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Finally, then, brothers,1 we ask and urge you in the Lord Jesus, that as you dreceived from us ehow you ought to walk and fto please God, just as you are doing, that you gdo so more and more. For hyou know what instructions we gave you through the Lord Jesus. For this is the will of God, iyour sanctification:2 jthat you abstain from sexual immorality; that each one of you know how to control his own kbody3 in holiness and lhonor, not in mthe passion of lust nlike the Gentiles owho do not know God; that no one transgress and pwrong his brother in this matter, because the Lord is qan avenger in all these things, as we told you beforehand and solemnly warned you. For rGod has not called us for simpurity, but in holiness. Therefore twhoever disregards this, disregards not man but God, uwho gives his Holy Spirit to you.
1 Or brothers and sisters; also verses 10, 13
d Phil. 4:9; Col. 2:6
e See Eph. 4:1
f See Col. 1:10
g See ch. 3:12
h [1 Cor. 11:2]
i Rom. 6:19, 22; 1 Cor. 1:30; 2 Thess. 2:13; 1 Tim. 2:15; Heb. 12:14; 1 Pet. 1:2
2 Or your holiness
j See 1 Cor. 6:18
k 1 Pet. 3:7; [2 Cor. 4:7]
3 Or how to take a wife for himself; Greek how to possess his own vessel
l [Rom. 1:24]
m See Rom. 1:26
n Eph. 4:17
o Ps. 79:6; Jer. 9:3; 10:25; See Gal. 4:8
p 1 Cor. 6:8
q Rom. 13:4; [Rom. 12:19; Heb. 13:4]
r ver. 3; See 1 Pet. 1:15
s ch. 2:3
t [ch. 2:13]; See Luke 10:16
u 1 John 3:24; 4:1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4:1–8.
 
4 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끝으로 주 예수 안에서 너희에게 구하고 권면하노니 너희가 마땅히 어떻게 행하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는지를 우리에게 배웠으니 곧 너희가 행하는 바라 더욱 많이 힘쓰라
2 우리가 주 예수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무슨 명령으로 준 것을 너희가 아느니라
3 하나님의 뜻은 이것이니 너희의 거룩함이라 곧 음란을 버리고
4 각각 거룩함과 존귀함으로 1)자기의 아내 대할 줄을 알고
5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과 같이 색욕을 따르지 말고
6 이 일에 분수를 넘어서 형제를 해하지 말라 이는 우리가 너희에게 미리 말하고 증언한 것과 같이 이 모든 일에 주께서 신원하여 주심이라
7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심은 부정하게 하심이 아니요 거룩하게 하심이니
8 그러므로 저버리는 자는 사람을 저버림이 아니요 너희에게 그의 성령을 주신 하나님을 저버림이니라
1) 헬, 자기몸을절제할줄알고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4:1–8.
 
데살로니가전서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3장이 데살로니가 교회에 대한 칭찬이라면 4-5장은 데살로니가 교회의 문제에 대한 교훈과 권면이라고 할 수 있다.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환난 중에도 믿음을 지키며 그리스도의 본을 따르고 피차 사랑하는 삶을 살았다. 불신의 문화가운데 데살로니가라는 도시 속에서 본이 되는, 구별된 삶을 살아야 했다. 이를 취해서 사도는 데살로니가 성도들로 하여금 성적인 부분에서 정결한 삶을 살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 또한 그리스도의 재림과 부활에 대해 오해하고 있는 일부 신자들에게 올바른 종말에 대한 신앙을 가질 것을 촉구한다. 
 
4장은 1-2절을 통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 것을 촉구하고, 3-8절에서는 성적 행위에 있어서 거룩함을 추구하는 삶, 9-12에서는 교회 공동체 안에 있는 이들에 대한 형제 사랑을 강조하고 있다. 
특별히 1세기 헬라 사회의 남성들에게 성적 쾌락을 추구하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었다. 아래 사진은 1세기 데살로니가의 매춘업소 옆에 위치한 목욕탕 유적지이다. 이러한 시설이 버젓이 도시에 위치해 있었고 남성들은 부부관계 안에서만 성적 관계를 가져야한다는 가르침은 매우 낯선 것이었다.  대부분의 남성들은 성적 쾌락을 위해서 정부를 두거나 창녀들가 일상적으로 성적 관계를 가졌다. 이방 종교들은 성결을 강조하기보다 도리어 풍요를 간구하는 제의식의 일환으로 종교적 매춘을 조장하기도 했다. 실제 고린도의 아프로디테 신전에는 1000여명의 매춘을 위한 여사제들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1세기 헬라 문화의 배경속에서 회심한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있어서 성적인 문제에 대한 지적은 매우 실제적인 것이었다. 바울은 하나님의 뜻은 음란이 아니라 거룩함임을 분명하게 선언하며 성도들은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들과 같이 색욕을 따라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4:1–12 Pleasing God in Sexual Conduct and Love for Others. After opening with a general appeal to increase conduct that is pleasing to God (4:1–2), Paul addresses the specific issues of holiness in sexual conduct (4:3–8) and love for others within the church community (4:9–12).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4.
 
 
아래 사진은 1세기 데살로니가 도시안에 있던 매춘굴 옆에 위치한 목욕탕이다. 바울은 이방 도시안에 살고 있는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과 같이 색욕을 따르지 말라(살전 4:5)"라고 명령한다. 생각보다 이들에게 색욕을 따르는 삶을 가까이에 있었다.
 
1절) ‘종말로 형제들아’, ‘로이폰 운 아델포이’를 직역하면 ‘그러므로 마지막으로 형제들아’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에 해당하는 ‘운’은 본장의 앞부분 전체를 받으면서 필연적으로 연결되는 삶을 강조하기 위한 바울의 표현이다. ‘형제들아’라는 표현은 신학적, 사회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표현이다. 
 Paul’s direct address of his readers through the term ἀδελφοί (“brothers [and sisters]”), along with the expression λοιπὸν οὖν (“finally therefore”), marks what follows as a new section (cf. 2:1; 5:1, 13). Paul’s use of ἀδελφοί here is important from a theological and sociological point of view. It reflects the new metaphorical relationship entered into by Christians with one another. Although use of ἀδελφοί was not unknown in clubs and pagan cults, Paul undoubtedly borrowed it from his Jewish background. It was used both in the OT (e.g., Ex. 2:11; Dt. 3:18) and in intertestamental writings like 2 Macc. 1:1, where it occurs in the address of a letter. Quite apart from the background of the term, however, it was an important linguistic tool, an organizing metaphor (see Petersen, Rediscovering Paul, 206) that portrays the community as a family. It served to link together people who often had no previous contact with one another (see Meeks, First Urban Christians, 87–89). The use of familial language was probably justified by the symbolic understanding of God as the father of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see the comments on 3:11, above). As the metaphorical children of the one father Christians were themselves brothers and sisters who were to behave toward one another as family members. Such metaphorical language clearly aided in creating community cohesion among people who had no prior social involvement or commitment to one another (cf. Meeks, Moral World, 129 and the comments on 3:12, above).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47–148.
 
‘구하고 권면하노니’라는 표현은 ‘에로토멘’과 ‘파라칼루멘’이라는 단어로 이는 모두 1인칭 복수 현재 능동태 동사이다. 이는 바울과 동일하게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아가기를 간절히 바라는 표현이다. 
‘주 에수 안에서’는 ‘엔 퀴리오 이에수’로 ‘엔’은 ~안에라는 의미인데 공간의 의미를 갖지만 본문처럼 인격체와 함께 사용될 경우 그의 영향권 아래 있는다라는 사실을 강조한다.(요 10:38)  이러한 경우에 ‘엔’은 ‘~의 권위를 힘입어’라는 의미를 지닌다.
본문에서 ‘행하여’는 ‘페리파테인’으로 원형은 ‘페리파테오’로 원래 의미는 ‘주변을 거닐다’라는 뜻이다. 바울의 권면의 핵심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해서 행하라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식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가 아니다. 바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식인 것이다. 내가 나의 삶의 주인일 때 나는 나를 기쁘시게 하기 위한 삶을 살아간다. 하지만 하나님이 나의 삶의 주인이 되는 순간부터 우리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우리에게 배웠으니’는 ‘파렐라베테’로 원형은 ‘파랄람바노’이다. 이는 ‘데려오다, 받다, 취하다, 영접하다’의 의미로 권위있는 전통을 받아들일 때 사용하는 전형적인 표현이다. 
The words καθὼς παρελάβετε παρʼ ἡμῶν τὸ πῶς δεῖ ὑμᾶς περιπατεῖν καὶ ἀρέσκειν θεῷ (“just as you received from us how it is necessary for you to behave and to please God”) refer to the ethical norms and patterns inculcated by Paul (the verb παραλαμβάνω is often a technical term for the reception of authoritative tradition) among the Thessalonians at the time of their conversion to Christ. These norms and patterns were based on traditional OT and Jewish behavioral codes and practices as well as on some drawn from Hellenistic philosophies (Holmberg, Paul and Power, 71). Taken together they constituted the distinctive Christian way of life that Paul required of his converts, as the words “how it is necessary for you to behave and to please God” indicate. The patterns of conduct Paul enjoined on his converts were intended to separate them from the pagan social world out of which they had come and to facilitate harmony and a common identity among the members of the newly formed community (see Meeks, First Urban Christians, 97–103). The second καθώς clause, καθὼς καὶ παριπατεῖτε (“just as also you do behave”), stresses that Paul wished his readers to continue doing what they were already doing in their Christian live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48–149.
‘너희가 행하는 바라’라는 표현은 ‘페리파테이테’로 ‘페리파테오’의 현재 직설법 시제로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지금도 적극적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1:3, 3:5-7) 
‘많이 힘쓰라’라는 표현인 ‘페릿슈에테’는 앞서 3:12의 ‘넘치게 하사’로 번역된 단어와 원형이 같다. 이 원형인 ‘패릿슈오’는 차고 넘치도록 풍성한 것을 의미하는 동사이다.(고후 8:2, 빌 4:12) 
live. One of Paul’s favorite words to describe the Christian life (32 occurrences). please God. The notion of pleasing God as the goal of human conduct stems from the OT (Num 23:27; 1 Kgs 14:13; Job 34:9; Pss 19:14; 69:31; Prov 15:26; 16:7; Mal 3:4) and is another of Paul’s favorite terms for right behavior (1 Thess 2:4, 15; Rom 8:8; 1 Cor 7:32–34; 2 Cor 5:9; Gal 1:10; Eph 6:6; Col 1:10; 3:22). as in fact you are living … do this more and more. Although the Thessalonians have made progress in living a God-pleasing Christian life, Paul desires even further growth. we ask you and urge you. Paul resorts to “commanding” his readers only if the situation is serious and requires it (2 Thess 3:6). Normally, he employs softer, more user-friendly language of “asking” or “urging” (here; 4:10b; 5:12, 14; 2 Thess 2:1; Rom 12:1–2; 15:30–32; 16:17; 1 Cor 1:10; 4:16; 16:15–16; 2 Cor 10:1–2; Phil 4:2 [twice]; Phlm 9–12 [twice]). Yet even then (as here) he speaks in an authoritative manner (“in the Lord Jesus”) that indicates his appeal must be obeyed (see note on v. 2).
OT Old Testament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4.
 
2절) ‘우리가 준 것을’은 ‘에도카멘’은 부정 과거이며, ‘너희가 아느니라’는 ‘오이다테’로 현재 완료이다. 즉 바울이 그들에게 명령을 준것은 과거의 일이며,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아는 것은 과거에 알기 시작해서 지금도 계속해서 알고 있다라는 의미이다. 이는 이 명령이 새로운 것이 아님을 재차 강조하는 것이다. 
‘명령’은 ‘파랑겔리아스’는 장교가 자기 부하들의 행진을 지도할 때 내리는 구령과 같이 반드시 이행해야할 권위있는 명령을 가리킨다. 그런데 그 명령의 권위가 주 예수로 말미암은 것이다 
instructions (Gk. parangelia). Originally a military word, it usually denotes authoritative commands.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8.
 
He wants his readers to remember τίνας παραγγελίας ἐδώκαμεν ὑμῖν (“what commands/instructions we gave to you”) because these were the organizing principles for their Christian lives. The noun παραγγελία occurs only in this verse in the undisputed Pauline letters, but the verb παραγγέλλειν appears several times (1 Cor. 7:10; 11:17; 1 Thes. 4:11; 2 Thes. 3:4, 6, 12). The passages in which Paul uses either the verb or the noun “have the character of authoritative apostolic ordinances, behind which stands the full authorisation of Christ Himself” (O. Schmitz, TDNT V, 764). This is particularly clear here, as the phrase διὰ τοῦ κυρίου Ἰησοῦ (“through the Lord Jesus”) reveals. Although the prepositional phras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ee Best, 157f. and Marshall, 105f.), διά with the genitive of the person frequently indicates the originator of an action. Here it probably goes with the verbal idea implicit in the noun παραγγελία, referring thereby to the authoritative instructions that Paul had given to the Thessalonians. Thus the thought, but not the grammar, is very similar to 1 Cor. 7:10, where Paul writes, “To those who are married I command (παραγγέλλω), not I but the Lord.…” Paul may have given the instructions or commands, but they were from Christ and therefore carried the authority of Christ as Lord (cf. Frame, 144).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49.
 
3절) 뜻에 해당하는 헬라어 단어는 ‘텔레마’인데 이는 ‘뜻, 의지, 소원’을 의미하는데 특히 다른 대안보다 한 가지를 선호하는 마음가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텔레마 투 데우’는 하나님이 바라시는 소원, 하나님이 원하시는 뜻을 의미한다. 
‘거룩함이라’는 ‘하기아스모스’라는 명사로 드려짐의 결과로 이루어지는 성결을 의미한다. 우리 그리스도인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드려진 존재로 세상과 구별된 성결한 자이며, 삶 속에서 성결을 이루어 가야할 자이다. 
‘음란을 버리고’라는 표현을 직역하면 ‘너희를 음란으로부터 스스로 삼가고’라는 의미이다. ‘버리고’로 번역된 ‘아페케스다이’는 ‘아페코마이’의 중간태로서 동사의 동작의 결과에 주어도 참여함을 나타낸다. ‘음란’으로 번역된 ‘포르네이아’는 모든 형태의 성적 방종을 가리키는 단어로 음행으로 번역된다. 
당시 헬라 문화속에서는 성욕을 절제한다는 것이 부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졌다. 그래서 대부분의 남자들은 결혼 관계 외에 다른 여성, 미소년, 창기들과 성관계를 맺고 살아갔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바울은 성도들을 향한 하나님의 뜻을 제시하면서 성결한 삶, 음행을 버리는 삶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성령이 거하시는 성령의 전이기에 음란을 행하는 것은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히는 죄가 된다.
음란을 두려워하는 이유는 먼저 유대인에게 이러한 모든 형태의 음란에 참여하는 것은 모든 성적 부도덕과 더러움으로부터의 분리를 요구하시는 거룩하신 하나님을 버리는 것이기 때문이며, 비 유대인들은 이러한 성적 부도덕이 우상숭배의 직접적인 결과라는 믿음때문이다. 이러한 바울의 요구는 헬라 문화속에 차별성을 던져주었다. 매우 고결한 도덕적 수준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πορνεία -ας, ἡ; (porneia), 명사. 음란, 성적 부도덕. 히브리어 등가: תַּזְנוּת (14), זְנוּנִים (9), זֹנָה (4), זְנוּת (4).
명사 용법
1. 성적 부도덕 — 도덕적으로 부적당한 성적 행동; 특히 매춘과 관련하여. 관련 주제: 음탕; 부도덕.
마 5:32 παρεκτὸς λόγου πορνείας ποιεῖ
마 19:9 μὴ ἐπὶ πορνείᾳ καὶ
고전 5:1 Ὅλως ἀκούεται ἐν ὑμῖν πορνεία, καὶ τοιαύτη
골 3:5 πορνείαν, ἀκαθαρσίαν, πάθος, ἐπιθυμίαν κακήν, καὶ τὴν
살전 4:3 ἀπέχεσθαι ὑμᾶς ἀπὸ τῆς πορνείας, εἰδέναι ἕκαστον
명사. 명사
 Rick Brannan, ed., Lexham 헬라어 성경 어휘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that you abstain from sexual immorality. For former pagans, the lure of sexual sins was strong (see 1 Corinthians 5–6). By using the Greek term porneia (which referred to adultery, fornication, or other sexual immorality), Paul forbids any sexual activity outside the bounds of heterosexual marriage (see Eph. 5:3; 1 Pet. 1:15–22).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8.
 
4절) ‘자기의 아내 대할 줄을 알고’는 각주에’ 자기 몸을 절제할 줄 알고’라고 표시되어 있다. 본문에 아내라고 번역된 ‘스큐오스’는  문자적으로 ‘그릇, 용기’의 의미를 지니는데 하나님이 쓰시는 사람(딤후 2:21)이라는 의미와 영혼이 내재하는 몸이라는 의미(고후 4:7)를 지닌다. 하지만 본절 이외에 신약 성경에서 아내의 의미로 사용된 곳은 없다. 사람의 몸이 영혼을 담거나 사람이 그릇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처럼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해 그 뜻대로 사용하신다는 의미로 이 단어가 사용되었다. 본문과 비슷한 의미로는 벧전 3:7에서 사용되었다. 
베드로전서 3:7
7남편들아 이와 같이 지식을 따라 너희 아내와 동거하고 그를 더 연약한 그릇이요 또 생명의 은혜를 함께 이어받을 자로 알아 귀히 여기라 이는 너희 기도가 막히지 아니하게 하려 함이라
위 본문에서 ‘스큐오스’는 ‘아내’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영어 주석에서 sex로 번역된 스큐오스(skeuos)는 종종 “그릇, 항아리, 용기”를 의미하나, 또한 신약성경 안에서 인간을 하나님에 의해 창조되고 그분이 사용하시도록 의도된 “그릇”으로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행 9:15; 고후 4:7; 딤후 2:21). 여성이 “더 약한 그릇”으로 불린다는 사실이 남성 역시 “그릇”으로 간주됨을 암시하기에, 여기에는 경멸적인 뉘앙스가 전혀 없다. 그 용어는 모든 사람, 곧 남성들과 여성들 모두에 대한 하나님의 창조를 회상시키며, 또한 인간의 연약성, 우리의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의무도 상기시킨다.
두 어구, “여성”과 “더 연약한 그릇”이, “귀히 여기라”보다는 “함께 거하라”라는 명령에 연관된다는 이해도 가능하다는 주장도 주목되어야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질 수 있다. “지식을 따라, 더 약한 그릇이요 여성적인 특징을 지닌, 너희 아내와 함께 거하라”(참조, NASB, TEV). 문법적 근거만으로는 이러한 읽기와 RSV의 읽기(그리고 NIV, AV) 사이를 결정하기는 가능하지 않다. 문맥상의 주장에 따라서도 한쪽만으로 결론을 내릴 수 없다.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1963.
TEV Today’s English Version, 1976 (= Good News Bible).
RSV Reviesd Standard Version: New Testament, 21971; Old Testament, 1592; Common Bible, 1973.
NIV The Holy Bible, New International Version: New Testament, 21978; Old Testamnet, 1978.
AV Authorized Version (King James), 1611.
 왕인성識, “역자 서문,” in 베드로전서, ed. 진규선, trans. 왕인성, 초판., vol. 17, 틴데일 신약주석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4), 222.
 
영어 번역본중 RSV만 ‘wife’로 번역했고 KJV은 ‘his vessel’, NASB와 NKJV은 ‘his own vessel’, NIV는 ‘control your own body’, ESV는 ‘his own body’로 번역했다.  이처럼 ‘슈큐오스’를 아내로 해석할 수도 있고 자신의 몸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면 이후 ‘대하다’라고 번역된 ‘크타스타이’의 원형은 ‘크타오마이’로 ‘가지다, 얻다, 손에 넣다’라는 의미로 ‘아내를 취하다’의 의미가 좀더 자연스럽다. 이는 당시 문화속에서 여인, 아내를 성적인 대상으로 삼았던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자기의 몸을 통제할 줄 알고’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즉 본문을 아내를 취하는 것으로 보던지 자기 자신의 몸을 통제하는 것으로 보던지 자신의 몸을 정욕에 방임하지 않고 스스로 통제하여 결혼의 관계안에서 자신에게 주신 아내와 관계를 가진다라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결국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에게 자신들의 몸을 거룩함과 존귀함으로 통제하여 아내만을 취하라고 명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거룩함과 존귀함으로’는 ‘엔 하기아스모 카이 티메’인데 도덕적 성결로서의 거룩을 의미하는 ‘하기아스모스’와 객관적으로 고귀한 가치가 있는 것에 부여하는 영예와 존경을 의미하는 ‘티메’의 표현이다. 
 
The meaning of σκεῦος has been in question since the patristic period. Some like Theodore of Mopsuestia and Augustine understood it to mean “wife” with the resultant translation, “that each one of you know how to take a wife for yourself in holiness and honor” (cf. RSV). Others like Tertullian and John Chrysostom believed that it denoted “body,” which led them to interpret the clause as “that each one of you know how to keep your own body in holiness and honor” (cf. NEB; NIV). (For patristic references see C. Maurer, TDNT VII, 365 nn. 48f.)
That σκεῦος means “wife” has been argued in the twentieth century by such scholars as Frame (149f.), Maurer (op. cit., 365–367), Best (161–164), Friedrich (237f.), and Holtz (157f.). This view rests on the figurative use in Rabbinic writings of Hebrew kelı̂, which corresponds to Greek σκεῦος, of women and, as Maurer (361f.) has shown, euphemistically of sexual intercourse with a woman with verbs like “use” and “make.” Maurer also maintains that Paul probably translated the technical Hebrew expression from the OT bāʿal ʾišâ, meaning “possess a woman sexually,” by the Greek phrase κτᾶσθαι γυναῖκα and then simply substituted σκεῦος for γυνή. This implies that the wife is merely a sexual object who is possessed by her husband.
Quite apart from the low view of women that it predicates of Paul, this interpretation presents several problems. The Thessalonians did not know Hebrew and therefore Paul could not rely on them to make the kind of connections made by Maurer and others in arriving at this interpretation. Moreover, it leaves unexplained why Paul used an ambiguous and even obscure expression when he could have made his point with the normal Greek word for woman/wife, γυνή. Maurer’s appeal to 1 Pet. 3:7, where ὡς ἀσθενεστέρῳ σκεύει τῷ γυναικείῳ (“the woman as the weaker vessel”) occurs, actually works against his understanding, as σκεῦος there refers to the woman’s body. It also implies that men are also “vessels,” so that σκεῦος is not synonymous with “wife” in 1 Pet. 3:7 at all. A final point against the interpretation of σκεῦος as “wife” is that this understanding does not suit the context in 1 Thes. 4:3b and 5, where illicit and undesirable sexual behavior is proscribed. A command to keep or possess a wife in holiness and honor (Maurer, op. cit., 366 and Best, 162 argue that κτᾶσθαι has a durative force here rather than its normal sense of “to acquire” or “to gain”) would seem to have little to do with concern about illicit sex (v. 3b) or uncontrolled sexual desire (v. 5).
Given the problems attached to understanding v. 4 as referring to the proper attitude of husbands toward their wives, it seems better to understand σκεῦος as connoting the human body in its sexual aspect, that is, as a euphemism for the genitalia. This view has been maintained by such contemporary scholars as Rigaux (504–506), Morris (123f.), Marxsen (60f.), Bruce (83), and Marshall (108f.) and is the most natural interpretation of σκεῦος. σκεῦος meant not only “vessel” but also “tool” or “implement” and is used of the human body in 2 Cor. 4:7 and 1 Pet. 3:7. It was also a recognized euphemism for the genital organs in Greek (see LSJ, 1607). It is perhaps worth noting that the Hebrew root kelı̂ is used of the male sexual organ in 1 Sa. 21:5f., where the Septuagint (1 Kgdms. 21:5f.) translates it with σκεῦος, although this distorts the meaning of the original Hebrew, perhaps intentionally.
κτᾶσθαι probably has the sense “to gain control or mastery” here, and even though the pronouns are masculine the instruction to gain mastery over the desires associated with the genital organs would apply equally to women. Thus Paul exhorts the members of the Thessalonian Christian community to avoid sexual immorality of any sort (v. 3b) and to exercise control over their own sexual drives ἐν ἁγιασμῷ καὶ τιμῇ (“in holiness and honor”).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NEB New English Bible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LSJ H. G. Liddell and R.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revised and augmented by H. S. Jones and R. McKenzie. Oxford: Clarendon Press, 1968.
1 Kgdms. 1, 2, 3, 4 Kingdom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52–153.
 
5절) 본문에 ‘색욕’에 해당하는 원어는 ‘파데이 에피뒤미아스’이다. 파데이의 원형 ‘파도스’는 고대 헬라 문헌에서는 감정을 의미하지만 신약에서는 수동적 의미에서의 정적 정욕이며 본성으로는 제어할 수 없는 육적 욕망으로 묘사된다.(롬 1:26, 골 3:5) ‘에피뒤미아’는 인간의 본성에서 나오는 적극적인 악한 욕망을 의미한다. 바울은 이런 부정적인 의미의 표현을 이중으로 사용함으로 인간 본성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제어할 수 없는 성적 욕망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의 특성은 색욕을 좇는 삶이었다. 이처럼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소견에 옳은대로 살아간다. 하나님께서는 일반계시를 통해서 하나님을 알만한 것들을 보이셨다(롬 1:19). 하지만 하나님을 알려고도 하지 않고 알되 우상을 섬겼다. 이에 하나님께서 마음의 정욕대로 더러움에 내버려 두심으로 몸을 서로 욕되게 하였다.(롬 1:24)
 
The thought of v. 4 is continued in this verse by a negative observation concerning the Gentiles or, as they must be understood in this text, non-Christian and non-Jewish people: μὴ ἐν πάθει ἐπιθυμίας καθάπερ καὶ τὰ ἔθνη τὰ εἰδότα τὸν θεόν (“not in the passion of desire like pagans who do not know God”). Both πάθος (“passion”) and ἐπιθυμία (“desire”) can have pejorative connotations. For example, in Gal. 5:24 Paul speaks of those who belong to Christ as having crucified the flesh with its passions (τοῖς παθήμασιν) and desires (ταῖς ἐπιθυμίαις; cf. Col. 3:5). Although this may refer to something broader than sexual passions and desires, it undoubtedly includes them. In 1 Thes. 4:5 the context demands an allusion to unwholesome sexual passion driven by a desire for what is forbidden.
Such behavior was from the Jewish standpoint typical of pagan existence and connected with Gentile idolatry (see comments on 4:3). Paul takes up this stereotypical representation from Jewish literature with “like pagans who do not know God,” attributing the sexual immorality of the pagans to their ignorance of God (cf. Rom. 1:24–27). He does this to provide a clearly negative contrast to the proper Christian sexual conduct set forth in v. 4. At the same time it emphasizes the separation of Christians from their pagan neighbors.
This verse is of interest for another reason unrelated to its principal thought. From the Jewish point of view humanit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Jews and Gentiles (τὰ ἔθνη). Here Paul differentiates between his converts at Thessalonica and the pagan Gentiles. While he could refer to Gentiles as offspring of Abraham by virtue of their faith (cf. Gal. 3:6–9, 28f.), he nowhere speaks of them as “Jews,” since this was an ethnic distinction. By the time of Ignatius of Antioch early in the second century Christians were speaking of three races instead of two: Jews, Gentiles, and Christians. Already this distinction is implied here with Paul’s distinction between his converts at Thessalonica and the Gentiles. The majority of the Christians at Thessalonica had come from the ranks of the Gentiles, but their conversion gave them a new identity. They had not, however, become Jews, and therefore they represented a distinctively new grouping of humanity from Paul’s perspective (cf. Gal. 3:28; Col. 3:11).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53–154.
 
6절) ‘이 일에’는 ‘토 프라그마티’로 ‘프라그마’는 ‘행위, 사실, 사건’의 의미로 ‘논의 되고 있는 문제, 소송’를 의미한다. ‘토’는 ‘this’에 해당되는 의미로 지금 논의 중인 문제, 즉 음란과 색욕을 좇는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분수를 넘어서 해한다’라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분수를 넘다’로 번역된 ‘휘페르바이네인’의 원형 ‘휘페르바이노’는 ‘~을 넘어서, ~이상의’의 ‘휘페르’와 ‘걷다’라는 의미의 ‘바이노’의 합성어로 ‘금지되어 있는 선을 넘어가다’라는 뜻이다. 이 단어는 신약성경에서 이곳에서 한번 사용된다. 여기서 넘어가서는 안되는 선은 혼인 관계로 즉 혼인 관계를 넘어서서 타인의 아내를 취함으로 형제를 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회 안에서 타인의 아내를 넘보고 이를 취하는 것은 그 형제에게 막대한 해를 끼치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Several factors militate against this interpretation. In the first place the τὸ μή construction is uncertain in meaning (Frame, 151f.). That a new subject is being introduced seems unlikely since a transition to business ethics would be abrupt in the context, and v. 7 seems to refer to sexual aberrations, the theme of vv. 3–5. The prepositional phrase ἐν τῷ πράγματι cannot be taken to mean “in business affairs,” as Beauvery and Holtz suggest, because the noun has never been shown to have a peculiarly commercial connotation (Frame, 153; C. Maurer, TDNT VI, 639) and the singular form of τῷ πράγματι does not suit a general reference. The most natural meaning of ἐν τῷ πράγματι is “in this matter,” referring back to the theme of sexual immorality introduced in v. 3. If this interpretation is correct it confirms the view that τὸ μή is resumptive in force.
The argument that the infinitives ὑπερβαίνειν and πλεονεκτεῖν best fit a commercial context is also specious. The former denotes an overstepping of something or, figuratively, transgression of some law or command, and therefore lacks any specific commercial connotations. The latter refers to desire to claim more than one’s fair share or to taking advantage of someone. While this could have an economic connotation, it need not, since it is equally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someone or to “desire” what one has no right to in sexual matters. That v. 6a does not make any sense in connection with the marriage relation discussed in v. 4 is based on a faulty interpretation. In all probability v. 4 refers to premarital and extramarital sexual affairs, not to a husband’s attitude toward his own wife, as was shown above.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54–155.
 
‘신원하여 주다’라는 표현은 ‘엑디코스’로 ‘~로 부터’의 ‘에크’와 ‘공의, 형벌’의 ‘디케’의 합성어로 ‘공의에 입각하여 처벌하는 것, 원수 갚는 자’라는 의미이다. 주님께서는 형제를 해하는 일에 대해서 주께서 공의에 입각하여 원수를 갚아주실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시 94:1) 해함을 당한 형제가 힘이 없고, 공권력이 이 일에 대해서 처벌하지 않는다고 해도 주께서는 이를 기억하고 보복하실 것임을 기억해야 한다. 
 
‘너희에게 미리 말하고 증언한 것’ ‘프로에이파멘'의 원형 ‘프로에이폰’는 ‘미리 이전에 말하다, 공개적으로 명백히 말하다’의 의미를 지닌다. ‘증언한’은 ‘디에마르티라메다’로 ‘사실을 먼저 확인하여 엄숙하게 무언가를 주장하다’라는 의미이다. 본절의 내용을 통해서 바울의 일행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하나님의 뜻인 거룩함을 추구하고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인과 같이 색욕을 좇지 말것에 대해서 분명하게 증거하고 강조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7절) 7절은 ‘가르’라는 접속사로 시작된다. 이는 ‘왜냐하면, for’에 해당되는 표현인데 이는 3-6절 전체를 받고 있다. 말하자면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음란과, 색욕 같은 성적 범죄에 자신을 드려서는 안되는 이유가 바로 하나님께서 우리를 거룩하게 하시기 위해서 부르셨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나를, 성도들을 부르신 목적을 분명하게 알 때 우리는 하나님의 그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기 위해서 노력하게 된다. 
‘부르심은’에 해당하는 ‘에칼레센’은 ‘부르다’라는 의미를 가진 ‘칼레오’의 부정과거 능동태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미 과거에 능동적으로 부르셨다는 의미이다. 부도덕하고 각종 죄악으로 가득찬 세상으로부터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몇몇을 구별하여 불러내셨다는 것이다. 이처럼 하나님의 기쁘신 뜻대로 세상으로부터 불러냄을 받은 자들의 모임이 바로 ‘에클레시아’ 교회이다. 교회는 밖으로 불러냄을 받은 자들이라는 의미이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아카다르시아’가 아니라 ‘하기오스모스’를 위하여 부르셨다. 부정이 아니라 거룩을 위하여 부르셨다. 
called. When the Thessalonians embraced Paul’s gospel, they were responding to God’s effectual call (see note on Rom. 8:30; cf. note on 1 Thess. 1:4). That call did not have as its goal impurity but rather a life of holiness.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9.
 
The negative view of their call, expressed in the words “God did not call us to uncleanness,” is contrasted with a positive understanding in the words ἀλλʼ ἐν ἁγιασμῷ (“in holiness”). The change to the preposition ἐν serves to stress the contrast between the negative understanding of the call and its positive dimension. ἐν can be used in place of εἰς with the verb καλεῖν (“to call”; see 1 Cor. 7:15), but as Turner (Syntax, 263) notes, this may well be a pregnant construction of Paul’s that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to the “in Christ” formula. If this is correct, the meaning is that the Thessalonians were called “into the sphere where God’s sanctification takes place.” This picks up the theme of 4:3. The emphasis, however, is not on the readers’ need to strive for sanctification but rather on the fact that Christian existence is to be lived in the sphere of God’s holines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57.
 
8절) 본문에서 사용된 그러므로는 ‘토이가로운’으로 신약에 두번 사용된다.(히 12:1) 이는 ‘토이가르’의 강조형으로 앞선 것으로부터의 논리적 추론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The unusual particle τοιγαροῦν (“for that very reason”) occurs in the NT only here and in Heb. 12:1. It is a strengthened form of τοιγάρ indicating a logical inference from what has preceded: if God has called Christians to live in holiness (ἁγιασμός), it follows that to live in sexual debauchery (ἀκαθαρσία) constitutes a rejection of God’s call.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57.
 
 ‘저버리는’의 의미인 ‘아데테오’는 본래 어떤 법규정이나 언약 등의 효력을 폐지하고 무효로 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이다.(갈 3:15, 히 10:28) 그러나 일반적으로 ‘거절하다, 무시하다’의 의미로 더 많이 쓰인다. 그렇다면 본문에서 무엇을 저버렸다는 것인가? 본문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현재 논의되고 있는 성적 방종을 버리고 거룩함을 추구하라는 바울의 교훈을 의미한다. 이렇게 하나님이 바울을 통해서 명하신 이 명령을 저버리는 사람은 사람을 저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 명령을 주신 하나님을 저버리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당시 데살로니가 교회에는 영지주의자들이 들어와 바울이 가르친 엄격한 교훈을 잊어버리고 성윤리에 대한 좀더 너그러운, 자유로운 태도를 취할 것을 권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이것이 하나님의 법을 저버리는 것이 아니라고 유혹한 것이다. 이에 바울은 이 명령이 자신으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라 성령을 주신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성도들에게 성령을 지속적으로 주시는 분이시다. 그렇기에 하나님이 명하신 이 성적 윤리를 어기는 것은 하나님의 성령의 전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는 것이 아님을, 하나님을 저버리고 무시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말한다. 
 
The main clause of v. 8, τοιγαροῦν ὁ ἀθετῶν οὐκ ἄνθρωπον ἀθετεῖ ἀλλʼ τὸν θεόν (“for that very reason the one who rejects [these things] does not reject humanity but God”) is a negative statement closely related to a tradition found in somewhat different forms several places in the Gospels (see Mk. 9:37 par.; Mt. 10:40; Lk. 10:16; Jn. 12:44; 13:20). Its antecedents occur in the OT, as 1 Sa. 8:7 shows. The closest of the Gospel parallels is Lk. 10:16: ὁ ἀκούων ὑμῶν ἐμοῦ ἀκούει, καὶ ὁ ἀθετῶν ὑμᾶς ἐμὲ ἀθετεῖ (“the one hearing you hears me, the one rejecting you rejects me”). Whether Paul knew this particular form of the tradition and modeled v. 8 on it cannot be determined because he might well have based his saying on the principle that lies behind Lk. 10:16 without knowing Jesus’ saying.
The principle involved concerns the Jewish idea of the šālı̂aḥ, who was the appointed representative of another. According to the rules of conduct associated with šālı̂aḥs, the representative of a person could act in his place with full legal rights. To receive or to reject such a representative was to receive or reject the sender. (For studies on the šālı̂aḥ principle see K. H. Rengstorf, TDNT I, 413–420; Borgen, “God’s Agent”; Barrett, “Shaliaḥ”).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because the idea of apostleship in early Christianity had its roots in the šālı̂aḥ tradition of Jewish thought (Rengstorf, 421).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57–158.
 
6-8절) 바울은 성도들로 하여금 성적인 행위와 관련하여 거룩한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는데 이는 서로 다른 시기와 삼위일체와 관련이 있다. 1)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장차 오심으로 ‘이 모든 일에 대해서 주께서 신원하시기에’(6절), 2) 하나님의 과거의 선택 행위, '우리를 거룩하게 하기 위해 부르신 하나님’(7절), 3) 성령의 현재 역사하심, ‘거룩한 삶을 살도록 믿는 자에게 능력을 주심’(8절) 
Paul gives three reasons why believers must live a holy life with regard to their sexual conduct, and each reason involves a different time period and person of the Trinity: (1) the future coming of the Lord Jesus Christ to “punish all those who commit such sins” (v. 6); (2) the past electing action of God, who “calls us … to live a holy life” (v. 7); and (3) the present working of the Holy Spirit, whom “God gives” to empower believers to live a holy life (v. 8).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4.
 
 
HOLINESS
Andrew David Naselli
Holiness is woven through the Bible’s storyline. The holy God created holy people who became unholy. He later selected Israel as his holy people, but they repeatedly failed to be holy. Jesus, who embodies holiness, made his people holy, so Christians are holy and must strive to live in a holy manner, however imperfectly, until God consummates his plan to make his people holy.
HOLINESS PERSONIFIED: GOD
Many people equate holiness with taboos. The Bible equates it fundamentally with God.
What Is Holiness?
“Holiness” is commonly defined as being separate or set apart. God is holy in that he is set apart from everything that is not God, and God’s people must be holy by being set apart from sin. So holiness,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is separateness that entails moral purity. But that does not sufficiently describe the essence of holiness or distinguish different senses in which people and things can be holy. There is a sense in which only God is holy and another sense in which others can be holy.
God Is Holy
In its most focused usage, “holy” is an adjective uniquely associated with God. “Holy, holy, holy is the Lord Almighty” (Isa 6:3; cf. Rev 4:8). Surely this loses something if rendered “Separate, separate, separate” or “Moral, moral, moral.” Saying “God is holy” is like saying “God is uniquely God” or “God alone is God”: the word “holy” in such a context becomes almost an adjective for God. That God swears by his holiness (Ps 89:35; Amos 4:2) is equivalent to saying that he swears “by himself” (Amos 6:8). God is supremely and exclusively God. He has no rivals. As uniquely excellent, he is his own category: “There is no one holy like the Lord; there is no one besides you” (1 Sam 2:2; cf. Exod 15:11; Ps 77:13; Isa 40:25). The Bible calls God “the Holy One” over 50 times and calls the Spirit of God “the Holy Spirit” over 90 times.
People and Objects Are Holy in Relation to God
God alone is innately holy (Rev 15:4). His name is holy (Isa 57:15). Yet the use of the word “holy” stretches out in widening circles to apply to people and things. If human beings or things are holy, they are holy only derivatively—not because they are divine or moral but because God restricts them for his special use. In a broad sense, everything belongs to God, but in a more narrow sense, some things and people belong exclusively to God in a special way. For example, heaven—God’s dwelling place—is holy (Deut 26:15), and God refers to angels as his “holy ones” (Ps 89:5–7) and “the holy angels” (Mark 8:38).
HOLINESS LOST: HUMANS
Adam and Eve were the crown of God’s good creation, and they walked with God in the sanctuary of Eden. But the sinless couple sinned and lost their holiness, so God expelled them from his presence (Gen 1–3; Eccl 7:29). (See “Creation,” p. 2330, and “Sin,” p. 2332.) The story of the Bible is, from one perspective, about how God is working to restore to an even greater degree the holiness that our first parents forfeited.
HOLINESS ESTABLISHED AND PRACTICED: ISRAEL
God later selected Israel to become his holy people as he dwelt among them. The OT calls God “the Holy One of Israel” over 30 times.
Israel Was Holy
Following the exodus of God’s people from Egypt, Israel became a holy nation because God was uniquely present with them. Israel was God’s special people: “You are a people holy to the Lord your God. The Lord your God has chosen you out of all the peoples on the face of the earth to be his people, his treasured possession” (Deut 7:6; cf. Exod 19:4–6; Deut 14:2).
In the OT, holiness is usually associated with God’s special presence in theophanies (see note on Deut 4:24) or at Israel’s tabernacle and temple. God’s holiness radiated outward from the Most Holy Place, making everything associated with it holy: the building and courtyard (Lev 16:15–16; Ps 79:1); the furniture and utensils (Exod 30:26–29; Num 4:14–15); the priests and their clothing (Exod 29:21; Lev 21:6–8); the sacrifices, offerings, and tithed crops (Lev 27:30; Num 18:17); and the oil, incense, and censers (Exod 30:25, 34–37; Num 16:37). (See “Priest,” p. 2342, and “Sacrifice,” p. 2344.)
Israel Was Responsible to Be Holy
God commanded Israel, “You are to be my holy people” (Exod 22:31). “Be holy, because I am holy” (Lev 11:44–45; cf. Lev 19:2; 20:7; 21:8). “You are to be holy to me because I, the Lord, am holy, and I have set you apart from the nations to be my own” (Lev 20:26).
Israel was responsible to regard God as holy (Isa 8:13) by obeying his commands regarding rituals and morality (Num 15:40; Deut 28:9; cf. Num 20:12). They were to keep God’s Sabbaths holy (Exod 20:8–11), and the priests were to “distinguish between the holy and the common, between the unclean and the clean” (Lev 10:10). Uncleanness, which is linked to imperfection and death, is the opposite of holiness, which is linked to wholeness and life. God’s instructions about cleanness and uncleanness covered all spheres of life, including diet, purification after childbirth, skin diseases, infections, and bodily discharges, and they reminded the people of their holy calling (Lev 11–15).
But because Israel continually profaned their holy God, who judges unholy people (2 Kgs 17:7–23; 2 Chr 36:15–16), God graciously met the need of sinful humans with a holy Savior.
HOLINESS EMBODIED AND ACCOMPLISHED: JESUS
Jesus Is Holy
“Who can stand in the presence of the Lord, this holy God?” (1 Sam 6:20). Only one can stand on his own merits: Jesus. He is “holy and true” (Rev 3:7; 6:10). Jesus is the one whom “the Father set apart as his very own” (John 10:36). The angel Gabriel announced to Mary, “The holy one to be born will be called the Son of God” (Luke 1:35). An unclean demon recognized Jesus as “the Holy One of God” (Luke 4:34). Jesus made unclean people clean by touching them, and he never became unclean because he is inherently holy. Peter called Jesus “the Holy One of God” (John 6:69), “the Holy and Righteous One” (Acts 3:14), and God’s “holy servant” (Acts 4:27, 30).
Jesus Makes People Holy
Jesus is both the Holy One and “the one who makes people holy” (Heb 2:11). He is “our righteousness, holiness and redemption” (1 Cor 1:30). His perfect life and sacrificial death satisfied God’s holy wrath against sinners: “We have been made holy through the sacrifice of the body of Jesus Christ once for all” (Heb 10:10). “Jesus also suffered outside the city gate to make the people holy through his own blood” (Heb 13:12).
To serve in God’s presence, OT priests were made holy by a consecration ritual involving atonement, purification, and eating a special meal. These same elements also underlie the Passover ritual, by which God consecrated Israel as a holy nation. This pattern continues in the NT: Jesus brings about a new exodus that consecrates believers as holy. God is uniquely present with the church, composed of both Jewish and Gentile Christians, because it is “a holy temple in the Lord” (Eph 2:21; cf. 1 Cor 3:17). God has chosen Christians to be “a holy priesthood”; they are “a chosen people, a royal priesthood, a holy nation, God’s special possession” (1 Pet 2:5, 9). (See “Exile and Exodus,” p. 2347, and “Temple,” p. 2340.)
HOLINESS APPLIED AND PRACTICED: CHRISTIANS
Many theologians sharply distinguish justification from sanctification. (“Sanctify” means to make holy.) Justification is the instantaneous, completed act in which God declares a believing sinner to be righteous, and sanctification is the progressive, incomplete, lifelong maturing process in which a Christian is gradually made more holy. Those are valid and important systematic categories, but the latter category can confuse people because the NT letters present three tenses of sanctific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A Christian can say, “I am sanctified. I am being sanctified. And I will be sanctified.”
Past. Definitive or positional sanctification occurs when God sets people apart for himself at the moment they become Christians.
Present. Progressive sanctification is what many Christians today refer to as sanctification (see above).
Future. Ultimate sanctification corresponds to glorification. This happens when God sets his people apart from sin’s presence and possibility.
Christians Are Holy
When the Bible refers to Christians as “holy” or “sanctified,” it usually refers, not to progressive sanctification, but to definitive or positional sanctification (e.g., Rom 1:7; Eph 1:1; 5:3; Col 1:2, 12; 3:12; 2 Thess 1:10; Heb 2:11; Jude 3; Rev 13:7). In this sense, every Christian is a saint; every Christian is holy; every Christian is sanctified. For example, Paul addresses the church at Corinth as “those sanctified in Christ Jesus and called to be his holy people” (1 Cor 1:2; cf. 1 Cor 6:11). They were already “sanctified” even though they were failing to be holy in several areas.
Christians Are Responsible to Be Holy
God commands Christians, “Just as he who called you is holy, so be holy in all you do; for it is written: ‘Be holy, because I am holy’ ” (1 Pet 1:15–16, quoting Lev 11:44–45). Christians must worship God by offering their “bodies as a living sacrifice, holy and pleasing to God” (Rom 12:1). Since Christians belong exclusively to God, they must reflect God’s moral character with “holy and godly lives” (2 Pet 3:11; cf. Rom 6:19, 22; 2 Cor 7:1). “It is God’s will that you should be sanctified: that you should avoid sexual immorality; that each of you should learn to control your own body in a way that is holy and honorable … For God did not call us to be impure, but to live a holy life” (1 Thess 4:3–4, 7). “Make every effort to live in peace with everyone and to be holy; without holiness
 
 Andrew David Naselli, “Holiness,”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364–2365.
728x90
11 Now may wour God and Father himself, and our Lord Jesus, xdirect our way to you, 12 and may the Lord ymake you increase and abound in love zfor one another and for all, as we do for you, 13 so that he may aestablish your hearts blameless in holiness before wour God and Father, at bthe coming of our Lord Jesus cwith all his saints.
w See Gal. 1:4
x 2 Thess. 3:5
y ch. 4:1, 10; Phil. 1:9; 2 Thess. 1:3
z ch. 4:9; 5:15
a James 5:8
w [See ver. 11 above]
b See ch. 2:19
c Zech. 14:5; Jude 14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3:11–13.
 
11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우리 주 예수는 우리 길을 너희에게로 갈 수 있게 하시오며
12 또 주께서 우리가 너희를 사랑함과 같이 너희도 피차간과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이 더욱 많아 넘치게 하사
13 너희 마음을 굳건하게 하시고 우리 주 예수께서 그의 모든 성도와 함께 강림하실 때에 하나님 우리 아버지 앞에서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3:11–13.
 
11-13절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향한 바울의 중보기도이다. 
The wish-prayer in 1 Thes. 3:11–13 contains three petitions that serve to draw the first main section of the letter to a conclusion. They reiterate: (1) Paul’s desire to visit the Thessalonians (v. 11; cf. 2:17–3:10, esp. 2:17f.; 3:6, 10); (2) his hope that their Christian love would increase and abound as his love for them abounds (v. 12; cf. 2:1–12, where Paul gives his own behavior as a model for his converts, and 3:6); and (3) his concern that they should persevere until the parousia or coming of Christ (v. 13; cf. 3:1–5). The implicit parenetic character of the last two petitions serves as a transition to the main parenetic section of the letter by introducing the themes of that section: holiness or Christian ethical behavior (4:1–12; 5:13–22) and the parousia (4:13–5:11).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40.
 
 
11절) 바울은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는 자신들의 길을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똑바로 나아갈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한다. 
본문에서 주어는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이다. 그런데 동사로 사용된 ‘갈 수 있게하다’라는 표현은 ‘카튜뒤나이’로 ‘카튜디노’의 부정과거 능동태 기원법 3인칭 단수의 표현이다. 엄밀하게 보면 주어는 복수인데 동사는 단수로 사용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원어의 처음 단어는 ‘아우토스’로 ‘himself, 친히’라는 표현이 하나님 아버지에만 사용된다. 이는 바울이 기본적인 문법을 모르고 글을 썼다기 보다는 오히려 문법에 맞지 않는 파격적인 표현을 통해서 하나님과 예수님의 두 신격을 하나로, 단수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성부 하나님과 성자 하나님의 두 신격이 동일 본질을 가진다는 삼위일체의 신비스러운 진리를 나타내기 위해서 이러한 파격 구문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카튜뒤나이’는 ‘카튀디노’의 부정과거 기원법 동사이다. 이는 ‘똑바르게 하다(make straight), 인도하다(guide)’라는 의미이다. 특히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평탄하게 인도한다는 개념이 담겨 있다. 
 
이 단어는 신약 성경에 3번(눅 1:79, 살후 3:5) 사용되었다. 인도하시는 주체는 모두 하나님이시다. 따라서 이 표현은 인간의 길을 평탄하게 인도하시는 분은 오직 하나님이심을 알려준다. 하여 이표현이 직행하다라는 의미라기 보다는 데살로니가 교회까지 가는 길에 있을 수 있는 수 많은 장애물들을 제거하여 평탄하게 갈 수 있게 해달라는 의미이다. 앞서 2:18에서 본것처럼 사탄은 여러 장애물들로 바울의 여정을 막은 바 있다. 
잠언 16:9
9사람이 마음으로 자기의 길을 계획할지라도 그의 걸음을 인도하시는 이는 여호와시니라
 
Paul employs the optative mood (κατευθύναι) in his prayer to indicate his wish, as was common in the period (cf. 3:12; 5:23; 2 Thes. 2:17; 3:5, 16; Rom. 15:5, 13). Some have argued that the singular form of the verb with the twin subjects God and Christ has important theological significance, demonstrating that Paul held to the oneness of God and the Lord Jesus (Neil, 71) or the full deity of Jesus (Morris, 111). Hewett (“1 Thessalonians 3:13,” 54), following A. T. Robertson, has shown that compound subjects occur regularly with singular verbs in the NT (see, e.g., Jas. 5:3; Mt. 5:18; Mk. 4:41) without this sort of implication. He quite correctly maintains that the articles occurring with each of the subjects (ὁ θεός … ὁ κύριος) indicate that God and the Lord Jesus were viewed as two separate personalities by Paul. The singular verb, however, reveals that Paul understood them as having a close relation. Thus although 1 Thes. 3:11 does not constitute evidence for a trinitarian theology in Paul, the basis for it was already being laid in the earliest Church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Jesus as the son of God who ruled in the place of God (see 1 Cor. 15:23–28; Phil. 2:6–11) and of the Spirit as the agent of God and Christ (Rom. 8:9–11).
κατευθύναι with the words τὴν ὁδὸν ἡμῶν πρὸς ὑμᾶς refers to Paul’s desire for God either to direct his way to the Thessalonians in the sense of leading him to return to them or to smooth his way in the sense of overcoming whatever obstacles might prevent him from returning (cf. 2:18). This prayer petition thus serves to reiterate Paul’s deep desire to revisit the Thessalonians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ir faith, and thereby it draws to a conclusion the main theme of Paul’s apostolic parousia in the second part of the narratio (2:17–3:10). This desire was only fulfilled much later when Paul returned to Corinth from Ephesus via Macedonia (cf. 1 Cor. 16:5; 2 Cor. 2:13; Acts 19:21; 20:1f.).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41–142.
 
12절) 본절의 주어도 주님(큐리오스)이시다. 바울은 주님께 우리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또한 모든 사람을 더욱 사랑할 수 있게 해주시기를 간구한다. 
본문의 사랑은 아가페 사랑이다. 먼저 주님이 그 사랑을 보여주셨고, 바울의 일행이 이것의 본을 보였고,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그 본을 따라 행할 수 있도록 기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아가페 사랑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않는 이타적 사랑으로(고전 13:5) 유모가 자기 자녀를 양육하는 것처럼(2:7), 자기 목숨까지도 내어줄 정도로(2:8), 아비가 자녀를 권면하듯(2:11) 사랑하였다. 이제 데살로나가 성도들이 그렇게 사랑할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피차간에 또한 모든 사람을 사랑할 것을 요청한다. '피차 간’아로 번역된 ‘에이스 알렐루스’는 ‘서로 서로를 향하여’라는 의미이다. 이는 성도들간의 사랑을 의미한다. ‘모든 사람에 대한’이라는 표현은 ‘에이스 판타스’로 ‘모든 사람을 향하여’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모든 사람은 불신자를 포함한 모든 이들, 적대자들까지도 포함된다. 이것이야말로 ‘데살로니가 현상’의 핵심이다. 복음을 듣고 본을 받고 성도들의 본이 되고 모든 이들의 본이 되는 삶을 살아내는 것이야말로 영향력을 끼치는 삶인 것이다. 본문에 사용된 ‘에이스’라는 전치사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다른 성도들을 향하여, 모든 사람을 향하여 사랑하기를 기도하는 것이다. 특히 ‘에이스’ 전치사는 역동적 운동의 개념이 있는데 땀흘리는 수고가 뒷받침되는 사랑을 기원하는 것이다. 
 
이어 본문에서 ‘더욱 많아 넘치게 하사’라는 표현에서는 두개의 기원법 동사가 사용되고 있다. ‘더욱 많아’는 ‘플레오나사이’이고 ‘넘치게 하사’는 ‘페릿슈사이’이다. ‘플레오나조’는 사용하고도 남을 정도로 풍성한 것을 의미하며(고후 4:15, 8:15), 페릿슈오도 같은 의미인데(요 6:13, 고후 1:5. 8:2) 후자가 더욱 강력한 의미이다. 그러니까 바울은 같은 의미의 동사를 사용하면서 점층적인 표현을 하고 있는 것이다. 
 
‘페릿슈오’의 히브리어 표현은 ‘카바드’이다. 이는 ‘풍부하다, 무겁다, 영광스럽다’라는 의미이다. 
 
3:12 Paul’s second petition is directed specifically to “the Lord,” whom we must understand as “the Lord Jesus” from the previous verse. Paul expresses his wish-prayer for his converts with the words ὑμᾶς δὲ ὁ κύριος πλεονάσαι καὶ περισσεύσαι τῇ ἀγάπῃ εἰς ἀλλήλους καὶ εἰς πάντας (“and may the Lord cause you to increase and abound in love for one another and for everyone”). The two optative verbs πλεονάσαι and περισσεύσαι are synonyms and lend an emphatic tone to Paul’s desire that the love of the Thessalonians should be richly increased. While the apostle can pray for this to happen, he also enjoins his readers to strive for greater love in 4:9f. This reveals an awareness on his part that Christians are responsible for their own behavior in cooperation with God who works through his Spirit in their live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42.
 
 
13절) 마음을 굳건하게 하다는 의미는 ‘마음을 흔들리지 않게 견고하게 하다’라는 의미이다. ‘마음’으로 표현된 ‘카르디아’는 심장, 사람의 생각, 마음, 의지, 감정,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지식의 좌소를 의미한다. 히브리어로는 ‘레브’이다. 
 
‘굳건하게 하다’라는 표현은 ‘스테릭사이’로 원형은 ‘스테리조’이다. 이는 ‘세우다, 강화하다’라는 의미로 확고한 결심이나 결의로 더 두드러지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바울은 주님께서 성도와 함께 강림하실 때에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해달라고 기도한다. 이처럼 이 세상의 일상의 삶뿐만 아니라 종말의 날을 바라보면서 기도하고 있는 것이다. 
‘강림하실’을 의미하는 ‘파루시아’는 ‘어떤 장소에 도착하는 행동’을 의미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 신약에서는 주님의 오심을 표현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예수님께서는 혼자 오시는 것이 아니라 그의 모든 성도들과 함께 오신다. 
'그의 모든 성도들’은 ‘판톤 톤 하기온 아우투’인데 여기서 ‘하기온’은 ‘하기오스’의 복수형으로 거룩한 자들, 성도들을 의미한다. 이는 문자적으로 거룩한 자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땅에 사는 그리스도인들을 지칭한다. 본문의 의미대로라면 주님이 강림하실 때 그분의 구원받은 성도들이 함께 온다는 것이다. 
 
13절에서 바울은 ‘너희 마음을 굳건하게 하시고’,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하시기를’ 기원하고 있다. 주 예수의 강림시에 중요한 것은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거룩함에 흠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본문의 거룩함은 ‘하기오쉬네’로 ‘거룩, 성결’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비할 데 없는 하나님의 위엄이나 도덕적 순결로서의 거룩을 의미하는 매우 중요한 표현이다. 
 
The connection between vv. 11 and 12 implies that the apostle elevated love to the level of the highest norm in Christian behavior in very much the same sense that Jesus did for his followers in the great diad on love, in which the whole of the law was expressed in terms of the commands to love God and one’s neighbor (Mt. 22:29–34). In Rom. 13:8 Paul instructs the Christians at Rome, “Owe no one anything except to love one another; for the one who loves the other has fulfilled the law.” Similarly he writes to the Galatians, “For the whole law has been fulfilled in the one command,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 (Gal. 5:14). (Both Rom. 13:8 and Gal. 5:14 probably allude to the Jesus tradition. See Käsemann, Romans, 361.)
These texts explain why the apostle can link his wish that his readers “increase and abound in love for one another” to the establishment of their hearts as “blameless in holiness before God.” To love one’s fellow Christians in particular, in the sense of behaving in a loving manner (see 1 Corinthians 13 for the type of behavior envisaged), fulfilled the ultimate ethical norm against which Christians were to be judged. Therefore to love as Paul desired his converts to love would result in their living sanctified lives, placing them beyond any opprobrium at the judgment.
καρδία (“heart”) here, as in 2:4, refers to the thinking, willing, and feeling dimension of human existence, in modern terms the human personality. ἀμέμπτους in the context connotes a condition of blamelessness in which the individual is found to have done nothing deserving condemnation by God, who tests and tries the hearts of people (cf. 2:4). Although ἁγιωσύνη (“holiness”) is almost synonymous with ἀμέμπτους in this verse (cf. 2 Cor. 7:1), its different semantic field adds an important connotation. Holiness is one of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God in the biblical tradition (cf. Pss. 71:22; 89:18; Is. 1:4; Je. 50:9; Ezk. 39:7; 1 Pet. 1:15f.; Jn. 17:11; Rev. 4:8; see K. G. Kuhn and O. Procksch, TDNT I, 89–101). Therefore, if the Thessalonians are to be established “without blame in holiness,” this implies their moral conformity to the very character of God. That this was of fundamental importance for Paul can be seen in 4:3, where sanctification or holiness (ἁγιασμός) is said to be the will of God for the Thessalonians.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44.
 
결국 성도들의 마음을 굳게 하시고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하는 것은 사랑이다. 주님의 본을 따라 서로 사랑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우리 성도들의 삶을 거룩하게 한다. 
 
 
 
 
728x90
For swhat thanksgiving can we return to God for you, for all the joy that we feel for your sake before our God, 10 as we pray most earnestly tnight and day uthat we may see you face to face and vsupply what is lacking in your faith?
s [ch. 1:2]
t 2 Tim. 1:3
u ch. 2:17; [Rom. 1:10]
v See 2 Cor. 13:9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3:9–10.
 
9 우리가 우리 하나님 앞에서 너희로 말미암아 모든 기쁨으로 기뻐하니 너희를 위하여 능히 어떠한 감사로 하나님께 보답할까
10 주야로 심히 간구함은 너희 얼굴을 보고 너희 믿음이 부족한 것을 보충하게 하려 함이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3:9–10.
 
바울은 디모데로부터의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의 소식을 듣고 이제 감사의 기도를 드리고 있다. 
 
9절) ‘우리 하나님 앞에서’라는 표현은 ‘엠프로스덴 투 데우 헤몬’이다. 여기서 ‘엠프로스덴’은 ‘면전에서’라는 의미로 신전의식을 의미한다. ‘In front of God’, 하나님 앞에서의 정신은 우리 신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바울의 기쁨은 개인의 감정적인 것의 만족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의 기쁨인 것이다. 복음이 전해졌고 이 복음을 듣고 궁핍과 환난 가운데서 흔들리지 않은 믿음으로 서 있는 데살로니가 성도들, 바로 이 일을 하나님이 이루셨다라는 인식과 믿음이 있기에 ‘하나님 앞에서’ 기뻐하는 것이다. 
이어지는 표현은 ‘너희로 말미암아’이다. 바울은 이 과정에서 본인의 수고와 노력을 강조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데살로니가 성도들로 말미암은 소식으로 인해서 기뻐하고 있는 것이다. 
 
이어서 바울은 ‘능히 어떠한 감사로 하나님께 보답할까?’라고 질문한다. 이는 수사의문문으로 받은만큼 완전히 보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라는 의미이다. 
시편 116:12
12내게 주신 모든 은혜를 내가 여호와께 무엇으로 보답할까
시편 기자의 이러한 고백은 주님의 은혜가 너무 커서 무엇으로도 보답할 수 없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다. 
 
‘보답할까’라고 표현된 단어는 ‘안타포두나이’로 원형은 ‘안타포디도미’이다. 이는 되돌려주어야 할 것을 있는 그대로 되돌려주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이다.(눅 14:14) 감사함으로 보답할까(유카리스티안 안타포두나이)는 감사하다(유카리스테인)라는 셈족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γάρ links vv. 9f. to what precedes it as an inference in the form of a question (τίνα γὰρ εὐχαριστίαν δυνάμεθα τῷ θεῷ ἀνταποδοῦναι περὶ ὑμῶν, “for what thanksgiving are we able to return to God concerning you?”). Two things are implicit in this question. First, Paul was profoundly thankful for the continuing faithfulness of the Thessalonians. Frame (134) suggests that ἀνταποδοῦναι (“return”), which may be used either in a negative sense (cf. 2 Thes. 1:6; Rom. 12:19) or in a positive sense, as it is here (cf. Rom. 11:35), is stronger than ἀποδιδόναι. Following Milligan he argues that it has the nuance of “complete return.” With τίνα (“what”) it suggests that Paul felt unable to give sufficient thanks to God for the tremendous sense of relief and joy he experienced at hearing the good news concerning his converts at Thessalonica. Second, that Paul wished to give thanks to God for the Thessalonians suggests that the apostle had a powerful awareness of God’s working in and among his converts to enable them to remain true to their new beliefs and behavior patterns as Christians.
While the phrase περὶ ὑμῶν (“concerning you”) shows that Paul’s feeling of thankfulness was based on his readers’ steadfastness in the gospel, the phrase ἐπὶ πάσῃ τῇ χαρᾷ ᾗ χαίρομεν διʼ ὑμᾶς (“for all the joy with which we rejoice on account of you”) designates the immediate cause of his desire to give thanks to God. Best (144) claims that ἐπὶ πάσῃ τῇ χαρᾷ (“for all the joy”) was intended as a deliberate balancing of ἐπὶ πάσῃ τῇ ἀνάγκῃ καὶ θλίψει (“in all our distress and tribulation”) in v. 7. For this reason he translates ἐπί in both cases as “in.” Apparently Best understands ἐπί in v. 9 in the sense of “manner,” so that the prepositional phrase explains the manner of Paul’s thanksgiving. This, however, obscures the fact that εὐχαριστίαν ἀνταποδοῦναι (“to return thanksgiving”) is the semantic equivalent of εὐχαριστεῖν (“to give thanks”) and therefore that ἐπί is dependent on it and expresses the basis for the action contained in the verbal idea “to return thanksgiving.” For this reason ἐπί should be translated by a preposition like “for” or even “on account of” to indicate Paul’s motivation for rendering thanks, which is the tremendous joy he experienced because of the Thessalonians’ continuing faith. The reason for this joy and the ensuing thanksgiving can be seen if we look back at 2:19f., where Paul tells the readers that they are his “glory and joy” before the Lord Jesus at his coming, but this of course depended upon their remaining faithful. Thus when Paul discovered that they had continued in their commitment to Christ as Lord it was a source of tremendous joy for him, as well as a source of encouragement (3:7), and led to his desire to express in an adequate way his sense of thankfulness to God. The fact that “the joy with which we rejoiced” was ἔμπροσθεν τοῦ θεοῦ (“before God”) implies that his rejoicing was done in the context of prayer.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37–138.
 
10절) 바울은 주야로 그들을 위하여 기도했다. 그 내용은 구체적으로 11-13절에 나온다. 
‘주야로’는 ‘뉙토스 카이 헤메라스’로 문자적으로는 ‘밤 그리고 낮’이지만 이는 끊임없이 기도한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간구하다’는 표현은 ‘데오메노이’로 ‘데오마이’의 현재 분사 용법으로 특별한 시간의 제약 없이 계속하여 기도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심히’로 번역된 ‘휘페렉페릿수’는 ‘휘페르’(뛰어넘어, beyond), ‘에크’(밖으로, out of), ‘페릿소스’(보통이 아니게, extraordinally)의 합성어로 ‘보통을 훨씬 초월하여 엄청나게’라는 의미하다. 이는 최고의 강조 표현으로 바울은 자신이 얼마나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향해 간절히 간구하는 지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이 그렇게 심히 간구하는 목적은 두가지이다. 첫째는 그들의 얼굴을 보기 원해서이며 둘째는 데살로니가 성도들의 믿음의 부족함을 채워주기 위한 것이었다. 
바울은 계속해서 자신이 그들에게 나아가 얼굴과 얼굴을 보며 만나기를 원했다라고 고백했다. 하지만 사탄의 방해로 직접 가지는 못했지만 디모데를 보내어 그들의 소식을 듣고 감사하며 그들의 부족함을 발견하고 채워주려고 하고 있다. 
‘부족한 것을’로 번역된 ‘휘스테레마타’는 ‘휘스테레마’의 복수형으로 ‘어떤 상태에 미치지 못하여 부족한 것들’을 의미한다. 바울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주안에 굳게 서있다(8절)라고 말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믿음이 부족한 상태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성화의 과정속에 모든 그리스도인의 상태이다. 믿음이 견고하여 궁핍과 환난 가운데 분투하며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계속해서 믿음의 훈련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 모두는 여전히 믿음의 성장과정, 성화의 과정가운데 있는 것이다. 
‘보충하다’라는 표현은 ‘카타르티사이’로 ‘카타르티조’의 부정과거 능동태 표현이다. 카타르티조는 ‘준비하다, 완성하다, 복구하다, 바로잡다’의 의리보 본문에서는 부족한 부분을 채움으로 온전케 한다라는 의미이다.(마 4:21, 히 11:3, 벧전 5:10) 데살로니가 인들은 여전히 믿음의 부족함이 있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아마도 이후에 4-5장에서 바울이 이야기하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생활이 무엇인지, 주님의 재림과 죽은자의 부활에 대한 내용이었을 것이다. 
 
3:10 Although Timothy’s report about the Thessalonians’ faith and love was very positive, he also shared with Paul some areas of concern. So Paul prays that God will allow him to return to the church and “supply what is lacking.” Since Satan prevents Paul from going back (2:18) and doing this in person, the apostle does it instead by means of a letter: the second half of this letter (4:1–5:22) takes up those matters where their faith is “lacking.”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4.
 
Paul indicates the constancy of his prayer requests for the Thessalonians in the words νυκτὸς καὶ ἡμέρας ὑπερεκπερισσοῦ δεόμενοι (“night and day praying earnestly”). The unusual adverb ὑπερεκπερισσοῦ communicates the intensity of Paul’s prayer as well as the intensity of the desire that lies behind his prayer request. As Bruce (68) notes, “Paul is fond of compounds expressing superlativeness” (cf. ὑπερπερισσεύειν in Rom. 5:20; 2 Cor. 7:4; ὑπεραυξάνειν in 2 Thes. 1:3; ὑπερεκπερισσοῦ in 1 Thes. 5:13; ὑπερλίαν in 2 Cor. 11:5; 12:11, etc.). ὑπερεκπερισσοῦ δεόμενοι literally means something like “making requests quite beyond all measure.”
Paul mentions two things concerning which he petitioned God. First, he reports to his readers that he prayed εἰς τὸ ἰδεῖν ὑμῶν τὸ πρόσωπον (“to see you face to face”). He had already told them that he desired to do this (2:17f.; 3:7), and by mentioning it here as a part of his regular prayer life he reiterates his genuine commitment to return to the Thessalonians. This seems to reflect very clearly the occasion of the letter. Paul seeks to keep open the possibility of his own return to Thessalonica while reassuring his readers of his continuing concern for them.
Second, he explains why he wished to return. Because his departure from the Thessalonians was apparently abrupt, he tells his converts that he wants to return καταρτίσαι τὰ ὑστερήματα τῆς πίστεως ὑμῶν (“to complete the deficiencies of your faith”). Paul has in mind the opportunities that a visit would afford for giving his converts further personal instruction and exhortation, the very thing that his letters were intended to do in his absence (cf. Lyons, Pauline Autobiography, 218). The neuter plural τὰ ὑστερήματα (“deficiencies”) when taken with the genitive τῆς πίστεως ὑμῶν (“of your faith”) indicates a concern not for a lack of faith on the part of his readers but for the need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and encourage their Christian behavior. Timothy had been sent to begin this task (3:2), but Paul informs his readers that he still wishes to come to them and personally continue their instruction in the faith. Paul shows here a profound awareness of the need to continue the process of resocializing the Thessalonians into the Christian way of life (see comments on 2:11f.). Although he desired to do this in person, his letter to the Thessalonians was intended to serve as a substitute for his presence, just as Timothy had substituted for him when he had visited them. In the light of this, we may understand 4:1–5:22 as an attempt by Paul to make good the deficiencies in his converts’ understanding of their new faith and its requirements with respect to their ethical conduct. Thus 3:10 helps to prepare for the parenetic material in chaps. 4–5.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38–139.
728x90
But mnow that Timothy has come to us from you, and has brought us the good news of nyour faith and love and reported othat you always remember us kindly and plong to see us, as we long to see you— for this reason, brothers,2 in all our distress and affliction qwe have been comforted about you through your faith. For now we live, if you rare standing fast in the Lord.
m Acts 18:5; [2 Cor. 7:6, 9]
n See ch. 1:3
o [1 Cor. 11:2]
p See Phil. 1:8
2 Or brothers and sisters
q 2 Cor. 1:4
r See 1 Cor. 16:1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3:6–8.
 
 
6 지금은 디모데가 너희에게로부터 와서 너희 믿음과 사랑의 기쁜 소식을 우리에게 전하고 또 너희가 항상 우리를 잘 생각하여 우리가 너희를 간절히 보고자 함과 같이 너희도 우리를 간절히 보고자 한다 하니
7 이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모든 궁핍과 환난 가운데서 너희 믿음으로 말미암아 너희에게 위로를 받았노라
8 그러므로 너희가 주 안에 굳게 선즉 우리가 이제는 살리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3:6–8.
 
 
6절) 개역은 ‘지금은’으로 시작하지만 원문은 ‘그러나 지금은’으로 시작된다. 여기서는 이전에 보냈던 디모데가 돌아온 것과 데살로니가 성도들에 대한 바울의 염려가 기쁨으로 바뀌게 된다는 사실을 암시해준다.  
 
바울과 디모데의 만남은 바울이 아덴에서 고린도로 이동한 후에 이루어졌다.(행 18:1-8) 사도행전의 기록을 보면 디모데는 데살로니가를 떠나 마게도냐에서 실라를 만나서 함께 바울에게로 온 것으로 보인다. 
사도행전 18:5
5실라와 디모데가 마게도냐로부터 내려오매 바울이 하나님의 말씀에 붙잡혀 유대인들에게 예수는 그리스도라 밝히 증언하니
 
본문의 ‘지금은’이라고 변역된 ‘아르티’는 ‘지금, 바로, 즉시’에 해당되는 의미인데 바울은 디모데가 도착하자마자 데살로니가 성도들에 대한 소식을 듣고 그들을 향한 간절한 마음으로 편지를 쓰고 있는 것이다. 
 
디모데는 데살로니가 성도들에 대한 믿음과 사랑의 기쁜 소식을 바울에게 전하였다. 본문의 ‘기쁜 소식을 전하다’는 ‘유앙겔리사메누’로 ‘유앙겔리조’의 부정과거 중간태 분사이다. 이는 복음을 전하다라는 의미로 흔히 사용된 것인데 바울이 디모데로부터 들은 소식이 얼마나 그에게 큰 기쁨이었는지를 알 수 있다. 디모데가 전해 준 데살로니가 교회 소식은 마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듣는 것처럼 바울에게 커다란 기쁨이 되었던 것이다.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믿음과 사랑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앞서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1:3)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었는데 믿음은 환난 중에서도 변치 않고 견고히 서있는 하나님에 대한 신앙이며, 사랑은 그 믿음에 기초하여 나타나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수고와 희생이라고 할 수 있다. 
갈라디아서 5:6
6그리스도 예수 안에서는 할례나 무할례나 효력이 없으되 사랑으로써 역사하는 믿음뿐이니라
 
‘너희가 항상 우리를 잘 생각하여’ 이 표현은 직역하면 ‘너는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다’라는 의미이다. 데살로니가 성도들은 바울 일행이 가져다준 복음으로 인해 외적으로 핍박에 직면하고, 또한 악의에 찬 적대자들로부터 바울 일행에 대한 비방과 모함을 줄곧 들어왔지만 바울이 전해준 복음에 굳게 서서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은 바울 일행에 대해서 좋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바울 일행은 그들을 간절히 보고자 했다. 
 
목회자가 성도들을 간절히 보고자 하고 성도들도 목회자를 간절히 보고자 한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관계인가? 이러한 관계는 바로 온전한 복음 위에서 가능하다. 
 
3:6 The words ἄρτι δὲ ἐλθόντος Τιμοθέου πρὸς ἡμᾶς ἀφʼ ὑμῶν (“and now that Timothy has returned to us from you”) suggest that 1 Thessalonians was composed almost immediately after Timothy had returned to Paul. Certainly Paul wished to communicate this impression to the Thessalonians as a demonstration both of his concern and the warm affection that he felt for them. Whether Silvanus was with Paul when Timothy came back is uncertain. πρὸς ἡμᾶς (“to us”) implies that he was, but as on several other occasions the first person plural may be no more than a so-called epistolary plural. Acts 18:5 seems to suggest that Timothy, as well as Silvanus, had been in Macedonia and that they rejoined Paul together in Corinth, but Paul neither indicates where he was at the time nor where Silvanus was, unless the plural is a genuine plural.
From Paul’s perspective the important thing was that when Timothy returned he was able to report that the Thessalonians were coping and even progressing in their faith. Curiously Paul employs the participle εὐαγγελισαμένου (“proclaiming good news”) to describe Timothy’s report. While the verb originally denoted any announcement of good news and may have no more than this meaning here, the very choice of the word probably was intended by Paul as a play on the word used by himself and other early Christians as the word par excellence for communication of the Christian message (1 Cor. 15:1f.; Gal. 1:8, 11, 16). Marshall (94), who follows Masson (41) and Best (139f.), reads too much into the word when he claims that it may denote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in the normal technical sense here. He has succumbed to the ever present temptation to “over-theologize” a word.
The good news Timothy announced to Paul concerned at least two facts. First, the Thessalonians had not wavered in their new beliefs and behavior patterns. This seems to be the idea conveyed by the report concerning τὴν πίστιν καὶ τὴν ἀγάπην (“the faith and love”) of the Thessalonians. πίστις should probably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ir confidence in God, which was severely tested by their suffering. Paul was relieved to hear that their new beliefs had not been shaken with a concomitant turning away from the Christian religion. At the same time Paul was undoubtedly pleased to learn that their Christian conduct, which he characterizes as “love,” had endured. In Paul’s understanding, love was not a mere human emotion but revealed itself in action (Rom. 13:9–10). As he says elsewhere, “What has power or meaning in Christ Jesus is faith working through love” (Gal. 5:6). For Paul belief in God and his saving purposes should lead to a response of active love manifested particularly in the way Christians behave toward one another (see 1 Thes. 4:9). It is this understanding of faith and love that probably lies behind what Paul says in 3:6.
Second, the Thessalonians held Paul in high regard and longed to see him, as the words ἔχετε μνείαν ἡμῶν ἀγαθὴν πάντοτε (“you always think of us affectionately”) reveal. The apostle gives the impression that he was especially pleased to learn the Thessalonians had a “kind or affectionate remembrance” (μνείαν ἀγαθήν) of him and his colleagues. This perhaps implies that he was concerned about how the Thessalonians viewed him after his departure. Several possibilities exist for the basis of his concern. It might have resulted from the manner in which he left, especially if he had been forced to leave unexpectedly. Acts 17:5–10 portrays his and Silvanus’s departure as so hasty that they were unable to prepare the community properly for it. Another possibility is that the Thessalonians might have resented the situation of oppression in which they found themselves when they discovered that the supposed good news Paul had announced to them was in reality “bad news” in that it led directly to their suffering (Bruce, 66). A third possibility is that Paul feared the Thessalonians would be disappointed in him and perhaps even reject him for not having himself returned to them already. 2:17f. provides strong support for this understanding since in those verses, as we have seen, Paul insists that he had longed to see them and had even planned to visit them on several occasions, only to be prevented from doing so by the arch-enemy, Satan. This looks like an apology for his failure to return and may imply apprehension over the reaction of the Thessalonians in this matter. For this reason Paul was pleased to learn of their continuing affection and their desire to see him again. Paul responded to their desire to see him (ἐπιποθοῦντες ἡμᾶς ἰδεῖν) by indicating through the elliptical expression καθάπερ καὶ ἡμεῖς ὑμᾶς (“just as we also you”) that his readers’ desire was reciprocated by his own desire to see them. Such reciprocity in affection was intended to demonstrate Paul’s true friendship with his readers. In effect Paul here reiterates what he said in 2:17. Along with the verses that follow it prepares for Paul’s exhortation in chaps. 4–5 through its philophronetic impact.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33–134.
 
7절) 바울 일행은 복음을 전했고 그들은 핍박과 시험 가운데서도 믿음에 굳게 섰다. 목휘자로서, 영적 부모로서 이러한 모습만큼 위로와 격려가 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위로를 받았노라’에 해당하는 ‘파라클레데멘’은 ‘파라칼레오’의 부정과거 수동태 직설법 표현이다. 이는 ‘옆으로 부르다’라는 의미로 위로하고 격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믿음에 굳게 선 그들의 모습이 모든 궁핍과 환난 가운데 있던 바울 일행에게 위로가 된 것이다. 위로의 말도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지만 더욱 의미있는 것은 흔들리지 않는 굳건한 신앙의 모습으로 살아내는 모습이야말로 서로에게 위로와 격려가 되는 것이다. 나는 다른 이에게 이러한 모습으로 위로를 주고, 받고 있는가? 
 
본문의 ‘궁핍’은 ‘아낭케’로 ‘재난, 압박’을 의미하는데 허리띠를 꽉 졸라매야 할 정도로 고통스러운 경제적 결핍을 의미한다. ‘환난’으로 번역된 ‘들립세이’는 ‘들립시스’로 포도즙틀로 포도를 짜듯이 ‘부서질 정도의 압박’을 의미한다. 바울의 전도 사역은 이러한 고난으로 점철되어 있었다.
고린도후서 6:4–5
4오직 모든 일에 하나님의 일꾼으로 자천하여 많이 견디는 것과 환난과 궁핍과 고난과
5매 맞음과 갇힘과 난동과 수고로움과 자지 못함과 먹지 못함 가운데서도
 
고린도후서 11:23–27
23그들이 그리스도의 일꾼이냐 정신 없는 말을 하거니와 나는 더욱 그러하도다 내가 수고를 넘치도록 하고 옥에 갇히기도 더 많이 하고 매도 수없이 맞고 여러 번 죽을 뻔하였으니
24유대인들에게 사십에서 하나 감한 매를 다섯 번 맞았으며
25세 번 태장으로 맞고 한 번 돌로 맞고 세 번 파선하고 일 주야를 깊은 바다에서 지냈으며
26여러 번 여행하면서 강의 위험과 강도의 위험과 동족의 위험과 이방인의 위험과 시내의 위험과 광야의 위험과 바다의 위험과 거짓 형제 중의 위험을 당하고
27또 수고하며 애쓰고 여러 번 자지 못하고 주리며 목마르고 여러 번 굶고 춥고 헐벗었노라
 
8절) 바울은 그들이 주안에 굳게 서있다라는 소식을 듣고 안도의 한숨을 내쉬며 우리가 이제는 살리라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가 살리라’로 번역된 ‘조멘’은 ‘자오’의 현재 능동태 직설법으로 지속성을 강조한다. 이는 죽었던 영혼이 살아나는 구원론적인 의미가 아니라 염려와 불안 가운데서 기쁨과 안도의 상태로 회복된다는 정서적 의미이다. 
‘굳게 선’에 해당하는 ‘스테케테’는 ‘스테코’현재 능동태 직설법으로 조금도 흔들리지 않고 견고히 서 있는 모습을 의미한다. 이는 서서 그 위치를, 마음을 유지함으로 중심을 지킨다는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다.
 
 
 
 
 
 
 
 
728x90
Therefore when we could bear it no longer, we were willing dto be left behind at Athens alone, and we esent Timothy, four brother and God’s coworker1 in the gospel of Christ, to establish and exhort you in your faith, that no one be moved by these afflictions. For you yourselves know that gwe are destined for this. For when we were with you, we kept telling you beforehand that we were to suffer affliction, hjust as it has come to pass, and just as you know. For this reason, iwhen I could bear it no longer, iI sent to learn about your faith, jfor fear that somehow kthe tempter had tempted you and lour labor would be in vain.
d Acts 17:15, 16
e See Phil. 2:19
f 2 Cor. 1:1; Col. 1:1; Philem. 1; Heb. 13:23
1 Some manuscripts servant
g See Acts 9:16; 14:22
h See ch. 2:14
i ver. 1, 2
i ver. 1, 2
j [1 Cor. 7:5; 2 Cor. 11:3]
k Matt. 4:3
l See Phil. 2:16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3.
 
3 이러므로 우리가 참다 못하여 우리만 아덴에 머물기를 좋게 생각하고
2 우리 형제 곧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하나님의 일꾼인 디모데를 보내노니 이는 너희를 굳건하게 하고 너희 믿음에 대하여 위로함으로
3 아무도 이 여러 환난 중에 흔들리지 않게 하려 함이라 우리가 이것을 위하여 세움 받은 줄을 너희가 친히 알리라
4 우리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 장차 받을 환난을 너희에게 미리 말하였는데 과연 그렇게 된 것을 너희가 아느니라
5 이러므로 나도 참다 못하여 너희 믿음을 알기 위하여 그를 보내었노니 이는 혹 시험하는 자가 너희를 시험하여 우리 수고를 헛되게 할까 함이니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3.
 
 
1절) 본문의 처음은 ‘이러므로’라는 단어 ‘디오’로 시작된다. 앞선 2장 17-20절에서 바울은 데살로니가를 다시 방문하려고 시도했지만 사단의 방해로 무산되었으나 여전히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자랑스러워하고 있었다. 이제 바울은 데살로니가를 본인이 다시 가기를 가지 원하지만 갈 수 없는 상황에서 디모데를 파송하여 그들의 소식을 듣고 그들을 위로하기 원했다. 이 내용을 받고 있는 것이다. 본절에 ‘우리’는 바울과 디모데, 실라(실루아노)를 말한다. 본 내용에 해당되는 행 17:15-18:5을 보면 베뢰아에서 아덴으로 온 사람은 바울 한 사람이고 거기에서 바울은 실라와 디모데를 기다렸으나 그들을 만났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바울이 아덴을 떠나 고린도에 이른 후에야 실라와 디모데가 마게도냐로부터 와 바울과 합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본절에서 바울은 디모데를 아덴에서 데살로니가로 파송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는 사도행전의 기록이 선교 여정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아마도 바울이 아덴에 있을 때에 실라와 디모데가 베뢰아에서부터 아덴으로 왔고 거기에서 바울과 실라는 디모데를 먼저 데살로니가로 보내고 이후에 실라는 빌립보로 보낸 이후 바울은 홀로 고린도로 떠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후 고린도에 있는 바울에게 실라와 디모데가 빌립보와 데살로니가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것으로 보인다. 
 
Although Acts reports Paul’s stay in Athens it is of no help since it does not indicate that Timothy or Silvanus (Silas) was ever in Athens with Paul. According to Acts 17:15 Paul went to Athens alone but sent word back to Timothy and Silvanus in Macedonia to join him there. Acts 18:5 suggests, however, that they only rejoined Paul after he had moved on to Corinth. Thus at this point the narrative of Acts exhibits either a lack of knowledge concerning the precise details of the missionaries’ movements in Greece or a tendency to condense the narrative, thereby sacrificing an exact account in the process. Clearly, 1 Thes. 3:1 must be taken as historically correct over against the Acts narrative at this point, though I favor the view that the plurals of 3:1–4 should be taken as epistolary rather than genuine and thus that Paul was left alone in Athens. Unfortunately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to indicate the whereabouts of Silvanus if he was not with Paul. Perhaps he had remained at Beroea. This possibility would have some credibility if (1) Silvanus was sent with Paul to missionize among Jews as the representative of Jerusalem and (2) the Acts report is accurate in indicating a positive response to the mission work among the Jewish community at Beroea (Acts 17:10–11).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27.
 
바울과 일행은 자신들만 아덴에 머무는 것을 참지 못했다. 
바울은 자신이 데살로니가 성도들과 헤어져 그들이 어떻게 지내는지 모르는 상황에 대해서 견딜 수 없었다. 또한 그들을 향한 자신의 사랑을 더이상 숨길 수 없었던 것이다. 
본문에 '참지 못하여’라는 표현은 ‘메케티 스테곤테스’로 ‘우리가 더 이상 견디지 못하여’라는 의미가 된다. 여기서 ‘참다, 숨기다, 견디다’라는 의미로 사용된 ‘스테고’는 ‘스스로 또는 다른 사람들을 대신하여 불쾌감이나 어려움을 견디다 또한 물, 공기, 빛 아무것도 관통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바울은 이를 견디지 못하여 디모데를 보낸 것이다. 
 
An uncommon verb (also in v. 5) that refers to substances that do not allow themselves to be penetrated by water, air, light, fire, or anything else. Paul evokes an image in which he is so full of emotion for the Thessalonians that he can no longer stop his deep affection for them from leaking out. left by ourselves in Athens. Silas and Timothy rejoin Paul in Athens from Berea (Acts 17:15) but are sent back to Macedonia: Timothy to Thessalonica (vv. 1–5) and Silas perhaps to Philippi.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vv. verses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3.
 
‘머물기를 좋게 생각하고’에서 머물다라는 단어는 ‘카탈레이포’로 사람을 다른 곳으로 떠나 보내고 뒤에 남아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본문에서는 수동태 부정사의 형태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바울이 자의가 아니라 어떤 외적 상황으로 인해서 어쩔수 없이 남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2:18)
 
 
 
2절) '하나님의 일꾼인 디모데’ 이 표현은 디모데를 얼마나 신뢰하는 지를 보여주는 대단한 표현이다. 이는 대단히 놀랍고 존귀한 칭호이다.(고전 3:9) 바울은 자신이 가고 싶었지만 갈 수 없는 상황에서 자신이 신뢰하는 디모데를 보내면서 혹시나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디모데를 업신여길까봐 그들의 부정적인 시선과 정서를 교정하기 위해서 디모데가 얼마나 탁월한 인물인지, 적임인지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디모데는 자신과 동행했던 영적 아들로 어린 사역자 였지만 이제 바울은 그를 자신의 동료로 인정하면서 보내고 있는 것이다. 
 
본문에서 일꾼으로 번역된 ‘쉬네르곤’은 ‘~와 함께’라는 전치사 ‘쉰’과 ‘일’이라는 ‘에르곤’의 합성어로 ‘함께 일하는 자’라는 의미이다. 하나님의 일꾼인 디모데라고 말할 때 디모데는 바울과 실라에게 있어서 동역자이며, 이들은 모두 하나님께 속한 복음의 동역자라는 의미이다. NRSV는 이를 co-worker for God, ‘하나님을 위해 함께 일하는 자’로 번역하였다. 
 
co-worker in God’s service. A strikingly lofty title used to stress Timothy’s credentials; although Paul could not return to Thessalonica personally, he sent Timothy, who is no mere junior apostle but a co-worker of Paul and even of God. to strengthen … you in your faith. Paul sent Timothy back to Thessalonica specifically to strengthen their faith in the midst of opposition from their fellow citizens (cf. 2:14).
cf. compare, confer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3.
 
한글 성경은 2절의 동사인 ‘에펨프사멘’을 ‘보내노니’로 번역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보내다라는 의미인 ‘펨포’의 부정과거형으로 우리가 보냈다라는 의미이다. 즉 데살로니가전서는 디모데가 데살로니가에 다녀온 직후 바울이 고린도에서 쓴 편지이고 실제로 바울이 디모데를 보낸것은 이보다 훨씬 이전인 아덴에 있을 때이므로 과거형이 쓰인 것이다. 
 
2절 하반절과 3절 상반절은 디모데를 보낸 이유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데 이는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굳건하게 하고 믿음에 대하여 위로하는 것이었다. 또한 여러 환난 중에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먼저 ‘굳건하게 하고’로 번역된 ‘스테릭사이’의 원형 ‘스테리조’는 건축을 할 때 버팀목과 지주로 건물을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는 동사이다. 이처럼 신약 성경에서는 거의 상징적 의미로 사람의 마음과 신앙을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히 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눅 22:32, 롬 1:11, 살후 3:3, 약 5:8) 
두번째 목적은 ‘믿음에 대하여 위로함으로’이다. 위로하다라는 의미로 번역된 ‘파라칼레오’는 ‘옆으로’라는 의미의 ‘파라’와 ‘부르다’라는 동사 ‘칼레오’의 합성어로 ‘옆으로 부르다’라는 문자적 의미인대 대부분 가까이 불러 말로써 격려함으로 위로하고 권면하는 것을 의미한다. 
On his previous visit, Timothy’s role had been to confirm (στηρίξαι) the Thessalonians in their new convictions (cf. the use of στηρίξαι in Rom. 16:25) and to encourage (παρακαλέσαι) them for the benefit (ὑπέρ) of their faith, so that their faith might increase. Paul was particularly concerned that this pastoral function should take place, given the pressures that the Thessalonians had been put under by their fellow citizens after their conversion. Quite apart from the external pressure mentioned in v. 3, however, Paul was aware of the pressing need to continue the process of resocialization to the new Christian way of life and to further inculcate the new beliefs and values the Thessalonians had received when they accepted the gospel of Christ. Failure to do so could result in his work among them being in vain (see 2:18). If in fact Timothy was to return to the Thessalonians yet again, this would undoubtedly be his continuing task.
2 Thes. 2:17, in which both παρακαλέσαι and στηρίξαι occur, indicates that when 2 Thessalonians was written Paul was concerned that the Thessalonians receive consolation or encouragement and that their Christian way of life become established. Since Paul’s prayer request for the Thessalonians in 2 Thes. 2:17 corresponds to the role Timothy was assigned when he returned to the church on Paul’s behalf as indicated in v. 3, this lends support to the view that Timothy carried our 2 Thessalonians with him on that occasion (see pp. 37–46 above on the sequence of the letter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28–129.
 
3절) 세번째 목적은 ‘아무도 이 여러 환난 중에 흔들리지 않게 하려 함’이었다. 본문에서 언급된 ‘이 여러 환난’은 앞서 1:6과 2:14에서도 언급된 것으로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동족들로부터 받은 많은 핍박을 가리킨다. 이러한 핍박은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나라를 들어가려면 반드시 겪어야할 필연적 과정이다.(행 14:22) 본문에 ‘흔들리다’라는 의미의 동사는 ‘사이노’라는 동사로 개가 꼬리를 흔드는 것을 묘사하는 것으로 아첨하고 알랑거리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교도들이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핍박할 때 성도들에게 동요가 있었고 그 기회를 틈타 복음을 대적하는 유대인들이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돌고 그들을 꾀어서 복음을 버리고 유대교를 받아들이도록 유혹했을 때 이에 흔들리지 않도록 디모데를 보낸 것이다. 
Timothy’s work of confirming and encouraging the Thessalonians in their new faith had an important purpose, namely, helping them to face and endure the oppression that they experienced as a result of their conversion to the Christian faith. In his concern that not one of his converts be lost Paul had sent Timothy back to Thessalonica. This point is made by the infinitive clause in v. 3a, which is final in character.
The meaning of σαίνεσθαι (“to disturb”), however, is somewhat problematic. The verb occurs only here in the Greek Bible. The term originally was used of the wagging of a dog’s tail and then metaphorically of fawning or cringing by humans. Earlier commentators took the passive form of the verb to mean “be beguiled” in this passage (e.g., Frame, 128). In contrast to this interpretation, all of the ancient versions as well as the Greek interpreters of the passage without exception understood the verb to mean “move, disturb, or agitate” (BAGD, 740; F. Lang, TDNT VII, 55f.). This meaning fits well with the context and lexicographers have been able to adduce several other instances where σαίνειν seems to have this sense (see Lang; Bammel, “Preparation”). In one, taken from a papyrus text that reports a discussion between Origen and Bishop Heraclides, Origen states, “τὰ μὲν περὶ πίστεως ὅσα ἔσηνεν ἡμᾶς συνεξετάσθη” (“all questions of faith that unsettled us have been tested”; the text is quoted by Bruce, 62). In another instance it is reported of a crowd after Pythagoras’s reputed account of his journey to Hades that οἱ σαινόμενοι τοῖς λεγομένοις ἐδάκρυον (“those who were agitated cried at the things that were being spoken”; Diog. Laert. 8, 41, quoted by BAGD, 740).
Using this last text as a point of departure Bammel (“Preparation,” 91–100) argues that σαίνεσθαι is the reaction of people faced with an extreme situation. He then proceeds to argue that one finds a striking similarity between στηρίξαι, σαίνεσθαι, and θλῖψις in 1 Thes. 3:2f. and the language employed in Jewish apocalyptic texts for extreme situations and experiences. From this he deduces that σαίνεσθαι in 3:3 has its place in the eschatological perspective of the whole letter and that Paul was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e Thessalonians would be disturbed in the eschatological situation of tribulation preceding the return of Christ. According to Bammel, Paul sought to establish (στηρίξαι) his converts as a precaution against the possibility of any of them being disturbed by the tribulations of the end—the so-called “messianic woes” of Jewish apocalyptic writings. Bammel’s thesis merits consideration. It highlights the eschatological character of the situation as perceived by Paul and makes clear that the Thessalonians’ sufferings were part of the necessary experience of the Christian before the coming of Christ.
BAGD Walter Bauer, William F. Arndt, F. Wilbur Gingrich, and Frederick Dank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2 1979.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Diog. Laert. Diogenes Laertius
BAGD Walter Bauer, William F. Arndt, F. Wilbur Gingrich, and Frederick Dank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2 1979.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29–130.
 
이어 ‘세움을 받다’는 ‘케이마이’로 ‘놓여있다, 정해져 있다’라는 의미로 운명으로 정해진이라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 ‘알리라’는 표현도 한글은 미래형으로 번역하고 있지만 현재완료 시제로 ‘너희 자신이 이미 친히 알고 있다’라는 의미이다. 환난중에 흔들리지 않는 이 일을 위해서 세움을 받은 것임을 이미 알고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는 것이다. 
 
유대인의 묵시 사상에서 의인은 새시대가 도래하기 전에 고난을 겪게 될 것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믿는자들에게 고난의 고통은 신적 선택과 임박한 구속에 대한 명백한 증거이다. 
Therefore suffering of affliction is actually a proof of divine election and of the imminence of redemption for the people of God. This idea was taken over from Jewish apocalyptic thought, where it was maintained that the righteous were destined to undergo affliction or tribulation before the emergence of the new age (see Dn. 12:1; Jub. 23:13f.; 2 Bar. 70:2–10; 2 Esdr. 5:1–12; 13:30f.; 14:16f.), and it became part of the earliest Christian tradition, as Mk. 13:7f. shows. In the context of 1 Thessalonians Paul’s reminder serves the parenetic function of encouraging the recipients of the letter to persevere in their new Christian way of life.
Jub. Jubilees
2 Bar. Syriac Apocalypse of Baruch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30.
 
4절) 바울은 과거 데살로니가 성도들과 함께 있었던(3주간의 안식일 강론) 기억을 상기시키면서 자신이 강조했던 가르침, 미리 가르쳤던 내용인 ‘장차 받을 환난’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미리 말하였다’라는 표현인 ‘프로엘레고멘’은 ‘프롤레고’의 미완료 과거 시제로 장차 받을 환난에 대해 몇번이고 거듭 말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제로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에 환난이 있을 것을 확신했고 실제로 그 일이 일어났던 것이다. 
Paul reminds the Thessalonians that while he was still with them (ὅτε πρὸς ὑμᾶς ἦμεν) he forewarned them about the inevitability of their suffering as Christians. The imperfect verb προελέγομεν indicates that Paul had told them about the ineluctability of their suffering on a number of occasions, and thus the verb should be translated “we used to tell you beforehand.” The choice of the words μέλλομεν θλίβεσθαι is significant. The verb μέλλειν with the present infinitive is frequently used in the NT to indicate an event or action resulting from a divine decree (BAGD, 501; for other examples of this usage in Paul see Rom. 4:24; 8:13). In other words, μέλλομεν θλίβεσθαι reiterates what was said in the previous verse with κείμεθα, and refers to the eschatological suffering preceding the end of the present age.
BAGD Walter Bauer, William F. Arndt, F. Wilbur Gingrich, and Frederick Dank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2 1979.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30–131.
 
5절) 바울은 1, 2절에서 언급했던 말을 다시 한번 반복하고 있다. 바울이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환난을 당한 것으로 인하여 그들의 상황을 알기 위해서 디모데를 보냈음을 말하고 있다. 본절은 디모데를 보낸 또다른 네번째 목적을 이야기한다. 그것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의 믿음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바울은 환난 중에 교인들의 믿음이 흔들리지 않았다는 소식 듣기를 간절히 바랬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디모데를 보낸 것이다. 
 
본문의 '시험하는 자’는 ‘페이라조’라는 단어로 사단을 지칭하는 것이 틀림없다. 이는 마 4:3에서 예수님을 시험하던 존재였다. 사단은 동족 핍박자들이 핍박할 때 주변에 있던 유대인들을 통해서 간교와 아첨하는 말로 핍박받게 만드는 그리스도교의 신앙에서 떠나라고 부추겼을 것이다.(3절) 고전 7:5에 따르면 사탄은 그리스도인을 시험하는 자로 앞선 2:18절에서는 바울의 걸음을 막기도 했다. 본문에서 ‘시험하여’라는 표현은 ‘에페이라센’으로 ‘페이라조’ 부정과거 능동태 형태로 과거에 단회적으로 발생한 역사적 사실임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이는 실제로 과거에 데살로나가 교인들을 시험하는 일이 있었고 이에 대한 결과로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이에 흔들려서 넘어가 버린다면 바울이 복음을 전한 수고가 헛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즉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믿음이 어떠한지를 알기 위하여 디모데를 보낸것이다. 
‘헛되게’라는 말 ‘케논’은 아무런 열매도 거두지 못하는 것을 가리킨다. 
복음의 씨앗을 뿌리고 그 열매를 기다리는 이에게 시험하는 자의 유혹을 통해서 아무런 열매를 거둘수 없는 상황이 생긴다면 얼마나 안타까운 일이겠는가? 지금 바울은 그런 안타까움과 초조함속에서 디모데를 보낸 것이다. 
 
μὴ πως, also written as one word, μήπως, is dependent on the verb ἔπεμψα and expresses the genuine mood of apprehension felt by Paul when he sent Timothy back to Thessalonica (see BDF §370.2). As was suggested in the Introduction, this may to some degree explain the character of 2 Thessalonians if it is the letter Paul sent in his anxiety. His concern was that “the tempter might have tempted” the Thessalonian Christians,” so that his and his coworkers’ work would be “in vain” (ἐπείρασεν ὑμᾶς ὁ πειράζων καὶ εἰς κενὸν γένηται ὁ κόπος ἡμῶν). That is, in the difficult situation the Thessalonians had faced without their spiritual mentors, they might have renounced their Christian beliefs and way of life. According to 1 Cor. 7:5 Satan is the one who tempts Christians, and this is who Paul has in mind here as well (cf. 2:18). The aorist ἐπείρασεν i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Paul before Timothy went back to Thessalonica. His apprehension had been that his readers might already have succumbed to Satan’s testing of them before Timothy was able to return to strengthen and encourage them. If this had happened, then the missionaries’ hard labors among the Thessalonians (cf. 2:9) would have proved useless or to no purpose (εἰς κενόν).
The imagery of Satan as the tempter of Christians was derived from Paul’s apocalyptic framework in which Satan was viewed as the archadversary of God (see Beker, Paul the Apostle, 188 and the comments above on 2:18). Paul went so far as to call him “the god of this age” who “has blinded the minds of unbelievers” in order to prevent them from accepting the gospel of Christ (2 Cor. 4:4; cf. 2 Thes. 2:9–12). Within his apocalyptic understanding of the two ages, Paul saw Satan as the one who has “usurped God’s authority” to become the ruler of the present age but who will be overthrown when God establishes his dominion in the age to come (Barrett, Second Corinthians, 130).
It is no wonder then that Paul also portrayed Satan as seeking to destroy the fruits of the Christian mission (cf. 1 Cor. 7:5; 2 Cor. 2:10f.; 11:13–15; 1 Thes. 2:18). In the context of 1 Thes. 3:5, Paul implicitly demonizes those who afflict the Thessalonians because they are by implication the agents of Satan’s temptation. This certainly must have had the effect of heightening the separation between the new and struggling Christian community at Thessalonica and the social world from which its members had removed themselves. This in turn fits in with his parenetic intention throughout the letter because it strengthens the identity of his readers as Christians.
BDF F. Blass and A. Debrunner,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tr. and rev. Robert W. Funk.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1961.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32.
 
 
 
 
 
 
 
 
 
 
 
728x90
17 But since we were torn away from you, brothers, for a short time, xin person not in heart, we endeavored the more eagerly and with great desire yto see you face to face, 18 because we wanted to come to you—I, Paul, again and again—but Satan zhindered us. 19 For what is our hope or ajoy or crown of boasting bbefore our Lord Jesus at his ccoming? Is it not you? 20 For you are our glory and joy.
x 1 Cor. 5:3; Col. 2:5
y ch. 3:10
z Rom. 15:22; [Rom. 1:13]
a See Phil. 4:1
b 1 Cor. 15:31; [2 Thess. 1:4]; See 2 Cor. 1:14
c ch. 3:13; 4:15; 5:23; Matt. 24:3; 1 Cor. 15:23; 2 Thess. 2:1, 8; James 5:7, 8; 2 Pet. 1:16; 3:4, 12; 1 John 2:2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2:17–20.
 
17 ◎형제들아 우리가 잠시 너희를 떠난 것은 얼굴이요 마음은 아니니 너희 얼굴 보기를 열정으로 더욱 힘썼노라
18 그러므로 나 바울은 한번 두번 너희에게 가고자 하였으나 사탄이 우리를 막았도다
19 우리의 소망이나 기쁨이나 자랑의 면류관이 무엇이냐 그가 강림하실 때 우리 주 예수 앞에 너희가 아니냐
20 너희는 우리의 영광이요 기쁨이니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2:17–20.
 
 
앞선 2장 1-16절은 바울이 데살로니가에서 사역했던 당시의 내용을 회고하고 있는 내용이다. 자신이 어떤 사역 자세를 가지고 사역했는지 그리고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복음과 고난에 대한 자세를 회고하며 감사하고 있고 복음을 대적한 유대인들에 대한 심판을 경고했다. 이제 17-20절 본문은 바울이 얼마나 데살로니가를 재 방문하기를 원했지만 실패했는지와 그들을 향해 얼마나 깊은 애정과 자부심을 느끼고 있는지를 기록하고 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에서 복음을 전했는데 핍박으로 인해 비자발적 철수를 할 수 밖에 없었다. 이후 그곳을 여러번 방문하기를 원했지만 갈 수 없어서 디모데를 대신 보냈다. 바울의 복음을 듣고 영접한 이들이 핍박으로인해 힘든 시기를 보낼 것을 알고 있었기에 더욱 그들을 생각하고 기도하며 보기를 원했던 것이다. 
 
17절) 본문에 ‘떠난 것은’이라는 표현은 ‘아포르파니조’의 부정과거 수동태 분사형으로 ‘아포르파니스텐테스’가 사용되었다. 이는 ‘고아로 만들다, 분리되다’의 의미이다. 부로모부터 영구히 분리되는 것으로 여기서 ‘고아, orphan’이라는 단어가 나온 것이다. 바울은 지속적으로 가족의 이미지를 사용한다. 7절에서는 유모로, 11장에서는 아버지의 이미지를 사용하는데 여기서는 자신이 떠남으로인해서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고아와 같은 상태가 됨으로 자신이 얼마나 마음이 아팠는지를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를 떠난 것이 마치 부모와 자식간의 원하지 않는 이별로 인한 것임을 표현하고 있다. 
 
2:17 orphaned. Paul continues his family metaphors (see vv. 7, 11 and notes) by comparing himself to a child who has been orphaned from his parents—so deep were his feelings of anguish over being separated from his Thessalonian converts.
vv. verses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3.
 
‘힘썼노라’라는 표현에서 사용된 ‘스푸다조’는 ‘서두르다, 열망하다’라는 의미이다. 힘쓰다라는 의미로 엡 4:3, 딤후 2:15에서 사용되었고, 서두르다라는 의미로 딤후 4:9, 21; 딛 3:12에서 사용되었다. 
바울은 여기서 열정으로 더욱 힘썼다라고 말하고 있다. ‘열정으로’라는 표현은 ‘폴레 아피뒤미아’로 ‘폴레’는 ‘큰, 위대한’이라는 의미이고 ‘에피뒤미아’는 ‘강렬한 욕망’을 의미하는 명사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죄악된 인간의 본성에서 나오는 정욕, 성적 욕망, 탐심을 나타내는 부적적인 의미인데 여기서는 부정적인 의미를 탈피하여 거의 통제할 수 없을 만큼의 강한 열망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빌 1:23) 이는 바울과 그의 동역자들이 무모하다 싶을 정도의 열정을 보여주고 있다. 
바울은 자신이 얼굴은 있으나 마음을 떠나지 않았음을 말하고 있다. ‘얼굴’을 
‘프로소폰’으로 히브리어로는 ‘파네’인데 이는 존재, 얼굴’을 의미한다. 살후 1:9에서는 ‘주의 얼굴’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마음’은 ‘카르디아’로 ‘심장, 내부기능’이라는 의미로 사람의 생각, 의지, 감정,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양심) 지식의 좌소의 의미이다. 히브리어로는 ‘레브’로 예수님께서도 이 표현을 많이 사용하셨다. 마 5:8; 6:21, 15:18
 
세상은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멀어진다(out of sight, out of mind)라고 말한다. 하지만 성도들간의 사랑은 이러한 통념을 뛰어넘어야 한다. 성도간의 사랑은 성령의 감동에 의한 사랑이며 그리스도 안에서의 사랑이기에 함께 할 때에는 자신을 내어주는 희생적인 사랑을 하고 떨어져 있더라고 서로를 생각하며 복을 빌고 중보의 기도를 올려드려야 한다. 
 
18절) ‘바울은 한번 두번 너희에게 가고자 하였으나’, 바울의 대적자들은 데살로니가에서 도망간 바울이 성도들을 버리고 도망갔다라고 비방을 하였는데 이에 대해서 바울은 변호를 하고 있는 것이다. 적대자를의 거짓말과 달리 다른 사람은 몰라도 나 바울 만큼은 여러번 가고자 애썼음을 힘주어 강조한다. 나라는 표현은 바울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이다. 
바울의 데살로니가 방문을 막은 것은 사탄이라고 바울은 말한다. 여기서 ‘막았도다’는 ‘에네콥센’으로 이는 중간에 끼어 들어서 방해하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이다.(롬 15:22) 이는 당시 도주하는 적군의 진로를 중간에 차단하는 것을 가리키는 군사 용어였다. 
그렇다면 실제로 사단이 어떻게 바울을 막았을까? 본문이 이것에 대해서 명확하게 말하고 있지 않지만 몇가지 추정해 볼 수 있다. 
1) 행 17:9을 보면 바울이 데살로니가에서 쫓겨 나왔는데 다시 들어가게되면 야손의 안전이 위협을 받게 되었을 것이다. 
2) 데살로니가의 유대인들이 바울을 극심하게 핍박하여서(행 17:13) 바울이 되돌아가면 생명의 위협을 받게 되었을 것이다.  
3) 바울의 고질적인 가지인 병(눈병 혹은 간질)이 재발하였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사용된 사탄이라는 표현은 헬라어 ‘사타나스’로 히브리어 ‘사탄’의 음역이다. 이는 ‘대적자, 고소자’라는 의미이다. 바울은 이를 인격적이고 악한 영적 존재로 하나님과 그분의 백성을 대적하려는 목적을 가진 존재들로 주로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시험하는 자, 마귀, 벨리알, 뱀, 악한 자’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Satan. From the Hebrew meaning “accuser,” it is the term Paul uses most often to refer to a personal, evil, spiritual being whose purposes are opposed to God and his people (2 Thess 2:9; Rom 16:20; 1 Cor 5:5; 7:5; 2 Cor 2:11; 11:14; 12:7; 1 Tim 1:20; 5:15). Paul elsewhere refers to this figure as “the tempter” (3:5), “the devil” (Eph 4:27; 6:11; 1 Tim 3:6–7; 2 Tim. 2:26), “Belial” (2 Cor 6:15), “the serpent” (2 Cor 11:3), and “the evil one” (2 Thess 3:3; Eph 6:16).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3.
 
사탄히브리어 단어 שָׂטָן(싸탄)은 반대하다, 방해하다, 고소하다의 의미를 갖는다. 헬라어 용어(σατάν, 사탄)은 문자적으로 “대적”을 의미한다. 신약에서 사탄은 호칭 또는 이름을 가리킨다. 히브리어 שָׂטָן(싸탄)은 70인역에서 디아볼로스로 번역된다.
히브리 성경에서의 “사탄”의 용례
구약에서 사탄이란 단어는 명사와 동사 둘 다로 사용된다. 동사로 사용될 때는 “대적으로서 반대하다”라는 의미를 갖는다(예, 시 38:20; 71:13; 109:4, 20, 29; 슥 3:1). 명사로 사용될 때는 인간 대적에게 적용된다(예, 삼상 29:4; 삼하 19:22; 왕상 5:4; 11:14, 23, 25). 구약의 네 책에서 이 용어는 초자연적인 존재에게 붙는다(민 22:22, 32; 욥 1:6, 7, 8; 슥 3:1; 대상 21:1).
인간 대적에 적용되는 “사탄”
“사탄”이란 단어는 구약의 여러 지점에서 인간 반대자를 지명하기 위한 명사로 등장한다. 이럴 때 영어 성경에서는 그것을 “대적” 또는 “원수”로 번역한다. 예를 들면, 솔로몬 왕은 자신이 성전을 지으려 했을 때 그것을 방해할 어떤 “사탄” 즉 “대적”도 없었던 것에 대해 말한다(왕상 5:4). 이 용어는 다윗 왕이 아비새를 반대자 또는 대적으로 말할 때도 사용된다(삼하 19:22).
초자연적 존재와 관련되는 “사탄”
구약에서 “사탄”이란 단어는 초자연적인 존재와 관련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발람과 그의 나귀가 여행하는 길을 막고 있는 여호와의 천사가 “사탄”이라 일컬어지는 민수기 본문이 그런 경우다(민 22:22). 이 천사는 “사탄”이 아니라 발람을 “반대하는” 것이다.
        욥기.욥기에는 하나님의 허락 아래 욥의 신실함을 시험했던 초자연적인 “사탄”의 존재가 나온다(욥 1:6). 이 문맥에서 저자는 그 명사(“사탄”) 앞에 정관사(“그”)를 놓아서 그 용어가 고유명사가 아니라 호칭 또는 직책임을 보여 준다. 이 존재는 하나님의 아들들의 천상 회의의 일원인 천사로 나오며, 그의 특별한 임무는 지상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일들을 조사하는 일이었을 것이다. 욥기에 나오는 하나님의 법정의 “그 사탄”은 스스로를 저항적인 존재라기보다는 고소하는 존재로 드러냈다.
어디에서 왔느냐는 여호와의 질문에 “그 사탄”은 자신이 땅을 두루 돌아 다녀왔다고 답한다(욥 1:7). 이것은 “사탄”으로서 행하는 것이 신에게 부여받은 임무였음을 제시하는 것일 수 있다(Tate, “Satan,” 462). 이 문맥에서 여호와가 “그 사탄”을 책망하시지 않는 것은 흥미롭다. 오히려 “그 사탄”은 단순히 욥의 종교적 진실성에 회의적일 수 있는 자로 제시된다(Tate, “Satan,” 463).
        스가랴서.스가랴서에서는 “사탄”이란 용어가 법정의 정황에 적용되면서 욥기와 비슷한 장면이 제시된다(슥 3:1). 스가랴 3장에서 대제사장 여호수아는 여호와의 천사 앞에 서 있다. “그 사탄” 그를 고소하기 위해 거기 있다. 욥기에서처럼 “그 사탄”은 적대적이거나 악한 방식으로 행동하지 않고, 사람들의 진실성 여부를 살피는 검사 역할을 하면서 단순히 여호수아를 기소하는 것처럼 보인다(Boring, Revelation, 165). “그 사탄”은 여호수아가 제사장직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묻는 것일 수 있다(Tate, “Satan,” 463).
스가랴 3장 본문에서 “그 사탄”이 여호와께 적대적인지 아니면 그가 단순히 여호와의 정책들에 도전하는 존재인지에 대해서는 약간의 모호함이 있다. 스가랴 3:2에는 “책망하다”를 의미하는 동사가 두 번 사용된다. 이 책망은 여호와가 말씀하신 것이며 “그 사탄”에게 주어진 것이다. 이 책망은 “그 사탄”에 대한 여호와의 일반적인 불만을 표현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단순히 “그 사탄”에 의해 초래된 상황이 여호와께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Tate, “Satan,” 464). 마빈 테이트(Marvin Tate)는 “책망하다”라는 동사의 사용만으로는 이 장면에서 “그 사탄”을 하나님의 주적인 마귀로 확정하기에 불충분하다고 주장한다(Tate, “Satan,” 464). 이 입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테이트는 잠언(잠 17:10)에서 “책망”이란 명사가 하나님께 호의적인 사람과 관련해서 사용된다는 점에 주목한다(Tate, “Satan,” 464).
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책망이란 단어는 강한 저주 또는 하나님의 분노 표현을 나타낸다고 주장한다(Klein, Zechariah, 136). 이런 이유로 유진 메릴(Eugene Merrill)은 스가랴서의 “그 사탄”을 성경 전체에 걸쳐 알려져 있는 하나님의 최대의 적으로 식별한다(Merrill, Haggai, 133).
        역대기상.역대기상은 “사탄”이란 단어가 초자연적인 존재의 어떤 유형과 연결되는 또 다른 예에 해당한다(대상 21:1. 비교, 삼하 24:1). 이 본문은 여호와가 “사탄” 또는 다른 신적 대리인의 수단을 통해 다윗을 선동하셨음을 전하는 것일 수 있다. 이전 본문들과 마찬가지로 이 본문은 마귀로 이해되는 사탄적 존재를 의도하거나 후대의 문헌에서 하나님의 주요 대적으로 제시되는 사탄을 의도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사탄”은 고유명사가 아니라 직책 또는 기능을 가리킬 가능성이 높다.
유진 보링(Eugene Boring)은 구약 어디에서도 사탄을 후대 문헌이나 신약 문헌에서 제시되는 “악의 화신”으로 제시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Boring, Revelation, 164). 하지만 히브리 성경에서 제시되는 “사탄”을 더 적대적인 역할을 입증하는 것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다(예, Noll, Angels of Light, 103–104).
히브리 성경에서의 사탄의 반란
두 구약 본문(사 14:12–15와 겔 28:11–19)이 사탄의 반란을 묘사하는 것일 수 있다. (원래의 히브리어 본문의 연대가 BC 1세기 또는 AD 1세기로 추정되는) 아담과 이브의 생애에서는 계명성의 추락이 사탄과 그의 천사들의 추락으로 해석된다(아담과 이브의 생애 12-15장. 참고, 에녹2서 29:4–5). 천사들은 별에 비유된다(삿 5:20; 욥 38:7; 에녹1서 104:1; 모세의 유언 10:9). 이 전통에 따르면 사탄은 하나님이 쫓아내셨던 첫 피조물들에 속해 있었다.
제2성전기 문헌에서의 사탄적 존재
모세 승천기(10:1)와 희년서(2:23–29)는 “사탄”이란 용어가 고유명사로 사용된 가장 초기의 증거들일 것이다.
하나님의 최고 대적으로서의 사탄
 BC 2세기와 3세기의 글들에서는 하나님과 인간의 최대의 적인 것이 분명한 존재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예를 들면, 사탄은 하나님과 인간의 반대자일 뿐 아니라 솔로몬의 지혜에서 사탄은 죽음의 현상들과 관계되기도 한다(솔로몬의 지혜 2:24).
악한 영들의 지도자를 가리키는 다양한 명칭들이 제2성전기 문헌들에서 등장한다(참고, 제2성전기의 사탄). 그 이름들에는 벨리알, 마스테마, 사타나일, 사탄이 포함된다(갓의 유언 4:7; 베냐민의 유언 7:1; 르우벤의 유언 4:7; 시므온의 유언 5:3; 아셀의 유언 3:2; 희년서 11:5; 에녹2서 31:6). 사탄이 악과 죄의 창시자로 여겨지면서 여러 본문에서 그의 파멸이 기대되고 표현되었다(레위의 유언 18:12; 유다의 유언 25:3).
창세기 2–3장의 뱀과 사탄
히브리 성경에는 창세기 2–3장에 나오는 뱀이 사탄이었다는 증거나 사탄이 지휘하는 생물이었다는 증거조차도 전혀 나오지 않는다. 솔로몬의 지혜(약 BC 220년—AD 50년)는 둘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 초기의 문헌이라고 할 수 있다(솔로몬의 지혜 2:24). 사탄과 뱀의 연결은 아담과 이브의 생애(33장)와 에녹2서(31장)에서도 입증된다. 두 본문 모두 이브를 미혹한 것이 마귀였다고 언급한다.
신약에서의 사탄
신약은 사탄이 하나님의 최고 대적으로 발전하는 그림을 보여 준다. 신약의 문헌들 이전이나 동시대에 기록된 성경 밖 작품들은 이 발전과 평행을 이룬다. 신약에서 “마귀”라는 단어는 32회, 사탄은 33회, 벨리알은 1회(고후 6:15), 바알세불은 7회 사용된다.
예수와 사탄
사탄은 하나님과 인간의 반대자일 뿐 아니라 예수와 직접적으로 충돌하기도 한다. 예수는 사역을 시작하면서 사탄에게 시험을 받기 위해 광야로 간다. 이것은 하나님이 예수를 그분의 아들이라 선언하신 직후의 일이고 따라서 사탄은 이 선언에 도전하는 것이다(마 3:17; 4:1–11). 예수는 구약 성경에 의존해서 사탄의 시험들을 극복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이 하나님의 뜻에 순종함을 증명한다. 그러므로 예수는 동산에서의 하와의 불순종과 광야에서의 이스라엘의 불순종 모두를 상징적으로 무효화한다.
신약에는 마귀에게 고통받은 것으로 묘사되는 인물들이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누가복음에서 그리스도는 “불구로 만드는 영”을 가졌던 여자를 “열여덟 해 동안 사탄에게 매인 바 된” 자로 묘사한다(눅 13:11, 16). 13:16의 사탄이 13:11의 영과 똑같은지의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요한복음에서는 사탄이 유다에게 “들어간” 것으로 묘사된다(요 13:27). 이것이 완전한 “소유”를 가리키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다.
예수의 가르침은 능동적인 적으로서의 마귀의 존재를 반영한다.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의 예수의 비유에서는 악한 자가 길가에 떨어진 씨를 낚아챈다(마 13:19; 막 4:15). 다른 말로 하면, 마귀가 하는 일들 중에는 사람으로 하여금 하나님 나라 메시지를 무시하게 하는 일이 포함된다는 것이다. 악한 자들은 마귀를 따르는 자들이나 마귀의 자녀들이라 일컬어진다(요 8:44; 행 13:10; 계 2:9; 3:9; 요일 3:8).
패배했으나 아직 위험한 존재인 사탄
신약에서 사탄은 종종 패배한 적으로 여겨진다(마 13:36–43; 롬 16:20; 히 2:14–15; 요일 3:8; 계 20:2). 전투는 이미 치러졌고 승리했다(계 12:7–10). 그러나 동시에 신약은 그가 여전히 경계해야 하는 공격적인 세력이라고 주장한다(살후 3:3; 약 4:7; 계 2:24).
사탄의 이름들과 호칭들
신약에서 사탄에게 붙여지는 다양한 호칭들과 이름들은 마귀의 특징을 나타내는 폭넓은 표현을 제공한다. 그는 용(계 20:2), 뱀(계 12:9), 악한 자(요 17:15; 엡 6:16), 시험하는 자(마 4:3; 살전 3:5)로 분류되고, 사자처럼 두루 다닌다(벧전 5:8). 바울에 따르면 그는 공중 왕국의 통치자, 즉 마귀 영역의 지도자다(엡 2:2). 바울 시대의 사람들은 영들이 천상과 지상 사이에 위치한 공간에 존재한다고 믿었다(Arnold, Ephesians, 60). 여러 경우에 사탄은 “집의 주인” 또는 “높음의 주인”을 의미할 수 있는 “바알세불”로 불린다(예, 마 12:27; 눅 11:18). “공중의 왕국”이라는 문구와 마찬가지로 바알세불은 사탄이 마귀들을 지도하는 존재로 인식된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사탄의 기원
신약의 일부 본문은 사탄을 세상의 시초에 하늘에서 있었던 전쟁 중에 떨어진 것으로 묘사한다. 즉, 미가엘과 그의 천사들이 마귀와 그의 천사들을 하늘에서 내쫓았다(계 12:7). 요한일서는 마귀를 “처음부터 범죄한” 자로 묘사한다(요일 3:8). “처음부터”란 문구는 창세기 기사에 대한 언급일 수 있으며, 마귀를 뱀과 연결시킨다. 신약은 사탄의 떨어짐이 교만 때문이었음을 보여 준다(딤전 3:6). 예수는 그가 처음부터 살인자였다고 말했다(요 8:44).
사탄에 대한 초대 교부들의 관점
초대 교부들은 교회를 향한 사탄의 공격에 대해 논했다. 교부들은 마귀가 교회를 죄와 불화로 이끌기 위해 활발히 활동한다고 이해했다(클레멘트1서 51:1). 바나바 서신의 저자는 빛과 어둠 사이의 이원적인 전투를 실제적인 것으로 봤고, 그래서 마귀를 “어둠의 주”라 칭했다(바나바 서신 20:1).
시리아의 안디옥에 있는 한 그리스도인 공동체를 감독했던 주교 이그나티우스 데오포루스는 누구든지 주교의 허락 없이 행하는 자는 마귀의 종이라고 주장했다(To the Smyrnaeans 9:1).
이단들은 사탄의 추종자로 불렸다(Polycarp, To the Philippians 7:1). 거짓 가르침의 존재는 선과 악의 우주적 싸움의 일부였다. 리옹의 주교 이레나이우스는 이단들을 사탄 군대의 구성원들과 관련시켰다(Heresies 1.25). 이것이 결국 거룩한 전쟁, 십자군, 이단 및 비그리스도인 박해를 정당화하게 만들었을 것이다(Russell, Satan, 87).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겐(AD 185–254년경)은 이사야 14:12–15를 누가복음 10:18에 나오는 사탄의 떨어짐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과 관련시킨다(Principiis 1.5.5와 4.1.22). 기독교 저자 터툴리안(AD 197–220년경)은 사탄의 죄의 배경에 대해 비슷한 결론을 도출하고, 사탄의 최후를 에스겔서에 기록된 두로 왕의 몰락과 연관시켰다(겔 28:11–19; Marcus 2:10).
추가 연구를 위한 선별 자료
Albani, Mathias. “The Downfall of Helel, The Son of Dawn: Aspects of Royal Ideology in Isa 14:12–13.” Pages 62–86 in The Fall of the Angels. Themes in Biblical Narrative. Edited by Christoph Auffarth and Loren T. Struckenbruck. Leiden: Brill, 2004.
Boring, M. Eugene. Revelation. Interpretation: A Bible Commentary for Preaching and Teaching. Edited by James Luther Mays. Louisville: John Knox Press, 1989.
Brown, Derek R. “The Devil in the Details: A Survey of Research on Satan in Biblical Studies.” Currents in Biblical Research 9, no. 2 (2011): 200–27.
Day, Peggy. An Adversary in Heaven: Satan in the Hebrew Bible. Atlanta: Scholars Press, 1988
Forsyth, Neil. The Old Enemy: Satan and the Combat Myth.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Kelly, Henry Ansgar. Satan: A Biograph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Klein, George. Zechariah. The New American Commentary 21B. Edited by E. Ray Clendenen. Nashville: B&H Publishing, 2008.
Kreuzer, Florian. “Der Antagonist: der Satan in der Hebräischen Bibel—eine bekannte Grösse?” Biblica 86 no. 4 (2005): 536–44.
Merrill, Eugene. Haggai, Zechariah, Malachi. Chicago: Moody, 1994.
Noll, Stephen. Angels of Light, Powers of Darkness: Thinking Biblically about Angels, Satan and Principalities. Downers Grove: InterVarsity, 1998. Repr., Eugene, Oreg: Wipf and Stock, 2003.
Orlov, Andrei A. Dark Mirrors: Azazel and Satanael in Early Jewish Demonology.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1.
Pagels, Elaine. “The Social History of Satan, the ‘Intimate Enemy’: A Preliminary Sketch.” The Harvard Theological Review 84, no. 2 (1991): 105–28.
———. The Origin of Satan. New York: Random House, 1995.
Russell, Jeffrey Burton. The Devil: Perceptions of Evil from Antiquity to Primitive Christianity. Ithaca: Cornell University, 1977.
———./Satan: The Early Christian Tradition/. Medieval Studie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Sacchi, Paolo. Jewish Apocalyptic and its History. Translated by W. J. Short. JSP Supplement 20.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0.
Steudel. “God and Belial.” Pages 332–40 in The Dead Sea Scrolls Fifty Years after their Discovery: Proceedings of the Jerusalem Congress July 20–25, 1997 Edited by L. H. Schiffman, E. Tov, J. C. VanderKam and G. Marquis. Jerusalem: Israel Exploration Society, 1997.
Tate, Marvin. “Satan in the Old Testament“. Review and Expositor 89 (1992): 461–74.
Wray, T. J. and Gregory Mobley, The Birth of Satan: Tracing the Devil’s Biblical Roots. New York: Macmillan, 2005.
데이비드 실(David Seal)
 David Seal, “사탄,” ed. John D. Barry, Lexham 성경사전 (Bellingham, WA: Lexham Press, 2020).
 
19절)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소망’이라고 묘사한 것은 그들로 인해서 장차 마지막 날에 얻게될 영광이 있기 때문이요 ‘기쁨’이라고 한 것은 그들을 생각할 때마다 터져나오는 기쁨을 주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역자에게 있어서 자기가 복음을 전한 성도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의 날에 흠과 티 없이 서게 되는 것보다 큰 기쁨은 없을 것이다. ‘자랑의 면류관’이라고 한 것은 그들이 하나님 앞에서 바울의 자랑이자 영광 그 자체 이기 때문이다. 
‘면류관’이라고 번역된 ‘스테파노스’는 ‘주변을 두르다’라는 의미를 지닌 ‘스테포’에서 유래한 명사로 ‘머리를 에워 씌우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는 왕이나 고귀한 지위를 지닌 자에게 씌워지는 관이나(삼하 12:30; 대상 20:2) 운동경기에서 우승한 선수에게 씌워지는 월계관을 가리키는 단어였다(고전 9:25). 이것은 최고의 영애를 상징한다. 원형 경기장이나 올림픽에서 승리한 우승자에게 월계관이 씌워지고 금메달이 수여될 때 그 영광은 말로 다할 수 없을 것이다. 하물며 많은 영혼을 그리스도께 인도한 것에 대해서 하나님께서 칭찬하실 것이기에 그 영광은 말로 다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것이어서 이를 ‘자랑의 면류관’이라고 말한 것이다. 바울은 이외에도 의의 면류관(딤후 4:8), 썩지 않을 면류관(고전 9:25)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으며 야고보는 생명의 면류관(약 1:12), 베드로는 영광의 면류관(벧전 5:4)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강림'이라는 표현은 ‘파루시아’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구약의 여러시대에 강림하신 것을 가리킬 때 사용되었던 단어이다. 또한 왕이나 황제 등 위대한 인물이 어떤 도시를 방문하거나 도착하는 것을 가리킬 때 사용되었다. 황제의 방문을 위해 주민들은 여러가지를 준비한다. 그리고 황제가 방문하면 도시에 새로운 신기원이 도래하게 된다. AD 124년 아테네와 다른 그리스 도시에 하드리안 황제가 방문함으로 그 지역에 신기원이 도래했다. 그러나 이 단어는 신약 성경에서는 거의 전적으로 주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그분의 방문을 가리키는 전문 용어로 사용되었다. 데살로니가전후서에서는 이 표현이 7번(살전 2:19; 3:13, 4:15, 5:23, 살후 2:1, 2:8, 2:9)이나 사용되었다. 주님께서 영광가운데 다시 오실 때 모든 무릎을 그 아래 꿇게 하실 것이다.(빌 2:10)
 
우리는 마땅히 마지막 때, 주님의 재림시에 그분 앞에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다. 그 때 영벌과 영생으로 나뉘어지게 될 것이다. 바울은 종말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하고 있었고 그 때에 너희가 나의 소망이요 기쁨, 소망의 면류관임을 외치고 있는 것이다. 하나님의 심판의 불 앞에서 모든 것은 불타 없어질 것이다. 
고린도전서 3:10–15
10내게 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따라 내가 지혜로운 건축자와 같이 터를 닦아 두매 다른 이가 그 위에 세우나 그러나 각각 어떻게 그 위에 세울까를 조심할지니라
11이 닦아 둔 것 외에 능히 다른 터를 닦아 둘 자가 없으니 이 터는 곧 예수 그리스도라
12만일 누구든지 금이나 은이나 보석이나 나무나 풀이나 짚으로 이 터 위에 세우면
13각 사람의 공적이 나타날 터인데 그 날이 공적을 밝히리니 이는 불로 나타내고 그 불이 각 사람의 공적이 어떠한 것을 시험할 것임이라
14만일 누구든지 그 위에 세운 공적이 그대로 있으면 상을 받고
15누구든지 그 공적이 불타면 해를 받으리니 그러나 자신은 구원을 받되 불 가운데서 받은 것 같으리라
 
20절)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존재 자체가 우리 복음 전하는 이들에게 영광이요 기쁨이라고 말한다. 본문에 ‘이요’라고 번역된 ‘에스테’는 현재형 동사로 19절에 말한대로 그리스도의 강림하실 때 뿐 아니라 서신을 쓰고 있는 지금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자신들에게 영광이요 기쁨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목회자에게 자랑, 기쁨은 무엇인가? 얼마나 큰 교회를 건축하고, 얼마나 많은 재정을 집행하고 많은 사역을 감당하고 있음이 아니라 바로 성도 한 사람, 한 사람이 하나님앞에서 하나님나라의 백성으로서 바르게 살아내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성도로 서가는 것이다. 자신이 세상의 중심이라고 여기며 자신만을 위하여 살아가던 사람이 하나님을 자신의 삶의 주인으로 인정하고 하나님나라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것에 잇대어 살아가기를 다짐하고 노력하는 삶의 모습이야말로 목회자의 영광이요 기쁨이라고 할 수 있다. 
 
 
 
728x90
13 And jwe also thank God constantly4 for this, that when you received kthe word of God, which you heard from us, you accepted it lnot as the word of men5 but as what it really is, the word of God, mwhich is at work in you believers. 14 For you, brothers, nbecame imitators of othe churches of God in Christ Jesus that are in Judea. For pyou suffered the same things from your own countrymen qas they did from the Jews,6 15 rwho killed both the Lord Jesus and sthe prophets, and drove us out, and displease God and toppose all mankind 16 uby hindering us from speaking to the Gentiles that they might be saved—so as always vto fill up the measure of their sins. But wwrath has come upon them at last!7
j See ch. 1:2, 3
4 Or without ceasing
k [Rom. 10:17]
l [Gal. 4:14]; See Matt. 10:20
5 The Greek word anthropoi can refer to both men and women
m Heb. 4:12
n See ch. 1:6
o See 1 Cor. 7:17
p ch. 3:4; Acts 17:5; 2 Thess. 1:4, 5
q [Heb. 10:33, 34]
6 The Greek word Ioudaioi can refer to Jewish religious leaders, and others under their influence, who opposed the Christian faith in that time
r See Luke 24:20
s Jer. 2:30; Matt. 23:29–34; See Matt. 5:12
t [Esth. 3:8]
u Acts 13:45, 50; 14:2, 19; 17:5, 13; 18:12; 22:21, 22
v See Gen. 15:16
w See ch. 1:10
7 Or completely, or forever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2:13–16.
 
13 ◎이러므로 우리가 하나님께 끊임없이 감사함은 너희가 우리에게 들은 바 하나님의 말씀을 받을 때에 사람의 말로 받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음이니 진실로 그러하도다 이 말씀이 또한 너희 믿는 자 가운데에서 역사하느니라
14 형제들아 너희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유대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들을 본받은 자 되었으니 그들이 유대인들에게 고난을 받음과 같이 너희도 너희 동족에게서 동일한 고난을 받았느니라
15 유대인은 주 예수와 선지자들을 죽이고 우리를 쫓아내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아니하고 모든 사람에게 대적이 되어
16 우리가 이방인에게 말하여 구원받게 함을 그들이 금하여 자기 죄를 항상 채우매 노하심이 끝까지 그들에게 임하였느니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2:13–16.
 
 
13-16절은 앞선 1-12절에서 언급한대로 바울의 데살로니가 전도 사역에 대한 회상이다. 
13-16절) 바울은 계속해서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택함을 받았다는 것에 대한 확신(4절)을 강조한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신뢰함으로 받았고(13절) 유대에 있는 자신들의 모교회와 같이 핍박을 받았다(14절). 또한 바울은 최근에 자신을 데살로니가에서 쫓아낸 이들, 선지자들과 예수님에 대적하는 배교자 유대인들을 비난한다(15-16절). 
 
13절) 바울과 그 일행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받을 때 사람의 말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음으로 인해서 끊임없이, 쉬지 않고(아디알레입토스) 감사했다. 
그렇게 끊임없이 감사한 이유는 바로 하나님의 사역자들로부터 선포되고 가르쳐진 이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았기 때문이다. 말씀을 전하고 가르치는 사역자들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일은 너무나도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일이다. 자신이 전하는 이 말씀을 자신의 것으로 주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말씀을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았다는 것이다. 
본절에서 받다라는 헬라어는 두가지가 사용된다. 먼저 사용된 ‘파랄라본테스’는 ‘파랄람바노’의 부정과거분사이고 두번째 사용된 ‘에덱사스데’는 ‘데코마이’ 부정과거 직설법 중간태 동사이다. 전자는 객관적이고 외부적인 받아들임을, 후자는 환영과 찬동을 수반하는 주관적이고 내적인 영접을 뜻한다. 모리스는 전자는 귀있는 모든 사람들이 객관적으로 듣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며 후자는 그 말을 듣는 사람들이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것으로서 사람에 따라 그 반응이 다르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같은 말을 듣고서도 어떤 사람은 그 말을 무시해도 좋을 하찮은 것으로 받아들이는가하면 어떤 사람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 순종의 삶을 사는 것이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바울 일행의 입에서부터 나온 복음의 말씀을 성령의 감동하심에 따라 반드시 순종하고 지켜야할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영어 표현에서도 receive와 accept가 사용되었다. 이는 받다와 밭아들이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진실로 그러하도다’ 이는 ‘너희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사람의 말로 받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은 것처럼 하나님의 말씀은 참으로 하나님의 말씀이다’라는 의미이다,. 
 
‘너희 믿는 자’는 ‘사도들의 입에서 나온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는 너희들’이라는 의미이다. ‘역사하느니라’는 ‘에네르게이타이’인데 이는 ‘에니르게오’의 현재 직설법 동사인데 헬라어에서 직설법 현재형은 첫째, 진리나 격언 및 변함없는 진리를 나타내는 ‘격언적 현재’로 사용된다. 즉 증거되는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 믿는 자들에게는 언제 어디서나 그 말씀이 능력있게 역사한다는 것이다. 둘째, 헬라어 직설법은 과거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계속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지속적 현재’ 용법으로 쓰인다. 이는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영적인 삶에 그 역사가 바울이 말씀을 전하던 때 뿐만 아니라 본 서신을 쓰고 있는 현재에도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말씀은 능력이 있다. 능력있게 역사해서 믿는 자들을 새롭게 하고 살려낸다.(고전 1:18, 히 4:12, 겔 37:1-14).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은 그것을 그분의 말씀으로 받아들이는 자들의 영에 역사하여 자신의 죄악된 실체와 직면하게 하고 그로 인해 그 죄인된 생각과 본성을 변화시키고, 자기중심성을 극복하게 하여 그들 자신의 삶 전체를 하나님께 향하여 그분과 동행하도록 바꾸어 놓는다. 
2:13 not as the word of men but as … the word of God. Paul clearly claims an absolute divine authority for his words as an apostle, and contrasts his words with ordinary human words. His apostolic teaching really is the “word of God,” and should be received as from God himself. which is at work in you. The word of God is still active in the Thessalonian community (see 1 Cor. 1:18; Heb. 4:12).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7.
 
Paul thanks God because of the way in which his readers received the gospel. The participle παραλαβόντες is a technical term for receiving a tradition. For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Eucharist, the apostle says to the Corinthians, “I received (παρέλαβον) from the Lord what I also gave to you.” Similarly, in passages like 1 Cor. 15:3 and Gal. 1:12 Paul can speak of the gospel that he preached as something that he himself has received. He can also use it of the ethical instruction that his converts received from him (cf. 1 Thes. 4:1). Perhaps 1 Cor. 15:1 and Gal. 1:9 (cf. also Col. 2:6) are the closest parallels to 1 Thes. 2:13. In these texts Paul uses παραλαμβάνειν for the reception of the gospel that he preached. Wha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about each of these occurrences of the verb is the authoritative character of the message or instruction that is received, which it has because it is given by an authoritative source. This technical usage of the verb by Paul has parallels in both rabbinic tradition (see Davies, Paul and Rabbinic Judaism, 247–250) and Greek and Hellenistic usage (see G. Delling, TDNT IV, 11f.).
Paul recounts the Thessalonians’ reception of the gospel in the words παραλαβόντες λόγον ἀκοῆς παρʼ ἡμῶν τοῦ θεοῦ ἐδέξασθε (“receiving from us the message of God which was preached”). This is an awkward expression. It is not altogether clear what the governing noun of the genitive “of God” (θεοῦ) is, and ἀκοή may refer either to the act of hearing or to that which is heard. The most probable explanation for the striking position of “of God” is that it was an afterthought inserted into the sentence to avoid any doubt about the origin of the message that had been delivered to the Thessalonians. “From us” (παρʼ ἡμῶν) is ambiguous and could be construed as meaning that the message originated from Paul and his colleagues. The insertion of “of God” into the participial phrase is actually redundant. It makes the phrase preempt the thought of the clause as a whole and detracts from the force of the contrast that Paul seeks to make in v. 13c between a message originating with human beings and the message of Paul, which stemmed from God. ἀκοή probably refers to what was heard and therefore may be rendered by a term like “preaching” (cf. Rom. 10:16f.; Gal. 3:2, 5). The point of the participial phrase as it now stands is that the word of preaching received by the Thessalonians from Paul and his colleagues was a message of divine origin.
The main verb ἐδεξασθε (“you accepted”) is a synonym of παραλαβόντες but does not have the same connotation of the reception of an authoritative message. It is probably employed to emphasize the actual decision of the Thessalonians to accept the message that was declared to them. Paul points out that they accepted this message “not as a human message” (οὐ λόγον ἀνθρώπων), that is, as though it were merely a word spoken by fellow human beings, but “just as it truly is, the message of God” (καθώς ἐστιν ἀληθῶς λόγον θεοῦ); that is, they accepted it because they recognized the divine origin of the missionaries’ preaching. In effect, Paul makes the implicit claim here that his and his coworkers’ preaching was the very word of God. The distinction that he makes by the contrast (note the contrastive conjunction ἀλλα, “but”) is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the context of the following verse. It implies that the suffering experienced by the Thessalonians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message of the missionaries is in reality suffering on God’s account. What he says gives their suffering a profound meaning and is probably intended to enable them to endure it with confidence in God.
The word of God that they received was not a meaningless idea or a doctrine to be maintained; it was a source of power in the lives of those who believed (ὃς καὶ ἐνεργεῖται ἐν ὑμῖν τοῖς πιστεύουσιν). Paul does not specify here how the gospel is effective, but undoubtedly the Thessalonians would have understood it in terms of the way in which they experienced the work of the Spirit (cf. 1:5–6), both at the time of their conversion and later in the life of their community (cf. 5:19f.).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10–112.
 
14절) 앞서 6절에서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바울과 일행, 주를 본받은(미메타이) 자가 되었다는 칭찬이 주어진데 이어 본절에서 유대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들을 본받은 자 되었다는 칭찬이 주어지고 있다. 
데살로니가 교회의 모범, 모방의 대상이 된 유대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는 어떤 교회였냐하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유대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였다. 
유대에 있는 이라는 표현은 팔레스틴 지역 전부를 지칭하는 의미이며 교회들, ‘엑클레시온’이라는 복수형의 표현은 당시 유대의 교회가 예루살렘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팔레스틴 여러지역에 널리 분포해 있었던 것을 말해준다(디아스포라). 
With the expression τῶν ἐκκλησιῶν τοῦ θεοῦ τῶν οὐσῶν ἐν τῇ Ἰουδαίᾳ ἐν Χριστῷ Ἰησοῦ (“the churches of God which are in Judea in Jesus Christ”) Paul probably refers to the various local Christian communities not merely in the geographic area of Judea, but in what we would call Palestine, a term embracing Judea, Samaria, and Galilee. For Greek speakers ἐκκλησία required delimiting since it was not a technical term for the Christian religious assembly (see the comments on 1:1). Elsewhere Paul normally defines the Christian assemblies as those belonging to God (cf. 1 Cor. 10:32; 11:16, 22; 2 Cor. 1:1; Gal. 1:22). In the case of Judea this delimitation was not sufficient since the same might be said by Jews of their local synagogue, and therefore he defines these “churches” as those “in Christ Jesus” to make clear that it was the various local Christian communities in Palestine to which he was referring.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12.
 
유대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들은 유대인들에게 고난을 받았다. 마찬가지로 형제들고, 데살로니가 교회들도 동일한 고난을 받았다. 
사도바울도 다메섹에서 주님을 만나기 전까지 극심하게 교회를 박해하던 자였다(행 9:1-2, 갈 1:13) 헤롯이 사도 야고보를 칼로 죽일 때 유대인들은 심히 기뻐하였으며(행 12:3) 사도 바울이 제3차 전도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에 갔을 때에 유대인들은 교회를 심히 핍박하였다(행 21:27-36; 23:12) 
 
2:14 Genuine offspring bear the traits of their parents. The Judean churches were the first, indisputably authentic churches, and the mother churches of all those planted by Paul. They established a standard by which all other churches might measure themselves. Like them, the Thessalonian Christians suffered persecution for Jesus. your own countrymen. The Thessalonians’ Gentile compatriots were stirred up against them by Jewish opponents of the gospel (Acts 17:5–10). Jews. Paul so loved his fellow Jews that he would almost be willing to be eternally damned if it would mean that they would come to faith (Rom. 9:1–3), but here he points out that in their hard-heartedness they consistently reject God’s Word (see Matt. 23:29–3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7.
 
15-16절은 하나님의 뜻을 저버린 유대인들이 행한 구체적인 악행을 지적하고 그로 인해서 하나님의 진노가 그들에게 임하게 될 것을 경고한다. 
15절) 유대인의 악행은 4가지로 표현된다. ‘죽이고, 쫓아내고, 기쁘시게 하지 아니하고, 대적이 되어'
 ‘유대인은 주 예수와 선지자들을 죽이고’ 원문에서는 한글 번역과 다르게 ‘주’와 ‘예수’ 이 두 단어 사이에 ‘죽이고’라는 단어 ‘아폭테이난톤’가 위치해 있다. 이는 주와 예수를 각각 강조하는 용법이다. 즉 유대인들은 하늘에서 오신 주님을 죽였으며 또한 육체로 오신 인간 예수를 죽였음을 강조한 것이다. 
‘선지자들’이라는 표현은 ‘투스 프로페타스’로, 다른 사본에는 ‘투스 이디우스 프로페타스’로 되어 있는데 이는 ‘자기 자신들의 선지자들’이라는 의미로 단순한 ‘투스 프로페타스’보다 강조된 표현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때마다 보내셨던 그들의 선지자였다.(마 23:37) 왕상 19:10-14에 유대인들이 선지자들을 직접 죽였다는 언급이 있다. 구전에 의하면 이사야 선지자는 므낫세 왕의 통치하에 톱으로 켜서 두 조각 나 죽었으며, 예레미야 선지자는 애굽에 함께 내려갔던 동료 유대인들에 의해 돌에 맞아죽었다고 한다. 이처럼 하나님의 선지자들을 죽이는 행위는 하나님의 대리자를 대적하는 것으로 하나님의 다스림에 대적하는 극악한 행위이다. 이로 인해 하나님의 뜻으로부터 점점 멀어져서 마침내 그분이 보내신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까지 알아보지 못하고 십자가에 못박아 죽였던 것이다. 
To begin with, Paul accuses the Jews of being responsible for the death of “the Lord Jesus and the prophets.” The participial construction τῶν καὶ τὸν κύριον ἀποκτεινάντων Ἰησοῦν καὶ τοὺς προφήτας, like those that follow (as well as the one adjectival phrase), is best rendered in English as a relative clause: “who killed.…” The charge that the Jewish people were responsible for the death of the prophets is certainly not novel in the NT (cf. Mt. 23:29–37 par. Lk. 11:47–51 and 13:34; Acts 7:52) nor in Jewish literature from the period (cf. Mart. Is. 5:1–14). In fact the charge goes back to the OT itself, as 1 Ki. 19:10–14, a passage quoted by Paul in Rom. 11:3, shows (cf. 2 Ch. 36:15f.). The polemical accusation that the Jews were responsible for the death of Jesus is characteristic of the Gospel of John (cf. Jn. 5:18; 7:1; 8:59; 11:45–53; 18:14, 31) and is implied by Acts (cf. Acts 2:36; 3:13), but is nowhere else leveled by Paul, unless Rom. 11:11f. contains an allusion to it (see Cranfield, Romans II, 556). This indictment implies that Paul saw a continuity in the pattern of Jewish rejection of God’s agents from OT times to his own.
Mart. Is. Martyrdom of Isaiah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14–115.
 
패역한 유대인들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사도로 세우셔서 복음을 전하게 하신 바울과 그 일행들까지 핍박하였다. 본문의 ‘쫓아내고’는 ‘엑디오코’의 부정과거 능동태 분사로 ‘밖으로’라는 ‘에크’와 ‘몰아내다’란 ‘디오코’의 합성어로 극심하게 핍박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다.(눅 11:49). 실제로 유대인들은 바울의 일행을 여러번 핍박하였다.(행 17:5-9; 14:5, 19; 17:13; 18:6)
 
‘하나님을 기쁘시게 아니하고’는 현재형이다. 상반절은 부정 과거 시제인데 이러한 시제의 변경은 유대인들이 주의 사자들을 죽이고 핍박할 때에만 하나님을 기쁘시게 아니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삶에서 지속적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헬라어에서 현재형은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일을 나타낸다. 
 
‘모든 사람에게 대적이 되어’에서 ‘대적이 되어’로 번역된 ‘에난티오스’는 본래 맏은 편에 마주해 있는 것을 가리키는 단어이다.(막 15:39) 특히 바람이 배가 진행하는 반대 방향에서 불어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대적이 된다는 것은 누군가가 일을 하고자 할 때 정면에서 달려들어 적극적으로 방해한다는 이미지를 전달한다. 유대인들은 강한 선민의식 속에서 자신들만이 하나님의 선민으로 구원받을 자격이 있으며 다른 모든 민족, 이방인들은 하나님의 구원의 죽복에서 제외되었다는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사상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요나서에서 잘 드러난다. 이로 인해 이방인들도 구원하시기 원하신다라는 가르침을 전하는 사도들을 극렬히 대적하고 핍박하였던 것이다. 이는 유대인을 포함한 이방인, 모든 백성을 구원하시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는 어리석은 행위였다. 
 
16절) ‘우리가 이방인에게 말하여 구원받게함을 그들이 금하여’, 본문에서 '구원받게 함을’로 번역된 ‘히나 소도신’은 목적의 의미를 나타내는 ‘히나 가정법 구문’으로 ‘구원받도록’이라는 의미인데, ‘소도신’은 ‘소조’의 부정과거 신적 수동태로 그 구원이 하나님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나타낸다. 구원은 말씀의 선포로 이루어지는데 복음을 전하는 이들의 선포로 하나님의 구원이 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행위를 금하는 것은 바로 하나님을 거스르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But for Paul, unlike Gentile polemicists, the Jews’ ultimate antagonism toward non-Jews had to do with their hindering of his mission to the Gentiles whom he sought to lead to salvation. The participial phrase κωλυόντων ἡμᾶς τοῖς ἔθνεσιν λαλῆσαι ἵνα σωθῶσιν (“hindering our speaking to the Gentiles …”) is parallel to the four preceding phrases, but is nonetheless intended to explain the last one, the adjectival phrase at the end of v. 15, since it is not joined with a coordinating conjunction to what precedes. Acts has numerous references to Jews hindering of the Pauline mission to the Gentiles (cf. 13:45–50; 14:2, 19; 17:5–9, 13; 18:12), and such activity probably forms the background to 2 Cor. 11:24, where Paul speaks of the numerous beatings he had received at the hands of the Jews. The ἵνα clause in 1 Thes. 2:16a may well express both the purpose and the result of Jewish attempts to prevent Paul from speaking the gospel to Gentiles (Best, 118). Here, as frequently in Paul, the verb σῴζειν denotes the goal of the redemptive process without specifying its content. The image, however, calls to mind the two sides of redemption, namely “being saved from” divine wrath (cf. 1:10; Rom. 5:9) and “being saved to” the future life of glory (cf. 2:12; Rom. 8:18–24).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15–116.
 
‘그들이 금하여’에 해당하는 ‘콜뤼온톤’은 ‘막다, 방해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콜뤼오’의 현재 능동태 분사로 어떤 일을 적극적으로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사도행전 17:5
5그러나 유대인들은 시기하여 저자의 어떤 불량한 사람들을 데리고 떼를 지어 성을 소동하게 하여 야손의 집에 침입하여 그들을 백성에게 끌어내려고 찾았으나
아마도 행 17:5의 사건을 염두에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하지만 그들이 방해한다고 복음이 막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들이 방해하면 방해할 수록 사도들의 복음 전도에 대한 열정은 강해졌고 복음은 더욱 확장되었다. 
 
‘자기 죄를 항상 채우매’, 전치사 ‘에이스’는 보통 목적과 결과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목적의 의미로 보면 ‘자기들의 죄를 항상 채우려고’, 결과의 의미로 보면 ‘그리하여 자기들의 죄를 항상 채워서’란 의미가 된다. 전자의 입장을 취하면 유대인들이 죄의 분량을 채우기 위해의도적으로 사도들을 핍박했다는 것이고 후자의 입장을 취하면 사도들을 핍박한 결과 자기들도 모르게 정해진 죄의 분량을 채워가고 있었다는 의미이다. 본문에서 ‘항상’으로 번역된 ‘판토테’는 모든 행위에 있어서 그러하다는 의미도 있으나 더욱 직접적으로는 계속적으로 죄를 채우는 일을 행한다는 의미로 쓰였다. 
여기에서 ‘죄’에 해당하는 ‘하마르티아스’는 복수형으로 개별적인 죄들을 하나하나 일컫는 것이다. 또한 ‘채우매’로 번역된 ‘아나플레로사이’의 원형 ‘아나플레로오’는 ‘위에, 위를 향하여’라는 뜻의 전치사 ‘아나’와 ‘가득 채우다, 충만하다’는 의미의 ‘플레로오’라는 동사의 합성어로 이미 정해진 분량까지 가득 채웠다 또는 그릇이 넘칠 정도로 가득 찼다는 의미이다. 유대인들은 마치 자기들에게 할당된 죄의 분량을 채우기 위해서 경쟁하듯 죄를 행하는 일에 몰두하는 자들이었다.(마 23:32)
 
‘노하심이 끝가지 그들에게 임하였느니라’, 죄가 더이상 차오을 수 없는 지점까지 차게 되면 하나님의 심판이 진행된다. ‘임하였느니라’로 번역된 ‘에프다센’은 ‘도달하다, 임하다’는 의미를 지닌 ‘프다노’의 부정 과거이다. 부정 과거는 과거 어느 시점에 발생한 사건을 의미하기도 하고 너무나도 확실하게 이루어질 미래의 일을 강조할 때도 쓰인다. 이러한 예언은 역사적으로 AD 70년 예루살렘 함락 때에 일차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장차 예수님의 재림의 때에 완전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끝까지’는 ‘에이스 텔로스’인데 ‘텔로스’는 '끝, 마지막, 종결, 한계, 목표’라는 의미인데 여기서는 ‘마침내, 완전히, 결국’이라는 복합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즉 하나님의 진노가 유대인들에게 조금도 실수함이 없이, 완전하게, 결국 임하게 된다는 것이다. 
The final clause of v. 16 has been the greatest source of difficulty in interpreting these two verses. What “wrath” has “come upon” the Jews (note the aorist form of ἔφθασεν), and how should εἰς τέλος be understood? We may note first that in the context of the letter ὀργή with the definite article refers back to the eschatological wrath, mentioned in 1:10, that Paul associates with divine judgment (cf. 5:9).
Scholars like Pearson (“1 Thessalonians 2:13–16,” 81–84) who take 2:13–16 to be an interpolation maintain that v. 16c is a reference to the fall of Jerusalem because they insist on a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aorist verb ἔφθασεν. Alternative views have been suggested that allow for a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aorist but do not associate it with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For example, Bammel (“Judenverfolgung,” 300f.) connects this text with the expulsion of the Jews from Rome by Claudius, while Jewett (“Agitators,” 205 n.5) favors a massacre in Jerusalem in AD 49 that may have resulted from the violence of Jewish nationalists according to a report by Josephus (War 2.224–227; for other possibilities see Best, 119f.)
The apocalyptic character of the statement, however, warns against insisting that an actual event lies behind the verb. As J. J. Collins (Apocalyptic Imagination, 214) has noted, apocalyptic language is not “descriptive, referential newspaper language, but the expressive language of poetry, which uses symbols and imagery to articulate a sense or feeling about the world.” Best (120) and Marshall (80f.) may be correct in taking the verb to mean that divine wrath had in Paul’s view “drawn near” to the Jews, so near that it was inevitably about to manifest itself (cf. the use of the aorist form ἔφθασεν in Mt. 12:28 par. Lk. 11:20) when the measure of their sins was completely filled up (v. 16b). It may be, however, that Paul had given his readers the keys with which to interpret the eschatological events that were unfolding. Thus what is enigmatic for us may have been clearly understood by the original readers of the letter.
Regardless of this, what Paul may be expressing here is a belief that because of the “filling up of the measure of their sins” God’s eschatological wrath has overtaken the unbelieving and disobedient Jews in that they have been hardened by God and no longer experience God’s grace. That they had not believed the gospel would have been proof enough of this for Paul.
Εἰς τέλος may be interpreted in several different ways. Best (121) correctly recognizes that the parallel between v. 16c and v. 16b, with its temporal use of πάντοτε, requires a temporal sense for εἰς τέλος. This tends to exclude the possible sense of “completely, totally” (German gänzlich), which Holtz (110) prefers. Best translates εἰς τέλος as “in the end, finally,” though he acknowledges that the sense “forever,” found on a number of occasions in the Septuagint (Pss. 76:8; 78:5; 102:9 LXX), is also possible. Both of these translations create problems in light of Rom. 11:25–32 and 1 Cor. 9:20 because they tend to absolutize the divine wrath coming upon unbelieving Jews into a final rejection (cf. Holtz, 109f.). For this reason it is better to interpret εἰς τέλος to mean that divine wrath will rest upon those unbelieving and disobedient Jews until the end of the age comes, when Christ will return (cf. the use of ἕως τέλους, “until the end,” in 1 Cor. 1:8 and 2 Cor. 1:13).
Unlike Romans 9–11, with its somewhat tortured explanation of how God is using the Gentiles to stir up the jealousy of Israel in order to bring about Israel’s salvation, 1 Thes. 2:16 does not say what will happen to disobedient Israel. As Davies (“Paul and the People of Israel,” 8f.) suggests, Paul probably had not formulated his final understanding about the position of Israel in the divine scheme when he wrote 1 Thessalonians. What was clear to him, however, was that the majority of the Jewish people had not accepted their own messiah and that they positively were hindering the spread of the gospel of God to non-Jews. This would account for the strong sense of frustration and antagonism found in 2:15f., without closing the door to the sort of further reflection found in Romans 9–11.
War The Jewish War (Bellum Judaicum) (Josephu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16–118.
 
살전 1장 2-3절의 감사는 디모데의 보고를 통해 들은 데살로니가 교회의 현재 상황에 대한 것이었는데 본문 13-14절의 감사는 바울이 데살로니가 전도 사역 당시를 회고하면서 과거 그들이 보인 진실했던 태도로 인해 드리는 것이다.  이어 15-16절에서 하나님의 복음에 대적한 유대인들에게 하나님의 진노가 임할 것임을 경고한다. 
 
 
 
 
 
 
 
 
 
 
728x90
For you remember, brothers, bour labor and toil: we cworked night and day, that we might not be a burden to any of you, while we proclaimed to you the gospel of God. 10 You are witnesses, and dGod also, ehow holy and righteous and blameless was our conduct toward you believers. 11 For you know how, flike a father with his children, 12 we exhorted each one of you and encouraged you and gcharged hyou to walk in a manner worthy of God, iwho calls you into his own kingdom and glory.
b 2 Thess. 3:8; [Phil. 4:16]
c See Acts 18:3
d ver. 5
e See ch. 1:5
f [ver. 7]; See 1 Cor. 4:14
g Eph. 4:17
h See Eph. 4:1
i ch. 5:24; 2 Thess. 2:14; 1 Pet. 5:10; See Rom. 8:2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2:9–12.
 
9 형제들아 우리의 수고와 애쓴 것을 너희가 기억하리니 너희 아무에게도 폐를 끼치지 아니하려고 밤낮으로 일하면서 너희에게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였노라
10 우리가 너희 믿는 자들을 향하여 어떻게 거룩하고 옳고 흠 없이 행하였는지에 대하여 너희가 증인이요 하나님도 그러하시도다
11 너희도 아는 바와 같이 우리가 너희 각 사람에게 아버지가 자기 자녀에게 하듯 권면하고 위로하고 경계하노니
12 이는 너희를 부르사 자기 나라와 영광에 이르게 하시는 하나님께 합당히 행하게 하려 함이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2:9–12.
 
 
6-9절에서 바울은 데살로니가에서 사랑과 희생의 자세로 복음을 전했음을 밝히고 10-12절에서 하나님 앞에서 성도들을 바로 세우려는 자세로 바르게 사역했음을 밝힌다. 
 
본문에서 기억하다라는 표현은 너희가 아는 바라는 표현과 같은 의미이다. 
“knowing” or “remembering” (as in 1:5; 2:1, 5, 9, 11).
 G. K. Beale, 1–2 Thessalonians,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3), 74.
 
9절) 바울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자신들의 수고와 애쓴 것을 기억하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수고로 번역된 ‘코폰’은 ‘매질, 피로, 육체적 피로를 낳는 고된 일’의 의미로 쓰인다. 또한 애쓴 것으로 번역된 ‘목돈’의 원형은 ‘목도스’로 ‘힘들고 어려운 일, 노역’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이는 바울의 서신에서만 3차례(고후 11:27, 살전 2:9, 살후 3:8) 사용되었다. 바울은 자신의 선교 사역이 얼마나 고된 일이었는지 또한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경제적으로 짐을 지우지 않기 위해서 생계를 위해서 천막을 만드는 일이 얼마나 힘겨운 일이었는지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이 이처럼 밤낮으로 땀흘리며 일하는 모습은 그의 사역이 돈을 위한 것이라고 여기는 이들에 대한 반박임과 동시에 일하는 것을 거부하고 게으름에 빠져 있는 데살로니가의 일부 성도들을 향한 강력한 메시지이다. 뿐만 아니라 성도들에게 부담을 덜 주기 위한 목자의 사랑을 느낄 수 있다. 
본문에서 ‘폐를 끼치다’라는 표현은 ‘에피바레오’라는 표현인데 이는 ‘~위에’를 의미하는 ‘에피’라는 단어와 ‘짐을 지우다’라는 ‘바레오’의 합성어로 ‘~위에 짐을 지우다’라는 의미이다. 
바울이 이처럼 복음 전하는 자가 물질적인 제공을 받는 것이 당연함에도(고전 9:9-11) 이 권리를 주장하지 않은 이유는 1) 복음을 듣는 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줌으로써 복음 전파에 장애가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였고, 2) 복음의 대적자들에게 빌미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서였다. 앞서 3, 5절에서 당시 돈을 벌기 위한 목적으로 철학이나 값싼, 변질된 복음을 가르치며 돌아다니는 자들이 있었기에 바울의 일행이 이러한 자들과 같다라는 오해를 주지 않기 위해서 이다. 3) 미쉬나에서는 유대 랍비들이 돈을 받고 율법을 가르치는 행위를 삼갔다. 이 여러가지 이유들 중에 바울은 아마도 첫번째 이유, 어린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위해서 애쓰며 노동을 했던 것이다. 그렇다고 바울이 절대적으로 믿는 이들로부터 재정적 후원을 받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자신의 복음의 사역을 위해서 후원을 받기도 했고(빌 4:16) 예루살렘 교회의 어려움을 위해서 성도들에게 후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바울이 했던 자비량선교를 이름하여 ’tentmaking’이라고 한다. 이는 그가 밤낮으로 했던 일이 장막을 만드는 일이었기 때문이다.(행 18:3) 당시 장막은 주로 길리기아 지방에서 나는 염소 가죽으로 만들어졌는데, 길리기아 다소 출신인 바울은 아려서부터 이 일을 배웠을 것이다. 당시에는 부유한 가정에서 자라는 청년들까지도 한가지씩의 기술을 배워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립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했다. 
 
In the second clause of v. 9 Paul amplifies what he means by his “toil and labor”: νυκτὸς καὶ ἡμέρας ἐργαζόμενοι πρὸς τὸ μὴ ἐπιβαρῆσαί τινα ὑμῶν ἐκηρύξαμεν εἰς ὑμᾶς τὸ εὐαγγέλιον τοῦ θεοῦ (“night and day working in order not to burden any of you, we preached to you the gospel of God”). He employs asyndeton to good effect, thereby placing considerable emphasis on the statement in v. 9b. He had adopted a missionary strategy that necessitated his working for his own livelihood “in order not to burden” any of his converts. Here ἐπιβαρῆσαι alludes to the apostle’s physical labors and clearly denotes financial or material support such as free food and lodging. While he refused to burden those to whom he preached, once Paul had left, he was willing to receive support from churches that he had founded. In fact Phil. 4:16 indicates that the Christian community at Philippi had provided him with financial support while he was at Thessalonica, although this was presumably not of a sufficient amount to enable him to stop working altogether (cf. 2 Cor. 11:7–11).
The refusal to take, let alone demand, support from those to whom he preached was a fundamental principle for Paul as he sought to avoid putting any hindrance in the way of potential or actual converts (1 Cor. 9:12). Barrett (First Corinthians, 207) offers three reasons for this, two of which seem quite important in the Thessalonian situation: (1) Potential converts might have reservations about conversion if they believed that it would entail a financial commitment to the missionaries, and (2) the gospel based on love and the self-sacrifice of Jesus was incompatible with missionaries who sought their own self-interest and financial gain at the expense of their converts.
In order to avoid placing a burden on anyone at Thessalonica Paul and his coworkers worked “night and day” while they preached there. The genitive cases of νυκτός and ἡμέρας do not mean that they worked continuously but rather that they worked both at night and during the day. Paul does not mention here or anywhere else what he did, though in 1 Cor. 4:12 he says that he worked with his own hands, which suggests most probably that he was an artisan. According to Acts 18:3 he was a σκηνοποιός. This somewhat unusual word indicates that Paul was a tentmaker, and since tents were made primarily of leather we should probably accept the view of Hock (Social Context, 21) that Paul was essentially a leather worker, but not a tanner, which would have been an unclean trade for Jews. It has often been assumed that Paul in having a profession was merely following the practice of the rabbis who combined the study of the Torah with a trade. Because the evidence for this view comes from a later period, the assumption is questionable (Hock, 22f.). As Hock (31–37; see also “Paul’s Tentmaking,” 555–564) has shown, an artisan such as a leather worker generally worked from dawn to dusk, often for little more than enough money to survive on, and had very little social status. If 1 Cor. 4:11f. is anything to go by, this was certainly Paul’s experience.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03–104.
 
10절) 바울은 먼저 믿는 자들에게 자신들이 어떻게 거룩하고 옳고 흠없이 행하였는지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너희와 하나님이 증인이시다라고 말한다. 
바울과 그의 일행의 삶은 유모가 자녀를 기르는(7절), 목숨까지도 주기를 기뻐하는(8절), 하나님의 복음 전파를 위해서 애쓰는(9절) 삶이었다. 이러한 그들의 삶은 거룩하고 옳고 흠 없는 삶이었다. 
‘거룩하고’로 번역된 ‘호시오스’는 이곳에서만 사용되는 단어인데 도덕적 의무를 준수한다는 의미로, 구별과 성별의 의미의 거룩함을 나타내는 ‘하기오스’와는 다른 뉘앙스의 단어이다. 
‘옳고’로 번역된 ‘디카이오스’는 하나님과 사회의 법을 일탈하지 않고 일치되게 행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 라이트풋이라는 학자는 ‘호시오스는 하나님에 대한 바울 일행의 태도 및 의무를 나타내고 디카이오스는 인간에 대한 바울 일행의 태도 및 의무를 나타낸다’라고 했다. 
‘흠 없이’로 번역된 ‘아멤프토스’는 사람들에게 비난이나 책망거리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사이다. 앞서 9절에서 살핀것처럼 바울은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지우지 않음으로 대적자들의 비난을 무색하게 했다. 
 Like Paul, we should be blameless (amemptōs) before God’s witnessing presence while awaiting Christ’s imminent, end-time coming, since at that time such behavior will be perfectly consummated and demonstrated before the judicial bar of God’s heavenly court (see the use of the same root in 3:13; 5:23).
 G. K. Beale, 1–2 Thessalonians,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3), 74.
바울은 이처럼 강한 어조로 자신의 태도가 어떠한지를 밝히면서 하나님과 너희(데살로니가 성도)들을 증인으로 삼고 있다. 이는 그의 사역의 태도와 동기가 얼마나 순수한지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ὁσίως and δικαίως were commonly used together to indicate the keeping of divine and human law respectively (F. Hauck, TDNT V, 489–492). Contrary to Best (105) and Bruce (35f.), who read too much of Paul’s Jewish background into the words, they probably have these senses here. This is why Paul specifies that both the Thessalonians and God are witnesses to his and his coworkers conduct. God is witness to the pious or holy way in which they had acted in their responsibility toward God. The Thessalonians are witnesses to the uprightness of their behavior toward the people with whom they had dealings. ἀμέμπτως strengthens the formulation and applies equally well to behavior in relation to God and behavior in relation to the Thessalonians: neither God nor the Thessalonians could reproach their conduct.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05.
 
With three adverbs (which tend to work better as adjectives in English93), Paul once more puts all the emphasis on his observable behavior. The first word (hosiōs), which appears only here in the New Testament, puts the emphasis on living in a way that is pleasing to God, thus picking up on God as his witness.94 The second word (dikaiōs) puts the emphasis on living in a way that is upright before others. At this point Paul is reflecting language about personal integrity that is common to the ancient world, both Greek and Jewish. Thus Josephus speaks of Samuel as a man who “governed the nation hosiōs kai dikaiōs (in a holy and just way),”95 while much earlier Plato had referred to the value of a person’s living “out his days in dikaiōs kai hosiōs (justice and piety).”96
The third adverb (amemptōs) puts emphasis on observable behavior that is without fault, thus “blameless.”97 That the emphasis is still on observable conduct is made clear in this instance by its recurrence in this letter (3:1398 and 5:23) in contexts that refer to the behavior of the Thessalonian believers, but with orientation toward their being thus before God at the Parousia. In the present instance all the emphasis is on Paul’s and his companions’ conduct “toward99 you who believe,” meaning “in our relationship with you while present with you.”
93 Thus most English translations have done as the TNIV; see the following note.
94 The difficulty with translating adverbs into a second language is that the range of meanings is broad enough so that translations tend to cover the gamut of possibilities. Here one finds “holy” (T/NIV, ESV), “pure” (NRSV, GNB), “devout” (REB), and “impeccably fair” (REB), the latter having joined the first two adverbs together.
95 Ant. 6.87 (LCL 5.310).
96 See Republic 1, p. 331A (LCL 5.18).
97 Indeed, these two ways of putting it (blameless, without fault) occur in most of the English translations.
98 In this case it occurs as an adjective, which in some of the Greek MSS (B L 0278 33 81 1241 et al.) was changed into the adverb.
99 Paul’s Greek is a straight dative, which Rigaux interprets as referring to his comportment when “among them,” a view reflected in the T/NIV. But as Best (105) points out, that view could have been expressed more easily with a preposition, as it is in 2:13 below.
 Gordon D. Fee, The First and Second Letters to the Thessalonian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9), 79–80.
 
11절) 앞서 7-8절에서는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입장에서 설명했다면 이제 아버지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레코-로만 문화에서 아버지는 그의 자녀들에 대해서 교육과 훈련의 책임을 가지고 있었다.
 
‘자녀’에 해당하는 ‘테크나’는 7절에서 자녀로 번역된 단어와 같다. 이는 아직 성숙하지 못하여 부모의 보살핌이 필요한 어린아이를 가리킨다. 이러한 자녀들에 대한 부모의 사랑은 거의 일방적이다. 바울과 그 일행은 복음을 전하는 사역자로서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마치 자신의 자녀처럼 돌보았던 것이다. 바울은 고전 4:15에서 
고린도전서 4:15
15그리스도 안에서 일만 스승이 있으되 아버지는 많지 아니하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내가 복음으로써 너희를 낳았음이라
자신이 스승이 아니라 부모의 역할을 감당했음을 밝히고 있다. 
Paul employs the father—children metaphor here and on several other occasions to express an important aspect of his relationship with his converts (cf. Gal. 4:19f.; 1 Cor. 4:14–21; 2 Cor. 6:11–13). The father in the ancient world was normally responsible for the moral instruction and behavior of his offspring (cf. 1 Cor. 4:14), and he took the leading role in socializing his children into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way of life into which they were born. Paul of necessity took responsibility for resocializing his “children in the faith” to the sometimes radically different demands of their new social existence as Christians. Religious conversion requires resocialization to the distinctive ideas and values of the new religion if the convert is to be effectively incorporated into it (see Wilson, Religion, 118–120 and pp. 14f. above).
Petersen (Rediscovering Paul, 128–131) has pointed out that the father-children metaphors in Paul’s letters imply a hierarchical relation between Paul and his converts and serve to inculcate his “loving yet superordinant position.” Within this hierarchical relationship Paul expected his converts to respond like obedient children to their father when he taught and exhorted them concerning the Christian way of life. This is exactly how the metaphor is employed here to describe Paul’s role in resocializing converts. Once his converts had accepted the new beliefs that he and his colleagues articulated, it was necessary for their “father in the faith” to begin exerting his authority in the process of resocializing them into a distinctively Christian way of life.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06.
 
본문에서 부모의 역할을 권면과 위로와 경계라고 말한다. 
권면하고에 해당하는 ‘파라칼레오’는 권면과 위로와 격려를 의미하는 단어로 ‘보혜사’(요 14:26)를 의미하는 ‘파라클레토스’의 어근이다. 
위로하고에 해당하는 ‘파라뮈데오마이’는 병든 자나 그의 가족을 위로하는 것, 그리고 심적으로 연약한 자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계하노니에 해당하는 ‘마르튀레오’는 원래 증거하다, 증언하다라는 의미인데 본문에서는 ‘잘못된 길에 빠져 있거나 나태한 자들에게 바른 길을 제시함으로써 바른 길에 서게 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처럼 마땅히 무엇을 해야할 지 모르는 자녀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서 권면하고 위로하고 경계하는 것은 부모로서의 마땅한 덕목이자 교회 지도자의 마땅한 자질이라고 할 수 있다. 
He, along with his coworkers, did this by “exhorting” (παρακαλοῦντες), “admonishing” (παραμυθούμενοι), and “testifying” (μαρτυρόμενοι) to their converts concerning the way in which they should behave. The first two participles, παρακαλοῦντες and παραμυθούμενοι, are closely related to one another semantically and in fact παραμυθέομαι and its nominal cognates are always found in Paul’s letters with παρακαλεῖν or its nominal cognate, παράκλησις (cf. 5:14; 1 Cor. 14:3; Phil. 2:1). παρακαλεῖν and παράκλησις occur frequently in Paul’s letters and can refer to missionary preaching, as in 1 Thes. 2:3, or to giving comfort or consolation, as in 3:7, or can serve “as a kind of formula to introduce pastoral admonition” (O. Schmitz, TDNT V, 799), as in 4:1. Often both admonition and comfort are meant where the verb is used, which is also true of παραμυθεῖσθαι (G. Stählin, TDNT V, 821).
All this makes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terms in the present context. In spite of Stählin’s hesitation to say that παραμυθεῖσθαι places a more pronounced emphasis on comfort in the NT and in particular in 2:12, it seems reasonable to suggest that it has this connotation for Paul, while παρακαλεῖν means “to exhort.” This assumption enables us to avoid viewing παραμυθούμενοι as tautological. By using the two words together Paul brings out very clearly how he and his fellow missionaries both exhorted the Thessalonians to Christian conduct and comforted them (perhaps on account of the tribulation they experienced) with the knowledge that they would be saved in the day of judgment, as the end of v. 12 suggests. The third participle, μαρτυρόμενοι, is much stronger than the previous two terms. It indicates that the missionaries, with the authority of God, “insisted” on a certain standard of behavior from their converts.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 Geoffrey W. Bromiley. Ten volume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06–107.
 
 
12절)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듯 성도들을 복음으로 이끌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은 하나님앞에서 합당히 행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는 복음 사역의 목적이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밝히고 있다. 교회의 설교나 교육, 상담의 목적이 단순히 사람들의 필요를 채우고 그들의 귀를 즐겁게 하거나 우울한 기분을 조금 좋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온전한 자로 서서 자신을 부르신 하나님앞에서 합당히 행하며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합당히’로 번역된 ‘악시오스’는 ‘어떠한 사실에 부합하게, 훌륭하게, 어울리게’라는 의미이다. 
‘행하다’로 번역된 ‘페리파테오’는 ‘~둘레에’의 의미를 지닌 ‘페리’와 걷다, 밟다라는 동사인 ‘파테오’의 합성어로 문자적으로 ‘주변을 거닐다’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합당히 행한다는 것은 우리를 부르신 하나님의 뜻을 이해하고 이를 충족시키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하나님이 어떤 하나님이신지를 밝히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주변을 거닐며 함께 걸어가야하는 분은 바로 ‘우리를 부르사 자기 나라와 영광에 이르게 하시는’하나님이시다. 
하나님은 먼저 성도들을 부르시는 분이시다. ‘칼룬토스’는 ‘칼레오’의 현재 분사형으로 계속해서 지금도 부르고 계시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하나님은 죄와 사망 가운데 살고 있는 당신의 백성들을 복음 선포를 통해 자기 나라와 영광으로 부르신다. 본문의 자기 나라는 바로 하나님나라이다. 
나라에 해당하는 단어가 ‘바실레이아’이며 영광에 해당되는 단어가 ‘독사’이다. 본문의 나라는 공관복음에서 강조하는 ‘하나님나라’로 그리스도의 오심으로 이미 도래하였으나 아직 완성되지 않은 하나님의 통치를 가리킨다. 이 하나님나라는 인간의 죄악된 본성을 극복하고 성령의 감동하심에 순종하는 삶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그의 나라는 장차 재림하시는 예수 그리스도로 인해 완성될 것인데 그 때에 그 나라에 거하고 있던 자들은 하나님의 영광을 체험하게 된다.(롬 8:18) 
 
Paul does not often use the term βασιλεία. (Customarily it is translated “kingdom” but “God’s dominion” is a better approximation of the meaning of ὁ βασιλεία τοῦ θεοῦ since “dominion” can mean both “rule or power to rule” and “that which is ruled or governed.”) It occurs frequently in the Gospels, where it is the hallmark of Jesus’ teaching. Beker (Paul the Apostle, 146) suggests that its infrequent usage by Paul results from Paul’s modification of the apocalyptic schema of the two ages on the basis of his belief that the new was proleptically present in the old order. This view is not altogether convincing. For Paul “dominion” usually denotes the place in which God’s rule is exercised, and for the Christian this is something to be inherited in the future (2 Thes. 1:5; 1 Cor. 6:9, 10; 15:24, 50; Gal. 5:21). In 1 Thes. 2:12 this eschatological note is present, since the readers have not finally entered the dominion of God and cannot until the parousia of Jesus (cf. 1 Cor. 15:23–28; 50–57). Therefore the apocalyptic motif of the duality of this age over against the age to come is present here. This is underscored by “glory.” Elsewhere Paul teaches that the Christian is to participate “physically” in the glory of God when salvation has been fully realized in the future through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body (cf. Rom. 8:18–23; 1 Cor. 15:42–44; Phil. 3:20f.).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107–108.
 
Here is motive enough for perseverance—to live in such a way as to be “worthy of God.” This kind of language in Paul places perseverance and Christian behavior in their ultimate context. Even though Paul serves as a surrogate “father” to them, his real concern is that they learn to live in such a way that they reflect God’s own character, that they are worthy children of their heavenly Father.115 This is not perfectionism but reality, since for Paul the goal of salvation is the restoration of Eden and the reshaping of God’s people back into his own image, as that has been put on full display in the incarnation of his Son (Rom 8:29–30).116 Thus the present emphasis is not on the future as such, but on their life in the present, life under God’s present rule—with future glory as the ultimate goal of God’s calling.
115 Rigaux (432–33) and Marshall (74) have pointed out that this idea can also be found in some expressions of Greek religion. Since one ultimately becomes like the God one worships, the differences between Paul and the philosophers on this point is immense indeed.
116 On this matter see my Pauline Christology, 249–51.
 Gordon D. Fee, The First and Second Letters to the Thessalonian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9), 84.
 
바울은 지금 불신의 세계에 살다가 이제 하나님의 다스림 속으로 들어온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향해서 조언하고 있다. 여기에는 반드시 재사회화과정이 필요하다. 이전에 내가 살아가던 방식이 아니라 하나님나라의 백성으로서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를 가르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강력한 제자훈련은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삶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바울은 믿는 자들을 향해서 자신이 하나님의 복음안에서 어떤 삶을 살았는지를 아버지가 자녀에게 하듯 권면하여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728x90
For you yourselves know, brothers,1 that our fcoming to you gwas not in vain. But though we had already suffered and been shamefully treated hat Philippi, as you know, iwe had boldness in our God jto declare to you the gospel of God in the midst of much kconflict. For lour appeal does not spring from merror or nimpurity or oany attempt to deceive, but just as we have been approved by God pto be entrusted with the gospel, so we speak, not qto please man, but to please God rwho tests our hearts. sFor we never came with words of flattery,2 as you know, nor with a pretext for greed—tGod is witness. uNor did we seek glory from people, whether from you or from others, vthough we could have made wdemands as xapostles of Christ. But we were ygentle3 among you, zlike a nursing mother taking care of her own children. So, being affectionately desirous of you, we were ready to share with you not only the gospel of God abut also our own selves, because you had become very dear to us.
1 Or brothers and sisters; also verses 9, 14, 17
f ch. 1:9
g [2 Thess. 1:10]
h Acts 16:22–24
i See Acts 4:13
j Acts 17:2–9
k Phil. 1:30
l [2 Cor. 2:17]
m 2 Thess. 2:11
n ch. 4:7
o 2 Cor. 4:2
p See Gal. 2:7
q See Gal. 1:10
r Ps. 17:3; See Rom. 8:27
s See Acts 20:33
2 Or with a flattering speech
t ver. 10; See Rom. 1:9
u [2 Cor. 4:5]; See John 5:41
v 1 Cor. 9:4; 2 Thess. 3:9; [Philem. 8, 9]
w [ver. 9; 2 Cor. 11:9]
x See 1 Cor. 9:1
y 2 Tim. 2:24; [1 Cor. 14:20]
3 Some manuscripts infants
z [ver. 11; Isa. 49:23; 60:16]
a See 2 Cor. 12:15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2:1–8.
 
2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 가운데 들어간 것이 헛되지 않은 줄을 너희가 친히 아나니
2 너희가 아는 바와 같이 우리가 먼저 빌립보에서 고난과 능욕을 당하였으나 우리 하나님을 힘입어 많은 싸움 중에 하나님의 복음을 너희에게 전하였노라
3 우리의 권면은 간사함이나 부정에서 난 것이 아니요 속임수로 하는 것도 아니라
4 오직 하나님께 옳게 여기심을 입어 복음을 위탁 받았으니 우리가 이와 같이 말함은 사람을 기쁘게 하려 함이 아니요 오직 우리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 함이라
5 너희도 알거니와 우리가 아무 때에도 아첨하는 말이나 탐심의 탈을 쓰지 아니한 것을 하나님이 증언하시느니라
6 또한 우리는 너희에게서든지 다른 이에게서든지 사람에게서는 영광을 구하지 아니하였노라
7 우리는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마땅히 1)권위를 주장할 수 있으나 도리어 너희 가운데서 유순한 자가 되어 유모가 자기 자녀를 기름과 같이 하였으니
8 우리가 이같이 너희를 사모하여 하나님의 복음뿐 아니라 우리의 목숨까지도 너희에게 주기를 기뻐함은 너희가 우리의 사랑하는 자 됨이라
1) 또는 폐를 끼칠 터이나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2:1–8.
 
 
2장 1-12절에서는 앞선 1장 5절에서 언급한 선교사들의 특성을 부연 설명하고 있다. 본문의 내용은 바울 일행이 데살로니가에서 사역하던 시절을 회상하면서 하는 이야기이다. 
 
1절) 원문상으로 ‘아우토이’라는 단어가 가장 처음에 등장한다. 이는 다른 사람이 가르쳐주지 않았음에도 너희 스스로 안다라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즉 본절부터 12절 까지 모든 내용을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이미 알고 있었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의 일행들이 데살로니가에 들어가 복음을 전하는 행위가 헛되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당시 돈을 위해서 지식을 팔고 다니는 떠돌이 철학자들이 많이 있었고 이들의 가르침은 헛된 것이었던 반면 자신들의 가르침을 그렇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다. 
본문의 ‘헛되지’라고 번역된 ‘케노스’는 ‘텅 빈, 빈 손의, 선물을 들고 오지 않은, 아무 결과도 낳지 못하는, 열매없는’의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래서 본문의 의미는 바울의 들어감, 사역이 열매를 맺었다라고 보기도 하고 또한 케노스를 ‘빈손의’로 보아서 바울 일행이 데살로니가로 들어올 때에 빈손이 아닌 무언가 줄 것을 가지고 들어갔다는 의미로 해석하기도 한다. 
실제로 바울의 데살로니가 사역은 적지 않은 열매가 있었고(행 17:4) 그들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자 밤낮으로 일하며 복음 사역을 감당했고(살전 2:9) 자신들의 목숨도 주기를 주저하지 않았다(살전 2:8).
 
본문의 너희 ‘가운데'라는 표현은 ‘프로스’인데 이는 ‘위하여’와 ‘향하여’라는 목적과 방향의 의미를 지닌다, 
 
2절) 바울은 자신들이 먼저 빌립보에서 고난과 능욕을 당했으나 하나님을 힘입어 복음을 전했음을 너희가 알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능욕을 당하였다’라는 ‘휘브리스덴테스’는 ‘휘브리조’의 부정과거 수동태 분사형으로 다른 사람에게 일방적으로 능욕을 당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행 16장 20-38의 내용을 보면 로마의 시민권자인 바울과 실라는 빌립보 사람들로부터 정당한 재판을 받지도 못한고 옷을 벗기우고 매를 맞고 깊은 옥에 발에 착고가 채워진채로 갇혔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당하신 고난과 일치한다. 
누가복음 18:32
32인자가 이방인들에게 넘겨져 희롱을 당하고 능욕을 당하고 침 뱉음을 당하겠으며
베드로전서 2:21
21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받았으니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오게 하려 하셨느니라
 
2:2 The arrival of Paul and his colleagues at Thessalonica was not a triumphal entry, since they had experienced suffering and had been shamefully treated at Philippi. Paul does not make clear here or anywhere else what happened there (cf. Phil. 1:30), but his readers clearly knew, as καθὼς οἴδατε (“just as you know”) reveals. According to Acts 16:19–24, 35–39 they were publicly humiliated by being beaten with rods despite their being Roman citizens and were then thrown into jail by the magistrates at Philippi. By his own admission Paul was no stranger to such treatment (2 Cor. 11:23–25), and therefore it seems entirely possible that what is described in the Acts account is what lies behind Paul’s reference to “having suffered previously” (προπαθόντες) and “having been treated shamefully” (ὑβρισθέντες) at Philippi.
While the experience at Philippi might have destroyed his own and his colleagues’ sense of purpose and led them to act with far more circumspection out of fear when they came to Thessalonica, it in fact had no such effect. Quite the contrary, as Paul points out, they were emboldened by God to preach his gospel. The verb παρρησιάζεσθαι, like the noun παρρησία, from which it was derived, originally referred to speaking freely or openly but came to refer to courage or boldness in speaking. Malherbe (“ ‘Gentle as a Nurse,’ ” 208; see also “Exhortation in First Thessalonians,” 247–249) has shown that παρρησία was used to describe the way in which the true Cynic philosopher-cumpreacher was supposed to present his message. The Cynic used the suffering that he had experienced at the hands of mobs to justify the harshness of his treatment of his hearers’ moral shortcomings (“Exhortation in First Thessalonians,” 248f.). Paul acknowledges his suffering in 2:2, but as Malherbe (249) has noted, he does not use it as an excuse for boldness. His boldness in preaching the gospel is in spite of suffering and humiliation. For Paul and his colleagues it was God who had emboldened them to speak his gospel.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92.
 
우리는 이 고난을 위하여 부름을 받은 것이다. 
또한 ‘먼저 고난을 당하였다’라는 표현은 ‘프로파돈테스’인데 이것의 원형은 ‘프로파스코’로 “~전에”에 해당하는 ‘프로’와 ‘고난당하다’라는 의미인 ‘파스코’의 합성어로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수치를 이미 충분히 받은 상태에서 데살로니가로 들어왔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본문에 ‘힘입어 전하다’라는 표현인 ‘에파르레시아사메다’는 담대하게 행동하다, 기탄없이 말하다라는 의미로 고난과 능욕을 당하는 중에도 복음의 기원이신 하나님안에 있음으로 전혀 주눅들지 않고 담대히 복음을 증거했음을 강조하고 있다. 
 
‘많은 싸움 중에’로 표현된 ‘엔 폴로 아고니’로 ‘많은’이라는 의미의 ‘폴로’와 ‘경주, 경쟁, 투쟁, 격심한 싸움’이라는 ‘아곤’이 시용되었다. 이는 정신적 고뇌와 육체적 싸움을 아우르는 말이다(빌 1:30, 골 2:1, 딤전 6:12, 히 12:1). 실제로 바울의 일행은 사역지에서 반대자들로부터 이러한 정신적 반대와 실제적인 위협(고난과 능욕)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힘입어 믿음과 소명에 대한 확신가운데 하나님의 복음을 전한 것이다. 
The visit to Thessalonica, like the one to Philippi, was not without ordeal. Paul says that his preaching took place ἐν πολλῷ ἀγῶνι (“in the face of considerable opposition”). ἀγών, which originally concerned the exertion involved in athletic contests, has three possible senses in this context: (1) It could refer to the effort or exertion entailed in preaching the gospel (Dibelius, 6); (2) it could refer to care or anxiety arising from the persecution at Philippi (Rigaux, 405); or (3) it could allude to the missionaries’ conflict with those opposed to their activity (Best, 91f.). Since 1:6 (cf. 2:13–17; Acts 17:5–9) makes it clear that the gospel was delivered in a situation of opposition in Thessalonica, it seems probable that Paul is recollecting that opposition here. By doing so he underscores how amazing his boldness was in declaring the gospel to the Thessalonians in oppressive circumstances similar to those that he experienced at Philippi. Pfitzner (Paul, 118) claims that Paul understood the whole of his apostolic mission as an ἀγών. It is doubtful whether we should go that far, but the evidence of 1 Thessalonians indicates that his ministry at Thessalonica was conducted in the face of considerable antagonism. Both he and the Thessalonian believers suffered duress from non-Christians.
In claiming to have preached the gospel in much ἀγών, Paul identifies himself with the best tradition among moral philosophers. Dio Chrysostom criticized those Cynic preachers who refused to become involved in the ἀγών of life (see Malherbe, “ ‘Gentle as a Nurse,’ ” 214). Paul insists in 2:2 that he and his coworkers were involved in the same struggles of life endured by their convert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93.
 
3-4절) 바울은 자신의 권면이 간사함이나 부정, 속임수로부터 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옳게 여기심을 입었으며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시게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밝힌다. 
3절은 부정어를 반복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반대자들의 비방은 정면으로 부정하고 반박하고 있다. 바울의 대적자들은 바울의 권면이 당시 떠돌이 설교자들이나 순회 철학자들과 같이 돈과 자기 자신의 탐심을 채우고자 하는 행동이라고 비방을 했으나 바울은 강역하게 이를 부인하고 있다. 
‘권면’으로 번역된 ‘파라클레시스’는 ‘~곁에’의 의미를 지닌 ‘파라’와 ‘부르다’라는 ‘칼레오’라는 동사의 합성오로 어떠한 대상에게 가까이 나아가 호소하며 간청하며 격려한다는 ‘카라칼레오’의 명사형이다. 이는 보혜사로 번역된 ‘파레클레토스’와도 같은 어근이다. 바울의 권면은 무익한 우상을 버리고 참되신 하나님께 나아와 그분을 섬기라는 복음의 호소이다. 
바울이 부정하고 있는 대상은 세가지인데 첫번째는 ‘간사(플라네스)’로 문자적으로 길을 읽고 옆으로 벗어나 방황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로 NIV나 ESV는 ‘error’로 번역하였다. 이는 바울의 가르침이 온전한 진리가 아니라 부정확한 지식, 오류라고 말하는 것인데 바울은 이를 강력 부인하고 있다. 
두번째는 부정(아카다르시아스)인데 이는 ‘정결치 않음’의 의미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덕적 부패, 불결한 마음’을 가리킨다. 이는 당시 이방 종교들이 대부분 매춘 행위를 종교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정하였는데 반해서 바울의 복음은 성적 방종에서 난것이 아님을 강조하는 것이다. 
세번째는 ‘속임수(둘로)’인데 이것은 원래 미끼로 고기를 잡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인데 여기서는 교묘한 말로 사람들을 기만하고 속이는 것을 의미한다. 바울의 복음은 유창한 화술로 환심을 사서 돈을 얻어내는 그런 철학자들의 속이는 말과 다른 영혼을 구원하는 진지한 말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바울은 자신의 목숨을 주기까지도 이 복음을 전하는 것에 진지했다.(8절)
 
4절에서는 앞선 3절의 부정적 진술에서 긍정적 진술을 통해 바울이 전한 복음의 정당성을 변호한다. 4절의 시작은 ‘알라’라는 단어로 시작되는데 이는 ‘오직’이라는 표현인데 좀더 정확하게는 ‘그러나 이와 반대로’로 번역하는 것이 더욱 적당하다. 
‘옳게 여기심을 입어’는 ‘데도키마스메다’로 ‘도키마조’의 완료 수동태 표현이다. 도키마조는 금속의 순도를 불로써 시험하는 것을 의미(벧전 1:7, 고후 8:8, 요일 4:1, 롬 14:22)한다. 이는 현재 완료 수동태로 하나님의 시험에 통과해 자격 있고 옳은 사람으로 인정된 상태가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누구의 옳게 여기심, 인정을 받았느냐이다. 바울과 그 일행은 이미 하나님의 시험에 통과해 복음을 위탁받은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고귀한 복음을 함부로 맡기시지 않는다. ‘위탁 받다’는 ‘피스튜데나이’로 믿다라는 의미의 ‘피스튜오’의 수동태 부정사로 ‘하나님으로부터 믿어졌다, 하나님께서 신임하고 맡기셨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바울과 그의 일행들은 무엇을 목적으로 복음을 전해야하는지를 분명히 전하고 있다. 그들은 사람을 기쁘게 하려함이 아니라 오직 우리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해야한다라고 분명히 말한다. 바울은 갈 1:10에 이렇게 말한다. 
갈라디아서 1:10
10이제 내가 사람들에게 좋게 하랴 하나님께 좋게 하랴 사람들에게 기쁨을 구하랴 내가 지금까지 사람들의 기쁨을 구하였다면 그리스도의 종이 아니니라
바울은 자신의 복음 전파사역이 오직 하나님을 위한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기쁘게 하다’는 ‘아레스코’라는 표현으로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한 봉사의 의미가 담긴 단어로 고대 헬라 세계에서는 공동의 복지를 위해 공을 세웠던 자들의 묘비에 새겨졌던 단어였다. 
‘감찰하다’ 역시 ‘도키마존티’로 ‘도키마조’의 현재 능동 분사이다. 여기서는 ‘시험하여 그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 그 진가를 인정하시는’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의 외모가 아니라 마음의 내적 동기를 보시고 판단하시는 분이시다(삼상 16:7). 하나님을 우리 마음을 감찰하신다. 
많은 사역자들이 인정을 받기원하는 마음에 자신에게 맡겨진 영광스러운 복음을 변질시킨다. 오직 하나님만을 기쁘시게 하겠다라는 복음 전파의 원칙을 포기해서는 안될 것이다. 
 
5절) 아첨은 사람을 기쁘게 하는 말로 자기의 이기적 욕망을 충족시키는 행위이며 탐심의 탈을 쓴다는 것은 ‘마음에도 없으면서 짐짓 그런 체하는 것’(마 23:14, 막 12:40, 행 27:30)으로 탐욕이 가득한 채로 겉으로는 그렇지 않은 척 하는 것이다. 
‘하나님이 증언하시느니라’는 ‘데오스 마르튀스’라는 표현으로 하나님이 증인이시다라는 의미이다. ‘마르튀스’는 증인, 목격자, 순교자라는 의미이다. 이는 ‘사건을 보고 일어난 일을 보고하는 사람’이면서 동시에 ‘종교적 신앙으로 인해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우리는 겉으로는 겸손을 가장하기도 하고 위선과 탐심의 탈을 쓰고 행동하면서도 자기 자신도 속이기도 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4절에서 말한대로 우리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께서 어떻게 증언하시느냐이다. 인간의 판단은 한계가 있다. 속마음을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이다.  
 
6-7절) 원문은 7절 상반절을 6절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니까 다시 살펴보면 ‘우리가 마땅히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요구할 수 있으나 우리는 너희에게나 다른 이들에게나 사람들로부터 영광을 구하지 아니했다. 도리어 너희 가운데서 자신의 아이들을 돌보는 유모와 같이 유순한 자가 되었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앞서 3-5절에서 바울은 자신이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진실된 자세로 복음을 전했다라고 피력했다. 이어 6-9절에서 자신이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주장할 것이 있지만 오히려 겸손과 사랑, 희생의 자세를 나타냈음을 말한다. 
개역은 사도를 단수로 표현하고 있지만 원문은 ‘아포스톨로이’로 복수형이다. 바울과 실라, 디모데는 예수님께서 살아계실 때 직접 파송받은 사도는 아니지만 영적으로 예수님으로부터 파송을 받은 자(행 9:15-16: 22:21)이기에 의도적으로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본문의 권위를 주장하다라는 표현은 ‘바레이’인데 이는 ‘바로스’에서 나온 단어로 ‘무거움, 무게, 짐, 수고, 부담’을 의미한다. 그래서 KJV은 ‘우리가 부담이 되었을지도 모른다’로 번역하였였는데 이는 사도라는 복음을 전하는 역할이 전도를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심적, 물질적 부담이 되었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개역 개정은 이 ‘바로스’를 권위로 번역하여 ‘권위를 주장할 수 있으냐’로 번역하였다. 
이처럼 당시 도를 전하는 사도와 같은 이들은 자신들의 영적 권위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짐을 지울 수 있었다. 복음 증거의 정당한 대가로 사도들의 생활비를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 관행이었으나 바울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사람들에게 인정, 대접, 칭찬을 통해서 영광을 받고자 하는 것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욕구(인정의 욕구)이다. 그런데 바울과 그 일행들은 더 가치있고 고귀한 영광을 알고 이를 추구하였기에 인간적인 영광에 연연하지 않을 수 있었다. 사람으로부터의 인정과 칭찬은 언젠가는 시들어비리고 말 것이다. 그래서 주께로부터 인정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순한 자’는 ‘네피오이’로 ‘어린 아이들’이라는 표현이다.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에피오이’로 ‘온유하고 온화한’으로 보기도 한다. 한글 성경은 이를 ‘에피오이’로 보아 ‘유순한 자’로 번역했다. 둘 중의 어떤 것을 사용했다 하더라도 어린아이의 특성인 단순함과 순진 무구함을 표현한 것이다. 이는 순수한 동기로 탐심이 없이 복음을 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모가 자기 자녀를 기름과 같이’에서 유모는 다른 사람의 자녀를 대신 젖먹이는 여자일 수도 있지만 어머니로 번역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따라서 ‘젖 먹이는 어머니가 자기 자녀를 깊은 애정은 돌봄으로 양육하는 것처럼’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자녀에게 젖을 먹이는 어머니는 어떤 영예나 보상을 바라고 자녀에게 젖을 먹이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어떤 권위를 주장하면서 이러한 일을 하는 것도 아니다. 오로지 자신의 자녀에 대한 사랑으로 돌보는 것이다. 
 
8절) 바울의 일행이 이처럼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사모하여 복음뿐 아니라 자신들의 목숨까지도 주기를 기뻐하는 이유는 바로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사랑했기 때문이다. 
과연 어떤 사랑이 자신의 목숨까지도 주기를 기뻐할 수 있을까? 아이를 향한 어머니의 사랑이 이를 가능케 한다. 주님께서 죄인들을 위해서 십자가에서 죽음을 감당하셨다. 그 주님의 사랑을 아는 자들이야말로 그 사랑을 따를 수 있는 것이다. 
본문에 ‘사모하여’라는 표현은 신약에서 이곳에 한번 사용된 단어로 ‘호메이로메노이’라는 표현이다. 이는 데살로니가 성도들에 대한 자신들의 강한 애정과 뜨거운 갈망을 나타낸 단어로 세속 헬라어에서는 자식을 먼저 잃은 부모가 그 죽은 자식의 무덤에 세우는 묘비에 새겨 넣는 표현이었다.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향한 바울과 그 일행의 사랑은 ‘아가페’적인 사랑이었다. 이러한 사랑은 그리스도께서 죄인들을 향해 보이신 사랑이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로부터 이와 같은 무한한 사랑을 체험한 자들이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바울은 성도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그들에게 행한 것들, 빌립보에서 당한 많은 고난 속에서 복음을 전한 것이 헛되지 않은 것임을 알기 원했다. 왜냐하면 이들이 전한 권면, 복음은 사람에게서 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로부터 위탁받은 것이기 때문이다. 바울은 아첨이나 탐심의 탈을 쓰지 않고 사람에게 영광을 구하지 않았다. 사도의 권위를 주장할 수 있지만 도리어 유순한 자가 되어 자녀를 기름과 같이 수고하였다. 
 
 
 
 
 
 
 
'
 
 
728x90
For we know, jbrothers2 loved by God, kthat he has chosen you, because lour gospel came to you not only in word, but also in power and min the Holy Spirit and with full nconviction. You know owhat kind of men we proved to be among you for your sake. And pyou became imitators of us qand of the Lord, for ryou received the word in much affliction, swith the tjoy of the Holy Spirit, so that you became an example to all the believers in Macedonia and in Achaia. For not only has the word of the Lord usounded forth from you in Macedonia and Achaia, but your faith in God has gone forth veverywhere, so that we need not say anything. For they themselves report concerning us the kind of wreception we had among you, and how xyou turned to God yfrom idols to serve the living and ztrue God, 10 and ato wait for his Son bfrom heaven, cwhom he raised from the dead, Jesus dwho delivers us from ethe wrath to come.
j 2 Thess. 2:13
2 Or brothers and sisters. In New Testament usage, depending on the context, the plural Greek word adelphoi translated “brothers”) may refer either to brothers or to brothers and sisters
k 2 Pet. 1:10
l 2 Thess. 2:14
m 2 Cor. 6:6; See 1 Cor. 2:4
n Col. 2:2; [Heb. 2:3]
o [ch. 2:10; Acts 20:18; 2 Thess. 3:7]
p [ch. 2:14; 2 Thess. 3:7, 9]; See 1 Cor. 4:16
q 1 Cor. 11:1
r Acts 17:5–10
s See Matt. 5:12
t Acts 13:52; Gal. 5:22
u [Rom. 10:18; 2 Thess. 3:1]
v [Rom. 1:8; 16:19; 2 Thess. 1:4]
w ch. 2:1
x See Acts 14:15
y 1 Cor. 12:2; [Gal. 4:8]
z See John 17:3
a See 1 Cor. 1:7
b ch. 4:16; [2 Thess. 1:10]; See Acts 1:11
c See Acts 2:24
d Col. 1:13
e ch. 2:16; 5:9; Matt. 3:7; Rom. 5:9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살전 1:4–10.
 
4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받은 형제들아 너희를 택하심을 아노라
5 이는 우리 복음이 너희에게 말로만 이른 것이 아니라 또한 능력과 성령과 큰 확신으로 된 것임이라 우리가 너희 가운데서 너희를 위하여 어떤 사람이 된 것은 너희가 아는 바와 같으니라
6 또 너희는 많은 환난 가운데서 성령의 기쁨으로 말씀을 받아 우리와 주를 본받은 자가 되었으니
7 그러므로 너희가 마게도냐와 아가야에 있는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었느니라
8 주의 말씀이 너희에게로부터 마게도냐와 아가야에만 들릴 뿐 아니라 하나님을 향하는 너희 믿음의 소문이 각처에 퍼졌으므로 우리는 아무 말도 할 것이 없노라
9 그들이 우리에 대하여 스스로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너희 가운데에 들어갔는지와 너희가 어떻게 우상을 버리고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살아 계시고 참되신 하나님을 섬기는지와
10 또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그의 아들이 하늘로부터 강림하실 것을 너희가 어떻게 기다리는지를 말하니 이는 장래의 노하심에서 우리를 건지시는 예수시니라
 대한성서공회, 성경전서: 개역개정, 전자책.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대한성서공회, 1998), 살전 1:4–10.
 
 
특별히 바울은 앞서 3절에서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와 소망의 인내로 인하여 감사하며 기도하고 있다. 이어 4절에서 10절에서는 그들의 신앙에 대해서 직접 칭찬하고 격려하는데 4절에서는 하나님의 택하심으로 인해서 감사하고 있다. 
 
4절) 이제 바울은 새로운 단락을 시작하면서 데살로니가교인들을 향해서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받은 형제들아’라고 부르고 있다. 형제들(아델포스)라고 표현된 이 호칭은 대부분의 성경에서 형제들로 해석하고 있는데 NIV는 형제와 자매들(Brothers or brothers and sisters) 신자들로 해석하고 있다. 이 호칭은 위대한 모세와 같은 이에게 붙여졌던 명예로운 호칭(신 33:12)인데 바울은 이를 이방 성도들에게 붙임으로 이들이 과거 선민인 이스라엘, 하나님께 사랑을 받았던 이들과 동일한 존재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바울의 이 짧은 서신, 데살로니가전후서에서 이 표현이 21번이나 등장하고 있다. 이는 바울이 얼마나 이 데살로니가교인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표현이다. 여기서 ‘사랑하심을 받은’이라는 표현은 사랑하다라는 ‘아가파오’의 현재 완료 분사 수동태 형으로 이전에 받은 사랑의 결과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The Greek word for brothers and sisters (adelphoi) refers here to believers, both men and women, as part of God’s family; also in 2:1, 9, 14, 17; 3:7; 4:1, 10, 13; 5:1, 4, 12, 14, 25, 27.
 The New International Versi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1).
 
1:4 For we know. The second or “ultimate” reason for giving thanks (cf. note on v. 3) focuses on the activity of God: his election of the Thessalonians. brothers and sisters. In Paul’s two brief letters to the Thessalonians, he addresses his readers with this phrase 21 times, thereby testifying to the warm relationship that the apostle shared with them. loved by God. Paul takes language originally applied to Israel (e.g., Deut 32:15 [in the Septuagint, the pre-Christian Greek translation of the OT]; 33:12; Pss 60:5; 108:6; Isa 44:2; Jer 11:15; 12:7) and reapplies it to the predominantly Gentile congregation of Thessalonica, reflecting his conviction that the church—made up of both Jewish and Gentile Christians—now constitutes the renewed Israel of God. chosen. Although this is its only occurrence in the letter, the rest of the correspondence evokes the theme of divine election with the language of God “calling” and “appointing” (2:12; 4:7; 5:9, 24). Paul nowhere explains this language, which implies that the subject was an integral part of his mission-founding preaching in Thessalonica such that his readers well understand what he references. Paul’s thanksgiving for the Thessalonians is ultimately grounded not in their human achievement but in God’s divine work in their lives.
cf. compare, confer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e.g. for example
OT Old Testament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 in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2151.
 
특별히 4절에는 택하심이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이는 ‘에크로게’라는 표현으로 하나님에게 선택된 자(롬 11:7) 혹은 고의적으로 어떤 사람이나 무엇을 선택하는 행위(행 9:15, 11:5, 살전 1:4)을 의미한다. 
NT 1 Statistics and usage. (a) The vb. ἐκλέγομαι occurs 22× in the NT, and half of these occurrences are found in Luke-Acts (another 5× in the Gospel of John; otherwise Mark 13:20; 1 Cor 1:27–28 [3×]; Eph 1:4; Jas 2:5). The adj. ἐκλεκτός (most often used as a subst.) also occurs 22×, but its distribution is quite different: Matthew 4×, Mark 3×, Luke 2×, Paul 6×, 1 Peter 4×, 2 John 2×, and Revelation 1×. The noun ἐκλογή occurs 7×, always with ref. to God’s act of election (Acts 9:15; Rom 9:11; 11:5, 7, 28; 1 Thess 1:4; 2 Pet 1:10). The vb. ἐπιλέγω is used twice (John 5:2 [pass. “to be called”]; Acts 15:40 [mid. “to choose”]). The compound adj. συνεκλεκτός, “chosen together,” unattested prior to the NT, occurs only in 1 Pet 5:13 (and then a few times in Christian writers only; the vb. συνεκλέγομαι is extremely rare).
NT New Testament
vb. verb
NT New Testament
adj. adjectival
subst. substantive, substantival(ly)
ref. reference
vb. verb
pass. passive
mid. middle
adj. adjectival
NT New Testament
vb. verb
 Moisés Silva,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4), 149.
 
이 택하심은 은혜에 기인하는 선택을 가리키는데 창세전에 하나님께서 당신의 뜻대로 구원얻을 자를 정하신 그분의 절대 주권의 행사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이러한 택하심이 구약시대에는 이스라엘 민족에게만 베풀어졌으나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과 구활 이후로는 차별없이 모든 이방인에게까지 확장된 것이다. 이 택하심은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희생에 근거하여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창세 전에 그리스도안에서 구원 얻을 자들을 택하셨으나(엡 1:4) 그 택하심의 효과는 그들이 그리스도의 복음을 믿음으로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것이다. 본래 그리스도 밖에 있던, 외인이었던 데살로니가인들이 하나님의 사랑하심을 받음으로, 택하심으로 우상을 버리고 하나님을 섬기게 된 것이다(9절). 
 
1:4 The second reason that Paul gives thanks to God for his readers is that he knows of their election by God. His knowledge of their election is based on the transformation that took place in their lives when he and his colleagues preached Christ to them. By placing εἰδότες, ἀδελφοὶ ἠγαπημένοι ὑπὸ [τοῦ] θεοῦ, τὴν ἐκλογὴν ὑμῶν (“knowing your election, brothers [and sisters], beloved by God”) after the statement concerning their “work, labor, and steadfastness” Paul is able to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their new Christian way of life and the certainty of their salvation at the parousia or public manifestation of Christ.
ἀδελφοί (“brothers”) is used here and throughout the letter when Paul wishes to address his readers directly. This usage is common in the Pauline letters (cf. Rom. 1:13; 7:1, 4; 1 Cor. 1:10, 11, 26; 2 Cor. 1:8; 8:1; Gal. 1:11; 3:15; Phil. 1:12; 3:1; 2 Thes. 1:3, etc.) and in fact is Paul’s favorite form for direct address of his readers. The choice of this word to designate members of the Christian community has considerable importance. “Brother” was used in Judaism to express group identity or a loose sense of group kinship (e.g., Dt. 15:3, 12; Philo, Spec. Leg. 2.79f.; Josephus, Ant. 10.201), and it was undoubtedly from there that it was taken over by the early Christians. With the Christians it fitted neatly with several symbolic relationships that were part of their new self-identity. They called God their “father” (Gal. 4:6; Rom. 8:15), professed themselves to be his adopted children (cf. Gal. 3:26; 4:4–7; Rom. 8:14–23), and understood Christ, the son of God, to be their brother (cf. Rom. 8:29). This logically made them brothers and sisters (cf. 2 Cor. 6:18) of one another and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a strong sense of kinship among them. In this way they gained a new social identity as former kinship and social ties broke down under the demands of their new religious commitments.
Paul extends the address by adding the words “beloved by God,” which are intended to evoke a strong sense of belonging to God and undoubtedly had the effect of assuring the readers that whatever abuse and rejection they experienced at the hands of family, friends, or fellow citizens was worth it because of the standing they had gained with the one true and living God. In effect these underscored Paul’s assertion of his readers’ “election” to salvation because the Thessalonians’ sense of election by God singled them out from those non-Christians around them whom they believed were destined for divine wrath (cf. 1:10).
The idea of election to salvation, like the idea of being part of a family, had its roots in the OT and in Judaism (see Dt. 7:6–11 and cf. Rom. 9:11; 11:5, 7, 28), although the word ἐκλογή (“election”) does not occur in the LXX and is used by Paul of Christians only in this passage (however, compare his use of the adjective ἐκλεκτός in Rom. 8:33; 2 Thes. 2:13, 16; and Col. 3:12). The doctrine of community election had an important social function for Paul and his converts. Paul’s use of ἐκλογή here serves a similar function to the family language of which the terms “brothers and sisters” are a part. It is what Meeks (First Urban Christians, 85) calls “the language of belonging.” Such language helps to create a sense of group identity and, one might add, superiority for a community setting itself over against the wider society of which it is a part. The sense of exclusiveness that belief in divine election engendered among early Christians was one of the powerful internal factors giving Christianity an advantage over its religious competitors like the mystery religions and philosophical competitors like the Stoics and Cynics, who were not exclusivistic and therefore generally failed to create a strong sense of community identity among their adherents (cf. Gager, Kingdom and Community, 131f.). Thus the belief of the Thessalonians in their election by God was of tremendous social significance, since on the one hand it gave them a new identity and sense of belonging to the saved community of God, while on the other it helped symbolically to annihilate the world of their previous social existence, an important and necessary step if they were to remain converted (see pp. 14–16 above).
Spec. Leg. De Specialibus Legibus (Philo)
Ant. Jewish Antiquities (Antiquitates Judaicae) (Josephu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76–78.
 
5절) 5절은 ‘호티’라는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시작된다. 앞서 4절에서 하나님께서 데살로니가 성도들을 택하셨음을 안다고 확신할 수 있는 이유를 5절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어 10절까지 이어진다. 
바울은 데살로니가인들에게 전해진 복음이 말로만이 아니라 능력과 성령과 큰 확신으로 전해졌다라고 말한다(고전 2:4). 본문의 ‘우리 복음’은 바울의 선교팀이 전한 복음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본래 의미는 하나님에게서 기원한 복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복음을 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말의 현란함이나 논리성이 아니라 능력과 성령과 큰 확신이다. 무디는 구두 수선공으로 그가 설교할때 설교문의 곳곳에 문법적으로 오류들이 많았지만 그가 전한 메시지는 수많은 사람들을 생명으로 이끌었다. 
‘능력과'로 번역된 ‘엔 뒤나메이’는 능력으로라는 의미이다. 뒤나메이는 ‘두나미스’로 이는 힘, 권능, 능력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이적과 기사를 일으키는 초자연적인 능력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정말 놀라운 능력은 이적과 기사를 행하는 힘이 아니라 죄인으로 하여금 복음을 받아들이고 회개하여 구원에 이르게 하는 권능이다. 이 능력은 오직 하나님께로 부터만 가능하다(롬 1:16)
‘성령과’로 번역된 ‘엔 프뉴마티 하기오’ 역시 ‘성령으로, whth the Holy Spirit’라는 의미이다. 복음이 성령으로 임한다는 것은 복음이 전파될 때 성령이 역동적으로 역사한다는 것이며(행 10:44) 듣는 자들의 영혼속에 본질적인 변화를 추동하는 주체가 바로 성령이시라는 의미이다.(고전 12:3)
‘큰 확신으로’는 이 복음을 듣는 자들에게 결과적으로 임한 것이지만 먼저는 복음을 전한 자들에게 임한 것이다. 이 큰 확신은 전도자들에게 주어진 것으로 복음을 전할 때에 하나님께서 듣는 이들을 구원시키실 것이라는 확신이 먼저 전하는 자에게 임한 것이다. 이처럼 전하는 이에게도 큰 확신이 필요하고 이렇게 복음이 능력과 성령과 큰 확신으로 전해질 때 듣는 이들에게도 큰 확신이 임하게 될 것이다. 
 
이후 ‘우리가 너희 가운데서 너희를 위하여 어떤 사람이 된 것은’이라는 표현을 공동 번역에서는 ‘우리가 여러분을 위해서 어떻게 살았는지’로 번역하고 있다. 이는 바울 일행이 앞서 데살로니가에서 짧은 기간 복음을 전하며 사역하던 시기에 어떠한 자세를 보여주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복음 전도의 도구이다. 목회자가 아무리 현란한 설교를 한다고 해도 실제 그의 삶이 그 메시지를 뒷받침해주지 않는다면 그 메시지는 울림이 없을 것이다. 
- 심적 표상, 정보 장악력 / 설교자, 저자가 정말로 이 부분을 이해하고 있는지, 살아내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당시 많은 순회 철학자들이 금전적인 이익과 명예를 위해서 가르침을 베풀었던 것과는 확실히 다른 자세를 보여주었던 것이다. 이처럼 복음이 ‘능력과 성령과 큰 확신’뿐만 아니라 ‘삶의 어떠함’이 더해질 때 강력하게 역사하게 된다. 
 
6-7절) 앞서 4절에서 택하심의 중요한 증거가 바로 환난 가운데서 기쁨으로 주를 본받는 자가 되는 것이다. 무엇보다 바울과 그 일행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의 삶의 극적인 변화를 보고 그들이 하나님의 택한 백성이 되었다는 사실을 확신하게 되었다. 
‘본받은 자’라는 표현은 ‘미메타이’로 이는 ‘미메테스’의 복수형이다. 미메테스는 다른 사람의 흉내를 내는 광대를 가리키는 단어 ‘미모스’에서 유래하여 모방하는 자, 흉내내는 자라는 의미이다. 최근에 SNS나 틱톡과 같은 플랫폼에 밈이라고 칭해지는 짧은 영상들이 넘쳐나고 있다. 이 밈 현상은 이른바 ‘짤’이라고도 불려지는 것으로 유명인들의 어떤 모습을 흉내내는 것을 의미한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바울과 그의 동역자들의 삶을 흉내낸 것이다. 나아가 주를 흉내내는, 모방하는 삶을 살았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에게 바울과 그 일행의 모습은 살아있는 복음 교과서였던 것이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에게 ‘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 된 것 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 되라(고전 11:1)’고 자신있게 말했고 실제로 이들은 바울의 모습을 본받았고 나아가 마게도냐와 아가야의 성도들의 믿음의 본이 되었다. 
제자훈련의 가장 중요한 방법은 바로 제자를 가르치는 선생, 멘토, 리더가 먼저 주를 본받는 삶을 살아내는 것이다. 그리고 함께 하는 팔로워, 멘티들에게 ‘너희는 나를 본받아라’라고 말하고 이를 권하는 것이다. 우리가 따라야할 가장 완전한 모델은 바로 주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하지만 이를 현실의 삶에서 직접 볼 수 없기에 내가 주를 따르니 너는 나를 따라라라고 말하는 것이야 말로 강력한 제자훈련이다. 그리고 때가 되면 나를 따르지 말고 네가 직접 주를 따르라고 이야기해주어야 한다. 
 
또한 많은 환난 속에서 온전히 주를 본받은 자가 되기위해서는 성령의 기쁨으로 말씀을 받아야 한다. 본문에서 말씀이라고 번역된 것은 ‘로고스’로 이전 개역에서는 이를 ‘도’라고 번역했다. 본문의 그 말씀은 당시 헬라 세계의 철학자, 소피스트들이 전하던 값싼 지식, 가르침이 아니라 바로 그 말씀, 구원의 복음의 말씀을 가리킨다. 
 
본문에서 말하는 많은 환난이란 실제 데살로니가에서 복음에 반대하여 일어난 환난들을 말한다. 즉 바울 일행이 복음을 전할 때 복음에 적대적이었던 유대인들의 핍박(행 17:5-9)과 그 도시의 이교도들로부터 당한 극심한 고난(살전 2:14)을 말한다. 이러한 환난을 표현하는 단어 ‘들립시스’는 포도주를 만들기 위해서 포도를 틀에 넣고 압착하여 으스러뜨리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그래서 참기 힘들 정도로 괴로운 고통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이러한 환난은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나라에 들어가기까지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행 14:22).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이러한 환난에도 흔들리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그들에게 성령의 기쁨, 성령께서 그 내주하시는 자에게 부여하시는 기쁨, ‘카리스’가 있었기 때문이다. 성령께서 주시는 이러한 기쁨은 어떠한 환난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준다.(행 16:22-25)
1:6 imitators of us. The Thessalonians followed Paul’s example even as Paul followed Christ’s example. for you received the word in much affliction. See Acts 17:5–9; 1 Thess. 2:14. Suffering affliction is normal for those destined to be saved at the end (see Rom. 8:17–18; 1 Pet. 4:12–14). with the joy of the Holy Spirit. The remarkable joy in suffering that characterized the Thessalonian Christians was patterned after the joy of Jesus and Paul.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5.
 
The final words of the verse, μετὰ χαρᾶς πνεύματος ἁγίου (“with the joy of the Holy Spirit”) are particularly important. They remind the readers of the tangible proof of their election. It was not only in that they received the word in distress that they became imitators of Paul and the Lord, but also in that they had a sense of joy in this situation that could not be accounted for in human terms. Their joy was, according to Paul, inspired by the Holy Spirit.
Their joy undoubtedly did rest on several objective considerations. To begin with, they were now part of a new community, the people of God, which could look forward to imminent salvation when Jesus would return, and second, their oppressors and all others outside their community would be subject to the wrath of God at the coming of Christ (cf. 1:10). Without this fundamental belief in future vindication and salvation in the face of persecution, a belief characteristic of early Christians (cf. 1 Pet. 1:6f.; 2:20f.; Mt. 5:11f.) that later gave rise to the cult of the martyrs, the powerful emotion of joy in the face of opposition would be inexplicable. The communal nature of the Pauline churches provided a context in which such beliefs could be stated and reinforced (see pp. 15f. above on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in maintaining the Christian symbolic world). A final factor bears mentioning. In all probability Paul and his converts believed that distress or tribulation was a precursor to the coming of Christ (see the comments on 3:2–4; 2 Thes. 1:5–10). The experience of distress was a sign that the parousia with its promise of final redemption was close at hand. Thus we can see how Paul’s theological statement regarding the divinely inspired joy in the face of persecution was grounded in the belief structure, or symbolic world, which he had given to his converts.
 Charles A. Wanamaker, The Epistles to the Thessalonian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90), 82.
 
6절의 결과가 바로 7절이다. 그러므로에 해당하는 ‘호스테’라는 접속사는 결과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논리적인 추론 만이 아니라 눈에 보이는 결과를 말한다. ‘본’이라는 표현은 ‘튀포스’, typos로 진흙이나 밀랍 등의 재로를 주조틀 같은 것에 찍어서 만든 형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요 20:25에서 ‘못에 박혔던 자국’이라는 의미로소 쓰였다. 
성령의 기쁨으로 말씀을 받아서 많은 환난 가운데서 바울의 일행과 주를 본받은 자가 된 결과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마게도냐와 아가야에 있는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었던 것이다. 결국 우리의 삶은 무엇을 모방하며, 무엇을 따라 살아가느냐에 달려있다. 주를 따르며 살 때 우리는 주를 본받게 되고 세상을 따르며 살 때 우리는 세상을 본받게 된는 것이다. 

 

 
마게도냐는 데살로니가를 중심으로한 북쪽 지역을, 아가야는 고린도를 중심으로 한 남쪽 지역을 가리킨다. 마게도냐에는 빌립보, 데살로니가, 베뢰아 교회가 포함되고 아가야에는 고린도, 아덴, 겐그레아등이 포함된다. 
 
 
8절) 바울의 일행에게서 말씀을 받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그 복음의 말씀을 자신들만 간직하려고 하지않았다. 그들은 직접적으로 복음 전파를 통해서 또한 믿음의 삶을 통해서 주변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했다. 
들리다라는 표현은 ‘에크세케오’로 ‘밖으로’라는 의미를 지닌 ‘에케오’라는 단어와 ‘소리나다, 울리다’라는 의미를 지닌 ‘에케오’의 합성어이다. 그래서 이는 '소리가 밖으로 울려퍼져 나가다'라는 의미이다. 여기에서 echo라는 표현이 유래되었다. 
복음 전파와 삶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울려퍼지는 것은 바로 주의 말씀이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인간의 어떠함이 그 자리를 대치할 때 복음의 왜곡이 일어난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믿음의 소문이 퍼졌을까? 9-10절의 내용을 통해서 유추해볼 때 어떻게 회심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우상을 버리고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하나님을 섬기게 되었는지,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다리는지를 통해서 환난 가운데 믿음을 지켜나가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또한 이런 소문이 각처에 퍼질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중의 하나는 데살로니가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이다. 동서를 연결하는 에그나티아 도로를 통해서 교통과 상업의 중심지였기에 이곳에서 일어나는 여러 이야기들이 주변의 여러 도시를 향해 빠르게, 효과적으로 전달된 것이다. 
 
바울이 이러한 사건에 대해서 ‘아무 말도 할 것이 없노라’라고 표현한 것은 어떤 말을 할 내용이 없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이미 폭넓게 퍼졌기에 말할 필요가 없어졌다라는 의미이다. 
 
 
9절) 9-10절은 8절에서 아무 말할 필요가 없었던 이유를 밝히고 있다. 
지금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누가 그들에게 알려달라고 하지도 않았는데 스스로 공개적으로 알리고 있는 것이다. 
그 알리고 있는 첫번째 내용이 ‘우리가 어떻게 너희 가운데 들어갔는지’이다. 이는 바울이 빌립보 전도를 마치고 데살로니가에 들어갔는지, 구체적으로 데살로니가의 유대인의 회당에 들어가 복음을 전했을 때 경건한 헬라인의 큰 무리와 적지 않은 귀부인들이 복음을 받아들인 사실을 가리킨다.(행 17:1-4) 그러니까 데살로니가 교회는 바울을 통해서 복음을 들었다는 사실을 스스로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두번째 내용은 ‘너희가 어떻게 우상을 버리고 하나님께로 돌아와 살아계시고 참되신 하나님을 섬기는지’이다. 우상앞에는 ‘아포’가, 하나님 앞에는 ‘프로스’라는 전치사가 붙어있다. 아포는 ‘~로부터’라는 뜻으로 분리, 이탈의 의미를, 프로스는 ‘~를 향하여’라는 뜻으로 누군가에게로 향해 달려가는 이미지를 보여준다. 그러니까 실제로 데살로니가 교인들이 당시 그곳의 수많은 우상으로부터 뛰쳐나와 하나님을 향하여 달려오는 모습을 보여주는 표현이다. 이처럼 참된 회심은 과거 자신이 머물러 있던 죄악의 자리에서 달려 나오는 것뿐만 아니라 이제 살아계시고 참되신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그분만을 섬기는 것이다. 
살아 계시고 참되신 하나님, 이 표현은 앞서 우상(에이돌론, Idol)과 대조적인 표현이다. 당시 이방인들은 여러가지 다양한 우상들을 섬겼다. 그런데 이들이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살아계시고 참되신 하나님을 섬기게 된 것이다. 이것은 다른 어떤 것보다 강력한 변화의 증거이다. 당시 데살로니가는 이교 사회로 여러 신을 섬기는 다신교 사회였다. 데살로니가 인들도 복음을 받아들이기 전에는 이러한 우상들을 섬기고 있었다. 그런데 바울의 일행으로부터 살아계시고 참되신 하나님이 계시다는 충격적인 복음을 들었다. 살아계셔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은 죽은 우상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신들과는 너무나도 분명하게 대조된다. 또한 비도덕적이고 거짓이 판치는 우상을 숭배하던 이들이 높은 도덕성을 가지고 진실한 하나님을 인식하게 되자 놀라운 변화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데살로니가 성도들이 알리고 있는 세번째 내용은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그의 아들이 하늘로부터 강림하실 것을 너희가 어떻게 기다리는지’이다. 바울과 그 일행들은 예수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만이 아니라 그분의 재림에 대해서 분명히 전했다. 또한 재림하시는 그 분은 장래의 노하심에서 우리를 건지시는 예수이시다. 
본문의 ‘기다리다’라는 표현은 신약에 여기서 단 한 번 등장하는 ‘아나메노’라는 표현으로 ‘장차 오길 약속되어 있는 사람을 인내와 신뢰로써 기다린다’라는 의미이다. 그들이 기다리는 대상은 바로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신데 그분이 다시금 재림하실 것을 기다린다는 것이다. 본문의 하늘로부터의 강림이라는 표현은 셈어의 관용적 표현으로 하나님이 계시는 처소에서부터 내려오심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이 계시는 처소에서부터 내려오신다는 사실은 주님의 십자가의 죽음으로 모든 것을 끝낸 것이 아니라 부활 승천하셔서 하나님 보좌 우편에 올라가셨음을 보여준다. 주님음 부활하여 지금도 하나님 우편에 계시며(행 7:55, 롬 8:34) 장차 호령과 천사장의 나팔 소리와 함께 이 땅에 심판주로 재림하실 것이다.(살전 4:16, 마 24:30-31)
예수의 재림은 그분의 부활에 기초한다. 그런데 그 부활은 온전히 그분, 하나님께서 행하신 것이다. 
‘다시 살리신’에 해당하는 ‘에게이렌’은 ‘에게이로’의 부정 과거형으로 ‘죽음의 잠에서 깨우다, 일어나게 하다’라는 의미이다. 부정과거는 예수의 부활이 분명하게 일어난 역사적 사실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장래의 노하심에서 우리를 건지시는 예수시니라’는 ‘장래에 임할 노하심으로부터 우리를 건져내실 예수’라는 의미이다. 본문의 두개의 동사 ‘에르코마이’와 ‘뤼오마이’는 모두 현재 분사로 현재에 진행되는 것과 미래에 다가올 일을 모두 나타내는 것이다. 부활하시고 재림하실 주님은 바로 우리를 장차의 진노로부터 건져내시는 분이심을 강조한 것이다. 
 
1:9–10 The Greeks from other areas report that the Thessalonians had repented of their idolatrous past, had committed themselves to serve God, and were waiting for Jesus’ second coming—the key traits of genuine Christian conversion. living and true God. In contrast to idols, God is the only real Deity. wait for his Son. This is the first of many references to the second coming in this letter (cf. 2:12, 19–20; 3:13; 4:13–18; 5:1–11, 23–24). whom he raised from the dead. This may anticipate 4:13–18, where Paul affirms the Thessalonians’ hope for the deceased on the foundation of Jesus’ resurrection from the dead (4:14). delivers us from the wrath to come. This may anticipate 5:1–11, where Paul emphasizes that the Thessalonians are not destined for wrath at the final judgment.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306.
 
Three points are made by Paul in this concluding sentence: (1) the contrast between the Thessalonians’ “before” and “after,” with scarcely hidden Jewish scorn for idolatry and a typically Jewish designation of God as “the living and true God”; (2) that they are currently “between the times” and are waiting for the conclusion of their salvation, which includes escaping the coming wrath (which their persecutors will indeed experience); and (3) that the one responsible for their salvation is the risen Jesus, here designated as “the Son of God.”
One should note, first, that the passage breathes the perspective of Jewish monotheism. Both epithets, “the living God” and “the true God,” reflect the language of such monotheism in Israel’s long struggle against idolatry. To be sure, the two terms appear together only in Jeremiah 10:10 (“But Yahweh is the true God; he is the living God, the eternal King”);76 nonetheless, they appear separately in a variety of polemical contexts.77 Whatever else is true of the God of the Jews, he is “the living God,” over against the lifeless idols of the pagan world; and precisely because he alone is the living God, he is therefore “the [one] true God” over against the false gods of idolatry. Moreover, the living and true God is further identified, here for the first time in the corpus, as the God “who raised [his Son] from the dead.” This remarkable way of identifying the God of Israel occurs just often enough in Paul for Hans Küng to remark that “ ‘he who raised Jesus from the dead’ becomes practically the designation of the Christian God.”78
What is striking, therefore, on further reflection, is the designation of Christ as “his Son from heaven,79 whom he raised from the dead—Jesus, who rescues us from the coming wrath.” That is, the “living and true God” has a Son, who is currently “in heaven” by virtue of the Father’s having raised him from the dead;80 and this Son is none other than the earthly Jesus, the one who also rescues81 us from the wrath of God that will be poured out on all who do not obey him (cf. 2 Thess 1:6–10).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the earliest known reference in Christian literature to the resurrection of Christ, the single most crucial event in early—and all—Christian faith. What is further significant in this reference is the absolutely presuppositional way it is mentioned,82 in the same way as the Son’s present exaltation in heaven is assumed throughout the letter. This primary Christian assumption thus especially lies behind several items that follow: the prayer directed to him in 3:12–13; the mention of his Parousia in 3:13; and the whole argument about the resurrection of believers in 4:13–18 (esp. v. 16).
With the designation “[God’s] Son” what was assumed in 1:1 about God as Father now becomes explicit. Although the designation “Son” is not especially frequent in Paul, occurring only here in the Thessalonian correspondence,83 it is expressed in such a presuppositional way that Paul assumes his readers to be on the same page with him. This designation of the risen Christ as “Son” appears again in 1 Corinthians 15:28; but it occurs most often in Paul’s letters with reference to the Son’s “giving his life” for us (2 Cor 1:19; Gal 2:20; 4:4–5; Rom 8:3, 32; Col 1:13). Paul also designates Christ as “Son” when he thinks of salvation as effecting the new creation, in which we are being transformed back into the divine image, whose perfect expression is to be found in God’s Son (Rom 8:29–30).
76 But see also Jos. Asen. 11:9–10.
77 For “the living God,” see, among other things, the oath formula in Num 14:21, 28 (“as [surely as] I live”); cf. Hos 2:1 (cited by Paul in Rom 9:26). It became a standard formula in the polemics of Second Temple Judaism (Dan 5:23 [LXX]; Bel 5 [Theod]; Sir 18:1; Jub. 21:3–4; Jos. Asen. 11:9–10). In the NT see esp. Acts 14:15, where the wording of conversion is just as it appears here; cf. 1 Tim 4:10; Heb 3:12; 9:14; 10:31; 1 Pet 1:23; Rev 7:2; 15:7. For “the true God,” see Wis 12:27; Josephus, Ant. 11:55; and in the NT esp. the Johannine literature (e.g., John 7:18; 8:26).
78 On Being a Christian (Garden City, N.Y.: Doubleday, 1976), 361; besides the present text, see 1 Cor 6:14; 2 Cor 4:4; Gal 1:1; Rom 4:24; (6:4); 8:11 (2x); 10:9; Col 2:12; Eph 1:20; cf. 1 Pet 1:21. Wanamaker (87) seems quite wrong, therefore, to refer to this phrase as an “afterthought.”
79 A considerable literature has suggested that the “background” to this usage is Daniel’s “son of man” (Dan 7:13). Understandable as this might be, given (1) Paul’s language “await … from heaven,” and (2) the fact that Jesus almost certainly used this Danielic “title” with reference to himself, there is nonetheless scarcely a hint of any kind in the Pauline corpus that Paul is influenced by this language. What can be demonstrated is that he associates “Son of God” with the Davidic kingship (see Fee, Pauline Christology, ch. 14).
80 For a full discussion of the significance, and absolute uniqueness, of this reality for the earliest Christians, see N. T. Wright, The Resurrection of the Son of God (Minneapolis: Fortress, 2003), whose title reflects this earliest mention of the resurrection in the NT documents.
81 Gk. τὸν ῥυόμενον; the present tense here is probably not so much trying to say something about the “time” of the rescue—which in 5:9–10 is expressed in the past tense to refer to the saving event itself—as it is to put emphasis on the now exalted Son as the “Rescuer.”
82 This is the case in every mention of the resurrection in the NT outside the Gospels; moreover, it lies behind the earliest known prayer among the early Christians, the Aramaic Marana tha (“Lord, come”) used by Paul in 1 Cor 16:22.
83 And only 17 times in all, 11 of which occur in Galatians (4x) and Romans (7x). In the latter it appears as the first thing up (1:3–4), where it has both messianic and eternal implications; cf. Col 1:13–17. See the discussions in Fee, Pauline Christology, 240–44 and 293–303.
 Gordon D. Fee, The First and Second Letters to the Thessalonian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9), 47–48.
 
데살로니가전서에 나타나는 재림에 대한 표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