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A prayer of Habakkuk the prophet, according to Shigionoth.

O Lord, xI have heard the report of you,

and yyour work, O Lord, do I fear.

In the midst of the years zrevive it;

in the midst of the years make it known;

ain wrath remember mercy.

God came from bTeman,

cand the Holy One from Mount Paran. Selah

His splendor covered the heavens,

and the earth was full of his praise.

x ver. 16; [Ps. 44:1]

y Ps. 90:16

z Ps. 85:6

a [Ps. 77:9]

b See 1 Chr. 1:45

c See Deut. 33: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합 3:1–3.

 

1절) 선지자 하박국이 시기오놋에 맞춘 기도이다. 

시기오놋은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데 많은 학자들은 이것이 음악적 기호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왕이나 백성들이 모여서 비나 땅의 풍작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압제로부터의 구원을 위해서 기도하면 하나님께서 선지자를 통해서 말씀하신다. 선지자는 모든 사람의 운명을 좌지우지하는 하나님의 승리를 보고, 듣고 선포할 권한을 받았다.  

The title verse also contains the curious expression “shigionoth,” a transliteration from the Hebrew. Though the meaning of the word is unknown, scholars agree that it is most likely a musical notation.18 The final sentence of the chapter supports this supposition. Many similar terms in titles to the psalms are now thought to be names identifying hymn tunes or instructions concerning the playing of the music which apparently accompanied the psalm.

J. H. Eaton speculated concerning the original and later use of the psalm. Based on the elements found in the first and last verses (concerning musical instruments and the word “psalm”) and other elements such as selah,19 he affirmed its liturgical use, assigning it to the time of the Autumnal Festival at the preexilic temple.20 Eaton speculated specifically concerning the origin of the psalm. He viewed the king and people assembled to pray for salvation—for rain and fertility of land as well as deliverance from social and political oppression. God spoke through the prophet. “He was empowered to see, hear, and declare the life-giving victory of God which would eventually be seen to shape the destiny of all.” Eaton further questioned whether the prophet may have composed the psalm in advance or whether it came “as the spontaneous product of intense inspiration in this public setting.”21

18 Robertson (Nahum, Habakkuk, Zephaniah, 215) follows Keil and says it could refer to a kind of performance that would reflect the excitement that should accompany the celebration of a psalm with such a disturbing topic. HALAT 4:1314, list attempts to understand the term: (1) a lament as found in titles of prayers in Akk.; (2) an ecstatic poem or a song of an ecstatic, a meaning derived from שׁגה, “reel, stagger”; (3) to set something in great agitation or excitement, based on Arabic.

19 J. H. Eaton, “The Origin and Meaning of Habakkuk 3,” ZAW 76 (1964): 144–71. Eaton concluded that though the meaning of סֶלָה is “not yet agreed, its liturgical character can be safely assumed” (p. 159).

20 Ibid., 168–70.

21 Ibid., 168–69.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54–355.

 

2절) 여호와여 내가 당신에 대한 소식과 당신의 역사를 듣고 놀랐습니다. 여호와여 주는 수년안에 부흥케 하옵소서. 수년내에 그것을 알리시옵소서. 진노중에 자비를 기억하옵소서. 

하박국서 전체를 통해서 본절은 하나님께 무언가를 행하실 것을 간청한다. 나머지 기조의 부분에서는 과거에 하나님의 위대함과 하나님의 역사하심 속에 선지자가 가지는 조용한 자신감을 표현한다. 선지자의 간청은 본절에서 베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첫번째는 생명을 보존할 것을, 앎을 제공할 것을 그리고 자비를 기억할 것을 요청한다. 

Of the entire chapter, only this verse takes on the form of a petition for God to do something. The remainder of the prayer describes the greatness of God in the past and expresses the prophet’s quiet confidence in the work of God. The prophet’s petition is threefold: preserve life, provide understanding, and remember mercy.24

24 Ibid., 218.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55.

 

이스라엘은 어떤 신비한 경험보다는 하나님의 역사하심에 그들의 종교의 기반을 두고 있다. 하박국 선지자는 과거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그의 자신감과 간청에 기초한다. 하나님께서는 애굽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이끄심으로 희망을 제공했고 하나님은 이후에대 계속해서 일하실 것이라는 자신감을 불어넣었다. 홍해의 해변에 죽은 애굽인들을 보는 것은 하나님의 보호하심의 명백한 증거를 제공했다. 이스라엘은 결코 애굽을 탈출할 수 없었다. 오직 하나님의 개입만이 이스라엘을 구원했다. 그러나 하박국은 좋았던 옛날로 돌아갈 것을 바라지 않는다. 하지만 그는 이제 임할 최고의 것을 안다. 

Israel based its religion on the work of God rather than any mystical experience. The prophet based both his confidence and his petition on the work of God in the past. God’s leading the people of Israel out of Egypt provided hope and instilled confidence that God would continue to work in the future. Seeing the Egyptians dead on the seashore provided conclusive evidence of the protection of God. Israel could never have escaped from Egypt. Only God’s intervention saved Israel. Habakkuk does not present a desire to return to the “good old days,” however. He knows that “the best is yet to come.”26

26 W. P. Brown, Obadiah through Malachi. Westminster Bible Companion (Louisville: WJK, 1996), 95.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55.

 

하박국은 하나님의 목적이 성취되기를 원하고 하나님의 역사가 온 땅에 이루어지기를 원하고 하나님의 행하심이 역사의 구절들안에 믿음을 통해서 명확하게 보여지기를 원한다. 이 선지자는 인간이 아니라 하나님께 집중한다. 그 선지자는 하나님의 일하심에 대한 그의 경외를 선언한다. 구약에서 여호와에 대한 경외는 지혜의 시작이고 종교에 대한 동의어이다. 신명기는 ‘듣는 것과 두려워하는 것’은 하나님과의 경험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간주했다. 여호와 하나님의 강력한 역사하심이 종교예식에서 암송되는 것을 들을 때 그 적절한 반응은 두려움 혹은 경외와 과거의 영광이 현재에 재연될 것에 대한 소망을 가지는 것이다. 

Habakkuk “wants God’s purpose to be fulfilled, God’s work on earth to be done, God’s actions to be seen clearly by faith in the passages of history. This prophet concentrates on God and not on human beings.”27 The prophet declared his awe at the work of God. “I stand in awe” translates the Hebrew verb yarēʾtî, “I fear.” In the Old Testament, the fear of the Lord is the beginning of wisdom and a virtual synonym for “religion.”28 Deuteronomy shows that “hearing and fearing” may be regarded as the natural reaction to an experience with God.29 “When one hears Yahweh’s mighty work recited in the cult, the appropriate response is fear or awe and a desire to see those ancient marvels repeated in the present.”30

27 Achtemeier, Nahum–Malachi, 54–55.

28 D. D. Garland, “Habakkuk,” BBC (Nashville: Broadman, 1972), 264.

29 See Deut 13:12; 17:13; 19:20; 21:21; Robertson, Nahum, Habakkuk, Zephaniah, 216, who says, “fear is a significant indicator of the faith of the prophet.”

30 Roberts, Nahum, Habakkuk, and Zephaniah, 131.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56.

 

하박국은 과거에 행하셨던 하나님의 역사하심에 근거해서 하나님께서 수년내에, 지금 우리의 때에 그 일을 나타내실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는 과거 애굽의  압제로부터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것처럼 지금 바벨론의 압제로부터 그들을 구원해주실 것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 구절에서는 진노와 긍휼을 대조하고 있다. 진노라는 단어는 ‘흔들리다’, ‘떨다’라는 의미이고 긍휼은 자궁이라는 단어와 연관이 있다. 이는 하박국이 여호와 하나님께 요청한 연민과 민감함을 가리킨다. 이 구절은 먼저 이스라엘에 대한 그분의 진노가운데서 긍휼을 보이실 것을 또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대적자들에 대해 진노를 발하실 때조차도 이스라엘에게 긍휼을 보이실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약속에 근거해서 악한 자들을 심판하실 것이다. 말하자면 그들에게 진노를 발하실 것이다. 선지자는 바로 그 순간에도 하나님의 긍휼과 자비를 잊지 말라고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바벨론에게 임한 심판의 순간속에서 과거 애굽을 탈출할때 베푸셨던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기억하며 그와같은 은혜를 베푸실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3절) 하나님께서 데만으로부터 오시며 그 거룩하신 분이 바란 산으로부터 오신다.(셀라) 그의 광채가 하늘을 덮었고 온땅에 그의 찬송이 가득했다. 

본절은 구약에서 신현, 하나님의 임재에 대한 가장 광대하고 아름다운 표현이다. 이러한 신현은 하나님께서 크신 능력과 영광중에 임하시는 것을 묘사하는 것이다. 이는 시내산에서 율법을 수여하실 때 보여졌다.(출 19)

 

히브리어의 동사의 지세는 번역자에게 그 구절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도전합니다. 신현을 표현한 대부분의 동사는 완료시제이며 대개 과거의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개역개정은 본절에서 신현의 표현을 현재로 했지만 대부분의 영역에서는 과거형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것이 과거의 사건을 묘사하는가 아니면 미래의 어느 시점에 임할 것을 묘사하는가? 완료시제를 사용하는 한가지 방법은 '예언적 완료’나 ‘자신감의 완료’이다. 이 방법은 어떤 것을 매우 확실하게 묘사하는 방법으로 선지자가 마치 이미 성취된 것처럼 말하는 것이다. 이는 그 사건들이 미래에 일어날 것을 묘사하면서 그 발생의 확실성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번역가들이 과거인지 현재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지에 관계없이 하나님께서는 하박국의 기도에 응답하셨고 그분의 주권적인 목적에 따라 역사하셨다. 하박국은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확실성을 느꼈다. 신현의 결론으로 그 선지자는 하나님의 구원을 기다리는 것으로 결심했다.(합 3:16) 로버트슨은 말하기를 “심판은 전능하신 하나님과 하바국의 대화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그 전체적인 요점은 심판의 맥락속에서 하나님 자신에 의한 구원이었다.”

The verb tenses in the Hebrew challenge the interpreter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passage. Is the passage future, present, or past? Verb tenses in Hebrew do not give past, present, or future time as much as aspectual distinctions.40 Most of the verbs in the theophany are in the perfect tense, usually used in past time contexts. The NIV, following the KJV and RSV, translates the verbs in the past tense. Does this describe an event in the past or one coming at some point in the future?

One way of using the perfect tense is the “prophetic perfect” or “perfective of confidence,” a way of describing something so certain that the prophet could speak of it as already accomplished.41 A modern phrase which captures the essence of the “prophetic perfect” is to say that “it’s money in the bank,” that is, “you can count on it, it’s sure to happen.” This would mean that the events described would occur in the future while emphasizing the certainty of the occurrence.42 Achtemeier argues exegetically and theologically for a present interpretation of the theophany, saying that the tradition saw the coming at the Exodus when Israel proclaimed God as their king (Exod 15:18), while “this time he comes as King over all the earth: His glorious manifestation so illumines the heavens that all the earth responds in praise (cf. Ps 48:10).”43

Whether or not the interpreter can determine past or present, God answered the prayer of Habakkuk and acted according to his sovereign purpose. Habakkuk felt the certainty of God’s work. At the conclusion of the theophany, the prophet determined to wait for God’s redemption (Hab 3:16). As Robertson notes, “Judgment had been central to Habakkuk’s dialogue with the Almighty. But the whole point had been salvation for God’s own in the context of judgment.”44

40 For a thorough discussion see Waltke and O’Connor, IBHS §29–31. For a more concise explanation see D. W. Bailey and J. O. Strange, Biblical Hebrew Grammar (New Orleans: Insight, 1985), 51–53.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KJV King James Version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41 Waltke and O’Conner, IBHS § 30.5.1e.

42 Roberts says that the prophet has changed the perspective of his ancient models such as Deut 33:2–5; Judg 5:4–5; Ps 68:8–9; Exod 15:14–16, which portray God’s theophany as a past event. “Habakkuk portrays God’s march as though it were happening in the present, before his very eyes” (Nahum, Habakkuk, and Zephaniah, 151).

43 Achtemeier, Nahum–Malachi, 56.

44 Robertson, Nahum, Habakkuk, and Zephaniah, 219.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58–359.

 

데만은 에돔 지역으로 남부 유다에 위치한 곳이다. 데만은 비옥한 지역이고 중요한 무역로들이 교차하는 지역이었다. 이 문맥에서 데만은 에돔 지역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바란은 시나이 반도의 유다 남서쪽의 산악지역이다. 이 두 지역은 과거 하나님의 임재를 표현다. 율법을 주시고 광야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하셨을 때. 그러므로 이 구절은 청자나 독자들로 하여금 과거 하나님의 일하심과 그분의 능력을 상기하게 했다. 본문의 하나님은 ‘엘로하’인데 오래전 하나님께서 족장들을 그 땅을 통해 인도하셨고 그 백성을 광야를 통햇 인도하신 하나님의 역사하심에 대한 기억을 이끌어냈을 것이다. 이러한 표현은 적대자들의 관점으로 그들은 이스라엘의 언약의 하나님으로서의 여호와가 아니라 창조자로서의 엘로하를 보았다. 

The name for God, ʾĕlôah, used in this instance is a rare and archaic name which probably evoked memories of the work of God in ancient times when he led the patriarchs through the land and the people through the wilderness.51 Patterson sees this usage as demonstrating the enemies’ perspective. They saw God “not as Yahweh, Israel’s covenant God, but as Eloah, the Creator (Deut 32:15) and the Lord of the earth (Pss 18:31; 114:7).”52

51 אֱלוֹהַ is found fifty-seven times in the Old Testament, forty-one times in the Book of Job, with most of the occurrences found in the dialogue. See H. Ringgren, “אֱלֹהִים ʾeōlōhîm,” TDOT 1:272.

52 Patterson, Nahum, Habakkuk, Zephaniah, 232.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360.

 

 

 

 

 

728x90
So if there is any encouragement in Christ, any comfort from flove, any gparticipation in the Spirit, any haffection and sympathy, icomplete my joy by being jof the same mind, having the same love, being in full accord and of one mind. Do nothing from kselfish ambition or lconceit, but in mhumility count others more significant than yourselves. Let each of you nlook not only to his own interests, but also to the interests of others.
f[Rom. 15:30; 2 Thess. 2:16]
g2 Cor. 13:14
hCol. 3:12
iJohn 3:29; 15:11
jSee Rom. 12:16
kch. 1:17
lGal. 5:26
m[Eph. 5:21]; See Rom. 12:10; Eph. 4:2
nSee Rom. 15: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빌 2:1–4.


1-2절) 그러므로 그리스도 안에 무슨 권면이나 사랑으로 부터 오는 무슨 위로나 성령의 무슨 교제나 긍휼이나 자비가 있거든 마음을 같이 하여 같은 사랑을 가지고 뜻을 합하여 한 마음을 품어 기쁨을 충만케 하라.
본문 1절에서 바울은 ‘있거든’이라는 조건문을 사용하는데 이는 빌립보 교회의 성도들에게 이런 성품, 특성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의심이라기 보다는 도리어 이런 특성(권면, 위로, 교제, 긍휼, 자비)들이 그들의 삶의 실재로 드러나도록 촉구하는 의미에서 이런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1절의 특성을 기반으로 이후 2-4절의 삶을 살아내는 것이다. 결국 이런 특성들은 마음을 같이 하여 같은 사랑을 가지고 뜻을 합하여 한 마음을 품게 한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성품을 가지고 살아가게 될때 우리는 다양한 은사를 가진 사람들이지만 한 성령안에서 궁극적으로 하나가 되어 간다. 한 마음과 한 뜻으로 같은 사랑가운데 마음을 하나로 모아가게 되는 것이다. 

본문 1절에 그리스도의 권면, (하나님의) 사랑, 성령의 교제가 모두 등장한다. 1절이 그러므로라는 단어로 시작되는데 이는 앞서 1:27-30절의 내용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어떻게 도전받는 친구들을 독려하여 함께 그 일을 할 수 있게 하겠는가? 그것은 바로 하나님과 인간적인 관계에 어필하는 것인데 바울이 지금 빌립보 성도들에게 그렇게 하고 있다. 
So how does one entreat friends to get back on track? By appealing to relationships, both divine and human. It may not always work, but this is certainly the primary way. Paul begins by appealing to the encouragementor “comfort” that beingin (NIV united with) Christcan bring, as a direct response to their common experience of suffering for Christ in the preceding clause (1:29–30). But right at that point, before dictating a “then” clause, he adds three more "if“ clauses, whose studied accumulation is part of the rhetorical effect.*
*2:1The fourfold repetition of ifis almost certainly for rhetorical effect, in a situation where the letter will not be read privately but publicly. Although ifordinarily forms the protasis of a conditional sentence, in this case the protases do not so much express supposition as presupposition. Hence “if this be the case, as it certainly is.”
Paraklēsis(NIV encouragement) in the first clause is a thoroughly ambiguous word in Greek whose meaning ranges from “exhortation” through “encouragement” to “comfort.” Although the word in the next clause (paramythion) clearly and only means comfortor “solace,” the close tie of the first clause to the preceding sentence suggests that the encouragementintended leans equally toward “comfort.”
For a thorough and helpful discussion of the options and their ramif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if-clauses—although I differ a bit with his conclusion and reason for it—see O’Brien 1991:167–76, who also includes data on the various scholars who take each option. Part of our difficulty here is probably related to the nature of dictation, in that what is written by way of dictation sometimes still carries the rhetorical effect of oral speech. In this kind of rhetoric, precision is a lesser concern than is the persuasive effect created by the accumulation of phrases. It is possible therefore (probable, I think) that the emphasis shifts as Paul warms up to his rhetoric.
 Gordon D. Fee, Philippians, vol. 11,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9), 84.

긍휼을 의미하는 단어는 ‘스플랑크나’로 창자, 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자비의 마음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리스도의 위로에 기초한 성령안에 하나됨은 복음의 확장을 가져올 것이고 이는 바울의 기쁨을 가져 오게 될 것이다. 본문에 ‘프로네오’라는 단어는 문자적으로 '같은 일을 마음에 놓는다, 한가지 일에 너의 마음을 놓음’을 의미한다. 본문에서 뜻을 합하여라고 표현된 단어는 ‘심사이코스’로 영을 함께 한다라는 의미로 3절의 본문에서는 영과 마음을 함께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ir unity in the Spirit, based on Christ’s comfort, will bring Paul’s joy over the advance of the gospel, already noted in 1:18, to full fruition. What is probably in view is his eschatological joy at their being together with him at the day of Christ (2:16).
The key word in the appeal, and indeed a key word in the letter, is the verb phroneō(see on 1:7), which is repeated in the first and third instances and has to do with the set of one’s mind, how one is overall disposed toward something (cf. Rom 8:5–7)—thus (literally) “set your minds on the same thing”/“setting your minds on the one thing.” This is the word that is picked up again in Philippians 2:5 (“have this same mindset, as Christ did”) and in 4:2, where he reproduces the identical language of this first phrase in urging Euodia and Syntyche to the same mindset. The second occurrence (third phrase) is accompanied by the adjective sympsychos(= “together in soul”), thus joining mind and soul together, while picking up the phrase “one soul” from 1:27.
 Gordon D. Fee, Philippians, vol. 11,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9), 86.

이 구절은 다음과 같이 번역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권면을 받고 있지요? 그렇지 않습니까? 사랑의 위로를 받고 있지요? 그렇지 않습니까? 성령의 교제를 나누고 있지요? 그렇지 않습니까? 자비와 긍휼을 받았지요? 그렇지 않습니까? 그러면 같은 마음을 품어서 나의 기쁨을 완성하시오…” 개역 성경은 이것을 되풀이 하여 “… 가 있거든”이라 번역하고 있는데, 이는 마치 “… 가 없을 수도 있겠지만 만약 있다면…” 이라고 말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줍니다. 하지만 여기서 바울이 말하려는 의도는 빌립보의 성도들에게 그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것들을 상기시키는 것이고, 그들 스스로가 그런 것들을 가졌다는 사실에 동의하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김세윤, 빌립보서 강해(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 95번지: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2), 73.

“긍휼과 자비”로 번역된 헬라어 ‘스플랑크나’는 위(胃)를 말하고, ‘오이크티르모이’는 내장을 말합니다. 당시 헬라 세계에서는 불쌍히 여기는 마음, 동정심, 자비심이 위 또는 내장에서 나온다고 여겼습니다. 우리말이나 서양 언어들에서 심장을 사랑의 샘터로 여기는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참고로 인도네시아어에서는 간을 사랑의 샘터로 여깁니다.
 김세윤, 빌립보서 강해(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 95번지: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2), 74.

2장 1절부터 4절까지는 하나의 긴 문장입니다. 그 문장의 주절은 “나의 기쁨을 완성하시오”입니다(원문에는 2절 머리에 나오나, 개역 성경에는 우리말의 어순상 4절 끝에 위치합니다). 1절에서 빌립보인들에게 “그리스도 안에서의 권면”, “사랑의 위로”, “성령의 교제”, 그리고 “긍휼과 자비”가 있음을 상기시키고는, 그러한 사람들이니 “나의 기쁨을 완성하시오”라고 요구하는 것입니다. 그러고는 그의 기쁨을 완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알려 줍니다. 그것은 1절에서 언급한 조건들을 갖춘 자들로서 해야 할 4가지 일을 하고 하지 말아야 할 3가지 일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바울은 4가지 해야 할 일을 “같은 생각을 갖는 것”, “같은 사랑을 베푸는 것,” “한 혼이 되는 것,” “한마음이 되는 것”이라고 나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한마음을 품고 서로 사랑하여 온전히 한 덩어리가 되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수사법이지, 그것들을 의식적으로 구분하려는 의도는 아닙니다. 사실 첫째와 넷째는 아예 구분이 불가능하고, 셋째 역시 앞의 둘과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바울이 이런 표현을 통해 결국 빌립보인들에게 “여러분 모두가 첫째도 한마음, 둘째도 한마음, 셋째도 한마음, 오로지 한마음을 품어 일심동체가 되시오”라고 말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김세윤, 빌립보서 강해(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 95번지: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2), 74–75.

3-4절) 한 마음을 품은 우리들은 아무 일에든지 이기적인 야망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나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나아가 각각 그 자신의 유익을 돌아볼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다른 사람의 유익을 돌아보아서 나의 기쁨을 충만케 해야 한다. 
우리의 사람을 추동하는 중요한 동인중에 하나가 성공의 욕구이다. 중요한 것은 이 성공의 기준이 무엇인가에 있다. 다른 사람보다 더 인정받고 높은 위치에 올라가는 것, 더 많은 돈을 벌고 더 많은 권력을 누리는 자리에 올라가고자 하는 욕구들이 모두에게 있는데 바울은 그러한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 것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본문에서 요구하는 삶, 자기 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 자기 유익을 추구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유익을 돌보는 삶은 어쩌면 이 시대에서는 보기 희귀한, 이 시대 정신을 거스르는 기독교의 중요한 가치이다. 이런 삶을 어떻게 살 수 있는가? 결국 우리들의 자력으로는 불가능하다. 성령안에서 한 마음을 품어야만 가능하다. 

본문의 겸손은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가치이다. 그런데 이 겸손이라는 덕목은 당시 그레고 로만시대에는 하찮게 여겨지는, 노예 근성 정도로 여겨졌다. 우리가 온전한 겸손을 깨닫고 소유하기 위해서는 내가 어떤 존재인지, 나를 지으신 분이 누구신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래서 무엇보다 창조의 회복이 필요한데 이는 창조주 안에 피조물로서 내가 어떤 존재인지를 깨달을때 가능한 것이다. 우리는 연약한 존재이면서 그분의 영광을 소유한 존재이기에 진정한 겸손은 자기 중심성을 극복할 때에 가능하다. 
Humility is thus not to be confused with false modesty (“I’m no good”) or with “milquetoast,” that kind of abject servility that only repulses. Rather it has to do with a proper estimation of oneself, the stance of the creature before the Creator, utterly dependent and trusting. Here one is well aware both of one’s weaknesses and of one’s glory (we are in God’s image, after all) but makes neither too much nor too little of either. True humility is therefore not self-focused at all but rather, as further defined by Paul, considers others better than yourselves.
As with humility, this last phrase does not mean that one should falsely consider others better.As Philippians 2:4 will clarify, we are so to consider others not in our estimation of them—which would only lead to the very vices Paul has just spoken against—but in our caring for them, putting them and their needs ahead of our own. Others in the community are not necessarily “better” than I am, but their needs and concerns “surpass” my own. After all, this is precisely how Christ’s humility expressed itself, as Paul narrates in verse 8. This is how he elsewhere describes those whose behavior is genuinely Christian; they do not seek their own good, but the good of others (1 Cor 10:24). Here is the sure cure for selfish ambition or vain conceit,not to mention “complaining or arguing” (Phil 2:14).
 Gordon D. Fee, Philippians, vol. 11,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9), 88–89.

그러고 나서 바울은 교회의 하나 됨을 이루어 자신에게 기쁨을 선사해 주기 위해서 빌립보인들이 하지 말아야 할 3가지를 말합니다. 첫째는 이기심에 근거한 분파주의에 따라 행동하지 말라고 합니다. 둘째는 허영심, 즉 자기 자신을 실제보다 높게 생각하는 과대망상이나 그렇게 보이려고 하는 헛된 생각에 따라 행동하지 말라고 합니다. 그 대신 겸손한 마음을 가지고 남들을 자신보다 더 낫게 여기라고 말합니다. 셋째는 “각자 자신의 것들만 돌아보지 말고 남의 것들도 돌아볼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자신의 것들”은 자신의 이익, 장점, 주장 등을 두루 칭하는 말로 보아야 합니다. 사람들은 그런 것들만 보면 교만해지거나 허영심에 빠지고, 이기적으로 변하며, 분란을 일으킵니다. 그것이야말로 공동체의 하나 됨을 죽이는 독소입니다. 남의 이익을 생각해 주고, 남의 관점을 인정할 줄 알아야 하고, 남의 주장에도 귀 기울일 줄 알아야 공동체의 단결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교회 공동체의 하나 됨을 위해 빌립보인들이 해야 할 4가지 일들을 앞에 언급한 바울은 이제 여기 그것을 저해하는 3가지 독소를 배격하고, 그것들 대신에 겸손과 남을 고려하는 마음을 가지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이 행동 지침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공동체의 삶을 꾸려 가는 것”이고, 그것은 곧 교회의 하나 됨을 가져와서 내적으로는 화평과 기쁨을 확보하고, 외적으로는 적대자들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여기 바울이 제시하는 행동 지침의 모든 요소가 우리에게 다 적합하지만, 특히 허영심을 버리고 겸손으로 행동하라는 말은 우리 한국 사람들에게 절실한 교훈이라고 생각합니다. 겸손은 사랑과 더불어 우리 기독교에서 최고의 덕목입니다. 그 반대는 교만(hybris)인데, 성경은 인간의 근본 문제를 교만, 즉 인간이 스스로 하나님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창 3:5). 헬라적 휴머니즘의 전통은 인간을 우주의 중심이요 만물의 척도로 여기면서 인간의 자기 주장도 미화합니다. 그러나 성경은 다릅니다. 그것을 피조물인 인간이 교만해져서 창조주 하나님을 무시하는 죄라고 규정하고, 바로 그 죄로 말미암아 인간이 하나님의 무한한 자원에서 분리되고 자신의 제한된 자원에 갇혀 죽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것이 창세기 3장에 담겨 있는 아담의 타락입니다.
 김세윤, 빌립보서 강해(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동 95번지: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2002), 75–77.

바울은 본문을 통해서 온전한 그리스도인 공동체를 이루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그는 4가지 해야할 일과 3가지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제시한다. 
해야할일 4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마음을 같이 하는것(같은 생각을 하는 것), 둘째로 같은 사랑을 가질 것, 셋째로 뜻을 합할 것(한 영혼이 될 것), 네번째로 한 마음이 되는 것을 제시한다. 
하지 말아야할 일 3가지는 첫째로 이기심에 근거한 분파주의에 따라 행동하지 말 것, 둘째로 허영심, 즉 자기 자신을 실제보다 높게 생각하는 과대망상이나 그렇게 보이려는 태도를 보이지 말 것, 셋째로 자신의 유익만을 추구하지 말 것을 요청한다. 
결국 이러한 요청은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은 이들의 삶의 자세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이것이 자신의 기쁨을 충만하게 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728x90
12 dPut on then, as eGod’s chosen ones, holy and beloved, fcompassionate hearts, gkindness, hhumility, meekness, and patience, 13 hbearing with one another and, iif one has a complaint against another, gforgiving each other; gas the Lord has forgiven you, so you also must forgive. 14 And above all these put on jlove, which kbinds everything together in lperfect harmony. 15 And let mthe peace of Christ rule in your hearts, to which indeed you were called nin one body. And obe thankful. 16 Let pthe word of Christ dwell in you richly, teaching and admonishing one another in all wisdom, qsinging psalms and hymns and spiritual songs, rwith thankfulness in your hearts to God. 17 And swhatever you do, in word or deed, do everything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tgiving thanks to God the Father through him. 
dver. 10
eRom. 8:33
fPhil. 2:1
gEph. 4:32
hSee Eph. 4:2
h[See ver. 12 above]
iMark 11:25
g[See ver. 12 above]
g[See ver. 12 above]
j[1 Thess. 5:8]; See Eph. 5:2
kEph. 4:3
lHeb. 6:1; [John 17:23]
mSee Phil. 4:7
nEph. 2:16
over. 17
pJohn 15:3
qSee Eph. 5:19
rch. 4:6
sver. 23; 1 Cor. 10:31
tch. 1:12; 4:2; See Eph. 5:20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골 3:12–17.

여기에서부터 분위기가 부정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면으로 바뀐다. 마치 뽀얀 안개를 뚫고 밝은 태양이 떠오르는 것과도 같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옛 생활방식을 포기하라고 촉구한 동일한 동기가 이번에는 그들에게 새 생활방식을 받아들이도록 격려하는 동기가 된다. 이런 연유로 바울은 그의 전형적인 표현인 ‘그러므로’라는 접속사로 권면을 시작한다. 하나님의 새 사람(3:10)으로서 교회는 하나님의 참된 이스라엘이다. 이전에 육을 따라 이스라엘에게 붙여졌던 명칭이 이제는 교회로 이전되었다.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택하사 거룩하고 사랑받는 자들이다. 하나님은 자신을 섬기기 위해 ‘구별하여’(이것이 ‘거룩한’의 기본 의미이다) 자신의 백성 삼으신 것이 그들의 선 때문이 아니라 그 분의 은혜 때문이고, 그들이 사랑받기에 합당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 분의 사랑 때문임을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에게 단언하셨다. 여기에 언급된 여러 명칭들은 구약성경에서 이스라엘에게 적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신약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에게도 적용된다. 그 분은 ‘택하심을 받은’ 분(벧전 2:4, 6)이요, 거룩한 분(요 6:69; 행 4:27, 30 등)이시며, 아버지의 특별한 사랑을 받는 분(마 3:17; 엡 1:6 등)이시다. 그 분 안에서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 백성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한다. 12–17절에는 앞에서 언급된 기독론 부분이 반영되어 그리스도에게 속한 사람에게 그 의미가 무엇인지 여기에서 적용된다.
 N. T. 라이트, 골로새서·빌레몬서, ed. 박상민 and 진규선, trans. 이승호, 초판., vol. 12, 틴데일 신약주석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4), 210–211.

12-14절) 앞부분에서는 옛 사람을 벗어버릴 것을 강조했다면 이네 거룩 한 새사람으로서 어떤 옷을 입어야할 지를 다루고 있다. 하나님이 택하심으로 거룩하고 사랑을 받는 자들은 어떤 성품과 가치를 따르고 행해야 할 것인가. 
  • 긍휼(스플랑크나 오이크티르모우, compassionate hearts) : 스플링크나는 사람의 가장 내밀한 부분에서 느껴지는 고통을 나타낸다. 창자가 끊어지는 고통을 의미하는 단어인데 이 단어와 타인에 대한 공감을 나타내는 단어가 조합된 것이다. 
  • 자비(크레스토테스, kindness)는 선함, 너그러움이라는 의미로 친절, 자비로 번역되었다. 이 친절은 타인을 향한 그리스도적인 태도이다. 
  • 겸손(타페이노프로시네, humility)는 자기 자신을 향한 그리도적인 태도로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지위를 포기하시고 성육신 하심으로 십자가에 죽으시기까지 복종하심으로 보이신 그 덕목이다.(빌 2:5-11)
  • 온유(프라우테스, meekness) : 그저 힘이 없는 유약함이 아니라 통제된 힘이라는 의미로 본문에서는 타인에게 접근할 때 필요한 부드러운 겸손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 인내(마크로티미아, patience)는 타인의 반응에 대처하는 겸허한 친절, 자비의 산물이다. 

- The virtues listed in Colossians include words that carry a profound emotional content referring to how one feels when responding to another in need. Luke uses the word compassion (splanchna)to characterize the good Samaritan’s sympathetic response to his needy neighbor (Lk 10:33) and again for the forgiving father’s happy reaction to his prodigal son’s return home (Lk 15:20). Holiness is not exclusively defined by acts of private devotion; rather, it pertains to public occasions when the community can express its status as God’s chosen people through concrete responses to those who are last, least, lost and lame among us. For Paul, our personal salvation is always embodied in our public relationships (see Eph 2:11–22).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3:12.

12절의 다섯가지 덕목을 웨슬리는 “사회적 거룩함”이라고 불렀다. 
- Paul himself seems to have specific situations in mind for practical application. First, how does a congregation of believers, made holy by God’s grace, respond to a troubled relationship in which each tends to revert to “vice,” maintaining grudges and fueling old rivalries? To bear with each othermeans to “put up with” persons who rub us the wrong way. This does not suggest that we are simply cordial towards difficult neighbors in a detached way; rather, Paul calls us to be vulnerable to grace in order to achieve newfound intimacy where hostility once existed. Indeed, the measure of divine grace is what Wesley called “social holiness.” Compassion, kindness, humility, gentleness and patienceare the very characteristics of the congregation’s life.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3:12.

바울은 13절에서 타인에게 불만이 있거든 서로 용납하고 용서할 것을 요청한다. 그것의 기준과 근거는 바로 주님께서 우리를 용서하신 것이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용서는 매우 중요한 덕목이자 행동이다. 먼저는 십자가 앞에서 우리는 용서를 받은 경험이 있는 자들로 그 기쁨을 아는 이가 그 기쁨을 나누지 않는 것은 옳지 않은 행위일 뿐만 아니라 내가 용서해야할 대상에 대해서 이미 그리스도께서 용서하셨다는 것이 내가 용서해야하는 중요한 이유이다. 그리스도는 나를 용서하셨을 뿐만 아니라 내가 불만이 있는 관계에 있는 그 사람까지도 용서하셨다. 

14절에서 우리가 입어야할 여러가지 덕목, 옷중에 가장 위에 입어야할, 마지막 입어야할 옷은 바로 사랑이다. 사랑은 기독교의 여러 덕목중에 최고의 위치에 있다. NIV와 ESV는 본문을 이렇게 번역한다. 
“이 모든 것(덕목) 위에 사랑을 입으라. 이는 모든 것을 완벽한 연합(조화)되게 묶어준다."
(Col 3:14, NIV11) 『And over all these virtues put on love, which binds them all together in perfect unity.』
(Col 3:14, ESV) 『And above all these put on love, which binds everything together in perfect harmony.』
사랑은 모든 것을 묶어주고 조화를 이루게 하는 덕목이라는 것이다. 고전 13장에서 사랑을 노래한 것처럼 사랑이 없으면 울리는 꽹과리가 되는 것이다. 

바울의 완전함에 대한 생각은 윤리적인 것이 아니라 종말론적인 것이다. 말하자면 완전함은 도덕률 형성의 목적이 아니라 하나님과 함께 하는 교회의 연합은 도덕적 성숙의 결과이다. 이처럼 온전한 연합은 하나님의 은혜의 특성으로 그리스도의 재림을 준비한다. 
- Lohse interprets this summary phrase to mean that love produces a moral perfection that distinguishes those who endure to the end and receive salvation at Christ’s return (1971:148–49). Yet Paul’s idea of perfection is not ethical (as it is perhaps for Matthew—see Mt 5:48) but eschatological. That is, perfection is not so much the goal of moral formation, so that the church’s unity with God is the result of moral maturity. Rather, perfect unityis a property of God’s grace, which perfectly unites the church “with Christ in God” (3:3) and prepares it for Christ’s return (1:22, 28). Of course, Paul’s Jewish opponents at Colosse challenge this definition; they see Christianity, like Judaism, as an ethical monotheism, and they believe that moral perfection is required by God. Against them, then, Paul’s exhortation to put on lovepresumes a different moral calculus: loveis the fruit of faith in Christ (3:1–4) rather than compliance with codes constructed by human tradition (2:20–23; compare 2:8).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3:14.

15절)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몸으로 부름을 받았다.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본문에서의 평강(에이레네)는 내적, 외적 평안의 상태를 모두 말한다. 앞선 평강이 구원받은 자로서 누리는 평화의 상태라면 평강을 위하여 한몸으로 부름을 받았다라고 말할때의 평강은 공동체의 특징으로서의 평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사랑이 공동체 안에서 온전히 효력을 발휘할 때 평강(평화)이 찾아오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왜냐하면)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부르심을 받아 한 몸의 지체들이 되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에 나오는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부르심을 받아 한 몸의 지체들이 되었다(RSV는 좀 더 문자적으로 이 부분을 ‘평강’을 선행사로 하는 관계대명사절로 이해하여 ‘너희가 한 몸으로 부름 받은…평강’으로 해석한다)는 말은 여기에 언급된 ‘평강’이 하나님의 사랑을 겸허하고 확고하게 믿음으로써 얻어지는 내적이고 개인적인 마음의 평화가 아니라 ‘몸’으로서의 공동체의 특징인 그 평화임을 지적해준다. 여기에서 ‘한 몸’이란 교회를 그의 ‘지체들’(members, 이런 이유로 NIV는 이 단어를 보충하고 있다)이 조화롭게 행동해야 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로 이해하는 은유적 표현이다. 바울이 1:18; 2:19의 경우처럼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이해하는 사상을 염두에 두지 않았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교회의 특징인 평강은 단순히 외적 적대감이 없는 상태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너희 마음’의 결정적 요인(‘지배하다’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는 아마 심판이나 중재자로 활동하는 누군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이 되어야 할 것은 ‘그리스도의 평강’이다. 교회 안에서 어떤 의견충돌이나 상호 간의 의심이 있든지 간에 모든 문제들은 가장 깊은 차원에서, 즉 모든 당사자들이 진심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이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차원에서 처리되어야 한다. 바울 당시에 팍스 로마나(Pax Romana, 로마의 평화)가 전 세계에 퍼져 제국의 주민들이 전쟁의 위협 없이 각자의 소명을 추구할 수 있었던 것 같이, 팍스 크리스티아나(Pax Christiana, 그리스도의 평화)가 교회 안에 널리 퍼져야 한다. 이러한 교회 생활에 대한 비전 때문에 바울은 다시 한 번 또한 감사하라는 말을 덧붙인다(1:3, 12 등을 참조). 사랑, 평화 그리고 감사는 서로를 보강해주고, 다음 절에 나오는 권면들에 순종해야 할 배경을 형성한다.
RSV The Revised Standard Version: Old Testament, 1952; New Testament, 21971.
NIV The Holy Bible: New International Version: Old Testament, 1978; New Testament. 21978.
 N. T. 라이트, 골로새서·빌레몬서, ed. 박상민 and 진규선, trans. 이승호, 초판., vol. 12, 틴데일 신약주석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4), 214–215.

- As love between people must reign in the faith community, so also must the peace of Christ rule in your hearts.According to Jewish psychology, the heart is the location of volition; one’s entire life is guided by what takes place in the heart. If the peace of Christrules the heart, then every decision made and every action taken will have the quality of peace. Yet Paul expresses this prayer for peace as a corporate prospect: as members of one body you were called to peace.So love characterizes the community’s public life, and peace characterizes its internal life. This being so, every collective decision and action that comes from the community will have the character of peace.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3:15.

- But what does Paul mean by peace?First, peace comes from the Lord Christ and conforms to the results of his death and resurrection. Paul uses the same root verb for rule (brabeuō)that he earlier used of the spiritual umpire who has threatened to “disqualify” (katabrabeuō)any convert who fails to observe ascetic religious practices (2:18). The result in this case is moral and spiritual frustration (2:22–23). In sharp contrast to Paul’s opponent, Christ’s spiritual umpiring promotes peace within the community. Second, the meaning of peacecomes from its Old Testament use. While Paul elsewhere speaks of the spiritual and interior dimensions of shalom(Rom 5:1–11), the biblical prophets used it as a comprehensive word for God’s full transformation of the covenant community’s situation. God chooses Israel for salvation (v. 12) and calls Israel to peace. Thus, when Jeremiah, with whom Paul closely identified, denounced the false prophets of Israel, he claimed that their teaching could not produce peace and should be viewed as “deceptive words” or “lies” (Jer 7:4–8; 23:14). Truth produces peace, while lies produce spiritual and moral frustration.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3:15.

16-17절) 앞서 1:28절에서 바울은 “그를 전파하여 각 사람을 권하고 모든 지혜로 각 사람을 가르치는” 역할을 말한 바 있다. 본문에서는 피차 가르치며 권면할 것을 명령하고 있다. 또한 우리는 무엇을 하든지 말에나 일에나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든 것을 하고 그분을 통해서 하나님 아버지께 감사하라. 
첫째로 가르치며 권면하는 사역은 그리스도의 말씀이 우리 속에 풍성히 거할 때 가능하다. 그리스도의 말씀은 성경으로 조금 협소하게 말하면 그리스도께서 전하신 말씀, 복음서의 이야기로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그분을 통해서 행하고 선포하신 말씀이다. 
둘째로 이러한 가르침과 권면의 사역은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를 부르며 하나님을 찬양하고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이루어져야한다. 
이 시대는 감각적인 시대이다. 보기에 좋은 것에 끌린다. 힘겨운 제자훈련은 이제 과거의 것이 되었고 예배는 엔터네인먼트가 되었다. 이 시대의 이러한 분위기, 세속주의와 물질주의를 거부하고 그리스도의 말씀의 진리를 선포해야 한다. 
“그리스도인의 모든 삶은 그리스도께 대한 순종 아래 위치해야 한다."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그분의 승인하에, 그분을 권한을 위임받아 그분을 대표하여 무언가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무언가를 행할 때 그분의 대리인으로 위임받은 권한과 능력으로 행한다고 한다면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권력을 위임받은 정치인들이 독재를 행할때 우리는 그것이 옳지 않다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정치인들은 그들을 뽑아준 국민의 의견을 대표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스도가 우리를 구원해주셨다. 그리고 우리에게 소명을 주셔서 사명을 맡겨주셨다. 우리는 바로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행하며 살아가는 자들이다. 그러기에 무언가를 행한다는 것은 그리스도를 위한 일이 되고 그분의 이름과 권위, 명성에 해가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것이 그분께 속해 있고, 그분으로 말미암고 그분에게 돌아가기에 우리들은 무엇을 하던지 그것이 학업이던, 가정에서의 부모나 자녀로서의 역할이던, 직업 현장에서 노동을 하던 상업활동을 하던, 책을 읽던, 운동을 하던 모든 일을 감사함으로 주님의 이름을 의식하며 살아가야 하는 존재들이다. 








728x90
For fby the grace given to me I say to everyone among you gnot to think of himself more highly than he ought to think, but to think with sober judgment, heach according to ithe measure of faith that God has assigned. For jas in one body we have many members,5and the members do not all have the same function, so we, kthough many, lare one body in Christ, and individually mmembers one of another. nHaving gifts that differ according to the grace given to us, let us use them: if oprophecy, pin proportion to our faith; if qservice, in our serving; the one who teaches, in his teaching; the one who exhorts, in his exhortation; the one who contributes, in generosity; rthe one who leads,6with zeal; the one who does acts of mercy, with scheerfulness. 
fSee ch. 1:5
gver. 16; ch. 11:20
h1 Cor. 7:17
iEph. 4:7
j1 Cor. 12:12–14; Eph. 4:4, 16
5Greek parts; also verse 5
k1 Cor. 10:17, 33
l1 Cor. 12:20; Eph. 4:13; See John 17:11
mEph. 4:25; [1 Cor. 6:15; 12:27]
n1 Cor. 12:4; 1 Pet. 4:10, 11; [1 Cor. 7:7; 12:7–11]
o1 Cor. 12:10; See Acts 13:1
p[2 Tim. 2:15]
qSee Acts 6:1
r1 Tim. 5:17; [1 Cor. 12:28]
6Or gives aid
s2 Cor. 9:7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롬 12:3–8.

우리의 마음이 새롭게 됨으로 변화를 받았다면 자기 자신의 유익만을 위해서 힘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우리는 겸손히 우리의 은사와 능력을 서로를 섬기는데 사용하게 된다. 성령의 새롭게 하심을 경험하지 못했다면 우리는 생각할 이상을 생각하며 자신을 높였을 것이다. 하지만 성령이 우리를 변화시켰기에 우리는 마땅히 
분수에 맞게, 지혜롭게 생각해야 한다. 

바울은 신자들의 어떤 그룹안에 자만심이 가지는 파괴적인 결과를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로마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들이 해야할 것보다 더 높은 것을 생각하지 말고(3절) 그들이 모두 한몸의 지체임을 상기시켰고(4-5절) 그들이 모든 교회의 유익을 위해서 그들 자신의 은사를 활용할 것을 격려했다.(6-8절) 
  • Paul was fully aware of the devastating consequences of pride in any group of believers. So he cautioned the Christians at Rome not to think of themselves more highly than they ought (v. 3), reminded them that they were all members of the one body (vv. 4–5), and encouraged them to utilize their individual gifts for the benefit of the entire church (vv. 6–8).15
  • 15The view that these verses are directed exclusively toward leaders in the church cannot be sustained. Although those in positions of authority may be especially prone to pride, the need for humility extends to every member of the church.
  •  Robert H. Mounce, Romans, vol. 27,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5), 233.  

본문을 관통하는 주제는 바로 ‘다양성 속에서의 일치’인데 이 하나됨은 그리스도안에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다. 그리스도안에 있는다는 이야기는 바로 그들이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한 몸을 이루는 일부가 되는 것이다. 나아가 각각의 구성원은 다른 모든 이들에게 속하게 되는 것이다. 기독교 신앙은 필연적으로 연합의 경험이다. 

3절) 본문에서 지혜롭게 생각하라는 말은 ‘think with sober judgment’이다. 이는 ‘소프로네오’라는 단어로 이는 어떤 사람의 열정이나 욕망을 통제하는 가운데 지혜롭게 생각하고 생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문에서 생각한다라는 말이어떤 것을 바라보는 방식 자체로서의 지적 활동이 아니라 그리스도인들이 교회안에서 존경심을 가지고 그들 자신을 고려하는 방식이라고 Moo는 말한다. 그래서 본문에서 높게 생각한다, 생각할 그 이상의 생각을 품는다는 것은 자신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혜롭게 생각하는 것은 바로 하나님의 관점을 가지는 것인데 이는 우리가 하나님의 종임과 서로의 종임을 알고 또한 우리 자신을 다른 이들의 위가 아니라 다른 이들을 섬기는 자리에 두어야 함을 의미한다. 
  • Since their minds have been renewed, their judgmentmust be changed as well. If they are conformed to this world (v. 2) they will think … more highlyof themselves than they ought,but if the Spirit has transformedthem (v. 2), they will think with sober judgment.As Moo points out (1996:760), the meaning of thinkis not so much the intellectual process itself as the way one views something. It connotes the way the Christians consider themselves with respect to others in the church. So to think too highly is to have an overly inflated view of our own importance. To think soberly is to have the divine perspective—we are slaves to God (Rom 6:16, 18, 22) and to one another (Gal 5:13), so we place ourselves under others rather than above them (compare Phil 2:3–4).
  •  Grant R. Osborne, Romans,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4), 323.

본문에서 말하는 믿음의 분량은 어떤 의미인가? 본문의 분량이라는 단어를크게 두가지로 해석한다. 이 단어는 ‘메트론’이라는 단어인데 분량, 측량 자, 기준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첫번째는 기준이라는 의미로 두번째는 분량이라는 의미로 볼 수 있다. 
  • The basis of this proper estimate of ourselves is the measure of faith God has given(literally, “God has measured the measure of faith”). There are two ways of looking at this. The measurecould be the “standard” by which we judge ourselves, namely, our shared faith; thus we look at ourselves on the basis of that common faith God’s grace has allotted to each of us (so Cranfield 1979; Wilckens 1982; Morris 1988; Fitzmyer 1993b; Harrisville 1980; Moo 1996). On the other hand, it could be that different “measure” or “apportionment” given to each believer as God wills and as accepted by faith(so Michel 1966; Murray 1968; M. Black 1973; Käsemann 1980; Dunn 1988b; Schreiner 1998). It is a difficult decision, for faith(as that given equally to all believers) favors the first and measure(referring to the different things apportioned) favors the second. The answer must be found in the context, specifically in verses 4–8 and the spiritual gifts given to each believer. Murray shows (1968:118–19) how this relates to “distinct endowments distributed among the members of the Christian community,” called “the measure of faith in the restricted sense of the faith that is suited to the exercise of this gift.” This makes best sense of the whole context: different members in the church having different gifts(vv. 4–6) provides a good parallel with the measure of faithsufficient for each to discover his or her gift and therefore function(v. 4) in the community. This is also in keeping with the near parallel in 2 Corinthians 10:13 (“the field God has assigned to us”; cf. 1 Cor 7:17; 12:7–11, all texts written near the time when Romans was composed). So Paul is saying that we will have a proper humility when we examine ourselves in keeping with the different gifts God has apportioned to us. There can be no pride, for all gifts are equally important to God and must be received by faith.
  •  Grant R. Osborne, Romans,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4), 323–324.

4-5절) 한몸에 여러 지체, 기관을 가지고 있다. 모든 기관이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것과 같이 우리모두가 그리스도안에서 한몸을 이루고 있기에 서로 다른 지체, 기관으로 각자의 은사에 따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문은 교회의 다양성과 하나됨을 인간의 몸으로 비유하고 있다. 인간의 몸이 하나이지만 여러가지 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처럼 교회도 여러 지체들이 연합하여 하나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수직적으로 하나님께, 그리스도께 속해있고 수평적으로 서로에게 속해 있는 존재들이다. 

우리의 몸은 다양한 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몸이 건강하게 활동하기 위해서는 모든 기관이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어떤 기관은 전혀 보이지 않고 인식되지 않지만 그것이 문제가 생겼을때 전체가 쓰러지게 된다. 심장은 계속해서 피를 내보내야 하고 폐를 통해서는 숨을 쉬고 위와 장은 음식을 소화시키고 뇌는 지속적으로 여러가지를 판단하고 움직이도록 명령을 내려야 한다. 우리의 눈은 보고 귀는 듣고 코는 냄새를 맡고 입은 음식을 먹고 말을 하는 것이다. 손이 발더러 내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어떤 연구에 의하면 일반적인 교회에서 15%만이 열심히 일하고 나머지는 일하지 않는다고 한다. 만약에 우리의 몸의 여러 기관중에 15%만이 작동하고 나머지는 멈춰있다면 즉시 죽거나 코마상태에 빠지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분안에서 한몸을 이루었다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겸손하게 하지만 최선을 다해서 나에게 주어진 역할을 감당함으로 하나됨, 연합을 이루어가야 한다. 
  • The human body is composed of many membersthat do not all have the same function.The body is a whole mechanism and yet depends on each one of its members to function properly. If all the body parts tried to function other than the way they were intended, the body would be crippled. And also if any one member failed to function properly, the body would be crippled. That is exactly Paul’s point. The church as a body parallels this exactly. We,the manymembers of the church, do indeed form one body,*and as such are dependent on each other. Yet together each member belongs to all the others.There is unity and diversity in the church. We are not meant to be “rugged individualists”; rather we are intended to think of ourselves as part of one body.Vertically, we are “not our own” but belong to Christ (1 Cor 6:19–20). Horizontally, we belong to each other. This is the principle of the many and the one. We are many members but form one body and so are interdependent. Our different gifts*are the way we blend into one body. That is, each of us has a critical part to play in the oneness that is the church; we need each other. In the eyes of God no one gift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ere is no place for pride, for none of us can function properly without the whole. Studies have shown that in the average church, 15 percent are truly active both in terms of working in the church and in terms of giving. If only 15 percent of our body parts functioned, we would be virtually comatose. In the same way, our churches are crippled by the unwillingness of so many members to use their gifts to minister to each other (Eph 4:12). Yet this is only possible when we recognize we are one body in Christ.It is only in union with him that we can gain the humility and the strength to function in unity.
  • *12:4–5Dunn (1988b:722–23) gives valuable insight into the background of the bodyconcept: (1) It flows out of the corporate expression of the gospel, that is, the communal character of salvation. (2) There may be some background in the Hellenistic idea of the polis(city) as a “body” or in the concept of Christ as the “eschatological Adam” (cf. 5:12–21) or the eucharist as a communal celebration, but the major origin/background must be the experience of community in worship and fellowship as a whole. (3) Therefore, the major point is not its origin but its meaning in the experience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v. 5; cf. Eph 1:22–23; Col 1:18).
  • *12:6There is some question whether the first half of verse 6 is part of the sentence in verses 4–5 (so nrsv; Dunn 1988b), making the list of gifts that follows purely descriptive (“if serving, on their service”), or whether it begins a new sentence (so nasb; niv; njb; nlt; Sanday and Headlam 1902; Murray 1968; Barrett 1957; Cranfield 1979; Fitzmyer 1993b), making the list of gifts imperatival (“if serving, let them serve”). The latter makes more sense, for Paul is exhorting the believers throughout this section.
  •  Grant R. Osborne, Romans,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4), 324–325.

이처럼 4-5절이 하나됨을 강조한다면 6-8절을 다양성을 보여준다. 
높게 생각하는, 자만심은 보통 초대교회내에서 성령의 은사의 영역에서 보여진다. 
은사를 생각하면서 우리가 마땅히 기억해야할 사실은 바로 1) 우리 모두가 은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 2) 그 은사들은 바로 우리들 가운데 있다는 것 3) 모든 은사는 하나님으로부터 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본문의 7가지의 은사중에 2가지만이(예언과 가르침) 다른 은사의 목록에 등장한다. 
존 스토트는 은사에 대해서 이런 흥미로운 견해를 제시한다. 로마서 12장에서 은사의 원천은 바로 성부 하나님이시고 엡 4장에서는 성자 하나님, 고전 12장에서는 성령 하나님이 은사의 원천이 되신다라고 말한다. 이는 삼위일체 은혜의 선물인 것이다. 

6절) 우리에게 주신 은혜에 따라서 가지고 있는 은사가 서로 다르다. 예언이면 믿음의 분수대로 하라고 가르친다. 예언하는 이는 그들이 믿음으로 혹은 성령이 그들에게 드러낼 것을 진정으로 보여주는 것에 대한 확신이 있을때 말해야 한다. 하나님이 주신 믿음을 넘어서서 다른 이들에게 영향을 주기 위해서 해서는 안된다. 
  • 1. Prophesying.It is popular today to link this with preaching or teaching, but that was not its use in the early church (note that teachingis the third on the list here and thus a different gift). This was one of the important offices in the early church (second on the lists in 1 Cor 12:28; Eph 4:11 after apostles). Prophets were the divinely chosen means by which God gave specific revelations to the church regarding specific needs (so Cranfield 1979; Käsemann 1980; Grudem 1982; Dunn 1988b; Moo 1996; Schreiner 1998).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these revelations are not canonical but occasional, as in the case of Agabus, whose two revelations are in the canon only because Luke wrote them down in Acts 11:28 and 21:10–11. Prophets are to exercise their gift in proportion to [their] faith,meaning either according to the standards established by true doctrine (“the faith” as the content of our faith; so Cranfield 1979; Morris 1988; Stott 1994; Fitzmyer 1993b; Moo 1996) or according to the faith God has given them to use their gift properly (so Sanday and Headlam 1902; Barrett 1957; Murray 1968; Dunn 1988b; Schreiner 1998).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regarding “measure of faith” in verse 3, the latter is more likely. Paul is then saying that they must use their prophetic gift to serve God and the church rather than to serve themselves.
  •  Grant R. Osborne, Romans,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4), 326.

7-8절) 섬기는 일이면 섬기는 일로 / 가르치는 자면 가르치는 일로 / 위로하는 자면 위로하는 일로 / 구제하는 자는 성실함으로 / 다스리는 자는 부지런함으로 / 긍휼을 베푸는 자는 즐거움으로 하라. 
바울은 특별한 은사를행사하는데 필요한 세가지 태도를 강조한다. 1) 다른 사람을 재정적으로 돕는 특별한 은사를 가진 사람들은 절대로 억지로 주어서는 안되고 관대하게 줘야 한다. 2) 자주 이끄는 사람들은 그들이 설명해야할 사람이 없으므로 게으름을 주의해야 한다. 3) 상처받은 이들에게 자비를 베푸는 이들은 지치지 않고 즐겁게 계속해서 봉사해야 한다. 
  • Thus Paul spotlights three attitudes necessary in exercising particular gifts: (1) those who have a special gift of helping others financially should never give grudgingly but always generously; (2) those who lead often have no one to whom they are accountable, and hence they must beware of laziness; (3) those who show mercy to the hurting must not grow weary but continue to minister with gladness.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179.

가르침이 전통적인 성경의 진리를 설명하는 것이라면 예언의 은사는 하나님으로부터 특별한 메시지를 주는 것이다. 

  • 2. Serving.This could be the kind of servingassociated with the specific ministry of a deacon (so Cranfield 1979; Moo 1996). But more likely this refers to ministry in general, not just the purview of the pastoral office but of all believers. In Ephesians 4:12, the pastors “prepare God’s people for works of service, so that the body of Christ may be built up.” This would refer to a wide range of services, like discipleship, youth work, children’s ministry and so on. Paul is saying that those called to ministry are to give themselves wholly to that task, realizing that it is a high calling and a privilege to serve the church in any way.
  • 3. Teaching.This gift is also mentioned in 1 Corinthians 12:28 and Ephesians 4:11 (cf. also Acts 2:42, where it is one of the four pillars of the early church). In the pastoral epistles the teaching office is stressed more than any other thing as the essential component of church ministry. In 1 Timothy 3:2 one of the criteria for leadership is “able to teach,” and in 2 Timothy 2:2 the proper process is passing on the sound doctrine to others who also “teach others.” Teachers are different from prophets in the sense that they explain the traditional biblical truths while prophets give specific messages from God. Like prophets, teachers are to dedicate themselves to their ministry. The pastor is also a teacher according to Ephesians 4:11 and the pastorals. It was a critical area in the early church because of the problem with false teachers, and it is even more critical today (there are now thousands of cults worldwide). Studies have shown that biblical illiteracy is on the rise in churches, and theology is on the wane. We desperately need to ground people in the Word and turn them into Berean Christians who “examine the Scriptures every day” (Acts 17:11) and care deeply for biblical truth.
  • 4. Encouraging.This is better translated “exhorter” because of its place after teaching,and in keeping with its use in 12:1, where niv translates it as urge(contra Morris 1988; Stott 1994). Of course, exhortation includes comfort and consolation but cannot be restricted to these ministries (the word means “exhort, encourage” and even “admonish” [my preference for Heb 3:13]). It refers to the practice of verbal care in general. Cranfield (1979:623–24) says the purpose of teaching was to instruct or explain truth while that of exhortation was “to help Christians to live out their obedience to the gospel.” So it concerns the “pastoral application” of these truths to the practical lives and needs of believers.
  • 5. Contributing to the needs of others.The steward of this gift could be one who shares his own possessions with others (so Godet 1969; Murray 1968; Cranfield 1979; Dunn 1988b; Morris 1988) or an official who distributes the church’s resources (as in Acts 6:1–7; so Calvin 1979; Käsemann 1980). Yet the more common use of the language would favor the former. Paul is asking those who give to the needy to do so generouslyor perhaps “simply” in the sense that there should be no self-serving ulterior motives (so Godet 1969; Cranfield 1979; Moo 1996). When Christians give to help others, the goal is simply to provide for their needs rather than to gain credit from others or from God (cf. Acts 2:44–45; 4:32–34).
  • 6. Leadership.It is interesting that this category appears so far down the list. One would expect it to be near the prophets and teachers at the head of the list. However, it is doubtful that Paul has any hierarchy of gifts in mind, so it is not necessary to try to read the term in a secondary (but possible) sense of someone who “comes to the aid” of others (as do Michel 1966; Cranfield 1979; Dunn 1988b, based on its placement between the one who gives to the needy and the one who shows mercy). Everywhere else in Paul’s writings (and commonly elsewhere in literature) the Greek word refers to leadership (see 1 Thess 5:12; 1 Tim 3:4–5, 12; 5:17; Tit 3:8, 14), and that is more likely here. The concept may be broader than just church leadership and include managing the home (so 1 Tim 3:4–5, 12), but in this context of church ministry it more likely refers to those in charge of the church. Still, in the modern framework this would fit many aspects of church leadership, not just the pastoral staff. At any rate, they are to govern diligently,meaning with “zeal” or “eagerness.” Leadershipdemands a willingness to work hard, to give our best effort.
  • 7. Showing mercy.Most agree that this is a general category of caring for people in difficult circumstances, whether it be economic troubles, illness, old age, depression or any other misfortune. This is very close to contributing to the needs of others,though that probably implies financial aid while this is helping others in any way. Those “able to help others” (1 Cor 12:28) should do it cheerfully,a term used in 2 Corinthians 9:7 in the phrase “cheerful giver.” In short, those who help the needy must never do so in a grudging or gloomy manner but must feel the joy of the Lord in their hearts, recognizing the great privilege of helping others. Cranfield (1979:627) says it well—this comes “naturally to one who knows the secret that in those needy and suffering people whom he is called to tend the Lord is himself present (cf. Mt 25:31ff), for he will recognize in them Christ’s gracious gift to him and to the congregation … of an opportunity to love and thank Him who can never be loved and thanked enough.”
  •  Grant R. Osborne, Romans,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4), 326–3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