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5강. 세상이 깨진 이유와 죄의 본질

인간은 하나님이 만든 세상에서 삶의 목적과 진정한 사랑을 누리며 살기를 원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합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하나님과, 자신과, 이웃과, 세상과의 깨어진 관계로 인해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입니까? 

 

1. 성경이 설명하는 깨진 세상의 원인, 죄

성경은 우리가 경험하는 이 깨어짐의 원인을 ‘죄’라고 말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당신은 죄인입니까’라고 물으면 곰곰히 생각하다가 자신은 그렇게 큰 죄인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보통 죄를 양심에 거리끼는 일을 하는 것, 다른 사람에게 어떤 해를 끼치는 것, 사회적으로 합의된 규범이나 법을 위반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 LH 직원이 자신의 정보로 땅을 투기하는 행위, 시의원이나 구의원들이 자신들의 힘으로 자신의 땅의 용지를 변경하거나 개발을 추진하여 땅값을 올리는 행위, 자신의 자녀를 학대하거나 방치, 유기하는 행위

위의 구체적인 심각한 죄들을 짓지 않았기에 자신을 죄인이라고 여기지 않습니다. 다들 나름대로 정직하게 살아가고 있다고 하는 사람들은 자신을 죄인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성경은 죄에 대해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앞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세상과 인간을 창조하셨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세상의 중심에 하나님이 계시고, 이 하나님이 우주 만물의 존재 원칙과 질서를 세우셨을 뿐만 아니라 지금도 세상이 유지될 수 있게 하신다고 성경은 말합니다. 그런데 이 세상과 나의 인생의 중심에서 하나님을 몰아내고 나 자신이 중심을 차지해버렸습니다. 성경은 이것을 죄라고 말합니다. 

 

SIN, I-centeredness, 자기중심성

 

 

이것이 죄인 이유는 하나님은 우리 인생뿐만 아니라 우주 만물을 그분이 중심이 되어 움직이도록 창조하셨기 때문입니다. 이 기본 질서를 거부한 것이 바로 죄라는 것입니다. 

자신이 인생의 주인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천동설을 주장하는 것과 같습니다. 실제로는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지만 태양이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인생의 주인이 하나님이신데 이를 거부하고 내가 주인이라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나의 인생의 주인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은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가 깨져버렸기 때문입니다. 

- 선악과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받은 존재로 다른 피조물과는 다른 하나님의 성품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인간의 특별함

 1) 아름다운 도덕적 성품 : 겸손, 순수, 정의감, 사랑, 자비, 인내

 2) 언어의 사용 : 말씀하시는 하나님

 3) 사회성 : 삼위일체(페리코레시스), 남녀관계, 부모와 자녀관계

 4) 이성 : 사고력(논리와 이성을 가지고 판단)

 5) 영성 :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 종교성

 

하나님께서 우리의 인생의 주인으로 계실때 이러한 성품들은 제대로 의미있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인격적인 모독 : 무시

우리가 하나님을 우리의 인생의 주인으로 인정하지 않고 내가 주인되어 자신의 소견에 옳은대로 살아가는 것은 하나님을 무시하는 행위입니다. 

죄란 본질적으로 나의 인생살이에서 하나님을 무시해버리는 것입니다.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를 지으시고 우리에게 삶의 의미와 가치와 목적을 주시는 하나님이 없다고 믿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을 무시하고 모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평소에 너무 존경하고 좋아하는 친구의 집에 초대를 받았습니다. 근사한 저녁이 준비되어 있었고 식사를 하며 가족들과 멋진 대화를 나누고 있었습니다. 집은 아주 잘 꾸며져 있었고, 그 친구와는 말이 잘 통했습니다. 그런데 뒷방에서 이상한 소리가 자꾸 나는 것입니다. 무슨 소리냐고 물으니 몰라도 된답니다. 식사후 화장실에 가는 길에 우연히 열린 뒷방의 문을 통해서 보니 그 방안에는 그 친구의 늙으신 어머니가 계셨습니다. 제대로 씻지도 않은 모습으로 더러운 음식을 먹고 계셨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이런 모습을 보게 된다면 그 친구를 계속해서 좋은 친구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까? 세상과 나를 창조하신 하나님을 무시하는 것은 자기를 낳아준 어머니를 홀대하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문제입니다. 

 

앞서 말한대로 우리는 특별한 죄를 지은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자신을 죄인이라고 하면 불쾌합니다. 우리가 죄를 짓지 않는 이유는 도덕적으로 선해서라기 보다는 죄를 지으면 벌을 받는다는 교육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사회적으로 통제되는 죄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더 본질적인 부분을 말합니다. 죄란 우리 인간 세상과 사회를 가능하게 하신, 모든 존재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무시하고 자신의 소견에 옳은대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죄의 영향력

하나님을 무시하는 태도는 하나님의 분노를 불러 일으킬 뿐만 아니라 우리의 현재의 삶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주를 지으시고 지금도 보존하고 운영하십니다. 모든 행성이 일정한 원칙에 따라 움직이고 만물이 그 원칙에 따라 존재하고 살아갑니다. 모든 창조세계가 하나님을 무시하지 않고 존재합니다. 그런데 인간은 하나님을 무시하고, 그 원칙을 무시하며 살아갑니다. 이 원칙이 무시될 때 이 원칙을 지으신 하나님께서 분노하시고, 이 원칙의 지배를 받는 세상이 피해를 받고, 이 원칙을 어긴 인간이 결국 생명의 근원되신 하나님과 영원히 분리되는 죽음에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우주 만물에 작용하는 법칙중에 만유인력의 법칙이 있습니다. 어릴 적에 목에 보자기를 묶고 뛰어 내립니다. 중력의 법칙을 거스리는 것입니다. 의자나 담벼락에서 뛰어내리는 것은 문제가 없습니다. 점점 더 이 법칙을 거스립니다. 2층, 3층 옥상에서 뛰어내립니다. 잘못하면 발목이 부러질 것입니다. 그런데 나는 3층에서도 무사하니 63빌딩에서 뛰어내려도 괜찮다라고 하면서 그곳에서 뛰어내린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이처럼 아주 작은 물리 법칙을 무시해도 큰 사고가 납니다. 

 

이런 물리법칙만이 아닙니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무시하지 말고 지키며 살아가야할 삶의 원리들이 있습니다. 인간관계를 맺는 법, 특히 사랑하는 법, 돈을 벌고 쓰는 법, 불의를 다루는 방법, 사회적 약자를 돌보는 법, 우리에게 주어진 자연과 자원을 사용하는 법등을 하나님께서는 성경을 통해서 우리에게 알려주셨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러한 성경의 원리들을 무시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삶의 원리중에 가장 중요한 원리인 사랑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 봅시다. 모든 사람이 사랑을 합니다. 그러나 자기 방법대로, 세상 방식과 유행에 따라 사랑을 합니다. 수많은 노래를 지어 부르고 시와 그림을 그립니다. 사랑의 방법을 다루는 수많은 책들, 지침서들이 넘쳐납니다. 그럼에도 사랑으로 인한 고통과 아픔은 우리의 인생에서 사라지지 않습니다. 사랑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려면 인간을 사랑하게 만드신 하나님을 무시하지 않고 그분이 우리에게 알려주신 사랑의 원리들, 그분이 보여주신 사랑의 원리를 배우고 행해야 하는데 사람들은 이것을 무시하고 자신이 소견에 옳은대로 행동합니다. 

결국 이러한 원리들을 무시하면 가장 먼저 자신이 손해를 보고,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들이 피해를 받고 나아가 사회적, 문화적, 생태적으로 인류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것이 죄의 치명적인 모습입니다. 

 

2. 죄에 대한 심층적인 설명

여기에 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이 나무가 무슨 나무일까요? 뿌리와 가지만을 바라보고 무슨 나무인지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다음 그림은 가지에 잎사귀와 열매가 달려 있습니다. 우리는 열매를 보고 무슨 나무인지 알수 있습니다. 

 

밑둥만 남아있는 나무를 보고 무슨 나무인지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 나무 그림은 죄를 심층적으로 설명해줍니다. 

사람들은 꽃, 열매, 잎사귀를 죄라고 생각합니다. 즉 눈에 보이는 것만을 죄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사회규범, 도덕, 윤리, 법률을 어겼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모든 사람이 다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에서는 이것을 죄의 본질이라고 말하기보다는 죄로 말미암은 결과, 죄의 열매라고 이야기합니다. 

세사

 

예를 들어 다른 사람에 대한 분노나 음욕이 마음속에 생겨납니다. 질투심이나 탐욕이 생겨나기도 합니다. 이를 행동으로 옮기지 않았을 때 이를 죄라고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고등 종교에서는 이 마음에서 일어나는 일에 집중합니다. 

마 5:28

마 5:22

성경은 여자를 보고 음욕을 품는 마음을 가질 때 이미 간음했다라고 또한 다른 사람을 보고 바보, 멍청이라고 욕할 때 이를 살인했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바로 마음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잎사귀와 열매를 다 없애버려도 사과나무는 사과나무인 것입니다. 

 

성경에서 이야기하는 본질적인 죄는 단지 마음을 의미하는 줄기만이 아니라, 그보다 더 깊이 위치한 뿌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즉 하나님이 우주와 나의 중심이신데, 내가 주인이 된 상태가 죄의 본진이라는 것입니다. 내가 주인된 상태라면, 마음을 아무리 깨끗이 닦아도 난 여전히 죄인이라고 성경은 말합니다. 열매와 잎사귀를 없애 버려도 사과나무는 사과나무이고, 나무 몸체를 댕강 잘라버려도 그 나무는 사과나무입니다. 뿌리가 사과나무이니, 마음을 잘 닦으며 우지하지 않으면 줄기가 나오고, 겉으로 아무리 조심하여도 결국 마음 속에 있는 것이 행동으로 나온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깨져 있다는 것은 이렇게 우리 마음과 실제 행동에 영향을 줍니다. 서로 사랑하는 관계로 시작된 가정이 깨져 버립니다. 인류문명이 진보하지만 빈곤은 여전합니다. 인류 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생산성을 자랑하지만 그 반대편에서는 아이들이 굶주리고 있습니다. 이것이 죄의 실상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3. 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먼저 여러분은 나 자신이 죄인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십니까? 우리의 인생이 무한하다면 지금 자신의 소견에 옳은대로 살아보고 이것이 아니다 싶으면 바꾸면 됩니다. 하지만 우리의 인생은 2리터자리 생수 병 혹은 화장지와 같습니다. 내 인생은 시간이 흐르면서 계속 소모되고 있습니다. 

내 인생이니 그냥 한번 살아보겠다라는 마음 자체가 죄의 본질을 반영하는 자세로, 하나님 없이 살아가는 인생이 그럭저럭 괜찮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하나님에 대한 진지한 질문을 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인생에 하나님으로밖에 채울 수 없는 공허함을 느끼는 사람만이 하나님을 만날 수 있습니다. 

만약 지금까지 내가 내 인생의 주인으로 살아왔지만 이것으로는 안된다라는 것을 절실히 깨달으셨다면 하나님께 나아오실 때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성경은 온 세상의 주인이신 하나님을 무시하고 내가 내 삶의 주인 행세하는 것이 우리 인간의 문제이고, 인간 사회의 문제이고, 세상의 문제라고 진단합니다. 이 근본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지난 수천 년 동안 만들어온 문명과 과학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무시하는 비인격적 존재가 아니시기 때문에 그 해결 방법을 보여주시고, 우리에게 진실한 인격적 반응을 기대하십니다. 다음 시간에 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나눔 질문

1.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깨진 이유를 성경은 무엇이라고 설명합니까? 당신은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2. 지금까지 나눈 이야기를 볼 때 당신은 죄인입니까? 어떤 면에서 그렇습니까? 또는, 어떤 면에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까? 

 

3. 당신은 이 죄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까? 

 

728x90

24 And God said, “Let the earth bring forth living creatures according to their kinds—livestock and creeping things and beasts of the earth according to their kinds.” And it was so. 25 And God made the beasts of the earth according to their kinds and the livestock according to their kinds, and everything that creeps on the ground according to its kind. And God saw that it was good.

26 Then God said, o“Let us make man8 in our image, pafter our likeness. And qlet them have dominion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over the birds of the heavens and over the livestock and over all the earth and over every creeping thing that creeps on the earth.”

27  So God created man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he created him;

rmale and female he created them.

28 And God blessed them. And God said to them, s“Be fruitful and multiply and fill the earth and subdue it, and have dominion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over the birds of the heavens and over every living thing that moves on the earth.” 29 And God said, “Behold, I have given you every plant yielding seed that is on the face of all the earth, and every tree with seed in its fruit. tYou shall have them for food. 30 And uto every beast of the earth and to every bird of the heavens and to everything that creeps on the earth, everything that has the breath of life, I have given every green plant for food.” And it was so. 31 vAnd God saw everything that he had made, and behold, it was very good. And there was evening and there was morning, the sixth day.

o ch. 3:22; 11:7; Isa. 6:8

8 The Hebrew word for man (adam) is the generic term for mankind and becomes the proper name Adam

p ch. 5:1; 9:6; 1 Cor. 11:7; Eph. 4:24; Col. 3:10; James 3:9

q ch. 9:2; Ps. 8:6–8; James 3:7

r ch. 2:18, 21–23; 5:2; Mal. 2:15; Matt. 19:4; Mark 10:6

s ch. 9:1, 7

t ch. 9:3; Ps. 104:14, 15; 145:15, 16

u Ps. 147:9

v Eccles. 7:29; 1 Tim. 4:4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Ge 1:24–31.

 

 

6일간의 창조의 기록중 여섯번째 날의 내용이 가장 길다. 물리적인 창조의 시간은 가장 짧을 수도 있지만 가장 절정에 해당되는 내용임에 틀림없다. 여섯번째 날 창조의 장소는 바로 셋째날의 마른 땅인 것을 알 수 있다. 

 

24-25절) 여섯째날 전반부에는 땅의 생물을 창조하신다. 이 생물들은 세부류로 나뉘어지는데 이는 과학적인 철저한 구분이라기 보다는 유대인들의 입장에서 볼수있는 일반적인 분류이다. 

1) 가축(베헤마) : 길들인 동물들, 집에서 기를 수 있는 동물(양, 염소, 소, 낙타, 말 등)

2) 땅에 기는 것(레메스) : 땅에 기어다니는 작은 동물(쥐, 도마뱀, 거미 등)

3) 짐승(하야) : 크고 힘센 동물, 맹수(가젤, 사자, 곰 등)

 

26절) 하나님께서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들로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가축과 온땅과 땅에 기는 모든것을 다스리게 하자”라고 말씀하신다. 본 절에서 하나님께서 우리라고 호칭하시면서 대화하시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여기서 ‘우리’가 누구를 지칭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혹자들은 ‘하나님의 아들들’, ‘천사들’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천사들이 인간 창조의 사역에 참여했다라는 이야기는 없기에 이는 합당하지 않다. 본문에서 우리는 바로 하나님 자신을 가리키는데 여기서 삼위일체 하나님을 언급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성자는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형상(골 1:15)이시다. 인간은 삼위일체의 위격들 사이의 이미징 관계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창조되었다. 타락과 죄로부터의 인간의 구속은 재창조(고후 5:17)을 포함하며 그리스도 예수의 형상 안에서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와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엡 4:24) 존재가 되는 것이다.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The text does not specify the identity of the “us” mentioned here. Some have suggested that God may be addressing the members of his court, whom the OT elsewhere calls “sons of God” (e.g., Job 1:6) and the NT calls “angels,” but a significant objection is that man is not made in the image of angels, nor is there any indication that angels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Many Christians and some Jews have taken “us” to be God speaking to himself, since God alone does the making in Gen. 1:27 (cf. 5:1); this would be the first hint of the Trinity in the Bible (cf. 1:2).

The divine Son is “the image of the invisible God” (Col. 1:15). Man was created in a way that reflects the imaging relation among the persons of the Trinity. The redemption of man from the fall and sin includes re-creation (2 Cor. 5:17), his being “created after the likeness of God in true righteousness and holiness,” in the image of Christ (Eph. 4:24).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51.

 

형상의 히브리어 단어 ‘셀렘’은 물질적인 외형을 갖춘 조각상이 아니라 물질적인 형태를 띤 대리자를 의미한다. 당시 메소포타미아에서 여러 왕이 자신들의 권위를 확립하고 싶어하는 곳마다 자신들의 형상들을 만들어 세워 두는 관행이 있었다. 

아기가 부모를 닮었다는 것은 단지 외모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자라가면서 부모의 성격이나 태도, 표현이나 행동을 거울처럼 반영하는 방식으로 닮아가는 것이다. 말하자면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받은 존재로서 신의 속성을 반영할 능력을 소유한 자로 창조된 것이다. 이 형상을 지닌 자는 그 형상이 대표하는 자의 속성들을 반영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그분 대신에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받았다.

- In conclusion, the following definition takes account of all of the ancient Near Eastern and biblical evidence concerning the role of the image of God: The image is a physical manifestation of divine (or royal) essence that bears the function of that which it represents; this gives the image-bearer the capacity to reflect the attributes21 of the one represented and act on his behalf. Note the similarity of this idea with New Testament statement concerning Christ being “the image [eikon] of the invisible God” (Col. 1:15). He is a physical representative of God rather than a physical representation of what God looks like. As such he bears the essence of God, reflects his attributes, and acts on his behalf. In the context of Genesis 1, people act on God’s behalf by ruling and subduing.

21 Those attributes are not conscience and self-awareness, but love, faithfulness, justice, wisdom, etc.

 John H. Walton, Genesis,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rand Rapids, MI: Zondervan, 2001), 131.

 

 

27절) 하나님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셨다. 

“하나님의 형상(the image of God)”이 무엇인가? 고대 근동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신을 대신하는 왕을 상징한다라고 말했다. 고대 근동의 왕은 신의 대리자로서 사람들을 통치한다라고 여겼다. 26절에서 하나님은 자신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사람들로 하여금 바다와 하늘과 땅의 모든 피조물을 다스리게 하신다. 이 표현이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사람에게 만물을 다스리는 권세가 주어졌다라고 주장한다. 이는 이후의 문화 명령으로 연결된다.

인간이 다른 피조물과 구별되는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바로 인간에게 하나님의 형상이 주어졌다는 것이다. 다른 피조물의 경우에 하나님의 말씀으로 지으셨는데 인간을 지으실 때는 삼위 하나님께서 함께 의논하시고 자기의 형상을 닮도록 지으셨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인간에게 주어진, 인간이 닮은 하나님의 형상은 무엇인가? 먼저 삼위 하나님께서 함께 소통하셨다. ‘페리코레시스’ 상호교통, 상호침투가 중요한 특성이다. 또한 이성과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 도덕 의식, 서로 사랑하고 희생하는 능력, 다양한 형태의 예수를 창조하고 이를 느끼는 미적 감각, 경탄할 수 있는 능력을 주셨다. 이러한 차별된 능력에 근거하여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피조물을 다스리는 권세를 위임하신 것이다. 메소포타미아의 신화속에서 신은 인간을 단지 자신들을 위해서 일하도록, 자신들이 노예로 만들었지만 하나님께서는 인간들에게 자신의 형상을 허락하시고 피조물을 다스리도록 하셨다는 이 사실은 당시의 세계관을 흔드는 매우 놀라운 가르침이었다.

 

본문에 사람이라는 단어가 히브리어 ‘아담’이다. 이는 사람을 의미하는 고유명사였다가 이후에 아담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된다. 때때로 남자와 여자를 통칭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여성과 구별되어 남성을 대표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Traditionally, the image has been seen as the capacities that set man apart from the other animals—ways in which humans resemble God, such as in the characteristics of reason, morality, language, a capacity for relationships governed by love and commitment, and creativity in all forms of art. All these insights can be put together by observing that the resemblances (man is like God in a series of ways) allow mankind to represent God in ruling, and to establish worthy relationships with God, with one another, and with the rest of the creation. This “image” and this dignity apply to both “male and female” human beings. (This view is unique in the context of the ancient Near East. In Mesopotamia, e.g., the gods created humans merely to carry out work for them.) The Hebrew term ’adam, translated as man, is often a generic term that denotes both male and female, while sometimes it refers to man in distinction from woman (2:22, 23, 25; 3:8, 9, 12, 20): it becomes the proper name “Adam” (2:20; 3:17, 21; 4:1; 5:1). At this stage, humanity as a species is set apart from all other creatures and crowned with glory and honor as ruler of the earth (cf. Ps. 8:5–8). The events recorded in Genesis 3, however, will have an important bearing on the creation status of humanity.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51.

 

28절) 본절은 문화명령이라고 알려진 매우 중요한 구절이다.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인간들에게 주신 복으로서의 명령은 바로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는 것이다. 중요한 동사 세가지를 꼽자면 충만하라, 정복하라, 다스리라는 명령이다. 

1) 생육하고 번성하라는 이 복, 명령은 창세기에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이다. 

(창 9:1, 개정) 『하나님이 노아와 그 아들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창 9:7, 개정) 『너희는 생육하고 번성하며 땅에 가득하여 그 중에서 번성하라 하셨더라』

(창 17:20, 개정) 『이스마엘에 대하여는 내가 네 말을 들었나니 내가 그에게 복을 주어 그를 매우 크게 생육하고 번성하게 할지라 그가 열두 두령을 낳으리니 내가 그를 큰 나라가 되게 하려니와』

(창 28:3, 개정) 『전능하신 하나님이 네게 복을 주시어 네가 생육하고 번성하게 하여 네가 여러 족속을 이루게 하시고』

(창 35:11, 개정) 『하나님이 그에게 이르시되 나는 전능한 하나님이라 생육하며 번성하라 한 백성과 백성들의 총회가 네게서 나오고 왕들이 네 허리에서 나오리라』

(창 48:4, 개정) 『내게 이르시되 내가 너로 생육하고 번성하게 하여 네게서 많은 백성이 나게 하고 내가 이 땅을 네 후손에게 주어 영원한 소유가 되게 하리라 하셨느니라』

본문은 앞서 22절에서 바다와 하늘의 생물들을 향해서 충만할 것을 명령한 것과 같다. 종족 번식을 통해서 번성하는 것이 일차적인 의미라면 인간들을 향해서는 신실한 자녀들을 낳아서 이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창조 명령에 순종하며 하나님을 아는 것에 자라갈 뿐만 아니라 하나님을 지혜롭게 섬기고 예배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이 땅가운데 그렇게 하나님의 사람들로 충만할 것을 원하셨다. 

 

다섯째 날 창조된 피조물들은 축복의 결과로 생육하고 번성하는 것이지만, 인간에게 주어진 축복은 이에 더해 정복하고 다스리는 것이 추가되었다. 28절은 이를 강조하기 위해 ‘그들을’(אֹתָם/לָהֶם 인간들을) 주어(אֱלהִֹים) 앞에 배치하는 도치법을 통해 인간에게 복 주심을 강조한다. 이는 고대 근동 사람들의 인간관과 비교해 볼 때, 아주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고대 근동 사람들은 인간 존재의 기원에 대하여 아주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인간은 고대 근동 사람들이 악의 화신으로 생각했던 티아매트(Tiamat)의 부하였고 뱀이었던 킹구(Kingu)의 더러운 피와 흙을 섞어 창조되었다. 근본이 더럽고 악한 뱀으로부터 만들어진 인간은 신들을 부양하는 노예에 지나지 않았다.67) 그들의 세계관에서 오직 왕만 신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존재였다. 하지만, 성경은 완전히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모든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졌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로서 하나님을 대신하여 이 세상을 다스리는 왕 같은 존재로 창조되었다.68)

67) John H. Walton, Ancient Israelite Literature in its Cultural Context: A Survey of Parallels Between Biblical and Ancient Near Eastern Texts (Grand Rapids: Zondervan, 1990), 19–42.

68) Atrahasis, [Stephanie Dalley, Myths from Mesopotamia: Creation, the Flood, Gilgamesh and other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14–18] – 신들의 노동으 로 인한 고통을 들어주기 위해 인간 창조를 결정하고 Mami와 Enki가 이 일을 수행하기로 한다. Enki가 Geshtu–e라고 불리는 지적인 한 신을 죽여서 그의 살과 피를 진흙과 섞어 인간을 만들 준비를 한다. 죽은 신을 기념하기 위해 ghost를 만든다. The Igigi, the great gods들이 진흙에 침을 뱉는다. Enki와 Mami가 운명의 방으로 들어가서 14조각의 진흙을 끄집어내어 7쌍씩 좌우 에 세우고 그 사이에 흙 벽돌을 세운다. 마침내 7쌍의 남녀 인간이 탄생되고 이들을 각각 둘씩 부 부로 짝지어 이들을 통해 인간이 번식하게 하며, 임신의 기간을 10개월로 정한다.

 기동연, 창조부터 바벨까지: 창세기1–11장 주석, 초판. (06593 서울특별시 서초구 고무래로 10–5 (반포동): 생명의 양식, 2016), 73–74.

 

2) 정복하라는 히브리어 단어 ‘카바스’는 어떤 백성이나 영토를 정복하여 그 백성이 정복자를 섬기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민 32:22, 29) 하지만 여기서는 하나님께서 남자와 여자로 하여금 땅의 자원을 유익하게 이용할 것을 명령하시는 것이다. 즉 모든 인류가 땅의 자원을 유익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남자와 여자는 그 자원을 탐사하고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명령은 인간이 지혜로운 과학 기술의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 하지만 창3장의 타락이후 인간은 하나님의 명령을 어김으로 말미암아서 다른 피조물을 선용하지 못하고 악용하게 된다. 

OT The vb. כָּבַשׁ is often used to express the misuse of power or the excessive use thereof and is, therefore, translated with violate, subdue, and make subservient. This lexeme is employed to describe David’s actions of subduing the nations (2 Sam 8:11). The subj. of the vb. is not necessarily a ruling official, and the objects may also vary (2 Chron 28:10 = “slaves”; Jer 34:16). It can also refer to the subduing of a woman (Esth 7:8). In a figurative sense it is used for the subduing of sins (Mic 7:19).

In Gen 1:28 it occurs alongside רָדָה (#8097) to express God’s blessing on humanity and his command to subdue the earth.

subj. subject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596.

 

3) 다스리라. 하나님은 아담과 하와를 통해서 당신이 창조하신 피조물들을 돌보시기를 원하신다. 그래서 인간들에게 청지기로서 그러한 역할을 맡겨주신 것이다. 이 다스림 또한 앞서 정복이라는 단어와 마찬가지로 위에서 군림하기 보다는 각 피조물이 자신의 자리에서 잘 지내도록 돌보는 것을 의미한다. 

히브리어 ‘라다’는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절 26, 28절에서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인류는 하나님의 창조에 대한 책임을 부여받았다. 일반적으로 다스리다, 통치하다, 짓밟다 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OT The vb. רָדָה stresses the act of dominance by force and overlaps accordingly with the comparable nuance of meaning of מָשַׁל. In 1 Kgs 4:24 [5:4] it occurs with מָשַׁל and emphasizes the Israelite king’s dominance over other kingdoms and enemies of the state (cf. Ps 72:8; 110:2). The negative connotation of the vb. is evident from those instances where the Israelite community is warned against the subduing of countrymen (Lev 25:43, 46, 53; Ezek 34:4). Its negative meaning also correlates with that of סָלַט (#8948).

In Gen 1:26, 28 the vb. occurs with a positive meaning when it is stated that humanity, created in God’s own image, should subdue (כָּבַשׁ, #3899) the earth and rule over (רָדָה) all animals. Humankind is given the responsibility for God’s creation, as is evident from the fact that his command to them is part of his blessing (1:28).

P-B In Rabb. Heb. and the Targumim רדה (Aram. רדא or רדי) is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meanings to stamp, tread, chastise, or rule (e.g., Tg. Lev 26:17). In the Qumran texts it maintains the meaning to rule or govern (1QS 9:23).

Rabb. Rabbinic

 Willem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 Exegesis (Grand Rapids, MI: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7), 1056.

 

29-30절)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땅의 채소와 열매를 먹을 거리로 주셨다. 뿐만 아니라 짐승과 새들에게도 푸른 풀을 먹을 거리로 주셨다. 

그렇다면 타락 이전에 육식은 없었을까? 동물이나 식물의 죽음이 에덴에는 존재하지 않았을까? 성경은 분명하게 이 부분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 않다. 

 

31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 

앞서 6번의 ‘보시기에 좋았더라’라는 평가와 달리 마지막날 인간을 창조하시고 그들에게 문화명령을 부여하신 이후에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it was very good)라고 말씀하셨다. 개역 개정에는 ‘힌네’(behold), ‘보라’라는 표현이 생략되어 있는데 이는 하나님의 입장에서 피조 세계를 바라보는 것을 상상하도록 독자들을 초대한다. 오늘날의 세상은 여러면에서 좋지 않아 보인다. 창세기는 맨 처음 하나님이 지으신 세계가 어떠했는지를 우리에게 벼여주고 있다. 이는 지금의 좋지 않은 세상의 모습은 하나님의 창조의 구조가 아님을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인간의 타락으로 말미암아 피조세계의 방향이 왜곡되었다. 이는 세상이 좋지 않은 모습으로 바뀌는 것의 책임이 하나님께 있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지으신 모든 것은 맨 처음에 좋았기 때문이다. 이세상에 죄가 들어옴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지으신 모든 것에는 여전히 선한 요소가 남아 있다.(딤전 4:4) 

죄는 본연의 선한 창조안에 이후에 침투한 것이다. 이것은 세상에 내재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종말에 그분의 목적을 성취하실 때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Having previously affirmed on six occasions that particular aspects of creation are “good” (vv. 4, 10, 12, 18, 21, 25), God now states, after the creation of the man and the woman, that everything he has made is very good; the additional behold invites the reader to imagine seeing creation from God’s vantage point. While many things do not appear to be good about the present-day world, this was not so at the beginning. Genesis goes on to explain why things have changed, indicating that no blame should be attributed to God. Everything he created was very good: it answers to God’s purposes and expresses his own overflowing goodness. Despite the invasion of sin (ch. 3), the material creation retains its goodness (cf. 1 Tim. 4:4).

Sin is a later intrusion into an originally good creation. It is not inherent in the world, and so it can be completely removed when God achieves his purposes in the consummation (Rev. 22:3–5).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52.

 

 

‘우리'라는 표현에 대한 문제

1) 다신교 전통. 몇몇 학자들은 이 표현을 구약에 남아 있는 다신교 전통의 잔재라고 말한다.57) 2) 삼위일체 전통. 전통적인 교의학자들은 이를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 양식을 보여주는 표현으로 생각한다.58) 3) 천상 회의. 어떤 학자들은 하나님께서 천상 회의 즉 천사들의 모임에서 말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59) 셋 중에 어느 것이 가장 가능성이 높을까? 1)의 주장은 다른 구약 성경의 내용을 고려할 때 전혀 가능성이 없다. 3)도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두 가지 이유 때문에 그 가능성이 매우 낮다. 첫째 이유는 이 주장은 하나님 한 분에 의한 창조라는 창세기 1장의 주요 신학과 배치된다. 이 주장대로라면 인간 창조에 하나님 외에 천사들이 참여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 다른 이유는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사람의 역할을 고려할 때 가능성이 낮다. 즉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사람은 다른 피조물을 다스리는 역할을 하게 되지만, 반면에 천사들은 다스리는 자로 지음 받은 것이 아니라 섬기는 자로 지음 받았다. 하나님을 섬겨야 하고 인간을 섬기는 존재들이다(히 1:14; 계 22:8–9). 창세기 1:27은 “우리의 형상과 우리의 모양”을 하나님의 형상에 국한됨을 보여주는 표현들이 있다. 창세기 1:26과는 달리 창세기 1:27에서는 인간을 창조한 하나님은 단수로 표현되어 있다.

וַיִּבְרָ֨א אֱלֹהִ֤ים אֶת־הָֽאָדָם֙ בְּצַלְמ֔וֹ

와이브라 엘로힘 에트–하아담 베찰모

창세기 1:27에서 창조의 주체는 ‘엘로힘’이다. 그리고 동사 ‘바라’ברא가 3인칭 남성 단수형이다. 주어 ‘엘로힘’(אֱלהִֹים)이 복수형이지만 장엄복수로서 단수 취급되므로 동사 ‘바라’ברא가 단수형으로 사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형상”בְּצַלְמוֹ에서 하나님은 3인칭 단수 ‘그의’로 표시되어 있다. 창세기 1:26에서 하나님의 형상에 따른 인간 창조를 1인칭으로 말할 때는 복수이지만, 창세기 1:27에서 동일한 인간 창조를 3인칭으로 표현할 때는 단수이다. 즉 창세기 1:26의 복수로 등장한 하나님과 창세기 1:27의 단수로 등장한 하나님은 동일한 것으로 봐야 한다. 그러므로 천사들이 포함될 여지가 없고, 이를 삼위일체 하나님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이 경우 하나님이 ‘우리’라고 말하는 당사자는 창세기 1:2의 하나님의 신일 것이다.60)

57) Hermann Gunkel, Genesis, 112–113. “God turns here to other אלהים –beings and includes himself with them in the ‘we’. … The concept originates in polytheism, but is no longer polytheistic perse since it regards the one God (Yahweh) as the Lord, the sole determiner, but the other אלהים as greately inferior, indeed his servants.

58) L. Berkhof, Christian Doctrine (Grand Rapids: Eerdmans, 1976), 76.

59) John Skinner, Genesis, 30–31. Lyle Eslinger는 창세기 1:26의 하나님의 복수 표현은 창세기 2:22과 창세기 11:7의 복수 표현과 함께 하나님과 인간의 존재론적 경계를 명확하게 하려는 수 사학적인 의도를 가지고 사용되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Lyle Eslinger, “The Enigmatic Plurals Like One of Us (Genesis 1:26, 3:22 and 11:7) in Hyperchronic Perspective,” Vetus Testamentum 54–2 (2006): 171–184.

60) Cassuto, Genesis, 54. 카슈토는 ‘우리’ 를 ‘Let us go!’ 처럼 일종의 권유형으로 생각한다.

E.A. Speiser, Genesis, Anchor Bible (Garden City: Doubleday, 1982), 7.

 기동연, 창조부터 바벨까지: 창세기1–11장 주석, 초판. (06593 서울특별시 서초구 고무래로 10–5 (반포동): 생명의 양식, 2016), 69–70.

728x90
15 iHe is the image of jthe invisible God, kthe firstborn of all creation. 16 For by6him all things were created, lin heaven and on earth, visible and invisible, whether mthrones or ndominions or rulers or authorities—all things were created othrough him and for him. 17 And phe is before all things, and in him all things qhold together. 18 And rhe is the head of the body, the church. He is sthe beginning, tthe firstborn from the dead, that in everything he might be preeminent. 19 For uin him all the vfullness of God was pleased to dwell, 20 and wthrough him to reconcile to himself all things, whether on earth or in heaven, xmaking peace yby the blood of his cross. 
iSee 2 Cor. 4:4
jSee 1 Tim. 1:17
k[Ps. 89:27]; See Rom. 8:29
6That is, by means of; or in
lEph. 1:10
m[Ezek. 10:1]
nEph. 1:21
oRom. 11:36; 1 Cor. 8:6
p[John 8:58]; See John 1:1
q[Heb. 1:3]
rSee Eph. 1:22, 23
sRev. 3:14
tActs 26:23; 1 Cor. 15:20; Rev. 1:5
uch. 2:9
vSee John 1:16
wSee 2 Cor. 5:18; Eph. 1:10
xSee Eph. 2:14
y[Eph. 2:13]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Wheaton: Standard Bible Society, 2016), 골 1:15–20.

본절은 골로새서 안에서 가장 논쟁적인 구절로 매우 시적인 언어로 기록되었다. 바울은 그리스도가 모든 피조물을 지으신 분으로 선포하면서 당시의 이원론적인 태도, 물질적인 것과 영적인 것을 나누는 이들을 대적한다. 바울은 예수가 이 모든것의 주이심을 선포한다. 따라서 모든 신자들은 우리의 삶에 있어서 이런 태도들을 경계해야만 한다. 만약에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모든 창조물의 주이시라면 그리스도안에서 모든 창조물은 새로운 창조물로 변화되고 모든 만물과의 화해를 이루어야 한다. 
타락한 세상을 위한 창조주의 궁극적인 목적은 모든 만물의 회복과 화해이다. 이 목적은 십자가위에서 이미 성취되었다. 죄의 영향과 타락상이 여전히 피조세계에 분명하게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이미 그리스도를 통해서 창조주의 목적이 성취되었고 새로운 창조의 삶인 교회안에 이미 제시되었다. 
바울의 요점은 지금 이시대의 변화를 촉구한다. 다원화된 이 시대의 가치들, 자본주의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가치는 개인의 희생이나 충성을 요구하는 성경적인 가치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상업적이고 성공을 추구하는 가치를 요구한다. 
이 시대의 가치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공적인 것과 개인적인 것, 외적인 것과 내적인 것으로 나눔으로 그리스도의 주권을 사적인 영역으로 몰아넣는다. 동성애의 경우도 성적인 지향과 동성애적인 행위로 나누어서 하나님의 은혜가 성적인 행위(외적인)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성적인 지향(내적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바울은, 성경은 이러한 가르침에 동의하지 않는다. 바울의 고백은 그리스도의 주권은 모든 것 위에 있다라고 선포한다. 
  • The New Creation (1:15–20)*  This is one of the most debated passages in the history of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and requires more care than any in Colossians. In part the modern debate is over the meaning of its poetic language, which is understood against the backdrop of ancient literature and religion. Another aspect of the debate, however, is over its theological significance and especially the role this passage plays within the whole of Colossians. Let me offer a few introductory comments regarding Paul’s pivotal confession of Christ before I comment more specifically on its meaning.
  • In this passage Paul employs various images of creation to clarify “the word of truth, the gospel” (1:5–6). By linking the lordship of Christ to God’s creation of the entire cosmos, Paul’s tacit claim is that Christians have been remade into a new humanity, characterized by their holistic spirituality. Against his ascetic opponents at Colosse, who have rejected the material for the spiritual, Paul confesses Christ as Lord over bothworlds; he is the “cosmic Christ.” Therefore, believers are to resist any teaching that divides their life into separate spheres, material and spiritual, which would also divide their loyalty to Christ. If Christ is Lord over all of God’s creation, then those in Christ have been reformed into a new creation and embody God’s reconciliation of all things (v. 20).
  • By using the creation typology to underscore the holistic result of God’s saving grace, Paul can also introduce the importance of Jesus’ death (v. 20). The Creator’s ultimate goal for the fallen creation is the reconciliation or restoration of all things; and this goal has already been achieved on the cross. Though the material effects of sin and fallenness remain all too evident, Paul can claim that the Creator’s goal has already been realized through Christ and is already being demonstrated in the life of a new creation, the church.
  • Paul’s point challenges today’s church to change. More and more believers divide more and more things up. What we value in the privacy of our homes is often at odds with what we value in our public lives. At work, we often reflect the commercial values of survival and self-interest rather than the biblical values of self-sacrifice and fidelity. Modernity’s dream of economic affluence and political influence often determines even the believer’s behavior outside of home and congregation.
  • I recently spoke on “Human Sexuality and the Christian” at a singles’ convention. My discussion of the Bible’s teaching about homosexuality provoked many in the audience to make the modern distinction between sexual orientation and sexual practice, as though God’s grace affected one’s sexual practices (external) but not one’s sexual orientation (internal). Paul’s point is that such dichotomies between the visible and invisible, public and private, external and internal are false. His confession of Christ’s lordship over all things shows his confidence that Christ’s death establishes God’s grace in every nook and cranny of God’s creation.
  • *1:15–20N. T. Wright has recently demonstrated the christological importance of reading this passage as a poem about Christ (1990:444–68). According to Wright, the poetic quality of the passage is best captured as an inverted parallelism, where Christ is praised as the “firstborn of God’s creation” (A, vv. 15–16), the “supreme being over all things” (B, vv. 17), the “head of the church” (B´, v. 18), and the “beginning of the new order” (A´, vv. 18–20) Wright concludes that these four claims make up a “christological monotheism” that is characteristically Pauline.
  • For the importance of the Jewish Wisdom tradition as the theological background for this passage, see Dunn’s excellent summary (1980:163–212).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1:15.

N.T. 라이트는 이 구절이 시로서 기독론의 중요성을 드러낸다고 주장했다. 라이트에 따르면 이 구절은 역 댓구법(평행체)를 따른다. 
하나님의 창조물의 처음 나신 이(A, vv. 15-16)
모든 만물위에 최고의 존재(B, v. 17)
그 교회의 머리(B’, v. 18)
새로운 질서의 시작(A’, vv. 18-20)
라이트는 이 네 주장이 바울신학의 특성인 '기독론적 일신론’을 주장한다고 결론짓는다. 

  • Thus, in verses 15 and 18 Christ is introduced by a relative pronoun (hos, “he”) combined with the linking verb (estin, “is”), resulting in a crucial parallelism that sets forth Paul’s essential convictions about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1) he is the image of the invisible God, the firstborn over all creation(v. 15) and (2) he is the beginning and the firstborn from among the dead (v. 18).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1:15.

모든 만물을 위한 하나님의 선한 의도는 그리스도 안에서 구체화되었고 그분의 왕국의 공동체 안에서 현실화되었다. 그리스도께서 육신을 가지시고 이땅에 오신 이유는 바로 그분의 십자가로 말미암아 만물을 회복시키고 하나님과의 화목을 위함이다. 

  • Christian orthodoxy does not conclude with incarnational Christology but with incarnational ecclesiology. The God whose grace and truth is made flesh in Christ’s life is now incarnated in the church’s life. Thus Paul’s claim for the Lord Christ issues in a practical claim upon the Christian’s life and constitutes yet another typology of God’s grace: sinful humanity is transformed into new humanity with the capacity to live in accord with God’s pleasures and to delight in the blessings God intended for the first man and woman. For this reason, Paul’s defense of Christian faith in chapter 2 will give way to his description of Christian life in chapter 3.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1:15.

15절) 그분은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형상이요 모든 피조물보다 먼저 나신분이시다. 
형상이라는 단어는 헬라문화속에서 매우 중요한 단어이다. 플라톤에 의하면 모든 우주는 보이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보이는 형상이라고 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헬라 유대주의에서는 창조물의 하나님의 행동이 선재하고 영원한 형상 혹은 하나님의 지혜의 표현이라고 해석했다. 이는 창조물들은 보이고 역사적인 것으로 보이지 않고 하늘의 실재의 사본으로 여겼다. 
  • The first stanza of this confession relates Christ to creation, beginning with the claim that Jesus is the image of the invisible God.Most scholars locate the important idiom imagewithin the Hellenistic world, where it referred to various media of divine revelation. For example, according to Platonic thought, the entire cosmos is the visible “image” of the invisible God (see Lohse 1971:47) and the natural order properly guides our imagination about God’s identity. In fact, under the influence of Plato, Hellenistic Judaism interpreted God’s act of creation as informed by preexistent and eternal images or expressions of God’s Wisdom. In this mythic sense, then, creation is the visible, historical counterpart of invisible, heavenly reality. The precepts and principles of God’s Wisdom form the very substance of all things. These “images” of the Creator do not merely “represent” or help us “visualize” God; rather, they actually make what is hidden in God concrete and knowable, so that we may know and enter into fellowship with God.
  • Paul’s understanding of Christ’s significance takes shape in a Greek philosophical environment that defined imagein this way. In referring to Jesus as the image of the invisible God,Paul means that Jesus is the very substance of God’s purposes and intentions for creation. He is God’s pattern for all of life, and through him God will restore a broken and fallen creation in his likeness. In this regard, Paul’s claim for Jesus may be intended as more than an apologia for his cosmic importance as Lord Christ. I think Paul uses imageto echo the biblical story of creation, when God created male and female in God’s own image (Gen 1:27). Paul’s ultimate point is that the Christ event brings to historical expression the ultimate purpose of God’s creation of all human life. On the one hand, Jesus exemplifies humanity’s faithful response to God; but on the other hand, he also discloses God’s faithfulness to humankind. God’s good intent in creating human life is to enjoy a faithful relationship with every person. Because of Christ, this intent can now be realized for those who are in him.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1:15.

본문은 그리스도를 모든 피조물보다 먼저 나신 분으로 이야기한다. 이를 문자적으로 해석하면 삼위일체를 반대하는 것이 된다. 성자 예수님이 육신으로 태어난 분이기에 그 이전에 존재하지않았다면 삼위일체에 큰 타격을 준다. 하지만 유대 지혜문학속에서 지혜를 의인화하여 표현한 것처럼 그리스도를 표현한 것이다. 

16절) 만물이 그에 의해서 창조되었는데, 하늘과 땅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보좌나 주권이나 통치자들이나 권세들 모두 그로 말미암아 또한 그를 위하여 창조되었다. 

하나님의 창조의 주로서의 그리스도를 부인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죽음의 구속적 중요성을 부인하는 것이다. 
  • The NIV incorrectly translates Paul’s “in him” (that is, Christ) formula as by him,missing the intended force of the phrase. Paul typically uses “in him” or “in Christ” as a metaphor for restored relationships or, even more specifically, the spiritual home of those who belong to Christ, where he (rather than the evil one) rules over them (v. 13). In this particular confession, however, Paul presumes that the destiny of the entire created order—both its spiritual and its physical realms—is linked to Christ’s destiny. Further, God’s positive verdict on Jesus’ messianic work, indicated by the raising of him as Lord Christ, shows that God’s purpose for creation will ultimately be carried out (Rev 21:1–22:5).
  • Christ embodies God’s will for all creation; Christ is the content and goal of God’s grace, by which God’s will is now being brought to reality within history. When the ruling elites of society resist the teaching of Christ, they actually prevent the “good life” from being realized. In whatever form it finally takes, rebellion against God is self-destructive simply because it is at odds with the life-generating resources that God has built into creation. Any secular pretension or humanistic hubris will eventually be exposed as self-deceptive and false, utterly incapable of empowering a person for good. (Hence the recent collapse of Soviet communism.) Claims for national sovereignty or for individual rights, if not subjected to Christ’s absolute claim on all thingsand every power, are without any foundation and are surely idolatrous.
  • Believers must never confuse the secular with the sacred. It is easy to fall into this confusion in the West, especially in America, where public rhetoric often employs a sacred idiom to maintain public conduct that is often secular. The point Paul makes here has less to do with Christ’s exalted status than with the consequences of his messianic work, which brought a fallen creation back under the Creator’s sovereign reign. To deny Christ as the Lord of God’s creation is to deny the redemptive consequences of Christ’s death; to reject God’s desire to delight in the inherent goodness of creation is to reject the prospect of a new creation of redeemed humanity in Christ.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1:15.

17절) 그가 만물보다 먼저 계시고 말물이 그 안에 함께 섰다. 
  • The next set of christological formulations (v. 17) repeats in chronological fashion the critical relationship between Lord Christ and all things.The previous confession stated that the destiny of all thingsis predicated by being in Christ. Similarly, if Christ was before all things,and if all things have their beginning by himand their purpose for him,and if in him all things hold togetherin a coherent and logical way, then the wise thing to do is to line up under the lordship of Christ in order to enter into God’s salvation. As Wright nicely puts it, “No creature is autonomous. All are God’s servants (Ps 119:91) and dependents (Ps. 104)” (Wright 1987:73).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1:15.

18절) 그리스도는 몸인 교회의 머리이시다. 
바울은 고전 12:27에서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를 말했다. 하지만 본 절에서 그는 한발 더 나아가서 몸인 교회의 머리로서의 그리스도를 말하고 있다. 이 비유는 그리스도가 그 몸인 교회의 머리로 그분의 리더십을 강조하고 그 몸을 위해서 영양분을 제공하는 그분의 역할을 또한 제시한다. 
  • Paul spoke elsewhere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1 Cor. 12:27), but he takes the image a step further here and envisions Christ as the head of the body (see also Eph. 1:22–23; 5:25). This metaphor conveys Christ’s leadership over the body and may also suggest his role in providing sustenance for it (see notes on 1 Cor. 11:3; Col. 2:10; 2:19).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294.

  • head.Refers to Christ’s supremacy over the church. Christ is the supreme ruler of the cosmos (even angels worship him, Heb 1:6), and he is present as the head of the church. The head not only directs and governs the body but also gives it life and strength (Col 2:19). The church exists not to satisfy itself or to ensure its institutional survival but to fulfill the purposes of its head. firstborn from among the dead.Christ’s resurrection (1 Cor 15:20; Rev 1:5). He was the first to be raised from the dead never to die again, and his resurrection ensures the resurrection of those who follow him.
  •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429.

그리스도를 교회의 머리로 강조하고 있다. 바울은 몸과 머리의 관계로 설명하는 것을 증거했는데 이는 서로 의존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머리없는 몸이 존재할 수 없는 것처럼 몸없는 머리도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몸의 일원으로 신자들은 죽음에서 부활하신 역사적 예수를 믿는 믿음을 통해서 은혜로 참여한다. 믿음에 속한 자들은 그리스도의 죽음에 동참함을 통해서 그들의 죄의 요구로부터 자유케 되었고 이제 그분의 부활에 참여함을 통해서 변화된 삶을 경험하게 된다. 
  • Perhaps the relationship Paul has in mind stems from his participatory Christology: as members of Christ’s body, believers participate by grace through faith in the history of the historical Jesus, from his death to his exaltation. Those who belong to the faith are liberated from the consequences of their sins through participating in Christ’s death, and now experience a transformed life through participating in his resurrection.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1:15.

새로운 창조, 교회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로 시작되었다. 
  • God’s Son Is Lord of the New Creation (1:18–20) The second stanza of Paul’s christological confession begins with a different point: Christ is the beginning.The word beginningcomes from the same word-family as rulers (1:16) and probably carries the same idea: the Lord Christ is at “the beginning of”—or “rules over”—God’s new creation, the church, even as he is Lord now over the various elites of God’s created order. At times the word carries a temporal meaning, referring to the beginning or first event of a sequence of events. So this claim for Christ’s lordship over the church may have a historical aspect: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begins his cosmic lordship (compare Phil 2:9–11) and inaugurates the new age of salvation’s history in him (1 Cor 15:12–28). Paul further expands the confession here by adding the appositional phrase the firstborn from among the dead.The new age initiated by 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 constitutes nothing less than a new order of human life in Christ, the essential ingredient of which is victory over death in its various expressions.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1:18.

하나님의 창조와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가 그리스도의 주권 아래 함께 연합되었다. 그리스도를 통한 영적인 악함과 인간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승리가 타락한 세계의 회복을 가져왔다. 

19절) 하나님의 모든 충만하심을 예수, 그분안에 거하게 하시기를 기뻐하셨다. 
충만이라는 단어는 구약에서 하나님께서 성전안에 임재하시는 모습을 떠올게 한다. 예를 들면 에스겔이 겔 44:4에서 이렇게 말했다. 
(겔 44:4, 개정) 『그가 또 나를 데리고 북문을 통하여 성전 앞에 이르시기로 내가 보니 여호와의 영광이 여호와의 성전에 가득한지라 내가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리니』
예수님은 하나님의 영광을 지니고 계실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모든 것이 예수님 안에 또한 거하신다. 그는 하나님의 지혜, 힘, 성령, 영광을 소유하고 계신다. 이 모든 신적인 충만함이 예수님 안에 거한다라고 말하는 것은 그분이 완전히 하나님이시라고 말하는 것이다.
  • For in him all the fullness of God was pleased to dwell. The “fullness” language here and throughout the letter is reminiscent of its use in the OT, where it was said that God “filled” the temple with his presence. For instance, the prophet Ezekiel exclaims, “I looked, and behold, the glory of the Lord filled the temple” (Ezek. 44:4). Jesus not only bears God’s glory, but all that God isalso dwells in him. He possesses the wisdom, power, Spirit, and   p 2295  glory of God. To say that all this divine fullness dwells in Jesus is to say that he is fully God (see also Col. 2:9).
  •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2294–2295.

20절)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피로 화평을 이루셔서 땅에 있는 것이나 하늘에 있는 것들 모두 그분으로 말미암아 그분과 화목하게하시기를 기뻐하셨다. 
모든 것이 그리스도를 통해서 창조되었다. 하지만 그 창조된 우주는 타락했고 하나님과의 화해를 필요로 한다. 그 화해는 역사 속에서 오직 그리스도, 육체를 가지고 오셔서 십자가 위에서 고난을 감당하신 그분을 통해서만 성취되었다. 
  • reconcile … all things.Everything was created through Christ, but the created universe is fallen and needs reconciliation to God. That reconciliation was achieved within history through Christ alone, who took on the flesh of his creation and endured the agonizing suffering of the cross (2:14–15). This does not refer to universal salvation; Christ’s enemies are vanquished (2:15; 1 Cor 15:24–26). blood, shed on the cross.The climax of the poetic praise. God turned murder and an instrument of death into an atoning sacrifice that brings life and peace.
  •  Douglas J. Moo, “The Letters and Revelation,”in NIV Zondervan Study Bible: Built on the Truth of Scripture and Centered on the Gospel Message, ed. D. A. Carson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5), 2429.

어떻게 그리스도는 이미 존재하시고 우주적 주가 될 수 있는가?
  • Paul’s confession returns to the question of Christ’s lordship, but now to clarify what results from his faithful messiahship (compare Rom 1:3), when he “became” Lord by obeying God rather than by appealing to his preexistence (v. 17). But this new emphasis raises a question: how can Christ already “be” and then “become” cosmic Lord? Wright suggests a solution to this paradox in the distinction that Paul makes more clearly in other confessions about Christ, such as the one found in Philippians 2:5–11. There, according to Wright, Paul makes the distinction between a person’s natural “right” that is not yet exercised and one whose status is ultimately legitimated by historical fact (1986:75). In this sense, Jesus has always been Lord of all; but as Messiah, by his faithfulness to God his preexistent status was proved valid.
  • Perhaps a more direct solution, however, lies in the twofold structure of the confession itself. In claiming Christ’s lordship over all things, Paul makes a chronological distinction between Christ’s preexistent lordship over creation and his postexistent lordship over the new creation. Therefore, while the preexistent Son is the firstborn over all creationand is therefore Lord over all things created, his lordship over the church began only after he became firstborn from among the deadat his exaltation (see Rom 1:3). With this in mind, we return to the phrase before us, so that in everything he might have the supremacy,to understand that everythingdoes not refer to the all thingscreated as in verse 16, but to all those new things that God’s empowering grace continues to recreate within the faith community, beginning with Christ’s resurrection.
  •  Robert W. Wall, Colossians & Philemon, The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3), 골 1:18.


+ Recent posts