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Therefore, my brothers,1whom I love and jlong for, kmy joy and lcrown, mstand firm thus in the Lord, my beloved. 
I entreat Euodia and I entreat Syntyche to nagree in the Lord. Yes, I ask you also, true companion,2help these women, who have labored3side by side with me in the gospel together with Clement and the rest of my fellow workers, owhose names are in the book of life. 
pRejoice in the Lord always; again I will say, rejoice. Let your reasonableness4be known to everyone. qThe Lord is at hand; rdo not be anxious about anything, sbut in everything by prayer and supplication twith thanksgiving let your requests be made known to God. And uthe peace of God, vwhich surpasses all understanding, will guard your hearts and your minds in Christ Jesus. 
Finally, brothers, whatever is true, whatever is honorable, whatever is just, whatever is pure, whatever is lovely, whatever is commendable, if there is any excellence, if there is anything worthy of praise, think about these things. What you have learned5and wreceived and heard and seen xin me—practice these things, and ythe God of peace will be with you. 
1Or brothers and sisters; also verses 8, 21
jSee ch. 1:8
kch. 1:4; 2:16; See 2 Cor. 1:14
lProv. 16:31; 17:6
mch. 1:27
nch. 2:2
2Or loyal Syzygus; Greek true yokefellow
3Or strived(see 1:27)
oSee Luke 10:20
pch. 3:1
4Or gentleness
qSee James 5:8
rSee Matt. 6:25
s[Prov. 16:3]
tSee Rom. 1:8
u[ver. 9; Isa. 26:3; Col. 3:15]; See John 14:27
v[Eph. 3:19]
5Or these things9which things you have also learned
w1 Thess. 4:1
x[ch. 3:17]
y[ver. 7]; See Rom. 15:3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빌 4:1–9.

1절)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고 사모하는 형제들, 나의 기쁨이요 면류관인 사랑하는 자들아. 따라서 주안에 견고히 서라. 
바울은 빌립보 성도들에 대해서 사랑하고 사모하는 형제들, 나의 기쁨이요 면류관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는 실제로 빌립보 성도들이 그러한 행동을 했기 때문일 수도 있고 이런 칭찬의 표현을 통해서 그들로 하여금 더욱 주안에서 칭찬받을 만한 삶을 살도록 촉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면류관이라는 표현은 올림픽 경기에서 승자에게 주어지는 상을 의미하는데 최후의 심판때에 하나님께서 경주를 마친 이들에게 상을 주실 것을 바라면서 그런 표현을 한 것이다.(3:13-14) 그러면 바울에게 있어서 빌립보 교회과 데살로니가 교회가 면류관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본문을 이러한 수고로 영적인 보상, 면류관을 받을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바울에게 있어서 이 교회 자체가 면류관이요 보상이었다. 

우리의 본문 빌립보서 4:1과 데살로니가전서 2:19–20에서 바울이 빌립보와 데살로니가의 교회들을 자신의 “면류관”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러한 상의 이해를 더욱 뒷받침 해줍니다. 바울은 최후의 심판 때 그의 신실한 사도직의 수행으로 그러한 훌륭한 교회들을 건설하였다 하여 “면류관”을 상으로 받을 것을 바라보는 것이 아닙니다. 그는 그의 신실한 사도직의 수행으로 그러한 훌륭한 교회들, “금과 은과 보석으로 지은” 교회들이 건설되었음이 드러나는 것을 상으로 바라보는 것입니다. 빌립보와 데살로니가의 훌륭한 교회들은 바울로 하여금 최후의 심판 때 “금과 은과 보석으로” 만들어진 “면류관”을 얻게 할 근거가 아니라, 그들 자체가 바울의 “금과 은과 보석으로” 만들어진 “면류관”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바울은 빌립보와 데살로니가의 교회들을 최후의 심판 때 면류관을 얻기 위해 자신의 “공로”로 내세우지도 않을 것이며, 하나님과 사람들 앞에서 자기 자랑의 근거로 삼으려는 것도 아닙니다. 그는 최후의 심판 때 하나님의 시상대에 불려 올라갈 때 그들이 자신의 신실한 사도직의 수행으로 말미암아 “금과 은과 보석으로 지어진” 하나님의 집의 일부로 찬란히 드러나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그저 만족하며 하나님께 감사할 것입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구원에서 “은혜로만(믿음으로만)”(sola gratia/sola fide)의 원칙을 강조하고, “자랑하는 자는 주(만)을 자랑하라”(고전 1:31, 고후 10:17, 렘 9:22–23, cf. 롬 5:11, 갈 6:14, 빌 3:3)고 하며 일체의 인간적 자랑을 배격했던 바울의 사상에 더 잘 조화됩니다. 하여간, 복음을 무료로 선포하는 것 자체가 자신의 “상”이라고 하는 고린도전서 9:18과, 빌립보와 데살로니가의 교회들을 자신의 “면류관”이라고 하는 본문은 우리로 하여금 한국에 널리 유포된 ‘상급 신학’을 경계하게 합니다. 우리는 성도들에게 종말에 완성될 구원에 덧붙여 주어질 하늘의 “상급”을 강조함으로써 은혜의 복음을 공로 신학으로 왜곡하지 않는가 살펴야 합니다.
 김세윤, 빌립보서 강해(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 95번지: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2), 160–161.

주안에 굳게 서라는 권면은 1:27절의 반복인데 1:27-30과 3:2-4:3은 매우 밀접한 병행을, 수미쌍관을 이루고 있다. 


2절) 내가 유오디아를 권한다. 그리고 순두게를 권한다. 주안에서 같은 마음을 품으라. 
이 두 여인은 빌립보 교회안에 분쟁의 중심에 있었던 여자들로 보인다. 앞서 1:27; 2:2에 말한 것처럼 바울은 같은 마음을 품고 같은 생각을 가질 것을 권고하고 있는 것이다. 교회안에 의견이 갈라지고 분쟁이 생기는 이유는 같은 마음을 품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 성령께서 한 마음을 갖게 하시는데 어떤 이유로 각자 자신의 생각이 옳다고 강력히 주장할때 서로를 품고 용납하지 못하고 서로를 비판할때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우리가 같은 마음을 품을 수 있는 근거는 바로 주안에 있는 것이다. 

3절) 나는 또한 당신, 나와 멍에를 같이 맨 당신에게도 부탁합니다. 이 두 여자들을 도우십시오, 이 여인들은 글레멘드와 그 외의 나의 사역자들과 함께 나의 곁에서 복음을 전하는데 애쓴 사람들로 그들의 이름이 생명책에 있습니다. 

바울은 지금 무명의 한 사람, 멍에를 같이한 동료에게 유오디아와 순두게를 도울 것을 요청합니다. 이 무명의 인물이 누구인지는 우리는 알지 못하지만 이 편지를 받는 빌립보 성도들은 잘 알고 있는 인물이었을 것입니다. 개역 개정의 번역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혹 자는 본문의 멍에를 같이 한 자라는 ‘시지고스’가 고유명사로 이름일 것이다라고도 말한다 .

(빌 4:3, 개정) 『또 참으로 나와 멍에를 같이한 네게 구하노니 복음에 나와 함께 힘쓰던 저 여인들을 돕고 또한 글레멘드와 그 외에 나의 동역자들을 도우라 그 이름들이 생명책에 있느니라』
(빌 4:3, 새번역) 『그렇습니다. 나의 진정한 동지여, 그대에게도 부탁합니다. 이 여인들을 도와 주십시오. 이 여인들은 글레멘드와 그 밖의 나의 동역자들과 더불어, 복음을 전하는 일에 나와 함께 애쓴 사람들입니다. 그들의 이름은 생명책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본문의 힘쓰다라는 표현 ‘시나트레오’는 1:27절의 표현의 반복으로 운동경기에서 한팀이 되어 싸우는 모습을 보여준다.


4-9절) 바울은 지금 외부의 압박과 내부의 분쟁으로 기쁨을 잃고 근심에 빠져있는 교회를 다시금 일으키기 위해서 기쁨을, 평강을 회복시켜주기 위해서 4-9절의 격려를 쓰고 있다. 4-7절에서는 근심을 없애 평강을 얻는 비결을, 8-9절은 분쟁을 없애 평강을 얻는 비결을 가르치고 있다.  

4절) 주안에서 항상 기뻐하라. 내가 다시 말하노니 기뻐하라. 
본문에서 말하는 기쁨은 주변의 상황과 환경에 의존하는 행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주안에서의 깊은 만족감을 의미하는데 이는 살아계신 하나님에 대한 전적인 주권을 인정하는 것에 기초한다. 그래서 이는 고난의 순간에도 언제나 유효하다. 
Rejoice. The joy that Paul calls for is not a happiness that depends on circumstances but a deep contentment that is in the Lord, based on trust in the sovereign, living God, and that therefore is available always, even in difficult times.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286.

독자들이 얼마나 힘이 빠져 있었으면 바울이 “기뻐하라”는 말을 그토록 강조하겠습니까? 그리고 바울 자신이 지금 이런 권면을 할 수 있는 처지에 있습니까? 그는 지금 어쩌면 사형 언도로 끝날지도 모를 재판을 앞두고 자신의 운명과 교회들의 앞날에 대해서 근심하는 사람 아닙니까? 특히 자기가 사랑하는 빌립보의 교회가 핍박을 받고 있으며 내분에까지 휩쓸려 있다는 소식을 듣고 걱정하고 있는 사람 아닙니까? 이 정황을 생각하면 여기 되풀이 하여 “기뻐하라”고 하는 권면은 바울이 독자들에게만 주는 권면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도 주는 권면인 것이 분명해집니다. 그러므로 이어서 나오는 모든 권면들도 바울이 자신에게 먼저 적용하고 독자들에게 주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9절이 이것을 뒷받침합니다.
신앙은 이성과 반비례할 때가 있습니다. 신앙에는 이성과 대항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nevertheless)”라고 외치는 별도의 요소가 있습니다. 로마서 4장 19절 이하에서 바울은 믿음의 의미를 설명할 때 아브라함의 믿음을 예로 듭니다. 즉 ‘아브라함은 자기 몸의 죽은 것 같음과 100세가 된 사라의 태가 다 죽은 것을 알았다(이성의 상황 판단),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죽은 자를 살리시는 하나님을 믿었다’라고 하여 신앙에 있는 이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요소를 강조합니다. 지금 빌립보서를 쓰는 바울이나 그 편지를 받은 빌립보의 성도들도 이성적으로 판단해 본다면 기뻐할 근거가 없고 기뻐할 수도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기뻐할 수 있는 이유는 그들이 “주 안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바울은 자신과 독자들에게 고난을 가져다주는 사단의 세력을 꺾고 이기신 주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의 영역에 서서 그의 권능과 사랑을 덕 입어 기뻐하라는 것입니다. 사단의 세력들이 외적의 핍박과 경제적 가난과 내분을 일으키며 압박해 와도 십자가에서의 죽음과 부활 사단을 근본적으로 이기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가 만유의 주로서 역사를 주관하시므로, 모든 것이 결국 그의 선한 뜻대로 이루어질 것이므로 그리스도인들은 기뻐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김세윤, 빌립보서 강해(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 95번지: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2), 166–167.

4-7절) 본문에서 바울은 4개의 명령을 하고 있다. 기뻐하라. 너희 관용을 모든 사람에게 알게하라.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라, 모든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하나님께 감사함으로 아뢰라. 이렇게 하면 하나님의 평강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실 것이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기도는 우리 마음속의 염려를 거둬가는 해독제이다. 
본문 7절에서 지키다라는 표현은 군사 용어로 간수가 옥중의 죄수를 감독하듯이, 로마 군대가 성을 방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4–6절에 네 개의 명령어들이 나옵니다. 첫째, “기뻐하라” 둘째, “너희 관용을 모든 사람들에게 알게 하라” 셋째,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라” 넷째,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의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그렇게 하면 하나님의 평강이 그들을 지키리라는 것입니다(7절). 바울은 그런데 이 네 개의 명령어들 중간에 하나의 신앙 고백을 끼어 넣었습니다. “주께서 가까우시다”(5절). 가운데 낀 이 신앙고백은 독자들이 전후의 명령을 이행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주께서 가까우시기에, 그 주에 힘입어 기뻐하고, 관용을 베풀고, 염려하지 않고, 기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주께서 가까우시다”는 신앙고백은 시간적인 뜻과 공간적인 뜻을 둘 다 가지고 있습니다. 시간적으로 말하면, 주께서 곧 재림하시어 우리의 구원을 완성하신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은 이 세상의 고난들을 참고 기뻐하며, 곧 사라져 버릴 이 세상의 사물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고 서로 다투지 않고 나에게 해를 가한 사람들에게도 관용하고, 세상적인 일들에 대해서 염려하지 않고, 도리어 기도에 전념하며 살 수 있는 것입니다. 또 공간적으로 말하면, 주님은 높고 먼 하늘 꼭대기에 고고히 앉아 계시며 이 고난의 세상에 나를 방치하신 것이 아니라 그의 영(성령)으로 나에게 가까이 오셔서, 아니 내 안에 내주하셔서 나를 돕는 분이라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그리스도인들은 그 가까이 계시는 주의 권능과 사랑에 힘입어서 고난 속에서도 염려를 극복하고 기쁨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김세윤, 빌립보서 강해(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 95번지: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2), 167–168.

7절에서 바울은 독자들이 “주께서 가까우시다”는 확신 가운데, 그 주에 힘입어 기뻐하고, 모든 사람들을 관용하고, 염려를 떨쳐 버리고 기도에 힘쓰면, “하나님의 평강이 여러분들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실 것이요”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지키다”(phrouresei)는 동사는 군사 용어로서 마치 로마 군대가 빌립보를 감싸고 트라케의 야만인들로부터 방위하듯이, 수도방위사령부가 서울을 옹위하여 외적으로부터 방위하듯이 한다는 말입니다.
바울이 빌립보라는 도시의 로마의 군사도시로서의 역사적 그리고 지리적 특성을 염두에 두고 이 편지에서 군사적, 정치적 그림언어들을 많이 썼다는 것은 이미 지적한 바 있습니다. 여기 “지키다”도 그런 언어입니다. 여기 “마음과 생각”이란 사람들의 감정과 생각의 샘터인 심장과 그 심장에서 우러나오는 생각을 뜻합니다. 외적의 핍박이나 교회 내 형제의 험담이 우리의 심장에 자극을 주어 염려와 분노와 원한의 생각들을 낳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내적 평강을 잃고 기쁨을 잃어버립니다. 그럴 때일수록 우리는 바울이 권면하는 네 가지를 실천해야 합니다. 그러면 하나님의 평강이 감정과 생각의 샘터인 심장을 강력히 옹위하여 그런 외부의 자극들이 침투하지 못하게 하고, 그리하여 우리의 평강을 깨는 생각들이 일어나지 못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심장을 지키시는 하나님의 평강이 얼마나 오묘한가를 말하기 위해서 바울은 그것을 “우리의 모든 지각을 뛰어 넘는 것”, 곧 우리가 우리의 이성으로서는 상상할 수도 없는, 놀랍고도 신비스럽고 효력 있는 것이라고 수식하고 있습니다.
 김세윤, 빌립보서 강해(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 95번지: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2), 170–171.

As with joy, peace for Paul is a fruit of the Spirit (Gal 5:22). It is especially associated with God and his relationship to his people. Here it is called “the peace of God”53because God is “the God of peace” (v. 9), the God who dwells in total shalom(wholeness, well-being) and who gives such shalomto his people. And it is the “peace of God” that “transcends54all understanding.”55This could mean “beyond all human comprehension,” which in one sense is certainly true. More likely Paul intends that God’s peace “totally transcends the merely human, unbelieving mind,” which is full of anxiety because it cannot think higher than itself.56Because the God to whom we pray and offer thanksgiving, whose ways are higher than ours, is also totally trustworthy, our prayer is accompanied by his peace. And that, not because he answers according to our wishes,57but because his peace totally transcends our merely human way of perceiving the world. Peace comes because prayer is an expression of trust, and God’s people do not need to have it all figured out in order to trust him!
Such peace will therefore “guard”58their “hearts and thoughts.” In the Hebrew view the heart is the center of one’s being, out of which flows all of life (e.g., Mark 7:21). God’s peace will do what instruction in “wisdom” urged the young to do: “above all else, guard your heart, for it is the wellspring of life” (Prov 4:23). In the present context “God’s peace” will be his “garrison” around their “hearts” so that they do not fall into “anxiety.” It will also guard their “thoughts.”59Since God’s peace surpasses merely human understanding in any case, it will protect the mind from those very thoughts that lead to fear and distress and that keep one from trusting prayer.
53Only here in Paul; but peace is regularly noted as coming from God (most Pauline salutations), which is what this genitive intends. Cf. “peace of Christ” in Col 3:15.
54Gk. ὑπερέχουσα; for this word see on 3:8 above (n. 19).
55Gk. πάντα νοῦν, the word for “mind,” which here takes on the associated sense of “understanding.”
56Cf. Lightfoot, Meyer, Vincent, Jones, Plummer, Müller, Collange, Martin, Hawthorne, Silva; contraCalvin, Alford, Kennedy, Hendriksen, Kent, O’Brien, many of whom base their view on the alleged parallel with Eph 3:19 (the parallel seems to exist far more in our minds than in the actual language of Paul; cf. Schenk). Michael and Beare are ambivalent.
57Cf. several (Meyer, Plummer, O’Brien) who note that God’s peace is not contingent on “answered prayer,” but on his character.
58Gk. φρουρήσει, used literally by Paul of the ethnarch Aretas in 2 Cor 11:32, who set a guard at the city gates, and figuratively of the Law in Gal 3:23, in the sense of “keep in custody” until “faith” should come. This is a military metaphor, where a garrison, such as the one always stationed in Philippi, “guards the Roman pax.”
59Gk. τὰ νοήματα, found only in Paul in the NT and elsewhere only in pejorative contexts (2 Cor 2:11; 3:14; 4:4; 10:5; 11:3). As over against the “mind” (νοῦς, found in the preceding phrase, “which exceeds every mind”), this word, as with most nouns ending in -μα, denotes the concrete expression or activity of the mind, hence “your thoughts.” Cf. J. Behm, TDNT, 4.960–61.
 Gordon D. Fee, Paul’s Letter to the Philippian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410–411.

In a post-Christian, post-modern world, which has generally lost its bearings because it has generally abandoned its God, such spirituality is very often the key to effective evangelism. In a world where fear is a much greater reality than joy, our privilege is to live out the gospel of true shalom, wholeness in every sense of that word, and to point others to its source. We can do that because “the Lord is near” in this first sense, by the Spirit who turns our present circumstances into joy and peace, and who prompts our prayer and thanksgiving. And we should be at that task with greater concern than many of us are, because “the Lord is near” in the eschatological sense as well.
 Gordon D. Fee, Paul’s Letter to the Philippian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412–413.

8-9절) 무엇이든지 참된 것, 무엇이든지 경겅한 것, 무엇이든지 의로운 것, 무엇이든지 정결한 것, 무엇이든지 사상스러운 것, 무엇이든지 칭찬할 만한 것 무슨 미덕, 탁월함이 있으면 그리고 무슨 찬양할 만한 것이 있으면 이러한  것들을 생각하라. 너희는 내 안에서 배우고 받고 듣고 본 것을 실행하라. 그러면 평강의 하나님께서 너와 함께 하실 것이다. 
(빌 4:8, 새번역) 『마지막으로, ④형제자매 여러분, 무엇이든지 참된 것과, 무엇이든지 경건한 것과, 무엇이든지 옳은 것과, 무엇이든 순결한 것과, 무엇이든 사랑스러운 것과, 무엇이든지 명예로운 것과, 또 덕이 되고 칭찬할 만한 것이면, 이 모든 것을 생각하십시오. / ④그, '형제들이여'』

“무엇이든지 참된 것, 무엇이든지 경건한 것, 무엇이든지 의로운 것, 무엇이든지 정결한 것, 무엇이든지 사랑스러운 것, 무엇이든지 칭찬할 만한 것, 무슨 덕목이 있으면 그리고 무슨 찬양할 만 한 것이 있으면, 그런 것들을 생각하시오”(개역 성경의 “무엇에든지”는 옳지 않음). 이 권면은 얼핏 보면 감옥에 갇혀 사형 판결이 날지도 모를 재판을 기다리며 교회들을 걱정하고 있는 바울에게나, 핍박과 내분에 휩싸여 있는 빌립보의 교회에게나 어울리지 않는 한가한 충고인 것 같습니다. 바로 그런 이유로 이것은 그 의미를 더 깊이 새겨야 할 권면입니다.
인간은 그 머리 속을 무슨 생각으로 채우느냐에 따라 그 됨됨이가 결정됩니다. 하루 종일 돈만 생각하고 사는 사람은 수전노(守錢奴)가 됩니다. 하루 종일 성적 쾌락에 대한 생각으로 자기의 머리를 채우는 사람은 성적 노예가 됩니다. 하루 종일 적대자들에 대한 분노와 원한으로 씩씩대며 사는 사람은 아주 불행하고 호전적인 사람이 됩니다. 반면에 고상한 가치를 생각하고 사는 사람은 고상한 인격의 소유자가 됩니다. 바울은 독자들이 자신들의 핍박자에 대한 원한으로 불타거나, 교회 내 반대파에 대한 분노로 치를 떨며 살기를 원치 않습니다. 그러면 그들은 증오심과 복수심으로 가득 찬 저열한 인격체가 되어 내적 평강을 얻을 수 없고, 공동체의 삶에서도 평강을 도모할 수 없습니다. 그러기에 여기 예를 든 고상한 가치들과 덕목들에 대한 생각으로 그들의 머리를 채우라고 권합니다. 심지어 적대자들에 대해서도 그들의 거짓되고, 악하고, 추한 면들만 생각하여 분노와 복수심으로 치를 떨지 말라고 합니다. 그들에게도 참됨이나 의로움이나 사랑할 만한 것이나 무슨 덕목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그런 고상한 가치들에 생각을 집중시키라는 것입니다.
 김세윤, 빌립보서 강해(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 95번지: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2), 171–174.

바울은 지금 감옥에 갇혀 있는 상태에서 빌립보 성도들을 위해서 평강을 빌고 있다. 기뻐하고 관용을 베풀구 염려하지 않고 기도함으로 하나님의 평강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킬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참되고 경건하고 옳고 정결하고 사랑받을 만하고 칭찬받을 만하고 덕과 찬양받을 것들을 생각하고 바울에게서 배우고 받고 듣고 본 바를 행할 것을 요청한다. 그는 자신이 요청하고 설교한대로 살아간 진실한 사역자였다. 결국 우리의 마음과 생각이 무엇의 지배를 받는지에 따라서 우리는 감옥 속에서도 자유를 누릴 수 있고 감옥 밖에서도 속박당할 수 있다. 



728x90
eI thankmy God fin all my remembrance of you, always in every prayer of mine for you all makingmy prayer with joy, gbecause of your partnership in the gospel from the first day until now. And I am sureof this, that he who beganha good work in you iwill bring it to completionat jthe day of Jesus Christ. Itis right for me tofeel this way about you all, because I holdyou kin my heart, for you areall lpartakers with me of grace,4both min my imprisonment and in nthe defense and confirmation of the gospel. For oGod is my witness, phow I yearnfor you all with the affection of Christ Jesus. And it is my prayerthat qyour love may aboundmore and more, rwith knowledge and all discernment, 10 so that you may approvewhat is excellent, sand so bepure and blameless tfor the day of Christ, 11 filleduwith the fruit of righteousness that comes vthrough Jesus Christ, wto the glory and praise of God. 
eSee Rom. 1:8
fRom. 1:9; Eph. 1:16; 2 Tim. 1:3
g[ch. 2:12; 4:15; Acts 16:12–40]
h[1 Thess. 1:3]
iPs. 57:2 (Heb.); 138:8; [1 Thess. 5:24]
jSee 1 Cor. 1:8
k2 Cor. 7:3
l[ch. 4:14]
4Or you all have fellowship with me in grace
mActs 20:23; 26:29; Col. 4:18; 2 Tim. 2:9; Philem. 10, 13; See Eph. 3:1
nver. 16
oSee Rom. 1:9; 9:1
p[ch. 4:1; Rom. 1:11; 15:23; 1 Thess. 3:6; 2 Tim. 1:4]
q1 Thess. 3:12; 2 Thess. 1:3
rCol. 1:9; 3:10; Philem. 6
sActs 24:16; 1 Thess. 3:13; 5:23
tver. 6
u[Col. 1:6, 10]; See James 3:18
v[John 15:4, 5]
wSee Eph. 1:12, 14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빌 1:3–11.




3-11절) 빌립보 성도들을 향한 바울의 감사와 기도, 특별히 감사는 3-8절에서 드러나는데 4절은 기쁨, 6절은 확신, 8절은 사모로 드러난다. 
3-8절은 바울의 감사, 9-11절은 간구의 내용이다. 

3-5절) 바울은 빌립보 성도들을 생각할 때마다 하나님께 감사했다. 그리고 그들에 대해 간구할 때마다 기쁨으로 항상 간구했는데 그 이유는 첫날부터 복음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빌립보서의 중요한 주제인 이 기쁨은 복음에 참여하는 것을 통해서 흘러나오는 것인데 이 참여는 사도에 대한 재정적인 후원뿐만 아니라 그의 안녕을 위한 개인적인 깊은 관심을 포함한다. 

5절에서 빌립보 교인들이 복음을 위한 일에 참여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재정적인 지원을 포함한다. 
 Paul rejoices that the Philippians join in the work of the gospel, which includes financially supporting him (4:15). from the first day.When they first accepted the gospel (cf. 4:15).
cf. compare, confer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415.

빌립보서의 기쁨과 기뻐함



6절) 영적 성장의 기초는 우리 안에 선한 일을 시작하신 분이 하나님이시며 그분이 이를 이루실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진정한 영적 성장은 하나님이 이루셨고 이루고 계시고 이룰 것이라는 것에 뿌리를 두고 있다. 
Paul is sureabout God’s commitment to the Philippians. The foundation for spiritual growth is recognizing that it is God who began a good work in youand will bring it to completion. Genuine spiritual progress is rooted in what God has done, is doing, and will do. His faithfulness ensures that he will be with believers until Jesus returns (the day of Jesus Christ; cf. 2:16; 1 Thess. 5:2–11; 2 Pet. 3:10–13; Rev. 20:11–21:8). They can have confidence that the God who has saved them will never let them go, and that they will inherit their eternal reward.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280.

6절은 그리스도 안에서 신자들이 가지는 확신에 대해서 말해준다. 이 확신은 우리 안에 착한 일을 시작하신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날까지 이 착한 일을 이루실 것에 대한 확신이다. 신학적으로 이것을 하나님의 주권이라고 말한다. 이 주권사상이 강조되면 인간의 자유의지가 약화되고 인간의 자유의지가 강조되면 하나님의 주권이 간과되기 쉽다. 하지만 이어지는 내용속에서 바울의 확신은 하나님의 주권이 아무것도 행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가 알고 확신하는 것을 하나님께서 행하실 것에 대한 기도로 이끌고 있다. 우리가 기도하는 것은 이처럼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확신 속에서 그분이 이를 능히 이루고 성취하실 것을 믿는 믿음의 표현이다. 

7절) 복음을 변명함과 확정함, 여기서 변명함은 불신자들의 도전에 대한 바울의 반응이라면 확정함이란 진리안에 있는 신자들로 하여금 좀더 깊은 차원의 복음의 선포라고 할 수 있다. 
바울은 빌립보 교인들이 자신의 매임과 복음을 변명함과 확정함에 함께 은혜에 참여한 자가 되었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는 빌립보 교인들이 갇힌 자된 바울을 돌보았고 복음을 변증하고 선포하는 일에 함께 했다라는 것이다. 이처럼 복음은 변증되어야 하고 또한 확증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인들이 역동적인 신앙 생활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들의 삶가운데 복음이 복음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복음이 복음되기 위해서 그 복음이 일차적으로 선포되어야 하고 그 복음이 확증되어야 한다. 변증을 위해서는 선포하고 가르치고 설득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확증되기 위해서는 삶을 통해서 복음이 능력있게 구현되고 이루어지는 경험이 있어야 한다. 또한 본인이 직접 그 복음을 선포하고 가르치는 과정을 통해서 전하는 자는 복음의 확신을 경험할 수 있다. 

8절) 바울은 자신이 얼마나 빌립보 교회의 성도들을 사모하는지 하나님이 내 증인이시라고 말한다. 그런데 한글 표현에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너희를 사모한다라고 표현한다.  본문에 심장으로 표현된 단어는 ‘스플랑크논’이라는 단어로 애타는 마음, 감정의 자리, 창자, 내부기관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동사로 ‘스플랑크니조마이’는 불쌍히 여기다, 측은히 여기다라는 의미이다. 

NT 1The noun σπλάγχνον(always pl.) occurs 11× in the NT, but eight of the occurrences are found in Paul (incl. 3× in the brief letter to Philemon), and   V 4, p 353  only once in the Gospels (Luke 1:78; it is used in its lit. sense only in Acts 1:18). By contrast, all twelve occurrences of σπλαγχνίζομαιare found in the Synoptic Gospels. In addition, two compounds occur in the NT: εὔσπλαγχνος, “good-hearted, compassionate” (Eph 4:32; 1 Pet 3:8; cf. T. Zeb.9.7), and the previously unattested term πολύσπλαγχνος, “[very] compassionate”] (Jas 5:11, with οἰκτίρμωνG3881).
2The vb. σπλαγχνίζομαιis used with ref. to the attitude of Jesus, but also when describing the actions of key persons at the turning points of some parables. (a)In the former case the meaning goes beyond ordinary feelings of sympathy; rather, it points to the messianic compassion of Jesus (cf. H. Köster in TDNT7:554–55). Thus we read that when Jesus saw the crowds following him, “he had compassion on [περίG4309, lit., ‘about’] them, because they were harassed and helpless, like sheep without a shepherd” (Matt 9:36; in the par. Mark 6:34 and in every other instance the prep. used is ἐπίG2093, “on”). In Matt 14:14 Jesus’ compassion is associated with the healing of the sick (here too Mark 6:34 may be regarded as the par.), and the same is true in Matt 20:34 and in Mark 1:41 (in the latter passage cod. D [supported by some Lat. mss.] has ὀργισθείς, “he became angry,” a reading accepted by NIV 2011 ed. [“was indignant”] in agreement with some commentators). The father of a demon-possessed boy asked Jesus to have compassion (Mark 9:22). In connection with the feeding of the four thousand—a distinctively messianic act reminiscent of the giving of manna (see μάνναG3445 and cf. John 6)—Jesus himself said, “I have compassion for these people; they have already been with me three days and have nothing to eat” (Matt 15:32 par. Mark 8:2). And Luke 7:13 reports that when Jesus saw the widow who had just lost her son, “he had compassion for her and said to her, ‘Do not weep’ ” (NRSV; NIV, “his heart went out to her”).
(b)In the parables of the unforgiving servant (Matt 18:23–35) and the prodigal son (Luke 15:11–32) σπλαγχνίζομαιforms the turning point of each story by expressing the strongest feeling of a merciful (Matt 18:27) or loving (Luke 15:20) reaction over against acts of rejection (Matt 18:34; Luke 15:28; cf. TDNT7:554). In both parables this vb. makes the unbounded mercy of God visible; in the former we see also his deadly and decisive anger against the one who, having experienced mercy, denies the divine act by being unmerciful himself. Then in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Luke 10:30–37) σπλαγχνίζομαι(10:33) expresses the attitude of complete willingness to use all available means for saving at the crucial moment. It contrasts with the actions of those who merely passed by on the other side (10:31–32). The Samaritan’s behavior reflects the mercy (ἔλεοςG1799) that Jesus expects of us (10:37). Humanity and neighborliness (10:36) are not abstract qualities; they involve concrete action. Note in this connection the expression “to shut one’s σπλάγχνα,” used of refusing help to those in need (1 John 3:17).
3In Luke 1:58 (as in T. Zeb.7.3; 8.2; see above, JL 2), the noun σπλάγχναis used with the gen. of ἔλεοςto denote the depth of God’s love (Eng. versions   V 4, p 354  usually render the phrase “tender mercy”). Paul speaks of the σπλάγχναof Christ in Phil 1:8, though here the allusion is to his own affection: “I long for all of you with the compassion of Christ Jesus” (NRSV); the point is that Christ is the source of the love that embraces and lays claim to the apostle’s whole personality (cf. also Phlm 20, “refresh my heart [μου τὰ σπλάγχνα] in Christ”).
Elsewhere Paul uses the term more directly with ref. to the center of a person’s loving action, thus roughly equivalent to heart. In 2 Cor 6:12 he accuses his readers of restricting their love for him, while in 7:15 he says of Titus, “his heart goes out all the more to you” (NRSV; NIV, “his affection for you is all the greater”). The term is used in combination with οἰκτιρμόςG3880 in Phil 2:1 and Col 3:12 to underscore the need for wholehearted compassion among believers.
In Phlm 7 and 20 the refreshing of the σπλάγχναof believers means the refreshing of the whole person; there would be no significant change in meaning if a pers. pronoun had been used instead, but the expression certainly adds pathos to the statements. And when Paul refers to Onesimus as τὰ ἐμὰ σπλάγχνα(v. 12), he emphasizes the strong bond between them (NIV, “who is my very heart”). That the word is used three times in this short letter shows Paul’s inner participation and personal concern.
 Moisés Silva,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Grand Rapids, MI: Zondervan, 2014), 352–354.

9-11절) 바울의 기도에서 그의 첫번째 간구는 하나님이 기독교의 미덕중 가장 중요한 사랑이 점점 더 더해지고 이에 지식과 모든 총명이 함께 할 것을, 그래서 빌립보 교인들의 사랑이 다른 이들에게 도움이 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림으로 지혜로운 행동으로 표현되기를 구하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를 따른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깨달아갈 수록 점점더 위대한 것을 행하고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하나님께 대한 기쁨의 순종은 그들에게 예수님께서 다시 오실 때에 순수하고 흠이 없이 발결된 것이라는 확신을 줄 것이다. 이는 일순간의 영적인 완성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닮는 것에 자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의의 열매는 신자 자신의 능력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 열매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오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하나님의 영광과 찬송이 되는 것이다. 
The first petition in Paul’s prayer is that God would cause the cardinal Christian virtue of loveto abound more and more, and that it would be accompanied by knowledgeand all discernment, so that the Philippians’ love would find expression in wise actions that would truly benefit others and glorify God. As Christians grow in thei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follow Jesus, they will increasingly be able to affirm and practice what is excellent. Such joyful obedience to God will give them the confidence of being found pure and blamelesswhen Jesus returns. This does not imply instantaneous spiritual perfection but rather an increasing likeness to Christ. But fruit of righteousnessis not produced in the believer’s own power. Because that fruit comes through Jesus Christ, it will result in the glory and praise of God.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280.

9절) 바울은 사랑을 지식과 모든 총명으로 점점 더 풍성하게 할 것을 기도하고 있다라고 말한다. 그는 단지 감정적인 사랑이 아니라 지식과 모든 총명을 구비한 사랑의 풍성함을 바라고 있는 것이다. 사랑은 ‘아가페’, 지식은 ‘에피그노시스’, 총명은 ‘아이스테시스’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지식은 ‘기노스코’ 알게 하다, 깨닫다, ‘그노시스’ 지식, 앎이라는 단어에서 나왔다. 여기에서 나아가 '에피+그노시스’ 완전한 앎, 인식을 의미한다. 또한 총명은 지식, 재능, 분별력, 전문적인 기술을 뜻하는 단어이다. 이 단어는 신약에 3번 등장하는데 눅 9:45, 빌 1:9, 히 5:14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총명이라는 단어는 감각기관을 통한 구체적인 앎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습관적인 연습을 통해서 성장해야하는 영적인 은사로서의 도덕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NTThree terms from this word group occur in the NT, each only once. The vb. αἰσθάνομαιis used by Luke in a clear mental sense to describe the disciples’ failure to comprehend Jesus’ prediction of his suffering: “But they did not understand [ἀγνοέωG51] what this meant. It was hidden from them, so that they did not grasp it [ἵνα μὴ αἴσθωνται αὐτό]” (Luke 9:45). In Phil 1:9 Paul places discernment (αἴσθησις) and knowledge (ἐπίγνωσιςG2106) side by side as two of love’s expressions and functions. Here knowledge is perhaps directed primarily to God; true discernment is necessary for human relationships, where it must distinguish between good and evil and judge accordingly (cf. esp. 1:10, which uses the vb. δοκιμάζωG1507, “to examine, approve”). Finally, Heb 5:14 says of “the mature” that their “faculties [αἰσθητήρια] have been trained by practice to   V 1, p 180  distinguish good from evil” (NRSV). As in the LXX, the term here refers not to the concrete organ of sense but to a moral ability—a spiritual gift that must be developed through habitual practice.
 Moisés Silva,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Grand Rapids, MI: Zondervan, 2014), 179–180.

10절) 선한 것이 무엇인지, 우수한 것이 무엇인지를 분별하기를(인정하기를) 원하며 그리스도의 날까지 순결하고 흠이 없기를 원한다. 
이처럼 진실하여 허물 없음, 거룩하고 순결하고 흠이 없음은 그리스도의 역사하심으로 교회에게 주어진 것이다. 바울은 자신을 그렇게 드렸다. 기도를 통해서 바울은 이 일이 마지막 날까지 이루어질 것을 구하며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의 빌립보 성도들을 향한 기도제목
  1. 빌립보 성도들의 사랑이 지식과 모든 총명으로 점점 더 풍성하게 되기를
  2. 이를 통해 지극히 선한 것을 분별하기를
  3. 나아가 진실하여 허물없이 그리스도의 날까지 이르기를
  4.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의의 열매가 가득하여 하나님의 영광과 찬송이 되기를





728x90
18 And the word of the Lord of hosts came to me, saying, 19 “Thus says the Lord of hosts: The fast of the vfourth month and the fast of the wfifth and the fast of the xseventh and the fast of the ytenth shall be to the house of Judah zseasons of joy and gladness and cheerful feasts. Therefore love atruth and peace.
20 “Thus says the Lord of hosts: Peoples shall yet come, even the inhabitants of many cities. 21 The inhabitants of one city shall go to another, saying, b‘Let us go at once cto entreat the favor of the Lord and to seek the Lord of hosts; I myself am going.’ 22 bMany peoples and strong nations shall come to seek the Lord of hosts in Jerusalem and cto entreat the favor of the Lord. 23 Thus says the Lord of hosts: In those days dten men efrom the nations of every tongue shall take hold of the robe of a Jew, saying, ‘Let us go with you, for fwe have heard that God is with you.’ ”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슥 8:18–23.

18절) 7장에서 벧엘 사람 사레셀과 레겜멜렉이 질문한 사람은 여호와의 성전에 있는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이다.(7:2-3) 그러나 그들에게 여호와의 말씀이 임한 것이 아니고 스가랴 선지자에게 그 대답의 말씀이 임하였다. 

19절) 넷째달, 다섯째달, 일곱째 달, 열째 달의 금식이 변하여 유다 족속에게 기쁨과 즐거움과 희락의 절기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너희는 진리와 화평을 사랑해야 한다.(16절) 각각의 금식의 날을 이스라엘의 역사상 비극적인, 슬픔의 순간들이다. 그런데 이 금식이 변하여 기쁨과 즐거움과 희락의 절기가 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7장에서는 5월과 7월의 금식만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4월과 10월의 금식을 추가했다. 이 모두 예루살렘의 멸망과 관계있는 것으로 이제 예루살렘의 회복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Formerly, the people fasted in the fourth month, when the walls of Jerusalem were breached (2 Kings 25:3–4; Jer. 39:2; 52:6–7); in the fifth, when the city fell (Jer. 52:12–15); in the seventh, when Gedaliah was assassinated (2 Kings 25:25; Jer. 41:1–3); and in the tenth, when the siege of the city first began (2 Kings 25:1; Ezek. 24:1–2). Yet in the days ahead, these fast days would be turned to feast days, seasons of joy and gladness, celebrating the salvation and transformation that the Lord had accomplished for them. In view of this, the people are called to love truth and peace: “love” implies commitment and devotion rather than being simply an emotional response.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761.
기쁨이라는 말은 히브리어로 ‘사손’인데 이는 잔치에서 즐겁게 먹는 것과 연관되어 있고(사 22:13) 기쁨의 잔치에도 쓰였다.(에 8:16-17) 즐거움, ‘심카’도 함께 모여 기쁨을 나눌때 쓰인 단어이다.(삼상 18:6; 왕상 1:40; 사 9:3)
본문은 슬픔의 금식의 날이 기쁨과 즐거움의 절기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진리와 화평을 사랑하라고 말한다. 이는 이 기쁨과 즐거움의 절기를 계속해서 유지해나가기 위해서 진리와 화평을 이루고 추구해야할 것을 말하는 것이다. 8장 전체에서 진리와 화평을 말한다.(3,  8, 16-17) 모든 관계, 사람들과의 관계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진실과 화평은 대단히 중요한 주제이다. 진리, 진실이 없으면 참된 관계가 이루어질 수 없고 나아가 사회적 관계, 특히 공평을 실현해야할 법제가 위협받게 되고 사회 제도가 위협받고 약자들이 아픔을 당하게 된다. 그러기에 우리는 진리와 화평을 추구하고 사랑해야 한다. 
After a repeated, emphatic assertion that his sermon was of divine origin, Zechariah quoted God as saying that all of the former fasts would become times for rejoicing in Israel’s relationship with the Lord (see Jer 31:10–14). Zion’s great joy will cause episodes of judgment and deprivation to recede into a faded memory. Up to this point in Zechariah’s revelation, the prophet had declared that the Lord will “restore the nation” (1:16–17; 2:10; 3:9; 4:9; 8:3–8, 11–13), appoint his messianic leaders (3:5, 7–8; 4:7–8, 14; 6:12–13), and rule as sovereign over the nation of Judah as well as govern all the other nations of the world (1:10–11; 2:5, 10–11; 6:7–8; 8:8).151
151 Merrill, Zechariah, 231.
 George L. Klein, Zechariah, vol. 2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TN: B & H Publishing Group, 2008), 245.

Zechariah strongly conveyed the rejoicing that the future will bring by using three synonyms for joyfulness. The term “joyful” (śāśôn) means “exultation or rejoicing,” especially in light of the Lord’s favor (see Ps 51:8).156 Likewise, the Hebrew term for “glad occasions” (śimḥāh) signifies “mirth.”157 This latter expression, when describing gladness in a social setting, may refer to the fellowship that family and friends share around a meal (see Gen 31:27). If this is the case, it presents a particularly pregnant connotation in light of Zechariah’s transformation from fast to feast. Last, the Hebrew phrase for “happy festivals” (mōʿădîm) does not occur elsewhere in the Old Testament, but the expression speaks of good or pleasant assemblies. Whereas past memories of Jerusalem brought lament and pain, future memories of Zion will focus on the feasting within the city: “Look upon Zion, the city of our festivals” (Isa 33:20).
Verse 19 concludes with the imperative, “love truth and peace.” Although the injunction to love occurs in many truly significant theological texts, the command does not appear frequently in the Old Testament. In Lev 19:18, 34 (see also Matt 22:39; Mark 12:31; Luke 10:27; Rom 13:9; Gal 5:14; Jas 2:8) God commands his faithful to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Further, Deut 6:5, the Shema, requires believers to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strength.” Neither admonition refers to an “emotional” response that God expected Israel to direct either to one another or to himself. Rather, the faithfulness or obedience to the covenant God had made with his people represents the essential idea of “love.” Furthermore, the biblical use harmonizes nicely with the ancient Near Eastern covenants that use similar vocabulary to require obedience to the covenant.158 Thus, v. 19 concludes with the command for every Judahite to show covenantal faithfulness both to God and man.

156 שָׂשׂוֹן. HALOT, 1363.
157
שִׂמְחָה. HALOT, 1336–37.
158 W. L. Moran, “The Ancient Near Eastern Background of the Love of God in Deuteronomy,” CBQ 25 (1963): 77–87. Also, D. J. McCarthy, Treaty and Covenant (Rome: Pontifical Biblical Institute, 1963).
 George L. Klein, Zechariah, vol. 2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TN: B & H Publishing Group, 2008), 246–247.

20-22절) 앞서 금식이 기쁨의 절기가 된 것을 보고 여러 백성과 많은 성읍의 거민이 올 것이다. 이 성읍 거민이 저 성읍 거민에게 가서 만군의 여호와를 찾고 여호와께 은혜를 구자하라고 할 것이고 그것을 보고 다른 성읍의 사람들도 나도 여호와께 가겠다라고 할 것이다. 나아가 많은 백성과 강대한 나라들이 예루살렘으로 와서 만군의 여호와를 찾고 여호와께 은혜를 구할 것이다. 
본문은 앞서 2:11절에 선포된 내용이다. 
본문은 이제 개인적인 차원이 아니라 성읍, 민족적인 차원에서 하나님앞에 나아올 것을 말한다. 과거 어느 성읍 백성이 다른 성읍 백성을 찾아간다는 것은 전쟁하러 나아가는 것 밖에 없었다. 이렇게 수많은 성읍들이 공경당하고 훼파되던 것을 경험했던 이들이 다른 성읍에도 여호와의 은혜를 구하러 간다는 것이다. 또한 22절의 나라는 이방인을 가리키는 ‘고임’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이스라엘이 이렇게 이방인들의 축복의 통로가 되는 것은 아브라함 언약에서 이미 선포되었다. 
The Abrahamic covenant assured Israel that she will become the channel of blessing between the Lord and the nations of the world. Further, Gen 1–11 develops the theme of “why all the families of the earth need the blessing” the Lord offers.
 George L. Klein, Zechariah, vol. 2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TN: B & H Publishing Group, 2008), 247.

본문에 여호와께 은혜를 구하자는 표현은 앞서 반복된다.
- The phrase “to entreat the Lord” (lĕbaqqēš ʾet—YHWH; vv. 21 and 22) occurs also in 7:2.165 When used in secular contexts, the expression describes appeasement, seeking mercy or favor. In the spiritual domain, the phrase portrays the preparation of the worshipper’s heart for prayer to the Lord. Typically, sacrifice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passages where people “entreat the Lord.”166
165 לְבַקֵּשׁ אֶת־יהוה. HALOT, 152.
166 TDOT, 4:409. Merrill illustrates the religious use of the term with Moses’ mediatorial actions in Exod 32:11–13 when he “sought the favor of the Lord” in asking God to spare the idolatrous people (Zechariah, 233–34).
 George L. Klein, Zechariah, vol. 2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TN: B & H Publishing Group, 2008), 249.

 
23절) 옷자락을 잡는다는 말은 상대방에게 복종하고 간구하는 표현으로 고대 근동에서 많이 사용되던 표현이다. 사울이 사무엘의 옷자락을 잡고 간청하는 대목에서도 볼 수 있다.(삼상 15:27) 이방인들이 이스라엘 사람들의 옷자락을 잡는 다는 것은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가 참된 하나님이라는 것과 이스라엘 백성의 축복이 참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하나님의 함께 하심, 임마누엘이 은혜의 통로임을 듣고 깨달은 이들이 이제 이스라엘과 함께 하기를 원하는 것이다. 
또한 방언이 다른 이방의 백성 열명이 유다의 옷자락을 잡는다는 것은 바벨탑 사건에서 언어를 흩으신 하나님께서 다시금 이를 하나되게 하실 것을 말해준다. 
Moreover, Zech 8:23 declares that ten foreigners speaking the different languages of the world will stand with every Judahite. Accordingly, Zechariah’s prophecy represented a reversal of the divine decree in the tower of Babel passage (Gen 11:1–9).163 The apostle Paul continued this theme in Gal 3:8: “The Scripture foresaw that God would justify the Gentiles by faith, and announced the gospel in advance to Abraham: ‘All nations will be blessed through you.’ ”
163 Smith, Micah-Malachi, 241.
 George L. Klein, Zechariah, vol. 2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TN: B & H Publishing Group, 2008), 248.

본문의 그날은 앞서 2:11절을 말한다. 여호와의 날, 주님의 완전한 통치가 완성되는 날을 말한다. 

본문의 열 명을 문자적 의미라기 보다는 상징적으로 모든 인류를 통칭한다. 
Zechariah prophesied that the Day of the Lord will see ten Gentiles in Zion worshipping the Lord for every Judahite. The number ten is not literal, but rather symbolizes the totality of humanity. The symbolic use of the number ten occurs in other Old Testament passages (see Gen 31:7; Lev 26:26).
 George L. Klein, Zechariah, vol. 2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TN: B & H Publishing Group, 2008), 249.

The theme of seeking the Lord that stands so prominently in vv. 20–22 transforms into “grasping” him in v. 23, a topic mentioned twice in a single verse. Thus, Rom 14:11 (see also Phil 2:11) portends, “ ‘As surely as I live,’ says the Lord, ‘every knee will bow before me; every tongue will confess to God.’ ”
 George L. Klein, Zechariah, vol. 2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TN: B & H Publishing Group, 2008), 250.

스가랴의 전반부는 이렇게 8장으로 마쳐진다. 8가지의 환상을 말한뒤에 이스라엘의 참담한 현실로부터 하나님이 약속하신 이스라엘의 회복의 미래의 축복을 선포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7-8장은 하나의 큰 설교로 처음 벧엘에서 몇 사람이 금식에 대하여 제사장과 서기관에게 질문한다. 당시 이스라엘 백성의 현실을 잘 말해준다. 유다가 멸망한 이후 과거의 멸망을 기억하며 슬퍼하며 금식하는 백성이다. 그러면서도 금식의 참된 의미를 잊고 여전히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지 않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여호와의 말씀을 전한다. 그는 7장에서 그들이 환난당하는 이유를 설명해주고 8장에서는 자기 백성에 대한 여호와의 질투하시는 사랑 때문에 그 백성을 구하시갰다는 미래의 약속을 두번에 걸쳐 강조한다. 그러므로 구원받은 하나님의 백성은 두려워하지말고 진실하게 살것을 명령한다. 미래의 예루살렘의 회복과 수많은 이방이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자리로 나아올 것에 대한 소망을 통해서 현실을 살아갈 것을 명하고 있는 것이다. 

- As chap. 8 concludes, the prophet completes the first part of the book, leaving Judah with ample reason to have confidence in the future. The Lord’s own assurances, indeed his very presence dwelling among the people in Zion, give all the faithful great optimism for their destiny. Psalm 126 captures the nation’s changing fortunes well:
When the Lord brought back the captives to Zion,
we were like men who dreamed.
Our mouths were filled with laughter,
our tongues with songs of joy.
Then it was said among the nations,
“The Lord has done great things for them.”
The Lord has done great things for us,
and we are filled with joy.
Restore our fortunes, O Lord,
like streams in the Negev.
Those who sow in tears
will reap with songs of joy.
He who goes out weeping,
carrying seed to sow,
will return with songs of joy,
carrying sheaves with him.

 George L. Klein, Zechariah, vol. 2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TN: B & H Publishing Group, 2008), 250–25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