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In the days of Amraphel king of vShinar, Arioch king of Ellasar, Chedorlaomer king of wElam, and Tidal king of Goiim, 2 these kings made war with xBera king of Sodom, Birsha king of Gomorrah, Shinab king of yAdmah, Shemeber king of yZeboiim, and the king of Bela (that is, Zoar). 3 And all these joined forces in the Valley of Siddim (zthat is, the Salt Sea). 4 Twelve years they had served Chedorlaomer, but in the thirteenth year they rebelled. 5 In the fourteenth year Chedorlaomer and the kings who were with him came and defeated the aRephaim in bAshteroth-karnaim, the cZuzim in Ham, the dEmim in Shaveh-kiriathaim, 6 and the eHorites in their hill country of Seir as far as fEl-paran on the border of the wilderness. 7 Then they turned back and came to En-mishpat (that is, gKadesh) and defeated all the country of the Amalekites, and also the Amorites who were dwelling hin Hazazon-tamar.
8 Then the king of Sodom, the king of Gomorrah, the king of Admah, the king of Zeboiim, and the king of Bela (that is, Zoar) went out, and they joined battle in the Valley of Siddim 9 with Chedorlaomer king of Elam, Tidal king of Goiim, Amraphel king of Shinar, and Arioch king of Ellasar, four kings against five. 10 Now the Valley of Siddim was full of ibitumen pits, and as the kings of Sodom and Gomorrah fled, some fell into them, and the rest fled jto the hill country. 11 So the enemy took kall the possessions of Sodom and Gomorrah, and all their provisions, and went their way. 12 They also took Lot, lthe son of Abram’s brother, mwho was dwelling in Sodom, and his possessions, and went their way.
13 Then one who had escaped came and told Abram the Hebrew, nwho was living by the ooaks1 of Mamre the Amorite, brother of Eshcol and of Aner. These were allies of Abram. 14 When Abram heard that his kinsman had been taken captive, he led forth his trained men, pborn in his house, 318 of them, and went in pursuit as far as qDan. 15 And he divided his forces against them by night, he and his servants, and defeated them and pursued them to Hobah, north of Damascus. 16 Then he brought back all the possessions, and also brought back his kinsman Lot rwith his possessions, and the women and the people.
v ch. 10:10; 11:2
w ch. 10:22; Isa. 11:11; Acts 2:9
x ver. 8; ch. 13:10; 19:22
y Deut. 29:23
y Deut. 29:23
z Num. 34:12; Deut. 3:17; Josh. 3:16
a ch. 15:20; Deut. 2:11; 3:11
b Deut. 1:4
c [Deut. 2:20]
d Deut. 2:10, 11
e Deut. 2:12, 22
f [ch. 21:21; Num. 12:16; 13:3]
g ch. 16:14; 20:1; Num. 13:26
h 2 Chr. 20:2
i ch. 11:3; Ex. 2:3
j ch. 19:17, 30
k ver. 16, 21
l ch. 12:5
m ch. 13:12
n ch. 13:18
o ch. 12:6
1 Or terebinths
p ch. 15:3; 17:12, 13, 23, 27; Eccles. 2:7
q Judg. 18:29
r ver. 11, 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Ge 14:1–16.
1-2절) 가나안의 다섯 지역의 왕들이 자신들을 압제하던 메소포타미아의 네 왕들 배반한다. 고대 근동에서 이러한 정치적인 연합은 아주 흔한일로 자주 이루어졌다. 당시의 지역이 지금의 지역과 정확히 같지는 않지만 시날은 메소포타미아 남부 평야지역으로 예전에 수메르로 이후에 바벨론과 연관이 된 지역이다. 엘라살은 앗시리아를 지칭하는 말로 볼 수 있는데 아리옥이라는 왕의 이름은 고대 도시들인 마리와 누지의 문서들에 등장한다. 이는 엘라살이 메소포타미아 북부에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엘람은 이 당시 카스피해에서 페르시아만에 이르는 메소포타미아 동쪽을 포함하는 지방으로 현대의 이란을 가리키는 통상적인 이름이다. 고임은 오늘날 터키 동부에 위치했던 헷 족속과 연관짓는다. 소알은 여리고 골짜기 남쪽 끝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메소포타미아의 네 왕들 : 1) 시날왕 아므라벨, 2) 엘라살 왕 아리옥, 3) 엘람 왕 그돌라오멜, 4) 고임왕 디달
가나안의 다섯 지역의 왕들 : 1) 소돔왕 베라, 2) 고모라왕 비르사, 3) 아드마왕 시납, 4) 스보임 왕 세메벨, 5) 소알왕 벨라
3-4절) 가나안의 다섯 지역은 염해, 사해 아래에 위치한 싯딤 골짜기에 모였다. 이들은 12년 동안 그돌라오멜을 섬기다가 13년에 배반하였다. 본문에 사용된 섬기다와 배반하다라는 단어는 구약 당시 나라들 간의 정치적인 관계를 묘사할때 자주 사용되었다.
- The relationship of the five vassal kings toElam is described through the successive use of the verbs ʿāḇaḏ and māraḏ. Both verbs are used frequently in the OT to describe political relationships between nations. The first one means “to be subject to” a sovereign. The second one means to “refuse allegiance to, rise up against” a sovereign.20 By natural extension both verbs were also used to describe Israel’s relationship to God (ʿāḇāḏ: Exod. 3:12; 4:23; 7:16; 8:1, etc.; māraḏ: Num. 14:9; Josh. 22:16, 18, 29, etc.).
20 See M. Greenberg, Ezekiel 1–20, AB (Garden City, NY: Doubleday, 1983), p. 63.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0), 402.
5-7절) 이들의 반역, 배반을 진압하기 위해서 제14년에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메소포타미아의 네 왕들이 군대를 모아 그들을 진압하기 위해서 내려오며 그 지역의 여러 족속들을 친며 자신들의 군사적인 힘을 과시한다. 이 정복의 여정은 왕의 대로라고 알려진 길을 따라 북에서 남으로 내려온다. 지도를 통해서 보이는 것처럼 그들은 지도의 윗쪽 다메섹에서 진군하여 아스다롯 가르나임에서 르바 족속을, 함에서 수스 족속을, 사웨 기랴다임에서 엠 족속을 치고 더 내려와서 세일 산에서 호리 족속을 치고 엘바란까지 내려왔다가 다시 돌이켜서 가데스 바네아(엔미스밧)에서 아말렉 족속을 또한 하사손다말에서 아모리 족속을 쳤다.
8-12절) 이제 4왕의 연합군과 5왕의 연합군이 싯딤 골짜기에서 진을 치고 전쟁을 벌인다. 하지만 사해 인근에 위치한 5왕은 이들의 상대가 되지 못한다. 이들은 역청 구동이가 많은 싯딤 골짜기에서 싸우다가 거기에 빠지고 도망하게 되었고 네 왕의 연합군은 소돔과 고모라의 모든 재물과 양식을 빼앗아 갔는데 이때 소돔에 거주하던 롯도 사로잡혀 가게 되었다.
10절에 역청 구덩이가 등장하는데 이는 실제로 사해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구덩이로 번역된 단어는 구약에서 우물을 가리키는데 사용된 단어로 일반적으로 땅을 파낸 지점을 가리키는데 이런 구동이들이 왕들에게 도피처가 되었다. 그래서 왕들이 구덩이에 빠졌다라고 볼 수도 있고 그 구덩이들을 은신처로 사용했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13-16절) 이 전투중에 도망한 자가 와서 히브리 사람 아브람에게 롯이 잡혀갔음을 알리게 된다. 성경에서 히브리 사람이라는 표현이 여기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렇게 ‘히브리’라는 호칭은 외국인들에 대해 아브람이나 그 가족을 구별하여 말할 때 사용된다. 이처럼 이 ‘히브리 사람’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건너편, 저쪽에서 건너온 사람’이라는 의미와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어떤 이들은 ‘히브리’라는 말이 민족을 가리키는 호칭이 아니라 많은 고대 본문에 등장하는 ‘하비루’로 알려진 사회 계층, 즉 전형적인 소외민들을 가리키는 호칭으로 여긴다.
당시 아브람은 사해 서편 마므레(헤브론 인근)에 거주하고 있었다. 아브람은 즉시 집에서 길리고 훈련된 318명을 거느리고 단까지 쫓아가서 연합국 왕들과 싸워서 밤에 그들을 무찌르고 다메섹 왼편 호바까지 쫓아가 모든 빼앗겼던 재물과 조카 롯과 그의 재물과 부녀와 친척을 찾아왔다.
318명의 군사로 수많은 연합군을 무찌르는 것이 가능했을까? 기드온은 300명의 군사로 10만명이 넘는 군대를 물리쳤다. 318은 호머의 일리어드에 기록된 4일간의 전투에서 죽어간 사람들의 숫자이다. 또한 아브람의 종 엘리에셀에 사용되는 히브리어 자음의 숫자를 더하면 318이며, 7에서 72사이의 12개의 소수의 합(7, 11, 13, 17, 19, 23, 29, 31, 37, 41, 43, 47)이 318이기도 하다. 이렇게 구체적인 숫자를 밝힌 이유는 세부적인 사실을 밝힘으로 이것이 역사적 사실임을 강조하는 것이도 또한 연합군의 숫자에 비해 아브람의 군대의 숫자가 보잘것 없는 숫자임을 강조하여 하나님께서 도우신 전쟁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아브람의 승리는 그의 능력이나 군대의 많음에서 온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도우심과 축복의 결과였기에 그는 돌아오는 길에 만난 멜기세덱에게 십일조를 바치게 된다
본래 단이라는 지역의 이름은 라이스 였는데 삿 18:29에서 이름이 단으로 바뀌게 된다. 이곳은 실제로 많은 발굴 작업이 진행되어 중기 청동 시대 많은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 Abram is informed, through an unidentified source (like the unidentified Amalekite of 2 Sam. 1), that Lot has been captured. The narrator unexpectedly refers to Abram here as the Hebrew, and this is the only time he is so designated. Why in this one instance is this particular title applied to him? Elsewhere he interacts with peoples living outside the land of Palestine (e.g., chs. 12 and 20), and yet this designation is not used in those contexts.
The similarity between Hebrew and Habiru (also spelled Hapiru or ʿApiru) has led some scholars to connect these two peoples.1 The Habiru appear in Near Eastern texts from the 20th to the 11th centuries b.c. They were a settled people rather than a nomadic or desert population, and comprised heterogeneous racial elements. They had great mobility, and consequently they were regarded as outsiders wherever they settled. They were often fugitives, uprooted and propertyless. In times of disorganization they played a large part as auxiliary soldiers in petty wars between rulers and towns. With the establishment of a relatively stable society at the end of the 2nd millennium b.c., they sank into insignificance and eventually disappeared. On account of their militaristic exploits, commentators have raised the question whether it is accidental that in the one place where Abram engages in military activity he is styled as a “Hebrew” (Habiru?).
More and more scholars are rejecting an equation of “Hebrew” and “Habiru” on both historical and philological grounds (the development of ḫapir or ʿapir to ʿibr is without parallel, and the variation between p and b is unlikely in the light of Ugaritic evidence to the effect that ʿapiru was the Northwest Semitic original).2 To connect ʿapir and ʿibr calls for a most unlikely dual transformation that is both consonantal (p → b) and vocalic (a → i).
What, then, shall we do with the term Hebrew here and elsewhere in the OT? It occurs thirty-three times in the OT. With the exception of Gen. 14:13 and Jon. 1:9, these references fall into three groups: (1) the time of Joseph and Moses while the Israelites are in Egypt; (2) Saul’s wars against the Philistines; (3) the laws dealing with the emancipation of the “Hebrew” slave (Exod. 21:2–6; Deut. 15:12–18; Jer. 34:9, 14). This term is frequently used by a non-Israelite when speaking to or about an Israelite (an Egyptian speaking, 5 times: Gen. 39:14, 17; 41:12; Exod. 1:16; 2:6; a Philistine speaking, 5 times: 1 Sam. 4:6, 9; 13:19; 14:11; 29:3). Conversely, eight times the term is used by an editor (or by an Israelite himself) to distinguish an Israelite from a foreigner (Gen. 40:15; 43:32; Exod. 1:15; 2:11, 13; 1 Sam. 13:3, 7 [?]; 14:21).3 Clearly, then, the word Hebrew is used primarily as an ethnic term in the OT.
There seems to be no good reason to depart from this understanding of Hebrew in Gen. 14:13. Accordingly, Heb. ʿiḇrî is the gentilic of ʿē ḇer, and here it distinguishes Abram from other residents already living in Canaan.4 He is a descendant of Eber of the line of Shem.
1 For a specific connection see W. F. Albright, “Abram the Hebrew: A New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BASOR 163 (1961) 36–54, esp. pp. 52–54. For basic studies on the Habiru see M. Greenberg, The Ḫab/pirû, AOS 39 (New Haven: American Oriental Society, 1955); M. G. Kline, “The ḪA-BI-RU—Kin or Foe of Israel?” WTJ 19 (1956–57) 1–24, 170–84; 20 (1957) 47–70; M. C. Astour, “Habiru,” IDBS, pp. 382–85; B. J. Beitzel, “Habiru,” ISBE, 2:586–90.
2 See, e.g., Astour, IDBS, p. 384; Beitzel, ISBE, 2:589.
3 See R. de Vaux, The Early History of Israel, pp. 209–16; M. Weippert, The Settlement of the Israelite Tribes in Palestine, SBT 2/21 (Naperville: Allenson, 1971), pp. 84–98; P. K. McCarter, Jr., I Samuel, AB (Garden City, NY: Doubleday, 1980), pp. 240–41.
4 The view that ʿiḇrî in Gen. 14:13 is an appellative is as ancient as LXX, which has perátē, “the one from across” (cf. Josh. 24:3), based on the Hebrew verb ʿā ḇar, “to pass, cross.” Only here and in Jon. 1:9 (Doúlos kyríou) does the LXX render ʿiḇrî with something other than Hebraios.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0), 404–405.
본문은 아브람과 롯이 갈라서고 나서의 첫 기록이다. 본문에서 아브람은 납치당한 조카 롯을 연합군으로부터 구출한 용사로 묘사하고 있다. 본문을 통해서 과거 애굽에서 두려워 자신의 아내를 누이라고 속였던 아브람이 위대한 용사로 변모했음을 또한 비록 서로 나뉘었지만 가족을 사랑하는 자상하고 용감한 사람임을 부각시키고 있다. 적은 숫자의 군대로 연합군을 물리친 사건을 통해서 다시금 하나님의 보호하심과 축복이 아브람과 함께 함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을 축복하셨는데(12:3) 그를 축복하는 자에게 복을 내리고 그를 저주하는 자에게 저주를 내릴 것을 약속하셨는데 이것이 이루어진것이다.
'성경묵상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 15:1-11 아브람과 언약을 세우시는 하나님 (0) | 2020.10.19 |
---|---|
창 14:17-23 아브람과 두 왕과의 만남 (0) | 2020.10.13 |
창 13:14-18 헤브론에 제단을 쌓은 아브람 (0) | 2020.10.07 |
창 13:8-13 무엇을 바라보고 있습니까? (0) | 2020.10.05 |
창 13:1-7 아브람의 애굽-네게브-벧엘 여정 (0) | 202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