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oThis is why I left you in Crete, so that you might put what remained into order, and pappoint elders in every town as I directed you— qif anyone is above reproach, the husband of one wife,4 and his children are believers5 and not open to the charge of rdebauchery or insubordination.
o [1 Tim. 1:3]
p [Acts 14:23; 2 Tim. 2:2]
q For ver. 6–8, see 1 Tim. 3:2–4
4 Or a man of one woman
5 Or are faithful
r See Eph. 5:1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딛 1:5–6.
 
5 내가 너를 그레데에 남겨 둔 이유는 남은 일을 정리하고 내가 명한 대로 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 함이니
6 책망할 것이 없고 한 아내의 남편이며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는 일이 없는 믿는 자녀를 둔 자라야 할지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딛 1:5–6.
 
본론을 시작하면서 먼저 바울은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둔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바울이 로마의 1차 투옥 직후에 석방되어 그레데에 들러 교회를 개척한 후에 이 교회를 디도에게 위임한 후에 밀레도, 드로아, 마게도냐, 고린도, 니고볼리, 로마 등의 순서로 전도 여행에 나섰을 것이다. 아래 지도에서 보는 것처럼 그레데는 지중해 그리스 남쪽의 섬이다(행 2:11; 딛 1:5; 딛 1:12). 그데데는 시실리, 사르디니아, 구브로 다음가는 지중해에서 네번째로 큰 섬이며 유럽과 소아시아, 그리고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다양한 문화를 지니고 있었다. 구약 성경에는 이 섬이 ‘갑돌’로 기록되어 있으며(신 2:23; 렘 47:7; 암 9:7) 오늘날에는 칸디아로 불리고 있다. 이곳은 일찍부터 문명이 발달하였던 지역으로 로마 황제 가이사 아구스도 통치 당시에 행정구역상 구레네와 합쳐져 한 지방이 되었다. 이곳 출신 디아스포라 유대인 중에 오순절 성령 강림시 함께 한 사람도 있었다.(행 2:11)
 
 
 
‘내가~ 남겨둔’으로 번역된 ‘아펠리폰’의 원형 ‘아폴레이포’는 ‘뒤에 남기도, 어느 장소에 어떤 사람을 남겨두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서 바울은 디도와 함께 그레데를 방문한 후 어떤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그곳에 디도를 남기고 떠났던 것으로 보인다. 바울은 디모데와 디모데 및 여러 일행들과 함께 선교여행을 떠나서 디모데는 에베소에(딤전 1:3) 디도는 그레데에 남겨두고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것이다. 
 
‘남은 일을 정리하고’, 개역한글은 이를 ‘부족한 일을 바로잡고’라고 번역하였다. 이를 통해서 디도는 처음부터 그레데 교회를 섬기기 위해서 세워졌다라기 보다는 바울을 대신해서 어떤 일정한 기간동안 그 교회를 돌보도록 위임받은 사역자였음을 알 수 있다. 바울은 두가지 목적으로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두었다. 
첫번째는 ‘남은 일을 정리하기 위해서’이다. 본문에서 ‘남은’으로 번역된 ‘레이폰파’의 원형 ‘레이포’는 ‘열등하다, 결핍하다, 부족하다’라는 의미를 갖는데 여기서는 현재 분사형으로 불완전한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바울이 말한 남은 일(들)은 복수형으로 여러 부족한 것들을 의미한다. 당시 그레데 교회가 온전한 교회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 보완되어야 할 것들로 거짓 사상에 맞선 진리에 대한 불충분한 인식과 교육, 또한 교회를 건강하게 세워가기 위해서 조직적이고 행정적인 부분들을 채워가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을 감당하는데 있어서 바울은 신뢰하던 디도를 적임자로 그레데에 남겨둔 것이다. 
 
‘정리하고’로 번역된 ‘에피디오르도세’의 원형 ‘에피디오르도오’ 동사는 신약에서 이곳에서만 등장한다. 이는 ‘~위에, ~에 더하여’란 의미의 전치사 ‘에피’와 ‘통하여, 철저히’라는 의미의 전치사 ‘디아’ 그리고 ‘곧은, 똑바로 선’이라는 의미의 형용사 ‘오르도스’의 합성어로 ‘~에 부가하여 철저하게 바로 잡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NIV는 이를 ‘put in order’, ESV는 ‘put into order’, RSV는 ‘amend”로 번역하였다. ‘정리하다 혹은 흠이 있는 일을 고쳐 바로잡다’, 공동 번역은 ‘내가 거기에서 다하지 못한 일을 그대가 완성하고’로 번역한다. 바울은 그곳에 더 머물러 그레데 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교회를 더 건강하게 세우기를 원했지만 자신에게 남아있는 시간이 얼마 없는 줄 알기에 다른 사역지로 떠나면서 자신이 해결하고자 했던 여러 사안들을 디도에게 맡기고 떠난 것이다. 
 
두번째 디도를 그레데에 남겨둔 이유는 ‘각 성에 장로들을 세우게 하려함’이었다. 본문에 ‘각 성에’라는 표현으로 보아 그레데 섬 안에는 이미 몇몇 지역에 교회들이 세워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디도는 이런 여러 교회들에 지도자 역할을 할만한 장로들을 세우는 일을 맡은 것이다. 
‘장로들을’로 번역된 ‘프레스뷔테루스’는 ‘프레스뷔테로스’의 복수형 목적격이다. ‘프레스뷔테로스’는 '나이 많은’이란 의미의 형용사 ‘프레스뷔스’의 비교급으로 원래 ‘연장자, 원로, 노인, 선진’을 뜻하는 단어였다. 그러나 그 의미가 확대되어 유대인의 산헤드린 공의회 의원(마 16:21; 막 8:21; 눅 9:22; 행 4:5) 혹은 개개의 도시들에서 공적 업무를 처리하고 재판을 집행하는 자(눅 7:3), 교회나 집회를 관장하는 자(행 11:30; 딤전 5:17; 요이 1; 요삼 1; 벧전 5:1, 5)등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쓰였다. 여기서 말하는 장로는 오늘날 ‘목사’의 개념에 더 가깝다. 당시에 목사를 지칭하는 ‘포이멘’이라는 단어가 따로 있었지만(엡 4:11) ‘프레스뷔테로스’ 혹은 7절에 언급된 ‘감독, 에피스코포스’란 단어가 더 많이 쓰였다. 장로가 구약 시대 한 성읍의 지도자를 지칭하는 말로 유대적인 배경에서 나온 단어라면 감독이란 호칭은 헬라 도시의 행정 책임자를 지칭하는 말로 헬라적인 배경에서 나온 단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장로가 연장자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단어라면 감독은 목회 사역의 측면에 중점을 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세우게 하려함이니’라는 표현은 ‘카타스테세스’로 원형 ‘카시스테미’의 부정과거 능동태 가정법 표현이다. 이는 ‘어떤 사람에게 의무, 책임, 책무를 부과하다’라는 의미이다. 
 
 
1:5 The prepositional phrase τούτου χάριν** (as a preposition χάριν almost always follows its noun) indicates the reason or goal for Paul’s leaving Titus on Crete, which is developed in the following ἵνα clause. ἀπέλιπον means here “I left behind”; the nuance of “behind” is seen clearly in the other occurrences of ἀπολείπω in the PE* (2 Tim. 4:13, 20; for the textual variants here, neither of which alters the meaning, see NA26). Κρήτη** (also mentioned in Acts 27:7, 12f., 21), the island of Crete, lies south of the Aegean Sea in the Mediterranean. As early as Homer (Iliad 2.649) Crete was known for its many cities, which may account for κατὰ πόλιν later in this verse. That Paul left Titus behind implies that he was with Titus on Crete. The occasion for this that best fits into Paul’s life would be during a journey after Paul’s release from his first Roman imprisonment (see the Introduction). From what follows, one can surmise that the two were successful in evangelizing various cities on the island but did not have time to return and strengthen the believers by setting the churches in order and seeing that elders were elected (for Paul’s pattern see Acts 14:21–23).
Therefore, Paul left Titus to “set in order what remains and appoint elders in every city, as I directed you” (v. 5b). Middle ἐπιδιορθώσῃ** is to be preferred over the active (see NA26 for the evidence for each reading; ἐπιδιορθόω is a biblical hapax here). λείπω occurs 6x in the NT but nowhere else with the sense that the participle has here. Literally ἵνα τὰ λείποντα ἐπιδιορθώσῃ means “that you might set right the things lacking.” TEV has perhaps best captured the phrase in an English idiom with “put in order the things that still needed doing.” That this is the proper sense is verified by the next clause, which indicates one thing that needed to be done.
καταστήσῃς (aorist subjunctive of καθίστημι) means here “appoint” or even possibly “ordain” (BAGD), as its only other occurrence in this kind of setting seems to indicate: In Acts 6:3 the apostles speak of the action they are about to take, that of putting the Seven (chosen by the congregation) in charge of the diaconal task by laying hands on them (v. 6). Similarly, in Acts 14 Paul and Barnabas do what Paul is asking Titus to do here, and the verb used is χειροτονέω, which could be rendered either “lay hands on” or “ordain.” It would appear that both Paul, addressing Titus, and Luke in Acts 14 are compressing what takes place by speaking only of the last act, i.e., appointment or laying on of hands, and do not feel it necessary to relate the steps that lead up to that act (which are related in Acts 6). Moreover, Paul has not written the list of qualifications that follows in vv. 6ff. for Titus’s benefit but more probably as a guide for the Christians on Crete, just as a brief list of qualifications was given to the Christians in Jerusalem to follow in their selection of the Seven (Acts 6:3). This similarity would suggest that the Acts 6 (and 14) pattern was operative here, and that would be a further indication for understanding καταστήσῃς as referring to the final act in the process.
κατὰ πόλιν is used in the distributive sense: “city by city” or “in every city” (BAGD s.v. κατά II.1d; cf. Acts 15:21; 20:23; also κατʼ ἐκκλησίαν, Acts 14:23). This means that plural πρεσβυτέρους relates to each city that has a church: Several elders/overseers are appointed in each church. This corresponds to what was done in the cities of Philippi (Phil. 1:1) and Ephesus (Acts 20:17, 28; cf. 14:23; 1 Thes. 5:12, 13; 1 Tim. 5:17). πρεσβύτεροι here designates the officials who lead the Christian congregation (see the comments on 1 Tim. 5:17 and the excursus on Bishops/Presbyters and Deacons following the comments on 1 Tim. 3:8–13). Jeremias’s suggestion that the term be understood here and in 1 Tim. 5:17 as “older men” and the clause here rendered “install older men” is rightly regarded by Dibelius-Conzelmann (and others) as “not possible linguistically.”
Titus is to do this in accord with Paul’s command. The clause with ὡς indicates the manner in which the activity should proceed (BAGD s.v. I.1; cf. Col. 4:4; Eph. 6:20) and refers to what Paul has already said to Titus (aorist tense). He repeats it here in part by indicating the qualifications necessary for an individual to become an elder. With emphatic ἐγώ (as in v. 3) and the verb διεταξάμην (“I ordered, commanded”; cf. 1 Cor. 7:17; 16:1) Paul is providing for Titus (σοι) full apostolic authority to carry out this action carefully in compliance with the standards he giv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7–289.
 
 
6절) 본절의 내용은 앞선 딤전 3:1-13절의 내용과 상당히 유사하다. 에베소 교회와 그레데 교회의 상황에 따라서 같은 내용이지만 바울은 약간 다른 뉘앙스로 적절하게 권면한다. 그레데 교회에 주는 교훈이 더 강조적이라는 점에서 에베소 교회보다 아직 성숙하지 못한 공동체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추축할 수 있다. 
 
 ‘책망할 것이 없고’, ‘아넹클레토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고소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엥칼레오’의 합성어로 ‘비난할 수 없는, 아무 죄가 없는, 문책받을 것이 없는’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그리스도인이라념 누구나 갖추어야할 윤리적인 자질이며 그리스도와의 교제 가운데 있는자라면 당연히 드러나야하는 성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장로가 가지는 공적 위치를 감안할 때 개인적으로 결백하고 흠잡을 데가 없는 고매한 성품을 지녀야할 뿐만 아니라 공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비난받거나 나무랄  데가 없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한 아내의 남편이며’, 바울은 장로의 자격중 가정에서의 남편됨을 강조한다. 바울이 장로에게 이런 조건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아 당시 교회안에서도 일부다처제를 따르거나 문란할 결혼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딤전 3:2) 하지만 본 구절을 근거로 목사가 반드시 기혼남이어야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 직분자로서 가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성적으로 거룩함을 유지해야한다는 것이다.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는 일이 없는 믿는 자녀를 둔 자’, 본문은 자녀교육에 대한 측면을 그 자격으로 말하고 있다. 자녀는 부로를 반영하는 거울이기에 그 자녀의 모습을 통해서 부모의 성격과 인품을 알 수 있다. 
‘방탕하다 하는’으로 번역된 명사 ‘아소티아스’의 원형 ‘아소티아’는 부정 접두어 ‘아’와 성경에서 ‘구원하다, 건강하다, 지키다’라는 의미의 동사 ‘소조’의 합성어로 ‘교정할 수 없다’라는 의미인데 성경에서는 방탕하여 하나님의 뜻을 저비리는 사람에게 사용되었다.(엡 5:18; 벧전 4:4) 즉 이 표현은 도덕적인 문란이나 방탕의 의미와 더불어 종교적으로 구원에서 멀어져 하나님의 뜻을 저버리는 사람을 나타낸다. 
 
 
‘불순종하는 일이’로 번역된 ‘아뉘포탁타’의 원형 ‘아뉘포탁토스’는 부정 접두어 ‘아’와 ‘복종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휘포탓소’의 합성어로 수동적으로는 ‘복종하게 되지 않은’, 능동적으로는 ‘통제할 수 없는, 다루기 어려운, 불순종한, 고집센’이라는 의리를 가진다. 여기서는 고집이 세서 부모 말씀에 불순종한다는 의미와 더불어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믿는 자녀를 둔 자’, 이 말은 ‘그의 자녀는 신실하다’ㄹ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 말을 ‘믿는’이라고 번역하는 주된 이유는 이 편지에서 이 단어가 디모데와 디도에게는 언제나 구원얻는 믿음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이 단어를 ‘신실하다’라고 번역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어떤 아버지도 자기 자녀의 회심을 보장할 수는 없지만 보통 자녀들이 ‘신실’하게 행동하게 할 수는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또한 딤전 3장의 유사한 구절도 자녀는 적절히 행동해야 한다고만 말하지 자녀의 회심이 그들의 아버지가 감독이 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딤전 3:4).
 
1:6 Above reproach (repeated in v. 7) summarizes the main point, which the rest of the list (vv. 6–9) fills out: there should be no legitimate accusation that could be brought against the elder that would bring disrepute on the gospel or the church; his life should be seen as worthy of imitation. husband of one wife. See note on 1 Tim. 3:2–3. His children are believers can also be rendered “his children are faithful” (Gk. pistos). The primary argument for rendering it as “believers” is that in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this word almost always refers to saving faith. Those who think it should be rendered “faithful” would argue that no father can guarantee the conversion of his own children, but he can ordinarily ensure that they act in a “faithful” way. Also, the parallel passage in 1 Timothy 3 says only that the children must be well-behaved, not that their conversion is a requirement for their father to be an overseer. The concern in the passage is that the children behave appropriately and are not open to the charge of debauchery or insubordination. The word “children” (plural of Gk. teknon) would apply only to children living at home and still under their father’s authority.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48.
 
자녀(테크논)이라는 단어는 가정에서 살며 아직 아버지의 권위 아래 있는 자녀에게 적용되는 표현이다. 
이처럼 교회의 영적인 지도자는 남을 다스리기 전에 자신 뿐만 아니라 그 가정을 바르게 다스릴줄 알아야 한다. 장로 자신이 책망받고 불륜을 저지르거나 그의 자녀들이 방탕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불순종하다면 누가 그 장로의 말을 듣겠는가? 그러기 때문에 무엇보다 장로는 좋은 교훈과 본을 보여야한다. 장로는 믿는 자들의 고동체인 교회를 잘 다스려야하지만 먼저 그 전에 자신이 속한 가장 우선적인 작은 공동체인 가정을 잘 다스릴줄 알아야 한다. ‘수신제가 치국평천하
 
1:6 Paul begins (as in 1 Tim. 3:2) by stating the overall requirement that a potential elder be “above reproach” (here ἀνέγκλητος, also used of church leaders in 1 Tim. 3:10 [deacons; see the comments there]; the synonym ἀνεπίλημπτος is used of the overseer/elder in 1 Tim. 3:2). As such, a man would not be open to attack or criticism in terms of Christian life in general or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that Paul goes on to name. This does not mean that an elder must be perfect, but it may be fairly said that each named characteristic marks his life. εἴ τίς (see 1 Tim. 3:1) ἐστιν, “If anyone is,” causes the reader to expect a conclusion such as “Elect such a person as an elder.” The conclusion is not stated, probably because Paul wants to list other qualifications, and then having done so, he considers it unnecessary to make explicit the obvious conclusion. The clause implies, therefore, that these requirements are what is necessary and that “anyone” meeting them is eligible.
μιᾶς γυναικὸς ἀνήρ, “the husband of one wife,” indicates that marital and sexual fidelity are required of the potential elder. This assumes that the church officer is married (the usual situation in life) and thus prescribes fidelity in these terms. By inference it demands the same sexual purity of an unmarried elder, who is no more ruled out by this requirement than is the man with less than two children by the next requirement (see comments on 1 Tim. 3:2).
With “having children who believe, not accused of dissipation or rebellion,” it is not demanded that the elder have children but only that, if he has them, they should be πιστά τέκνα (on τέκνα see 1 Tim. 3:4, 12). ἔχων is used here “to denote the possession of persons to whom one has close relationships” (BAGD s.v. I.2bα). The implication is that Paul is talking only about children who are still rightfully under their father’s authority in his home (cf. ἐν ὑποταγῇ and the repeated τοῦ ἰδίου οἴκου of 1 Tim. 3:4–5).
Should πιστά in this clause be understood as “faithful” or as “believing”? The range of usage shows that either meaning is a possibility: The word can clearly mean “faithful,” as it does several times in the PE, including once with a noun, as here (2 Tim. 2:2: πιστοὶ ἀνθρώποι). It can also mean “believing” and does on several occasions in the PE, again including once with a noun (1 Tim. 6:2: πιστοὶ … δεσπόται). The context here and the parallel in 1 Tim. 3:4–5, however, provide some important indicators: The qualifying statement here, “not accused of dissipation or rebellion,” emphasizes behavior and seems to explain what it means for τέκνα to be πιστά. Likewise 1 Tim. 3:4 speaks of the overseer “keeping his children under control with all dignity.” In both cases the overseer is evaluated on the basis of his control of his children and their conduct. It is likely, therefore, that τέκνα ἔχων πιστά here is virtually equivalent to τέκνα ἔχοντα ἐν ὑποταγῇ in 1 Tim. 3:4. If that is so, then πιστά here means “faithful” in the sense of “submissive” or “obedient,” as a servant or steward is regarded as πιστός when he carries out the requests of his master (Mt. 24:45f.; 25:21, 23; Lk. 12:42f.; 1 Cor. 4:2; cf. Thayer, Lexicon; Cremer, Lexicon; LSJM s.v.; R. Bultmann, TDNT VI, 175, all but Thayer giving “obedient” as one of the meanings for the word and referring to Xenophon, Hellenica 2.4.30; MM mentions a deed of sale in which a slave is described as πιστοῦ καὶ ἀδράστου, “faithful and not given to running away”; Horsley, New Documents II [1982] 53 gives an epitaph for a slave that says “I remain faithful [πιστός] as before” [cf. ibid. 3 (1983) 39]; Bultmann cites Hesychius: πιστός= εὐπειθής, ready to obey, obedient). This proposed understanding of the passage goes contrary to a consistent pattern in recent English translations (RSV, NEB, TEV: “believers”; similarly NASB, NIV), but the considerations cited above seem compelling.
The concluding part of the verse, μὴ ἐν κατηγορίᾳ ἀσωτίας ἢ ἀνυπότακτα, literally “not in an accusation of dissipation or rebellious,” negatively qualifies πιστά and thus indicates what may not characterize πιστά children. The negative particle μή is used here, rather than οὐκ, probably because the participle ὄντα is understood with this construction (H. C. G. Moule, 155). μὴ ἐν κατηγορίᾳ** (the noun occurs in Jn. 18:29; 1 Tim. 5:19) can best be expressed in English by “not accused of.” ἀσωτία** (here genitive of the content of the accusation) means “debauchery” or “dissipation” and is used in the NT of drunkenness (Eph. 5:18) and of associated vices of the non-Christian world (1 Pet. 4:4; cf. ἀσώτως in Lk. 15:13). Therefore the potential elder’s children must not be guilty of “sensuality, lusts, drunkenness, carousals, drinking parties” (1 Pet. 4:3).
ἀνυπότακτα stands in tandem with the preceding prepositional phrase and its genitive modifier. Here it means “undisciplined, disobedient, rebellious,” as it does in 1 Tim. 1:9, where it is used of those who are unwilling to be under God’s will and law, and in Tit. 1:10 of the false teachers who “turn away from the truth” (v. 14). What must not characterize the children of an elder is immorality and undisciplined rebelliousness, if the children are still at home and under his authority. Paul is not asking any more of the elder and his children than is expected of every Christian father and his children. However, only if a man exercises such proper control over his children may he be an elder.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PE Pastoral Epistles
PE Pastoral Epistles
LSJM H. G. Liddell and R.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rev. and augmented by H. S. Jones and R. McKenzie, with a Supplement by E. A. Barber. Oxford, 1968.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MM J. H. Moulton and G. Milligan, The Vocabulary of the Greek Testament. London, 1930.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89–290.
 
 
 
728x90
The saying is vtrustworthy: If anyone aspires to wthe office of overseer, he desires a noble task. Therefore xan overseer1 must be above reproach, ythe husband of one wife,2 zsober-minded, self-controlled, respectable, ahospitable, bable to teach, not a drunkard, not violent but cgentle, not quarrelsome, dnot a lover of money. He must manage his own household well, with all dignity ekeeping his children submissive, for if someone does not know how to manage his own household, how will he care for wGod’s church? He must not be a recent convert, or he may fbecome puffed up with conceit and fall into the condemnation of the devil. Moreover, he must be well thought of by goutsiders, so that he may not fall into disgrace, into ha snare of the devil.
v See ch. 1:15
w See Acts 20:28
x Titus 1:6–9
1 Or bishop; Greek episkopos; a similar term occurs in verse 1
y [ch. 5:9]
2 Or a man of one woman; also verse 12
z ver. 11; Titus 2:2
a 1 Pet. 4:9
b 2 Tim. 2:24
c Titus 3:2
d Heb. 13:5; [ch. 6:10]
e [ver. 12]
w [See ver. 1 above]
f ch. 6:4; 2 Tim. 3:4
g See Mark 4:11
h 2 Tim. 2:26; [ch. 6:9]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전 3:1–7.
 
미쁘다 이 말이여, 곧 사람이 감독의 직분을 얻으려 함은 선한 일을 사모하는 것이라 함이로다
2 그러므로 감독은 책망할 것이 없으며 한 아내의 남편이 되며 절제하며 신중하며 단정하며 나그네를 대접하며 가르치기를 잘하며
3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구타하지 아니하며 오직 관용하며 다투지 아니하며 돈을 사랑하지 아니하며
4 자기 집을 잘 다스려 자녀들로 모든 공손함으로 복종하게 하는 자라야 할지며
5 (사람이 자기 집을 다스릴 줄 알지 못하면 어찌 하나님의 교회를 돌보리요)
6 새로 입교한 자도 말지니 교만하여져서 마귀를 정죄하는 그 정죄에 빠질까 함이요
7 또한 외인에게서도 선한 증거를 얻은 자라야 할지니 비방과 마귀의 올무에 빠질까 염려하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전 3:1–7.
 
앞선 2장에서 모든 사람들을 향한 기도와 교회안의 남녀 성도들의 품행에 대한 교훈을 한데 이어서 3장 1-13절에서는 교회안의 직분자들인 감독과 집사의 자격에 대한 자격에 대한 지침을 주고 있다. 
 
1절) 미쁘다 이 말이여, ‘피스토스 호 로고스’ 이는 앞선 1장 15절에서도 등장한다. 
디모데전서 1:15
15미쁘다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 이 말이여 그리스도 예수께서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세상에 임하셨다 하였도다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
앞서 ‘그리스도 예수께서 죄인을 구하려고 세상에 임하셨다’는 표현에 대한 진실성을 강조하는 표현이었다. 본문에서는 감독의 직분을 얻으려면 선한 일을 사모해야한다는 것이다. 
‘미쁘다’는 ‘피스토스’로 ‘충성된, 믿을만한, 신실한’이라는 의미이다. 아래 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절에서는 1절 이하의 부분에 대한 언급이 신뢰할만하고 확실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감독의 직분을 얻으려 함은 선한 일을 사모하는 것이라’, ‘감독의 직분’으로 번역된 ‘에피스코페스’는 ‘돌보다, 감독하다’는 의미의 동사 ‘에피스코페오’에서 파생된 명사이다. ‘에피스코포스’는 ‘감독, 관리자, 주교’라는 의미이고 ‘에피스코페’는 ‘방문, 지위, 감독’의 의미이다. 
사도행전 20:28
28여러분은 자기를 위하여 또는 온 양 떼를 위하여 삼가라 성령이 그들 가운데 여러분을 감독자(에피스코포스)로 삼고 하나님이 자기 피로 사신 교회를 보살피게(포이마이노) 하셨느니라
바울은 에베소 장로들에게 고별설교를 하면서 교회안의 감독의 역할로 ‘하나님이 자기 피로 사신 교회를 보살피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이처럼 감독, 장로는 초대 교회를 지도하고 말씀을 선포하는 역할을 하였다. 바울은 감독과 장로라는 표현을 혼용해서 사용한다.(딛 1:5-7)
신약에서 ‘장로’로 번역되는 ‘프레스뷔테로스’는 각 회당에서 경험과 나이가 많은 자로 말씀을 가르는 자로 목회자의 품위와 가르치는 사역의 측면을 강조한 용어라면, ‘감독’으로 번역된 ‘에피스코포스’는 당시 헬라와 그에 종속된 도시를 다스리는 관리나 관원들을 일겉던 용어로 당시 행정 제도나 헬라적 어법이 반역된 표현으로 목회자의 사역 가운데 성도들의 생활을 돌보고 교회를 관리 감독하는 행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용어이다. 이처럼 목회자는 ‘프레스뷔테로스’와 ‘에피스코포스’의 두가지 성격을 모두 지녀야 하며 영적으로, 인격적으로 성숙한 모습으로 교회를 가르치고 돌보는 직분임을 말해준다. 
바울은 이처럼 교회를 섬기는 감독의 직분을 얻으려는 사람은 선한 일을 사모해야 한다고 말한다. 본문의 ‘얻으려’라는 표현은 ‘오레게타이’로 원형인 ‘오레고마이’의 현재형이다. 이는 ‘손을 내밀다, 열망하다’라는 의미로 지속적으로 열망하는 마음이 있어야 함을 보여준다. 교회를 섬기는 역할을 맡은 이들이 일시적으로 섬기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주님의 몸된 교회를 섬겨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망은 이기적인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어서는 안된다. 초대교회 당시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의 공격이 심했고, 복음에 도전하는 거짓 선생들과 이단의 도전이 강력한 상황에서 감독의 직분은 매우 어렵고 중요한 역할이었다. ‘선한 일’은 자신의 유익이 아니라 교회의 유익, 하나님나라에 유익이 되는 일을 의미한다. 교회를 가르치고 돌보는 일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되며 칭찬받는 일이 바로 선한일이다. 본문에 ‘사모한다’는 표현은 ‘에피뒤메이’인데 이는 ‘마음에 두다’라는 의미를 지닌 원형 ‘에피뒤메오’의 현재형이다. 앞선 ‘오레게카이’와 함께 현재형으로 지속적인 열망을 표현하는 것이다. 교회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선한일을 하기를 사모하는 사람이 바로 감독인 것이다. 
 
2절) 본절부터 7절까지는 감독의 구체적인 자격조건을 다룬다. 이 내용은 딛 1:6-9절과 많은 부분 일치한다. 
 
‘책망할 것이 없으며’, ‘아네필렘프톤 에이나이’, ‘책망할 것이 없다’로 번역된 ‘아네필렘프톤’은 부정의 의미를 지닌 ‘아’와 ‘붙잡히다’라는 의미의 동사 ‘에필람바노’의 합성어로 ‘붙잡히지 않는’이란 뜻이다.
디모데전서 5:7
7네가 또한 이것을 명하여 그들로 책망 받을 것이 없게 하라
디모데전서 6:14
14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실 때까지 흠도 없고 책망 받을 것도 없이 이 명령을 지키라
이는 전혀 흠이나 잘못이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행동에 있어서 눈에 띄게 흠 잡을 것이 없는이라는 의미이다. 
 
‘한 아내의 남편이 되며’, ‘미아스 귀나이코스 안드라’, 여기서 한 아내로 번역된 ‘미아스 귀나이코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첫째 감독이 되려는 사람은 반드시 결혼한 사람이어야 한다는 견해로 결혼하지 않은 사람은 감독의 자격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예수님과 바울이 독신의 삶을 부정하는 결과를 도출한다. 
둘째 감독이 되고자 하는 자는 이혼한 후에 재혼한 자들이어서는 안된다는 의미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견해도 예수께서 허락하신 ‘배우자가 심각한 성적인 죄를 지음으로 말미암아 이혼하게 된 이들의 경우’(마 5:31-32; 19:9)나 바울이 허락한 ‘믿지 않는 배우자가 믿지도 않을 뿐 아니라 계속해서 결혼 관계를 지속하지 않으려 하기때문에 발생한 이혼의 경우’(고전 7:12)를 고려하면 설득력이 없다. 
셋째 감독이 되고자 하는 자는 사별했다가 재혼한 자들이어서는 안된다는 의미로 해석하기도 한다. 말하자면 두번 결혼한 남자들은 감독의 직분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터툴리안이 이 견해를 강력히 지지했지만, 롬 7:1-3이나 고전 7:39에서 과부나 홀아비의 경우 분명하게 그들의 재혼을 허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떨어진다. 
넷째 감독이 되고자 하는 자는 여러 아내를 두지 말아야 한다는 외적인 조건의 믜미로 해석하는 견해가 있다. 일부다처제에 대한 반대로 보는 것인데 당시 고대 헬라 세계에서는 이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는 하나님이 창조 원리(창 2:21-25)에 어긋난다. 이런 의미에서 일부일처제의 결혼 관계 안에서 성적 순결을 지켜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다섯째 감독이 되고자 하는 자들은 결혼 생활에 신실하지 못한 자들이어사는 안된다는 의미이다. 본절에서 한 아내의 남편됨을 주장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결혼생활의 규정으로 하나님의 창조섭리 안에서 참되고 신실하며 도덕적으로 부정함이 없는 자여야 한다는 것이다. 
 
‘절제하며 신중하며 단정하며’, 절제하며로 번역된 ‘네팔리오스’는 ‘술이 깨다’라는 ‘테포’에서 파생된 단어(3:11; 딛 2:2)로 이후 3절의 ‘술을 즐기지 아니하는’과 병행된 표현이다. 당시 헬라 표현에서 이 단어는 ‘금주하는, 술취하지 않는’의미와 좀더 넓게는 식욕을 비롯해 세상의 많은 욕망을 제어하는 삶의 자세를 가리킨다. 
신중하며로 번역된 ‘소프로나’는 모든 일에 신중하게 임하는 자세를 의미한다.
단정하며로 번역된 ‘코스미온’은 행동이 선하고 무리하지 않는 태도를 가리킨다. 
이 세 표현은 모두 인간의 내적 자제력, 통제력과 관련되어 있다. 이처럼 감독은 다른 사람을 지도하고 이끄는 사람이기에 자신을 다스릴줄 모르는 사람이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나그네를 대접하며’, ‘필록세노스’는 ‘사랑’을 뜻하는 명사 ‘필로스’와 나그네, 낫선 사람을 뜻하는 명사 ‘크세노스’의 합성어로 ‘낯선 사람을 사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서 자기를 절제할 수 있는 이들만이 다른 이들을 대접할 수 있다. 바울 당시 숙박 시설이 용이하지 않았는데 숙박의 어려움을 겪는 순회 설교자들이나 그리스도인 여행자들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히 13:2)
 
‘가르치기를 잘하며’, ‘디닥티콘’은 원형인 ‘디닥티코스’ 신약에 2번 등장하는데 본절과 딤후 2:24에 등장한다. 감독의 역할 중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말씀을 가르치는 것이었다. 당시 복음의 가르침을 곡해하고 이를 대적하는 이단의 세력들, 특히 에베소에서 활동하던 율법주의적 유대인들이나 영지주의자들에 맞서서 복음의 진리를 올바르게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은 매우 중요했다. 앞선 내용들이 도덕적인 성품, 자질이라면 이는 전문적인 자질이라고 할 수 있다.  
Above reproach heads the list as the key qualification for an overseer; it is then expounded by the words and phrases that follow in these verses (see note on Titus 1:6). The meaning of husband of one wife (Gk. mias gynaikos andra) is widely debated. The Greek phrase is not common, and there are few other instances for comparison. The phrase literally states, “of one woman [wife] man [husband].” (1) Many commentators understand the phrase to mean “having the character of a one-woman man,” that is, “faithful to his wife.” In support of this view is the fact that a similar phrase is used in 1 Tim. 5:9 as a qualification for widows (Gk. henos andros gynē; “one-man woman,” i.e., “wife of one husband”), and in that verse it seems to refer to the trait of faithfulness, for a prohibition of remarriage after the death of a spouse would be in contradiction to Paul’s advice to young widows in 5:14. Interpreters who hold this first view conclude that the wording of 3:2 is too specific to be simply a requirement of marriage and not specific enough to be simply a reference to divorce or remarriage after divorce. In the context of this passage, the phrase therefore prohibits any kind of marital unfaithfulness. (2) Another view is that “husband of one wife” means polygamists cannot be elders. Interpreters who hold this view note that there is evidence of polygamy being practiced in some Jewish circles at the time. On this view, the phrase means “at the present time the husband of one wife,” in line with other qualifications which refer to present character. On either of these views, Paul is not prohibiting all second marriages; that is, he is not prohibiting from the eldership a man whose wife has died and who has remarried, or a man who has been divorced and who has remarried (these cases should be evaluated on an individual basis). (3) A third view is that Paul is absolutely requiring that an elder be someone who has never had more than one wife. But that does not fit the context as well, with its emphasis on present character. On any of these views, Paul is speaking of the ordinary cases and is not absolutely requiring marriage or children (cf. v. 4) but is giving a picture of the typical approved overseer as a faithful husband and father. able to teach. This is the one requirement in this list tha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of all believers. It is also not required of deacons. Thus, it is a distinguishing skill required of the pastor/elder. It yields the only reference in this list to his actual duties (see note on Titus 1:9).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29.
 
3절)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메 파로이논’ ‘술을 즐기지’로 번역된 ‘파로이논’의 원형 ‘파로이노스’는 ‘곁에, 가까이’를 뜻하는 전치사 ‘파라’와 ‘포도주, 술’을 의미하는 ‘오이노스’의 합성어로 ‘술 곁에 오래 앉아 있는 사람’을 뜻한다. 술은 이성과 판단력을 둔하게 만들어 사람으로 하여금 품위에 손상을 주는 행동을 초래한다. 구약에서 성전에 들어가 다른 불을 드려 하나님께 죽임을 당했던 제사장 나답과 아비후의 경우가 그러하다.(레 10:1-11) 바울은 절대적인 금주를 말하지는 않았다. 
‘구타하지 아니하며 오직 관용하며 다투지 아니하며’, 인간의 혈기와 관련된 교훈이다. 
‘구타하지'로 번역된 ‘플렉텐’은 물리적 폭력행사를 가리킨다. 더 나아가 말이나 태도를 통해서 상대방의 인격을 훼손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이 단어가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의 뒤에 나오는 것은 술을 즐기는 자들이 이런 행위를 일삼기 때문이다. 
‘관용하며’로 번역된 ‘에피에이케’의 원형 ‘에피에에케스’는 ‘위에, ~에 대하여’란 전치사 ‘에피’와 ‘양도하다’라는 뜻의 동사 ‘에이코’의 합성어로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여 베푸는 선한 감정, ‘호의적인, 친절한, 동정심 많은’의 의미이다. 
‘다투지 아니하며’로 번역된 ‘아마콘’의 원형 ‘아마코스’는 부정사 ‘아’와 ‘쟁론’을 의미하는 ‘마케’의 합성오로 불필요한 논쟁이나 이해 관계로 인한 논쟁을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세가지 덕목은 예수 그리스도와(마 11:29) 사도 바울(고후 10:1)이 소유했던 덕목으로 교회의 감독들에게 필수 요구사항이다. 
‘돈을 사랑하지 아니하며’의 원형 ‘아필라르귀로스’는 부정사 ‘아’와 ‘사랑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필로스’와 ‘돈’이라는 의미의 ‘아르귀로스’의 합성어로 돈에 대한 애착심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바울은 딤전 6:10에서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라고 말했고 딤후 3:2에서 말세에 신을 섬기지 않는 사람들의 특징이 돈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순회 설교자로 자처하면서 돈을 탐하던 이들이 존재했다. 이들은 떠돌이 철학자들처럼 하나님의 영광스런 복음을 돈을 받고 팔 수 있는 상품으로 전락시킨 자들이었다. 
베드로전서 5:2
2너희 중에 있는 하나님의 양 무리를 치되 억지로 하지 말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자원함으로 하며 더러운 이득을 위하여 하지 말고 기꺼이 하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