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onor widows dwho are truly widows. But if a widow has children or grandchildren, let them first learn eto show godliness to their own household and to make some return to their parents, for fthis is pleasing in the sight of God. She gwho is truly a widow, left all alone, has set her hope on God and hcontinues in supplications and prayers night and day, but ishe who is self-indulgent is jdead even while she lives. kCommand these things as well, so that they may be without reproach. But if anyone does not provide for his relatives, and especially for lmembers of his household, he has mdenied the faith and is worse than an unbeliever.
d ver. 5, 16
e Matt. 15:4–6; Mark 7:10–13; Eph. 6:1, 2; [Gen. 45:9–11]
f ch. 2:3
g ver. 3, 16
h [Luke 2:37; 18:1–5]
i James 5:5; [Ezek. 16:49]
j Rev. 3:1
k ch. 4:11; 6:2
l See Gal. 6:10
m Rev. 2:13; [2 Tim. 3:5; Titus 1:16; 2 Pet. 2:1; Rev. 3: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전 5:3–8.
 
3 참 과부인 과부를 존대하라
4 만일 어떤 과부에게 자녀나 손자들이 있거든 그들로 먼저 자기 집에서 효를 행하여 부모에게 보답하기를 배우게 하라 이것이 하나님 앞에 받으실 만한 것이니라
5 참 과부로서 외로운 자는 하나님께 소망을 두어 주야로 항상 간구와 기도를 하거니와
6 향락을 좋아하는 자는 살았으나 죽었느니라
7 네가 또한 이것을 명하여 그들로 책망 받을 것이 없게 하라
8 누구든지 자기 친족 특히 자기 가족을 돌보지 아니하면 믿음을 배반한 자요 불신자보다 더 악한 자니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전 5:3–8.
 
1-2절을 통해서 교회안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 목회자로서 어떤 태도와 자세를 보여야할지를 다룬후에 3-16절은 특히 과부를 대하는 바람직한 태도를 다룬다. 
 
3절) 참 과부인 과부를 존재하라, ‘참’으로 번역된 ‘온토스’는 ‘참으로, 실제로’라는 뜻을 지닌 형용사로 눅 23:47, 고전 14:25에 사용되었다. 
‘과부’로 번역된 ‘케라스’는 원형 ‘케라’의 복수형이다. 이는 남편이 죽은 여자를 의미하는데 본문에서 의미하는 ‘참 과부’는 ‘정말로 도움이 필요한 과부’를 의미한다. 이는 남편이 죽음으로 스스로 살아갈 만한 능력이 없거나 지참금이나 자신을 돌보아 줄 친척이 없는 궁핍한 과부를 의미하는 것이다. 행 6:1-6에서 볼 수 있듯이 초대교회시절 교회내의 빈곤 계층을 대표하는 집단이 바로 이런 과부들이었다. 
 
사도행전 6:1–6
1그 때에 제자가 더 많아졌는데 헬라파 유대인들이 자기의 과부들이 매일의 구제에 빠지므로 히브리파 사람을 원망하니
2열두 사도가 모든 제자를 불러 이르되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제쳐 놓고 접대를 일삼는 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니
3형제들아 너희 가운데서 성령과 지혜가 충만하여 칭찬 받는 사람 일곱을 택하라 우리가 이 일을 그들에게 맡기고
4우리는 오로지 기도하는 일과 말씀 사역에 힘쓰리라 하니
5온 무리가 이 말을 기뻐하여 믿음과 성령이 충만한 사람 스데반과 또 빌립과 브로고로와 니가노르와 디몬과 바메나와 유대교에 입교했던 안디옥 사람 니골라를 택하여
6사도들 앞에 세우니 사도들이 기도하고 그들에게 안수하니라
이처럼 초대교회시설 집사들이 선출된 이유가 바로 구제의 필요가 많이 있었고 이를 효과적으로 감당할 인물들을 세우기 위함이었다. 
 
사도들뿐만 아니라 예수님께서도 과부들에게 큰 관심을 보이셨다. 
마가복음 12:43–44
43예수께서 제자들을 불러다가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가난한 과부는 헌금함에 넣는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44그들은 다 그 풍족한 중에서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의 모든 소유 곧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
막 12:42-43에서 두 렙돈 곧 한 고드란트를 헌금한 가난한 과부, 눅 7:11-17에서 나인성 과부의 아들의 죽음, 눅 18:3-5 과부와 재판관의 비유
 
구약 신 10:18; 24:17; 시 68:5; 사 1:17에서도 구체적으로 과부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섬기는 하나님은 고아와 과부들, 소자들의 아버지이기 때문이다. 
 
‘존대하라’로 번역된 ‘티마’는 ‘경외를 표하다, 존경하다, 가격을 매기다라는 의미의 동사 ‘티마오’의 현재 명령령이다. 이는 ‘가치, 값, 지참금’이란 뜻을 지닌 명사 ‘티메’에서 파생되었다. 본절에서 바울이 과부를 존재하라고 언급한 것은 단지 존경과 존중을 표현하는 것 이상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과부들을 위한 실제적이고 경제적인 도움을 베풀라는 의미인 것이다. 이처럼 가난한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말뿐인 동정이 아니라 실제로 생계의 문제를 책임져주고 함께 나누는 구체적인 실천인 것이다. 이러한 과부를 돌보는 것이 교회의 마땅한 책임이라는 것이다. 
 
5:3 With the second person singular imperative “honor” (τίμα), it might appear that Paul is continuing to instruct only Timothy, as he has in vv. 1 and 2. A closer examination reveals that he is instructing the church through Timothy. This inclusive note is sounded with the plural verbs in vv. 4 and 7 (“let them learn,” “they may be above reproach”), with the repeated indefinite (“any”) of vv. 4, 8, and 16, and finally with the explicit reference to the church in the summarizing words of v. 16b. Furthermore, the key terms that begin and end the section are plural (“widows,” vv. 3, 16), which implies that others are in view. Paul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second person singular imperative in the fifth commandment (LXX τίμα in Ex. 20:12 and Dt. 5:16, as here) and may have assumed that its application to all God’s people would be as obvious here as it is in the Ten Commandments.
Paul’s charge to “honor widows” (χήρας τίμα) echoes the repeated concern for widows found in the OT (Ex. 22:22, 23; Dt. 10:18; 14:29; 24:17–21; 26:12, 13; 27:19; Jb. 24:3, 21; 31:16; Pss. 68:5; 94:6; 146:9; Pr. 15:25; Is. 1:17, 23; Je. 7:6; 22:3; Zc. 7:10; Mal. 3:5), which is reflected elsewhere in the NT (especially Acts 6:1–6; Jas. 1:27). χήρα has as its basic meaning a “woman left without a husband” (see the excellent article by G. Stählin, TDNT IX, 440–65). Paul specifies that he is using the term with the properly attendant and necessary connotations when he adds “who are widows indeed” (τὰς ὄντως χήρας; the phrase appears in the NT only in vv. 3, 5, and 16). He will indicate what he means by the phrase in v. 5.
Paul’s use of τιμάω here is surely influenced by its use in the fifth commandment. Moreover, the only other Pauline occurrence of the verb is a direct quotation of this commandment (Eph. 6:2), and use of the verb in the Synoptics most often reflects this commandment (6 of 10x: Mt. 15:4, 6; 19:19; Mk. 7:10; 10:19; Lk. 18:20). τιμάω means here not only “respect or revere” but “includes material provisions as well” (J. Schneider, TDNT VIII, 179; cf. also Jeremias). This is evidenced by several considerations: The duty to which children are called with reference to widows involves material provision, so that the church will not have to provide such aid (implied in v. 4, stated in v. 16). V. 16 encourages a woman to help any widows in her family so that the church will not be financially burdened and may help those without such help. The passage immediately following v. 16 uses the cognate noun (τιμή) for compensation (vv. 17, 18). Furthermore, the church already understood its responsibilities to widows in this way (Acts 6:1–6). Moreover, Jesus indicated that the injunction to honor parents included material help (cf. Mt. 15:5, 6).
τὰς ὄντως χήρας has been translated in various ways. “Who really are all alone” (TEV) is too restrictive (so Fee), “widows indeed” (NASB; cf. RSV: “real widows”) is an accurate translation, and the paraphrase “widows who are such in the full sense” (NEB) catches the point. ὄντως is not being used to deny that others are widows in the normal sense of the word, but rather to signify those who qualify for the church’s care. Paul will remind family members that they should care for their widows (vv. 4, 8, 16) so that the church can have the ability to care for ταῖς ὄντως χήραις (v. 16). His description in v. 5 will explain the phrase.
LXX Septuagint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15–216.
 
4절) 교회는 구제에 힘써야 한다. 하지만 제한된 자원을 정말 필요한 이들에게 먼저 효괴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우선순위를 세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렇기에 같은 과부라고 해도 그녀에게 자녀나 손자들이 있다면 그들로 하여금 자기 집에서 과부인 어머니를 모시도록 하는 것이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부양할 자녀나 손자들이 있다면 그녀는 참 과부가 아닌 것이다. 그래서 바울은 ‘먼저’라는 부사, ‘프로톤’을 사용한다. 이는 ‘시간적이거나 순서적인 면에서 다른 어떤 것보다 먼저’라는 뜻으로 만약 자녀나 손자들이 있는 과부인 경우에 교회가 그 과부를 돌보기 보다 자녀들로 하여금 효를 실천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자녀들이나 손자가 있는 과부들의 경우 가정의 효가 선행되어야 하는가? 이는 자식으로서 마땅한 도리이며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일뿐아니라 약속있는 첫 계명이기 때문이다. 바울을 이를 통해서 부모에게 보답하는 것을 배우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은 강조한다. ‘보답하기를’로 번역된 ‘아모이바스 아포디도나이’에서 ‘아모이바스’는 ‘보상, 보답’이라는 의미이다. ‘아포디도나이’는 ‘되돌려주다’라는 의미의 원형 ‘아포디도미’의 현재 부정사로 ‘계속해서 꾸준히 되돌려주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이는 이 보답의 행위가 단회적인 것이 되어서는 안되고 계속해서 꾸준히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자녀나 손자들이 있는 과부들이 일차적으로 자신의 집에서 그들의 따뜻한 봉양을 받아야 하는 것은 그 자녀들과 손자들로 하여금 부모에게 보답하는 것을 배우게 한다는 면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바울은 이보다 좀 더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를 여기서 언급하고 있다. 한글 개역 성경에서는 번역되지 않았지만 원문에서는 이 문장에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가르’가 포함되어 있어 이 점이 명확하게 드러나는데, 이를 직역하면 ‘왜냐하면 바로 이것이 하나님 앞에서 받으실 만한 것이기 때문이다’가 된다. 말하자면 효를 행하는 것은 하나님께 대한 신앙적인 태도와 결부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Guthrie). 십계명의 제5계명인 부모 공경의 명령은 자녀된 자가 마땅히 행해야 하는 계명이다. 하나님은 당신의 대리인의 자격으로 부모를 세우셨기 때문에, 부모를 공경하는 것은 곧 하나님을 공경하는 것과 같다. 그런 의미에서 경제력이 없는 과부를 자식이나 손자가 봉양 하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받으실 만한 것이다.
 
5절) 본절은 참 과부의 조건을 언급한다. 
1) 도와줄 사람이 없는 외로운 자
2) 오직 하나님께 소망을 두는 자
3) 주야로 항상 간구와 기도를 하는 자
‘외로운’으로 번역된 ‘메모노메네’는 ‘홀로’라는 의미의 ‘모노스’에서 파생된 동사 ‘모노오’의 완료 수동태로 직역하면 ‘홀로 남겨진’의 의미이다. 이는 남편이나 자녀 혹은 다른 친척이 없어 돌볼음 받지 못하는 상태의 과부를 말한다. 
 
‘하나님께 소망을 두는 자’에서 ‘소망을 두어’로 번역된 ‘엘피켄’은 ‘엘피조’의 완료 능동태로 ‘하나님께 계속해서 희망을 걸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비그리스도인 과부와의 결정적 차이이다. 
 
‘주야로 항상 간구와 기도를 하는 자’인데 ‘간구와 기도’로 번역된 ‘데에세신’과 ‘프로슈케이스’ 앞에 정관사 ‘타이스’가 동반된다. 이는 이 간구와 기도가 바로 그녀 자신들의 것임을 분명히 해준다. ‘항상 한다’로 번역된 ‘프로스메네이’는 이것이 일상적으로 몸에 밴 태도임을 상기시켜 준다. 본절의 내용을 가장 잘 보여준 이는 과부로 메시야를 기다리며 성전에서 주야로 금식하며 기도하였던 여 선지자 안나(눅 2:36-38)을 들 수 있다. 
누가복음 2:36–38
36또 아셀 지파 바누엘의 딸 안나라 하는 선지자가 있어 나이가 매우 많았더라 그가 결혼한 후 일곱 해 동안 남편과 함께 살다가
37과부가 되고 팔십사 세가 되었더라 이 사람이 성전을 떠나지 아니하고 주야로 금식하며 기도함으로 섬기더니
38마침 이 때에 나아와서 하나님께 감사하고 예루살렘의 속량을 바라는 모든 사람에게 그에 대하여 말하니라
 
6절) 한글 성경에는 번역되지 않았지만 원문에는 ‘그러나’를 의미하는 ‘데’라는 접속사가 기록되어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참 과부와 대조되는 인물들을 말하는 것으로 이들은 ‘향락을 좋아하는 자’들이다. ‘향락을 좋아하는’으로 번역된 ‘스파탈로사’는 본래 ‘방탕하게 살다’라는 의미의 ‘스파탈라오’의 현재 분사형으로 마치 소돔의 딸들 처럼(겔 16:49) 사치스럽고 방탕하게(약 5:5)사는 과부들에게 적용되었다. 이 표현은 지나친 행동과 신체적 욕구에 무절제한 탐닉을 나타내는 의미인데 바울 당시 안정적인 직업을 갖지 못했던 과부들이 생계를 위해 부도덕한 매춘 행위를 자행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렇게 육체적 쾌락에 탐닉하는 태도는 그녀들이 잠시 누렸던 영적인 기쁨이나 환희를 망각하게 하고 육체적으로는 살아있지만 영적으로는 하나님의 생명에서 떠난 죽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5:6 In contrast (δέ) with the “widow indeed” (ὄντως χήρα), another widow is described. Two things are said about her: (a) what she lives for, and (b) what her spiritual condition is. σπαταλάω** (also in Jas. 5:5 [see Hort’s special note ad loc. in his James]; in the LXX see Ezk. 16:49; Sir. 21:15) means “give oneself to pleasure, live for pleasure,” “live luxuriously or voluptuously,” “live in indulgence.” The specifics of this hedonistic and sinful life-style are not named. Whether it involved sexual sin cannot be said for certain, though this would be a temptation for a widow and a way to provide for financial needs. The contrast with the godly widow is striking: The godly widow trusts in God and seeks first his kingdom; this widow lives only for herself. Although this widow would likely think that she is really “living it up” and that the godly widow’s life is really “dead,” Paul’s verdict is just the opposite. While being physically alive (ζῶσα; cf. 2 Tim. 4:1), she is as a matter of fact already spiritually dead (τέθνηκεν, perfect tense: “have died, be dead”; cf. Mk. 4:19; Mt. 13:22). The implication is that the selfindulgent widow is not a “widow indeed” (ὄντως χήρα), one who should be honored and cared for by the church.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LXX Septuagint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19–220.
 
7절) 바울은 디모데에게 '이것을 명하여’라고 하는데 여기서 ‘이것을’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는 앞서 3-6절의 내용으로 참 과부를 보살필 것에 대한 당부를 의미한다. 디모데는 참 과부들을 존재해야 하고, 만일 과부에게 자녀나 손자가 있다면 그들에게 일차적으로 보살필 의무가 있음을 알려주어야 했으며, 또한 참 과부를 구별하여 그들로 하여금 육체적인 향락을 일삼지 않고 영적인 것을 추구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하는 것이다. 
원문에는 ‘히나’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목적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그들로 하여금 책망받을 것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라고 번역할 수 있다. 
‘책망 받을 것이 없게’라는 표현은 ‘아네필렘프토이’로 앞서 3:2에서 감독의 자격에서 언급한 바가 있다. ‘책망할 것이 없다’로 번역된 ‘아네필렘프톤’은 부정의 의미를 지닌 ‘아’와 ‘붙잡히다’라는 의미의 동사 ‘에필람바노’의 합성어로 ‘붙잡히지 않는’이란 뜻이다.
디모데전서 3:2
2그러므로 감독은 책망할 것이 없으며 한 아내의 남편이 되며 절제하며 신중하며 단정하며 나그네를 대접하며 가르치기를 잘하며
디모데전서 5:7
7네가 또한 이것을 명하여 그들로 책망 받을 것이 없게 하라
디모데전서 6:14
14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실 때까지 흠도 없고 책망 받을 것도 없이 이 명령을 지키라
이는 전혀 흠이나 잘못이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행동에 있어서 눈에 띄게 흠 잡을 것이 없는이라는 의미이다. 
 
8절) 바울은 앞서 4절에서 자녀나 손자들로 하여금 과부된 이들을 돌볼 것을 이야기했다. 8절에서는 이를 행하지 않는 이들을 향한 언급이다. 
‘자기 친족’으로 번역된 ‘이디온’의 원형 ‘이디오스’는 ‘자기 자신의’란 뜻으로 자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자를 지칭한다. 직계 가족만 인지 방계(사촌 숙모, 숙부) 가족을 포함하는 지는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본문 속에서 ‘자기 가족’은 직계로, '자기 친족’은 방계 혈족으로 볼 수 있다. ‘자기 가족’으로 번역된 ‘오이케이온’의 원형 ‘오이케이오스’는 ‘집’을 의미하는 ‘오이코스’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결국 바울은 직계가족은 물로 친족도 돌보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돌아보지’로 번역된 ‘프로노에이’는 ‘~전에, ~앞에’란 전치사 ‘프로’와 ‘알다, 주의를 기울이다’라는 의미의 동사 ‘노이에오’의 합성어로 ‘돌보다, 공급하다’라는 의미이다. 여기서는 계속과 반복을 나타내는 현재형으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돌보아 주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자신의 친족이나 직계 가족을 ㄷ로보지 않는 자에 대한 바울의 입장은 '믿음을 배반한 자요 불신자보다 더 악한 자’라고 말한다. 
‘배반한 자요’로 번역된 ‘에르네타이’는 ‘거절하다, 부인하다, 배반하다’라는 동사 ‘아르네오마이’의 완료형으로 말로만이 아니라 적극적인 행동의 결여로 자신의 신앙 고백이 허위임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만약 자신이 그리스도인이라고 고백했으나 자신의 가족을 돌보지 않는다면 결국 태만의 죄로 스스로의 믿음을 부인, 배반하는 것이다,
‘불신자’로 번역된 ‘아피스투’의 원형 ‘아피스토스’는 ‘믿음없는, 신실하지 않은’의 의미이다. 이는 ‘아’라는 부정접두어와 ‘신실한, 충성된’을 의미하는 ‘피스토스’의 합성어이다. 
당시 예수를 십자가에 못받은 로마의 법에도 과부들에 대한 책임이 명시되어 있다. 하물며 하나님나라의 백성으로 예수의 사랑의 법을 배우고 누리는 믿음을 가진 이들이 믿지 않는 이들도 행하는 것을 행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더 악한 자들인 것이다. 
 
5:8 Here Paul expresses the terrible implications of not caring for one’s own: It amounts to a denial of Christianity and an action and attitude worse than that of an unbeliever. δέ joins this verse to the preceding either as “a simple connective … without contrast” so that “it cannot be translated at all” (BAGD; so RSV and NIV) or as a contrast rendered with the word “but” (NASB, NEB, TEV). If the latter, then the contrast is between being irreproachable by caring for one’s own, or being a faith-denier and worse than an unbeliever by not caring for one’s own. The εἰ δέ τις construction states the matter as a general principle both by its conditionality (εἰ) and by its indefiniteness (τις, “anyone”; see vv. 4, 16). So from beginning (v. 4) to end (v. 16), as well as here in the middle (v. 8), Paul is setting forth principles for the care of widows.
The sin is that anyone does “not provide” (οὐ προνοεῖ) for one’s relatives and one’s family. τῶν ἰδίων καὶ μάλιστα οἰκείων is Paul’s way of delineating those who should be cared for (τῶν ἰδίων, οἰκείων), together with a note of special responsibility (καὶ μάλιστα) for the latter. ἴδιος in the plural as an articular substantive (elsewhere in the NT at Jn. 1:11; 13:1; Acts 4:23; 14:23) denotes those who are “one’s own” and here especially one’s “relatives” (see BAGD s.v.). Contrasted with οἰκείων by means of the emphasis provided by καὶ μάλιστα, τῶν ἰδίων refers to the larger family relationship and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to “grandchildren” (ἔκγονα) in v. 4. Similarly, plural οἰκείων** (Gal. 6:10; Eph. 2:19; 1 Tim. 5:8) has the meaning here “members of the household” in the sense of “his immediate family” (NIV; cf. “his own family” in RSV, “his own household” in NEB). The καὶ μάλιστα** combination (Acts 25:26; cf. μάλιστα δέ in Gal. 6:10; Phil. 4:22; 2 Pet. 2:10) has the meaning here “and especially,” highlighting within the larger family relationship the special responsibility to one’s immediate family (cf. v. 4).
The apodosis states a twofold consequence. The first is that such failure to care indicates that that one “has denied the faith” (τὴν πίστιν ἤρνηται; note the perfect tense with its implications). ἀρνέομαι (Pl.* 6x, all in the PE*; see Riesenfeld, “ἀρνεῖσθαι”) means here “deny,” i.e., “repudiate” or “disown,” in the sense of apostasy from the Christian faith. Denial is demonstrated by culpable failure. That which is denied is “the faith” (τὴν πίστιν), here referring to Christianity as that which one professes to believe (on this objectivizing of πίστις see on 3:9 above).
Paul joins (καί) to this appraisal the evaluation that such a person “is worse than an unbeliever” (ἔστιν ἀπίστου χείρων). χείρων, “worse,” is a comparative of κακός used with the genitive of comparison ἀπίστου. ἄπιστος means generally “unbelieving” (or “faithless”). Here, correlated with τὴν πίστιν, i.e., the Christian “faith,” an ἄπιστος is a “non-Christian” (the significance in all the Pauline occurrences). Such a person is “worse than an unbeliever” because Paul regards unbelievers as having “the word of the law written on their hearts,” and therefore even unbelievers are known to “do instinctively the things of the Law” (Rom. 2:14, 15; cf. also 1 Cor. 5:1). Thus for a professed believer who has God’s law (“honor your father and your mother”) to fail to do what even many unbelievers instinctively do warrants the verdict that he is “worse than an unbeliever.”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EB New English Bible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20–2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