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6 Therefore let no one gpass judgment on you hin questions of food and drink, or with regard to ia festival or ja new moon or a Sabbath. 17 kThese are a shadow of the things to come, but lthe substance belongs to Christ. 18 Let no one mdisqualify you, ninsisting on asceticism and worship of angels, ogoing on in detail about visions,4ppuffed up without reason by qhis sensuous mind, 19 and rnot sholding fast to the Head, from whom the whole body, nourished and knit together through its joints and ligaments, grows with a growth that is from God. 
gRom. 14:3, 10, 13
hRom. 14:17; Heb. 9:10; See Lev. 11:2
iLev. 23:2; Rom. 14:5
j[Mark 2:28]; See Num. 28:11
kHeb. 8:5; 10:1
l[ver. 2]
m1 Cor. 9:24
nver. 23
o[Ezek. 13:7; 1 Tim. 1:7]
4Or about the things he has seen
p[Eph. 4:17]
q[Rom. 8:7]
rSee Eph. 4:15, 16
sRev. 2:13; 3:11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골 2:16–19.

복음적인 그리스도인들은 올바른 믿음의 고백과 올바른 행동의 규범을 세우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특정한 음식이나 행위를 삼가고 영적으로 무해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추구한다. 그리스도에 대한 금욕적이고 완고한 자신의 헌신에 대한 표현은 세속적 질서의 가치와 신념에 대한 대안으로 유용하다. 바울도 초반부에 복음이 성품을 변화시키는 열매를 내는것, 무엇일 옳은지 앓고 이것에 따라 살아가는 변화된 사람에 대해서 감사했다. 믿음은 도덕적인 결과를 기대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규제에 대한 법적인 복종이 그리스도에 대한 회중의 헌신을 대체하는데 있다. 바울이 말하는 진정한 종교의 표지는 자기부인의 규칭에 대한 엄격한 준수가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의 믿음과 그의 성령안에서의 삶이다. 진정한 기독교의 경계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으로 마침내 정의할 수 있다.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은혜는 사람들을 대안적인 신앙 공동체로 변화시킨다. 하나님의 은혜로 인한 자기 변혁을 자기 부인의 규제로 대체하는 기독교의 정의는 힘이 없고 마침내 쓸모가 없다. 
- Sociologist James Davison Hunter, in his recent book on evangelicalism, characterized historic evangelicalism as “world-denying.” In order to draw more sharply the social borders that distinguish the orthodox from all others, evangelical believers tend to draft creeds of right belief and codes of right conduct that oblige them to abstain from certain foods (such as alcohol) and practices (such as dancing or extravagant dress) that mainstream believers consider spiritually harmless. Ascetic and austere expressions of one’s devotion to Christ are thought by evangelicals to be useful in bearing witness to Christianity as an alternative to the values and convictions of the surrounding secular order. And to a certain extent this is a correct perception. Paul has already stressed in his opening thanksgiving prayer (1:3–12) that the gospel produces the fruit of transformed character, a changed people who know what is true and live according to it. Faith should expect moral results.
The problem Paul addresses in this passage, however, is the legalistic submission to such regulations, such that observing them can even replace a congregation’s devotion to Christ. What results is often called “self-righteousness”: one’s devotion is measured by how drab and dreary one’s Christianity is! The arrogant sloganeering that asserts that the simpler the lifestyle, the greater the holiness, does not wash with Paul. For him, the mark of true religion is not a rigorous compliance to rules of self-denial, but faith in Christ and a life in his Spirit (see Rom 14:13–18). What finally defines the borders of true Christianity is “being in Christ,” where God’s grace transforms a people into an alternative faith community. Any definition of Christianity that substitutes regulations of self-denial for self-transformation by the grace of God is spiritually impoverished and finally useless.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2:16.



16-17절) 먹고 마시는 것, 절기나 초하루, 안식일을 준수하는 것을 이유로 너희를 비판하지 못하게 하라. 이러한 것들을 준수하고 지키는것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그 본래의 의미를 망각한체 율법을 준수하는 것을 강제하는 상황이 생길 경우 그것은 올무가 된다. 

바울은 누구도 너희를 비판하지 못하게 하라라고 명령한다. 본문의 비판하다라는 단어는 ‘크리노’로 하나님의 마지막 심판을 표현할때 자주 사용되었다. 
당시의 유대주의자들은 절기나 초하루, 안식일을 지키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하지만 그리스도안에서, 주님의 십자가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구약의 그러한 요구가 해결되었기에 더이상 그러한 법에 매일 필요가 없는 것이다. 먹고 마시는 것은 바로 이러한 절기와 관계되어 있고 이러한 태도는 거룩한 것과 부정한 것이 나뉘어져 있다는 이원론적 신앙으로 귀결된다. 한국 교회의 경우에 이러한 태도가 매우 일반적이다. 여전히 교회안의 신앙으로 사람들을 가두고 신앙의 의무를 부과하는 것으로 그들의 신앙과 거룩을 드러낼 것을 요구한다. 하지만 도리어 바울은 이러한 것들이 장래 일의 그림자 일뿐이다라고 분명히 이야기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신앙의 본질과 허상을 구별하는 것이다. 
그림자가 허상이라면 몸은 실재이다. 유대의 제사나 예배 예식은 하나님의 구원을 고대하며 드려진 것인데 이제 그리스도가 몸으로 오셔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시고 부활하심으로 그 구원의 실제를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경험한 것이다. 바울이 여기서 주장하는  것은 메시야가 미래가 아니라 이미 현재 실제로 오심으로 그 약속을 성취하셨다는 것이다. 바울은 반 유대주의자는 아니다. 하지만 바울은 그리스도인의 믿음의 핵심 확신들을 대체하고 유대 관습으로 그 믿음을 측정할 것은 요청하는 이들에 반대한다. 

- Accusation Without Foundation (2:16–17) The second section of Paul’s theological polemic envisions a particular person who apparently is acting as a spiritual umpire, watching to see whether the community observes certain holy days and complies with certain dietary regulations and using these thing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ir devotion to God. In response, Paul issues here the first of two negative commands (imperative + ): Do not let anyone judge you. The verb for judge (krinō)is often used of God’s final judgment, and it may be that the community’s fitness for the new age (even the church’s hope for participation in it) is determined in their minds by food and celebrations. The list of these celebrations, which includes a religious festival, a New Moon celebration or a Sabbath day,is fairly typical (compare Hos 2:13; Ezek 45:17; Jubilees 1:14). Since the list encompasses annual festivals (such as Passover or Yom Kippur), monthly meetings (such as the New Moon celebration) and the weekly observance of sabbath, it is evident that Paul’s opponents required a rather comprehensive obligation. Moreover, within Judaism most of these celebrations were intended to help the community look forward to Messiah’s deliverance of Israel from its suffering and to its entrance into God’s promised shalom. Thus, for the Christian to participate in these Jewish celebrations was tantamount to a denial of Jesus’ messiahship. In addition, the dietary rules that accompanied the holy days had a social (as much as a religious) role: to publicize the community’s distinctiveness as a separate people. To eat particular foods and not others symbolized their particularity within the world order. This function also detracted from Christianity’s single social marker—its faith that Jesus is Lord Christ.
I should emphasize again that Paul’s objection is not to religious celebration per se, and probably not even to a congregation’s public expression of worship that borrows from the traditions of Judaism. Rather, Paul’s primary concern here is any observance that does not concentrate the celebrants’ attention upon Christ’s importance for salvation. To observe a Jewish calendar of worship seems foolish to Paul when it does not celebrate Jesus as Lord Christ (compare Lohse 1971:115–16). He argues that it elevates an eschatological shadow(that is, Jewish worship’s anticipation of God’s salvation) over its reality(that is, the future blessings of God’s salvation already experienced by those in Christ). Paul does not employ this shadow-reality dualism—a motif of Hellenistic Judaism—to deny the truth about God’s promised salvation that is expressed by Judaism’s worship on holy days or in eating patterns; rather, his purpose is to assert that the Messiah has already fulfilled the promise so that the reality is present, not future. Paul is not anti-Jewish; but he is opposed to those who appeal to Jewish practice to measure and even replace the core convictions of the Christian faith.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2:16.

18-19절) 두번째 명령은 너희를 정죄하지 못하게 하라는 명령이다. 본문의 정죄하다라는 단어는 ‘카타브라베우오’로 황제의 부정적인 결정을 의미한다. 본문의 꾸며낸 겸손은 그리스도에 대한 진정한 헌신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신자의 본성으로 자신의 열심을 드러내려는데서 나오는 행동, 예를 들면 금식이나 구제, 기도의 모습들을 들 수 있다. 겸손은 오직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나님이 이루신 것을 자랑하는 것이지 자신을 드러내고 자랑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모습속에는 이처럼 겸손을 가장한 교만의 모습이 많이 있는데 바울은 지금 이것을 꾸며낸 겸손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본문에서 말하는 천사 숭배가 무엇인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여러 의견들이 있는데 첫번째로 실제로 이방의 천사 숭배의 전통을 따랐다는 견해이다. 두번째는 어떤 신자들이 천사들에 관해서 묵상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는 것이다. 세번째로는 하나님을 예배하는데 있어서 그분이 너무 거룩하신 분이시기에 자신들이 직접 예배할 수 없어서 천사들을 통해서 대신 예배하도록 했다는 것이다. 그래 서 자신들의 예배가 천사들의 중재를 통해서만 드려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이어 등장하는 본것에 의지한다라는 표현이 바로 천사를 통해서 드려지는 예배를 바라본다는 것이다. 
The other item, the worship of angels,has prompted much scholarly discussion (Francis 1975). Wright outlines three possible interpretations (1987:121–22). First, Paul may have in mind actual liturgies of angel worship, borrowed from either pagan or Jewish religious practices. Apparently these liturgies were followed by some Colossian believers for their spiritual formation. If so, Paul would have surely considered such worship idolatrous. Few scholars, however, subscribe to this interpretation; there is simply too little evidence from the ancient world that angels were worshiped either by pagans or Jewish believers. The second possibility is a variation of the first: Paul uses the phrase ironically. Some believers spend so much of their time speculating about angels (as though they worshiped them!) that they have little time left to serve Christ in more practical ways. I doubt that Paul denied that angels exist; rather, in this view, his concern is with a highly speculative and mystical doctrine of angels (angelology), one of the “human traditions” that make up the Colossian “philosophy” of religion (see 2:8). Third and most likely is that Paul has in mind a teaching that focuses on the angelic worship of God. J. B. Lightfoot, for example, contended that humility and worship of angelsbelong together, so that the sort of humilityexpected of the spiritually mature believer presumed that God was too holy to be worshiped directly. Only the angels that populated God’s throne room had direct access to God; thus the community’s worship of God must be mediated through them (1876:222).
Following Lightfoot’s lead, I suppose the spiritual umpire could have thought that Christian worship of God is mediated through angelic beings and that worshipers are required to have visionary experiences of angels occupying the heavenly throne room—visions rather like those in the book of Revelation and in ancient apocalyptic literature generally. Thus, according to this view, an extra special visionary experience, which is then verified by its description in great detail,complements religious observance to create an esoteric Christianity composed of idle notions.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2:18.

이렇게 환상을 통해서 헛된 과장을 하는 행위는 결과적으로 종교적인 엘리트들을 만들어 낸다. 이들은 자신들만이 하나님의 신비에 대한 정보를 소유하고 있으며 구원에 이르는 길을 알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교만은 회중의 영적인 행복을 멘토하는데 있어서 바울과 같은 사도들이나 심지어 그리스도의 영의 필요성을 없앤다. 오직 자신들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 영적인 멘토로서 사람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육신의 생각을 헛되이 과장하는 이들은 머리를 붙들지 않은 자들이다. 말하자면 온전히 머리이신 그리스도께 붙어있지 않은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포도나무 가지가 포도나무에 붙어 있지 않으면 과실을 맺을 수 없는 것 같이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머리이신 그리스도에게 붙어 있지 않으면 온전히 힘과 능력을 공급받을 수 없으므로 온전히 성숙하고 자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의 신앙의 핵심은 천사 숭배의 환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와 함께 함으로 하나님과의 친밀함의 경험을 쌓아 가는 것이다. 그러할 때 온 몸이 머리로 말미암아 마디와 힘줄로 연결되어 공급함을 받고 연합하여 자라게 되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