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aying Taxes to Caesar
13 yAnd they sent to him some of zthe Pharisees and some of zthe Herodians, to atrap him in his talk. 14 And they came and said to him, “Teacher, bwe know that you are true and do not care about anyone’s opinion. For cyou are not swayed by appearances,3 but truly teach dthe way of God. Is it lawful to pay etaxes to fCaesar, or not? Should we pay them, or should we not?” 15 But, knowing gtheir hypocrisy, he said to them, “Why hput me to the test? Bring me ia denarius4 and let me look at it.” 16 And they brought one. And he said to them, “Whose likeness and inscription is this?” They said to him, “Caesar’s.” 17 Jesus said to them, j“Render to Caesar the things that are Caesar’s, and to God the things that are God’s.” And they marveled at him.
13절) 바리새인과 헤롯당원들이 서로 공모하여 예수의 말씀을 책잡으려고 하였다. 당시 바리새인들은 로마권력에 반대하는 무리였다면 헤롯당원들은 종교세력이라기 보다는 헤롯을 등에 업고 정치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던 무리들이었기에 이 두 그룹은 둘은 앙숙에 가까왔다. 그런데 이 두 그룹이 서로 힘을 합쳐서 예수를 올무에 빠뜨리려고 나아온 것이다. 본문 처음의 그들은 앞서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11:18)이다.
- The pronoun “they” must refer again to the “chief priests and the teachers of the law” (11:18). For the identity of the “Herodians”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Pharisees,” see the comments on 3:6. The word translated “catch” (“entrap,” RSV; “trap,” NRSV, NEB, REB, NASB, GNB) often was used to refer to catching an animal in a snare or hooking a fish. The use of the word implies deceit and treachery.
14절) 이들이 가지고 온 질문은 바로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은가 그른가 하는 것이었다. 먼저 이들은 예수님을 향해서 예수님 당신은 참되시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영향을 받지 않는 분인데 이는 사람을 외모로 보고 판단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의 도를 가르치시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 이들의 예수님에 대한 진술이 모두 옳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의도는 그분을 예배하고 높이기 보다는 그런 주님께 매우 곤란한 질문을 해서 그분을 올무에, 덫에 빠뜨리려고 한 것이다.
본문의 세금이라고 표현된 헬라어는 ‘켄소스’라는 단어로 직접세로 이단어라 라틴어로 ‘센서스(sensus)’로 자역되었다. 이는 로마에 의해 당시 그 지역에 부과된 세금으로 1년에 한 데나리온을 바치게 되어있었다. 한데나리온은 노동자의 하루치 품삯으로 그 액수가 많아서라기 보다는 이방세력의 압제를 싫어했고 그 동전에 황제의 형상이 새겨져있어서 이를 반대했던 것이다. 이는 일종의 인두세(poll tax)였다. (Mt 17:25; 22:17, 19; Mk 12:14+)
- The Greek word translated “taxes” (it is singular in Greek) is kēnsos and is a transliteration of the Latin word census. The reference is to the census, poll, or head tax that was imposed on all residents of Judea, Idumea, and Samaria in a.d. 6. At that time Archelaus (cf. Matt 2:22), the Jewish client-king (actually his modest title was “ethnarch”) of that part of Palestine, was deposed by Rome. It was annexed as an imperial province, and a legate was appointed by the emperor to govern it.11 The tax amounted to only a “denarius” a year (v. 15), i.e., a day’s wage of an agricultural laborer. It was opposed at its inception by Judas the Galilean (cf. Acts 5:37), who led an abortive revolt,12 and it was still deeply resented in Jesus’ time. The tax was hated not because of its amount but because it was a symbol of foreign domination and because it had to be paid with a coin that bore an image of the emperor and an offensive inscription (see the comments on v. 16). The “Caesar” or emperor at the time was Tiberius (a.d. 14–37).
15절) 이에 예수님께서는 그들의 외식함을 아시고 어찌하여 나를 시험하느냐 하시며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와 내게 보이라라고 말씀하신다. 이 질문에서 예수님께서 황제에게 세금을 바치지 말라하면 로마에 반역을 행하는 것이고, 황제에게 세금을 바치라 라고 말하면 로마의 세력을 추종하는 매국노라는 타이틀을 붙여서 예수님을 매장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 Identical in intent to their earlier question on divorce (see note on 10:2), the Pharisees calculate that Jesus’ answer will either alienate the crowds (11:8–10) or enable them to denounce Jesus to the Roman authorities as a rebel.
본문에서는 시험(페이라조)라는 단어를, 13절에서는 책잡다(아그레우오)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13절의 단어는 사냥꾼이 짐승을 사냥할때 주로 사용하던 단어이다. 15절의 페이라조는 예수님이 시험받으실때 주로 사용된 단어이다.
16-17절) 이에 예수님께서 데나리온에 새겨져있는 글과 형상이 누구의 것인지를 물으신다. 무리들이 가이사의 것이다라고 대답하자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라고 말씀하시자 무리들은 예수께 대하여 매우 놀라워했다. 데나리온의 한 면에는 가이사의 형상이, 다른 한면에는 ‘Son of divine Augustus’라고 적혀 있었다.
- Jesus rejects their either-or approach. Obligations to God and state are not necessarily in conflict (e.g., Rom 13:1–7; 1 Tim 2:1–3; Titus 3:1–2; 1 Pet 2:13–17), though obedience to God takes unquestioned priority (1 Sam 13:13–14; 2 Sam 12:1–15; 1 Kgs 13:1–3; Jer 20:3–6; Acts 5:29). Jesus might also imply, as he had earlier (see note on 3:27), that Israel’s fundamental problem is not Rome but their own need to give God his due, namely, repentance (1:4–5, 15) coming from wholehearted love (12:30) of the one whose image they bear (in contrast to image on the coin, cf. note on v. 16).
우리는 본문의 메시지를 통해서 그리스도인이 정부의 요구, 국민으로서의 책무를 어떻게 감당해야할 것인가를 고민해볼 수 있다. 본문은 단지 정치와 종교, 세속 정부와 교회로 나누는 이원론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국가의 권력이 우리의 신앙이나 하나님에 대한 의무와 충돌되지 않을때 세속 권력에 따를 것을 말하는 것이다. 성경에는 이처럼 국가 권력, 권제잡은 자들에 대한 우리의 태도를 설명한다.
- This famous statement by Jesus does not provide a full account of the Christian’s obligation to the state. It does not justify the medieval concept of two empires, the ecclesiastical and secular, each supreme in its own sphere. It does not justify the modern dichotomy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t simply affirms that obedience to a secular power does not necessarily conflict with obligation to God. The lesser obligation may be included in the greater. Other passages on the subject are Rom 13:1–7; 1 Tim 2:1–3; Titus 3:1–2; 1 Pet 2:13–17.
그렇다면 어떤 것이 하나님의 것인가? 동전에 하나님의 형상을 그려 넣으면 하나님의 것일까? 성경은 하나님을 형상화 하지 말 것을 명했다. 또한 성경은 만물이 그에게로부터 나오고 그에게로 돌아간다라고 말한다. 한시적으로 이땅의 권세에게 맡기신 것이다. 우리는 이땅의 권력을 절대화해서도 안되고 주님께서 세우신 권위를 무시해서도 안된다. 이땅을 다스리시기 위해서 그들을 세우시고 허용하시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하나님께서 온 만물의 주인이심을 인정하는 그러한 창조신앙이 우리가운데 회복되어야 할 것이다.
'성경묵상 > 마가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 12:28-34 가장 첫째 되는 계명은? (0) | 2018.01.04 |
---|---|
막 12:18-27 산자의 하나님 (0) | 2018.01.03 |
막 12:1-12 포도원 주인과 농부의 비유 (0) | 2017.12.28 |
막 11:27-33 도전받는 예수님의 권위 (0) | 2017.12.27 |
막 11:20-25 응답받는 기도(믿음과 용서) (0) | 2017.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