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9 dDo your best to come to me soon. 10 For eDemas, fin love with gthis present world, hhas deserted me and gone to Thessalonica. Crescens has gone to Galatia,2 iTitus to Dalmatia. 11 hLuke alone is with me. Get jMark and bring him with you, for he is very useful to me for ministry. 12 kTychicus I have sent to Ephesus.
d ch. 1:4
e Col. 4:14; Philem. 24
f See 1 John 2:15
g 1 Tim. 6:17; Titus 2:12
h [ch. 1:15]
2 Some manuscripts Gaul
i [Titus 3:12]
h [See ver. 10 above]
j See Acts 12:12
k Acts 20:4; Eph. 6:21; Col. 4:7; Titus 3: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후 4:9–12.
9 너는 어서 속히 내게로 오라
10 데마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나를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갔고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 디도는 달마디아로 갔고
11 누가만 나와 함께 있느니라 네가 올 때에 마가를 데리고 오라 그가 나의 일에 유익하니라
12 두기고는 에베소로 보내었노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후 4:9–12.
디모데후서는 머리말(1:1-5), 본론(1:6-4:8), 결론(4:9-22)로 이루어진다.
4:9-18절에 이어지는 내용은 이제 죽음을 앞둔 노사도 바울이 자신의 신변을 정리하면서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인간적인 연민, 고독감을 잘 보여준다. 먼저 바울은 디모데로 하여금 자신에게 속히 올 것을 요청한다.
9절) ‘너는 어서 오라’에 해당하는 ‘스푸다손 엘레인’에서 ‘스푸다손’은 ‘서둘로서, 속히, 금히, 열심히 ~을 하다’라는 의미이다. ‘스퓨도’의 2인칭 부정 과거 명령형이다. 이어지는 ‘엘데인’은 ‘오다, 이르다’라는 의미의 동사 ‘에르코마이’의 부정사이다. 이른 직역하면 ‘너는 오는 것을 서둘러라, 너는 서둘러서 오라’가 된다. 이러한 요청은 21절에서 다시 한번 반복된다.
본문속에서 ‘어서 속히’에 해당하는 긴급을 의미하는 표현이 두번이나 반복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바울이 디모데와의 만남을 얼마나 간절히 원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바울이 디모데와 사랑의 교제와 복음의 교제, 권면의 말을 하기 원함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얼마나 외로운지를 느끼게 해준다. 바울은 지금 자신의 마지막을 앞두고 로마의 음침한 토굴 감옥에서 외롭게, 쓸쓸하게 지내면서 자신의 마지막을 정리하고 있는 것이다. 유독 이 표현은 바울의 목회서신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본문에서 ‘속히’로 번역된 ‘타케오스’는 ‘급히, 빨리, 곧’의 의미를 지닌다. 본문은 '가까운 미래에 혹은 지체하지 않고 신속하게’라는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 4:9 The reference in v. 6 to Paul’s impending death is the setting for this request that Timothy come to him as soon as possible. Imperative σπούδασον can mean either “hasten,” or “make every effort, do your best” (σπουδάζω, PE*: Tit. 3:12 [see comments there]; 2 Tim. 2:15; 4:21, all but 2:15 requests for Titus or Timothy to come to Paul). Since the adverb ταχέως is added to convey the need for hurrying, it is more likely that the imperative is used in the other sense. Either way it conveys a sense of urgency.
The urgent request is for Timothy “to come” (ἐλθεῖν, used similarly in 4:21; Tit. 3:12). The personal nature of the request comes through clearly in the simple prepositional phrase πρός με, “[come] to me.” ταχέως, “soon,” a relative term, is given perspective by being replaced by πρὸ χειμῶνος, “before winter,” in v. 21 (for its relative character see in Paul* 1 Cor. 4:19; Gal. 1:6; Phil. 2:19, 24; 2 Thes. 2:2; 1 Tim. 5:22). This request presumes the usual time factor in the Roman judicial system, and particularly as it relates to Paul’s case, and also takes into account the time for the letter to be carried to Timothy and for him to travel to Rome. Furthermore, Paul’s requests for certain items to be brought to him (v. 13) also presume some time remaining for him when Timothy arrives. But at the same time, and more importantly, Paul writes as a man who is certain that he will not be released and that before long he will depart this life (v. 6) to Christ’s heavenly kingdom (v. 18). In that light he writes urging Timothy to come to him as soon as he possibly ca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3–464.
10절) 원문에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가르’가 포함되어 9절에서 디모데로 하여금 속히 오라고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이는 데마와 그레스게와 디도가 모두 바울을 버리고 각기 다른 곳으로 떠났기 때문이다. 바울이 디모데의 방문을 간절하게 원하고 있는 것은 복음의 교제를 나누기 위함만이 아니라 인간적인 고립감, 배신감, 거절감을 극복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말년에 로마 감옥에서 바울의 수감 생활중 함께 했던 이들이 그를 떠난 것이다.
‘이 세상을’로 번역된 ‘톤 뉜 아이오나’는 문자적으로 ‘현재의 시대, 현실 세상’을 뜻하는데 이는 하나님의 복음을 사랑하여 이를 전함으로 고난을 받기보다 자기 자신을 더욱 사랑하고 쾌락을 좇아 살게 하는 세상을 의미한다. 데마는 복음을 위하여 바울과 함께 고난받는 것을 거부하고 자기 쾌락을 좇아 이를 따라 세상을 사랑하여 바울을 떠났다. ‘사랑하여’에 해당하는 ‘아가페사스’는 ‘아가파오’의 부정과거 분사형이다. ‘아가파오’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향한 무조건적 사랑을 의미하는 표현인데 데마가 단순히 세상을 좋아하는 정도가 아니라 세상을 위해서 목숨을 내놓을만큼 뜨겁게 사랑하여 자신을 버리고 떠났음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8절에서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자’라는 표현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바울은 데마가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여 바울을 버리고 떠났음을 보여둔다.
‘버리고’로 표현된 ‘엥카텔리펜’은 ‘남기다, 버리다, 폐기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엥카탈레이포’의 부정과거 능동태 직설법표현으로 롬 9:29에서는 남겨두다라는 의미로 번역되었다.
로마서 9:29
29또한 이사야가 미리 말한 바 만일 만군의 주께서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지 아니하셨더라면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로마서의 이 표현은 이사야의 예언에 대한 인용으로 하나님, 만군의 주께서 씨를 남겨 두셨다라는 그분의 능동적 행동을 묘사한 표현으로 이처럼 데마는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바울을 버려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바울을 버렸음을 말해준다. 단순히 고난을 피하기 위해서 바울을 버린 것만이 아니라 영적으로도 하나님을 버리고 자신의 신앙마저도 버렸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데마는 몬 1:24이나 골 4:14에서 언급된 것처럼 바울의 복음 증거를 돕는 자였다. 그는 바울이 총애해 마지않던 누가와 동시에 언급될 정도로 신실한 종이었다. 그런데 이제 영적 지도자인 바울과 더불어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까지 저버린 것이다. 그렇다면 왜 데살로니가로 갔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곳이 데마의 고향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골로새서 4:14
14사랑을 받는 의사 누가와 또 데마가 너희에게 문안하느니라
빌레몬서 24
24또한 나의 동역자 마가, 아리스다고, 데마, 누가가 문안하느니라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 디도는 달마디아로’, 데마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바울을 버리고 갔다면 그레스게와 디도는 사역을 위해 바울이 파송한 이들이었다. 데마처럼 바울을 버리고 떠난것은 아니지만 지금 바울 곁을 떠난 사실은 동일하다. 이들이 복음 사역을 위하여 바울을 떠났더라도 그로 인해 바울이 로마의 감옥에서 홀로 느꼈을 고립감과 외로움은 매우 컸을 것이다.
‘그레스게’는 다른 성경본문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레스게가 파송된 곳이 갈라디아라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바울은 ‘아가야’나 ‘마게도냐’ 또는 ‘아시아’처럼 로마의 정치적 단위의 지방들을 공식적인 명칭으로 부르는데, 그렇다면 그레스게가 파송된 ‘갈라디아’는 ‘소아시아에 자리한 로마령 갈라디아’가 확실하다. 그러나 이것이 다른 문헌에는 ‘갈리아’로 표기되어 있다. 만약 이 표기가 정확한 것이라면 “그레스게가 로욘 근처의 비엔나에 교회를 설립했다”라는 저명한 교회사가 유세비우스(Eusebius)의 지적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유세비우스는 그레스게가 ‘고올(갈리아)’로 보냄을 받았다고 분명하게 말한 바 있고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여기서 표현된 갈라디아는 ‘아시아의 갈라디아’가 아닌 ‘유럽의 갈리아’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바울이 스페인을 방문했을 것으로 가정할 때, 그가 남쪽 고올 지방에 교회들을 세웠고 그리고 그레스게를 보내어 거기서 시작된 자신의 사역을 강화시켰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도 이 논리에 부합한다(Hendriksen). (옥스포드 586)
디도는 달마디아로 갔다.
로마서 15:19
19표적과 기사의 능력으로 성령의 능력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리하여 내가 예루살렘으로부터 두루 행하여 일루리곤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편만하게 전하였노라
본문에서 ‘달마디아’가 바로 아드리아 연안 동쪽에 있는 일루리곤에 속한 지역이다. 이미 바울에 의해 개척된 곳이다. 이렇게 바울이 디도를 달마디아로 보낸 것은 자신이 이전에 복음 증거하여 세워진 곳의 사역을 다시금 돌아보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디도는 예루살렘을 방문한 이후 그의 모든 전도활동의 무대를 오늘날의 유럽지역으로 집중했다.(갈 2:1)
내가 내 형제 디도를 만나지 못하므로 내 심령이 편하지 못하여 그들을 작별하고 마게도냐로 갔노라
그러나 낙심한 자들을 위로하시는 하나님이 디도가 옴으로 우리를 위로하셨으니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위로를 받았고 우리가 받은 위로 위에 디도의 기쁨으로 우리가 더욱 많이 기뻐함은 그의 마음이 너희 무리로 말미암아 안심함을 얻었음이라
내가 그에게 너희를 위하여 자랑한 것이 있더라도 부끄럽지 아니하니 우리가 너희에게 이른 말이 다 참된 것 같이 디도 앞에서 우리가 자랑한 것도 참되게 되었도다
그러므로 우리가 디도를 권하여 그가 이미 너희 가운데서 시작하였은즉 이 은혜를 그대로 성취하게 하라 하였노라
너희를 위하여 같은 간절함을 디도의 마음에도 주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노니
디도로 말하면 나의 동료요 너희를 위한 나의 동역자요 우리 형제들로 말하면 여러 교회의 사자들이요 그리스도의 영광이니라
내가 디도를 권하고 함께 한 형제를 보내었으니 디도가 너희의 이득을 취하더냐 우리가 동일한 성령으로 행하지 아니하더냐 동일한 보조로 하지 아니하더냐
십사 년 후에 내가 바나바와 함께 디도를 데리고 다시 예루살렘에 올라갔나니
그러나 나와 함께 있는 헬라인 디도까지도 억지로 할례를 받게 하지 아니하였으니
데마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나를 버리고 데살로니가로 갔고 그레스게는 갈라디아로, 디도는 달마디아로 갔고
같은 믿음을 따라 나의 참 아들 된 디도에게 편지하노니 하나님 아버지와 그리스도 예수 우리 구주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네게 있을지어다
- 4:10 The explanatory γάρ signifies that this verse provides a reason for Paul’s request in the preceding verse. He relates that almost all his coworkers have gone elsewhere and says (in v. 11) that he is nearly alone. The implication is that he is lonely and needs help and companions.
Paul’s difficult situation is highlighted by his beginning with Demas, who has deserted him because of his “love of the world.” Δημᾶς** is listed as one of Paul’s “fellow workers” in Phm. 24 and under that designation is one of those who send greetings in Col. 4:14. BAGD and BDF (§125.1) suggest Δημᾶς might be a shortened form of Δημήτριος. Chapman (“Historical Setting,” 364ff.) identifies the Δημήτριος of 3 Jn. 12 with this Δημᾶς, but this proposal is not conclusive.
Paul says that Demas “deserted” (ἐγκατέλιπεν, NT 10x, Pl.* 4x: Rom. 9:29; 2 Cor. 4:9; 2 Tim. 4:16; for the variant -λειπεν, which does not affect the meaning, see NA26) him (με) “because he has loved the present age” (ἀγαπήσας τὸν νῦν αἰῶνα). In this aorist participle of antecedent action “it is the inception of the action only which precedes the action of the principal verb” (Burton, Syntax, §137), i.e., Demas has begun to love and still loves the present age. Elsewhere Paul refers to ὁ νῦν αἰών,** “the present age, the present world” (also in 1 Tim. 6:17; Tit. 2:12), with ὁ αἰὼν ὁ ἐνεστώς (Gal. 1:4) and ὁ αἰὼν οὗτος (Rom. 12:2; 1 Cor. 1:20; 2:6, 8; 3:18; 2 Cor. 4:4; Eph. 1:21). Since it is an “evil” age (Gal. 1:4), whose God is the evil one (2 Cor. 4:4), Christians are not to be conformed to it (Rom. 12:2). Paul seems to be contrasting Demas’s love with that which marks true Christians (4:8, the only other use of ἀγαπάω in the PE*), who love and long for the future appearance of the Lord. Demas’s love for this world implies that he is one whose love for something else has taken the place of love for God (cf. 3:2, 4, where a compound of φίλος is used; cf. 1 Jn. 2:15).
In deserting Paul, Demas has gone to Thessalonica, a city in Macedonia on the Thermaic Gulf (Θεσσαλονίκη,** elsewhere in the NT in Acts 17:1, 11, 13; Phil. 4:16). He may be returning to his hometown, since he is mentioned in Phm. 24 with Aristarchus the Thessalonian (Acts 20:4; 27:2) and since two of the politarchs of Thessalonica were named Demetrius (Lightfoot, Biblical Essays, 247 n. 2).
Paul utilizes the verb “has gone” not only for Demas but also for two other fellow workers, naming the place to which each “has gone” (ἐπορεύθη, aorist passive of πορεύομαι, with εἰς and the place also in Rom. 15:24, 25; 1 Tim. 1:3). But the construction of the phrase with these two others, consisting of the person’s name with the prepositional phrase, implies only this latter verb, not the earlier statement about desertion. Furthermore, that Titus has gone to Dalmatia, just north of Nicopolis, fits with Paul’s earlier request (and presumed evangelistic strategy) for Titus to join him in Nicopolis (Tit. 3:12). Κρήσκης,** a rare Greek form of the common Latin “Crescens,” is not mentioned elsewhere in the NT. Crescens is said to have gone to Γαλατία** (1 Cor. 16:1; Gal. 1:2; 1 Pet. 1:1; for manuscript evidence for this reading and the variant “Gallia” see UBSGNT and TCGNT). Γαλατία is almost certainly an area in central Asia Minor (for alternatives see the literature on Γαλατία in BAGD). Τίτος is Paul’s well-known fellow worker (see the statements about his life and ministry in the Introduction). He has gone to Δαλματία,** Dalmatia, which is located in southern Illyricum across the Adriatic Sea from southern Italy.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DF F. Blass and A. Debrunner,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 W. Funk from the 10th German ed. Chicago, 1961.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UBSGNT K. Aland, M. Black, C. M. Martini, B. M. Metzger, and A. Wikgren, The Greek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3rd ed. corrected, Stuttgart, 1983.
TCGNT B. M.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4–465.
11절) 바울의 말년 감옥 생활에 유일하게 남아있던 사람은 다름 아닌 누가였다. 누가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저자로 바울의 전도여행에 동행했다. 팔레스틴에서부터 로마까지 멀고도 험난한 해상 여행에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바울과 함께 하였다.(행 27장) 누가는 바울과 함께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였으며 바울의 주치의이기도 했다.(골 4:14) 누가는 바울의 1, 2차 로마 수감 생활동안 그와 함께 했으며(골 4:14; 몬 1:24; 딤후 4:11) 서신을 대필하기도 한 비서요 신실한 친구였다. 누가는 그리스도인, 선교사, 의사, 비서, 친구로서 바울과 언제나 함께 하였다.
‘마가를 데리고 오라’, 마가는 예루살렘 출신으로(행 12:12) 바울의 제1차 전도여행에서 바울 일행을 떠나 개인적인 행동을 함으로(행 13:13) 바울과 바나바가 서로 결별하는 이유를 제공했다(행 15:36-41) 하지만 이후 골 4:10이나 몬 1:24을 보면 마가는 바울이 일차로 로마감옥에 수감되었을때 그와 함께 했음이 분명하다. 벧전 5:13에서 마가는 베드로와 함께 로마에서 복음을 증거했다. 전승에 따르면 베드로가 로마에서 순교한 후 이전의 바울과의 반목을 털어버리고 그의 신실한 조력자가 되었다고 한다. 한때는 서로 반목했던 자들이 복음 안에서 다시 화해하고 한 뜻으로 주의 복음을 위해 애쓰는 모습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모습임에 틀림없다. 여기서 디모데에게 마가와 동행할 것을 요청하는 이유는 마가가 바울 자신의 일에 유익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일’에 해당하는 헬라어 단어 ‘디아코니안’은 교회와 관련된 봉사, 또한 하나님나라와 관련된 사역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이처럼 바울은 자신이 관계하는 복음 사역에 마가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 4:11 The result of these departures is that the company of fellow workers has been reduced to one: Λουκᾶς ἐστιν μόνος μετʼ ἐμοῦ, “Luke only is with me” (for this use of μόνος cf. Rom. 11:3; 1 Cor. 9:6; 14:36; Phil. 4:15; 1 Thes. 3:1). Λουκᾶς** is listed as one of Paul’s fellow workers in Phm. 24 and is described as “the beloved physician” (ὁ ἰατρὸς ὁ ἀγαπητός) in Col. 4:14.
The remainder of this verse assumes that Timothy will come to Paul and states that he should bring Mark with him (μετὰ σεαυτοῦ). BAGD (s.v. 4) proposes that ἀναλαβών is used here as in Acts 23:31 and in extrabiblical literature (references in BAGD) in the sense of “taking along” a person who travels with someone. It is possible, however, that it is used in the more general sense of “take to one’s self” (BAGD s.v. 3; so Thayer, Lexicon). Imperative ἄγε, “bring [him] along,” is the key verb in this statement.
Μᾶρκος** undoubtedly refers to the one associated with Paul elsewhere in the NT. Hence “Mark” is the surname of John, son of Mary of Jerusalem and cousin of Barnabas (Col. 4:10) who accompanied Paul and Barnabas on the so-called first missionary journey but left them early during that journey (Acts 12:25; 13:5, 13). Paul did not want to take Mark on his next journey because of this desertion (Acts 15:37–40), but Mark proved himself after that time and came to be regarded by Paul as a fellow worker (Phm. 24; cf. 1 Pet. 5:13).
The reason (γάρ) that Paul wants Timothy to bring Mark with him is that Mark is “useful” (εὔχρηστος,** also in 2:21; Phm. 11, where what is said about Onesimus could just as well be applied to Mark) to Paul “for service.” Paul has used διακονία for the “ministry” in which he was placed by Christ (1 Tim. 1:12) and for the “ministry” that Timothy is to fulfill (2 Tim. 4:5). Furthermore, Paul regards Mark as his “fellow worker” (συνεργός, Phm. 24). For those reasons and because Paul wants Mark to come to replace other coworkers who have left, it is most likely that he uses διακονία here for the ministry of the gospel (rather than personal service). Cf. NIV: “because he is helpful to me in my ministry” (also TEV).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5–466.
12절) 행 20:4에 아시아까지 바울을 동행한 이들이 언급되는데 그 중에 두기가고 포함된다.
사도행전 20:4
4아시아까지 함께 가는 자는 베뢰아 사람 부로의 아들 소바더와 데살로니가 사람 아리스다고와 세군도와 더베 사람 가이오와 및 디모데와 아시아 사람 두기고와 드로비모라
두기고는 바울의 1차 로마 감옥 수감생활중에 함께 하였고 에베소서와 골로새서를 전달한 인물이기도 하다.(엡 6:21; 골 4:7) 그는 사랑을 받는 형제와 복음의 충성스러운 사역자요 바울의 동료이며 매우 신실한 그리스도인임에 분명하다.
에베소는 디모데가 바울의 후임으로 사역하고 있는 곳이었다. 그렇다면 바울이 두기고를 에베소로 보낸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디모데가 로마감옥에 수감된 자신을 방문하기 위해서 올 경우 디모데가 에베소에서 하던 사역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였을 것이다(딛 3:12) 여기서 ‘보내었노라’로 번역된 ‘에페스테일라’가 본래 ‘보내다, 파송하다’라는 의미의 ‘아포스텔로’의 부정과거라면 두기고가 본서를 디모데에게 전달했을 가능성도 있다. 바울은 두기고를 디모데를 대신하여 잠시 동안 에베소 교회를 부탁해도 무방할 정도로 신뢰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바울이 자신의 극심한 외로움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교회가 한치도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 얼마나 세심하게 배려하고 있는지, 바울이 얼마나 주도면밀한 인물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 4:12 Τύχικος** is apparently the one who carried the letters to the Ephesians and to the Colossians, in which Paul calls him “the beloved brother and faithful minister in the Lord” (Eph. 6:21; Col. 4:7) and a “fellow bondservant in the Lord” (Col. 4:7). He was from Asia (where Timothy now is) and was one of those who accompanied Paul on his journey to Jerusalem with the collection (Acts 20:4). The terse statement here, “But Tychicus I have sent to Ephesus,” together with v. 8, is probably written here for the same reason that a similar statement appears in Tit. 3:12. There Titus is told to come to Paul “when” (ὅταν) either Artemas or Tychicus have come to Titus, presumably because either of the two would take Titus’s place. Paul says that he “has sent” (ἀπέστειλα, epistolary aorist) Tychicus εἰς Ἔφεσον (for Ἔφεσος see the other PE* occurrences, 1 Tim. 1:3; 2 Tim. 1:18), “to Ephesus,” where Timothy is located and laboring (cf. 1:18). That place name, rather than the more usual “to you” (Tit. 3:12; Eph. 4:7; Eph. 6:21), is probably used simply to continue the pattern in v. 10.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66.
'성경묵상 > 디모데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딤후 4:16-18 사자의 입에서 건지시는 주님 (0) | 2023.03.24 |
---|---|
딤후 4:13-15절 겉옷과 가죽 책을 가져오라 (1) | 2023.03.21 |
딤후 4:6-8 선한 싸움 다 싸우고 의의 면류관 (1) | 2023.03.14 |
딤후 4:3-5 전도자의 직무를 다하라 (0) | 2023.03.10 |
딤후 4:1-2 말씀을 전파하라 (1)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