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원제 - Justification : God’s plan and Paul’s vision

이 책은 서문에서 톰 라이트가 밝힌대로 존 파이퍼가 “칭의 논쟁”이라는 제목으로 톰라이트가 펼친 칭의 관련 내용을 비판하는 책에 대한 응답의 일환으로 쓰여졌다. 개혁주의자들의 집중포화가 이 톰 라이트가 펼친 주장에 떨어지고 있는데 이는 지금까지 개혁주의 전통속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칭의 교리에 대해서 “바울의 새 관점”이라는 표현을 통해서 문제를 지적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 논란은 구원의 성격과 범위, 구원의 수단, 칭의의 의미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제 1장. 칭의는 무엇에 관한 내용이며, 왜 중요한가?
톰은 파이퍼의 주장을 상당히 강력하게 비판한다. 파이퍼의 주장이 마치 천동설과 지동설의 논쟁과 같다고 비유한다. 파이퍼가 톰이 주장한 내용중에 바울에 대해서 틀린 내용을 주장하며 종교개혁자들이 주장한 교리들을 고수해야한다고 말하는데 이것이 마치 떠오르는 태양을 바라보면서 태양이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으니 너(톰)의 지동설을 포기하라고 설득하는 것과 같다라고 말한다. 

톰은 칭의에 대한 논의가 개인의 구원에 한정되는 것을 경계한다. 
“하지만 내 생각에 이 논쟁에서 정말로 중요한 점은, 인류의 구원이 아무리 중요할지라도, 더 큰 목적의 일부라는 것이다. 하나님이 파선된 세계에서 우리를 구원하신 목적은, 하나님과 함게 뒤로 물러나 편하게 앉아서 쉬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새롭게 창조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우리가 하나님과 그의 목적 주위를 돌고 있는 것이지, 그 반대가 아니다. 만약 종교개혁 전통이 바울 서신들만큼 복음서를 중요하게 취급했다면 이러한 실수는 절대로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30p)

톰은 ‘새 관점’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이 용어의 사용이 의도된 것은 아니었는데 샌더스, 던, 톰 라이트에 의해서 대중들에게 알려지게 되었고 이것은 기존의 바울 신학의 관점과는 다른 새로운, 신선한 관점으로 바울을 읽자라는 목적이었는데 결과적으로는 기존의 주장과 논란이 벌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본인의 주장과 샌더스의 주장이 서로 다르며 새관점을 뛰어 넘어 다양한 측면에서 바울을 좀더 정당하게 다룰 수 있는 관점이 개발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한다. 

톰은 기존의 성경 읽기가 문제가 있다라고 주장한다. "바울의 교리에서 핵심적인 요소들이 무시되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아브라함과 하나님께서 그와 맺으신 언약,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것, 부활과 새 창조, 유대인과 이방인의 하나됨, 역사를 통해 지속된 하나님의 목적이 이끄는 계획이라는 의미에서 종말론, 그리고 특별히 성령과 기독교적 인격의 형성이다.”(41p) 또한 바울의 신학을 읽을때 단일한 연속된 내러티브로서 이스라엘과 전 세계에 관한 이야기로 읽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