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dDo your best to come to me soon.10 ForeDemas,fin love withgthis present world,hhas deserted me and gone to Thessalonica. Crescens has gone to Galatia,2iTitus to Dalmatia.11 hLuke alone is with me. GetjMark and bring him with you, for he is very useful to me for ministry.12 kTychicus I have sent to Ephesus.
dch. 1:4
eCol. 4:14; Philem. 24
fSee 1 John 2:15
g1 Tim. 6:17; Titus 2:12
h[ch. 1:15]
2Some manuscriptsGaul
i[Titus 3:12]
h[See ver. 10 above]
jSee Acts 12:12
kActs 20:4; Eph. 6:21; Col. 4:7; Titus 3: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4:9–12.
9너는 어서 속히 내게로 오라
10데마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나를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갔고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 디도는 달마디아로 갔고
11누가만 나와 함께 있느니라 네가 올 때에 마가를 데리고 오라 그가 나의 일에 유익하니라
디모데후서는 머리말(1:1-5), 본론(1:6-4:8), 결론(4:9-22)로 이루어진다.
4:9-18절에 이어지는 내용은 이제 죽음을 앞둔 노사도 바울이 자신의 신변을 정리하면서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인간적인 연민, 고독감을 잘 보여준다. 먼저 바울은 디모데로 하여금 자신에게 속히 올 것을 요청한다.
9절) ‘너는 어서 오라’에 해당하는 ‘스푸다손 엘레인’에서 ‘스푸다손’은 ‘서둘로서, 속히, 금히, 열심히 ~을 하다’라는 의미이다. ‘스퓨도’의 2인칭 부정 과거 명령형이다. 이어지는 ‘엘데인’은 ‘오다, 이르다’라는 의미의 동사 ‘에르코마이’의 부정사이다. 이른 직역하면 ‘너는 오는 것을 서둘러라, 너는 서둘러서 오라’가 된다. 이러한 요청은 21절에서 다시 한번 반복된다.
본문속에서 ‘어서 속히’에 해당하는 긴급을 의미하는 표현이 두번이나 반복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바울이 디모데와의 만남을 얼마나 간절히 원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바울이 디모데와 사랑의 교제와 복음의 교제, 권면의 말을 하기 원함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얼마나 외로운지를 느끼게 해준다. 바울은 지금 자신의 마지막을 앞두고 로마의 음침한 토굴 감옥에서 외롭게, 쓸쓸하게 지내면서 자신의 마지막을 정리하고 있는 것이다. 유독 이 표현은 바울의 목회서신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본문에서 ‘속히’로 번역된 ‘타케오스’는 ‘급히, 빨리, 곧’의 의미를 지닌다. 본문은 '가까운 미래에 혹은 지체하지 않고 신속하게’라는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 4:9The reference in v. 6 to Paul’s impending death is the setting for this request that Timothy come to him as soon as possible. Imperativeσπούδασονcan mean either “hasten,” or “make every effort, do your best” (σπουδάζω, PE*: Tit. 3:12 [see comments there]; 2 Tim. 2:15; 4:21, all but 2:15 requests for Titus or Timothy to come to Paul). Since the adverbταχέωςis added to convey the need for hurrying, it is more likely that the imperative is used in the other sense. Either way it conveys a sense of urgency.
The urgent request is for Timothy “to come” (ἐλθεῖν, used similarly in 4:21; Tit. 3:12). The personal nature of the request comes through clearly in the simple prepositional phraseπρός με, “[come] to me.”ταχέως, “soon,” a relative term, is given perspective by being replaced byπρὸ χειμῶνος, “before winter,” in v. 21 (for its relative character see in Paul* 1 Cor. 4:19; Gal. 1:6; Phil. 2:19, 24; 2 Thes. 2:2; 1 Tim. 5:22). This request presumes the usual time factor in the Roman judicial system, and particularly as it relates to Paul’s case, and also takes into account the time for the letter to be carried to Timothy and for him to travel to Rome. Furthermore, Paul’s requests for certain items to be brought to him (v. 13) also presume some time remaining for him when Timothy arrives. But at the same time, and more importantly, Paul writes as a man who is certain that he will not be released and that before long he will depart this life (v. 6) to Christ’s heavenly kingdom (v. 18). In that light he writes urging Timothy to come to him as soon as he possibly ca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3–464.
10절) 원문에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가르’가 포함되어 9절에서 디모데로 하여금 속히 오라고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데마와 그레스게와 디도가 모두 바울을 버리고 각기 다른 곳으로 떠났기 때문이다. 바울이 디모데의 방문을 간절하게 원하고 있는 것은 복음의 교제를 나누기 위함만이 아니라 인간적인 고립감, 배신감, 거절감을 극복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말년에 로마 감옥에서 바울의 수감 생활중 함께 했던 이들이 그를 떠난 것이다.
‘이 세상을’로 번역된 ‘톤 뉜 아이오나’는 문자적으로 ‘현재의 시대, 현실 세상’을 뜻하는데 이는 하나님의 복음을 사랑하여 이를 전함으로 고난을 받기보다 자기 자신을 더욱 사랑하고 쾌락을 좇아 살게 하는 세상을 의미한다. 데마는 복음을 위하여 바울과 함께 고난받는 것을 거부하고 자기 쾌락을 좇아 이를 따라 세상을 사랑하여 바울을 떠났다. ‘사랑하여’에 해당하는 ‘아가페사스’는 ‘아가파오’의 부정과거 분사형이다. ‘아가파오’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향한 무조건적 사랑을 의미하는 표현인데 데마가 단순히 세상을 좋아하는 정도가 아니라 세상을 위해서 목숨을 내놓을만큼 뜨겁게 사랑하여 자신을 버리고 떠났음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8절에서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자’라는 표현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바울은 데마가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여 바울을 버리고 떠났음을 보여둔다.
‘버리고’로 표현된 ‘엥카텔리펜’은 ‘남기다, 버리다, 폐기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엥카탈레이포’의 부정과거 능동태 직설법표현으로 롬 9:29에서는 남겨두다라는 의미로 번역되었다.
로마서 9:29
29또한 이사야가 미리 말한 바 만일 만군의 주께서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지 아니하셨더라면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로마서의 이 표현은 이사야의 예언에 대한 인용으로 하나님, 만군의 주께서 씨를 남겨 두셨다라는 그분의 능동적 행동을 묘사한 표현으로 이처럼 데마는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바울을 버려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바울을 버렸음을 말해준다. 단순히 고난을 피하기 위해서 바울을 버린 것만이 아니라 영적으로도 하나님을 버리고 자신의 신앙마저도 버렸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데마는 몬 1:24이나 골 4:14에서 언급된 것처럼 바울의 복음 증거를 돕는 자였다. 그는 바울이 총애해 마지않던 누가와 동시에 언급될 정도로 신실한 종이었다. 그런데 이제 영적 지도자인 바울과 더불어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까지 저버린 것이다. 그렇다면 왜 데살로니가로 갔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곳이 데마의 고향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골로새서 4:14
14사랑을 받는 의사 누가와 또 데마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빌레몬서 24
24또한 나의 동역자 마가, 아리스다고, 데마, 누가가 문안하느니라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 디도는 달마디아로’, 데마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바울을 버리고 갔다면 그레스게와 디도는 사역을 위해 바울이 파송한 이들이었다. 데마처럼 바울을 버리고 떠난것은 아니지만 지금 바울 곁을 떠난 사실은 동일하다. 이들이 복음 사역을 위하여 바울을 떠났더라도 그로 인해 바울이 로마의 감옥에서 홀로 느꼈을 고립감과 외로움은 매우 컸을 것이다.
‘그레스게’는 다른 성경본문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레스게가 파송된 곳이 갈라디아라는 점에서 일반적으로바울은‘아가야’나‘마게도냐’또는‘아시아’처럼로마의정치적단위의지방들을공식적인명칭으로부르는데,그렇다면그레스게가파송된‘갈라디아’는‘소아시아에자리한로마령갈라디아’가확실하다.그러나이것이다른문헌에는‘갈리아’로표기되어있다.만약이표기가정확한것이라면“그레스게가로욘근처의비엔나에교회를설립했다”라는저명한교회사가유세비우스(Eusebius)의지적을고려해볼수있다.유세비우스는그레스게가‘고올(갈리아)’로보냄을받았다고분명하게말한바있고만약이것이사실이라면여기서표현된갈라디아는‘아시아의갈라디아’가아닌‘유럽의갈리아’였을가능성도배제할수없다.바울이스페인을방문했을것으로가정할때,그가남쪽고올지방에교회들을세웠고그리고그레스게를보내어거기서시작된자신의사역을강화시켰을것으로생각하는것도이논리에부합한다(Hendriksen). (옥스포드 586)
디도는 달마디아로 갔다.
로마서 15:19
19표적과 기사의 능력으로 성령의 능력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리하여 내가 예루살렘으로부터 두루 행하여 일루리곤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편만하게 전하였노라
본문에서 ‘달마디아’가 바로 아드리아 연안 동쪽에 있는 일루리곤에 속한 지역이다. 이미 바울에 의해 개척된 곳이다. 이렇게 바울이 디도를 달마디아로 보낸 것은 자신이 이전에 복음 증거하여 세워진 곳의 사역을 다시금 돌아보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디도는 예루살렘을 방문한 이후 그의 모든 전도활동의 무대를 오늘날의 유럽지역으로 집중했다.(갈 2:1)
- 4:10The explanatoryγάρsignifies that this verse provides a reason for Paul’s request in the preceding verse. He relates that almost all his coworkers have gone elsewhere and says (in v. 11) that he is nearly alone. The implication is that he is lonely and needs help and companions.
Paul’s difficult situation is highlighted by his beginning with Demas, who has deserted him because of his “love of the world.”Δημᾶς** is listed as one of Paul’s “fellow workers” in Phm. 24 and under that designation is one of those who send greetings in Col. 4:14. BAGD and BDF (§125.1) suggestΔημᾶςmight be a shortened form ofΔημήτριος. Chapman (“Historical Setting,” 364ff.) identifies theΔημήτριοςof 3 Jn. 12 with thisΔημᾶς, but this proposal is not conclusive.
Paul says that Demas “deserted” (ἐγκατέλιπεν, NT 10x, Pl.* 4x: Rom. 9:29; 2 Cor. 4:9; 2 Tim. 4:16; for the variant -λειπεν, which does not affect the meaning, seeNA26) him (με) “because he has loved the present age” (ἀγαπήσας τὸν νῦν αἰῶνα). In this aorist participle of antecedent action “it is the inception of the action only which precedes the action of the principal verb” (Burton,Syntax, §137), i.e., Demas has begun to love and still loves the present age. Elsewhere Paul refers toὁ νῦν αἰών,** “the present age, the present world” (also in 1 Tim. 6:17; Tit. 2:12), withὁ αἰὼν ὁ ἐνεστώς(Gal. 1:4) andὁ αἰὼν οὗτος(Rom. 12:2; 1 Cor. 1:20; 2:6, 8; 3:18; 2 Cor. 4:4; Eph. 1:21). Since it is an “evil” age (Gal. 1:4), whose God is the evil one (2 Cor. 4:4), Christians are not to be conformed to it (Rom. 12:2). Paul seems to be contrasting Demas’s love with that which marks true Christians (4:8, the only other use ofἀγαπάωin the PE*), who love and long for the future appearance of the Lord. Demas’s love for this world implies that he is one whose love for something else has taken the place of love for God (cf. 3:2, 4, where a compound ofφίλοςis used; cf. 1 Jn. 2:15).
In deserting Paul, Demas has gone to Thessalonica, a city in Macedonia on the Thermaic Gulf (Θεσσαλονίκη,** elsewhere in the NT in Acts 17:1, 11, 13; Phil. 4:16). He may be returning to his hometown, since he is mentioned in Phm. 24 with Aristarchus the Thessalonian (Acts 20:4; 27:2) and since two of the politarchs of Thessalonica were named Demetrius (Lightfoot,Biblical Essays, 247 n. 2).
Paul utilizes the verb “has gone” not only for Demas but also for two other fellow workers, naming the place to which each “has gone” (ἐπορεύθη, aorist passive ofπορεύομαι, withεἰςand the place also in Rom. 15:24, 25; 1 Tim. 1:3). But the construction of the phrase with these two others, consisting of the person’s name with the prepositional phrase, implies only this latter verb, not the earlier statement about desertion. Furthermore, that Titus has gone to Dalmatia, just north of Nicopolis, fits with Paul’s earlier request (and presumed evangelistic strategy) for Titus to join him in Nicopolis (Tit. 3:12).Κρήσκης,** a rare Greek form of the common Latin “Crescens,” is not mentioned elsewhere in the NT. Crescens is said to have gone toΓαλατία** (1 Cor. 16:1; Gal. 1:2; 1 Pet. 1:1; for manuscript evidence for this reading and the variant “Gallia” seeUBSGNTandTCGNT).Γαλατίαis almost certainly an area in central Asia Minor (for alternatives see the literature onΓαλατίαin BAGD).Τίτοςis Paul’s well-known fellow worker (see the statements about his life and ministry in theIntroduction). He has gone toΔαλματία,** Dalmatia, which is located in southern Illyricum across the Adriatic Sea from southern Italy.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DF F. Blass and A. Debrunner,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 W. Funk from the 10th German ed. Chicago, 1961.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A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26K. Aland and B. Aland, eds.,Novum Testamentum Graece.26th ed., Stuttgart,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UBSGNT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The Greek New Testament(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B. M. Metzger,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4–465.
11절) 바울의 말년 감옥 생활에 유일하게 남아있던 사람은 다름 아닌 누가였다. 누가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저자로 바울의 전도여행에 동행했다. 팔레스틴에서부터 로마까지 멀고도 험난한 해상 여행에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바울과 함께 하였다.(행 27장) 누가는 바울과 함께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였으며 바울의 주치의이기도 했다.(골 4:14) 누가는 바울의 1, 2차 로마 수감 생활동안 그와 함께 했으며(골 4:14; 몬 1:24; 딤후 4:11) 서신을 대필하기도 한 비서요 신실한 친구였다. 누가는 그리스도인, 선교사, 의사, 비서, 친구로서 바울과 언제나 함께 하였다.
‘마가를 데리고 오라’, 마가는 예루살렘 출신으로(행 12:12) 바울의 제1차 전도여행에서 바울 일행을 떠나 개인적인 행동을 함으로(행 13:13) 바울과 바나바가 서로 결별하는 이유를 제공했다(행 15:36-41) 하지만 이후 골 4:10이나 몬 1:24을 보면 마가는 바울이 일차로 로마감옥에 수감되었을때 그와 함께 했음이 분명하다. 벧전 5:13에서 마가는 베드로와 함께 로마에서 복음을 증거했다. 전승에 따르면 베드로가 로마에서 순교한 후 이전의 바울과의 반목을 털어버리고 그의 신실한 조력자가 되었다고 한다. 한때는 서로 반목했던 자들이 복음 안에서 다시 화해하고 한 뜻으로 주의 복음을 위해 애쓰는 모습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모습임에 틀림없다. 여기서 디모데에게 마가와 동행할 것을 요청하는 이유는 마가가 바울 자신의 일에 유익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일’에 해당하는 헬라어 단어 ‘디아코니안’은 교회와 관련된 봉사, 또한 하나님나라와 관련된 사역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이처럼 바울은 자신이 관계하는 복음 사역에 마가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 4:11The result of these departures is that the company of fellow workers has been reduced to one:Λουκᾶς ἐστιν μόνος μετʼ ἐμοῦ, “Luke only is with me” (for this use ofμόνοςcf. Rom. 11:3; 1 Cor. 9:6; 14:36; Phil. 4:15; 1 Thes. 3:1).Λουκᾶς** is listed as one of Paul’s fellow workers in Phm. 24 and is described as “the beloved physician” (ὁ ἰατρὸς ὁ ἀγαπητός) in Col. 4:14.
The remainder of this verse assumes that Timothy will come to Paul and states that he should bring Mark with him (μετὰ σεαυτοῦ). BAGD (s.v. 4) proposes thatἀναλαβώνis used here as in Acts 23:31 and in extrabiblical literature (references in BAGD) in the sense of “taking along” a person who travels with someone. It is possible, however, that it is used in the more general sense of “take to one’s self” (BAGD s.v. 3; so Thayer,Lexicon). Imperativeἄγε, “bring [him] along,” is the key verb in this statement.
Μᾶρκος** undoubtedly refers to the one associated with Paul elsewhere in the NT. Hence “Mark” is the surname of John, son of Mary of Jerusalem and cousin of Barnabas (Col. 4:10) who accompanied Paul and Barnabas on the so-called first missionary journey but left them early during that journey (Acts 12:25; 13:5, 13). Paul did not want to take Mark on his next journey because of this desertion (Acts 15:37–40), but Mark proved himself after that time and came to be regarded by Paul as a fellow worker (Phm. 24; cf. 1 Pet. 5:13).
The reason (γάρ) that Paul wants Timothy to bring Mark with him is that Mark is “useful” (εὔχρηστος,** also in 2:21; Phm. 11, where what is said about Onesimus could just as well be applied to Mark) to Paul “for service.” Paul has usedδιακονίαfor the “ministry” in which he was placed by Christ (1 Tim. 1:12) and for the “ministry” that Timothy is to fulfill (2 Tim. 4:5). Furthermore, Paul regards Mark as his “fellow worker” (συνεργός, Phm. 24). For those reasons and because Paul wants Mark to come to replace other coworkers who have left, it is most likely that he usesδιακονίαhere for the ministry of the gospel (rather than personal service). Cf.NIV:“because he is helpful to me in my ministry” (alsoTEV).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IVNew International Version
TEV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5–466.
12절) 행 20:4에 아시아까지 바울을 동행한 이들이 언급되는데 그 중에 두기가고 포함된다.
사도행전 20:4
4아시아까지 함께 가는 자는 베뢰아 사람 부로의 아들 소바더와 데살로니가 사람 아리스다고와 세군도와 더베 사람 가이오와 및 디모데와 아시아 사람 두기고와 드로비모라
두기고는 바울의 1차 로마 감옥 수감생활중에 함께 하였고 에베소서와 골로새서를 전달한 인물이기도 하다.(엡 6:21; 골 4:7) 그는 사랑을 받는 형제와 복음의 충성스러운 사역자요 바울의 동료이며 매우 신실한 그리스도인임에 분명하다.
에베소는 디모데가 바울의 후임으로 사역하고 있는 곳이었다. 그렇다면 바울이 두기고를 에베소로 보낸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디모데가 로마감옥에 수감된 자신을 방문하기 위해서 올 경우 디모데가 에베소에서 하던 사역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였을 것이다(딛 3:12) 여기서 ‘보내었노라’로 번역된 ‘에페스테일라’가 본래 ‘보내다, 파송하다’라는 의미의 ‘아포스텔로’의 부정과거라면 두기고가 본서를 디모데에게 전달했을 가능성도 있다. 바울은 두기고를 디모데를 대신하여 잠시 동안 에베소 교회를 부탁해도 무방할 정도로 신뢰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바울이 자신의 극심한 외로움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교회가 한치도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 얼마나 세심하게 배려하고 있는지, 바울이 얼마나 주도면밀한 인물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 4:12Τύχικος** is apparently the one who carried the letters to the Ephesians and to the Colossians, in which Paul calls him “the beloved brother and faithful minister in the Lord” (Eph. 6:21; Col. 4:7) and a “fellow bondservant in the Lord” (Col. 4:7). He was from Asia (where Timothy now is) and was one of those who accompanied Paul on his journey to Jerusalem with the collection (Acts 20:4). The terse statement here, “But Tychicus I have sent to Ephesus,” together with v. 8, is probably written here for the same reason that a similar statement appears in Tit. 3:12. There Titus is told to come to Paul “when” (ὅταν) either Artemas or Tychicus have come to Titus, presumably because either of the two would take Titus’s place. Paul says that he “has sent” (ἀπέστειλα, epistolary aorist) Tychicusεἰς Ἔφεσον(forἜφεσοςsee the other PE* occurrences, 1 Tim. 1:3; 2 Tim. 1:18), “to Ephesus,” where Timothy is located and laboring (cf. 1:18). That place name, rather than the more usual “to you” (Tit. 3:12; Eph. 4:7; Eph. 6:21), is probably used simply to continue the pattern in v. 10.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6.
21 iSo that you also may know how I am and what I am doing,jTychicus the beloved brother and faithful minister in the Lord will tell you everything.22 I have sent him to you for this very purpose, that you may know how we are, and that he maykencourage your hearts.
23 lPeace be to the brothers,5andmlove with faith, from God the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24 Grace be with all whonlove our Lord Jesus Christ with love incorruptible.
iCol. 4:7–9
jActs 20:4; 2 Tim. 4:12; Titus 3:12
kCol. 2:2
lGal. 6:16; 2 Thess. 3:16; 1 Pet. 5:14
5Orbrothers and sisters
m[Gal. 5:6; 1 Thess. 5:8]
n[1 Cor. 16:2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엡 6:21–24.
21-22절) 바울은 자신이 지금 어떤 상태인지, 그리고 무엇을 하는지를 알리기 위해서 사랑 받는 형제요 신실한 일꾼인 두기고를 에베소 성도들을 위해서 보냈다. 그를 통해서 자신의 사정을 알리고 에베소 성도들의 마음을 위로하기 위해서였다.
두디고는 바울이 신뢰하는 일군으로 신실하게 바울을 섬겼다. 아마도 에베소 성도들에게 원본 편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골 4:7-8절 참조. 에베소서와 골로새서에서 두기고의 역할을 볼 때 바울은 비슷한 시기에 소아시아 지역의 교회들을 향해서 편지를 썼고 이를 두기고가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본 절과 골로새서의 구절은 그 내용이 거의 일치한다.
Tychicus the beloved brotherhad served Paul faithfully for some time (see Acts 20:4; Col. 4:7; 2 Tim. 4:12; Titus 3:12) and probably carried the original letter to Ephesus.
Crossway Bibles,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274.
These two verses echo Col 4:7–8, suggesting that Paul wrote both Ephesians and Colossians around the same time and that Tychicus carried both letters to the churches in Asia Minor.
Douglas J. Moo,“The Letters and Revelation,”in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411.
바울은 지금 에베소 성도들을 위해서 편지를 보내면서 동시에 자신이 신뢰하는 일군을 통해서 자신의 소식을 전함으로 자신의 사정을 알리고 또한 에베소 성도들을 위로하기를 원했다.
23-24절) 바울의 마지막 축도
바울은 아버지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평안과 믿음을 겸한 사랑이 형제들에게 있기를 구하고 있다. 또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변함없이 사랑하는 모든 자에게 은혜를 구한다.
에베소서 서두에서 바울은 바울은 은혜와 평강을 구했다.
(엡 1:2, 개정)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이제 편지의 마지막에 그는 교회에 평안, 사랑, 믿음, 은혜를 기원하고 있다.
(엡 6:23-24, 새번역) 『[23] 아버지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⑧성도들에게 평화를 내려주시고, 믿음과 더불어 사랑을 베풀어주시기를 빕니다. / ⑧그, '형제들에게' [24]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변함없이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은혜가 있기를 빕니다. ⑨ / ⑨다른 고대 사본들에는 절 끝에 '아멘'이 있음』
은혜와 평강은 바울의 인사말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다. 바울은 '평강의 하나님’, ‘평강의 주’라는 표현을 또한 ‘사랑과 평강의 하나님’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본문에서 믿음을 겸한 사랑(Love with faith)라는 표현이 등장하는데 이는 믿음과 동반되는 사랑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축도를 할때 사용되는 고린도후서 13:14에서도 ‘하나님의 사랑’울 구한다. 그런데 본문에서 애써서 믿음을 동반한 사랑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유는 엡 1:15절과 연결되는 표현으로 바울은 에베소 성도들의 믿음 혹은 교회 공동체원들의 신심과 모든 성도들을 향한 그들의 사랑의 소식에 대한 기쁨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그는 이 편지의 마지막에 그들의 이러한 소식이 지속될 것을 간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미 최선을 다해서 믿음의 삶을 살아내고 있는 이들을 향해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오는 평안과 믿음을 겸한 사랑, 은혜를 구함으로 이들이 더욱 이러한 덕목들을 잘 수행해 나갈 것을 간구하고 있는 것이다. “주마가편”이라는 말이 있다. 달리는 말에 채찍질을 더하는 것이다. 이미 잘하고 있는 이들에게 더욱 잘 하도록 격려하고 복을 빌고 있는 모습이다.
The grace and peace which figured in the initial greeting are repeated here in the final blessing, but in reverse order and less closely tied together. “Peace” is mentioned similarly in the letter-closing of Galatians (Gal. 6:16);105more fully, the presence of “the God of peace” is the substance of the benedictions of Rom. 15:33 (cf. 16:20); Phil. 4:9; 1 Thess. 5:23,106of “the Lord of peace” in 2 Thess. 3:16, and of “the God of love and peace” in 2 Cor. 13:11.
“Love with faith” is love accompanied by faith. “Love” in a final blessing is not surprising, whether it be the love of God (as in 2 Cor. 13:14) or Paul’s own love (as in 1 Cor. 16:24). But what is the force of “faith”? Most probably its present collocation with love takes up the thanksgiving of Eph. 1:15, in which the apostle expresses his pleasure at news of the readers’ faith or fidelity as members of the Christian fellowship and their love shown to “all the saints.”107At the end of the letter he prays that these qualities may continue to characterize them. Such qualities would be their response to the peace and grace bestowed by God; like all the Christian virtues, they have their source in God—“God the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cf. Eph. 1:2).
105Cf. 1 Pet. 5:14; 3 John 15.
106Cf. Heb. 13:20.
107See pp. 267–68 with n. 110 for the possibility that “your love toward all the saints” has found its way into the text of Eph. 1:15 under the influence of Col. 1:4.
F. F. Bruce,The Epistles to the Colossians, to Philemon, and to the Ephesian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4), 414–415.
바울의 편지 12통에는 서두에 하나님으로부터의 은혜와 평강을 구하는 인사를 하고 있다. 그의 모든 서신의 마지막을 은혜를 구하는 것으로 마무리되며 또한 일부 서신은 평강의 인사말을 포함한다. 하지만 에베소서처럼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평안과 사랑을 마지막에 표현한 경우는 없다. 이는 바울이 더욱 분명히 하나님께서 평안과 사랑의 원천이심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Twelve of Paul’s letters have the greeting “grace to you and peace from God” at the beginning.5All his letters conclude with a grace benediction, and several either include peace in the closing benediction or have some focus on peace at the end of the letter. But no other letter has the expression “peace … from God” or “love … from God” at the end. This is an obvious effort to underscore God as the source of the peace and love that is extended.
5In 1 Thessalonians the greeting is merely “grace to you and peace.” The Pastorals are slightly different.
본문 24절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변함없이 사랑하는 모든 자’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이는 ‘아프타르시아’라는 단어로 오염되지 않음, 불변함, 불멸의 라는 의미이다. 본문이 ‘불사의 사랑’, ‘불멸의 사랑’, 혹은 ‘진실한 사랑’ 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런데 본문에서 이 변함없는 사랑이 어디에 연결되느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에베소 성도들에게 요구할 것인지 주 예수 그리스도에게 요구할 것인지말이다. 한글 개역개정은 변함없이 사랑하는 모든 자라고 표현해서 이러한 사랑을 우리 성도들에게 할 것을 요청하고 있지만 이 변함없는, 불멸의라는 단어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게 연결시키는 것이 더 타당하다. 그리스도는 이미 죽음일 이기시고 영원토록 다스리시는 분이시기에 바로 그 불멸의 주님을 사랑하는 모든 자에게 은혜가 있을 것이다.
A second translation difficulty comes at the end of verse 24. If translated literally the text reads: “Grace be with all those loving our Lord Jesus Christ in immortality.”9These words emphasize the necessity and value of loving Christ, but what is the intent and connection of “in immortality”? The niv has taken “in immortality” as a description of those who love the Lord and translated the phrase as “with undying love.” The kjv has “in sincerity”;10the neb has “grace and immortality.” The problem is primarily understanding where “in immortality” should be connected. Several possibilities exist:
(1)Connect the words to “loving,” as the niv has done.
(2)Connect them to “grace,” as the neb has done.
(3)Connect them to “the Lord Jesus Christ,” emphasizing that Christ already reigns in immortality.
(4)See them merely as a general and cryptic way to refer to the eternal consequences of the gospel.11
The third option seems the most likely, both grammatically and theologically. With this focus, readers are reminded of Christ’s exaltation (1:20–23), of their own position with Christ (2:5–6), and of the promise that all things will be summed up in Christ (1:10). God’s grace does not depend on our undying love, but on his faithfulness to his promise.12
9A negative version of this statement appears in 1 Corinthians 16:22: “If anyone does not love the Lord—a curse be on him.”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kjv King James Version
10This should be excluded, for the other six occurrences of the Greek word all refer to immortality.
neb New English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11See Robinson,St. Paul’s Letter to the Ephesians, 138; Caird,Paul’s Letters From Rome, 94.
12See Ralph Martin, “Ephesians,”The Broadman Bible Commentary, ed. Clifton J. Allen (Nashville: Broadman, 1971),177.
7 Tychicus will tell youmall about my activities. He is a beloved brother and faithful minister and fellow servant2in the Lord.8 I have sent him to you for this very purpose, that you may know how we are and that he may encourage your hearts,9 and with himnOnesimus, our faithful andobeloved brother, who is one of you. They will tell you of everything that has taken place here.
mFor ver. 7–9, see Eph. 6:21, 22
2For the contextual rendering of the Greek wordsundoulos; see Preface
nPhilem. 10
oPhilem. 16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골 4:7–9.
7절) 두기고는 사랑받는 형제요 신실한 일꾼이요 주안에서 함께 종된 자로 그가 나 바울의 사정을 다 너희들에게 알려줄 것이다.
두기고는 소아시아 출신으로 그리스도인이 되어 바울 사역팀의 일원이 되었다. 바울은 두기고를 통해서 이 편지(에베소서와 빌레몬서를 포함)들을 전달하게 했고 그들에게 바울의 근황과 그의 상황을 전했다.
- Tychicuswas a native of Asia Minor who became a Christian and a member of Paul’s ministry team (Acts 20:4). He will carry this letter (as well as Ephesians and Philemon; see Eph. 6:21–22; and Introduction to Philemon: Date) and bring them news about Paul and his situation.
Crossway Bibles,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0.
바울은 두기고를 사랑받는 형제, 신실한 일꾼, 주안에서 함께 된 종이라고 칭하고 있다. 형제(아델포스), 일꾼(디아코노스), 종(신둘로스)
- The titles Paul gives Tychicus,dear brother, a faithful minister and fellow servant,suggest a role more important than that of a messenger. He was, in O’Brien’s words, “a particularly valued colleague” (1982:247). In fact, the titlefaithful minister (diakonos,literally “servant,” from which we derive “deacon”) is used earlier to describe the ministry of both Epaphras (1:7) and Paul himself (1:23). Moreover, the titlefellow servant (syndoulos)is used earlier (1:7) to describe Epaphras as one who participates equally with Paul in the Gentile mission. In effect, Tychicus is Paul’s own designate to continue the ministry, at least at Colosse, during his imprisonment. Epaphras would have been the natural person for this ministry, since he first brought the gospel to Colosse; however, apparently his relationship with the Colossians is troubled and requires Paul’s intervention (4:12–13).
Robert W. Wall,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4:7.
8절) 바울이 두기고를 골로새 교회를 향해서 보낸 것은 골로새교회로 하여금 바울의 사정을 알게 하고 너의 마음을 위로하게 하기 위함이다.
두기고는 바울의 사정을 이야기하면서 어떻게 복음이 바울이 옥에 갇혀있는 상황에서도 힘있게 전파되고 있는지를 전달했을 것이다. 이러한 간증은 골로새 교회로 하여금 격려와 위로가 되었음에 틀림없다.
바울은 자신의 복음전파 사역을 하면서 여러가지 방해와 반대를 직면했다. 고난을 당하기도 하고 옥에 갇히기도 했다. 그래서 여러 이방의 교회 공동체를 방문하기 원했지만 방문하지 못했다. 로마서에서도 ‘너희를 간절히 보기 원하는 것은 어떤 신령한 은사를 나눠주어 너희를 견고하게 하기 원한다(롬 1:11)'라고 고백했다. 이처럼 바울은 기회있는대로 이방의 교회들에게 나아가 그들을 위로하고 격려하고 신령한 은사를 나눠주기를 원했다. 바울은 일차적으로 자신이 직접 방문하기를 원했지만 그럴수 없는 경우에는 대리인을 보내어 자신의 그를 통해서 은혜를 나누었다. 두기고나 디모데가 그런 대리인들이다. 지금 자신이 갈 수 없는 상황에서 골로새 교인들이 거짓 가르침에 의해서 그들의 신앙이 위협을 받는 다는 소식을 들으며 바울은 두기고를 보내어 그들을 위로하고 있는 것이다.
- Because of the various interruptions during his ministry (including imprisonment), Paul was unable to visit many Gentile congregations in person even though this was his desire. In Romans, for example, Paul repeats his desire to visit the Christian congregations in the world’s most important city in order to “impart to you some spiritual gift to make you strong” (Rom 1:11; compare 15:23–4). Like the Colossian believers, those in Rome had never profited from the apostle’s personal visit, a time when Paul could minister to them directly and they could benefit from his apostolic persona and gifts.
Paul’s constant references in his letters to past and future visits are expressions of his apostolic authority. The gifts that Christ had given him (see Rom 1:5) have transformed him into a conduit of eschatological power, capable of empowering others to resist evil and grow in holiness, thereby preparing for the Lord’s return. When he was unable to visit congregations in person, Paul sent substitutes (both people and letters) through which his apostolic ministry could continue to have its powerful effect (Funk 1967:249–68). Tychicus is one such substitute, Timothy is another (Phil 2:19; 1 Thess 3:6), and this very letter is a third. In this case, the apostle is “in chains” and unable to convey the gift of his apostleship to the Colossian believers in person. Because their faith is threatened by false teaching, he sends Tychicus asministerandservant to encourage [their] hearts—the very purpose Paul has assigned to himself (2:2).
Robert W. Wall,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4:7.
9절) 이 여정중에 신실하고 사랑을 받는 형제 오네시모를 함께 보내고 있다. 오네시모는 골로새 출신으로 그들이 여기의 일을 다 너희들에게 알려줄 것이다.
바울은 오네시모를 빌레몬의 종으로서가 아니라 신실하고 사랑을 받는 형제로 소개하고 있다. 빌레몬서는 골로새서와 거의 비슷한 시점에 보내졌다. 오네시모를 두기고와 함께 보낸 이유는 오네시모의 회심과 그의 도덕성을 입증해주고 필요한 경우 골로새 교인들로 하여금 그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도록 설득하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골로새 교인들은 이미 오네시모가 자신들과 함께 있던 이인 것을 알았고 그의 변화를 보고 노예의 신분에서 그리스도의 종이 된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당시나 지금이나 누구의 추천을 받느냐가 중요한데 오네시모와 두기고는 모두 바울의 추천을 받고 있다. 게다가 오네시모 홀로가 아니라 두기고와 동행하게 함으로 그가 얼마나 신실하고 주안에 사랑을 받는 형제가 되었는지를 증거해주고 있다. 이들이 전한 ‘여기 일’, 이곳에서 발생한 모든 일은 과연 무엇일까? 바울이 옥에 갇히게 된 이야기, 이 과정속에서 어떻게 복음이 증거되었는지, 어떻게 오네시모가 회심을 해서 지금 이렇게 신실한 형제가 되었는지, 이 복음을 위해서 골로새 교인들은 어떤 일에 동참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었다. 이러한 구체적인 나눔과 도전은 그들에게 큰 위로와 격려가 되었음에 틀림없다.
본문 7-9절은 교차대구법의 형식을 따른다. 교차대구법은 단어나 생각을 두개의 평행 혹은 역전된 형태로 배치하는 문학적 장치이다. 본문은 ABCDC’B’A’의 형태를 띠는데 중앙의 D에 중심 사상을 위치시키고 있다. 본문에서 바울이 가장 강조하는 생각은 바로 ‘너희 마음을 위로하려 함’이다. 바울은 자신이 감옥에 갇혀 있는 동안에도 두기고를 통해서 그의 사역이 계속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 This point is highlighted by the chiastic pattern of the text itself. Recall that a chiasmus is a literary device that arranges words and ideas into two parallel and inverted passages, with an odd member placed at the vertex, where the two passages intersect (ABCDC´B´A´). The odd phrase found at the vertex (D) helps the reader locate the passage’s principal idea. Consider verses 7–9 in this light:
ATychicus will tell you all the news about me (v. 7a).
BHe is a dear brother, a faithful minister and fellow servant in the Lord (v. 7b).
CI am sending him to you for the express purpose that you may know about our circumstances (v. 8a)
Dand that he may encourage your hearts (v. 8b).
C´He is coming with Onesimus (v. 9a),
B´our faithful and dear brother, who is one of you (v. 9b).
A´They will tell you everything that is happening here (9c).
The chiastic shape helps us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ingredient in the instructions Paul sends to the Colossians:that [Tychicus] may encourage your hearts.Paul’s chief interest is that his ministry continue through Tychicus during his imprisonment (see Lohse 1971:171). The chiasmus also subordinates Onesimus to Tychicus, for it is the latter who is central to Paul’s plans and additionally is calledfaithful minister.The credential added to Onesimus,who is one of you(4:9), suggests that his task is to help Tychicus gain entry into this Colossian community.
Robert W. Wall,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