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And God said to Abraham, “As for you, you shall keep my covenant, you and your offspring after you throughout their generations. 10 This is my covenant, which you shall keep, between me and you and your offspring after you: Every male among you shall be circumcised. 11 You shall be circumcised in the flesh of your foreskins, and it shall be a zsign of the covenant between me and you. 12 He who is aeight days old among you shall be circumcised. Every male throughout your generations, whether born in your house or bbought with your money from any foreigner who is not of your offspring, 13 both he who is born in your house and he who is bought with your money, shall surely be circumcised. So shall my covenant be in your flesh an everlasting covenant. 14 Any uncircumcised male who is not circumcised in the flesh of his foreskin shall be cut off from his people; he has broken my covenant.”

z Acts 7:8; Rom. 4:11

a Lev. 12:3; Luke 1:59; 2:21; Phil. 3:5

b [Ex. 12:48, 49]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7:9–14.

 

A detail of a relief in the tomb of Ankhmahor at Saqqara depicting a priest performing ritual circumcision, ca. 2600 BC.

Werner Forman Archive/Glow Images

 

 

앞서 아브람을 아브라함으로 칭하시고나서 그 이름처럼 열국의 아버지가 되게 하시겠다라고 약속하셨다. 그것의 결과로 여러 민족과 왕들이 나오고 거류하는 이 땅 가나안을 영원한 기업으로 주시겠다라고 약속하시고 나서 이제 또한 언약의 증표로 할례를 요구하신다. 

어떤 언약의 경우에 이와 연관된 증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무지개(9:12-13)와 안식일(출 31:16-17)등이다. 

 

9-14절은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명령하시는 내용이다.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내용은 바로 ‘너는 내 언약을 지키고 네 후손도 대대로 지키라’라고 말씀하시는데 여기서 요구하시는 내 언약이 바로 할례이다. 이는 앞선 1절에서 하나님께서 요구하신 ‘너는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라고 명령하신 것을 지키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증표로 할례를 요구하신다. 11절은 남자의 포피를 베는 이 행위가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사이의 언약의 표징이라고 말한다. 결국 할례를 행한다는 것은 이 언약에 매인바되어서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며 살아가겠다라는 사실을 증거하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이 할례는 집에서 태어난 자이던 아니면 이방인으로 돈으로 산 자이던 간에 관계없이 받아야 하는데 난지 8일만에 받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 언약의 표징이 너희의 몸에 있어 영원한 언약이 되게 하려는 것이고 할례는 받지 않은 남자, 그 포피를 베지 않은 자는 백성중에서 끊어질 것인데 이는 ‘내 언약’을 배반하였기 때문이다. 

 

11절) 할례는 언약의 표징이다. 

결국 할례는 하나님과의 언약의 관계안에 있다라는 것을 상징한다. 하나님의 언약이 요구하는 것은 바로 다름 아니라 거룩함이다. 구약은 이처럼 거룩함을 위해서 계속해서 노력해야 했다. 하지만 신약에 와서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으심으로, 보혈의 능력으로 우리를 정결케 하셨고 믿는 이들에게 외적인 할례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그리스도께서 신자들을 십자가위에서 정결케 하셨기 때문이다. 이러한 육신의 할례는 유대인들이 처음 고안해 낸 것은 아니다. 이미 이집트의 신전에서 제의를 거행하던 남자들에게 할례를 통해 종교적인 정결을 요구하였다. 할례는 남자의 생식기의 포피의 끝부분을 잘라내는 의식이다. 육체에 분명하게 남겨지는 표지로서 다른 사람에게 공개적으로 보이려는 목적은 아니다. 결국 이 할례는 아브라함의 자손의 하나님의 언약속에 구별되었음을 보이려고 의도적으로 베풀어진 것이다. 이 할례가 다음 세대에도 대대로 지켜진 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서 새로 태어나는 사내아이는 8일 째 되는 날에 할례를 시행했다. 

할례는 고대 근동에서 여러 민족들이 성년식으로, 다산 예식으로, 결혼 예식으로, 자신의 신전의 제사장을 정결케 하는 이유로 이루어졌다. 결혼 예식으로 사용될 때는 신부 집안의 남자들이 신랑에게 할례를 행했는데 가족의 일원으로 받아들인다느 상징적인 의미였다. 아이에게는 8일째 할례를 행했는데 당시 태어나자마자 죽는 아이들이 많았기 때문에 갓 태어난 아이가 일주일을 살면 생존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성경에서 8일쩨 할례를 행한 이유는 이 내어난 아이가 7일 동안의 천지창조 사이클을 경험한 후 첫날이며 또한 8일째 되는 날은 속죄일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출 22:29; 레 9:1; 14:10, 23; 15:15, 29; 22:27; 민 6:10) 아이가 태어난지 8일째 되는 날은 하나님께 아이를 헌신하기에 가장 좋은 날인 것이다. 

 

이처럼 이스라엘 백성들은 할례받지 않은 이들을 부정한 자, 하나님을 대적하는 자들로 여겼다.(삼상 17:26, 36; 합 2:16; 사 52:1) 뿐만 아니라 레 19:23을 보면 새로운 땅에 들어가 얻은 열매는 3년간 할례를 받지 않은 것으로 여겨서 이 열매를 먹지 말것을 명하고 있다. 

너희가 그 땅에 들어가 각종 과목을 심거든 그 열매는 아직 할례 받지 못한 것으로 여기되 곧 삼 년 동안 너희는 그것을 할례 받지 못한 것으로 여겨 먹지 말 것이요” (레위기 19:23, NKRV)

 

그렇다면 이 할례, 표징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은밀한 성기에 있는 이 표징은 다른 사람을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할례를 받은 당사자를 위한 것이다. 이를 바라보면서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를 기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Circumcision is called both “my covenant” (v. 10) and a mark (or sign, ʾôṯ) of the covenant (v. 11). The designation of circumcision itself as a covenant is a synecdoche for covenantal obligation: “this is [the aspect of] my covenant you must keep.”

Circumcision is designated as a sign of the covenant, but a sign for whom? The one who is circumcised (and his family)? God? The outsider? This is the fourth passage in Genesis that mentions a sign (Heb. ʾôṯ). In 1:14 the luminaries serve as signs to identify the seasons. In 4:15 the sign on Cain identifies him to the outsider as one under divine protection. He belongs to that category. Along with these two identity signs we have the mnemonic sign of the rainbow (9:8–17, “when I see it, I will remember”), put in the heavens by God to remind him of his promise to Noah not to destroy the world by a deluge again.

Circumcision does not identify Israelites qua Israelites to non-Israelites, for many non-Israelites already practiced the same rite. And the later verses of this chapter record the circumcision of Ishmael, who is not part of the covenant that is to be perpetuated by Isaac! Also, how would one identify an Israelite via circumcision when clothing concealed it?

May the act of circumcision be a sign for the benefit of the one circumcised? Every time he looks at his body he is reminded that he is part of Yahweh’s covenant. Thus interpreted, circumcision is a mnemonic sign, reminding God’s people of who they are (as in Exod. 13:9, 16; 31:12–17; Num. 15:37–40; Deut. 6:8; 11:18; Josh. 4:6–7), from what they have been delivered, and by whom they have been delivered.

It is equally possible that circumcision is a sign to God, as was the rainbow in ch. 9. God will see the circumcised penis of the Israelite before and during sexual congress, and will then “remember” his promise to Abraham and to all his descendants to make them very fertile.14

One factor that militates against the idea of circumcision as a sign for the one circumcised and favors the idea of circumcision as a sign for God is the lack of an explanation for the sign. In other instances where a sign is given to the Israelites,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at sign is also given.

We may note the following: (1)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Exod. 13:3–10) is to be “a sign of your hand and as a memorial between your eyes that the law of the Lord may be in your mouth” (Exod. 13:9). (2) The consecration of the firstborn (Exod. 13:1–16) is to be “a mark on your hand or frontlets between your eyes, for by a strong hand the Lord brought us out of Egypt” (Exod. 13:16). (3) The Sabbath (Exod. 31:12–17) is “a sign between me and you throughout your generations, that you may know that I, Yahweh, sanctify you” (Exod. 31:12; also v. 17). (4) The bronze censers for the altar (Num. 17:1–5 [Eng. 16:36–40]) are “to be a reminder to the people of Israel … so that no one who is not a priest … should draw near to burn incense before Yahweh” (Num. 17:5 [Eng. 16:40]). (5) Aaron’s rod is to be “a sign … so that you make an end of their murmurings against me” (Num. 16:25 [Eng. 17:10]). (6) The placing of the phylacteries between one’s eyes and on the doorposts of the house is to remind God’s people of his word (Deut. 6:8; 11:18). (7) The monument of stones (Josh. 4:1ff.) is to be a “a sign among you,” reminding both the present and succeeding generations of the redemptive acts of God (“so that all the people of the earth may know that the hand of Yahweh is mighty”; Josh. 4:24).

In two passages the sign (ʾôṯ) is for God. The rainbow is for his benefit, and it serves to remind him of his earlier promise to Noah never again to drown the earth (Gen. 9:12–17). The blood on the doorposts at Passover (Exod. 12:7–13) is a sign for God to observe. When he sees it he is to “pass over” that house. This example is all the more remarkable when it is recalled that the Israelites already are living apart from the Egyptians, confined to the land of Goshen. The occupants of these houses can only be Hebrews. Clearly the sign of the blood does not identify the occupants of the house as Hebrews, when Yahweh passes over, but rather is an evidence to Yahweh of their compliance with his directive about the blood on the doorposts.

How, then, may one account for the absence of a clause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ign of circumcision? God sees the rainbow with the result that he remembers. He sees the blood with the result that he passes over the house. One might suggest that the delicacy of the circumstances mandated this omission in Gen. 17. It is unlikely that the OT would have inserted “And when I see you copulating I will remember my promise to make Abraham fertile”!

14 See M. Fox, “The Sign of the Covenant: Circumcision in the Light of the Priestly ʾôt Etiologies,” RB 81 (1974) 595–96.

 Victor P. Hamilton,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0), 470–471.

 

본문에서 포피라고 말하는 것은 남자의 생식기의 끝의 피부를 말한다. 이는 ‘아홀라’라는 히브리어 인데 주로 할례와 관련되어 사용되었다. 

עָרַל (ʿāral), q. treat as uncircumcised; ni. be uncircumcised (#6887; but see below [OT 1]); denom. from עָרֵל (ʿārēl), adj. uncircumcised (#6888); עָרְלָה (ʿorlâ), nom. foreskin (#6889).

ANE The root occurs in Akk., Arab., and Aram.

OT 1. The adj. עָרֵל, uncircumcised, and nom. עָרְלָה, foreskin, are used literally in the passages that relate to circumcision (מוּל, #4576): Gen 17:11ff.; 34:14; Exod 4:25; 12:48; Lev 12:3; Josh 5:3, 7. In Judg 14:3; 15:18; 1 Sam 14:6; 17:26, 36; 31:4 (= 1 Chron 10:4); 2 Sam 1:20, the adj. is used as a term of ethnic contempt concerning the Philistines, who were probably of Indo-European origin and so did not conform to the West Sem. practice of circumcision. It implies their alien status and, especially in 1 Sam 17:26, 36, their opposition to Israel’s God. In Hab 2:16 the vb. הֵעָרֵל, be uncircumcised, may connote “show one’s foreskin” and so “be exposed” (NIV), but there is strong textual evidence (cf. NRSV, REB) for a reading הֵרָעֵל, stagger (cf. Isa 51:17, 22). In Isa 52:1 Jerusalem, ruined during the Exile, is promised that the עָרֵל, uncircumcised, and the unclean, the foreigners who destroyed it, would not invade the holy city again. There is a link with the cultic role of circumcision (מוּל).

2. The vb. and nom. are used in a metaphor at Lev 19:23. The fruit of newly planted trees was for the first three years to be regarded as their uncircumcised foreskins and so could not be offered to God as firstfruits. Again, the cultic role of circumcision is in view.

3. Regarding the metaphorical uses of the nom., for a discussion of Deut 10:16; Jer 9:25 [24], see מוּל, circumcise (Circumcision [sec. 5]). A similar case occurs in Lev 26:41, which refers to the humbling of Israel’s “uncircumcised heart” (לְבָבָם הֶעָרֵל); it is explained in terms of rejecting God’s laws (v. 43). In Ezek 44:7 (cf. v. 9) foreigners, who are עַרְלֵי־לֵב, uncircumcised in heart, and עַרְלֵי בָשָׂר, uncircumcised in flesh, and thus emphatically not members of the covenant people, are forbidden to serve in the grounds of the new temple, unlike the Carian guards who patrolled the courts of the preexilic temple (cf. 2 Kgs 11:4–16). In Jer 6:10 Israel’s ear is called עֲרֵלָה, uncircumcised, in its unresponsiveness to God; the same lack of commitment has been considered above (see מוּל). In the priestly text of Exod 6:12, 30 Moses objects to God’s commission of him on the ground that he (Moses) is עֲרַל שְׂפָתָיִם, uncircumcised in lips. It clearly connotes “faltering lips” (NIV), probably via the notion of being unfit for cultic use (cf. Lev 19:23; Isa 6:5 [unclean lips]; 52:1; cf. Hermisson, 71–72).

4. In the satirical lament over Egypt in Ezek 32:18–32, mention of the עֲרֵלִים, uncircumcised, lying in the underworld occurs 9× (in v. 27a reading מֵעוֹלָם, long ago, is preferable; cf. NRSV, NJPSV). Similar language is used in 28:10; 31:18. Since at least in 28:10; 32:29, 30 reference is made to ethnic groups who normally practiced circumcis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a term for infants who died before being circumcised and were barred from burial in the family tomb is here used of a category of outcasts in Sheol (cf. Lods, 271–83).

q. qal

ni. niphal

ANE Ancient Near East(ern)

Akk. Akkadian

Sem. Semitic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REB Revised English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NJPSV New Jewish Publication Society Version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537–538.

 

12-13절) 본문은 아브라함의 집에 있는 모든 남자들, 집에서 태어난자나 돈으로 산 종들이나 모두 할례를 받을 것을 반복해서 강조한다. 결국 이는 할례가 인종적인 순결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또는 사회적인 신분을 나누기 위한 것도 아니다. 왜나하면 아브라함에게 속한 이방인 종들에게도 할례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결국 할례는 하나님과 맺은 언약의 관계의 중요성을 믿는가 그렇지 않은가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었다. 

 

14절)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할례는 매우 중요한 의식, 표징이었다. 그래서 이 육신의 할례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고 신약에 와서도 복음을 증거하면서 이를 강조했다. 구약시대에는 이것이 큰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신약의 초대교회때가 되면서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메시야로 믿는 이방인의 숫자가 많아지자 이 할례의 문제가 현실적인 난관이 되게 되었다. 유대인들은 구원에 있어서 할례가 필수적인 요소라고 강조한 반면에 바울은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게 되기 때문에 육신의 할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마음의 할례가 더욱 중요하다고 하였다. 

할례 자체에 특별히 어떠한 신비한 능력이 있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과의 언약의 증표, 상징으로 주신 것인데 이를 거부하는 것은 하나님을 거부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할례가 언약의 전부인 것으로 착각했다. 하지만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할례는 아브라함과 그 후손들이 하나님과 언약을 맺음으로 특별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는 표증이지 언약 자체는 아니라는 것이다. 할례는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백성이 평생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자신은 구별된 하나님의 백성임을 기억하고 묵상하게끔 하기 위한 흔적, 흉터라고 할 수 있다. 

Every uncircumcised male was excluded from the benefits of belonging to the covenant. Circumcision distinguished those who believed in the importance of the divine promises to Abraham from those who did not. This created a major theological problem for the early church as more and more Gentiles believed in Jesus Christ as Savior and Lord. While some Jewish believers argued that circumcision was necessary for salvation (see chart), Paul contended that “righteousness” comes through faith and that circumcision of the heart is what matters, not circumcision of the foreskin (see Rom. 2:25–29; 1 Cor. 7:18–19; Gal. 6:1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80.

 

 

아브라함 사이클에서 그동안 진행되어 언약의 구체화를 되돌아보자. 하나님께서는 우르를 떠나 하란에 머물고 있던 아브라함에게 떠나라고 하시며 만일 그가 떠나면 그를 통해 큰 나라를 만들고 복을 주어서 그의 이름을 높여 주시고, 그를 복의 근원이 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하셨다(12:1-3). 이것이 아브라 언약의 서곡이었다. 롯과 헤어진 후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과의 약속을 재확인하시면서 그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모든 땅을 그와 후손에게 주시겠다고 하셨다(13:14-17), 가나안 땅 소유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었다. 그러나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가나안으로 입성한 10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하나님과 아브라함 사이에 정식 언약이 체결되었디(cf. 15 장). 하나님께서는 이 약 체결식에서 아브라함에게 자손도 약속하셨지만 땅에 대해 구체적으로 씀하셨다. 아브라함과 후손들은 가나안 땅을 차지할 것이지만,  일이 있기 전에 먼저 아브라함의 후손들이 다른 나라에 가서 400년 동안 종살이를 해야 한다고 하셨다. 아직 가나안땅을 아브라함과 후손들에게 넘겨주실 여건이 차 않았다고 하시면서 말이다. 그후로 이스마엘이 태어났지만(cf. 16장), 이 이는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언약의 아이가 아니었다. 이스마엘이 태어난 지 13 년이 지난 후에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맺으신 언약이 더 구체적으로 드러난다(17 장). 일을 기념하면서 아브람과 사래의 이름이 바뀌었다. 할례 제도를 설정해 종들과 이방인까지 할례를 받도록 명하셨다. 언약의 증거가 눈에 보이지 않으면 잃어 버리고 망각히는 것이 인간의 심리이다. 래서 하나님께서는 아예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의 폼에 영구적인 언약의 증표를 주신다. 이것이 할례이다.(엑스포지멘터리 325)

 

 

할례 

할례(割禮, circumcision) 남성 음경의 포피를 절제하는 의식. 하나님과 아브라함(아브라함으로 대표되는 선민 이스라엘 전체) 사이에 체결된 언약의 증표로서 제정된 의식이다(창 17:10–14). 이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되시고 그들은 특별히 선택되어 하나님의 소유된 백성으로서, 오직 하나님만을 예배하고 복종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따라서 이스라엘 모든 남자아이에게는 태어난 지 8일 만에 할례식이 집행되었으며(창 17:12; 레 12:3) 특히 할례의 중요성 때문에 안식일에도 허용되었다(요 7:22–23). 그리고 외국인이든 나그네든 개종한 자는 할례를 통해 언약 공동체의 일원이 될 수 있었다(출 12:48). 하지만 비록 혈통상 이스라엘인이라 할지라도 할례를 받지 않으면 언약 공동체에서 끊어졌다(창 17:14).

물론 출애굽 이후 40년 광야 생활 동안 계속해서 행진해야 하는 특별한 상황이었으므로 광야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할례를 행할 수 없었고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곧바로 여호수아 주도로 할례 예식이 이뤄졌다(수 5:2–5). 할례 의식은 하나님이 명령하신 대로 행하되(창 21:4), 주로 그 집안의 가장(家長)에 의해 실시되었으며(창 17:23), 간혹 모친의 손에 의해 행해지기도 했다(출 4:25). 히브리인들은 할례받지 않은 자 곧 무할례자를 심히 경멸하여 그들과의 교제를 일절 단절하였다(삿 14:3; 15:18; 삼상 14:6; 사 52:1).

한편, 신약 시대에 이르러 그리스도의 십자가 피 공로를 믿는 믿음 안에서 율법이 정한 한시적인 제도인 할례의 종결(폐지)이 선언되었다(행 15:5–29; 롬 3:30; 4:9–11; 고전 7:18–19; 갈 2:3–4; 5:2–11; 6:12; 엡 2:11, 15; 골 2:11; 3:11). 물론 초대교회 당시 과도기적 상황에서 방편상 할례가 행해지기도 했지만(행 16:3), 구원과 관련된 할례의 효력은 철저히 부인되었다(고전 7:18–19). 예수 안에서는 할례나 무할례가 효력이 없고 오직 믿음뿐이요(갈 5:6), 오직 예수 안에서 새로 지으심을 받아야 할 뿐임을 강조했다(갈 6:15).

따라서 할례를 육체의 자랑거리로 삼는 것(갈 6:13), 할례받아야 구원을 얻는다는 생각(행 15:1), 그리고 표면적 육신의 할례가 진정한 할례라고 생각하는 것(롬 2:28) 등을 삼갈 것을 명하고 있다. 대신 참된 할례는 마음 가죽을 베는 것(렘 4:4) 곧 마음에 하는 것으로서(신 10:16; 롬 2:29) 그것이 곧 그리스도의 할례(그리스도로 인해 거듭나고 구원받음)라 할 수 있다(갈 5:2; 골 2:11).

 가스펠서브, 라이프 성경사전 (서울시 종로구 경희궁1길 5-9(03176): 생명의말씀사, 2006), 1040–1041.

 

 

728x90

17 When Abram was ninety-nine years old the Lord appeared to Abram and said to him, “I am God Almighty;1 walk before me, and be nblameless, that I may make my covenant between me and you, and omay multiply you greatly.” Then Abram pfell on his face. And God said to him, “Behold, my covenant is with you, and you shall be qthe father of a multitude of nations. No longer shall your name be called Abram,2 but ryour name shall be Abraham,3 sfor I have made you the father of a multitude of nations. I will make you exceedingly fruitful, and I will make tyou into nations, and ukings shall come from you. And I will vestablish my covenant between me and you and your offspring after you throughout their generations for an everlasting covenant, wto be God to you and to your offspring after you. And xI will give to you and to your offspring after you the land of your sojournings, all the land of Canaan, for an everlasting possession, and yI will be their God.”

1 Hebrew El Shaddai

n ch. 6:9; Deut. 18:13; Job 1:1; Ps. 119:1; Matt. 5:48

o ch. 12:2; 13:16; 22:17

p ver. 17

q Rom. 4:11, 12, 16

2 Abram means exalted father

r Neh. 9:7

3 Abraham means father of a multitude

s Cited Rom. 4:17

t ch. 35:11

u ver. 16

v Gal. 3:17

w Heb. 11:16; [ch. 26:24; 28:13]

x ch. 12:7; 13:15; Ps. 105:11

y Ex. 6:7; Lev. 26:12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창 17:1–8.

 

 

하갈이 아브람에게 이스마엘을 낳을때에 아브람의 나이가 86세였다. 이제 13년의 시간이 지나서 아브람이 99세가 되던해에 여호와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셔서 그와 할례 언약을 맺으신다. 이는 하란을 떠나 가나안에 입성한지 24년이 흐른 뒤였다. 이스마엘이 출생한 이후 13년간은 하나님께서 침묵하시는 시간이었다. 많은 일들이 있었겠지만 성경에 기록될만한 가치가 없는 일이었던 것이다. 인간적인 방법으로 후손을 얻은 것에 하나님께서 침묵하시다가 13년만에 나타나셔서 매우 중요한 약속을 하시며 증표를 주신다. 증표는 아브람이 아브라함이 된것, 할례, 사래가 사라가 된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미 15장에서 언약이 맺어졌는데 왜 새로운 언약이 필요한가? 이 두 언약의 내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하고 었다는 이 여러 학자들의 주장이다. 15 장의 언약은 땅을 약속하는 것이며 (cf 15:18-21)17 장의 언약은 자손을 약속한다(2절). 전개 과정을 보면 이 두 언약 이야기는 여러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둘 다 하나님의 ‘나는 .. . 이라는 계시로 시작했다(15:7; 17:1). 둘째 두 이야기 모두 아들을 약속한다. 그러나 이번 이야기에서는 사래를 통해 이 아이가 탄생할 것이라고 산모를 구체적으로 밝힌다'{cf 15:4; 17:16, 19 , 21). 셋째, 두 이야기 모두 많은 자손’과 영토를 약속한다'{cf. 15:4; 17:4). 그러나 이 이야기에서 영토는 아브람의 자손의 영원한 소유가 될 것이라는 사실을 더하신다(cf. 15 :18; 17:8). 넷째, 두 이야기 모두 ‘언약이라는 단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저자는 17장 이야기에서 ‘영원한 언약'이란 표현을 세 차례 사용함으로써 15장의 것과 차별을 두려고 하는 듯하다(7, 13, 19 ) . 차이점은 전 이야기에서는 아브람이 아무 역할도 하지 않고 하나님께서 주시는 언약을 받기만 했는데 반해 이번 이야기에서 아브람은 언약을 체결하기 위해 옹 집안에 할례를 행한다.

 

1-2절) 정말 오랜 시간이 지난후에 아브람에게 여호와 하나님께서 나타나셔서 자신을 ‘엘 샤다이’(전능한 하나님-God Almighty)라고 말씀하시며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할 것을 요청하신다. 그러면 내가 내 언약을 나와 너 사이에 두어 너를 크게 번성케 하겠다라고 약속하신다. 

셈족의 언어에서 하나님을 나타내는 단어는 ‘엘’이다. 이 뒤에 여러 하나님의 속성, 특성을 나타내는 단어가 추가되어 사용되는데 엘 샤다이는 하나님의 권능, 그분의 능력을 강조한다. 전능이라는 말은 말그대로 모든 것이 가능하다라는 말이다. 문맥 속에서 본다면 불임의 사래를 통해서 아이를 낳게 하여 크게 번성케 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런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두가지를 강조하시는데 첫번째는 내 앞에서 행할 것을(walk before me)이고 두번째는 완전하라(blameless-타밈)는 것이다. 하나님 앞에서 행한다는 것은 ‘히트할라크’로 이는 걷다, 동행하다의 명령형이다. 앞서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였다라는 표현과 같은 표현이다.(창 5:22-24) 이어서 완전하라는 표현은 히브리어 ‘타밈’으로 흠이 없는 희생 제물을 표현할때 사용된다. 하나님앞에 드려지는 제물이 흠이 없고 완전해야했는데 창 6:9에서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노아가 바로 의인이자 완전한 자이며 하나님과 동행했다라고 언급된다. 

창세기 6:9 (NKRV)

9이것이 노아의 족보니라 노아는 의인이요 당대에 완전한 자라 그는 하나님과 동행하였으며

 

3-5절) 앞서 15장에서 하나님께서 쪼갠 제물 사이를 지나시며 언약을 맺으셨다면 이제 17장에서는 다시금 언약을 확인하시면서 언약의 표징, 할례를 요구하신다. 결국 이 언약의 목적은 이를 지킬 때 그 지키는 이를 크게 번성케 하는 것이었다. 이 언약을 지키며 완전하게 행하는 사람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임하게 되는 것이다. 

 

언약의 핵심은 바로 아브람이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될 것이다라는 것이다. 이것의 표징으로 그의 이름을 아브람에서 아브라함으로 바꾸어 주시는데 아브라함의 이름이 바로 ‘열국의 아비, 많은 무리의 아버지’라는 의미이다. 성경에서 아버지라는 표현은 아버지와 아들, 조상과 자손 사이의 생물학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하지만 성경에서는 이것이 비유적인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요셉이 자신을 ‘바로의 아버지’라고 표현하기도 했고(창 45:8) 사사기에서는 에브라임 산지에 살던 미가가 어떤 젊은 레위인에게 자신의 가정의 제사장이 되어줄 것을 요청하며 ‘나를 위하여 아버지와 제사장이 되라’고 요청하기도 했다.(삿 17:10) 아브라함이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된다는 것은 앞선 12:3의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다라는 하나님의 말씀과 연관이 있다.  

이후 출애굽기를 통해서(출 1:7)를 통해서 이스라엘 민족의 숫자가 많아진 것은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어감을 나타낸다. 아브라함의 후손인 그리스도를(갈 3:16) 신뢰하는 이들은 아브라함의 후손이 된다(갈 3:6-9). 따라서 구원받은 모든 민족들은(계 5:9) 궁극적으로 아브라함을 아버지로 여기게 되는 것이다.(롬 4:17-18)

우리는 여기서 여러 형태의 아브라함의 자손들을 만나게 된다. 

 

6절)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심히 번성케 하시겠다라고 약속하신다. 이것의 결과로 여러 민족과 왕들이 너의 후손들로부터 나올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번성케 하시겠다라는 약속은 창조시의 문화명령(1:28)과 홍수 이후 노아와 매은 언약(9:1)에서도 반복해서 주어졌다. 번성함은 자손이 많아짐을 통해서 이 피조세계에 대한 온전한 다스림을 의미한다.  아브라함과 맺으시는 언약은 천지 창조때의 아담에게 주어진 명령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7절) 하나님께서는 이 언약을 아브라함과 이후의 후손들과 지속적으로 맺으시기를 원하신다. 아브라함의 후손들이 이 언약을 지킨다는 것은 바로 여호와 하나님이 그 후손들의 하나님이 되신다는 것을 의미한다. 

 

8절)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과 후손들에게 가나안 온 땅을 영원한 기업이 되게 하심으로 그들의 하나님이 되시겠다라고 약속하신다. 이처럼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기업으로서의 땅은 하나님의 보호와 돌보심을 상징하는 매우 중요한 매개체이다. 

 

장은 서술 중심으로 전개되는 창세기의 대부분의 텍스트와 달리 등장 물들 직접적인 스피치를 매우 많이 담고 있다. 직접화법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장은 크게 하나님의 명령(1-22)과 아브람의 순종{23-27절)으로 분된다. 하나님은 아브람에게 5 차례 말씀하신다: (1) 1-2절; (2) 3-8 절; (3) 9-14절; (4) 15-16절; (5) 19-21절. 이 다섯 세 번(#2,  #4, #5)은 아브람과 자손을 복하시겠다는 하나님의 의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나머지 번(#1, #3)은 포커스가 아브라함에 대한 하나님의 요구/기대에 맞추어져 있다. 대부분 하나님의 피치로 구성되어 있는 본 텍스트에서 아브람의 발언은 두차례로 제한되어 소개되고 있는데,  번은 자기 스스로에게(17절) 한 번은 하나님께 는 말이다(18 절). 하나님과 아브람 사이에 오간 대화의 내용은 언약에 관한 이었다.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주신 언약을 재차 확인하는 차원에서 대화가 오갔다.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선포하시는 말씀(3b-16절)은 세 파트로 세분화될 수 있다"(3b-8; 9-14; 15-16절). 이 세 부분 모두 ‘하나님이 가라사대 ... ’로 시작하며 언약에 관련되어 있는 세 인물에 관한 것들이다: (1) ‘나는 너와(as for me .. . )(4); (2) ‘너는 나와’(as for you .. . )(9 ); (3) ‘너의 아내 사래’(as for Sarai, your wife .. . )(15 ). 아울러 세 파트 모두 언약에 대한 증표를 포함한다: 첫 부분에서는 아브람의 름이 바뀐다(5 ); 둘째 부분에서는 할례가 주제로 떠오른다"(10-14 ); 셋째 부분에서는 사래의 이름이 바뀐다"(15).(엑스포지멘터리 3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