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6 When Abimelech went to him from Gerar with Ahuzzath his adviser and sPhicol the commander of his army, 27 Isaac said to them, “Why have you come to me, seeing that you hate me and thave sent me away from you?” 28 They said, “We see plainly that the Lord has been with you. So we said, let there be a sworn pact between us, between you and us, and let us make a covenant with you, 29 that you will do us no harm, just as we have not touched you and have done to you nothing but good and have sent you away in peace. uYou are now the blessed of the Lord.” 30 So he made them a feast, and they ate and drank. 31 In the morning they rose early and vexchanged oaths. And Isaac sent them on their way, and they departed from him in peace. 32 That same day Isaac’s servants came and told him about the well that they had dug and said to him, “We have found water.” 33 He called it Shibah;5 therefore the name of the city is wBeersheba to this day.

34 When Esau was forty years old, he took xJudith the daughter of Beeri the Hittite to be his wife, and Basemath the daughter of Elon the Hittite, 35 and ythey made life bitter6 for Isaac and Rebekah.

s ch. 21:22

t ver. 16

u ch. 24:31

v ch. 21:31

5 Shibah sounds like the Hebrew for oath

w ch. 21:31; 22:19

x [ch. 28:9; 36:2, 3]

y ch. 27:46

6 Hebrew they were bitterness of spirit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26:26–35.

 

 

26-31절) 이삭이 장막을 치고 생활하던 곳에 아비멜렉이 그의 친구 아훗삿과 군대장관 비골을 데리고 그랄에서 찾아왔다. 이삭은 나를 미워하여 떠나라고 한때는 언제고 왜 찾아왔느냐라고 물었고 아비멜렉의 일행은 우리가 여호와께서 너와 함께 하심을 보았기에 너와 계약을 맺으려고 한다고 말한다. 그 계약의 내용은 우리가 너를 범하지 않고 선한 일만 하여 너를 평안히 가게 하였으므로 너는 우리를 범하지 말라고 말한다. 그것의 근거는 이삭이 여호와께 복을 받은자 이기 때문이다. 이삭이 그들을 위해 잔치를 베풀어 먹고 마시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 서로 맹세한 후에 평안히 돌아갔다. 

 

앞서 26:1 이하에서는 이삭이 아비멜렉을 찾아갔다. 하지만 이제 아비멜렉이 조언자와 군대장관을 대동하고 이삭을 찾아왔다. 이 둘의 입장이 바뀐 것이다. 앞서 기근을 피하기 위해서 이삭이 도움을 요청한 것이라면 이제 아비멜렉이 평화조약을 맺기 위해서 방문한 것이다. 특히 근대장관 비골은 앞서 21:22에도 등장하는데 이 둘이 동일 인물인지 아니면 비골이라는 호칭이 이름이 아니라 군대장관을 부르는 이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앞서 아비멜렉은 이삭이 번성함을 보고 시기하여 그를 쫓아냈다. 이렇게 쫓아낼 정도로 강력한 힘을 가진 아비멜렉은 계속해서 부와 세력이 번성하여지는 것을 보면서 이것이 일반적이지 않고 강력한 신, 하나님이 그와 함께 하심으로 복을 주시기 때문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그를 두려워하게 되어서 평화 조약을 맺으려고 하는 것이다. 옛적에 이미 아브라함이 그러한 언약을 맺었었다.(21:22-32)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가? 바로 여호와께서 함께 하시는 사람에게 풍기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이삭의 배후에 하나님이 계심을 믿지 않는 이방인들도 인식하게 인정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아비멜렉에게는 군사적인 힘이 있었다. 하지만 그는 의인이었고(10절), 하나님이 이삭과 함께 하심을 알았고(28절), 그의 선조가 아브라함과 맺은 조약에 대한 이해도 있었을 것이다.(21장) 그래서 그는 이삭과의 평화 조약을 맺기 원했던 것이다. 이렇게 이들은 서로 맹세를 했고 한 상에서 먹고 마심으로 언약을 유효하게 했다. 이삭이 잔치를 베풀었다는 것은 그가 우위에 있는 자로서 이 계약에 임했다는 의미를 가진다. 정치적인, 군사적인 힘을 가지지 않은 이삭이 당시 가나안에서 가장 막강한 세력을 지닌 왕과 동등한 자격을 초월해 더 우위에서 동맹을 맺은 것이다.

 

First it was Isaac who visited Abimelech in Gerar. Now it is Abimelech, accompanied by two of his chief advisers, who visits Isaac in Beer-sheba.14 The roles of guest and host have shifted.

The reason for Abimelech’s visit is clear. He realizes that God has blessed Isaac with both material power (vv. 13–14) and manpower (vv. 14, 16). Beer-sheba is not far from Gerar, and in any future dispute Isaac and his entourage are too close for comfort. Accordingly, Abimelech seeks a more solid footing for security purposes, viz., a covenant of peace.

Abimelech does not travel alone to meet with Isaac. He brings with him Ahuzzath, his main civilian officer, and Phicol, his main military officer (cf. the Phicol who accompanied Abimelech in the latter’s negotiations with Abraham, 21:22). No reason is given why they accompany their king. If they are there to make Abimelech’s position seem more impressive (i.e., there is strength in numbers and in appearances), they do not succeed—Isaac is not intimidated. Indeed, neither Ahuzzath nor Phicol does anything or says anything (except by implication—vv. 28, 29). They are just there, silent observers of the pact between Abimelech and Isaac. Whatever the (foreign) etymology of Phicol may be,15 in Hebrew it means “mouthful”; yet he utters not even a syllable!16

14 Cf. the three “men” who came to Abraham at Mamre (18:1).

15 The suggestions range from Egyptian (M. Noth, History of Pentateuchal Traditions, p. 155 n. 443; W. F. Albright, “Egypt and the Early History of the Negeb,” JPOS 4 [1924] 138–39) to Anatolian (J. D. Ray, “Two etymologies: Ziklag and Phicol,” VT 36 [1986] 355–59). See above, p. 86 n. 1.

16 Y. T. Radday, “Humour in Names,” in On Humour and the Comic in the Hebrew Bible, ed. Y. T. Radday and A. Brenner, JSOTSup 92 (Sheffield: Almond, 1990), pp. 64–65. On Ahuzzath, see J. D. Safren, “Ahuzzath and the Pact of Beer Sheba,” ZAW 101 (1989) 184–98.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05–206.

 

28–29  Abimelech begins the conversation more diplomatically than Isaac. He starts with a testimony to the effect that he indeed knows that Yahweh is with Isaac (cf. 21:22). Abimelech’s confession may be compared with that of Jethro (Exod. 18:10–11), Rahab (Josh. 2:9–11), or Namaan (2 K. 5:15), all recognitions by Gentiles of the power and presence of Yahweh with his people. There is no evidence, however, that Abimelech became a follower of Yahweh.

This acknowledgment now made, Abimelech asks Isaac to enter into a treaty (berîṯ) and to make it binding by swearing (wayyiššāḇeʿû, v. 31) a solemn oath.17 Isaac’s relationship with Abimelech now provides three parallels with Abraham’s relationship with the earlier Abimelech. The first parallel is the wife-sister deception (20:2–18 and 26:1–16); the second is the dispute over wells (21:25–26 and 26:15–22); the third is the treaty with the Philistine king (21:27–34 and 26:28–31).

17 ʾālâ may not be an oath itself but rather an adjuration, a challenge to the parties involved to swear an oath. See G. R. Driver’s comments in his review of Brichto, The Problem of “Curse” in the Hebrew Bible, in JSS 10 (1965) 94.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06–207.

 

32-33절) 아비멜렉과 맹세를 한 바로 그 날 이삭의 종들이 자기들이 판 우물에 대해서 이삭에게 와서 알렸고 그 이름을 세바라 하였다. 그래서 그 성읍의 이름을 브엘세바라 하였다. 

 

앞서 이삭의 종들은 우물을 찾는데 선수들이었다. 이미 3번에 걸쳐서 우물을 찾았고 이제 네번째 우물을 찾는데 성공한 것이다. 본문은 ‘그날에’라고 표현하면서 이삭의 종들이 바로 그날 우물을 찾은 것은 우연이 아니라 전날 이삭이 아비멜렉과 맺은 평화 조약을 기념하기 위한 하나님의 축복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토록 분쟁하면서 소유하기를 원했던 물을 얻게 된 것이다. 이삭은 그 우물을 세바라고 이름했는데 이것의 의미는 ‘일곱, 맹세’의 의미이다. 

 

33  In response to his servant’s announcement, Isaac names (renames?) the city Shibah. This word (Heb. šiḇʿá) is most likely the feminine form of the numeral “seven” (masc. šeḇaʿ; fem. šiḇʿá), which is frequent in the Hebrew Bible.23 This suggests that Isaac is simply reaffirming the name given to this site by Abraham (21:31), and there is therefore no reason for the repeated emphasis on “seven” as there was in ch. 21. Thus Isaac follows his father at two points: in making an alliance of peaceful coexistence with a Philistine King, and in naming a city.

If one does not accept šbʿh as the numeral “seven,” then one has three ways of integrating the etymology of Beer-sheba in ch. 21 with that given here in ch. 26. (1) One can opt for one of the other readings, especially LXX; then “seven” has nothing to do with the name at all, and Beer-sheba means (in both places) “well of oath.”24 (2) One may resort to literary sources and attribute the story in ch. 21 to sources E and Jb, and that in ch. 26 to JR.25 (3) Instead of appealing to sources, one may appeal to an earlier tradition of the story in which Beer-sheba was connected with “oath,” and a later tradition in which the name was connected for more explicit purposes with “seven.”26

masc. masculine

fem. feminine

23 Some of the ancient versions read something other than “seven” for šiḇʿâ, LXX hórkos suggests šeḇuʿâ, “oath.” Pesh. and Vulg. (abundantiam) read the Hebrew word as śiḇʿâ, “abundance,” which is certainly a possible reading, and would follow nicely after v. 32. Isaac calls the name of the place where water was found “Well of Abundance.” See Long, Problem of Etiological Narrative, pp. 34–36.

LXX Septuagint

24 So Speiser, Genesis, p. 202.

25 So Gunkel, Genesis, pp. 233–36.

26 See Y. Zakovitch, “A Study of Precise and Partial Derivations in Biblical Etymology,” JSOT 15 (1980) 34–36.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08–209.

 

34-35절) 에서는 40세에 헷 족속 브에리의 딸 유딧과 헷 족속 엘론의 딸 바스맛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이는 이삭과 리브가의 마음에 근심이 되었다. 

 

에서가 결혼한 나이는 아버지 이삭이 결혼한 나이와 같았다. 이삭이 40세에 결혼하여 에서와 야곱을 60세에 낳았기 때문에 에서가 결혼한 때는 이삭이 100세가 되는 해였다. 그런데 에서의 결혼은 부모에게 근심을 가져다 주었다. 앞서서 아브라함이 이삭의 아내를 가나안땅에서 얻지 않기 위해서 멀리 밧단아람까지 종을 보내어 어머니 리브가를 데려왔는데 지금 에서는 이방의 헷 족속에서 아내를 얻고 있는 것이다. 지금의 정서와는 다르지만 당시는 자녀의 결혼을 부모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주선했는데 에서는 본인이 이방의 헷 족속중에 아내를 얻었고 또한 두명의 아내를 취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볼때 에서는 세가지 측면에서 부모들을 근심되게 했다. 1) 그는 스스로 자신의 결혼을 주선했다. 2) 동족 결혼의 전통을 버리고 가나안 사람, 헷 족속에서 아내를 취했다. 3) 일부일처제가 아니라 일부다처제의 전통을 따라 라멕의 계보를 잇고 있다. 이런 이유들로 그의 결혼은 부모의 근심이 되었고 이는 이후의 야곱이 장자권을  빼앗는 사건의 정황속에서 에서가 축복을 받기에 합당하지 않은 인물임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아이러니하게 이 여인들의 이름의 뜻은 유딧(찬양하다, 칭찬하다)이고 바스맛(향기)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실제로 이들은 그 이름에 합당하게 살아내지 못했다. 

 

앞서 아비멜렉과의 조약은 이들을 평화의 시대로 이끌었다면 헷 족속의 여인을 아내로 들인 것은 이들 가족에게 근심이 되었다. 

 

Why is the account of Esau’s wives placed here? Could it be because of the similarity in sound between Beeri and the Hebrew word for “well” (beʾēr), a word that is prominent in the preceding narrative? Does its placement here “soften the bad impression created by the ruthless and unscrupulous conduct portrayed of Rebekah and Jacob in chapter 27”?3 Or is Esau’s relationship with Judith and Basemath to be contrasted with Isaac’s relationship with Abimelech? Alliances of a political nature with outsiders are condoned, but marital alliances with outsiders bring grief to the husband’s parents. Sarna has suggested that the placement of these two verses here reinforces the unworthiness of Esau to be his father’s heir. Esau’s errors are threefold. He has contracted the marriage himself, thus bypassing his parents; he married exogamously rather than endogamously; he has gone against the honor of his clan group by intermarrying with the native women.4 Thus in several important ways the marriage of Isaac to Rebekah (ch. 24) contrasts with the marriage of Esau to Judith and Basemath.5

Chapters 26 and 27 provide several contrasts. In ch. 26 Isaac and Rebekah weep (v. 35). But in ch. 27 Esau weeps. If in ch. 26 a son by his conduct embitters a mother, in ch. 27 a mother by her conduct embitters a s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cidents is that in ch. 26 the mother (Rebekah) is fully aware of her son’s (Esau) activities, whereas in ch. 27 the son (Esau) is unaware of his mother’s (Rebekah) involvement in and contribution to his distress.

3 See Vawter, On Genesis, p. 297.

4 Sarna, Genesis, p. 189. Sarna’s suggestion is along the lines of Vawter’s.

5 However much a source of grief Esau’s choice of wives may have been to his parents, each of the daughters-in-law bears a beautiful name. Judith, like Judah, is probably connected with the Hophal of yāḏâ, “to praise,” thus “praised one.” Basemath is connected with bōśem, “spice, balsam” and translates as “perfume.”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5), 210–211.

 

 

 

728x90

Now there was a famine in the land, besides uthe former famine that was in the days of Abraham. And Isaac went to Gerar to vAbimelech king of the wPhilistines. And the Lord appeared to him and said, “Do not go down to Egypt; dwell xin the land of which I shall tell you. ySojourn in this land, and zI will be with you and will bless you, for ato you and to your offspring I will give all these lands, and I will establish bthe oath that I swore to Abraham your father. cI will multiply your offspring as the stars of heaven and will give to your offspring all these lands. And din your offspring all the nations of the earth shall be blessed, because eAbraham obeyed my voice and kept my charge, my commandments, my statutes, and my laws.”

u ch. 12:10

v ch. 20:2

w ch. 21:34

x ch. 12:1

y ch. 20:1; Heb. 11:9

z ch. 28:15

a See ch. 13:15

b [Mic. 7:20]; See ch. 22:16–18

c Cited Ex. 32:13; See ch. 15:5

d See ch. 12:3

e ch. 22:1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26:1–5.

 

 

1-2절) 이전에(12:10) 아브라함 때에도 흉년이 있었는데 이제 그 땅에 또 흉년이 들었다. 이에 이삭은 그랄로 가서 블레셋 왕 아비멜렉에게 이르렀다. 

창세기 12:10 (NKRV)

10그 땅에 기근이 들었으므로 아브람이 애굽에 거류하려고 그리로 내려갔으니 이는 그 땅에 기근이 심하였음이라

그 땅은 벧엘에서 남쪽이었는데 당시 아브라함은 기근으로 인해서 애굽으로 내려갔다. 그런데 본문에서는 여호와께서 이삭에게 애굽으로 내려가지 말고 하나님께서 지시하는 땅에 거주할 것을 말씀하신다. 

본문에 등장하는 아비멜렉은 앞서 20장에 등장하는 아비멜렉의 아들이나 손자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자는 본문의 흉년이 아브라함때의 기근과 비슷한 수준의 기근이었음을 강조한다. 그때 아브라함은 애굽으로 내려갔다. 지금 이삭은 그랄로 향하고 있는데 그의 발걸음이 애굽으로 향하지는 않았지만 아마도 더 기근이 심해지면 애굽으로 갈 것을 생각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이삭에게 애굽으로 내려가지 말것을 말씀하신다. 이것이 이삭이 하나님께 직접 처음 받은 신탁이었다. 당시의 애굽은 지금의 미국과 같이 젖과 꿀이 흐르는, 풍요로움을 상징하는 곳이었다. 그런데 지금 하나님께서 풍요함이 넘치는 애굽이 아니라 믿음으로 하나님을 의지하여 하나님이 명하시는 땅으로 가서 거주하라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아비멜렉은 ‘나의 아버지는 왕’이라는 의미로 애굽의 바로와 같이 그랄의 모든 왕을 칭하는 호칭으로 보인다. 

저자는 아비멜렉을 블레셋의 왕이라고 하는데(1 절), 아브라함이 만난 아비멜렉은 그랄의 왕이라고 할 뿐 블레셋의 왕이라고 하지는 않았다(cf. 2장). 사실 블레셋 사람들은 이집트의 약화를 틈타 주전 1200년대에 가나안 남서부 지역으로 대거 이주했다. 그리고 11 세기에 이르러서야 가나안 땅에 상당한 세력을 확립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람세스 3세(Ramses llI, 주전 1182-1151 년)의 기록에 의하면, 이들은 가나안 땅에 가사(Gaza), 갓{Gath), 아스돗{Ashdod), 에글론(Ekron), 

아스겔론{Ashkelon) 등 5 대 도시국가{pentapolis)를 형성했다. 그렇다면 이곳에 등장하는 블레셋 사람들은 누구인가? 아마도 아직은 세력을 구축하지 못한 한 집단/족속을 의미하거나 시대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듯하다(anachronism). 날 이 땅이 블레셋 족속의 땅이 되는 것을 근거로 해서 그들 이전에 이 땅에 거했던 왕을 후 세대의 이해를 돕기 위해 블레셋의 왕으로 부르는 것이다.(엑스포지멘터리 468)

 

본문의 사건의 시간을 특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야곱과 에서가 태어난 이후인지 아니면 그 전인지 분명하지 않다. 창세기의 기록은 연대기적인 순서보다 문학적인 순서, 사건의 배열이 더욱 중요했기 때문이다. 

 

3-5절) 이삭에게 축복을 약속하시는 하나님

이 땅, 하나님께서 이삭에게 지시하시는 땅에 거주하면 하나님께서 이삭과 함게 하심으로 이삭에게 복을 주시고 이 모든 땅을 이삭과 이삭의 후속에게 주실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이는 이삭의 아버지 아브라함에게 맹세하신 것으로 ‘네 자손을 하늘의 별과 같이 번성하게 하며 이 모든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니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받으리라’라는 것이었다. 이삭에게 허락하시는 축복은 그의 아버지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고 하나님의 명령과 계명과 율례와 법도를 지켰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이삭에게 약속하신 축복의 내용은 22:16-18의 내용이다. 

창세기 22:16–18 (NKRV)

16이르시되 여호와께서 이르시기를 내가 나를 가리켜 맹세하노니 네가 이같이 행하여 네 아들 네 독자도 아끼지 아니하였은즉

17내가 네게 큰 복을 주고 네 씨가 크게 번성하여 하늘의 별과 같고 바닷가의 모래와 같게 하리니 네 씨가 그 대적의 성문을 차지하리라

18또 네 씨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받으리니 이는 네가 나의 말을 준행하였음이니라 하셨다 하니라

이삭은 아브라함의 상속자로서 이 약속의 성취는 아브라함의 순종과 매우 깊은 관련이 있다. 

 

 

 

위의 표를 통해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아브람과 이삭이 아비멜렉과의 관계를 다룬 이야기와 그랄에서의 여정이 비슷하다. 창세기 저자가 이렇게 비슷한 사건을 비슷한 플롯으로 기록하고 있는 이유는 결국 두 사건을 통해서 같은 교훈을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아브람과 이삭은 모드 아비멜렉에게 자신들의 아내를 여동생이라고 속이지만 하나님께서 이들을 보호하심으로 축복을 받게 된다. 결국 언약은 받은 자들도 연약하여 실수하지만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주신 언약을 그분 스스로 지켜주시고 이루어 주시지 않으면 실현될 수 없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본문을 통해서 우리의 현실을 뛰어넘는 초월적인 신앙을 요구하시는 하나님을 만나게 된다. 흉년, 기근이라는 너무나도 현실적인 어려움 앞에서 그 기근을 피해서 곡식이 풍부한 애굽으로 가는 것이 너무나도 합리적인, 현실적인 선택이지만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약속과 아브라함에게 하신 축복을 이루시기 위해서 이삭과 그의 가족을 기근이 있는 땅에 거하도록 하신 것이다. 이곳에서 인간적인 방식을 초월해서 베푸시는 하나님의 축복을 경험하기를 원하시는 것이다. 인간적인 문제앞에서 우리의 무지와 불순종으로 인한 결과의 책임을 하나님께 돌릴 수 없다. 또한 우리의 논리와 상식을 초월한 일을 선택해야 할 때는 먼저 그 일이 정말 하나님이 원하시는 일인지 확인해야 한다. 

 

본문의 5절은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법도, 율법(토라)를 잘 지켰다라고 말하고 있다. 아브라함은 율법이 주어지기 오래전에 살았던 사람이다. 그는 율법이 없던 시절 믿음으로 살았던 사람이다. 이는 비록 아브라함이 거짓말도하고 실수도 하는 연약한 사람이었지만 그의 삶이 하나님의 뜻을 순종하며 살아가는 삶이었고 율법으로 규정되지 않았지만 율법에 준하는 삶을 살아냈음을 말하고 있다. 아브라함은 멜기세덱에게 십일조를 바치며 신명기가 추구하는 방식으로 율법을 준수하는 삶을 살아냈다. 

신명기 30:6 (NKRV)

6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마음과 네 자손의 마음에 할례를 베푸사 너로 마음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게 하사 너로 생명을 얻게 하실 것이며

아브라함은 율법이 그렇게 추구했던 ‘마음의 할례’를 받은 자로 여호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삶을 살았던 사람이다. 이 아브라함의 순종을 통해서 이삭이 하나님께 복을 받게 된다. 

 

아브라함은 기근을 피해 애굽으로 내려갔지만 하나님께서 이삭에게는 애굽으로 내려가지 말라고 말씀하신다. 하나님의 뜻은 모든 이들에게 똑같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다. 우리의 처한 상황이나 개개인의 정황에 따라서 다른 것을 요구하실 수 있다. 같은 사람에게도 비슷한 상황에 다른 선택을 요구하실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삶의 여러 정황들 속에서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귀 기울여야 한다. 

 

 

 

 

728x90
23 rOne Sabbath he was going through the grainfields, and as they made their way, his disciples sbegan to pluck heads of grain. 24 And the Pharisees were saying to him, “Look, twhy are they doing uwhat is not lawful on the Sabbath?” 25 And he said to them, v“Have you never read wwhat David did, when he was in need and was hungry, he and those who were with him: 26 how he entered the house of God, in the time of4 xAbiathar the high priest, and ate ythe bread of the Presence, which it is not lawful for any but the priests to eat, and also gave it to those who were with him?” 27 And he said to them, z“The Sabbath was made for man, anot man for the Sabbath. 28 So bthe Son of Man is lord even of the Sabbath.”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막 2:23–28.

23-24절) 안식일에 예수님과 제자들이 밀밭 사이로 지나가다가 이삭을 잘랐다. 이를 보고 바리새인들이 안식일을 범하느냐고 예수님께 지적한다. 배고플때 손으로 타인의 밭에서 곡식을 따먹는 것을 허락되었지만 안식일에 일하는 것은 금지된 것이었다. 
시기적으로 볼때 팔레스타인 지역에 밀이 5-6월에 익는데 이 사건은 예수님의 죽음 10개월 여전인 3-4월 경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Deuteronomy 23:25 implies that, in the case of hunger, it was permissible to eat heads of grain from any field one might pass by. Work, however, was not permitted on the Sabbath (Ex. 34:21). Pharisaic interpretation sought to guard against work on the Sabbath by prohibiting even the minimal “work” involved in thus satisfying one’s hunger.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897.

25-26절) 율법을 존중하고 지킬 필요가 있지만 비상시에, 절박한 상황에서 다른 선택을 할 수가 있음을 말한다. 에수님은 삼상 21장 1-6절을 통해서 다윗과 그 일행들이 먹을 것이 없어 하나님의 전에 있는 진설병을 먹은 것을 예로 들고 있다. 본문은 대제사장 아비아달 때라고 말하는데 실제로 삼상 21:1을 보면 아히멜렉이 대제사장이었고 아비아달은 그의 아들이다. 그렇다면 왜 본문에서 아비아달 때라고 말하는가? 첫번째로 아비아들이 구약에서 다윗의 통치시기에 가장 저명한 대제사장이기 때문이고 두번째로는 삼상 22장의 사울의 명령에 의해서 도엑에 의해서 제사장들이 학살될때 살아남은 유일한 제사장으로 삼상에서 가장 유명한 대제사장이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Abba-Abiathar(아비아달의 아버지)에서 아바가 빠졌다는 것이다. 
- Jesus initially emphasizes that the restrictive Pharisaic interpretation of the law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situation of need in which David and his men found themselves (1 Sam. 21:1–6). David ate the bread of the Presence, so it follows that, at least in the case of need, actions are allowed on a Sabbath that otherwise might not be permitted. in the time of Abiathar the high priest. The incident with David actually occurred when Ahimelech, not his son Abiathar, was high priest (1 Sam. 21:1). “In the time of Abiathar” could mean: (1) “In the time of Abiathar, who later became high priest” (naming Abiathar because he was a more prominent person in the OT narrative, remaining high priest for many years of David’s reign); (2) “In [the Scripture section of] Abiathar, the high priest” (taking Gk. epi plus the genitive to indicate a location in Scripture, as in Mark 12:26). Abiathar, the only son of Ahimelech to survive the slaughter by Doeg (1 Samuel 22), is the best-known high priest in this larger section of 1 Samuel.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897.
- Another explanation, building upon the fact that the Aramaic word abba means father (cf. Mark 14:36), is that the original had Abba-Abiathar (i.e., “father of Abiathar,” who was in fact Ahimelech). Abba was then accidentally omitted by an early copyist because its first two letters are the same as the first two of Abiathar. The last is perhaps the best explanation, though it apparently assumes an original Aramaic text. No explanation is completely satisfactory. The implied comparison between David and Jesus suggests that Jesus possessed authority similar to that of David and that in some sense he was David’s successor. The idea is developed further in 11:10. James A. Brooks, Mark, vol. 23,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1), 66.

예수님은 인간의 필요가 예식법에 우선한다는 사실을 밝히셨다. 

27-28절) 안식일이 사람을 위하여 있는 것이지 사람이 안식일을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신다. 그러므로 인자가 안식일의 주인임을 밝히신다. 이는 만약 안식일이 사람들의 유익을 위한 것이고 인자가 모든 사람들의 주인이라면 인자는 마땅히 안식일의 주인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