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3 gEpaphras, my hfellow prisoner in Christ Jesus, sends greetings to you, 24 and so do iMark, iAristarchus, jDemas, and jLuke, my fellow workers. 
25 kThe grace of the Lord Jesus Christ be with your spirit. 
gSee Col. 1:7
hRom. 16:7
iSee Col. 4:10
iSee Col. 4:10
jSee Col. 4:14; 2 Tim. 4:10, 11
jSee Col. 4:14; 2 Tim. 4:10, 11
kSee Gal. 6:1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몬 23–25.

23절) 에바브라는 골로새 교회의 빌레몬의 친구중의 하나로 그 도시에 하나님께서 교회를 세우는데 사용한 인물이다(골 1:7; 4:12). 그는 지금 바울과 함께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로마 감옥에 갇혀 있다. 

24절) 바울은 이어 동역자인 마가, 아리스다고, 데마와 누가의 이름을 들면서 이들이 함께 문안 하고 있다. 
  • Mark, Aristarchus, Demas, and Lukeare also named in Col. 4:10, 14. For Mark, see Acts 12:12. For Aristarchus, see Acts 19:29. Luke is almost certainly the one who authored the Gospel of Luke as well as Acts (see also Col. 4:14; 2 Tim. 4:11). Luke was apparently with Paul throughout his two-year imprisonment in Caesarea and then in his two-year Roman imprisonment. Lamentably, Demas later followed worldly pursuits and deserted Paul (2 Tim. 4:10).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56.

25절) 바울은 마지막 인사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 심령과 함께 있기를 바란다라고 기도한다. 은혜는 이 서신의 괄호와 같다. 바울은 빌레몬이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에게 허락하신 은혜를 오니세모에게 끼치기를 기대하고 있다. 나아가 바울은 모든 교회가 하나님의 은혜로 기름부어지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 grace.Brackets this letter. Paul expects Philemon to extend the same grace to Onesimus that the “Lord Jesus Christ” extended to him (v. 3). your spirit.Plural; Paul expects the spirit of the whole church to be infused with divine graciousness.
  •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488.


  • Typically, Paul’s last word to his readers reminds them of the availability of the grace of the Lord Jesus Christ:living within Christ’s lordship will enable his disciples, especially Philemon, to respond to the apostle’s advice (see commentary on Col 4:23). Martin adds that this prayer is a “liturgical grace that situates the letter in the house congregation at worship” (1991:145), reminding current readers that all Paul’s writings are for nurturing the worshiping community.
  • Paul often adds the phrase with your spiritto his benediction (compare Gal 6:18; Phil 4:23; also 2 Tim 4:22). Not just a fuller but equivalent expression of “with you,” this concluding phrase suggests the collaboration of Christ’s Spirit, who mediates his grace, with Philemon’s human spirit, which receives it and applies it to life (Wall 1979:128–44). Such an image lies at the very core of Paul’s participatory Christology: God’s salvation-creating grace transforms the believer who actively collaborates with Christ in the ongoing work of God.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몬 25.


오네시모의 실수는 도리어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의 기회가 되었다. 일시적인 손실이 영원한 이득, 구원으로 이어지는 사건을 보게 된다. 우리는 빌레몬서를 읽으면서 구약의 요셉의 이야기를 떠올릴 수 있다. 요셉은 그의 형제들이 그를 배신하여 애굽의 노예로 팔아 넘겼을때 하나님의 주권적인 구원하심의 섭리를 모두 이해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그의 인생의 마지막에 그는 이 모든 것이 하나님의 구원을 위한 것이라고 고백한다.(창 45:7; 50:20)
(창 45:7, 개정) 『하나님이 큰 구원으로 당신들의 생명을 보존하고 당신들의 후손을 세상에 두시려고 나를 당신들보다 먼저 보내셨나니』
(창 50:20, 개정) 『당신들은 나를 해하려 하였으나 하나님은 그것을 선으로 바꾸사 오늘과 같이 많은 백성의 생명을 구원하게 하시려 하셨나니』
우리는 여기 오네시모의 이야기속에서 신비로운 하나님의 섭리를 볼 수 있다. 우리는 어떻게 오네시모가 바울을 만나서 그의 도망이 선한 역사를 이루게 했는지를 알 수 없다. 우리는 오직 여기서 신적 수동태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15절) 바울은 그가 잠시 떠나게 된 것, 도망간 것이 하나님의 섭리안에 있다고 믿은 것이다. 오네시모는 빌레몬에게서 도망하여 하나님의 은혜의 장중으로 들어간 것이다. 이후 그는 하나님의 섭리, 그분의 시선에서 도망칠 수 없었다. 우리는 우리 인생의 굴곡을 펼 수 없지만 하나님께서는 하실 수 있다. 하나님은 악을 선으로 바꾸시고 깨어진 삶과 관계를 회복시키실 수 있다. 당시의 문화속에서 오네시모는 죽어 마땅한 종에 불과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그에게서 더 나은 다른 것을 보셨다. 
하나님께서는 이 인생 역전의 드라마를 당신의 사람들을 통해서 이루어 가셨다. 주인을 통해 도망간 오네시모, 그는 바울을 만나 구원을 받고 다시 옛 주인 빌레몬에게 보내진다. 바울은 빌레몬에게 이제 더이상 그를 종이 아니라 주안에서 사랑하는 형제요 동역자로 여길 것을 요청한다. 이처럼 우리는 우리의 삶의 현재 가운데서는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우리의 삶을 되돌아볼때 하나님의 손길을 깨닫게 된다. 이 편지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우리의 가장 어두운 순간, 깊은 절망, 가장 두려운 불순종도 하나님의 목적 안에서 어떤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큰 그림 속의 일부이다. 하지만 우리는 전체를 보지 못하고 우리 개인의 영역만을 바라보는 것이 문제이다. 
  • In the story of Onesimus we can see the mysterious providence of God at work. We will never know how Onesimus eventually met Paul after making good his escape. We can only know from the use of the passive voice, “he was separated from you” (v. 16), that Paul believed that God’s hand was in what had happened. The escapade turned out differently than any might have expected, in that Onesimus ultimately escaped into the arms of God’s grace. He could not escape God’s eye on him. We cannot straighten the lines of our crooked paths in life, but God can. God can take our worst intentions and turn them around for good, healing broken lives and broken relationships. In Onesimus’s culture, others could only see a slave, a useless slave, and worse a runaway slave. God saw more and purposed greater things for him.
  • Everything turns out differently from what was foreseen by either master or slave. God was using this escape to bring Onesimus to Paul.175Paul sends him back to his master as a brother who, he trusts, will send him forth as a coworker in the gospel. We usually can only see the traces of God’s hand in our lives in retrospect. The story behind the letter can help us see that even our darkest moments, deepest despair, and most dreadful disobedience can have some meaning in God’s purposes. We are all part of some great tapestry, but usually we can only make out the individual threads.
  • 175The “perhaps” in verse 15 reveals the input of human freedom in this process. God’s purposes are accomplished through the agency of humans. Paul could have spurned this runaway slave; instead, he “begot” him in the faith (v. 11; niv, “who became my son”). Philemon is free to balk at Paul’s request, but Paul trusts that God’s purposes for both will prevail.
  •  David E. Garland, Colossians and Philemon,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8), 375.


728x90
13 I would have been glad to keep him with me, in order that he might serve me son your behalf tduring my imprisonment for the gospel, 14 but I preferred to do nothing without your consent in order that your goodness might not be uby compulsion but of your own accord. 15 For this perhaps is why vhe was parted from you for a while, that you might have him back forever, 16 wno longer as a bondservant3but more than a bondservant, as xa beloved brother—especially to me, but how much more to you, yboth in the flesh and in the Lord. 
sSee 1 Cor. 16:17
tver. 10; See Phil. 1:7
u[2 Cor. 9:7; 1 Pet. 5:2]
v[Gen. 45:5, 8]
wSee 1 Cor. 7:22
3For the contextual rendering of the Greek word doulos, see Preface twice in this verse
xMatt. 23:8; Col. 4:9; 1 Tim. 6:2
yCol. 3:22, 23; [Eph. 6:5]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Phm 13–16.

바울은 오네시모가 두가지 측면에 있어서 빌레몬에게 유익하다라고 말한다. 첫째는 감옥에 있는 바울의 필요를 빌레몬 대신해서 오네시모가 효과적으로 섬긴다는 것이고, 둘째는 오네시모가 주안에서 그의 형제로서 그리고 교회 안에 함께 할 동역자로서 빌레몬의 영적인 성장을 위해서 효과적인 자극, 동기부여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 Against this religious background, Paul describes Onesimus’s twofold usefulness to Philemon: first, he has been Philemon’s effective substitute in serving Paul’s needs in prison (vv. 12–13), and second, he will be an effective stimulus to Philemon’s spiritual growth as his brother in Christ and his partner in the life of the congregation (vv. 14–17). Both benefits are finally understood and appreciated in terms of Paul’s paternal and patronal relationship with his two spiritual “sons” and clients; both benefits intend to redefine Philemon’s relationship with Onesimus so that Philemon will see Paul’s request for their rapprochement (and no doubt for Onesimus’s manumission) as in his best interests. In fact, once this particular slave-owner relationship is skillfully redefined by Paul, Onesimus’s newly perceived usefulness to Philemon may be rewarded with manumission on more common grounds: a slave’s effective service to his master.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Phm 12.

빌레몬서의 중요성은 당시의 종과 노예의 관계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라는데 있다. 오늘날 주인과 노예의 관계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당시 로마시대 노예가 아주 일반적인 존재였고 주인의 재산의 일부였던 것으로 치부되던 시기에 바울은 주안에서 남녀노소, 빈부귀천이 없음을, 모두가 주안에서 한 가족임을 선포하고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하나님의 은혜가 이 시대의 모든 관계를 새롭게 정렬했음을 알려조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성경은, 기독교 신앙은 시대 변혁적인 정신이다. 복음이 전해질때 구 체제의 잘못된 관행들은 새롭게 정렬되고, 어둠이 물러가게 되는 것이다. 19세기 여성인권이나 노예 문제, 20세기의 인권과 낙태반대 운동에는 기독교적 가치와 가르침이 그 근간에 위치한다. 그렇기에 어떤 이들은 빌레몬의 정경성을 의심하기도 하지만 신약성경의 바울 서신에 이 빌레몬서를 통해서 바울의 이러한 가르침이 구체적으로 강력하게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 내용을 선포하고 가르쳐야만 한다. 이를 통해서 그리스도인의 제자도는 개인과 공공의 실천에 있음을 강조해야만 한다. 
  • The biblical story of Philemon and Onesimus tells its current hearers that our common status in Christ is more than simply a spiritual or eschatological reality. When Paul writes that there is neither a slave nor a master class in Christ, since all are equal (see commentary on Col 3:11), he is articulating a principle that is sociological as well as christological (compare Gal 3:28; Eph 2:11–22). While the social dimension of the gospel should not replace the call to a saving relationship with the Lord, we must understand that God’s grace rearranges the various conventions and hierarchies that order society’s status quo (that is, “the present evil age”; see Rom 12:2; Gal 1:4). Biblical believers, then, are not surprised that the great majority of the social-transformative movements, such as the nineteenth-century women’s suffrage and abolitionist movements and the twentieth-century human rights and prolife movements, are deeply rooted in Christian teaching and indebted to the work of faithful Christians (see Dayton 1990). In my view, the importance of Philemon within the New Testament collection of Pauline letters is that it provides a concrete illustration of this important element of Pauline teaching. So we need to preach and teach Philemon, to remind each other that Christian discipleship includes both a personal and a public praxis.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Phm 12.

13절) 바울은 오네시모를 자신의 곁에 머물게 하기를 원했다. 왜냐하면 그는 지금 로마의 감옥에 갇혀있었고 여러가지로 도움의 손길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레서 빌레몬 대신에 나, 바울을 섬기게 하기를 원했다. 
당시 빌레몬보다 바울에게 오네시모가 더 필요한 존재였다. 그래서 오네시모를 곁에 두고 싶었지만 자기중심적인 이기적인 결정을 하지 않고 오네시모를 빌레몬에게 돌려보내는 결정을 하고 있는 것이다. 신앙의 성숙은 이처럼 자기 중심성의 극복과 비례한다. 이기적인, 자기중심적인 욕구는 매우 일반적인 것이다. 하지만 신앙의 성숙이 이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나 자신보다 남을 더 낫게 여기는 태도야말로 성숙한 신앙이라고 할 수 있다. 

14절) 바울은 빌레몬에게 이 선한일을 행함에 있어서 이것이 억지로가 아니라  자원해서 행할 수 있기를 바람으로 지금 빌레몬에게 허락을 구하고 있다. 
아마도 바울이 빌레몬에게 강제적으로 요청하고 명령할 수도 있었지만 일을 매끄럽게 처리하기 위해서 빌레몬이 명예롭게 이 일을 처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있는것이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노예 해방을 요청하는 것이지만 더 나아가서 주안에서의 하나됨, 화해를 요청하는 것이다. 

15절) 오네시모가 빌레몬을 잠시 떠나게 된 것은 빌레몬으로 하여금 오네시모를 영원히 두게하려는 하나님의 경륜이었다. 
바울은 지금 신적 수동태의 형식으로 이 사건을 설명한다. 이는 구약의 요셉이 그의 형제들로부터 배신을 당한 사건을 상기시킨다. 이로 말미암아 요셉은 애굽으로 팔려가 수많은 고초를 당한다. 하지만 그이후에 요셉은 자신의 형제들에게 나를 여기로 보낸 것은 당신들, 형들이 아니라 하나님이시다라고 고백한다. 마찬가지로 오네시모가 주인을 배신하고 도망간 것이 그와 같은 배경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 why he was parted from you. The Greek verb is passive, without indicating any agent of the action explicitly expressed. It is best seen as a “divine passive,” where God is understood to be sovereignly behind the events. It is thus reminiscent of Joseph’s betrayal by his brothers, which resulted in his long sojourn in Egypt. After Joseph reveals himself to his brothers, he remarks, “it was not you who sent me here, but God” (Gen. 45:8).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56.

  •  In light of his concern for Philemon’s honor, Paul’s anticipation of the spiritual aftermath of Onesimus’s manumission transforms the conventional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numitted slave and his former master. Yet even before describing this new perception in verses 16 and 17, Paul mentions that Philemon’s choice must be pressure-free and made in the awareness that his separation from Onesimus was short-term and not permanent (v. 15). While the meaning of the phrase he was separated from youremains contested among scholars, many now take it as a reference to the outworking of God’s will rather than to Onesimus’s fugitive status. The verbal voice is passive, implying that something or someone besides Onesimus is responsible for Onesimus’s action. (O’Brien calls this a “divine passive” because it suggests the working out of God’s will; 1982:295.) Further, Paul couples this phrase with the adverb perhaps (tacha),which is sometimes used in Jewish literature to introduce a theological exposition. For Paul, Onesimus’s departure provides the setting for the work of God. Thus, Chrysostom’s suggestive comparison of this text with the Old Testament Joseph story about divine providence (Gen 45:4–8; 50:15–21) seems quite right to me (see O’Brien 1982:295; Wright 1986:184–85): in both cases, God’s redemptive purposes are achieved by the act of freeing a slave.
  • Given the importance of allusions to Old Testament types and texts in Paul’s writings (see Hays 1988), Paul may have the Joseph story in mind as he writes his appeal to Philemon. That is, Paul recognizes Onesimus to be a type of the biblical Josep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y well suggest Paul’s principal theological conviction in this case: God’s good intentions for people are often worked out in the redemptive consequences of choices that free brothers make about slave brothers. Of course, in Joseph’s story a bad choice (brothers’ selling another brother into slavery) results in a good end because of divine intervention. In this case, Philemon’s good choice (a “brother” manumitting another “brother” from slavery) would result in a similar end. From God’s perspective, then, Philemon’s favorable decision, which has been shown to make sense in light of Onesimus’s past usefulness to him, would make even more sense when he considers the prospect of a redemptive result.
  • The intriguing comparison between for a little whileand for good (aiōnion,literally “for an eternity”) refers less to a changed social status (although see Harris 1991:266) than to the eternal destiny of both brothers, Philemon and Onesimus, who will share together the salvation of God (so O’Brien 1982:296). Paul’s point is not that our decisions about social conventions bear witness to our convictions about God; rather, our convictions about God ought to prompt our decisions about the social order. Because Philemon trusts that God purposes good ends for God’s people, Paul trusts that he will make a natural, free decision about Onesimus that will result in good.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Phm 14.
하나님께서는 잠시 떠나게 하심을 통해서 영원히 그를 곁에 두게 하실 것을 섭리하시는 분이다. 우리가 이땅에서 당하는 잠시를 통해서 영원이 결정된다면 우리는 이 잠시의 사건에 좀더 주의를 기울이고 노력해야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15절을 읽으면서 출 21장에 안식년에 자유롭게 될 수 있는 종이 그 자유를 포기하고 영원토론 주인에게 속한 종이 되기를 원하는 내용을 연상하게 된다. 
히브리 종을 사면 6년을 섬기고 나서 7년째가 되면 몸값을 물지 않고 자유인이 되게 된다. 하지만 이 권리를 포기하면 자발적인 순종의 표시로 귀를 뚫고 종신토록 상전을 섬기게 된다. 구약에서 하나님과 영원은 매우 중요한 중심 교리이다. 하나님의 백성이 그들의 영원한 하나님에 대한 예배로 성별하여 드리는 예배는 그들의 삶을 통해서 구체화 되어야 한다. 지금 바울은 빌레몬에게 자신의 종에 관해서 하나님을 예배하는 삶으로 구체화 되는 결정을 내릴 것을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16절) 바울은 빌레몬에게 이 후로는 오네시모를 종과 같이 대하지 않고 종 이상으로 곧 사랑하는 형제로 여길 것을 요청한다. 이미 바울에게 오네시모가 그런 사랑받는 형제였다면 빌레몬에게는 육신으로나 주안에서 더욱 그러지 않겠는가? 

  • Christians are no longer to regard others according to human categories (2 Cor 5:16). As brothers and sisters in Christ, Christians share a bond that transcends the legal master-slave relationship (Gal 3:28; Col 3:11). They become slaves to one another through love (Gal 5:13), and that tie lasts beyond death. When a master is expected to treat a slave as a brother in Christ an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apostle Paul (Phlm 17), the institution of slavery is subverted. One can serve Christ as a slave of some earthly master, but Paul does not regard it as a desirable state (1 Cor 7:21).
  •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487.

바울은 빌레몬에게 오네시모를 종이 아니라 형제로, 나아가 함께 동역하는 동역자로 여길 것을 요청하고 있다. 















'성경묵상 > 빌레몬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 23-25 바울의 마지막 인사  (0) 2018.10.05
몬 17-22 바울의 요청  (0) 2018.10.04
몬 8-12 전에는 무익하였으나  (0) 2018.09.28
몬 4-7 빌레몬의 믿음과 사랑  (0) 2018.09.20
몬 1:1-3 갇힌 자 된 바울  (0) 2018.09.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