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But youbare not in darkness, brothers, for that day to surprise you like a thief.5 For you are allcchildren2of light, children of the day. We are not of the night or of the darkness.6 So thendlet us not sleep, as others do, but let usekeep awake andfbe sober.7 For those who sleep, sleep at night, and those who get drunk,gare drunk at night.8 But since we belong to the day, let us be sober,hhaving put on the breastplate ofifaith and love, and for a helmet the hope of salvation.9 For God has not destined us forjwrath, butkto obtain salvation through our Lord Jesus Christ,10 lwho died for us so that whether we are awake or asleep we might live with him.11 Therefore encourage one another and build one another up, just as you are doing.
b1 John 2:8
cSee Luke 16:8
2Orsons; twice in this verse
d[Mark 13:36]; See Rom. 13:11–13
eSee Matt. 24:42
fSee 1 Pet. 1:13
g[Acts 2:15; 2 Pet. 2:13]
hIsa. 59:17; Eph. 6:14, 17
i[Eph. 6:23]
jSee ch. 1:10
k2 Thess. 2:13, 14; [Heb. 10:39]
lRom. 14:9; [2 Tim. 2:11]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5:4–11.
4형제들아 너희는 어둠에 있지 아니하매 그 날이 도둑 같이 너희에게 임하지 못하리니
5너희는 다 빛의 아들이요 낮의 아들이라 우리가 밤이나 어둠에 속하지 아니하나니
6그러므로 우리는 다른 이들과 같이 자지 말고 오직 깨어 정신을 차릴지라
7자는 자들은 밤에 자고 취하는 자들은 밤에 취하되
8우리는 낮에 속하였으니 정신을 차리고 믿음과 사랑의 호심경을 붙이고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자
9하나님이 우리를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니요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 하심이라
10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사 우리로 하여금 깨어 있든지 자든지 자기와 함께 살게 하려 하셨느니라
앞서 1-3절에서 주의 날이 밤에 도둑같이 이를 것이다. 그들,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이들은 평안과 안전을 외치지만 결코 그 심판을 피할 수 없다. 하지만 4-5절에서 형제들, 주님을 따르는 이들은 다르다.
4절) 본문의 ‘형제들아’는 ‘아델포스’로 실제로 남성형 복수 명사의 형대로 사용되지만 여러 번역본에서 ‘brothers and sisters’로 번역하고 있다. 실제로 남성 성도들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데살로니가 교회의 모든 성도들을 의미한다.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앞선 1-3절에 등장하는 그들, 평안과 안전을 외치는 어둠에 속한 자들이 아니다 그들에게는 갑작스런 심판이 도둑같이 임하겠지만 하나님의 백성은 어둠에 속하지 않았기에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어둠과 빛, 밤과 낮을 대비시키는 것은 묵시문학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이다. 이렇게 이원론적으로 여러 특성을 대비시키는 것은 일반적이었다.
‘어둠’은 ‘스코토스’로 ‘어둠(빛의 부재), 죄악’을 의미한다. 이처럼 어둠에 속했다라는 것은 죄가운데 거한다는 것으로 불순종과 자기중심성을 충만한 상태를 의미한다. 반대로 어둠에 있지 않음의 상태는 이후 5절이 말하는 빛의 아들, 낮의 아들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앞서 주의 날(2절)이 도둑같이 임하겠지만 어둠에 있지 않은 자들에게는 그 날이 도둑같이 임하지 못한다.
막 15:33||Καὶ γενομένης ὥρας ἕκτηςσκότοςἐγένετο ἐφʼ
고후 4:6Ἐκσκότους
엡 5:8ἦτε γάρ ποτεσκότος,
유 13ὁ ζόφος τοῦσκότους
2.악의 영역 ⇔ 어둠— 악, 죄악됨, 하나님과 그의 뜻에 대한 무지가 지배하는 영역. 빛이 없는 곳으로 이해된다.
엡 5:11ἀκάρποις τοῦσκότους,μᾶλλον
엡 6:12τοῦσκότουςτούτου,
살전 5:4ὑμεῖς δέ, ἀδελφοί, οὐκ ἐστὲ ἐνσκότει,
벧전 2:9ὅπως τὰς ἀρετὰς ἐξαγγείλητε τοῦ ἐκσκότους
요일 1:6ἐν τῷσκότει
3.어둠 (근원)†— 어둠의(혹은 어둠을 초래하는) 원천으로 사용되는 모든 개체. 관련 주제: 어둠.
마 6:23ἐν σοὶσκότοςἐστίν,
눅 11:35ἐν σοὶσκότοςἐστίν.
요 3:19μᾶλλον τὸσκότος
여러 용어 명사 용법
1.음침한 어둠.†— 빛이 없는 것으로 특징되는 영원한 형벌의 장소. 관련 주제: 어둠.
벧후 2:17ὁ ζόφος τοῦσκότους
유 13ὁ ζόφος τοῦσκότους
명사. 명사
|| || 눅 23:44 || 마 27:45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Rick Brannan, ed.,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 The wordsοὐκ ἐστὲ ἐν σκότει(“you are not in darkness”) also take up the thought of the previous verse and imply a contrast between Paul’s readers and those who liveἐν σκότει(“in darkness”) outside their group. The phrase “in darkness” can have two possible senses here. (1) It may mean that those spoken of in the previous verse are distant from and even opposed to God. The use of language regarding light to symbolize God and darkness to symbolize alienation from and opposition to God goes back to the OT (cf. Job 22:9–11; Pss. 27:1; 74:20; 82:5; 112:4; Is. 2:5; 9:2; 60:19f.; Pr. 4:18f.). It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at Qumran (cf. 1QS 3:13–4:26; 1QM). Paul himself uses the imagery of light and darkness in a similar fashion on several occasions (cf. Rom. 13:12; 2 Cor. 4:6; 6:14; 11:14; Col. 1:12f.). (2) Paul may be using the phrase “in darkness” figuratively of ignorance (cf. Rom. 1:21; 2:19; 1 Cor. 4:5). This understanding would go well with the following result clauseἵνα ἡ ἡμέρα ὑμᾶς ὡς κλέπτης καταλάβῃ(“so that the day [of the Lord] does not overtake you as a thief”). Understood in this way v. 4 emphasizes that Christians differ from outsiders in that they areawareof the imminence of the day of the Lord, while the day will overtake those who are ignorant about its coming like a thief. On the other hand, the light and darkness antithesis of v. 5 suggests that Paul has in mind darkness as that which is alien and opposed to God. If we accept this interpretation the second possibility mentioned above is implicit in any case since those who live in the darkness of their pagan ways also live in ignorance of the coming day of judgment.
Charles A. Wanamaker,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81.
5절) ‘너희는 빛의 아들이요 낮의 아들이라’, 5절 본문은 4절의 근거를 이야기한다. 형제들에게 심판이 도적같이 임하지 않는 이유는 그들이 빛의 아들이요 낮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빛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유대 문헌과 신약에서 하나님과 하나님의 구원의 역역에 속한 이들에 대해서 사용되는 표현이다.(눅 16:8; 요 12:36; 골 1:13)
‘낮의 아들’이라는 표현은 바울이 사용한 독특한 표현으로 빛과 낮의 개념을 연결시키고 있다. 히브리인들은 ‘~의 아들’이라는 특정한 표현을 통해서 어떤 특별한 특성을 가진 이들이라는 의미를 표현했다. 말하자면 그리스도인들은 낮, 빛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라는 의미이다. 바울이 형제들을 빛, 낮의 아들-자녀들이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바로 주님께서 자신을 ‘세상의 빛’(요 8:12, 9:5)이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우리는 빛의 아들들로 낮체 속한 이들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세상의 빛이신 주님의 거룩하심을 따라 살아가야 하는 자들이다.
- The combination of “son of” used in a figurative sense with a descriptive or possessive genitive is a Hebraism (see BDF §162.6; Turner,Syntax,207f.) reflective of a patriarchal society. It occurs regularly in the OT (e.g., 1 Sa. 2:12; Ps. 89:22; Is. 14:12; 19:11; 49:15; 61:5; 62:8—note that some of these are rendered very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Hebrew in modern English translations), and is also found in the NT (cf. Mk. 3:17; Mt. 9:15 [Greek]; Lk. 10:6; 16:8; Jn. 17:12; Eph. 2:2). The precise formulation “sons of light” (τοὺς υἱοὺς τοῦ φωτός) appears in Lk. 16:8 (cf. Jn. 12:36). But it is best known for its frequent usage in the Qumran documents, where the sons of light, that is,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who share in eschatological salvation available only in the community, are opposed by the sons of darkness, that is, anyone outside the community (cf. 1QS 1:9–10; 3:13, 24–25; 1QM 1:1, 3).
BDF F. Blass and A. Debrunner,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tr. and rev. Robert W. Funk.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1961.
Charles A. Wanamaker,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82.
일반적으로 ‘낮’이라는 표현은 ‘헤메라’인데 이는 '날, 기간, 낮’의 의미를 지니는데 본문에서는 의와 선이 지배하는 영역, 특별히 하나님의 편에 있는 자들의 영역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마찬가지로 ‘빛’ 해당하는 ‘포스’도 하나님의 의로우심, 선하심, 지식에 의해서 다스려지는 영역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빛과 낮의 아들들의 중요한 특성은 바로 밤이나 어둠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둠은 빛의 부재의 상태이다. 따라서 빛이 존재하면 어둠은 사라질 수 밖에 없다.
6-7절) 바울은 빛의 아들들에게 어둠의 아들들과 같이 자지 말고 깨어 정신을 차리라고 권면한다. 이는 잔다는 것은 도덕적, 영적으로 깨어 있지 못하여 방심하여 다가올 그날을 의식하고 준비하지 못하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신랑을 맞이하는 처녀들처럼 깨어서 맞이하라고 말씀하시고 있다.
본문에서 ‘자다’라고 표현된 ‘카테우도’는 ‘잠들다, 죽다, 깨있지 않다, 경고를 받아들이지 않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어 7절은 자는 자들은 밤에 자고 취하는 자들을 밤에 취하라고 말한다.
앞서 6절에서 깨어서 정신을 차리는 상태와 자고 취하는 상태가 대조되는 것이다. 이것이 빛의 자녀들과 어둠의 자녀들의 차이이다.
8절) 다시금 바울은 낮에 속한 이들에게 갑옷을 취할 것을 명한다. 성도들은 낮에 속하여 어둠과 싸우는 전사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바울은 사 59:17절의 비유를 사용하여 성도들로 하여금 갑옷을 취하라고 말한다.
이사야 59:17
17공의를 갑옷으로 삼으시며 구원을 자기의 머리에 써서 투구로 삼으시며 보복을 속옷으로 삼으시며 열심을 입어 겉옷으로 삼으시고
우리 그리스도인, 성도들은 주의 날에 영의 갑옷을 입고 영적 전투에 참여하고 주님과 함께 설 것을 요구받는다.(롬 13:12; 고후 6:7; 엡 6:10-17)
바울은 믿음과 사랑의 호심경을 붙이고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라고 명한다. 앞서 바울은 이미 1:3에서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와 소망의 인내’를 이야기한바있다.(고전 13:13)
데살로니가전서 1:3
3너희의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소망의 인내를 우리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끊임없이 기억함이니
- The imagery originates from Isa 59:17, which portrays God as a warrior wearing armor. Paul uses this military image to describe a variety of virtues with which Christians should arm themselves in their spiritual battle (cf. Rom 13:12; 2 Cor 6:7; Eph 6:10–17). The three virtues that he exhorts the Thessalonians to put on consist of the familiar triad of faith, love, and hope (see note on 1:3).
cf.compare, confer
Douglas J. Moo,“The Letters and Revelation,”in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6.
- θώραξ(“breastplate”) andπερικεφαλαία(“helmet”) as a combination almost certainly go back to Is. 59:17, where God is said to “put on righteousness as a breastplate and a helmet of salvation.” This is probably why Paul does not add a third item of armor to his formulation even though he uses the triad of faith, love, and hope, which would have fit more neatly with three items of armor (cf. Eph. 6:14–17, which develops the theme of Is. 59:17 more explicitly as other items of equipment are added to the original two; each item is then correlated with a particular Christian virtue or concept). Paul has only used Is. 59:17 as a point of departure, applying an image used exclusively of God in that text to himself and his readers. He does so by modifying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two pieces of armor to conform to the Christian triad of faith, love, and hope. The original connection of salvation with the helmet of God in Is. 59:17 may have suggested to Paul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imagery of armor in this context in the first place.
The expression “hope of salvation” is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understanding Paul’s views regarding salvation at the time that he wrote the letter. He believed that salvation for the Christian still lay in the future when Christ would come from heaven for his people (cf. 1:3; 4:16f.; 5:9f.), and therefore it was the object of Christian hope in the present. This sense of expectancy is considerably diminished in some of the later letters of the Pauline corpus, for example in Ephesians, where salvation has already been achieved, and thus a strongly realized eschatology is present (see Eph. 2:1–10). The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hope of salvation” in 1 Thes. 5:8 (cf. Rom. 13:11) and the “realized” salvation of Ephesians 2 is one of the principal reasons why many scholars find the Pauline authorship of Ephesians a major difficulty.
Paul has introduced the triad of faith, love, and hope into the parenetic section of 1 Thessalonians to remind his readers of the need to maintain these Christian virtues. Maximum preparedness is required of the readers because the time of their salvation is potentially close at hand.
Charles A. Wanamaker,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86.
9절) 원어는 ‘호티’라는 원인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시작된다.이것의 의미는 ‘왜냐하면’으로 이는 앞선 6-8절의 내용을 받고 있다. 특히 8절 하반절의 ‘구원의 소망의 투구’와 연결시키면 그 의미는 더욱 정확하다.
바울은 9절의 본문을 통해서 주의 날에 대한 두려움에 있는 이들을 향해서 다시금 분명하게 하나님께서 우리를 부르신 목적이 우리에게 심판, 진노를 주시기 위해서가 아니라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우리들이 구원을 받게 하시기 위함임을 말씀하신다.
주의 날은 어둠의 자녀들에게는 심판, 진노로 임하지만 빛의 자녀들에게는 영생, 구원, 기쁨의 날이 될 것이다.
한글 번역에서는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니요’라고 표현하는데 여기서 세우심과 이르게하심이라는 표현은 헬라어 ‘티테미’로 영어로는 ‘destine, appoint’로 번역한 것으로 ‘권위를 가지고 설정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 The contrast in v. 9 between wrath and salvation is significant. The wrath of Go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hought of Paul and the Thessalonians, as 2:16 and especially 1:10 show (cf. Rom. 1:18; 2:5; 5:9). The idea derives from the OT, where the day of the Lord is presented as a time when the wrath of God will be manifested against all disobedience (Zp. 1:15; 2:2; Joel 1:15; Ob. 15). The reference to the wrath of God in v. 9 had a double function for the original readers. On the one hand it defined Christian identity negatively in terms of those not destined to wrath. On the other hand it served to comfort and reassure the readers of the letter that their efforts at vigilance and ethical propriety would not go unrewarded. God had appointed them “for obtaining salvation.” This phrase picks upσωτηρία(“salvation”) from the previous verse, where it specifies the content of Christian hope. Here it indicates that their hope will be realized because this is their divinely appointed destiny. Paul does not specify the content of salvation in v. 9 except negatively as the avoidance of divine wrath and later in v. 10 as continued existence with Christ beyond the day of judgment.
Charles A. Wanamaker,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87.
10절) 9절에서 예수께서 우리를 구원으로 이끄셨는데 그 방법이 바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신 것이다. 그분의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믿는 빛의 자녀들은 깨어 있든지 자든지, 다른 말로 하면 살던지 죽던지 모두 주님과 함께 살게 된 것이다. 이는 주님의 재림때에 살아 있는 자들이나 죽었던 자들이 모두 주님의 구원에 동참하게 될 것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 The terms employed by Paul to make this point,γρηγορῶμεν(“we are awake”) andκαθεύδωμεν(“we sleep”), are drawn from the more immediate context of 5:6f., but there they have a very different meaning than they do here. In vv. 6f. they are used antithetically to differentiate those who are Christians and therefore keep alert for the coming of their Lord from those who are outside the community and are therefore oblivious to the approach of God’s judgment. In v. 10 the distinction between those who are asleep and those who are awake does not pertain to preparedness for salvation. That Paul has reapplied the terminology of vv. 6f. to the problem discussed in 4:13–17 concerning “those who sleep” (κοιμᾶνin 4:13–17 is a synonym ofκαθεύδεινhere) and “those who remain” (γρηγορῶμενhere corresponds toοἱ περιλειπόμενοιin 4:15–17) is confirmed byἅμα σὺν αὐτῷ ζήσωμεν(“we shall live together with him”), which repeats the idea contained in the wordsσὺν κυρίῳ ἐσόμεθα(“we will be with the Lord”) in 4:17. By thus referring back to 4:13–17 Paul pulls the eschatological parenesis of the letter together and ends it on a powerful note of hope for future salvation for both the living and the dead in Christ based on his redemptive death (cf. Holtz, 182f.).
11절) ‘그러므로’, ‘디오’, 빛의 자녀들은 깨어 있든지 자든지 주님과 함께 살게 될 것이기에 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우기를 너희가 가는 것 같이 하라고 권면한다.
지금 재림에 대한 두려움으로 자신의 삶의 일상이 깨어진 이들, 그런 불안함 가운데 있는 자들을 향해서 걱정하지 말고 지금 자신의 살던 일상을 그대로 살아갈 것을 명한다. 그 삶을 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우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앞서 이야기한 ‘데살로니가 현상’이다. 데살로니가 성도, 데살로니가 교회가 세상속에 도시속의 교회로 살아내야할 삶의 모습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일상성을 유지하면서 세상과 구별되는 삶을 살아내는 것이다.
데살로니가전서 1:6–8
6또 너희는 많은 환난 가운데서 성령의 기쁨으로 말씀을 받아 우리와 주를 본받은 자가 되었으니
7그러므로 너희가 마게도냐와 아가야에 있는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었느니라
8주의 말씀이 너희에게로부터 마게도냐와 아가야에만 들릴 뿐 아니라 하나님을 향하는 너희 믿음의 소문이 각처에 퍼졌으므로 우리는 아무 말도 할 것이 없노라
환난 가운데 말씀을 기쁨으로 받아서 주를 볻받는 자가 되고 또한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는 삶을 살아내는 것이야말로 ‘권면하고 덕을 세우는’ 삶인 것이다.
- Paul concludes his parenesis regarding the parousia of Christ and the need for readiness by urging his readers to exhort and build up one another in faith. The conjunctionδιόis inferential, but v. 11 is certainly not a necessary or even obviously logical inference from what immediately precedes it. Paul’s thought appears to return to his earlier assertion that the day of the Lord will come as a thief in the night, and therefore Christians must be constantly vigilant and behave as people belonging to God. It is from this that Paul’s inference springs.
παρακαλεῖτε ἀλλήλους(“exhort one another”) repeats the wording of the summary in 4:18, though here the emphasis of the verb is more on mutual exhortation or encouragement than on comfort as in 4:18. This interpretation is evinced by the wordsκαὶ οἰκοδομεῖτε εἷς τὸν ἕνα(“and strengthen one another”), which clarifies and amplifies the exhortative connotation given toπαρακαλεῖτε. Metaphorical use ofοἰκοδομεῖν(“strengthen” or “build up”) can be traced back to the LXX, especially to Jeremiah, where the prophet promises that God will “build up” Israel (Je. 24:6; 31[38]:4; 33[40]:7; 42[49]:10) and even Israel’s neighbors if they call upon God (Je. 12:16). But Jeremiah also views his own role as one of rebuilding the community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evil nation (Je. 1:10). The idea of building up either the community or the individuals who form it is found frequently in 1 and 2 Corinthians, where both the verb and its cognate nounοἰκοδομή(“edification” or “instruction”) function to express this idea. In 2 Cor. 10:8; 12:19; and 13:10 Paul describes his own apostolic role as one of building up the Corinthians rather than tearing them down. The connection with the call of Jeremiah seems unmistakable (cf. Je. 1:10). But the apostle also speaks of the need for members of the community to build one another up (1 Cor. 8:1; 14:4, 17). Paul reveals the close relationship exhortation and building up or edification have in his mind in 1 Cor. 14:3, where he usesοἰκοδομήwithπαράκλησις(“exhortation” or “encouragement”), the cognate noun ofπαρακαλεῖν, to describe the function of prophecy within the life of the community (see O. Michel,TDNTV, 136–147 for a helpful treatment).
Paul’s particular concern in 1 Thes. 5:11 lies with the mutual responsibility of members of the community to aid one another in inculcating and carrying out the ethical demands of the faith and in communicating the theological concepts supporting those demands. In the context of this verse the most obvious theological structure undergirding the ethical requirements of the faith is the promise/threat of the parousia of Christ. Christ’s coming will be a glorious public manifestation of the Lord for his obedient followers, but the day of judgment for unbelievers and the disobedient. Thus the eschatological instruction of Paul served to encourage acceptable behavior among his converts with its promise/threat.
TDNT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89–190.
11 Now maywour God and Father himself, and our Lord Jesus,xdirect our way to you,12 and may the Lordymake you increase and abound in lovezfor one another and for all, as we do for you,13 so that he mayaestablish your hearts blameless in holiness beforewour God and Father, atbthe coming of our Lord Jesuscwith all his saints.
wSee Gal. 1:4
x2 Thess. 3:5
ych. 4:1, 10; Phil. 1:9; 2 Thess. 1:3
zch. 4:9; 5:15
aJames 5:8
w[See ver. 11 above]
bSee ch. 2:19
cZech. 14:5; Jude 14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3:11–13.
11◎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우리 주 예수는 우리 길을 너희에게로 갈 수 있게 하시오며
12또 주께서 우리가 너희를 사랑함과 같이 너희도 피차간과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이 더욱 많아 넘치게 하사
13너희 마음을 굳건하게 하시고 우리 주 예수께서 그의 모든 성도와 함께 강림하실 때에 하나님 우리 아버지 앞에서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 The wish-prayer in 1 Thes. 3:11–13 contains three petitions that serve to draw the first main section of the letter to a conclusion. They reiterate: (1) Paul’s desire to visit the Thessalonians (v. 11; cf. 2:17–3:10, esp. 2:17f.; 3:6, 10); (2) his hope that their Christian love would increase and abound as his love for them abounds (v. 12; cf. 2:1–12, where Paul gives his own behavior as a model for his converts, and 3:6); and (3) his concern that they should persevere until the parousia or coming of Christ (v. 13; cf. 3:1–5). The implicit parenetic character of the last two petitions serves as a transition to the main parenetic section of the letter by introducing the themes of that section: holiness or Christian ethical behavior (4:1–12; 5:13–22) and the parousia (4:13–5:11).
Charles A. Wanamaker,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40.
11절) 바울은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는 자신들의 길을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똑바로 나아갈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한다.
본문에서 주어는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이다. 그런데 동사로 사용된 ‘갈 수 있게하다’라는 표현은 ‘카튜뒤나이’로 ‘카튜디노’의 부정과거 능동태 기원법 3인칭 단수의 표현이다. 엄밀하게 보면 주어는 복수인데 동사는 단수로 사용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원어의 처음 단어는 ‘아우토스’로 ‘himself, 친히’라는 표현이 하나님 아버지에만 사용된다. 이는 바울이 기본적인 문법을 모르고 글을 썼다기 보다는 오히려 문법에 맞지 않는 파격적인 표현을 통해서 하나님과 예수님의 두 신격을 하나로, 단수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성부 하나님과 성자 하나님의 두 신격이 동일 본질을 가진다는 삼위일체의 신비스러운 진리를 나타내기 위해서 이러한 파격 구문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카튜뒤나이’는 ‘카튀디노’의 부정과거 기원법 동사이다. 이는 ‘똑바르게 하다(make straight), 인도하다(guide)’라는 의미이다. 특히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평탄하게 인도한다는 개념이 담겨 있다.
이 단어는 신약 성경에 3번(눅 1:79, 살후 3:5) 사용되었다. 인도하시는 주체는 모두 하나님이시다. 따라서 이 표현은 인간의 길을 평탄하게 인도하시는 분은 오직 하나님이심을 알려준다. 하여 이표현이 직행하다라는 의미라기 보다는 데살로니가 교회까지 가는 길에 있을 수 있는 수 많은 장애물들을 제거하여 평탄하게 갈 수 있게 해달라는 의미이다. 앞서 2:18에서 본것처럼 사탄은 여러 장애물들로 바울의 여정을 막은 바 있다.
잠언 16:9
9사람이 마음으로 자기의 길을 계획할지라도 그의 걸음을 인도하시는 이는 여호와시니라
- Paul employs the optative mood (κατευθύναι) in his prayer to indicate his wish, as was common in the period (cf. 3:12; 5:23; 2 Thes. 2:17; 3:5, 16; Rom. 15:5, 13). Some have argued that the singular form of the verb with the twin subjects God and Christ has important theological significance, demonstrating that Paul held to the oneness of God and the Lord Jesus (Neil, 71) or the full deity of Jesus (Morris, 111). Hewett (“1 Thessalonians 3:13,” 54), following A. T. Robertson, has shown that compound subjects occur regularly with singular verbs in the NT (see, e.g., Jas. 5:3; Mt. 5:18; Mk. 4:41) without this sort of implication. He quite correctly maintains that the articles occurring with each of the subjects (ὁ θεός … ὁ κύριος) indicate that God and the Lord Jesus were viewed as two separate personalities by Paul. The singular verb, however, reveals that Paul understood them as having a close relation. Thus although 1 Thes. 3:11 does not constitute evidence for a trinitarian theology in Paul, the basis for it was already being laid in the earliest Church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Jesus as the son of God who ruled in the place of God (see 1 Cor. 15:23–28; Phil. 2:6–11) and of the Spirit as the agent of God and Christ (Rom. 8:9–11).
κατευθύναιwith the wordsτὴν ὁδὸν ἡμῶν πρὸς ὑμᾶςrefers to Paul’s desire for God either to direct his way to the Thessalonians in the sense of leading him to return to them or to smooth his way in the sense of overcoming whatever obstacles might prevent him from returning (cf. 2:18). This prayer petition thus serves to reiterate Paul’s deep desire to revisit the Thessalonians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ir faith, and thereby it draws to a conclusion the main theme of Paul’s apostolic parousia in the second part of thenarratio(2:17–3:10). This desire was only fulfilled much later when Paul returned to Corinth from Ephesus via Macedonia (cf. 1 Cor. 16:5; 2 Cor. 2:13; Acts 19:21; 20:1f.).
12절) 본절의 주어도 주님(큐리오스)이시다. 바울은 주님께 우리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또한 모든 사람을 더욱 사랑할 수 있게 해주시기를 간구한다.
본문의 사랑은 아가페 사랑이다. 먼저 주님이 그 사랑을 보여주셨고, 바울의 일행이 이것의 본을 보였고,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그 본을 따라 행할 수 있도록 기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아가페 사랑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않는 이타적 사랑으로(고전 13:5) 유모가 자기 자녀를 양육하는 것처럼(2:7), 자기 목숨까지도 내어줄 정도로(2:8), 아비가 자녀를 권면하듯(2:11) 사랑하였다. 이제 데살로나가 성도들이 그렇게 사랑할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피차간에 또한 모든 사람을 사랑할 것을 요청한다. '피차 간’아로 번역된 ‘에이스 알렐루스’는 ‘서로 서로를 향하여’라는 의미이다. 이는 성도들간의 사랑을 의미한다. ‘모든 사람에 대한’이라는 표현은 ‘에이스 판타스’로 ‘모든 사람을 향하여’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모든 사람은 불신자를 포함한 모든 이들, 적대자들까지도 포함된다. 이것이야말로 ‘데살로니가 현상’의 핵심이다. 복음을 듣고 본을 받고 성도들의 본이 되고 모든 이들의 본이 되는 삶을 살아내는 것이야말로 영향력을 끼치는 삶인 것이다. 본문에 사용된 ‘에이스’라는 전치사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다른 성도들을 향하여, 모든 사람을 향하여 사랑하기를 기도하는 것이다. 특히 ‘에이스’ 전치사는 역동적 운동의 개념이 있는데 땀흘리는 수고가 뒷받침되는 사랑을 기원하는 것이다.
이어 본문에서 ‘더욱 많아 넘치게 하사’라는 표현에서는 두개의 기원법 동사가 사용되고 있다. ‘더욱 많아’는 ‘플레오나사이’이고 ‘넘치게 하사’는 ‘페릿슈사이’이다. ‘플레오나조’는 사용하고도 남을 정도로 풍성한 것을 의미하며(고후 4:15, 8:15), 페릿슈오도 같은 의미인데(요 6:13, 고후 1:5. 8:2) 후자가 더욱 강력한 의미이다. 그러니까 바울은 같은 의미의 동사를 사용하면서 점층적인 표현을 하고 있는 것이다.
‘페릿슈오’의 히브리어 표현은 ‘카바드’이다. 이는 ‘풍부하다, 무겁다, 영광스럽다’라는 의미이다.
- 3:12Paul’s second petition is directed specifically to “the Lord,” whom we must understand as “the Lord Jesus” from the previous verse. Paul expresses his wish-prayer for his converts with the wordsὑμᾶς δὲ ὁ κύριος πλεονάσαι καὶ περισσεύσαι τῇ ἀγάπῃ εἰς ἀλλήλους καὶ εἰς πάντας(“and may the Lord cause you to increase and abound in love for one another and for everyone”). The two optative verbsπλεονάσαιandπερισσεύσαιare synonyms and lend an emphatic tone to Paul’s desire that the love of the Thessalonians should be richly increased. While the apostle can pray for this to happen, he also enjoins his readers to strive for greater love in 4:9f. This reveals an awareness on his part that Christians are responsible for their own behavior in cooperation with God who works through his Spirit in their lives.
Charles A. Wanamaker,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42.
13절) 마음을 굳건하게 하다는 의미는 ‘마음을 흔들리지 않게 견고하게 하다’라는 의미이다. ‘마음’으로 표현된 ‘카르디아’는 심장, 사람의 생각, 마음, 의지, 감정,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지식의 좌소를 의미한다. 히브리어로는 ‘레브’이다.
‘굳건하게 하다’라는 표현은 ‘스테릭사이’로 원형은 ‘스테리조’이다. 이는 ‘세우다, 강화하다’라는 의미로 확고한 결심이나 결의로 더 두드러지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바울은 주님께서 성도와 함께 강림하실 때에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해달라고 기도한다. 이처럼 이 세상의 일상의 삶뿐만 아니라 종말의 날을 바라보면서 기도하고 있는 것이다.
‘강림하실’을 의미하는 ‘파루시아’는 ‘어떤 장소에 도착하는 행동’을 의미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 신약에서는 주님의 오심을 표현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예수님께서는 혼자 오시는 것이 아니라 그의 모든 성도들과 함께 오신다.
'그의 모든 성도들’은 ‘판톤 톤 하기온 아우투’인데 여기서 ‘하기온’은 ‘하기오스’의 복수형으로 거룩한 자들, 성도들을 의미한다. 이는 문자적으로 거룩한 자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땅에 사는 그리스도인들을 지칭한다. 본문의 의미대로라면 주님이 강림하실 때 그분의 구원받은 성도들이 함께 온다는 것이다.
13절에서 바울은 ‘너희 마음을 굳건하게 하시고’,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하시기를’ 기원하고 있다. 주 예수의 강림시에 중요한 것은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거룩함에 흠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본문의 거룩함은 ‘하기오쉬네’로 ‘거룩, 성결’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비할 데 없는 하나님의 위엄이나 도덕적 순결로서의 거룩을 의미하는 매우 중요한 표현이다.
- The connection between vv. 11 and 12 implies that the apostle elevated love to the level of the highest norm in Christian behavior in very much the same sense that Jesus did for his followers in the great diad on love, in which the whole of the law was expressed in terms of the commands to love God and one’s neighbor (Mt. 22:29–34). In Rom. 13:8 Paul instructs the Christians at Rome, “Owe no one anything except to love one another; for the one who loves the other has fulfilled the law.” Similarly he writes to the Galatians, “For the whole law has been fulfilled in the one command,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 (Gal. 5:14). (Both Rom. 13:8 and Gal. 5:14 probably allude to the Jesus tradition. See Käsemann,Romans,361.)
These texts explain why the apostle can link his wish that his readers “increase and abound in love for one another” to the establishment of their hearts as “blameless in holiness before God.” To love one’s fellow Christians in particular, in the sense of behaving in a loving manner (see 1 Corinthians 13 for the type of behavior envisaged), fulfilled the ultimate ethical norm against which Christians were to be judged. Therefore to love as Paul desired his converts to love would result in their living sanctified lives, placing them beyond any opprobrium at the judgment.
καρδία(“heart”) here, as in 2:4, refers to the thinking, willing, and feeling dimension of human existence, in modern terms the human personality.ἀμέμπτουςin the context connotes a condition of blamelessness in which the individual is found to have done nothing deserving condemnation by God, who tests and tries the hearts of people (cf. 2:4). Althoughἁγιωσύνη(“holiness”) is almost synonymous withἀμέμπτουςin this verse (cf. 2 Cor. 7:1), its different semantic field adds an important connotation. Holiness is one of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God in the biblical tradition (cf. Pss. 71:22; 89:18; Is. 1:4; Je. 50:9; Ezk. 39:7; 1 Pet. 1:15f.; Jn. 17:11; Rev. 4:8; see K. G. Kuhn and O. Procksch,TDNTI, 89–101). Therefore, if the Thessalonians are to be established “without blame in holiness,” this implies their moral conformity to the very character of God. That this was of fundamental importance for Paul can be seen in 4:3, where sanctification or holiness (ἁγιασμός) is said to be the will of God for the Thessalonians.
TDNT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44.
결국 성도들의 마음을 굳게 하시고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하는 것은 사랑이다. 주님의 본을 따라 서로 사랑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우리 성도들의 삶을 거룩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