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2 As the sun was going down, a pdeep sleep fell on Abram. And behold, dreadful and great darkness fell upon him. 13 Then the Lord said to Abram, “Know for certain qthat your offspring will be sojourners in a land that is not theirs and will be servants there, and rthey will be afflicted for sfour hundred years. 14 But tI will bring judgment on the nation that they serve, and afterward uthey shall come out with great possessions. 15 As for you, you shall go to your fathers in peace; vyou shall be buried in a good old age. 16 And they shall come back here in the fourth generation, for wthe iniquity of the Amorites xis not yet complete.”

17 When the sun had gone down and it was dark, behold, a smoking fire pot and a flaming torch passed between these pieces. 18 On that day the Lord made a covenant with Abram, saying, y“To your offspring I give3 this land, from zthe river of Egypt to the great river, the river Euphrates, 19 the land of the Kenites, the Kenizzites, the Kadmonites, 20 the Hittites, the Perizzites, the Rephaim, 21 the Amorites, the Canaanites, the Girgashites and the Jebusites.”

p ch. 2:21

q Acts 7:6, 7

r Ex. 1:11, 12; 3:7

s Acts 7:6; [Ex. 12:40, 41; Gal. 3:17]

t Ex. 6:6

u Ex. 12:36; Ps. 105:37

v ch. 25:8

w 1 Kgs. 21:26; Amos 2:9

x [Dan. 8:23; Matt. 23:32; 1 Thess. 2:16]

y ch. 12:7; 13:15; 24:7; 26:4; Num. 34:2; Deut. 34:4; Neh. 9:8

3 Or have given

z Ex. 23:31; Deut. 1:7; Josh. 1:4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5:12–21.

 

 

앞서 아브람은 하나님께 드릴 제물들을 준비해 놓았다. 새를 제외하고 다른 제물들은 반으로 쪼개 놓은 상태였고 솔개가 사체에 내리를 것을 쫓고 있었다. 이제 때가 되었다. 

15장 8절을 보면 하나님께서 가나안 땅을 주실 것을 약속하신다. 아브람은 자손을 주실 것은 의심없이 믿었지만 땅에 대해서는 약간의 의심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자손을 주시는 것은 그의 생애에 경험하게 되는 것이지만 땅을 얻게 되는 것은 그의 사후의 일인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의 보증 요구에 언약을 통해서 말씀하신다. 

 

12절) 해 질 때에.. 깊은 어둠의 상황일 수록 빛은 강력하다. 이후에 하나님께서 타는 횃불로 나타나시는 것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서 큰 흑암의 상태가 준비된 것이다. 이 언약을 이룰 때 아브람이 맨 정신이었는지 아니면 꿈을 꾼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아마도 아브람은 하루 종일 하나님을 기다리며 제물을 준비하며 솔개들을 쫓느라고 피곤했을 것이고 그래서 깊은 잠에 빠지게 된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꿈을 통해서 계시를 주실 때 사람들에게 아주 깊은 잠을 주신다.(사 29:10; 욥 4:13; 단 8:18; 10:9)

 

13-16절) 먼저 여호와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말씀하신다. ‘너의 자손이 이방에서 객이 되어 이방(애굽)을 섬기겠고 그들은 400년 동안 너의 자손을 괴롭힐 것이다. 이후에 내가 그들이 섬기는 나라(애굽)을 심판할 것이고 너의 자손은 큰 재물을 이끌고 나올 것이다. 너는 장수하다가 평안히 장사될 것이고 너의 자손은 4대만에 이 곳으로 돌아올 것인데 왜냐하면 아모리 족속의 죄악이 아직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똑똑히 알라, 확실히 알라는 말씀은 앞선 8절,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라는 아브람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본절은 아브라함 이후 모세를 통해서 시행될 출애굽을 이야기하고 있다. 창세기의 이후 내용을 통해서 이스라엘 백성은 기근을 피해서 애굽으로 이주하게 되고 400여년의 시간이 지난 후에 그곳에서 나오게 된다.(행 7:6) 실제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곳에서 나올 때 큰 재물을 이루고 나오게 된다. 아모리 족속은 가나안 땅에 살고 있던 민족 가운데 하나로 창 10장에서 언급된 함의 자손 가운데 하나이다. (10:16) 아브라함의 사망후에 이스라엘은 가나안 땅에 돌아오게 되는데 이때 아모리 족속이 가나안 땅에서 쫓겨날 것이다. 아직은 그들의 행위의 악함이 가득차지 않았고 때가 이르렀을 때 하나님께서 그들을 심판하시겠다라는 것이다. 

왜 이렇게 오랜 기간을 기달려야만 하는 것인가? 하나님께서는 가나안 사람의 죄가 아직 차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씀하신다. 하나님의 공의와 공평이 드러나는 순간이다. 하나님은 한 민족의 부귀영화를 위해서 다른 민족을 이유없이 심판하시는 분이 아니다. 모든 민족에게 공평한 기회를 주시는 통치자이시다. 결국 모세와 여호수아 시대에 가나안 사람들의 죄가 가득 차서 심판을 당하게 될 것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본문 16절은 4대 만에 이 땅으로 돌아올 것을 이야기하는데 이는 앞선 표현대로라면 400년에 해당한다. 본문의 세대라고 표현된 히브리어는 ‘도르’는 정해진 기간이 아닌 어떤 기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한 세대를 30년으로 보기에 4대면 120년을 의미하지만 특정한 기간이 아니기에 여기서 한 세대를 100년이라고 보면 400년이라고 할 수 있다. 

Hebrew dôr (“generation”) denotes a span of time, but not necessarily the same fixed number of years. The adult male population in Israel was counted at the age of twenty (e.g., Exod 38:26; Lev 27:3; Num 1:3; 14:29; 26:2; Ezra 3:8), yet forty years amounts to the wilderness “generation” (e.g., Num 32:13; 2 Kgs 10:30; 15:12; Ps 95:10).281 The reference to “four hundred years” (v. 13) suggests that “generation” should also equate to a hundred years. This is supported by Abram’s first generation (Isaac) who was born after a hundred years (21:5). “Fourth generation,” however, may be only a stereotypical expression, conveying the idea of completeness; the duration of a father’s life would not normally extend to four generations. The influence of a parent affected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 (e.g., Exod 20:5; Num 14:18), and four generations established a ruling dynasty (2 Kgs 10:30; 15:12).

281 D. N. Freedman and J. Lundbom, “דּוֹר dôr,” TDOT 3.174.

 K. A. Mathews, Genesis 11:27–50:26, vol. 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5), 174–175.

 

דּוֹר (dôr II), generation(s) (#1887).

OT 1. Albright (BASOR 163:50–51) provided the most convincing explan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meaning of דּוֹר when he explained it on the basis of older dahru>dâru>dôw, properly, “lap in a race, cycle of time, lifetime.” In the HB the word occurs 166×, 92× by itself and 37× (or 74×) in the double expression דּוֹר וָדוֹר “forever,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pl. of the word is masc. in form 3× (Ps 72:5; 102:25; Isa 51:8) and fem. in form 48×. דּוֹר appears most often in the Psalms (59×).

Gen 15:16 suggests that in an earlier time a generation was roughly equivalent to a century. Only when the iniquity of the Amorites had reached its full measure (i.e., four generations from Abraham) would Abraham’s descendants possess the land promised to him. Such a postponement highlights Joshua’s invasion of Canaan four “generations” later as an act of justice rather than of aggression.

2. Subsequently דּוֹר was interpreted as a period of approximately forty years. Thus the whole book of Numbers is structured around the deeds and eventual death of the first generation that came out of Egypt (Num 1:1–25:18) and the prospects for the survival of the second generation (Num 26:1ff.). (Numbers)

3. On four occasions Yahweh made a covenant that spanned generations: with Noah (Gen 9:12); with Abraham (17:7, 9); with Israel (Deut 7:9); with David (Ps 89:4 [5]). It is not necessary for Yahweh to make a covenant with each new generation. This may explain why the word “covenant” never appears in the OT in the plural. Such transgenerational covenants emphasize the gracious, faithful commitment of Yahweh to his own (בְּרִית, #1382).

4. The reverse side of the above are the reminders in the OT that each generation needs to expedite faithfully its religious obligations. Appropriate celebrations were to be observed by “the generations to come” (Exod 12:17, 42; 16:32; 32:13, 16; Lev 23:14, 21, 31, 41); the same applied to covenant requirements (Gen 17:12; Num 35:29). Neither the celebrations nor the obedience of one generation sufficed for another generation. That each generation engaged in the observance of the same festivals, with little modification or adaptation, provided both continuity between the generations and minimized the possibility of a later generation forgetting its roots and the source of its vitality.

See Descendant, offspring,

BASOR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 transformed to

> transformed to

HB Hebrew Bible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930–931.

 

17절) 쪼갠 고기, 제물 사이로 횃불이 지나가는 것은 바로 언약을 체결하는 모습이다. 앞서 12절 해 질 때였고 이제 한밤중이 되었다. 아브람은 낮 시간동안 언약 체결 의식에 필요한 동물들을 준비했다. 본절에서 연기나는 화로와 타는 횃불은 바로 하나님의 임재를 나타낸다.(출 13:21-22) 이 타는 횃불이 쪼갠 고기 사이를 지나는 것은 바로 이 약속, 언약을 어기면 자신이 이 제물과 같이 죽임을 당할 것이라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시는 것이다.(렘 34:18) 당대의 언약을 체결할 때 언약의 당사자들이 이렇게 제물사이를 지나는 것은 죽음으로 이 언약을 지킬 것을 상징하는 행위였다. 그런데 이 언약 체결에서 제물 사이를 지나는 분은 바로 하나님 자신이시다. 결국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불순종을 대신하셔서 십자가 위에서 죽으심으로 우리의 모든  형벌을 담당하셨다. 

 The flame, symbolizing God, passes between the pieces, symbolizing that God himself will bear the penalty if the promise is broken. Ultimately, Christ bears the penalty for our disobedience.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7.

 

18-21절) 언약의 중심 내용은 바로 이 땅을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주실 것이라는 것이다. 그 땅의 한계는 애굽 강에서부터 큰 강 유브라데까지이다. 남쪽의 한계은 애굽 강에서 부터 북쪽의 한계는 유브라데까지이다. 본 절의 애굽 강은 나일의 동쪽 지류로 보인다. 현재 아브람에게 언약이 주어졌을 때 가나안 땅은 다른 족속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이 약속은 솔로몬이 통치하던 시대에 일시적으로 이루어진다.(왕상 4:21)

왜 하나님의 언약이 성취되지 않았을까? 이는 하나님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이스라엘이 하나님께서 주신 이 비전을 포기하고 이루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브람 시대에는 계약을 체결할 때 계약서에 당사자들이 숭배히는 신들의 이름을 포함시켰다. 이 신들은 증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언약을 맺은 쌍방중 한쪽이 언약을 파괴할 때 그 사람(들) 에게 계약에 열거된 저주를 내리기 원한다는 의미에서 계약서에 포함되는 것이었다. 계약이 체결되면 세 개의 계약서가 만들어져 계약자들이 각각 하나씩 갖고, 하나는 봉인되어 신전에 소장되었다. 신들이 이 언약을 보호하고 사람의 약속이 가장 성스러운 곳에 보관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풍습이었다. 또한 계익빨 체결할 때는 짐승들이 희생되었다. 피로 체결된 약속이란 것을 상정하기 위해서였다.(엑스포지멘터리 303)

본문 18절에 언약을 세우다라는 단어는 ‘카라트 엣 베리트’이다. 베리트는 언약을 의미하고 카라트라는 단어는 쪼개다/자르다라는 의미로 계약을 체결할 때 짐승들이 쪼개져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이 언약에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모든 명예와 능력을 걸고 아브람이 반드시 이 땅을 차지할 것이라는 것을 선언하고 계신 것이다.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시는 하나님, 그런데 이 언약은 성취되기까지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 애굽에서의 포로기간을 400년으로 잡는다고 할때 최소 600-800년 이후의 일을 말하고 있다. 만약에 나에게 이런 동일한 일이 일어났다라고 가정해보자. 어떤 집을 계약했다. 나의 바램은 새로운 집에 바로 입주하여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다. 그런데 그 계약서의 작은 글씨로 된 조항을 읽어보니 이 집에 바로 입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400년 후에 들어가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주께는 하루가 천년 같고 천년이 하루 같다.(벧후 3:8-9) 하나님의 시간표와 우리의 기대가 일치 하지 않는 것이다. 

지금 우리의 시대는 빠름을 추구하고 있다. 점점 더 참을성이 없어진다. 화면이 나오는데 2-3초의 딜레이에도 너무나 갑갑하다. 짧은 시간안에 우리의 마음을 빼앗지 못하면 우리는 그냥 스킵하고 지나간다. 무언가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설교는 점점 더 짧아지기를 원하고 무언가를 깊이 되뇌이며 생각하는 것은 매우 힘든 소양이 되어 버렸다.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기대도 이렇지 않은가? 마치 자판기에 동전을 넣고 버튼은 누르면 내가 원하는 물건이 바로 나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손으로 두드리거나 발로 찬다. 하나님께 기도하고 바로 응답되지 않으면 더이상 기대하지 않고 실망하고 더이상 기도하지 않는다. 

기대는 미래를 바라보고 소망한다. 그런데 그 기대가 이루어지 위해서는 현재의 수고와 노력, 관계가 요구되어진다. 아이들을 향한 부모의 기대도 마찬가지이다. 부모들은 아이들이 빨리 젖을 떼고, 기저귀를 떼고 걷고 뛰기를 바란다. 그리고 유치원, 학교에 들어가서 부쩍부쩍 자라고 건강한 청소년기를 거쳐서 대학을 나와서 직장을 잡고 배우자를 만나 행복한 가정을 이루기를 바란다. 그런데 이 일은 한순간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소망의 기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단계마다 부모의 수고와 노력, 인내와 기다림이 필요한 것이다. 기저귀를 가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고, 폭풍과 같은 청소년기를 거쳐야한다. 이처럼 우리는 미래의 기대를 이루기 위해서는 현재의 관계를 아름답게 일구어 나가야 한다. 어찌보면 소비되고 낭비되어지는 것 같은 현재를 잘 일구어 나가야 하는 것이다. 

 

 

어린 왕자는 각각 한 사람이 살고 있는 별들을 방문하는데, 그들은 각각 무엇이 중요한지 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을 대표한다. 그는 복종받는 일에 매우 관심이 있는 왕을 만나는데,  그 왕은 자기가 명령하기만 하면 무엇이든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이를테면, 일몰). 그의 권위는 그에게 유일하게 중요한 것이다. 또 어린 왕자는 허영심이 많은 사람을 만나는데,  그에게 유일하게 중요한 것은 칭송을 받는 것이다. 세 번째 별의 “술고래”는 자기 의 음주 습관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한다. 사업가는 사실과 숫자들에서 중요성을 발견하고, 가로등을 켜는 사람은, 그 일이 얼마나 비합리적 인지와 상관없이, 자기의 의무를 수행하는데서 중요성을 발견한다. 마지막 별에서, 어린 왕자는 지리학자를 만나는데 , 그는 오로지 변화하지 않는 것에서 중요성을 찾는다. 지리학자들은 덧없는 것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 어린 왕자는 자신의 탐험 과정을 통해,  그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발견한다. 그것은 자기 별에서 그가 돌보았던 장미 한 송이이었다. 그의 친구가 된 여우는 ‘네 장미를 그토록 중요하게 만드는 것은 네가 네 장미에 쏟은 시간”때문이라고 이야기 한다. 어린 왕지는 이를 통해 그에게 중요한 것은 관계라는 것을 발견한다.

5가지 사랑의 언어에서 우리는 함께하는 시간, 선물, 칭찬의 말, 선물, 스킨십등을 통해서 사랑을 확인한다라고 말한다. 이중에 함께하는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이 관계 자체가 우리의 기대와 소망을 이루는 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일을 이루시는 방법도 매우 즉각적일 수 있지만 또한 매우 오랜 시간을 통해서 우리로 기대하게 하신다. 그것을 온전히 이루기 위해서는 우리는 속도를 늦추고 현재의 우리의 관계에 집중하며 주님께 우리의 시선을 맞추어야 한다. 가족과의 관계 속에서는 함께 걷거나 함께하는 시간을 보내는 것이다. 

400년이라는 시간이 너무나 길고 무의미해 보일 수 있지만 내일을 의심하고 걱정하는 대신 오늘에 집중하여 만족하며 오늘 나에게 주어주신 사명과 관계를 소중히 여기며 살아갈 때 400년의 기다림은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 그러기에 우리들은 그리스도의 재림을 지나치게 두려워하거나 열망함으로 오늘을 믿음을 살아가는 관계를 소홀히 여겨서는 안된다. 

 

 

 

 

 

 

 

728x90

15 After these things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Abram in a vision: c“Fear not, Abram, I am dyour shield; your reward shall be very great.” But Abram said, “O Lord God, what will you give me, for I continue1 childless, and the heir of my house is Eliezer of Damascus?” And Abram said, “Behold, you have given me no offspring, and ea member of my household will be my heir.” And behold,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him: “This man shall not be your heir; fyour very own son2 shall be your heir.” And he brought him outside and said, “Look toward heaven, and gnumber the stars, if you are able to number them.” Then he said to him, h“So shall your offspring be.” And ihe believed the Lord, and jhe counted it to him as righteousness.

And he said to him, “I am the Lord who kbrought you out from Ur of the Chaldeans lto give you this land to possess.” But he said, “O Lord God, mhow am I to know that I shall possess it?” He said to him, “Bring me a heifer three years old, a female goat three years old, a ram three years old, a turtledove, and a young pigeon.” 10 And he brought him all these, ncut them in half, and laid each half over against the other. But ohe did not cut the birds in half. 11 And when birds of prey came down on the carcasses, Abram drove them away.

c ch. 26:24; Dan. 10:12; Luke 1:13, 30

d Ps. 3:3; 18:2; 84:11; 119:114

1 Or I shall die

e ch. 14:14

f ch. 17:16

2 Hebrew what will come out of your own loins

g Ps. 147:4

h ch. 22:17; 26:4; Ex. 32:13; Deut. 1:10; 10:22; 1 Chr. 27:23; Heb. 11:12; Cited Rom. 4:18

i Rom. 4:9, 22; Gal. 3:6; James 2:23

j Cited Rom. 4:3; [Ps. 106:31]

k ch. 11:31; 12:1; Neh. 9:7, 8; Acts 7:2–4

l Ps. 105:42, 44

m [Judg. 6:17; 2 Kgs. 20:8; Ps. 86:17; Isa. 7:11–13; Luke 1:18]

n Jer. 34:18, 19

o Lev. 1:17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Ge 15:1–11.

 

 

이 아브라함 언약을 통해서 앞서 12:2에서 큰 민족을 이루게 하시겠다라는 하나님의 약속이 다시금 분명하게 확인된다. 하지만 이것의 성취는 이후 몇세기가 지나서야 이루어진다. 

15장의 아브라함 언약 이야기는 하나님께서 인간과의 언약속에 자신을 묶으시는 순간이다.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약속하신 자녀와 땅의 정복이 성취될 것을 구체적으로 선언하신다. 1-6절이 자손에 대한 약속이라면 7-21절은 땅에 대한 약속을 받는 것이다. 1절과 7절은 각각 I am 형식으로 말씀하신다. 이를 구조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A.하나님께서 1 am"형식에 따라 아브람에게 약속하심 (1 )

    B. 불안한 아브람이 주 여호와’께 질문함(2-3절)

     C. 하나님이 상정적인 행동을 통해 아브람을 안심시킴: 별들을 보여주시고 아브람의 씨앗의 숫자와 연결시키심(4-6절)

  A. 하나님께서 “1 am" 형식에 따라 아브람에게 약속하심(7)

    B. 불안한 아브람이 주 여호와’께 질문함"(8 )

      C' . 하나님이 상징적인 행동을 통해 아브람을 안심시캄: 별들을 보여주심: 짐승들 사이를 햇불이 지나가게 하고 장차 후손들이 받을 땅과 연결시키심

 

1절) 이 일들 후에 여호와의 말씀이 아브람에게 임하여 환상중에 말씀하신다. ‘아브람아 두려워하지 말아라. 나는 너의 방패요 너의 지극히 큰 상급이다.

본문에서 ‘이 후에’라고 표현된 것은 앞의 사건과 15장의 사건을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앞선 14장에서 아브람은 롯을 구출하고 돌아오던 중에 승리에 대한 전리품을 소돔왕으로 부터 받는 것을 거절한다. 그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님께서는 내가 너의 지극히 큰 상급이 될것이라고 말씀하신다. 아브람은 소돔왕의 제안을 통해 부해 지는 것을 거절함을 통해서(14:22-24) 하나님께서 자신을 풍성케 하실 것이라는 믿음을 보이고 있고 이에 대해서 하나님께서 환상중에 구체적으로 약속하고 계시는 것이다. 또한 본문은 아브람은 선지자로 묘사하고 있다. 구약의 여느 선지자들처럼 환상을 통해 여호와의 말씀이 그에게 임했기 때문이다. 지금의 시점에 전투를 마치고 돌아온 시점임을 기억한다면 지금 그가 물리친 왕들의 보복을 두려워하고 있었던 시점에서 매우 적절한 위로요 또한 소돔왕의 승리에 대한 보상을 거부하고 하나님께서 직접 그에게 상급을 주시는 것이다. 이러한 적의 보복 이외에도 아브람을 두렵게 하는 것이 있었는데 이는 아마도 하나님께서 자손을 주시겠다라는 약속의 시점이 오래 되었음에도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대한 불안이 있었을 것이다. 이 문구는 훗날 위기에 처한 이삭과(26:24) 야곱에게도(46:3) 임한 말씀이다. 

After these things links this episode to the one immediately preceding. In ch. 14 Abram rejected the offer from the king of Sodom for the victory spoils as a reward. In response, God now states that Abram’s reward shall be very great. By rejecting the use of human wealth to achieve greatness (14:22–24), Abram demonstrates his willingness to wait for God to provide. in a vision. Although it is not certain, the initial vision may have taken place at night. In 15:5 God brings Abram out of his tent to count the stars.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7.

 

2-3절) 하나님의 말씀에 대해서 아브람은 자신에게는 지금 자식이 없고 법적으로 자신의 상속자는 이 다메섹 사람 엘리에셀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렇게 된 이유가 자신에게 자식을 하나님께서 주시 않으셨기에 지금 자신의 집에서 길리운 자 중의 하나인 엘리에셀이 자신의 상속자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엘리에셀이라는 이름은 ‘하나님은 도움이시다’라는 의미로 아브람의 신뢰를 받고 있는 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브람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가나안 땅에 이주해서 살면서 자신의 집이 부유해졌지만 여전히 자신에게 자식이 없음으로 인해서 고민을 하고 있었고 실제로 이후의 상속자를 누구로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자신에게 자녀가 없었기에 법적인 다음 상속자로 엘리에셀을 생각하고 있었다. 하나님으로부터 상급을 기대하고, 싸움의 승리가 하나님께 있음을 알고 경험했지만 아직도 여전히 하나님의 전적인 계획을 알지 못하는 아브람은 인간적인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불안한 나머지 나름대로 비상대책도 세워 놓았다. 주전 2000년대 중반에 제작 것으로 보이는 누지(Nuzi) 토판들에 의하면 자식이 없는 사람은 종들 중

니를 택해 양자를 삼고 그에게 모든 재산 상속권을 주는 것이 당시의 풍습이었다.(Hamilton). 아브람은 이 풍습에 따라 그의 종이었던 다마스크스의 엘리에셀을 상속자로 지명했다(2-3 ). 어떤 학자들은 훗날 이삭의 아내를 찾아 라반에게로 갔던 종이 바로 이 종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확실한 근거 없는 추측일 뿐이다. 엘리에셀처럼 전혀 피를 섞지 않은 지를 통해 대를 이어간다 것은 그 당시에도 최후의 수단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실제로 아브람이 그를 양자로 삼았는지 앞으로 그렇게 할 계획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 일단 아브람 말투에 체념과 한숨이 어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엑스포지멘터리 창세기 293)

 

4-6절) 이러한 아브람의 반응에 대해서 하나님께서는 다시금 말씀하신다. 엘리에셀이 너의 상속자가 아니라 네 몸에서 날 자가 너의 상속자가 될 것이다라고 말씀하시고 아브람을 이끌고 밖으로 나가셔서 하늘의 뭇 별을 보면서 또한 말씀하신다. 네가 하늘의 별들을 셀 수 있느냐? 너의 자손이 이와 같이 많을 것이다라고 하신다. 이에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로 여기셨다.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알려주신 것은 엘리에셀이 너의 상속자가 아니라 네 몸에서 날 자가 너의 상속자가 될 것이라는 것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하나님께서 사라를 통해서 너의 상속자를 주실 것이라는 것은 말씀하지 않으셨다. 이에 아브람은 사래의 몸종 하갈을 통해서 이스마엘을 얻는다. 우리들도 어렴풋이 알고 있는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을 잘못 적용하여 실수를 할 수 있다. 아브람은 지금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서 엘리에셀은 아니고 나에게서 후손이 생기겠구나라는 것은 알았지만 하나님께서 사래의 태를 여셔서 아들을 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하고 인간적인 다른 대안을 선택하게 된 것이다. 

 

6절 본문은 믿음과 관련되엇 매우 중요한 구절로 신약에서 4번 인용된다.(롬 4:3, 22; 갈 3:6; 약 2:23)

 

로마서 4:3 (NKRV)

3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진 바 되었느니라

갈라디아서 3:6 (NKRV)

6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을 그에게 의로 정하셨다 함과 같으니라

야고보서 2:23 (NKRV)

23이에 성경에 이른 바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니 이것을 의로 여기셨다는 말씀이 이루어졌고 그는 하나님의 벗이라 칭함을 받았나니

 

믿음은 하나님의 말씀이 진리이며 진실하다는 것에 기초하며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삶으로 이어져야 한다. 아브람의 삶이 그러했다. 그가 하나님의 부름을 받을 당시에 그의 믿음은 완성형이 아니었다. 여러가지 위기의 순간을 거쳐가면서 그는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에 대해서 알아갔고 말씀하신 것을 이루시는 분이라는 것에 대한 확신이 분명해진 것이다. 그는 비록 지금 자신에게 자녀가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래서 다메섹 사람 엘리에셀을 자신의 상속자로 세워야하는지 고민하고 있었지만 하나님의 말씀과 환상을 통해서 하나님이 약속하신 것을 능히 이루실 분임을 더욱 분명히 믿은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이를 아브람의 의로 여기셨다. ‘의’는 구약성경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 가운데 하나이다. 구약의 의는 율법에 일치하는 경건한 삶을 사는 것이다. 

본문에서 하나님에 대한 아브람의 믿음은 그리드소 안에서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믿음의 모델이 된다.(갈 3:6-9) 의로움은 우리의 성취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여겨지고 간주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믿음 안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안에서 의를 주시는 하나님을 바리기 때문입니다. 

Abram’s trust in God is the model for Christians’ trust in God’s promises in Christ (Gal. 3:6–9). Righteousness is “counted” or reckoned, not on the basis of our achievement, but because in faith we look to God who supplies righteousness in Christ (Rom. 4:5–9; 2 Cor. 5:21; Gal. 3:6).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7.

 

그렇다면 본문에서 아브람은 무엇을 믿었는가? 본문이 구체적으로 구원에 대한 믿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앞선 내용과의 관련속에서 본다면 하나님께서 방패이시면 지극히 큰 상급이 되심을, 또한 지금은 자신에게 자녀가 없지만 그 자녀를 주시겠다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믿은 것이다. 이 믿음에 대해서 하나님께서는 이것을 의로 여기셨고 그에게 실제로 약속을 성취하신다. 이처럼 인정된 의는 축복의 근거가 된다. 

 

‘의롭다’의 기본적인 의미는 ‘기준에 맞다/도달하다’라는 뜻이다"(Mathews) . 폰라트{G . von Rad)는 훗날 이 개념이 “공동제의 평안과 안녕을 위해 하나님께서 세우선 기준”을 뜻했다고 한다. 그래서 성도가 성전에 가서 예배를 드리고자 하면 성전 문 앞에서 제사장이 그가 공동체적인 책임[기준]을 충족시키는 삶을 살았는지를 묻고 긍정적으로 대답하는 사람만 입장을 허락했다고 한다. 아브람은 하나님이 세워 놓으신 ‘믿음 기준’에 부합하는 사람이었던 것이다.(엑스포지멘터리 296)

 

7-8절) 또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에게 ‘나는 이 땅을 너 아브람에게 주어 소유를 삼게하려고 너를 갈대아 우르에서 이끌어낸 여호와이다.’라고 말씀하셨고 아브람은 

'주 여호와여 내가 이 땅을 소유로 받을 것을 어떻게 알겠습니까?’라고 믇는다. 

본문은 지속적으로 아브람과 여호와 하나님의 대화로 이루어진다. 일방적으로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거나, 아브람이 자신의 이야기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묻고 대답하고 대화하는 방식으로 하나님께서 환상중에 이야기하고 계신 것이다. 아브람은 앞서 6절까지는 자손에 초점을 맞춘다면 7절 이하는 아브람의 자손이 가나안 당을 소유하게 된다는 것과 관련해서 그것을 보증해줄 수 있는 표적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9-11절) 아브람이 요구하는 표적에 대해서 이제 여호와께서 삼년된 암소와 삼년된 암염소와 삼년된 숫양과 산비둘기와 집비둘기 새끼를 가져오라고 말씀하신다. 이에 아브람이 하나님께서 분부하신 모든 것을 가져다가 이를 반으로 쪼개고 그 쪼갠 것을 마주 대하여 놓고 작은 새는 쪼개지 않았다. 이렇게 제물을 반으로 쪼개 놓았기에 솔개가 사체위에 내려올때 아브람이 이를 쫓았다. 

 

728x90

17 After his return from the defeat of Chedorlaomer and the kings who were with him, the king of Sodom went out to meet him at the Valley of Shaveh (that is, the sKing’s Valley). 18 And tMelchizedek king of Salem brought out bread and wine. (He was upriest of vGod Most High.) 19 And he blessed him and said,

w“Blessed be Abram by God Most High,

xPossessor2 of heaven and earth;

20  and blessed be God Most High,

who has delivered your enemies into your hand!”

And Abram gave him ya tenth of everything. 21 And the king of Sodom said to Abram, “Give me the persons, but take the goods for yourself.” 22 But Abram said to the king of Sodom, z“I have lifted my hand3 to the Lord, God Most High, Possessor of heaven and earth, 23 that aI would not take a thread or a sandal strap or anything that is yours, lest you should say, ‘I have made Abram rich.’ 24 I will take nothing but what the young men have eaten, and the share of the men who went with me. Let bAner, Eshcol, and Mamre take their share.”

God’s Covenant with Abram

s 2 Sam. 18:18

t Heb. 7:1

u Ps. 110:4; Heb. 5:6, 10; 7:1, 11, 17

v Ps. 57:2; Acts 16:17

w Heb. 7:6, 7

x Matt. 11:25

2 Or Creator; also verse 22

y Heb. 7:4; [ch. 28:22]

z Ex. 6:8; Num. 14:30; Deut. 32:40; Ezek. 20:5, 6, 15, 23, 28; Dan. 12:7; Rev. 10:5, 6

3 Or I have taken a solemn oath

a [Esth. 9:15, 16]

b ver. 1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Ge 14:17–15:1.

 

17절) 아브람이 롯과 그의 가족들을 납치해 포로로 끌고가는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의 군대를 다메섹 왼편의 호바까지 추격해서 그들을 쳐부수고 돌아올 때에 소돔 왕이 사웨 골짜기, 곧 왕의 골짜기로 나와서 아브람을 만났다.(삼하 18:18) 사웨 골짜기는 예루살렘 동편에 위치하였다. 앞서 10절에서 소돔 왕은 싯딤 골짜기에서 그돌라오멜 일행에게 대패한다. 그런데 이후 아브람의 추격과 승리의 소식을 듣고 그를 맞이하기 위해서 올라온 것이다. 사웨 골짜기는 왕의 골짜기로 불렸다. 이는 그 골짜기가 예루살렘 남쪽에 있는 곳으로 기드론 골짜기와 힌놈 골짜기가 만나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The king of Sodom heads the welcome-home party for the victorious Abram, and the meeting takes place at the King’s Valley, also called the Valley of Shaveh (“Valley of the Ruler”).2 This particular site appears in the OT again only in 2 Sam. 18:18. It was situated at the confluence of the Kidron Valley and the Valley of Hinnom, south of the city of David.3 The choice of such a place for the extension of greetings shows the exhilaration of the king of Sodom, who has traveled northward, eager to meet triumphant Abram. The site also prepares us geographically for the sudden appearance of Melchizedek king of Salem.

2 See A. A. Wieder, “Ugaritic-Hebrew Lexicographical Notes,” JBL 84 (1965) 160–62, for this explanation.

3 See P. K. McCarter, Jr., II Samuel, AB (Garden City, NY: Doubleday, 1984), p. 408.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0), 408.

 

18절) 살렘왕 멜기세덱,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다. 그가 전투를 승리로 마치고 돌아오는 아브람 앞에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아왔다. 본문의 멜기세덱이 어떤 인물인지 정확히 규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문에 등장하는 것만으로 추정해볼때 그는 왕이요 동시에 제사장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문에 구약에서 처음으로 제사장(코헨)이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당시 아브람 외에고 하나님을 섬기는 이들이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여기서 멜기세덱은 아브람에게 떡과 포도주를 주었다. 이는 제사장이 가지고 다니는 음식으로 아브람에게 이를 대접하면서 복을 빌어주었고 또한 아브람에게 승리를 주신 가장 높으신 하나님을 찬양할 것을 권면하고 있다. 

아브라함이 모든 것의 십분의 일을 그에게 나누어 주니라 그 이름을 해석하면 먼저는 의의 왕이요 그 다음은 살렘 왕이니 곧 평강의 왕이요” (Hebrews 7:2, NKRV)

히브리서에서는 그를 의의 왕, 살렘 왕, 평강의 왕이라고 말한다. 살렘은 예루살렘의 줄임말이면서(시 76:2) 히브리어로 평화, 평강을 뜻하는 ‘샬롬’과 관계가 있다. 구약 성경에서 멜기세덱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바는 거의 없다. 하지만 멜기세덱은 예루살렘과 관련된 제사장-왕에 대한 흥미로운 모범을 제공한다. 후대에 예루살렘의 왕들은 그를 닮아야 한다고 기대했던 것으로 보인다.(시 110:4) 특히 히브리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다윗의 왕위를 잇는 왕으로 묘사하면서 동시에 그리스도가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대제사장이라고 불렀다.(히 5:5-10; 6:20-7:17)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의 대제사장 직분은 레위의 후손들이 지니는 제사장 직분보다 우월하다고 보았다. 

- 하나님의 성품의 다양함을 보여주는 표현들, 이처럼 다양한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님의 성품의 다양함을 보여준다. 

엘 엘욘(14:19) :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

엘 로이(16:13) : 살피시는 하나님

엘 샤다이(17:1) : 전능하신 하나님

엘 올람(21:33) : 영원하신 하나님 

 

Melchizedek is identified as “king of Salem” and “priest of God Most High [El Elyon]” (v. 18). His name, Malkî-ṣedek, means “king of righteousness” (Hb. 7:2);172 the language “king of Salem,” melek šālēm, means literally “king of peace” (Hb. 7:2). By this parallel language between his name and his city there is an association of “righteousness” and “peace” (Salem). These two characteristics are found together in the Old Testament (Ps 85:10; Isa 9:7; 32:17; 48:18; 60:17). Jerusalem is often also linked with ṣedek in the Old Testament (e.g., Isa 1:21, 26; 33:5; 46:13; 61:3; Jer 31:23; 33:16; Ps 118:19; cf. the kings of Jerusalem, Adoni-Zedek, Josh 10:1; Zedekiah, 2 Kgs 24:17–18). “Salem” (šālēm) is widely recognized as an ancient name for Jerusalem (yĕrûšālayim) in Jewish tradition;173 “Salem” appears in parallel with “Zion,” referring to the temple at Jerusalem (Ps 76:2[3]). In the Old Testament the name “Jebus,” referring to the pre-Israelite inhabitants of the city, is used of Jerusalem (e.g., Josh 15:8). The earliest mentions of Jerusalem outside the Bible are Rusalimum in Egyptian Execration texts (ca. 1850) and Urusalim in the Amarna texts (fourteenth century).174

“Priest” (kōhēn) in v. 18 is its first occurrence in the Bible. Patriarchal blessing involved the divine benefits of prosperity and progeny for Abram and his family (e.g., 12:1–3; 22:16–18; 26:3–4); the patriarchs in turn conveyed the blessing under the auspices of the Lord upon the succeeding generation (e.g., 27:27–29; 28:1; 49:28). This incident, however, is the only priestly blessing in Genesis. Later, the priests were the chief agents of blessing in Israel (e.g., Num 6:24–26; Deut 10:8); however, often a national leader (Exod 39:43; 2 Sam 6:18) or a family member (24:60; Ruth 2:19–20; 2 Sam 6:20) blessed others by invoking the Lord. Invocations typically assumed that only the Lord could ultimately bestow blessing; a benedictory prayer petitioned God for prosperity and well being. The expression “bread and wine” refers to daily but luxurious provisions (Judg 19:19; Eccl 10:19; also Lam 2:12). That they were refreshment for returning warriors makes sense (e.g., Judg 8:5; 2 Sam 16:1–2).175 Although both elements were part of Israel’s worship offered to God (e.g., Lev 2:4–16; 23:13; Num 28:14)176 and later functioned symbolically at the Lord’s table (1 Cor 11:26), there is no overt cultic meaning attached to them here.177

172 Also Philo, Leg. 3.79; Josephus, Ant. 1.180; J.W. 6.438; but Tg. Ps-J. does not recognize it as an appellative and translates the Hb. (malkî-ṣedek), adding the identification Shem: “And the righteous king, he is Shem the Great …”

173 E.g., 1QapGen 22:13; all Tgs.; Josephus, Ant. 1.10.2[180–81]; 7.67[7.3.2]; J.W. 6.437 [6.10.1]; Gen. Rab. 43.6; for more detailed discussion, see below “Excursus: Melchizedek.”

174 P. King, “Jerusalem,” ABD 3.751.

175 Hamilton, Genesis Chapters 1–17, 408.

176 P. Bird, “Vine,” HBD 1113.

177 D. Elgavish contends that the victuals indicated a celebratory feast following a treaty arrangement (cf. 26:30; 31:54; Deut 23:5–7), but in context there is no certain indication of a covenant here (“The Encounter of Abram and the Melchizedek King of Salem: A Covenant Establishing Ceremony,” in Studies in the Book of Genesis, 495–508).

 K. A. Mathews, Genesis 11:27–50:26, vol. 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5), 148–149.

 

19-20절) 멜기세덱은 천지의 주재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이름으로 아브람에게 축복한다. 그는 분명하게 이 싸움을 승리로 이끄신 분이 하나님이심을 밝히면서 대적을 아브람의 손에 붙이신 하나님을 찬송한다. 이에 아브람은 이 전투에서 얻은 것의 1/10을 십일조로 멜기세덱에게 바친다. 본문의 주재(possessor)로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는 ‘코네’로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 창조주이심을 가리킨다. 하나님은 온 땅이 하나님의 성전이 되게하기 위해서 그것을 지으셨다. 이것을 기억하며 하나님이 천지의 주재이심을 인정하며 살것을 요구하셨지만 아담과 하와는, 또한 많은 이들이 이를 잊고 불순종을 일삼고 있었다. 이에 멜기세덱은 승리하고 돌아오는 아브람에게 하나님이 온 땅의 주인이심을, 그분이 온땅을 지으시고 우리의 삶에 순종을 요구하심을 통해서 이 싸움의 승리가 아브람이 가지고 있던 군사력이나 능력에 기인한 것이 아니고 오직 하나님께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에 아브람은 멜기세덱의 말이 사실임을 인정하는 표현으로 십일조를 그에게 바치고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십일조의 기원으로 인용되는 이 본문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에게 허락된 모든 승리가 하나님으로부터 기원했다라는 사실을 인정하도록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21-24절) 멜기세덱의 축복의 반응과는 대조적으로 전투에서 간신히 살아남은 소돔왕은 지금 아브람에 나아와 어떤 감사의 표현도 하지 않은 채 전투를 통해서 대적들로부터 빼앗은 전리품과 포로들중에 사람들은 자신에게 돌려보내고 물품은 네가 가지라고 제안한다. 본문의 실 한 오라기와 신발끈이라는 표현은 가장 보잘것 없고 가치없는 것들의 상징이다(암 2:6; 8:6, 마 3:11). 이에 아브람은 소돔왕의 제안을 거절한다. 그는 다시금 이 전투의 승리가 하나님께로부터 기인했음을 고백하면서 하나님의 축복으로 자신이 부유해지고 큰 민족을 이루는데 있어서 하나님외의 다른 이들의 도움, 왕의 도움이 개입하는 것을 거절하고 오직 하나님만을 의지하겠다라는 강력한 믿음의 표현을 하고 있는 것이다. 아브람은 앞서 멜기세덱의 표현을 다시금 반복한다. 천지의 주재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 여호와께 내가 손을 들어 맹세하는데 소돔 왕 당신에게 속한 것중에 실 한 오라기나 신발 끈 하나라도 내가 가져감으로 내가 부유해졌다라는 말을 듣지 않겠다라고 다짐한다. 단지 젊은이들이 먹은 것과 자신과 동행한 아넬과 에스골과 마므레의 분깃만을 제외하고 전리품을 소돔왕에게 돌려주겠다라고 말한다. 

아브람의 단호한 거절은 여러가지를 우리에게 시사한다. 1) 아브람은 이 세상의 복을 추구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그는 하늘의 신성한 복을 추구하는 사람이었다. 2) 아브람은 하나님이 그를 존귀하게 해주실 때를 사모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 방식이 인간적인 방식, 당대 그 지역의 왕과의 친분을 쌓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때, 하나님의 방식이었다. 3) 아브람은 소돔 왕이 제안한 전리품을 거절한다. 이는 억울한 자들의 눈물과 피로 얼룩진 물건이었다. 이후 소돔은 죄악으로 가득 찬 도시로 심판을 받아 멸망했다. 아브람은 그러한 부정한 재물을 취하지 않을 것을 결심한 것이다. 경건하지 못한 방식으로 얻는 재물을 단호히 거절했다.

 

여기서 아브람은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 ‘엘 엘욘’이라는 표현에 ‘여호와’라는 표현을 추가한다. 그는 지금 ‘엘 엘욘’과 ‘야훼’가 한분이시며 동일한 신성을 가지고 있다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여기서 손을 드는 행위는 바로 하늘의 하나님께 맹세를 하는 표현이다.(단 12:7) 본문에서 아브람으로 치부하게 하였다(made Abram rich)라는 표현 ‘아사르’는 십일조(마아세르)라는 표현의 wordplay이다. 이는 구약에서 부가 하나님으로부터 말미암는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하지만 부를 의지하는 것은 어리석음을 말하는 것이다. 

By his oath the patriarch affirms his faith in the Lord who will bless him; he will not be indebted in any way to the foreign king for his success, lest he boast he “made Abram rich” (v. 23). “To make rich” (from ʿāšar; cf. Ezek 27:33) may be a Hebrew wordplay on “tenth” (măʿaśēr) indicating that his wealth is from the Lord alone, which he devotes to him. Wealth is attributed to the Lord in the Old Testament (e.g., 24:35; 31:16; Deut 8:18; 1 Sam 2:7; Prov 10:22; Eccl 5:19), but trust in riches leads to folly (Deut 8:17; Pss 49; 52:7; Prov 11:4; Eccl 5:10, 13; also 1 Tim 6:17). Abram only accepts the provisions already eaten on the campaign by his retainers and the payment to his allies who had earned their part of the spoil (v. 24).

 K. A. Mathews, Genesis 11:27–50:26, vol. 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5), 157.

 

아브람은 살렘왕 멜기세덱과 소돔왕 베라와의 만남에서 멜기세덱의 제안은 받아들이고 소돔왕의 제안은 거절한다. 그는 이 싸움의 결과가 하나님께 속한 것임을 알고 있었고 그래서 멜기세덱에게 십일조를 드리고 소돔왕의 제안은 거절한다. 자신의 성공, 부유해짐의 원인이 소돔왕의 도움으로부터 왔다는 가능성을 철저히 배제시키고 있는 것이다. 

우리들의 삶은 어떠한가? 세상적인 방식의 성공을 좇아서 그것을 도리어 추구하고 있는데 아브람은 어쩌면 당연해 보이는 전리품을 거부하면서 오직 하나님께만 승리가, 성공이 있음을 고백하고 있는 것이다. 

 

 

Excursus: Melchizedek

Although the name “Melchizedek” occurs but twice in the Old Testament (14:18; Ps 110:4),185 Jewish and Christian interpreters recognized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this cryptic figure. By virtue of his blessing the patriarch and by Abram’s deference toward him in presenting a tithe to the priest-king, this person held a superior position. What individual could be greater than Father Abraham? In addition, his priesthood antedated that of the Levitical order, apparently functioning independently of the traditional priesthood of Israel. Melchizedek, moreover, appears and disappears in the text without mention of his parentage, his priestly accession, or death. What was the nature of his priesthood? Since he worshiped the same God as Abram, how did Melchizedek also know of the Lord? And, as the king of “Salem” (= Jerusalem), which became the center of Israel’s political and religious life, what was the relationship of his priesthood and the royal house of David? These and related mysteries provided interpreters opportunities for speculation, producing even heretical views (e.g., Melchizedekians) about his identity and role and the significance of his name as well as his city’s name.186

From Qumran Cave Eleven, 11QMelch (or 11Q13) presents (ca. 100 b.c.–a.d. 100?) an eschatological exegesis of biblical texts in which Melchizedek is depicted as an angel or a superior heavenly being, perhaps the archangel Michael. Melchizedek as God’s instrument makes atonement for the righteous and exacts judgment upon the wicked (Belial).187 The majority of Jewish interpretations, however, maintained that he was a man but an especially anointed priest, even high priest before God Most High (Philo, Abr 235; Tgs. Onq., Neof.). Josephus asserted that he founded Jerusalem as its first king and priest (Ant. 1.10.2[180–81]; J.W. 6.437[6.10.1]). Philo too implied that Melchizedek possessed a unique priesthood having no antecedents (Leg. 3.25–26 [79–82]; Congr. 99). A significant variation from this tradition was the identification of “Salem” with the Samaritan city Shechem, meaning Melchizedek functioned as priest at the temple of Mount Gerizim (Pseudo-Eupolemus, Praeparatio Evangelica 9.17.5 [= OTP 880]; Jub. 30.1), perhaps a view that was related to the rendering of Gen 33:18 in the LXX (Syr., Vg.): “and Jacob came to Salem, a city of Shechem.”188

Jewish identification of the priest-king as Noah’s son, Shem, in the Palestinian targums of the Pentateuch (and rabbinics, e.g., b. Ned. 32b; Pirqe R. El. 8; Gen. Rab. 44.7) was the result of typical Jewish speculation on the paltry biblical evidence and traditions about Shem during the intertestamental period.189 This opinion is mentioned without comment by some Christian interpreters (Ephrem the Syrian, Epiphanius, and Jerome).190 According to the chronology of chap. 11, Shem would have been Abram’s contemporary, and Gen 9:26, “Blessed be the Lord, the God of Shem,” may have influenced this view as well. Melchizedek’s priesthood was subordinated to Abraham by the rabbis who contended that his priesthood was not perpetuated by his descendants, since he erred in blessing Abraham before he did God (b. Ned. 32b), understanding Ps 110:4 as addressed to Abraham: “You [Abraham] are a priest forever, according to the utterance [= Gen 14:19b–20a] of Melchizedek.” Alternatively, another rabbinic tradition explained that it was the name of God or Torah that Melchizedek passed on to the patriarch (Gen. Rab. 48.6–8). A rabbinic tradition related that Melchizedek transferred his priesthood to the patriarch, making Abraham a priest (Gen. Rab. 45.5; 55.6; b. Ned. 32b).

The church fathers too viewed Melchizedek as a man, though exceptions, such as Origen, can be found.191 For Justin Martyr (Dial. with Trypho 19:3–4; 33) and Tertullian (Adv. Jud. 2), it was significant that the origin of his priesthood was neither of circumcision (i.e., Gentile) nor of observance of Jewish law; the Levitical order as descendants of Abraham required circumcision. Christ’s priesthood, greater than that of the Zadokites, was a priesthood carried on by the church. Whereas the rabbis interpreted the bread and wine brought by the priest-king as symbolic of the temple shewbread and wine libations or, alternatively, of Torah (Gen. Rab.), the church fathers did not commonly view them as typological of Christian communion. Clement of Alexandria was one of the first to do so (Strom. 26).

Christian interpretation rests on Hebrews 5–7, which draws on Melchizedek as the point of contrast with the Levitical order. The writer to the Hebrews may well have assumed that his readers believed Melchizedek was the first priest and hence had no genealogical requirements.192 Psalm 110:4 was addressed by God to David’s “Lord” (v. 1), who was the Christ (Mark 12:35–37; Acts 2:34–36); hence, like that of Melchizedek, Jesus was appointed the head of a new order, having no predecessors (Heb 5:5–6, 10), since he like Melchizedek did not come from Levi’s succession. Melchizedek’s priesthood antedated that of Levi (7:10), and Jesus came from Judah, which possessed no priestly succession (7:11–17). The writer to the Hebrews emphasized the superiority of the priestly order of Jesus to Levi by observing the greater priesthood of Melchizedek in contrast to Levi. Whereas for Levi his divine appointment was not formalized by oath, the priesthood of Melchizedek was confirmed by divine oath (7:20–21). Melchizedek’s priesthood was perpetual (diēnekes) (7:3), for he had no priestly heritage and no successors (7:3); also Abraham, representing Levi, who resided in the patriarch’s loins, presented a tithe to Melchizedek and was blessed by the priest-king’s priesthood (7:1). Jesus too has an “eternal” (aiōna) priesthood (5:6; 6:20; 7:17, 21, 24, 28).193 Even the name of Melchizedek and his city implied, to the writer to the Hebrews, the superiority of the priest-king to that of Levi (7:2).

In returning to the Old Testament references to “Melchizedek,” there remains for us to consider the modern critical reconstruction of how the figure Melchizedek functioned in the religious and political life of monarchic Israel. The conventional thought is as follows: Gen 14:18–20 and Ps 110:4, written in the Davidic era, created Melchizedek, who as the priest-king of Jerusalemite origin legitimized the pre-Israelite (Jebusite) priesthood of Zadok and the kingship of David’s reign.194 According to this view, there existed a Jebusite lineage of priests at Jerusalem’s shrine to Canaanite El when David acquired the city; Zadok was the priest of the Jebusite cult whom David retained to assuage the new Canaanite populace in his realm. He joined with the priest Abiathar, who was clearly associated with Yahwism, as dual caretakers of the ark and its shrine. The biblical claims of an Aaronide heritage for Zadok are spurious (2 Sam 8:17; 1 Chr 6:1–8[5:27–34]; 6:50–53[35–38]; Ezra 7:2–5). The MT’s 2 Sam 8:17 (1 Chr 18:17) is a corruption of an original reading which leaves Zadok without a patrimony.195 The name “Zadok” is reminiscent of the two kings associated with Jerusalem before David’s time, Melchizedek (“My King is Zedek”) and Adoni-Zedek (“My Lord is Zedek,” Josh 10:1). Some scholars have proposed there was a cult deity at Jebus named Zedek (Ug. Ṣaduq).196 To bolster David’s claims on Jerusalem and its cult, “Zion theology” drew on Canaanite mythology of Zion as a holy site for the gods, making the city the epicenter of Israel’s religion. Zion as the abode of Yahweh was the chief sacred space in the new nation, and David’s lineage, whom the Lord elected (2 Sam 7:13–16; Pss 2:7; 89:26–27[27–28]; 110:1–3), was the legitimate line of rulers over Israel.197 Zadok was designated the head of a line of high priests by David. Jerusalem and the Davidic house then were inviolable. Together, the religious and political arms of the nation were joined in the royal city of David; he wedded this originally Canaanite ideology of sacral kingship devoted to the Canaanite deity El Elyon with the traditional tribal religion of Yahwism. In this view the oracles of Ps 110:1, 4 are addressed to David as a prophetic utterance announcing God’s decree. Psalm 110:4 and the Melchizedek appearance in Genesis made David’s priestly order have legitimacy, although not mentioned by Moses. Also his priesthood was historically related to the El worship at the new capital, Jerusalem.

This proposal of a Jebusite priesthood David appropriated and the syncretism of an emerging “Zion theology” based on Canaanite religious thought is unfounded.198 There is no certain evidence of a Jebusite lineage of priest-kings,199 and the idea of a “Zion theology” of Canaanite character in Israel cannot be demonstrated. The antecedent to Zion’s special place in Israel’s religion was the event of Sinai; the transition of Sinai’s covenantal significance to Jerusalem was affected by the entry of the ark under David’s auspices (2 Sam 6). The subsequent appointment of David’s house (2 Sam 7) completed the transition. But there was never an orthodox doctrine of inviolability attached to Jerusalem, evidenced by the requirement of Israel’s obedience to the Sinai covenant.200 Also David’s resistance to foreign religion makes it unlikely that he as a devout Yahwist would have accommodated a Canaanite cult. Hebron as Zadok’s origin rather than Jebusite Jerusalem better suits the historical setting of David’s rise from the south before his conquest of Jerusalem (1 Chr 12:28[29]).201 Last, it is curious that the Zadokites did not trace their line back to Melchizedek; in the face of the explanation for Zadok’s Aaronide heritage in biblical genealogy (2 Sam 8:17; 1 Chr 6:1–8[5:27–34]; 6:50–53[6:35–38]; Ezra 7:2–5),202 there is no compelling reason to rewrite monarchic history in such a sweeping way.

Moreover, there is ambiguous evidence regarding the nature of David’s priesthood. David’s kingship was sacral, that is, divinely appointed; but his designation as priest may not have been technically sacerdotal, authorizing him to carry out sacrifice. There was a consistent division between the offices of priest and king in orthodox Yahwism; it is wrong to assume that the kingship of David was of the same priestly character as the kings of the ancient Near East.203 He and his sons’ role may have been limited to the commissioning of sacrifice and the supervision of worship, such as in the transfer of the ark (2 Sam 6:12–18; also see 2 Sam 24:25) and the building of the temple (1 Chr 22:15; also 1 Kgs 5–7; 8:4–5, 62–64; 9:25).204 If sacrifice were practiced by David, it would have been justified by David as the successor to Melchizedek (Ps 110:4). But it is clear that the Davidic house did not operate typically as priests for the nation, which was limited to the tribe of Levi (Deut 10:8–9) whose Aaronic clan alone performed the exclusive rites of sacrifice at the central altar (e.g., Num 3:1–10; Exod 28:1, 41; 40:14–15; Lev 8:12; 16:32–34; Heb 5:1). The king was subject to the Mosaic law (Deut 17:17–20), which provided only for Aaronic priests; the kings of Israel who transgressed this provision were condemned (1 Sam 13:9–10; 14:33–35; 1 Kgs 12:31–33; 2 Kgs 16:12–18; 2 Chr 26:16–20).205 D. W. Rooke expresses the difference between David’s priesthood and the Aaronic priesthood also in terms of function but adds that David’s priesthood was “ontological,” that is, he was a priest in his being forever, as Son of God, not by virtue of priestly activity.206 This difference is further reflected by the writer to the Hebrews, “no one from that tribe [Judah] has ever served at the altar”; in other words there was no divine appointment for Judah in Moses. In particular from the time of David onward, the Zadokite lineage of Aaron held sole claim to the altar. Psalm 110:4 is best interpreted as a future ideal king in whom would reside the offices of both king and priest, a feature known elsewhere in the ancient Near East but not experienced by Israel’s kings207 until the illegitimate claims of the Hasmonean rulers (1 Mac 14:41).

Psalm 110:1, 4 is two oracles addressed to “my Lord” (ʾadōnî) that ultimately must be taken as referencing David’s “Lord,” not David himself by a court prophet as assumed by many commentators.208 Psalm 110 is oriented toward the future, ideal king who will be priest as well, a role David’s lineage could not fulfill until the coming of the Messiah, who unites the two functions. David’s “Lord” (ʾadōnî, “my Lord”) was the Messiah as understood by Jesus (Matt 22:41–46 pars.) and the apostles (Acts 2:34–35; 5:31; Rom 8:34; Heb 1:13; 10:12–13). If David is the recipient of the oracles, rather than the author of the psalm, then the argument of Jesus and his apostles founders.209 This is true as well of the second oracle, which was said to be directed to Jesus Christ in the argument of the writer to the Hebrews (5:5–6; 7:14–17). It makes no difference if Melchizedek in fact had predecessors or successors, for the writer to the Hebrews argues typologically, not actually, on the basis of the silence of Genesis regarding his heritage and succession (Heb 7:3).210 Chrysostom commented: “How you ask, is it possible for a person to have no father or mother, and lack beginning of days and end of life? You heard he [Melchizedek] was a type; well, neither marvel at this nor expect everything to be found in this type. You see, he would not be a type if he were likely to contain every feature that occurs in reality” (Homilies on Genesis 35.16).211 It is unnecessary for Melchizedek and Jesus to share in all traits; thus the ancient interpretation that Melchizedek was the preincarnate Christ is not required. Melchizedek is a copy of the heavenly priesthood of Jesus, “like [aphōmoiōmenos] the Son of God” (Heb 7:3), not Jesus a type of Melchizedek.212

185 Also Heb 5:6, 10; 6:20; 7:1, 10–11, 15, 17.

186 J. Kugel, The Bible As It Was (Cambridge: Belknap a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151–62. For the discussion of Melchizedek in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see D. Hay, Glory at the Right Hand: Psalm 110 in Early Christianity, SBLMS 18 (Nashville: Abingdon, 1973); F. Horton, The Melchizedek Tradition: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Sources to the Fifth Century a.d. and in the Epistle to the Hebrew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and M. McNamara, “Melchizedek Gen 14, 17–20 in the Targums, in Rabbinic and Early Christian Literature,” Bib 81 (2000): 1–31; and M. Astour, “Melchizedek (Person),” ABD 4.686.

187 G. Brooke, “Melchizedek (11QMelch),” ABD 4.687–88.

Ant. Antiquities, Josephus

J.W. Jewish War, Josephus

Leg. Legum allegoriae, Philo

Congr. De Congressu eruditionis gratia, Philo

OTP The Old Testament Pseudepigrapha, ed. J. H. Charlesworth

Jub. Jubilees

LXX Septuagint

Syr. Syriac

Vg. Vulgate

188 Kugel, The Bible As It Was, 160; M. Astour, “Salem,” ABD 5.905.

b. Babylonian Talmud

Ned. Nedarim

Pirqe R. El. Pirqe Rabbi Eliezer

Gen. Rab. Genesis Rabbah, ed. J. Neusner

189 R. Hayward, “ ‘Shem, Melchizedek, and Concern with Christianity in the Pentateuchal Targumism,” in Targumic and Cognate Studies: Essays in Honor of Martin McNamara, JSOTSup 230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6), 67–80.

190 McNamara, “Melchizedek,” 11–15.

b. Babylonian Talmud

Ned. Nedarim

Gen. Rab. Genesis Rabbah, ed. J. Neusner

Gen. Rab. Genesis Rabbah, ed. J. Neusner

b. Babylonian Talmud

Ned. Nedarim

191 Horton, Melchizedek, 88–89.

Dial. Dialogus cum Tryphone

Adv. Jud. Adversus Judaeos

Gen. Rab. Genesis Rabbah, ed. J. Neusner

Strom. Stromata

192 Ibid., 163; J. A. Fitzmyer creates theological havoc when he accepts too readily the ot critical opinion that the late insertion of vv. 18–20 omitted the original reference to Melchizedek’s origin and it was actually Melchizedek who paid the tithe to the superior Abram; when set in Gen 14, the reverse came to be understood, and it was from this misunderstanding that the writer to the Hebrews built his argument (“Melchizedek in the MT, LXX, and the nt,” Bib 81 [2000]: 63–69).

193 Horton observes that the use of διηνεκές (7:3) for Melchizedek’s “perpetual” order may be intentional so as to distinguish the “eternal” (αἰῶνα) priesthood of Jesus (although the former term is used as a synonym in Heb 10:14, referring to Jesus’ eternal sacrifice) (Melchizedek, 161–62).

194 The best known proponent is H. H. Rowley, “Zadok and Nehushtan,” JBL 58 (1939): 113–41, and “Melchizedek and Zadok (Gen 14 and Ps 110),” in Festschrift, Alfred Bartholet zum 80 Geburtstag (Tübingen: Mohr, 1950), 161–72; also see others in G. Ramsey, “Zadok,” ABD 6.1034–36.

MT Masoretic Text

195 Reading instead “Zadok and Abiathar, son of Ahimelech, son of Ahitub were priests”; this reconstruction relies on 1 Sam 22:20; 23:6; 30:7 and assumes there was one Ahitub, not two men of the same name. See M. Rehm, “Levites and Priests,” ABD 4.305–6.

Ug. Ugaritic

196 E.g., Rowley, “Zadok and Nehushtan,” 130–31; and D. Schley, “Adoni-Zedek,” ABD 1.75.

197 J. Levenson, “Zion Traditions,” ABD 6.1098–1102.

198 See also the critique of this interpretation by F. M. Cross,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3).

199 Horton, Melchizedek, 39–45.

200 G. McConville, “Jerusalem in the Old Testament,” in Jerusalem Past and Present in the Purposes of God (Cambridge: Tyndale House, 1992), 21–51, esp. 25–27.

201 J. Day assumes the syncretism of Canaanite El and David’s religion, but he argues against a Jebusite setting for Zadok and proposes Hebron (“The Canaanite Inheritance of the Israelite Monarchy,” in King and Messiah in Israel and the Ancient Near East, JSOTSup 270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8], 75–78).

202 E. Carpenter, “Zadok,” ISBE 4.1169–70.

203 H. L. Ellison, The Centrality of the Messianic Idea for the Old Testament (London: Tyndale, 1953), 9–11; M. J. Paul, “The Order of Melchizedek (Ps 110:4 and Heb 7:3),” WTJ 49 (1987): 195–211; “Melchizedek,” NIDOTTE 4.934–36.

204 See the disputed passage 2 Sam 8:18 regarding David’s sons as “priests” (כֹּהֲנִים) or “royal advisors” (NIV) in R. Bergen, 1, 2 Samuel, NAC (Nashville: Broadman & Holman, 1996), 252–53.

205 The difficult passage Zech 6:13 has been wrongly interpreted as combining the royal and priestly functions in the priest Joshua; the language “between the two” (v. 13b) and the chiastic structure argues for two distinct persons, Zerubbabel and Joshua, of Zech 4:11, 14. See E. Merrill, Haggai, Zechariah, Malachi (Chicago: Moody, 1994), 198–99.

206 D. W. Rooke, “Kingship as Priesthoo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Priest and the Monarchy,” in King and Messiah in Israel and the Ancient Near East, 187–208.

207 F. F. Bruce, The Epistle to the Hebrews, NICNT (Grand Rapids: Eerdmans, 1964), 96, n.33.

208 E.g., A. A. Andersen, The Book of Psalms, Psalms 73–150, NCBC (Grand Rapids: Eerdmans, 1972), 2.767; L. C. Allen, Psalms 101–150, WBC (Waco: Word, 1983), 86–87.

209 D. Bock, Luke 9:51–24:53, BECNT (Grand Rapids: Baker, 1996), 1635–36.

210 M. J. Paul contends that Heb 7:3 argues, not from the silence of Gen 14 but on the basis that Melchizedek’s parents were not the required ones for priestly heritage, even as the Jews did not count a Gentile to have a father, i.e., a legal father.

211 ACCS 2.26.

212 Bruce, Hebrews, 138; also “pattern/copy” (ὑπόδειγμα), Heb 8:5; 9:23.

 K. A. Mathews, Genesis 11:27–50:26, vol. 1B,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5), 151–156.

 

728x90

14 In the days of Amraphel king of vShinar, Arioch king of Ellasar, Chedorlaomer king of wElam, and Tidal king of Goiim, these kings made war with xBera king of Sodom, Birsha king of Gomorrah, Shinab king of yAdmah, Shemeber king of yZeboiim, and the king of Bela (that is, Zoar). And all these joined forces in the Valley of Siddim (zthat is, the Salt Sea). Twelve years they had served Chedorlaomer, but in the thirteenth year they rebelled. In the fourteenth year Chedorlaomer and the kings who were with him came and defeated the aRephaim in bAshteroth-karnaim, the cZuzim in Ham, the dEmim in Shaveh-kiriathaim, and the eHorites in their hill country of Seir as far as fEl-paran on the border of the wilderness. Then they turned back and came to En-mishpat (that is, gKadesh) and defeated all the country of the Amalekites, and also the Amorites who were dwelling hin Hazazon-tamar.

Then the king of Sodom, the king of Gomorrah, the king of Admah, the king of Zeboiim, and the king of Bela (that is, Zoar) went out, and they joined battle in the Valley of Siddim with Chedorlaomer king of Elam, Tidal king of Goiim, Amraphel king of Shinar, and Arioch king of Ellasar, four kings against five. 10 Now the Valley of Siddim was full of ibitumen pits, and as the kings of Sodom and Gomorrah fled, some fell into them, and the rest fled jto the hill country. 11 So the enemy took kall the possessions of Sodom and Gomorrah, and all their provisions, and went their way. 12 They also took Lot, lthe son of Abram’s brother, mwho was dwelling in Sodom, and his possessions, and went their way.

13 Then one who had escaped came and told Abram the Hebrew, nwho was living by the ooaks1 of Mamre the Amorite, brother of Eshcol and of Aner. These were allies of Abram. 14 When Abram heard that his kinsman had been taken captive, he led forth his trained men, pborn in his house, 318 of them, and went in pursuit as far as qDan. 15 And he divided his forces against them by night, he and his servants, and defeated them and pursued them to Hobah, north of Damascus. 16 Then he brought back all the possessions, and also brought back his kinsman Lot rwith his possessions, and the women and the people.

v ch. 10:10; 11:2

w ch. 10:22; Isa. 11:11; Acts 2:9

x ver. 8; ch. 13:10; 19:22

y Deut. 29:23

y Deut. 29:23

z Num. 34:12; Deut. 3:17; Josh. 3:16

a ch. 15:20; Deut. 2:11; 3:11

b Deut. 1:4

c [Deut. 2:20]

d Deut. 2:10, 11

e Deut. 2:12, 22

f [ch. 21:21; Num. 12:16; 13:3]

g ch. 16:14; 20:1; Num. 13:26

h 2 Chr. 20:2

i ch. 11:3; Ex. 2:3

j ch. 19:17, 30

k ver. 16, 21

l ch. 12:5

m ch. 13:12

n ch. 13:18

o ch. 12:6

1 Or terebinths

p ch. 15:3; 17:12, 13, 23, 27; Eccles. 2:7

q Judg. 18:29

r ver. 11, 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Ge 14:1–16.

 

 

1-2절) 가나안의 다섯 지역의 왕들이 자신들을 압제하던 메소포타미아의 네 왕들 배반한다. 고대 근동에서 이러한 정치적인 연합은 아주 흔한일로 자주 이루어졌다. 당시의 지역이 지금의 지역과 정확히 같지는 않지만 시날은 메소포타미아 남부 평야지역으로 예전에 수메르로 이후에 바벨론과 연관이 된 지역이다. 엘라살은 앗시리아를 지칭하는 말로 볼 수 있는데 아리옥이라는 왕의 이름은 고대 도시들인 마리와 누지의 문서들에 등장한다. 이는 엘라살이 메소포타미아 북부에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엘람은 이 당시 카스피해에서 페르시아만에 이르는 메소포타미아 동쪽을 포함하는 지방으로 현대의 이란을 가리키는 통상적인 이름이다. 고임은 오늘날 터키 동부에 위치했던 헷 족속과 연관짓는다. 소알은 여리고 골짜기 남쪽 끝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메소포타미아의 네 왕들 : 1) 시날왕 아므라벨, 2) 엘라살 왕 아리옥, 3) 엘람 왕 그돌라오멜, 4) 고임왕 디달

 

가나안의 다섯 지역의 왕들 : 1) 소돔왕 베라, 2) 고모라왕 비르사, 3) 아드마왕 시납, 4) 스보임 왕 세메벨, 5) 소알왕 벨라

 

3-4절) 가나안의 다섯 지역은 염해, 사해 아래에 위치한 싯딤 골짜기에 모였다. 이들은 12년 동안 그돌라오멜을 섬기다가 13년에 배반하였다. 본문에 사용된 섬기다와 배반하다라는 단어는 구약 당시 나라들 간의 정치적인 관계를 묘사할때 자주 사용되었다. 

The relationship of the five vassal kings toElam is described through the successive use of the verbs ʿāḇaḏ and māraḏ. Both verbs are used frequently in the OT to describe political relationships between nations. The first one means “to be subject to” a sovereign. The second one means to “refuse allegiance to, rise up against” a sovereign.20 By natural extension both verbs were also used to describe Israel’s relationship to God (ʿāḇāḏ: Exod. 3:12; 4:23; 7:16; 8:1, etc.; māraḏ: Num. 14:9; Josh. 22:16, 18, 29, etc.).

20 See M. Greenberg, Ezekiel 1–20, AB (Garden City, NY: Doubleday, 1983), p. 63.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0), 402.

 

5-7절) 이들의 반역, 배반을 진압하기 위해서 제14년에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메소포타미아의 네 왕들이 군대를 모아 그들을 진압하기 위해서 내려오며 그 지역의 여러 족속들을 친며 자신들의 군사적인 힘을 과시한다. 이 정복의 여정은 왕의 대로라고 알려진 길을 따라 북에서 남으로 내려온다. 지도를 통해서 보이는 것처럼 그들은 지도의 윗쪽 다메섹에서 진군하여 아스다롯 가르나임에서 르바 족속을, 함에서 수스 족속을, 사웨 기랴다임에서 엠 족속을 치고 더 내려와서 세일 산에서 호리 족속을 치고 엘바란까지 내려왔다가 다시 돌이켜서 가데스 바네아(엔미스밧)에서 아말렉 족속을 또한 하사손다말에서 아모리 족속을 쳤다. 

 

8-12절) 이제 4왕의 연합군과 5왕의 연합군이 싯딤 골짜기에서 진을 치고 전쟁을 벌인다. 하지만 사해 인근에 위치한 5왕은 이들의 상대가 되지 못한다. 이들은 역청 구동이가 많은 싯딤 골짜기에서 싸우다가 거기에 빠지고 도망하게 되었고 네 왕의 연합군은 소돔과 고모라의 모든 재물과 양식을 빼앗아 갔는데 이때 소돔에 거주하던 롯도 사로잡혀 가게 되었다. 

10절에 역청 구덩이가 등장하는데 이는 실제로 사해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구덩이로 번역된 단어는 구약에서 우물을 가리키는데 사용된 단어로 일반적으로 땅을 파낸 지점을 가리키는데 이런 구동이들이 왕들에게 도피처가 되었다. 그래서 왕들이 구덩이에 빠졌다라고 볼 수도 있고 그 구덩이들을 은신처로 사용했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13-16절) 이 전투중에 도망한 자가 와서 히브리 사람 아브람에게 롯이 잡혀갔음을 알리게 된다. 성경에서 히브리 사람이라는 표현이 여기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렇게 ‘히브리’라는 호칭은 외국인들에 대해 아브람이나 그 가족을 구별하여 말할 때 사용된다. 이처럼 이 ‘히브리 사람’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건너편, 저쪽에서 건너온 사람’이라는 의미와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어떤 이들은 ‘히브리’라는 말이 민족을 가리키는 호칭이 아니라 많은 고대 본문에 등장하는 ‘하비루’로 알려진 사회 계층, 즉 전형적인 소외민들을 가리키는 호칭으로 여긴다. 

당시 아브람은 사해 서편 마므레(헤브론 인근)에 거주하고 있었다. 아브람은 즉시 집에서 길리고 훈련된 318명을 거느리고 단까지 쫓아가서 연합국 왕들과 싸워서 밤에 그들을 무찌르고 다메섹 왼편 호바까지 쫓아가 모든 빼앗겼던 재물과 조카 롯과 그의 재물과 부녀와 친척을 찾아왔다. 

318명의 군사로 수많은 연합군을 무찌르는 것이 가능했을까? 기드온은 300명의 군사로 10만명이 넘는 군대를 물리쳤다. 318은 호머의 일리어드에 기록된 4일간의 전투에서 죽어간 사람들의 숫자이다. 또한 아브람의 종 엘리에셀에 사용되는 히브리어 자음의 숫자를 더하면 318이며, 7에서 72사이의 12개의 소수의 합(7, 11, 13, 17, 19, 23, 29, 31, 37, 41, 43, 47)이 318이기도 하다. 이렇게 구체적인 숫자를 밝힌 이유는 세부적인 사실을 밝힘으로 이것이 역사적 사실임을 강조하는 것이도 또한 연합군의 숫자에 비해 아브람의 군대의 숫자가 보잘것 없는 숫자임을 강조하여 하나님께서 도우신 전쟁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아브람의 승리는 그의 능력이나 군대의 많음에서 온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도우심과 축복의 결과였기에 그는 돌아오는 길에 만난 멜기세덱에게 십일조를 바치게 된다

본래 단이라는 지역의 이름은 라이스 였는데 삿 18:29에서 이름이 단으로 바뀌게 된다. 이곳은 실제로 많은 발굴 작업이 진행되어 중기 청동 시대 많은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Abram is informed, through an unidentified source (like the unidentified Amalekite of 2 Sam. 1), that Lot has been captured. The narrator unexpectedly refers to Abram here as the Hebrew, and this is the only time he is so designated. Why in this one instance is this particular title applied to him? Elsewhere he interacts with peoples living outside the land of Palestine (e.g., chs. 12 and 20), and yet this designation is not used in those contexts.

The similarity between Hebrew and Habiru (also spelled Hapiru or ʿApiru) has led some scholars to connect these two peoples.1 The Habiru appear in Near Eastern texts from the 20th to the 11th centuries b.c. They were a settled people rather than a nomadic or desert population, and comprised heterogeneous racial elements. They had great mobility, and consequently they were regarded as outsiders wherever they settled. They were often fugitives, uprooted and propertyless. In times of disorganization they played a large part as auxiliary soldiers in petty wars between rulers and towns. With the establishment of a relatively stable society at the end of the 2nd millennium b.c., they sank into insignificance and eventually disappeared. On account of their militaristic exploits, commentators have raised the question whether it is accidental that in the one place where Abram engages in military activity he is styled as a “Hebrew” (Habiru?).

More and more scholars are rejecting an equation of “Hebrew” and “Habiru” on both historical and philological grounds (the development of ḫapir or ʿapir to ʿibr is without parallel, and the variation between p and b is unlikely in the light of Ugaritic evidence to the effect that ʿapiru was the Northwest Semitic original).2 To connect ʿapir and ʿibr calls for a most unlikely dual transformation that is both consonantal (p → b) and vocalic (a → i).

What, then, shall we do with the term Hebrew here and elsewhere in the OT? It occurs thirty-three times in the OT. With the exception of Gen. 14:13 and Jon. 1:9, these references fall into three groups: (1) the time of Joseph and Moses while the Israelites are in Egypt; (2) Saul’s wars against the Philistines; (3) the laws dealing with the emancipation of the “Hebrew” slave (Exod. 21:2–6; Deut. 15:12–18; Jer. 34:9, 14). This term is frequently used by a non-Israelite when speaking to or about an Israelite (an Egyptian speaking, 5 times: Gen. 39:14, 17; 41:12; Exod. 1:16; 2:6; a Philistine speaking, 5 times: 1 Sam. 4:6, 9; 13:19; 14:11; 29:3). Conversely, eight times the term is used by an editor (or by an Israelite himself) to distinguish an Israelite from a foreigner (Gen. 40:15; 43:32; Exod. 1:15; 2:11, 13; 1 Sam. 13:3, 7 [?]; 14:21).3 Clearly, then, the word Hebrew is used primarily as an ethnic term in the OT.

There seems to be no good reason to depart from this understanding of Hebrew in Gen. 14:13. Accordingly, Heb. ʿiḇrî is the gentilic of ʿē ḇer, and here it distinguishes Abram from other residents already living in Canaan.4 He is a descendant of Eber of the line of Shem.

1 For a specific connection see W. F. Albright, “Abram the Hebrew: A New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BASOR 163 (1961) 36–54, esp. pp. 52–54. For basic studies on the Habiru see M. Greenberg, The Ḫab/pirû, AOS 39 (New Haven: American Oriental Society, 1955); M. G. Kline, “The ḪA-BI-RU—Kin or Foe of Israel?” WTJ 19 (1956–57) 1–24, 170–84; 20 (1957) 47–70; M. C. Astour, “Habiru,” IDBS, pp. 382–85; B. J. Beitzel, “Habiru,” ISBE, 2:586–90.

2 See, e.g., Astour, IDBS, p. 384; Beitzel, ISBE, 2:589.

3 See R. de Vaux, The Early History of Israel, pp. 209–16; M. Weippert, The Settlement of the Israelite Tribes in Palestine, SBT 2/21 (Naperville: Allenson, 1971), pp. 84–98; P. K. McCarter, Jr., I Samuel, AB (Garden City, NY: Doubleday, 1980), pp. 240–41.

4 The view that ʿiḇrî in Gen. 14:13 is an appellative is as ancient as LXX, which has perátē, “the one from across” (cf. Josh. 24:3), based on the Hebrew verb ʿā ḇar, “to pass, cross.” Only here and in Jon. 1:9 (Doúlos kyríou) does the LXX render ʿiḇrî with something other than Hebraios.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0), 404–405.

 

본문은 아브람과 롯이 갈라서고 나서의 첫 기록이다. 본문에서 아브람은 납치당한 조카 롯을 연합군으로부터 구출한 용사로 묘사하고 있다. 본문을 통해서 과거 애굽에서 두려워 자신의 아내를 누이라고 속였던 아브람이 위대한 용사로 변모했음을 또한 비록 서로 나뉘었지만 가족을 사랑하는 자상하고 용감한 사람임을 부각시키고 있다. 적은 숫자의 군대로 연합군을 물리친 사건을 통해서 다시금 하나님의 보호하심과 축복이 아브람과 함께 함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을 축복하셨는데(12:3) 그를 축복하는 자에게 복을 내리고 그를 저주하는 자에게 저주를 내릴 것을 약속하셨는데 이것이 이루어진것이다. 

 

 

 

728x90

14 The Lord said to Abram, after Lot had separated from him, “Lift up your eyes and look from the place where you are, onorthward and southward and eastward and westward, 15 for all the land that you see I will give pto you and qto your offspring forever. 16 rI will make your offspring as the dust of the earth, so that if one can count the dust of the earth, your offspring also can be counted. 17 Arise, walk through the length and the breadth of the land, for I will give it to you.” 18 So Abram moved his tent and came and ssettled by the toaks2 of Mamre, which uare at Hebron, and there he built an altar to the Lord.

o ch. 28:14

p ch. 17:8; 28:13; 35:12; Acts 7:5

q ch. 12:7; 15:18; 24:7; 26:4; Deut. 34:4; 2 Chr. 20:7

r ch. 22:17; 28:14; 32:12; Num. 23:10; [1 Kgs. 3:8]; See ch. 15:5

s ch. 14:13

t ch. 12:6

2 Or terebinths

u ch. 35:27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3:14–18.

 

14 ◎롯이 아브람을 떠난 후에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 너는 눈을 들어 너 있는 곳에서 북쪽과 남쪽 그리고 동쪽과 서쪽을 바라보라

15 보이는 땅을 내가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니 영원히 이르리라

16 내가 네 자손이 땅의 티끌 같게 하리니 사람이 땅의 티끌을 능히 셀 수 있을진대 네 자손도 세리라

17 너는 일어나 그 땅을 종과 횡으로 두루 다녀 보라 내가 그것을 네게 주리라

18 이에 아브람이 장막을 옮겨 헤브론에 있는 마므레 상수리 수풀에 이르러 거주하며 거기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았더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창 13:14–18.

 

 

본문은 롯이 아브람을 떠난후에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셔서 말씀하시는 내용이고 이 명령을 듣고 순종하는 모습을 다룬다. 이때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에게 매우 젠틀하게 말씀하신다. 하나님께서 사람과 대화하시면서 이러한 please에 해당하는 표현을 사용하신 것은 구약에 4번 등장한다(창 15:5; 22:2; 출 11:2). 하나님께서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실 때 인간의 이해력과 사고력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을 요구하신다. 1) 아브람처럼 나이 많은 사람에게 아들이 태어날 것을 말씀하실 때(15:5), 2) 독생자를 제물로 바치라고 요구하실 때(22:2), 3) 애굽를 탈출하는 이스라엘 백성들로 하여금 애굽 사람들에게 금은 보화를 구하라 하실때이다. 지금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에게 말도 안되는 일, 지금 자녀가 없는 너의 자손이 땅의 티끌처럼 많아질 것이다라고 말씀하고 계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의 눈에 보이는 사방의 모든 땅이 언젠가는 너의 소유가 될 것이다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눈을 들어 너가 있는 곳에서 동서남북을 바라보라. 보이는 땅을 내가 너와 네 자손에게 주겠다. 네 자손이 땅의 티끌과 같이 많아 질 것이다. 너는 일어나 그 땅을 종과 횡으로 두루 다니라. 그러면 그 땅은 네게 줄 것이다.'

 

롯은 여리고와 요단 계곡으로 가는 길을 선택하여 사해 동편을 타고 남쪽으로 이동하여 소돔과 고모라에 이르게 된다. 한편 아브람은 예루살렘과 베들레헴을 지나 네게브로 들어가는 길을 택함으로 헤브론까지 남하한다. 헤브론은 유대 산악 지방(해발 1000미터)에 위치해 예루살렘에서 남동쪽으로 30킬로미터, 브엘세바에서 북동쪽으로 37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다. 동쪽의 라기스와 북쪽으로 예루살렘으로 이어지는 고대 지리적인 요충지였다. 

 

16절) 현재 자녀가 없는 아브람에게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의 자손이 땅의 티끌과 같이 많게, 번성하게 하겠다라고 말씀하신다. 하나님께서는 이렇게 아브람에게 자녀를 번성케 하시겠다라고 약속하시면서 세가지 비유를 사용하신다. 첫번째 비유가 바로 본문의 땅의 티끌(먼지)이고 두번째가 하늘의 별(15:5), 세번째가 바다의 모래(22:17)이다. 

그를 이끌고 밖으로 나가 이르시되 하늘을 우러러 뭇별을 셀 수 있나 보라 또 그에게 이르시되 네 자손이 이와 같으리라” (창세기 15:5, NKRV)

내가 네게 큰 복을 주고 네 씨가 크게 번성하여 하늘의 별과 같고 바닷가의 모래와 같게 하리니 네 씨가 그 대적의 성문을 차지하리라” (창세기 22:17, NKRV)

 

18절) 하나님의 약속을 받은 아브람은 이에 장막을 옮겨 헤브론에 위치한 마므레 상수리 나무들이 있는 곳에 정착하여서 그곳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았다. 이 제단은 앞서 12:7-8에서 언급된 제단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했다. 

첫번째 제단은 모레 상수리나무가 있는 세겜(12:6-7)이었다. 두번째 제단은 벧엘과 아이 사이였다.(12:8, 13:3-4) 세번째 제단은 헤브론의 마므레로 헤브론은 ‘교제, 친교, 우정’을 의미한다.(13:18) 

아브람은 이렇게 세번에 걸쳐서 제단을 쌓았는데 이곳들은 헤브론 인근에 위치하였고 이 지역은 이후 이스라엘와 유다 왕국의 중심지가 된다. 

The one built by Abraham near Hebron was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ose mentioned in 12:6–8. All three altars were constructed in what would later be the central regions of the kingdoms of Israel and Judah.

 D. A. Carson, ed.,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46.

 

당시 족장들이 살았던 시기는 청동기 중기(주전 2000-1500년경)으로 이 근처에 많은 사람들이 살았고 헤브론의 넓이는 2400~2800제곱미터에 해당하는 넓은 지역으로 견고하게 요새화되었고 몇몇 공공건물이 세워져 있었다. 당시의 유물로 추정되는 상형문자 토판이 이 지역에서 발견되어서 헤브론이 당대의 가나안 왕국의 주요 도시였다고 알려졌다. 이 헤브론은 기럇 아르바(23:2)로 알려져있다. 

Abram relocates to near Hebron (also known as Kiriath-arba; see 23:2), setting up his tent by the oaks of Mamre. Since one of Abram’s allies is “Mamre the Amorite” (14:13), the oaks are probably named after him (see note on 12:6). altar. See note on 12:7. During the Middle Bronze Age (c. 2000–1500 b.c.), when the patriarchs lived, Hebron was, for its day, a major settlement in the Judean hills. It covered between six and seven acres, was heavily fortified, and contained some large public buildings. A cuneiform tablet discovered there from this time period indicates that Hebron was a capital city of a Canaanite kingdom.

c. about, approximately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4.

 

 

아브람의 생애를 살펴보면 그가 위기를 맞을 때마다 하나님께서 나타나셔서 약속을 확인하시거나 언약을 맺으시는 것을 알 수 았다. 아버지 데라가 아브람과 함께 가나안으로 가고자 길을 떠났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하란에 머물게 되어 계획이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 하나님께서 그를 찾아와 약속을 주시며 길을 떠나라고 하셨다(12:1-3). 본문에서는 아브람이 롯과 작별한 후 허탈해하고 있을 때 하나님께서 그를 찾아와 땅과 자손을 주실 것을 확인해 주신다. 훗날 하나님의 약속이 지연되는 듯해서 아브람이 불안해하고 있을 때에도 하나님께서는 그를 찾아와 언약을 맺으신다(15: 1-5). 이스마엘이 태어난 직후, 그를 언약의 아들로 생각해야 한다는 상실감이 임할 만한 때에 할례를 언약의 증표로 주셨다(17:1 -10).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모리아 산에서 이삭을 바치려고 한 후 숨을 고르고 있을 때에도 그에게 언약을 확인해 주셨다(22:16-18). 이처럼 아브람이 위기를 맞이할 때마다 하나님께서는 언약을 확인하거나 새로운 약속을 주시는 일로 그를 격려하셨다.(엑스포지멘터리 창세기 278-9) 

 

롯과의 헤어짐은 아브람에게 상실감을 느끼게 했을 것이다. 부모를 잃은 롯의 보호자로 오랜 기간 함께 중요한 여정을 동행했다가 이제 그와 헤어지고 상실감을 느끼는 아브람에게 하나님께서는 다시금 축복을 확인하신다. 하지만 그 시기에 그에게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약속은 공수표처럼 보일 수도 있었다. 자녀를 약속하셨지만 그는 자녀가 없었고, 땅을 약속하셨지만 그는 떠돌아다니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속에서 그는 헤브론에서 여호와를 위해 제단을 쌓았다. 하나님의 약속을 믿은 것이다. 이후 이삭과 야곱으로 이어지는 후손들속에서 그 약속이 면면히 이어졌고 수백년이 지나서야 그 약속이 성취되었지만 그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믿고 하나님께 감사의 제사를 드리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인생도 마찬가지이다. 내 눈앞에 지금 내가 간절히 원하는 것들이 성취되기를 원하지만 하나님의 약속은 요원해 보이는 그 상황속에서 보이지 않는 것을 이루실 것으로 믿는 믿음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다. 

 

 

 

728x90

Then Abram said to Lot, g“Let there be no strife between you and me, and between your herdsmen and my herdsmen, hfor we are kinsmen.1 iIs not the whole land before you? Separate yourself from me. If you take the left hand, then I will go to the right, or if you take the right hand, then I will go to the left.” 10 And Lot lifted up his eyes and saw that the jJordan Valley was well watered everywhere like kthe garden of the Lord, like the land of Egypt, in the direction of lZoar. (This was before the Lord mdestroyed Sodom and Gomorrah.) 11 So Lot chose for himself all the Jordan Valley, and Lot journeyed east. Thus they separated from each other. 12 Abram settled in the land of Canaan, while Lot settled among the cities of the valley and moved his tent as far as Sodom. 13 Now the men of Sodom nwere wicked, great sinners against the Lord.

g [1 Cor. 6:1–8]

h [Acts 7:26]

1 Hebrew we are men, brothers

i ch. 20:15; 34:10

j ch. 19:17, 25, 28; Deut. 34:3; 1 Kgs. 7:46; [Matt. 3:5]

k ch. 2:8; Isa. 51:3; Ezek. 28:13; Joel 2:3

l ch. 14:2, 8; 19:22

m ch. 19:24, 25

n ch. 18:20; Ezek. 16:49; 2 Pet. 2:7, 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Ge 13:8–13.

 

 

아브람과 롯의 일행은 지금 벧엘과 아이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이들이 사는 지역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요단 지역을 바라볼 수 있는 요단 골짜기 주변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앞서 7절에서 말한 것처럼 그곳에는 이미 가나안 사람과 브리스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아브람과 롯의 가축이 많아지면서 서로 물과 풀을 얻기 위한 다툼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8-9절) 이에 아브람이 롯에게 우리가 한 친족(형제)인데 서로 다투는 것이 옳지 않기에 땅을 선택할 것을 제안한다. 아브람은 네가 좌를 선택하면 나는 우를, 네가 우를 선택하면 좌를 선택하겠다라고 말한다. 

 

10-11절) 결국 아브람의 제안에 대해서 롯은 물이 넉넉한 소알 땅을 선택한다. 멸망전의 소돔과 고모라는 마치 여호와의 동산, 에덴과 같았고 애굽땅과 같았다. 롯이 이 지역을 선택한 이유는 이전에 가뭄으로 인해 극심한 기근(12:10)을 당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땅은 멸망으로 폐허가 되기 전에는 풍요로운 동산과 같았다. 에덴 동산은 물이 풍성했고(2:10) 애굽 또한 나일강으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인해서 주변 지역에 비해서 가뭄의 피해를 덜 받는 지역이었다. 

(창 2:10, 개정) 『강이 에덴에서 흘러 나와 동산을 적시고 거기서부터 갈라져 네 근원이 되었으니』

에덴으로 부터 발원한 강이 있는 지역이었다. 결국 롯은 요단 지역을 선택하여 동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아브람과 롯의 목자들은 서로 갈라서게 되었다. 

오늘날 사해 지역은 좋은 환경이 아니지만 당시는 전혀 다른 환경을 보이고 있었다. 

the Jordan Valley was well watered everywhere. Lot’s experience with the effects of famine (12:10, probably from drought) makes his choice of the fertile Jordan Valley understandable. like the garden of the Lord. A reference to the garden of Eden, which was also well watered (see 2:10). This description of the Jordan Valley predates the destruction of Sodom and Gomorrah, which may have adversely affected the suitability of this area for flocks and herds. The precise location of these cities is unknown; one possibility is the plain southeast of the Dead Sea.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4.

 

12-13절) 이에 아브람은 가나안 땅에 거주하였고 롯은 지역의 도시들에 머물렀고 나아가 그의 텐트를 소돔으로 옮겼다. 그런데 문제는 소돔 사람은 여호와께 대적하는 악하고 큰 죄인들이었다. 

12절은 짧지만 우리에게 아브람과 롯의 삶의 방식이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브람은 가나안 땅에 거주하며 여전히 목자로서의 삶을 살았다면 롯은 그 지역의 도시들을 옮겨다니다가 결국 소돔에 정착하였다. 이는 그가 유목의 생활을 포기하고 도시의 삶의 선택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그 도시의 사람들이 여호와께 대적하는 악한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Lot’s decision to settle among the cities of the valley brings him into the vicinity of Sodom. Lot is later found living in the city (see 14:12; 19:3–11), having abandoned his tent-dwelling lifestyle. After parting company from Abram, Lot now resides close to a city whose population is described as wicked, great sinners against the Lord. Cf. chs. 18–19.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4.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입을까? 어디로 여행을 갈까? 어디로 이사를 할까? 어떤 일을 해야할까? 어떤 사람을 만나야 할까?말이다. 

지금 아브람과 롯은 여정을 함께 해왔다. 갈대아 우르를 떠나 하란, 벧엘을 거쳐 애굽에 머물다 다시 벧엘 근처 요단 골짜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롯은 아브람과의 여정을 함께 하면서 점점 부유해졌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점점 가축들과 함께 하는 가족들이 많아지면서 한 지역에 함께 사는 것이 문제가 된 것이다. 날마다 목자들의 다툼이 심해졌다. 양떼들에게 물을 먹이고 풀을 뜯게 할때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서 서로 먹이겠다고 싸움이 시작된 것이다. 이에 아브람이 롯에게 제안을 한다. 네가 원하는 곳을 먼저 선택하라고… 

결국 롯은 눈을 들어 볼때 자신의 눈에 좋아 보이는 곳을 선택한다. 이전에 자신이 경험했던 가뭄으로 인한 기근의 트라우마로 인해서 물이 많은 지역, 에덴과 같고 애굽과 같이 좋아보이는 곳을 선택한 것이다. 결국 이 선택이 이들의 운명을 갈랐다. 롯은 매력적인 세상의 부귀 영화를 선택했고 아브람은 지금은 별볼일 없어 보이는 하나님의 약속을 선택했다. 본문은 우리에게 소돔의 속성을 말해준다. 그곳은 물이 많고 낙원과 같아 보이지만 그곳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곳이었다.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곳에서의 삶이 우리의 욕망을 채우기에는 너무나도 좋은 곳이지만 결국 그곳에서 그곳의 삶을 선택하게 될 때 우리들 도한 하나님을 대적하는 삶에 동화될 것이라는 것을… 

 

 

 

 

 

 

728x90

So Abram went up from Egypt, he and his wife and all that he had, and Lot with him, ainto the Negeb.

bNow Abram was very rich in livestock, in silver, and in gold. And he journeyed on from the Negeb as far as Bethel to the place where his tent had been at the beginning, between Bethel and Ai, to cthe place where he had made an altar at the first. And there Abram called upon the name of the Lord. And Lot, who went with Abram, also had flocks and herds and tents, so that dthe land could not support both of them dwelling together; for their possessions were so great that they could not dwell together, eand there was strife between the herdsmen of Abram’s livestock and the herdsmen of Lot’s livestock. At that time fthe Canaanites and the Perizzites were dwelling in the land.

a ch. 12:9

b ch. 24:35; [Ps. 112:1–3; Prov. 10:22]

c ch. 12:7, 8

d ch. 36:6, 7

e ch. 26:20

f ch. 12:6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Ge 13:1–7.

 

 

앞서 아브람은 애굽에서 바로의 도움으로 많은 양과 소와 나귀와 낙타, 노비들을 얻었다.(16절) 그런데 이후 자신의 아내 사래를 누이라고 속인 것이 들통나서 애굽에서 쫓겨났다. 그런데 바로가 아브람의 아내 사래와 그의 모든 소유를 빼앗지 않고 보내주었다. 13장의 여정을 그렇게 애굽에서 나와서 다시 벧엘로 이동하는 여정이다. 

 

1-2절) 아브람이 애굽에서 그의 아내 사래와 모든 소유와 롯과 함께 네게브로 올라갔고 그에게 가축과 은과 금이 풍부하였다. 앞서 12장 16절의 언급처럼 애굽에서 많은 가축과 부를 모을 수 있었고 이를 가지고 나와 다시 북쪽으로 이동하는 중이었다. 

 

3-4절) 애굽-네게브-벧엘과 아이 사이, 이렇게 다시 처음 장막을 쳤던 곳에 이르러서 그곳에서 다시 제단을 쌓고 거기서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다.(12:8)  

(창 12:6, 개정) 『아브람이 그 땅을 지나 세겜 땅 모레 상수리나무에 이르니 그 때에 가나안 사람이 그 땅에 거주하였더라』

 

애굽에서 벧엘과 아이 사이까지는 약 300km에 달하는 먼 여정이었다. 아브람은 이 먼길을 가족들과 짐승들을 이끌고 돌아온 것이다. 우리 개역개정은 마치 아브람이 네게브에서 벧엘로 곧장 올라온 것처럼 기록하고 있지만 원문은 ‘이곳 저곳으로 떠돌아 다니다가’ 벧엘에 이르렀다고 한다. 

(창 13:3, 새번역) 『그는 네겝에서는 얼마 살지 않고 그 곳을 떠나, 이곳 저곳으로 떠돌아 다니다가, 베델 부근에 이르렀다. 그 곳은 베델과 아이 사이에 있는, 예전에 장막을 치고 살던 곳이다.』

하지만 이것이 아무런 목적 없이 배회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에 따라 한걸음씩 목적지를 향해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아브람이 벧엘과 아이 사이에 이전에 자신이 세웠던 제단으로 돌아와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다. 어찌보면 아브람은 애굽에서 신앙적으로는 실패했다. 하나님을 의지하기보다는 자신의 지혜로 자신의 아내를 누이라고 속였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런 신앙의 실패속에서도 그는 큰 자산을 얻었고 이제 다시 자신이 처음 제단을 쌓고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던(12:8) 곳으로 돌아와 다시 새로운 출발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다시금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기를 원했던 것이다. 이처럼 우리의 인생에서도 축복을 받는 것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가까운 것은 항상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소원한 시점에서도 하나님의 축복을 누릴 수도 있고, 하나님과의 관계가 돈독한 시점에서도 물질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5-7절) 아브람과 롯이 모두 큰 부를 이루어서 양과 소와 장막이 있기에 함께 동거하기에 그곳의 땅이 넉넉하지 않아서 목자들간의 다툼이 일어나게 되었다. 뿐만아니라 그곳에는 가나안 사람과 브리스 사람도 있었다. 앞서 12:6에서도 이러한 언급이 등장한다. 

 

아브람 가족은 목축업을 하고 있었고 이들의 생활방식은 계절이 바뀔때마다 가축들에게 먹일 풀과 물을 얻기 위해서 장소를 이공하며 살아가는 것이었다. 따라서 한곳에 정착하여 살아가는 것이 아니었기에 한 지역의 목초지를 고갈 위해서 장소를 이동하며 살아가는 것이었다. 따라서 한 곳에 정착하여 살아가는 것이 아니었기에 한 지역의 목초지를 고갈시켜서는 안되었다. 제한된 공간과 자원(풀과 물)은 필연적으로 갈등을 불러일으키게 되었고 결국 이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아브람과 롯의 일행은 서로의 주거지 공간을 나누게 된다. 

아브람의 여정가운데 롯은 함께 했었다. 하지만 이 순간 이제 이들이 헤어져야할 때가 온 것이다. 두 집안의 가축이 불어나게 되어 땅이 비좁게 되었고 이로 인해서 목자들간의 갈등이 촉발된 것이다. 본문속에서 아브람이 가나안 사람과 브리스 사람과 어떤 관계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같은 공간에서 목축을 했다면 롯의 목자들과 같이 갈등의 상황이 생겼을 수도 있다. 

 

 

 

 

 

 

 

728x90

10 Now xthere was a famine in the land. So Abram went down to Egypt to sojourn there, for the famine was severe in the land. 11 When he was about to enter Egypt, he said to Sarai his wife, “I know that you are a woman beautiful in appearance, 12 and when the Egyptians see you, they will say, ‘This is his wife.’ Then they ywill kill me, but they will let you live. 13 Say you are my sister, that it may go well with me because of you, and that my life may be spared for your sake.” 14 When Abram entered Egypt, the Egyptians saw that the woman was very beautiful. 15 And when the princes of Pharaoh saw her, they praised her to Pharaoh. And the woman was taken into Pharaoh’s house. 16 And for her sake he dealt well with Abram; and he had sheep, oxen, male donkeys, male servants, female servants, female donkeys, and camels.

17 But the Lord zafflicted Pharaoh and his house with great plagues because of Sarai, Abram’s wife. 18 So Pharaoh called Abram and said, “What is this you have done to me? Why did you not tell me that she was your wife? 19 Why did you say, ‘She is my sister,’ so that I took her for my wife? Now then, here is your wife; take her, and go.” 20 And Pharaoh gave men orders concerning him, and they sent him away with his wife and all that he had.

x ch. 26:1; 43:1

y See ch. 20:1–18; 26:6–11

z 1 Chr. 16:21; Ps. 105:14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2:10–20.

 

 

10-13절) 앞서 아브람 일행은 벧엘을 지나 점점 남방으로 내려오고 있었다. 그 땅에 기근이 들어서 아브람이 이 기근을 피하여 애굽으로 이동하였다. 아마도 아브람이 애굽으로 이주할 결심을 한 이유는 애굽, 이집트가 나일강 근처에 위치하여서 다른 지역이 가뭄으로 인해 기근이 심하게 드는 경우에도 음식이 풍족했기 때문일 것이다. 아브람은 애굽에 이르렀을때 자신의 아내 사래에게 당신의 아름다움으로 인해서 애굽 사람들이 나를 죽이고 당신을 아내로 취하게 될지 모르니 자신을 나의 아내라 하지 말고 나의 누이라고 하여 내 목숨을 보존하게 할 것을 요청했다.(12, 20, 26장)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본토 친척 아비집을 떠나 하나님이 명하신 곳으로 이동하는 아브람에게도 아내로 인한 우려와 걱정이 있었다. 하나님께서 자신과 가족을 지키시는 분이심을 온전히 믿지 못하고 아내의 아름다움으로 인해 자신에게 피해가 미칠 것을 두려워하여 자신이 꾀를 내어 거짓말을 하게 한 것이다. 우리는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을 보지만 아브람이 아브라함이 되기까지 수 많은 사건과 사고를 거쳐서 그의 신앙이 이루어지 것이다. 

여기서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브람은 자신의 안전을 위해서 아내인 사래를 희생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사래를 통해서 아브람에게 자식을 주실 것을 약속하셨는데 아브람은 사래를 위기에 처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아브람은 하나님을 두려워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을 두려워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하나님께서 역사하심(큰 재앙)으로 아브람과 사래를 보호하셨다. 

 

우리는 왜 성경이 아브람의 윤리적인 잘못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단지 저자는 이러한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 독자 스스로 판단할 것읋 촉구하는 것이다. 아마도 이스라엘의 원 독자들은 이러한 아브람의 속임수를 통해서 무슨 유익이 있었을지를 알았기에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없었을지도 모른다. 이처럼 성경은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들에게 많은 것들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 이야기를 처음 받은 이스라엘 백성들은 수많은 위협과 어려움, 심지어 아브람 자신의 도덕적 실수 가운데서도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약속하신 것을 반드시 지키시는 분이심을 깨닫게 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아브람이 자신의 아내 사래를 이복 누이라고 말한 것은 절반의 진실이 담겨 있다.(창 20:12) 

Sarai is instructed to tell any man who confronts her that she is Abram’s sister. This is a half-truth, as 20:12 indicates (although “daughter of my father” could mean adopted daughter).

Scholars debat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Abram’s plan. Why does he think he may come out of this nightmare alive if he can only convince his hosts that the woman traveling with him is his sister? E. A. Speiser suggested that the Nuzi texts provided an answer or a source behind this strange practice.5 A marriage practice among the upper Hurrian classes, and one without counterpart in any other Near Eastern society, allowed a wife to be adopted by her husband as his sister; moreover, a woman given in marriage by her brother (as with Rebekah to Isaac by Laban) would legally become her husband’s sister. Since Abram spent part of his life at Haran (a major Hurrian city), Speiser assumed that it was while he was living in Haran that Abram was exposed to this custom.

5 E. A. Speiser, “The Wife-Sister Motif in the Patriarchal Narratives,” in Biblical and Other Studies, ed. A. Altman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1963), pp. 15–28; repr. in Oriental and Biblical Studies, pp. 62–82. See also Speiser, Genesis, pp. xl–xli, 91–94.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0), 381.

 

당시 사래의 나이는 65세였다. 사래의 아름다움이 어떤 것을 의미한 것일까? 물론 나이가 들어도 소피아 로렌과 같이 아름다운 미모를 잃지 않는 사람들이 있기는 하지만 본문의 아름다움에 지금 우리 시대의 가치와 문화적인 것을 투영할 필요는 없다. 우리의 문화는 관능성과 성적 매력, 외모의 젊음을 아름다움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지만 여기에 사용된 아름다움이라는 표현이 창 41:2에서 훌륭한 암소를 묘사하는데도 사용되었다. 따라서 우리는 사래가 젊음의 아름다움을 유지했다고도 볼 수 있고 또한 그녀의 품위와 태도, 표정등이 사람들의 이목을 끌게 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당대의 사람들의 수명이 매우 길었기에 65세는 젊은 여성 취급을 받았을 수도 있다. 

 

14-16절) 아브람이 우려한대로 이들이 애굽에 이르렀을 때 애굽 사람들이 그 여인의 아름다움을 보고 바로의 신하들(바로의 왕자들)이 그녀를 보고 바로에게 그녀의 아름다움을 칭찬하였다. 이에 그녀의 아름다움으로 인해 바로가 아브람을 후대하였다. 그래서 아브람이 양과 소와 남수 나귀들과 남녀 노비들과 낙타를 얻었다. 

어떤 성경학자들은 창세기에 낙타가 언급되는 것이 시대착오적인 기록이라고 주장한다. 주전 1100년 무렵까지 낙타는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길들여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고고학적인 발견을 통해서 이미 주전 3000년 경에 사람들이 낙타를 이용한 것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창세기에는 긴 여행을 할 때나 사막을 지날때 낙타가 언급되는데 이처럼 족장 시대에는 낙타가 흔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브람의 부유함을 강조하기 위해서 낙타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기록한 것이다. 

camels. It is often stated that references to camels in Genesis are anachronistic because camels were not domesticated until the end of the second millennium BC. Archaeological evidence for the early domestication of camels is understandably limited given their use in desert regions. Even in Genesis they are usually mentioned in contexts involving long-distance travel close to deserts (e.g., 24:10–64; 31:17, 34; 37:25). Recent research, however, suggests that people used camels as early as the third millennium BC. Genesis tends to mention them at the very end of lists of possessions (30:43; 32:7), possibly suggesting that they were the least numerous of the animals the patriarchs owned.

e.g. for example

 D. A. Carson, ed.,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45–46.

 

Most of the commentary on this verse has focused on the mention of camels as among those animals that Pharaoh gave to Abram. If one accepts that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camels were not domesticated until much later in the 2nd millennium b.c., then we have here a clear anachronism. W. F. Albright has led the argument most forcibily in this direction.9 He observes the absence of references to camels in the Mari texts, the Amarna Letters, and the Ugaritic texts, all of which have much to say about nomadic peoples. In contrast to ch. 12, ch. 13, where Abram and Lot part company, makes no mention of camels, though flocks or herds are mentioned (13:5). Note, however, that in other events in Abram’s life camels are mentioned, especially in the story of the search for Isaac’s bride-to-be (Gen. 24), which has sixteen references to camels.

Others are not so skeptical about the reliability of the references to camels in Gen. 12.10 For example, a text from Alalakh (18th century b.c.) appears to refer to a domesticated camel.11

9 See, e.g., From the Stone Age to Christianity, 2nd ed. (Garden City, NY: Doubleday, 1957), pp. 164–65; idem, The Biblical Period from Abraham to Ezra (New York: Harper & Row, 1963), p. 7; idem, Yahweh and the Gods of Canaan (repr. Winona Lake, IN: Eisenbrauns, 1978), pp. 62, 156. C. H. Gordon (The Pennsylvania Tradition of Semitics [Atlanta: Scholars, 1986], p. 53) remarks, “he [viz., Albright] abominated camels and adored donkeys. This had a subconscious effect on his pronouncements and publications concerning the patriarchal age. He ‘got rid’ of the camels by turning their very mention in the patriarchal narratives into anachronisms. His love of the donkey impelled him to stress the role of the Fathers as donkey caravaneers.”

10 See J. P. Free, “Abraham’s Camels,” JNES 3 (1944) 187–93; K. A. Kitchen, Ancient Orient and Old Testament (Chicago: Inter-Varsity, 1966), pp. 79–80.

11 See D. J. Wiseman, “Ration Lists from Alalakh VII,” JCS 13 (1959) 29, where text 269:59 reads 1 SA.GAL ANŠE.GAM.MAL, “one (measure of) fodder—camel.” In a following article, “Remarks on the Ration Lists from Alalakh VII,” A. Goetze remarks (p. 37), “This early occurrence of camels, missing in CAD, to be fed and, therefore domesticated, is worthy of special note.” W. G. Lambert (“The Domesticated Camel in the Second Millennium—Evidence from Alalakh and Ugarit,” BASOR 160 [1960] 42–43) objects to the interpretation of Wiseman and Goetze, and suggests that the ideogram in question means “stag,” not “camel.”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0), 383–384.

 

 

17-20절) 그러나 여호와께서 아브람의 사래의 일로 바로와 그의 집에 큰 재앙을 내리셨다. 그래서 바로가 아브람을 불러서 네가 어째서 사래가 너의 아내라고 말하지 않았는가? 왜 그녀를 너의 누이라고 해서 나로 하여금 그녀를 내 아내로 삼게 하였느냐라고 물었다. 이제 여기 너의 아내가 있으니 데리고 가라라고 하였다. 그리고 바로가 아브람에 관하여 그의 사람들에게 명령하였다. 그러자 그들이 아브람을 그의 아내와 그의 모든 소유와 함께 보냈다. 

 

하나님께서는 바로가 사래를 자신의 궁으로 불러들이자 그 집에 큰 재앙을 내리신다. 본문을 통해서는 바로가 어떻게 사래가 아브람의 아내인지 알았는지, 또한 어떤 재앙이 내렸는지를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지않다. 단지 하나님께서 이 여인을 취하는 것이 옳은 일이 아님을 깨닫게 하셔서 그녀를 보내게 하셨다. 

 

이러한 죄는 고의, 태만(부주의), 무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는 자신의 행위가 악함을 알고도 죄를 짓는 행위라면 두번째 태만은 자신이 한 일이 나쁜일임은 알지만 고의로 행하지 않은 경우이다. 세번째 무지는 자기가 한 일이 나쁜일인지 알지 못하고 행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바로의 죄는 세번째에 행한다고 할 수 있다. 사래가 아브람의 아내인지 알지 못했고 그래서 그녀를 아내로 취할려고 했는데 하나님께서 재앙을 내리심으로 잘못을 알려주신 것이다. 

 

우리는 본문을 통해서 애굽의 바로가 비상식적인 폭군이 아니라 매우 정상적인, 도덕적인 왕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왕의 권력이라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 이에 방해가 되는 이들을 죽일 수도 있었을 것이다.(왕상 21장 나봇의 포도원) 하지만 바로는 그를 죽이지 않고 도리어 조용히 떠나게 하였다.  알 수 없지만 분명히 바로는 아브람의 배후에 어떤 힘이, 하나님의 능력이 있음을 알았고 이로 인해 아브람에게 아내를 데려가고 그의 소유와 함께 떠나 보낸 것이다. 놀라운 것은 바로는 자신이 아브람에게 준 양과 소와 노비나 나귀, 낙타등을 도로 빼앗기 않았다. 

 

본문에 등장하는 기근-체류-포로됨-귀환의 사이클은 이후 출애굽(모세)때에 다시 반복된다. 또한 바벨론으로부터의 포로귀환과도 연관된다. 그런데 출애굽의 귀환과의 차이점을 보자면 본문에서의 애굽은 압제자가 아니었다. 바로는 아브람에게 포악하게 굴지 않았다. 

 

결국 본문속에서 아브람의 계략속에서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약속을 이루시기 위해서 개입하신다. 

 

 

 

 

 

728x90

So Abram went, as the Lord had told him, and Lot went with him. Abram was seventy-five years old when he departed from qHaran. And Abram took Sarai his wife, and Lot his brother’s son, and all their possessions that they had gathered, and the people that they had acquired in Haran, and they set out to go to the land of Canaan. When they came to the land of Canaan, Abram rpassed through the land to the place at Shechem, to sthe oak4 of tMoreh. At that time uthe Canaanites were in the land. Then the Lord appeared to Abram and said, v“To your offspring I will give this land.” So he built there an altar to the Lord, who had appeared to him. From there he moved to the hill country on the east of wBethel and pitched his tent, with Bethel on the west and Ai on the east. And there he built an altar to the Lord and called upon the name of the Lord. And Abram journeyed on, still going toward the Negeb.

q ch. 11:31

r [Heb. 11:9]

s ch. 13:18

4 Or terebinth

t Deut. 11:30; Judg. 7:1

u ch. 13:7

v ch. 13:15; 17:8; Ex. 33:1; Ps. 105:9–12; [Num. 32:11]; Gal. 3:16

w ch. 28:19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Ge 12:4–9.

 

4절) 앞선 부르심의 명령에 아브람은 순종했다. 이후 히브리서 기자는 이러한 아브람의 순종에 대해서 믿음으로 나아갔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히 11:8, 개정)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부르심을 받았을 때에 순종하여 장래의 유업으로 받을 땅에 나아갈새 갈 바를 알지 못하고 나아갔으며』

 

아브람은 여호와의 말씀을 따라갔고 롯도 그와 함께 갔다. 이렇게 아브람이 하란을 떠날 때의 나이가 75세였다. 

아브람은 하나님의 명령에 토를 달지 않고 즉각적으로 순종했다. 그런데 본문은 롯도 함께 갔다라고 말하고 있다. 롯의 아버지 하란이 죽은 후에 아브람은 조카 롯을 보호할 책임을 지고 있었을 것이다.(11:27-28) 하지만 아브람과 떠날 당시 롯이 어린 아이가 아니라 이미 상당한 양과 소를 소유한 성인이었다.(13:5-6) 이를 통해 볼때 롯이 억지로 아브람을 따라 나선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그를 따랐을 것으로 보인다. 

(창 13:5-6, 개정) 『[5] 아브람의 일행 롯도 양과 소와 장막이 있으므로 [6] 그 땅이 그들이 동거하기에 넉넉하지 못하였으니 이는 그들의 소유가 많아서 동거할 수 없었음이니라』

 

5절) 하란을 떠나 가나안 땅으로 나서는 이 여정에는 아브람과 그의 아내 사래, 조카 롯과 하란에서 모은 모든 소유와 얻은 사람들과 함께 했다. 여기에 함께 한 많은 사람들은 그의 목축업을 함께 했던 목자들이었을 것이다. 

(창 13:7, 개정) 『그러므로 아브람의 가축의 목자와 롯의 가축의 목자가 서로 다투고 또 가나안 사람과 브리스 사람도 그 땅에 거주하였는지라』

(창 14:14, 개정) 『아브람이 그의 조카가 사로잡혔음을 듣고 집에서 길리고 훈련된 자 삼백십팔 명을 거느리고 단까지 쫓아가서』

(창 17:12, 개정) 『너희의 대대로 모든 남자는 집에서 난 자나 또는 너희 자손이 아니라 이방 사람에게서 돈으로 산 자를 막론하고 난 지 팔 일 만에 할례를 받을 것이라』

위 본문들에서 보는 것처럼 아브람과 롯에게 각각 목자들이 여럿 있었고 집에서 훈련된 병사들도 318명이나 있었다. 또한 이방 사람에게서 돈으로 산 자들도 그의 휘하에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이들은 소유한 모든 것들, 재산과 양과 소를 거느리고 여러 사람들을 이끌고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 하란으로부터 가나안 땅을 향해서 나아간 것이다. 

 

6절) 아브람이 가나안 땅을 지나 세겜 땅 모레(Moreh) 상수리나무에 이르렀는데 그때에 가나안 사람이 그 땅에 거주하고 있었다. 

세겜은 아브람의 하란을 떠난 아브람의 여정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첫번째 가나안 지역의 지명이다. 발굴을 통해서 알려진 바로는 이곳에 주전 1900년 전후로 많은 사람이 살기 시작했고 족장 시대에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도시였다고 한다. 이집트의 문서에도 이 세겜이 언급된다. 아브람은 목축을 했기에 도시의 중심부 보다는 도시 인근의 외관 지역에 머물렀을 것이다. 그리고 가나안 사람이 그 땅에 거주하였다는 언급은 이후에 이들과의 갈등은 암시한다. 

 

 

아브람은 목축업을 하며 많은 식솔들을 거느리며 이동을 했기에 그들이 텐트를 치고 생활하기 위해서는 꽤 넓은 지역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래서 이후에도 그가 거주했던 곳들은 상수리 나무가 있는 지역들이었다. 

(창 13:18, 개정) 『이에 아브람이 장막을 옮겨 헤브론에 있는 마므레 상수리 수풀에 이르러 거주하며 거기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았더라』

그리고 그는 이렇게 이동하며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았다. 

 

 

7절)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셔서 ‘내가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라’라고 약속하셨다. 이에 아브람이 여호와께서 자기에게 나타나신 그 곳에서 제단을 쌓았다. 

이렇게 하나님께서 족장들에게게 현현하신 것은 처음이다. 이후에 이런 현현이 나타나는 경우는 특별한 하나님의 약속과 관련된 경우들이다. 이 약속을 받는 시점은 아이러니하게도 아직 아브람에게 자식이 없는 상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브람은 여호와께 제단을 쌓았다. 당시 아직 중앙 성소가 없는 시대였고 이후 애굽을 탈출하고 나서야 성막이 건축되었다. 여기 아브람에게 주신 하나님의 약속은 궁극적으로 그리스도를 통해서 성취된다. 

 

the Lord appeared. This is the first of a number of manifestations of God to the patriarchs. These are often associated with divine promises. On this occasion God promises the land to the descendants of Abram, although he is still childless. In response, Abram builds an altar to the Lord. A number of altars are constructed by the patriarchs at different locations (see 13:18; 22:9; 26:25; 33:20; 35:7). They are a common feature of the patriarchal period because no central sanctuary existed before the exodus from Egypt.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tabernacle, God was not perceived as ordinarily dwelling on the earth. These altars are places where God may be encountered in worship (Ex. 20:24).

God’s promise has a short-range fulfillment when the nation of Israel conquers Canaan under Joshua (Josh. 21:43; see 1 Kings 4:21). Ultimately the offspring narrows down to Christ (Gal. 3:16), whose dominion extends not only over the land of Canaan but over all the world (Matt. 28:18). The land of Canaan prefigures the eternal inheritance of the world in Christ (Heb. 4:1–11; 11:10, 13–16). In Christ believers are the offspring of Abraham (Gal. 3:7, 29).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2.

 

8-9절) 세겜으로부터 이제 아브람은 서쪽으로는 벧엘(하나님의 집), 동쪽으로는 아이가 있는 지역에 장막을 치고 그곳에서 제단을 쌓고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다. 그리고 이후 점점 남방(네게브)로 옮겨 갔다. 

이후 아브람은 기근으로 애굽으로 내려가는데 그 이전에 벧엘 인근에 잠시 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  

built an altar. The religious practices of the patriarchs predate the construction of the tabernacle and later the temple. The altars built by the patriarchs anticipate a future time when God will dwell on the earth permanently. Although they did not view God as residing at these altars, they could encounter him there (Exod 20:24). Their existence served as reminders of the patriarch’s special relationship with God and the promise of land.

 D. A. Carson, ed.,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45.

 

 

 

하란에서 가나안까지의 거리는 약 800킬로미터로 천천히 이동한다면 한달 이상이 걸리는 상당히 먼 거리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세겜이나 벧엘은 이스라엘 역사에 매우 중요한 장소들이다. 7절에서는 제단을 쌓았다고만 기록하고 있지만 8절에서는 제단을 쌓고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다고 기록하고 있다. 세겜은 현재의 '텔 발라타'로 알려져있는데 이는 예루살렘 북쪽 56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해있다. 그리심산과 에발산에 인접한 곳으로 세겜은 성소로 오랜 역사를 지닌다. 이 두 산 사이에 위치한 세겜은 전략적인 위치로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 벧엘은 예루살렘 북쪽 16킬로미터가 넘는 곳에 위치한 ‘베이틴’으로 알려져있다. 이곳은 아이의 유적지로 여겨지는 ‘엣 텔’과 서쪽으로 약 2.4킬로미터 떨어진 곳이다. 그곳에는 청동기 중기 시대 커다란 성곽도시가 있었는데 성곽의 두께가 3.5미터나 되었다고 한다. 

The trip from Haran to Canaan is about five hundred miles and takes the better part of a month even if Abram travels at normal caravan pace (about twenty miles per day). The stops indicated by the text, Shechem and Bethel, both become major sacred sites in later Israelite history. At each one Abram builds an altar. What function do these altars serve? It is of interest that the text makes no specific reference to offering a sacrifice at either site (though that may be implied in his calling on the name of Yahweh in 12:8). Would someone build an altar without offering a sacrifice on it?

A. Pagolu observes that the notes in the text associated with the building of altars do not consistently indicate theophany, moving his tent, or sacrifice. He accepts the suggestion of R. Albertz that the building of the altars was a way of establishing a claim on the land.5 We may ask whether this was a way of claiming land for Abram or a way of claiming land for Yahweh. But perhaps we have presumed too much already. Is it not possible that the altar is simply built so that the clan can conduct their worship during the time they remain there? There is no reason to assume that Abram’s itinerary represents constant or regular movement. He may have remained at Shechem or Bethel for some time before moving on. When he builds the altar at Hebron in 13:18, its purpose seems simply to service his worship needs while he is there.

Shechem and Bethel are both located in the central hill country. The site of Shechem has been identified with Tell Balatah, just east of modern Nablus and thirty-five miles north of Jerusalem. Perhaps because of its proximity to two nearby peaks, Mount Gerizim and Mount Ebal, it has had a long history as a sacred site. The strategic position of Shechem, at the east entrance to the pass between these mountains, also made it an important trading center. Nearly continuous occupation is evidenced through the second and first millennia. As early as the Middle Bronze I Period, Shechem is mentioned in the Egyptian texts of Pharaoh Sesostris III (1880–1840 b.c.). Excavations have revealed an apparently unwalled settlement in Middle Bronze IIA (about 1900 b.c.) with the development of fortifications in Middle Bronze IIB, about 1750.

Bethel is usually identified with Beitin just over ten miles north of Jerusalem, about a mile and a half west of et-Tell, the traditional site of Ai. There was a major fortified city on the site during the Middle Bronze Age that was destroyed in the mid-sixteenth century. It was grandly rebuilt in the Late Bronze Age, and there is evidence of two destructions during that period (1550–1200 b.c.). Some contest whether Beitin is Bethel because it has been difficult to find a satisfactory adjoining site for Ai. The main alternative is Bireh, a mile or two south of Beitin.

5 A. Pagolu, The Religion of the Patriarchs (Sheffield: JSOT Press, 1998), 54.

 John H. Walton, Genesi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2001), 394–395.

728x90

12 Now mthe Lord said1 to Abram, “Go from your country2 and your kindred and your father’s house to the land that I will show you. nAnd I will make of you a great nation, and I will bless you and make your name great, so that you will be a blessing. oI will bless those who bless you, and him who dishonors you I will curse, and pin you all the families of the earth shall be blessed.”3

m Acts 7:3; Heb. 11:8

1 Or had said

2 Or land

n ch. 17:6; 18:18; [Gal. 3:14]

o ch. 27:29; Num. 24:9

p ch. 18:18; 22:18; 26:4; 28:14; Jer. 4:2; Acts 3:25; Gal. 3:16; Cited Gal. 3:8

3 Or by you all the families of the earth shall bless themselves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Ge 12:1–3.

 

이제 본문은 앞선 원역사에서 이스라엘의 역사로 넘어가는 다리의 역할을 한다. 아담과 하와의 불순종으로 인한 죄로 인해서 인간을 심판하셨다면 이제 아브람의 순종을 통해서 복을 약속하고 계신다. 

 

- 우르에서 가나안으로 떠나는 아브라함(조세프 몰나르, 1850)

 

아브라함을 부르시는 이 장면은 매우 익숙하고 중요한 본문이다. 

개신교의 신앙은 1절을 강조하며 아브라함의 순종, 믿음, 헌신을 볻받을 것을 강조한다. 또한 일부 교회들은 2절을 강조하며 복받는 신앙, 기복신앙을 강조한다. 3절은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다. 바로 그 복을 알지 못하는 자들로 하여금 복을 얻게 하기 위해서 아브람을 부르시고 복을 주셔서 큰 민족을 이루게 하셨다는 것이다. 창세기 안에서 이 3절의 내용(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게 될 것이다)은 아브라함에게 2번, 이삭과 야곱에게 각각 한번씩 언급된다. 이 본문의 어떤 부분을 강조하느냐에 따라서 부르심의 의미가 달라지게 된다. 

 

1절)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말씀하신다. ‘너는 너의 고향과 친척과 아버지의 집을 떠나 내가 네게 보여줄 땅으로 가라’ 

이 본문은 아브라함의 순종을 보여준다. 앞서 데라가 아브람과 사래, 롯과 그의 며느리를 데리고 갈대아인의 우르를 떠나 하란에 이르렀다. 하란을 이주한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그곳에 정착하여 나름대로의 안정을 누리고 생활했을 것이다. 그런데 오늘 본문에서 여호와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이를 떠날 것을 명령하고 계신 것이다. 익숙하던 곳, 안정감을 누리게 하던 관계와 공간을 떠나서 불확실과 불안정한 곳으로 부르시는 것이다. 이러한 순종에는 신뢰와 믿음이 필요하다. 하나님께서 아브람을 복의 근원으로 사용하시는 이유는 바로 그의 이러한 믿음 때문이었다. 그는 현재 그의 상황, 불임의 아내, 현재의 누리를 안정감을 뒤로하고 현재에는 보이지 않고 불확실 하지만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순종의 길을 떠나게 되고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복을 주시고 복의 근원이 되게 하신다. 

 

2절) 네 이름을 창대하게 할 것이다라는 하나님의 약속, 이는 앞서 바벨탑을 쌓은 이들이 바랬던 것이지만 도리어 이들은 실패했다.(창 11:4-8, 삼하 7:9) 

이렇게 아브라함을 통해서 큰 민족을 이루고 복을 받게 되어 이름이 창대하게 될 것이다라는 약속은 지속적으로 언급되기도 하고 또한 이는 실제적으로 확장되면서 성취된다. 

God’s promise is reiterated and expanded as time passes (13:14–17; 15:4–5; 17:1–14; 18:18; 22:16–18; 26:2–5; 28:13–15; 35:10–12).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71.

 

name great. The promise that God will make Abram famous comes in the wake of the failed ambitions of the city-builders of Babel (11:4–8) and possibly has royal connotations (2 Sam 7:9). While God’s promises have an explicit national dimension, this is subservient to the international aspect that marks the climax of the speech.

 D. A. Carson, ed.,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43–44.

 

사람들은 복을 주시는 이유를 잊은 채 복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도 한다. 그래서 이름이 창대해지고 큰 민족을 이루는 것, 이 시대의 말로 성공해서 잘 먹고 잘 사는 것이 바로 하나님이 주시는 축복이며 그 복을 누리게 된다라고 주장한다. 기복신앙을 가진 이들이 우리의 신앙을 그렇게 축소 환원시킨다. 우리가 믿음으로 구원을 얻고 복 받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하지만 이것을 궁극적인 우리의 신앙의 목적, 부르심의 목적이 아니라 부수적인 결과이다. 우리는 성공하지 못해도, 이땅에서 복은 얻지 못해도 믿음을 가지고 복음을 전한다. 복을 받는 것이 우리의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이 되지 않도록 하라. 

 

3절) 본문에서 아브람을 축복하는 자들에게는 하나님께서 복을 내리시고 아브람을 저주하는 자에게는 하나님께서 저주하실 것을 말씀하셨다. 먼저 축복하는 자는 원문에서 복수로 사용되고 저주하는 자는 단수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저주 받는 사람들보다 복을 받는 사람들이 더 많을 것이라는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NIV는 through you로 ESV는 in you로 표현하고 있다. 조금더 신학적으로 들어간다면 이는 아브람 한 사람이 한 민족을 위한 언약의 대리자가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사람이 아브람 안에 있으려면 아브람을 통해서 복을 얻은 민족 가운데 한 사람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바울은 갈 3:8-9에서 이를 강조한다. 본 구절에서 아브라함 안에(헬라어 엔) 있다는 것은 한 가족, 큰 민족이 되어서 그와 함께 복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신약에서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 있을때, 그리스도로 말미암에 누리게 되는 복인 것이다. 

 

(갈 3:8-9, 개정) 『[8] 또 하나님이 이방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로 정하실 것을 성경이 미리 알고 먼저 아브라함에게 복음을 전하되 모든 이방인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받으리라 하였느니라 [9] 그러므로 믿음으로 말미암은 자는 믿음이 있는 아브라함과 함께 복을 받느니라』

 

'너로 말미암아’의 의미

본문에서 너로 말미암아라는 표현은 히브리어 ‘베카’인데 이는 ‘너를 통해서’, ‘너의 안에서’. ‘~의 도움으로’라는 의미이다. 

 

아브라함으로 인해 복을 얻게 된다는 약속들

ch. 18:18; 22:18; 26:4; 28:14; Jer. 4:2; Acts 3:25; Gal. 3:16; Cited Gal. 3:8

 

bless those who bless you. The theme of God’s blessing others through Abram later links to the line of descendants traced initially through Isaac and Jacob (22:18; 26:4; 27:29; 28:14). In the NT Paul sees in this promise of blessing an advance announcement of the gospel (Gal 3:8), the blessing coming ultimately through Jesus Christ, the “seed” of Abraham (Gal 3:16; see Gen 22:18 and NIV text note). The apostle Peter likewise associates Jesus Christ with the fulfillment of God’s promise to bless the families of the earth (Acts 3:25–26). Although the initial promises of nationhood and international blessing are conditional upon Abram’s obedience, God later guarantees these by making two covenants with Abram (chs. 15; 17).

NT New Testament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chs. chapters

 D. A. Carson, ed.,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44.

 

아브람이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했을 때 하나님께서 그에게 복을 주실 것이며, 그가 복이 될 것이고, 또한 복의 통로가 될 것이다. 첫째 축복은 아브람이 하나님의 돌봄과 보호와 호의 아래 있게 될 것을 의미한다. 이는 그에게 안전과 번영을 가져다 줄 것이다. 둘째 축복은 아브람이 그의 사랑하는자들에게 돌봄과 보호를 제공하게 될 것을 의미한다. 14장에 나오는 롯이 하나의 예이다. 셋째 축복은 아브람과 그 가족을 통해 하나님께서 다른 사람들에게 복을 가져다 주실 것임을 의미한다. 이처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기 원하시는 복은 획일적인, 제한된 형태가 아니다. 계속해서 확장되고 변형되는 모습을 지닌다. 그 복을 누리기 위해서 그에 합당한 순종을 요구하며 이를 통해서 나와 나와 가까운 이들이 복됨을 누릴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나와 관계된 모든 이들이 복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를 부르신 이유이다. 하나님께서는 나만 혼자 잘 먹고 잘 살라고 부르신 것이 아니다. 나를 통해 모든 족속이 복을 얻게하기 원하신다. 그러기 위해서 그분안에 거하며 먼저 그분의 복을 누리는 삶을 살아야 할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