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0 rwhen he comes on sthat day tto be glorified in his saints, and to be marveled at among all who have believed, because our utestimony to you vwas believed. 11 To this end we walways pray for you, that our God may xmake you worthy of his calling and may fulfill every resolve for good and every ywork of faith by his power, 12 so that the name of our Lord Jesus zmay be glorified in you, and you in him, according to the grace of our God and the Lord Jesus Christ.
r See 1 Thess. 1:10
s See 1 Cor. 3:13
t Ps. 89:7 (Gk.); Isa. 49:3; John 17:10
u [1 Cor. 1:6]
v [1 Thess. 2:1, 13; 1 Tim. 3:16]
w Col. 1:9
x [ver. 5]
y 1 Thess. 1:3
z [Isa. 66:5; Acts 13:4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후 1:10–12.
10 그 날에 그가 강림하사 그의 성도들에게서 영광을 받으시고 모든 믿는 자들에게서 놀랍게 여김을 얻으시리니 이는 (우리의 증거가 너희에게 믿어졌음이라)
11 이러므로 우리도 항상 너희를 위하여 기도함은 우리 하나님이 너희를 그 부르심에 합당한 자로 여기시고 모든 선을 기뻐함과 믿음의 역사를 능력으로 이루게 하시고
12 우리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대로 우리 주 예수의 이름이 너희 가운데서 영광을 받으시고 너희도 그 안에서 영광을 받게 하려 함이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후 1:10–12.
10절) ‘그 날에 그가 강림하사’, 직역하면 ‘그가 그 날에 강림하실 때에’이다. 그 날은 하나님께서 정하신 공의의 심판이 행해지는 날이다. 구약에서는 여호와의 날, 심판의 날로 정관사가 쓰인 것에서 알수 있듯이 하나님의 작정속에 이미 정해져 있는 바로 그 날이다.
앞선 내용에서 바로 그 날에 믿는 자들에게는 안식으로 갚으시고, 불신자들에게는 형벌을 내리신다. 그 날에 이런 심판과 나뉨이 있을 때에 그분께서 그의 성도들에게 영광을 받으시고 모든 믿는 자들에게 놀랍게 여기심을 얻으시게 된다. 바로 이 성도들과 모든 믿는 자들에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포함되어 있다. 왜냐하면 바울의 일행의 증거를 그들이 믿었기 때문이다.
‘영광을 받으시고’라고 번역된 ‘엔독사스데나이’의 원형 ‘엔독사조’는 ‘영화롭게 하다, 찬미하다, 본성이나 속성이 긍정적으로 인식되거나 인정되고 평가받다’라는 의미로 매우 중요한 표현인데 신약에서 본장의 10절과 12절에 단 번 사용된다. 이것은 ‘~하게 하다’라는 접두사 ‘엔’과 ‘영광 돌리다, 찬양하다’라는 의미의 ‘독사조’라는 표현의 합성어이다.
재림시의 성도들의 어떤 모습이 주님께 영광이 되어지는 것인가?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성도들의 구속이 완성될 것인데 성도들의 구원의 완성의 모습이 그리스도께 영광이 될 것이다. 말하자면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셔야 우리의 구원이 완성될 것이고 그래야만 그분께 영광을 돌릴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도 주님께서 주도권을 가지고 계신 것이다.
‘모든 믿는 자들에게서 놀랍게 여김을 얻으시리니’, ‘다우마스데나이’는 비범하고 기이한 일에 대하여 놀라움을 표하는 것을 의미하는 ‘다우마조’의 부정사 수동태이다. 예수님의 재림시에 그분의 영광을 바라보는 성도들은 전에는 감추어졌던 그리스도의 영광을 분명하게 바라보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경탄해 마지 않을 것이다. 너무나 아름다운 광경을 바라보면 말문이 막히는 것처럼 그 날에 그분의 영광을 바라보게 될때 우리들은 그 모습에 경탄하게 될 것이다.
‘우리의 증거가 너희에게 믿어졌음이라’, 한글 번역은 해당 부분을 괄호 처리하고 있다. 원문상에는 괄호가 없다. 본문은 앞선 ‘믿는 자’를 부연 설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예수의 재림 때에 놀랍게 여기게 되는 모든 믿는 자들 속에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말하기 위해서 본문을 삽입한 것이다. 이는 우리의 증거를 믿은 너희들,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그 놀라움에 함께 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NIV는 이를 'This includes you, because you believed our testimony to you.’, 이 믿는 자들은 너희를 포함한다. 왜냐하면 우리의 증거를 너희가 믿었기 때문이다.’라고 번역하고 있다. 이 바울의 증거는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큰 위로가 되었을 것이다. 비록 지금은 핍박과 환난, 재림에 대한 잘못된 가르침으로 인한 혼란 속에 있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때에 그 영광에 동참하게 될 것이라는 약속은 현재 환난을 극복하고도 남을만한 힘이 되었을 것이다.
- 1:10 Having dealt with the punishment threatening those who refuse to acknowledge God and who disobey the gospel of the Lord Jesus, among whom are numbered the persecutors of the Thessalonian community, Paul returns to the theme of v. 7b, the parousia of Christ, with ὅταν ἔλθῃ (“when he comes”). Paul does so because the day of the Lord’s coming will be the day of judgment when sentence will be passed and executed against the opponents of God and God’s people. V. 10 emphasizes the identification of the Christian community with the coming Lord on the day of judgment and salvation without elaborating on the reward to be received by the followers of Christ for their faithfulness. Just as Paul is elusive about the nature of the vengeance to be inflicted by the Lord Jesus, he is also elusive about the nature of the reward to be bestowed.
Both of the two parallel infinitival purpose clauses, ἐνδοξασθῆναι ἐν τοῖς ἁγίοις αὐτοῦ (“to be glorified in the presence of his saints”) and θαυμασθῆναι ἐν πᾶσιν τοῖς πιστεύσασιν (“to be wondered at in the presence of all those who have believed”), are probably derived from OT texts. Here they are used to express the purpose of the Lord’s coming on the day of judgment, a purpose differing radically depending on whether one is a member of the faithful people of the Lord or an enemy of God.
The first clause was almost certainly constructed from the LXX version of Ps. 88:6 (89:7), which speaks of God ἐνδοξαζόμενος ἐν βουλῇ ἁγίων (“being glorified in the council of the saints”), since the combination of the rare compound form ἐνδοξάζεσθαι and ἁγίος only occurs here and in 2 Thes. 1:10 of the Christian Bible. Originally in Ps. 88:6 the βουλὴ ἁγίων referred to the angelic council (or at an even earlier stage to the gods of the nations around Israel, who are called the sons of God in Ps. 82:6f.). Like the people of Qumran, who referred to themselves, along with the angels, as the holy ones, Paul uses ἅγιοι (“holy ones” or “saints”) of both Christians and angels (cf. 1 Thes. 3:13; 1 Cor. 1:2). Here it denotes the people of God rather than the angels, as the corresponding term, τοῖς πιστεύσασιν (“those who have believed”), in the second part of the verse reveals.
Aus (Comfort, 99) urges that the infinitives ἐνδοξασθῆναι and θαυμασθῆναι in v. 10 be given causal translations like “to show Himself [sic] glorious” and “to show Himself [sic] wonderful/marvelous.” He bases this on the fact that the LXX often understands “δοξάζεσθαι in light of the Hebrew niphal construction not as a true passive but simply as intransitive or causative.” This would make good sense in the context. However, since Aus fails to explain how Paul’s Greek-speaking Thessalonian converts would have known to understand the two infinitives in a causal sense, this suggestion must be rejected.
The compound form ἐνδοξάζεσθαι, found only here in the NT, means “to be glorified or honored,” but a proper understanding of it in v. 10 depend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positional phrase ἐν τοῖς ἁγίοις αὐτοῦ. The preposition ἐν (“in”) can be viewed as instrumental, giving the meaning “by or through his saints”; as causal, leading to the translation “because of his saints” (so Frame, 237); or as locative, in the sense that the glory of Christ will be mirrored in the lives of his saints (so Morris, 207) or in the sense that his glorification will occur “in the presence of his saints.” This last sense agrees with the meaning of ἐν in Ps. 88:6 (LXX), but more importantly it counterbalances the physical exclusion of the persecutors of the Thessalonian community from the presence of the Lord and his mighty glory when he comes (v. 9) by making clear that the Lord will be present in the midst of the community of his saints and that they will share in his glory. This interpretation seems to leave unanswered the question of who will glorify Christ, but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one important theme in the eschatological thought of Paul and other early Christians was that the enemies of Christ would ultimately be forced to honor or glorify him (cf. Phil. 2:10f.). If this thought lies behind v. 10, it makes the glorification of Christ in the midst of his saints by their persecutors an ironic reversal in which the Thessalonians will be vindicated by their very enemies. Although this interpretation would make good sense of v. 10, it reads rather more into the passage than can be determined from what is actually written.
The second purpose clause of v. 10 may have been derived from the LXX text of Ps. 67:36 (68:35), where θαυμαστὸς ὁ θεὸς ἐν τοῖς ἁγίοις αὐτοῦ (“God will be marveled at in the presence of his saints”) appears, or perhaps from the LXX of Ps. 88:6 (89:5) through a compression and paraphrasing of the synonymous parallelism of the text, which includes a reference to τὰ θαυμάσια (“the wondrous deeds”) of the Lord and to the ἐκκλησίᾳ ἁγίων (“congregation of the saints”). Whatever may be the case in this matter, this second purpose clause must be understood in the same general way as the first one. Just as v. 9 has a wider group in mind than the persecutors of the Thessalonians, so πᾶσιν τοῖς πιστεύσασιν (“all those who have believed”) in v. 10 includes all Christians who come to faith in Christ. The aorist tense of the participle πιστεύσασιν is somewhat surprising. The present tense would seem more appropriate, but the participle probably has in view the actual coming to faith of Christians, which is antecedent to the coming of Christ as Lord.
The ὅτι clause that follows is a parenthetical remark evoked by the reference to faith in the preceding phrase. Best (266) observes that it is “the kind of thing which takes place so easily in dictation or in the revision of the copy.” For example, 1 Cor. 1:6 provides a close parallel when Paul interjects the words καθὼς τὸ μαρτύριον τοῦ Χριστοῦ ἐβεβαιώθη ἐν ὑμῖν (“just as the testimony of Christ was established among you”) into his opening thanksgiving. But with Aus (Comfort, 101f.) we can go further than this. If 2 Thessalonians were a carefully composed pseudonymous letter based on 1 Thessalonians, as is increasingly maintained, such an awkward parenthesis would be inexplicable, a point that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from those denying Pauline authorship.
The interruption of the flow of v. 10 by the insertion of this parenthetical remark about the origins of the Thessalonians’ faith was probably intended to personalize the preceding statements to the situation of the Thessalonians. μαρτύριον (“testimony”) broadly takes in the whole preaching and teaching activity of Paul and his colleagues. It is followed by the subjective genitive ἡμῶν (“our”) in correspondence with such Pauline expressions as “our gospel” (cf. 1 Thes. 1:5; 2 Cor. 4:3) and “my gospel” (cf. Rom. 2:16; 16:25). The content of the testimony directed toward the Thessalonians concerned Christ, as 1 Cor. 1:6 indicates, and was the basis of their faith. By this parenthetical remark Paul connects his readers with the saints, those who have believed in Christ, in whose presence Christ will stand on the day of judgment as their redeemer (cf. 1 Thes. 1:10) and vindicator.
The final words of the verse, ἐν τῇ ἡμέρᾳ ἐκείνῃ (“on that day”), clearly referring to the coming day of the Lord (cf. 1 Thes. 5:2 and Is. 2:10f., 19f.), are separated from the rest of the temporal clause by the parenthetical clause and are unnecessary for the thought of the text. This suggests that Paul was working with pre-formed material into which he inserted his personalizing comment. This possibility is made the more likely by several other factors. (1) Vv. 7b–10 exhibit an inordinately high number of references to a variety of LXX texts without any formal citations. The common denominator between most of the references is the theme of divine judgment, showing that a conscious attempt was made to formulate a statement about divine judgment based on the OT. (2) A sudden change occurs in vv. 7b–10 as the second person pronouns and verbs predominating in vv. 3–7a and vv. 11f. cease except for Paul’s parenthetical remark in v. 10 where he personalizes the depiction of the judgment in vv. 7b–10 for the readers. (3) The reference to those not knowing God and not obeying the gospel in v. 9 introduces a new and unexpected description of the Thessalonians’ persecutors. (4) The repeated use of synonymous parallelism in vv. 7b–10 is not typical of Paul’s normal epistolary style. This evidence argues forcefully that the material in vv. 7b–10 existed prior to its inclusion in 2 Thessalonians 1 (cf. Best, 266f.), though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in what form it originally existed or whether it originated with Paul. Paul introduced this material into 2 Thessalonians because it addressed one of the major questions troubling the recipients of his letter in their time of persecution and affliction, namely, the question of God’s justice. In conjunction with vv. 5–7a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e character of God’s righteous judgment for the Thessalonian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229–232.
11-12절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향한 첫번째 중보기도이다. 우리(바울, 실라, 디모데)가 데살로니가 교회를 위해서 항상 기도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들의 중보기도의 초점은 다가올 영광의 날에 맞춰져 있었다.
11절) 기도의 첫번째 내용은 ‘우리 하나님이 너희를 그 부르심에 합당한 자로 여기시고’이다. 본문의 내용은 ‘히나’ 가정법으로 시작된다. 기도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내용이 두 절에 걸쳐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 부르심’은 하나님이 성자의 구속을 기초로하여 성령을 통해 죄인들을 부르시는 부르심이다. 그 부르심은 그리스도의 구속의 은혜를 기초로 이루어지는 무조건적인 부름이지만 분명한 목적을 가진 부르심이다. 의로움과 영화로움(롬 8:30), 그리고 하나님의 나라와 그 영광에 이르게하심(살전 2:12)이 바로 그 목적이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죄인된 우리를 처음 부르실 때 우리의 상태는 부르심의 목적과는 너무나 동떨어져 있다.(갈 1:13-15) 이는 우리를 향한 부르심이 우리 자신이 그에 부합하고 합당해서가 아니라 그분의 은혜로 그렇게 여기심을 받게 해달라는 것이다. 그 부름은 ‘클레시스’로 ‘어떤 것에 참여하거나 출석하거나 관여하도록 하는 권위가 있는 부름’을 의미한다. 자격이 없는 우리를 불러주셨고 우리를 합당한 자로 여겨주셨기에 우리가 그 앞에 설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로 인해서 우리는 그 영광스러움에 동참할 수 있게 된다.
‘모든 선을 기뻐함과 믿음의 역사를 능력으로 이루게 하시고’, 이는 바울의 중보기도의 두번째 내용으로 모든 선을 기뻐하고 믿음의 역사를 이루는 표면적 주체는 일차적으로 믿는 자들, 성도들이지만 이를 가능하게 하시는 이면적, 근본적인 주체는 바로 하나님이시다. ‘이루게 하시고’로 번역된 ‘플레로세’의 원형 ‘플레로오’는 본래 그릇에 물이 가득 차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본문에서는 ‘목적한 바를 완전하게 성취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하나님께서는 이러한 성취를 ‘엔 뒤나메이’, 능력으로 이루신다.
‘선’은 하나님께서 성도를 부르신 직후부터 그 마음속에 소원으로 주신 것이다.(엡 2:10) 본질상 진노의 자녀로 살던 성도는(엡 2:3) 성령으로 거듭난 이후 하나님의 능력안에서 심령으로 그 선한 것을 이루고자 하는 하나님의 목적을 이루어가게 된다. ‘믿음의 역사’는 앞선 살전 1:3에도 등장하는데 그를 부르시고 구원을 완성시키실 하나님에 대한 전적 신뢰를 바탕으로 우리의 실생활 속의 모든 외적 행위를 말한다.
바울은 성도들의 삶속에 모든 선을 기뻐하고 믿음의 역사를 능력으로 이룰 수 있게 해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하고 있는 것이다. 선을 기뻐함과 믿음의 역사는 하나님의 능력이 함께 하실 때에 가능한 것이다.
12절) ‘우리 주 예수의 이름이 너희 가운데서 영광을 받으시고’, 이는 바울의 중보기도의 세번째 내용이다. 앞서 10절에서 그 날에 주님의 재림하심으로 성도들에게서 영광을 받으시고 라고 말한 바울은 이제 ’주 예수의 이름이’ 영광을 받으시기를 기도하고 있다. 히브리인들에게 이름은 그 사람의 인격 전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영광은 부르심을 받은 자들이 그 부르심의 목적에 합당하게 살아갈 때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너희도 그 안에서 영광을 받게 하려 함이라, 바울의 중보기도 네번째내용이다. 주 예수 그리스도만 영광을 받으시는 것이 아니라 성도들 역시 영광을 받는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그 영광이 서로 상대방 안에서 나타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우리의 삶을 통해서 주 예수의 이름이 영광을 받으시는 것이고, 우리들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영광을 받게 되는 것이다.
요한복음 15:5
5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라 그가 내 안에, 내가 그 안에 거하면 사람이 열매를 많이 맺나니 나를 떠나서는 너희가 아무 것도 할 수 없음이라
내가 그리스도 안에 거할 때, 그분이 내 안에 거할 때 우리는 열매를 맺게 되는 것이고 영광을 드러내는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삶은 우리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되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수고와 능력으로 예수의 재림시에 영광을 받게 될것으로 착각한다. 하지만 오직 그 날에 나타나는 영광이 인간의 공로를 따라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주어지는 것이라면 우리가 자랑할 것은 없다. 그렇기에 우리가 그 은혜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게 되고 그 영광에 참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울은 경건한 종말에 대한 인식, 종말 신앙을 가짐으로 부르심에 합당한 삶을 살라고, 믿음의 역사를 이루는 삶을 살라고 격려하고 있다. 하나님의 부르심과 그분의 은혜를 힘입으면서 동시에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 것을 요청하고 있다.
'성경묵상 > 데살로니가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전 2:3-4 불법의 사람 (0) | 2022.07.08 |
---|---|
살후 2:1-2절 주의 날에 대한 잘못된 가르침 (0) | 2022.06.23 |
살후 1장 6-9절 하나님의 심판의 원칙 (0) | 2022.06.21 |
살후 1:5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자 (0) | 2022.06.16 |
살후 1:3-4 바울의 감사와 자랑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