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qOlder women likewise are to be reverent in behavior, rnot slanderers sor slaves to much wine. They are to teach what is good, and so train the young women to love their husbands and children, to be self-controlled, tpure, uworking at home, kind, and vsubmissive to their own husbands, wthat the word of God may not be reviled
q [1 Tim. 2:9]
r 1 Tim. 3:11
s [1 Tim. 3:8; 5:23]
t 1 Pet. 3:2
u [1 Tim. 5:14]
v See Gen. 3:16
 See Gen. 3:16
w See 1 Tim. 6:1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2:3–5.
 
3 늙은 여자로는 이와 같이 행실이 거룩하며 모함하지 말며 많은 술의 종이 되지 아니하며 선한 것을 가르치는 자들이 되고
4 그들로 젊은 여자들을 교훈하되 그 남편과 자녀를 사랑하며
5 신중하며 순전하며 집안 일을 하며 선하며 자기 남편에게 복종하게 하라 이는 하나님의 말씀이 비방을 받지 않게 하려 함이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2:3–5.
 
3-5절은 늙은 여자들을 향한 명령인데 그들에게 젊은 여잘를 교훈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3절) ‘늙은 여자’로 번역된 ‘프레스뷔티다스’는 2절에서 ‘늙은 남자, 프레스뷔테스’의 여성형으로 ‘나이가 많은 여자’를 의미한다. 본문에서 ‘이와 같이’로 번역된 ‘호사우토스’는 ‘꼭 그렇게, 똑같이’라는 의미의 부사로 바울이 늙은 남자들에게 말한 덕목들 늙은 여자들도 똑같이 행하여 행실을 거룩하게 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행실’로 번역된 ‘카타스테마티’의 원형 ‘카타스테마’는 ‘직무를 수행하다, 책임을 지우다’라는 의미의 ‘카디스테미’에서 파생된 명사로 ‘품행, 행실’이라는 의리모 사용된다. 이는 제 위치에서 당연히 기대되는 외양이나 태도를 말한다. 
‘거룩하며’로 번역된 ‘히에로프레페이스’의 원형 ‘히에로프레페스’는 ‘신적인 능력에 의해 정해진 것, 신적 능력에 의하여 충만하거나 구별된’것을 의미하는 ‘히에로스’와 ‘적당하다, 알맞다’이라는 의미를 지닌 ‘프레포’의 합성어이다. 따라서 ‘히에로프레페스’는 ‘제사장같은, 거룩한 것에 알맞은, 존경받을만한’이란 의미이다. 신약에 한번 사용되는 표현이다. 
 
‘모함하지 말며 많은 술의 종이 되지 아니하며’, 늙은 여자들에게 특별히 두가지 금지명령을 내리는데 하나는 모함하는 것과 술에 관한 내용이다. 이는 당시 늙은 여자들에게 큰 문제를 일으키는 것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모함하지’로 번역된 ‘디아볼루스’의 원형 ‘디아볼로스’는 ‘참소하다, 비방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동사 ‘디아발로’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비방하기 쉬운, 거짓 고발하는’이란 의미를 가진다. 특별히 ‘디아볼로스’는 ‘귀신들의 왕이나 악의 창시자, 하나님과 메시야의 대적인 사단’을 지칭하는 말인데 이처럼 모함하고 거짓으로 참소하는 일은 마귀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계 12:10) 특히 나이가 들수록 이러한 부분에 경계해야한다. 나이가 들어 경험과 연륜이 쌓일수록 자신만의 안목과 기준, 꼰대력이 강해져서 다른 사람들의 말을 듣지 안호 남을 비방하고 헐뜯기 쉬워지는 것이다. 남자들에 비해 여자들이 말하기를 좋아하기에 더욱 주의해야 할 것이다.(딤전 3:11)
 
‘종이 되지’로 번역된 ‘데둘로메나스’는 ‘둘로오’의 완료수동태 분사형이다. ‘둘로오’는 ‘종이 되다, 노예 신분으로 떨어뜨리다, 속박아래 있다, 추종하다’라는 뜻이 있는데 ‘다스림에 복종하다’(롬 6:18, 22)라는 의미가 있다. 여기서는 술에 속박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즐거움과 쾌락을 위해서 술을 먹지만 그것을 절제하지 못하면 나아가 술이 사람을 먹게 되는 것을 술의 종이 되는 것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술에 인 박이지 않는 것은 집사의 자격 요건 중 하나이기도 하다(딤전 3:8)
 
당시 1세기 오랫동안 남자들에게 속박을 당하던 여자들에게 자유의 물결이 흐르고 있었다. 이 틈을 타서 여자들은 남자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술에 손을 대기 시작했고 술의 종이 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마치 갓 성인이 된 젊은이들이 절제함없이 술과 담배에 손을 대는 것과 같다. 
‘선한 것을 가르치는 자들이 되고’, ‘칼로디다스칼로스’는 ‘좋다, 선하다’라는 의미의 형용사 ‘칼로스’와 ‘선생, 교사’라는 의미의 명사 ‘디다스칼로스’의 합성어로 ‘좋은 것을 가르치는’의 의미를 지닌다. 딤전 2:12에서 ‘여자가 가르치는 것을 허락지 않는다’라고 했는데 이 구절과 모순되는 것은 아닌가? 본절은 여자들이 대중을 가르친다는 의미가 아니라 젊은 여자들을 지도, 교훈하라는 것이다. 
 
 
2:3 Paul begins his instructions for the next group, “older women” (πρεσβύτιδας,** a NT hapax), with the transitional term ὡσαύτως (see the comments on 1 Tim. 2:9), “similarly” or “likewise,” implying the repetition of the infinitive εἶναι. Furthermore, the terms in the list are all accusative, as would be expected if the infinitive were present or implied.
The first characteristic required of the older women, ἱεροπρεπεῖς** (a NT hapax), designates that which is “befitting a holy person,” or as Lock puts it, “they are to carry into daily life the demeanour of priestesses in a temple” (the word is used of the conduct of a priest in inscriptions: see BAGD). They are to act this way since they belong to God by faith in Jesus Christ (G. Schrenk, TDNT III, 254). ἐν καταστήματι** (a NT hapax) means “in behavior or demeanor” (BAGD); “the noun denotes comportment or bearing viewed as the expression of one’s interior character or disposition” (Kelly). Thus ἐν καταστήματι ἱεροπρεπεῖς encapsulates what Paul says about women in 1 Tim. 2:10.
μὴ διαβόλους (διάβολος 8x in Paul; of human beings in 1 Tim. 3:11; here; 2 Tim. 3:3) means here “not slanderers,” “not malicious gossips.” Concern for people can degenerate into this vice. Those usually considered most in danger of falling into it, because of their positive inclination, are hereby warned.
The perfect passive participle δεδουλωμένας, “enslaved,” expresses what “much wine” (dative οἴνῳ πολλῷ) can do (cf. 1:7; 1 Tim. 3:3, 8; 5:23). Women, who have constant access to the food and drink of the household, are warned not to be captured and controlled by wine. Such a rudimentary warning may seem inappropriate, but 1 Corinthians (especially 11:21) shows how appropriate it was.
καλοδιδασκάλους** is a hapax not found elsewhere, but is not surprising for one who likes compounds, who uses καλοποιέω and νομοδιδάσκαλος, and who occasionally coins compounds (cf. especially verbs with ὑπερ-). The older women should be those who are “teaching what is good”—not in the sense of 1 Tim. 2:12, which is forbidden to women, but as is indicated by what follows, teaching younger women about their duti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06–307.
 
 
4절) ‘그들로 젊은 여자들을 교훈하되’, 4-5절은 ‘히나 가정법’구문이다. 여기서 늙은 여자들이 젊은 여자들을 가르쳐야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절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늙은 남자, 늙은 여자, 젊은 남자는 디도가 직접 가르치게 했지만 ‘젊은 여자’를 가르치는 일은 늙은 여자의 임무로 위임하고 있는 것이다. 
‘젊은 여자들’로 번역된 ‘네아스’의 원형 ‘네오스’는 ‘최근에 태어난, 어린, 갓 만들어진, 새로운’의 의미를 가진다. 예수님께서는 새포도주라는 표현을 사용하실때 이 단어를 사용하셨다. 
‘교훈하되’로 번역된 ‘소프로니조신’은 ‘소프로니조’의 3인칭 복수 현재 가정형으로 ‘그들이 의무를 지키게 하도록, 그들이 진지하게 권면하게 하도록’이라는 의미이다. 늙은 여자들은 인생의 선배로서 인생의 후배인 젊은 여자들을 가르치고 훈계할 수 있음을 말한다. 당시 젊은 여자들은 사회보다는 가정 내에서의 활동으로 제약되는 부분이 많았기 때문에 바울은 이들을 교육하기 위해서 집안의 늙은 여자가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그 남편과 자녀를 사랑하며’, 본문을 다시 번역하면 ‘그 남편들을 사랑하고, 그 자녀들을 사랑하도록’이 된다. ‘필란드로스’는 ‘사랑하다’라는 의미의 ‘필로스’와 ‘남편, 남자’를 뜻하는 ‘아네르’의 합성어로 ‘남편을 사랑하는’이라는 의미이다. ‘필로테크노스’도 ‘필로스’와 ‘자녀’를 뜻하는 ‘테크논’의 합성어로 ‘자녀를 사랑하는’이라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종교적 사랑을 말할때는 의지가 강조되는 ‘아가파오’를 사용했고 정서적인 면이나 친구나 동료간의 사랑을 아나탤 때에는 ‘필레오’를 사용한다. 
 
 
 
 
 
2:4 Paul continues here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of older women and, at the same time, begins those that should characterize younger women, linking the older to the younger as those who teach what they themselves are and seek to be. The ἵνα clause is connected with καλοδιδασκάλους (v. 3) and identifies the purpose of the older women in teaching what is good.
σωφρονίζωσιν (a NT hapax; the variant reading σωφρονίζουσιν makes little difference in meaning; see NA26 and Bernard’s arguments for the adopted reading) is used here in the active sense of “encourage, advise, urge” (BAGD). Paul uses the positive τὰς νέας, “young women,” with the infinitive εἶναι as the object of σωφρονίζωσιν (the only PE occurrence of noncomparative νέος, “young”) and the comparative in v. 6, as in 1 Tim. 5:2, of the same age group (the comparative often has little comparative force; cf. the alternation in Diodorus Siculus 18.46.3–4). “Young (er)” covered a longer span of time than it does today, and Paul distinguishes “older” and “younger” with a degree of fluidity (see the comments on 1 Tim. 4:12; J. Behm, TDNT IV, 897; BAGD s.v. πρεσβύτης).
φίλανδροι** (a NT hapax used elsewhere in Greek literature; see BAGD) means, as the component parts of the word indicate, “loving their husbands.” This word and the next (φιλότεκνοι) were used together in, e.g., an epitaph from Pergamus of about the time of Hadrian (Deissmann, Bible Studies, 255f.: “to the most sweet woman who loved her husband and her children”). φιλότεκνοι** (a NT hapax) is used elsewhere, as here, especially of women, of “loving one’s children” in a positive and not indulgent manner (see BAGD).
It is noteworthy that the list of characteristics for young women begins with love for husband and children. This section thereby fills out the instructions to wives in Ephesians, Colossians, and 1 Peter, where the emphasis falls on fulfilling the role of submission and where love on the part of wives is not mentioned. It may seem strange for older women to be called upon to teach younger women to love their husbands and children. But this is put into perspective when we realize that Christians are constantly being taught in the NT to love, whether it be God or fellow Christians and neighbors (here the closest neighbor).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07.
 
5절) ‘신중하며 순전하며 집안 일을 하며’, 신중하며로 번역된 ‘소프론’은 앞서 2절에서 사용된 표현으로 바울의 목회서신에 집중적으로 사용된 표현이다. 
 
‘순전하며’로 번역된 ‘하그나스’의 원형 ‘하그노스’는 신약 서신서에만 나타나는 단어로 ‘거룩한’을 의미하는 ‘하기오스’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존경심을 자극하는, 순수한, 순결한, 모든 오류에서 순수한’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여자의 순결성이라는 의미와 더불어 도덕적으로 훔이 없이 정결한 것을 나타낸다. 
 
‘집안일을 하며’로 번역된 ‘오이쿠르구스’의 원형 ‘오이쿠로스’는 ‘집’을 의미하는 ‘오이코스’와 ‘지키는 자’라는 의미의 ‘우로스’의 합성어로 ‘집지키는 자, 가정을 잘 지키며 가사를 돌보는, 가사에 충실한, 가정적인’을 의미한다(딤전 5:14). 당시 여성이 사회활동을 하는데는 제약이 많았고 남성 위주의 가부장적 사회였기에 여성의 주된 임무는 가정을 잘 돌보는 일이었다. 
 
 
이어 바울은 젊은 여자들이 ‘선하며 자기 남편에게 복종’할 것을 늙은 여인들에게 가르치라고 권고한다. 남편에 대한 아내의 복종은 신약 여러곳에서 교훈하고 있다.(엡 5:22; 골 3:18; 벧전 3:1) 이는 약자로서의 굴종이 아니라 가정의 평화와 창조 질서에 따른 자발적 순복을 의미한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이 비방을 받지 않게 하려 함이라’, ‘비방을 받지’로 번역된 ‘블라스페메타이’는 ‘플레스페메오’의 현재 수동태 가정법이다. ‘블라스페메오’는 ‘비난하다, 욕하다, 모독하다, 중상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복음서에서 유대인들이 예수님을 향해 ‘참람하다’라는 말을 했다(막 2:7). 이 표현은 신성한 것, 즉 하나님이나 성령처럼 마땅히 숭상해야할 대상에 대해 모독하거나 방해하는 것을 말할 때 쓰인다. 본문에서는 수동태로 사용되었는데 경멸적인 말이나 행위로 인해 하나님의 말씀이 모독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절에서는 신앙있는 젊은 여성이 가정안에서 남편을 존중하지 않고 자녀들을 잘 양육하지 못할 때 결과적으로 불신자들로부터 하나님의 말씀이 형편없다고 모독을 받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울은 유대인들이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지 못할 때 그들이 믿는 하나님의 이름이 이방인 중에서 모독을 받는다고 했다.(롬 2:24) 즉 하나님께서는 가정이라는 공동체를 운영하는 질서, 원리를 제시하셨고 이것에 순종하지 않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망령되이 여기는 것이고 그런 행위, 모습은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이들로 하여금 하나님을 비방케 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2:5 Paul continues with other things that older women should teach younger women (and which the older women are also to be). σώφρων (see 2:2) is the “prudent, thoughtful” aspect of being “self-controlled” and is the one term that is emphasized for each of these age and sex groups (vv. 2, 5, 6). ἁγνός (see 1 Tim. 5:22) means here “pure” in the moral sense. In the literature of the day it was often used of women in the sense of “chaste,” but it need not be restricted to that meaning here or elsewhere in the NT.
οἰκουργός** (a NT hapax; for the variant reading οἰκουρούς and the reasons for the UBSGNT reading see TCGNT), literally “working at home,” has been more aptly rendered by NEB and NIV by “busy at home.” That is, women should be diligent homemakers (cf. 1 Tim. 5:14 in contrast to 5:13; cf. also Pr. 31:10–31 with its wide range of activities done by the wife as homemaker). Some commentators and versions, ancient and modern, have joined the following ἀγαθάς to this word and understood the two together, one as a noun the other as an adjective, as “good housewives” (so TEV; cf. the arguments, e.g., of Dibelius-Conzelmann and Hanson). This is certainly a possibility, but since the virtues up to this point have consisted of single items, it is more likely that these two words are to be taken separately (cf. the arguments, e.g., of Alford, Dornier, Kelly, Ridderbos, and Spicq; translated as such by RSV, NEB, NASB, NIV). Paul uses ἀγαθός frequently as an adjective in the phrase “good works,” and substantively in speaking about “the good.” Here, however, it is used as a human characteristic and probably should be understood as “kind,” as probably also in 1 Pet. 2:18 (perhaps also Rom. 5:7; cf. also the related sense in Mt. 20:15).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six characteristics presented for young women to this point are grouped in three pairs. The first two, “loving husbands” and “loving children,” could well be a pair and were joined together in literature of the time. The third and fourth, “prudent” and “pure,” would present an interesting combination of wisdom and holiness, and the fifth and sixth, “busy at home” and “kind,” would present a balanced combination of hard-working but also good-natured and considerate. The evidence for this suggestion is not compelling but is suggestive and plausible. Its plausibility is increased by the clear pairing of the first two terms, which may set a pattern, and is strengthened somewhat by the tendency of Paul and others to use pairs and other groupings (cf. 1:6–9).
If this suggested pairing is correct, it provides some explanation for the order of the list and may in turn suggest that a larger perspective is involved in the order of the three pairs. The first pair would present the main concerns of the wife/mother in her relationships in the home. The second pair would focus on her own piety, and the third would speak of her domain of activity and her attitudes and actions toward those around her. Such an overarching order may also be suggested by the fact that the list begins and ends—with the seventh item, yet to be considered—with the younger woman’s relationship to her husband.
The present middle participle ὑποτασσομένας means here “continually submitting themselves,” in the sense of voluntary submission. This submission is to be “to their own husbands.” τοῖς ἀνδράσιν, literally “to the men,” is used here in the special sense of “husbands,” as the qualifying ἰδίοις makes evident (cf. 1 Cor. 7:2; 14:35; Eph. 5:22ff.; Col. 3:18f.; 1 Tim. 3:2, 12; 5:9; Tit. 1:6; 2:5; 1 Pet. 3:1, 5), and is in keeping with “a divinely willed order” (G. Delling, TDNT VIII, 41ff., especially 43). Paul uses ὑποτάσσω to refer to being under authority (ibid., 43f.), specifically of the relationship of women to men in the congregation (1 Cor. 14:34; cf. 1 Tim. 2:11: ὑποταγή) and to their husbands (here; Eph. 5:21, 24; Col. 3:18; so also 1 Pet. 3:1, 5). Such submission i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husband as the “head” or leader of the marriage (Eph. 5:22–24; cf. 1 Cor. 11:3).
Paul does not feel it necessary to say that all submission is submission under God, with all that is involved in that truth (cf. Acts 4:19; 5:29), nor does he find it necessary to repeat what he says elsewhere about the equality of a woman/wife to a man/her husband (Gal. 3:28; 1 Cor. 11:11–12; cf. also 1 Pet. 3:7). This is so because that equality under God is part of the basic premise of the Christian faith and because Paul does not regard submission as problematic and needing explanation or qualification (cf. especially in his delineation of the headship of man the statement that “God is the head of Christ,” 1 Cor. 11:3).
The concluding words, “that God’s word may not be dishonored,” may be mo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immediately preceding clause but should be regarded as referring to all that precedes (for an analogy cf. v. 10; see Ellicott). ὁ λόγος τοῦ θεοῦ is used here as in 2 Tim. 2:9 and Phil. 1:14 of “the message of God” (cf. Tit. 1:3). βλασφημέω, “speak evil of, blaspheme,” is used in a similar context in Rom. 2:24, where Paul, applying Is. 52:5 (cf. LXX), writes of the Jews that “God’s name is blasphemed among the Gentiles because of you,” and he applies the same idea to Christian slaves in nearly the same words in 1 Tim. 6:1. The idea is again applied here with God’s “word” in the place of God’s “name.” Paul thus encourages godly conduct by saying that it keeps God’s message from being spoken evil of. Therefore, for a wife to fail to be submissive to her husband or to be unloving or impure, etc., would allow non-Christians to say that Christianity makes people worse rather than better and therefore that its message is not only useless but bad.
Fee and others are mistaken in understanding this argument to be saying that the conduct prescribed is simply that which is culturally acceptable, implying that Paul did not regard it as what is intrinsically right in God’s sight. But Fee would presumably not regard the traits in this list other than the last one as merely cultural. The issue is Paul’s view of submission of wife to husband. Fee is correct in assuming that Paul sees a motivation for good behavior in the view of non-Christians in the particular culture. And Paul does list things here that represent the norms of the day. But it is an error is to assume that what is unacceptable to non-Christians is therefore merely cultural and does not reflect a transcultural moral standard. Paul appeals to Gentile non-Christian perspectives here and elsewhere (1 Tim. 5:8; 1 Cor. 5:1) because he regards non-Christians as having in these cases a proper ethical sense, since “the work of the law is written in their hearts” (Rom. 2:15) and since they know right from wrong in certain basics even if they themselves do not follow this knowledge (Rom. 1:32).
It is particularly significant that when Paul uses the same kind of motivation in regard to Titus’s own behavior (Tit. 2:8) he has more than a relative or culturally accepted standard in view: “Beyond reproach” and “having nothing bad to say about us” refer back to Paul’s reference—from a Christian perspective—to “good deeds,” “purity in doctrine,” and “sound speech” (vv. 7–8). In the same way, Paul says that older women must be “teachers of the good” (καλοδιδασκάλους) to young women, “the good” then being described in the virtues listed, including submission to husbands. And Paul consistently uses the concept “good” of that which is good from God’s point of view, not of that which society happens to regard as good. Furthermore, since the sections here on older men and women and younger men reflect Christian norms rather than merely contemporary cultural norms and are presented side-by-side with this section on young women and in a similar format, there is no reason to think that this section approaches behavior on a basically different basis.
Thus Paul does indeed appeal to young women to be concerned about the non-Christian’s evaluation of misconduct, but precisely because he regarded that evaluation as correct, and because misconduct on the part of Christians would undoubtedly cause non-Christians to speak ill of the gospel as that which they perceived as being responsible for such misconduct.
Four of the seven virtues listed here for young women relate to marriage and the home. This is so probably because marriage and the home were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vast majority of young women and because Paul desired to minister to them in the sphere that they found themselves. He may also put the emphasis there partly as a response to the error of the false teachers (cf. 1:11, 14; 1 Tim. 4:3).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 B. M.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NEB New English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LXX Septuagint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07–310.
 
728x90
But as for you, teach what accords with psound1 doctrine. Older men are to be sober-minded, dignified, self-controlled, psound in faith, in love, and in steadfastness.
p See 1 Tim. 1:10
1 Or healthy; also verses 2, 8
p [See ver. 1 above]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2:1–2.
 
2 오직 너는 1)바른 교훈에 합당한 것을 말하여
2 늙은 남자로는 절제하며 경건하며 신중하며 믿음과 사랑과 인내함에 1)온전하게 하고
1) 헬, 건전한
1) 헬, 건전하게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2:1–2.
 
2:1~3:8에서는 복음에 뿌리를 둔 그리스도인의 올바른 생활에 대하여 묘사한다. 이는 거짓 교사들의 행동과는 직접적으로 대비를 이룬다.(1:10-16) 목회서신인 이 편지의 주된 관심은 바른 교리는 바른 행동으로 이어진 다는 것이다. 바울은 디도에게 바른 행동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이런 행동의 근원을 하나님의 말씀, 복음에서 찾으며 디도에게 이런 것들을 권위있게 가르치라는 명령으로 본문의 내용을 전개한다. 이어지는 두 문단 2:1-15과 3:1-8은 이러한 구조를 지닌다. 
 
먼저 2:1-10의 내용은 연령, 성별 집단에 따른 올바른 생활이 무엇인지를 밝힌다. 물론 이러한 가르침이 문화적 상황에도 적용되지만 1절은 이 행위의 근거를 ‘바른 교훈’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1절) 앞서 1:9에서 바울은 감독들에게 ‘바른 교훈으로 권면’할 수 있어야 함을 말했다. 이제 디도에게 바른 교훈에 합당한 것을 말하라고 권면하고 있다. 
‘오직 너는’이라고 번역된 ‘쉬 데’는 ‘그러나 너는’으로 번역될 수 있다. ‘데’는 역접 접속사로 앞선 1:16에 등장하는 더럽고 믿지 않는 자들, 하나님을 시인하지만 행위로는 부인하는 이들과는 대조적인 내용이 디도에게 요구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오직 너는’이라는 표현은 그레데 섬의 이단, 거짓 교사들과 비교하여 복음의 참 일꾼인 디도를 부각시킨다.(딤후 3:14)
‘합당한’으로 번역된 ‘프레페이’의 원형 ‘프레포’는 ‘어울리다, 합당하다, 마땅하다’라는 뜻이 있다. 이 표현은 신약에 7번 등장하는데 마 3:15에 한번 등장하는 것을 제외하고 모두 바울 서신에서만 사용되었다. 이는 진리와 교훈에 적합한 행동이나 삶을 강조할 때 사용되는 바울의 특징적인 단어라고 할 수 있다.  
 
‘말하여’라고 번역된 ‘랄레이’는 원형 ‘랄레오’의 현재 능동태 명령형으로 지속하여 적극적으로 말하라는 의미이다. 같은 의미를 지닌 동사 ‘레고’가 말하는 의미와 내용에 강조를 둔 단어라면 ‘랄레오’는 말하는 소리와 발음에 보다 클 강조를 둔 단어이다. 이처럼 랄레오는 ‘침묵하다, 잠자코 있다’라는 말의 반대적 의미로 사용되어 ‘자기의 생각이나 마음을 나타내기 위해 말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즉 바울은 디도에게 하나님의 바른 교훈에 부합한 것에 대하여 함구하거나 소극적인 자세로 임하지 말고 하나님의 말씀을 맡은 바 영혼을 관리하고 책임을 져야하는 자로서 더욱 담대하게 선포하고 큰소리로 외칠것을 권고하고 있는 것이다. 
 
2절) ‘늙은 남자’로 번역된 ‘프레스뷔타스’의 원형 ‘프레스뷔테스’는 1:5에 ‘장로’로 표현된 ‘프레스뷔테로스’와 같은 어근을 지니며 ‘나이 많은 사람, 노쇠한 사람’이라는 뜻이 있다. ‘프페스뷔테스’는 대략 60세 정도의 남자로 몇 세대가 함께 사는 당시 가부장 사회에서 한 가정을 다스리는 가장격에 있는 남자를 말한다. 이들은 공동체 내에서 아랫사람을 훈계하며 믿음의 본을 보여야 하는 어른들이다. 바울은 이런 교회의 노인들이 갖추어야할 덕목으로 절제와 경건과 근신 및 믿음과 사랑과 인내함에 온전케 되는 것을 말하고 있다. 
 
‘절제’로 번역된 ‘네팔리우스’의 원형 ‘네팔레오스’는 ‘음식을 삼가는, 술을 절제하는, 행위를 절제하는’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 단어의 어원인 ‘네포’는 ‘술이 깨다, 정신차리다’라는 뜻이 있는데 이를 통해 유추해볼 때 술에 취하거나 기타 유혹에 넘어가지 않는 맑은 정신을 지닌 상태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결국 바른 판단력과 분별력을 유지하기 위해 또한 무엇보다 영적으로 깨어있기 위해 절제하라고 말하는 것이다. 
 
‘경건하며’로 번역된 ‘셈누스’의 원형 ‘셈노스’는 ‘귀하신, 공경할만한, 인격적으로 존경할만한’이라는 뜻이다. 이는 사람에 대한 바람직한 자세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단어(빌 4:8; 딤전 3:8, 11)로 딤전에서는 ‘단정하고’로 번역되어있다. 하나님이나 신앙심에 관한 ‘경건’을 말할 때는 ‘유세베이아’를 사용한다.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경건은 신앙심에 대한 경건이 아니라 예의 범절이나 질서 정연함에 있어서의 윤리적인 자세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 나이많은 남자들은 인격적으로나 품행이 방정하여 존경받을만한 사람이어야 한다. 
 
‘신중하며’로 번역된 형용사 ‘소프로나스’의 원형 ‘소프론’은 바울의 목회서신에만 등장하는 단어이다(딛 1:8; 2;5; 딤전 3:2) 
‘신중하며’, ‘소프로나’라는 단어는 ‘마음이 건전한 제정신의’라는 의미이다. KJV은 이를 ‘술 취하지 않은, sober’로 번역하였는데 이는 술 취한 몽롱한 상태가 아닌 정신적으로 맑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처럼 신중하다는 것은 어떤 것에 취하거나 정신이 빠져있지 않고 건전한 정신을 지켜서 바른 선택과 태도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앞선 절제하며와 비슷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바울은 늙은 남자뿐만 아니라 젊은 여자(5절), 젊은 남자(6절), 우리 그리스도인들(12절)에서 모두 공통적으로 ‘신중함, 소프론’을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신중함’은 그리스도인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중요한 덕목임을 알 수 있다. 
 
‘온전하게 하고’로 번역된 ‘휘기아이논타스’는 ‘휘기아이노’의 현재 분사이다. 이 온전하게라는 표현은 1:9, 13; 2:1, 2등 모두 본서에서 4번 사용된 동사로 기본적으로 건전한(sound)의 의미이다. 
디도서 2:2(공동번역)
2나이 많은 남자들에게는 자제력이 있고 위엄이 있고 신중하며 건전한 믿음과 건전한 사랑과 건전한 인내를 갖추도록 가르치시오.
디도서 2:2(새번역)
2나이 많은 남자들은, 절제 있고, 위엄 있고, 신중하고, 믿음과 사랑과 인내심이 흔들리지 않는 사람이 되게 하십시오.
 
바울은 특별히 늙은 남자들에게 경고하면서 절제와 신중함을 강조한다. 나이들어 기력이 쇠해지는 이들을 향해 절제와 근신을 강조하는 것이 조금 이상해보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고 특히 나이가 들 수록 노욕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권력이나 명예욕에 집착하고, 고집이나 자신의 생각이 굳어져서 주위의 충고나 조언을 듣지 않는 경향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나이든 성도들은 이 세상의 노인들과는 다른 모습을 지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째 나이가 들었다고 위축되어 뒤로 물러나지 말아야 한다. 나이가 들었기에 백발의 성숙함, 경험과 지혜를 가지고 성도들의 신앙생활을 풍성케 해야 한다. 
둘째 나이가 들었다고 항상 남의 말을 무시하며 가르치려만 할 것이 아니라 도리어 세월과 함께 오는 여러 약점들을 고치고 바로잡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하고 배워야 한다. 
 
 
 
 
 
 
 
 
 
 
 
 
728x90
15 jTo the pure, all things are pure, but to the defiled and kunbelieving, nothing is pure; but both ltheir minds and their consciences are defiled. 16 mThey profess to know God, but they ndeny him by their works. They are detestable, disobedient, ounfit for any good work.
j [Luke 11:41; 1 Tim. 4:3]; See Acts 10:15
k [Rom. 14:23]
l See 1 Tim. 6:5
m [1 John 2:4]
n See 1 Tim. 5:8
o 2 Tim. 3: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15–16.
 
15 깨끗한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깨끗하나 더럽고 믿지 아니하는 자들에게는 아무 것도 깨끗한 것이 없고 오직 그들의 마음과 양심이 더러운지라
16 그들이 하나님을 시인하나 행위로는 부인하니 가증한 자요 복종하지 아니하는 자요 모든 선한 일을 버리는 자니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1:15–16.
 
15-16절은 앞선 내용과 연결되어 바울이 거짓 교사들의 내면적 부패성을 지적하고 있다. 
 
10절.  A 거짓 교사의 실상
11절.        B 제재의 명령
12.13a.   M 그레데인의 거친 품성
13b.l4.     B 제재의 명령
15.16.         A 거짓 교사의 실상
 
15절) ‘깨끗하나’로 번역된 ‘카다라'의 원형 ‘카다로스’는 물리적으로 ‘정제된’, 종교적으로는 ‘정결한’, 윤리적으로는 ‘죄가 없는, 더러운 욕구가 없는’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본절에서는 이 단어가 두번 사용되는데 ‘카다라’는 레위기에 나오는 율법의 의미로 아무런 불결함도 주지 않는다는 의미이며(레 14:20) ‘카다로이스’는 그리스도의 구속의 은혜로 정결케 된 사람들이란 의미이다. 본문은 그리스도의 의로 깨끗함을 임은 자들에게는 모든 마음이 깨끗하게 여겨진다는 의미이다. 
 
‘더럽고 믿지 아니하는 자들에게는 아무 것도 깨끗한 것이 없고’, ‘더럽고’로 번역된 ‘메미암메노이스’의 원형 ‘미아이노’는 ‘더럽혀지다, 오염되다’라는 의미로 완료 수동태 분사형으로 쓰였다. 앞서 깨끗한 자들과는 대조적으로 더럽고 믿지 않는 자들에게는 아무 것도 깨끗한 것이 없다. 
 
본문은 예수님의 가르침(눅 11:41)과 바울의 글(롬 14:20)을 연상시킨다. 거짓 가르침의 유대적 성격과 예수님과 바울의 이전 가르침이라는 맥락속에서 보면 여기서 다루고 있는 것은 유대인의 음식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까 식물 자체가 더러운 것이 아니라 영적으로 부정한 믿지 않는 자들의 내면이 더러운 것이다. 유대주의자들은 모세의 율법을 강조하면서 자신들이 선택받은 민족임을 강조하면서 이방인과 구별하였고 이 과정에서 정결한 음식과 부정한 음식을 구별하였다. 또한 영지주의자들도 결혼과 식물을 금하는 금욕주의적 성향(딤전 4:1-5)이 있었다. 이들은 죄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인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이 없는 자들이기에 죄사함을 받지 않은 영적으로 더러운 자들이다. 바울은 그들의 마음과 양심이 더럽다라고 했다. 사실 당시 거짓 교사들과 영지주의자들은 금욕과 고행을 주장하면서 그들의 마음과 양심은 부패함으로 가득차있던 이들이었기에 내면이 부패한 자들이었다. 앞서 ‘더럽고’라고 표현된 단어가 다시 사용되어서 ‘메미안타이’로 표현되었는데 이는 완료 수동태 직설법 표현으로 ‘더럽혀졌다’라는 의미이다. 
NIV는 'both their minds and consciences are corrupted.’라고 표현했고 ESV는 ' but both their minds and their consciences are defiled.’라고 번역했다. 
 
마음은 ‘누스’, 양심은 ‘쉬네이데시스’로 ‘옮고 그름을 구별하는 심리적 능력’을 의미한다. 
 
συνείδησις -εως, ἡ; (syneidēsis), 명사. 양심. 히브리어 등가: מַדָּע (1).
명사 용법
1. 양심 — 옳고 그름을 구별하는 심리적 능력; 행동에 따라 그 사람을 괴롭히거나 위로한. 관련 주제: 양심; 양심의 가책.
고전 8:7 συνείδησις αὐτῶν
고전 10:25 διὰ τὴν συνείδησιν,
딛 1:15 καὶ ὁ νοῦς καὶ ἡ συνείδησις.
벧전 2:19 διὰ συνείδησιν θεοῦ
벧전 3:21 συνειδήσεως ἀγαθῆς ἐπερώτημα
2. 인식 (도덕) — 어떤 것을 알고 있음. 대부분 그 지식에 대한 도덕적 이해를 포함. 관련 주제: 도덕.
히 10:2 συνείδησιν ἁμαρτιῶν
명사. 명사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디모데전서 4:4–5
4하나님께서 지으신 모든 것이 선하매 감사함으로 받으면 버릴 것이 없나니
5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로 거룩하여짐이라
하나님이 지으신 모든 세계는 선하다. 그런데 이 선한 것을 감사함으로, 선함으로 받으면 선한 것이 되고 반대로 더럽고 믿지 아니함으로 받으면 더러운 것이 되는 것이다. 
 
1:15 Paul most likely addresses the question of “purity” because it is one of the problems that the false teachers have raised in their teaching and, very likely, in their human commandments. First he states as a basic Christian principle that all things are pure to those who are pure. Then as a second principle he says that to those who are defiled and unbelieving nothing is pure. He concludes by saying that the very minds and consciences of such people are defiled.
καθαρός, “pure,” is used 3x in this verse, twice in the first clause, literally “all things are pure to the pure ones,” and once in the second, “to those who are defiled and unbelieving, nothing is pure.” With πάντα καθαρά, “all things are pure,” and οὐδὲν καθαρόν, “nothing is pure,” Paul refers to ceremonial purity (as do Rom. 14:20; Lk. 11:41, both with πάντα καθαρά). With τοῖς καθαροῖς he uses the word in its moral and religious sense of “cleansed of sin” and “made inwardly clean” (cf. the other PE* occurrences: 1 Tim. 1:5 [see the comments there]; 3:9; 2 Tim. 1:3; 2:22; cf. also Paul’s use of καθαρίζω: 2 Cor. 7:1; Eph. 5:26; Tit. 2:14). This religious and moral cleansing is accomplished by Christ’s death (Tit. 2:14), which he applies to a person’s life through his word and Spirit (cf. Eph. 5:26) and by which one’s heart is cleansed, as the Jerusalem Council put it, by faith (Acts 15:9). It is in this sense that Paul speaks of “the pure” (τοῖς καθαροῖς).
1 Tim. 4:3–4 says virtually the same thing as the first clause of this verse when it says that Christians “know” that “everything created by God is good” and also, therefore, that “nothing is to be rejected” or regarded as impure or unacceptable for its God-intended use. The presence of πάντα, “all,” here makes the statement absolute and unqualified (cf. πᾶν κτίσμα θεοῦ in 1 Tim. 4:4) and thereby shows that any human commandment that declares anything impure is, by that very fact, erroneous (the unstated but obvious lesson intended by beginning with this positive and absolute principle in a passage that deals with the error that contradicts this principle). Paul is not dealing here with the OT ceremonial laws of impurity, which did not deal with moral impurity but with things that God declared ceremonially impure so that they might serve as object lessons for spiritual matters. Peter’s experience (Acts 15:15) showed that God had reversed this impurity by his own declaration (Acts 15:15).
In the second clause Paul, in contrast (δέ), deals with those who are οἱ μεμιαμμένοι (the first of two occurrences of the verb μιαίνω, both in the perfect to emphasize the continuing state), “the defiled.” That those referred to are “defiled” specifically in the moral and religious sense is indicated by the further designation of them as “unbelieving”: The most basic aspect of their defilement is that they have not believed and therefore have not been cleansed by God from the defilement of sin (cf. the comments above on οἱ καθαροί and the parallelism of these two clauses). These people are also said in the following verse to “deny” God by their “deeds” and to be “disobedient,” both of which would indicate the ongoing defilement of “sins and vices” (BAGD s.v. 2).
ἄπιστος (here and 1 Tim. 5:8 in the PE*) consistently designates in Paul one who is an “unbeliever,” who does not believe in Christ. Paul attributes this to the defiled here, even though (as he says in the next verse) they profess to know God, apparently because their commandments regarding purity demonstrate that they have not trusted Christ alone as the one who can cleanse their lives and make them pure. They are trusting in their asceticism to make them pure, but this reliance on oneself, as Paul says in Col. 1:18–19, is “self-abasement” and entails that one is “not holding to the head” (Christ). Such persons are, therefore, ἀπίστοι.
For the defiled and unbelieving “nothing is pure.” That is, there is nothing that does not become defiled by their own religious and moral defilement. Paul seems to be applying the argument of Hg. 2:13–14.
ἀλλά before the concluding clause indicates not another contrast with the immediately preceding clause but, as Ridderbos points out, a further enlargement of the contrast already begun with δέ, as the repetition of the main verb μιαίνω bears out. By saying that the defilement is in “their mind and conscience,” Paul signifies that it is internal and thus intrinsically moral and religious. αὐτῶν, “their,” is placed before the καί … καί construction that closely links “mind” and “conscience” and is thereby emphasized and connected to both nouns. ὁ νοῦς (see 1 Tim. 6:5), “the mind,” refers here to one’s “way of thinking” (BAGD s.v. 3). Paul consistently regards “the mind” of the non-Christian as controlled by sin and therefore erroneous in its outlook (e.g., Rom. 1:28; Eph. 4:17; especially 1 Tim. 6:5 and 2 Tim. 3:8) and needing to be transformed by renewal (Rom. 12:2; Eph. 4:23). ἡ συνείδησις (see 1 Tim. 1:5), “conscience,” is “moral self-consciousness.” In short, Paul says that in both their understanding and their moral evaluation these people are “defiled.”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01–303.
 
 
16절) ‘그들이 하나님을 시인하나 행위로는 부인하니’, ‘그들이 시인하나’로 번역된 ‘호몰로구신’의 원형 ‘호몰로게오’는 ‘인정하다, 약속하다, 고백하다, 선언하다, 공언하다’라는 의미를 지니는데 기독교의 신앙 고백의 문맥에서도 사용된다.(고후 9:13; 딤전 6:12) 본문에 번역이 생략된 단어인 ‘에이데나이’는 ‘알다’라는 의미의 ‘오이다’의 부정사로 ‘그들이 하나님을 알고 있다고 고백한다’라는 의미이다. 이들의 앎은 지적인 앎에 멈춰있다. 
야고보서 2:19
19네가 하나님은 한 분이신 줄을 믿느냐 잘하는도다 귀신들도 믿고 떠느니라
누가복음 4:41
41여러 사람에게서 귀신들이 나가며 소리 질러 이르되 당신은 하나님의 아들이니이다 예수께서 꾸짖으사 그들이 말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니 이는 자기를 그리스도인 줄 앎이러라
 
도리어 귀신들이 주님을 알고 믿었다. 하지만 이들의 앎은 주님을 주로 고백하고 인정하고 경배하는 믿음을 나아가지 못했다. 결국 우리들도 하나님을 알고 시인하지만 그것이 온전한 믿음으로 나아가지 못할 때, 즉 그 믿음이 하나님을 경배하고 행동으로 증명되지 않을 때 죽은 믿음의 소유자가 되는 것이다. 
 
‘행위로는’으로 번역된 ‘에르고이스’의 원형 ‘에르곤’은 ‘사업, 직업, 모든 인간들의 행동’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여기서는 전인격으로 나타나는 행동이란 의미로 사용되었다. 당시 유대주의자들이나 영지주의자들은 입으로는 하나님을 알고 믿는다고 하지만 실제로 하나님의 말씀대로 행동하지 않았다. 그들은 경건의 능력은 상실하고 경건의 모양만 갖춘 자들이었다.(딤후 3:5) 입으로는 ‘주여 주여’를 외치지만 하나님의 아는 바 되지 못하고 거부당할 것이다.(마 7:21-23) 
마태복음 7:21–23
21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다 천국에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
22그 날에 많은 사람이 나더러 이르되 주여 주여 우리가 주의 이름으로 선지자 노릇 하며 주의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 내며 주의 이름으로 많은 권능을 행하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리니
23그 때에 내가 그들에게 밝히 말하되 내가 너희를 도무지 알지 못하니 불법을 행하는 자들아 내게서 떠나가라 하리라
 
결국 하나님을 안다고 공언하면서 그의 계명을 지키지 않는 자는 거짓말하는 자(요일 2:4)이며 하나님을 대적하는 악한 귀신과 같은 자들이다. 
요한1서 2:4–5
4그를 아노라 하고 그의 계명을 지키지 아니하는 자는 거짓말하는 자요 진리가 그 속에 있지 아니하되
5누구든지 그의 말씀을 지키는 자는 하나님의 사랑이 참으로 그 속에서 온전하게 되었나니 이로써 우리가 그의 안에 있는 줄을 아노라
바울은 그레데의 거짓 교사들은 모두 거짓말하는 귀신에 속한 자들(요 8:44)임을 공언하고 있다. 
 
‘가증한’으로 번역된 ‘브델뤽토이’는 신약에서 유일하게 이곳에서만 사용되었다. 명사형 ‘브델뤼그마’와 동사 ‘브델륏소’는 각각 6회, 2회 사용되었다. 이 표현은 구약에서 하나님이 우상이나 우상 숭배와 관련된 것들을 보실 때 느끼는 혐오할만한 감정을 나타내는 용례로 사용되었고(겔 5:9; 왕하 16:3) 신약에서도 성전을 더럽히는 것(마 24:15), 천국에 들어올 수 없는 것(계 24:15), 하나님의 미움을 받는 것(눅 16:15)등을 나타내는데 쓰였다. 
 
‘선한 일’즉 ‘에르곤 아가돈’은 그레데 이단과 관련하여 대조되어 사용되는 중요한 표현이다. 이 선한 일은 구원받은 그리스도인들로서 자신의 삶 속에서 진리를 드러내는 삶이요 열매를 맺어가는 삶이다. 
‘버리는 자’로 번역된 ‘아도키모이’의 원형 ‘아도키모스’는 붖어 접두어 ‘아’와 ‘인정된’이란 뜻을 갖는 ‘도키모스’가 결합된 단어로 ‘시험에 합격하지 않은, 공인되지 않은, 가짜라고 판명된, 믿음에 관하여는 버리운’이란 뜻으로도 쓰였다. 한글 성경에서 이를 ‘버리는 자’로 번역하여 능동적으로 그들이 선한 일을 버린 자로 오해할 수 있다. 원문의 의미대로 보자면 ‘합격하지 못한, 인정받지 못한’의 의미이다. 전치사 ‘프로스’가 ‘~에 대하여’라는 뜻이기에 ‘모든 선한 일에 대하여는 인정받지 못한 이들이다’라는 의미로 번역하는 것이 적합하다. ESV는 ‘unfit for any good work’로 번역했다. 입술로만 하나님을 시인하고 행위로는 부인하는 자들은 이미 믿음에 대해 버림을 당한 자들이며 가짜라고 판명된 자들이다. 그렇기에 이런 자들이 선한 열매를 맺는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참 포도나무되신 주님께 붙어있지 않은 자들이기 때문이다. 
 
 
15-16절에서 말하는 거짓 교사들의 실상은 앞선 10-11절에서 말한 거짓 교사들의 실상과 연결된다. 지금 그레데 교회 가운데 거짓 교사들은 불순종하고 헛된 말을 하며 속이는 이들로 할례파 중에 많이 있었다. 이들은 마땅치 않은 것들을 가르침으로 여러 가정들을 무너뜨렸다. 이 유대인들은 허탄한 이야기와 진리를 배반하는 명령들을 하였고 하나님을 시인하지만 행위로는 부인하는 가증한 자들이다. 
 
1:16 On the background of the principles spelled out in v. 15, Paul turns to a specific evaluation of the false teachers. First, he acknowledges their claim: “they profess to know God.” ὁμολογοῦσιν is used in the sense that they “declare publicly” or “claim” (BAGD s.v. 4) to “know” God. εἰδέναι, “to know” (the infinitive of οἶδα), is used here in the sense of a personal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God (BAGD s.v. οἶδα 2).
In contrast (δέ) to this profession, τοῖς ἔργοις (see 1 Tim. 2:10), “the deeds,” or “their deeds” (with the article implying possession), are the means by which such people actually “deny” (ἀρνοῦνται; see 1 Tim. 5:8; 2 Tim. 2:12) God (the previous θεόν is assumed), the very one they claim to know. Paul does not make explicit what these deeds are. The similarities with 1 Tim. 4:1ff. noted above make it likely that Paul has in mind at least the kind of ascetic actions described there (perhaps with other deeds), by which these people reject what God gives to be gratefully received, deny the Creator’s goodness, and show that they do not really know him who made all things good.
The next clause appears to be a further indication of why their deeds deny God, rather than a further listing of independent traits. “Their actual behavior denies their profession, for they are …” (Phillips, NT in Modern English). βδελυκτός** (a NT hapax) means “abominable and detestable” in God’s sight. Since Paul has just dealt with the question of purity and with the defilement of those he is speaking of, the LXX of Pr. 17:15 may have come to mind with its statement that one who “pronounces the unjust just and the just unjust” is unclean (ἀκάθαρτος) and abominable (βδελυκτός) to God. Furthermore, the false teachers may have made similar erroneous judgments about Christians, thus deserving this identification. ἀπειθής means “disobedient” and may in this setting refer to the disobedience in view in 1 Tim. 4:3–4, that of rejecting the good gifts God has created to be received with thanksgiving, i.e., marriage and certain foods.
ἀδόκιμος basically means “not standing the test” and then, “disqualified,” as here (cf. especially 2 Cor. 13:5; 2 Tim. 3:8). If we have understood correctly Paul’s use of βδελυκτός and ἀπειθής, then this last characteristic can be understood as the conclusion that inevitably follows. If one is “detestable” because he judges the work of Christ inadequate for attaining true purity, and “disobedient” because he rejects the good gifts of God’s creation, then that person is also so “disqualified” in God’s sight that this unfitness extends to (πρός) anything and everything (πᾶν) that he does (cf. again v. 15b), with the result that no deed (ἔργον) of his can be good (ἀγαθόν) and acceptable to God.
Some have thought that those referred to here and in v. 14b (“those who turn away from the truth”) are outsiders, Pharisaic Jewish leaders influencing false teachers “of the circumcision” (v. 10) within the Christian community. Hendriksen and Parry, e.g., say that the claim “to know God” is a Jewish claim. The radical and decisive language that Paul uses to describe these individuals probably influenced this view: It is assumed that these words would only be applied to those outside the Christian community.
But the error spoken of here is not what was typical of Jews. These false teachers are not the same as those combated in Galatians. They do not insist on circumcision and OT ceremonial rites. They have a more esoteric (“myths and genealogies”) and ascetic (“human commandments,” not commandments of Moses) position, parts of which may be found among Jews, but which was not typical of the main Jewish position. Paul’s evaluation of these false teachers corresponds with what he says elsewhere in the PE about the false teachers in the church (e.g., 1 Tim. 4:1–2; 6:3–5, 10; 2 Tim. 2:17–18, 25–26; 3:5; see also Col. 2:20ff.) and to his indictment of false teachers in the Galatian Christian community (e.g., Gal. 1:9). Being “of the circumcision” they do have some views that come from the Jewish community (“myths and endless genealogies”), but their views go beyond Judaism. It is unnecessary, therefore, to say Paul has shifted from the false teachers within the Christian community to those outside. In accordance with his normal practice, Paul deals with false teachers in the church; he rarely, if ever, deals with those outside the Christian community, and there is no reason to suggest that he does otherwise here.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LXX Septuagint
PE Pastoral Epistles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03–304.
 
 
728x90
10 For there are many who are insubordinate, yempty talkers and deceivers, especially those of zthe circumcision party.8 11 They must be silenced, since athey are upsetting whole families by teaching bfor shameful gain what they ought not to teach. 12 cOne of the Cretans,9 a prophet of their own, said, “Cretans are always liars, evil beasts, lazy gluttons.”10 13 This testimony is true. Therefore drebuke them esharply, that they fmay be sound in the faith, 14 gnot devoting themselves to Jewish myths and hthe commands of people iwho turn away from the truth.
y 1 Tim. 1:6
z See Acts 11:2
8 Or especially those of the circumcision
a [2 Tim. 3:6]
b 1 Tim. 6:5; 2 Pet. 2:3
c [Acts 17:28]
9 Greek One of them
10 Probably from Epimenides of Crete
d ch. 2:15; 1 Tim. 5:20
e 2 Cor. 13:10
f ch. 2:1, 2
g See 1 Tim. 1:4
h See Col. 2:22
i See 1 Tim. 6:20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10–14.
 
10 불순종하고 헛된 말을 하며 속이는 자가 많은 중 할례파 가운데 특히 그러하니
11 그들의 입을 막을 것이라 이런 자들이 더러운 이득을 취하려고 마땅하지 아니한 것을 가르쳐 가정들을 온통 무너뜨리는도다
12 그레데인 중의 어떤 선지자가 말하되 그레데인들은 항상 거짓말쟁이며 악한 짐승이며 배만 위하는 게으름뱅이라 하니
13 이 증언이 참되도다 그러므로 네가 그들을 엄히 꾸짖으라 이는 그들로 하여금 믿음을 2)온전하게 하고
14 유대인의 허탄한 이야기와 진리를 배반하는 사람들의 명령을 따르지 않게 하려 함이라
2) 헬, 건전하게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1:10–14.
 
본문 1장 10-16절은 거짓 교사들을 경계할 것에 대한 권면이다. 본문은 교차 대구법의 형태를 띠고 있다. 
 
10절.  A 거짓 교사의 실상
11절.        B 제재의 명령
12.13a.   M 그레데인의 거친 품성
13b.l4.     B 제재의 명령
15.16.         A 거짓 교사의 실상
 
10절) 앞선 5-9절에서 바울은 디도를 그레데에 잔류시킨 이유아 장로의 자격 요건을 밝혔다. 이제 바울은 디도에게 거짓 교사들에 대한 경계를 지시한다. 
당시 그레데 교회는 거짓 사상으로 인하여 심각한 교회적 위기를 맞았던 것으로 보인다. 거짓 교사들중에서도 특히 유대 할례주의자들로 인한 폐해가 컸다. 
원문에는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가르’가 나오는데 한글 번역은 이를 생략하고 있다. 이는 앞선 장로와 감독의 자격 요건을 설명한 이유가 바로 본문 이하에서 설명되어지는 교회 안의 유대 할례주의자와 같은 많은 이단과 거짓 교사들로 인함임을 알 수 있다. 
 
‘할례당’이라고 번역된 ‘페리토메스’의 원형 ‘페리토메’는 ‘할례의 행위 또는 의식’(요 7:22; 행 7:8; 롬 4:11), ‘할례받은 자’(롬 4:12; 행 11:2; 갈 2:12)를 의미한다. 이처럼 할례는 유대인들에게 하나님과 자신들 사이에 존재하는 언약의 징표였지만 그들은 이것의 본래 의미를 망각하고 할례 자체가 자신들을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해주는 것으로 여겼다.(레 26:41; 신 10:16; 렘 4:4) 여기서 할례당은 유대 할례주의자들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하면서도 실제로는 다시 율법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자들이다. 그들은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 외에도 할례를 받아야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당시 그레데 교회에 있었던 복종치 아니하고 헛된 말을 하며 속이는 자 가운데 이런 할례당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거짓 교사들의 특성은 본절에서 세가지로 요약된다. 
첫번째 복종치 아니하고에 해당하는 ‘아뉘포탁토이’는 6절의 ‘불순종하는’에 해당하는 단어와 동일하다. 할례당들이 불순종하는 것은 자신들의 주장에 대한 고집이 세서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 만으로 구원받을 수 있다는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두번째 헛된 말을 하며에 해당하는 ‘마타이올로고이’는 헛되고 의미없는 것들을 말하는 자들을 지칭한다. 이러한 자들은 진리가 아닌 것을 진리인양 착각하게 말하는 자들이다. 
세번째 속이는 자에 해당하는 ‘프레나파타이’는 성도들을 현혹시키는 자들, 특히 굳건한 믿음 위에 서있지 못한 영혼들을 속이는 일을 하는 자들이다. 
 
10절을 단어의 배열 순서를 살려서 다시 번역하면 ‘왜냐하면 많은 자들이 있는데 복종치 아니하는 자들 그리고 럿된 말을 하는 자들 그리고 속이는 자들, 그중 할례당으로부터 온 자들이 가장 특별하다’라고 할 수 있다. 즉 원문에서는 많은 거짓 교사들이 있다는 사실과 그들이 할례당 출신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즉 바울은 10절을 통해서 당시 거짓 교사들의 특성을 밝힘과 동시에 할례당 출신이 그레데 교인들에게 가장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1:10 The necessity and urgency of the elders being prepared to rebuke the opponents (v. 9) is now brought home by Paul’s further description of the latter as “rebellious people, empty talkers, and deceivers,” and in particular by the fact that they are “many” (πολλοί). (καί may have been added after πολλοί “in accordance with the rhetorical usage known as hendiadys” or left out by copyists who failed to recognize an original hendiadys [TCGNT]. With NA25 it should probably be omitted because of the stronger manuscript evidence in that direction.) These people are ἀνυπότακτοι, “rebellious,” most likely in the sense that they are unwilling to be subject to God and his law (see 1 Tim. 1:9, which may also have the false teachers in mind). As ματαιολόγοι** (a biblical hapax; cf. ματαιολογία in 1 Tim. 1:6; μάταιος in 1 Cor. 3:20; 15:17; Tit. 3:9), they are those whose talk is empty and of no value (cf. 1 Tim. 1:7) and “will lead to further ungodliness” (2 Tim. 2:16, which uses the synonym κενοφωνίας). As φρεναπάται** (a biblical hapax; φρεναπατάω in Gal. 6:3), they are “deceivers,” those who mislead (cf. 2 Tim. 3:13).
The next phrase begins with μάλιστα, which is usually taken (e.g., BAGD) as “especially,” indicating that most—but not all—of those Paul is speaking of are “of the circumcision.” But Skeat (“Especially the Parchments”) has brought together considerable evidence to demonstrate that in ad hoc documents μάλιστα may also mean “that is,” in which case it introduces a further definition of the preceding term. If this is true here, which the references to “Jewish myths” (v. 14) and “disputes about the Law” (3:9) might support, then Paul is saying that all the false teachers are “of the circumcision.”
In either case, that all or part of the false teachers were ἐκ τῆς περιτομῆς was a dominant characteristic. περιτομή means “circumcision” of the foreskin, and οἱ ἐκ (τῆς) περιτομῆς** were those of Jewish origin. The phrase is used in the NT once of Jews (Rom. 4:12) and otherwise of Jewish Christians (Acts 10:45; 11:2; Gal. 2:12; Col. 4:11), which is probably how it is used here—with somewhat negative overtones (as one senses with a different Jewish Christian group in Gal. 2:12). Acts 2:11 and 1 Maccabees 15:23 indicate that there were Jews on Crete, and Philo (Legatio ad Gaium 282) states that a large number lived there (cf. Josephus, Ant. 17.327; Vita 427).
TCGNT B. M.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NA E. Nestle and K.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5th ed., Stuttgart, 1963.
25 E. Nestle and K.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5th ed., Stuttgart, 1963.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Ant. Antiquitates Judaicae (Josephus)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96–297.
 
11절) ‘입을 막을’로 번역된 ‘에피스토미제인’의 원형 ‘에피스토미조’는 원래 ‘~위에’라는 의미의 전치사 ‘에피’와 ‘입, 입술’이란 의미의 명사 ‘스토마’의 합성어로 ‘입에 재갈을 물리다, 입을 막다, 침묵시키다’라는 뜻을 갖는다. 바울은 특히 할례당들의 가르침이 헛되고 거짓된 것이기 때문에 그 입을 막아야 한다고 말한다. 
 
 
한글 성경에서는 ‘것이라’로 반역된 ‘데이’는 ‘~해야만 한다, ~하지 않으면 안된다’(must be)라는 당위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바울은 거짓을 말하는 이들에게 재갈을 물려서라고 그들의 입을 막아야만 한다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역자들은 강단에서 거짓된 가르침이 선포되지 않고 올바른 가르침만이 선포되도록 해야할 책임이 있다. 
 
이처럼 거짓 교사들의 입을 막지 않으면 가정들이 온통 무너지게 된다. ‘무너뜨리는도다’로 번역된 ‘아나트레푸신’의 원형 ‘아나트레포’는 ‘위를 향하여’란 전치사 ‘아나’와 ‘회전’이란 의미의 명사 ‘트로페’의 합성어로 ‘뒤엎다, 파괴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딤후 2:18) 이는 할례당의 거짓 교사들이 더러운 이득을 취하기 위하여 전하는 거짓 가르침으로 말미암아 성도들의 집, 가정이 불화하게 디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거짓 가르침은 분쟁과 다툼을 일으키고 분란을 일으켜 영혼들의 마음을 상하게 만든다. 
‘마땅하지’로 번역된 ‘데이’는 앞선 표현과 동일하다. ‘하 메 데이’는 ‘해서는 안되는 것들, 즉 가르쳐서는 안되는 것들’을 의미한다. 이처럼 거짓 교사들을 더러운 이득을 취하기 위해서, 자신의 욕망, 욕심을 채우기 위해서 거짓을 가르치는 자들이다. 
 
1:11 With “who must be silenced …,” or more literally, “whom it is necessary to silence …,” Paul presents the essential demand placed on Titus and the leaders. This course of action was necessitated, as the words that follow indicate, by the devastation of families that was resulting from the false teaching. ἐπιστομίζειν** (a biblical hapax), “to silence,” means, then, to prevent the teachers from spreading their teaching. Paul does not say here how this was to be done, but he does give some indication elsewhere in the letter. V. 9 calls for rebuking those who oppose, or “speak against,” the apostolic teaching, and v. 13 also calls for rebuking them with the hope “that they may be sound in the faith.” In 3:9–11 Paul tells Titus to warn a contentious person “once or twice” and to reject such a person if the warnings are not heeded (cf. Mt. 18:15–18; 1 Cor. 5:1–13). Apparently this pattern given by Jesus and by Paul elsewhere was known well enough by Titus that Paul did not feel it necessary to restate it here.
They are to be silenced “because they are upsetting whole families.” οἵτινες is used here “to emphasize a characteristic quality, by which a preceding statement is to be confirmed” (BAGD s.v. 2b). It is well expressed by Ellicott’s “inasmuch as they.” ἀνατρέπω is used here figuratively of “overturning, destroying, or ruining.” They ruin “whole” or “entire” (ὅλους) “households” (οἴκους; see 1 Tim. 3:4–5).
They do this by “teaching things they should not.” Paul does not say here what those “things” are. In v. 14 he does specify that the false teaching involved “Jewish myths” and “commandments of those who turn from the truth,” and in v. 15 he turns to the question of purity. The only “commandments” taught by the false teachers about which we have any knowledge from the PE are the prohibitions of marriage and certain foods mentioned in 1 Tim. 4:1–3, which would certainly fall into the category of questions of purity. If these prohibitions represent all or part of the “things” that Paul refers to here, then we can understand how the teaching devastates families: Might the prohibition of marriage involve ending existing marriages? But Paul may have more in mind here, since anything that causes an entire family to be moved from the faith could be spoken of in the words that we find here.
With “for the sake of sordid gain” Paul names what he thinks is the real motive for the false teaching. The preposition χάριν (see 1 Tim. 5:14), “for the sake of,” indicates the goal of the teaching. Paul usually uses αἰσχρός** (exclusively Pauline in the NT: 1 Cor. 11:6; 14:35; Eph. 5:12) of that which is “shameful” or “disgraceful.” κέρδος** (Phil. 1:21; 3:7) is “gain.” These two words occur together only here in the NT, but the compound αἰσχροκερδής occurs in v. 7 and in 1 Tim. 3:8. Paul designates the “gain” as “shameful” or “disgraceful,” not because he thinks teachers should not be paid (cf. 1 Tim. 5:17–18), but because they get it by teaching error (ἃ μὴ δεῖ), and because “gain” as the basic motivation for teaching what purports to be the Christian faith, as it was for them (χάριν), is “shameful” (cf. v. 7 and 1 Pet. 5:2: μηδὲ αἰσχροκερδῶς).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97–298.
 
12절) ‘선지자’로 번역된 ‘프로페테스’는 ‘미리 발설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프로페미’에서 유래된 명사로 신적인 감동, 신탁에 의해 ‘미리 발설하는 자, 장래 일을 미리 말하는 예언가’를 가리킨다. 이는 성경적 의미의 선지자가 아니라 신의 영감에 의해 말하는 예언자, 혹은 현자쯤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여기서 말하는 어떤 선지자는 보편적으로 주전 600년 전 크놋수스 혹은 패스터 태생의 에피메니데스로 간주된다. 전설에 의하면 그는 부친의 명으로 양을 찾으러 간 후, 한 동굴에서 50년을 잠자고 난 후에 신통한 능력을 받아 150년 동안 철학자, 음유 시인, 예언자로 살았다고 한다. 그는 고대 그리스의 7대 현인 중의 하나로 손꼽히는 인물이다. 이처럼 바울은 당시의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인물인 에피메니데스의 말을 인용함으로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의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그레데인들은 항상 거짓말쟁이며 악한 짐승이며’, 이는 아페메니데스의 6행시에 나오는 일부분으로 당시 그레데인의 사기성과 포악성, 탐욕과 나태를 나타낸다. ‘그레데’라는 말은 원래 헬라어 ‘크레티조’에서 나왔는데 이는 ‘거짓말하다, 속이다’라는 뜻이다. 이처럼 그레데라는 호칭 자체에 ‘속이는 자’라는 의미가 담겨있는 것이다. 혹자들은 그레데섬은 역사적으로 범죄자들이 유배되던 장소였고 따라서 전통적으로 이 섬에는 부도덕한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당시 그레데인(Cretes)은' 길리기아인(Cilicians), 가바도키아인(Cappadocians)과 아울러서 가장 나쁜 세가지 C’에 포함되었다고 한다. 이들은 술주정뱅이이고 오만하고 신용할 수 없는 거짓말쟁이에다가 대식가로 그 악명이 높았다. 폴리비우스도 ‘욕심과 탐욕은 그레데 토양에 너무나 본질적인것이기 때문에 그들은 이 세상에서 어떠한 이익을 추구해도 결코 치욕을 당하지 않는 유일한 민족이다’라고 말했다. 
‘거짓말장이며’로 번역된 ‘프슈스타이’의 원형 ‘프슈스테스’는 ‘거짓말쟁이, 신뢰를 깨뜨리는 자, 거짓되고 신실치 못한 사람’을 말한다. 
‘악한 짐승’, ‘짐승’으로 번역된 ‘데리아’의 원형 ‘데리온’은 짐승 가운데서도 길들여지지 않은 사나운 들짐승, 야생동물을 지칭하는 표현이다. 이 단어가 비유적으로 쓰일때는 ‘어리석은 자, 악하고 잔인한 자’를 나타내며 하나님을 대적하는 세력으로 상징되는 ‘거짓 선지자’를 지칭한다. 
‘배만 위하는 게으름뱅이라’, ‘배만 위하는’으로 번역된 ‘가스테레스’의 원형 ‘가스테르’는 원래 ‘배, 자궁’이라는 의미인데 여기서는 ‘대식가’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즉 절제할 수 없는 탐욕으로 이들은 먹기를 탐하는 자들이었다는 것이다. ‘게으름뱅이라’로 번역된 ‘아르가이’의 원형 ‘아르고스’는 부정 불변사 ‘아’와 ‘일’을 의미하는 ‘에르곤’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는 ‘일이 없는’이란 의미로 ‘놀고 있는, 태만한, 마땅히 해야할 일을 회피하는’이라는 뜻이다. 여기서는 마땅히 해야할 일을 하지 않고 나태를 일삼고 있는 것을 말한다. 
 
1:12 Paul attributes the brief quotation in the second part of this verse to τὶς ἐξ αὐτῶν, “one of them,” the subject of εἶπεν, with ἴδιος αὐτῶν προφήτης in apposition to that subject. Both occurrences of αὐτῶν refer to the Cretans. ἴδιος, “one’s own,” heightens the force of αὐτῶν so that the two words together, “their own,” make the prophet’s identification with the Cretans very specific.
Therefore, Paul quotes an evaluation of the Cretans by their own fellow countryman and their own prophet. This gives a perspective that nothing else could. Paul affirms the truthfulness of that evaluation in v. 13a with “this testimony is true,” a judgment that NT writers do not find it necessary to make of statements by prophets of God. This, together with the fact that this is the only place in scripture that a pagan is called a “prophet,” implies that the term “prophet” is used here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tans and not from the perspective of Paul and the Christian community.
The quotation is from Epimenides of Crete (sixth-fifth centuries b.c.), who is mentioned by Aristotle, Plato, Cicero, and other ancient writers. The work from which Paul quotes is not extant, but the quotation was attributed to Epimenides by some early Christian writers (e.g., Clement of Alexandria, Strom. 1.59.2; the commentaries of Chrysostom and Jerome). Others (e.g., Theodore of Mopsuestia) attributed it to a later writer, Callimachus (ca. 305–ca. 240 b.c.), because the first part of the quotation (“Cretans are always liars”) is in his Hymn to Zeus 8. But Callimachus was not from Crete but from Cyrene and does not have the entire statement quoted by Paul.
That the Cretans (Κρῆτες,** also in Acts 2:11) were “always liars” (ἀεὶ ψεῦσται) was borne out by the use of the verb κρητίζω, “play the Cretan,” to mean “lie” (see LSJM). κακός, which generally means “bad” or “evil,” may have the sense “vicious” when coupled with θηρία; θηρίον means “animal,” often “wild animal” or “beast,” and is used figuratively, as here, of persons with a “bestial” nature (BAGD s.v. 2). γαστέρες refers literally to the inner part of the body, but when used figuratively of the entire person, as here, it means “glutton.” Thus γαστέρες ἀργαί designates the Cretans as “lazy gluttons.”
Strom Stromateis (Clement of Alexandria)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LSJM H. G. Liddell and R.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rev. and augmented by H. S. Jones and R. McKenzie, with a Supplement by E. A. Barber. Oxford, 1968.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98–299.
 
13절) ‘이 증거가 참되도다’라는 표현은 600년 전에 활동한 선지자가 그레데에 대하여 예언한 내용이 틀림없이 맞다라는 것이다. 그래서 바울은 그들을 엄히 꾸짖으라고 디도에게 명령한다. ‘네가 꾸짖으라’로 번역된 ‘엘렝케’의 원형 ‘엘렝코’는 원래 ‘빛으로 가져오다, 노출시키다’라는 의미이며 대부분 ‘유죄를 선언하다, 비난하다, 호되게 나무라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여기서는 현재 명령형으로 그레데인들의 그런 거침 품성을 폭로할 뿐만 아니라 계속 책망하라는 의미이다. ‘엄히’로 번역된 부사 ‘아포토모스’는 매우 강한 강도의 문책을 하라는 것을 의미한다. 바울은 디도에게 자신을 대신하여 그런 품성을 지닌 그레데인들을 서슴지 말고 책망할 것을 지시하고 있다. 잘못에 대한 가혹한 책망의 궁극적 목적은 그 잘못한 자에게 고통을 안겨루려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로 회개하여 돌이킬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바른 책망은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기에 고통을 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깨달음과 회개케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엄하게 책망할 수 있어야 한다. 
‘히나’로 시작되는 13절 하반절과 14절은 책망함으로 얻어지는 결과 또는 왜 책망을 해야하는지 그 목적을 말해주는 내용이다. ‘온전케 하고’로 번역된 ‘휘기아이노신’의 원형 ‘휘기아이노’는 9절에서 현재 분사형으로 ‘바른’으로 번역한바 있고 건강하고 건전한 상태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본문에서는 좀더 구체적으로 부패함이 없고 오류가 없이 건전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절에서 ‘믿음’이라고 번역된 ‘엔 데 피스테이’는 ‘믿음 안에서(in the faith)’라는 의미이다. 이를 문자적으로 번역하면 ‘그들이 믿음 안에서 건전하도록’이 된다. 즉 믿음을 성숙시키고 온전체 한다는 말이 아니라 그들이 이미 믿고 있는 그 신앙안에서 빗나가지 않도록 바르게 한다는 의미이다. 
 
 
 
1:13 Paul now agrees with the Cretans’ own spokesman’s judgment. By doing so he is able to highlight explicitly the special problems that Titus and the elders on Crete face and to elicit consent from the Cretan Christians. But ἡ μαρτυρία αὕτη ἐστὶν ἀληθής, “this testimony is true,” indicates more than mere agreement: It is Paul’s certification that the evaluation is really true and not an extreme statement. Similar statements were made about the Cretans by Polybius (6.46.3: “So much in fact do sordid love of gain and lust for wealth prevail among them that the Cretans are the only people in the world in whose eyes no gain is disgraceful” [αἰσχρὸν … κέρδος; cf. Tit. 1:11]) and Cicero (De Republica 3.9.15: “Moral principles are so divergent that the Cretans … consider highway robbery honorable”). Paul is not making an ethnic slur, but is merely accurately observing, as the Cretans themselves and others did, how the sin that affects the whole human race comes to particular expression in this group.
The information given in the previous verse is the reason (διʼ ἣν αἰτίαν, a causal conjunction phrase meaning “for which reason,” “therefore”; BAGD s.v. αἰτία 1; cf. 2 Tim. 1:6, 12; Heb. 2:11) that Titus is charged with the responsibility to “rebuke” (ἔλεγχε) the Cretans. Since Paul says this in a section tightly joined to the preceding one (notice γάρ in v. 10), which speaks of the duties of elders/overseers (including the need “to rebuke,” ἐλέγχειν, v. 9), it is evident that Titus is to do this through and with the elders/overseers. Paul calls for the rebuke to be given “sharply” (ἀποτόμως,** also in 2 Cor. 13:10) because he knows that only such a rebuke will get through to those who are described in v. 12. He does this out of concern for them, as the words that follow show, and in accordance with his principle of taking into account the person being dealt with (see the comments on 1 Tim. 5:1ff.).
Those to be rebuked are called “them” (αὐτούς) with no further qualification. Are they the false teachers previously mentioned, or are they Cretan believers who are starting to follow the false teachers? It could be argued that “that they may be sound in the faith” would best fit with the latter, i.e., those who are in the faith and need to be kept true to it, and that Paul would not expect the false teachers to become, as the result of a sharp rebuke, “sound in the faith.” Furthermore, it could be argued that the end of v. 14 describes the false teachers (“who fall away from the truth”) in distinction from gullible believers and that here Paul warns these believers not to follow the false teachings described there.
But 2 Tim. 2:25–26 shows that Paul could, indeed, conceive of the false teachers repenting. Furthermore, it is argued, he has had false teachers in view, and there is no evidence in the text that this perspective has now changed. If this is the case, then it could be argued that Paul is also warning the false teachers in v. 14 to give up following their erroneous ways and not to be those who turn from the truth.
But the decisive argument is that those who are to be rebuked (v. 13) are, in fact, distinguished from those “who turn away from the truth” (v. 14). αὐτούς refers, then, to Cretan believers who are disposed to follow the false teachers because of their own Cretan traits. This entails that Paul’s focus did, indeed, move from the false teachers to the Cretan believers when he began v. 12, where the double αὐτῶν refers, not to “them, the false teachers,” but to “them, the Cretans,” in support of Paul’s indication of how Titus and the elders should deal with the believers who have this Cretan background.
Paul’s concern is “that they may be sound in the faith.” The ἵνα clause indicates that a salutary outcome is the desired result of a severe rebuke (as elsewhere, e.g., 1 Cor. 5:5; 2 Thes. 3:14–15). ὑγιαίνω means generally “be healthy,” i.e., not sick, and is used here in the figurative sense of “be sound” or “be correct” (see the comments on 1 Tim. 1:10). ὑγιαίνωσιν ἐν τῇ πίστει (cf. ὑγιαίνοντας τῇ πίστει in 2:2) refers, then, to their holding to the correct teaching (cf. v. 9) concerning the Christian faith rather than to the false teaching (note v. 14: “not giving heed …,” “who turn away from the truth”; on τῇ πίστει, “the faith,” see the comments on 1 Tim. 1:1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99–300.
 
14절) ‘허탄한 이야기’로 번역된 ‘뮈도스’는 바울의 목회서신과 베드로전후서에만 나오는 단어로 ‘꾸며낸 이야기, 허수’라는 의미이다. 허탄한 신화속에 유대주의적 요소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허구적인 이야기는 그리스도인의 훈계를 막고 진리를 왜곡하고 건전한 신념들을 파괴하는 암적 요서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유대인의 신화인 조상들에 대한 허탄한 이야기와 사람들의 인위적인 명령들에 착념했다.(딤전 1:4) 이러한 이야기들은 율법의 참된 취지와 의미를 희미하게 했다. 
‘명령’들로 번역된 ‘엔톨라이스’의 원형 ‘엔톨레’는 율법의 조항, 혹은 작은 단위의 계명들을 나타내는 단어이다.(마 15:3; 막 7:8; 요 13:34) 본문에서는 복수형으로 쓰여 이러한 명령들이 적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예컨데 ‘고기를 먹지 말라, 일주일에 이틀을 금식하라, 결혼을 하지말라’등의 인위적 종교 규칙들이다. 그레데인들은 이상과 같은 허탄한 이야기들과 유전들에 착념함으로 구원의 진리에서 멀어지는 위기에 직면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바울은 디도에게 엄히 꾸짖을 것을 명하는 것이다. 
본문에서 ‘따르지’로 번역된 ‘프로세콘테스’의 원형 ‘프로세코’는 ‘청종하다, 착념하다, 인박이다’라는 의미로 번역되는 동사로 어떠한 대상에 마음을 쏟아 몰두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는 현재 분사 능동태로 쓰여 능동적일뿐 아니라 계속적임을 강조한다. 
이단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서 허탄한 이야기들로 사람들에게 거짓된 명령을 한다. ‘아가동산, 신천지’처럼 가정을 저버리고 자신들의 공동체에 헌신할 것을 주장하는데 이는 거짓된 것으로 이를 분별하여 엄히 꾸짖음으로 미혹되지 않도록 도와야한다. 
 
ἐντολή -ῆς, ἡ; (entolē), 명사. 계명. 히브리어 등가: מִצְוָה (144), פִּקּוּדִים (18).
명사 용법
1. 명령 — 어떤 일을 하라는 권위 있는 말이나 글을 통한 지시나 가르침.  다음을 참고하십시오 ἐπιταγή. 관련 주제: 문장, 판결, 형벌; 교훈; 법령; 위임; 계명.
히 7:16 κατὰ νόμον ἐντολῆς σαρκίνης
요일 2:3 τὰς ἐντολὰς αὐτοῦ
요일 3:22 τὰς ἐντολὰς αὐτοῦ
요일 4:21 ταύτην τὴν ἐντολὴν
요이 4 καθὼς ἐντολὴν ἐλάβομεν παρὰ τοῦ πατρός.
2. 체계 ⇔ 계명 — 모세 율법 체계: 전체 체계를 나타내는 단일한 모세의 계명이 있는 것처럼 이해하. 관련 주제: 계명.
롬 7:10 ἡ ἐντολὴ ἡ εἰς ζωὴν
롬 7:13 διὰ τῆς ἐντολῆς.
3. 윤리 체계 ⇔ 계명 — 하나의 계명처럼 이해되는 기독교 윤리 체계; 아마도 십계명의 도덕률을 요약하는 두 가지 큰 계명과 관련이 있다. 관련 주제: 계명.
딤전 6:14 τηρῆσαί σε τὴν ἐντολὴν ἄσπιλον ἀνεπίλημπτον μέχρι
벧후 2:21 αὐτοῖς ἁγίας ἐντολῆς·
명사. 명사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1:14 A requisite for and negative counterpart to the last clause in v. 13 is given in the negative participial clause here (so Huther). Thus Paul is saying that to “be sound in the faith” demands that one not “give heed to” or “follow” (μὴ προσέχοντες; see 1 Tim. 1:4; 4:1) the errors of the false teachers. Those errors are summarized here under two categories: (1) Ἰουδαϊκοὶ μῦθοι and (2) ἐντολαὶ ἀνθρώπων.
Paul uses μῦθοι (see 1 Tim. 1:4) to refer to “legends” that are contrary to the truth (e.g., 2 Tim. 4:4), as does the only other user of the word in the NT (see 2 Pet. 1:16). This is the only time that Paul calls the myths “Jewish” (Ἰουδαϊκοί,** a NT hapax, though other forms of the root occur in the NT and in Paul), but he also uses μῦθοι in a context in which he says that the false teachers want to be teachers of the law, i.e., of the OT law (1 Tim. 1:4, 7–11; see the comments there). There the “myths” are mentioned in the same breath as “endless genealogies”; when Paul returns to the false teachers in Tit. 3:9 he mentions not “myths” but “genealogies.” It is likely, therefore, that the “myths” here are concocted stories related to the “genealogies” spun out from those given in the OT. Christians must not “heed” these “myths” for the reasons given in 1 Tim. 1:4.
The error in practice is designated “commandments of humans,” ἐντολαὶ ἀνθρώπων. This phrase occurs only here in the NT, but its equivalent, ἐντάλματα ἀνθρώπων, occurs in Mt. 15:9 and Mk. 7:7, which quote the LXX of Is. 29:13, and in Col. 2:22, which reflects Jesus’ words or Isaiah’s or both and deals with a case of asceticism, as is also likely the case here. All three of these passages understand “commandments of humans” as what is put in the place of obedience to God and what he requires. This is also the understanding here, as the closely linked participial phrase, “who turn away from the truth,” makes plain. Only in 1 Tim. 4:1ff., which deals with an error of asceticism similar to that dealt with in Col. 2:20–23, do the PE refer to actual commandments of the false teachers, and terms and concepts identical or similar to those used here are used there:
1 Timothy 4
Titus 1
“fall away from the faith” (v. 1)
“turn away from the truth” (v. 14)
προσέχοντες (v. 1)
προσέχοντες (v. 14)
“deceitful spirits” (v. 1), “liars” (v. 2)
“deceivers” (v. 10)
prohibitions (v. 3)
concern for what is impure (v. 15)
“every creation of God is good” (v. 4)
“all things are pure” (v. 15)
It is very likely, then, that the “commandments of humans” in view here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1 Tim. 4:1ff., i.e., forbidding marriage and advocating abstention from certain foods.
Those who command these ascetic practices are those “who turn away from the truth.” ἀποστρέφομαι means here “turn away from” or possibly even “reject” or “repudiate.” The phrase occurs only here in the NT, but a nearly equivalent form is found in 2 Tim. 4:4, which speaks of “will turn away their ears from the truth” (ἀπὸ μὲν τῆς ἀληθείας τὴν ἀκοὴν ἀποστρέψουσιν). ἡ ἀλήθεια (cf. 1:1 and see 1 Tim. 2:4) is used here of “the content of Christianity as the absolute truth” (BAGD s.v. 2b). In 2 Tim. 4:4 it refers back to τὸν λόγον, “the word” of the gospel, which Timothy is called upon to preach (v. 2) as he does “the work of an evangelist” and fulfills his ministry (v. 5).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LXX Septuagint
PE Pastoral Epistles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300–301.
 
 
728x90
For an overseer,6 sas God’s steward, must be above reproach. He must not tbe arrogant or quick-tempered or a drunkard or violent uor greedy for gain, but hospitable, a lover of good, self-controlled, upright, holy, vand disciplined. He must whold firm to the trustworthy word as taught, so that he may be able to give instruction in xsound7 doctrine and also to rebuke those who contradict it.
6 Or bishop; Greek episkopos
s Luke 12:42; 1 Cor. 4:1; 1 Pet. 4:10
t 2 Pet. 2:10
u 1 Tim. 3:8; 1 Pet. 5:2
v [1 Cor. 9:25]
w [2 Thess. 2:13, 15]; See 1 Tim. 1:15; 2 Tim. 1:13
x See 1 Tim. 1:10
7 Or healthy; also verse 1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7–9.
 
7 감독은 하나님의 청지기로서 책망할 것이 없고 제 고집대로 하지 아니하며 급히 분내지 아니하며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며 더러운 이득을 탐하지 아니하며
8 오직 나그네를 대접하며 선행을 좋아하며 신중하며 의로우며 거룩하며 절제하며
9 미쁜 말씀의 가르침을 그대로 지켜야 하리니 이는 능히 1)바른 교훈으로 권면하고 거슬러 말하는 자들을 책망하게 하려 함이라
1) 헬, 건전한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1:7–9.
 
바울은 앞선 5-6절에서 장로의 자격에 대하여 말했다. 이어 7-9절에서는 감독의 자격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하지만 장로와 감독이 별개의 직분인 것은 아니다. 헨드릭슨은 장로와 갑독의 개념에 대해 ‘둘다 교회의 영적 지도자로서의 한 직분을 지칭하는데 나이와 위엄에 따라서 장로로 호칭되는가 하면, 그들의 직무에 따라서 감독으로 호칭된다’라고 말하였다. 즉 감독이라는 단어에는 교회의 영적 질서를 살피고 감독하는 자라는 직무적 개념이 들어있는 것이다. 
 
7절) 본절의 맨 첫 단어는 ‘데이’로 이는 ‘당연히 ~하다, 마땅하다’라는 의미인데 바울은 이 표현을 사용함으로 자신이 열거한 감독의 자격 요건이 선택 사항이 아니라 필수 사항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감독’으로 번역된 ‘에피스코폰’의 원형 ‘에피스코포스’는 ‘돌보다’라는 의미의 동사 ‘에피스켑토마이’에서 유래한 단어로 ‘돌보는 자, 보호자, 관리자, 감독’(행 20:28; 빌 1:1; 딤전 3:2; 벧전 2:25)라는 의미로 쓰인다. 특히 하나님께서 어려움 가운데 있는 자신의 백성을 돌보신다는 것을 묘사하는데 쓰인 단어이다.(눅 1:68; 7:16; 행 15:14) 이런 표현에서 보듯이 감독은 하나님이 자신의 백성을 돌보시는 것 같이 영혼들을 돌보는 자를 의미한다. 초대 교회 당시 성도들이 많아지고 여러 곳에 교회가 생겨남에 따라서 교회를 다스리며 양무리들을 돌보는 역할을 감당할 지도자들이 많이 요청되었다. 그 직분으로서 감독이 필요했고 지금 그 직분을 감당할 자격을 바울이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 직분은 기름부음을 받은 선지자나 사도의 직분과는 구별되고 또한 교사의 직분과도 구별되는 직분이다. 
잠언 27:23
23네 양 떼의 형편을 부지런히 살피며 네 소 떼에게 마음을 두라
솔로몬의 말대로 영적 양떼를 돌보는 직책인 감독은 그 양떼들에게 마음을 두고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어야 한다.(푸른 풀밭과 쉴만한 물가)
 
‘하나님의 청지기’, ‘청지기’로 번역된 ‘오이코노몬’의 원형 ‘오이코노모스’는 집이라는 의미의 명사 ‘오이코스’와 관리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네모’의 합성어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집을 관리하는 사람’이란 의미를 지닌다. 이 단어는 은유적으로 사도들이나 교사들에게도 사용되었다.(벧전 4:10) ‘하나님의 청지기’인 감독은 바로 하나님의 집(딤전 3:15)인 교회를 맡아 하나님의 뜻대로 잘 다스리는 귀한 직분을 맡은 사람이다. 
 
‘제 고집대로 하지 아니하며 급히 분내지 아니하며’, ‘제 고집대로 하다’라는 표현은 ‘아우다테’로 ‘자기 자신’을 의미하는 ‘아우토스’와 ‘기쁘게 하다’를 의미하는 ‘헤도마이’의 합성어로 ‘자기를 기쁘게 하는, 자기 만족의, 제멋대로의, 독단적인’이라는 의미이다. 감독은 항상 두 곳을 향해 자신의 귀를 열어놓고 있어야 한다. 첫째는 하나님의 뜻, 즉 성령의 세미한 음성이고 둘째는 성도들의 소리이다. 
 
‘급히 분내다’라는 표현은 ‘오르길론’으로 이곳에서 유일하게 한번 사용된다. 이는 ‘진노’를 의미하는 명사 ‘오르게’에서 유래하였다. 분노를 품고 또한 그 분노를 쉽게 폭발시키는 자는 온유하고 인내하시는 하나님의 성품을 본받지 못한 자로서 하나님의 의를 이루지 못한다.(약 1:2); 민 20:10-13)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며’, ‘술을 즐기지’로 번역된 ‘파로이논’의 원형 ‘파로이노스’는 ‘~곁에’를 의미하는 전치사 ‘파라’와 ‘포도주, 포도원, 음료’의 뜻을 갖는 명사 ‘오이노스’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는 ‘포도주 곁에 오래 앉아 있는’이란 의미로 ‘포도주에 빠진, 술취한’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술을 즐기지 않는다는 것을 술에 지나치게 취하여 말다툼을 하거나 추태를 부리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딤전 3:8에서는 술에 인박이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술 취한 자의 해악에 대해서는 잠 23:29-35절을 보라. 
 
‘구타하지’로 번역된 ‘플렉텐’의 원형 ‘플렉테스’는 ‘때릴 준비다 되어 있는 난폭한 자, 때리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바울이 감독의 직분에 구타를 언급하는 것을 보면 당시 구타 문제가 일상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당시 구타의 주 대상은 노예들이나 여인들이었다. 당시 로마인들은 노예를 사람취급하지 않고 하나의 재산으로 여겼기에 그들을 매매하였고 쉽게 폭력을 행사하고 죽이는 일도 서슴지 않았다. 또한 당시 여인이나 아이들의 인권은 존중받지 못했고 이러한 약자들을 한 인격체로 돌보는 것이야말로 성도의 마땅한 바이다. 당시 ‘사도 경전’이라는 문서에 ‘과실을 범한 성도를 구타하는 감독은 파편한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감독 중에는 과실을 범한 성도들에게 폭력을 사용하는 자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감독은 그 누구를 막론하고 자신의 기분에 따라 타인에게 혈기를 부리거나 구타해서는 안되며 인내함과 온유함으로 자신을 통제하며 타인을 존중해야 한다. 
- 빛과 진리의 교회(훈련을 명목으로 인분과 구타하는 행위)
 
 
‘더러운 이득을 탐하지 아니하며’, ‘더러운 이를 탐하지’로 번역된 ‘아이스크로케르데’의 원형 ‘아이스크로케르데스’는 ‘더러운, 부끄러운, 천박한’이라는 의미를 갖는 형용사 ‘아이스크로스’와 ‘얻다, 갈구하다, 좋아하다’라는 의미의 ‘케르도스’의 합성어로 ‘천박한 이익을 갈구하는, 더러운 이득을 욕망하는’이라는 의미의 표현이다. 그레데인들에 대해 폴리비우스는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비열하고 탐욕스러운 방법이라도 개의치 않는 자들이다’라고 말했다. 감독들은 그런 풍조를 좇는 이들과 달라야 한다. 교회의 지도자가 될수록 쉽게 돈과 권세와 명예의 유혹을 받을 수 있다. 교회가 커지고 운영하는 재정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지도자들은 쉽게 더러운 이를 탐할 유혹에 빠지게 된다. 교회의 영적 지도자들은 늘 하나님의 종, 청지기임을 기억하고 그 사명을 감당해야한다. 
여기서 말하는 더러운 이득이 항상 금전적인 것만이 아니다. 이단이나 잘못된 교회의 지도자들은 항상 돈과 섹스 권력의 유혹에 노출되어 자신을 지키지 못할 때 문제에 휩쓸리게 된다. 더러운 이득을 탐하지 않기 위해서 자족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1:7 As Paul repeats here the requirement of “blamelessness,” he introduces the functional title ἐπίσκοπος, “overseer” (“bishop”), for the elder, as he did in Acts 20:28 (cf. v. 17). He does so before he describes negatively and positively the traits that must characterize one who exercises oversight of others. He is not introducing another church office into the discussion (that of the overseer/bishop, as distinct from that of the elder) but is using another name for the same office (see the comments on 1 Tim. 3:2 and the excursus on Bishops/Presbyters and Deacons). With singular τὸν ἐπίσκοπον Paul continues here the use of the generic singular that began in v. 6 (“if anyone,” εἴ τις) after the instructions regarding “elders” that began with the plural (v. 5). Thus Paul continues to focus on the elder/overseer as an individual.
ὡς θεοῦ οἰκονόμος gives the reason that blamelessness is needed (δεῖ; cf. 1 Tim. 3:2), ὡς, “as,” being equivalent to “since he is” (Huther) and thereby introducing a basic characteristic of the elder/overseer (BAGD s.v. ὡς III.1a). An οἰκονόμος, “steward,” is one chosen by his employer to manage his business or his household (cf. Lk. 12:42). The elder/overseer is a person chosen by God to be a manager and entrusted with the church as God’s household (cf. 1 Tim. 3:5–6, 15). Therefore, his life must show that he truly is God’s steward by displaying God’s transforming grace.
Paul now lists five vices that must not characterize the elder, all negated by μή and all accusative in agreement with ἐπίσκοπον, the subject of the infinitive εἶναι (Robertson, Grammar, 1172). This list has a number of similarities with the list of five items in 1 Tim. 3:3 (see the two descriptions of the elder/overseer in Titus 1 and 1 Timothy 3 set in parallel columns in the discussion above of 1 Tim. 3:2): Two items are exactly alike and use words, πάροινος and πλήκτης, that appear nowhere else in the NT. The last two items in 1 Tim. 3:3 are also negated (by -privative), and the last is a synonym of the last term here. With these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ists we might also expect to find some relationship between the remaining two terms in each list, the third and fourth in 1 Tim. 3:3 and the first two here.
αὐθάδης** (also in 2 Pet. 2:10) means “self-willed” or “arrogant.” Its negation implies the corresponding virtue and thus may find its positive counterpart in ἐπιεικής (gentle, kind, gracious) in 1 Tim. 3:3. Aristotle (Magna Moralia 1.29; Rhetorica 1.9.29) identifies σεμνότης (cf. 1 Tim. 3:4) as the mean in the range in which αὐθάδεια is one extreme.
One who is ὀργίλος** (a NT hapax) is “inclined to anger, quicktempered” (BAGD). The possible positive counterpart in 1 Tim. 3:3 is ἄμαχος, which means “peaceable” in the sense of not being contentious.
πάροινος,** “addicted to wine,” and πλήκτης,** “a pugnacious man or bully” (BAGD), appear in the NT only here and in the corresponding list in 1 Tim. 3:3 (see the comments there and, for πάροινος, on 1 Tim. 5:23).
αἰσχροκερδής** means “greedy for money” (BAGD; cf. Lysias 12, 19, where it is used of those who take from others even though they have an abundance of what they take). This vice is mentioned in all the lists for officers in the PE (the same word [the only other NT occurrence] in 1 Tim. 3:8 [deacons]; 1 Tim. 3:3 has the synonym ἀφιλάργυρος) and in the exhortation of elders in 1 Pet. 5:2 (the only NT occurrence of αἰσχροκερδῶς), probably because it is such a strong and dangerous temptation (cf. 1 Tim. 6:9–10): When a person serves it, he cannot serve God (Mt. 6:24).
In this list of five vices Paul has singled out ways in which one may be gripped and controlled by the different sins of self: pride, anger, and desire for drink, dominance, or wealth. Being controlled by any of these disqualifies a man from the position of “overseer,” one who leads others by serving as God’s stewar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90–292.
 
 
8절) 앞선 7절이 금지 명령이라면 8절에서는 정언 명령을 하고 있다. 
‘오직 나그네를 대접하며’, ‘필록세논’의 원형 ‘필록세노스’는 ‘사랑하는, 좋아하는, 친구’라는 의미의 ‘필로스’와 ‘외국인’을 의미하는 ‘크세노스’의 합성어로 ‘나그네의 친구인, 외국인을 환대하는, 외국인을 환대하기를 좋아하는’이라는 의미를 가진다.(딤전 3:2; 벧전 4:9) 유대인들은 전통적으로 나그네를 환대하는 관습이 있었다. 나그네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특별한 의미를 갖는데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 땅 나그네로 살게 하셨고(출 22:21;  23:9; 신 10:19)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 나그네된 이스라엘을 돌보신 것처럼 나그네를 돌아볼줄 아는 마음을 갖게 하셨다. 율법에서도 고아와 과부와 나그네를 선대하라고 가르치고 있고(신 10:18; 슥 7:10; 말 3:5() 예수님께서도 나그네를 환대하는 것이 자신을 환대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셨다.(마 25:35, 43) 이처럼 나그네는 도움이 필요한 약자를 대표하는 대상이다. 당시 상황을 염두에 두고 보자면 1세기 경 여행자를 위한 숙박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였기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돌아다니던 전도자들을 위하여도 이러한 환대는 필수 요소였다. 그렇기에 교회의 지도자들은 전도자를 대접하고 뿐만 아니라 종교적 핍박이 있을 때 피신하는 성도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직무중의 하나였다. 부지중에 나그네를 대접하다 천사를 대접한 이들도 있었던(히 13:1; 창 18:1-21) 반면 요삼 1:9-11절을 보면 디오드레베는 형제들을 접대하지 않았고 심지어 접대하려고 하는 이를 금하여 교회에서 내쫓았고 사도 요한은 이를 성도가 본받아서는 안되는 악한 일이라고 증언했다. 
요한3서 9–11
9내가 두어 자를 교회에 썼으나 그들 중에 으뜸되기를 좋아하는 디오드레베가 우리를 맞아들이지 아니하니
10그러므로 내가 가면 그 행한 일을 잊지 아니하리라 그가 악한 말로 우리를 비방하고도 오히려 부족하여 형제들을 맞아들이지도 아니하고 맞아들이고자 하는 자를 금하여 교회에서 내쫓는도다
11사랑하는 자여 악한 것을 본받지 말고 선한 것을 본받으라 선을 행하는 자는 하나님께 속하고 악을 행하는 자는 하나님을 뵈옵지 못하였느니라
 
‘선을 좋아하며’, ‘필라가돈’은 ‘필로스’와 ‘선’을 의미하는 ‘아가도스’의 합성어로 ‘선한 것을 사랑하는’을 의미한다. 사랑이란 단지 좋은 감정을 가지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이를 집요하게 추구하며 이를 위해서 수고와 노력을 아끼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문 역시 선을 추구함에 있어 매우 적극적인 태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신중하며’, ‘소프로나’라는 단어는 ‘마음이 건전한 제정신의’라는 의미이다. KJV은 이를 ‘술 취하지 않은, sober’로 번역하였는데 이는 술 취한 몽롱한 상태가 아닌 정신적으로 맑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처럼 근신한다는 것은 어떤 것에 취하거나 정신이 빠져있지 않고 건전한 정신을 지켜서 바른 선택과 태도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의로우며 거룩하며, ‘디카이온 호시온’, 한글번역으로는 이 두가지가 비슷한 의미로 보이지만 원문에서 두 단어의 뉘앙스는 분명하게 구별된다. ‘의로우며’로 번역된 ‘디카이온’의 원형 ‘디카이오스’는 히브리어 ‘차디크’와 동일하게 하나님이나 사람의 법에 어그러짐이 없이 법대로 사는 것을 의미한다. ‘거룩하며’로 번역된 ‘호시온’의 원형 ‘호시오스’는 ‘헌신적인,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이란 보다 적극적인 의미가 있다. 전자가 정해진 어떤 기준에 어그러짐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좀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스스로를 의생하여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목적을 이루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절제하며’, ‘엥크라테’의 원형 ‘엥크라테스’는 ‘~안에’를 의미하는 전치사 ‘엔’과 ‘힘 능력’을 의미하는 명사 ‘크라토스’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 ‘힘 안에 있는, 자제력이 있는’이란 의미로 쓰였다. 이는 ‘물욕, 권세욕, 명예욕’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킨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처럼 인간의 죄성을 억제하는 절제는 인간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 아담의 타락 이후 영적 선을 이루는데 인간은 전적으로 무능해졌기에 성령의 도우심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절제하며’라는 표현은 거룩한 영이신 성령과 동행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1:8 In contrast (ἀλλά) to those five vices, Paul names here and in the next verse seven virtues that must characterize the elder’s life. The counterpart to this list is in 1 Tim. 3:2 and contains only five items: δίκαιος and ὅσιος, the fourth and fifth items here, are not represented there, perhaps because they were self-evident enough not to need mention on every occasion. The first and third terms in the list here appear identically in 1 Tim. 3:2, the second and sixth may represent ideas presented in different terms there, and the last, which consists of all of v. 9, refers to the same concept as the last word in 1 Tim. 3:2 (see the parallel columns in the comments on that verse).
On the first virtue in this list, φιλόξενος, which is the opposite of the first vice in v. 7, αὐθάδης, see the comments on 1 Tim. 3:2.
φιλάγαθος** (a NT hapax) means “loving what is good” (MM cite a late second-century a.d. papyrus document and render the word “a lover of virtue”). One is reminded of the list of good things that are commended to Christians in Phil. 4:8. An overseer’s love for people is always to be correlated with a love for what God wants people to be. It is conceivable that this word corresponds to κόσμιος in 1 Tim. 3:2, especially if the latter means “well-behaved” or “virtuous” there.
On σώφρων see the comments on 1 Tim. 3:2.
δίκαιος, “upright, just, righteous,” is used here of one who lives in accordance with God’s law (BAGD s.v. 1; G. Schrenk, TDNT II, 190f.). It is used with this significance, “law-abiding” (BAGD), in the only other PE occurrence in reference to persons, in 1 Tim. 1:9. Paul is writing here, not about the fact that a person is declared righteous through Christ, but about righteous living (cf. his use of the related δικαιοσύνη in Rom. 6:13, 16, 18, 19). A general definition of this significance of the word is given in 1 Jn. 3:7: “the one who practices righteousness is righteous.”
ὅσιος, “holy,” is used here of a one who is “devout, pious, pleasing to God” (cf. by contrast ἀνόσιος in 1 Tim. 1:9; 2 Tim. 3:2).
ἐγκρατής (a NT hapax; Paul uses ἐγκράτεια in Gal. 5:23 and ἐγκρατεύομαι in 1 Cor. 7:9; 9:25) indicates one who is “self-controlled, disciplined” (BAGD). Probably this word is virtually equivalent to νηφάλιος in 1 Tim. 3:2 (cf. 1 Tim. 3:11; Tit. 2:2). Paul says in 1 Cor. 9:25 that the athlete “exercises self-control in all things” and applies that lesson to Christians as spiritual athletes, most vigorously to himself (vv. 26–27). That perspective is undoubtedly intended here for those who are to be leaders of the Christian community. Thus in a sense Paul has come full circle with this term: Now he states positively and generally in one word what he has stated negatively and specifically in v. 6 with several words.
Paul has sketched out with these few well-chosen words the characteristics that must mark an “overseer”: He must love people and equally love virtue. He must be wise and prudent, must live in accordance with God’s law, must be devoted to God and seek to please him, and must manifest genuine self-control. With this blend of characteristics, the Christian leader is equipped by God’s grace to exercise the kind of oversight that a steward in God’s house, the church, should exercise.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MM J. H. Moulton and G. Milligan, The Vocabulary of the Greek Testament. London, 1930.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92–293.
 
 
9절) ‘미쁜 말씀의 가르침을 그대로 지켜야 하리니’, ‘미쁜’으로 번역된 ‘피스투’의 원형 ‘피스토스’는 믿을만한, 믿음의’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피스투 로구’는 ‘믿음의 말씀;으로 그리스도인이 믿고 따르고 있는 진리의 말씀을 가리킨다. 바울은 이 진리의 말씀에 대한 가르침, 즉 기독교의 진리, 하나님의 말씀을 가감없이 그대로 지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켜야’로 번역된 ‘안테코메논’의 원형 ‘안테코’는 ‘~에 반대하여, ~를 대신하여’라는 의미의 전치사 ‘안티’와 ‘가지다, 지키다’라는 의미의 동사 ‘에코’의 합성어로 외부적인 어떤 것에 배타적인 태도를 가짐으로써 원래 고유한 것을 훼손없이 계속 가지고 있다는 의미에서 ‘~에 대해 지키다, 확고히 고수하다, 굳게 붙들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복음서에서 이 단어는 ‘중히 여기다’로 번역되었는데(마 6:24; 눅 16:13) 이처럼 확고히 여긴다는 것은 중요하게 여기는 태도를  포함한다. 교회의 감독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양무리를 가르치고 인도하는 자이다. 그렇기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먹이지 않고 불순물을 섞는 행위는 대단히 위험한 태도이다. 자신이 제대로 지키고 행하지 않으면 절대로 제대로 가르칠 수 없다. 탁월한 언변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친다고 하더라도 그 말씀을 제대로 지켜 행하지 않는다면 곧 말씀의 능력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이는 능히 바른 교훈으로 권면하고', ‘능히’로 번역뒨 ‘뒤나토스’는 ‘가능한, 할 수 있는, 힘있는’이라는 의미의 형용사인데 ‘권면하고’와 함게 스여서 ‘권면할 수 있도록’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니까 바른 교훈으로 권면하기 위해서는 앞선 내용처럼 미쁜 말씀의 가르침을 그대로 지켜 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도자로서 따르는 이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는 권위는 리더의 큰 목소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리더 자신의 인격과 삶의 태도에서 비롯된다. 자신이 먼저 하나님의 말씀을 옳게 이해하고 그 말씀을 그대로 지켜 행해야만 바른 권면을 할 수 있다. 
 
바울의 목회 서신에서는 ‘진리, 부탁한 것, 바른 교훈’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딛 2:1, 4, 7, 10; 딤전 1:10, 11; 4:6; 6:3; 딤후 3:10, 16; 4:3) 여기서 ‘교훈’으로 번역된 ‘디다스칼리아’는 ‘가르치다’라는 의미의 동사 ‘디다스코’에서 유래된 명사로 ‘가르침, 교훈, 진리’라는 의미를 지닌다. ‘바른’으로 번역된 ‘휘기아이누세’는 동사 ‘휘기아이노’의 현재 분사로 여기서는 아무런 오류의 혼합물이 없는 건전하고 참되며 부패하지 않은 교리를 말한다. 이는 거짓된 교훈과 대조되는 에수 그리스도의 정통 복음을 말한다.(딤전 1:10; 4:6; 딤후 4:3)
 
'거슬러 말하는 자들을 책망하게 하려 함이라’, ‘안틸레곤타스’의 원형 ‘안틸레고’는 ‘~에 반대하여’를 의미하는 전치사 ‘안티’와 ‘말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레고’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 ‘~에 대항하여 말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눅 2:34에서는 비방하다는 의미로, 행 13:45에서는 ‘반박하다’라는 의미로, 행 29:19에서는 ‘반대하다’라는 의미로 번역되었다. 본문에서는 복음의 적대자들이 복음 전하는 자들에 대해서 악의를 품고 악행한다고 비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시 이렇게 복음의 진리를 대적하며 거슬러 말하는 이들이 있었기에 이들을 책망하기 위해서 미쁜 말씀의 가르침을 그대로 지킬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1:9 The last characteristic in the list that began in v. 8 is crucial, for without it the overseer cannot carry out the duties prescribed in the remainder of this verse. Paul uses ἀντέχομαι (always in the middle and with the genitive in the NT) here with the meaning “cling to, hold fast to, be devoted to” and thereby calls for the overseer’s firm acceptance of ὁ πιστὸς λόγος, i.e., the “preaching” or “proclamation” that the prospective overseer/elder has heard and that is “faithful or trustworthy.” At this time prospective elders were dependent on oral proclamation of the message, so Paul uses λόγος in the sense it has in 1 Tim. 5:17, “preaching,” and πιστός in the sense it has several times in the PE (e.g., 1 Tim. 1:12, 15; 3:1; 4:9).
The prepositional phrase κατὰ τὴν διδαχήν between the article τοῦ and the adjective πιστοῦ is the key qualifier: The λόγος is πιστός, i.e., the message is reliable, when it is “in accord with the teaching.” διδαχή, “teaching,” is used here in the passive sense (see Rom. 6:17; 16:17) of that which is taught by the apostles (and by Christ). Paul refers to this teaching elsewhere with the related words διδασκαλία and διδάσκω (1 Tim. 4:6; 2 Thes. 2:15). Since what “has been heard” from the apostle is to be entrusted to “faithful men,” whose task is to teach it to others (2 Tim. 2:2), Paul here designates as “faithful” proclamation that which is in accord with apostolic teaching.
The ἵνα clause that occupies the rest of the verse describes the practical and necessary task to be accomplished by one who is equipped by adherence to the reliable word. Holding to that word provides the basis on which an overseer “may be” () “able” (δυνατός; cf. Acts 18:24) to accomplish that task. Similarly, 2 Tim. 3:15, 17 says that the scriptures “are able (τὰ δυνάμενα) to make you wise for salvation” and that by them “the man of God may be adequate (ἄρτιος ᾖ) for every good work.” Similarly, “able” here means equipped, in terms of knowledge and commitment, to carry out one’s responsibility as an elder/overseer.
The responsibilities are twofold, as indicated by the καί … καί, “both … and,” construction. Each is indicated by a present infinitive, the first παρακαλεῖν (see the discussion at 1 Tim. 5:1; 6:2). Here the meaning would seem to be “exhort” in the sense of urging one’s hearers to accept the sound doctrine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it. The exhortation occurs in the sphere of (ἐν; so Bernard) “sound doctrine” (τῇ διδασκαλίᾳ τῇ ὑγιαινούσῃ); in the first occurrence in the PE of this phrase (1 Tim. 1:10; also in Tit. 2:1; 2 Tim. 4:3), “sound doctrine” is said to be “according to the gospel,” so that we may say that it signifies the teaching of Christianity. ὑγιαινούσα (PE* 8x, see 1 Tim. 1:10) indicates that the διδασκαλίᾳ is “correct,” thus distinguishing it from that which is erroneous and thereby clearly identifying it as the teaching of Christianity. The activity called for here is also called for in 2 Tim. 2:2.
The second task is ἐλέγχειν (see 1 Tim. 5:20). A number of nuances are given for ἐλέγχω by BAGD, and various ones have been suggested for this occurrence, such as “refute,” “confute,” “convince,” and “convict.” But since all of them are plausible with the object that appears here, the substantival participle τοὺς ἀντιλέγοντας, some other determining factor must be sought. Since ἐλέγχω is used in v. 13 in a virtual enlargement and application of this statement, it is likely that the nuance there will also be present here. Probably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adverb “sharply” (ἀποτόμως) there, a number of the modern English translations that disagree here find themselves agreeing in v. 13 on the nuance “rebuke” (RSV, TEV, NIV; NASB: “reprove”). “Rebuke” (or “reprove”) would seem therefore to be the likely nuance here also. A positive outcome is always hoped for with regard to those being dealt with here (see v. 13; cf. 2 Tim. 2:25–26), who are called οἱ ἀντιλέγοντες, literally “those who speak against.” These persons are undoubtedly speaking against the sound doctrine just mentioned (cf. for this attitude Tit. 1:14; possibly 3:10; 1 Tim. 6:3, 20; 2 Tim. 2:16–18, 25–26; 3:8; 4:15).
The instructions in v. 9 correspond to the “able to teach” (διδακτικός; cf. 2 Tim. 2:24–26) requirement in 1 Tim. 3:2. By their explicitness they indicate what is involved in carrying out this particular responsibility of the elder/overseer.
Vv. 6–9 have presented the qualifications for an elder/overseer, God’s steward. Such a person must be above reproach in his Christian life in general and in these special qualifications. His family life must demonstrate his fidelity and leadership ability (v. 6). He must not be controlled by any of the besetting sins of self (v. 7). He must love both people and goodness and must be thoughtful and prudent, obedient to God’s law, seeking to please God, and self-controlled because he himself is controlled by God (v. 8). He must know and be zealously committed to the apostolic teaching and willing to teach it and to rebuke those who oppose it (v. 9). This last responsibility, especially that of rebuking those who “speak against,” leads immediately into the next section and indicates the practical and necessary value of such leaders to the health and welfare of the congregation.
PE Pastoral Epistles
PE Pastoral Epistles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93–294.
 
 
 
 
 
 
 
 
 
 
 
 
728x90
oThis is why I left you in Crete, so that you might put what remained into order, and pappoint elders in every town as I directed you— qif anyone is above reproach, the husband of one wife,4 and his children are believers5 and not open to the charge of rdebauchery or insubordination.
o [1 Tim. 1:3]
p [Acts 14:23; 2 Tim. 2:2]
q For ver. 6–8, see 1 Tim. 3:2–4
4 Or a man of one woman
5 Or are faithful
r See Eph. 5:1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5–6.
 
5 내가 너를 그레데에 남겨 둔 이유는 남은 일을 정리하고 내가 명한 대로 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 함이니
6 책망할 것이 없고 한 아내의 남편이며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는 일이 없는 믿는 자녀를 둔 자라야 할지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1:5–6.
 
본론을 시작하면서 먼저 바울은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둔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바울이 로마의 1차 투옥 직후에 석방되어 그레데에 들러 교회를 개척한 후에 이 교회를 디도에게 위임한 후에 밀레도, 드로아, 마게도냐, 고린도, 니고볼리, 로마 등의 순서로 전도 여행에 나섰을 것이다. 아래 지도에서 보는 것처럼 그레데는 지중해 그리스 남쪽의 섬이다(행 2:11; 딛 1:5; 딛 1:12). 그데데는 시실리, 사르디니아, 구브로 다음가는 지중해에서 네번째로 큰 섬이며 유럽과 소아시아, 그리고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다양한 문화를 지니고 있었다. 구약 성경에는 이 섬이 ‘갑돌’로 기록되어 있으며(신 2:23; 렘 47:7; 암 9:7) 오늘날에는 칸디아로 불리고 있다. 이곳은 일찍부터 문명이 발달하였던 지역으로 로마 황제 가이사 아구스도 통치 당시에 행정구역상 구레네와 합쳐져 한 지방이 되었다. 이곳 출신 디아스포라 유대인 중에 오순절 성령 강림시 함께 한 사람도 있었다.(행 2:11)
 
 
 
‘내가~ 남겨둔’으로 번역된 ‘아펠리폰’의 원형 ‘아폴레이포’는 ‘뒤에 남기도, 어느 장소에 어떤 사람을 남겨두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서 바울은 디도와 함께 그레데를 방문한 후 어떤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그곳에 디도를 남기고 떠났던 것으로 보인다. 바울은 디모데와 디모데 및 여러 일행들과 함께 선교여행을 떠나서 디모데는 에베소에(딤전 1:3) 디도는 그레데에 남겨두고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것이다. 
 
‘남은 일을 정리하고’, 개역한글은 이를 ‘부족한 일을 바로잡고’라고 번역하였다. 이를 통해서 디도는 처음부터 그레데 교회를 섬기기 위해서 세워졌다라기 보다는 바울을 대신해서 어떤 일정한 기간동안 그 교회를 돌보도록 위임받은 사역자였음을 알 수 있다. 바울은 두가지 목적으로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두었다. 
첫번째는 ‘남은 일을 정리하기 위해서’이다. 본문에서 ‘남은’으로 번역된 ‘레이폰파’의 원형 ‘레이포’는 ‘열등하다, 결핍하다, 부족하다’라는 의미를 갖는데 여기서는 현재 분사형으로 불완전한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바울이 말한 남은 일(들)은 복수형으로 여러 부족한 것들을 의미한다. 당시 그레데 교회가 온전한 교회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 보완되어야 할 것들로 거짓 사상에 맞선 진리에 대한 불충분한 인식과 교육, 또한 교회를 건강하게 세워가기 위해서 조직적이고 행정적인 부분들을 채워가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을 감당하는데 있어서 바울은 신뢰하던 디도를 적임자로 그레데에 남겨둔 것이다. 
 
‘정리하고’로 번역된 ‘에피디오르도세’의 원형 ‘에피디오르도오’ 동사는 신약에서 이곳에서만 등장한다. 이는 ‘~위에, ~에 더하여’란 의미의 전치사 ‘에피’와 ‘통하여, 철저히’라는 의미의 전치사 ‘디아’ 그리고 ‘곧은, 똑바로 선’이라는 의미의 형용사 ‘오르도스’의 합성어로 ‘~에 부가하여 철저하게 바로 잡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NIV는 이를 ‘put in order’, ESV는 ‘put into order’, RSV는 ‘amend”로 번역하였다. ‘정리하다 혹은 흠이 있는 일을 고쳐 바로잡다’, 공동 번역은 ‘내가 거기에서 다하지 못한 일을 그대가 완성하고’로 번역한다. 바울은 그곳에 더 머물러 그레데 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교회를 더 건강하게 세우기를 원했지만 자신에게 남아있는 시간이 얼마 없는 줄 알기에 다른 사역지로 떠나면서 자신이 해결하고자 했던 여러 사안들을 디도에게 맡기고 떠난 것이다. 
 
두번째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둔 이유는 ‘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함’이었다. 본문에 ‘각 성에’라는 표현으로 보아 그레데 섬 안에는 이미 몇몇 지역에 교회들이 세워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디도는 이런 여러 교회들에 지도자 역할을 할만한 장로들을 세우는 일을 맡은 것이다. 
‘장로들을’로 번역된 ‘프레스뷔테루스’는 ‘프레스뷔테로스’의 복수형 목적격이다. ‘프레스뷔테로스’는 '나이 많은’이란 의미의 형용사 ‘프레스뷔스’의 비교급으로 원래 ‘연장자, 원로, 노인, 선진’을 뜻하는 단어였다. 그러나 그 의미가 확대되어 유대인의 산헤드린 공의회 의원(마 16:21; 막 8:21; 눅 9:22; 행 4:5) 혹은 개개의 도시들에서 공적 업무를 처리하고 재판을 집행하는 자(눅 7:3), 교회나 집회를 관장하는 자(행 11:30; 딤전 5:17; 요이 1; 요삼 1; 벧전 5:1, 5)등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쓰였다. 여기서 말하는 장로는 오늘날 ‘목사’의 개념에 더 가깝다. 당시에 목사를 지칭하는 ‘포이멘’이라는 단어가 따로 있었지만(엡 4:11) ‘프레스뷔테로스’ 혹은 7절에 언급된 ‘감독, 에피스코포스’란 단어가 더 많이 쓰였다. 장로가 구약 시대 한 성읍의 지도자를 지칭하는 말로 유대적인 배경에서 나온 단어라면 감독이란 호칭은 헬라 도시의 행정 책임자를 지칭하는 말로 헬라적인 배경에서 나온 단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장로가 연장자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단어라면 감독은 목회 사역의 측면에 중점을 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세우게 하려함이니’라는 표현은 ‘카타스테세스’로 원형 ‘카시스테미’의 부정과거 능동태 가정법 표현이다. 이는 ‘어떤 사람에게 의무, 책임, 책무를 부과하다’라는 의미이다. 
 
 
1:5 The prepositional phrase τούτου χάριν** (as a preposition χάριν almost always follows its noun) indicates the reason or goal for Paul’s leaving Titus on Crete, which is developed in the following ἵνα clause. ἀπέλιπον means here “I left behind”; the nuance of “behind” is seen clearly in the other occurrences of ἀπολείπω in the PE* (2 Tim. 4:13, 20; for the textual variants here, neither of which alters the meaning, see NA26). Κρήτη** (also mentioned in Acts 27:7, 12f., 21), the island of Crete, lies south of the Aegean Sea in the Mediterranean. As early as Homer (Iliad 2.649) Crete was known for its many cities, which may account for κατὰ πόλιν later in this verse. That Paul left Titus behind implies that he was with Titus on Crete. The occasion for this that best fits into Paul’s life would be during a journey after Paul’s release from his first Roman imprisonment (see the Introduction). From what follows, one can surmise that the two were successful in evangelizing various cities on the island but did not have time to return and strengthen the believers by setting the churches in order and seeing that elders were elected (for Paul’s pattern see Acts 14:21–23).
Therefore, Paul left Titus to “set in order what remains and appoint elders in every city, as I directed you” (v. 5b). Middle ἐπιδιορθώσῃ** is to be preferred over the active (see NA26 for the evidence for each reading; ἐπιδιορθόω is a biblical hapax here). λείπω occurs 6x in the NT but nowhere else with the sense that the participle has here. Literally ἵνα τὰ λείποντα ἐπιδιορθώσῃ means “that you might set right the things lacking.” TEV has perhaps best captured the phrase in an English idiom with “put in order the things that still needed doing.” That this is the proper sense is verified by the next clause, which indicates one thing that needed to be done.
καταστήσῃς (aorist subjunctive of καθίστημι) means here “appoint” or even possibly “ordain” (BAGD), as its only other occurrence in this kind of setting seems to indicate: In Acts 6:3 the apostles speak of the action they are about to take, that of putting the Seven (chosen by the congregation) in charge of the diaconal task by laying hands on them (v. 6). Similarly, in Acts 14 Paul and Barnabas do what Paul is asking Titus to do here, and the verb used is χειροτονέω, which could be rendered either “lay hands on” or “ordain.” It would appear that both Paul, addressing Titus, and Luke in Acts 14 are compressing what takes place by speaking only of the last act, i.e., appointment or laying on of hands, and do not feel it necessary to relate the steps that lead up to that act (which are related in Acts 6). Moreover, Paul has not written the list of qualifications that follows in vv. 6ff. for Titus’s benefit but more probably as a guide for the Christians on Crete, just as a brief list of qualifications was given to the Christians in Jerusalem to follow in their selection of the Seven (Acts 6:3). This similarity would suggest that the Acts 6 (and 14) pattern was operative here, and that would be a further indication for understanding καταστήσῃς as referring to the final act in the process.
κατὰ πόλιν is used in the distributive sense: “city by city” or “in every city” (BAGD s.v. κατά II.1d; cf. Acts 15:21; 20:23; also κατʼ ἐκκλησίαν, Acts 14:23). This means that plural πρεσβυτέρους relates to each city that has a church: Several elders/overseers are appointed in each church. This corresponds to what was done in the cities of Philippi (Phil. 1:1) and Ephesus (Acts 20:17, 28; cf. 14:23; 1 Thes. 5:12, 13; 1 Tim. 5:17). πρεσβύτεροι here designates the officials who lead the Christian congregation (see the comments on 1 Tim. 5:17 and the excursus on Bishops/Presbyters and Deacons following the comments on 1 Tim. 3:8–13). Jeremias’s suggestion that the term be understood here and in 1 Tim. 5:17 as “older men” and the clause here rendered “install older men” is rightly regarded by Dibelius-Conzelmann (and others) as “not possible linguistically.”
Titus is to do this in accord with Paul’s command. The clause with ὡς indicates the manner in which the activity should proceed (BAGD s.v. I.1; cf. Col. 4:4; Eph. 6:20) and refers to what Paul has already said to Titus (aorist tense). He repeats it here in part by indicating the qualifications necessary for an individual to become an elder. With emphatic ἐγώ (as in v. 3) and the verb διεταξάμην (“I ordered, commanded”; cf. 1 Cor. 7:17; 16:1) Paul is providing for Titus (σοι) full apostolic authority to carry out this action carefully in compliance with the standards he giv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7–289.
 
 
6절) 본절의 내용은 앞선 딤전 3:1-13절의 내용과 상당히 유사하다. 에베소 교회와 그레데 교회의 상황에 따라서 같은 내용이지만 바울은 약간 다른 뉘앙스로 적절하게 권면한다. 그레데 교회에 주는 교훈이 더 강조적이라는 점에서 에베소 교회보다 아직 성숙하지 못한 공동체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추축할 수 있다. 
 
 ‘책망할 것이 없고’, ‘아넹클레토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고소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엥칼레오’의 합성어로 ‘비난할 수 없는, 아무 죄가 없는, 문책받을 것이 없는’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그리스도인이라념 누구나 갖추어야할 윤리적인 자질이며 그리스도와의 교제 가운데 있는자라면 당연히 드러나야하는 성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장로가 가지는 공적 위치를 감안할 때 개인적으로 결백하고 흠잡을 데가 없는 고매한 성품을 지녀야할 뿐만 아니라 공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비난받거나 나무랄  데가 없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한 아내의 남편이며’, 바울은 장로의 자격중 가정에서의 남편됨을 강조한다. 바울이 장로에게 이런 조건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아 당시 교회안에서도 일부다처제를 따르거나 문란할 결혼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딤전 3:2) 하지만 본 구절을 근거로 목사가 반드시 기혼남이어야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 직분자로서 가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성적으로 거룩함을 유지해야한다는 것이다.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는 일이 없는 믿는 자녀를 둔 자’, 본문은 자녀교육에 대한 측면을 그 자격으로 말하고 있다. 자녀는 부로를 반영하는 거울이기에 그 자녀의 모습을 통해서 부모의 성격과 인품을 알 수 있다. 
‘방탕하다 하는’으로 번역된 명사 ‘아소티아스’의 원형 ‘아소티아’는 부정 접두어 ‘아’와 성경에서 ‘구원하다, 건강하다, 지키다’라는 의미의 동사 ‘소조’의 합성어로 ‘교정할 수 없다’라는 의미인데 성경에서는 방탕하여 하나님의 뜻을 저비리는 사람에게 사용되었다.(엡 5:18; 벧전 4:4) 즉 이 표현은 도덕적인 문란이나 방탕의 의미와 더불어 종교적으로 구원에서 멀어져 하나님의 뜻을 저버리는 사람을 나타낸다. 
 
 
‘불순종하는 일이’로 번역된 ‘아뉘포탁타’의 원형 ‘아뉘포탁토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복종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휘포탓소’의 합성어로 수동적으로는 ‘복종하게 되지 않은’, 능동적으로는 ‘통제할 수 없는, 다루기 어려운, 불순종한, 고집센’이라는 의리를 가진다. 여기서는 고집이 세서 부모 말씀에 불순종한다는 의미와 더불어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믿는 자녀를 둔 자’, 이 말은 ‘그의 자녀는 신실하다’ㄹ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 말을 ‘믿는’이라고 번역하는 주된 이유는 이 편지에서 이 단어가 디모데와 디도에게는 언제나 구원얻는 믿음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이 단어를 ‘신실하다’라고 번역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어떤 아버지도 자기 자녀의 회심을 보장할 수는 없지만 보통 자녀들이 ‘신실’하게 행동하게 할 수는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또한 딤전 3장의 유사한 구절도 자녀는 적절히 행동해야 한다고만 말하지 자녀의 회심이 그들의 아버지가 감독이 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딤전 3:4).
 
1:6 Above reproach (repeated in v. 7) summarizes the main point, which the rest of the list (vv. 6–9) fills out: there should be no legitimate accusation that could be brought against the elder that would bring disrepute on the gospel or the church; his life should be seen as worthy of imitation. husband of one wife. See note on 1 Tim. 3:2–3. His children are believers can also be rendered “his children are faithful” (Gk. pistos). The primary argument for rendering it as “believers” is that in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is word almost always refers to saving faith. Those who think it should be rendered “faithful” would argue that no father can guarantee the conversion of his own children, but he can ordinarily ensure that they act in a “faithful” way. Also, the parallel passage in 1 Timothy 3 says only that the children must be well-behaved, not that their conversion is a requirement for their father to be an overseer. The concern in the passage is that the children behave appropriately and are not open to the charge of debauchery or insubordination. The word “children” (plural of Gk. teknon) would apply only to children living at home and still under their father’s authority.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48.
 
자녀(테크논)이라는 단어는 가정에서 살며 아직 아버지의 권위 아래 있는 자녀에게 적용되는 표현이다. 
이처럼 교회의 영적인 지도자는 남을 다스리기 전에 자신 뿐만 아니라 그 가정을 바르게 다스릴줄 알아야 한다. 장로 자신이 책망받고 불륜을 저지르거나 그의 자녀들이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다면 누가 그 장로의 말을 듣겠는가? 그러기 때문에 무엇보다 장로는 좋은 교훈과 본을 보여야한다. 장로는 믿는 자들의 고동체인 교회를 잘 다스려야하지만 먼저 그 전에 자신이 속한 가장 우선적인 작은 공동체인 가정을 잘 다스릴줄 알아야 한다. ‘수신제가 치국평천하
 
1:6 Paul begins (as in 1 Tim. 3:2) by stating the overall requirement that a potential elder be “above reproach” (here ἀνέγκλητος, also used of church leaders in 1 Tim. 3:10 [deacons; see the comments there]; the synonym ἀνεπίλημπτος is used of the overseer/elder in 1 Tim. 3:2). As such, a man would not be open to attack or criticism in terms of Christian life in general or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that Paul goes on to name. This does not mean that an elder must be perfect, but it may be fairly said that each named characteristic marks his life. εἴ τίς (see 1 Tim. 3:1) ἐστιν, “If anyone is,” causes the reader to expect a conclusion such as “Elect such a person as an elder.” The conclusion is not stated, probably because Paul wants to list other qualifications, and then having done so, he considers it unnecessary to make explicit the obvious conclusion. The clause implies, therefore, that these requirements are what is necessary and that “anyone” meeting them is eligible.
μιᾶς γυναικὸς ἀνήρ, “the husband of one wife,” indicates that marital and sexual fidelity are required of the potential elder. This assumes that the church officer is married (the usual situation in life) and thus prescribes fidelity in these terms. By inference it demands the same sexual purity of an unmarried elder, who is no more ruled out by this requirement than is the man with less than two children by the next requirement (see comments on 1 Tim. 3:2).
With “having children who believe, not accused of dissipation or rebellion,” it is not demanded that the elder have children but only that, if he has them, they should be πιστά τέκνα (on τέκνα see 1 Tim. 3:4, 12). ἔχων is used here “to denote the possession of persons to whom one has close relationships” (BAGD s.v. I.2bα). The implication is that Paul is talking only about children who are still rightfully under their father’s authority in his home (cf. ἐν ὑποταγῇ and the repeated τοῦ ἰδίου οἴκου of 1 Tim. 3:4–5).
Should πιστά in this clause be understood as “faithful” or as “believing”? The range of usage shows that either meaning is a possibility: The word can clearly mean “faithful,” as it does several times in the PE, including once with a noun, as here (2 Tim. 2:2: πιστοὶ ἀνθρώποι). It can also mean “believing” and does on several occasions in the PE, again including once with a noun (1 Tim. 6:2: πιστοὶ … δεσπόται). The context here and the parallel in 1 Tim. 3:4–5, however, provide some important indicators: The qualifying statement here, “not accused of dissipation or rebellion,” emphasizes behavior and seems to explain what it means for τέκνα to be πιστά. Likewise 1 Tim. 3:4 speaks of the overseer “keeping his children under control with all dignity.” In both cases the overseer is evaluated on the basis of his control of his children and their conduct. It is likely, therefore, that τέκνα ἔχων πιστά here is virtually equivalent to τέκνα ἔχοντα ἐν ὑποταγῇ in 1 Tim. 3:4. If that is so, then πιστά here means “faithful” in the sense of “submissive” or “obedient,” as a servant or steward is regarded as πιστός when he carries out the requests of his master (Mt. 24:45f.; 25:21, 23; Lk. 12:42f.; 1 Cor. 4:2; cf. Thayer, Lexicon; Cremer, Lexicon; LSJM s.v.; R. Bultmann, TDNT VI, 175, all but Thayer giving “obedient” as one of the meanings for the word and referring to Xenophon, Hellenica 2.4.30; MM mentions a deed of sale in which a slave is described as πιστοῦ καὶ ἀδράστου, “faithful and not given to running away”; Horsley, New Documents II [1982] 53 gives an epitaph for a slave that says “I remain faithful [πιστός] as before” [cf. ibid. 3 (1983) 39]; Bultmann cites Hesychius: πιστός= εὐπειθής, ready to obey, obedient). This proposed understanding of the passage goes contrary to a consistent pattern in recent English translations (RSV, NEB, TEV: “believers”; similarly NASB, NIV), but the considerations cited above seem compelling.
The concluding part of the verse, μὴ ἐν κατηγορίᾳ ἀσωτίας ἢ ἀνυπότακτα, literally “not in an accusation of dissipation or rebellious,” negatively qualifies πιστά and thus indicates what may not characterize πιστά children. The negative particle μή is used here, rather than οὐκ, probably because the participle ὄντα is understood with this construction (H. C. G. Moule, 155). μὴ ἐν κατηγορίᾳ** (the noun occurs in Jn. 18:29; 1 Tim. 5:19) can best be expressed in English by “not accused of.” ἀσωτία** (here genitive of the content of the accusation) means “debauchery” or “dissipation” and is used in the NT of drunkenness (Eph. 5:18) and of associated vices of the non-Christian world (1 Pet. 4:4; cf. ἀσώτως in Lk. 15:13). Therefore the potential elder’s children must not be guilty of “sensuality, lusts, drunkenness, carousals, drinking parties” (1 Pet. 4:3).
ἀνυπότακτα stands in tandem with the preceding prepositional phrase and its genitive modifier. Here it means “undisciplined, disobedient, rebellious,” as it does in 1 Tim. 1:9, where it is used of those who are unwilling to be under God’s will and law, and in Tit. 1:10 of the false teachers who “turn away from the truth” (v. 14). What must not characterize the children of an elder is immorality and undisciplined rebelliousness, if the children are still at home and under his authority. Paul is not asking any more of the elder and his children than is expected of every Christian father and his children. However, only if a man exercises such proper control over his children may he be an elder.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PE Pastoral Epistles
LSJM H. G. Liddell and R.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rev. and augmented by H. S. Jones and R. McKenzie, with a Supplement by E. A. Barber. Oxford, 1968.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MM J. H. Moulton and G. Milligan, The Vocabulary of the Greek Testament. London, 1930.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9–290.
 
 
 
728x90
and hat the proper time manifested in his word3 ithrough the preaching jwith which I have been entrusted kby the command of God our Savior;
To Titus, lmy true child in ma common faith:
nGrace and peace from God the Father and Christ Jesus our Savior.
h See 1 Tim. 2:6
3 Or manifested his word
i [Rom. 10:14]
j See 1 Tim. 1:11
k 1 Tim. 1:1
l See 3 John 4
m Jude 3; See 2 Pet. 1:1
n See 1 Tim. 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3–4.
 
3 자기 때에 자기의 말씀을 전도로 나타내셨으니 이 전도는 우리 구주 하나님이 명하신 대로 내게 맡기신 것이라
4 같은 믿음을 따라 나의 참 아들 된 디도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1:3–4.
 
3절) ‘때에’로 번역된 ‘카이로스’는 앞서 2절에서 사용된 ‘크로노스’, 즉 연대기적인 시간이 아닌 ‘결정적 시점, 적시, 기회’를 의미한다. 이는 어떤 특정한 일이 발생하는 결정적 시기로 하나님의 경륜가운데 존재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자기 때’는 구속사의 흐름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사건이었던 성육신,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께서 이 땅 가운데 오신 때, 사건을 의미한다. 갈 4:4에 ‘때가 차매’라는 표현이 있는데 그곳에서의 때가 카이로스가 아닌 크로노스로 표현되었지만 예수님의 카이로스는 하나님이 정해 놓으신 연대기적 크로노스가 다 찬 때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는 이 땅에서 공생애를 시작하시면서 하나님 나라의 복음, 구원의 진리를 선포하셨다. 즉 하나님이 때에 오셔서 하나님의 구원의 진리의 말씀을 선포하신 것이다. 이처럼 예수님이 구원에 관한 진리의 말씀을 전하는 방식이 바로 본문에서 말하는 ‘전도’, 즉 ‘케리그마’이다. 이 표현은 ‘이미 일어났거나 다가올 사건에 대한 정보를 담은 사자로서의 공적 선포, 특히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구원과 관련된 메시지’를 의미한다(마 11:1; 막 1:38-39; 3:14). 즉 전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공적으로 선포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강단에서 전해지는 말씀도 케리그마에 해당한다. 
‘나타내셨으니’로 번역된 ‘에파네로센’은 ‘파네로오’의 부정 과거형이다. ‘파네로오’는 ‘알게하다, 나타내다, 현현하다, 즉 감추여져 있거나 알려지지 않은 것을 명백하게 눈에 보이게 하다’라는 의미이다.(막 4:22; 요 2:11; 고후 2:14; 엡 5:13; 계 2:18) 주로 하나님의 은혜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나타난 것을 말할 때 쓰였다.(딤후 1:10)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현현이며 그가 전한 말씀은 하나님의 뜻이 나타난 것인데 이것이 부정 과거 동사로 벌써 이러한 나타남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이 나타남의 방법이 바로 전도, 케리그마이다. 
 
 
 
일반적으로 바울은 그의 서신 도입부에 ‘주’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여기서는 ‘우리 구주’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유다서와 바울의 목회 서신에서만 등장하는 표현으로 성부 하나님(딛 2:10; 3:4; 딤전 1:1; 2:3)을 가리키기도 하고 성자 하나님(딛 1:4; 3:6; 딤후 1:10; 유 1:25)을 가리킨다. 본 3절에서는 성부 하나님을 가리킨다. 
‘명하신 대로’로 번역된 ‘카트 에피타겐’으로 이것의 원형은 ‘에피타게’인데 ‘명령, 지령, 계명, 권위’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즉 이 표현이 명령이라는 의미로 사용될 때는 명령을 내린 자의 권위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바울 사도에게 맡기신 명령이 신적 권위가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맡기신 것이라’로 번역된 ‘에피스튜덴’은 ‘믿다, 신뢰하다, 확신하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 ‘피스튜오’의 수동태 부정 과거형이다. 따라서 ‘에피스튜덴 에고’는 ‘나는 신뢰를 받았다, 위탁을 받았다’라는 뜻인데 이를 능동태로 바꾸면 바울에게 은혜를 베푸시고 구원하셨던 하나님이 바울을 신뢰하사 그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을 맡기셨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동사 ‘피스튜오’는 ‘믿다, 신뢰하다’라는 의미와 위탁받은 상태 즉 ‘자신이 관리하도록 맡겨진 어떤 것의 수령인이 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πιστεύω (pisteuō), 동사. 믿다, 맡기다. 미래 능동태. πιστεύσω; 부정과거 능동태. Ἐπίστευσα; 완료 능동태. πεπίστευκα; 부정과거 수동태. ἐπιστεύθην; 완료 중간태. πεπίστευμαι. 히브리어 등가: אמן 1 (36), שׁמע (1).
동사 용법
1. 예수를 신뢰하다 — 복음서에서 말하는 것처럼 예수를 신뢰하는 것
요 3:16 πᾶς ὁ πιστεύων εἰς αὐτὸν
요 5:44 πῶς δύνασθε ὑμεῖς πιστεῦσαι, δόξαν παρʼ ἀλλήλων
살후 1:10 καὶ θαυμασθῆναι ἐν πᾶσιν τοῖς πιστεύσασιν,
벧전 1:8 πιστεύοντες δὲ
벧전 2:7 τοῖς πιστεύουσιν·
2. 믿다 (받아들이다) — 사실로 받다; 진실로 받아 들이다. 의미상 반의어: 믿지 않다. 관련 주제: 자신감; 대담함; 믿음; 신뢰; 기독교; 개종자; 믿음.
막 16:13 οὐδὲ ἐκείνοις ἐπίστευσαν.
요 5:47 εἰ δὲ τοῖς ἐκείνου γράμμασιν οὐ πιστεύετε,
약 2:19 σὺ πιστεύεις ὅτι εἷς ἐστιν ὁ θεός;
요일 5:1 Πᾶς ὁ πιστεύων ὅτι Ἰησοῦς ἐστιν ὁ
요일 5:10 ὅτι οὐ πεπίστευκεν εἰς τὴν μαρτυρίαν ἣν
3. 맡기다 — 누군가의 돌봄이나 보호에 들어가게 하다. 관련 주제: 보증금; 위임하다.
눅 16:11 τίς ὑμῖν πιστεύσει;
요 2:24 αὐτὸς δὲ Ἰησοῦς οὐκ ἐπίστευεν αὑτὸν αὐτοῖς
4. 믿다 (신뢰) — 믿음을 갖다; 어떤 것을 신뢰하다 의미상 반의어: 불신하다. 관련 주제: 자신감; 대담함; 믿음; 신뢰; 기독교; 개종자; 믿음.
막 16:16 ὁ πιστεύσας καὶ βαπτισθεὶς
요 3:12 καὶ οὐ πιστεύετε, πῶς
약 2:23 Ἐπίστευσεν δὲ Ἀβραὰμ τῷ θεῷ,
요일 3:23 ἵνα πιστεύσωμεν τῷ ὀνόματι τοῦ υἱοῦ αὐτοῦ
요일 5:10 ὁ πιστεύων εἰς τὸν υἱὸν τοῦ θεοῦ
5. 위탁 받은 (상태) — 자신이 관리하도록 맡겨진 어떤 것의 수령인이 되다. 관련 주제: 보증금; 위임하다.
롬 3:2 ὅτι ἐπιστεύθησαν τὰ λόγια τοῦ θεοῦ.
고전 9:17 εἰ δὲ ἄκων, οἰκονομίαν πεπίστευμαι.
갈 2:7 πεπίστευμαι τὸ εὐαγγέλιον τῆς ἀκροβυστίας καθὼς Πέτρος
살전 2:4 καθὼς δεδοκιμάσμεθα ὑπὸ τοῦ θεοῦ πιστευθῆναι τὸ
딛 1:3 ὃ ἐπιστεύθην ἐγὼ κατʼ ἐπιταγὴν τοῦ σωτῆρος
6. 믿다 (수용하다) — 사실로 수용하거나 그렇게 되다; 사실이라고 받다. 관련 주제: 자신감; 대담함; 믿음; 신뢰; 기독교; 개종자; 믿음.
살후 1:10 ὅτι ἐπιστεύθη τὸ μαρτύριον ἡμῶν ἐφʼ ὑμᾶς,
딤전 3:16 ἐπιστεύθη ἐν κόσμῳ,
동사. 동사
미래 능동태. 미래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부정과거 능동태
완료 능동태. 완료 능동태
부정과거 수동태. 부정과거 수동태
완료 중간태. 완료 중간태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현재 의미를 포함하여 나오는 현 원형의 모든 용례.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1:3 Paul now moves from eternity past to the manifestation in time and history of God’s promise. φανερόω (PE* 3x: also in 1 Tim. 3:16; 2 Tim. 1:10; here ἐφανέρωσεν) means “reveal, make known, show.” Here what is revealed is τὸν λόγον αὐτοῦ, God’s message. There is a slight but understandable shift from the “eternal life” promised by God, referred to in the preceding verse, to “his word” here. According to 2 Tim. 1:10 (eternal) life is brought to light through Christ’s work. But since eternal life is unseen and still in the future for believers, God makes known the truth about eternal life in what is called here τὸν λόγον αὐτοῦ, which in the analogous passage 2 Tim. 1:10 is said to take place διὰ τοῦ εὐαγγελίου. It would appear, therefore, that “his word” her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gospel message (cf. the same correlation in Eph. 1:13; Phil. 1:12, 14; Col. 1:5).
This manifestation was made καιροῖς ἰδίοις, which may be rendered “at the proper time” (see comments on 1 Tim. 2:6; 6:15). God has determined the time of the manifestation (cf. Gal. 4:4; Rom. 5:6; see Lock).
Paul adds to τὸν λόγον αὐτοῦ the words ἐν κηρύγματι, “in proclamation” or “in preaching,” thus, as elsewhere, carefully linking the essence of the gospel message to the apostolic communication of that message (cf. the closely analogous passages 2 Tim. 1:10–11; Rom. 16:25ff.). He says thereby not only that God has manifested the content of the gospel message but also that he has done so in and through the apostolic proclamation (ἐν with the dative to express manner or means).
Paul was “entrusted” with this task of “proclamation” (cf. 2 Tim. 1:10–11). Here he adds ἐγώ, “I,” for emphasis, since he always remains amazed that he, who had been the gospel’s arch-opponent, should be entrusted by God’s wondrous grace with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5 of 7x in the PE* ἐγώ is used of this event: here; 1 Tim. 1:11, 15; 2:7; 2 Tim. 1:11; the other 2 are related to Paul’s activity as an apostle: Tit. 1:5; 2 Tim. 4:6). A passive form of πιστεύω with the meaning “be entrusted with something” occurs 6x in Paul and nearly always refers to his being entrusted with the gospel and its proclamation (1 Cor. 9:17; Gal. 2:7; 1 Thes. 2:4; 1 Tim. 1:11; here; the one exception is Rom. 3:2).
κατʼ ἐπιταγήν (see 1 Tim. 1:1) is used here with the meaning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which BAGD suggest is equivalent to “by command.” Paul wants to make plain that his being entrusted with the gospel, i.e., his apostleship (see 1 Tim. 1:1), did not originate from humans (see Gal. 1:1, 11, 12) but is an “order” or “injunction” from God himself. Thus Paul refers in several of his salutations to this action of God, using ἐπιταγή (here and 1 Timothy) or θέλημα (1 and 2 Corinthians, Ephesians, Colossians, and 2 Timothy) with θεοῦ, or by directly repudiating any human agency (Galatians).
Here and in 1 Tim. 1:1 (see the comments on that verse) Paul adds to θεοῦ the designation τοῦ σωτῆρος ἡμῶν, “our Savior.” He may do so because the readers of these two letters needed to be reminded that the one who has entrusted Paul with the gospel is indeed their Savior, so that this awareness might shape their thinking and acting as it shapes his (note where Paul refers to God as “Savior” in these two letters: 2:10, 13; 3:4; 1 Tim. 2:3; 4:10; “God our Savior” occurs nowhere else in his letters).
By thus referring to the “proclamation” with which he was “entrusted,” i.e., to his own ministry, Paul returns to the purpose of his apostleship and thus concludes this portion of the salutation by giving further emphasis to that purpose. This clear statement of Paul’s authoritative apostleship and its purpose of furthering the spiritual health and well-being of God’s people provides for Titus the basis for communicating and carrying out Paul’s sometimes forceful demands in this letter. Titus knows all these things, but by writing them to him Paul is making them very clear to those on Crete to whom Paul is ministering by means of this letter.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5–286.
 
4절) 바울은 1-3절에서 자신의 사도적 소명에 대해서 기술한다. 즉 이 서신의 발신자된 바울이 누구이며 어떻게 복음 전하는 일을 맡게 되었는지를 밝히고 나서 이제 본 4절에서는 이 편지의 수신자가 디도임을 밝히고 그에게 축도를 하고 있다.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 은혜와 평강을 구하는 내용은 딤전 1:2와 딤후 1:2의 축도와 유사하다. 
 
디모데전서 1:2
2믿음 안에서 참 아들 된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디모데후서 1:2
2사랑하는 아들 디모데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로부터 은혜와 긍휼과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바울은 디도가 자신과 같은 믿음을 가졌음을 먼저 밝히고 있다. ‘같은’으로 번역된 ‘코이넨’의 원형 ‘코이노스’는 ‘일반적인, 공통의, 공유의’라는 의미와 ‘속된, 부정한, 불결한’이란 뜻도 가진다. 여기서는 전자의 의미로 바울의 믿음과 공통적인 믿음을 가졌음을 밝히는 것이다. 바울의 영적 아들인 디도도 역시 바울과 동일한 믿음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바울은 디도를 향해 ‘참 아들’이라고 말했다. 바울은 디모데와 오네시모에게도 ‘아들’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딤전 1:2; 몬 1:10) 여기 사용된 ‘나의 참’이라는 표현인 ‘그네시오스’는 ‘서출이 아닌, 적법하게 태어난, 진짜의’란 의미의 형용사이다. 디도와 디모데는 바울이 직접 낳은 아들이 아니다. 하지만 이런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그들이 바울에게 매우 특별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바울이 직접 전도하여 신앙으로 양육한 자이며 바울이 매우 신뢰하고 있는 믿음의 동역자라는 것을 나타낸다.(갈 2:3; 고후 2:13; 8:23; 12:18)
디도는 같은 믿음을 따라 바울의 참 아들이다. 바울은 이 표현을 통해서 그레데 교회의 성도들로 하여금 디도의 권위에 순종하고 그의 가르침에 귀 기울일 것을 이야기 하고 있다. 왜냐하면 디도는 바울의 참된 영적인 아들로 다른 거짓 선생이나 대적자들과는 다르게 그리스도의 복음에 충실한 바울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바울이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이기에 그에게서 가르침을 받은 디도의 권위 또한 인정받기에 충분하다. 
 
디도는 사도행전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바울서신에 자주 등장하며 고린도후서에서는 8번이나 등장한다.(고후 2:13; 7:6, 13, 14; 8:6, 16, 23; 12:18; 갈 2:1, 2, 3; 딤후 4:10) 그는 헬라인으로 이고니온에서 바울에 의해 회심한 것으로 추정되며 바울에 의해 그레데 지역의 목회자로 위임되었다. 바울은 다메섹에서 예수를 만난후 본격적인 전도자로 서기 위해 예루살렘에 올라갈 때 바나바와 디도와 동행했었다.(갈 2:1) 이 디도는 바울과 고린도 교회에 문제가 생겼을 때 둘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했고(고후 7:6, 7, 13) 바울이 편지 전달 및 헌금 모금을 위해 고린도에 사람을 보내려 할 때 자원하는 등 바울에게 힘이 되어준 동역자였다.(고후 8:16, 17) 이로 보아 바울은 디도를 매우 사랑하고 신뢰했음을 알 수 있다. 
 
3절에서도 우리 구주, 4절에서도 우리 구주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이처럼 디도서에서는 하나님 아버지는 구주로 세 번(1:3, 2:10, 3:4, 딤전 1:1 및 주석, 2:3, 4:10 및 주석 참조), 예수님 역시 구주로 세 번(1:4, 2:13, 3:6, 딤후 1:10 참조) 불린다. 하나이신 하나님(신 6:4)만이 유일한 구원자(사 43:11, 45:21)라는 구약의 확신을 고려할 때, 바울은 아들을 성부와 같은 신성한 존재로 보았을 가능성이 높다.
Savior. In the book of Titus, God the Father is called Savior three times (here; 2:10; 3:4; see also 1 Tim 1:1 and note; 2:3; 4:10 and note), with Jesus also called Savior three times (here; 2:13; 3:6; see 2 Tim 1:10). Given the OT conviction that God, who is one (Deut 6:4), is the only Savior (Isa 43:11; 45:21), Paul is likely viewing the Son as divine like the Father.
OT Old Testament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87.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앞서 발신자와 수신자를 밝힌 후에 바울은 이제 디도에게 축복의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바울은 자신의 여러 서신들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를 함께 언급한다(롬 1:7; 고전 1:3; 고후 1:2; 엡 1:1; 살후 1:2). 성부는 근원이시며 성자는 대행자이시다. 
유다서 25
25곧 우리 구주 홀로 하나이신 하나님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광과 위엄과 권력과 권세가 영원 전부터 이제와 영원토록 있을지어다 아멘
 
바울의 서신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는 밀접하게 연합되어서 양자 모두 동일한 일을 수행하신다. 본 인사말에서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는 명령을 하시고, 구원자의 역할을 행하시고 축복을 선언하신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은혜(카리스)와 평강(에이레네)를 구한다. 
카리스(은혜)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안에서 행하신 당신의 구원 사역을 한 단어로 요약하는 것으로 구원이 무가치한 죄인에게 베풀어진 값없는 선물임을 강조한다. 이는 바울의 신학에서 매우 중요한 표현으로, 신약에서 154회 사용되는데 100번이 바울서신에서 등장한다. 원래 이 표현은 종교적 함의가 없는 표현이었는데 구약에서 ‘헨’, 호의라는 의미로 사용된 것인데 바울은 이것을 사용하면서 구약의 ‘헨’보다는 ‘헤세드’(언약적 신실함)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에이레네(평강)은 전쟁의 중지, 평화로운 관계를 의미하는데 구약에서는 ‘샬롬’으로 표현되어서 적대행위의 외적인 부재와 이어 하나님에 의해 주어지는 총체적 의미의 안녕을 묘사하는 것이다.
 
1:4 Here Paul indicates to whom (dative) he is writing this letter. Paul’s designation of Τίτος (see Recipients: Titus in the Introduction) as his “true child according to a common faith” is nearly the same as his designation of Timothy in 1 Tim. 1:2 (see the comments on that verse). Here, however, he uses κατά in place of ἐν and adds κοινήν. κατά is merely a stylistic variation. Paul may use κοινός, “common,” to remind Titus, the churches on Crete, and the false teachers “of the circumcision” (1:10; cf. v. 14) that he regards the uncircumcised Titus and himself, a Jew, as sharing the same faith (see Introduction, p. 9; cf. Gal. 2:3–4; 3:7–9, 14, 28–29). Titus, no less than circumcised Timothy, is Paul’s spiritual child in this shared faith.
The greeting “Grace and peace from God the Father and Christ Jesus our Lord/Savior” so well articulated for Paul the essence of what Christians need, from whom they receive it, and in what capacity the members of the Godhead, who is this source, stand to Christians that he places it, with only minor differences, in the salutation of every letter (see the comments on 1 Tim. 1:2). In 1 and 2 Timothy he adds ἔλεος, “mercy” (for the textual variants in Titus, including those that add ἔλεος, see UBSGNT; TCGNT). Here alone he calls Christ σωτήρ, “Savior,” rather than κύριος, “Lord.” It is as if he anticipates the two crucial theological arguments that undergird his ethical exhortations in chapters 2 and 3, in both of which Christ as Savior is at the center (2:13; 3:6) as the one through whom God’s grace has come to save us and to instruct and enable us in living godly (2:11ff.) and peaceful (3:1ff.) lives.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 B. M.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6.
 
 
 
 

'성경묵상 > 디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딛 1:10-14 거짓 선지자들을 엄히 꾸짖으라  (0) 2023.04.12
딛 1:7-9 감독의 자격  (1) 2023.04.07
딛 1:5-6 장로의 자격  (0) 2023.04.06
딛 1:1-2 바울이 사도된 이유  (0) 2023.03.30
디도서 서론  (0) 2023.03.29
728x90
Paul, a servant1 of God and aan apostle of Jesus Christ, for the sake of the faith of God’s elect and btheir knowledge of the truth, cwhich accords with godliness, din hope of eternal life, which God, ewho never lies, fpromised gbefore the ages began2
1 For the contextual rendering of the Greek word doulos, see Preface
a See 2 Cor. 1:1
b See 1 Tim. 2:4
c 1 Tim. 6:3
d 2 Tim. 1:1; Heb. 9:15; [ch. 2:13; 3:7]
e Num. 23:19; 2 Tim. 2:13; Heb. 6:18
f Rom. 1:2
g See 2 Tim. 1:9
2 Greek before times eternal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1–2.
 
1 하나님의 종이요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인 나 바울이 사도 된 것은 하나님이 택하신 자들의 믿음과 경건함에 속한 진리의 지식과
2 영생의 소망을 위함이라 이 영생은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 영원 전부터 약속하신 것인데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1:1–2.
 
디도서는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와 더불어 목회서신이라 불리우는 책이다. 딤전, 딤후는 에베소에서 목회하던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이고 디도서는 그레데에서 목회하던 디도에게 보낸 편지이다. 본서는 그레데 교회에 필요한 장로의 자격 조건 및 이단과 거짓 사상에 대한 경계, 그리고 교회의 조직 주립 및 정통 교리 수호를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고 이러한 실천적 덕목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교의 근본 진리와 관련한 영생과 그리스도의 신성 등 신학적 내용도 담고 있다. 
본서는 바울이 1차 로마 감옥 생활(행 28장)에서 풀려난 후 다시 체포되어 2차 로마 감옥에 투옥되어 순교하기 이전 AD 66년경 기록된 것으로 보여진다. 
다른 서신서와 마찬가지로 디도서는 세부분으로 구성된다. 인사말에 해당되는 도입부는 1:1-4, 본론부는 1:5-3:11이며 결론부는 3:12-15이다. 
 
1:1-4은 도입부로 두가지의 특징을 지닌다. 
첫째 내용적으로 볼 때 복음의 진리와 바울 자신의 사도직을 다루는 점에서 로마서와 유사하며(롬 1:2-4) 분량으로 볼 때 본서는 매우 짧은 서신임에도 불구하고 도입부가 로마서와 갈라디아서 다음으로 길다. 
둘째 바울의 다른 서신서 도입부에 대부분 기록되어 있는 내용인 하나님 혹은 교인들에 대한 감사의 내용(롬 1:8; 고전 1:4; 엡 1:16; 빌 1:3; 골 1:3; 살전 1:2; 딤후 1:3)이 생략되어 있다. 바울은 이런 내용을 생략하고 바로 디도에게 자신이 주께로부터 복음 진리를 모든 사람에게 전파하라는 명령을 받았음을 밝히면서 자신과 동일한 전도명령을 받은 자로서 그 사명을 감당하는 목회자로서의 사명을 감당할 것을 디도에게 일깨워주고 있다. 
 
1절) ‘하나님의 종’, 본절에서 *종으로'로 번역된 ‘둘로스' 는 ‘노예, 종' (마 10:24 ; 눅 12:46 ; 요 15:15 ; 고전 7:21 ; 갈 3:28 ; 엡 6:8 ; 골 3:11 ; 계 13:16)이라는 문자적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 단어는 반드시 비천한 계급의 사람에게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왕의 신하' (삼상 29:3 ; 왕하 5:6), 모세나 여호수아 그리고 선지자 등과 같은 '하나님의 일꾼' (출 14:31 ; 민 12:7 : 수 1:2 : 삿 2:8 ; 시 78:70 ; 105:26 ; 암 3:7 ; 렘 7:25 ; 단 9:6)을 가리키는 데도 쓰였다. 특히 신약 성경에서는 '그리스도에 의하여 구속된 사람' (고전 7:23 ; 요 8:34 ; 룸 6:17.20 ; 딤후 2:19), '그리스도에 의해 소유된 자'(고전 3:23 ; 7:22), ‘그리스도의 대리자'(갈 1:10 ;롬 1:1;골 4:12), '그리스도의 뜻에 순종하고 봉사하는 자' (고전 3:5 ; 고후 3:6 : 엘 3:7), 흑은 '복음을 전파하는 교사’ (딤후 2:24)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 ‘둘로스' 라는 단어는 특히 바울이 하나님과의 관계하에서 자신을 지칭할 때 즐겨 사용하는 표현이다(롬 1:1 ; 고전 7:21 ; 고후 4:5 ; 갈 1:10 ; 빌 1:1 ; 골 1:7). 그러나 로마서나 빌립보서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 이라고 표현하였지만(롬 1:1;빌 1:1) 본서에는 유일하게 '하나님의 종'이라고 말하고 있다(행 16:17 ;벧전 2:16 ; 계 7:3 ; 15:3 ; 19:5). 이것은 고대의 예언자나 위인을 칭할 때 주로 사용되는 표현이었지만, 여기서는 하나님에 대한 절대적인 순종과 겸손을 나타냄과 동시에 자신이 하나님의 거룩한 일을 맡은 자라는 신적 권위틀 내포하고 있는 표현이라 말할 수 있다. 즉 바울은 자신이 언급할 이하의 내용이 신적 권위에 근거한 것임을 드러내기 위하여 이 표현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 ‘사도, 아포스톨로스’라는 표현도 ‘종, 둘로스’라는 표현과 함께 바울이 자신을 지칭할 때 즐겨 사용하는 표현으로 빌립보서와 빌레몬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서신서에 등장한다.(롬 1:1; 고전 1:1; 고후 1:1; 갈 1:1; 엡 1:1; 골 1:1;  살전 2:6; 딤전 1:1; 딤후 1:1) ‘종’이 자신을 더 낮추는 겸손한 표현이라면 ‘사도’는 자신이 그리스도께 부름받았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칭호라고 할 수 있다. 
‘아포스톨로스’는 ‘보내다’는 의미의 동사 ‘아포스텔로’에서 파생된 명사로 ‘전권을 가지고 파견하신 분을 위해 행동하는 사람,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혹은 다른 사도들로부터 위임 받아 그를 대신하여 말하는 권위를 입은 사람’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바울은 여러 사람들로부터 자신의 사도성을 의심받았다. 왜냐하면 다른 제자들은 주님의 공생애에 함께 동행했고 그분의 죽음과 부활을 직접 목도했지만 바울을 그렇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울은 자신이 열두 제자의 일원은 아니지만 다메섹 도상에서 부활하신 주님을 직접 만나 사도로 부르심을 받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고전 15:8; 갈 1:!; 롬 1:5; 고전 1:1, 고후 1:1) 
바울은 이제 자신이 사도로 부르심을 받은 이유를 1-2절에 걸쳐서 세가지로 설명한다. 그것은 하나님이 택하신 자들의 믿음과 경건에 속한 진리의 지식과 영생의 소망을 위함이다. 
 
‘나 바울이 사도된 것은’으로 번역된 ‘카타’는 ‘~을 따라, ~에 대하여, ~을 위한 목적으로’라는 의미로 근거나 목적을 제시할때 사용되는 전치사이다.  이를 통해 바울은 자신이 하나님의 종됨과 그리스도의 사도됨의 목적을 세가지로 밝히고 있다. 
‘택하신 자들의’로 번역된 ‘엑클렉톤’의 원형 ‘에클렉토스’는 영어에서 ‘선임, 선출, 선거’의 의미를 지니는 ‘election’의 어원이 되는 단어로 ‘뽑힌, 선택된’이라는 의미로 여기서 하나님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인간 구원이 온전히 하나님의 주권적인 선택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사 43:20; 45:4; 65:9)으로 신약에서는 롬 8:33과 골 3:12에서 사용된다. 
여기서 ‘하나님의 택하신 자들의 믿음’이란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조상 아브라함을 택하시고 그와 언약을 맺으심으로 그의 자손들을 하나님의 백성으로 택하셨으며 그들의 믿음을 근거로 구원을 이루셨다는 역사적 사실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딤후 2:10) 즉 바울 자신이 하나님의 종이요 그리스도의 사도가 된 첫번째 목적은 구원받을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의사나 공로와는 전혀 관계없이 하나님의 영원하신 선택에 따라서(카타) 부름받은 사람들로 하여금 구원에 합당한 믿음을 갖게 하는 데에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벧전 1:2)
 
두번째 이유는 ‘경건함에 속한 진리의 지식’을 위함이다. 바울 서신에서 ‘경건’이라는 표현은 애우 중요하다. ‘경건함’에 해당하는 ‘유세베이아’는 원래 ‘숭배, 존경, 하나님을 향한 경건한 행위와 바른 믿음’이라는 의미이다. 이 표현을 영어 성경에서는 ‘godliness’로 번역했는데 이는 ‘하나님을 닮은 것’이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경건은 ‘하나님의 인격을 닮은 것’으로 그리스도인이라면 마땅히 추구해야할 궁극적인 목표이며 그리스도인의 온전한 삶의 당연한 귀결이다.(벧후 3:11) 본문에서는 진리의 지식이 경건함을 따라 나온다는 의미로 ‘속한’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으로 ‘진리의 지식’이 불경건에 속할 수는 없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이 사도된 목적이 성도들로 하여금 진리를 아는 지식을 가지게 하기 위함임을 분명히 밝히면서 이 진리를 아는 지식과 경건한 삶이 결코 분리될 수 없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진리를 아는 참된 지식은 참된 삶인 경건으로 귀결되며 참된 삶의 근거는 바로 참된 지식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1:1 This verse contains the name of the author (Παῦλος), two designations of his role (δοῦλος, ἀπόστολος) with their respective indicators of relationship (θεοῦ,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the results for which he labors (πίστιν … καὶ 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 τῆς κατʼ εὐσεβείαν) and those for whom he labors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For Παῦλος see 1 Tim. 1:1.
δοῦλος (see 1 Tim. 6:1) means “slave” and is used literally by Paul on several occasions (e.g., 1 Cor. 7:21, 22; Eph. 6:5–8; Col. 3:11, 22; 4:1; 1 Tim. 6:1; Tit. 2:9; Phm. 16, 18). The word can be used to designate the exclusive nature of man’s relationship to God and is used by the LXX in the Psalms and elsewhere to describe this relationship to God (cf., e.g., Pss. 19:11, 13; 67[66]:17; 86[85]:2, 4, 16; 119[118]:17, 23, 38, 49, 65, 76, 84, 122, 124f., 135, 140, 176; Tuente, NIDNTT III, 595). Just as it is used for the members of the covenant community, so also it is used to designate its leaders, e.g., Moses (Ps. 104[105]:26), Joshua (Jos. 24:30[29]; Jdg. 2:8), Abraham (Ps. 104[105]:42), David (Ps. 88:4[89:3]), Jacob (Is. 48:20) (cf. Rengstorf, TDNT II, 268; BAGD s.v. 4). Paul connects the secular usage of δοῦλος, “slave,” to the religious usage by designating the “free” Christian as “Christ’s slave” (see 1 Cor. 7:22) and hence uses the term for members of the Christian community (Rom. 6:16; 1 Cor. 7:22; Eph. 6:6) and its leaders including himself (cf., e.g., for others Col. 4:12; for others with himself Phil. 1:1; for himself Rom. 1:1; Gal. 1:10; used as a principle 2 Tim. 2:24; cf. also σύνδουλος, Col. 1:7; 4:7). When qualified by a genitive in Paul it is usually Χριστοῦ (Rom. 1:1; [1 Cor. 7:22]; Gal. 1:10; Eph. 6:6; Phil. 1:1; Col. 4:12) rather than θεοῦ as here (and in Jas. 1:1 [where it is also qualified by κυρίου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1 Pet. 2:16; Acts 16:17; Rev. 7:3; 15:3; cf. 2 Tim. 2:24, δοῦλον κυρίου). “But here, as elsewhere, the distinctive thing about the concept of the doulos is the subordinate, obligatory and responsible nature of his service in his exclusive relation to his Lord” (Tuente, NIDNTT III, 596).
Paul joins to the above designation his more usual designation of himself as an ἀπόστολος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see 1 Tim. 1:1; note that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here is the reverse of the order found in 1 Tim. 1:1 and 2 Tim. 1:1, although Χριστοῦ Ἰησοῦ is found in some MSS here, see NA26). For ἀπόστολος see 1 Tim. 1:1. Paul refers to himself as “an apostle of Jesus Christ” in this opening section (as he does in his other letters) to indicate the role and authority with which he writes to Titus (1:4) and through him to the members of the churches on Crete (cf. 2:2ff., 15; 3:1ff., 8, and especially 15c: “Grace be with you all” [μετὰ πάντων ὑμῶν]).
His apostleship is κατὰ πίστιν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καὶ 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 τῆς κατʼ εὐσέβειαν. Although κατά might mean “in accordance with” here, the sense of the passage seems to be best captured by the RSV rendering “to further the faith of God’s elect …” (cf. also Bernard, Brox, Hendriksen; Kelly renders it “in the interest of” and refers appropriately to Jn. 2:6; cf. also Jos., Ant. 3, 268). Just as in Rom. 1:5 Paul’s apostleship is to “bring about the obedience of faith among the Gentiles,” so here similarly his apostleship is “in the interest of” the πίστιν and ἐπίγνωσιν ἀληθείας of the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πίστις would appear to designate here the subjective element of trust or belief, since it is followed by the genitive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and paralleled by ἐπίγνωσις. ἐκλεκτός (NT 22x, Pl.* 6x, PE 3x, Rom. 8:33; 16:13; Col. 3:12; 1 Tim. 5:21; here; 2 Tim. 2:10) means generally those “chosen or selected” and is used here, as elsewhere in the NT, “especially of those whom God has chosen fr. the generality of mankind and drawn to himself” (BAGD). The phrase ἐκλεκτοὶ (τοῦ) θεοῦ is used in the NT to designate Christians and to emphasize who it is that has elected them (the phrase is used only by Paul in the NT, Rom. 8:33; Col. 3:12; Tit. 1:1; it is also used in the LXX to designate God’s people, 1 Ch. 16:13; Ps. 88:4[89:3]; 104[105]:6, 43; Is. 65:9, 15, 23). The entire phrase πίστις ἐκλεκτῶν θεοῦ reminds one of the statement “as many as had been appointed to eternal life believed” (Acts 13:48).
καί joins ἐπίγνωσιν to πίστιν as a joint object of the preposition κατά. For ἐπίγνωσις see 1 Tim. 2:4. With the definite article τῆς following ἀληθείας and preceding κατʼ εὐσέβειαν Paul insists that ἀληθεία is that “truth” which pertains to or produces εὐσέβεια (cf. 1 Tim. 6:3, 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 κατʼ εὐσέβειαν). εὐσέβεια (see 1 Tim. 2:2) means here, as often elsewhere in the NT, “godliness” in the sense of a godly life, the life of one who fears and serves God.
The correlation of these terms characterizes the purpose of Paul’s apostleship and highlights the perspective of his message and ministry. He constantly calls on his readers to turn to God in faith and to live in faith and is equally emphatic that God has previously chosen or elected such people (e.g., Rom. 8:28–33; 9:11). Similarly he constantly calls on them to know and understand God’s truth so that they can “walk in a manner worthy of the Lord, to please him in all respects” (e.g., Col. 1:9–10). Here he knits all these aspects together with carefully chosen words (cf. 2:10–11; 3:8).
LXX Septuagint
NIDNTT C. Brown, ed.,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I–III. Grand Rapids, 1975–78.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NIDNTT C. Brown, ed.,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I–III. Grand Rapids, 1975–78.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Ant. Antiquitates Judaicae (Josephus)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PE Pastoral Epistles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LXX Septuagint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2–283.
 
2절) 세번째 목적은 ‘영생의 소망을 위함이라’이다. 성경에서 이 ‘영생의 소망’이라는 표현은 본절과 딛 3:7에 유일하게 두번 등장한다. 
‘인함이라’로 번역된 전치사 ‘에프’는 문자적으로 ‘~위에서’라는 의미로 ‘영생에 대한 소망의 터 위에서’로 번역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생의 소망은 그리스도인이 도달할 최종 종착지로서 영원한 삶을 누리게될 천국의 삶을 의미한다. 이 영생에 대한 소망은 구원을 은혜로 거저 주시고 성도에게 기업이 되시는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는다.(딤전 1:16; 4:8; 6:12, 19; 딤후 1:1, 10) 사도가 전하는 복음, 곧 예수 그리스도는 성도에게 영생을 약속한다.(요 10:28) 이러한 영생에 대한 소망은 이 세상에서의 윤리적인 삶만을 강조하는 여타 다른 종교와 기독교에 차별성을 제공한다. 사도가된 중요한 이유는 다름아닌 사람들로 하여금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영생의 소망을 갖도록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어서 바울은 그 영생의 소망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부연 설명한다. 
 
‘이 영생은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 영원 전부터 약속하신 것’이다. ‘거짓이 없으신’에 해당하는 ‘압슈데스’는 ‘거짓, 거짓말’을 뜻하는 ‘프슈도스’에 부정 접두어 ‘아’가 결합된 것으로 ‘거짓 없는, 거짓말하지 않는’이란 의미이다. 이는 하나님의 속성이다.(히 6:18) 반대로 사단은 거짓말하고 속이는 자이다.(요 8:44; 요일 2:22) 바울이 여기서 하나님이 여러 다른 속성중 거짓말하지 않는 속성을 기록한 것은 그렇게 진실하신 하나님께서 하신 약속이므로 그것은 틀림없이 성취될 것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하나님은 변함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신 분(약 1:17)으로서 한번 하신 약속을 식언하는 행위를 하지 않으신다.(민 23:19) 그리스도를 믿는 자에게 주어지는 이 영생의 약속은 이런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 약속하신 것임으로 확실한 것이다. 
또한 이 약속은 영원전, 창세전부터 하나님에 의해 계획되어지고 약속되어진 것이다. 즉 영생은 인류 역사 가운데 어떤 특정한 사건을 계기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아무런 사건도 일어나지 않은 ‘영원 전부터’약속된 것임을 말하고 있다.(고전 2:7; 엡 1:4; 살후 2:13; 딤후 1:9) 여기서 ‘영원’으로 번역된 ‘크로논 아이오니온’이다. ‘코로논’의 원형인 ‘크로노스’는 ‘때의 한 기간, 어떤 특정한 시간’이라는 의미로 역사 속에서 순차적으로 흘러가는 시간, 즉 연대기적인 시간을 초월한 개념이다. 논리적으로 볼 때 ‘영원한 시간 전’이라는 표현은 성립할 수 없다. ‘영원’에는 전이나 후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문은 영생을 약속하신 하나님이 이를 영원 전부터 약속하셨다라고 표현한다. 이는 하나님은 인간의 시간 속에 제한을 받는 분이 아니시고 시간의 한계를 초월하여 존재하시는 분이시므로(눅 20:37-38) 이 표현은 창세 이전의 시간만이 아닌 하나님의 존재 방식까지 나타내는 것으로 봐야 한다. 영원하신 하나님은 시간의 주인이시다. 
 
1:2 The logical connection between ἐπʼ ἐλπίδι ζωῆς αἰωνίου and the preceding verse is not precisely clear and various possibilities have been proposed (see Huther and Hendriksen for examples). The preposition ἐπί does not in itself provide an answer. Analogies are provided by the occurrences of ἐλπίς in 1 Tim. 1:1 and of ἐπαγγελίαν ζωῆς in 2 Tim. 1:1, both in the section of the salutations of those letters related to Paul’s apostleship, though in both cases in a slightly different construction than here, and with 1 Tim. 1:1 adding the qualification “our” (ἡμῶν).
Perhaps then this prepositional phrase at the beginning of v. 2 qualifies ἀπόστολος (cf. 1 Tim. 4:10), as does the preceding phrase, κατὰ πίστιν.… It would thus give an additional reason for Paul’s apostleship (cf. BAGD s.v. ἐπί II.1bγ). If this is so, then this phrase speaks of the hope that Paul shares with the ἐκλεκτοὶ θεοῦ as he carries out his apostolic ministry and message. In 3:7—the only other NT occurrence of ἐλπὶς ζωῆς αἰωνίου—Paul relates that he does share in this hope. The phrase should probably be understood to function here as it does there.
ἐλπίς (PE* 4x: 1 Tim. 1:1; Tit. 1:2; 2:13; 3:7) is used here and in the NT in the sense of “confident expectation” (as opposed to sight or possession: Rom. 8:24–25) based on God’s promise. Sometimes the same hope is expressed in other words (e.g., “the hope of glory,” Rom. 5:2; Col. 1:27). The combination ζωὴ αἰωνίος, “eternal life” (see 1 Tim. 1:16), signifies in Paul that endless future life which the believer will have as a gift from God through Jesus Christ (Rom. 5:21; 6:23; 1 Tim. 1:16; 6:12) and will enjoy in fellowship with God and his people.
The God who promised this eternal life (cf. 2 Tim. 1:1; 1 Jn. 2:25) “before the beginning of time” (NIV) is he “who does not lie.” ἐπηγγείλατο (see 1 Tim. 2:10) is used here with the meaning “promised.” Paul speaks elsewhere of God promising life with the cognate noun ἐπαγγελία (1 Tim. 4:8 and 2 Tim. 1:1). God’s faithfulness to this promise is expressed negatively here with the adjective ἀψευδής** (a NT hapax), “who cannot lie.” This way of speaking about God has its roots in the OT (e.g., Nu. 23:19; 1 Sa. 15:29), and this OT background is reflected elsewhere in Paul (e.g., Rom. 3:3–4; 2 Tim. 2:13) and in the NT (Heb. 6:18).
The time that God made this promise was πρὸ χρόνων αἰωνίων. The preposition πρό, when used of time, means “before” (see BAGD s.v. 2). Some have interpreted χρόνοι αἰωνίοι** (also in Rom. 16:25; 2 Tim. 1:9) as referring to the long period of time reaching back to when God made this promise to the patriarchs (e.g. Calvin; cf. RSV, NASB, NEB). Others (cf. NIV) think that Paul is speaking here of God’s commitment before time began. The most compelling consideration is the meaning of the phrase (again with πρό) in 2 Tim. 1:9, where it relates to the time of God’s purpose (πρόθεσις) and is contrasted with the “now” (νῦν) of Christ’s first appearance. There the phrase is usually understood to refer to eternity (so NASB and NEB). Here, too, there is the same movement from the time of promise to the time of manifestation (Tit. 1:2, 3). Therefore, it is best to understand χρόνοι αἰωνίοι as referring to eternity here also. This would also be in accord with Paul’s perspective elsewhere, where he looks back to God’s decision before time and the world began (cf. 1 Cor. 2:7: πρὸ τῶν αἰώνων; Eph. 1:4: πρὸ καταβολῆς κόσμου).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EB New English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EB New English Bible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3–285.
 
728x90
바울이 디도에게 보낸 이 목회 서신은 디도가 경건하지 않은 사람들과 교회 내 율법주의자들의 지속적인 반대를 견디고 있을 때 격려와 지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디도에게 자신이 돌보는 교회들을 위해 감독자(장로)를 세우는 임무를 완수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지도자들이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지, 모든 신자들이 불신자들과의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서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올바른 그리스도인의 행동은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나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가져다주었다"는 사실에 근거하며, 따라서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은 그의 재림을 기다리면서 "절제하고 정직하며 경건한 삶을 살아야" 합니다(2:11~13). 바울은 아마도 서기 60년대에 이 편지를 썼을 것입니다.
 
1. 저자와 제목
딛 1:1-4을 통해서 볼때 이 서신은 사도 바울이 그의 동역자인 디도에게 쓴 편지이다. 바울이 디도서를 썼다는 사실에 대한 도전이 있어왔지만 본문이 명백히 바울이 저자임을 밝히고 편지의 신학과 문체가 다른 바울의 편지들과 일치한다. 
 
2. 저작 연대
혹자들은 사도행전에 바울이 그레데에서 선교 사역을 한 기록이 없다는 사실을 들어서 바울의 저작 사실을 비판한다. 하지만 바울의 편지도, 사도행전도 바울의 모든 사역을 기록했다고 볼 수 없다. 전통적으로 디도서가 디모데전서와 마찬가지로 바울의 1차 투옥(행 28장)과 바울의 죽음으로 이어진 2차 투옥 사이의 시기에 기록되었다고 본다. 이 관점에서 본다면 디도서는 디모데전서와 거의 같은 시기인 AD 60년대 중반에 기록되었을 것이다. 
 
3. 저작 목적, 상황 및 배경
바울은 최근 그레데로 여행을 마치고 새로운 교회들을 설립했습니다. 바울은 이 교회들이 제대로 세워졌는지 확인하기 위해(바울의 전형적인 패턴대로, 사도행전 14:21~23 참조)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 두었습니다. 신생 교회들 사이에 거짓 교사들(딛 1:10-16)이 존재하면서 상황은 더욱 심각해졌습니다.
거짓 교사들은 이 편지를 쓰게 된 특별한 계기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거짓 교사들에 대한 논의는 서신의 핵심을 구성합니다. 또한 장로들에 대한 묘사(1:5-9)와 올바른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묘사(2:1-10, 3:1-3)는 이러한 반대자들과 의도적으로 대조하기 위해 쓰인 것으로 보입니다. 거짓 가르침의 내용은 디모데전서에서처럼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반대자들이 "할례파"(딛 1:10)에서 비롯되었고 “유대인의 허탄한 이야기"(1:14)와 아마도 의식적 순결(1:15)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가르침에 상당한 유대적 요소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바울의 주된 관심사는 거짓 가르침의 실제적인 영향에 있습니다. 의식적 순결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거짓 가르침의 신봉자들은 복음에서 흘러나오는 경건의 삶을 살지 않고 하나님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방식으로 살았습니다(1:16).
어떤 식으로든 불경건을 허용하는 이 거짓 가르침은 고대 세계에서 부도덕의 대명사였던 크레타 섬에서 환영받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2346페이지). 그러나 바울은 그레데에서도 복음이 일상 생활에서 진정한 경건을 낳기를 기대했습니다.
바울은 거짓 가르침에 대처하면서 디도에게 건강한 교회의 초상도 제시합니다. 그는 올바른 리더십(1:5-9), 오류에 대한 올바른 대처(1:10-16, 3:9-11), 올바른 그리스도인의 삶(특히 부도덕한 환경에서 새 신자에게 중요, 2:1-10, 3:1-2), 경건의 근원으로서의 복음(2:11-14, 3:3-7)에 대해 설명합니다.
 
4. 문예적 특징
디도는 형식과 내용 면에서 신약 서신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인사말, 교훈, 파레네시스(도덕적 권면), 결말에 관한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디모데 전서와 디모데 후서와 마찬가지로, 이 서신은 그레데 섬의 여러 지역 교회와 관련하여 목회적 지도력을 가진 사람에게 보내는 서신이기 때문에 '목회 서신'이라고도 불립니다. 바울은 지역 교회에서 목회자의 사역과 관련된 지침을 제시합니다.
이 편지의 독특한 수사학적 또는 문체적 특징은 이 편지에서 보이는 내용의 집중도입니다. 신약 서신서 기준으로는 짧은 편지에 가능한 모든 지침을 담기 위해 바울은 간결하고 비즈니스적인 방식으로 글을 씁니다. 수신자에게 권위적이고 지시적인 자세를 취하는 필자의 태도가 곳곳에 드러납니다. 바울의 조언은 대부분 명령적인 분위기로 표현되어 있어 긴박감이 느껴집니다.
 
5. 핵심 주제
1. 복음은 본질적으로 신자들의 삶에서 경건을 낳습니다. 믿음과 행동 사이에는 합법적인 분리는 없습니다. (1:1; 2:1, 11-14; 3:4-7)
2. 행함이 하나님을 안다는 주장을 증명하거나 반증할 것입니다.(1:16)
3. 경건한 사람이 장로/목사로 봉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1:5-9)
4.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은 다른 사람들에게 복음을 추천할 것입니다.(2:5, 8, 10)
5. 선행은 신자의 삶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2:1-10, 14; 3:1-2, 8, 14)
6. 교회에서 교리적, 도덕적 오류를 명확하고 단호하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10-16; 3:9-11)
7. 복음은 기독교 윤리의 기초입니다.(2:11-14; 3:3-7)
 
 
 
6. 주제와 신학
디도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명사는 하나님(13개), 일("선행"에서와 같이, 8개), 믿음(6개), 구주(6개)입니다. 그리스도는 고상한(그러나 과장되지 않은) 용어로 표현됩니다. 그의 지상의 모습은 그가 아버지 하나님과 마찬가지로 구세주이심을 보여주었습니다(1:4, 2:10). 그의 미래 모습은 "우리의 위대하신 하나님이시며 구주이신 예수 그리스도"(2:13)의 계시로 포장된 "복된 소망"입니다. 디도서 2:13은 예수님을 하나님으로 명시적으로 식별하는 신약의 여러 구절 중 하나입니다(요 1:1, 18, 20:28, 롬 9:5, 히 1:8, 벧후 1:1, 요한일서 5:20 참조).
그리스도의 신성은 영광스럽지만 추상적인 진리가 아니라 추종자들을 선한 일("선한 것", 1:8, 2:7, 14, 3:1, 8, 14)로 이끄는 변혁적 증거입니다. 거짓 추종자들은 부분적으로 그러한 선한 행동의 부족으로 자신을 식별합니다(1:16). 그러므로 바울의 많은 윤리적 권면은 신자들이 자신이 고백하는 복음을 실제 삶에서 보여 달라는 요청입니다. 바울에게 구원의 믿음(1:1, 4, 13, 2:2, 3:8, 15)은 무엇보다도 그 행동으로 나타납니다.
디도서의 메시지는 독특한 사회적 배경을 배경으로 구체화됩니다. 크레타 문화는 무질서하고 부정직이 만연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습니다. 유명한 신화 속 신 제우스는 크레타 섬에서 태어나고 죽었으며, 인간에 대한 관대함으로 신적인 지위를 얻었다고 합니다. 디도서에 나오는 몇몇 구절은 이 신화를 염두에 두면 더욱 선명한 의미를 갖게 되는데, 바울은 기독교의 가르침에 도전했을 수 있는 크레타섬 사람들의 신념을 끌어들이기 위해 담론을 구성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울은 신화가 아닌 참되고 살아계신 하나님에 대한 가르침을 바탕으로 설교했습니다.
 
* 위 요약의 내용은 ESV와 NIV 주석서의 내용을 Translated with DeepL로 번역하여 편집하였습니다. 
 
 
 
Author and Title
As the first verse states, this letter was written by the apostle Paul to his coworker Titus. In the last two centuries the Pauline authorship of Titus (as well as 1 and 2 Timothy) has been called into question. However, the criticisms in the end cannot disprove Pauline authorship, and the arguments for the authenticity of 1 and 2 Timothy also apply to Titus, providing a good basis for affirming the straightforward claim that the book of Titus was written by Paul. The text clearly claims to be from Paul, its theology aligns with Paul’s other letters, and the difference in style is certainly conceivable given the difference in situation. For more discussion on authorship, see Introduction to 1 Timothy: Author and Title.
 
Date
As with 1 Timothy, critics of Pauline authorship point out that the letter to Titus does not seem to fit into the narrative of Acts. There are no accounts in Acts or Paul’s other letters of Paul doing mission work in Crete (Titus 1:5). However, neither Paul’s letters nor Acts claim to be comprehensive in their account of Paul’s ministry.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has been that Titus, like 1 Timothy, was written in the time between Paul’s first imprisonment (Acts 28) and a second imprisonment which led to his death (see Introduction to 1 Timothy: Date). In this case, Titus would have been written in the mid-60s a.d., around the same time as 1 Timothy. This is plausible in light of the strong similarities between the letters.
 
Theme
The theme of Titus is the inseparable link between faith and practice, belief and behavior. This truth is the basis for its critique of false teaching as well as its instruction in Christian living and qualifications for church leaders.
 
Purpose, Occasion, and Background
Paul had recently completed a journey to Crete,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new churches. In order to see that these churches were properly established (as was Paul’s typical pattern, see Acts 14:21–23), Paul left Titus in Crete. The existence of false teachers (Titus 1:10–16) amid the fledgling churches heightens the intensity of the situation.
The false teachers appear to be the particular occasion for the writing of the letter. Discussion of the false teachers frames the heart of the letter (see Outline). Furthermore, the description of elders (1:5–9) as well as the descriptions of proper Christian living (2:1–10; 3:1–3) appear to be worded for intentional contrast with these opponents. The content of the false teaching is not made explicit (as in 1 Timothy). There appears to be a significant Jewish element to the teaching since the opponents arise from “the circumcision party” (Titus 1:10), and are interested in “Jewish myths” (1:14) and perhaps ritual purity (1:15). Paul’s primary concern, however, is with the practical effect of the false teaching. In spite of their concern for ritual purity, the adherents of the false teaching did not live lives of godliness flowing out of the gospel but instead lived in a way that proved they did not know God (1:16).
This false teaching, which in some way allowed for ungodliness, would have found a welcome home in   p 2346  Crete, which was proverbial in the ancient world for immorality. But Paul expected the gospel, even in Crete, to produce real godliness in everyday life.
In dealing with the false teaching, Paul also provides Titus a portrait of a healthy church. He describes proper leadership (1:5–9), proper handling of error (1:10–16; 3:9–11), proper Christian living (esp. important for new believers in an immoral milieu; 2:1–10; 3:1–2), and the gospel as the source of godliness (2:11–14; 3:3–7).
 
Literary Features
In form and content, Titus is readily identifiable as a NT epistle, with sections devoted to salutation, instruction, paraenesis (a body of moral exhortations), and closing. Like 1 and 2 Timothy, this is sometimes called a “Pastoral Epistle” because it is addressed to someone who had pastoral leadership responsibilities, in this case with regard to a number of local churches in Crete. Paul gives directions pertaining to a pastor’s work in a local congregation.
The distinctive rhetorical or stylistic feature of the letter is its concentration. In order to pack in all of the instruction that he can in a letter that is short by NT epistolary standards, Paul writes in a curt and businesslike manner. The authoritative and directive stance of the writer to his recipient is evident throughout. Most of Paul’s advice is phrased in the imperative mood, producing a tone of urgency.
 
Key Themes
1. The gospel by its nature produces godliness in the lives of believers. There is no legitimate separation between belief and behavior.
1:1; 2:1, 11–14; 3:4–7
2. One’s deeds will either prove or disprove one’s claim to know God.
1:16
3. It is vitally important to have godly men serving as elders/pastors.
1:5–9
4. True Christian living will commend the gospel to others.
2:5, 8, 10
5. Good works have an important place in the lives of believers.
2:1–10, 14; 3:1–2, 8, 14
6. It is important to deal clearly and firmly with doctrinal and moral error in the church.
1:10–16; 3:9–11
7. The gospel is the basis for Christian ethics.
2:11–14; 3:3–7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45–2346.
 
 
AUTHOR
The first word of the letter names “Paul, a servant of God and an apostle of Jesus Christ” (1:1), as its author. This locates the letter among a dozen other NT documents with similar openings. Titus is Paul’s associate (2 Cor 8:23; Gal 2:1, 3; 2 Tim 4:10). While doubts about Paul’s authorship of Titus have been expressed (see Introductions to 1 and 2 Timothy: Author), there is nothing in the setting, language, teaching, or underlying theology of this letter sufficient to prevent accepting the first word’s testimony.
 
DATE, PLACE OF COMPOSITION, AND DESTINATION
Titus is a pastoral leader whom Paul assigned to put things in order on the island of Crete (1:5). He and Paul worked together for well over a decade (see note on 2 Tim 4:10). Paul writes perhaps in the early AD 60s after release from his first imprisonment. He appears to be on a mission as he writes; the precise location is unknown, but he plans to arrive in Nicopolis soon (3:12). Nicopolis was on the west coast of the province of Epirus in central Greece.
 
PURPOSE
It is not known just how or when the faith was established in Crete. But at the time Paul writes, it seems local gatherings of believers (probably house churches) have reached a point where they require more formal and established leaders (as in Acts 14:23). The letter furnishes guidance for this process. In addition to upright leadership (1:5–9), Paul is concerned that both sexes, all ages, and all social classes live out the gospel (2:1–10). Titus must refute leaders who mislead (1:10–16), avoiding useless controversy and exercising church discipline where required (3:9–11). He needs to make progress in these tasks soon enough to join Paul before winter (3:12).
 
TITUS’S MINISTRY ON THE ISLAND OF CRETE
 
GENRE
Titus is a letter from an apostle to a trusted co-worker and, by extension, to the churches he has been called to stabilize via leadership development (see Introduction to 1 Timothy: Genre). While Paul’s words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original recipients, they retain appeal and indeed authority for followers of Christ today, for the apostolic faith was not only for then and there but continues in the church until the end of the age (Matt 28:20).
 
CANONICITY
As in the case of 1–2 Timothy, there is evidence that Titus was known and cited as a Pauline writing by the early second century (see Introductions to 1–2 Timothy: Canonicity). This helps account for the fairly uniform high regard that the letter has received throughout church history (until recent times in some circles).
 
THEMES AND THEOLOGY
The nouns occurring most frequently in Titus (with their number of occurrences) are God (13), work (as in “good works”; 8), faith (6), and Savior (6). Christ is presented in elevated (but not exaggerated) terms. His earthly appearance showed him to be Savior, just like God the Father (1:4; 2:10). His future appearance is “the blessed hope” wrapped up in the revelation of “our great God and Savior, Jesus Christ” (2:13). Titus 2:13 is one of several NT verses that explicitly identifies Jesus as God (see also John 1:1, 18; 20:28; Rom 9:5; Heb 1:8; 2 Pet 1:1; 1 John 5:20).
Christ’s divinity is not an abstract truth, however glorious, but a transformative witness that impels followers to good works (“what is good”; 1:8; 2:7, 14; 3:1, 8, 14). False followers identify themselves in part by lack of such actions (1:16). Paul’s many ethical promptings are therefore calls for believers to show in real life the gospel they profess. For Paul, saving faith (1:1, 4, 13; 2:2; 3:8, 15) is shown not least in its actions.
The message of Titus takes shape against a unique social background. Cretan culture was widely regarded as disorderly and rife with dishonesty. The prominent mythical god Zeus allegedly was born and died on Crete, earning divine status by his generosity to humans. Some passages in Titus take on sharper meaning when this myth is borne in mind; Paul likely shapes his discourse to engage Cretan convictions, for these may have challenged Christian teaching. Paul drew on teachings about the true and living God, not a mythical one.
NT New Testament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85–218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