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eI thankmy God fin all my remembrance of you, always in every prayer of mine for you all makingmy prayer with joy, gbecause of your partnership in the gospel from the first day until now. And I am sureof this, that he who beganha good work in you iwill bring it to completionat jthe day of Jesus Christ. Itis right for me tofeel this way about you all, because I holdyou kin my heart, for you areall lpartakers with me of grace,4both min my imprisonment and in nthe defense and confirmation of the gospel. For oGod is my witness, phow I yearnfor you all with the affection of Christ Jesus. And it is my prayerthat qyour love may aboundmore and more, rwith knowledge and all discernment, 10 so that you may approvewhat is excellent, sand so bepure and blameless tfor the day of Christ, 11 filleduwith the fruit of righteousness that comes vthrough Jesus Christ, wto the glory and praise of God. 
eSee Rom. 1:8
fRom. 1:9; Eph. 1:16; 2 Tim. 1:3
g[ch. 2:12; 4:15; Acts 16:12–40]
h[1 Thess. 1:3]
iPs. 57:2 (Heb.); 138:8; [1 Thess. 5:24]
jSee 1 Cor. 1:8
k2 Cor. 7:3
l[ch. 4:14]
4Or you all have fellowship with me in grace
mActs 20:23; 26:29; Col. 4:18; 2 Tim. 2:9; Philem. 10, 13; See Eph. 3:1
nver. 16
oSee Rom. 1:9; 9:1
p[ch. 4:1; Rom. 1:11; 15:23; 1 Thess. 3:6; 2 Tim. 1:4]
q1 Thess. 3:12; 2 Thess. 1:3
rCol. 1:9; 3:10; Philem. 6
sActs 24:16; 1 Thess. 3:13; 5:23
tver. 6
u[Col. 1:6, 10]; See James 3:18
v[John 15:4, 5]
wSee Eph. 1:12, 14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빌 1:3–11.




3-11절) 빌립보 성도들을 향한 바울의 감사와 기도, 특별히 감사는 3-8절에서 드러나는데 4절은 기쁨, 6절은 확신, 8절은 사모로 드러난다. 
3-8절은 바울의 감사, 9-11절은 간구의 내용이다. 

3-5절) 바울은 빌립보 성도들을 생각할 때마다 하나님께 감사했다. 그리고 그들에 대해 간구할 때마다 기쁨으로 항상 간구했는데 그 이유는 첫날부터 복음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빌립보서의 중요한 주제인 이 기쁨은 복음에 참여하는 것을 통해서 흘러나오는 것인데 이 참여는 사도에 대한 재정적인 후원뿐만 아니라 그의 안녕을 위한 개인적인 깊은 관심을 포함한다. 

5절에서 빌립보 교인들이 복음을 위한 일에 참여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재정적인 지원을 포함한다. 
 Paul rejoices that the Philippians join in the work of the gospel, which includes financially supporting him (4:15). from the first day.When they first accepted the gospel (cf. 4:15).
cf. compare, confer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415.

빌립보서의 기쁨과 기뻐함



6절) 영적 성장의 기초는 우리 안에 선한 일을 시작하신 분이 하나님이시며 그분이 이를 이루실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진정한 영적 성장은 하나님이 이루셨고 이루고 계시고 이룰 것이라는 것에 뿌리를 두고 있다. 
Paul is sureabout God’s commitment to the Philippians. The foundation for spiritual growth is recognizing that it is God who began a good work in youand will bring it to completion. Genuine spiritual progress is rooted in what God has done, is doing, and will do. His faithfulness ensures that he will be with believers until Jesus returns (the day of Jesus Christ; cf. 2:16; 1 Thess. 5:2–11; 2 Pet. 3:10–13; Rev. 20:11–21:8). They can have confidence that the God who has saved them will never let them go, and that they will inherit their eternal reward.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280.

6절은 그리스도 안에서 신자들이 가지는 확신에 대해서 말해준다. 이 확신은 우리 안에 착한 일을 시작하신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날까지 이 착한 일을 이루실 것에 대한 확신이다. 신학적으로 이것을 하나님의 주권이라고 말한다. 이 주권사상이 강조되면 인간의 자유의지가 약화되고 인간의 자유의지가 강조되면 하나님의 주권이 간과되기 쉽다. 하지만 이어지는 내용속에서 바울의 확신은 하나님의 주권이 아무것도 행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가 알고 확신하는 것을 하나님께서 행하실 것에 대한 기도로 이끌고 있다. 우리가 기도하는 것은 이처럼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확신 속에서 그분이 이를 능히 이루고 성취하실 것을 믿는 믿음의 표현이다. 

7절) 복음을 변명함과 확정함, 여기서 변명함은 불신자들의 도전에 대한 바울의 반응이라면 확정함이란 진리안에 있는 신자들로 하여금 좀더 깊은 차원의 복음의 선포라고 할 수 있다. 
바울은 빌립보 교인들이 자신의 매임과 복음을 변명함과 확정함에 함께 은혜에 참여한 자가 되었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는 빌립보 교인들이 갇힌 자된 바울을 돌보았고 복음을 변증하고 선포하는 일에 함께 했다라는 것이다. 이처럼 복음은 변증되어야 하고 또한 확증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인들이 역동적인 신앙 생활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들의 삶가운데 복음이 복음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복음이 복음되기 위해서 그 복음이 일차적으로 선포되어야 하고 그 복음이 확증되어야 한다. 변증을 위해서는 선포하고 가르치고 설득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확증되기 위해서는 삶을 통해서 복음이 능력있게 구현되고 이루어지는 경험이 있어야 한다. 또한 본인이 직접 그 복음을 선포하고 가르치는 과정을 통해서 전하는 자는 복음의 확신을 경험할 수 있다. 

8절) 바울은 자신이 얼마나 빌립보 교회의 성도들을 사모하는지 하나님이 내 증인이시라고 말한다. 그런데 한글 표현에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너희를 사모한다라고 표현한다.  본문에 심장으로 표현된 단어는 ‘스플랑크논’이라는 단어로 애타는 마음, 감정의 자리, 창자, 내부기관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동사로 ‘스플랑크니조마이’는 불쌍히 여기다, 측은히 여기다라는 의미이다. 

NT 1The noun σπλάγχνον(always pl.) occurs 11× in the NT, but eight of the occurrences are found in Paul (incl. 3× in the brief letter to Philemon), and   V 4, p 353  only once in the Gospels (Luke 1:78; it is used in its lit. sense only in Acts 1:18). By contrast, all twelve occurrences of σπλαγχνίζομαιare found in the Synoptic Gospels. In addition, two compounds occur in the NT: εὔσπλαγχνος, “good-hearted, compassionate” (Eph 4:32; 1 Pet 3:8; cf. T. Zeb.9.7), and the previously unattested term πολύσπλαγχνος, “[very] compassionate”] (Jas 5:11, with οἰκτίρμωνG3881).
2The vb. σπλαγχνίζομαιis used with ref. to the attitude of Jesus, but also when describing the actions of key persons at the turning points of some parables. (a)In the former case the meaning goes beyond ordinary feelings of sympathy; rather, it points to the messianic compassion of Jesus (cf. H. Köster in TDNT7:554–55). Thus we read that when Jesus saw the crowds following him, “he had compassion on [περίG4309, lit., ‘about’] them, because they were harassed and helpless, like sheep without a shepherd” (Matt 9:36; in the par. Mark 6:34 and in every other instance the prep. used is ἐπίG2093, “on”). In Matt 14:14 Jesus’ compassion is associated with the healing of the sick (here too Mark 6:34 may be regarded as the par.), and the same is true in Matt 20:34 and in Mark 1:41 (in the latter passage cod. D [supported by some Lat. mss.] has ὀργισθείς, “he became angry,” a reading accepted by NIV 2011 ed. [“was indignant”] in agreement with some commentators). The father of a demon-possessed boy asked Jesus to have compassion (Mark 9:22). In connection with the feeding of the four thousand—a distinctively messianic act reminiscent of the giving of manna (see μάνναG3445 and cf. John 6)—Jesus himself said, “I have compassion for these people; they have already been with me three days and have nothing to eat” (Matt 15:32 par. Mark 8:2). And Luke 7:13 reports that when Jesus saw the widow who had just lost her son, “he had compassion for her and said to her, ‘Do not weep’ ” (NRSV; NIV, “his heart went out to her”).
(b)In the parables of the unforgiving servant (Matt 18:23–35) and the prodigal son (Luke 15:11–32) σπλαγχνίζομαιforms the turning point of each story by expressing the strongest feeling of a merciful (Matt 18:27) or loving (Luke 15:20) reaction over against acts of rejection (Matt 18:34; Luke 15:28; cf. TDNT7:554). In both parables this vb. makes the unbounded mercy of God visible; in the former we see also his deadly and decisive anger against the one who, having experienced mercy, denies the divine act by being unmerciful himself. Then in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Luke 10:30–37) σπλαγχνίζομαι(10:33) expresses the attitude of complete willingness to use all available means for saving at the crucial moment. It contrasts with the actions of those who merely passed by on the other side (10:31–32). The Samaritan’s behavior reflects the mercy (ἔλεοςG1799) that Jesus expects of us (10:37). Humanity and neighborliness (10:36) are not abstract qualities; they involve concrete action. Note in this connection the expression “to shut one’s σπλάγχνα,” used of refusing help to those in need (1 John 3:17).
3In Luke 1:58 (as in T. Zeb.7.3; 8.2; see above, JL 2), the noun σπλάγχναis used with the gen. of ἔλεοςto denote the depth of God’s love (Eng. versions   V 4, p 354  usually render the phrase “tender mercy”). Paul speaks of the σπλάγχναof Christ in Phil 1:8, though here the allusion is to his own affection: “I long for all of you with the compassion of Christ Jesus” (NRSV); the point is that Christ is the source of the love that embraces and lays claim to the apostle’s whole personality (cf. also Phlm 20, “refresh my heart [μου τὰ σπλάγχνα] in Christ”).
Elsewhere Paul uses the term more directly with ref. to the center of a person’s loving action, thus roughly equivalent to heart. In 2 Cor 6:12 he accuses his readers of restricting their love for him, while in 7:15 he says of Titus, “his heart goes out all the more to you” (NRSV; NIV, “his affection for you is all the greater”). The term is used in combination with οἰκτιρμόςG3880 in Phil 2:1 and Col 3:12 to underscore the need for wholehearted compassion among believers.
In Phlm 7 and 20 the refreshing of the σπλάγχναof believers means the refreshing of the whole person; there would be no significant change in meaning if a pers. pronoun had been used instead, but the expression certainly adds pathos to the statements. And when Paul refers to Onesimus as τὰ ἐμὰ σπλάγχνα(v. 12), he emphasizes the strong bond between them (NIV, “who is my very heart”). That the word is used three times in this short letter shows Paul’s inner participation and personal concern.
 Moisés Silva,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Grand Rapids, MI: Zondervan, 2014), 352–354.

9-11절) 바울의 기도에서 그의 첫번째 간구는 하나님이 기독교의 미덕중 가장 중요한 사랑이 점점 더 더해지고 이에 지식과 모든 총명이 함께 할 것을, 그래서 빌립보 교인들의 사랑이 다른 이들에게 도움이 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림으로 지혜로운 행동으로 표현되기를 구하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를 따른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깨달아갈 수록 점점더 위대한 것을 행하고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하나님께 대한 기쁨의 순종은 그들에게 예수님께서 다시 오실 때에 순수하고 흠이 없이 발결된 것이라는 확신을 줄 것이다. 이는 일순간의 영적인 완성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닮는 것에 자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의의 열매는 신자 자신의 능력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 열매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오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하나님의 영광과 찬송이 되는 것이다. 
The first petition in Paul’s prayer is that God would cause the cardinal Christian virtue of loveto abound more and more, and that it would be accompanied by knowledgeand all discernment, so that the Philippians’ love would find expression in wise actions that would truly benefit others and glorify God. As Christians grow in thei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follow Jesus, they will increasingly be able to affirm and practice what is excellent. Such joyful obedience to God will give them the confidence of being found pure and blamelesswhen Jesus returns. This does not imply instantaneous spiritual perfection but rather an increasing likeness to Christ. But fruit of righteousnessis not produced in the believer’s own power. Because that fruit comes through Jesus Christ, it will result in the glory and praise of God.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280.

9절) 바울은 사랑을 지식과 모든 총명으로 점점 더 풍성하게 할 것을 기도하고 있다라고 말한다. 그는 단지 감정적인 사랑이 아니라 지식과 모든 총명을 구비한 사랑의 풍성함을 바라고 있는 것이다. 사랑은 ‘아가페’, 지식은 ‘에피그노시스’, 총명은 ‘아이스테시스’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지식은 ‘기노스코’ 알게 하다, 깨닫다, ‘그노시스’ 지식, 앎이라는 단어에서 나왔다. 여기에서 나아가 '에피+그노시스’ 완전한 앎, 인식을 의미한다. 또한 총명은 지식, 재능, 분별력, 전문적인 기술을 뜻하는 단어이다. 이 단어는 신약에 3번 등장하는데 눅 9:45, 빌 1:9, 히 5:14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총명이라는 단어는 감각기관을 통한 구체적인 앎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습관적인 연습을 통해서 성장해야하는 영적인 은사로서의 도덕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NTThree terms from this word group occur in the NT, each only once. The vb. αἰσθάνομαιis used by Luke in a clear mental sense to describe the disciples’ failure to comprehend Jesus’ prediction of his suffering: “But they did not understand [ἀγνοέωG51] what this meant. It was hidden from them, so that they did not grasp it [ἵνα μὴ αἴσθωνται αὐτό]” (Luke 9:45). In Phil 1:9 Paul places discernment (αἴσθησις) and knowledge (ἐπίγνωσιςG2106) side by side as two of love’s expressions and functions. Here knowledge is perhaps directed primarily to God; true discernment is necessary for human relationships, where it must distinguish between good and evil and judge accordingly (cf. esp. 1:10, which uses the vb. δοκιμάζωG1507, “to examine, approve”). Finally, Heb 5:14 says of “the mature” that their “faculties [αἰσθητήρια] have been trained by practice to   V 1, p 180  distinguish good from evil” (NRSV). As in the LXX, the term here refers not to the concrete organ of sense but to a moral ability—a spiritual gift that must be developed through habitual practice.
 Moisés Silva,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Grand Rapids, MI: Zondervan, 2014), 179–180.

10절) 선한 것이 무엇인지, 우수한 것이 무엇인지를 분별하기를(인정하기를) 원하며 그리스도의 날까지 순결하고 흠이 없기를 원한다. 
이처럼 진실하여 허물 없음, 거룩하고 순결하고 흠이 없음은 그리스도의 역사하심으로 교회에게 주어진 것이다. 바울은 자신을 그렇게 드렸다. 기도를 통해서 바울은 이 일이 마지막 날까지 이루어질 것을 구하며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의 빌립보 성도들을 향한 기도제목
  1. 빌립보 성도들의 사랑이 지식과 모든 총명으로 점점 더 풍성하게 되기를
  2. 이를 통해 지극히 선한 것을 분별하기를
  3. 나아가 진실하여 허물없이 그리스도의 날까지 이르기를
  4.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의의 열매가 가득하여 하나님의 영광과 찬송이 되기를





728x90
Philemon’s Love and Faith
gI thank my God always when I remember you in my prayers, because I hhear of your love and iof the faith that you have toward the Lord Jesus and for all the saints, and I pray that the sharing of your faith may become effective for the full jknowledge of every good thing that is in us for the sake of Christ.1For I have derived much joy and kcomfort from your love, my brother, because the hearts of the saints lhave been refreshed through you. 
gSee Rom. 1:8, 9
hCol. 1:4
iEph. 1:15
jPhil. 1:9; Col. 1:9
1Or for Christ’s service
k[2 Cor. 7:4, 13; Col. 4:11]
lver. 20; 2 Tim. 1:16; [Rom. 15:32; 2 Cor. 7:1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몬 4–7.

바울은 오네시모에 대한 요청을 하기에 앞서서 먼저 빌레몬에 대한 그의 감사를 정중하고 재치있게 표현하고(4-5절) 자신이 얼마나 그를 향해 기도하는지를 서술한다(6-7절).

일반적으로 바울의 편지에서 이러한 감사와 기원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바울과 그의 편지를 읽는 청자들과의 좋은 관계(라포)를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통해서 그들은 이어지는 충고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게 될 것이다. 
두번째 감사의 문맥속에서 제시되는 종교적인 이상 혹은 도덕적인 선을 향해서 청중들이 감화되고 그로 나아가게 하기 위해서이다. 
세번째 그러한 기원을 통해서 독자들의 영적 진보를 위협하는 영적인 위기에 대해서 알리기 위함이다. 
이처럼 바울 서신의 감사의 기능은 뒤따르는 편지 본문의 비판적 서론 역할을 한다. 특별한 목적과 뒤따르는 사도적 충고의 모디브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목표를 저해할 수 있는 위기를 제시하기도 한다. 그러기에 우리는 바울이 그의 편지의 이 부분에서 사용하는 특별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다가오는 본문의 충고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 Generally speaking, such expressions of thanksgiving and petition serve three purposes: (1) to establish good rapport between Paul and his first readers, so that they will respond positively to the advice that follows, (2) to set forth in the context of thanksgiving the religious ideals or moral virtues toward which the congregation should aspire, and (3) in the petitions offered, to introduce the spiritual crisis that threatens the readership’s spiritual advance. Paul’s epistolary thanksgiving functions, then, as a critical preface to what follows in the letter’s main body (see also commentary on Col 1:3–12). Not only are specific goals established and a motive given for following the apostolic advice, but the crisis that might undermine these goals is sometimes suggested. We should take particular care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special vocabulary that Paul uses in this part of his letters, since it will often form the basis for the advice that follows in the main body.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몬 4.

4-5절) 바울은 항상 자신이 기도할때 빌레몬을 기억할 때마다 하나님께 감사했다. 왜냐하면 주 예수와 모든 성도들을 향한 빌레몬의 사랑과 믿음을 들었기 때문이다. 
지금 바울은 여러 사람들을 통해서 빌레몬의 소식을 듣고 있다고 현재시제로 기록하고 있다. 그의 사랑과 믿음이 들려오기에 기도할 때 마다 그를 기억하고 그로 인해서 항상 하나님께 감사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은 항상 성숙한 그리스도인의 지표로 믿음과 사랑을 이야기했다.(골 1:4-5) 

5절의 본문은 분사절로 그것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다. 
첫번째는 빌레몬의 사랑과 믿음이 주 예수 그리스도와 성도들과의 관계를 나타낸다고 보는 견해
두번째는 빌레몬의 믿음(그의 사랑이 아닌)이 예수님과 성도들과의 관계를 타나낸다라고 보는 견해
세번째는 두개의 다른 전치사를 통해서 역전된 병행절(AB:B’A’)로 보는 견해로 이 경우에 "네 사랑에 대한 들음”은 “성도들에 대한”으로 “네가 가진 믿음”은 “주 예수를 향한”과 평행을 이룬다고 보는 것이다. 
이 세번째의 견해가 좋아 보인다. 

  • The Greek syntax of verse 5 is difficult and remains contested among commentators. Literally, the verse is a participial phrase that expresses the cause of Paul’s thanksgiving: “hearing of your love and the faith that you have for [pros]the Lord Jesus and for [eis]all the saints.” In untangling this verse’s grammatical knot, Harris (1991:249–50) discusses its three possible meanings: (1) Philemon’s loveand faithmay characterize his relationships with both the Lord Jesus and the saints (so NEB, JB, NASB); (2) Philemon’s faith(but not his love) may characterize his relationships with both Jesus and the saints (so RSV); or (3) the verse may be an inverted parallelism (AB:B’A’), keyed by the two different prepositions for for.In this case, the “hearing of your love” is parallel to “for [eis]all the saints” and “the faith that you have” is parallel to “for [pros]the Lord Jesus.” This third possibility is preferable (so Harris). Unfortunately, I think, the NIV obscures this parallelism by reversing its order. Paul actually mentions Philemon’s lovefor the saintsfirst and again last for emphasis, since his appeal to Philemon on behalf of Onesimus will require his love most of all.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몬 4.

이런 성도가 있다면, 또한 이렇게 기도하는 목회자가 있다면 참으로 감사하고 기쁠 것이다. 이 땅의 교회는 결코 완전하지 않다. 그 교회에 속한 성도들, 목회자들 또한 완전하지 않다. 하지만 우리는 완전을 지향해야 한다. 바로 그 완전, 우리가 지향해야할 신앙의 지점이 바로 이렇게 항상 기도할 때 성도들을 기억하며 감사하는 것이고 또한 성도들은 그러한 감사가 있도록 그리스도와 성도들의 관계에서 자신의 믿음과 사랑을 드러낼 필요가 있다. 그리스도를 더욱 사랑하는데 자라가는 성도들의 모습을 보면서, 성도들이 서로 더 깊이 사랑하는 모습을 통해서, 그러한 소식이야말로 목회자로 하여금 하나님께 감사할 수 있는 기도제목이 되는 것이다. 

6-7절) 바울은 먼저 그의 믿음에 대해서 그리고 이어서 그의 사랑에 대해서 간구하고 있다. 
바울은 빌레몬의 믿음의 교제가 더욱 깊어져서 우리 안에 모든 선한 일을 빌레몬이 깨달음으로 그리스도께 이르게 되기를 기도했다. 나는 너의 사랑을로 인해 큰 기쁨과 위로를 받았다. 왜냐하면 성도들의 마음이 빌레몬, 너를 통해서 생기를 얻었기 때문이다. 

본문속에서 바울은 코이노니아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이 단어는 매우 중요한단어인데 정확히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고대 세계에 이 코이노니아는 무언가 삶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 함께 나뉘어지는 인격적인 공동체를 의미한다. 바울이 이 단어를 다루는데 있어서 그 공동체는 믿음과 선교 사역의 실천을 공유한다는 의미에서의 코이노니아이다. 라이트는 “그리스도인들은 서로에게 속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상호 입증, 확인을 하게 된다”라고 덧붙였다. 이는 코이노니아가 다른 신자들이 자신들의 행복을 위해서 필수적이다라는 것을 자각하는 곳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빌레몬의 개인적 신앙이 오네시모를 비롯한 다른 신자들이 그리스도안에서 그의 영적인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식함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도한다. 말하자면 오네시모를 용서하고 품는 것이 빌레몬의 신앙의 성장을 위해서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 O’Brien contends that Paul’s intercessory prayer for Philemon is that he may acquire sufficient faith and love from God to respond favorably to the request to reconcile himself with Onesimus (1983:279). Most commentators, however, link the opening clause that you may be active in sharing your faith with my prayers(v. 4) rather than with as I re- member you(v. 4) as O’Brien would have it (see Harris 1991:250–51). Paul’s prayer is not for Philemon’s character, for which Paul has just given thanks, but for the koinōniaor sharingof Philemon’s faith. In this case, Paul has in mind “the mutuality of Christian life which springs from a common participation in the body of Christ” (Wright 1986:175). He is mainly interested in the kind of fruit that God harvests in the relations between believers (see commentary on Col 1:5–12). Paul’s implied prayer, then, is that Philemon welcome Onesimus gladly as an equal koinōnos(translated “partner” in v. 17) in the faith.
  • We should not underestimate the strategic importance of Paul’s use of koinōniato focus this petition for Philemon. Unfortunately, koinōniais difficult to define with any precision (see Koch 1963:183–87; Wall 1992:1003–10; also Wright 1986:176; O’Brien 1983:279–81). In the ancient world, it defined a whole community of persons in which something is shared in common and as essential for life. In Paul’s handling of this word, the community is a koinōniain the sense of sharing a faith and missionary praxis. Wright adds that “Christians not only belong to one another but actually become mutually identified” (1986:176); that is, koinōniatakes place where believers recognize that other believers are essential for their well-being. Paul is therefore praying that Philemon’s personal faith in Christ be worked out in appreciation of the important roles that other believers, including Onesimus, have in his spiritual formation in Christ.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몬 6.

그러므로 코이노니아는 교회의 연합된 삶에 있어서 특별한 이해를 요구한다. 하나님께서 각각의 신자들을 회중으로 부르시고 각각에게 특별한 은사와 다른 신자들에게 사역할 기회를 제공하신다. 그래서 모두는 그리스도안에서 함께 성숙함을 누리게 된다. 이 파트너십의 의미는 회중의 코이노니아가 사람들이 서로를 동등하게 가치있고 중요하다고 보는데서 발견된다. 그것은 하나님의 구원에 있어서 그리스도와 함께하는 파트너십을 목표로 한다. 그래서 그와 함께 우리는 우리가 사역하고 사랑하고 서로를 중요하고 소중한 존재로 보는데  필요한 자원을 발견할 수 있다. 기독교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 보고 생각하는 방식의 변혁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다른 이들을 그리스도안에서 동등하게 삶과 신앙을 나누는 이들로 보기 시작할 때 오만과 편협을 종식된다. 
나아가 빌레몬의 믿음을 언급하면서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그의 개인적 신앙보다는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공적 신앙을 더 염두에 두고 있다. 빌레몬의 믿음의 즉각적인 겨로가는 코이노니아인데 그 파급 효과는 엄청나다. 코이노니아의 경험을 통해서 우리가 그리스도안에서 모든 선한 것을 이해하게 됩니다. 본문에서 알다라는 ‘에피그노시스’는 이론적인 앎이 아니라 경험을 통한 앎을 의미한다.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빌레몬이 경험한 모든 선한 것에서 하나님의 은혜가 발견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 Koinōnia,then, requires a particular understanding of the church’s corporate life. God calls each believer into a congregation and provides each with certain gifts and opportunities to minister to other believers, so that all may be brought to maturity together in Christ Jesus (1 Cor 12; Eph 4:1–16). This sense of partnership marks out a congregation’s koinōniaand is found where persons view one another as equals in worth and importance. It aims at partnership with Christ in God’s salvation, so that with him we are able to find those resources necessary to enable us to minister, to love, to view one another as important and valuable. Christianity is about a transformation of the way we see and think about other people. When we begin to view others as those with whom life and faith are shared equally in Christ, arrogance and bigotry are finished.
  • Further, in referring to Philemon’s faithPaul probably has in mind his public demonstration of Christian faith rather than his personal faith in Jesus Christ. While the immediate result of Philemon’s faith is koinōnia,the ripple effect is extraordinary: out of the experience of koinōniacomes a full understanding of every good thing we have in Christ.Critically, the word translated “understanding” (epignōsis)refers not to theoretical knowledge but to knowledge acquired by experience. Paul is speaking about every good thingPhilemon experiences while in Christ,where God’s grace is found.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몬 6.

7절) 성도들의 마음, 본문에서 마음(hearts)는 ‘스플랑크논’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심장을 뜻하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카르디아’인데 스플랑크논은 장기, 위나 창자를 뜻하는 말로 우리의 몸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것으로 깊은 애정, 친밀감, 연민, 사랑을 의미한다.(몬 7, 20절; 빌 2:1; 골 3:12; 시 7:9) 
  • 시 7:9  Denotes the innermost being of a person, the seat of one’s moral character (26:2; Jer 11:20; 17:10; 20:12). David is characteristically transparent as he asks God to examine him (see 139:23–24).
  •  D. A. Carson, ed.,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985. 

바울의 두번째 간구는 빌레몬의 사랑에 대한 것이다. 바울은 6절과 7절은 그로므로라는 접속사로 연결한다. 이 사랑은 앞선 코이노니아로 확증된다. 마음은 내장이라는 의미이다. 한 영혼에 대한 깊은 연민, 사랑을 표현할때 이 마음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 눅 10:33이나 눅 15:20을 통해 그 의미를 옅볼 수 있다. 선한 사마리아인이 강도만난 이웃을 보며 느낀 감정, 탕자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마음이다. 동정심은 누군가를 동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을 사랑하고 돌보기 위해서 다른 사람을 향해 끌려 가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빌레몬을 탕자의 아버지로, 오네시모를 탕자로 비유할 수도 있다. 여기에 측은히 여기는 마음이 필요한 것이다. 
바울에게 있어서 연민은 사랑할 수 있는 능력과 사랑받는 경험 모두이다. 그의 빌레몬을 향한 간구는 더 큰 사랑의 능력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민은 또한 그가 새롭게 한 성도들의 경험이기도 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긍휼히 여기는 마음은 믿음을 나누는 코이노니아의 증표이다. 더 중요한 것은 바울의 기도는 그의 서신의 본문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끈다. 그것은 오네시모와 빌레몬의 문제로 위협받고 있는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해 갈 것인지를 보여준다. 
  • Paul’s second petition is for Philemon’s love.Unfortunately, the NIV omits a connecting “for” (gar)that links verses 6 and 7 together: “… we have in Christ. Foryour love has given me …” The impression left by the NIV is that verses 5 and 7 rather than verses 6 and 7 are bound together as complementary notes of Paul’s thanksgiving for Philemon’s spirituality. Paul’s point, however, is to join verses 6 and 7 by a connecting “for” (gar),integrating them as a single petition (see Harris 1991:253). In this sense, verse 7 complements the central idea of verse 6, koinōnia,and reveals Paul’s incentive for prayer: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and incentive for koinōniais love. Since Philemon’s capacity to love is confirmed, Paul remains confident that his prayer will be answered by Philemon’s positive response to his request. Yet in another more implicit sense verse 7 extends Paul’s petition for Philemon’s faith to include the prospect of a future demonstration of his previous love.
  • To further develop the connection of loveand koinōnia,Paul introduces another catchword into the petition—hearts (splanchna).Like koinōnia, splanchnais a difficult word to translate. Literally it refers to human entrails. According to Greek psychology, however, one’s splanchnaor “guts” is where the visceral feelings of compassion are produced; compassion is a “gut feeling.” The image created is that compassion is not a detached emotion; rather, it is an experience of lovers who are moved by and toward someone else. For example, Luke uses the verbal form of this same word in two of Jesus’ most beloved parables to illustrate true discipleship: how the good Samaritan is disposed toward the rejected, hurt man (Lk 10:33) and how the father is disposed toward his prodigal son (Lk 15:20). Each had compassion on and was moved toward the needy other. Compassion is not to pity someone but to be drawn toward another in order to love and care for that person. One might draw intriguing parallels between Onesimus and the prodigal son and between Philemon and the son’s father. The restoration of Philemon’s relationship with Onesimus—receiving his troubled slave back into his home (see commentary on verse 17)—requires from him the very same compassion that was required from the father to welcome his prodigal son back home.
  • For Paul, compassion is both the capacity to love and the experience of being loved. His prayer for Philemon is for a greater capacity to love; but such compassion is also the experience of those saintshe has refreshed.In this way, the compassionate heart is the mark of the koinōniaof shared faith. More important, Paul’s prayer introduces in a positive way what the main body of his letter develops: that the compassion and so koinōniaof the congregation are now threatened by the problem between Onesimus and Philemon. Given Paul’s twofold petition, then, the reader realizes that Philemon’s response to Paul’s appeal will largely determine whether the congregation’s witness to the gospel in Colosse will survive.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몬 6.





'성경묵상 > 빌레몬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 17-22 바울의 요청  (0) 2018.10.04
몬 13-16 빌레몬과 오네시모의 관계  (0) 2018.10.02
몬 8-12 전에는 무익하였으나  (0) 2018.09.28
몬 1:1-3 갇힌 자 된 바울  (0) 2018.09.17
빌레몬서 서론  (0) 2018.09.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