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7 As for the rich in athis present age, charge them bnot to be haughty, nor cto set their hopes on dthe uncertainty of riches, but on God, ewho richly provides us with everything to enjoy. 18 They are to do good, fto be rich in good works, to be generous and gready to share, 19 thus hstoring up treasure for themselves as a good foundation for the future, so that they may itake hold of jthat which is truly life.
a 2 Tim. 4:10; Titus 2:12
b Rom. 11:20; 12:3, 16
c See Mark 10:24
d Prov. 23:5; [Matt. 13:22]
e See Acts 14:17
f Luke 12:21; Titus 3:8, 14
g See Rom. 12:13
h See Matt. 6:19, 20
i ver. 12
j [2 Tim. 1:1]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전 6:17–19.
 
17 네가 이 세대에서 부한 자들을 명하여 마음을 높이지 말고 정함이 없는 재물에 소망을 두지 말고 오직 우리에게 모든 것을 후히 주사 누리게 하시는 하나님께 두며
18 선을 행하고 선한 사업을 많이 하고 나누어 주기를 좋아하며 너그러운 자가 되게 하라
19 이것이 장래에 자기를 위하여 좋은 터를 쌓아 참된 생명을 취하는 것이니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전 6:17–19.
 
앞선 11-16절을 통해서 바울은 디모데를 향해 굳건한 신앙을 가지고 주님의 재림시까지 신앙의 명령을 지킬 것을 권면하며 만왕의 왕이신 하나님을 송축하는 찬양을 드렸다. 이제 17-19절에서는 목회자로서 교회안의 부한 자들을 향한 권고를 하고 있다. 
9-10절에서는 부하려는 자들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남을 속이고 올무에 빠뜨리는 이들을 향해 경고했다면 17절 이하에서는 이미 부자인 이들을 향한 권면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선 부분이 부자가 되기 위해서 혈안이 된 이들이 빠지기 쉬운 탐심에 대한 권고라면 본 단락은 이미 부자가 된 자들이 빠지기 쉬운 교만과 재물을 의지하는 마음을 경계하는 교훈이라고 할 수 있다. 
 
17절) 바울은 소극적, 적극적 차원의 명령을 하고 있다. 먼저 ‘마음을 높이지 말고 정함이 없는 재물에 소망을 두지 말고’는 소극적 명령이다. ‘마음을 높이지’로 번역된 ‘휩셀로프로네인’은 ‘높이다’라는 뜻의 형용사 ‘휍셀로스’와 ‘생각, 이해’라는 의미의 명사 ‘프렌’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 ‘생각을 높이다’라는 의미로 실제 의미는 ‘자랑하다, 교만하다’로 ‘한가지 관점을 가치 없는 것으로 경멸하고 우월감에 의해 오만하거나 교만해지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단적으로 부자들은 자신들이 지닌 재물에 현혹되어 교만할 우려가 있기에 이를 주의하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재물뿐만 아니라 상대방과 비교우위에 있는 어떤 것을 소유하고 있을때 자신이 가진 것만을 가치있게 생각하고 그렇지 못한 이들을 경멸하거나 낮춰보는 태도는 매우 미성숙한 자들의 태도이다. 
 
‘정함이 없는 재물에 소망을 두지 말고’, ‘정함이 없는’으로 번역된 ‘아델로테티’의 원형 ‘아델로테스’는 부정 불변사 ‘아’와 ‘분명하다’라는 형용사 ‘델로스’의 합성어로 불확실성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이는 사람들이나 부자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재물이 확실하거나 안정적인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잠언 23:5
5네가 어찌 허무한 것에 주목하겠느냐 정녕히 재물은 스스로 날개를 내어 하늘을 나는 독수리처럼 날아가리라
마태복음 6:19
19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땅에 쌓아 두지 말라 거기는 좀과 동록이 해하며 도둑이 구멍을 뚫고 도둑질하느니라
‘소망을 두지’로 번역된 ‘엘피케나이’는 본래 ‘바라다, 희망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엘피조’의 부정사로 여기서는 ‘신뢰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부자들은 재물이 불확실하고 불안정하다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그것을 신뢰하지 말아야 한다. 
 
이제 적극적 차원의 권면이다. 먼저 ‘후히 주사 누리게 하시는 하나님께 두며’라고 말한다. 앞서 불확실한 재물을 신뢰하지 말라고 말한 바울은 이제 부자들이 신뢰해야할 것이 무엇인지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신뢰해야 할 대상은 바로 ‘우리에게 모든 것을 후히 주사 누리게 하시는 하나님’인 것이다. 하나님은 만물과 인간들을 살게하시고 인간이 가질 수 없는 초월성을 가지신 분이시다. 이땅에서 우리가 누리는 모든 것은 바로 주님의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 인간들의 영적, 물질적 필요를 아시며 능히 공급하실 능력이 있으신 분이시기에 그분께 마음을 두는 것, 그분을 소망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나님은 ‘후히 주시는’(플루시오스)분이시다. 여기서 '누리게 하시는’으로 번역된 ‘아폴라우신’은 본래 ‘즐기다, 만끽하다’라는 뜻을 지닌 ‘아폴라우오’의 명사형이다. 이 표현은 ‘어떤 것에서 쾌락을 얻는 행위’를 의미하는데 기독교가 물질적인 것을 경계한다고 해서 금욕주의적인 종교가 아님을 보여준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선하신 창조 원리에 따라 우리로 하여금 모든 만물을 다스리며 누릴 수 있게 하셨다. 결국 중요한 것은 물질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인 것이다. 
 
6:17 οἱ πλουσίοι (here dative of those Timothy is to instruct) are “the rich” or “the wealthy” in the material realm, particularly those who do not need to work for a living (BAGD; see also Furfey, “ΠΛΟΥΣΙΟΣ,” especially 245, 260f.). ἐν τῷ νῦν αἰῶνι serves as a limiting concept that sets the stage for Paul to speak about riches εἰς τὸ μέλλον in v. 19. αἰών can be used, as here, of “this present age or world,” especially when it is qualified by some present time indicator (the phrase ὁ νῦν αἰών** appears also in Tit. 2:12; 2 Tim. 4:10).
The instruction Timothy is to give the rich is expressed in two negative infinitival clauses with the second qualified by a prepositional phrase. ὑψηλοφρονεῖν** (a NT hapax) means “to be proud, haughty” (BAGD) and is equivalent to the variant reading ὑψηλὰ φρονεῖν (“cherish proud thoughts, feel proud,” the preferred reading in Rom. 11:20, where ὑψηλοφρονεῖν is the variant; BDF §119.5). The rich are tempted to think that their greater monetary value indicates that they themselves are of greater worth or value. Paul forthrightly charges them through Timothy “not” (μή) to think this way (cf. Rom. 12:16; Jas. 1:10).
ἠλπικέναι means here “to set or put one’s hope.” The perfect tense is used “by virtue of the continuing character of the hope formed” (BDF §341; Robertson, Grammar, 908; cf. the other NT instances of the perfect: Jn. 5:45; 1 Cor. 15:19; 2 Cor. 1:10; 1 Tim. 4:10; 5:5). The object of ἐπί, that on which hope is not to be set, is ἀδηλότητι, which is qualified by πλούτου, “wealth, riches,” used here in the literal sense of “possession of many earthly goods” (BAGD). The phrase reads literally, therefore, “on the uncertainty of riches.” This construction is equivalent in meaning to ἐπʼ ἀδήλῳ πλούτῳ, but lays stress on the “uncertainty,” at the same time putting genitive πλούτου first for emphasis (BDF §165). Paul warns against (μηδέ) such sin, which is also folly because of this uncertainty (cf. Ps. 62:10; Pr. 23:5; Lk. 12:19–21).
The rich are, instead, to set their hope “on God, who richly supplies us all things to enjoy” (v. 17c). ἀλλʼ ἐπὶ θεῷ, “but on God,” immediately, simply, and forcefully states, in contrast to ἐπὶ πλούτου ἀδηλότητι, the one on whom the rich should set their hope. (For the variant reading that adds τῷ ζῶντι after θεῷ see NA26, and see TCGNT for reasons in favor of the shorter reading.) God is “he who supplies” (τῷ παρέχοντι) “to us” (ἡμῖν) πάντα, riches included. This is meant to encourage the rich to put their hope in the Giver and not in the gifts. ἡμῖν encompasses the entire community, both rich and poor, as it does elsewhere in the PE (2 Tim. 1:7, 9, 14; cf. Acts 14:17) and thus indicates that God provides for all. πάντα, “all things,” is used here in the sense of “everything” (see πᾶν κτίσμα θεοῦ in 4:4). πλουσίως** (Col. 3:16; Tit. 3:6), “richly, abundantly,” qualifies παρέχοντι and indicates the greatness of God’s generosity in supplying all things to us. With this word Paul begins an instructive play on words and concepts going back to the previous πλουσίοις and continuing with πλούτου. In the next verse he will encourage the rich to emulate this generosity of God and “be rich (πλουτεῖν) in good works.” In v. 19 he will encourage them to “lay up treasure” (ἀποθησαυρίζοντας) for the future. Here the phrase with εἰς specifies that it is “enjoyment,” ἀπόλαυσιν** (also in Heb. 11:25), that is God’s purpose for richly supplying us with all things. This enjoyment is not the self-indulgent living criticized in 5:6, notes Fee, but is thankful acceptance of God’s good gifts given for us to enjoy (cf. 4:3, 4; Ec. 5:19, 20; Phil. 4:12).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DF F. Blass and A. Debrunner,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 W. Funk from the 10th German ed. Chicago, 1961.
BDF F. Blass and A. Debrunner,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 W. Funk from the 10th German ed. Chicago, 1961.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DF F. Blass and A. Debrunner,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 W. Funk from the 10th German ed. Chicago, 1961.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TCGNT B. M.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72–273.
 
18절) 선을 행하고 선한 사업을 많이 하고
마태복음 19:23
23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부자는 천국에 들어가기가 어려우니라
예수님께서는 부자들이 천국에 들어가기가 어렵다고 말씀하셨다. 이것의 의미는 부자이기 때문에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재물을 주신 하나님을 의지 하지 않고 재물을 의지하고 그 재물을 탐닉하고 나아가 재물을 우상화하는 경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앞서 ‘정함이 없는 재물에 소망을 두지 말라’고 소극적인 명령을 했다면 이제 적극적인 차원으로 그 부함을 가지고 선한 일을 많이 행할 것을 명하고 있다. 바울은 부자들에게 부자가 천극에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부를 포기하라고 말하지 않는다. 도리어 선한 사업을 많이 하라고 권면하는데 여기서 '많이 하고’라고 번역된 표현이 ‘플루테인’으로 ‘부자가 되다’라는 의미의 동사 ‘플루테오’의 현재 능동태 부정사형이다. 그러니까 부자가 정말 부하려고 노력해야 하는 대상은 선한 사업인 것이다. 
17절과 18절 본문에서 바울은 ‘플루시오스, 부한, 후히’, ‘플루토스, 재물’, ‘플루테오, 부요하다, 많이 하다’라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4번이나 사용한다. 각각의 표현은 모두 영어로는 ‘rich, richly’로 번역되었다. 
그러니까 부자들이 정녕 힘써야할 부는 물질적인 부가 아니라 선한 사업에 부해지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모든 것을 주심으로 누리게 하시는 하나님의 부요하심을 따르고 본받는 믿음의 태도인 것이다. 
 
‘나누어 주기를 좋아하며 너그러운 자가 되게 하라’, 이어서 바울은 적극적인 차원에서 나누어 주기를 좋아할 것을 권면한다. ‘나누어 주기를’로 번역된 ‘코이노니코스’는 ‘관대한, 기꺼이 나눠주는’이라는 의미를 지닌 표현으로 ‘공유하다, 나눠갖다’라는 의미의 동사 ‘코이노네오’에서 파생된 표현이다. 여기서 ‘코이노니아, 교제, 사귐’이라는 표현이 파생되었다. 온전한 사귐과 교제가 있기 위해서는 그 안에 자신의 것을 나누는 나눔이 선행되어야 한다. 부자들은 자신의 재물을 나눔에 있어서 물질의 시혜의 차원을 넘어서서 진실한 마음을 나누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너그러운 자’로 번역된 ‘유메타도투스’의 원형 ‘유메타도토스’는 ‘잘, 좋게, 올바르게’를 의미하는 부사 ‘유’와 ‘나누어주다, 구제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메타디도미’의 합성어로 ‘관대한, 너그러운’이라는 의미이다. 아낌없니 나누어주려고 하는 이 태도가 바로 너그러운 태도이다. 
 
하나님께서 우리들에게 주신 재물에 우리는 청지기일 뿐이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후히 주심으로 우리의 삶을 채우시는 분이시며 우리들로 하여금 허락된 것을 통하여 선한 사업을 하고 나눌 것을 명령하고 계신다. 
 
6:18 Paul turns to a practical outworking of his command to the rich and of their setting their hope on God. The exhortation of the παράγγελλε continues to be spelled out in the three infinitives of this verse, each of which is dependent on that verb. There are four requirements in two groups of two each, the second item in each group enlarging on the first. This is most obvious in the second grouping, with κοινωνικούς dependent on the previous εἶναι.
Paul begins with the general word ἀγαθοεργεῖν,** “to do good,” which is used elsewhere in the NT only in Paul’s address at Lystra, where he speaks of God doing good by showering his good gifts on the hearers (Acts 14:17). The second infinitive here, πλουτεῖν, “to be rich,” picks up on the wealth of God’s generosity toward us (τῷ παρέχοντι … πλουσίως) and on the wealth of those to whom Timothy is to address these instructions (τοῖς πλουσίοις, v. 17). That in which they are encouraged to be rich is “good works” (ἐν ἔργοις καλοῖς; on plural ἔργα καλά in the PE see 5:10, 25; cf. 2:10). They are to do good and are to do so in a wealth of good deeds. In the former they imitate God (cf. Eph. 5:1); the latter is the way to be really rich.
εὐμεταδότους** (a biblical hapax) means “generous” (cf. the cognate verb μεταδίδωμι in Rom. 12:8 and especially Eph. 4:28), κοινωνικούς** (a biblical hapax) means “sharing what is one’s own” or “gladly giving others a share” (F. Hauck, TDNT III, 809; cf. the cognate verb in Gal. 6:6; Rom. 12:13). The idea is for the rich to actually share what they have, which entails their personal involvement and sharing of themselves. This thereby expands and applies the previous concept (for a similar combination of these two concepts see Heb. 13:16).
Some have suggested that all four ideas in this verse indicate how the rich should use their money in Christian service. This is possible, certainly the last two do, and the following verse encourages the deeds of this verse by continuing the play on wealth, now in an eschatological perspective. But what is more likely is that Paul is instructing the rich through Timothy how they are to utilize both their riches and their lives in a truly rich way, i.e., by sharing and being rich in good deeds, and thus investing their lives (and their wealth) in that which will lead to permanent treasure.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73–274.
 
19절) ‘장래에 자기를 위하여’ 쌓은 것은 내세의 보상과 관계 있는 것이다. ‘쌓아’로 번역된 ‘아포테사우리존타스’의 원형 ‘아포테사우리조’는 ‘쌓다, 간직하다, 비축하다’라는 의미로 나중에 사용하려고 가치 있는 것들을 저장해 놓는 것을 의미한다. 이 표현은 마 6:19에 사용되었는데 이처럼  영적인 축재를 나타내는 문액에서 사용되는 표현으로 종말론적이고 궁극적인 차원과 연관되어 있다. 
바울은 장래에 자기를 위해 ‘좋은 터’를 쌓으라고 명령한다. 좋은 터는 허물어지지 않을 것으로 구원 및 하나님나라에서 받을 상급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터’로 번역된 ‘데멜리오스’는 ‘주추, 기초, 기반, 터’를 의미한다. 
‘참된 생명’으로 번역된 ‘테스 온토스 조에스’가 표준 원문에서는 영생을 의미하는 ‘테스 아이오니우 조에스’로 표현된다. 이처럼 참된 생명은 다름 아닌 보물을 하늘에 쌓아두는 자에게 주시는 영생의 보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6:19 The metaphor of wealth, which began in v. 18, is now extended eschatologically (Fee). The RSV (“thus laying up for themselves”) and the NIV and the TEV (“in this way they will lay up treasure”) express well the connection that ἀποθησαυρίζοντας has to the actions commanded in the preceding verse. Those actions were commanded because they are intrinsically good (cf. especially ἀγαθοεργεῖν and ἔργοις καλοῖς) and benefit others (so especially the last two). But now Paul says that those who do these good works provide benefit “for themselves” (ἑαυτοῖς). While doing good for others, they are simultaneously “storing up” or “laying up” (ἀποθησαυρίζοντας,** a NT hapax, in LXX only in Sir. 3:4; here accusative in agreement with the understood accusative subject of the preceding infinitives, i.e., the rich) “for themselves” θεμέλιον καλόν, literally “a good foundation” (here BAGD says that θεμέλιον is “about equal to ‘treasure, reserve’ ”), εἰς τὸ μέλλον,** “for the future,” indicating for what time the foundation is being laid up. “The future” here is the age that follows this age (for this sense cf. 4:8; Eph. 1:21).
A ἵνα clause indicates the purpose for which this storing up takes place. ἐπιλαμβάνω (here ἐπιλάβωνται, “they may take hold of”) is used here in the same sense as in v. 12. ζωή is used in the PE* (as elsewhere by Paul) of the spiritual life God brings to the believer through Christ (2 Tim. 1:1, 10), which has a future dimension as well as a present dimension (1 Tim. 4:8) and which often is clearly demarcated as future by the designation “eternal life” (ζωὴ αἰώνιος, 1:16; 6:12; Tit. 1:2; 3:7). ὄντως (for the textual variants see UBSGNT; for the reasons for favoring ὄντως alone see TCGNT) is used here attributively, as are the other PE* occurrences (5:3, 5, 16), and means “real” or “true.” In light of the reference in the previous clause to “the future” (εἰς τὸ μέλλον) and the parallelism of this clause with the second clause of v. 12 (which has the singular imperative of the same verb and αἰωνίου in place of ὄντως), τῆς ὄντως ζωῆς, “real life,” must refer here to “eternal life” (cf. BAGD s.v. ζωή 2b β). The two can be virtually interchangeable since in the NT that which makes life “real” is that it is indestructible (see 2 Tim. 1:10; Jn. 5:24; cf. R. Bultmann, TDNT II, 863f.).
What Paul says to the rich through Timothy is what he says to Timothy himself (vv. 11ff.), what he has said of himself (Phil. 3:8ff.; 1 Cor. 9:24–27), and what he has said to others (Gal. 6:7, 8): Good works demonstrate the reality of faith and salvation and are needed to receive eternal life (cf. Mt. 7:21; 25:34–40, 46b). Jesus also taught about the godly and generous use of wealth, which stores up treasure in heaven (cf. Matthew 6; 19; and 20; Lk. 12:33; 16:9). Similarly he taught that good works show that a person has an indestructible foundation (Mt. 7:25, using the cognate verb θεμελιόω). What both Paul and Jesus are saying is that one who has accepted God’s grace and salvation must evidence it in one’s life. Thus they are quite willing to say, as both an encouragement and a warning, that this evidence of salvation is a necessity for the reception of eternal life.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LXX Septuagint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 B. M.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74–275.
 
부자가 부유함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고 주님이 허락하신 것에 감사하며 이 재물을 가지고 선한 사업에 힘쓰고 나누어주기를 좋아하는 삶을 살게 될때 결국 이것은 보물을 하늘에 쌓아두는 행위로 영생의 보상을 받게 된다. 재물 자체는 가치중립적이지만 재물은 힘을 가지고 있다. 그 힘을 어느 곳에 사용하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그 힘 자체에 위해서 정함이 없는 재물 자체를 축적하는데에 마음을 빼앗길 수도 있기에 이를 경계하고 있는 것이다. 재물을 잘 사용하면 편리해지고 다른 이들을 도울 수 있지만 그것에 압도되면 자신을 잃고 만다. 청지기로 그것을 주장하고 관리해야할 인간들이 재물에 종이 되어 살아가는 것은 올바른 모습이 아닐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정함이 없고 영원한 구원,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이땅의 재물을 의지하지 말아야 한다. 어떤 이들은 재물로 성을 쌓아 자신을 지키고 안정감을 누리려고 하지만 오직 우리의 불성곽이 되시는 하나님만이 우리를 지키실 수 있다(슥 2:5) 우리는 재물이 아니라 물속에서도 건지시고 불 가운데서도 지키시며(사 43:2) 사망의 골짜기에서도 늘 떠나지 않으시는 하나님(시 23:4)를 의지해야 한다. 
 
 
 
728x90

Let the lowly brother boast in his exaltation, 10 and rthe rich in his humiliation, because slike a flower of the grass3 he will pass away. 11 For the sun rises with its scorching heat and twithers the grass; its flower falls, and its beauty perishes. So also will the rich man fade away in the midst of his pursuits.

r Jer. 9:23

s [Ps. 102:4, 11; 1 Cor. 7:31; 1 Pet. 1:24]

3 Or a wild flower

t Isa. 40:7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약 1:9–11.

 

야고보서의 독자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중의 하나가 가난의 문제였던 것 같다. 이는 그들이 헤쳐나가야할 가장 어려운 시험중의 하나였으며 또한 앞서 ‘두 마음을 품은 자’들의 경우에 하나님에 대한 믿음, 충실함, 일편단심을 가장 힘들게 하는 영역이 바로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는 문제였을 것이다. 

 

9절) 낮은 형제는 자기의 높음을 자랑하라. 

이는 사회 경제적으로 낮은, 가난한 상태에 있는 이들로 하여금 그들이 신앙의 관점에서 세상이 줄 수 없는 평안과 기쁨을 소유한 존재들이라는 사실을 기억하고 이를 자랑하라는 것이다. 

가난과 부함은 모두 우리의 마음을 빼앗아 하나님이 아니라 현재 자신의 문제에 집중하도록 한다. 

  • 낮은(타페이노스, tapeinos) 형제’라는 표현은 사회-경제적인 차원에서 비천한 그리스도인, 곧 비교적 가난하고 힘이 없는 그리스도인을 가리킨다. 헬라어 형용사 타페이노스가 이런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근거로는 첫째로 이 용어가 구약성경에서 빈번히 그러한 의미로 사용된다는 점(시 10:18; 34:18; 102:17; 사 11:4; 암 2:7 참조)과 둘째로 타페이노스가 본문의 맥락에서 10절의 플루시오스(plousios, 부유한)와 대조되고 있다는 점에서 입증된다. 야고보가 팔레스타인과 시리아에 거주하는 유대-그리스도인들을 향해 서신을 쓰고 있다고 볼 때, 그의 독자의 대부분은 아닐지라도 그 중의 많은 사람들이 가난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우리는 이 시기에 닥친 기근에 대해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들에 의해 추방된 그리스도인들이 특히 심각한 고통 속에 처해 있었을 것을 짐작할 수 있다(행 11:28–29을 보라). 그러한 고통의 한 복판에서 그리스도인들은 실제적으로 비천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자기의 높음을 자랑해야 한다. 자랑하다는 말은 이 맥락에서 교만한 자기 자랑이 아니라, 하나님의 관점에서 자신을 평가하는 사람이 소유한 기쁨에 찬 만족감(pride)을 의미한다. ‘높음’으로 번역된 헬라어 휘프소스(hypsos)는 신약성경에서 그리스도가 부활하셔서 오르시고(엡 4:8), 거기로부터 성령이 내려오시는(눅 24:49) 천상의 영역을 서술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성도들은 현재 믿음으로 말미암아 천상의 시민으로서 그 영역에 속해있을 뿐만 아니라(빌 3:20), 또한 우리의 ‘낮은 몸’을 ‘영광의 몸’으로 변화시키실 주 예수를 하늘로부터 기다리고 있다(빌 3:21). 이런 점에서 높음이란 말 속에는 성도 자신이 현재에 누리고 있는 높아진(고양된) 영적 지위는 물론이고, 그리스도에 의해 완성될 영원한 영광의 나라에 참여할 것이라는 소망도 포함되어 있다. 야고보는 휘프소스의 이런 의미에 대한 주석이라고 할 수 있는 야고보서 2:5에서 이러한 현재의 지위와 미래의 상속에 대한 연관성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하나님이 세상에서 가난한 자를 택하사 믿음에 부요하게 하시고 또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에게 약속하신 나라를 상속으로 받게 하지 않으셨느냐.”

  •  더글라스 J. 무 지음, 야고보서, trans. 이승호, 초판., vol. 16, 틴데일 신약주석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97–98.

 

10절) 부한 자는 자기의 낮아짐을 자랑하라. 이는 그가 풀의 꽃과 같이 지나갈 것이기 때문이다. 

부한 자의 재물이 그를 구원으로 이끌 수 없다. 결국 재물은 일시적이며 하나님 앞에서 구원과 관련되어서 아무런 역할을 할 수 없음을 깨달아야 하고 결국  그가 그리스도를 닮기 위해서는 낮아지신 그분과 닮아 가야만 한다. 세상에서 아무리 높아져도 그는 하나님 앞에서 높아질 수 없다. 도리어 낮아져야만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4:10) 

  • 야고보는 가난한 그리스도인과 부한 그리스도인 모두에게 그들이 신뢰할 수 있는 유일한 토대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있음을 기억하라고 권면한다. 가난한 성도는 세상의 눈으로는 하찮고 보잘 것 없어 보여도 세상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오르신 주님과의 관계를 기뻐해야 한다. 또한 부한 성도는 물질이 풍부하고 윤택하여 세상의 눈으로는 대단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더라도 자기를 끝까지 지탱할 수 있는 유일한 안전망이 ‘사람들에게 멸시를 받고 버림받아’ ‘고통을 받은’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통해서만 온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가난하든, 부유하든 모든 그리스도인은 자기의 삶을 땅의 관점이 아니라, 하늘의 관점으로 보아야 한다.

  •  더글라스 J. 무 지음, 야고보서, trans. 이승호, 초판., vol. 16, 틴데일 신약주석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101.  

 

11절) 해가 돋고 뜨거운 바람이 불면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진다. 그래서 그 아름다움이 사라진다. 이와 같이 부한 자도 그가 추구하는 일에 이렇게 쇠할 것이다. 

풀은 마르고 꽃은 시드는 것의 심상은 성경에 자주 등장하는 그림이다.

pass away like a wild flower. Familiar biblical imagery for transience (Job 14:2; Ps 103:15–16; Isa 40:6–7; 1 Pet 1:24), referring either to the impermanent wealth of rich Christians or to the ultimate judgment of rich non-Christians.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526.

(사 40:6-7, 개정) 『[6] 말하는 자의 소리여 이르되 외치라 대답하되 내가 무엇이라 외치리이까 하니 이르되 모든 육체는 풀이요 그의 모든 아름다움은 들의 꽃과 같으니 [7] 풀은 마르고 꽃이 시듦은 여호와의 기운이 그 위에 붊이라 이 백성은 실로 풀이로다』

  •  11절은 10절에 언급된 ‘풀의 꽃과 같이 지나간다’는 말의 의미를 보다 더 상세하게 서술함으로써 이사야 40:6–7의 내용을 계속해서 반영한다. RSV는 11절 상반부에 나오는 4개의 주동사를 현재형으로 번역하는데, 이는 아마도 헬라어 과거시제의 관습적이고, 격언적인 형태를 반영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그 시제는 또한 행위의 갑작스러움을 표현한다.6 빠르게 시드는 꽃의 이미지는 이른 봄에 핀 꽃들이 태양의 무자비한 열기에 갑작스럽게 시드는 것을 일상으로 볼 수 있는 중동 지역의 독자들에게 친숙했을 것이다. ‘뜨거운 바람’으로 번역된 헬라어 카우손(kausōn)은 ‘뜨거운 열기’로도 번역된다(RSV). 이 단어는 70인역에서 ‘동풍’, ‘뜨거운 사막바람’을 의미하는 단어로 몇 번 사용되는데, 주로 심판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예컨대 호세아 13:15에는 “그(에브라임)가 비록 형제 중에서 결실하나 동풍이 오리니 곧 광야에서 일어나는 여호와의 바람이라 그의 근원이 마르며 그의 샘이 마르고 그 쌓아 둔 바 모든 보배의 그릇이 약탈되리라” 고 기록되어 있다.

  • 이러한 풀의 꽃 비유의 요지가 11b절에 분명하게 요약된다. 어느 날 만발하게 핀 것으로 보이는 꽃이 어느 날(갑자기) 시들어 죽는 것처럼 부한 자도 ‘그 행하는 일에 이와 같이 쇠잔할 것’이라는 것이다. 쇠잔하리라로 번역된 헬라어 동사 마라이노(marainō)는 여기에서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 분명하다. ‘그 행하는 일’로 번역된 헬라어 포레이아(poreia)는 단순히 ‘삶의 방식’(way of life)이란 의미에서 ‘방식’(way)을 의미할 수 있지만, 종종 보다 특정한 의미로 ‘여행’(journey)의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본문의 맥락과 뒤에 나오는 야고보서 4:13을 고려할 때, 이 단어는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사업 여행을 의미하고, 그 사업 여행 도중에 부유한 그리스도인이 갑자기 ‘죽을 수’도 있다는 뜻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 RSV The Holy Bible, Revised Standard Version, Old Testament, 1952; New Testament, 21971.

  • 6 Moule, 12; Adamson, 63.

  • RSV The Holy Bible, Revised Standard Version, Old Testament, 1952; New Testament, 21971.

  •  더글라스 J. 무 지음, 야고보서, trans. 이승호, 초판., vol. 16, 틴데일 신약주석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3), 101–102. 

 

야고보는 교회안의 가난한 자와 부자 모두에게 자신들이 궁극적으로 마음에 두어야할 것이 무엇인지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가난한 자는 현재 자신의 가난함, 궁핍의 상태에 빠져서 자신의 미래와 신앙인으로서 현재의 위치나 소망을 품비 못한다. 동시에 부자는 자신의 부유함에 취해서 인생의 궁극적 주인이 누구이신지, 그리고 이 부유함이 자신의 죽음 이후를 보장해주지 못함을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게 된다. 그런데 지금 야고보는 지금 현재 자신의 상황에서 잠시 멈추어 서서 우리의 궁극적 지향이 어디에 있는지를 기억하라는 것이다. 지금의 상태가 우리의 미래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은 꽃이 피는 것 같고 성공하는 것 같지만 어느 순간 강한 햇빛과 뜨거운 바람이 불면 꽃잎은 지고 풀은 마르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