that Paul had given his readers the keys with which to interpret the eschatological events that were unfolding. Thus what is enigmatic for us may have been clearly understood by the original readers of the letter.
Regardless of this, what Paul may be expressing here is a belief that because of the “filling up of the measure of their sins” God’s eschatological wrath has overtaken the unbelieving and disobedient Jews in that they have been hardened by God and no longer experience God’s grace. That they had not believed the gospel would have been proof enough of this for Paul.
Εἰς τέλος may be interpreted in several different ways. Best (121) correctly recognizes that the parallel between v. 16c and v. 16b, with its temporal use of πάντοτε, requires a temporal sense for εἰς τέλος. This tends to exclude the possible sense of “completely, totally” (German gänzlich), which Holtz (110) prefers. Best translates εἰς τέλος as “in the end, finally,” though he acknowledges that the sense “forever,” found on a number of occasions in the Septuagint (Pss. 76:8; 78:5; 102:9 LXX), is also possible. Both of these translations create problems in light of Rom. 11:25–32 and 1 Cor. 9:20 because they tend to absolutize the divine wrath coming upon unbelieving Jews into a final rejection (cf. Holtz, 109f.). For this reason it is better to interpret εἰς τέλος to mean that divine wrath will rest upon those unbelieving and disobedient Jews until the end of the age comes, when Christ will return (cf. the use of ἕως τέλους, “until the end,” in 1 Cor. 1:8 and 2 Cor. 1:13).
Unlike Romans 9–11, with its somewhat tortured explanation of how God is using the Gentiles to stir up the jealousy of Israel in order to bring about Israel’s salvation, 1 Thes. 2:16 does not say what will happen to disobedient Israel. As Davies (“Paul and the People of Israel,” 8f.) suggests, Paul probably had not formulated his final understanding about the position of Israel in the divine scheme when he wrote 1 Thessalonians. What was clear to him, however, was that the majority of the Jewish people had not accepted their own messiah and that they positively were hindering the spread of the gospel of God to non-Jews. This would account for the strong sense of frustration and antagonism found in 2:15f., without closing the door to the sort of further reflection found in Romans 9–11.
War The Jewish War (Bellum Judaicum) (Josephu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16–118.
 
살전 1장 2-3절의 감사는 디모데의 보고를 통해 들은 데살로니가 교회의 현재 상황에 대한 것이었는데 본문 13-14절의 감사는 바울이 데살로니가 전도 사역 당시를 회고하면서 과거 그들이 보인 진실했던 태도로 인해 드리는 것이다.  이어 15-16절에서 하나님의 복음에 대적한 유대인들에게 하나님의 진노가 임할 것임을 경고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