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If anyone steaches a different doctrine and does not agree with tthe sound2 words of our Lord Jesus Christ and the teaching uthat accords with godliness, vhe is puffed up with conceit and wunderstands nothing. He has an unhealthy craving for xcontroversy and for yquarrels about words, which produce envy, dissension, slander, evil suspicions, and constant friction among people zwho are depraved in mind and deprived of the truth, aimagining that godliness is a means of gain.
s ch. 1:3
t See ch. 1:10
2 Or healthy
u Titus 1:1
v ch. 3:6; 2 Tim. 3:4
w 1 Cor. 8:2; [ch. 1:7]
x ch. 1:4; 2 Tim. 2:23; Titus 3:9
y 2 Tim. 2:14; [Acts 18:15]
z 2 Tim. 3:8; [Eph. 4:22; Titus 1:15]
a Titus 1:11; 2 Pet. 2: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딤전 6:3–5.
 
3 누구든지 다른 교훈을 하며 1)바른 말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경건에 관한 교훈을 따르지 아니하면
4 그는 교만하여 아무 것도 알지 못하고 변론과 언쟁을 좋아하는 자니 이로써 투기와 분쟁과 비방과 악한 생각이 나며
5 마음이 부패하여지고 진리를 잃어 버려 경건을 이익의 방도로 생각하는 자들의 다툼이 일어나느니라
1) 헬, 건전한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딤전 6:3–5.
 
바울은 앞서 1-2절에서 상전을 대하는 종들의 자세를 다루고 나서 이제 3-10절에서 부패한 거짓 선생들의 실상을 말한다. 이어 11-16절을 통해서 하나님의 사람으로 믿음의 선한 싸움을 할 것을 권면한다. 
 
3절) 거짓 교사들은 그리스도의 말씀과 경건에 대한 교훈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교훈을 전했다. ‘다른 교훈을 하며’로 번역된 ‘헤테로디다스칼레이’는 ‘다르게 가르치다’라는 ‘헤테로디다스칼레오’의 현재 능동태로 계속 적극적으로 다른 교훈을 가르쳐왔음을 보여준다. 이 표현은 ‘다른, 같지 않은’의 접두어 ‘헤테로’와 ‘가르치자’라는 의미의 동사 ‘디다스칼레오’의 합성어로 ‘교리적으로 전혀 엉뚱한 것을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바울은 1:3에서 ‘신화와 끝없는 족보’에 몰두하지 말것을 권면했다. 
본문에서 '따르다'라는 표현은 ‘프로세케타이’인데 이것의 원형은 ‘프로세르코마이’로 ‘나아오다, 다가오다, 신실하게 고수하다, 충실하다, 착념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처럼 거짓 교사들은 바른 교훈을 따르지 않고 다른 교훈을 가르쳤다. 
‘바른 말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경건에 관한 교훈’, 본절에서 ‘바른 말’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경건에 관한 교훈’이다. 이는 일차적으로 주님의 말씀이다. 본문에서 ‘그리스도의’로 번역된 ‘크리스투’는 ‘크리스토스’의 소유격으로 이를 주격적 소유격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목적격적 소유격으로 볼 것인가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진다. 목적격적 소유격으로 이해할 경우 그리스도의 말씀은 ‘그리스도에 대한 말씀’이 된다. 반면 주격적 소유격으로 이해할 경우에는 그리스도의 말씀은 ‘그리스도께서 직접 하신 말씀’이란 의미가 될 것이다. 당시 초대교회 시절에도 도마 복음이나 베드로 복음서들에서 그리스도에 대한 말씀은 하지만 이것이 근거없는 허황된 내용들이 많이 있었기에 그리스도께서 직접 하신 말씀으로 이해할 수 있다. 히지만 예수님의 말씀만을 모아놓은 어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그리스도의 말씀은 주님께서 복음서를 통해서 직접 하신 말씀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말씀을 직접 듣고 그 행적을 목격한 사도들의 말을 포함하여 더 나아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승천하신 이후 예수께서 영으로 교훈하신 내용을 선포하거나 기록한 것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크리소스톰) 그런 의미에서 본절에 나오는 그리스도의 말씀은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진리 그 자체나 그 진리에 대한 사도들의 정당한 해석 및 예수의 영을 받아 선포한 말씀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바른 말은 경건에 관한 교훈이다. ‘경건’은 ‘유세베이아’로 하나님을 향해 경의를 표하고 그분을 경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바른 말’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온, 그분께로부터 기인된 말씀이며 동시에 경건을 촉진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즉 다른 교훈은 주께로 부터 온 말씀이 아니며 경건을 이루지 못하게 한다. 
 
6:3 Paul returns to false teachers for the third time (1:3–11; 4:1–5). The statement made about them is presented as a general principle (εἴ τις). Thus the rendering “anyone” for τις is appropriate, but, as in 1:3–11, specific false teachers are undoubtedly in mind with this generic singular (Paul moves to plural ἀνθρώπων in v. 5). With the conditional clause, “if anyone …,” Paul asserts what he regards to be true and thus means “since someone … (does not so assent).”
ἑτεροδιδασκαλέω** appears in the NT only here and in 1:3. Thus it signals that Paul is returning to consideration of the same group of false teachers. It indicates that they “teach a (completely) different doctrine,” i.e., one different from the apostolic teaching and therefore to be regarded as false (as the context here and in 1:3ff. evidence).
Paul describes the error of the teaching in that its “otherness” inherently involves not agreeing with (καὶ μή …) “the sound words of the Lord Jesus Christ.” προσέρχομαι (Pl.* 1x; for the variant reading προσέχεται see NA26; TCGNT) means generally “come or go to” and is used here in the special sense of “agree with, accede to” (with the more classical negative μή with εἰ and indicative, only here in NT, see BDF §428.1; Robertson, Grammar, 1011; for this meaning see 1 Clement 33:8; Simpson; cf. προσήλυτος, “proselyte,” one who has come over).
That which the false teacher does not agree with is “sound words” (ὑγιαίνουσιν λόγοις; for ὑγιαίνω see 1:10; for its use with λόγοι see 2 Tim. 1:13 and cf. λόγος ὑγιής, Tit. 2:8), “sound” in the sense of “correct,” i.e., true in contrast with that which is incorrect or false. The “words” are those of Jesus. Specific words of Jesus are known and transmitted by Paul (e.g., 1 Tim. 5:18; Acts 20:28; 1 Cor. 11:23ff.). Paul also uses this kind of language to refer more generally to the message from the Lord, i.e., the gospel (1 Thes. 1:8). In the other occurrence of ὑγιαίνοντες λόγοι (2 Tim. 1:13), Paul can speak of himself as the proximate source, namely, “which you have heard from me” (ὧν παρʼ ἐμοῦ ἤκουσας). Therefore, here, where “sound words” are said to come from Jesus, they “emanate from the Lord, either directly, or through His apostles and teachers” (Ellicott; cf. Jn. 14:26; 16:12–15).
Paul refers to Jesus here with the rather full designation τοῦ κυρίου ἡμῶν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i.e., as the Jesus whom Christians acknowledge as the Messiah and as their Lord. This full designation is used in 1 Timothy where the authority and power of Christ are particularly in view (1:1, 2, 12; 5:21; 6:3, 14). That note is being sounded here: False teachers are not assenting to the words that have come from the source of authority, “our Lord Jesus Christ.”
Paul joins to the foregoing a further description of that to which the false teacher does not assent, namely, τῇ κατʼ εὐσέβειαν διδασκαλίᾳ. This is not a description of something other than the preceding but is rather a description of it in terms of its content (for τῇ διδασκαλίᾳ see 1:10) and results (κατʼ εὐσέβειαν). The words describe the truth of Christianity seen as a whole. It is a life-changing message and thus it “accords with godliness” (so RSV, κατʼ εὐσέβειαν; see Tit. 1:1); it is that which “promot[es] ([is] designed for) godliness” (Robertson; see further idem, Grammar, 609; this view is more likely than BAGD s.v. κατά II.7, which takes the phrase as adjectival). εὐσέβεια (see 2:2; 3:16; 4:7, 8) means here “godliness” or “piety,” i.e., the life of reverence before and obedience to God.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l. Paul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Paul or in the Pastoral Epistles are cited
NA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26 K. Aland and B.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6th ed., Stuttgart, 1979.
TCGNT B. M. Metzger,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1971.
BDF F. Blass and A. Debrunner,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 W. Funk from the 10th German ed. Chicago, 1961.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49–250.
 
4절) ‘그는 교만하여 아무 것도 알지 못하고’, 4-5절에서 바른 말을 따르지 않는 거짓 교사들이 어떤 자들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는 교만하여’로 번역된 ‘테튀포타이’는 ‘잘난체하다, 교만하다’라는 의미의 ‘튀포오’의 현재 완료 수동태인데 이는 ‘연기를 피우다’라는 ‘튀포’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여기서 수동태로 표혀뇌고 있는데 다른 교훈을 따르는 이들은 바른 말을 따르지 않고 그 길을 벗어나게 되어 자신이 원하지도 않고 스스로 자각하지도 못하는 사이에 연기 속에서 방향을 잡지 못하는 자처럼 방황하며 어리석어 진다는 의미이다. 즉 바른 교훈에서 이탈한 자들은 자신들의 교만으로 영적인 눈이 어두워지게 되어 결국 진리에 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교만한 바보, 잘난체 하는 천치’로 전락하게 된다. ‘무지는 교만의 절친한 동료이다.’ 결국 바른 교훈, 진리를 알지 못하기에 교만하여지는 것이다. 
 
‘변론과 언쟁을 좋아하는 자니’, 바른 진리를 알지 못하고 다른 교훈을 가르치는 이들은 교만하여 영적 무지가운데 빠지게 되어 변론과 언쟁만을 좋아함으로 교회를 분열시킨다. ‘좋아하는 자니’로 번역된 ‘노손’은 ‘아프다, 앓다, 병적으로 좋아하다’라는 의미의 ‘노세오’의 현재 분사형이다. 이표현은 ‘이루지 못한 욕구로 인하여 자신이 성취하지 못함으로 아픈 상태’를 의미한다. 새번역을 이렇게 표현한다.
디모데전서 6:4(새번역)
4그는 이미 교만해져서, 아무것도 알지 못하면서, 논쟁과 말다툼을 일삼는 병이 든 사람입니다. 그런 데서 시기와 분쟁과 비방과 악한 의심이 생깁니다.
진리에 기초하지 않은 논쟁은 결국 상처와 아픔, 영적인 피해를 낳게 된다. 당시 초대교회에 기독교 교리는 아직 조직화되지 않았기에 필연적으로 오랜 전통을 가지니 유대교 교리를 가진 이들과 유대교에서 개종한 이들 사이에 자신들의 가르침과 부딪치는 문제에 대해서 논쟁이 있었을 것이다. 또한 헬라 문화권에서 이러한 논쟁은 일상적이었고 복음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이런 논쟁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초대 교회내에 영지주의자들이 영향을 주면서 유익이 없는 변론을 일삼았기에 바울은 이를 염두에 두고 이런 이들이 거짓 교사들이다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투기와 분쟁과 비방과 악한 생각이 나며’, 건강한 토론, 논쟁은 필요하다. 하지만 헛된 변론과 언쟁은 바른 분별력과 상대방을 배려하는 자세를 가지고 토론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주장이 옳다라는 강력한 신념을 가지고 상대방을 무너뜨리기 위해서 감정적으로 상대방을 공격한다. 이처럼 투기와 분쟁과 비방과 악한 생각은 앞선 변론과 언쟁을 좋아하는 이들의 심적인 상태를 말해준다. 
이 표현 앞에 ‘이로써(엑스 혼)’이라는 표현이 이를 뒷받침한다. 
첫째는 투기이다. ‘투기’로 번역된 ‘프도노스’는 변론과 언쟁에서 패배한 자가 가지는 시기와 질투의 감정이다. 
둘째는 분쟁이다. ‘분쟁’으로 번역된 ‘에리스’는 논쟁에서 패배한 이가 패배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데사 발생하는 심한 불화를 뜻한다. 먼저는 심적 상태를 묘사하지만 나아가 언어를 사용한 다툼이나 폭력적 행동까지 포함한다. 
셋째는 훼방이다. ‘훼방’으로 번역된 ‘블라스페미아이’는 신에게 적용될 경우 오만한 불경스러움을 의미하고, 인간에게 적용될 경우 논쟁의 적수에 대한 경멸적인 언사와 중상모략을 의미한다. 
넷째는 악한 생각이다. ‘악한 생각’으로 번역된 ‘휘포노이아이 포네라이’에서 ‘생각’에 해당하는 ‘휘포노이아이’가 원래 ‘의심하다, 추측하다’라는 뜻을 지닌 ‘휘포노에오’에서 파생된 표현이라는 점에서 논쟁의 적수에 대한 비열한 의심의 생각을 의미한다. 
결국 거짓 교사는 진리를 알지 못함으로 교만하여지고, 진리가 아닌 것을 가지고 변론과 언쟁을 하게 되면, 진리와 싸우기 위해서 투기와 분쟁과 비방과 악한 생각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5절) 헬라어 원어에서는 ‘다툼이 일어나느니라’라는 표현 ‘디아파라트리바이’가 5절 맨 처음에 등장한다. 이는 4절에서 언급된 변론과 언쟁을 좋아하는 자의 마지막 결과가 다툼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디아파라트리바이’는 ‘상호간의, 구석구석의’를 의미하는 접두어 ‘디아’와 ‘안달나게 하는 것, 바싹 붙어서 일으키는 마찰’이란 의미의 ‘파라트리바이’의 합성어로 ‘상호간의 격론, 열띤 논쟁’을 의미한다. 
바울은 이러한 다툼이 어떤 자들에게서 일어나는지를 설명한다. 
첫번째로 마음이 부패해진 이들에게서 나타난다. ‘부패하여지고’로 번역된 ‘디에프다르메논’은 ‘디아’와 ‘더럽히다, 썩어지다, 멸망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프데이로’의 합성어로 ‘부패하다, 깨어지다, 망하다’의 의미를 지닌 ‘디아프데이로’의 현재 완료 수동태 분사형이다. 여기서 수동태는 자신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부패하여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리고 과거 이미 이루어진 상태가 현재에도 계속됨을 보여주는 현재 완료 시제가 사용되어 부패가 계속 진행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두번째로 다툼은 진리를 잃어버린 자들에게서 나타난다. ‘잃어버려’로 번역된 ‘아페스테레메논’은 “~에서, ~으로부터’의 접두어 ‘아포’와 ‘빼앗다’라는 의미의 동사 ‘스테레오’의 합성어로 ‘강탈하다, 횡령하다’라는 ‘아포스테레오’의 현재 완료 수동태 분사형이다. 이 역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구원의 진리를 빼앗겼으며 이 상태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부패해진 마음은 진리를 배척하고 거짓을 환영한다. 
세번째로 다툼은 ‘경건을 이익의 방도로 생각하는 자들’에게서 일어난다. ‘이익의 방도’로 번역된 ‘포리스몬’은 본래 ‘제공하다, 얻다’라는 동사 ‘포리조’에서 파생된 명사로 원형은 ‘포리스모’이다. 이는 단순히 생계 유지를 위해 취하는 경제적 이득이 아니라 부유해지려는 이기적인 목적에서 취해진 이득을 의미한다. 거짓 교사들은 아무 것도 알지 못하지만 자신들이 뭔가 특별한 것을 알고 있다라고 사람들을 속이면서 경제적인 이득을 취했던 것이다. 이는 하나님의 이름으로 자기 개인의 욕망을 이루거나 사익을 편취하는 거짓된 교사, 사역자들에게서 흔히 찾아 볼 수 있다. 물론 이들중 대부분은 처음에는 아주 좋은 의도로 하나님나라와 영광을 위하여 사역을 하고 가르치며, 놀라운 이적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마땅히 하나님께 돌려야할 영광을 자신이 취하고 이 과정에서 재물을  챙기기 위한 수단으로 경건한 척하며 거짓 교훈을 진리인양 확신에 차서 가르친 것이다. 
 
 
이처럼 진리가 아닌 다른 교훈을 따르는 이들은 필연적으로 분쟁과 다툼을 일으키게 된다. 
 
 
6:4–5 In the apodosis of this conditional sentence the main verb τετύφωται is qualified by two participles, ἐπιστάμενος and νοσῶν, with the second contrasted to the first. The content of the second (“having morbid interests or desires”) is given in a prepositional phrase with περί and two nouns. A relative clause (ἐξ ὧν) lists five results of what is described in this second participial clause. The ultimate reason for all that precedes (from τετύφωται on) is given in two participles (διεφθαρμένων and ἀπεστερημένων, genitive to agree with ἀνθρώπων), each followed by a noun indicating where or in what way the participle applies. The sentence concludes with another participial clause (νομιζόντων …) that includes an infinitival phrase and conveys the false teachers’ evaluation of εὐσέβεια.
The main verb gives Paul’s main characterization of the false teacher, that such a person τετύφωται** (elsewhere only 3:6; 2 Tim 3:4 in the Bible, but also a contemporary term [see BAGD], used only figuratively and usually in the passive, especially the perfect passive indicating a permanent condition [so Spicq]). Since the meaning “is conceited” is contextually indicated in 3:6, since that meaning also fits well in 2 Tim. 3:4, since the ancient versions also understood it in that sense here (see BAGD), and since that meaning coincides with Paul’s evaluation elsewhere (1 Cor. 8:1), it is likely that that meaning is intended here (rather than “is blinded” or “is foolish”). In 1 Cor. 8:1–2 the reason given for this evaluation is that the person spoken of thinks that by one’s own intellect, one has the answer or knowledge. That perspective seems to be involved here, since the false teacher is said not to agree with Jesus’ words (v. 3) and is said to “understand nothing” (μηδὲν ἐπιστάμενος, v. 4).
The false teacher is said to be νοσῶν** (the verb is a NT hapax) used here figuratively of having a “sick” or “unhealthy craving.” This craving is “for” (περί) ζητήσεις καὶ λογομαχίας. ζήτησις** has among its meanings that of “investigation” (Acts 25:20) and “discussion, debate” (Jn. 3:25; Acts 15:27). It is doubtful that either of these positive meanings is intended here since the word is linked with the pejorative λογομαχίας and because ζήτησις elsewhere in the PE in similar settings is clearly demarcated as negative by the adjectives “foolish” (μωράς, Tit. 3:9; 2 Tim. 2:23) and “ignorant” (ἀπαιδεύτους, 2 Tim. 2:23). Thus the likely meaning here is “controversial questions” (NASB) or “controversies” (RSV, NIV; cf. ἐκζήτησις in 1:4). Their other sickly craving is λογομαχίας** (a NT hapax; cf. λογομαχέω, 2 Tim. 2:14), literally “word-battles,” or “disputes about words,” which NEB well renders as “verbal quibbles.”
From what has been said in vv. 3–4 (ἐξ ὧν) five results “arise” (γίνεται). The first-named, φθόνος (generic singular) means “envy” or “jealousy,” i.e., holding a grudge against another out of desire for something the other possesses (D. H. Field, NIDNTT I, 557; cf. L. T. Johnson, “James 3:13–4:10”). ἔρις (also generic singular) is “strife, discord, contention” (BAGD). In all but one of its NT occurrences ἔρις is joined with a word for envy (φθόνος or ζῆλος). βλασφημίαι (the first of three plurals) here means “abusive speech” (BAGD s.v. 1; H. W. Beyer, TDNT I, 621; NASB; TEV has “insults”) or “slander” (BAGD; RSV, NEB). ὑπόνοιαι** (a NT hapax) are “suspicions” or “conjectures” and with πονηραί refers to “evil suspicions” (cf. Sir. 3:24). διαπαρατριβαί** (a “heightened form of παρατριβή‘irritation, friction’ ” [BAGD]; occurring only here in the NT and extrabiblical literature, while παρατριβή is found elsewhere) means “mutual or constant irritations or frictions” (there is debate as to whether δια- implies “mutual” or “thorough”).
The first two of these terms (φθόνος and ἔρις) occur together 3x in Paul, twice in vice lists (Rom. 1:29; Gal. 5:20–21; not in a vice list: Phil. 1:15). The third, βλασφημίαι, occurs elsewhere in vice lists, indeed only in vice lists in Paul, but of the three occurrences (here and Eph. 4:31; Col. 3:8) only this list also contains the first two terms. The last two terms do not occur elsewhere in Paul (or the NT). If there is an intentional pattern to this list, it may be something close to an alteration between inward thoughts and attitudes (φθόνος, ὑπόνοιαι πονηραί) and outward expression in words and actions (ἔρις, βλασφημίαι, διαπαρατριβαί).
The reason that these people have such characteristics is identified in the first two of the three participial clauses modifying ἀνθρώπων. διεφθαρμένων is from διαφθείρω, which generally means “spoil” or “destroy,” and here in the moral sense “ruin” or “corrupt.” Its perfect tense emphasizes the settled condition of being “corrupt in mind.” In 2 Cor. 4:4 Paul explicitly says that “the god of this world has blinded the minds of the unbelieving”; the passive here also has the devil in view. That which has been corrupted is ὁ νοῦς, “the mind,” here used of one’s “ ‘attitude, way of thinking’ as the sum total of the whole mental and moral state of being” (BAGD s.v. 3a; J. Behm, TDNT IV, 948ff.: “inner orientation or moral attitude”; cf. Ridderbos, Paul, 117–19).
Paul joins (καί) to the preceding the participial clause ἀπεστερημένων τῆς ἀληθείας. ἀποστερέω means generally “steal” or “rob”; here the perfect passive means “deprived” or “robbed.” ἀλήθεια (see 2:4; 3:15), “truth,” is used here as elsewhere in the NT “esp. of the content of Christianity as the absolute truth” (BAGD s.v. 2b). As in the previous clause, the perfect tense emphasizes the settled condition and the passive voice indicates that another, “the god of this world,” has brought about this condition.
In conclusion Paul returns to the attitude of the false teachers and what they seek to gain by their εὐσέβεια. Another genitive participial clause qualifies ἀνθρώπων and voices what these people “think.” They think εὐσέβεια (see 2:2; 3:16; 4:7, 8; used here as in 2 Tim. 3:5a), “religion,” is (a means of) “gain” (πορισμόν,** also in v. 6; cf. Wisdom 13:19; 14:2). Paul elsewhere warns against money being a controlling factor in a church leader’s life (3:3, 8; Tit. 1:7) and denies that he ministers for such a reason (1 Thes. 2:5). When he speaks in Tit. 1:11 of false teachers teaching “for the sake of sordid gain” (cf. Jude 11), he provides his own commentary on this statement. ἀφίστασο ἀπὸ τῶν τοιούτων should not be considered part of the original text for the reasons given by B. M. Metzger, Textual Commentary, ad loc.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PE Pastoral Epistles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NEB New English Bible
NIDNTT C. Brown, ed.,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I–III. Grand Rapids, 1975–78.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TEV Today’s English Version (Good News Bible)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r. G. W. Bromiley, I–X. Grand Rapids, 1964–76.
BAGD W. Bau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W. F. Arndt and F. W. Gingrich. 2nd ed. rev. and augmented by F. W. Gingrich and F. W. Danker from Bauer’s 5th ed. (1958), Chicago, 1979.
** all occurrences of the word or phrase in the New Testament are listed or it is identified as a New Testament hapax legomenon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250–25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