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7 When the boys grew up, Esau was qa skillful hunter, a man of the field, while Jacob was a quiet man, rdwelling in tents. 28 Isaac loved Esau because she ate of his game, but Rebekah loved Jacob.

Esau Sells His Birthright

29 Once when Jacob was cooking stew, Esau came in from the field, and he was exhausted. 30 And Esau said to Jacob, “Let me eat some of that red stew, for I am exhausted!” (Therefore his name was called Edom.5) 31 Jacob said, “Sell me your birthright now.” 32 Esau said, “I am about to die; of what use is a birthright to me?” 33 Jacob said, “Swear to me now.” So he swore to him and tsold his birthright to Jacob. 34 Then Jacob gave Esau bread and lentil stew, and he ate and drank and rose and went his way. Thus Esau despised his birthright.

q ch. 27:3, 5

r Heb. 11:9

s ch. 27:4, 7, 9

5 Edom sounds like the Hebrew for red

t Heb. 12:16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25:27–34.

 

 

27-28절) 에서와 야곱이 자라서 에서는 능숙한 사냥꾼으로 들사람이 되고 반면에 야곱은 조용한 사람으로 장막에 거주했다. 이삭은 에서가 사냥한 고기를 좋아해서 그를 사랑했고 리브가는 야곱을 사랑했다. 

 

니므롯(10:9)과 에서만이 성경에 등장하는 사냥꾼이다. 사냥해서 잡은 음식을 먹을 수 있지만 하나님께 드리는 제물을 가축들로 제한되었다. 이처럼 성경은 들짐승을 사냥하는 사람을 긍정적으로 여기지 않았다. 

본문은 이삭은 에서를, 리브가는 야곱을 편애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처럼 부모의 편애는 아이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데 결과적으로 이후의 장자권을 둘러싼 심각한 싸움으로 이어지게 된다. 혹시 이것의 이유가 이삭과 리브가의 불화로 인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부부관계가 건강하지 못할 때 자녀들 사이의 갈등이 심각한 것을 알 수 있다. 

 

본문의 조용한이라는 단어는 ‘탐’이라는 단어로 ‘평화로운, 완전한, 완벽한’이라는 단어로 조용하고 편안한 태도나 삶의 방식의 특징을 즐기는 상태를 말한다. 하지만 이후의 야곱의 모습을 보면 도덕적으로 완전한이라는 의미라기 보다는 세상 물정에 익숙하고 수완이 좋은 유능한 사람의 모습을 보인다.

4. The adj. תָּם occurs rarely outside the book of Job, conveying different meanings: blameless, innocent, sincere, quiet, peaceful, pious, pure, healthy, etc. In Gen 25:27 Jacob as opposed to Esau is characterized as אִישׁ תָּם, “a quiet (and well-cultured) man,” unlike his brother, a man of the open country (Westermann, BKAT, I/2, 502). The difficult text of Ps 73:4 refers to the healthy (תָּם) and strong/fat bodies of the wicked (cf. Kraus, BKAT XV/2, 664). The word תָּם designates (esp. in the Wisdom literature) a discernible group of people to whom adherence to the ethos and social values that clearly distinguish the God-fearing from the wicked (עִקֵּשׁ) is of prime importance. They are called the innocent (Ps 64:4 [5]), the blameless (Job 8:20; 9:20–22), the pious and upright (with יָשָׁר Job 1:1, 8; 2:3; as par. to אִישׁ שָׁלוֹם Ps 37:37; cf. Prov 29:10). The word does not appear in the prophetic literature or in any cultic context nor as an attribute of God (THAT 2:1050). In Song of Songs 5:2 and 6:9 it is used as a term of endearment, namely, flawless/perfect one (HALAT 1604).

adj. adjective (adjectival)

BKAT Biblischer Kommentar: Altes Testament

BKAT Biblischer Kommentar: Altes Testament

par. parallel(s)/and parallel passages

THAT Theologisches Handbuch zum Alten Testament, ed. E. Jenni and C. Westermann, 2 vols., Munich, 1971, 1976

HALAT Hebräisches und aramäisches Lexicon zum Alten Testament, ed. L. Koehler, W. Baumgartner, and J. J. Stamm, 5 vols., Leiden, 1967–19953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307.

 

29-34절) 어느날 야곱이 죽를 만들었을 때 에서가 배가 고픈채로 들에서 돌아왔다. 에서는 야곱에게 내가 피곤하니 그 붉은 것을 먹게하라. 그래서 에돔의 별명에 에돔이 되었다. 여기서 에돔이라는 단어는 붉은 것과 같은 발음이다. 야곱은 붉은 죽의 댓가로  형의 장자권을 자신에게 넘기라고 요청했다. 이에 에서는 지금 내가 배가고파 죽게되었는데 장자권이 무슨 소용이냐하며 야곱에게 장자권을 넘기기로 했다. 이에 야곱은 에서에게 맹세하게 했고 에서가 맹세하고 장자권을 야곱에게 팔았다. 야곱이 떡과 팥죽을 에서에게 주었고 에서가 먹고 마시고 일어나 갔다. 이는 에서가 장자권을 가볍게 여겼기 때문이다. 

 

장자권의 싸움이 일어난 이때 에서와 야곱의 나이는 얼마나 될까? 에서가 배고픔을 견디지 못할 정도로 어리고 장자권을 쉽게 포기할 정도로 미성숙한 상태였기에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이 아닐까 생각된다. 

본문의 발단은 능숙한 사냥꾼인 에서가 들에서 빈손으로 돌아와 매우 배고픈 상태에서 시작된다. 바로 이때 야곱은 죽을 쑤고 있었고 에서는 그 붉은 죽을 원했다. 이일로 에돔이 에서의 별명이 되었다. 붉은 것을 먹었기에 에돔, 붉은 사람이 된 것이다. 속이는 자였던 야곱은 이 상황을 놓치지 않았다. 너무 배가 고팠던 에서는 자신의 장자권을 귀히 여기지 않고 아무 생각없이 이를 야곱에게 넘겼다. 예언대로 에서는 장자권을 내주었고 야곱은 결사적으로 장자권을 빼앗고 있는 것이다. 

장자권은 일반적으로 유산을 나눠받는 권리를 말한다. 장자는 다른 자녀보다 한 몫을 더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하지만 여기서 장자권은 아브라함에게 주신 축복이 장자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에서가 장자권을 포기한 것은 단지 유산이 아니라 장자를 통해 이어질 하나님의 약속, 축복을 포기한 것과 같다. 

 

야곱이 죽을 쑤고 있는 이곳은 어디일까? 아마도 부모가 있는 집은 아닐 것이다. 아마도 목축하는 야영지였고 이곳에 사냥하던 에서가 들러서 야곱이 쑨 죽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야곱이 이러한 상황 전체를 기획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우연히 죽을 쑤고 있는데 배고파 들어오는 형에게 장자권을 요청한 것이다. 에서의 가장 큰 실수는 이 죽을만큼 배고픈 상태에서 장자권이 의미가 없다고 여겼고 34절은 이에 대해서 장자의 명분을 가볍게 여겼다라고 말하고 있다. 본문의 가볍게 여기다라는 단어는 ‘바자’라는 히브리어로 멸시하다, 경멸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 단어는 사울의 딸 미갈이 다윗왕이 여호와앞에서 뛰놀며 춤추는 것을 보고 업신여겼을 때(삼하 6:16), 다윗이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를 취함으로 하나님을 업신여겼다(삼하 12:10)라고 말한다. 말 그대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가볍게 여기고 무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 단어는 무겁게 여기다, 존중하다라는 ‘카보드’의 반대말이다. 

 (bāzâ), q. be contemptible, think lightly of, despise; ni. part. despised, contemptible; hi. inf. cause to despise (#1022); בִּזָּיוֹן (bizzāyôn), nom. contempt (hapleg., Esth 1:18, #1025).

ANE Middle Heb., Jewish Aram. בָּזָה; Syr., Mand. bsʾ, to despise; Arab bazāw, to subjugate; Akk. buzzuʾu / buzzûm, to treat badly; Middle Heb., Jewish Aram. בִּזְיוֹנָא, contempt.

OT 1. Apparently, בָּזָה and בּוּז are derived from the same two strong consonants (בּז), although neither is necessarily secondary to the other (Bergsträsser, 2:170, §31c). Although Palache (14) suggests that בָּזָה and בּוּז are temporally distinguishable (allegedly found in earlier and later literature respectively), both verbal roots and their derivatives occur together throughout Wisdom/poetic literature in particular. Of the two roots, בָּזָה is more common and serves in a wider variety of contexts. An acc. normally follows (it occurs only 2× with לְ [2 Sam 6:16; 1 Chron 15:29]), while בּוּז normally occurs with לְ (an acc. follows it 3× [Prov 1:7; 23:22; 27:7, where one should read תָּבוּז rather than תָּבוּס]).

2. Vb. forms of בָּזָה occur 43× in the OT and signify undervaluing someone or something, i.e., “to accord little worth” (TWOT 1:98). The contrast between בָּזָה and כָּבֵד, honor (#3877; 1 Sam 2:30), יָרֵא, fear (#3707; Yahweh, Prov 14:2), and שָׁמַר, keep (#9068; God’s commandments, Prov 19:16), helps demonstrate that one who despises (בָּזָה) someone or something treats with irreverence, rejects, or devalues the person/thing held in contempt. Although בָּזָה denotes an inner attitude, it clearly impacts relationships.

(a) Contempt for animals. When King Saul attacked the Amalekites, he ordered his soldiers to exterminate only the “despised” animals (those having some kind of imperfection [1 Sam 15:9]). Scholars have offered various alternatives for the problematic form נְמִבְזָה. Driver (124) called it a “grammatical monstrum, originating evidently in the blunder of a scribe” (cf. BL, 422, §t”; GKC, 213, §75y). Gesenius (463) explains the form as a contraction of a nom. מִבְזֶה and the part. נִבְזֶה, while KD (152–53) regard it as a ni. part. formed from a nom. (מִבְזֶה, contrary to all analogy). Boström (18, 34) contends that the problematic form resulted from the intentional combination of the ni. part נִבְזָה and the adj. מָזֶה, producing a translation “lean and poor.” The MT form does appear to be some kind of scribal error. (Cf. LXXB: πᾶν ἔργον ἠτιμώμενον = MT: כָּל־הַמְּלָאכָה נְמִבְזָה, all the property that was disposed.)

(b) Contempt in various human relationships. In the context of human relationships, בָּזָה describes contempt felt by a wife for her husband (Esth 1:17; cf. the derivative of בָּזָה [hapleg.] in 1:18, בִּזָּיוֹן) and a foolish son for his mother (Prov 15:20). Simply because of his lack of wealth, many reject a poor man’s wisdom (Eccl 9:16). Antiochus Epiphanes, who would defile the Jerusalem temple, is regarded as a man worthy of contempt (Dan 11:21).

(c) Contempt for people and institutions of Yahweh. Throughout biblical history people have sought to treat with contempt individuals or items valued by God. Esau treated his birthright, something of great worth, with flippancy by selling it to his brother, Jacob (Gen 25:24). Kings Saul (1 Sam 10:27) and David (17:42; 2 Sam 6:16 = 1 Chron 15:29), Mordecai (Esth 3:6), and Nehemiah and his coworkers (Neh 2:19) experienced the contempt of others (who themselves later experienced shame or death).

The psalmist described the experience of scorn (Ps 22:6 [7]; 119:141), and the prophet Isaiah predicted the abusive treatment that the Servant figure would endure (Isa 53:3). The vb. בָּזָה occurs at the beginning and near the end of the verse to emphasize the contemptible treatment this Servant will receive. He will be treated with contempt and rejection as though he were a worthless object (see above examples). The juxtaposition of the rare pl. form אִישִׁים, men, and אִישׁ, man, in 53:6 highlights the solitary nature of his suffering. The combination of נֶפֶשׁ with a part. form of בָּזָה in 49:7 depicts the Servant figure as deeply despised (the MT לִבְזֹה in 49:7 should be read as a q. pass. part. [לִבְזוּי], a despised one, with 1QIsaa, Syr., Aq., Symm., and Th.).

Various individuals arrogantly despised God himself, his revelation of truth, or other sanctified items. Every act of disobedience against God constituted contempt of God and his revelation (Num 15:31; 2 Sam 12:9; 2 Chron 36:16). Although one might expect this from a “devious” person (Prov 14:2), Eli the priest (1 Sam 2:30), King David (2 Sam 12:9–10), King Zedekiah (Ezek 16:59), and the priesthood in Malachi’s day (Mal 1:6, 7, 12) treated Yahweh with contempt. The leaders of Israel (Ezek 22:8) and the elect nation as a whole (2 Chron 36:16) despised Yahweh and his sanctified institutions (“holy things” in Ezek 22:8 likely refers to the temple sacrifices and temple vessels).

King Zedekiah manifested his contempt for God by two acts of treachery (all four references to Zedekiah’s covenant treachery might refer only to the covenant he made with Nebuchadnezzar). By leading the elect nation in continued violation of the Mosaic covenant, he (and the nation) faced the curses of that covenant (Ezek 16:59; 17:19; cf. Deut 28:15–68). Zedekiah also broke his covenant with Nebuchadnezzar, an oath he had made in Yahweh’s name (Ezek 17:16, 18).

Such abhorrent treatment of Yahweh did not remain unpunished. The contempt normally returned in some form upon the author of בָּזָה. The human subjects of בָּזָה were cut off from the covenant community (Num 15:31), were despised by others (1 Sam 2:30; Mal 2:9), faced God’s wrath (2 Chron 36:16), or experienced death (2 Sam 12:9–10; Prov 19:16).

(d) Yahweh and contempt. The psalmist depicts a righteous man as one who despises a vile person (Ps 15:4). God himself despises the wicked (73:20) and caused Israel (Mal 2:9) and Edom (Jer 49:15; Obad 2) to experience the contempt of others.

In contrast to this, Yahweh does not despise the suffering of the afflicted (Ps 22:24 [25]; par. with שָׁקַץ [#9210]), the repentant heart (Ps 51:17 [19]), his captive people (69:33 [34]), or the destitute (102:17 [18]). Those who might face the contempt of others can rest in Yahweh’s acceptance of them.

See Contempt, disdain, disgust, loathing

Bibliography

TDOT 2:60–65; TWOT 1:98–99; G. Bergsträsser, Hebräische Grammatik, 1962; O. Boström, Alternative Readings in the Hebrew of the Books of Samuel, 1918; S. Driver, Notes on the Hebrew Text and the Topography of the Books of Samuel, 2d ed., 1960; W. Gesenius, Ausführliches grammatisch-kritisches Lehrgebäude der hebräischen Sprache, 1817; J. Palache, Semantic Notes on the Hebrew Lexicon, 1959.

q. qal

ni. niphal

hi. hiphil

inf. infinitive

hapleg. hapax legomenon

ANE Ancient Near East(ern)

Syr. Syiac (language)

Mand. Mandean

Akk. Akkadian

Palache J. L. Palache, Semantic Notes on the Hebrew Lexicon, tr. and ed. R. J. Z. Werblowsky, Leiden, 1959

acc. accusative(s)

acc. accusative(s)

TWOT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ed. R. L. Harris et al., 2 vols., Chicago, 1980

BL H. Bauer and P. Leander, Historische Grammatik der hebräischen Sprache, Halle, 1918–1922; repr. 1962

GKC Gesenius’ Hebrew Grammar, ed. E. Kautzsch, tr. and ed. A. E. Cowley, Oxford, 19102 (ET of W. Gesenius, Hebräische Grammatik, ed. E. Kautzsch, Halle, 190928)

KD K. F. Keil and F. Delitzsch, Biblic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tr. J. Martin et al., 25 vols., Edinburgh, 1857–1878; repr. 10 vols., Grand Rapids, 1973 (ET of Biblischer Kommentar über das AT, 15 vols., Leipzig, 1861–1870, 1862–18752)

ni. niphal

ni. niphal

adj. adjective (adjectival)

MT Masoretic text

LXX Septuagint

MT Masoretic text

hapleg. hapax legomenon

MT Masoretic text

q. qal

pass. passive

Syr. Syiac (language)

Aq. Aquila’s Greek version

Symm. Symmachus’s Greek version of the OT

Th. Theodotion’s Greek version of the OT

par. parallel(s)/and parallel passages

TDO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ed. G. J. Botterweck, H. Ringgren, and H.-J. Fabry, tr. J. T. Willis, Grand Rapids, 1974–(ET of TWAT)

TWOT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ed. R. L. Harris et al., 2 vols., Chicago, 1980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628–630.

 

 

728x90
The oracle of the word of the Lord to Israel by Malachi.1
The Lord’s Love for Israel
a“I have loved you,” says the Lord. bBut you say, “How have you loved us?” “Is not Esau cJacob’s brother?” declares the Lord. “Yet dI have loved Jacob but Esau I have hated. eI have laid waste his hill country and left his heritage to jackals of the desert.” If Edom says, “We are shattered but we will rebuild the ruins,” the Lord of hosts says, “They may build, but I will tear down, and they will be called ‘the wicked country,’ and ‘the people with whom the Lord is angry forever.’ ” fYour own eyes shall see this, and you shall say, “Great is the Lord beyond the border of Israel!” 
1Malachimeans my messenger
aDeut. 7:8; Jer. 31:3
b[ch. 2:14, 17; 3:7, 8, 13]
c[Amos 1:11; Obad. 10]
dCited Rom. 9:13
eIsa. 34:13; Jer. 49:10, 18; Ezek. 35:3, 4; Joel 3:19
fPs. 91: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말 1.

여호와의 사랑을 다시 보증하는 것은 당시 회의론이 한창 자라고 있었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었다. 이 회의론은 말라기의 청중들이 이사야, 학개, 스가랴의 이상이(분명히) 실패했다고 해석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었다. 말라기의 임무는 포로 후기 유다가 여호와와의 언약 관계에 대하여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을 교정하는 것이었다. 여호와의 봉신 혹은 종으로 회복된 공동체는 자신들의 영주 혹은 대군주인 하나님을 향하여 어떤 요구를 할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었다. 이 논제의 논쟁은 유다 백성들로 하여금 이전의 역사를 깊이 생각하게 도전한다. 이전에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향하여 신실하셨던 것과 언약 순종에 실패할 때 심판하신 것을 깊이 생각하도록 말라기는 도전한다. 말라기가 최근에 일어난 에돔의 사건에 호소하는 것은 하나님의 위협의 심각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은 복의 원인이 아니라 조건이다. 하나님 자신만이 유일한 원인이시다.1)
첫 번째 예언의 형식은 예언 문학의 재판 언어 유형(trial speech pattern)과 관련된 예언적인 논쟁이다. 논쟁의 말은 말라기를 고소와 맞고소의 형식 속에서 그의 청중과 싸우게 만든다(말라기가 그의 청중들과 실제로 대화를 하는지 혹은 문학 장치로서 가상의 논쟁인지 분명하지 않다). 말라기의 논쟁에 모두 있는 (주인공인 선지자에 의한) 세 부분으로 된 선언공식(the three-part formula of declaration, 1:2a), 부주인공인 예언의 특정한 수신자의 반박(1:2b), 선지자의 반박(1:2c–5)은 쉽게 구별될 수 있다.
1)Collins (1984:214–215)도 같은 의견이다.
 힐앤드류E., 학개·스가랴·말라기, ed. 백승현 and 정희연, trans. 유창걸, 초판., vol. 28, 틴데일 구약주석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4), 391–392.

신앙생활은 하나님과 호흡을 맞추는 복식 경기와 같다. 
독신으로 살다가 결혼한 사람의 삶의 변화

1절) 말라기를 통하여 이스라엘에게 주신 여호와의 말씀의 계시라. 

본문에 경고라고 번역된 단어는 ‘맛사’라는 히브리 단어로 예언, 계시, 경고라는 의미이다. 이는 KJV에서는 짐으로, NIV에서는 예언으로,  NLT에서는 메시지로 번역된다. ‘맛사’라는 표현과 여호와의 말씀의 결합은 예언이 드문 시기에 예언의 말씀에 정당성을 부여하며 그말씀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해준다. 

말라기 전체 54절중에 절반이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여호와께서 이르시되”등의 표현으로 강조되고 있다. 24번이나 “만군의 여호와”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이는 여호와께서서 하늘의 천군천사들의 지휘관으로서의 강력한 능력을 상징한다. 아래의 리스트를 보면 구약에 사용된 “만군의 여호와”라는 표현중에 절반정도가 말라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학개, 스가랴, 말라기처럼 포로기 이후 선지서에서 이 표현이 많이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북이스라엘과 남유다가 멸망당하고 포로기 이후 광대한 제국안에 작은 무리를 이루고 있던 이들에게 하나님께서 만군의 주가 되신다는 표현만큼 위로가 되고 강력한 표현은 없었을 것이다. 엘리사와 그의 종이 아람 군대에게 둘러싸여 있을때 엘리사의 기도(왕하 6:17)이나 예수님의 기도(마 26:53)에도 이러한 불말과 불병거, 12군단 더 되는 천사등의 표현을 볼 수 있다.  

- The Lord of Hosts: Frequency and Use in the OT
Why does the title “Lord of hosts” appear more frequently in Malachi than in any other OT book, and in the time of prophetic books more than during other time periods? In the period of Isaiah, the northern kingdom was overrun and destroyed and the southern kingdom almost destroyed by the “hosts” (armies) of Assyria. God’s people had so few troops that the Assyrian King Sennacherib could mockingly challenge King Hezekiah with the offer of a gift of 2,000 horses if Hezekiah could find enough soldiers to ride them (Isa. 36:8). Similarly, in the period of Jeremiah, the southern kingdom was wiped out by the hosts (armies) of Babylon.
In the postexilic period of Malachi, the postage-stamp-sized Judah, as a tiny province within the vast Persian Empire, had no army of its own. It is precisely in such times, when God’s people are painfully aware of how limited their own resources are, that there is no greater comfort than the fact that the Lord has his invincible heavenly armies standing at the ready. It is like the comfort that Elisha prayed for his servant at Dothan when they were surrounded by the Syrian armies: “ ‘O Lord, please open his eyes that he may see.’ So the Lord opened the eyes of the young man, and he saw, and behold, the mountain was full of horses and chariots of fire all around Elisha” (2 Kings 6:17). Perhaps it is like the comfort felt by Jesus before the cross: “Do you think that I cannot appeal to my Father, and he will at once send me more than twelve legions of angels?” (Matt. 26:53).
The following chart shows the percentages of verses in a book containing at least one occurrence of the phrase, “Lord of hosts” (or related variation):
1. Malachi (43.6%)
2. Haggai (31.6%)
3. Zechariah (21.8%)
4. Amos (6.1%)
5. Jeremiah (5.9%)
6. Isaiah (4.7%)
7. Nahum (4.3%)
8. Zephaniah (3.8%)
9. Habakkuk (1.8%)
10. Micah (1.0%)
11. 2 Samuel (0.9%)
12. Psalms (0.7%)
13. 1 Samuel (0.6%)
14. Hosea (0.5%)
15. 1 Kings (0.4%)
16. 1 Chronicles (0.3%)
17. 2 Kings (0.3%)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776.

2-5절) 첫번째 논쟁 : 하나님께서 선인과 교만한 악인을 구별하시는가? 하나님의 심판으로 입증되는 하나님의 선택적 사랑. 말라기는 그들의 정치적, 경제적, 영적 결핍대문에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질문하는 동시대인들의 의심을 폭로하고 이에 대해 답변한다. 

본문은 여호와 하나님의 말씀과 이스라엘의 대화로 이루어진다. 
여호와 하나님께서 “내가 너희를 사랑하였노라”라고 말씀하신다. 이에 대해서 이스라엘은 말하기를 “주께서 어떻게 우리를 사랑하셨나이까?”라고 묻는다. 이에 대해서 여호와 하나님께서 “에서는 야곱의 형이 아니냐? 그러나 내가 야곱을 사랑하였고 에서는 미워하였으며 에서의 산들을 황폐하게 하였고 그의 산업을 광야의 이리에게 넘겼다”라고 말씀하신다. 
이에 에돔은 말하기를 “우리가 무너뜨림을 당하였으나 황폐된 곳을 다시 싸으리라”하였지만 이에 대해서 만군의 여호와께서 “에돔, 그들은 쌓을지라도 나는 헐리라. 사람들이 그들을 악한 지역이라 또한 여호와의 영원한 진노를 받은 백성이라부를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이에 이스라엘은 눈으로 보고 이르기를 “여호와께서는 이스라엘 지역 밖에서도 크시도다”라고 할 것이다. 
 
말라기는 바벨론 포로를 경험한 이스라엘을 향해서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언약적 사랑은 여전히 유효함을 선포하고 있는데 이 관계의 핵심을 상호성이다. 

2-3절) 이 본문을 바울이 롬 9:13에서 인용한다. 이 문맥에서 사랑하였고는 애정보다는 선택을, 미워하였으며는 적의보다는 거절을 가리킨다. 야곱과 에서는 쌍둥이 형제이다. 이삭과 리브가에게서 함께 태어난 이 형제중에 하나님께서는 야곱을 선택하셔서 이스라엘이라 하셨고 그를 통해 메시야를 보내신다. 반면 에서는 이 과정에서 하나님의 거부를 경험하게 된다. 본문속에서 말라기의 관심은 에서와 야곱이라는 개인보가 에돔과 이스라엘이라는 나라에 관심이 있다. 
본문에서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너희를 사랑한다라는 고백에서 대해서 “주께서 어떻게 우리를 사랑하셨습니까?”라고 반문한다. 그 시대 이스라엘은 누전 586년에 느부갓네살에게 멸망했고 70년동안의 바벨론 포로생활을 한 반면에 에돔은 고스란히 남아 있는 상황이었기에 과연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사랑하시는 것이 맞느냐라는 질문과 의심을 가졌을 것이다. 하지만 본문을 통해서 말라기는 렘 9:11절을 암시한다. 
(렘 9:11, 개정) 『내가 예루살렘을 무더기로 만들며 승냥이 굴이 되게 하겠고 유다의 성읍들을 황폐하게 하여 주민이 없게 하리라』
말라기는 이 예레미야의 예언은 에돔에게 적용시킴으로 에돔도 유다처럼 하나님의 심판을 피하지 못할 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 심판은 주전 550년부터 400년 사이에 나바테아 아랍인들의 활동을 통해서 닥쳤을 가능성이 높다. 나바테아 아랍인들은 에돔족속을 그들의 본포에서 몰아내어 훗날 이두매라고 불리는 한 지역에 재정착하게 했다. 이들은 반-유목인들로 그들의 양 떼를 지나치게 많이 방복함으로 이전 경작가능한 땅을 페허로 만들어 버렸다. 반면에 유다는 심판이후에 은혜로 회복되어 자기 백성에 대한 하니님의 사랑을 반영한 반면 에돔의 심판은 영구적이고 돌이킬 수 없었다. 에돔 족속 개인은 계속 존제하겠지만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은 상실했다. 
-In a classic text, which Paul quotes in Rom. 9:13, Malachi appeals to God’s elective and unconditional love of Jacoband corresponding hatred of Esau. In this context lovedrefers to choice rather than affection, and hatedrefers to rejection rather than animosity (which was explicitly prohibited against Edomites, Esau’s descendants, in Deut. 23:7). For a similar use of these terms, see Prov. 29:24; Luke 14:26; 16:13. Although Jacob and Esau were brothers, Jacob experienced God’s sovereign favor by which he was granted a privileged role in redemptive history as a bearer of the messianic promise, while Esau experienced God’s rejection in terms of this same role. Malachi’s concern, however, is primarily with the nations of Israel and Edom, of which Jacob and Esau were the representatives and progenitors. To Malachi’s contemporaries, it must have seemed that the prophet had committed a terrible blunder by citing the contrasting national fates of Israel and Edom as proof of Israel’s favored status. If God had chosen Jacob/Israel over Esau/Edom, why did he allow his people to suffer the total devastation of their country in 586 b.c. by Nebuchadnezzar and 70 years of Babylonian captivity, while Edom remained intact and seemed only to benefit from Israel’s loss? Malachi makes his point, however, by alluding to Jer. 9:11. Two centuries earlier Jeremiah announced the Lord’s impending judgment against Judah: “I will make Jerusalem a heap of ruins, a lair of jackals, and I will make the cities of Judah a desolation, without inhabitant.” By applying this same threat to Edom, Malachi makes clear that, like Judah, Edom would not escape God’s judgment. It is likely that this judgment came through the agency of Nabatean Arabs, who gradually forced the Edomites from their homeland between 550 and 400 b.c., causing them to resettle in an area later called Idumea. Being semi-nomadic, the Nabateans allowed the cities of Edom to go to ruin while their herds overgrazed and destroyed previously arable land. Whereas Judah was graciously restored after her punishment, reflecting the Lord’s love for his people, Edom’s judgment was to be permanent and irreversible (Mal. 1:4). There would continue to be individual Edomites (implied by 1:4; cf. Mark 3:8), but they had forfeited their national identity.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774.

 5절) 이스라엘은 눈으로 보고 이르기를 “여호와께서는 이스라엘 지역 밖에서도 크시도다” 하리라. 
눈으로 보는 것은 우리의 신앙에서 매우 중요하다. 물론 눈으로 보지 않고 믿는 믿음이 필요한 것을 사실이지만 지금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언약적 사랑에 대해 의심을 보이는데 이에 대해서 말라기는 청중들에게 세가지 외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 말라기는 그의 청중들에게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변치 않는 언약적 사랑을 보여주는 세 가지 외적인 증거를 제공했다. 첫째는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 곧 하나님께서 여전히 이스라엘을 사랑하신다는 여호와의 선언이다(2절). 두 번째 지지하는 증거는 만일 백성들이 그들 주변에서 펼쳐지는 현재의 사건들을 관찰하기만 한다면 더욱 분명해진 것이었다. 곧 하나님께서 에돔을 멸하셨다는 것이다! 이 사건은 사실 예루살렘이 멸망할 때 에돔이 한 일에 대하여 심판하시기를 하나님께 구하는 시편 기자의 기도에 대한 응답이다(시 137:7 참조). 시편 기자는 역사에서 하나님의 사역을 기억하는 것은 믿음의 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효과적인 해독제라는 것을 상기시킨다(시 73:2, 16–17 참조). 세 번째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언약적 사랑의 증거는 그들 가운데 서 있다. 곧 제2성전이 재건되었다는 것이다(4절 참조).
 힐앤드류E., 학개·스가랴·말라기, ed. 백승현 and 정희연, trans. 유창걸, 초판., vol. 28, 틴데일 구약주석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4), 400.
이처럼 역사에서 하나님의 사역을 기억하는 것은 의심에 빠진 자들을 믿음으로 인도하는 중요한 조치임을 상기시킨다. 
이후 바울이 롬 9장에서 인용한 것처럼 하나님께서 신실한 자들을 선택하시는 것은 인간의 의지나 노력에 달려있지 않고 하나님의 자비에 달려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